KR102320878B1 - 통합 관제 방법 및 통합 관제 장치 - Google Patents

통합 관제 방법 및 통합 관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0878B1
KR102320878B1 KR1020200168479A KR20200168479A KR102320878B1 KR 102320878 B1 KR102320878 B1 KR 102320878B1 KR 1020200168479 A KR1020200168479 A KR 1020200168479A KR 20200168479 A KR20200168479 A KR 20200168479A KR 102320878 B1 KR102320878 B1 KR 1023208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control point
standard
tags
virt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8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옥근
추종민
김현성
Original Assignee
(주)케이티에스테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티에스테이트 filed Critical (주)케이티에스테이트
Priority to KR1020200168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08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0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08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통합 관제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통합 관제 방법은, 복수의 통신 장비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통신 장비 각각에, 상응하는 복수의 태그를 설정하는 단계, 표준 장비 및 표준 관제점을 등록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태그 중 하나 이상의 태그에 각각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적용 관제점을, 상기 표준 장비 및 상기 표준 관제점에 매핑하여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통합 관제 방법 및 통합 관제 장치{INTEGRATED CONTROL METHOD AND INTEGRATED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다양한 건물에 설치된 장비들에 대한 통합 관제를 수행할 수 있는, 통합 관제 방법 및 통합 관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빌딩 관리 시스템으로는 건물 에너지를 세부적으로 분석하는 BEMS(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빌딩 내 장비를 손쉽게 작동하고 관제하기 위한 자동제어시스템(Building Automation System)이 대표적이며, 이 외에도 보안시스템, 조명 제어 등의 다양한 자동화 시스템이 인간의 편의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등장하였다.
하지만 시스템들이 많아지며 관리 및 운영이 복잡해졌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시스템을 통합 관리하는 통합 시스템 인티그레이션(System Integration)이 등장하였다.
다만 통합 시스템 인티그레이션(System Integration) 역시 다양한 시스템들을 조작 및 관리하는 수준에 머무르고 있는 것이 현실이며, 통합 시스템 인티그레이션(System Integration)에서는 다양한 시스템들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 현장에 많은 관리자가 배치되어야 하는데, 이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에 가까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건물에 설치된 장비들에 대한 통합 관제를 수행할 수 있는, 통합 관제 방법 및 통합 관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통합 관제 방법은, 복수의 통신 장비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통신 장비 각각에, 상응하는 복수의 태그를 설정하는 단계, 표준 장비 및 표준 관제점을 등록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태그 중 하나 이상의 태그에 각각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적용 관제점을, 상기 표준 장비 및 상기 표준 관제점에 매핑하여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상응하는 복수의 태그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통신 장비 중 제1 통신 장비에, 상기 제1 통신 장비를 통하여 센싱 값을 전송하는 복수의 센서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태그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통신 장비 중 제2 통신 장비에, 상기 제2 통신 장비를 통하여 센싱 값을 전송하는 복수의 센서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태그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표준 장비는, 건물 장비들을 종류에 따라 구분하기 위한 카테고리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표준 관제점은, 상태 값 들을 종류에 따라 구분하기 위한 카테고리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통신 장비로부터 센싱 값들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센싱 값들을 상응하는 태그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적용 관제점에 각각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태그로부터 하나 이상의 상태 값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상태 값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태 값은, 상응하는 센서의 센싱 값, 상기 센싱 값을 보정하여 생성된 보정 값 또는 상기 센싱 값을 가공하여 생성된 가공 값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표준 관제점에 속하는 복수의 적용 관제점의 상태 값을 이용하여 상기 표준 관제점의 표준 값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준 값은, 상기 복수의 적용 관제점의 상태 값 각각을 포함하거나, 상기 복수의 적용 관제점의 상태 값을 수식으로 계산하여 산출된 값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태그 중 둘 이상의 태그의 조합에 대응하는 가상 관제점을 등록하는 단계, 및, 상기 둘 이상의 태그에 저장되는 센싱 값을 이용하여 상기 가상 관제점의 가상 값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가상 값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통합 관제 장치는, 복수의 통신 장비와 통신하는 통신부,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복수의 통신 장비를 등록하고, 상기 복수의 통신 장비 각각에, 상응하는 복수의 태그를 설정하고, 표준 장비 및 표준 관제점을 등록하고, 상기 복수의 태그 중 하나 이상의 태그에 각각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적용 관제점을, 상기 표준 장비 및 상기 표준 관제점에 매핑하여 등록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통신 장비 중 제1 통신 장비에, 상기 제1 통신 장비를 통하여 센싱 값을 전송하는 복수의 센서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태그를 설정하고, 상기 복수의 통신 장비 중 제2 통신 장비에, 상기 제2 통신 장비를 통하여 센싱 값을 전송하는 복수의 센서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태그를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합 관제 센터에서 현장과 동일한 환경을 직접 구성하여, 전국 각지의 건물들에 소속된 다양한 설비들을 통합 관제 및 제어하고, 분야별 전문가를 하나의 관제 센터에 배치하여 여러 건물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동 시스템에 상응하는 통신 모듈을 사용함으로써, 프로토콜의 구분 없이 데이터의 수집이 가능하고, 이후에 연동 시스템의 추가가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용 관제점을 사용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전달이 필요한 정보를 용이하게 선정 및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표준 장비 및 표준 관제점을 이용함으로써, 필요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카테고리 별로 제공할 수 있으며, 카테고리 내 센싱 값들을 조합하여 제공할 수도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상 관제점을 이용함으로써, 실제 계측되지 않는 정보를 산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 관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동 시스템의 등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장비에 복수의 태그를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표준 장비를 등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표준 관제점을 등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장비를 등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적용 관제점을 등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상태 값, 표준 값 및 가상 값의 디스플레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구현함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요소를 세분화하여 설명할 수 있으나, 이들 구성요소가 하나의 장치 또는 모듈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수의 장치 또는 모듈들에 나뉘어져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 관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통합 관제 장치(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10), 통신부(120), 제어부(130) 및 데이터베이스(14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퍼페이스(11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인퍼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110)는 키보드, 마이크 등의 입력부를 포함하고,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10)는 디스플레이부, 스피커 등의 출력부를 포함하고, 사용자에게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통합 관제 장치(100)는 사용자(관리자)와 센서들을 연결하는 통합관제 플랫폼으로 동작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110)는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단말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110)는 PC, 스마트폰 등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출력의 대상이 되는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복수의 연동 시스템(210, 220, 230) 또는 DDC(Digital Direct Control)과 통신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121, 122, 123)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121, 122, 123)은, 연동 시스템 또는 DDC(Digital Direct Control)와 연동하여 통신하기 위한 게이트웨이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121, 122, 123) 각각은, 상응하는 프로토콜로 연동 시스템과 연동하여, 연동 시스템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121, 122, 123) 각각은, 하나 또는 복수의 연동 시스템이나 DDC(Digital Direct Control)와 연동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통신 모듈(121)은 제1 프로토콜로 제1 연동 시스템(210)과 통신하고, 제2 통신 모듈(122)은 제2 프로토콜로 제2 연동 시스템(220) 및 제3 연동 시스템(230)과 통신하며, 제3 통신 모듈(123)은 제3 프로토콜로 제4 연동 시스템(240) 및 DDC(250)와 통신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121, 122, 123) 중 일부는 Bacnet, modbus와 같은 오픈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연동 시스템 또는 DDC와 통신할 수 있다.
한편 하나 이상의 연동 시스템(210, 220, 230, 240)(또는 DDC)은, 센서에서 전송하는 데이터들을 통합 관제 장치(100)로 전달하고, 통합 관제 장치(100)에서 전송하는 데이터(제어 명령 등)를 센서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나 이상의 연동 시스템(210, 220, 230, 240) 각각은 하나 이상의 센서와 통신하여, 하나 이상의 센서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하나의 연동 시스템(또는 DDC)은 특정 건물 또는 특정 건물의 부분 공간(예를들어 특정 건물의 4층 및 5층)에 할당되어, 할당된 건물 또는 공간 내 센서들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하나의 연동 시스템은 복수의 건물에 할당되어, 복수의 건물 내 센서들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집할 수도 있다.
또한 복수의 연동 시스템은 복수의 건물에 할당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통합 관제 장치는 복수의 건물에 대한 통합 관제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센서들은 건물 내 다양한 정보(현재 온도, 현재 습도, 설정 값(설정 온도, 설정 습도 등), 운전 상태, 풍량, 냉방/난방 여부 등)를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센서는 자신이 수집한 정보에 기초하여 센싱 데이터를 생성하고, 자신과 연결된 연동 시스템(또는 DDC)에 센싱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센싱 데이터는, 센싱 데이터를 송부하는 센서의 센서 ID 및 센싱 값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센서들 중 일부는 에어컨, 냉동기, 공조기, 보일러 등의 건물 장비에 할당되어, 건물 장비와 관련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건물 장비에는 하나 또는 복수의 센서가 할당될 수 있다.
또한 센서는 반드시 물리적인 센서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소프트웨어적으로 정보를 획득하는 프로세서나 기타 중앙 처리 장치도 센서에 속할 수 있다.
다시 통합 관제 장치(100)로 돌아가서, 통합 관제 장치(100)의 제어부(130)는 통합 관제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통신부(120)를 통하여 수신되는 센싱 데이터(또는 센싱 값)를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센싱 데이터의 수집은, Quarz, java timer 등을 기반으로 일정한 스케쥴(예를 들어 일정 주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센싱 데이터의 수집은, 연동 시스템의 프로토콜의 특성에 따라, 센싱 값이 변경될 때마다 연동 시스템에서 센싱 값을 전송하는 cov 방식 또는 통합 관제 장치(100)에서 일정 주기에 따라 센싱 값을 요청하는 polling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polling 방식이 사용되는 경우, 제어부(130)는 연동 시스템을 등록하는 과정이나 관제점을 생성하는 과정 등에서, 센싱 값의 수집 주기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된 센싱 값을 보정하여 보정 값을 생성하거나,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된 센싱 값을 가공하여 가공 값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생성된 보정 값 및 가공 값은 다시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센싱 값, 보정 값, 가공 값, 표준 값, 가상 값 등에 기반하여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명령을 통신부(120)를 통하여 연동 시스템에 전송할 수 있다. 제어 명령은 건물 장비에 전달되고, 건물 장비는 제어 명령에 기초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센싱 값, 보정 값, 가공 값, 표준 값, 가상 값 등이 알람 조건에 해당하는지 결정하고, 알람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알람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데이터베이스(140)는, 통합 관제 장치(10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 센싱 데이터, 센싱 값, 보정 값, 가공 값, 표준 값, 가상 값, 각종 수식, 알람 조건, 통계 분석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설명하는 통신 장비란, 도 1에서 설명한 연동 시스템이나 DDC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용어 “통신 장비”는 용어 “연동 시스템” 또는 용어 “DDC”와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동 시스템의 등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어부는 복수의 통신 장비를 등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연동의 대상이 되는 통신 장비를 등록하고, 통신 장비에 대응하는 통신 장비 정보(프토토콜 게이트웨이, IP, 포트(port) 정보, 기타 연동 속성)를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연동 시스템과 연결되는 통신 모듈은, 등록된 통신 장비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 장비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통신 장비에는 통신 장비의 ID나 통신 장비의 명칭이 할당될 수 있다.
한편 통합 관제 장치(100)와 연결되는 복수의 통신 장비 각각에 대하여, 위와 같은 등록이 수행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장비에 복수의 태그를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어부(130)는 통신 장비에, 상응하는 복수의 태그를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특정 통신 장비에 포함되는 복수의 태그의 태그 정보(태그명, 태그 ID, 기타 연동 속성 등)를 등록하고, 태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고하면, 특정 태그의 태그 ID는 “1/AO/4708│32/float”이고, 태그명은 “6F-GHP-4(0334)”이며, 상기 특정 태그는 “안다즈 강남 MODBUS”라는 명칭을 가진 통신 장비에 설정되었고, 센싱 값은 kWh의 단위를 가지며, 태그 범위의 최소 값이 1.01로 설정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센싱 값이 태그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제어부(130)는 해당하는 센싱 값을 무시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복수의 통신 장비 각각에, 상응하는 복수의 태그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통신 장비(210)의 예를 들면, 제어부(130)는 복수의 통신 장비(210, 220, 230, 240, 250) 중 제1 통신 장비(210)에, 제1 통신 장비를 통하여 센싱 값을 전송하는 복수의 센서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태그를 설정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1 통신 장비(210)는 복수의 센서와 통신하고, 제1 통신 장비(210)와 통신하는 복수의 센서는 제1 통신 장비(210)를 통하여 센싱 값을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제1 통신 장비(210)를 통하여 센싱 값을 전송하는 복수의 센서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태그를 제1 통신 장비(210)에 매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센서가 제1 통신 장비(210)를 통하여 센싱 값을 전송하는 경우, 제1 센서와 매칭되는 제1 태그가 제1 통신 장비(210)에 설정되고, 제2 센서가 제1 통신 장비(210)를 통하여 센싱 값을 전송하는 경우, 제2 센서와 매칭되는 제2 태그가 제1 통신 장비(210)에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동일한 방식으로, 제어부(130)는 복수의 통신 장비(210, 220, 230, 240, 250) 중 제2 통신 장비(200)에, 제2 통신 장비를 통하여 센싱 값을 전송하는 복수의 센서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태그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위와 같은 과정을, 나머지 통신 장비들에도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표준 장비를 등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어부(130)는 표준 장비를 등록할 수 있다.
여기서 표준 장비는, 건물 장비들을 종류에 따라 구분하기 위한 카테고리를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하나의 표준 장비에는, 공통 특성을 가지는 건물 장비들이 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표준 장비는 공조기, 제2 표준 장비는 냉동기, 제3 표준 장비는 냉온수기, 제4 표준 장비는 보일러일 수 있다. 또한 제2 표준 장비(냉동기)에는, 공통 특성(냉동기 특성)을 가지는 건물 장비들(스크류 냉동기, 온수 흡수식 냉동기, 일반 냉동기, 터보 냉동기)가 속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표준 장비에 상응하는 표준 장비 정보(표준 장비의 명칭, 표준 장비의 ID, 기타 정보 등)를 등록하고, 표준 장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표준 관제점을 등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어부(130)는 표준 관제점을 등록할 수 있다.
여기서 표준 관제점은, 상태 값들을 종류에 따라 구분하기 위한 카테고리일 수 있다. 그리고 하나의 표준 관제점에는, 하나의 종류의 적용 관제점들이 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표준 관제점은 온도, 제2 표준 관제점은 습도, 제3 표준 관제점은 가동 시간일 수 있다. 또한 제3 표준 관제점에는, 가동 시간을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적용 관제점들이 속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표준 관제점에 상응하는 표준 관제점 정보(표준 관제점이 속하는 표준 장비, 표준 관제점의 명칭, 설정 정보(제어 정보, 알람 정보, 모니터링 정보 등), 표준 관제점의 ID, 집계 주기, 집계 유형 등)을 등록하고, 표준 관제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장비를 등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어부(130)는 건물 장비를 등록할 수 있다.
여기서 건물 장비는, 건물에 설치되고 센서의 정보 수집의 대상이 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건물 장비는 특정 표준 장비에 속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건물 장비에 상응하는 건물 장비 정보(건물 장비의 명칭, 건물 장비가 속하는 표준 장비, 기타 정보 등)를 등록하고, 건물 장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적용 관제점을 등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어부(130)는 적용 관제점을 등록할 수 있다. 여기서 적용 관제점은 복수의 태그 중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상태 값을 제공할 태그를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합 관제 장치(100)에는 수많은 센서들이 센싱 값을 전송한다. 그리고 통합 관제 장치(100)는 수집되는 모든 센싱값(또는 보정값, 가공값)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인 아니라, 사용자가 제공받기를 원하는 센싱값(또는 보정값, 가공값)을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들에 제공되는 센싱값(또는 보정값, 가공값)에 대응하는 적용 관제점이 설정될 수 있다.
한편 하나 이상의 적용 관제점은 각각 하나 이상의 태그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적용 관제점은 제1 태그에, 제2 적용 관제점은 제2 태그에, 제3 적용 관제점은 제3 태그에 매핑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적용 관제점을, 표준 장비 및 표준 관제점에 매핑하여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 센서가 스크류 냉동기에서 온도 정보를 수집하고, 온도 센서는 제1 태그에 대응하며, 제1 태그는 제1 적용 관제점에 대응한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제1 적용 관제점을, 스크류 냉동기가 속하는 제2 표준 장비 및 온도를 나타내는 제1 표준 관제점에 매핑하여 등록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적용 관제점에 상응하는 적용 관제점 정보(표준 장비, 건물 장비, 표준 관제점, 집계 주기, 집계 유형, 적용 관제점의 ID, 적용 관제점의 명칭, 태그, 설정 정보(제어 정보, 알람 정보, 모니터링 정보 등))를 등록하고, 적용 관제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적용 관제점의 명칭(2F 샴페인/초콜렛(31)_Fan Speed status), 표준 관제점(운전 속도), 태그 등이 등록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7에는 건물 장비(안다즈강남_EHP)가 등록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건물 장비(안다즈강남_EHP)는 특정 표준 장비에 속한다. 즉 적용 관제점은 특정 표준 장비에 매핑될 수 있다.
다음은 가상 관제점을 등록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어부(130)는 둘 이상의 태그의 조합에 대응하는 가상 관제점을 등록할 수 있다. 여기서 가상 관제점은, 둘 이상의 태그의 조합을 의미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특정 가상 관제점은 둘 이상의 태그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상 관제점은 제1 태그 및 제2 태그에 매핑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가상 관제점에 상응하는 가상 관제점 정보(가상 관제점의 ID, 가상 관제점의 명칭, 매핑되는 태그, 사용되는 수식 등)을 등록하고, 가상 관제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 관제점이 열량을 나타내는 관제점이라고 가정한다. 그리고 열량의 계산을 위해서는 유량, 환수 온도, 공급 온도, 비열이 필요하며, 이중 유량, 환수 온도 및 공급 온도는 센서에 의해 획득이 가능한 값이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가상 관제점을 유량 센서에 대응하는 태그, 환수 온도 센서에 대응하는 태그 및 공급 온도 센서에 대응하는 태그에 매핑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열량을 산출하는 수식을 등록하고, 상기 수식을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할 수 있다.
다음은 센싱 값(또는 보정 값, 가공 값)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통합 관제 장치(100)는 복수의 센서들이 전송하는 센싱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센서는, 센서 ID 및 센싱 값을 포함하는 센싱 데이터를, 상기 특정 센서와 통신하는 연동 시스템(또는 DDC)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연동 시스템(또는 DDC)은 센싱 데이터를, 상기 연동 시스템(또는 DDC)과 통신하는 통신 모듈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통신 모듈은 센싱 데이터를 제어부(130)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센싱 데이터에 포함되는 센싱 값을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통신 장비로부터 센싱 값들이 수신되면, 제어부(130)는 수신된 센싱값 들을 상응하는 태그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센싱 데이터가 수신된 경우, 제어부(130)는 특정 센싱 데이터로부터 센서 ID 및 센싱 값을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센서 ID에 매핑된 태그를 검색하고, 검색된 태그에 센싱 값을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센싱 값을 보정하여 보정 값을 생성하고, 생성된 보정 값을 상응하는 태그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센싱 값을 특정 태그에 설정된 단위로 변환한 보정 값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센싱 값을 가공하여 가공 값을 생성하고, 생성된 가공 값을 상응하는 태그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 값은 동작 여부(동작:1, 미 동작:0)인데 반해, 태그에서 보유하고자 하는 값은 가동 시간일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일정 기간 동안 수집된 센싱 값들을 이용하여 가동 시간을 생성하고, 생성된 가동 시간을 상응하는 태그에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센싱 값은 누적 전기 사용량인데, 태그에서 보유하고자 하는 값은 단위 시간당 전기 사용량 일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일정 기간 동안 수집된 센싱 값들을 차분하여 단위 시간 당 전기 사용량을 생성하고, 생성된 단위 시간 당 전기 사용량을 태그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적용 관제점에 대응하는 상태 값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여기서 상태 값이란, 센싱 값, 센싱 값을 보정하여 생성된 보정 값 및 센싱 값을 가공하여 생성된 가공 값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의 대상이 되는 하나 이상의 적용 관제점을 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합 관제 인터페이스의 특정 페이지에서 제1 내지 제3 적용 관제점을 디스플레이 하는 것으로 설정된 경우, 제어부(130)는 제1 내지 제3 적용 관제점을 선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특정 건물 장비의 상태 값을 확인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었고, 특정 건물 장비에 제1 내지 제3 적용 관제점이 매칭된 경우, 제어부(130)는 제1 내지 제3 적용 관제점을 선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하나 이상의 적용 관제점에 각각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태그로부터, 하나 이상의 상태 값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적용 관제점이 제1 태그에 매핑되고, 제2 적용 관제점이 제2 태그에 매핑되고, 제3 적용 관제점이 제3 태그에 매핑된 경우, 제어부(130)는 제1 태그에 저장된 상태 값, 제2 태그에 저장된 상태 값 및 제3 태그에 저장된 상태 값을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획득된 하나 이상의 상태 값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여기서 상태 값을 디스플레이 한다는 것은, 통합 관제 장치(100)가 상태 값을 직접 디스플레이 하는 것뿐만 아니라, 상태 값이 다른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되도록 상태 값을 전송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태그에 상태 값이 저장된다는 것은, 태그에 상태 값을 매칭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보정 값 및 가공 값이 태그에 저장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태그에는 센싱 값이 저장되며, 보정 값 및 가공 값은 적용 관제점에 저장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다음은 표준 관제점에 대응하는 표준 값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어부(140)는 표준 관제점에 대응하는 표준 값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의 대상이 되는 표준 관제점을 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표준 관제점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130)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택된 특정 표준 관제점을 선정할 수 있다.
여기서 표준 값이란, 표준 관제점에 속하는 복수의 적용 관제점의 상태 값을 이용하여 산출되는 값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준 관제점이 온도를 나타내는 카테고리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온도 카테고리로 분류되는 표준 관제점에는 제1 적용 관제점, 제2 적용 관제점 및 제3 적용 관제점이 속할 수 있다. 이 경우 표준 값은, 복수의 적용 관제점의 상태 값 각각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온도 카테고리로 분류되는 표준 관제점이 선정되면, 제어부(130)는 제1 적용 관제점에 대응하는 제1 온도 값, 제2 적용 관제점에 대응하는 제2 온도 값 및 제3 적용 관제점에 대응하는 제3 온도 값을 각각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표준 값은, 복수의 적용 관제점의 상태 값들 중 최소값, 최대값, 중간 값 등일 수 있다.
또한, 표준 값은 복수의 적용 관제점의 상태 값을 수식으로 계산하여 산출된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준 값은, 제1 적용 관제점에 대응하는 제1 온도 값, 제2 적용 관제점에 대응하는 제2 온도 값 및 제3 적용 관제점에 대응하는 제3 온도 값의 평균일 수 있다.
그리고 표준 값은 다양한 수식에 의하여 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준 값은 복수의 적용 관제점의 상태 값의 합산 값일 수도 있으며, 기타 다양한 수식에 의해 산출된 값일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표준 장비 및 표준 관제점에 속하는 복수의 적용 관제점의 상태 값을 이용하여 표준 값을 디스플레이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특정 표준 장비(예를 들어 공조기)의 특정 표준 관제점(예를 들어 온도 카테고리)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130)는 특정 표준 장비 및 특정 표준 관제점에 동시에 매핑된 복수의 적용 관제점을 선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복수의 적용 관제점의 상태 값을 이용하여 표준 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표준 값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다음은 가상 관제점에 대응하는 표준 값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어부(130)는 둘 이상의 태그에 저장되는 센싱 값을 이용하여 가상 관제점의 가상 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가상 값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가상 관제점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130)는 특정 가상 관제점에 매핑된 둘 이상의 태그로부터 센싱 값을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둘 이상의 태그에 저장되는 센싱값 및 가상 관제점에 매핑된 가상 값 산출 수식에 기초하여 가상 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가상 값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앞서 설명한 상태 값, 표준 값 및 가상 값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명령을 건물 장비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표준 관제점, 적용 관제점 및 가상 관제점 중 적어도 하나에 알람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표준 관제점, 적용 관제점 및 가상 관제점 중 적어도 하나가 알람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알람 및 알람이 발생한 관제점에 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 8은 상태 값, 표준 값 및 가상 값의 디스플레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어부(130)는 상태 값, 표준 값 및 가상 값을 수치화 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어부(130)는 상태 값, 표준 값 및 가상 값 등을 상응하는 오브젝트, 텍스트, 그래프 등으로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통합 관제 장치

Claims (10)

  1. 복수의 통신 장비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통신 장비 각각에, 상응하는 복수의 태그를 설정하는 단계;
    표준 장비 및 표준 관제점을 등록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태그 중 하나 이상의 태그에 각각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적용 관제점을, 상기 표준 장비 및 상기 표준 관제점에 매핑하여 등록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통신 장비로부터 센싱 값들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센싱 값들을 상응하는 태그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표준 관제점에 속하는 복수의 적용 관제점의 상태 값을 이용하여 상기 표준 관제점의 표준 값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태그 중 둘 이상의 태그의 조합에 대응하는 가상 관제점을 등록하는 단계; 및
    상기 둘 이상의 태그에 저장되는 센싱 값을 이용하여 상기 가상 관제점의 가상 값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가상 값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표준 장비는,
    건물 장비들을 종류에 따라 구분하기 위한 카테고리이고,
    상기 표준 관제점은,
    상태 값 들을 종류에 따라 구분하기 위한 카테고리이고,
    상기 표준 관제점의 표준 값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는,
    특정 표준 장비의 특정 표준 관제점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특정 표준 장비 및 상기 특정 표준 관제점에 매핑된 복수의 적용 관제점을 선정하고, 상기 특정 표준 장비 및 특정 표준 관제점에 매핑된 복수의 적용 관제점의 상태 값을 이용하여 상기 특정 표준 관제점의 표준값을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가상 관제점을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둘 이상의 태그에 저장되는 센싱 값을 이용하여 상기 가상 관제점의 가상 값을 산출하기 위한 수식을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산출된 가상 값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는,
    상기 둘 이상의 태그에 저장되는 센싱 값 및 상기 가상 관제점에 매핑된 상기 수식을 이용하여 상기 가상 관제점의 가상 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합 관제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응하는 복수의 태그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통신 장비 중 제1 통신 장비에, 상기 제1 통신 장비를 통하여 센싱 값을 전송하는 복수의 센서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태그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통신 장비 중 제2 통신 장비에, 상기 제2 통신 장비를 통하여 센싱 값을 전송하는 복수의 센서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태그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합 관제 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적용 관제점에 각각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태그로부터 하나 이상의 상태 값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상태 값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태 값은,
    상응하는 센서의 센싱 값, 상기 센싱 값을 보정하여 생성된 보정 값 또는 상기 센싱 값을 가공하여 생성된 가공 값 중 어느 하나인
    통합 관제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준 값은,
    상기 복수의 적용 관제점의 상태 값 각각을 포함하거나,
    상기 복수의 적용 관제점의 상태 값을 수식으로 계산하여 산출된 값인
    통합 관제 방법.
  8. 삭제
  9. 복수의 통신 장비와 통신하는 통신부’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복수의 통신 장비를 등록하고, 상기 복수의 통신 장비 각각에, 상응하는 복수의 태그를 설정하고, 표준 장비 및 표준 관제점을 등록하고, 상기 복수의 태그 중 하나 이상의 태그에 각각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적용 관제점을, 상기 표준 장비 및 상기 표준 관제점에 매핑하여 등록하고, 상기 복수의 통신 장비로부터 센싱 값들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센싱 값들을 상응하는 태그에 저장하고, 상기 표준 관제점에 속하는 복수의 적용 관제점의 상태 값을 이용하여 상기 표준 관제점의 표준 값을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복수의 태그 중 둘 이상의 태그의 조합에 대응하는 가상 관제점을 등록하고, 상기 둘 이상의 태그에 저장되는 센싱 값을 이용하여 상기 가상 관제점의 가상 값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가상 값을 디스플레이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준 장비는,
    건물 장비들을 종류에 따라 구분하기 위한 카테고리이고,
    상기 표준 관제점은,
    상태 값 들을 종류에 따라 구분하기 위한 카테고리이고,
    상기 제어부는,
    특정 표준 장비의 특정 표준 관제점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특정 표준 장비 및 상기 특정 표준 관제점에 매핑된 복수의 적용 관제점을 선정하고, 상기 특정 표준 장비 및 특정 표준 관제점에 매핑된 복수의 적용 관제점의 상태 값을 이용하여 상기 특정 표준 관제점의 표준값을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둘 이상의 태그에 저장되는 센싱 값을 이용하여 상기 가상 관제점의 가상 값을 산출하기 위한 수식을 등록하고,
    상기 둘 이상의 태그에 저장되는 센싱 값 및 상기 가상 관제점에 매핑된 상기 수식을 이용하여 상기 가상 관제점의 가상 값을 산출하는
    통합 관제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통신 장비 중 제1 통신 장비에, 상기 제1 통신 장비를 통하여 센싱 값을 전송하는 복수의 센서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태그를 설정하고,
    상기 복수의 통신 장비 중 제2 통신 장비에, 상기 제2 통신 장비를 통하여 센싱 값을 전송하는 복수의 센서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태그를 설정하는
    통합 관제 장치.
KR1020200168479A 2020-12-04 2020-12-04 통합 관제 방법 및 통합 관제 장치 KR1023208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8479A KR102320878B1 (ko) 2020-12-04 2020-12-04 통합 관제 방법 및 통합 관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8479A KR102320878B1 (ko) 2020-12-04 2020-12-04 통합 관제 방법 및 통합 관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0878B1 true KR102320878B1 (ko) 2021-11-01

Family

ID=78519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8479A KR102320878B1 (ko) 2020-12-04 2020-12-04 통합 관제 방법 및 통합 관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087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2118A (ko) * 2013-04-09 2014-10-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어로직 진단 시스템 및 그의 진단 방법
KR20150077055A (ko) * 2013-12-27 2015-07-07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빌딩 내 장비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빌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135146A (ko) * 2018-05-28 2019-12-06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노드 분석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2118A (ko) * 2013-04-09 2014-10-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어로직 진단 시스템 및 그의 진단 방법
KR20150077055A (ko) * 2013-12-27 2015-07-07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빌딩 내 장비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빌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135146A (ko) * 2018-05-28 2019-12-06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노드 분석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51983B2 (en) Building system with an entity graph storing software logic
US11016998B2 (en) Building management smart entity creation and maintenance using time series data
US20240103467A1 (en) Building system with digital twin based agent processing
US6996508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retrofit identification of energy consumption systems and components
US20220114283A1 (en) Building system with smart entity personal identifying information (pii) masking
US6937946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identification of energy consumption systems and components
JP4773510B2 (ja) センサネットシステム、センサネットシステムデータ管理方法、センサネットシステムデータ管理プログラム
CN106558916A (zh) 信息提示方法和信息提示装置
KR20140104284A (ko) 빌딩 에너지 관제 시스템 및 방법
CN108810062A (zh) 网络管理系统及其自动注册连网装置的方法
US20170139384A1 (en) Recommendation apparatus, recommendation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KR102274268B1 (ko) 복수의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이용한 에너지 관리 장치 및 방법
US1136104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persona-adjusted data
KR102320878B1 (ko) 통합 관제 방법 및 통합 관제 장치
CN110286728A (zh) 散热器监控方法、装置及电子设备
JP2018204877A (ja) 空調システム及び空調システムの制御方法
KR20180055682A (ko) 건물 분석 장치 및 방법
KR20210077342A (ko) 공기 조화기를 시뮬레이션하는 방법 및 장치
Ahmed et al. Analysing building performance data for energy-efficient building operation
JP2010033279A (ja) 空調機の運転監視装置、運転監視システム及び運転監視方法
JP6880864B2 (ja) エネルギー管理システムおよびエネルギー管理方法
KR102339452B1 (ko) 모듈형 환경정보 수집 시스템
KR102620180B1 (ko) Knx 기반의 개방형 건물 에너지 관리 시스템
JP7196764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
EP4109053B1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data processing method, and data processing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