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9131B1 - Stroller - Google Patents

Stroll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9131B1
KR102319131B1 KR1020160117038A KR20160117038A KR102319131B1 KR 102319131 B1 KR102319131 B1 KR 102319131B1 KR 1020160117038 A KR1020160117038 A KR 1020160117038A KR 20160117038 A KR20160117038 A KR 20160117038A KR 102319131 B1 KR102319131 B1 KR 1023191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shaped member
fixing plate
handle
inser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70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34335A (en
Inventor
다케시 데라우치
마사시 다니자키
Original Assignee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34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433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9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913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20Handle bars; 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that are adjustable, attachable or detach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80Other vehicles not covered by groups B60Y2200/10 - B60Y2200/60
    • B60Y2200/83Perambulators; Buggies; St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 Toys (AREA)

Abstract

유모차(1)는, 축 형상 부재(16)를 갖는 프레임 본체(10)와, 축 형상 부재(16)를 통해서 프레임 본체(10)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는 핸들(20)을 구비한다. 핸들(20)은, 핸들 프레임(21)과, 축 형상 부재(16)가 삽입되는 삽입 구멍(34)이 형성된 고정 플레이트(33)로서, 삽입 구멍(34)에 삽입된 축 형상 부재(16)를 구속하는 로크 위치(P1)와 축 형상 부재(16)의 구속을 해제하는 해방 위치(P2)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핸들 프레임(21)에 지지된 고정 플레이트(33)와, 고정 플레이트(33)를 로크 위치(P1)로 가압하는 가압 부재(35)를 갖는다.The baby carriage 1 includes a frame body 10 having a shaft-like member 16 and a handle 20 detachably attached to the frame body 10 via the shaft-like member 16 . The handle 20 is a fixing plate 33 having a handle frame 21 and an insertion hole 34 into which the shaft member 16 is inserted, and the shaft member 16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34 . A fixing plate (33) supported by the handle frame (21) so as to be movable between a lock position (P1) for restraining the shaft-shaped member (16) and a release position (P2) for releasing restraint of the shaft-shaped member (16); has an urging member 35 for urging it to the lock position P1.

Description

유모차{STROLLER}Stroller {STROLLER}

본 발명은, 핸들을 분리 가능한 유모차에 관한 것이며, 특히 곤포(梱包) 시에 컴팩트해지는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oller in which a handle is detachab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roller that becomes compact when packed.

절첩(折疊) 가능한 유모차가 널리 보급되어 있다. 예를 들면 JP2011-063097A에 개시된 유모차에서는 측면 보기에 있어서 전각(前脚)과 핸들이 접근하도록 절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절첩된 유모차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를 컴팩트하게 할 수 있어 운반이나 곤포에 적합하다.Foldable strollers are widely available. For example, in the stroller disclosed in JP2011-063097A, it is possible to fold so that the front leg and the handle are approached in the side view. The folded stroller can have a compact dimension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is suitable for carrying and packing.

단, JP2011-063097A에 개시된 유모차에서는 절첩 시에 핸들이 크게 돌출해 있어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를 더 작게 하는 것이 요망된다. 그래서, 예를 들면 JP8-324437A에는 핸들의 높이를 조정 가능하게 한 유모차가 개시되어 있다. JP8-324437A에 개시된 유모차는 절첩 시에 핸들을 슬라이딩시켜서 내림으로써, 핸들의 돌출을 억제해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도 작게 할 수 있다.However, in the baby carriage disclosed in JP2011-063097A, the handle protrudes greatly when folded, so that it is desired to further reduce the dimens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for example, JP8-324437A discloses a stroller in which the height of the handle is adjustable. In the stroller disclosed in JP8-324437A, the handle is lowered by sliding the handle when folded, thereby suppressing the protrusion of the handle and making it possible to reduce the dimens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요즘에는 유모차의 수송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곤포 시에 보다 컴팩트해지는 유모차가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JP8-324437A에 개시된 유모차여도, 슬라이딩 기구의 구조상의 제약 때문에 핸들의 돌출을 충분히 억제할 수 없어, 수송 효율의 개선의 니즈에 충분히 부응하고 있지 못하다.In order to improve the transport efficiency of a stroller these days, a stroller which becomes more compact at the time of packing is calculated|required. However, even with the stroller disclosed in JP8-324437A, the protrusion of the handle cannot be sufficiently suppressed due to the structural restriction of the sliding mechanism, and thus the need for improvement of transport efficiency cannot be sufficiently met.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곤포 시의 크기를 컴팩트하게 한 유모차를 실용성이 우수한 태양으로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made in consideration of such a poin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roller having a compact size at the time of packing in an aspect excellent in practicality.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는, 축 형상 부재를 갖는 프레임 본체와, 상기 축 형상 부재를 통해서 상기 프레임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는 핸들을 구비하고,A baby carri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rame body having a shaft-shaped member, and a handle detachably attached to the frame body via the shaft-like member,

상기 핸들은, 핸들 프레임과, 상기 축 형상 부재가 삽입되는 삽입 구멍이 형성된 고정 플레이트로서, 상기 삽입 구멍에 삽입된 상기 축 형상 부재를 구속하는 로크 위치와 상기 축 형상 부재의 구속을 해제하는 해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핸들 프레임에 지지된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고정 플레이트를 상기 로크 위치로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갖는다.The handle is a fixed plate having a handle frame and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shaft-shaped member is inserted, and a lock position for restraining the shaft-shaped member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and a release position for releasing the restraint of the shaft-shaped member It has a fixing plate supported by the handle frame so as to be movable therebetween, and a pressing member for pressing the fixing plate to the lock position.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핸들 프레임에, 상기 축 형상 부재가 관통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핸들 프레임의 상기 관통 구멍은, 상기 고정 플레이트가 상기 로크 위치 및 상기 해방 위치 중 어디에 위치하는 경우여도,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상기 삽입 구멍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면해도 된다.In the baby carri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hrough-hole through which the shaft-shaped member passes is formed in the handle frame, and the through-hole of the handle frame is located at which of the locking position and the unlocking position of the fixing plate. Also, you may face at least partially with the said insertion hole of the said fixing plate.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축 형상 부재에는, 당해 축 형상 부재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는, 상기 로크 위치에 있어서, 상기 삽입 구멍에 삽입된 상기 축 형상 부재의 상기 홈 내에 부분적으로 들어가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In the baby carri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groove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haft-like member is formed in the shaft-like member, and the fixing plate is the shaft-like member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at the lock position It may be configured to partially enter the groove of the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축 형상 부재는, 상기 홈을 사이에 두고 구분된 두부(頭部)와 기부(基部)를 포함하고, 상기 두부는, 끝이 가늘게 되어 있어도 된다.In the baby carri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ft-shaped member may include a head and a base separated by the groove therebetween, and the head may have a tapered tip.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상기 삽입 구멍은, 상기 고정 플레이트가 상기 로크 위치에 위치할 때에, 상기 축 형상 부재와 당해 축 형상 부재의 축 방향으로 겹치는 로크용 영역과, 상기 고정 플레이트가 상기 해방 위치에 위치할 때에, 상기 축 형상 부재와 당해 축 형상 부재의 축 방향으로 겹치는 해방용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로크용 영역 및 상기 해방용 영역은, 부분적으로 중첩하고, 상기 축 형상 부재의 축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상기 로크용 영역은 상기 축 형상 부재의 두부보다도 작고, 상기 해방용 영역은 상기 축 형상 부재의 두부보다도 커도 된다.In the baby carri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ertion hole of the fixing plate includes: a locking region overlapping the shaft-shaped member and the shaft-shaped member in the axial direction when the fixing plate is positioned at the locking position; When the plate is positioned in the release position, it includes a release region overlapping the axial member and the axial member in the axial direction, wherein the locking region and the releasing region partially overlap, and the axial shape When viewed from the axial direction of the member, the locking region may be smaller than the head of the axial member, and the releasing region may be larger than the head of the axial member.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축 형상 부재, 상기 고정 플레이트 및 상기 가압 부재는, 유모차의 좌우에 1개씩 설치되어 있고, 상기 좌우의 축 형상 부재는, 당해 축 형상 부재의 축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의 단면 형상이 서로 달라도 된다.In the baby carri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xial member, the fixing plate, and the pressing member are provided one by one on each left and right of the baby carriage, and the left and right axial members are orthogonal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axial member. The cross-sectional shapes in the cross-sections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에 있어서,In the s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프레임 본체는, 각각 상기 핸들에 삽입되는 좌측의 축 형상 부재 및 우측의 축 형상 부재를 갖고,The frame body has a left shaft-shaped member and a right shaft-shaped member inserted into the handle, respectively;

상기 좌측의 축 형상 부재 및 상기 우측의 축 형상 부재는, 그 축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서로 다른 형상을 갖도록 해도 된다.The left axial member and the right axial member may have different shapes in a cross section orthogonal to the axial direction.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에 있어서,In the s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핸들에, 좌우의 리드부와, 상기 좌우의 리드부를 연결하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핸들 프레임을 갖고,and a handle frame including, on the handle, left and right lead parts, and an operation part for connecting the left and right lead parts;

상기 핸들에는, 상기 핸들 프레임의 좌우를 식별하기 위한 표시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The handle may be provided with a mark for identifying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andle frame.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유모차는, 프레임 본체와, 상기 프레임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는 핸들을 구비한다.Another baby carri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body and a handle detachably attached to the frame body.

본 발명에 따르면, 프레임 본체로부터 핸들을 떼어낸 상태에서 곤포함으로써, 곤포 시의 크기를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조립 시에는, 핸들의 고정 플레이트의 삽입 구멍에 프레임 본체의 축 형상 부재를 삽입한 후, 가압 부재를 이용해서 고정 플레이트를 로크 위치로 이동시키면, 핸들을 프레임 본체에 조립할 수 있기 때문에 실용성도 우수하다.ADVANTAGE OF THE INVENTION According to this invention, the size at the time of packing can be made compact by packing with the handle removed from the frame body. On the other hand, when assembling, by inserting the shaft-shaped member of the frame body into the insertion hole of the fixing plate of the handle and then moving the fixing plate to the locked position using the pressing member, the handle can be assembled to the frame body, so the practicality is also high. great.

도 1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유모차를 시트를 분리한 상태에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유모차의 측면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유모차를 절첩한 상태에서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유모차에 있어서, 프레임 본체와 핸들의 부착 구조를 확대해서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나타내는 유모차에 조립된 핸들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프레임 본체의 부착핀이 핸들의 부착구에 삽입된 상태를 확대해서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정면도.
도 8은 도 6의 측면도.
도 9는 도 6에 나타내는 프레임 본체의 부착핀을 확대해서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도 8에 나타내는 부착구의 고정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도 8에 나타내는 부착구의 고정 플레이트를 해방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2는 프레임 본체의 부착핀이 고정 플레이트에 맞닿은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13은 좌측의 부착핀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4는 우측의 부착핀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by carri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a state in which a seat is removed;
Fig. 2 is a side view of the stroller shown in Fig. 1;
Fig. 3 is a side view showing the stroller shown in Fig. 2 in a folded state;
Fig. 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ttachment structure between a frame body and a handle in the baby carriage shown in Fig. 1;
Fig. 5 is a front view showing a handle assembled to the stroller shown in Fig. 1;
Fig. 6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an attachment pin of the frame body is inserted into an attachment port of a handle;
Fig. 7 is a front view of Fig. 6;
Fig. 8 is a side view of Fig. 6;
Fig. 9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n attachment pin of the frame body shown in Fig. 6;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fixing plate of the attachment tool shown in FIG.
It is a side view which shows the state which moved the fixing plate of the attachment tool shown in FIG. 8 to the release position.
12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ttachment pin of the frame body is in contact with the fixing plate;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attachment pin on the left side;
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attachment pin on the right side;

이하,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해서 일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모차(1)를 시트를 분리한 상태에서 나타내는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유모차(1)를 절첩한 상태에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유모차(1)는 절첩식의 유모차이며, 절첩된 상태의 유모차(1)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d1) 및 상하 방향(d2)으로 컴팩트한 크기로 된다.Hereinafter, one embodiment and its modification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4 . 1 and 2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side view respectively showing the baby carriag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 a state in which the seat is removed. 3 : is a side view which shows the baby carriage 1 shown in FIG. 2 in the folded state. The baby carriage 1 is a folding type baby carriage, and as shown in FIG. 3 , the baby carriage 1 in a folded state has a compact size in the front-rear direction d1 and the vertical direction d2.

또, 본 명세서 중에 있어서, 유모차(1)에 대한 「앞」, 「뒤」, 「위」 및 「아래」의 용어는 특별히 지시가 없을 경우, 유모차(1)에 승차하는 유유아를 기준으로 한 「앞」, 「뒤」, 「위」 및 「아래」를 의미한다. 따라서, 「전후 방향(d1)」이란, 도 1에 있어서의 지면(紙面)의 왼쪽 아래와 오른쪽 위를 잇는 방향에 상당한다. 그리고, 특별히 지시가 없는 한, 「앞」이란, 승차한 유유아가 향하는 측이고, 도 1에 있어서의 지면의 왼쪽 하측이 「앞쪽」으로 된다. 한편, 「상하 방향(d2)」이란 전후 방향(d1)에 직교함과 함께 유모차(1)의 접지면에 직교하는 방향이다. 따라서, 유모차(1)의 접지면이 수평면일 경우, 「상하 방향(d2)」이란 수직 방향을 가리킨다. 또한, 「폭 방향(가로 방향)(d3)」이란, 「전후 방향(d1)」 및 「상하 방향(d2)」의 어디에도 직교하는 방향이다. 또한, 「오른쪽」 및 「왼쪽」에 대해서도, 각각 유모차(1)에 승차하는 유유아를 기준으로 한 폭 방향(d3)에 있어서의 「오른쪽」 및 「왼쪽」을 의미한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front", "rear", "above" and "below" for the stroller (1) refer to " means "front", "back", "above" and "below". Therefore, the "front-back direction d1" corresponds to a direction connecting the lower left and upper right of the paper sheet in FIG. 1 . In addition, unless otherwise indicated, "front" is the side to which the infant and toddler who got on board face, and the lower left side of the page in FIG. 1 becomes "front". On the other hand, the "up-down direction d2" is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ground plane of the baby carriage 1 while being orthogonal to the front-back direction d1. Therefore, when the ground plane of the baby carriage 1 is a horizontal plane, the "up and down direction d2" refers to a vertical direction. In addition, the "width direction (horizontal direction) d3" is a direction orthogonal to both of the "front-back direction d1" and the "up-down direction d2". In addition, also about "right" and "left", "right" and "left" in the width direction d3 on the basis of the infant riding in the stroller 1 respectively are meant.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유모차(1)에는, 한 쌍의 전각(11), 한 쌍의 후각(後脚)(12) 및 한 쌍의 암레스트(13)를 갖는 본체 프레임(10)이 설치되며, 본체 프레임(10)에 핸들(20)이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각 전각(11)에는 전륜(2)이 부착되고 각 후각(12)에는 후륜(3)이 부착되어 있다.The baby carriage 1 shown in FIGS. 1 and 2 is provided with a body frame 10 having a pair of front legs 11 , a pair of rear legs 12 , and a pair of armrests 13 . and a handle 20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body frame 10 . A front wheel 2 is attached to each front leg 11, and a rear wheel 3 is attached to each rear leg 12.

전각(11)의 상단 부분은 대응하는 쪽(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된 암레스트(13)의 앞쪽 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후각(12)의 상단 부분이 대응하는 쪽(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된 암레스트(13)의 앞쪽 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The upper end portion of the front leg 11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ront portion of the armrest 13 disposed on the corresponding side (left or right). Similarly,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rear leg 12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ront portion of the armrest 13 disposed on the corresponding side (left or right).

또한, 암레스트(13)의 뒤쪽 부분은, 링크 부재(14) 및 회동 브래킷(15)을 통해서, 대응하는 쪽(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된 후각(12)의 중간 부분에 접속되어 있다.Further, the rear portion of the armrest 13 is connected to the middle portion of the rear leg 12 disposed on the corresponding side (left or right) via the link member 14 and the rotation bracket 15 .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체 프레임(10)에 대해 핸들(20)이 부착되어 있다. 핸들(20)은, 도 1에 나타내는 배면 밀기 위치와, 도 2에 나타내는 대면(對面) 밀기 위치 사이에서 요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A handle 20 is attached to the body frame 10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The handle 20 is comprised so that it can rock|fluctuate between the back push position shown in FIG. 1, and the face-to-face push position shown in FIG.

이상과 같은 전체 구성을 가진 유모차(1)는, 이하와 같이 해서 각 구성 부재를 서로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절첩할 수 있다. 우선, 도 2에 나타내는 전개 상태의 유모차(1)를 절첩할 때에는, 뒤쪽 위치에 배치된 핸들(20)을 일단 후방 상측으로 끌어올리고 그 후 아래쪽으로 내리누른다. 핸들(20)의 동작에 따라, 링크 부재(14) 및 회동 브래킷(15)이 후각(12)으로부터 이간하여, 회동 브래킷(15)이 후각(12)에 대해 도 3에 있어서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동한다. 또한, 이 동작에 수반해서 암레스트(13)가 링크 부재(14)에 대해 도 3에 있어서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동한다.The baby carriage 1 hav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can be folded by rotating the respective structural members as follows. First, when folding the baby carriage 1 in the unfolded state shown in FIG. 2 , the handle 20 arranged at the rear position is once pulled up rearward and then pushed down.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handle 20 , the link member 14 and the rotation bracket 15 are separated from the rear leg 12 , and the rotation bracket 15 rotates clockwise in FIG. 3 with respect to the rear leg 12 . do. Moreover, with this operation|movement, the armrest 13 rotates clockwise in FIG. 3 with respect to the link member 14. As shown in FIG.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와 같은 조작에 의해, 측면 보기에 있어서 핸들(20)과 전각(11)이 대략 평행하게 배치됨과 함께 핸들(20)의 배치 위치가 내려가 유모차(1)를 절첩할 수 있다. 또, 유모차(1)를 절첩 상태로부터 전개하기 위해서는 전술한 절첩 조작과 반대의 수순을 밟으면 된다.As shown in FIG. 3, by such an operation, the handle 20 and the front leg 11 are arranged substantially parallel in the side view, and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handle 20 is lowered, and the stroller 1 can be folded. have. In addition, in order to deploy the baby carriage 1 from a folded state, it is good to follow the procedure opposite to the folding operation mentioned above.

그런데,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유모차(1)는, 수송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핸들(20)을 프레임 본체(10)로부터 떼어낸 상태에서 곤포되며, 사용처에서 핸들(20)을 프레임 본체(10)에 원터치로 부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11을 참조해서, 프레임 본체(10)와 핸들(20)의 부착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프레임 본체(10)와 핸들(20)의 부착 구조를 확대해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동 브래킷(15)으로부터 폭 방향(d3) 바깥쪽으로 부착핀(16)이 돌출해 있으며, 이 부착핀(16)에 핸들(20)의 부착구(30)가 장착되어 있다.By the way, the stroll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acked in a state in which the handle 20 is removed from the frame body 10 in order to improve transport efficiency, and the handle 20 is removed from the frame body 10 at the place of use. It is configured to be attached with one touch. Hereinafter, an attachment structure of the frame body 10 and the handle 2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11 . 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ttachment structure of the frame body 10 and the handle 20 . As shown in Fig. 4, the attachment pin 16 protrudes outward from the rotation bracket 15 in the width direction d3, and the attachment hole 30 of the handle 20 is attached to this attachment pin 16. have.

도 5에 핸들(20)을 확대해서 나타낸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20)은 U자 형상의 핸들 프레임(21)의 양 단부(端部)에 각각 부착구(30)를 조립해서 구성된다. 핸들 프레임(21)을 구성하는 요소로서 좌우에 배치된 한 쌍의 리드부(22)가 설치되며, 한 쌍의 리드부(22)의 상단끼리를 조작부(23)가 연결하고 있다. 조작부(23)는 전개 상태에 있는 유모차(1)를 주행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손으로 조작하는 부분이다. 도시하는 예에서는, 직선 형상의 좌우의 리드부(22)의 상단 간에 만곡한 조작부(23)가 가설되며, 핸들 프레임(21)은 대략 U자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다.The handle 20 is enlarged and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5 , the handle 20 is constituted by assembling the attachment tools 30 to both ends of the U-shaped handle frame 21 , respectively. As an element constituting the handle frame 21, a pair of lead portions 22 arranged on the left and right are provided, and the operation portion 23 connects the upper ends of the pair of lead portions 22 to each other. The operation unit 23 is a part operated by the user's hand in order to drive the stroller 1 in the deployed state.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curved operation part 23 is erected between the upper ends of the linear-shaped left and right lead parts 22, and the handle frame 21 is shape|molded in a substantially U-shape.

각 리드부(22)의 단부에 부착구(30)가 1개씩 부착되어 있다. 부착구(30)는 핸들 프레임(21)을 프레임 본체(10)에 원터치식으로 부착하기 위한 부품이다. 도 6 내지 도 8에 부착구(30)를 부착핀(16)이 삽입된 상태에서 확대해 나타낸다. 도 6 내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착구(30)를 구성하는 요소로서 리드부(22)의 단부에 케이싱(31)이 감입(嵌入)되어 있다. 케이싱(31)은 통 형상으로 성형되며 리드부(22)의 단부 및 부착구(30)를 구성하는 다른 부품을 수용해 보호하고 있다. 또한, 케이싱(31)에는 부착핀(16)을 통과시키기 위한 도피 구멍(31a)이 형성되어 있다.One attachment port 30 is attached to the end of each lead part 22 one by one. The attachment hole 30 is a component for attaching the handle frame 21 to the frame body 10 in a one-touch manner. 6 to 8, the attachment port 30 is enlarged and shown in the state in which the attachment pin 16 is inserted. As shown in FIGS. 6 to 8 , as an element constituting the attachment port 30 , a casing 31 is fitted into the end of the lead portion 22 . The casing 31 is molded into a cylindrical shape and accommodates and protects the end of the lead portion 22 and other components constituting the attachment port 30 . In addition, an escape hole 31a for passing the attachment pin 16 is formed in the casing 31 .

케이싱(31) 내에 마운트 부품(32)이 고정되고, 이 마운트 부품(32)에 고정 플레이트(33)가 지지되어 있다. 마운트 부품(32)은 케이싱(31) 내의 공간 중, 리드부(22)보다도 폭 방향(d3)에 있어서 외측으로 되는 위치에 설치되며, 케이싱(31)의 상측 가장자리로부터 아래쪽으로 수하(垂下)한 판 형상의 부품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마운트 부품(32)은 케이싱(31)의 상측 가장자리에 감합(嵌合)되며, 그 수하한 하단에 아래쪽으로 개구된 수용부(32a)가 설치되어 있다.A mount part 32 is fixed in the casing 31 , and a fixing plate 33 is supported by the mount part 32 . The mount part 32 is provided in a position outside the lead part 22 in the width direction d3 in the space within the casing 31 , and is lowered from the upper edge of the casing 31 . It is comprised as a plate-shaped part. The mount part 32 is fitted to the upper edge of the casing 31, and the receiving part 32a opened downward is provided in the lower end of the lower end.

수용부(32a)에는 고정 플레이트(33)가 아래쪽으로부터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수용부(32a)는, 전후 방향으로 대향하는 전방벽(32b) 및 후방벽(32c)과, 폭 방향(d3)으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벽(32d, 32e)과, 전방벽(32b), 후방벽(32c) 및 한 쌍의 측벽(32d, 32e)의 위쪽에 위치하는 상측벽(32f)에 의해서 구획되어 있다. 수용부(32a)를 구획하는 이 벽(32b-32f)들은 수용부(32a)에 수용된 고정 플레이트(33)의 주위를 둘러싸며 당해 고정 플레이트(33)의 이동 범위를 규제한다. 이와 같이 해서, 고정 플레이트(33)가 마운트 부품(32)에 상하 방향(d2)으로 움직일 수 있게 지지되어 있다. 환언하면, 고정 플레이트(33)는 케이싱(31) 및 마운트 부품(32)을 통해서 핸들 프레임(21)에 상하 방향(d2)으로 움직일 수 있게 지지되어 있다.A fixing plate 33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32a from below. The accommodating portion 32a includes a front wall 32b and a rear wall 32c oppos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a pair of side walls 32d and 32e opposed in the width direction d3, a front wall 32b, It is partitioned by the rear wall 32c and the upper side wall 32f located above a pair of side wall 32d, 32e. These walls 32b-32f partitioning the accommodating part 32a surround the periphery of the fixing plate 33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32a and regulate the range of movement of the fixing plate 33 . In this way, the fixing plate 33 is supported by the mount component 32 so that it can move in the up-down direction d2. In other words, the fixing plate 33 is supported so as to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d2 by the handle frame 21 via the casing 31 and the mount part 32 .

고정 플레이트(33)는 부착핀(16)을 로크하기 위한 부품이다. 도 6 내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플레이트(33)는 부착핀(16)이 삽입되는 삽입 구멍(34)이 형성된 판 형상의 부품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핸들 프레임(21)의 리드부(22)에도 관통 구멍(24)이 형성되어 있으며, 부착핀(16)은 리드부(22)의 관통 구멍(24) 및 고정 플레이트(33)의 삽입 구멍(34)의 양쪽을 관통해 있다. 리드부(22)의 관통 구멍(24) 및 고정 플레이트(33)의 삽입 구멍(34)은 폭 방향(d3)을 따른 긴 축을 갖는다.The fixing plate 33 is a part for locking the attachment pin 16 . 6 to 8, the fixing plate 33 is constituted as a plate-shaped component in which an insertion hole 34 into which the attachment pin 16 is inserted is formed. In particular, in this embodiment, a through hole 24 is also formed in the lead portion 22 of the handle frame 21 , and the attachment pin 16 is connected to the through hole 24 of the lead portion 22 and the fixing plate ( 33) through both sides of the insertion hole 34 . The through hole 24 of the lead part 22 and the insertion hole 34 of the fixing plate 33 have a long axis along the width direction d3.

도 9에 부착핀(16)을 확대해서 나타낸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 형상 부재로서의 부착핀(16)은 폭 방향(d3)을 따른 긴 축(X)을 가지며, 회동 브래킷(15)으로부터 폭 방향(d3) 바깥쪽으로 돌출해 있다. 부착핀(16)에는 당해 부착핀(16)의 둘레 방향(d4)으로 연장되는 홈(16c)이 형성되며, 이 홈(16c)을 사이에 두고 두부(頭部)(16a)와 기부(基部)(16b)가 구분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홈(16c)은 그 양단이 이어져서 고리 형상으로 되어 있다.The attachment pin 16 is enlarged and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9, the attachment pin 16 as a shaft-shaped member has the long axis X along the width direction d3, and protrudes outward from the rotation bracket 15 in the width direction d3. A groove 16c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d4 of the attachment pin 16 is formed in the attachment pin 16, and a head 16a and a base portion are interposed therebetween. ) (16b) are separated. In this embodiment, the both ends of the groove|channel 16c are continuous and have become an annular shape.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착핀(16)의 기부(16b)가 회동 브래킷(15)에 부착되며, 기부(16b)보다도 폭 방향(d3)에 있어서 외측에 위치하는 두부(16a)는, 회동 브래킷(15)으로부터 가장 이간한 선단을 이룬다. 두부(16a)는 폭 방향(d3) 바깥쪽을 향함에 따라서 끝이 가늘게 되어 있다.9, the base 16b of the attachment pin 16 is attached to the rotation bracket 15, and the head 16a located outside in the width direction d3 rather than the base 16b rotates. It forms the front-end|tip farthest apart from the bracket (15). The head 16a is tapered toward the outside in the width direction d3.

도 10에 고정 플레이트(33)를 확대해서 나타낸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플레이트(33)의 삽입 구멍(34)은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로크용 영역(34a)과 해방용 영역(34b)을 포함하고 있다. 로크용 영역(34a) 및 해방용 영역(34b)은, 도 10에 나타내는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환언하면 부착핀(16)의 축 방향(X)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원형의 윤곽을 갖는다. 특히, 로크용 영역(34a)의 직경(φ1)은 부착핀(16)의 두부(16a)의 직경(φ3)(도 8 참조)보다도 작고, 해방용 영역(34b)의 직경(φ2)은 부착핀(16)의 두부(16a)의 직경(φ3)보다도 크다. 즉, 도 10에 나타내는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로크용 영역(34a)은 부착핀(16)의 두부(16a)보다도 작고, 해방용 영역(34b)은 부착핀(16)의 두부(16a)보다도 크다.The fixing plate 33 is enlarged and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10, the insertion hole 34 of the fixing plate 33 contains the area|region 34a for locking and the area|region 34b for release which overlap partially. When seen from the direction shown in FIG. 10, the area|region 34a for locking and the area|region 34b for release have a circular outline, in other words, when seen from the axial direction X of the attachment pin 16. As shown in FIG. In particular, the diameter ?1 of the locking region 34a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3 of the head 16a of the attachment pin 16 (see Fig. 8), and the diameter ?2 of the releasing region 34b is It is larger than the diameter φ3 of the head 16a of the pin 16 . That is, when viewed from the direction shown in FIG. 10 , the locking area 34a is smaller than the head 16a of the attachment pin 16 , and the releasing area 34b is larger than the head 16a of the attachment pin 16 . .

도 10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로크용 영역(34a)은 해방용 영역(34b)보다도 상하 방향(d2)에 있어서의 아래쪽에 위치하며, 고정 플레이트(33)는 고정 플레이트(33)의 수용부(32a) 내에서 상하 방향(d2)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형태에 따르면, 고정 플레이트(33)가 상대적으로 위쪽에 위치할 경우, 로크용 영역(34a)이 부착핀(16)의 두부(16a) 및 리드부(22)의 관통 구멍(24)에 대면하며, 고정 플레이트(33)가 상대적으로 아래쪽에 위치할 경우, 해방용 영역(34b)이 부착핀(16)의 두부(16a) 및 리드부(22)의 관통 구멍(24)에 대면하게 된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 10, the area|region 34a for locking is located below the area|region 34b for release in the up-down direction d2, and the fixed plate 33 is the accommodation part 32a of the fixed plate 33. ) in the vertical direction (d2). According to this form, when the fixing plate 33 is positioned relatively upward, the locking region 34a is located in the head 16a of the attachment pin 16 and the through hole 24 of the lead part 22 . face, and when the fixing plate 33 is positioned relatively lower, the release region 34b faces the head 16a of the attachment pin 16 and the through hole 24 of the lead part 22 .

도 11에 부착핀(16)의 두부(16a)가 삽입 구멍(34)의 해방용 영역(34b)에 대면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착핀(16)의 두부(16a)가 삽입 구멍(34)의 해방용 영역(34b)에 대면할 경우, 두부(16a)는 해방용 영역(34b)보다도 직경이 작기 때문에, 당해 해방용 영역(34b)을 축 방향(X)으로 빠져나갈 수 있다. 이와 같이, 부착핀(16)의 두부(16a)가 삽입 구멍(34)의 해방용 영역(34b)을 빠져나갈 수 있는 고정 플레이트(33)의 위치를 해방 위치(P2)라 부른다.11 shows a state in which the head 16a of the attachment pin 16 faces the release region 34b of the insertion hole 34 . 11, when the head 16a of the attachment pin 16 faces the release area 34b of the insertion hole 34, the head 16a has a smaller diameter than the release area 34b. For this reason, the said area|region 34b for release can escape in the axial direction (X). In this way, the position of the fixing plate 33 at which the head 16a of the attachment pin 16 can exit the release region 34b of the insertion hole 34 is called a release position P2.

한편,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착핀(16)의 두부(16a)가 삽입 구멍(34)의 로크용 영역(34a)에 대면할 경우, 두부(16a)는 로크용 영역(34a)보다도 직경이 크기 때문에, 당해 로크용 영역(34a)을 축 방향(X)으로 빠져나갈 수 없다. 이와 같이, 부착핀(16)의 두부(16a)가 삽입 구멍(34)의 로크용 영역(34a)을 빠져나갈 수 없는 고정 플레이트(33)의 위치를 로크 위치(P1)라 부른다. 로크 위치(P1)에 있어서, 고정 플레이트(33)는 로크용 영역(34a)에 삽입된 부착핀(16)의 홈(16c) 내에 부분적으로 들어가도록 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8, when the head 16a of the attachment pin 16 faces the locking area 34a of the insertion hole 34, the head 16a has a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locking area 34a. Because of this size, the locking area 34a cannot be evacuated in the axial direction (X). In this way, the position of the fixing plate 33 at which the head 16a of the attachment pin 16 cannot escape the locking area 34a of the insertion hole 34 is referred to as the locking position P1. In the lock position P1, the fixing plate 33 is adapted to partially enter the groove 16c of the attachment pin 16 inserted into the area for locking 34a.

또한, 케이싱(31)의 하단과 고정 플레이트(33) 사이에 가압 부재로서의 스프링(35)이 가설되어 있다. 스프링(35)은, 고정 플레이트(33)를 마운트 부품(32)의 수용부(32a) 내를 향해서 위쪽으로 밀어붙이는, 환언하면 고정 플레이트(33)를 해방 위치(P2)로부터 로크 위치(P1)를 향해서 가압하고 있다. 또한, 스프링(35)이 고정 플레이트(33)를 수용부(32a) 내로 밀어붙이는 것에 의해, 고정 플레이트(33)가 수용부(32a)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 도시하는 예에서는, 고정 플레이트(33)의 다른 부분으로부터 돌출편(33a)이 아래쪽으로 뻗어 나오며 이 돌출편(33a)에 스프링(35)이 감겨 있다.Further, a spring 35 as a pressing member is provid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casing 31 and the fixing plate 33 . The spring 35 pushes the fixing plate 33 upward toward the inside of the receiving portion 32a of the mount component 32, in other words, the fixing plate 33 from the release position P2 to the lock position P1. is being pressed towards Further, the spring 35 urges the fixing plate 33 into the accommodating portion 32a, thereby preventing the fixing plate 33 from escaping from the accommodating portion 32a. In addition, in the illustrated example, a protruding piece 33a extends downward from another portion of the fixing plate 33 , and a spring 35 is wound around the protruding piece 33a.

다음으로,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핸들(20)을 프레임 본체(10)에 부착하는 작업에 대하여 도 12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2는 프레임 본체(10)에 핸들(20)을 부착하는 작업의 한 과정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Next, the operation of attaching the handle 2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o the frame body 1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2 . 12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attaching the handle 20 to the frame body 10 .

우선, 도 4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프레임 본체(10)의 부착핀(16)을 핸들(20)의 부착구(30)에 삽입해 간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된 부착핀(16)은 핸들 프레임(21)의 관통 구멍(24)을 통과한 후, 고정 플레이트(33)의 삽입 구멍(34)을 향해 간다. 전술과 같이, 고정 플레이트(33)는 스프링(35)에 의해서 로크 위치(P1)로 밀어붙여져 있기 때문에, 부착핀(16)의 두부(16a)는 로크용 영역(34a)에 대면해 당해 로크용 영역(34a)으로 진입해 가려고 한다. 그러나, 두부(16a)는 로크용 영역(34a)보다도 직경이 크기 때문에 로크용 영역(34a)을 통과할 수 없어 고정 플레이트(33)에 맞닿는다.First, the attachment pin 16 of the frame main body 10 is inserted into the attachment port 30 of the handle 20 from the state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12 , the inserted attachment pin 16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24 of the handle frame 21 , and then goes toward the insertion hole 34 of the fixing plate 33 .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fixing plate 33 is pushed to the locking position P1 by the spring 35, the head 16a of the attachment pin 16 faces the locking area 34a, and the locking An attempt is made to enter the area 34a. However, since the head 16a has a larger diameter than the locking area 34a, it cannot pass through the locking area 34a and abuts against the fixing plate 33 .

여기에서, 부착핀(16)의 두부(16a)는 폭 방향(d3) 외측을 향함에 따라서 끝이 가늘게 되어 있다. 그리고, 폭 방향으로부터의 관찰에 있어서, 고정 플레이트(33)가 로크 위치(P1)에 위치하는 경우여도 두부(16a)의 중심은 로크용 영역(34a) 내에 위치한다. 이 때문에, 부착핀(16)의 두부(16a)가 고정 플레이트(33)에 더 밀려들어가면, 고정 플레이트(33)가 두부(16a)의 형상에 따라 아래쪽으로 내리눌린다. 그 후, 부착핀(16)의 두부(16a)를 고정 플레이트(33)에 더 밀어넣어가면, 고정 플레이트(33)가 도 11에 나타내는 해방 위치(P2)까지 내리눌려 삽입 구멍(34)의 해방용 영역(34b)이 부착핀(16)의 두부(16a)와 대면한다.Here, the head 16a of the attachment pin 16 is tapered toward the outside in the width direction d3. And in observation from the width direction, even when the fixing plate 33 is located at the locking position P1, the center of the head 16a is located in the locking area|region 34a. For this reason, when the head 16a of the attachment pin 16 is further pushed into the fixing plate 33, the fixing plate 33 is pressed downwar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head 16a. After that, when the head 16a of the attachment pin 16 is further pushed into the fixing plate 33, the fixing plate 33 is pressed down to the release position P2 shown in FIG. 11 to release the insertion hole 34. The dragon area 34b faces the head 16a of the attachment pin 16 .

두부(16a)를 고정 플레이트(33)에 더 밀어넣으면 두부(16a)가 해방용 영역(34b)을 빠져나간다. 전술과 같이, 고정 플레이트(33)가 스프링(35)에 의해서 가압되어 있기 때문에, 두부(16a)가 해방용 영역(34b)을 빠져나간 순간, 스프링(35)의 탄성력이 해방되어 고정 플레이트(33)가 로크 위치(P1)로 밀려 되돌아간다. 이것에 의해, 도 6 내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플레이트(33)가 부착핀(16)의 홈(16c) 내에 들어가 부착핀(16)이 구속된다.When the head 16a is further pushed into the fixing plate 33, the head 16a exits the release area 34b.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fixing plate 33 is pressed by the spring 35, the moment the head 16a exits the release region 34b,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35 is released and the fixing plate 33 is released. ) is pushed back to the lock position P1. As a result, as shown in FIGS. 6 to 8 , the fixing plate 33 enters the groove 16c of the attachment pin 16 , and the attachment pin 16 is restrained.

핸들(20)을 프레임 본체(10)로부터 분리할 때에는, 이용자가 용이하게 떼어낼 수 없도록 전용의 공구를 이용해서 고정 플레이트(33)를 해방 위치(P2)까지 밀어 올린 후, 부착핀(16)을 삽입 구멍(34)으로부터 빼내면 된다.When the handle 20 is separated from the frame body 10, the fixing plate 33 is pushed up to the release position P2 using a dedicated tool so that the user cannot easily remove it, and then the attachment pin 16 can be pulled out from the insertion hole 34 .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축 형상 부재(16)를 갖는 프레임 본체(10)와, 축 형상 부재(16)를 통해서 프레임 본체(10)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는 핸들(20)을 구비하고, 핸들(20)은, 핸들 프레임(21)과, 축 형상 부재(16)가 삽입되는 삽입 구멍(34)이 형성된 고정 플레이트(33)이며, 삽입 구멍(34)에 삽입된 축 형상 부재(16)를 구속하는 로크 위치(P1)와 축 형상 부재(16)의 구속을 해제하는 해방 위치(P2)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핸들 프레임(21)에 지지된 고정 플레이트(33)와, 고정 플레이트(33)를 로크 위치(P1)로 가압하는 가압 부재(35)를 갖는다. 이와 같은 형태에 따르면, 프레임 본체(10)로부터 핸들(20)을 분리한 상태에서 곤포함으로써, 곤포 시의 크기를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조립 시에는 핸들(20)의 고정 플레이트(33)의 삽입 구멍(34)에 프레임 본체(10)의 축 형상 부재(16)를 삽입한 후, 가압 부재(35)를 이용해서 고정 플레이트(33)를 로크 위치(P1)로 이동시키면, 핸들(20)을 프레임 본체(10)에 조립할 수 있기 때문에 실용성도 우수하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frame body 10 having the shaft-shaped member 16 and the handle 20 detachably attached to the frame body 10 via the shaft-shaped member 16 are provided. and the handle 20 is a fixing plate 33 having a handle frame 21 and an insertion hole 34 into which the shaft member 16 is inserted, and the shaft member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34 ( A fixing plate 33 supported by the handle frame 21 so as to be movable between a lock position P1 for restraining 16 and a release position P2 for releasing the restraint of the shaft-shaped member 16; 33) to the lock position P1. According to such a form, the size at the time of packing can be made compact by packing in the state which removed the handle 20 from the frame main body 10. As shown in FIG. On the other hand, at the time of assembly, after inserting the shaft-shaped member 16 of the frame body 10 into the insertion hole 34 of the fixing plate 33 of the handle 20, using the pressing member 35, the fixing plate ( 33) is moved to the lock position P1, since the handle 20 can be assembled to the frame body 10, it is also excellent in practicality.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핸들 프레임(21)에 축 형상 부재(16)가 관통하는 관통 구멍(24)이 형성되어 있으며, 핸들 프레임(21)의 관통 구멍(24)은 고정 플레이트(33)가 로크 위치(P1) 및 해방 위치(P2) 중 어디에 위치하는 경우여도, 고정 플레이트(33)의 삽입 구멍(34)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면한다. 축 형상 부재(16)를 핸들 프레임(21)의 관통 구멍(24)에도 통과시킴으로써, 강성이 높은 핸들 프레임(21)에 의해서도 축 형상 부재(16)를 받칠 수 있다. 그 결과, 핸들(20)을 프레임 본체(10)에 안정되게 조립하는 것에 기여한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through hole 24 through which the shaft-shaped member 16 passes is formed in the handle frame 21 , and the through hole 24 of the handle frame 21 is connected to the fixing plate 33 . Even if it is a case where it is located in either of the lock position P1 and the release position P2, it faces the insertion hole 34 of the fixing plate 33 at least partially. By passing the shaft member 16 also through the through hole 24 of the handle frame 21 , the shaft member 16 can also be supported by the handle frame 21 with high rigidity. As a result, it contributes to stably assembling the handle 20 to the frame body 10 .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축 형상 부재(16)에는 당해 축 형상 부재(16)의 둘레 방향(d4)으로 연장되는 홈(16c)이 형성되며, 고정 플레이트(33)는 로크 위치(P1)에 있어서 삽입 구멍(34)에 삽입된 축 형상 부재(16)의 홈(16c) 내에 부분적으로 들어가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형태에 따르면, 로크 위치(P1)에 있어서 고정 플레이트(33)가 축 형상 부재(16)의 홈(16c) 내에 부분적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축 형상 부재(16)가 당해 축 형상 부재(16)의 축 방향(X)으로 어긋나기 어려워진다. 이것에 의해, 고정 플레이트(33)가 축 형상 부재(16)를 더 안정되게 구속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핸들(20)을 프레임 본체(10)에 더 안정되게 조립하는 것에 기여한다. 또한, 홈(16c)이 원환 형상으로 연장됨으로써, 핸들(20)이 프레임 본체(10)에 대해서 원활하게 요동할 수 있다.Moreove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groove|channel 16c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d4 of the said shaft-shaped member 16 is formed in the shaft-shaped member 16, and the fixing plate 33 is locking position P1. in the groove 16c of the shaft-shaped member 16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34 in part. 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since the fixing plate 33 partially enters the groove 16c of the shaft member 16 at the lock position P1, the shaft member 16 is moved to the shaft member 16. It becomes difficult to shift in the axial direction (X) of Thereby, the fixing plate 33 can restrain the shaft-shaped member 16 more stably, and as a result, it contributes to assembling the handle 20 to the frame body 10 more stably. In addition, since the groove 16c extends in an annular shape, the handle 20 can swing smoothly with respect to the frame body 10 .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축 형상 부재(16)는 홈(16c)을 사이에 두고 구분된 두부(16a)와 기부(16b)를 포함하고 있다. 기부(16b)는 일정한 직경(굵기)을 갖는 한편, 두부(16a)는 선단을 향해서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 고정 플레이트(33)가 미리 가압 부재(35)에 의해서 로크 위치(P1)로 가압되어 있어도, 조립 시에 부착핀(16)의 두부(16a)가 고정 플레이트(33)에 밀려들어감에 따라, 고정 플레이트(33)를 해방 위치(P2)를 향해서 비켜나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부착핀(16)을 삽입 구멍(34)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핸들(20)을 프레임 본체(10)에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어져 실용성이 더 향상된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shaft-shaped member 16 includes a head 16a and a base 16b separated with a groove 16c therebetween. The base 16b has a constant diameter (thickness), while the head 16a has a shape that tapers toward the tip. In this case, even if the fixing plate 33 is previously pressed to the lock position P1 by the pressing member 35, the head 16a of the attachment pin 16 is pushed into the fixing plate 33 during assembly. Accordingly, the fixing plate 33 can be shifted toward the release position P2. For this reason, the attachment pin 16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34 . As a result, the handle 20 can be easily assembled to the frame body 10, further improving the practicality.

부가해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고정 플레이트(33)의 삽입 구멍(34)은, 고정 플레이트(33)가 로크 위치(P1)에 위치할 때에 축 형상 부재(16)와 당해 축 형상 부재(16)의 축 방향(X)으로 겹치는 로크용 영역(34a)과, 고정 플레이트(33)가 해방 위치(P2)에 위치할 때에 축 형상 부재(16)와 당해 축 형상 부재(16)의 축 방향(X)으로 겹치는 해방용 영역(34b)을 포함하고, 로크용 영역(34a) 및 해방용 영역(34b)은 부분적으로 중첩하며, 축 형상 부재(16)의 축 방향(X)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로크용 영역(34a)은 축 형상 부재(16)의 두부(16a)보다도 작고, 해방용 영역(34b)은 축 형상 부재(16)의 두부(16a)보다도 크다. 이 경우, 로크용 영역(34a)과 해방용 영역(34b) 사이의 크기의 차이를 이용해서, 고정 플레이트(33)가 축 형상 부재(16)를 구속하는 상태와, 축 형상 부재(16)를 해방한 상태를 전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고정 플레이트(33)를 간략한 구조로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실용성이 우수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sertion hole 34 of the fixing plate 33 is formed between the shaft-shaped member 16 and the shaft-shaped member 16 when the fixing plate 33 is positioned at the lock position P1. ) of the locking region 34a overlapping in the axial direction X and the axial direction of the axial member 16 and X) includes a region for release 34b overlapping, the region for locking 34a and region for release 34b partially overlap each other, and when viewed from the axial direction X of the axial member 16, for locking The region 34a is smaller than the head 16a of the shaft member 16 , and the region 34b for release is larger than the head 16a of the shaft member 16 . In this case, the state in which the fixing plate 33 restrains the shaft member 16 and the shaft member 16 by using the difference in size between the region for locking 34a and the region for release 34b are used. You can change the released state. For this reason, since the fixing plate 33 can be implement|achieved with a simple structure, it is excellent in practicability.

또,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좌우의 축 형상 부재(16) 및 좌우의 부착구(30)는 각각의 부재별로 같은 구조여도 되고 다른 구조여도 된다. 도 13 및 도 14에 좌우의 축 형상 부재(16)를 다른 구조로 한 예를 나타낸다.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좌측의 부착핀(16)이 그 축 방향(X)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다각형, 보다 상세하게는 오각 형상의 형상을 가지며, 우측의 부착핀(16)이 그 축 방향(X)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좌측의 부착핀(16)과는 다른 다각형, 보다 상세하게는 사각 형상의 형상을 갖는다. 즉, 축 방향(X)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의 좌우의 부착핀(16)의 바깥 윤곽(16m)이 서로 중첩하지 않고 어긋나 있다.Moreover, in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 the shaft-shaped member 16 on either side and the attachment port 30 on either side may have the same structure for each member, or a different structure may be sufficient as them. 13 and 14 show examples in which the left and right shaft-shaped members 16 have different structures. 13 and 14, the attachment pin 16 on the left has a polygonal, more specifically, a pentagonal shape in a cross section orthogonal to the axial direction X, and the attachment pin 16 on the right In a cross section orthogonal to the axial direction X, it has a polygonal shape different from that of the left attachment pin 16, and more specifically, a rectangular shape. That is, the outer contours 16m of the left and right attachment pins 16 in a cross section orthogonal to the axial direction X are shifted without overlapping each other.

이 경우, 핸들(20)을 좌우 반전시켜서 프레임 본체(10)에 조립하게 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좌측의 리드부(22)에 부착된 부착구(30)를 우측의 부착핀(16)에 조립하려고 해도, 좌측의 부착구(30)의 고정 플레이트(33) 내지 삽입 구멍(34)이 우측의 부착핀(16)의 형상에 적합하지 않아 좌우 반전시켜서 조립할 수 없다.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avoid assembling to the frame body 10 by inverting the handle 20 left and right. That is, even if, for example, the attachment port 30 attached to the left lead part 22 is assembled to the right attachment pin 16, the fixing plate 33 to the insertion hole ( 34) is not suitable for the shape of the attachment pin 16 on the right side, so it cannot be assembled by inverting it left and right.

또한, 핸들(20)을 프레임 본체(10)에 좌우 반전시켜서 조립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은,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낸 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각종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예를 들면, 좌우의 부착핀(16)의 크기를 다른 크기로 하거나, 좌우의 부착핀(16)의 위치를 좌우 비대칭으로 하는 방안을 들 수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of preventing assembly by turning the handle 20 left and right to the frame body 10 is not limited to the example shown in FIGS. 13 and 14, and various methods are conceivable. As another example, for example, the size of the left and right attachment pins 16 may be different in size, or the left and right attachment pins 16 may be asymmetrically positioned.

또한, 이와 같은 물리적인 방법뿐만 아니라 시각적인 방법에 의해서 핸들(20)을 프레임 본체(10)에 좌우 반전시켜서 조립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안, 예를 들면 좌우를 식별하기 위한 표시를 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좌우의 부착핀(16)의 사이 및 좌우의 케이싱(31)의 사이에서 다른 착색을 실시해서 좌우를 식별하거나, 좌우의 회동 브래킷(15)의 사이 및 좌우의 케이싱(31)의 사이에서 다른 마크를 붙여서 좌우를 식별하는 방안을 들 수 있다. 특히, 좌우에서 다른 마크를 붙이는 예로서는, 각인이나 인쇄에 의해서 숫자나 「좌우」의 문자를 표시하는 예를 들 수 있다.In addition, a method of preventing assembly by inverting the handle 20 to the frame body 10 by a visual method as well as such a physical method, for example, marking to identify the left and right can be considered. . For example, different coloring is perform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attachment pins 16 and between the left and right casings 31 to identify the left and right, or between the left and right rotation brackets 15 and the left and right casings 31 There is a way to identify the left and right by attaching a different mark between them. In particular, examples of attaching different marks from left to right include examples in which numbers and "left and right" characters are displayed by engraving or printing.

Claims (9)

축 형상 부재를 갖는 프레임 본체와,
상기 축 형상 부재를 통해서 상기 프레임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는 핸들을 구비하고,
상기 핸들은, 핸들 프레임과,
상기 축 형상 부재가 삽입되는 삽입 구멍이 형성된 고정 플레이트로서, 상기 삽입 구멍에 삽입되는 상기 축 형상 부재를 구속하는 로크 위치와 상기 축 형상 부재의 구속을 해제하는 해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핸들 프레임에 지지된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고정 플레이트를 상기 로크 위치로 가압하는 가압 부재
를 갖고,
상기 축 형상 부재, 상기 고정 플레이트 및 상기 가압 부재는, 유모차의 좌우에 1개씩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핸들을 상기 프레임 본체에 좌우 반전시켜서 조립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유모차.
a frame body having a shaft-shaped member;
a handle detachably attached to the frame body through the shaft-shaped member;
The handle comprises: a handle frame;
A fixing plate having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shaft-shaped member is inserted, the handle frame being movable between a lock position for restraining the shaft-shaped member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and a release position for releasing the restraint of the shaft-shaped member a fixing plate supported on the
a pressing member for pressing the fixing plate to the lock position
have,
The shaft-shaped member, the fixing plate, and the pressing member are provided one at a time on each left and right of the stroller,
A stroller provided with means for preventing assembly by inverting the handle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ame bod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프레임에, 상기 축 형상 부재가 관통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핸들 프레임의 상기 관통 구멍은, 상기 고정 플레이트가 상기 로크 위치 및 상기 해방 위치 중 어디에 위치하는 경우여도,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상기 삽입 구멍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면(對面)하는 유모차.
The method of claim 1,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shaft-shaped member passes is formed in the handle frame;
The through-hole of the handle frame at least partially faces the insertion hole of the fixing plate even when the fixing plate is located in any of the lock position and the release position.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축 형상 부재에는, 당해 축 형상 부재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는, 상기 로크 위치에서, 상기 삽입 구멍에 삽입된 상기 축 형상 부재의 상기 홈 내에 부분적으로 들어가도록 되어 있는 유모차.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 groove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haft-shaped member is formed in the shaft-shaped member;
and the fixing plate is adapted to partially fit into the groove of the shaft-shaped member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in the lock position.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축 형상 부재는, 상기 홈을 사이에 두고 구분된 두부(頭部)와 기부(基部)를 포함하고,
상기 두부는, 끝이 가늘게 되어 있는 유모차.
4. The method of claim 3,
The shaft-shaped member includes a head and a base separated with the groove therebetween,
The head is a stroller with a tapered tip.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상기 삽입 구멍은, 상기 고정 플레이트가 상기 로크 위치에 위치할 때에, 상기 축 형상 부재와 당해 축 형상 부재의 축 방향으로 겹치는 로크용 영역과, 상기 고정 플레이트가 상기 해방 위치에 위치할 때에, 상기 축 형상 부재와 당해 축 형상 부재의 축 방향으로 겹치는 해방용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로크용 영역 및 상기 해방용 영역은, 부분적으로 중첩하고,
상기 축 형상 부재의 축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상기 로크용 영역은 상기 축 형상 부재의 두부보다도 작고, 상기 해방용 영역은 상기 축 형상 부재의 두부보다도 큰 유모차.
5. The method of claim 4,
The insertion hole of the fixing plate includes a locking region overlapping the shaft-shaped member and the shaft-shaped member in the axial direction when the fixing plate is positioned in the locking position, and the fixing plate is positioned in the unlocked position. a region for release that overlaps with the shaft-shaped member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shaft-shaped member,
The locking area and the releasing area partially overlap,
When viewed from the axial direction of the shaft-shaped member, the locking region is smaller than the head of the shaft-shaped member, and the releasing region is larger than the head of the shaft-shaped memb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의 축 형상 부재는, 당해 축 형상 부재의 축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에서의 단면 형상이 서로 다른 유모차.
The method of claim 1,
The left and right shaft-shaped members have different cross-sectional shapes in a cross section orthogonal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shaft-shaped member.
제 1 항에 있어서,
좌측의 축 형상 부재 및 우측의 축 형상 부재는, 그 축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에서, 서로 다른 형상을 갖는 유모차.
The method of claim 1,
A baby carriage in which the left shaft-shaped member and the right shaft-shaped member have different shapes in a cross section orthogonal to the axial dir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에, 좌우의 리드부와, 상기 좌우의 리드부를 연결하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핸들 프레임을 갖고,
상기 핸들에는, 상기 핸들 프레임의 좌우를 식별하기 위한 표시가 되어 있는 유모차.
The method of claim 1,
and a handle frame including, on the handle, left and right lead parts, and an operation part for connecting the left and right lead parts;
The stroller is provided with a mark for identifying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andle frame on the handle.
삭제delete
KR1020160117038A 2015-09-18 2016-09-12 Stroller KR10231913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85342A JP6639168B2 (en) 2015-09-18 2015-09-18 baby carriage
JPJP-P-2015-185342 2015-09-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4335A KR20170034335A (en) 2017-03-28
KR102319131B1 true KR102319131B1 (en) 2021-10-29

Family

ID=58391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7038A KR102319131B1 (en) 2015-09-18 2016-09-12 Stroller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639168B2 (en)
KR (1) KR102319131B1 (en)
CN (1) CN107031695B (en)
TW (1) TWI688505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40233B2 (en) * 2018-06-20 2023-09-07 国立研究開発法人宇宙航空研究開発機構 Coupling device and deployable structure incorporating the coupling device
US11603023B2 (en) * 2020-02-14 2023-03-14 Waymo Llc Lockout assembly for folding vehicle seat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92151A (en) 2007-10-10 2009-04-30 Tasuko Enterprise:Kk Ring body provided with a lock mechanism
JP2009120183A (en) 2007-10-22 2009-06-04 Graco Childrens Prod Inc Foldable pushcart and foldable baby carriag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3510Y2 (en) * 1989-09-13 1997-01-29 コンビ株式会社 Push handle attached to stroller and stroller with removable push handle
ES1053703Y (en) * 2003-01-09 2003-11-16 Jane Sa DEVICE FOR THE ENVIRONMENTAL COUPLING OF SEATS AND COATS-COT IN CHILDREN'S CARS.
NO335333B1 (en) * 2012-09-19 2014-11-17 Stokke As Stroller
CN202879562U (en) * 2012-10-18 2013-04-17 昆山威凯儿童用品有限公司 Folding type baby stroller
CN103921821B (en) * 2013-01-11 2016-03-02 安徽省舒城三乐童车有限责任公司 A kind of blocking device that returns the vehicle to the garage and knock off of baby stroller
JP6257938B2 (en) * 2013-07-04 2018-01-10 コンビ株式会社 baby carriag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92151A (en) 2007-10-10 2009-04-30 Tasuko Enterprise:Kk Ring body provided with a lock mechanism
JP2009120183A (en) 2007-10-22 2009-06-04 Graco Childrens Prod Inc Foldable pushcart and foldable baby carri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031695B (en) 2023-03-28
CN107031695A (en) 2017-08-11
KR20170034335A (en) 2017-03-28
JP2017056897A (en) 2017-03-23
JP6639168B2 (en) 2020-02-05
TW201711889A (en) 2017-04-01
TWI688505B (en) 2020-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42453B2 (en) Child stroller apparatus
JP5963394B2 (en) Folding baby carriage
KR101793220B1 (en) Folding stroller improvements
JP6598353B2 (en) Stroller body
TWI635002B (en) Child seat
AU2016388647B2 (en) Foldable child's tricycle and folding method thereof
EP2927090B1 (en) Foldable stroller frame
KR102319131B1 (en) Stroller
JP6209100B2 (en) Folding baby carriage
EP2524853B1 (en) Baby carriage
JP5020655B2 (en) stroller
WO2018051807A1 (en) Stroller
JP6400409B2 (en) baby carriage
KR102371058B1 (en) Stroller
TWI761080B (en) baby carriage
TWI555660B (en) Foldable baby carriage
JP6685930B2 (en) bag
KR101779662B1 (en) Folding Structure for Means of Transportation
TW201522122A (en) Child seat
CN220826583U (en) Reversible saddle for children's vehicle
TWI626180B (en) Child seat
JP2018184102A (en) baby carriage
KR101693206B1 (en) Baby carriage
KR101942084B1 (en) removable structure for seat of baby carriage
JP6618397B2 (en) Position adjustment mechanism, child-carrying device and motorcy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