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0549B1 - Healthcare device - Google Patents

Healthcar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0549B1
KR102320549B1 KR1020210031744A KR20210031744A KR102320549B1 KR 102320549 B1 KR102320549 B1 KR 102320549B1 KR 1020210031744 A KR1020210031744 A KR 1020210031744A KR 20210031744 A KR20210031744 A KR 20210031744A KR 102320549 B1 KR102320549 B1 KR 1023205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drawer
mounting
support piec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17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재원
김창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포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포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포엘
Priority to KR1020210031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054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0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054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206Construction or design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ing or production; packages; sterilisation of piercing element, piercing device or sampling device
    • A61B5/150267Modular design or construction, i.e. subunits are assembled separately before being joined together or the device comprises interchangeable or detachable modu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206Construction or design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ing or production; packages; sterilisation of piercing element, piercing device or sampling device
    • A61B5/150305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iercing devices or blood samp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358Strips for collecting blood, e.g. absorb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847Communication to or from blood sampling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961Means for the detection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module, a component or an abnormal condition; detection of lea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7Devices characterised by integrated means for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0Containers, covers, furniture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e.g. sterile covers
    • A61B50/10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 A61B50/18Cupboards; Draw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0Containers, covers, furniture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e.g. sterile covers
    • A61B50/10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 A61B50/18Cupboards; Drawers therefor
    • A61B2050/185Drawer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dule-coupling type healthcar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odule for measuring a biosignal or a module for performing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communication or the like is attachable/detachable to/from a main body and a module mounting space of the main body is closed when a module is not inserted to solve a problem of contamination of the inside due to foreign substances.

Description

모듈 결합형 헬스케어 디바이스{Healthcare device}Module-coupled healthcare device {Healthcare device}

본 발명은 모듈 결합형 헬스케어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개별적 기능을 갖는 모듈들을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dule-coupled healthcar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chnology capable of increasing convenience by detachably combining modules having individual functions to a body and using them.

기술 발전에 따라 원격 진료와 개인 건강관리를 위한 기기들이 꾸준히 개발되고 있다. 개인용 건강관리 기기로는 예컨대 생체신호 측정장치가 있으며, 이를 통해 측정 및 분석할 수 있는 생체신호로는 혈당, 케톤, 젖산, 헤모글로빈, 트리글리세리드, 콜레스테롤 등 다양하다.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devices for remote medical treatment and personal health management are continuously being developed. As a personal health care device, for example, there is a biosignal measuring device, and biosignals that can be measured and analyzed through the device include blood sugar, ketone, lactic acid, hemoglobin, triglyceride, cholesterol, and the like.

그러나 각각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원리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복수의 생체 신호 측정을 위해서는 각각의 측정기기를 별도로 구매해야 한다.However, since the principle of measuring each biosignal is different, each measuring device must be separately purchased in order to measure a plurality of biosignals.

이를 위해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6-0108622호(2016.09.20 '탈착 가능한 소켓 및 이를 포함하는 의료 장치', 이상 종래기술이라고 함)와 같이 본체에 소켓이 탈착 가능하게 함으로써, 여러 종류의 소켓을 통해 다양한 종류의 생체 신호 측정이 가능토록 하는 기술이 제시된 바 있다.For this purpose, as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6-0108622 (2016.09.20 'Removable socket and medical device including the same,' referred to as the prior art above), by making the socket detachable from the main body, various types of sockets are provided. A technology that enables measurement of various types of biosignals has been proposed.

하지만 종래기술에 따른 의료 장치는 본체에서 소켓이 장착되는 영역이 외부에 노출된 상태이기 때문에 이물질에 의해 접촉 전극이 오염될 우려가 높다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e medical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a problem in that the contact electrode is highly likely to be contaminated by foreign substances because the socket-mounted region of the main body is exposed to the outside.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생체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모듈이나 통신 등의 부가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이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하되, 모듈 미삽입시 본체의 모듈장착공간을 폐쇄시켜 이물질에 의해 내부가 오염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a module for measuring a biosignal or a module for performing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communication is detachable from the main body, but when the module is not inserted, the main body Its purpose is to provide a technology that closes the module mounting space to solve the problem of contamination of the inside by foreign substance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듈 결합형 헬스케어 디바이스는, 측면으로 모듈이 장착되는 복수의 모듈장착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모듈장착공간 내측으로 접속포트가 마련되어 있는 본체; 상기 본체의 모듈장착공간에 장착되어 진출입하는 제1장착서랍; 상기 본체의 모듈장착공간에 장착되어 진출입하되 전방에 접힘 가능한 덮개가 마련되어 있는 제2장착서랍; 및 상기 제1장착서랍 또는 제2장착서랍에 장착 또는 장착 해제되며 후방으로 상기 접속포트에 접속되는 접속부가 마련되어 있는 모듈;을 포함한다.A module-coupled health car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plurality of module mounting space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module is mounted,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port inside the module mounting space; a first mounting drawer mounted in the module mounting space of the main body to enter and exit; a second mounting drawer mounted in the module mounting space of the main body to enter and exit, but having a front foldable cover; and a module that is mounted or unmounted in the first mounting drawer or the second mounting drawer and provided with a connection part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 at a rear side.

여기서, 상기 제1장착서랍 및 제2장착서랍은, 상부가 개방된 서랍본체; 상기 서랍본체의 내부 양측 바닥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방과 후방에는 상기 서랍본체의 안쪽을 향하도록 돌출된 형태의 전방걸림부 및 후방걸림부가 형성된 지지편; 및 상기 지지편의 전방을 상기 서랍본체의 안쪽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지지편의 전방걸림부와 후방걸림부 사이에 상기 모듈이 장착되면 상기 서랍본체의 전후방 이동에 따라 상기 모듈이 함께 이동할 수 있다.Here, the first mounting drawer and the second mounting drawer may include: a drawer body having an open top; a support piece that is rotatably installed on both inner bottoms of the drawer body, and is formed with front and rear locking parts protruding toward the inside of the drawer body at the front and rear; and a spring for pressing the front of the support piece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drawer body; by including, when the module is mounted between the front and rear locking parts of the support piece, the module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according to the front and rear movement of the drawer body. can move

또한, 상기 지지편의 전방걸림부에서 상기 후방걸림부를 향하는 면에는 모듈접촉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지지편이 후방으로 이동할 시 상기 모듈이 함께 후방으로 이동하지 못할 경우, 상기 모듈의 모서리가 상기 모듈접촉경사면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상기 지지편의 전방 부분이 상기 서랍본체의 양측 방향으로 벌어질 수 있다.In addition, a module contact inclined surface is formed on the surface facing the rear engaging portion from the front engaging portion of the support piece, so that when the support piece moves backward, when the module cannot move backward together, the corner of the module is in contact with the module While sliding along the inclined surface, the front portion of the support piece may be opened in both directions of the drawer body.

또, 상기 제2장착서랍은, 상기 서랍본체의 전방에 접힘 가능하게 설치되는 덮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편의 전방걸림부의 상부 및 하부에는 상하부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덮개가 접히면서 상기 지지편의 전방걸림부 상부 또는 하부를 가압하면, 상기 덮개의 측단부가 상기 상하부경사면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상기 지지편의 전방 부분이 상기 서랍본체의 양측 방향으로 벌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mounting drawer may further include a cover that is foldably installed in front of the drawer body, and upper and lower inclined surfaces ar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ront locking part of the support piece, so that the cover is folded while the cover is folded. When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front locking part of the support piece is pressed, the front portion of the support piece may be opened in both directions of the drawer body while the side end of the cover slides along the upper and lower inclined surfaces.

본 발명에 따른 헬스케어 디바이스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The healthcar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xpect the following effects.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 디바이스는 다양한 형태의 생체신호 분석 기능, 통신 기능 들이 미리 본체에 모두 탑재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개별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부들이 따로 모듈 형태로 제작되고, 본체에는 필요한 모듈만 장착되어 사용되는 것이어서 사용자들의 부담을 줄여줄 수 있다.First, in the healthcar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types of bio-signal analysis functions and communication functions are not pre-loaded in the main body, but components performing each individual function are separately manufactured in the form of modules, Since only necessary modules are installed in the main body and used, the burden on users can be reduced.

예컨대 어떤 사용자는 통신 기능은 필요하지 않고, 자체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는 내용만 필요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러한 사용자에게 통신 기능까지 미리 탑재되어 있는 디바이스를 공급하는 것은 무의미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사용자는 혈당 측정 기능만 필요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러한 사용자에게 콜레스테롤이나 헤모글로빈 측정 기능까지 탑재된 디바이스를 공급하는 것은 무의미하다.For example, a user may not need a communication function and only need content output through their own display. However, it may be meaningless to provide these users with a device preloaded with a communication function. Also, other users may only need the blood glucose measurement function. However, it is meaningless to provide these users with a device equipped with a cholesterol or hemoglobin measurement function.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헬스케어 디바이스를 이용할 경우 필요한 기능이 탑재된 모듈만을 선택적으로 구매한 후 본체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가 있어서 비용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고, 추후 다른 생체신호 측정 등의 기능 추가가 필요할 때 헬스케어 디바이스 전체를 새로 구입할 필요 없이 추가로 필요한 모듈만 구매하면 되기 때문에 효율적이다.Therefore, when using the healthcar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reduce the cost burden by selectively purchasing only a module equipped with necessary functions and then installing it on the main body, and when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measuring other bio-signals are required in the future It is efficient because there is no need to purchase the entire health care device, and only the necessary modules need to be purchas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헬스케어 디바이스는 모듈이 장착되는 모듈장착공간이 미사용시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장착서랍에 의해 가려진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이물질에 의한 접속포트의 오염 우려를 없애줄 수 있다. 만약 장착서랍 없이 모듈장착공간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라면 먼지, 물, 혈액 등에 의해 접속포트가 쉽게 오염될 수 있고, 이는 접속 불량을 야기하게 된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모듈을 장착시키지 아니한 상태에서는 장착서랍에 의해 모듈장착공간이 가려진 상태이기 때문에 이물질에 의한 접속포트 오염 우려가 없는 것이다.In addition, in the healthcar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dule mounting space in which the module is mounted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when not in use, and since it maintains a state covered by the mounting drawer,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concern of contamination of the connection port by foreign substances. If the module mounting space is exposed to the outside without a mounting drawer, the connection port can be easily contaminated by dust, water, blood, etc., which leads to poor connection.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odule mounting space is covered by the mounting drawer in the state in which the module is not mounted, there is no risk of contamination of the connection port by foreign substances.

한편 모듈의 형태에 따라 본체에 장착된 이후 전방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어야 하는 경우도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제2장착서랍의 덮개B가 접히거나 펼쳐지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제2장착서랍을 이용하면 모듈 장착시 덮개B가 접혀지도록 함으로써 모듈의 전방을 본체 외부로 노출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평상시에는 모듈장착공간을 가려주는 효과를 동일하게 유지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module, the front part must be exposed to the outside after being mounted on the main body. By folding the cover B when the module is installed, it is possible to expose the front of the module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and the effect of covering the module mounting space can be maintained in the same way in normal times.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2는 도1에 도시된 헬스케어 디바이스에서 장착서랍이 인출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3은 도1에 도시된 헬스케어 디바이스에서 본체의 장착서랍에 장착되는 모듈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4는 도1에 도시된 헬스케어 디바이스에서 제1장착서랍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5는 도1에 도시된 헬스케어 디바이스에서 제1장착서랍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6은 도1에 도시된 헬스케어 디바이스에서 제2장착서랍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7은 도1에 도시된 헬스케어 디바이스에서 제2장착서랍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 개념도와 정면 개념도.
도8은 도1에 도시된 헬스케어 디바이스에서 제2장착서랍의 덮개가 기울어지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 개념도와 정면 개념도.
도9는 도1에 도시된 헬스케어 디바이스에서 제2장착서랍의 덮개가 완전히 접혀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 개념도, 정면 개념도 및 평면 개념도.
도10은 도1에 도시된 헬스케어 디바이스에서 제2장착서랍을 통해 제2모듈이 본체에 장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1은 도1에 도시된 헬스케어 디바이스에서 본체와 모듈의 배선 연결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2는 모듈이 스마트기기에 연결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1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healthcar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mounting drawer is withdrawn from the healthcare device shown in Figure 1;
3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module mounted in a mounting drawer of the main body in the healthcare device shown in FIG.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a first mounting drawer in the healthcare device shown in Fig. 1;
5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on process of the first mounting drawer in the healthcare device shown in FIG.
Fig. 6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a second mounting drawer in the healthcare device shown in Fig. 1;
7 is a side conceptual view and a front conceptual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a second mounting drawer in the healthcare device shown in FIG. 1;
8 is a side conceptual view and a front conceptual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cover of the second mounting drawer is inclined in the healthcare device shown in FIG. 1;
9 is a side conceptual view, a front conceptual view, and a plan conceptual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cover of the second mounting drawer is completely folded in the healthcare device shown in FIG. 1;
FIG. 10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module is mounted on the main body through the second mounting drawer in the healthcare device shown in FIG. 1;
11 is a view for explaining a wiring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module in the healthcare device shown in FIG.
12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module is connected to a smart devic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일부 구성은 생략 또는 압축할 것이나, 생략된 구성이라고 하여 반드시 본 발명에서 필요가 없는 구성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some configurations irrelevant to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or compressed, but the omitted configuration is not necessarily a configuration that is not necessary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used in combination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can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에 도시된 헬스케어 디바이스에서 장착서랍이 인출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3은 도1에 도시된 헬스케어 디바이스에서 본체의 장착서랍에 장착되는 모듈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healthcar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a mounting drawer is withdrawn from the healthcare device shown in FIG. 1 , and FIG. 3 is FIG. It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module mounted in a mounting drawer of the main body in the healthcare device shown in FIG.

먼저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 디바이스(1)는 본체(10), 제1장착서랍(20), 제2장착서랍(30) 및 모듈(70,80)을 포함한다.First, as shown in FIGS. 1 and 2 , the healthcare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 , a first mounting drawer 20 , a second mounting drawer 30 and a module 70 , 80).

설명에 앞서 이하의 설명에서 다루어지는 구성 이름 뒤에 표기된 A 또는 B는 제1장착서랍(20)과 제2장착서랍(30)의 동일구성 명칭을 구분하기 위한 식별자이거나, 제1모듈(70)과 제2모듈(80)의 동일구성 명칭을 구분하기 위한 식별자에 불과하며 특별한 의미를 갖지는 아니한다.Prior to the description, A or B indicated after the name of the component to be dealt with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s an identifier for distinguishing the name of the same component of the first mounting drawer 20 and the second mounting drawer 30, or the first module 70 and It is only an identifier for distinguishing the names of identical components of the second module 80 and does not have a special meaning.

본체(10)는 장착된 모듈(70,80)을 인식하고 모듈(70,80)로부터 분석 결과 정보를 받아 화면 출력하거나, 통신 기능이 탑재된 모듈(70,80)을 통해 외부로 분석 결과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러한 본체(10)의 구조는 도1 및 도2와 함께 도11을 통해 함께 설명토록 한다.The main body 10 recognizes the mounted modules 70 and 80 and receives the analysis result information from the modules 70 and 80 and outputs the screen, or the analysis result information to the outside through the modules 70 and 80 equipped with the communication function. is prepared to transmit The structure of the main body 1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1 together with FIGS. 1 and 2 .

본체(10)의 측면에는 복수의 모듈장착공간(11)이 형성되어 있다. 모듈장착공간(11)은 도1, 도2 및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양쪽 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고, 실시하기에 따라 본체(10)의 전후방에 마련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본체(10)의 모듈장착공간(11) 내부 측면에는 서랍(20,30)이 안착되어 주행 가능한 서랍이동레일(12)이 형성되어 있고, 내부 후방(서랍(20,30)이 본체(10)에 진입하는 방향의 벽면)에는 모듈(70,80)의 접속부(72,82)가 끼워져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는 접속포트(13)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본체(10)의 접속포트(13)들은 버스선(50)을 통해 제어부(60)와 연결되어 있다.A plurality of module mounting spaces 11 are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10 . The module mounting space 11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0 as shown in Figs. In addition, on the inner side of the module mounting space 11 of the main body 10, drawers 20 and 30 are seated and a traversable drawer moving rail 12 is formed, and the inner rear (drawers 20 and 30) are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 )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port 13 through which the connection parts 72 and 82 of the modules 70 and 80 are inserted and an electrical connection is made. Also, the connection ports 13 of the main body 10 ar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60 through the bus line 50 .

여기서 본체(10)에 장착되는 모듈(70,80)에 대하여 도3을 통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모듈(70,80)은 기능에 따라 내부 구성은 다르겠지만, 외관은 서랍(20,30)에 장착된 후 본체(10)의 모듈장착공간(11)으로 진입하여 접속포트(13)에 결합될 수 있도록 동일한 형상으로 제작된다. 다만 모듈(70,80)이 모듈장착공간(11)에 장착된 이후 전방이 외부로 노출되어야 하는 구조가 필요할 수도 있다. 따라서 모듈(70,80)의 형태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된다.Herein, the modules 70 and 80 mounted on the main body 1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 The modules 70 and 80 may have different internal configurations depending on their functions, but their appearance is to be coupled to the connection port 13 by entering the module mounting space 11 of the main body 10 after being mounted in the drawers 20 and 30 . manufactured in the same shape so that However, after the modules 70 and 80 are mounted in the module mounting space 11, a structure in which the front is exposed to the outside may be required. Accordingly, the shapes of the modules 70 and 80 are largely divided into two types as shown in FIG. 3 .

먼저 도3의 (a)를 참조하면, 제1모듈(70)은 모듈본체A(71)의 후방에 접속포트(13)에 접속되는 접속부A(72)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모듈(80)은 모듈본체B(81)의 후방에 접속포트(13)에 접속되는 접속부B(82)가 마련되어 있고, 모듈본체B(81)의 전방에는 스트립(90)이 삽입될 수 있는 스트립삽입부B(83)가 마련되어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3A , the first module 70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part A 72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 13 at the rear of the module body A 71 . In addition, as shown in (b) of FIG. 3, the second module 80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part B 82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 13 at the rear of the module body B 81, and the module body B 81 ) is provided with a strip insertion part B (83) in front of which the strip (90) can be inserted.

스트립(90)이란 혈액이나 소변 등의 샘플을 묻혀 생체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일종의 바이오 센서이며 테스트 스틱, 측정 검사지 등의 이름으로 불리기도 한다. 이러한 스트립(90)이 제2모듈(80)의 스트립삽입부B(83)에 삽입되고, 제2모듈(80)의 접속부B(82)가 본체(10)의 접속포트(13)에 연결된 상태에서 스트립(90)에 혈액 등의 체액이 접촉되면, 모듈본체B(81)에 미리 설치된 분석 프로그램에 따라 생체신호 분석이 이루어지게 되고, 제2모듈(80)에서 분석된 결과 정보는 버스선(50)을 통해 헬스케어 디바이스(1)의 제어부(60)에 전송된다.The strip 90 is a kind of biosensor for measuring a biosignal by burying a sample such as blood or urine, and is also called a test stick, a measurement test strip, and the like. The strip 90 is inserted into the strip insertion part B 83 of the second module 80 , and the connection part B 82 of the second module 8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 13 of the main body 10 . When the strip 90 comes into contact with body fluids such as blood, biosignal analysis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analysis program installed in the module body B 81 in advance, and the result information analyzed by the second module 80 is transmitted to the bus line ( 50) through the control unit 60 of the healthcare device 1 is transmitted.

한편 생체 신호 측정을 위한 모듈 외에도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이 준비될 수도 있다. 즉 블루투스 통신 기능이나, RFID 태그 기능, NFC 태그 기능, 와이파이 기능, 또는 LTE나 5G 이동 통신 기능이 탑재된 모듈을 말한다. 이러한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은 안테나 등의 특별한 외관 구성이 필요하지 않다면 제1모듈(70) 형태로 제작될 수 있고, 안테나 등이 외부로 돌출되어야 하는 구조라면 제2모듈(80)과 같이 모듈본체B(81)의 전방 형태가 변형되고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Meanwhile, in addition to the module for measuring biosignals, a module for performing a communication function may be prepared. That is, it refers to a module equipped with a Bluetooth communication function, an RFID tag function, an NFC tag function, a Wi-Fi function, or an LTE or 5G mobile communication function. The module performing such a communication function may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the first module 70 if a special external configuration such as an antenna is not required, and if the antenna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antenna or the like needs to protrude to the outside, the module is the same as the second module 80 The front shape of the main body B 81 may be deformed and manufactured in a structure that can be exposed to the outside.

장착서랍(20,30)은 본체(10)의 모듈장착공간(11)에 장착되어 본체(10) 내외부로 진출입 가능하며, 장착서랍(20,30)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모듈(70,80)이 장착 또는 인출될 수 있다. 이러한 장착서랍(20,30)은 제1장착서랍(20) 형태와 제2장착서랍(30) 형태로 구분되는데, 본체(10)의 복수 모듈장착공간(11)에는 제1장착서랍(20)과 제2장착서랍(30)이 적절한 개수로 분배되어 결합되어 있다.The mounting drawers 20 and 30 are mounted in the module mounting space 11 of the main body 10 and can enter and exit the main body 10 inside and out, and the modules 70 and 80 through the open top of the mounting drawers 20 and 30 . ) can be mounted or withdrawn. These mounting drawers 20 and 30 are divided into a first mounting drawer 20 form and a second mounting drawer 30 form, and a plurality of module mounting spaces 11 of the body 10 have a first mounting drawer 20 and the second mounting drawer 30 are distributed and combined in an appropriate number.

이 중 제1장착서랍(20)은 모듈본체A(71)의 전방이 본체(10) 외부로 노출될 필요가 없는 제1모듈(70)이 장착되는 서랍이고, 제2장착서랍(30)은 모듈본체B(81)의 전방이 본체(10) 외부로 노출될 필요가 있는 제2모듈(80)이 장착되는 서랍이다. 물론 제2모듈(80)은 제2장착서랍(30)에만 장착 가능하겠지만, 제1모듈(70)은 제1장착서랍(20)과 제2장착서랍(30) 어느 곳에 장착되어도 무방하다.Among them, the first mounting drawer 20 is a drawer in which the first module 70 that does not need the front of the module body A 71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10 is mounted, and the second mounting drawer 30 is The front of the module body B (81) is a drawer in which the second module 80, which needs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10, is mounted. Of course, the second module 80 can be mounted only in the second mounting drawer 30 , but the first module 70 may be mounted in either the first mounting drawer 20 and the second mounting drawer 30 .

먼저 제1장착서랍(20)에 대해 설명토록 한다. 도4는 도1에 도시된 헬스케어 디바이스(1)에서 제1장착서랍(2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5는 도1에 도시된 헬스케어 디바이스(1)에서 제1장착서랍(20)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장착서랍(20)은 서랍본체A(21), 지지편A(22), 스프링A(26) 및 지지편고정힌지A(27)를 포함한다.First, the first mounting drawer 20 will be described.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first mounting drawer 20 in the healthcare device 1 shown in FIG. 1, and FIG. 5 is the first mounting drawer in the healthcare device 1 shown in FIG. It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process of (20). 4 and 5 , the first mounting drawer 20 includes a drawer body A 21 , a support piece A 22 , a spring A 26 , and a support piece fixing hinge A 27 .

제1장착서랍(20)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전방이란 본체(10)로부터 이탈하는 바깥 방향을 의미하고, 후방이란 본체(10) 내부로 진입하는 안쪽 방향을 의미한다.In describing the first mounting drawer 20 , the front refers to an outward direction away from the main body 10 , and the rear refers to an inner direction that enters into the main body 10 .

서랍본체A(21)는 상부와 후방이 개방되어 있으며, 측면부 후방은 바깥 방향으로 돌출되어 모듈장착공간(11)의 서랍이동레일(12)에 안착 결합된다.The drawer body A (21) has an open top and a rear side, and the rear side of the drawer body A (21) protrudes outwardly and is seated and coupled to the drawer moving rail (12) of the module mounting space (11).

지지편A(22)는 전후방으로 일정 길이를 가지고 있으며, 서랍본체A(21)의 내측 양쪽 벽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한쌍이 설치된다. 지지편A(22)의 후방 일정 지점은 지지편고정힌지A(27)에 의해 서랍본체A(2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지지편A(22)의 전방은 스프링A(26)에 의해 서랍본체A(21)의 측면에 지지된 상태이다.The support piece A (22) has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front and rear, and a pair is installed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both inner wall surfaces of the drawer body A (21) by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rear fixed point of the support piece A (22)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drawer body A (21) by the support piece fixing hinge A (27), and the front of the support piece A (22) is provided by the spring A (26). It is in a state supported on the side of the drawer body A (21).

또한 지지편A(22)의 전방은 서랍본체A(21)의 중심을 향하도록 돌출된 전방걸림부A(22a)가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편A(22)의 후방에도 서랍본체A(21)의 중심을 향하도록 돌출된 후방걸림부A(22c)가 형성되어 있다. 전방걸림부A(22a)와 후방걸림부A(22c) 사이의 거리는 모듈(70,80)의 전후방 길이와 같거나 약간 길다.In addition, the front of the support piece A (22) is formed with a front locking portion A (22a) that protrudes toward the center of the drawer body A (21), the rear of the support piece A (22) is also the drawer body A (21) A rear locking portion A (22c) protruding toward the center of the is formed. The distance between the front locking part A (22a) and the rear locking part A (22c) is equal to or slightly longer than the front and rear lengths of the modules (70, 80).

한편 전방걸림부A(22a)의 후방에는 모듈접촉경사면A(22b)가 형성되어 있다. 모듈접촉경사면A(22b)의 역할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다시 설명토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module contact inclined surface A (22b) is formed in the rear of the front locking part A (22a). The role of the module contact inclined surface A (22b) will be described again below.

도4에 도시된 제1장착서랍(20)은 본체(10)의 모듈장착공간(11)에 완전히 진입된 상태이지만, 제1모듈(70)은 장착되지 아니한 상태이다. 이러한 제1장착서랍(20)에 제1모듈(70)이 장착된 후 제1모듈(70)의 접속부A(72)가 접속포트(13)에 결합되는 과정을 도5를 통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lthough the first mounting drawer 20 shown in FIG. 4 is fully entered into the module mounting space 11 of the main body 10, the first module 70 is not mounted. When the first module 70 is mounted in the first mounting drawer 20, the process in which the connection part A 72 of the first module 70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port 13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as follows. same.

먼저 도4에 도시된 상태의 제1장착서랍(20)을 도5의 (a)와 같이 본체(10) 외부로 인출시킨다. 여기서 제1장착서랍(20)과 제2장착서랍(30)은 푸시-록, 푸시-오픈 구조를 통해 본체(1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장착서랍(20,30)을 외부에서 눌러주면 잠기게 되고, 한번 더 누르면 탄성력에 의해 인출되는 것이다. 푸시-록, 푸시-오픈 구조에 대해 자세히 도시하진 않았지만, 서랍 구조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술내용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토록 한다.First, the first mounting drawer 20 in the state shown in FIG. 4 is drawn out of the main body 10 as shown in FIG. 5 (a). Here, the first mounting drawer 20 and the second mounting drawer 30 may be coupled to the main body 10 through a push-lock and push-open structure. That is, when the mounting drawers 20 and 30 are pressed from the outside, they are locked, and when pressed once more, they are pulled out by the elastic force. Although the push-lock and push-open structures are not shown in detail,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since they are commonly used technical contents in the drawer structure.

도5의 (a)와 같이 제1장착서랍(20)이 본체(10)의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서랍본체A(21)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제1모듈(70)을 진입시킨다. 이때 사용자는 제1모듈(70)의 후방에 형성된 접속부A(72)가 본체(10)를 향하도록 하며, 제1모듈(70)의 상하부를 고려하여 서랍본체A(21)의 양쪽 측면에 마련된 지지편A(22) 사이에 끼워준다. 물론 접속부A(72)가 USB C타입 등으로 구현되어 있다면 제1모듈(70)을 장착시킬 때 상하부를 구분해 줄 필요는 없다.As shown in (a) of FIG. 5 ,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mounting drawer 20 is drawn out of the main body 10 , the first module 70 enters through the open upper part of the drawer main body A 21 . At this time, the user directs the connection part A 72 formed at the rear of the first module 70 to face the main body 10, and considers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first module 70,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drawer body A 21 . It is sandwiched between the support pieces A (22). Of course, if the connection part A 72 is implemented as a USB C type or the like, it is not necessary to separate the upper and lower parts when the first module 70 is mounted.

제1모듈(70)의 장착을 완료하면 도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쪽 지지편A(22) 사이에 제1모듈(70)이 끼워지고, 지지편A(22)의 전방은 스프링A(26)의 탄성력으로 제1모듈(70)의 양쪽을 가압해 준다. 또한 제1모듈(70)에서 모듈본체A(71)의 전방 측면은 지지편A(22)의 전방걸림부A(22a)와 후방걸림부A(22c)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전방걸림부A(22a)와 후방걸림부A(22c) 사이의 거리가 모듈본체A(71)의 전후방 길이보다 약간 길게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도 제1모듈(70)을 접속포트(13)에 접속시키고 인출시키는데 문제가 발생하지는 않는다.When the mounting of the first module 70 is completed, the first module 70 is sandwiched between both support pieces A 22 as shown in FIG. 5A, and the front of the support piece A 22 is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A (26) presses both sides of the first module (70). In addition, in the first module 70, the front side of the module body A (71) is positioned between the front locking part A (22a) and the rear locking part A (22c) of the support piece A (22). At this time, the distance between the front locking part A (22a) and the rear locking part A (22c) may be formed to be slightly longer than the front and rear length of the module body A (71). Even in this case, the first module 7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 There is no problem in connecting to and withdrawing from (13).

도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모듈(70)을 양쪽 지지편A(22) 사이에 안착시킨 이후, 사용자가 서랍본체A(21)를 본체(10) 내부로 밀어주면, 도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모듈(70)은 지지편A(22) 사이에서 고정된 상태로 제1장착서랍(20)과 함께 본체(10) 내부로 진입하게 되고, 모듈본체A(71)의 후방에 형성된 접속부A(72)는 본체(10) 내부의 접속포트(13)와 마주하게 된다. 이때 제1모듈(70)의 모듈본체A(71) 양측 전방 모서리는 지지편A(22)의 전방걸림부A(22a)에 걸려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서랍본체A(21)를 본체(10)를 향하여 지속적으로 밀어주게 되면, 지지편A(22)의 전방걸림부A(22a)에 걸려 있는 제1모듈(70)의 모듈본체A(71)에도 후방으로 밀리는 힘이 가해지게 되며, 결국엔 접속부A(72)가 접속포트(13)에 완전하게 끼워지게 된다.After the first module 70 is seated between both support pieces A 22 as shown in FIG. As shown in (b) of 5, the first module 70 enters the body 10 together with the first mounting drawer 20 in a state of being fixed between the support pieces A 22, and the module body The connection part A (72) formed at the rear of the A (71) faces the connection port (13) inside the main body (10). At this time, both front corners of the module body A (71) of the first module (70) are in a state of being caught by the front locking part A (22a) of the support piece A (22). Therefore, when the drawer body A (21) is continuously pushed toward the body 10, the module body A (71) of the first module 70 hung on the front locking part A (22a) of the support piece A (22). Also, a force is applied to the rear, and eventually the connection part A 72 is completely fitted into the connection port 13 .

제1모듈(70)의 접속부A(72)가 본체(10)의 접속포트(13)에 끼워진 상태라 하더라도, 도5의 (b) 상태를 살펴보면 제1장착서랍(20)은 아직 본체(10)에 완전하게 진입한 상태가 아니다. 이 상태에서 추가적으로 서랍본체A(21)에 힘을 가하여 본체(10)로 밀어주면, 서랍본체A(21)와 지지편A(22)는 추가적으로 후방으로 밀려나야 하지만, 제1모듈(70)은 이미 접속부A(72)가 접속포트(13)에 삽입된 상태이기 때문에 추가적으로 후방으로 이동할 수가 없다. 즉 지지편A(22)의 전방걸림부A(22a)에서 제1모듈(70)과 접촉하는 부분이 평행한 형태라면, 지지편A(22)가 제1모듈(70)의 모듈본체A(71)에 걸려 있어서 제1장착서랍(20) 전체가 후방으로 추가 진입하는 것이 불가능 할 것이다.Even if the connection part A 72 of the first module 70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port 13 of the main body 10, looking at the state of FIG. 5 (b), the first mounting drawer 20 is still ) is not fully entered. In this state, if force is additionally applied to the drawer body A 21 and pushed to the body 10, the drawer body A 21 and the support piece A 22 must be further pushed backward, but the first module 70 is Since the connection part A (72) is already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port (13), it cannot be further moved backward. That is, if the part in contact with the first module 70 in the front locking part A 22a of the support piece A 22 is in a parallel form, the support piece A 22 is the module body A ( 71), it will be impossible for the entire first mounting drawer 20 to additionally enter the rear.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도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편A(22)의 전방걸림부A(22a)에서 모듈본체A(71)의 모서리에 접촉하는 부분에는 모듈접촉경사면A(22b)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모듈(70)의 접속부A(72)가 접속포트(13)에 결합된 상태라 하더라도, 서랍본체A(21)에 추가적인 힘이 가해진다면, 지지편A(22)가 후방으로 진입하는 힘에 의해 모듈본체A(71)의 모서리는 모듈접촉경사면A(22b)를 따라 미끄러지게 되고, 이에 따라 지지편A(22)의 전방 부분은 서랍본체A(21)의 측면 벽체를 향하여 벌어지게 된다. 이후 모듈본체A(71)의 모서리 부분이 모듈접촉경사면A(22b)를 완전히 벗어나면, 전방걸림부A(22a)는 모듈본체A(71)의 측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미끄러지면서 본체(10)를 향하여 추가 진입하게 된다.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 (c), in the part in contact with the corner of the module body A (71) in the front locking portion A (22a) of the support piece A (22), the module contact inclined surface A (22b) is formed. Therefore, even when the connection part A 72 of the first module 70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port 13, if an additional force is applied to the drawer body A 21, the support piece A 22 enters the rear. By force, the edge of the module body A (71) slides along the module contact inclined surface A (22b), and accordingly, the front part of the support piece A (22) opens toward the side wall of the drawer body A (21). do. Afterwards, when the corner of the module body A (71) completely deviates from the module contact inclined surface A (22b), the front locking part A (22a) slides in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module body A (71) and slides into the body (10). additional entry towards

즉 도5의 (a) 상태에서 (b)의 상태로 제1장착서랍(20)이 본체(10)로 진입하는 과정에서, 제1모듈(70)의 접속부A(72)가 접속포트(13)에 완전히 삽입될 수도 있겠지만, 만약 도5의 (b) 상태에서 접속부A(72)가 접속포트(13)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가 아니라면, 도5의 (b) 상태에서 (c) 상태로 추가 진입함에 따라 접속부A(72)가 접속포트(13)에 완전히 삽입될 수 있으며, 완전한 삽입 이후에는 모듈본체A(71)의 모서리가 지지편A(22)의 모듈접촉경사면A(22b)를 따라 미끄러지면서 추가적인 힘을 받되, 지지편A(22)의 전방은 양쪽 바깥 방향으로 벌어지면서 결국엔 모듈본체A(71)의 측면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후퇴할 수 있게 된다.That is, in the process in which the first mounting drawer 20 enters the main body 10 from the state (a) of FIG. 5 to the state of (b) in FIG. ), but if the connection part A 72 is not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port 13 in the state of FIG. The connection part A (72) can be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port (13) as it enters, and after the complete insertion, the edge of the module body A (71) is along the module contact slope A (22b) of the support piece A (22). While sliding receives an additional force, the front of the support piece A (22) opens in both outward directions and eventually slides along the side of the module body A (71) to be able to retreat.

도5의 (c)와 같이 제1모듈(70)의 접속부A(72)가 본체(10)의 접속포트(13)에 접속되면, 버스선(50)을 통해 본체(10)의 제어부(60)가 제1모듈(70)의 접속을 인식하게 되고, 이후 제1모듈(70)의 기능 구현이 가능토록 한다. 예컨대 제1모듈(70)이 생체신호를 분석하는 센서모듈이라면 제어부(60)는 센서모듈에서 분석된 결과 정보를 제공 받아 본체(10) 외부에 설치된 디스플레이(40)를 통해 화면 출력하거나, 스피커(미도시)를 통해 음성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만약 제1모듈(70)이 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통신모듈이라면 제어부(60)는 통신모듈을 통해 센서모듈에서 분석된 결과 정보를 사용자의 스마트기기(100)로 전송하거나, 외부의 의료기관으로 송신할 수 있다.When the connection part A 72 of the first module 7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 13 of the body 10 as shown in FIG. 5(c), the control unit 60 of the body 10 through the bus line 50 ) recognizes the connection of the first module 70 and makes it possible to implement the function of the first module 70 thereafter. For example, if the first module 70 is a sensor module that analyzes a biological signal, the control unit 60 receives the result information analyzed by the sensor module and outputs the screen through the display 40 installed outside the main body 10, or a speaker ( voice information may be output through the (not shown). If the first module 70 is a communication module supporting a communication function, the control unit 60 transmits the result information analyzed in the sensor module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to the user's smart device 100 or to an external medical institution. can

한편 도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모듈(70)이 제1장착서랍(20)에 장착되어 접속부A(72)와 접속포트(13)의 연결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기능 사용을 마치면, 사용자는 서랍본체A(21)를 다시 한번 눌러준다. 즉, 푸시-오픈 기능에 의해 서랍본체A(21)가 탄성력으로 본체(10) 외부로 배출된다.Meanwhile, when the first module 70 is mounted in the first mounting drawer 20 as shown in FIG. , the user presses the drawer body A (21) once again. That is, the drawer body A 21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10 by the elastic force by the push-open function.

이때 푸시-오픈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서랍본체A(21)를 도5의 (c) 상태에서 추가로 눌러줄 때, 서랍본체A(21)와 지지편A(22)가 추가적으로 본체(10) 내부로 진입하여야 한다. 이때 지지편A(22)의 전방걸림부A(22a)는 모듈본체A(71)의 전방에 걸린 상태가 아니라 측면에 밀착된 상태이기 때문에, 지지편A(22)가 추가적으로 본체(10) 내부로 진입하려 하더라도 진입 방해가 발생하지는 아니한다.At this time, in order to perform the push-open function, when the drawer body A 21 is additionally pressed in the state of FIG. 5 (c), the drawer body A 21 and the support piece A 22 are additionally inserted into the body 10 must enter into At this time, since the front locking part A (22a) of the support piece A (2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not the front of the module body A (71), the support piece A (22) is additionally inserted into the main body (10). Even if you try to enter, there will be no obstruction of entry.

이후 서랍본체A(21)가 탄성력에 의해 전방으로 돌출하려 하면 제1모듈(70)은 여전히 본체(10)의 접속포트(13)에 끼워진 상태이기 때문에 즉시 인출되지는 아니한다. 따라서 지지편A(22)의 전방걸림부A(22a)는 모듈본체A(71)의 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미끄러지면서 모듈본체A(71)의 전방을 향하여 이동하게 되고, 전방걸림부A(22a)가 모듈본체A(71)의 전방 모서리를 지나게 되면, 스프링A(26)의 탄성력에 의해 전방걸림부A(22a)가 다시 모듈본체A(71)의 전방 안쪽으로 돌출하게 된다. 다만 지지편A(22)에는 전방으로 힘이 가해지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전방걸림부A(22a)가 모듈본체A(71)의 전방에서 걸려 있는 상태라 하더라도, 전방걸림부A(22a)의 전방 방향 힘이 모듈본체A(71)에 가해지지는 아니한다.Afterwards, when the drawer body A 21 tries to protrude forward by the elastic force, the first module 70 is still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port 13 of the body 10 and is not immediately drawn out. Therefore, the front locking part A (22a) of the support piece A (22) slides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module body A (71) and moves toward the front of the module body A (71), and the front locking part A ( When 22a) passes the front edge of the module body A (71), the front locking part A (22a) protrudes back to the inside of the front of the module body A (71)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A (26). However, since a force is applied to the support piece A (22) forward, even if the front locking part A (22a) is hooked from the front of the module body A (71), the front locking part A (22a) No forward force is applied to the module body A (71).

다만 도5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편A(22)가 전방으로 이동하다 보면 지지편A(22)의 후방걸림부A(22c)가 모듈본체A(71)의 후방 모서리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서랍본체A(21)와 지지편A(22)가 전방으로 이동할 시 후방걸림부A(22c)가 제1모듈(70)을 전방으로 밀어주게 되어 제1모듈(70)의 접속부A(72)와 본체(10)의 접속포트(13) 사이의 접속이 해제되고, 제1장착서랍(20) 전체와 제1모듈(70)이 함께 본체(10)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서랍본체A(21)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제1모듈(70)을 빼낼 수 있고, 필요시 다른 모듈을 제1장착서랍(20)에 끼워줄 수 있다.However, as shown in Fig. 5 (d), when the support piece A (22) moves forward, the rear locking part A (22c) of the support piece A (22) is caught on the rear edge of the module body A (71). do. Therefore, when the drawer body A (21) and the supporting piece A (22) move forward, the rear locking part A (22c) pushes the first module 70 forward, and the connection part A (72) of the first module 70 ) and the connection port 13 of the main body 10 is released, and the entire first mounting drawer 20 and the first module 70 may be withdrawn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 . Thereafter, the user can take out the first module 70 through the open upper part of the drawer body A 21 , and insert another module into the first mounting drawer 20 if necessary.

도6은 도1에 도시된 헬스케어 디바이스에서 제2장착서랍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7은 도1에 도시된 헬스케어 디바이스에서 제2장착서랍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 개념도와 정면 개념도이며, 도8은 도1에 도시된 헬스케어 디바이스에서 제2장착서랍의 덮개가 기울어지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 개념도와 정면 개념도이고, 도9는 도1에 도시된 헬스케어 디바이스에서 제2장착서랍의 덮개가 완전히 접혀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 개념도, 정면 개념도 및 평면 개념도이며, 도10은 도1에 도시된 헬스케어 디바이스에서 제2장착서랍을 통해 제2모듈이 본체에 장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second mounting drawer in the healthcare device shown in FIG. 1, and FIG. 7 is a side conceptual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second mounting drawer in the healthcare device shown in FIG. It is a front conceptual view, and FIG. 8 is a side conceptual view and a front conceptual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cover of the second mounting drawer is inclined in the healthcare device shown in FIG. 1, and FIG. 2 It is a side conceptual view, a front conceptual view, and a plan conceptual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cover of the mounting drawer is completely folded. It is a drawing for explaining.

도6 내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장착서랍(30)은 기본적으로 제1장착서랍(20)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도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본체B(81)의 전방이 외부로 노출되어야 하는 제2모듈(80)이 장착될 수 있도록 서랍본체B(31)의 전방 구조를 변형시킨 것이다. 이러한 제2장착서랍(30)은 서랍본체B(31), 덮개B(34), 지지편B(37), 스프링B(38) 및 지지편고정힌지B(39)를 포함한다.6 to 10, the second mounting drawer 30 has a structure similar to that of the first mounting drawer 20, but as shown in (b) of FIG. 3, the module body B (81) ), the front structure of the drawer main body B (31) is modified so that the second module 80, which must be exposed to the outside, can be mounted. The second mounting drawer 30 includes a drawer body B 31 , a cover B 34 , a support piece B 37 , a spring B 38 , and a support piece fixing hinge B 39 .

서랍본체B(31)는 상부와 후방이 개방되어 있으며, 측면부 후방은 바깥 방향으로 돌출되어 모듈장착공간(11)의 서랍이동레일(12)에 안착 결합된다. 또한 서랍본체B(31)의 전방 내측 일정 부분은 절개되어 있으며, 절개된 부분에 덮개B(34)가 설치된다. 덮개B(34)의 폭은 제1모듈(70) 또는 제2모듈(80)의 모듈본체(71,81) 폭보다 약간 크게 설계된다.The drawer body B (31) has an open top and a rear side, and the rear side of the drawer body protrudes outwardly and is seated and coupled to the drawer moving rail (12) of the module mounting space (11). In addition,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front inner side of the drawer body B (31) is cut, and the cover B (34) is installed in the cut out portion. The width of the cover B 34 is designed to be slightly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module bodies 71 and 81 of the first module 70 or the second module 80 .

덮개B(34)는 하부에서 덮개고정힌지B(35)에 의해 서랍본체B(3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덮개B(34)와 서랍본체B(31) 사이에는 핀스프링 형태의 덮개복귀스프링B(36)가 설치되어 있어서, 덮개B(34)는 항상 도6과 같이 서랍본체B(31)의 절개된 전방 부분을 가려주는 형태로 세워지게 된다.The cover B (34)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drawer body B (31) by the cover fixing hinge B (35) from the bottom, and between the cover B (34) and the drawer body B (31) is a pin spring type cover return. Since the spring B (36) is installed, the cover B (34) is always erected in the form of covering the cut front part of the drawer body B (31) as shown in FIG.

한편 서랍본체B(31)의 전방 바닥 부분에는 덮개B(34)가 접혀졌을 시 덮개B(34)가 안착될 수 있는 덮개안착홈B(33)가 형성되어 있으며, 서랍본체B(31)의 전방에는 덮개B(34)가 외부로 추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덮개걸림턱B(32)가 마련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ront bottom portion of the drawer body B (31) is formed with a cover seating groove B (33) in which the cover B (34) can be seated when the cover B (34) is folded. The front cover B (34) is provided with a cover locking jaw B (32) to prevent additional rotation to the outside.

지지편B(37)는 전후방으로 일정 길이를 가지고 있으며, 서랍본체B(31)의 내측 양쪽 벽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한쌍이 설치된다. 지지편B(37)의 후방 일정 지점은 지지편고정힌지B(39)에 의해 서랍본체B(3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지지편B(37)의 전방은 스프링B(38)에 의해 서랍본체B(31)의 측면에 지지된 상태이다.The support piece B (37) has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front and rear, and a pair is installed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both inner wall surfaces of the drawer body B (31) by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rear fixed point of the support piece B (37)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drawer body B (31) by the support piece fixing hinge B (39), and the front of the support piece B (37) is provided by the spring B (38). It is in a state supported on the side of the drawer body B (31).

또한 지지편B(37)의 전방은 서랍본체B(31)의 중심을 향하도록 돌출된 전방걸림부B(37a)가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편B(37)의 후방에도 서랍본체B(31)의 중심을 향하도록 돌출된 후방걸림부B(37d)가 형성되어 있다. 전방걸림부B(37a)와 후방걸림부B(37d) 사이의 거리는 모듈(70,80)의 전후방 길이와 같거나 약간 길다. 또 전방걸림부B(37a)의 후방에는 모듈접촉경사면B(37c)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front of the support piece B (37) is formed with a front locking portion B (37a) protruding toward the center of the drawer body B (31), the rear of the support piece B (37) also the drawer body B (31) A rear locking part B (37d) protruding toward the center of the is formed. The distance between the front locking part B (37a) and the rear locking part B (37d) is equal to or slightly longer than the front and rear lengths of the modules (70, 80). In addition, a module contact inclined surface B (37c) is formed behind the front locking portion B (37a).

한편 지지편B(37)의 전방걸림부B(37a)는 도7의 (b), 도8의 (b), 도9의 (b)를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상부와 하부가 굴곡지거나 경사지도록 상하부경사면B(37b)가 형성되어 있다. 상하부경사면B(37b)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다시 설명토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front locking part B (37a) of the support piece B (37) has the upper and lower parts so that the upper and lower parts are curved or inclined, as can be seen through FIGS. 7 (b), 8 (b), and 9 (b). An inclined surface B (37b) is formed. The upper and lower inclined surfaces B (37b) will be described again below.

도6 내지 도10에 도시된 제2장착서랍(30)을 통해 제2모듈(80)이 장착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 process in which the second module 80 is mounted through the second mounting drawer 30 shown in FIGS. 6 to 10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먼저 도6 및 도7은 제2장착서랍(30)이 인출된 상태이거나, 본체(10)에 인입된 상태라 하더라도 모듈(70,80)이 장착되지 아니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 상태에서는 덮개B(34)가 세워진 상태를 유지한다. 만약 사용자가 제2장착서랍(30)에 제2모듈(80)을 장착시키고자 한다면, 제2모듈(80)을 장착할 시 서랍본체B(31)의 개방된 상부 공간을 통해 제2모듈(80)을 장착하는 것이 아니라, 제2모듈(80)의 바닥 부분으로 덮개B(34)의 상부를 본체(10)를 향하도록 밀면서 진입시킨다.First, FIGS. 6 and 7 show a state in which the modules 70 and 80 are not mounted even when the second mounting drawer 30 is drawn out or is retracted into the main body 10 . In this state, the state in which the lid B 34 is erected is maintained. If the user wants to mount the second module 80 in the second mounting drawer 30, when the second module 80 is mounted, the second module (80) through the open upper space of the drawer body B (31). 80) is not mounted, but the upper portion of the cover B 34 is pushed toward the main body 10 toward the bottom of the second module 80 and entered.

도8에서는 제2모듈(80)을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2모듈(80)에 의해 덮개B(34)의 상부가 안쪽으로 밀리면서 약간 기울어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8의 (a)와 같이 덮개B(34)의 상부가 안쪽으로 기울어지다 보면 덮개B(34)의 양쪽 측단부가 지지편B(37)의 전방걸림부B(37a) 상부면에 접촉하게 된다. 이때 전방걸림부B(37a)의 상부와 하부에는 상하부경사면B(37b)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덮개B(34)의 측단부가 상하부경사면B(37b)에 걸린 이후 추가로 기울어지면, 덮개B(34)의 측단부는 상하부경사면B(37b)의 굴곡진 경사면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하강하게 된다. 이에 따라 지지편B(37)의 전방 부분은 도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랍본체B(31)의 양측면을 향하여 벌어지게 된다.Although the second module 80 is not illustrated in FIG. 8 , the upper portion of the cover B 34 is pushed inward by the second module 80 and is slightly tilted. As shown in Fig. 8 (a), when the upper portion of the cover B (34) is inclined inward, both side ends of the cover B (34) are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locking portion B (37a) of the support piece B (37). do. At this time, upper and lower inclined surfaces B (37b) are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ront locking portion B (37a). Therefore, if the side end of the cover B (34) is further tilted after being caught on the upper and lower inclined surface B (37b), the side end of the cover B (34) slides along the curved inclined surface of the upper and lower inclined surface B (37b) and descends. . Accordingly, the front portion of the support piece B (37) is opened toward both sides of the drawer body B (31) as shown in Fig. 8 (b).

이후 덮개B(34)의 측단부가 전방걸림부B(37a)의 최상단 지점을 지난 후 도9와 같이 완전히 접히게 되면, 덮개B(34)는 서랍본체B(31)의 덮개안착홈B(33)에 안착하게 된다. 이때 덮개B(34)에 의해 지지편B(37)의 전방걸림부B(37a)에 가해지고 있던 힘이 제거되기 때문에 도9의 (b)와 (c)를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지지편B(37)의 전방은 스프링B(38)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안쪽으로 복원될 것이다.After that, when the side end of the cover B (34) passes the uppermost point of the front locking part B (37a) and is completely folded as shown in FIG. 33) is settled. At this time, since the force applied to the front locking part B (37a) of the support piece B (37) by the cover B (34) is removed, as can be seen through FIGS. 9 (b) and (c), the support piece B ( The front of the 37) will be restored inward agai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B (38).

하지만 덮개B(34)가 안쪽으로 접혀지는 과정에서 제2모듈(80)이 서랍본체B(31)의 내측으로 함께 진입한 것이며, 사용자는 덮개B(34)를 접는 동작과 연속되는 동작으로 제2모듈(80)을 양쪽 지지편B(37) 사이에 끼워넣게 된다. 제2모듈(80)이 지지편B(37) 사이에 끼워넣어진 이후 제2장착서랍(30)을 본체(10)를 향하여 밀어 넣으면, 제2모듈(80)의 접속부B(82)가 본체(10)의 접속포트(13)에 끼워지게 되는데, 제2장착서랍(30)이 본체(10) 내측으로 진입하는 과정은 도5와 동일하기 때문에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토록 한다.However, in the process in which the cover B (34) is folded inward, the second module (80) enters the inside of the drawer body B (31) together, and the user returns the cover B (34) with a folding operation and a continuous operation. The two modules (80) are sandwiched between the support pieces B (37) on both sides. After the second module 80 is inserted between the supporting pieces B 37 , when the second mounting drawer 30 is pushed toward the main body 10 , the connection part B 82 of the second module 80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It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port 13 of 10, and the process of entering the second mounting drawer 30 into the main body 10 is the same as that of FIG. 5, so the overlapping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다만, 제2장착서랍(30)에 제2모듈(80)을 장착시키는 과정에서는 덮개B(34)가 안쪽으로 접혀진 상태이고, 제2모듈(80)의 스트립삽입부B(83)에는 스트립(90)이 장착된 상태이기 때문에,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모듈(80)의 접속부B(82)가 접속포트(13)에 접속된 상태라 하더라도, 모듈본체B(81)의 전방에 삽입된 스트립(90)은 본체(10) 외부로 노출된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본체(10) 외부로 노출된 스트립(90)에 혈액 등의 체액을 묻힐 수 있으며, 제2모듈(80)에서 혈액 분석 등의 과정을 수행하면, 분석 결과 정보가 버스선(50)을 통해 본체(10)의 제어부(60)로 전달된 후 디스플레이(40)를 통해 화면 출력되거나, 다른 모듈장착공간(11)에 장착된 통신모듈을 통해 스마트기기(100) 또는 외부 의료기관 등에 전송될 수 있다.However, in the process of mounting the second module 80 in the second mounting drawer 30, the cover B 34 is folded inward, and the strip inserting part B 83 of the second module 80 has a strip ( 90), even when the connection part B 82 of the second module 8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 13 as shown in FIG. The inserted strip 90 remain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10 . Accordingly, the user can bury body fluids such as blood on the strip 90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 , and when a process such as blood analysis is performed in the second module 80 , the analysis result information is transferred to the bus line 50 . After being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60 of the main body 10 through can

한편 도10에서는 스트립(90)이 장착되는 제2모듈(80)의 예시를 도시한 것이며, 안테나 등이 외부로 노출되어야 하는 모듈 역시 제2장착서랍(30)에 장착시킬 수 있다. 더불어 제1모듈(70)과 같이 모듈본체A(71)의 전방이 굳이 노출될 필요가 없는 모듈 역시 제2장착서랍(30)에 장착시킬 수 있으며, 이 경우 덮개B(34)를 굳이 접을 필요가 없다.Meanwhile, FIG. 10 shows an example of the second module 80 on which the strip 90 is mounted, and a module whose antenna or the like is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can also be mounted on the second mounting drawer 30 . In addition, a module that does not need to expose the front of the module body A (71) like the first module (70) can also be mounted in the second mounting drawer (30), and 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fold the cover B (34). there is no

한편 제2장착서랍(30)을 인출시키면 도5의 (d)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지지편B(37)의 후방걸림부B(37d)가 제2모듈(80)의 후방 모서리에 걸리면서 함께 전진하게 되고, 제2장착서랍(30)이 완전히 인출되면 제2모듈(80)을 지지편B(37) 사이에서 장착 해제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econd mounting drawer 30 is drawn out, the rear locking part B 37d of the support piece B 37 is caught on the rear edge of the second module 80 and moves forward together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d). When the second mounting drawer 30 is completely drawn out, the second module 80 can be dismounted between the support pieces B 37 .

이때 제2모듈(80)이 인출되면 덮개B(34)를 누르고 있던 힘 역시 사라지게 된다. 따라서 덮개복귀스프링B(36)의 탄성력에 의해 덮개B(34)는 위쪽으로 세워지는 힘이 가해지게 되고, 덮개B(34)의 측단부는 지지편B(37)의 전방걸림부B(37a)에 형성된 상하부경사면B(37b)를 따라 미끄러지면서 지지편B(37)의 전방을 양쪽 측면으로 밀어내게 된다. 이후 덮개B(34)가 지지편B(37)의 전방걸림부B(37a)를 통과하고 나면 도6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B(34)가 완전히 세워지면서 서랍본체B(31)의 전방을 가려주게 되고, 지지편B(37)는 스프링B(38)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내측으로 복원된다.At this time, when the second module 80 is withdrawn, the force pressing the cover B 34 also disappears. Therefore, by the elastic force of the cover return spring B (36), the cover B (34) is applied upward force, and the side end of the cover B (34) is the front locking part B (37a) of the support piece B (37). ) slides along the upper and lower inclined surfaces B (37b) formed in the front and pushes the front of the support piece B (37) to both sides. After the cover B (34) passes through the front locking part B (37a) of the support piece B (37), as shown in FIGS. 6 and 7, the cover B (34) is completely erected and the drawer body B (31). It covers the front of the, and the support piece B (37) is restored to the inside agai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B (38).

한편 제1모듈(70) 및 제2모듈(8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 디바이스(1)의 본체(10)에 장착되어 사용될 수도 있지만,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스마트기기(100)에 연결된 후 스마트기기(100)에 설치된 전용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구동되어 분석 결과가 화면 출력되거나 외부 의료 기관에 전송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first module 70 and the second module 80 may be used while being mounted on the main body 10 of the healthcare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s shown in FIG. 12 , the user's smart After being connected to the device 100, it may be driven by a dedicated application installed on the smart device 100, and the analysis result may be output on the screen or transmitted to an external medical institution.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헬스케어 디바이스(1)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The healthcare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expect the following effects.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 디바이스(1)는 다양한 형태의 생체신호 분석 기능, 통신 기능 들이 미리 본체(10)에 모두 탑재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개별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부들이 따로 모듈 형태로 제작되고, 본체(10)에는 필요한 모듈만 장착되어 사용되는 것이어서 사용자들의 부담을 줄여줄 수 있다.First, in the healthcare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types of bio-signal analysis functions and communication functions are not all pre-loaded in the main body 10, but components performing each individual function are separate. It is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module, and only necessary modules are mounted on the main body 10 and used, thereby reducing the burden on users.

예컨대 어떤 사용자는 통신 기능은 필요하지 않고, 자체 디스플레이(40)를 통해 출력되는 내용만 필요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러한 사용자에게 통신 기능까지 미리 탑재되어 있는 디바이스를 공급하는 것은 무의미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사용자는 혈당 측정 기능만 필요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러한 사용자에게 콜레스테롤이나 헤모글로빈 측정 기능까지 탑재된 디바이스를 공급하는 것은 무의미하다.For example, some users do not need a communication function and may only need content output through their own display 40 . However, it may be meaningless to provide these users with a device preloaded with a communication function. Also, other users may only need the blood glucose measurement function. However, it is meaningless to provide these users with a device equipped with a cholesterol or hemoglobin measurement function.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헬스케어 디바이스(1)를 이용할 경우 필요한 기능이 탑재된 모듈만을 선택적으로 구매한 후 본체(10)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가 있어서 비용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고, 추후 다른 생체신호 측정 등의 기능 추가가 필요할 때 헬스케어 디바이스(1) 전체를 새로 구입할 필요 없이 추가로 필요한 모듈만 구매하면 되기 때문에 효율적이다.Therefore, when using the healthcare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ly a module equipped with necessary functions can be selectively purchased and then mounted on the main body 10 for use, thereby greatly reducing the cost burden, and measuring other bio-signals in the future. It is efficient because when it is necessary to add a function of the healthcare device 1, only the necessary modules need to be purchased without the need to newly purchase the entire healthcare device 1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헬스케어 디바이스(1)는 모듈(70,80)이 장착되는 모듈장착공간(11)이 미사용시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장착서랍(20,30)에 의해 가려진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이물질에 의한 접속포트(13)의 오염 우려를 없애줄 수 있다. 만약 장착서랍(20,30) 없이 모듈장착공간(11)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라면 먼지, 물, 혈액 등에 의해 접속포트(13)가 쉽게 오염될 수 있고, 이는 접속 불량을 야기하게 된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모듈(70,80)을 장착시키지 아니한 상태에서는 장착서랍(20,30)에 의해 모듈장착공간(11)이 가려진 상태이기 때문에 이물질에 의한 접속포트(13) 오염 우려가 없는 것이다.In addition, in the healthcare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dule mounting space 11 in which the modules 70 and 80 are mounted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when not in use, and to maintain a state covered by the mounting drawers 20 and 30.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risk of contamination of the connection port 13 by foreign substances. If the module mounting space 11 is exposed to the outside without the mounting drawers 20 and 30 , the connection port 13 may be easily contaminated by dust, water, blood, etc., which causes poor connection.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odule mounting space 11 is covered by the mounting drawers 20 and 30 in a state in which the modules 70 and 80 are not mounted, there is no risk of contamination of the connection port 13 by foreign substances.

한편 모듈(70,80)의 형태에 따라 본체(10)에 장착된 이후 전방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어야 하는 경우도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제2장착서랍(30)의 덮개B(34)가 접히거나 펼쳐지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제2장착서랍(30)을 이용하면 모듈(70,80) 장착시 덮개B(34)가 접혀지도록 함으로써 모듈(70,80)의 전방을 본체(10) 외부로 노출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평상시에는 모듈장착공간(11)을 가려주는 효과를 동일하게 유지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modules 70 and 80, the front part must be exposed to the outside after being mounted on the main body 10.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 B 34 of the second mounting drawer 30 is folded or Since it has an unfolding structure, when the second mounting drawer 30 is used, the front of the modules 70 and 80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 by folding the cover B 34 when the modules 70 and 80 are mounted. It is possible to do it, and the effect of covering the module mounting space 11 can be maintained in the same way in normal times.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The above-described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isclosed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 the ordinary knowledg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nd addi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modifications, changes and additions are to be consider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 : 헬스케어 디바이스
10 : 본체
11 : 모듈장착공간
12 : 서랍이동레일
13 : 접속포트
20 : 제1장착서랍
21 : 서랍본체A
22 : 지지편A
22a : 전방걸림부A
22b : 모듈접촉경사면A
22c : 후방걸림부A
26 : 스프링A
27 : 지지편고정힌지A
30 : 제2장착서랍
31 : 서랍본체B
32 : 덮개걸림턱B
33 : 덮개안착홈B
34 : 덮개B
35 : 덮개고정힌지B
36 : 덮개복귀스프링B
37 : 지지편B
37a : 전방걸림부B
37b : 상하부경사면B
37c : 모듈접촉경사면B
37d : 후방걸림부B
38 : 스프링B
39 : 지지편고정힌지B
40 : 디스플레이
50 : 버스선
60 : 제어부
70 : 제1모듈
71 : 모듈본체A
72 : 접속부A
80 : 제2모듈
81 : 모듈본체B
82 : 접속부B
83 : 스트립삽입부B
90 : 스트립
100 : 스마트기기
1: Healthcare device
10: body
11: Module mounting space
12: drawer moving rail
13: access port
20: first mounting drawer
21: drawer body A
22: support piece A
22a: front locking part A
22b: module contact slope A
22c: rear locking part A
26: spring A
27: support piece fixing hinge A
30: second mounting drawer
31: drawer body B
32: cover jamming jaw B
33: cover seating groove B
34: cover B
35: cover fixing hinge B
36: cover return spring B
37: support piece B
37a: front locking part B
37b: upper and lower slopes B
37c: module contact slope B
37d: rear locking part B
38: spring B
39: support piece fixing hinge B
40: display
50: bus line
60: control unit
70: first module
71: module body A
72: connection A
80: second module
81: module body B
82: connection part B
83: strip insertion part B
90: strip
100: smart device

Claims (4)

측면으로 모듈이 장착되는 복수의 모듈장착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모듈장착공간 내측으로 접속포트가 마련되어 있는 본체;
상기 본체의 모듈장착공간에 장착되어 진출입하는 제1장착서랍;
상기 본체의 모듈장착공간에 장착되어 진출입하되 전방에 접힘 가능한 덮개가 마련되어 있는 제2장착서랍; 및
상기 제1장착서랍 또는 제2장착서랍에 장착 또는 장착 해제되며 후방으로 상기 접속포트에 접속되는 접속부가 마련되어 있는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1장착서랍 및 제2장착서랍은,
상부가 개방된 서랍본체;
상기 서랍본체의 내부 양측 바닥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방과 후방에는 상기 서랍본체의 안쪽을 향하도록 돌출된 형태의 전방걸림부 및 후방걸림부가 형성된 지지편; 및
상기 지지편의 전방을 상기 서랍본체의 안쪽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지지편의 전방걸림부와 후방걸림부 사이에 상기 모듈이 장착되면 상기 서랍본체의 전후방 이동에 따라 상기 모듈이 함께 이동하게 되고,
상기 지지편의 전방걸림부에서 상기 후방걸림부를 향하는 면에는 모듈접촉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지지편이 후방으로 이동할 시 상기 모듈의 접속부가 상기 접속포트에 결합되어 상기 모듈이 함께 후방으로 이동하지 못할 경우, 상기 모듈의 모서리가 상기 모듈접촉경사면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상기 지지편의 전방 부분이 상기 서랍본체의 양측 방향으로 벌어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결합형 헬스케어 디바이스.
a main body having a plurality of module mounting spaces on which modules are mounted on the side surface, and a connection port provided inside the module mounting space;
a first mounting drawer mounted in the module mounting space of the main body to enter and exit;
a second mounting drawer mounted in the module mounting space of the main body to enter and exit, but having a front foldable cover; and
A module mounted or unmounted in the first mounting drawer or the second mounting drawer and provided with a connection part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 at a rear side;
The first mounting drawer and the second mounting drawer are
Drawer body with an open top;
a support piece that is rotatab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inner bottom of the drawer body, and is formed with front and rear locking parts protruding toward the inside of the drawer body at the front and rear; and
By including; a spring for pressing the front of the support piece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drawer body,
When the module is mounted between the front locking part and the rear locking part of the support piece, the module moves together with the front and rear movement of the drawer body,
A module contact inclined surface is formed on the surface facing the rear locking part from the front locking part of the support piece, so that when the support piece moves backward, the connection part of the module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port and the module cannot move backward together. , Module-coupled healthcar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portion of the support piece is opened in both directions of the drawer body as the edge of the module slides along the module contact inclined surfa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장착서랍은,
상기 서랍본체의 전방에 접힘 가능하게 설치되는 덮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편의 전방걸림부의 상부 및 하부에는 상하부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덮개가 접히면서 상기 지지편의 전방걸림부 상부 또는 하부를 가압하면, 상기 덮개의 측단부가 상기 상하부경사면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상기 지지편의 전방 부분이 상기 서랍본체의 양측 방향으로 벌어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결합형 헬스케어 디바이스.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mounting drawer,
It further includes; a cover that is foldably installed in front of the drawer body,
Upper and lower inclined surfaces ar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ront engaging portion of the support piece, so that when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front engaging portion of the support piece is pressed while the cover is folded, the side end of the cover slides along the upper and lower inclined surfaces to support the support. Module-coupled healthcar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portion of the convenience is spread in both directions of the drawer body.
KR1020210031744A 2021-03-11 2021-03-11 Healthcare device KR1023205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1744A KR102320549B1 (en) 2021-03-11 2021-03-11 Healthcar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1744A KR102320549B1 (en) 2021-03-11 2021-03-11 Healthcare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0549B1 true KR102320549B1 (en) 2021-11-02

Family

ID=78476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1744A KR102320549B1 (en) 2021-03-11 2021-03-11 Healthcare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054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7449A (en) * 2021-03-11 2022-09-20 주식회사 티포엘 Drawer type personal health care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8077Y1 (en) * 2001-06-13 2001-10-29 (주)글로벌콘셉츠코리아 Locking equipment the many stairs file box drawer anti. duplication opening
KR20120019940A (en) * 2010-08-27 2012-03-07 주식회사 인포피아 Apparatus for analyzing of biosensor
KR20180099453A (en) * 2017-01-31 2018-09-05 (주) 비비비 Port assembly for mobile medical apparatu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8077Y1 (en) * 2001-06-13 2001-10-29 (주)글로벌콘셉츠코리아 Locking equipment the many stairs file box drawer anti. duplication opening
KR20120019940A (en) * 2010-08-27 2012-03-07 주식회사 인포피아 Apparatus for analyzing of biosensor
KR20180099453A (en) * 2017-01-31 2018-09-05 (주) 비비비 Port assembly for mobile medical apparatu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7449A (en) * 2021-03-11 2022-09-20 주식회사 티포엘 Drawer type personal health care device
KR102656185B1 (en) * 2021-03-11 2024-04-09 주식회사 티포엘 Drawer type personal health care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109596T2 (en) BIODATA INTERFACES SYSTEM
KR102320549B1 (en) Healthcare device
JP721476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Versatility and Accuracy of Physiological Measurements on Mobile Devices
MX2012014873A (en)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monitoring ingredients or properties of a measurement medium, in particular of physiological blood values.
WO2001037195A3 (en)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in-vivo imaging
ATE387144T1 (en) DATA COLLECTION, ANALYSIS AND IMAGING OF ULTRASOUND DIAGNOSTIC HEART IMAGES
US9810639B2 (en) System for physiologic parameter examination and method for test strip recognition and interpretation
DE3544835A1 (en) ELECTRONIC THERMOMETER
CN104316470A (en) Domestic urea analyzer
US20230363677A1 (en) Blood glucose management system
US11420201B2 (en) Compact testing device
CN103948371A (en) Plugging-free portable health all-in-one machine
KR20220127449A (en) Drawer type personal health care device
CN211085715U (en) Excrement collecting device
KR20150030017A (en) portable diagnostic test apparatus
CN104000660A (en) Foldable multifunctional integrated health machine
ES2397768B1 (en) Multimedia terminal with measurement of vital parameters
CN203898273U (en) Plugging-free portable health multifunction apparatus
CN210982465U (en) Clinical laboratory uses blood sugar spot test appearance
Kumar et al. NIR-based Sensing System for Non-invasive Detection of Hemoglobin for Point-of-care Applications
Coppini et al. Self-monitoring systems for personalised health-care and lifestyle surveillance
KR102594380B1 (en) Onebody type glucometer
KR200383411Y1 (en) Portable telemedicine apparatus
WO2018143482A1 (en) Port assembly of mobile medical device
CN212797818U (en) Clinical specimen classification bo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