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9986B1 - 비접촉식 오티피카드 - Google Patents

비접촉식 오티피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9986B1
KR102319986B1 KR1020140013713A KR20140013713A KR102319986B1 KR 102319986 B1 KR102319986 B1 KR 102319986B1 KR 1020140013713 A KR1020140013713 A KR 1020140013713A KR 20140013713 A KR20140013713 A KR 20140013713A KR 102319986 B1 KR102319986 B1 KR 1023199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tp
unit
card
display unit
contact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3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3281A (ko
Inventor
김재형
권봉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to KR1020140013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9986B1/ko
Publication of KR20150093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32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9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99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71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to assure secure computing or processing of information
    • G06F21/77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to assure secure computing or processing of information in smart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4User authentication involving the use of external additional devices, e.g. dongles or smart c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61Generation of secret information including derivation or calculation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63Generation of secret information including derivation or calculation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involving passwords or one-time passwo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접촉식 오티피카드와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카드의 내부에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부를 구비하고 카드의 일 면에 숫자 또는 문자를 표시 가능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비접촉식 오티피카드에 있어서, 카드의 외부로부터 안테나부로 인가되는 전자파 에너지 장의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카드의 일 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의 활성화를 판단하기 위해 설정된 기준 값 이상의 전원이 생성되는지 확인하는 전원 확인부와 상기 기준 값 이상의 전원이 생성되지 않은 경우 상기 기준 값 이상의 전원이 생성될 때까지 대기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기준 값 이상의 전원이 생성된 경우에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OTP를 표시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동작 제어부와 상기 기준 값 이상의 전원이 생성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OTP를 표시 가능한 상태로 활성화되는지 탐지하는 활성 탐지부와 상기 기준 값 이상의 전원이 생성된 상태에서 상기 안테나부를 통해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판독하여 시간 값을 확인하는 시간 값 확인부와 상기 확인된 시간 값을 지정된 코드 생성 알고리즘의 동적 씨드로 이용하여 지정된 코드체계의 OTP(One Time Password)를 동적 생성하는 OTP 생성부 및 상기 활성화된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동적 생성된 OTP가 표시되게 제어하는 OTP 표시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비접촉식 오티피카드{Contactless One Time Password Card for Including Display}
본 발명은 카드의 내부에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부를 구비하고 카드의 일 면에 숫자 또는 문자를 표시 가능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비접촉식 오티피카드에 있어서, 카드의 외부로부터 안테나부로 인가되는 전자파 에너지 장의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카드의 일 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의 활성화를 판단하기 위해 설정된 기준 값 이상의 전원이 생성되는지 확인하는 전원 확인부와 상기 기준 값 이상의 전원이 생성되지 않은 경우 상기 기준 값 이상의 전원이 생성될 때까지 대기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기준 값 이상의 전원이 생성된 경우에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OTP를 표시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동작 제어부와 상기 기준 값 이상의 전원이 생성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OTP를 표시 가능한 상태로 활성화되는지 탐지하는 활성 탐지부와 상기 기준 값 이상의 전원이 생성된 상태에서 상기 안테나부를 통해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판독하여 시간 값을 확인하는 시간 값 확인부와 상기 확인된 시간 값을 지정된 코드 생성 알고리즘의 동적 씨드로 이용하여 지정된 코드체계의 OTP(One Time Password)를 동적 생성하는 OTP 생성부 및 상기 활성화된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동적 생성된 OTP가 표시되게 제어하는 OTP 표시부를 구비하는 비접촉식 오티피카드에 관한 것이다.
카드 형태로 제작되어 내장된 IC칩을 통해 시간 동기화 방식으로 OTP(One Time Password)를 동적 생성한 후 카드 겉 면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는 카드 형태의 OTP카드가 상용화되었다(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06101902010760713004 참조).
그런데 종래의 OTP카드는 시간 동기화 방식으로 OTP를 생성하기 위해 내부적으로 시간을 유지해야 하고, 이를 위해 반드시 배터리가 내장되어야 했다. 따라서 종래 OTP카드는 배터리 수명이 다할 때까지만 사용될 수 있었으며, 배터리 수명이 다한 경우에는 새로운 OTP카드를 발급받아 사용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카드의 내부에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부를 구비하고 카드의 일 면에 숫자 또는 문자를 표시 가능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비접촉식 오티피카드에 있어서, 카드의 외부로부터 안테나부로 인가되는 전자파 에너지 장의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카드의 일 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의 활성화를 판단하기 위해 설정된 기준 값 이상의 전원이 생성되는지 확인하는 전원 확인부와 상기 기준 값 이상의 전원이 생성되지 않은 경우 상기 기준 값 이상의 전원이 생성될 때까지 대기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기준 값 이상의 전원이 생성된 경우에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OTP를 표시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동작 제어부와 상기 기준 값 이상의 전원이 생성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OTP를 표시 가능한 상태로 활성화되는지 탐지하는 활성 탐지부와 상기 기준 값 이상의 전원이 생성된 상태에서 상기 안테나부를 통해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판독하여 시간 값을 확인하는 시간 값 확인부와 상기 확인된 시간 값을 지정된 코드 생성 알고리즘의 동적 씨드로 이용하여 지정된 코드체계의 OTP(One Time Password)를 동적 생성하는 OTP 생성부 및 상기 활성화된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동적 생성된 OTP가 표시되게 제어하는 OTP 표시부를 구비하는 비접촉식 오티피카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오티피카드는, 카드의 내부에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부를 구비하고 카드의 일 면에 숫자 또는 문자를 표시 가능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비접촉식 오티피카드에 있어서, 카드의 외부로부터 안테나부로 인가되는 전자파 에너지 장의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카드의 일 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의 활성화를 판단하기 위해 설정된 기준 값 이상의 전원이 생성되는지 확인하는 전원 확인부와 상기 기준 값 이상의 전원이 생성되지 않은 경우 상기 기준 값 이상의 전원이 생성될 때까지 대기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기준 값 이상의 전원이 생성된 경우에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OTP를 표시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동작 제어부와 상기 기준 값 이상의 전원이 생성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OTP를 표시 가능한 상태로 활성화되는지 탐지하는 활성 탐지부와 상기 기준 값 이상의 전원이 생성된 상태에서 상기 안테나부를 통해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판독하여 시간 값을 확인하는 시간 값 확인부와 상기 확인된 시간 값을 지정된 코드 생성 알고리즘의 동적 씨드로 이용하여 지정된 코드체계의 OTP(One Time Password)를 동적 생성하는 OTP 생성부 및 상기 활성화된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동적 생성된 OTP가 표시되게 제어하는 OTP 표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비접촉식 오티피카드는, 상기 안테나부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카드의 일 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를 활성화하기 위한 전원의 기준 값을 설정하는 정보 저장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비접촉식 오티피카드는, 상기 안테나부를 통해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판독하여 인증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인증정보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인증 처리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비접촉식 오티피카드는, 상기 기준 값 이상의 전원이 인가된 경우에 상기 안테나부를 통해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판독하여 시간 값을 확인하도록 제어하는 동작 제어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비접촉식 오티피카드는, 상기 기준 값 이상의 전원이 인가된 경우에 상기 안테나부를 통해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판독하여 확인된 시간 값을 동적 씨드로 이용하여 OTP를 동적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동작 제어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비접촉식 오티피카드는, 상기 비접촉식 오티피카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활성화된 경우에 상기 안테나부를 통해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판독하여 시간 값을 확인하도록 제어하는 동작 제어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비접촉식 오티피카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활성화된 경우에 상기 안테나부를 통해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판독하여 확인된 시간 값을 동적 씨드로 이용하여 OTP를 동적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동작 제어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비접촉식 오티피카드는, 상기 무선 주파수 신호의 소스에 대응하는 무선단말과 상기 카드가 밀착한 상태인지 확인하는 상태 확인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비접촉식 오티피카드는, 상기 무선단말과 카드가 밀착한 경우에 상기 안테나부를 통해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판독하여 시간 값을 확인하도록 제어하는 동작 제어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비접촉식 오티피카드는, 상기 무선단말과 카드가 밀착한 경우에 상기 안테나부를 통해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판독하여 확인된 시간 값을 동적 씨드로 이용하여 OTP를 동적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동작 제어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비접촉식 오티피카드는, 상기 무선 주파수 신호의 소스에 대응하는 무선단말과 상기 카드가 밀착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노출된 상태인지 확인하는 상태 확인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비접촉식 오티피카드는, 상기 무선단말과 카드가 밀착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가 노출된 경우에 상기 안테나부를 통해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판독하여 시간 값을 확인하도록 제어하는 동작 제어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비접촉식 오티피카드는, 상기 무선단말과 카드가 밀착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가 노출된 경우에 상기 안테나부를 통해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판독하여 확인된 시간 값을 동적 씨드로 이용하여 OTP를 동적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동작 제어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카드 형태의 OTP카드를 통해 OTP를 동적 생성하여 카드 겉 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면서도 배터리를 내장하지 않으므로 교체 없이 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한 OTP카드를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비접촉식 OTP카드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비접촉식 OTP카드와 무선 주파수 신호 소스 간 비접촉 인터페이스 방식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비접촉식 OTP카드에 고유코드와 씨드 값을 기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비접촉식 OTP카드에 디스플레이부 활성화를 위한 기준 값을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비접촉식 OTP카드의 디스플레이부 활성화를 판단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비접촉식 OTP카드의 디스플레이부 활성화를 탐지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비접촉식 OTP카드의 밀착 상태와 디스플레이부 노출 상태를 확인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비접촉식 OTP카드에서 OTP를 동적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면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비접촉식 OTP카드(100)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은 안테나를 통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과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가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상기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전원을 기반으로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판독하여 시간 값을 확인하고 상기 시간 값을 동적 씨드로 이용하여 지정된 코드체계의 OTP(One Time Password)를 동적 생성한 후 겉 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동적 생성된 OTP를 표시하는 비접촉식 OTP카드(100)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의 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접촉식 OTP카드(100)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부(185)와, 지정된 코드체계의 OTP를 표시하기 위해 겉 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190)와, 상기 안테나부(185)를 통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과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가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확인하고, 상기 전원과 무선 주파수 신호가 상기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상기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전원을 기반으로 상기 안테나부(185)를 통해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판독하여 시간 값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시간 값을 씨드으로 이용하여 지정된 코드체계의 OTP를 동적 생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90)를 통해 상기 동적 생성된 OTP를 표시되게 제어하는 칩모듈(105)을 구비한다.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는 상기 안테나부(185)를 통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 및/또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가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센서부(19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방전되는 배터리는 구비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는 외형적으로 신용카드 등과 같이 지갑에 휴대 가능하고 리더기에 삽입 가능한 플라스틱카드로서, 바람직하게 ISO 7816 규격에 따라 가로/세로 85.6/54mm 내외의 길이로 이루어지고 0.76mm 내외의 두께로 이루어진 ID-1 규격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가 ISO 7816의 ID-1 규격만 만족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예컨대, ID-00, ID-000 등)로 제작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90)는 비접촉식 OTP카드(100)의 일 면에 장착되어 OTP를 숫자 또는 문자의 형태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구성부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0.76mm 내외의 카드 두께에 장착 가능한 액정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잉크를 이용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디스플레이부(190)가 상기 액정 또는 전자잉크를 이용하는 형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카드 두께 내에서 비접촉식 OTP카드(100)의 일 면에 장착 가능한 디스플레이라면 어떠한 디스플레이라도 무방하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90)는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에 내장된 칩모듈(105)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90)는 상기 카드의 외부로부터 상기 안테나부(185)로 인가되는 전자파 에너지 장의 신호를 기반으로 생성되는 동작 전원이 지정된 크기 이상인 경우에 OTP를 표시 가능하게 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부(185)는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의 내부에 내장된 안테나 코일의 총칭으로서,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의 내부에 내장된 칩모듈(105)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안테나부(185)는 근접 거리(예컨대, 10cm 이내)의 무선 주파수 신호 소스로부터 송출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 주파수 신호를 전기적으로 연결된 칩모듈(105)로 전달함으로써, 유도결합 또는 정전결합에 의해 전원을 생산하게 함과 동시에, 상기 전원을 근거로 근접 거리의 무선 주파수 신호 소스와 무선 주파수 신호를 교환하도록 처리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 주파수 신호 소스는 사용자의 무선단말(예컨대,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에 구비된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무선 주파수 신호 소스는 사용자의 무선단말에 구비된 NFC칩과 연결된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 주파수 신호 소스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무선단말과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는 최대한 밀착한 상태에서 도면2와 같이 인터페이스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러한 경우에 조금이라도 더 신속하게(또는 유효하게) 상기 안테나로 인가되는 전자파 에너지 장의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190)를 활성화 가능한 전원이 생성될 수 있고, 사용자로 하여금 비접촉식 OTP카드(100)의 일 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190)를 통해 표시된 OTP를 육안으로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안테나부(185)는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와 무선단말이 도면2와 같이 최대한 밀착한 상태에서 상기 무선 주파수 신호 소스에 의해 형성되는 전자파 에너지 장의 신호가 최대한 많이 인가되도록 계산된 상기 안테나 코일 면적과 코일 감기 횟수로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의 내부에 내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들어,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와 무선단말이 도면2와 같이 최대한 밀착되는 경우에 상기 안테나 코일의 면적은 상기 무선단말의 무선 주파수 신호 소스와 최대한 근접 거리를 유지하도록 상기 무선단말의 가로 길이 이내로 계산될 수 있다. 또는 OTP를 동적 생성하기 위한 안테나 코일의 감기 횟수가 3회라면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의 안테나 코일 감기 횟수는 5회, 6회 등과 같이 더 많이 감아 디스플레이부(190)를 활성화하는데 필요한 전원이 신속하게 생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센서부(195)는 상기 무선 주파수 신호 소스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무선단말과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가 최대한 밀착한 상태에서 도면2와 같이 인터페이스한 상태인지 센싱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센서부(195)는 광 센서(또는 근접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과 비접촉식 OTP카드(100)가 최대한 밀착하여 도면2와 같이 인터페이스하는 경우에 미리 지정된 특정 센싱신호를 발생시킨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센서부(195)는 광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90)를 활성화하는데 필요한 전원을 생성하는 보조 전원부(175)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칩모듈(105)은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의 내부에 내장된 칩(Chip) 및/또는 논리회로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비휘발성 메모리가 집적된 비접촉식 또는 콤비형의 IC(Integrated Circuit)칩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칩모듈(105)은, 상기 안테나부(18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부(165)와, 상기 안테나부(185)와 연계하여 동작 전원을 생성하는 전원부(175)와, 상기 안테나부(185)를 통해 외부와 무선 주파수 신호를 교환하는 무선 통신을 처리하는 무선부(170)와, 상기 칩모듈(105)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정보와 OTP 생성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180)와, 상기 칩모듈(105)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OTP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190)를 통해 표시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제어부(110)를 구비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65)는 비접촉식 OTP카드(100)의 내부에서 상기 안테나부(18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가 전자파 에너지 장의 유효 범위에 존재하는 경우에 무선 주파수 신호 교환을 위한 신호와 전원 발생을 위한 신호를 상기 칩모듈(105)로 인가한다.
상기 전원부(175)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5)를 통해 안테나부(185)로부터 인가되는 전자파 에너지 장의 신호를 기반으로 유도결합 또는 정전결합의 형태로 동작 전원을 생성한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유도결합 또는 정전결합을 이용하여 동작 전원을 생성하는 기술적 특징을 숙지하고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전원부(175)를 통해 생성된 전원은 상기 칩모듈(105)의 각 구성부로 인가되며, 상기 칩모듈(105)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190)의 동작 전원으로도 인가된다. 한편 본 도면1은 편의 상 상기 전원부(175)가 칩모듈(105)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전원부(175)는 상기 칩모듈(105)의 외부에 비접촉식 OTP카드(100)에 내장되는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무선부(170)는 상기 전원부(175)를 통해 인가된 전원을 기반으로, 지정된 규격(예컨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규격 등)에 따라 상기 인터페이스부(165)를 통해 안테나부(185)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복조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제어부(110)로 전달하거나, 또는 상기 제어부(110)로부터 전달된 디지털 신호를 지정된 규격의 무선 주파수 신호로 변조하여 상기 안테나부(185)를 통해 외부로 송출한다.
상기 메모리부(180)는 상기 칩모듈(105)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저장하며(도시생략), 상기 OTP 생성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메모리부(180)는 상기 칩모듈(105)(또는 비접촉식 OTP카드(100))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고유코드를 저장하며, 상기 제어부(110)가 OTP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적어도 하나의 저장 형태의 씨드 값을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선부(170)를 통해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판독하여 획득되는 값만을 OTP의 씨드로 이용하거나, 또는 상기 메모리부(180)에 기 저장된 정보(예컨대, 고유코드 등)를 씨드로 이용하는 경우, 상기 저장 형태의 씨드 값은 생략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고유코드와 저장형 씨드 값은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가 제작 또는 발급되는 시점에 제작장치 또는 발급장치를 통해 상기 메모리부(180)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180)는 상기 안테나부(185)를 통해 인가되는 전자파 에너지 장의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전원부(175)를 통해 생성된 전원을 판독하기 위한 기준 값을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준 값은 상기 전원부(175)와 연계된 제어 회로 형태 또는 프로그램코드 상의 조건문 형태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메모리부(180)는 상기 전원을 판독하기 위한 기준 값을 저장하지 않더라도 무방하다. 또는 상기 칩모듈(105)이 상기 전원부(175)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190)의 활성/비활성을 탐지 가능한 경우, 상기 기준 값은 설정되지 않더라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안테나부(185)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에 OTP의 동적 생성을 위한 인증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메모리부(180)는 상기 인증정보의 유효성을 인증하기 위한 인증 값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인증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PIN정보, 및/또는 상기 OTP의 동적 생성을 요청 가능한 유효한 무선단말(또는 무선단말에 구비된 특정 프로그램)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 등을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증 값은 상기 인증정보와 비교될 값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인증정보와 지정된 검증 연산을 수행할 연산 값과 상기 검증 연산의 결과를 예측하기 위한 예측 값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증정보를 수신하지 않거나 또는 인증정보의 유효성을 인증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인증 값은 생략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전원부(175)를 통해 인가된 전원을 기반으로 상기 메모리부(180)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칩모듈(105)의 동작을 제어하며, 하드웨어적으로 프로세서와 실행메모리를 포함하거나, 또는 논리회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적으로 상기 실행메모리로 로딩되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연산되는 프로그램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편의상 본 발명의 동작을 위한 논리회로 또는 프로그램코드에 대응하는 기능적 구성부를 본 제어부(110) 내에 도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10)는, OTP를 생성하기 위한 씨드 값을 포함하는 각종 정보를 메모리부(18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115)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선부(170)를 통해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판독하여 획득되는 값만을 OTP의 씨드로 이용하거나, 또는 상기 메모리부(180)에 기 저장된 정보(예컨대, 고유코드 등)를 씨드로 이용하는 경우, 상기 정보 저장부(115)는 상기 씨드 값을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지 않더라도 무방하다.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가 제작 또는 발급되는 시점에, 상기 정보 저장부(115)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5)를 통해 지정된 제작장치 또는 발급장치로부터 상기 메모리부(18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될 고유코드 및/또는 씨드 값을 수신한다. 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인터페이스부(165)는 접촉식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상기 정보 저장부(115)는 상기 접촉식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고유코드 및/또는 씨드 값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저장부(115)는 상기 메모리부(18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유효한 고유코드 및/또는 씨드 값이 기록되었는지 판단하고, 만약 상기 지정된 저장영역에 유효한 고유코드 및/또는 씨드 값이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수신된 고유코드 및/또는 씨드 값을 지정된 저장영역에 기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 저장부(115)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5)를 통해 지정된 제작장치 또는 발급장치로부터 상기 안테나부(185)를 통해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의 일 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190)를 OTP를 표시하기 위한 최소 동작 전원에 대응하는 기준 값을 수신하고, 상기 메모리부(18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상기 기준 값을 기록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부(190)를 활성화 가능한 동작 전원에 대응하는 기준 값을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준 값이 상기 전원부(175)와 연계된 제어 회로 또는 프로그램코드 상의 조건문 형태로 구현된 경우, 상기 정보 저장부(115)는 상기 기준 값을 기록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칩모듈(105)이 외부로부터의 무선 주파수 신호에 반응하거나 및/또는 OTP를 동적 생성하기 위한 최소 동작 전원의 크기와,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의 일 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190)를 활성화하여 OTP를 표시하기 위한 최소 동작 전원의 크기는 서로 상이하며, 바람직하게 상기 디스플레이부(190)를 활성화하기 위한 최소 동작 전원의 크기는 상기 칩모듈(105)이 외부로부터의 무선 주파수 신호에 반응하거나 및/또는 OTP를 동적 생성하기 위한 최소 동작 전원의 크기보다 더 크다. 예를들어, 상기 칩모듈(105)이 외부로부터의 무선 주파수 신호에 반응하거나 및/또는 OTP를 동적 생성하기 위한 최소 동작 전원은 상기 안테나부(185)와 전원부(175)가 지정된 신호 세기의 무선 주파수 신호 소스로부터 10cm 내외 거리의 전자파 에너지 장에서 수~수십 밀리초(ms) 이내에 생성될 수 있지만, 상기 디스플레이부(190)를 활성화 가능한 최소 동작 전원은 동일한 무선 주파수 신호 소스로부터 1cm 내외의 거리를 유지한 상태로 상기 안테나부(185)와 전원부(175)가 수 초(s) 이상 전자파 에너지 장 내에 존재해야만 비로소 생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190)를 활성화하기 위한 최소 동작 전원에 도달하지 못할 수도 있다.
그런데 본 발명의 OTP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통해 외부로부터 시간 값을 수신하고, 상기 외부로부터 수신된 시간 값을 동적 씨드로 이용하여 동적 생성된다. 만약 상기 안테나부(185)와 전원부(175)를 통해 인가된 전원이 OTP를 동적 생성하기 위한 최소 동작 전원의 조건을 만족하여 OTP를 동적 생성하더라도, 상기 OTP를 동적 생성한 시점과 상기 디스플레이부(190)가 활성화되어 상기 생성된 OTP를 표시한 시점 간의 시간 차가 지정된 시간 차 이상 벌어지게 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90)에 표시된 OTP를 지정된 단말에 입력하여 인증 요청하더라도 상기 OTP의 유효 시간을 경과하여 정상적인 OTP임에도 인증 오류가 발생할 확률이 증가하게 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OTP의 유효 시간을 늘리게 되면 상기 OTP에 대한 강제 오류 유도 후 이를 재사용하여 부정하게 인증 받는 해킹 위험성이 증가하여 보안성이 현저히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칩모듈(105)은 상기 안테나부(185)와 전원부(175)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이 OTP를 동적 생성하기 위한 최소 동작 전원에 도달하더라도 유효한 OTP를 생성하지 않고 대기하고 있다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90)가 활성화되는 시점에 상기 OTP를 동적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190)를 통해 즉시 표시함으로써 오류 발생 확률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고도한 보안성을 유지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상기 칩모듈(105)에는 디스플레이부(190)를 활성화 가능한 최소 동작 전원에 대응하는 기준 값이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90)의 활성화를 판단하기 위한 전원에 대한 기준 값은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의 제작 과정, 1차 발급 과정, 2차 발급 과정(예컨대, 비접촉식 OTP카드(100)의 메모리부(180)에 사용자에 대한 개인화된 정보를 기록하는 과정)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정을 통해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기준 값이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의 제작 과정 또는 1차 발급 과정 중에 설정되는 경우, 상기 기준 값은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의 무선 주파수 신호 소스로 이용되는 각종 무선단말에서 송출하는 무선 주파수 신호 세기(=전자파 에너지 장의 세기)를 기준으로 지정된 기준 근접 거리(예컨대,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를 무선단말에 밀착한 상태)에서 지정된 기준 시간(예컨대, 1.2초 등) 내에 상기 안테나부(185)와 전원부(175)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190)를 활성화 가능하게 생성 가능한 전원의 평균 값(또는 최소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만약 상기 기준 값이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와 인터페이스하는 사용자의 무선단말을 식별 가능한 1차 발급 과정 또는 2차 발급 과정 중에 설정되는 경우, 상기 기준 값은 상기 사용자가 소지(또는 소유)한 무선단말의 무선 주파수 신호 소스에 대응하는 무선 주파수 신호 세기를 기준으로 지정된 기준 근접 거리(예컨대,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를 무선단말에 밀착한 상태)에서 지정된 기준 시간(예컨대, 1.2초 등) 내에 상기 안테나부(185)와 전원부(175)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190)를 활성화 가능하게 생성 가능한 전원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소지(또는 소유)한 무선단말의 기종(또는 각 무선단말)마다 무선단말 상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출하는 무선 주파수 신호 소스의 위치가 제각기 상이할 뿐만 아니라, 무선 주파수 신호 소스에서 송출하는 무선 주파수 신호의 세기(=전자파 에너지 장의 세기)가 제각기 다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기준 값은 상기 사용자가 소지(또는 소유)한 무선단말의 무선 주파수 신호 소스에 대응하는 무선 주파수 신호 세기에 최적화된 값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칩모듈(105)에 상기 디스플레이부(190)의 활성 상태를 탐지하는 활성 탐지부(125)가 구비된 경우, 상기 칩모듈(105)에는 상기 기준 값이 설정되지 않아도 무방하며, 이 경우 상기 칩모듈(105)은 상기 디스플레이부(190)의 활성 상태를 탐지하여 OTP를 동적 생성한 후 상기 디스플레이부(190)를 통해 상기 생성된 OTP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1 활성/비활성 판별 실시예에 따른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90)를 활성화 가능한 동작 전원에 대응하는 기준 값이 설정된 경우, 상기 안테나부(185)와 전원부(175)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 량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전원 량과 상기 설정된 기준 값을 비교하여 상기 인가된 전원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190)를 활성 가능한지 판단하는 전원 확인부(120)를 구비하며, 상기 인가된 전원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190)를 활성 가능한 경우에 OTP를 동적 생성하는 절차 및/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90)를 통해 표시하는 절차가 수행되도록 칩모듈(105)의 동작을 활성화는 동작 제어부(135)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동작 제어부(135)는 상기 인가된 전원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190)를 활성 가능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디스플레이부(190)를 활성 가능할 때까지 대기하도록 칩모듈(105)의 동작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을 구현하는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안테나부(185)와 전원부(175)를 통해 OTP를 동적 생성 가능한 전원 이상의 전원이 인가된 경우에 지정된 주기로 OTP를 동적 생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90)가 활성화된 시점에 마지막으로 생성된 OTP를 표시하는 경우, 상기 전원 확인부(120)와 동작 제어부(135)는 생략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칩모듈(105)에 상기 디스플레이부(190)를 활성화 가능한 동작 전원에 대응하는 기준 값이 설정된 경우, 상기 전원 확인부(120)는 상기 안테나부(185)와 전원부(175)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을 근거로 상기 인가되는 전원 량을 검출하고, 상기 설정된 기준 값과 상기 검출된 전원 량을 비교하여 상기 안테나부(185)와 전원부(175)를 통해 상기 기준 값 이상의 전원(예컨대, 상기 디스플레이부(190)를 활성 가능한 최소 전원 이상의 전원)이 인가되는지 판단한다. 만약 상기 안테나부(185)와 전원부(175)를 통해 상기 기준 값 이상의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전원 확인부(120)는 상기 인가된 전원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190)를 활성 가능한 것으로 판단한다. 한편 상기 안테나부(185)와 전원부(175)를 통해 인가된 전원이 상기 기준 값 미만이면, 상기 전원 확인부(120)는 상기 인가된 전원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190)를 활성 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만약 상기 전원 확인부(120)의 판단 결과, 상기 안테나부(185)와 전원부(175)를 통해 인가된 전원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190)를 활성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동작 제어부(135)는 상기 안테나부(185)와 전원부(175)를 통해 인가된 전원을 통해 외부로부터 시간 값을 수신한 후 이를 동적 씨드로 이용하여 OTP를 동적 생성하는 절차 및/또는 상기 동적 생성된 OTP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90)를 통해 표시하는 절차가 수행되도록 칩모듈(105)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원 확인부(120)의 판단 결과, 상기 안테나부(185)와 전원부(175)를 통해 인가된 전원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190)를 활성 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동작 제어부(135)는 상기 안테나부(185)와 전원부(175)를 통해 인가된 전원이 OTP를 동적 생성 가능한 전원이라고 하더라도 상기 디스플레이부(190)가 활성 가능해질 때까지 OTP를 동적 생성하는 절차가 수행되지 않도록 제어하거나, 및/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90)를 통해 상기 OTP를 표시하는 절차가 수행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활성/비활성 판별 실시예에 따른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안테나부(185)와 전원부(175)를 통해 인가된 전원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190)가 OTP를 표시 가능하게 활성화되는지 탐지하는 활성 탐지부(125)를 구비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190)가 활성화된 경우에 OTP를 동적 생성하는 절차 및/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90)를 통해 표시하는 절차가 수행되도록 칩모듈(105)의 동작을 활성화는 동작 제어부(135)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동작 제어부(135)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90)가 활성화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디스플레이부(190)가 활성화될 때까지 대기하도록 칩모듈(105)의 동작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을 구현하는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안테나부(185)와 전원부(175)를 통해 OTP를 동적 생성 가능한 전원 이상의 전원이 인가된 경우에 지정된 주기로 OTP를 동적 생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90)가 활성화된 시점에 마지막으로 생성된 OTP를 표시하는 경우, 상기 활성 탐지부(125)와 동작 제어부(135)는 생략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전원 확인부(120)는 상기 안테나부(185)와 전원부(175)를 통해 인가된 전원을 상기 디스플레이부(190)로 인가한 후에 상기 디스플레이부(190)가 반응하는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190)가 OTP를 표시 가능하게 활성화되는지 탐지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전원 확인부(120)는 상기 칩모듈(105)에 상기 디스플레이부(190)를 활성화 가능한 동작 전원에 대응하는 기준 값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디스플레이부(190)가 OTP를 표시 가능하게 활성화되는지 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며, 상기 기준 값이 설정되어 있더라도 상기 안테나부(185)와 전원부(175)를 통해 인가된 전원이 상기 기준 값의 일정 범위에 도달하거나 또는 기준 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기준 값 이상 인가된 전원을 통해 실제로 디스플레이부(190)가 OTP를 표시 가능하게 활성화되는지 탐지할 수 있다.
만약 상기 활성 탐지부(125)의 탐지 결과, 상기 디스플레이부(190)가 활성화된 것으로 탐지되면, 상기 동작 제어부(135)는 상기 안테나부(185)와 전원부(175)를 통해 인가된 전원을 통해 외부로부터 시간 값을 수신한 후 이를 동적 씨드로 이용하여 OTP를 동적 생성하는 절차 및/또는 상기 동적 생성된 OTP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90)를 통해 표시하는 절차가 수행되도록 칩모듈(105)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활성 탐지부(125)의 탐지 결과, 상기 디스플레이부(190)가 활성화된 것으로 탐지되지 않으면, 상기 동작 제어부(135)는 상기 안테나부(185)와 전원부(175)를 통해 인가된 전원이 OTP를 동적 생성 가능한 전원이라고 하더라도 상기 디스플레이부(190)가 활성화될 때까지 OTP를 동적 생성하는 절차가 수행되지 않도록 제어하거나, 및/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90)를 통해 상기 OTP를 표시하는 절차가 수행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활성/비활성 판별 실시예에 따른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가 무선 주파수 신호 소스에 대응하는 무선단말과 최대한 밀착한 상태 및/또는 비접촉식 OTP카드(100) 일 면의 디스플레이부(190)를 노출한 상태를 유지하는지 확인하는 상태 확인부(130)를 구비하며,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와 무선단말이 최대한 밀착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90)가 노출된 경우에 OTP를 동적 생성하는 절차 및/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90)를 통해 표시하는 절차가 수행되도록 칩모듈(105)의 동작을 활성화는 동작 제어부(135)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동작 제어부(135)는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와 무선단말이 밀착되지 않거나 또는 디스플레이부(190)가 노출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와 무선단말이 최대한 밀착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90)가 노출된 상태가 될 때까지 대기하도록 칩모듈(105)의 동작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무선부(170)를 통해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와 무선단말이 최대한 밀착한 상태 및/또는 디스플레이부(190)의 노출 상태에 대응하는 응답코드를 포함하는 응답신호가 송출되게 제어하는 응답 전송부(16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을 구현하는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와 무선단말이 밀착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OTP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190)를 통해 표시 가능한 경우, 상기 상태 확인부(130)와 동작 제어부(135)는 생략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상태 확인부(130)는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에 구비된 센서부(195)와 연동하여 상기 무선 주파수 신호 소스에 대응하는 무선단말과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가 최대한 밀착한 상태인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센서부(195)가 광 센서를 포함하는데, 상기 광 센서가 비접촉식 OTP카드(100) 상에서 안테나부(185)가 매입된 부분의 비접촉식 OTP카드(100) 일 면에 구비되는 경우에,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의 안테나 매입 부분과 무선단말이 최대한 밀착한 상태에서는 상기 광 센서로 광 신호가 센싱되지 않거나 또는 지정된 기준치 미만의 광 신호가 센싱되게 되는데, 상기 상태 확인부(130)는 상기 안테나부(185)를 통해 무선 주파수 신호가 수신되는 상태에서 상기 광 센서를 통해 센싱되는 광 신호를 판독하여 상기 광 센서를 통해 지정된 기준치 이상의 광 신호가 센싱되는 경우에는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와 무선단말이 최대한 밀착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하고, 상기 광 센서를 통해 광 신호가 센싱되지 않거나 기준치 미만의 광 신호가 센싱되는 경우에는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와 무선단말이 최대한 밀착한 상태인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상태 확인부(130)는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에 구비된 센서부(195)와 연동하여 상기 무선 주파수 신호 소스에 대응하는 무선단말과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가 최대한 밀착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90)를 노출한 상태를 유지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센서부(195)가 2개의 광 센서를 포함하는데, 제1 광 센서는 비접촉식 OTP카드(100) 상에서 안테나부(185)가 매입된 부분의 비접촉식 OTP카드(100) 일 면에 구비되고 제2 광 센서는 비접촉식 OTP카드(100) 일 면의 디스플레이부(190) 근처에 구비되는 경우에,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의 안테나 매입 부분과 무선단말이 최대한 밀착한 상태에서는 상기 제1 광 센서로 광 신호가 센싱되지 않거나 지정된 기준치 미만의 광 신호가 센싱되는 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90)가 노출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2 광 센서로 유효한 광 신호가 센싱되게 되는데, 상기 상태 확인부(130)는 상기 안테나부(185)를 통해 무선 주파수 신호가 수신되는 상태에서 상기 제1 광 센서를 통해 센싱되는 광 신호를 판독하여 상기 제1 광 센서를 통해 기준치 이상의 광 신호가 센싱되는 경우에는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와 무선단말이 최대한 밀착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하고, 상기 제1 광 센서를 통해 광 신호가 센싱되지 않거나 기준치 미만의 광 신호가 센싱되는 경우에는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와 무선단말이 최대한 밀착한 상태인 것으로 확인하되, 상기 제2 광 센서를 통해 센싱되는 광 신호를 판독하여 상기 제2 광 센서를 통해 기준치 이상의 광 신호가 센싱되는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90)가 노출된 것으로 확인하고, 상기 제2 광 센서를 통해 광 신호가 센싱되지 않거나 기준치 미만의 광 신호가 센싱되는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90)가 노출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상태 확인부(130)의 확인 결과,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와 무선단말이 최대한 밀착한 상태 및/또는 디스플레이부(190)를 노출한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동작 제어부(135)는 상기 안테나부(185)와 전원부(175)를 통해 인가된 전원을 통해 외부로부터 시간 값을 수신한 후 이를 동적 씨드로 이용하여 OTP를 동적 생성하는 절차 및/또는 상기 동적 생성된 OTP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90)를 통해 표시하는 절차가 수행되도록 칩모듈(105)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태 확인부(130)의 확인 결과,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와 무선단말이 최대한 밀착한 상태가 아니거나 또는 디스플레이부(190)를 노출한 상태가 아닌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동작 제어부(135)는 상기 안테나부(185)와 전원부(175)를 통해 인가된 전원이 OTP를 동적 생성 가능한 전원이라고 하더라도 상기 디스플레이부(190)가 활성화될 때까지 OTP를 동적 생성하는 절차가 수행되지 않도록 제어하거나, 및/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90)를 통해 상기 OTP를 표시하는 절차가 수행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상태 확인부(130)가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와 무선단말이 최대한 밀착한 상태 및/또는 디스플레이부(190)를 노출한 상태인지 확인하기 전, 중, 후의 어느 시점에 상기 안테나부(185)를 통해 무선 주파수 신호가 수신되고 이에 대한 응답신호를 응답해야 하는 경우, 상기 응답 전송부(160)는 상기 안테나부(185)를 통해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와 무선단말이 최대한 밀착한 상태 및/또는 디스플레이부(190)의 노출 상태에 대응하는 응답코드를 포함하는 응답신호가 송출되게 제어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안테나부(185)와 전원부(175)를 통해 인가된 전원을 기반으로 상기 안테나부(185)를 통해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판독하여 인증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인증 값을 통해 상기 확인된 인증정보의 유효성을 확인하는 인증 처리부(140)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인증정보의 인증 결과를 응답하는 응답 전송부(16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인증 처리부(140)는 상기 안테나부(185)와 전원부(175)를 통해 인가된 전원을 기반으로 상기 안테나부(185)를 통해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예컨대, 무선부(170)를 통해 복조된 디지털 신호)를 판독하여 지정된 정보구조의 인증정보를 확인한다.
상기 인증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인증 처리부(140)는 상기 수신된 인증정보와 상기 메모리부(180)에 저장된 인증 값을 비교하여 상기 인증정보의 유효성을 인증하거나, 또는 상기 인증 값을 통해 상기 인증정보에 대한 지정된 검증 연산을 수행하여 예측된 결과가 도출되는지 판독하여 상기 인증정보의 유효성을 인증한다. 상기 응답 전송부(160)는 상기 인증 처리부(140)를 통해 수행된 인증정보의 인증 결과에 대응하는 응답신호가 상기 안테나부(185)를 통해 송출되게 제어한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안테나부(185)와 전원부(175)를 통해 인가된 전원을 기반으로 상기 안테나부(185)를 통해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판독하여 OTP의 동적 씨드로 이용될 시간 값을 확인하는 시간 값 확인부(145)를 구비하며, 상기 시간 값을 포함하는 무선 주파수 신호의 응답신호가 송출되게 제어하는 응답 전송부(16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시간 값 확인부(145)는 상기 안테나부(185)와 전원부(175)를 통해 인가된 전원을 기반으로 상기 안테나부(185)를 통해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예컨대, 무선부(170)를 통해 복조된 디지털 신호)를 판독하여 OTP의 동적 씨드로 이용될 시간 값을 확인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시간 값 확인부(145)는 상기 전원 확인부(120)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190)를 활성화 가능한 전원이 인가된 것으로 판단되거나, 및/또는 상기 활성 탐지부(125)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190)가 활성화된 것으로 탐지되거나, 및/또는 상기 상태 확인부(130)를 통해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와 무선 주파수 신호 소스가 최대한 밀착한 상태(및/또는 디스플레이부(190)가 노출된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거나, 및/또는 상기 동작 제어부(135)를 통해 상기 칩모듈(105)의 동작 상태가 OTP를 동적 생성하도록 활성화된 경우에, 상기 안테나부(185)와 전원부(175)를 통해 인가된 전원을 기반으로 상기 안테나부(185)를 통해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판독하여 OTP의 동적 씨드로 이용될 시간 값을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안테나부(185)와 전원부(175)를 통해 OTP를 동적 생성 가능한 전원 이상의 전원이 인가된 경우에 지정된 주기로 OTP를 동적 생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90)가 활성화된 시점에 마지막으로 생성된 OTP를 표시하는 경우, 상기 시간 값 확인부(145)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90)의 활성화 여부와 무관하게 상기 안테나부(185)를 통해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판독하여 OTP의 동적 씨드로 이용될 시간 값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제1 시간 수신 방식에 따르면, 상기 시간 값 확인부(145)는 상기 안테나부(185)를 통해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판독하여 지정된 트리거 신호(예컨대, RST 신호 등)를 검출하고, 상기 응답 전송부(160)는 상기 검출된 트리거 신호에 대응하여 응답신호(예컨대, ATR 신호 등)가 상기 무선부(170)를 통해 송출되게 제어한다. 상기 무선부(170)는 상기 응답신호와 연계된 절차로서 상기 안테나부(185)를 통해 현재 시간 값을 지정된 규격에 따라 변조하여 포함하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한 후 이를 복조하여 생성된 디지털 신호를 상기 제어부(110)로 전달하며, 상기 시간 값 확인부(145)는 상기 안테나부(185)를 통해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에 대응하는 디지털 신호를 지정된 규격에 따라 판독하여 현재 시간에 대응하는 시간 값을 확인한다.
본 발명의 제2 시간 수신 방식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안테나부(185)를 통해 외부의 무선 주파수 신호 소스와 지정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교환(예컨대, RST와 ATR 등)하여 상기 안테나부(185)를 통해 시간 값을 수신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며, 이 상태에서 상기 무선부(170)가 상기 안테나부(185)를 통해 현재 시간 값을 지정된 규격에 따라 변조하여 포함하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한 후 이를 복조하여 생성된 디지털 신호를 전달하면, 상기 시간 값 확인부(145)는 상기 안테나부(185)를 통해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에 대응하는 디지털 신호를 지정된 규격에 따라 판독하여 현재 시간에 대응하는 시간 값을 확인한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안테나부(185)를 통해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판독하여 확인된 시간 값을 지정된 코드 생성 알고리즘의 동적 씨드로 이용하여 지정된 코드체계의 OTP를 동적 생성하는 OTP 생성부(150)와, 상기 디스플레이부(190)를 통해 상기 동적 생성된 OTP가 표시되게 제어하는 OTP 표시부(155)를 구비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190)를 통해 상기 OTP가 표시된 경우에 상기 안테나부(185)를 통해 OTP의 생성/표시 성공에 대응하는 응답신호가 송출되게 제어하는 응답 전송부(16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OTP 생성부(150)는 지정된 코드체계의 OTP를 동적 생성하기 위한 코드 생성 알고리즘을 구비하며, 상기 코드 생성 알고리즘은 적어도 하나의 동적 씨드를 이용하여 OTP를 동적 생성하는 알고리즘을 포함한다. 상기 OTP 생성부(150)는 상기 시간 값 확인부(145)를 통해 확인된 시간 값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시간 값을 상기 코드 생성 알고리즘의 동적 씨드로 적용한다. 만약 상기 코드 생성 알고리즘이 고정 씨드를 더 이용하여 OTP를 동적 생성하는 알고리즘이고 상기 메모리부(180)에 상기 고정 씨드에 대응하는 씨드 값이 저장된 경우, 상기 OTP 생성부(150)는 상기 시간 값 확인부(145)를 통해 확인된 시간 값을 동적 씨드로 이용하고 상기 저장된 씨드 값을 고정 씨드로 이용하여 상기 코드 생성 알고리즘에 적용함으로써, 지정된 코드체계의 OTP를 동적 생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OTP 생성부(150)는 상기 전원 확인부(120)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190)를 활성화 가능한 전원이 인가된 것으로 판단되거나, 및/또는 상기 활성 탐지부(125)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190)가 활성화된 것으로 탐지되거나, 및/또는 상기 상태 확인부(130)를 통해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와 무선 주파수 신호 소스가 최대한 밀착한 상태(및/또는 디스플레이부(190)가 노출된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거나, 및/또는 상기 동작 제어부(135)를 통해 상기 칩모듈(105)의 동작 상태가 OTP를 동적 생성하도록 활성화된 경우에, OTP를 동적 생성하기 위한 씨드 중의 동적 씨드로서 상기 시간 값 확인부(145)를 통해 확인된 시간 값을 이용하는 코드 생성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190)를 통해 표시할 지정된 코드체계의 OTP를 동적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OTP 생성부(150)는 상기 시간 값 확인부(145)를 통해 시간 값이 확인될 때마다 시간 값을 동적 씨드로 이용하는 코드 생성 알고리즘을 통해 지정된 코드체계의 OTP를 동적 생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OTP 생성부(150)는 상기 전원 확인부(120)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190)를 활성화 가능한 전원이 인가된 것으로 판단되거나, 및/또는 상기 활성 탐지부(125)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190)가 활성화된 것으로 탐지되거나, 및/또는 상기 상태 확인부(130)를 통해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와 무선 주파수 신호 소스가 최대한 밀착한 상태(및/또는 디스플레이부(190)가 노출된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거나, 및/또는 상기 동작 제어부(135)를 통해 상기 칩모듈(105)의 동작 상태가 OTP를 동적 생성하도록 활성화된 경우에 동적 생성된(또는 마지막으로 생성된) OTP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90)를 통해 표시할 OTP로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OTP 표시부(155)는 상기 안테나부(185)와 전원부(175)를 통해 인가된 전원을 기반으로 활성화된 디스플레이부(190)를 통해 상기 OTP 생성부(150)를 통해 동적 생성된 OTP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190)는 상기 OTP를 표시한다.
상기 응답 전송부(160)는 상기 OTP 표시부(155) 또는 디스플레이부(190)와 연동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90)를 통해 상기 OTP가 표시되는지 확인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190)를 통해 OTP가 표시된 경우에 상기 안테나부(185)를 통해 OTP의 생성/표시 성공에 대응하는 응답신호가 송출되게 제어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응답 전송부(16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90)를 통해 표시된 OTP를 생성하는데 이용된 시간 값을 수신한 무선 주파수 신호의 응답신호로서 상기 OTP의 생성/표시 성공에 대응하는 응답신호가 송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부(190)를 통해 상기 OTP가 표시되지 않더라도 상기 OTP 생성부(150)를 통해 상기 시간 값을 동적 씨드로 이용하는 OTP가 생성된 경우, 상기 응답 전송부(160)는 OTP를 생성하는데 이용된 시간 값을 수신한 무선 주파수 신호의 응답신호로서 상기 OTP의 생성 성공에 대응하는 응답신호가 송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2a와 도면2b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비접촉식 OTP카드(100)와 무선 주파수 신호 소스 간 비접촉 인터페이스 방식을 예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a와 도면2b는 비접촉식 OTP카드(100)가 무선 주파수 신호 소스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무선단말과 무선 주파수 신호를 교환하면서 상기 무선단말의 무선 주파수 신호 소스로부터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의 일 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190)를 활성화 가능하게 전자파 에너지 장의 신호를 공급받아 동작 전원을 생성하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90)를 통해 표시된 OTP가 사용자의 육안 식별 가능하게 노출되도록 비접촉식 OTP카드(100)와 사용자의 무선단말을 밀착하여 인터페이스하는 실시예를 예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2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의 비접촉식 인터페이스 방식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2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편의상 본 도면2a와 도면2b는 비접촉식 OTP카드(100)에 센서부(195)가 구비된 것으로 예시하여 설명하지만,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센서부(195)는 생략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OTP카드(100)는, 절연성 재질(예컨대, 플라스틱 재질)의 상판부와 하판부 사이에 안테나부(185)와 칩모듈(105)이 매입되는 매입층이 형성되고, 상기 상판부의 겉 면의 지정된 영역(예컨대, 우측 상단 영역)에는 디스플레이부(190)가 구비되며, 상기 매입층의 안테나부(185)와 칩모듈(105)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매입층의 칩모듈(105)과 상기 상판부 겉 면의 디스플레이부(190)도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90)가 구비된 상판부와, 안테나부(185)와 칩모듈(105)이 매입되는 매입층 및 상기 하판부를 압축(또는 열압축)하는 공정을 통해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의 상판부의 겉 면에는 다양한 도안 또는 정보가 인자되는 인쇄층이 형성되고,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상판부의 겉 면 상위에는 상기 상판부(또는 인쇄층)를 보호하는 투명 코팅 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판부의 겉 면에도 상기 인쇄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하판부(또는 인쇄층)를 보호하는 투명 코팅 층이 형성될 수 있다.
도면2a의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OTP카드(100)는 상판부의 겉 면의 지정된 영역(예컨대, 우측 상단 영역)에 지정된 코드체계의 OTP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90)가 구비되며, 상기 상판부의 겉 면 중 매입층에 안테나부(185)가 매입되는 영역에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와 무선단말의 밀착 상태를 센싱하기 위한 제1 센서부(195)가 구비되고, 상기 상판부의 겉 면 중 디스플레이부(190)가 구비된 영역의 근처 영역에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가 무선단말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90)가 노출되는지 센싱하기 위한 제2 센서부(19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면2a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는 무선단말의 뒷 면(예컨대, 무선단말의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앞 면의 반대 면)에 밀착하는 형태로 상기 무선단말의 무선 주파수 신호 소스와 인터페이스한다.
상기 도면2a의 실시예와 같이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를 무선단말의 뒷 면에 밀착하는 경우,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의 칩모듈(105)은 상기 제1 센서부(195)를 통해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와 무선단말의 밀착 상태를 확인하며, 상기 제2 센서부(195)를 통해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와 무선단말이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90)가 사용자의 육안 식별이 가능하게 노출된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면2a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는 상판부 겉 면의 일 부분만 무선단말의 뒷 면에 밀착하며, 이 경우 상기 매입층에 매입되는 안테나부(185)는 상기 무선단말과 밀착되는 부분에 매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2b의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OTP카드(100)는 하판부의 겉 면 중 매입층에 안테나부(185)가 매입되는 영역에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와 무선단말의 밀착 상태를 센싱하기 위한 센서부(19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면2b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는 무선단말의 앞 면(예컨대, 무선단말의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면)에 밀착하는 형태로 상기 무선단말의 무선 주파수 신호 소스와 인터페이스한다.
상기 도면2b의 실시예와 같이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를 무선단말의 앞 면에 밀착하는 경우,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의 칩모듈(105)은 상기 센서부(195)를 통해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와 무선단말의 밀착 상태가 확인되며, 상기 상판부의 겉 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190)는 항상 노출된 상태이므로 별도로 상기 디스플레이부(190)의 노출 상태를 확인하지 않더라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확장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도면2a와 도면2b를 조합하는 형태로 센서부(195)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비접촉식 OTP카드(100)에 고유코드와 씨드 값을 기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3은 비접촉식 OTP카드(100)의 제작 과정 또는 1차 발급 과정에서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의 메모리부(180)에 지정된 저장영역에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의 고유코드와 OTP 생성의 고정 씨드로 이용될 씨드 값을 저장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3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고유코드와 씨드 값 기록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3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의 칩모듈(105)은 인터페이스부(165)를 통해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의 고유코드와 OTP 생성의 고정 씨드로 이용될 씨드 값을 수신한다(300). 상기 고유코드와 씨드 값은 비접촉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거나, 또는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의 제작장치 또는 발급장치가 이용하는 접촉식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의 칩모듈(105)은 메모리부(18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유효한 고유코드와 씨드값이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한다(305). 만약 상기 지정된 저장영역에 유효한 고유코드와 씨드값이 이미 기록되어 있다면,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의 칩모듈(105)은 상기 수신된 고유코드와 씨드 값을 폐기하고(310), 상기 인터페이스부(165)를 통해 오류코드를 응답한다(315). 즉, 상기 고유코드와 씨드 값은 1회에 한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기록될 수 있으며, 추가, 변경, 갱신 등은 불가하다.
한편 상기 지정된 저장영역에 유효한 고유코드와 씨드값이 기록되어 있지 않다면,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의 칩모듈(105)은 상기 지정된 저장영역에 상기 수신된 고유코드와 씨드 값을 저장하고(320), 상기 인터페이스부(165)를 통해 상기 고유코드와 씨드 값 저장에 대한 결과를 응답한다(325).
도면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비접촉식 OTP카드(100)에 디스플레이부(190) 활성화를 위한 기준 값을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4는 비접촉식 OTP카드(100)의 1차 발급 과정 또는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를 이용하기 위한 2차 발급 과정(예컨대, 비접촉식 OTP카드(100)에 개인화된 정보를 기록하는 과정)에서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의 메모리부(180)에 지정된 저장영역에 디스플레이부(190)의 활성화를 판단하기 위한 전원에 대한 기준 값을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4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기준 값 설정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4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편의상 본 도면4는 비접촉식 OTP카드(100)의 칩모듈(105)에 구비된 메모리부(18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기준 값을 저장하는 실시예를 도시 설명하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기준 값은 제어 회로 또는 프로그램코드 상의 조건문 형태로 설정 가능하다.
도면4를 참조하면,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의 칩모듈(105)은 인터페이스부(165)를 통해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의 디스플레이부(190)를 활성화하기 위한 전원에 대한 기준 값을 수신한다(400). 본 도면4의 실시예에서 상기 기준 값은 상기 사용자가 소지(또는 소유)한 무선단말의 무선 주파수 신호 소스에 대응하는 무선 주파수 신호 세기를 기준으로 지정된 기준 근접 거리(예컨대, 상기 [카드]를 무선단말에 밀착한 상태)에서 지정된 기준 시간(예컨대, 1.2초 등) 내에 상기 안테나부(185)와 전원부(175)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190)를 활성화 가능하게 생성 가능한 전원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소지(또는 소유)한 무선단말의 기종(또는 각 무선단말)마다 무선단말 상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출하는 무선 주파수 신호 소스의 위치가 제각기 상이할 뿐만 아니라, 무선 주파수 신호 소스에서 송출하는 무선 주파수 신호의 세기(=전자파 에너지 장의 세기)가 제각기 다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기준 값은 상기 사용자가 소지(또는 소유)한 무선단말의 무선 주파수 신호 소스에 대응하는 무선 주파수 신호 세기에 최적화된 값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의 칩모듈(105)은 메모리부(18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기준 값이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한다(405). 만약 상기 지정된 저장영역에 기준 값이 기 저장되어 있다면,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의 칩모듈(105)은 상기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기준 값을 상기 수신된 기준 값으로 갱신함으로써(410), 상기 기준 값을 사용자가 소지(또는 소유)한 무선단말의 무선 주파수 신호 소스에 최적화된 값으로 갱신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165)를 통해 상기 기준 값의 갱신에 대한 결과를 응답한다(420).
한편 상기 지정된 저장영역에 기준 값이 저장되어 있지 않다면,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의 칩모듈(105)은 상기 지정된 저장영역에 상기 기준 값을 저장함으로써(415), 사용자가 소지(또는 소유)한 무선단말의 무선 주파수 신호 소스에 최적화된 기준 값을 저장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165)를 통해 상기 기준 값의 저장에 대한 결과를 응답한다(420).
도면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비접촉식 OTP카드(100)의 디스플레이부(190) 활성화를 판단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5는 도면4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설정된 기준 값을 이용하여 비접촉식 OTP카드(100)의 디스플레이부(190)를 활성화 가능한 전원이 생성, 인가되는지 확인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5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90) 활성화 판단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5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5를 참조하면,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의 칩모듈(105)은 안테나부(185)로 인가되는 전자파 에너지 장의 신호를 근거로 전원부(175)를 통해 생성된 최소 동작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500), 상기 최소 동작 전원을 근거로 내부 동작을 위한 초기화 절차를 수행한다(505).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비접촉식 IC카드 관련 규격을 기반으로 상기 내부 동작을 위한 초기화 절차를 기 숙지하고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초기화 절차가 완료됨에 따라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의 칩모듈(105)은 도면6 내지 도면8에 도시된 과정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내부 초기화 절차가 완료되면, 비접촉식 OTP카드(100)의 칩모듈(105)은 상기 안테나부(185)로 인가되는 전자파 에너지 장의 신호를 근거로 전원부(175)를 통해 생성되어 인가되는 전원을 확인하고(510), 상기 도면4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설정된 기준 값을 통해 상기 인가된 전원을 판독하여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의 디스플레이부(190)의 활성화 가능을 판단한다(515).
만약 상기 인가된 전원을 통해 디스플레이부(190)의 활성화가 가능하지 않다면,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의 칩모듈(105)은 상기 인가된 전원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190)를 활성화할 수 있을 때까지 상기 안테나부(185)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에 반응하거나, 및/또는 OTP를 동적 생성하는 동작을 비활성화하고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520).
한편 상기 인가된 전원을 통해 디스플레이부(190)의 활성화가 가능하다면,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의 칩모듈(105)은 도면6 내지 도면8에 도시된 과정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면6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비접촉식 OTP카드(100)의 디스플레이부(190) 활성화를 탐지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6은 상기 도면5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안테나부(185)로 인가되는 전자파 에너지 장의 신호를 근거로 전원부(175)를 통해 생성된 전원을 디스플레이부(190)로 인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90)가 활성화되는지 탐지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6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90) 활성화 탐지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6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6을 참조하면,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의 칩모듈(105)은 상기 도면5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안테나부(185)로 인가되는 전자파 에너지 장의 신호를 근거로 전원부(175)를 통해 생성되어 인가되는 전원을 확인하고(600), 상기 인가된 전원을 디스플레이부(190)로 인가하여 OTP를 표시 가능한 상태로 상기 디스플레이부(190)가 활성화되는지 탐지한다(605).
만약 상기 인가된 전원을 통해 디스플레이부(190)의 활성화가 탐지되지 않으면,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의 칩모듈(105)은 상기 인가된 전원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190)가 활성화될 때까지 상기 안테나부(185)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에 반응하거나, 및/또는 OTP를 동적 생성하는 동작을 비활성화하고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610).
한편 상기 인가된 전원을 통해 디스플레이부(190)의 활성화가 탐지되면,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의 칩모듈(105)은 도면5 또는 도면7 또는 도면8에 도시된 과정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면7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비접촉식 OTP카드(100)의 밀착 상태와 디스플레이부(190) 노출 상태를 확인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7은 비접촉식 OTP카드(100)에 센서부(195)가 구비된 경우에 상기 도면5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안테나부(185)로 인가되는 전자파 에너지 장의 신호를 근거로 전원부(175)를 통해 생성된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센서부(195)를 통해 센싱된 신호를 판독함으로써 비접촉식 OTP카드(100)와 무선 주파수 신호 소스에 대응하는 무선단말 간 밀착 상태와 상기 밀착 상태에서의 디스플레이부(190) 노출 상태를 확인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7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의 밀착 상태와 디스플레이부(190) 노출 상태 확인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7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7을 참조하면,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의 칩모듈(105)은 상기 도면5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안테나부(185)로 인가되는 전자파 에너지 장의 신호를 근거로 전원부(175)를 통해 생성되어 인가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센서부(195)를 통해 센싱된 신호를 확인하고(700), 상기 센서부(195)를 통해 센싱된 신호를 판독하여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와 무선 주파수 신호 소스에 대응하는 무선단말 사이의 밀착 상태를 확인한다(705).
만약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와 무선단말이 밀착된 상태가 아니라면,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의 칩모듈(105)은 상기 안테나부(185)를 통해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에 대응하여 송출되는 응답신호를 통해 상기 밀착 상태에 대한 오류코드가 전송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710), 상기 인가된 전원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190)의 활성화가 판단/탐지될 때까지 OTP를 동적 생성하는 동작을 비활성화하고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715).
한편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와 무선단말 간 밀착 상태가 확인되면,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의 칩모듈(105)은 도면5 또는 도면6 또는 도면8에 도시된 과정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의 칩모듈(105)은 상기 센서부(195)를 통해 센싱된 신호를 판독하여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와 무선단말이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의 디스플레이부(190)가 노출된 상태인지 확인한다(720).
만약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의 디스플레이부(190)가 노출된 상태가 아니라면,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의 칩모듈(105)은 상기 안테나부(185)를 통해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에 대응하여 송출되는 응답신호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190) 노출 상태에 대한 오류코드가 전송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725), 상기 인가된 전원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190)의 활성화가 판단/탐지될 때까지 OTP를 동적 생성하는 동작을 비활성화하고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715).
한편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의 디스플레이부(190)에 대한 노출 상태가 확인되면,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의 칩모듈(105)은 도면5 또는 도면6 또는 도면8에 도시된 과정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면8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비접촉식 OTP카드(100)에서 OTP를 동적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190)를 통해 표시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8은 상기 도면5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안테나부(185)로 인가되는 전자파 에너지 장의 신호를 근거로 전원부(175)를 통해 생성된 전원을 이용하여 OTP를 동적 생성하고 비접촉식 OTP카드(100)의 디스플레이부(190)를 통해 표시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8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OTP 생성 및 표시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8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8을 참조하면,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의 칩모듈(105)은 상기 도면5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안테나부(185)로 인가되는 전자파 에너지 장의 신호를 근거로 전원부(175)를 통해 생성되어 인가되는 전원을 근거로 상기 안테나부(185)를 통해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판독하여 시간 값을 확인하는 절차를 수행하며(800, 상기 시간 값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와 무선 주파수 신호 소스 사이에도 1회 이상의 무선 주파수 신호 교환이 수행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안테나부(185)를 통해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통해 시간 값이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의 칩모듈(105)은 지정된 절차에 따라 상기 안테나부(185)를 통해 시간 값을 수신하기 위한 응답신호가 송출되도록 제어한다(805).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와 인터페이스하는 무선 주파수 신호 소스에 대응하는 무선단말에 구비된 프로그램은 지정된 절차에 따라 무선단말의 내부 타이머와 연동(또는 기지국과 교환되는 신호를 판독)하여 현재 시각을 확인하고,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의 칩모듈(105)에서 상기 확인된 현재 시각을 OTP 생성의 동적 씨드로 이용 가능한 시간 값을 생성한 후 무선 주파수 신호에 포함하여 상기 무선 주파수 신호 소스를 통해 송출하며, 상기 시간 값을 포함하는 무선 주파수 신호는 상기 안테나부(185)를 통해 수신된다.
만약 상기 안테나부(185)를 통해 상기 시간 값을 포함하는 무선 주파수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의 칩모듈(105)은 상기 안테나부(185)를 통해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판독하여 OTP의 생성의 동적 씨드로 이용될 시간 값을 확인한다(810).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의 칩모듈(105)은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씨드 값을 확인하고(815), 상기 시간 값을 지정된 코드 생성 알고리즘의 동적 씨드로 적용하고 상기 저장된 씨드 값을 상기 코드 생성 알고리즘의 고정 씨드로 적용하여 지정된 코드체계의 OTP를 동적 생성한다(82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도면5 내지 도면7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상기 OTP가 생성되는 시점은 상기 디스플레이부(190)가 OTP 표시가 가능하게 활성화된 시점이므로,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의 칩모듈(105)은 상기 활성화된 디스플레이부(190)를 통해 상기 생성된 OTP가 표시되도록 제어한다(825).
상기 디스플레이부(190)를 통해 상기 OTP가 표시되면,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의 칩모듈(105)은 상기 안테나부(185)를 통해 OTP 생성/표시 성공에 대응하는 응답신호가 송출되도록 제어하며(830), 이를 통해 상기 무선 주파수 신호 소스에 대응하는 무선단말의 프로그램은 상기 비접촉식 OTP카드(100)를 통해 OTP가 동적 생성되어 디스플레이부(190)를 통해 표시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다.
100 : 비접촉식 OTP카드 105 : 칩모듈
110 : 제어부 115 : 정보 저장부
120 : 전원 확인부 125 : 활성 탐지부
130 : 상태 확인부 135 : 동작 제어부
140 : 인증 처리부 145 : 시간 값 확인부
150 : OTP 생성부 155 : OTP 표시부
160 : 응답 전송부 165 : 인터페이스부
170 : 무선부 175 : 전원부
180 : 메모리부 185 : 안테나부
190 : 디스플레이부 195 : 센서부

Claims (34)

  1. 카드의 내부에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부를 구비하고 카드의 일 면에 숫자 또는 문자를 표시 가능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비접촉식 오티피카드에 있어서,
    카드의 외부로부터 안테나부로 인가되는 전자파 에너지 장의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카드의 일 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의 활성화를 판단하기 위해 설정된 기준 값 이상의 전원이 생성되는지 확인하는 전원 확인부;
    상기 기준 값 이상의 전원이 생성되지 않은 경우 상기 기준 값 이상의 전원이 생성될 때까지 대기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기준 값 이상의 전원이 생성된 경우에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OTP를 표시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동작 제어부;
    상기 기준 값 이상의 전원이 생성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OTP를 표시 가능한 상태로 활성화되는지 탐지하는 활성 탐지부;
    상기 기준 값 이상의 전원이 생성된 상태에서 상기 안테나부를 통해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판독하여 시간 값을 확인하는 시간 값 확인부;
    상기 확인된 시간 값을 지정된 코드 생성 알고리즘의 동적 씨드로 이용하여 지정된 코드체계의 OTP(One Time Password)를 동적 생성하는 OTP 생성부; 및
    상기 활성화된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동적 생성된 OTP가 표시되게 제어하는 OTP 표시부;를 구비하는 비접촉식 오티피카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부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카드의 일 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를 활성화하기 위한 전원의 기준 값을 설정하는 정보 저장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오티피카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부를 통해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판독하여 인증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인증정보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인증 처리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오티피카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값 이상의 전원이 인가된 경우에 상기 안테나부를 통해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판독하여 시간 값을 확인하도록 제어하는 동작 제어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오티피카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값 이상의 전원이 인가된 경우에 상기 안테나부를 통해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판독하여 확인된 시간 값을 동적 씨드로 이용하여 OTP를 동적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동작 제어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오티피카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활성화된 경우에 상기 안테나부를 통해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판독하여 시간 값을 확인하도록 제어하는 동작 제어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오티피카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활성화된 경우에 상기 안테나부를 통해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판독하여 확인된 시간 값을 동적 씨드로 이용하여 OTP를 동적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동작 제어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오티피카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주파수 신호의 소스에 대응하는 무선단말과 상기 카드가 밀착한 상태인지 확인하는 상태 확인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오티피카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단말과 카드가 밀착한 경우에 상기 안테나부를 통해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판독하여 시간 값을 확인하도록 제어하는 동작 제어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오티피카드.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단말과 카드가 밀착한 경우에 상기 안테나부를 통해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판독하여 확인된 시간 값을 동적 씨드로 이용하여 OTP를 동적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동작 제어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오티피카드.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주파수 신호의 소스에 대응하는 무선단말과 상기 카드가 밀착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노출된 상태인지 확인하는 상태 확인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오티피카드.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단말과 카드가 밀착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가 노출된 경우에 상기 안테나부를 통해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판독하여 시간 값을 확인하도록 제어하는 동작 제어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오티피카드.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단말과 카드가 밀착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가 노출된 경우에 상기 안테나부를 통해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판독하여 확인된 시간 값을 동적 씨드로 이용하여 OTP를 동적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동작 제어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오티피카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KR1020140013713A 2014-02-06 2014-02-06 비접촉식 오티피카드 KR1023199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3713A KR102319986B1 (ko) 2014-02-06 2014-02-06 비접촉식 오티피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3713A KR102319986B1 (ko) 2014-02-06 2014-02-06 비접촉식 오티피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3281A KR20150093281A (ko) 2015-08-18
KR102319986B1 true KR102319986B1 (ko) 2021-11-02

Family

ID=54057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3713A KR102319986B1 (ko) 2014-02-06 2014-02-06 비접촉식 오티피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99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15734A (zh) * 2020-03-20 2020-07-14 四川南格尔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有源医疗器械的使用期限管理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6611B1 (ko) * 2012-11-14 2013-02-05 주식회사 미래테크놀로지 엔에프씨 칩이 내장된 핸드폰을 이용한 보안카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3218B1 (ko) * 2011-01-27 2017-07-31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동적 번호 생성 카드
KR101788149B1 (ko) * 2013-06-13 2017-10-20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오티피 생성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6611B1 (ko) * 2012-11-14 2013-02-05 주식회사 미래테크놀로지 엔에프씨 칩이 내장된 핸드폰을 이용한 보안카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3281A (ko) 2015-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00250B2 (en) Indicati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tag
US9098734B2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presence recognition of a second portable data carrier by a first portable data carrier
US20080230615A1 (en) Near-field communication card for communication of contact information
KR101899334B1 (ko) 지문 인식 카드 및 지문 인식 카드를 이용한 전원 동작 방법
US20150294126A1 (en) Mechanically Programmable RFID
JP2007512611A (ja) タグ及びスマートカードのための妨害器
EP209529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ction control of rfid system
US20130113606A1 (en) Passive Wireless Article with Passcode Touch Sensor Array
KR101756238B1 (ko) 스마트 카드 및 그 제어 방법 및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9626673B2 (en) Financial transaction based on device-to-device communications
US20150294295A1 (en) Integrated RFID Capable Communication Device
JP4676324B2 (ja) 非接触icメディアとの間で通信を行う端末装置及びその通信方法
US10810578B2 (en) RFID financial device including mechanical switch
KR20080023712A (ko) 인증 정보 카드와 근거리 무선 통신 칩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무선 통신 기능을 제어하는 장치
JP2007180598A5 (ko)
KR102319986B1 (ko) 비접촉식 오티피카드
KR102243011B1 (ko)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비접촉식 카드
KR20120099168A (ko) 동적 번호와 코드 이미지를 통한 일회용 카드 제공 방법과 이를 위한 카드 및 스마트폰
KR20180106459A (ko) 스마트카드 및 카드 기능 활성화 방법
JP2010178205A (ja) リーダ/ライタ、プログラム、非接触通信システム及び非接触通信装置
US11270182B2 (en) RFID financial device including mechanical switch
US10628722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enhance the security of contact-less cards
KR101755592B1 (ko) 스마트 카드 및 그 제어 방법 및 휴대용 단말기
JP2004240715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5077676B2 (ja) 読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