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9444B1 - E-모빌리티 발열식 손잡이 - Google Patents

E-모빌리티 발열식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9444B1
KR102319444B1 KR1020210056538A KR20210056538A KR102319444B1 KR 102319444 B1 KR102319444 B1 KR 102319444B1 KR 1020210056538 A KR1020210056538 A KR 1020210056538A KR 20210056538 A KR20210056538 A KR 20210056538A KR 102319444 B1 KR102319444 B1 KR 1023194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heating
unit
handle
mob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6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인범
Original Assignee
허인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인범 filed Critical 허인범
Priority to KR1020210056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94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9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9444B1/ko
Priority to PCT/KR2022/005659 priority patent/WO202223120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33/00Arrangements for warming rider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 B62K21/26Handlebar grip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27Applications
    • H05B1/023Industrial applications
    • H05B1/0236Industrial applications for vehic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한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크기 및 형태로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 감싸지도록 배치되는 발열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는, 내부 일 측에서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의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킥보드, 자전거, 또는 오토바이의 손잡이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손잡이 삽입부; 및 내부 타 측에서 상기 손잡이 삽입부의 소정 간격 이격되며,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터리가 삽입될 수 있는 소정 길이의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배터리가 삽입될 수 있는 배터리 삽입부;를 포함하여, 상기 발열부재는 배터리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기 설정된 온도로 발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모빌리티 발열식 손잡이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E-모빌리티 발열식 손잡이{E-MOBILITY HEATING HANDLE}
본 발명은 E-모빌리티 발열식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이 많이 사용하는 전동식 퀵보드는 우리가 흔히 말하는 퀵보드를 기본 형태로 취하고 거기에 전동 관련장치를 달아서 전기의 힘으로 달릴 수 있는 탈것을 의미한다.
어린이용부터 시작해서 익스트림 기종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제품들이 출시되어 있다. 보통 레저용으로 사용하는데 성능이 일정수준 이상 되는 기종은 단순 레져용을 넘어서 출퇴근용이나 캠핑, 혹은 그 이상의 용도로 쓰이기도 한다. 자전거를 타다가 질려서, 오토바이는 위험하다고 생각하여 대체할 만한 수단을 찾다가, 대중교통 대신 이용할 만한 교통수단을 찾다가, 기름넣는 것이 귀찮아서 등 여러가지 다른 경로나 상황에 맞춰서 입문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일반적인 전동퀵보드는 고속으로 주행되기 때문에 사고시 큰 인명피해를 보게 되는 경우가 많으며 따라서 안전한 퀵보드의 사용은 퀵보드 사용자에게 반드시 필요한 준수사항이 되었다.
이러한 퀵보드를 동절기에 사용하게 될 때 승차 시 손잡이를 잡는 사용자의 손이 한파로 인해 마비될 정도로 손이 시리게 되고 심한 경우 동상의 문제까지 생기게 되며 이는 퀵보드나 전동삭 퀵보드의 사고로 이어지는 위험이 발생된다.
따라서, 방한용장갑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러한 방한용 장갑은 가죽, 비닐, 인조가죽 또는 방수원단 또는 합성섬유 등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외피와 주로 천연섬유 또는 합성섬유 재질로 이루어지는 내피를 겹쳐 봉제하여 제작하게 된다.
그러나, 외부의 찬 기온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하여 외피가 두터운 장갑을 사용했을 시, 이러한 장갑은 손을 자유로이 움직이는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손을 자유로이 움직이기 위해 면과 같은 재질의 천을 사용하거나 외피가 얇은 장갑을 사용했을 시에는, 외부의 찬 기온이 유입되어 보온의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11755호(2021.01.28)
본 발명은 겨울철 퀵보드나 자전거, 오토바이 등의 탈 것을 이용할 때, 탈 것의 손잡이에 체결하여, 그날의 기온과 킥보드84+0 사용시간에 적합하도록 사용자의 손을 따뜻하게 하는 발열온도를 설정하여, 추운 겨울날 불편한 방한용 장갑을 끼지 않고도 따뜻하고 안전하게 킥보드와 같은 탈 것을 운행할 수 있는 E-모빌리티 발열식 손잡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탈것의 손잡이에 착탈이 편리하여, 휴대하고 다니다가 공용 탈 것에 장착하여 따뜻하게 이동할 수 있는 E-모빌리티 발열식 손잡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한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크기 및 형태로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 감싸지도록 배치되는 발열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는, 내부 일 측에서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의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킥보드, 자전거, 또는 오토바이의 손잡이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손잡이 삽입부; 및 내부 타 측에서 상기 손잡이 삽입부의 소정 간격 이격되며,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터리가 삽입될 수 있는 소정 길이의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배터리가 삽입될 수 있는 배터리 삽입부;를 포함하여, 상기 발열부재는 배터리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기 설정된 온도로 발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모빌리티 발열식 손잡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배터리 삽입부의 개방된 일 단부를 차폐하는 마개부와, 내부에 위치된 배터리의 일 단과 연결되는 단자부를 포함하는 커버; 및 상기 배터리 삽입부의 타 단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내부에 위치된 배터리의 타 단과 연결되는 전선이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인출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모빌리티 발열식 손잡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열부재는, 상기 배터리와 연결된 전선과 연결되어 전류를 공급받으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발열되는 사용자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모빌리티 발열식 손잡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열부재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부와, 상기 발열부재의 발열 영역을 조절하는 모드변경부;를 포함하는 온도 설정 유닛을 더 포함하되, 상기 발열부재는, 상기 본체의 양 측과 상부를 감싸는 영역의 제1 영역부재; 및 상기 제1 영역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제1 영역부재 이외의 상기 본체 하부를 감싸는 제2 영역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모드변경부는, 상기 제1 영역부재만 발열시키는 손잡이 모드; 및 상기 제1 영역부재와 상기 제2 영역부재를 동시에 발열시키는 손난로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모빌리티 발열식 손잡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겨울철 퀵보드나 자전거, 오토바이 등의 탈 것을 이용할 때, 탈 것의 손잡이에 체결하여, 그날의 기온과 킥보드 사용시간에 적합하도록 사용자의 손을 따뜻하게 하는 발열온도를 설정하여, 추운 겨울날 불편한 방한용 장갑을 끼지 않고도 따뜻하고 안전하게 킥보드와 같은 탈 것을 운행할 수 있다.
또한, 탈것의 손잡이에 착탈이 편리하여, 휴대하고 다니다가 공용 탈 것에 장착하여 따뜻하게 이동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모빌리티 발열식 손잡이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따른 본체의 우측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 따른 본체의 좌측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에 따른 본체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1에 따른 본체 내부를 투시도로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모빌리티 발열식 손잡이가 킥보드 손잡이에 체결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폭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E-모빌리티 발열식 손잡이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7에 따른 폭 조절부가 손잡이 삽입부에 위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 유닛, 온도 설정 유닛, 속도 제어 유닛, 결제 유닛, 모드 설정 유닛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10은 도 9에 따른 컨트롤 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11은 도 9에 따른 온도 설정 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12는 도 9에 따른 속도 제어 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13은 도 9에 따른 결제 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14는 도 9에 따른 모드 설정 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모빌리티 발열식 손잡이(1)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본체(10)의 우측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 따른 본체(10)의 좌측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1에 따른 본체(10)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1에 따른 본체(10) 내부를 투시도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모빌리티 발열식 손잡이(1)가 킥보드 손잡이에 체결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모빌리티 발열식 손잡이(1)는 본체(10) 및 발열부재(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사용자가 한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크기 및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본체(10)는 단면이 타원형으로 형성되며, 손잡이가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좌우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는 손잡이 삽입부(11), 배터리 삽입부(12), 커버(13), 인출홈(14) 및 전선(15)을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 삽입부(11)는 본체(10)의 내부 일 측에서 본체(10)의 길이 방향(즉, 좌우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의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킥보드, 자전거, 또는 오토바이의 손잡이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손잡이 삽입부(11)는 본체(10)의 내부 전방측에서 좌우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홈일 수 있다. 이때, 손잡이 삽입부(11)는 좌측이 개방되어, 손잡이가 좌측에서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배터리 삽입부(12)는 본체(10)의 내부 타 측에서 손잡이 삽입부(11)의 소정 간격 이격되며, 본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터리가 삽입될 수 있는 소정 길이의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배터리가 삽입될 수 있다. 일 예로, 배터리 삽입부(12)는 본체(10)의 내부 후방측에서 좌우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홈일 수 있다. 이때, 배터리 삽입부(12)는 우측이 개방되어, 배터리가 우측에서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커버(13)는 배터리 삽입부(12)의 개방된 우측 단부를 차폐하도록 우측 단부에 체결될 수 있다. 커버(13)는 마개부(131)와 단자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마개부(131)는 배터리 삽입부(12)의 개방된 우측 단부를 차폐하도록 우측 단부에 소정 길이 삽입될 수 있다.
단자부(132)는 마개부(131)의 좌측 단부에 연결되어 배터리 삽입부(12)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단자부(132)는 배터리 삽입부(12) 내부에 위치된 배터리의 일 단과 접촉 연결될 수 있다. 단자부(132)에는 배터리(건전지)의 - 부분이 접촉될 수 있다.
인출홈(14)은 배터리 삽입부(12)의 타 단부(즉, 좌측 단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인출홈(14)은 배터리 삽입부(12) 내부에 위치된 배터리의 타 단과 연결되는 전선(15)(또는 단자와 연결된 부분)이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일 예로, 인출홈(14)이 형성된 배터리 삽입부(12)의 단부에는 배터리(건전지)의 + 부분이 위치될 수 있다.
전선(15)은 배터리 삽입부(12) 내부에 위치된 배터리(건전지)의 + 부분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와 같은 부분과 연결되어, 인출홈(14)을 통해 본체(10)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전선(15)을 통해, 배터리의 전류를 발열부재(20)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본체(10)에는 출력단자부(16)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출력단자부(16)는 USB포트일 수 있다. 이를 활용하여 스마트 폰 등의 모바일 장치의 배터리를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발열부재(20)는 본체(10)의 외측면에 감싸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발열부재(20)는 전류를 공급받아 발열하는 소재일 수 있다. 발열부재(20)는 본체(10)의 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되며, 본체(10) 내부의 배터리로부터 전선(15)을 통해 전류를 공급받아 발열할 수 있다. 발열부재(20)는 기 설정된 온도 이상으로는 발열되지 않도록 형성되어, 화상의 위험을 예방할 수 있다.
발열부재(20)는 사용자패널(21)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패널(21)은 배터리와 연결된 전선(15)과 연결되어 전류를 공급받으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발열의 on/off 및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예로, 발열부재(20)는 사용자패널(21)에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발열의 on/off를 제어하거나, 발열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손잡이 삽입부(11)에 킥보드, 자전거, 오토바이 등의 손잡이를 삽입하여 탈 것에 E-모빌리티 발열식 손잡이(1)를 체결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패널(21)을 조작하여 발열부재(20)가 발열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E-모빌리티 발열식 손잡이(1)는 손잡이에 탈 부착이 가능하게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니다가, 개인 킥보드 뿐만 아니라, 공용 킥보드 이용시에도 사용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폭조절부(30)를 더 포함하는 E-모빌리티 발열식 손잡이(1)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7에 따른 폭조절부(30)가 손잡이 삽입부(11)에 위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발열부재(20)는 폭조절부(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폭조절부(30)는 손잡이 삽입부(11)에 삽입되어, 손잡이 삽입부(11) 내부 직경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폭조절부(30)는 손잡이 삽입부(11)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되, 탄성이 있는 소재로 형성되어 형상이 소정 범위 내에서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폭조절부(30)는 손잡이 삽입부(11) 내부 직경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되 두개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두개로 분리되어 형성되는 폭조절부(30)는 본체(10)의 좌우측에 각각 체결된 상태로 보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손잡이 삽입부(11)가 탈 것의 손잡이보다 큰 경우, 두 개의 폭조절부(30) 또는 두개중 어느 하나의 폭조절부(30)를 손잡이 삽입부(11)의 내부 직경이 밀착되도록 삽입하여, 손잡이 삽입부(11)의 내부 직경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손잡이 삽입부(11)에 손잡이가 고정된 상태가 완전히 고정되도록 폭조절부(30)가 패킹부재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유닛(40), 온도 설정 유닛(50), 속도 제어 유닛(60), 결제 유닛(70), 모드 설정 유닛(80)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따른 컨트롤유닛(4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모빌리티 발열식 손잡이(1)는 컨트롤유닛(40), 온도 설정 유닛(50), 속도 제어 유닛(60), 결제 유닛(70), 모드 설정 유닛(80)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유닛(40)은 제어부(41), 입력부(42), 통신부(43) 및 전원부(44)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41)는 입력부(42)를 통해 설정값에 따라 각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입력부(42)는 사용자패널(21)을 통해 발열부재(20)의 on/off, 설정 온도 등을 입력받으며, 외부 장치와 연결되어 결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통신부(43)는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예로, E-모빌리티 발열식 손잡이(1)의 정보를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전원부(44)는 발열식 손잡의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처럼, 컨트롤유닛(40)은 제어부(41), 입력부(42), 통신부(43) 및 전원부(44)의 구성을 통해 다른 구성들과 신호를 송수신하여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온도 설정 유닛(50)은 발열부재(20)의 발열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속도 제어 유닛(60)은 E-모빌리티 발열식 손잡이(1)가 장착된 탈 것에 따라 기 설정된 속도 이상으로 속도가 증가하는 경우 알람을 발생시킬 수 있다.
결제 유닛(70)은 E-모빌리티 발열식 손잡이(1)가 공용 킥보다나 자전거에 장착된 경우, 결제 정보를 송수신하여 자동 결제 방식이 이루어질 수 있다.
모드 설정 유닛(80)은 킥보드 모드(81), 전동자전거 모드(82), 자전거 모드(83) 및 오토바이 모드(84) 각각의 모드에 따라 설정 속도와 설정 속도에 따른 발열 온도가 저장될 수 있다.
도 11은 도 9에 따른 온도 설정 유닛(5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온도 설정 유닛(50)은 온도조절부(51) 및 모드변경부(52)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조절부(51)는 제어부(41)와 연결되어, 발열부재(20)의 발열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온도조절부(51)는 사용자패널(21)에서 설정된 발열 온도에 따라 발열부재(20)의 발열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온도조절부(51)는 모드 설정 유닛(80)의 복수의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설정되면, 설정된 모드에 따라 발열부재(20)의 발열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자전거 모드(83)일 때의 발열부재(20)의 발열 온도보다 오토바이 모드(84)일 때의 발열부재(20)의 발열 온도가 소정 온도 높을 수 있다. 오토바이가 자전거보다 평균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빠른 만큼 추운 겨울 날씨에는 손이 더 시려울 수 있으며 발열부재(20)의 발열 온도가 상대적으로 빠르게 식을 수 있기 때문에 자전거 모드(83)일 때보다 발열 온도가 소정 온도 높게 설정될 수 있다.
모드변경부(52)는 발열부재(20)의 발열 영역을 조절할 수 있다. 모드변경부(52)는 손잡이 모드(521) 및 손난로 모드(52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7을 참조하면, 발열부재(20)는 제1 영역부재(201) 및 제2 영역부재(2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부재(201)는 본체(10)의 양 측과 상부를 감싸는 영역일 수 있다. 제2 영역부재(202)는 제1 영역부재(201)와 연결되며 제1 영역부재(201) 이외의 본체(10) 하부를 감싸는 영역일 수 있다.
손잡이 모드(521)는 제1 영역부재(201)만 발열시킬 수 있다. 일 예로, E-모빌리티 발열식 손잡이(1)가 탈 것의 손잡이에 장착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E-모빌리티 발열식 손잡이(1)의 상부를 그립하게 되어 발열부재(20)의 하부는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1 영역부재(201)만 발열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손잡이 모드(521)에서도 제1 영역부재(201) 및 제2 영역부재(202)를 포함하는 발열부재(20) 전체를 발열시킬 수 있다.
손난로 모드(522)는 제1 영역부재(201)와 제2 영역부재(202)를 동시에 발열시킬 수 있다. 일 예로, E-모빌리티 발열식 손잡이(1)는 손잡이에서 탈착하여 휴대가 용이하다. 따라서, 추운 겨울날 주머니에 휴대할 경우에는 발열부재(20) 전체를 발열시켜 손난로로 사용하고, 킥보드와 같이 탈 것을 탈 경우에는 탈 것의 손잡이에 장착하여 손잡이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2는 도 9에 따른 속도 제어 유닛(6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속도 제어 유닛(60)은 압력 측정부(61), 적정 속도 산출부(62), 속도 측정부(63), 속도 제한 알림부(64) 및 배터리 교체 알림부(65)를 포함할 수 있다.
압력 측정부(61)는 본체(10)의 내측에 내장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본체(10)의 전방 또는 후방에 삽입되어 사용자가 본체(10)를 그립하는 압력 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41)는 본체(10)를 그립하는 압력 강도 범위에 따라 유아, 어린이, 성인 남성, 성인 여성 등으로 사용자의 연령대를 구분할 수 있다.
적정 속도 산출부(62)는 압력 측정부(61)에서 측정된 압력 강도에 따라, 각 압력 강도 범위에 따른 적정 속도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예로, 킥보드를 타더라도, 유아가 킥보드를 탈 때의 적정 속도와, 어린이가 킥보드를 탈 때의 적정 속도외, 성인 남성이 킥보드를 탈 때의 적정 속도와, 성인 여성이 킥보드를 탈 때의 적정 속도가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적정 속도 산출부(62)는 이처럼 각 연령대에 따라 구분될 수 있는 본체(10)를 그립하는 압력 강도 범위에 따라 적정 속도가 산출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적정 속도 산출부(62)는 모드 설정 유닛(80)에 따른 탈 것의 각가에 따라 적정 속도가 다르게 저장될 수 있다.
속도 측정부(63)는 본체(10)의 전방에 설치되어, 특정 물체가 가까워지는 속도를 또는 거리를 측정하여 탈 것의 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속도 제한 알림부(64)는 속도 측정부(63)에서 측정된 속도가 적정 속도 산출부(62)에 저장된 적정 속도 이상이 되면 소리 또는 불빛의 알림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배터리 교체 알림부(65)는 배터리의 잔여량을 측정하고, 배터리 교체 시점 이전에 불빛과 같은 알림을 발생시켜 배터리 교체 시기를 알릴 수 있다.
도 13은 도 9에 따른 결제 유닛(7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결제 유닛(70)은 페이부(71), 요금 확인부(72) 및 요금 정산부(73)를 포함할 수 있다. 결제 유닛(70)은 통신부(43)를 통해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페이부(71)는 사용자가 온라인 결제를 통해 특정 금액을 미리 결제하여 저장해둘 수 있다. 예를 들어, 페이부(71)는 교통카드와 같이 충전식 직불카드의 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페이부(71)는 신용카드와 같은 카드 정보가 입력되어 후불 방식으로 결제가 이루어질 수 있는 칩일 수 있다.
요금 확인부(72)는 통신부(43)를 통해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예로, 통신부(43)는 공용 킥보드, 공용 자전거와 같은 공용 탈 것의 서버 또는 결제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하여, 공용 탈 것 이용에 대한 요금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요금 정산부(73)는 요금 확인부(72)에서 확인된 사용 요금 정보에 따라 페이부(71)를 통해 결제를 실행할 수 있다.
도 14는 도 9에 따른 모드 설정 유닛(8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모드 설정 유닛(80)은 킥보드 모드(81), 전동자전거 모드(82), 자전거 모드(83) 및 오토바이 모드(84) 각각의 모드에 따라 설정 속도와 설정 속도에 따른 발열 온도가 저장될 수 있다. 온도 설정 유닛(50), 속도 제어 유닛(60), 결제 유닛(70) 각각의 구성들은 모드 설정 유닛(80)에 설정된 모드에 따라 적정 속도 및 기 설정된 발열 온도 등의 기준 속도와 온도가 설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E-모빌리티 발열식 손잡이
10: 본체 11: 손잡이 삽입부
12: 배터리 삽입부 13: 커버
131: 마개부 132: 단자부
14: 인출홈 15: 전선
20: 발열부재 21: 사용자패널
201: 제1 영역부재 202: 제2 영역부재
30: 폭조절부 40: 컨트롤유닛
41: 제어부 42: 입력부
43: 통신부 44: 전원부
50: 온도 설정 유닛 51: 온도도절부
52: 모드변경부 521: 손잡이 모드
522: 손난로 모드 60: 속도 제어 유닛
61: 압력 측정부 62: 적정 속도 산출부
63: 속도 측정부 64: 속도 제한 알람부
65: 배터리 교체 알람부 70: 결제 유닛
71: 페이부 72: 요금 확인부
73: 요금 정산부 80: 모드 설정 유닛
81: 킥보드 모드 82: 전동자전거 모드
83: 자전거 모드 84: 오토바이 모드

Claims (4)

  1. 사용자가 한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크기 및 형태로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 감싸지도록 배치되는 발열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는,
    내부 일 측에서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의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킥보드, 자전거, 또는 오토바이의 손잡이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손잡이 삽입부; 및
    내부 타 측에서 상기 손잡이 삽입부의 소정 간격 이격되며,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터리가 삽입될 수 있는 소정 길이의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배터리가 삽입될 수 있는 배터리 삽입부;를 포함하여,
    상기 발열부재는 배터리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기 설정된 온도로 발열하고,
    상기 발열부재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부와, 상기 발열부재의 발열 영역을 조절하는 모드변경부;를 포함하는 온도 설정 유닛을 더 포함하되,
    상기 발열부재는,
    상기 본체의 양 측과 상부를 감싸는 영역의 제1 영역부재; 및
    상기 제1 영역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제1 영역부재 이외의 상기 본체 하부를 감싸는 제2 영역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모드변경부는,
    상기 제1 영역부재만 발열시키는 손잡이 모드; 및
    상기 제1 영역부재와 상기 제2 영역부재를 동시에 발열시키는 손난로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모빌리티 발열식 손잡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배터리 삽입부의 개방된 일 단부를 차폐하는 마개부와, 내부에 위치된 배터리의 일 단과 연결되는 단자부를 포함하는 커버; 및
    상기 배터리 삽입부의 타 단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내부에 위치된 배터리의 타 단과 연결되는 전선이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인출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모빌리티 발열식 손잡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재는,
    상기 배터리와 연결된 전선과 연결되어 전류를 공급받으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발열되는 사용자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모빌리티 발열식 손잡이.
  4. 삭제
KR1020210056538A 2021-04-30 2021-04-30 E-모빌리티 발열식 손잡이 KR1023194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6538A KR102319444B1 (ko) 2021-04-30 2021-04-30 E-모빌리티 발열식 손잡이
PCT/KR2022/005659 WO2022231204A1 (ko) 2021-04-30 2022-04-20 E-모빌리티 발열식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6538A KR102319444B1 (ko) 2021-04-30 2021-04-30 E-모빌리티 발열식 손잡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9444B1 true KR102319444B1 (ko) 2021-10-29

Family

ID=78231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6538A KR102319444B1 (ko) 2021-04-30 2021-04-30 E-모빌리티 발열식 손잡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19444B1 (ko)
WO (1) WO202223120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31204A1 (ko) * 2021-04-30 2022-11-03 허인범 E-모빌리티 발열식 손잡이
KR20230095334A (ko) 2021-12-22 2023-06-29 강창우 진동 기능을 가지는 발열 손잡이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8856Y1 (ko) * 2001-03-31 2001-12-28 문성훈 전등을 형성한 자전거핸들커버
KR20130002776U (ko) * 2011-10-31 2013-05-08 주영훈 발열식 우산 손잡이
US20150028014A1 (en) * 2013-07-23 2015-01-29 Tong Yah Electronic Technology Co., Ltd. Heatable handle jacket for a vehicle
JP2015048069A (ja) * 2013-09-05 2015-03-16 株式会社日本ロック 自動二輪車用グリップヒーター装置
KR20190001129U (ko) * 2017-11-02 2019-05-10 서연석 열선달린 손잡이
KR102211755B1 (ko) 2019-08-27 2021-02-03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기청정기를 갖는 전동킥보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4134B1 (ko) * 2018-02-28 2019-05-30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충전식 발열 손잡이
KR102319444B1 (ko) * 2021-04-30 2021-10-29 허인범 E-모빌리티 발열식 손잡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8856Y1 (ko) * 2001-03-31 2001-12-28 문성훈 전등을 형성한 자전거핸들커버
KR20130002776U (ko) * 2011-10-31 2013-05-08 주영훈 발열식 우산 손잡이
US20150028014A1 (en) * 2013-07-23 2015-01-29 Tong Yah Electronic Technology Co., Ltd. Heatable handle jacket for a vehicle
JP2015048069A (ja) * 2013-09-05 2015-03-16 株式会社日本ロック 自動二輪車用グリップヒーター装置
KR20190001129U (ko) * 2017-11-02 2019-05-10 서연석 열선달린 손잡이
KR102211755B1 (ko) 2019-08-27 2021-02-03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기청정기를 갖는 전동킥보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31204A1 (ko) * 2021-04-30 2022-11-03 허인범 E-모빌리티 발열식 손잡이
KR20230095334A (ko) 2021-12-22 2023-06-29 강창우 진동 기능을 가지는 발열 손잡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31204A1 (ko) 2022-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9444B1 (ko) E-모빌리티 발열식 손잡이
US20200346706A1 (en) Electric bicycle having a communication system
US7816628B2 (en) Heated garment
KR101984134B1 (ko) 충전식 발열 손잡이
US8136170B2 (en) Powered helmet with visor defogging element and accessories
ATE211624T1 (de) Festhaltevorrichtung für schutzhelm
US20090242539A1 (en) Heating System
CA2939303C (en) Hand warmer
WO2008036283A2 (en) Heated glove
CN208274132U (zh) 一种智能反光安全服装
CN204655379U (zh) 多功能新生儿科育婴箱
CN205469454U (zh) 一种电动车把手可控温度加热装置
CN208101777U (zh) 一种智能汽车座椅加热垫
CN209528302U (zh) 一种设置有防锈式拉链的背包
CN205022759U (zh) 一种机动车手把保温装置
CN207075634U (zh) 一种带转向指示灯的安全头盔
CN216255633U (zh) 一种多功能保暖手套
CN206087035U (zh) 固定式电动车加热配件
CN216315835U (zh) 一种具有喝水功能的头盔
CN215535548U (zh) 挂脖暖手宝
CN208224609U (zh) 一种定时按摩的vr眼镜
CN207707375U (zh) 一种多功能智能头盔装置
CN208160079U (zh) 一种电热保暖衣
CN214630016U (zh) 一种防寒套装
CN208030779U (zh) 一种具有防寒保温功能的儿童背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