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9538B1 - 영상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및 3차원 영상 생성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영상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및 3차원 영상 생성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9538B1
KR102319538B1 KR1020150182748A KR20150182748A KR102319538B1 KR 102319538 B1 KR102319538 B1 KR 102319538B1 KR 1020150182748 A KR1020150182748 A KR 1020150182748A KR 20150182748 A KR20150182748 A KR 20150182748A KR 102319538 B1 KR102319538 B1 KR 102319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s
image
viewpoint
generating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2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3937A (ko
Inventor
조양호
남동경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82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9538B1/ko
Priority to US15/210,266 priority patent/US10602120B2/en
Publication of KR20170073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39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9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95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94Transmission of imag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11Transformation of image signals corresponding to virtual viewpoints, e.g. spatial image interpo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28Adjusting depth or dispa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39Format conversion, e.g. of frame-rate or siz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56Mixing imag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61Encoding, multiplexing or demultiplexing different image signal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및 3차원 영상 생성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는 위빙된 패널 영상에 기반하여 복수의 시점들에 대한 영상들을 생성하고, 영상들에 기반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영상 데이터를 타겟 장치로 전송한다. 영상 데이터를 수신한 영상 장치는 영상 데이터에 기반하여 제1 영상들을 생성하고, 제1 영상들 중 제2 영상들을 결정하고, 제2 영상들을 위빙하여 패널 영상을 생성한다.

Description

영상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및 3차원 영상 생성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IMAGE DATA,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3DIMENSION IMAGE}
아래의 실시예들은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및 패널 영상 생성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복수의 스크린들 또는 디스플레이들을 위한 3차원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N-스크린(N-screen) 서비스는 복수 개의 장치들로 같은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 서비스로서, 하나의 컨텐츠를 스마트폰, PC, 스마트 TV 및 태블릿 PC 등 다양한 장치들에서 공유할 수 있는 차세대 컴퓨팅 네트워크 서비스를 의미한다.
N-스크린 서비스는 장치의 종류에 관계 없이 일정한 크기 및 해상도를 갖는 컨텐츠를 장치에 제공하는 방식일 수 있다. 예를 들어, N-스크린 서비스는 작은 디스플레이를 갖는 핸드폰 및 큰 디스플레이를 갖는 IPTV에 동일한 해상도의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영상 데이터 전송 방법은 디스플레이의 영상 표현 패턴에 따라 위빙(weaving)된 패널 영상에 기반하여 시점 영상들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시점 영상들을 프로세싱하여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데이터를 타겟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영상 데이터 전송 방법은 하나 이상의 입력 영상들에 기반하여 하나 이상의 가상 시점의 영상들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영상들 및 상기 가상 시점의 영상들을 위빙하여 상기 패널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상 시점의 영상들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영상들을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하는 단계, 상기 캘리브레이션된 입력 영상들에 기반하여 상기 입력 영상들의 깊이 값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깊이 값에 기반하여 상기 가상 시점의 영상들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캘리브레이션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영상들 내의 기하학적 구조 및 입력 영상들 간의 광학적 차이 중 적어도 하나를 캘리브레이션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패널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영상들 및 상기 가상 시점의 영상들을 각각 샘플링하여 상기 패널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패널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표현 패턴에 기반하여 상기 입력 영상들 및 상기 가상 시점의 영상들을 각각 샘플링하여 상기 패널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영상들을 프로세싱하여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들을 압축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다른 일 측면에 따른, 영상 데이터 전송 장치는 디스플레이의 영상 표현 패턴에 따라 위빙(weaving)된 패널 영상에 기반하여 시점 영상들을 생성하고, 상기 시점 영상들을 프로세싱하여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영상 데이터를 타겟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입력 영상들에 기반하여 하나 이상의 가상 시점의 영상들을 생성하고, 상기 입력 영상들 및 상기 가상 시점의 영상들을 위빙함으로써 상기 패널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른, 영상 생성 방법은 외부 장치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여 제1 영상들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상들 중 디스플레이가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시점에 기반하여 하나 이상의 제2 영상들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영상들을 위빙(weaving)하여 패널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영상 표현 패턴에 따라 상기 제2 영상들을 위빙하여 상기 패널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제2 영상들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표현할 수 있는 깊이의 범위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영상들을 결정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패널 영상 생성 방법은 상기 제2 영상들의 해상도를 개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널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해상도가 개선된 상기 제2 영상들에 기반하여 상기 패널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해상도를 개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영상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영상들의 해상도를 개선하는 단계일 수 있다.
제1 영상들을 획득하는 단계는, 압축되어 있는 상기 영상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상기 제1 영상들을 획득하는 단계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른, 패널 영상 생성 장치는 외부 장치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여 제1 영상들을 획득하고, 상기 제1 영상들 중 디스플레이가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시점에 기반하여 하나 이상의 제2 영상들을 결정하고, 상기 제2 영상들을 위빙(weaving)하여 패널 영상을 생성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표현할 수 있는 깊이의 범위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영상들을 결정할 수 있다.
도 1은 일 예에 따른 복수의 스크린들을 이용한 3차원 영상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데이터 전송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데이터 전송 방법의 구성도이다.
도 4는 일 예에 따른 가상 시점의 영상을 생성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일 예에 따른 가상 시점을 도시한다.
도 6은 일 예에 따른 패널 영상을 위빙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7은 일 예 따른 패널 영상에 기반하여 시점 영상들을 생성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생성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생성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0은 일 예에 따른 패널 영상을 도시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특허출원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일 예에 따른 복수의 스크린들을 이용한 3차원 영상 시스템을 도시한다.
3차원 영상 시스템은 메인 장치(110) 및 하나 이상의 서브 장치들(120 및 130)를 포함한다. 3차원 영상 시스템은 복수의 스크린들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3차원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메인 장치(110) 및 하나 이상의 서브 장치들(120 및 130)는 동일한 영상에 대해, 각각의 장치의 성능에 따라 3차원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제공되는 3차원 영상은 무안경 방식의 다시점 영상 또는 라이트 필드(light field) 영상일 수 있다. 각각의 장치는 3차원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점 영상은 복수의 시점들 각각의 위치에 시점 영상을 제공하는 영상일 수 있다. 라이트 필드 영상은 다시점 영상에 비해 넓은 영역에 대해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는 렌티큘러 렌즈(lenticular lens) 또는 배리어(barri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및 디렉셔널 백라이트(directional backlight)를 포함할 수 있다.
무안경 방식의 3차원 영상을 제공하기 위해, 각각의 장치는 복수의 2차원 영상들을 위빙(weaving)하여 패널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각각의 장치는 디스플레이의 영상 표현 패턴에 따라 2차원 영상들을 위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시점 영상을 제공하는 경우, 영상 표현 패턴은 장치가 제공할 수 있는 시점들의 개수 및 각 시점을 표현하는 방식일 수 있다. 다른 예로, 라이트 필드 영상을 제공하는 경우, 영상 표현 패턴은 3차원 영상을 제공하기 위해 렌즈 또는 배리어를 조정하는 방법일 수 있다.
복수의 2차원 영상들은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실제 영상 및 가상 시점의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가상 시점은 실제 영상의 시점과 상이할 수 있으며, 가상 시점의 영상은 실제 영상에 기반하여 생성될 수 있다. 가상 시점의 영상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많은 연산량이 요구될 수 있다. 가상 시점의 영상을 처리하는 장치가 모바일 장치인 경우, 가상 시점의 영상은 실시간으로 생성되지 않을 수 있다.
3차원 영상 시스템은, 데이터 처리 능력이 좋은 메인 장치(110)가 가상 시점의 영상을 생성하고, 서브 장치(120)가 메인 장치(110)가 생성한 가상 시점의 영상에 기반하여 3차원 영상을 생성하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3차원 영상 제공 방법에 대해, 아래에서 도 2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데이터 전송 장치의 구성도이다.
메인 장치(110)는 영상 데이터 전송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데이터 전송 장치(200)는 3차원 영상을 제공하기 위해 이용되는 영상 데이터를 서브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영상 데이터 전송 장치(200)는 통신부(210), 프로세서(220) 및 저장부(230)를 포함한다.
통신부(210)는 외부 장치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210)는 영상 데이터를 서브 장치(120)로 전송한다.
프로세서(220)는 통신부(210)가 수신한 데이터 및 저장부(230)에 저장된 데이터를 처리한다.
저장부(230)는 통신부(210)가 수신한 데이터 및 프로세서(220)가 처리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통신부(210), 프로세서(220) 및 저장부(230)에 대해, 하기에서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데이터 전송 방법의 구성도이다.
프로세서(220)는 3차원 영상을 생성하기 위해, 아래의 단계들(310 및 330)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310)에서, 하나 이상의 입력 영상들에 기반하여 하나 이상의 가상 시점의 영상들이 생성된다. 가상 시점에 대해, 아래에서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예를 들어, 입력 영상은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 및 다른 장치에 의해 생성된 가상 시점의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영상이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입력 영상에 가상 시점의 영상이 포함된 경우, 단계(310)에서 생성되는 가상 시점의 영상은 추가의 가상 시점의 영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영상의 픽셀들을 와핑(warping)하여 가상 시점의 영상이 생성될 수 있다. 생성된 가상 시점의 영상은 홀(hole)을 포함할 수 있으며, 홀이 복원될 수 있다.
가상 시점의 영상을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 아래에서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단계(320)에서, 하나 이상의 입력 영상 및 가상 시점의 영상이 위빙되어 패널 영상이 생성된다. 패널 영상은 3차원 영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영상들 및 가상 시점의 영상들을 각각 샘플링하여 패널 영상이 생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의 영상 표현 패턴에 기반하여 입력 영상들 및 가상 시점의 영상들이 각각 샘플링되어 패널 영상이 생성될 수 있다. 패널 영상은 디스플레이 방식에 따라, 다시점 영상 또는 라이트 필드 영상일 수 있다.
패널 영상에 대해, 아래에서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단계(330)에서,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패널 영상이 디스플레이된다.
프로세서(220)는 서브 장치(120)로 전송하는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아래의 단계들(340 및 360)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340)에서, 시점 영상들이 생성된다. 시점 영상은 특정 시점에서 촬영된 영상일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패널 영상에 기반하여 시점 영상들이 생성된다. 생성된 시점 영상들의 각각은 하나 이상의 입력 영상 및 가상 시점의 영상에 각각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점 영상들의 해상도는 하나 이상의 입력 영상들 및 가상 시점의 영상들의 해상도에 비해 낮을 수 있다.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전술된 단계(310)에서 생성된, 하나 이상의 입력 영상들 및 가상 시점의 영상들을 샘플링함으로써 시점 영상들이 생성될 수 있다. 즉, 단계(310)에서 생성된 영상들을 이용하여 시점 영상들이 생성되는 경우, 단계들(320 및 330)은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시점 영상들에 대해, 아래에서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단계(350)에서, 시점 영상들이 프로세싱되어 영상 데이터로 변환된다. 예를 들어, 시점 영상들이 각각 압축되어 처리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시점 영상들이 하나의 영상으로 병합될 수 있고, 병합된 영상이 압축될 수 있다.
단계(360)에서, 영상 데이터가 하나 이상의 타겟 장치(target device)로 전송된다. 하나 이상의 타겟 장치는 전술된 서브 장치들(120 및 130)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방식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일 수 있다. 단계(360)는 통신부(2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4는 일 예에 따른 가상 시점의 영상을 생성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전술된 단계(310)는 아래의 단계들(410 내지 430)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410)에서, 하나 이상의 입력 영상들을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입력 영상들은 스테레오스코픽(stereoscopic) 영상들일 수 있다. 입력 영상들 내의 기하학적 구조(geographical structure) 및 입력 영상들 간의 광학적 차이(photometric difference) 중 적어도 하나가 캘리브레이션될 수 있다.
단계(420)에서, 캘리브레이션된 입력 영상들에 기반하여 입력 영상들의 깊이 값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영상들에 대한 깊이 값을 나타내는 깊이 맵(depth map)이 생성될 수 있다.
단계(430)에서, 입력 영상들의 깊이 값에 기반하여 하나 이상의 가상 시점의 영상들이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영상의 픽셀이 와핑되어 가상 시점의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되는 초기 가상 시점의 영상은 홀을 포함할 수 있으며, 홀이 복원되어 가상 영상이 생성될 수 있다. 입력 영상 및 생성된 다른 시점의 가상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가상 영상의 홀이 복원될 수 있다.
도 5는 일 예에 따른 가상 시점을 도시한다.
입력 영상들은 동일한 시간에 동일한 장면(scene)(500)을 상이한 시점들(501 및 502)에서 촬영한 영상일 수 있다. 가상 시점의 영상들은 입력 영상들의 시점들(501 및 502)과 상이한 시점들(512, 513 및 514)에서 촬영한 영상과 대응할 수 있다. 즉, 가상 시점의 영상은 시점들(512, 513 및 514)에서 직접 촬영된 영상은 아니며, 입력 영상들을 후-처리(post-processing)하여 생성되는 영상일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장치(200)가 다시점 영상의 3차원 영상을 제공하는 경우, 가상 시점의 영상의 시점들(512, 513 및 514)의 위치 및 개수는 디스플레이가 패널 영상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시점들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가 5 개의 시점들에 대한 영상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고, 입력 영상들이 2 개의 시점들(501 및 502)에 대한 영상인 경우, 가상 시점의 영상의 시점들(512, 513 및 514)의 개수는 3 일 수 있다. 가상 시점의 영상의 시점들(512, 513 및 514)의 위치는 디스플레이의 영상 표현 패턴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렌티큘러 렌즈의 특성을 고려하여 가상 시점의 영상의 시점들(512, 513 및 514)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장치(200)가 라이트 필드 영상의 3차원 영상을 제공하는 경우, 가상 시점의 영상의 시점들(512, 513 및 514)의 위치 및 개수는 디스플레이의 3차원 영상 출력 범위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3차원 영상 출력 범위는 디스플레이가 사용자에게 3차원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범위일 수 있다.
도 6은 일 예에 따른 패널 영상을 위빙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하나 이상의 입력 영상 및 가상 시점의 영상(610 내지 650)을 위빙하여 패널 영상(660)이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들(620 및 640)는 도 5를 참조하여 전술된 시점들(501 및 502)에 대응하는 입력 영상들이고, 영상들(610, 630 및 650)은 시점들(512, 513 및 514)에 대응하는 가상 시점의 영상들일 수 있다. 각각의 영상들 내의 숫자는 픽셀을 나타낸다.
디스플레이의 영상 표현 패턴에 기반하여 하나 이상의 입력 영상 및 가상 시점의 영상(610 내지 650)의 픽셀들이 위빙될 수 있다. 도시된 패널 영상(660)의 위빙 패턴은 일 예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다시점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패널 영상이 생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라이트 필드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패널 영상이 생성될 수 있다.
생성된 패널 영상(660)은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도 7은 일 예 따른 패널 영상에 기반하여 시점 영상들을 생성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프로세서(220)는 패널 영상(660)에 기반하여 시점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성되는 시점 영상의 개수는 패널 영상(660)을 생성하기 위해 이용된 영상들(610 내지 650)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시점 영상들(710 내지 750) 각각의 시점은 영상들(610 내지 650) 각각의 시점과 각각 대응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영상들(710 내지 750)은 영상들(610 내지 650)과 동일할 수 있다.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영상들(710 내지 750)의 해상도는 영상들(610 내지 650)의 해상도에 비해 낮을 수 있다. 영상들(610 내지 650)을 샘플링하여 패널 영상(660)이 생성되기 때문에, 패널 영상(660)의 해상도는 영상들(610 내지 650)에 비해 해상도가 낮을 수 있고, 패널 영상(660)에 기반하여 생성되는 영상들(710 내지 750)의 해상도도 영상들(610 내지 650)에 비해 낮을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생성 장치의 구성도이다.
서브 장치(120)는 영상 생성 장치(800)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생성 장치(800)는 3차원 영상을 제공하기 위해 이용되는 영상 데이터를 메인 장치 (110)로부터 수신한다.
영상 생성 장치(800)는 통신부(810), 프로세서(820) 및 저장부(830)를 포함한다.
통신부(810)는 외부 장치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810)는 영상 데이터를 메인 장치(120)로부터 수신한다.
프로세서(820)는 통신부(810)가 수신한 데이터 및 저장부(830)에 저장된 데이터를 처리한다.
저장부(830)는 통신부(810)가 수신한 데이터 및 프로세서(820)가 처리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통신부(810), 프로세서(820) 및 저장부(830)에 대해, 하기에서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생성 방법의 흐름도이다.
단계(910)에서, 통신부(810)는 영상 데이터를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한다. 외부 장치는 메인 장치(110) 또는 영상 데이터 전송 장치(200)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데이터는 압축된 데이터일 수 있다.
단계들(920 내지 960)은 프로세서(8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단계(920)에서,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여 제1 영상들이 획득된다. 예를 들어, 영상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제1 영상들이 획득될 수 있다. 제1 영상들은 도 7을 참조하여 전술된 시점 영상들(710 내지 750)에 대응할 수 있다.
단계(930)에서, 제1 영상들 중 서브 장치(120)의 디스플레이가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시점에 기반하여 하나 이상의 제2 영상들이 결정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가 제1 영상들의 시점들을 모두 제공할 수 있는 경우, 모든 제1 영상들이 제2 영상들로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디스플레이가 제1 영상들의 시점들 중 일부만을 제공할 수 있는 경우, 제1 영상들 중 일부가 제2 영상들로 결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디스플레이가 표현할 수 있는 깊이의 범위에 기반하여 제2 영상들이 결정될 수 있다.
단계(940)에서, 제2 영상들의 해상도가 개선된다.
일 측면에 따르면, 제1 영상들을 이용하여 제2 영상들의 해상도가 개선될 수 있다. 제2 영상을 업-스케일링(up-scaling)하는 경우 하나의 픽셀 값을 이용하여 생성된 복수의 픽셀들은 동일한 픽셀 값들을 가질 수 있다. 제2 영상의 동일한 픽셀 값을 갖는 인접한 픽셀들 중 일부의 픽셀들의 값이 제1 영상들을 이용하여 조정될 수 있다. 제2 영상의 시점과 상이한 시점의 제1 영상은 업-스케일 전의 제2 영상의 인접하는 픽셀들 사이를 나타내는 픽셀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상의 상기의 픽셀 값을 이용하여 업-스케일된 제2 영상의 픽셀의 픽셀 값이 조정될 수 있다.
단계(950)에서, 제2 영상들을 위빙하여 패널 영상이 생성된다. 예를 들어, 서브 장치(120)의 디스플레이의 영상 표현 패턴에 따라 제2 영상들을 위빙하여 패널 영상이 생성될 수 있다. 패널 영상을 생성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단계(320)에 대한 설명이 참조될 수 있다.
단계(960)에서, 패널 영상이 디스플레이된다.
도 10은 일 예에 따른 패널 영상을 도시한다.
제1 영상들(710 내지 750) 중 제2 영상들(720, 730 및 740)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시점 영상을 제공하기 위해, 디스플레이가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시점에 기반하여 제2 영상들(720, 730 및 740)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라이트 필드 영상을 제공하기 위해, 3차원 영상 출력 범위에 기반하여 제2 영상들(720, 730 및 740)을 결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의 영상 표현 패턴에 기반하여 제2 영상들(720, 730 및 740)을 위빙하여 패널 영상(1010)이 생성될 수 있다. 도시된 패널 영상(1010)의 위빙 패턴은 일 예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패널 영상(1010)이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영상 생성 장치(800)는 메인 장치(110)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영상 데이터는 제1 영상들에 관한 것일 수 있다. 영상 생성 장치(800)가 가상 시점에 대한 가상 영상을 생성하는 과정을 수행하지 않으므로, 영상 생성 장치(800)가 처리하는 연산량이 줄어들 수 있다. 영상 생성 장치(800)가 처리하는 연산량이 줄어들게 되므로 서브 장치(120)는 3차원 영상을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200: 영상 데이터 전송 장치
210: 통신부
220: 프로세서
230: 저장부
800: 영상 생성 장치
810: 통신부
820: 프로세서
830: 저장부

Claims (19)

  1. 패널 영상을 샘플링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시점 영상들을 생성하는 단계 - 상기 패널 영상은 디스플레이의 영상 표현 패턴에 따라 복수의 영상들을 위빙함으로써 생성됨 -;
    상기 시점 영상들을 프로세싱함으로써 상기 시점 영상들의 타겟 영상을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데이터를 타겟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타겟 영상은 상기 타겟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 가능한 시점에 기반하여 상기 시점 영상들부터 결정되는,
    영상 데이터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입력 영상들에 기반하여 하나 이상의 가상 시점의 영상들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영상들 및 상기 가상 시점의 영상들을 위빙하여 상기 패널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 전송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시점의 영상들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영상들을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하는 단계;
    상기 캘리브레이션된 입력 영상들에 기반하여 상기 입력 영상들의 깊이 값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깊이 값에 기반하여 상기 가상 시점의 영상들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 전송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캘리브레이션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영상들 내의 기하학적 구조 및 입력 영상들 간의 광학적 차이 중 적어도 하나를 캘리브레이션하는 단계인,
    영상 데이터 전송 방법.
  5. 하나 이상의 입력 영상들에 기반하여 하나 이상의 가상 시점의 영상들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입력 영상들 및 상기 가상 시점의 영상들을 위빙(weaving)하여 패널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위빙된 패널 영상에 기반하여 시점 영상들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시점 영상들을 프로세싱하여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데이터를 타겟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영상들 및 상기 가상 시점의 영상들을 각각 샘플링하여 상기 패널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인,
    영상 데이터 전송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디스플레이의 영상 표현 패턴에 기반하여 상기 입력 영상들 및 상기 가상 시점의 영상들을 각각 샘플링하여 상기 패널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인,
    영상 데이터 전송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들을 프로세싱하여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들을 압축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인,
    영상 데이터 전송 방법.
  8. 패널 영상을 샘플링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시점 영상들을 생성하고, 상기 시점 영상들을 프로세싱함으로써 상기 시점 영상들의 타겟 영상을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영상 데이터를 타겟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 영상은 디스플레이의 영상 표현 패턴에 따라 복수의 영상들을 위빙함으로써 생성되고,
    상기 타겟 영상은 상기 타겟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 가능한 시점에 기반하여 상기 시점 영상들로부터 결정되는,
    영상 데이터 전송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입력 영상들에 기반하여 하나 이상의 가상 시점의 영상들을 생성하고, 상기 입력 영상들 및 상기 가상 시점의 영상들을 위빙함으로써 상기 패널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데이터 전송 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하나 이상의 입력 영상들을 각각 샘플링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시점 영상들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시점 영상들을 프로세싱하여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데이터를 타겟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시점 영상들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영상들에 기반하여 하나 이상의 가상 시점의 영상들을 생성하는 단계; 및
    하나 이상의 입력 영상들 및 하나 이상의 가상 시점의 영상들에 기반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시점 영상들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 시점의 영상들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영상들을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하는 단계;
    상기 캘리브레이션된 입력 영상들에 기반하여 상기 입력 영상들의 깊이 값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깊이 값에 기반하여 상기 가상 시점의 영상들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 전송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캘리브레이션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영상들 내의 기하학적 구조 및 입력 영상들 간의 광학적 차이 중 적어도 하나를 캘리브레이션하는 단계인,영상 데이터 전송 방법.
KR1020150182748A 2015-12-21 2015-12-21 영상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및 3차원 영상 생성 방법 및 장치 KR102319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2748A KR102319538B1 (ko) 2015-12-21 2015-12-21 영상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및 3차원 영상 생성 방법 및 장치
US15/210,266 US10602120B2 (en) 2015-12-21 2016-07-14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image data,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3D im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2748A KR102319538B1 (ko) 2015-12-21 2015-12-21 영상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및 3차원 영상 생성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3937A KR20170073937A (ko) 2017-06-29
KR102319538B1 true KR102319538B1 (ko) 2021-10-29

Family

ID=59066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2748A KR102319538B1 (ko) 2015-12-21 2015-12-21 영상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및 3차원 영상 생성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602120B2 (ko)
KR (1) KR1023195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8466B1 (ko) 2016-11-22 2023-1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처리 방법 및 영상 처리 장치
EP4014484A4 (en) * 2019-12-27 2022-10-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CN114387151A (zh) * 2020-10-21 2022-04-22 宏碁股份有限公司 3d显示系统与3d显示方法
TWI775397B (zh) * 2021-04-21 2022-08-21 宏碁股份有限公司 3d顯示系統與3d顯示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01336B2 (en) * 2001-05-04 2013-03-19 Legend3D, Inc. System and method for rapid image sequence depth enhancement with augmented computer-generated elements
JP4355914B2 (ja) 2003-10-01 2009-11-04 日本電気株式会社 多視点画像伝送システムと方法、多視点画像圧縮装置と方法、多視点画像伸長装置と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874226B1 (ko) 2007-01-10 2008-12-16 광주과학기술원 다시점 화상 및 3차원 오디오 송수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송수신 방법
KR101502597B1 (ko) * 2008-11-13 2015-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심도 입체 영상 표시가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101781869B1 (ko) * 2011-06-16 2017-09-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변환장치
KR101249901B1 (ko) 2011-06-22 2013-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US10165250B2 (en) * 2011-08-12 2018-12-25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coding and transmitting 3D video sequenc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30073293A1 (en) 2011-09-20 2013-03-21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40108435A (ko) 2013-02-27 2014-09-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멀티 플레이어 온라인 게임을 위한 다시점 렌더링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다시점 렌더링 서버
KR20140131083A (ko) * 2013-05-03 2014-11-12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료 영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5683756B1 (ja) 2013-10-01 2015-03-11 株式会社電通 多視点動画配置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3937A (ko) 2017-06-29
US10602120B2 (en) 2020-03-24
US20170180700A1 (en) 2017-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1686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 light field based image on a user's device, and corresponding computer program product
US11189043B2 (en) Image reconstruction for virtual 3D
CN110709892A (zh) 基于三维(“3d”)场景的二维(“2d”)捕获图像,渲染虚拟现实内容的方法和系统
CN103202026B (zh) 图像转换设备及使用其的显示设备和方法
KR20190052089A (ko) 명시야 데이터를 사용하여 장면을 표현하는 포인트 클라우드를 재구성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US20110298898A1 (en) Three dimensional image generating system and method accomodating multi-view imaging
KR20170132669A (ko) 몰입형 비디오 포맷을 위한 방법, 장치 및 스트림
KR101944911B1 (ko) 영상 처리 방법 및 영상 처리 장치
KR102319538B1 (ko) 영상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및 3차원 영상 생성 방법 및 장치
JP6002043B2 (ja) 立体視強度調整装置、立体視強度調整方法、プログラム、集積回路、記録媒体
US10271038B2 (en) Camera with plenoptic lens
JP2019114842A (ja) 画像処理装置、コンテンツ処理装置、コンテンツ処理システム、および画像処理方法
US10354399B2 (en) Multi-view back-projection to a light-field
WO2021081568A2 (en) Advanced stereoscopic rendering
US10298914B2 (en) Light field perception enhancement for integral display applications
KR102265109B1 (ko) 영상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2459850B1 (ko) 3d 이미지 처리 방법 및 장치, 및 그래픽 처리 장치
KR20140118083A (ko) 입체 영상 제작 시스템 및 깊이 정보 획득방법
US10354435B2 (en) Tridimensional rendering with adjustable disparity direction
US20120170841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CN111034193B (zh) 多源视频稳定
CN107845108B (zh) 一种光流值计算方法、装置及电子设备
US11579746B2 (en) Dynamic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arbitrary viewpoint image generation technology
US11758101B2 (en) Restoration of the FOV of images for stereoscopic rendering
Gurrieri et al. Stereoscopic cameras for the real-time acquisition of panoramic 3D images and video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