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0862B1 - 이동형 해체 방사성 폐기물 핵종 분석 실험실의 최적 기류 순환 장치 및 그 배치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형 해체 방사성 폐기물 핵종 분석 실험실의 최적 기류 순환 장치 및 그 배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0862B1
KR102320862B1 KR1020200143208A KR20200143208A KR102320862B1 KR 102320862 B1 KR102320862 B1 KR 102320862B1 KR 1020200143208 A KR1020200143208 A KR 1020200143208A KR 20200143208 A KR20200143208 A KR 20200143208A KR 102320862 B1 KR102320862 B1 KR 102320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alysis
air supply
radioactive waste
room
exha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3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희
노태용
연기훈
김한별
김혜영
유승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드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드텍
Priority to KR1020200143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08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0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0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0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 B60H1/241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ventilation devices in the vehicle
    • B60H1/245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ventilation devices in the vehicle located in the ro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 B60H1/26Ventilating openings in vehicle exterior; Ducts for conveying ventilating air
    • B60H1/262Openings in or on the vehicle ro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6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the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being readily removable
    • B60P1/6418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the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being readily removable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being a container or simi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14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the object being a workshop for servicing, for maintenance, or for carrying workmen during work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TMEASUREMENT OF NUCLEAR OR X-RADIATION
    • G01T1/00Measuring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cosmic radiation
    • G01T1/16Measuring radiation intensity
    • G01T1/167Measuring radioactive content of objects, e.g. contamin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TMEASUREMENT OF NUCLEAR OR X-RADIATION
    • G01T7/00Details of radiation-measuring instru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형 해체 방사성 폐기물 핵종 분석 실험실의 최적 기류 순환 장치 및 그 배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나의 함체(10) 내부에 분석 준비작업을 위한 탕비실(100)과 분석장비(210) 및 급배기시스템(200)이 구비되는 분석실(200)이 구획되며, 상기 탕비실(100)과 분석실(200)은 출입 가능한 출입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분석실을 환기시키기 위한 급배기시스템(230)과, 상기 급배기시스템(230)을 포함하여 시스템 전반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이 구비되며, 이동수단에 탑재되어 이동 가능하게 되는 것을 포함하여, 기류의 교차충돌없이 난류를 형성하며 급기측에서 배기측으로 유동하게 된다.

Description

이동형 해체 방사성 폐기물 핵종 분석 실험실의 최적 기류 순환 장치 및 그 배치 방법{Optimal airflow circulation device for mobile dismantled radioactive waste nuclide analysis laboratory and placement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해체 방사성 폐기물 핵종 분석 실험실의 최적 기류 순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원자력발전소, 방사성 물질을 사용하는 일반산업체, 병원 등에서 발생하는 해체 방사성 폐기물을 수집하여, 수집 현장 또는 이동하는 공간 내에서 핵종분류 분석 실험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처리하여, 방사능 폐기물의 핵종 분석을 위한 처리설비의 설치비용이 상대적으로 매우 저렴하면서 최적의 기류를 이용하여 쾌적한 환경에서 분석효율을 향상시키고, 물류 수송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동형 원전해체 방사성 폐기물 핵종 분석 실험실의 최적 기류 순환 장치 및 그 배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자력발전소, 원자력연구소, 그 외에 방사성동위원소를 사용하는 일반산업체, 병원 등의 원자력 설비에서 방사성 폐기물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방사성 폐기물과 함께 원자력 설비의 해체는 운전수명이 종료된 원자력설비를 안전하게 처리, 처분하는 최종 마무리 과정으로서, 원자력 시설을 해체하기 위해서는 시설의 운전 정지 후 시설의 특성과 폐기물의 핵종을 분석하는 해체 기획 단계를 수행하고 방사성 폐기물을 폐기물처리법령에 따라 처리되어야 한다.
이처럼, 처리법령에 따른 처리를 위해 방사성 폐기물 발생지로부터 방사성 폐기물을 수집하여 분석장비가 있는 원거리의 장소로 이동하고, 핵종 및 폐기 적합 여부를 분석후 법령에 따라 폐기하게 된다.
따라서, 시료이송 시간 지연으로 안전위험요소가 상존하며, 분석소요시간 증가와 함께 분석소요시간 증가에 따른 분류지연 및 교차 오염 발생의 위험성과 분석자의 100% 수작업에 따른 인적 오류가 발생할 우려, 그리고 방사성 폐기물의 이송에 따른 대국민 불안감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일반산업체나 병원 등에서 진단 및 치료를 목적으로 방사성동위원소를 사용하여 발생되는 방사성 폐기물이나, 그 외 원자력 발전 및 원자력연구소 등의 해체 방사성 폐기물을 적은 설치비용으로 방사성 폐기물의 수집 현장이나 이동하는 실내에서 신속하고 정확하게 처리할 수 있는 이동형 해체 방사성 폐기물 핵종 분석 실험실의 최적 기류 순환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해체 방사성 폐기물을 적은 설치비용으로 방사성 폐기물의 수집 현장이나 이동하는 실내에서 신속하고 정확하게 처리할 수 있는 이동형 해체 방사성 폐기물 핵종 분석 실험실의 최적 기류 순환 장치의 배치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 및 그 기술적 과제는 앞서 기재한 기술적 과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이 의도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동형 해체 방사성 폐기물 핵종 분석 실험실의 최적 기류 순환 장치는 하나의 함체 내부에 분석 준비작업을 위한 탕비실과 분석장비가 구비되는 분석실이 구획되며, 상기 탕비실과 분석실은 출입 가능한 출입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분석실은 급배기시스템과, 시스템 전반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이 구비되며, 이동수단에 탑재되어 이동 가능하게 되는 것을 포함하여, 방사성 폐기물 발생 현장에서 핵종 분석 처리를 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하면, 상기 탕비실은 제2 격벽에 의해 서로 다른 공간의 제1 탕비실과 제2 탕비실이 구획되며, 상기 제1 격벽과 제2 격벽애는 각각 개폐 가능한 내부출입문이 구비되어 출입 가능하게 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격벽 및 제2 격벽에 개폐 가능한 내부출입문은 슬라이드 도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하면, 상기 분석실은 중앙에 통로를 형성하며, 일측에는 함체의 내벽면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냉난방기, 업무용 책상, 핵종분리모듈, 전처리설비, 시료보관함이 배치되고, 통로를 두고 다른 일측에는 함체의 내벽면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핵종분석기구 및 분석기, 문서보관함, 세척대, 폐기물처리대가 배치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하면, 상기 업무용 책상과 문서보관함은 함체 내에서 배기측보다 급기측에 더 근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하면, 상기 폐기물 처리대는 함체 내에서 급기측보다 배기측에 더 근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하면, 상기 출입수단은 상기 탕비실에 외부로부터 출입 가능한 외부출입문이 구비되어 출입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하면, 상기 출입수단은 상기 탕비실과 분석실을 구획하는 제1 격벽에 개폐 가능한 출입문을 구비하여 탕비실과 분석실을 출입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하면, 상기 급배기 시스템은 급기시스템과 급기시스템으로 구성되며, 상기 급기시스템은 함체의 일측 천장에 급기구 및 급기팬이 설치되고, 배기시스템은 함체의 다른 일측 천장에 급기구 및 급기팬이 설치되어 함체의 일측으로부터 다른 일측으로 기류가 형성되게 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어수단은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공급부는 방사성 폐기물 발생지에서 공급받는 상용전원, 축전지, 태양광발전장치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구비하여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하면, 상기 이동수단은 엔진으로 구동되는 차량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하면, 상기 함체는 컨테이너로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이 의도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동형 원전해체 방사성 폐기물 핵종 분석 실험실의 최적 기류 순환 배치 방법은 분석실 중앙의 통로를 두고, 상기 통로 양쪽으로 방사성 폐기물 분석장비가 배치되며, 상기 분석실 일측에는 급기시스템이 구비되고, 다른 일측에는 배기시스템이 구비되어, 분석실 길이방향을 따라 급기측에서 배기측으로 기류의 교차 충돌없이 난류를 형성하게 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이동형 해체 방사성 폐기물 핵종 분석 실험실의 최적 기류 순환 장치 배치 방법에 의하면, 시료 및 폐기물 관리, 전처리 공정, 핵종 분리 공정, 계측 분석 공정이 이동 가능한 하나의 함체 내에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방사성 폐기물을 발생 현장에서 채취 후 현장 또는 이동 중에 신속하게 분류 분석을 수행하여 해체 방사성 폐기물의 교차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분석 과정 자동 모듈화에 의한 신속성과 정확성을 확보하고, 분석 처리장치가 구비된 장소로 이송함에 따르는 안전위험요소를 최소화하여 대국민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해체 방사성 폐기물 핵종 분석 실험실의 최적 기류 순환 장치 및 그 배치 방법에 의하면, 최소한의 설치공간에서 쾌적한 환경과 저렴한 비용으로 방사성 폐기물의 핵종을 분석 처리할 수 있어 방사성 폐기물의 폐기를 필요로 하는 업체에 최적의 분석 처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원자력발전소 및 연구소의 경우 방사성 폐기물의 신속하고 정확한 처리로 설비 교체에 따르는 작업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이동용 차량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함체 내의 배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분석실 내의 배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분석실 내의 배치 구조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분석실 내의 배치 구조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6는 본 발명 함체의 구조 해석 결과도
도 7은 본 발명 분석실 내부의 평단면에 대한 속도분포 및 기류방향 해석 결과도로서,
(a)는 도 4의 A-A 단면도
(b)는 도 4의 B-B 단면도
(c)는 도 4의 C-C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분섯실 내부의 정단면에 대한 속도분포 및 기류방향 해석 결과도로서,
(a)는 도 5의 D-D 단면도
(b)는 도 5의 E-E 단면도
(c)는 도 5의 F-F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 분석실 내부의 전체 기류에 대한 기류방향 해석 결과도
본 발명의 특징과 장점은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에 의해 본 발명의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 들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장치 또는 요소의 방향 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실시예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며,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제2"와 같은 용어가 본 발명을 설명하는 실시예와 청구항에 사용되는데, 이러한 용어가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발명의 용어와 개념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에 입각하여 기재한 것으로 해석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의 균등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기술적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 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이동용 차량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함체 내의 배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분석실 내의 배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이동용 차량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함체 내의 배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동형 해체 방사성 폐기물 핵종 분석 실험실의 최적 기류 순환 장치는 함체(10)와 차량(20)으로 구성된다.
상기 함체(10)는 탕비실(100)과 분석실(200)로 구성되며, 차량(20)과 같은 이동수단에 탑재되어 이동 가능하게 되며, 컨테이너, 트레일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차량(20)은 함체(10)의 이동수단으로 함체(10)를 적재 가능한 트럭으로 구성된다.
함체(10)는 탕비실(100)과 분석실(200)이 제1 격벽(120)에 의해 서로 다른 공간에서 인접하며 분리 구성된다.
탕비실(100)은 용도상의 필요에 의해 제1 탕비실(101)과 제2 탕비실(102)이 제2 격벽(140)에 의해 서로 다른 공간에서 인접하며 분할 구성되어 있다.
상기 탕비실(100)과 분석실(200)은 출입 가능한 출입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출입수단으로 상기 탕비실(100)에 외부로부터 출입 가능한 외부출입문(110)이 구비되어 탕비실(100)을 통해 분석실(200)에 출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출입수단으로 상기 탕비실(100)과 분석실(200)을 구획하는 제1 격벽(120)에 개폐 가능한 내부출입문(130)을 구비하여 탕비실(100)과 분석실(200)을 출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탕비실(100)은 제2 격벽(140)에 의해 분리되면서 출입수단으로서 제2 격벽(140)에 개폐 가능한 내부출입문(131)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출입문(130, 131)은 슬라이드 도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탕비실(101)에는 소화설비(150)가 구비되고, 제2 탕비실(102)에는 분석 처리 준비작업을 위해 사물이 보관되는 캐비넷(160)과 옷걸이(170)가 구비되어 있다.
분석실(200)은 방사성 폐기물의 분석장비(210), 환기를 위한 급배기시스템 및 시스템 전반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분석실(200)은 중앙에 통로를 두고 양쪽에 분석장비가 배치된다.
분석장비는 냉난방기(211), 업무용 책상(212), 핵종분리모듈(213), 전처리설비(214), 시료보관함(215), 핵종분석기구 및 분석기(216), 문서보관함(217), 소화설비(218), 세척대(219), 폐기물처리대(220)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통로 일측에는 함체(10)의 내벽면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냉난방기(211), 업무용 책상(212), 핵종분리모듈(213), 전처리설비(214), 시료보관함(215)이 배치된다.
또한, 상기 통로를 두고 다른 일측에는 함체(10)의 내벽면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핵종분석기구 및 분석기(216), 문서보관함(217), 소화설비(218), 세척대(219), 폐기물처리대(220)가 배치된다.
상기 분석장비의 배열은 그 순서가 특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 상기 업무용 책상(212)과 문서보관함(217)은 작업자가 보다 쾌적한 환경에서 작업할 수 있도록 함체(10) 내에서 배기측보다 급기측에 더 근접하게 배치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폐기물 처리대(220)는 작업자가 보다 쾌적한 환경에서 폐기물 처리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함체(10) 내에서 급기측보다 배기측에 더 근접하게 배치된다.
상기 급배기시스템은 급기시스템과 배기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상기 급기시스템은 함체(10)의 일측 천장에 급기구(241) 및 급기팬(242)이 설치되고, 배기시스템은 함체(10)의 다른 일측 천장에 배기구(251) 및 배기팬(252)이 설치되어 함체(10)의 일측으로부터 다른 일측으로 기류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환기류의 교차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급기구(241) 및 급기팬(242)은 함체(10)의 후방 천장에 형성되고, 배기구(251) 및 배기팬(252)은 함체(10)의 전방 천장에 형성된다.
상기 제어수단은 전원공급부(260)와 콘트롤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전원공급부(260)는 방사성 폐기물 발생지에서 공급받는 상용전원, 그 외에 축전지, 태양광발전장치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구비하여 선택적으로 사용된다.
삭제
상기 콘트롤 패널은 시스템 전반을 제어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작업자가 보다 쾌적한 환경에서 작업할 수 있도록 배기측보다 급기측에 인접하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최적화된 기류의 순환 상태를 알아보기 위해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시뮬레이션은 차량과 탕비실을 제외하고, 분석실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는 앤시스 워크벤치 버전 18.2(ANSYS Workbench v18.2), 앤시스플루언트(AnsysFluent v18.2), 메쉬타입은 사면체의 메쉬(Tetrahedralmesh)로 메쉬갯수 6,500,000개를 표현하였다.
도 6은 본 발명의 함체(10)의 구조해석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함체(10) 내부의 작동유체 거동을 해석하기 위하여 연속방정식과 운동량 방정식을 사용하였으며, 해석기법은 난류 효과를 고려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난류 모델 K-ε Standard mode (Near-wall Treatment : Standard Wall Function), Pressure-Velocity Coupling Scheme : SIMPLE, Spatial Discretization-Momentum : 2ndorder Upwind-Energy / 2ndorder Upwind)를 사용하였다.
난류모델 방정식은 아래의 수학식 1 (연속방정식) 및 수학식 2 (운동량 방정식)와 같다. (ρ : 유체밀도, υ : 유체 속도, p: 유체상태, τ: 전단응력, g: 유체 플럭스(flux))
Figure 112020115890909-pat00001
Figure 112020115890909-pat00002
수치해석 방법으로 분석실(200) 내부의 작동유체는 일반 공기(밀도 : 1.225㎏/㎥)를 적용하였으며, 분석실(200) 내부의 유동 비압축성 난류 조건으로 가정하여 해석을 수행하였다.
각각의 방정식을 계산하기 위해 적용한 이산화 기법은 비교적 해석값에 대한 정확도가 높은 Second order upwind 방식을 사용하였다.
분석실(200) 내부 유동 영역에 대한 격자 구성은 사면체(Tetrahedral)의 비정렬격자계를 사용하였으며, 벽면에 대해서는 프리즘 격자를 사용하여 벽면 경계층을 형성하였다. 전체 해석 영역에 대하여 약 650만 개의 격자로 구성하였으며, 기류의 유입 영역 및 배출영역 등의 유속 변화가 큰 영역에는 보다 조밀한 격자를 구성하였다.
분석실(200) 내에서의 기류 시뮬레이션 결과는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내었다.
도 7은 본 발명 분석실 내부의 평단면에 대한 속도분포 및 기류방향 해석 결과도이고, 도 8은 본 발명 분석실 내부의 정단면에 대한 속도분포 및 기류방향 해석 결과도이며, 도 9는 본 발명 분석실 내부의 전체 기류에 대한 기류방향 해석 결과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분석실(200) 내의 기류 방향은 급기측에서 배기측으로 진행되며, 교차충돌없이 원활한 배기가 이루어지게 됨을 알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것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된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의 균등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10: 함체
20: 차량
100: 탕비실 101: 제1 탕비실
102: 제2 탕비실 110: 외부출입문
120: 제1 격벽 130, 131: 내부출입문
140: 제2 격벽 150: 소화설비
200: 분석실 211: 냉난방기
212: 업무용 책상 213: 핵종분리모듈
214: 전처리설비 215; 시료보관함
216: 핵종분석기구 및 분석기 217: 분서보관함
218: 소화설비 219: 세척대
220: 폐기물처리대
241: 급기구 242: 급기팬
251: 배기구 252: 배기팬
260: 전원공급부

Claims (14)

  1. 함체(10) 내부에 분석 준비작업을 위한 탕비실(100)과 분석장비가 구비되는 분석실(200)이 구획되고, 상기 탕비실(100)과 분석실(200) 사이 제1 격벽(120)에 출입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분석실(200) 중앙의 통로 양쪽으로 방사성 폐기물 분석장비가 배치되고,
    상기 분석실(200)에는 급기시스템 및 배기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분석실(200) 후방 천장에 급기시스템이 구비되고, 전방 천장에 배기시스템이 구비되되, 상기 급기시스템은 함체(10)의 일측 천장에 설치되는 급기구(241) 및 급기팬(242)이고, 상기 배기시스템은 함체(10)의 다른 일측 천장에 설치되는 배기구(251) 및 배기팬(252)이 되도록 구비되고,
    하기의 수학식 1 및 2로 분석하였을 때 분석실(200) 길이방향을 따라 후방 급기측에서 전방 배기측 격벽 방향으로 기류의 교차 충돌없이 기류가 이동할 수 있게 상기 급기시스템 및 배기시스템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학식 1 (연속방정식) 1
    Figure 112021099156805-pat00014

    수학식 2 (운동량방정식)
    Figure 112021099156805-pat00015

    (ρ : 유체밀도, υ : 유체 속도, p: 유체상태, τ: 전단응력, g: 유체 플럭스(flux))
    이동형 원전해체 방사성 폐기물 핵종 분석 실험실의 최적 기류 순환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석실(200)에 배치되는 분석장비는,
    중앙에 형성된 통로 일측에 함체(10)의 내벽면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배치되는, 냉난방기(211), 업무용 책상(212), 핵종분리모듈(213), 전처리설비(214) 및 시료보관함(215)과,
    통로 다른 일측에 함체(10)의 내벽면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배치되는 핵종분석기구 및 분석기(216), 문서보관함(217), 소화설비(218), 세척대(219) 및 폐기물처리대(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원전해체 방사성 폐기물 핵종 분석 실험실의 최적 기류 순환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업무용 책상(212)과 문서보관함(217)은 배기측보다 급기측에 더 근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폐기물 처리대(220)는 급기측보다 배기측에 더 근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원전해체 방사성 폐기물 핵종 분석 실험실의 최적 기류 순환 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전원공급부(260)와 콘트롤 패널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공급부(260)는 방사성 폐기물 발생지에서 공급받는 상용전원, 축전지, 태양광발전장치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원전해체 방사성 폐기물 핵종 분석 실험실의 최적 기류 순환 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200143208A 2020-10-30 2020-10-30 이동형 해체 방사성 폐기물 핵종 분석 실험실의 최적 기류 순환 장치 및 그 배치 방법 KR102320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3208A KR102320862B1 (ko) 2020-10-30 2020-10-30 이동형 해체 방사성 폐기물 핵종 분석 실험실의 최적 기류 순환 장치 및 그 배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3208A KR102320862B1 (ko) 2020-10-30 2020-10-30 이동형 해체 방사성 폐기물 핵종 분석 실험실의 최적 기류 순환 장치 및 그 배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0862B1 true KR102320862B1 (ko) 2021-11-02

Family

ID=78476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3208A KR102320862B1 (ko) 2020-10-30 2020-10-30 이동형 해체 방사성 폐기물 핵종 분석 실험실의 최적 기류 순환 장치 및 그 배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086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51388A1 (en) * 2011-03-28 2012-10-04 Unitech Services Group, Inc. Mobile-monitoring and/or decontamination unit structure
KR102029396B1 (ko) * 2018-11-23 2019-10-07 주식회사 오리온이엔씨 방사성 폐기물의 핵종분석용 이동형 모듈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51388A1 (en) * 2011-03-28 2012-10-04 Unitech Services Group, Inc. Mobile-monitoring and/or decontamination unit structure
KR102029396B1 (ko) * 2018-11-23 2019-10-07 주식회사 오리온이엔씨 방사성 폐기물의 핵종분석용 이동형 모듈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u et al. Turbulent transport of airborne pollutants in a residential room with a novel air conditioning unit
KR102320862B1 (ko) 이동형 해체 방사성 폐기물 핵종 분석 실험실의 최적 기류 순환 장치 및 그 배치 방법
CN111845521A (zh) 放射性场景抵近侦测车
Sinha et al. Effect of recirculation zones on the ventilation of a public washroom
Alyokhina The information system concept for thermal monitoring of a spent nuclear fuel storage container
CN202320040U (zh) 一种食品安全事故应急检测与处理移动工作站
CN103818295A (zh) 生物安全检验车
Muller Exhaust air ventilated windows in office buildings
Manson et al. The Universal Cells at the Chalk River Nuclear Laboratories
SK5823Y1 (sk) Mobilné laboratórium
Lekka et al. Energy efficiency analysis in a small greenhouse using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N112681811A (zh) 一种快速部署集成式模块化的移动pcr实验室
Crane et al. Design of bsl3 laboratories (chapter 7)
Jayaraman et al. CFD investigation of room ventilation for improved operation of a downdraft table: novel concepts
Reiss et al. Experimental Fuels Facility Re-categorization Based on Facility Segmentation
Son et al. Numerical study of ammonia leak propagation characteristics in Node 2
Evans Concentration dynamics modeling for continuous particulate air monitor response prediction
Lhermenier et al. 40 Refurbishing of the hot cell Celimene for the post-irradiation examination of PWR assemblies
Shi et al. REMADA: An Emergency Decision-Making Software for Radiation Dose Estimation of Mitigation Tasks in a Reactor Building During Severe Nuclear Accidents
Wick et al. Design and Operation of Hanford's Plutonium Metallurgy Facilities
Hamada et al. DESIGN OF TRACER LABORATORY
Funke Effective radiological contamination control and monitoring techniques in high alpha environments
Bhave et al. Use of CFD for ventilation and thermal comfort of a multi-level atrium building (Barber Vintage Motor Sport Museum)
Kennedy et al. Mitigation of Selected Hanford Site Manhattan Project and Cold War Era Artifacts
Abdel-Aziz et al. LES Versus KE Turbulence Modeling of Large Underground Archaeological Facili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