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0095B1 - 반려동물용 식기 - Google Patents

반려동물용 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0095B1
KR102320095B1 KR1020190057418A KR20190057418A KR102320095B1 KR 102320095 B1 KR102320095 B1 KR 102320095B1 KR 1020190057418 A KR1020190057418 A KR 1020190057418A KR 20190057418 A KR20190057418 A KR 20190057418A KR 102320095 B1 KR102320095 B1 KR 102320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ball
lens glass
thickness
companion animals
tablewa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7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2233A (ko
Inventor
허동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튜디오얼라이브
(주)머티리얼앤디자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튜디오얼라이브, (주)머티리얼앤디자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튜디오얼라이브
Priority to KR1020190057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0095B1/ko
Publication of KR20200132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22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0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0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00Watering equipment for stock or game
    • A01K7/005Drinking bowls with anti-splash or anti-spilling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2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e.g. mazes or labyrinths for animals ; Electric shock devices ; 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01K15/025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1Feed troughs; Feed pails
    • A01K5/0114Pet food dispensers; Pet food trays
    • A01K5/0135Pet food dispensers; Pet food trays with means for preventing or catching spill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ird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려동물용 식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렌즈 유리볼의 하부에 빛의 집광영역을 발생시킴으로써 반려동물의 관심을 유도하는 반려동물용 식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반려동물용 식기 {BOWL FOR COMPANION ANIMAL}
본 발명은 반려동물들의 관심을 유발시키는 반려동물용 식기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는 1인 가구가 증가함에 따라 반려동물을 키우는 사람들 또한 증가하고 있다. 반려동물을 키우는 사람들은 본인의 삶의 질 못지않게 반려동물의 삶의 질을 높여주기 위하여 반려동물 용품을 구매할 때도 신중하게 구매하게 된다.
반려동물의 급식 및 급수는 반려동물의 건강과 직결되는 문제이므로 쾌적한 식사 및 식수를 제공하기 위한 식기를 선택하는 것은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이다.
특히, 반려동물의 급수는 반려동물의 사망원인의 큰 원인 중 하나인 신장질환(비뇨기 질환)과 직결됨에 따라, 반려동물들이 편안하게 물을 마시게 할 수 있는 식기를 선택하는 것은 중요한 문제이다. 따라서, 반려동물들이 편안하고 안전하게 물을 마시게 하기 위한 반려동물용 식기들이 활발이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반려동물용 식기는 한국등록특허 제10-1306485호(이하, '특허문헌 1' 이라 함)에 기재된 것이 공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경우, 반려동물용 식기를 안정적으로 고정함으로써 반려동물등에 의해 가해지는 충격으로 인하여 식기가 이탈되지 않고 물과 사료를 제공하는 식기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식기들의 경우 반려동물들의 수분 섭취를 유도할 수 없어 반려동물들이 스스로 수분섭취 하지 않는 이상 체내 수분량을 유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반려동물용 식기로서,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도 1의 반려동물융 식기는 광투과재질로 유리볼(1)을 형성함으로써 물을 수용하고 있는 유리볼(1)이 빛을 받게 되면 유리볼(1) 하부의 지면에는 집광영역(30)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집광영역(30)을 통해 반려동물들의 관심을 유도하여 원활한 수분섭취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하지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볼(1)의 수위변화에 따른 집광영역(30)의 변화량은 다소 크게 나타나게 된다. 즉, 유리볼(1)의 수위가 제1높이(A)에서 제3높이(C)로 갈수록 집광영역(30)의 크기 또한 제1크기(A')에서 제3크기(C')으로 변화되고, 유리볼(1)의 담겨진 물의 양이 제3높이(C) 이하가 될 경우 집광영역(30)은 작거나 소멸되는 것이다. 또한, 유리볼(1)의 담겨진 물의 양이 줄어들수록 집광영역(30)의 선명도 또한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유리볼(1)에 물이 남아 있는 상태에서 집광영역(30)이 소멸되거나 크기가 현격히 줄어들게 된다면, 반려동물들이 유리볼(1)의 담겨진 물을 완전 섭취하도록 유도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 1의 반려동물용 식기는 반원 모양의 투명한 유리볼(1)과 유리볼(1)을 지지해주는 프레임(11)으로 구성된다.
도 1의 반려동물용 식기의 유리볼(1)은 프레임(11)에 형성된 거치부(12)에 거치되는데, 유리볼(1)의 외측에 별도의 걸림장치 없이 유리볼(1)의 외면과 거치부(12)가 직접 맞닿으며 거치되어 있다. 즉, 유리볼(1)의 최상면의 직경을 거치부(1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함으로써 유리볼(1)이 거치부(11)에 거치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도 1의 반려동물용 식기는 유리볼(1)의 일부가 필연적으로 상부 프레임(12)의 상부로 돌출되는 형태를 띠게된다. 상부 프레임(12)의 상부로 돌출된 돌출부로 인해 반려동물들의 수분 섭취를 방해한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유리볼(1)은 별도의 걸림장치 없이 거치부(12)에 거치되는 형태로 인하여 유리볼(1)은 거치부(12)에 거치된 상태에서도 자유롭게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유리볼(1)이 지면과 수평상태를 유지하기가 어렵다. 유리볼(1)의 외면에는 반려동물들의 음수량을 체크하기 위하여 용량이 표시되어 있는데, 유리볼(1)의 수평이 맞지 않는다면 반려동물들의 음수량을 정확히 체크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유리볼(1)이 작은 충격에도 회전함으로써 내부에 수용되는 물 또는 사료가 바닥으로 흘러내린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06485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물이 채워진 렌즈 유리볼의 수위가 낮아지더라도 집광영역의 크기의 변화량이 작도록 하여 물을 완전하게 섭취하도록 유도하는 반려동물용 식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반려동물용 식기는, 외면과 내면을 가지는 반구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면과 상기 내면 사이에 제1두께를 가지는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의 하부에서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외면과 상기 내면 사이의 두께가 상기 제1두께보다 두꺼운 제2두께를 가지는 제2부분과, 상기 제1부분의 상부에서 둘레 방향을 따라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턱을 구비하며, 광투과재질로 구성되는 렌즈 유리볼; 및 상기 돌출턱을 지지하는 거치부를 구비하며 상기 렌즈 유리볼의 바닥을 지면으로부터 이격 시켜주는 거치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렌즈 유리볼에 담긴 물과 상기 제2부분이 상기 제2부분의 하부 측으로 빛을 굴절시켜 상기 제2부분의 하부 지면측에 집광영역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거치 프레임은 상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에 형성되는 거치부; 지면을 지지하는 바닥 프레임; 및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바닥 프레임을 연결해주는 기둥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에 상기 렌즈 유리볼이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두께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며, 제2두께는 중심부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고 중심부에서 최대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렌즈 유리볼의 외면의 곡률은 상기 렌즈 유리볼의 내면의 곡률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렌즈 유리볼의 재질은 내열강화유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식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렌즈 유리볼의 하부의 두께를 두껍게 형성함으로써 렌즈 유리볼의 수용된 물의 수위가 낮아지더라도 집광영역의 크기의 변화량이 작게 나타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렌즈 유리볼의 흔들림을 최소함으로써 렌즈 유리볼의 담겨진 물 및 사료들의 넘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거치 프레임의 높이를 다양한 높이로 형성함으로써 반려동물들에게 쾌적한 식사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식기의 사시도.
도 2(a)는 렌즈 유리볼의 사시도.
도2(b)는 렌즈 유리볼의 단면도.
도 3은 반려동물용 식기의 측면도.
도 4(a)는 거치 프레임의 사시도.
도 4(b)는 거치 프레임 상부의 일부 사시도.
도 5는 반려동물용 식기 하부에 집광영역이 발생한 모습을 도시한 도.
도 6은 렌즈 유리볼에 빛이 굴절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
이하의 내용은 단지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 예들은 원칙적으로,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 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도 3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식기(10)에 대해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식기(10)는, 외면과 내면을 가지는 반구형으로 형성되고, 외면과 내면 사이에 제1두께(t1)를 가지는 제1부분(110)과, 제1부분(110)의 하부에서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외면과 내면 사이의 두께가 제1두께(t1)보다 두꺼운 제2두께(t2)를 가지는 제2부분(120)과, 제1부분(110)의 상부에서 둘레 방향을 따라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턱(130)을 구비하며, 광투과재질로 구성되는 렌즈 유리볼(100) 및 돌출턱(130)을 지지하는 거치부(220)를 구비하며 렌즈 유리볼(100)의 바닥을 지면으로부터 이격시켜주는 거치 프레임(200)을 포함하며, 렌즈 유리볼(100)에 담긴 물과 제2부분(120)이 제2부분(120)의 하부 측으로 빛을 굴절시켜 제2부분(120)의 하부 지면측에 집광영역(300)을 발생시킨다.
반려동물용 식기(10)는 렌즈 유리볼(100)과 렌즈 유리볼(100)을 거치해주는 거치 프레임(200)으로 구성된다.
렌즈 유리볼(100)은 반구형의 형태로 형성되며, 내부에 물 또는 사료를 수용한다. 렌즈 유리볼(100)은 제1두께(t1)를 가지는 제1부분(110)과 제2두께(t2)를 가지는 제2부분(120)으로 형성된다.
제1부분(110)은 제2부분(120)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말한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부분(110)은 렌즈 유리볼(100)의 상부를 이루며, 렌즈 유리볼(100)의 상면에서부터 렌즈 유리볼(100)의 하면이 시작되는 지점까지를 말한다. 이러한 제1부분(110)은 제1두께(t1)를 가진다. 제1부분(110)의 외면과 내면은 곡선으로 이루어지며, 제1부분(110)의 제1두께(t1)는 렌즈 유리볼(100)의 내면의 임의의 한점을 지나는 접선과 외면까지의 수직거리를 말한다. 제1두께(t1)는 제2두께(t2)보다 얇게 형성되며, 제1두께(t1)는 렌즈 유리볼(100)의 모든 부분에서 일정한 두께를 가지며 형성된다.
제2부분(120)은 제1부분(110)의 하부에서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다시 말해, 제2부분(120)은 렌즈 유리볼(100)의 하부를 이루며, 제2부분(120)은 제2-1부분(121) 및 제2-2부분(122)으로 구성된다. 제2-1부분(121)은 제2부분(120) 중 제1부분(110)과 연속되는 구간을 말하며, 제2-1부분(121)의 외면과 내면은 모두 곡선으로 형성된다. 제2-1부분(121)의 일측은 제1부분(110)과 맞닿고 타측은 제2-2부분(122)과 맞닿는다. 즉, 제1부분(110)과 제2-2부분(122)은 제2-1부분(121)에 의해 연결되는 것이다.
제2-2부분(122)은 제2-1부분(121)과 연속하며 형성되며, 제2-2부분(122)은 제2-1부분(121)과 마찬가지로 렌즈 유리볼(100)의 하부를 이룬다. 제2-2부분(122)의 외면은 곡선으로 형상을 가지고, 제2-2부분(122)의 내면은 직선의 형상을 가진다.
제2부분(120)은 제2두께(t2)를 가진다. 즉, 제2-1부분(121) 및 제2-2부분(122)은 제2두께(t2)를 가지는데, 제2-1부분(121)의 두께는 제2-1부분(121) 내면의 임의의 한점을 지나는 접선과 외면까지의 수직거리를 말한다. 제2-2부분(122)의 두께는 직선의 형상을 가지고 있는 제2-2부분(122)의 내면을 기준으로 외면까지의 수직거리를 말한다.
제2두께(t2)는 제2부분(120)의 중심으로 갈수록 두꺼워지며, 렌즈 유리볼(100)의 최하점에서 최대 두께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두께(t2)는 제2-1부분(121)이 시작되는 제2-1부분(121)의 최 외측에서 가장 얇고, 제2-2부분(122)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점차 두꺼워지며, 제2-2부분(122)의 중점(o) 즉, 렌즈 유리볼(100)의 최하점이 되는 점에서 가장 두꺼운 두께를 가지게 된다. 제2-2부분(122)의 중점(o)에서 렌즈 유리볼(100)의 두께는 약 12mm의 두께를 가진다.
제2두께(t2)는 렌즈 유리볼(100)의 내면 방향으로 두꺼워지며, 이로 인해, 제2-2부분(122)의 내면은 직선에 가까운 형상을 가지게 된다. 이로 인해, 렌즈 유리볼(100)의 외면의 곡률은 렌즈 유리볼(100)의 내면의 곡률보다 크게 형성된다. 즉, 제1부분(110)의 외면과 내면은 동일한 곡률을 가지는 반면, 제2부분(120)의 외면의 곡률은 제2부분(120)의 내면의 곡률보다 큰 값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렌즈 유리볼(100)의 상부에는 돌출턱(130)이 형성된다. 돌출턱(130)은 제1부분(110)의 외면에 형성되며, 제1부분(110)의 상부에서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돌출턱(130)은 렌즈 유리볼(100)이 후술할 거치부(220)에 거치될 수 있도록 렌즈 유리볼(10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며 형성되고, 돌출턱(130)의 높이는 상부 프레임(210)의 높이보다 작거나 같은 높이로 형성된다.
돌출턱(1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끝단이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된다. 돌출턱(130)의 외측면과 상부 프레임(210)의 내측면이 인접할 경우, 상부 프레임(210)의 일부 면적과 돌출턱(130)의 외측면이 접촉하게 된다. 또한, 돌출턱(130)이 거치부(220)에 거치될 경우, 돌출턱(130)의 하면은 거치부(220)의 일부 면적과 맞닿게 되는 것이다. 즉, 돌출턱(130)과 상부 프레임(210) 및 거치부(220)의 접촉면적이 작게 형성되는 것이다.
반려동물이 렌즈 유리볼(100)에 담겨진 물 또는 사료를 섭취하면 반려동물의 신체 일부가 렌즈 유리볼(100)과 거치 프레임(200)에 닿게 된다. 이때, 렌즈 유리볼(100)의 움직임이 발생하면서 돌출턱(130)과 상부 프레임(210) 사이에 반려동물의 털이 끼이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반려동물의 털이 끼었다 하더라도 돌출턱(130)과 상부 프레임(210)의 접촉 면적이 작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반려동물들은 끼인 털을 쉽게 빼낼 수 있다.
렌즈 유리볼(100)의 사이즈는 지름 약 156mm, 전체높이 73mm, 깊이 61mm의 반구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약 600mL의 액체를 수용할 수 있는 작은 사이즈와, 지름 206mm, 전체높이 103mm, 깊이 91mm의 반구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약 1800mL의 액체를 수용할 수 있는 큰 사이즈를 갖는다. 여기서 지름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유리볼(100)의 최상부의 지름, 즉, 돌출턱(130)의 한쪽 외측과 다른 외측까지의 거리를 말하며, 전체높이는 렌즈 유리볼(100)의 최상면에서 제2-2부분(122)의 중점(o)의 외면까지의 거리를 말하고, 깊이는 렌즈 유리볼(100)의 최상면에서 제2-2부분(122)의 중점(o)의 내면까지의 거리를 말한다.
또한, 렌즈 유리볼(100)의 외측면에는 반려동물들의 음수량을 체크할 수 있도록 용량이 표시되어 있다. 일례로, 작은 사이즈의 렌즈 유리볼(100)에는 100mL위치가 표시되어 있고, 큰 사이즈의 렌즈 유리볼(100)에는 300mL위치가 표시되어 있다.
렌즈 유리볼(100)은 광투과재질로 이루어진다. 광투과재질이라 함은 빛이 통과하는 재질을 말하며, 렌즈 유리볼(100)이 광투과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액체가 담긴 렌즈 유리볼(100)이 빛을 받았을 때 빛을 효과적으로 투과시킴으로써 렌즈 유리볼(100) 하부에 빛이 집광되는 집광영역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렌즈 유리볼(100)의 재질은 내열강화유리일 수 있으나, 이러한 재질로 한정 짓는 것은 아니다.
거치 프레임(200)은 돌출턱을 지지하는 거치부(220)를 구비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유리볼(100)의 바닥을 지면으로부터 이격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거치 프레임(200)은 상부 프레임(210), 상부 프레임(210)에 형성되는 거치부(220), 지면을 지지하는 바닥 프레임(230) 및 상부 프레임(210)과 바닥 프레임(230)을 연결해주는 기둥 프레임(240)을 포함하고, 거치부(220)에 렌즈 유리볼(100)이 거치된다.
상부 프레임(210)은 거치 프레임(200)의 상부를 말하며, 거치부(220)가 구비된다.
바닥 프레임(230)은 거치 프레임(200)의 하부를 말하며 거치 프레임(200)을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기둥 프레임(240)은 상부 프레임(210)과 바닥 프레임(230)을 연결해주는 역할을 하며, 기둥 프레임(240)의 일측은 상부 프레임(210)과 연결되고 타측은 바닥 프레임(230)과 연결된다.
거치부(220)는 상부 프레임(210) 하면에 접하고, 상부 프레임(210)의 내측으로 돌출되며 형성된다. 다시 말해,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부(220)의 상면과 상부 프레임(210)의 하면이 접하며 형성되고, 거치부(220)의 일부가 상부 프레임(210)의 내측으로 돌출되며 형성된다.
렌즈 유리볼(100)은 렌즈 유리볼(100)에 형성된 돌출턱(130)을 이용하여 거치부(220)에 거치된다.
거치부(220)에 거치된 돌출턱(130)의 상면의 높이는 상부 프레임(210)의 상면의 높이와 같거나 낮은 위치에 형성된다. 즉, 렌즈 유리볼(100)의 상면은 상부 프레임(210)의 상면과 동일 높이 혹은 상부 프레임(210)의 상면보다 낮은 높이에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렌즈 유리볼(100)의 제2부분(120)의 두께가 내면 방향으로 두꺼워짐으로써, 렌즈 유리볼(100)의 내면의 깊이는 얕게 형성된다. 즉, 렌즈 유리볼(100)의 내면의 곡률값이 외면의 곡률값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외면의 곡률과 내면의 곡률이 동일하게 형성된 유리볼보다 상대적으로 내부 깊이가 얕게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반려동물용 식기(10)는 돌출턱(130)이 형성된 렌즈 유리볼(100)을 거치부(220)가 형성된 거치 프레임(200)에 거치함으로써 렌즈 유리볼(100)은 거치 프레임(200) 상부로 돌출되지 않으므로, 반려동물들의 수분섭취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렌즈 유리볼(100)의 내면의 깊이가 상대적으로 얕게 형성됨으로써, 렌즈 유리볼(100)의 담겨진 물의 수위가 낮아지더라도 반려동물들이 섭취하기가 용이하다.
또한, 렌즈 유리볼(100)이 거치부(220)에 거치되면 렌즈 유리볼(100)은 지면과 수평을 이루게 되고, 렌즈 유리볼(100)의 흔들림 또한 최소화된다. 즉, 렌즈 유리볼(100)이 거치부(220)에 거치되면 돌출턱(130)의 외측면과 상부 프레임(210)의 내측면은 인접하게 됨으로써 렌즈 유리볼(100)의 수평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차단하게 된다. 또한, 거치부(220)의 상면과 돌출턱(130)의 하면이 모두 맞닿음으로써 렌즈 유리볼(100)의 수직방향으로의 움직임 또한 차단시켜주는 것이다.
일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턱(130) 하단에는 렌즈 유리볼(100) 외면의 직경과 거치부(220) 내면의 직경의 차이로 인하여 렌즈 유리볼(100)과 거치부(100) 사이에 틈(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돌출턱(130)의 외측면과 상부 프레임(210)의 내측면이 인접하는 구조가 아니라면, 렌즈 유리볼(100)에 충격이 가해지면 렌즈 유리볼(100)이 틈(a)의 거리만큼 이동하면서 흔들림이 발생하게 된다. 하지만, 돌출턱(130)의 외측면과 상부 프레임(210)의 내측면이 인접하게 설치되는 구조를 갖는다면, 렌즈 유리볼(100)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돌출턱(130) 측면의 4포인트를 상부 프레임(210)이 지지해 줌으로써 렌즈 유리볼(100)의 수평방향으로의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거치부(220)의 상면과 돌출턱(130)의 하면이 모두 맞닿아 있음으로써, 렌즈 유리볼(100)의 회전을 차단시킴으로써 수직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차단함과 동시에 렌즈 유리볼(100)을 지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유지시켜준다. 따라서, 렌즈 유리볼(100)의 흔들림을 최소함으로써 렌즈 유리볼(100)의 담겨진 물 및 사료들의 넘침을 방지할 수 있다.
거치부(220)는 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이는 거치부(220)에 거치되는 돌출턱(130)의 하면이 거치부(220)의 상면에 모두 맞닿음으로써 효과적으로 하중을 분산시키기 위함이다. 거치부(220)는 사각형 등 렌즈 유리볼(100)을 지지할 수 있는 다각형의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로도 변형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부 프레임(210) 및 바닥 프레임(230)은 가로와 세로의 길이가 220mm로 동일한 정사각형의 형태로 형성되나, 기둥 프레임(240)은 반려 동물들의 크기를 고려하여 80mm, 110mm, 150mm 및 220mm의 높이 중 하나의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반려동물들에게 쾌적한 식사환경을 제공해줄 수 있다.
또한, 거치 프레임(200)의 두께는 6mm의 얇은 두께로 형성됨으로써 렌즈 유리볼(100)에 유입되는 빛을 막지 않으므로, 반려동물용 식기(10)를 어떤 위치에 두어도 후술할 집광영역(300)은 발생하게 된다.
거치 프레임(200)은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러한 재질로 한정짓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 7 내지 도 9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식기의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유리볼(100)이 빛을 받게 되면, 렌즈 유리볼(100)의 하부에는 빛의 집광영역(300)이 발생된다. 이러한 집광영역(300)은 렌즈 유리볼(100)의 수용되는 물의 수위에 따라 그 크기가 결정된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유리볼(100)의 수용된 물의 수위가 제1높이(H1)일 경우 집광영역(300)의 크기는 제1크기(H1')로 형성되며, 물의 수위가 제2높이(H2) 및 제3높이(H3)로 낮아질수록 집광영역(300)의 크기 또한 제2크기(H2') 및 제3크기(H3')로 작아 지게 된다. 하지만, 렌즈 유리볼(100)의 하부의 두께를 두껍게 형성하면 렌즈 유리볼(100)의 수용된 물의 수위가 낮아지더라도 집광영역(300)의 크기의 변화량이 작게 나타나게 된다.
구체적으로, 렌즈 유리볼(100)의 하부는 제2부분(120)에 의해 두께가 점점 두꺼워지는 제2두께(t2)를 가지고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유리볼(100)의 하부에는 제2두께(t2)를 가진 제2-2부분(122)이 형성되는데, 제2-2부분(122)의 내면은 직선의 형상을 띠고 있고, 외면은 곡면의 형상을 띠고 있다. 이로 인해 렌즈 유리볼(100)에 물이 수용되면 하나의 볼록렌즈가 되는 것이다.
렌즈 유리볼(100)에 물이 수용되지 않더라도 렌즈 유리볼(100)은 하부의 제2두께(t2)로 인하여 볼록렌즈의 특성을 갖게됨으로서 뚜렷하진 않지만 빛의 집광은 이루어 지게 된다. 즉, 렌즈 유리볼(100)에 채워진 물의 양이 작더라도 렌즈 유리볼(100)의 하부에 형성된 제2-2부분(122)에 의해 빛을 효과적으로 집광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렌즈 유리볼(100)에 물을 채움으로써 렌즈 유리볼(100)은 물과 제2-2부분(122)의 형상에 의해 볼록렌즈의 특성이 극대화되고, 이로 인해 렌즈 유리볼(100)의 수용된 물의 양이 작더라도 렌즈 유리볼(100) 하부 지면측에 빛을 집광 시킴으로써 집광영역(300)이 뚜렷하게 발생되는 것이다.
이처럼, 렌즈 유리볼(100)이 수용하고 있는 물의 수위가 낮아지더라도 집광영역(300)의 크기 및 선명도의 변화량이 작으므로, 반려동물들이 렌즈 유리볼(100)의 담겨진 물을 완전섭취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렌즈 유리볼(100)의 하부에 빛이 집광되는 집광영역(300)이 뚜렷하게 발생되고, 물이 산란함에 따라 집광영역(300) 또한 산란하게 된다. 따라서, 집광영역(300)이 산란함으로써 반려동물들의 관심을 유도할 수 있게 되고, 반려동물들의 급수량 또한 자연스럽게 늘어나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반려동물용 식기 100: 렌즈 유리볼
110: 제1부분 120: 제2부분
121: 제2-1부분 122: 제2-2부분
130: 돌출턱 200: 거치 프레임
210: 상부 프레임 220: 거치부
230: 하부 프레임 240: 기둥 프레임
300: 집광영역
t1: 제1두께 t2: 제2두께
a: 틈 o: 제2-2부분의 중점

Claims (5)

  1. 외면과 내면을 가지는 반구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면과 상기 내면 사이에 제1두께를 가지는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의 하부에서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외면과 상기 내면 사이의 두께가 상기 제1두께보다 두꺼운 제2두께를 가지는 제2부분과, 상기 제1부분의 상부에서 둘레 방향을 따라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턱을 구비하며, 광투과재질로 구성되는 렌즈 유리볼; 및
    상기 돌출턱을 지지하는 거치부를 구비하며 상기 렌즈 유리볼의 바닥을 지면으로부터 이격 시켜주는 거치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2부분은 제2-1부분과 제2-2부분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제2-2부분이 상기 제2-1부분에 의해 연결되도록 상기 제2-1부분은 상기 제1부분과 연속되는 구간이고 상기 제2-2부분은 상기 제2-1부분과 연속되는 구간이며,
    상기 제2두께는, 상기 렌즈 유리볼의 최하점에서 최대 두께를 갖도록 상기 제2-1부분의 최 외측에서 가장 얇고, 상기 제2-2부분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점차 두꺼워져 상기 제2-2부분의 중점에서 가장 두꺼운 두께를 가지며, 상기 제2-1부분의 외면과 내면은 모두 곡선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2부분의 외면은 곡선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2부분의 내면은 직선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제2두께는 상기 렌즈 유리볼의 내면 방향으로 두꺼워지며,
    상기 렌즈 유리볼에 담긴 물과 상기 제2-2부분이 상기 제2-2부분의 하부 측으로 빛을 굴절시켜 상기 제2-2부분의 하부 지면측에 집광영역을 발생시키는 반려동물용 식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 프레임은
    상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에 형성되는 거치부;
    지면을 지지하는 바닥 프레임; 및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바닥 프레임을 연결해주는 기둥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턱의 끝단은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돌출턱이 상기 거치부에 거치되어 상기 거치부에 상기 렌즈 유리볼이 거치될 때, 상기 돌출턱의 외측면과 상기 상부 프레임의 일부 면적이 접촉하고, 상기 돌출턱의 하면은 상기 거치부의 일부 면적과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식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두께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식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유리볼의 외면의 곡률은 상기 렌즈 유리볼의 내면의 곡률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식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유리볼의 재질은 내열강화유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식기.
KR1020190057418A 2019-05-16 2019-05-16 반려동물용 식기 KR102320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7418A KR102320095B1 (ko) 2019-05-16 2019-05-16 반려동물용 식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7418A KR102320095B1 (ko) 2019-05-16 2019-05-16 반려동물용 식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2233A KR20200132233A (ko) 2020-11-25
KR102320095B1 true KR102320095B1 (ko) 2021-11-05

Family

ID=73645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7418A KR102320095B1 (ko) 2019-05-16 2019-05-16 반려동물용 식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00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09567B2 (en) * 2018-04-06 2021-09-07 Sherry Lynn Matheson Splash-guard system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6485B1 (ko) 2013-02-27 2013-09-09 이평우 동물용 식기 거치장치
KR20190001017U (ko) * 2017-10-20 2019-04-30 주복원 애완동물용 식기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인터넷 게시물, https://blog.naver.com/lovable_d/221235382263(2018.03.23.)*
인터넷 게시물, https://blog.naver.com/yoojin3122/221387091165(2018.10.2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2233A (ko) 2020-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75690B2 (en) Vortex fountain
US4286546A (en) Dog watering dish
US8146534B1 (en) Gimbal-mounted pet dish
US9974279B2 (en) Pet watering and feeding device
US20140165920A1 (en) No-Drip Bowl
KR102320095B1 (ko) 반려동물용 식기
CN102316769B (zh) 用于饮用杯的插件
US9615540B1 (en) Dispensing system for providing food and water to a pet in an automobile
US4832213A (en) Baby bottle
US7681526B2 (en) Watering device for poultry
KR101894044B1 (ko) 반려동물 급체방지용 식기세트
CN108601334A (zh) 禽类给饲器
KR20160040407A (ko) 반려동물 음식용기
JP5883335B2 (ja) ペット用食器
CN201550493U (zh) 防泼溅宠物饮水容器
WO2016116908A2 (en) Conical animal dish
US20200085002A1 (en) Liquid dispenser for animals
US20100175624A1 (en) Nipple-Type Poultry Drinker
JP2024067933A (ja) ペット用給餌器
WO2013088200A1 (en) Spill-proof container
KR20090095211A (ko) 개구부 테두리의 높이가 상이한 컵
KR200471016Y1 (ko) 기름받이 접시
US20080302927A1 (en) Apparatus for holding household objects
US20190099031A1 (en) Drinking vessel with a spillage receptacle
RU178928U1 (ru) Держатель для детской бутылочк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