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9032B1 - Toilet seat with cleaning funtion and Bidet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Toilet seat with cleaning funtion and Bidet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9032B1
KR102319032B1 KR1020150027577A KR20150027577A KR102319032B1 KR 102319032 B1 KR102319032 B1 KR 102319032B1 KR 1020150027577 A KR1020150027577 A KR 1020150027577A KR 20150027577 A KR20150027577 A KR 20150027577A KR 102319032 B1 KR102319032 B1 KR 1023190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driving
unit
seat unit
toi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75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104844A (en
Inventor
한지원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27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9032B1/en
Publication of KR20160104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484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9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903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30Seats having provisions for heating, deodorising or the like, e.g. ventilating, noise-damping or cleaning devices
    • A47K13/302Seats with clea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06Auxiliary or portable seats for childr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28Adjustably-mounted seats or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클리닝 가능한 변기시트는, 변기통 후부에 제공되는 클리닝수단; 및 상기 변기통의 상부에 제공되며, 상기 클리닝수단에 의해 클리닝되도록 상기 변기통 후측으로 왕복이동되는 상부시트를 가진 시트수단;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변기통 후부에 배치된 클리닝수단에 의해 클리닝되도록 변기통 후측으로 왕복이동되는 상부시트를 가진 시트수단을 포함함으로써, 상부시트를 원활하면서도 용이하게 클리닝할 수 있다.
A cleanable toilet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leaning mean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toilet bowl; and a seat means provided above the toilet bowl and having an upper sheet reciprocally moved to the rear side of the toilet bowl to be cleaned by the cleaning means.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eat means having the upper sheet reciprocating to the rear side of the toilet bowl to be cleaned by the cleaning means disposed at the rear of the toilet bowl, so that the top sheet can be cleaned smoothly and easily.

Description

클리닝 가능한 변기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비데{Toilet seat with cleaning funtion and Bidet having the same}A cleanable toilet seat and a bidet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클리닝 가능한 변기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비데로서, 시트부의 청결상태를 유지하는 클리닝 가능한 변기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비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eanable toilet seat and a bidet including the same, and to a cleanable toilet seat for maintaining a clean state of the seat part and a bidet including the same.

일반적으로, 변기는 여러 사용자가 동일한 시트부를 사용하기 때문에 시트부가 오염될 경우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낄 수 있고, 아울러 오염된 시트부에 의해 사용자가 질병에 감염될 위험성이 있다.In general, since several users of a toilet use the same seat part, a user may feel uncomfortable when the seat part is contaminated, and there is a risk that the user may be infected with a disease by the contaminated seat part.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일부 변기의 경우 사용자가 일회용 시트부 커버를 변기 사용 시마다 시트부에 씌워 사용한다.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some toilets, a user puts a disposable seat cover on the seat portion every time the toilet is used.

그러나, 사용자가 일회용 시트부 커버를 변기 사용 시마다 교체하는 것은 번거로운 일일 뿐만 아니라, 소모품인 일회용 시트부 커버가 소진될 경우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다.
However, it is cumbersome for the user to replace the disposable seat cover every time the toilet is used, and when the disposable seat cover, which is a consumable, is exhausted,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the above-described problem cannot be solv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시트부의 청결상태를 유지하는 클리닝 가능한 변기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비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eanable toilet seat that maintains a clean state of the seat portion and a bidet including the sam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 가능한 변기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비데는, 변기통 후부에 제공되는 클리닝수단; 및 상기 변기통의 상부에 제공되며, 상기 클리닝수단에 의해 클리닝되도록 상기 변기통 후측으로 왕복이동되는 상부시트를 가진 시트수단;을 포함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cleanable toilet seat and a bidet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cleaning mean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toilet bowl; and a seat means provided above the toilet bowl and having an upper sheet reciprocally moved to the rear side of the toilet bowl to be cleaned by the cleaning means.

여기에서, 상기 시트수단은, 상기 변기통 상부에 설치된 하부시트와, 상기 하부시트 상에서 상기 변기통 후측으로 왕복이동되는 상기 상부시트를 가진 시트부; 및 상기 상부시트와 연결되어 상기 상부시트를 왕복이동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할 수 있다.
Here, the seat means may include: a seat part having a lower seat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toilet bowl, and the upper seat being reciprocally moved to a rear side of the toilet on the lower seat; and a driving unit connected to the upper sheet to reciprocate the upper sheet.

이때, 상기 상부시트는, 복수 개가 서로 이어지거나 적층되는 가변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case, the upper sheet may have a variable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the upper sheet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or laminated.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시트는,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변기통 후측으로 왕복이동되는 구동시트유닛; 및 상기 구동시트유닛을 기준으로 상기 변기통 후측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시트유닛에 의해 밀리거나 견인되어 이동되는 아이들시트유닛;을 구비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upper sheet may include a driving seat unit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and reciprocally moved to the rear side of the toilet bowl by the driving unit; and an idle seat unit disposed at the rear side of the toilet bowl with respect to the driving seat unit and moved by being pushed or pulled by the driving seat unit.

또한, 상기 시트수단은, 상기 변기통 후측으로 이동되는 상기 아이들시트유닛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변기통 후부에 배치된 스토퍼;를 더 구비하며, 상기 구동시트유닛이 상기 아이들시트유닛을 밀어서 이동 중 상기 스토퍼에 의해 상기 아이들시트유닛의 이동이 정지 시, 상기 구동시트유닛이 상기 아이들시트유닛을 밀어올리면서 상기 아이들시트유닛의 하측으로 이동배치되도록, 상기 구동시트유닛과 상기 아이들시트유닛은 서로 마주보는 면에 경사부를 구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at means further includes a stopper disposed at the rear of the toilet bowl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idle seat unit moving to the rear side of the toilet bowl, wherein the driving seat unit pushes the idle seat unit while moving When the movement of the idle seat unit is stopped by the stopper, the driving seat unit and the idle seat unit face each other so that the driving seat unit is moved to the lower side of the idle seat unit while pushing up the idle seat unit. An inclined portion may be provided on the surface.

이때, 상기 경사부는, 상기 아이들시트유닛 측으로 갈수록 하방경사지도록 상기 구동시트유닛에 형성된 구동경사면; 및 상기 구동시트유닛 측으로 갈수록 상방경사지도록 상기 아이들시트유닛에 형성된 아이들경사면;을 구비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inclined portion may include a driving inclined surface formed on the driving seat unit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idle seat unit; and an idle inclined surface formed on the idle seat unit to be inclined upward toward the driving seat unit.

그리고, 상기 구동경사면과 아이들경사면 각각에는 걸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는, 상기 구동시트유닛에 상기 아이들시트유닛으로부터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되는 경우 서로에 대해 걸림되고, 상기 구동시트유닛에 상기 아이들시트유닛 방향으로 힘이 작용되어 상기 아이들시트유닛이 밀어올려지는 경우 걸림해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nd, a locking part is formed on each of the driving inclined surface and the idle inclined surface, and the locking part is engaged with each other when a force is applied to the driving seat unit in a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from the idle seat unit. When a force is applied in the direction of the idle seat unit and the idle seat unit is pushed up, it may be configured to be disengaged.

이때, 상기 걸림부는 상기 구동경사면과 아이들경사면 각각에 형성된 걸림턱이며, 상기 걸림턱은 경사끝단 방향의 면이 경사끝단 측으로 경사지고, 경사끝단 반대방향의 면이 경사끝단 측으로 경사지거나 수직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locking part is a locking jaw formed on each of the driving inclined surface and the idle inclined surface. can be

또한, 상기 시트수단은, 상기 변기통 후부에서의 상기 구동시트유닛 상에서 상기 변기통 전측으로 이동되는 상기 아이들시트유닛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변기통의 후부 전단에 배치된 제한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at means may further include a limiting jaw disposed at the front end of the rear of the toilet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idle seat unit moving toward the front of the toilet on the driving seat unit at the rear of the toilet. .

그리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시트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구동시트유닛을 견인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구동시트유닛에 대한 상기 연결부재의 견인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And, the driving unit, a connection member connected to the driving seat unit to pull the driving seat unit; and a driving member for providing a traction force of the connection member with respect to the driving seat unit.

이때, 상기 연결부재는 텔레스코프식으로 신축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onnecting member may be telescopically expandable.

여기에서, 상기 구동시트유닛 및 아이들시트유닛 각각은 상기 연결부재를 따라 가이드 이동되도록, 하부에 상기 연결부재가 인입되는 유닛가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다.Here, each of the driving seat unit and the idle seat unit may have a unit guide groove formed therein through which the connecting member is introduced so that the driving seat unit and the idle seat unit are guided along the connecting member.

아울러, 상기 하부시트는, 상기 상부시트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상부시트가 인입되는 시트가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ower sheet may be formed with a sheet guide groove into which the upper sheet is introduced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upper sheet.

그리고, 상기 클리닝수단은, 상기 변기통 후부의 상측에 배치되며, 세척부재 또는 살균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leaning means is disposed above the rear of the toilet bowl, and may include a cleaning member or a sterilizing member.

아울러, 상기 클리닝수단은, 상기 구동부와 전기적으로 연계되고, 상기 세척부재 또는 살균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계된 제어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lean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leaning member or the sterilizing member.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술된 클리닝 가능한 변기시트; 및 상기 클리닝 가능한 변기시트가 설치되는 비데본체;를 포함하는 비데가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eanable toilet seat described above; and a bidet body in which the cleanable toilet seat is installed; may be provided.

본 발명에 따른 클리닝 가능한 변기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비데는, 변기통 후부에 배치된 클리닝수단에 의해 클리닝되도록 변기통 후측으로 왕복이동되는 상부시트를 가진 시트수단을 포함함으로써, 상부시트를 원활하면서도 용이하게 클리닝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A cleanable toilet seat and a bidet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seat means having an upper sheet reciprocally moved to the rear side of the toilet bowl to be cleaned by a cleaning means disposed at the rear of the toilet bowl, thereby smoothly and easily cleaning the top seat have the effect tha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 가능한 변기시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클리닝 가능한 변기시트에서 시트수단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시트수단에서 구동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시트수단에서 상부시트의 하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시트수단에서 상부시트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도 2의 시트수단에서 상부시트가 이동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leanable toilet se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eat means in the cleanable toilet seat of FIG. 1 .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riving unit in the seat means of FIG. 2 .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sheet in the seat means of Figure 2;
5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upper sheet in the sheet means of FIG.
6 to 8 are views showing a process of moving the upper sheet in the seat means of FIG.

이하, 본 발명의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도면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Note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비데는, 클리닝 가능한 변기시트와, 상기 클리닝 가능한 변기시트가 설치되는 비데본체를 포함한다.The bide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leanable toilet seat and a bidet body on which the cleanable toilet seat is installed.

여기에서, 상기 비데본체는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용변 후 생식기와 항문 주위를 세척하도록 구성되면 될 뿐 종래의 어떠한 구성도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Her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bidet body is not limited by the present invention and any conventional configuration may be utilized as long as it is configured to wash around the genitals and anus after toilet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 가능한 변기시트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클리닝 가능한 변기시트에서 시트수단을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leanable toilet se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eat means in the cleanable toilet seat of FIG. 1 .

또한, 도 3은 도 2의 시트수단에서 구동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시트수단에서 상부시트의 하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2의 시트수단에서 상부시트를 나타낸 확대도이다.In addi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riving unit in the seat means of Figure 2,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sheet in the seat means of Figure 2, Figure 5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upper sheet in the seat means of Figure 2 am.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클리닝 가능한 변기시트는 변기통(1) 후부에 제공되는 클리닝수단(100)과, 상기 변기통(1) 상부에 제공되는 시트수단을 포함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cleanable toilet sea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leaning means 100 provided at the rear of the toilet bowl 1 , and a seat means provided on the top of the toilet bowl 1 .

참고로, 상기 변기통(1)은 용변 또는 물을 수용하는 부분으로서,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내부의 상단에는 물이 공급되어 내려오는 공급관이 연결되고, 내부의 하단에는 용변과 물이 배출되는 하수관이 연결된다.For reference, the toilet bowl (1) is a part for receiving toilet or water,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supply pipe through which water is supplied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inside, and the toilet and water are discharged at the lower end of the inside. The sewer pipe is connected.

이러한 변기통(1)의 구체적인 구조는 본 발명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종래의 어떠한 구성도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Of course, the specific structure of the toilet bowl 1 is not limited by the present invention, and any conventional configuration may be utilized.

이어서, 상기 시트수단과 클리닝수단(100)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Next, the sheet means and the cleaning means 100 will be described.

상기 시트수단은 변기통(1)의 상부에 제공되며, 클리닝수단(100)에 의해 클리닝되도록 변기통(1) 후측으로 왕복이동되는 상부시트(300)를 가진다.The seat means is provided on the top of the toilet bowl 1 and has an upper seat 300 reciprocally moved to the rear side of the toilet bowl 1 to be cleaned by the cleaning means 100 .

구체적으로, 상기 시트수단은 변기통(1) 상부에 설치되는 시트부(S)와, 상기 시트부(S)에 연계되는 구동부(400)를 구비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at means may include a seat portion (S) installed on the toilet bowl (1), and a driving unit (400) connected to the seat portion (S).

여기에서, 상기 시트부(S)는 변기통(1) 상부에 설치된 하부시트(200)와, 상기 하부시트(200) 상에서 변기통(1) 후측으로 왕복이동되는 상부시트(300)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하부시트(200)는 상부시트(300)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상부시트(300)가 인입되는 시트가이드홈(200a)이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seat portion S includes a lower seat 200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oilet bowl 1 , and an upper seat 300 reciprocating to the rear side of the toilet bowl 1 on the lower seat 200 . In this case, the lower sheet 200 may have a sheet guide groove 200a into which the upper sheet 300 is inserted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upper sheet 300 .

그리고, 상기 상부시트(300)는 복수 개가 서로 이어지거나 적층되는 가변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sheet 300 may have a variable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them are connected to each other or stacked.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시트(300)는 구동부(400)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시트유닛(310)과, 이러한 구동시트에 의해 이동되는 아이들시트유닛(320)을 구비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upper sheet 300 may include a driving seat unit 310 driven by the driving unit 400 and an idle seat unit 320 moving by the driving seat.

상기 구동시트유닛(310)은 구동부(400)와 연결되어 구동부(400)에 의해 변기통(1) 후측으로 왕복이동되며, 상기 아이들시트유닛(320)은 구동시트유닛(310)을 기준으로 변기통(1) 후측에 배치되어 구동시트유닛(310)에 의해 밀려서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driving seat unit 310 is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400 and reciprocally moved to the rear side of the toilet bowl 1 by the driving unit 400, and the idle seat unit 320 is a toilet bowl (based on the driving seat unit 310). 1) It may be disposed on the rear side and configured to be moved by being pushed by the driving seat unit 310 .

그리고, 상기 시트수단은 변기통(1) 후측으로 이동되는 아이들시트유닛(320)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변기통(1) 후부에 배치된 스토퍼(5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at means may further include a stopper 500 disposed at the rear side of the toilet bowl 1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idle seat unit 320 moving to the rear side of the toilet bowl 1 .

이때, 상기 스토퍼(500)는 변기통(1) 후부의 후단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클리닝수단(100)이 변기통(1) 후부의 상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구동시트유닛(310)과 아이들시트유닛(320)이 변기통(1)의 후측으로 이동 시 상기 클리닝수단(100)의 아래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참고로, 상기 스토퍼(500)는 클리닝수단(100)을 지지하는 지지케이스(100)에 설치고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topper 500 is preferably disposed at the rear end of the rear portion of the toilet bowl 1 , because the cleaning means 100 is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ear portion of the toilet bowl 1 , the driving seat unit 310 and the idle seat This is to allow the unit 320 to pass under the cleaning means 100 when the unit 320 moves to the rear side of the toilet bowl 1 . For reference, the stopper 500 may be installed and fixed to the support case 100 supporting the cleaning means 100 .

이러한 스토퍼(500)는, 구동시트유닛(310)에 의해 밀려서 변기통(1) 후측으로 이동되는 아이들시트유닛(320)이 일정 거리 이상까지만 이동되도록 아이들시트유닛(320)을 막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stopper 500 serves to block the idle seat unit 320 so that the idle seat unit 320 pushed by the driving seat unit 310 and moved to the rear side of the toilet bowl 1 moves only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r more.

또한, 상기 구동시트유닛(310)과 아이들시트유닛(320)은 서로 마주보는 면에 경사부를 구비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사부로 인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시트유닛(310)이 아이들시트유닛(320)을 밀어서 이동 중 스토퍼(500)에 의해 아이들시트유닛(320)의 이동이 정지 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시트유닛(310)이 아이들시트유닛(320)을 밀어올리면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시트유닛(310)이 아이들시트유닛(320)의 하측으로 이동배치된다.In addition, the driving seat unit 310 and the idle seat unit 320 may have inclined portions on the surfaces facing each other. Due to this inclined portion, the driving seat unit 310 is the idle seat unit as shown in FIG. 6 . When the movement of the idle seat unit 320 is stopped by the stopper 500 during the movement by pushing the 320, the driving seat unit 310 pushes up the idle seat unit 320 as shown in FIG. 7 , As shown in FIG. 8 , the driving seat unit 310 is moved to the lower side of the idle seat unit 320 .

이를 위해 상기 경사부는, 구체적으로 구동시트유닛(310)에 형성된 구동경사면(311)과, 아이들시트유닛(320)에 형성된 아이들경사면(321)을 구비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inclined portion may specifically include a driving inclined surface 311 formed on the driving seat unit 310 and an idle inclined surface 321 formed on the idle seat unit 320 .

여기에서, 상기 구동경사면(311)은 아이들시트유닛(320) 측으로 갈수록 하방경사지는 형상을 취하고, 상기 아이들경사면(321)은 구동시트유닛(310) 측으로 갈수록 상방경사지는 형상을 취할 수 있다.
Here, the driving inclined surface 311 may take a shape that is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idle seat unit 320 , and the idle inclined surface 321 may have a shape that is inclined upward toward the driving seat unit 310 .

이에 더하여, 상기 구동경사면(311)과 아이들경사면(321) 각각에는 걸림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locking portions may be formed on each of the driving inclined surface 311 and the idle inclined surface 321 .

이때, 상기 걸림부는 아이들시트유닛(32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구동시트유닛(310)에 힘이 작용되는 경우 서로에 대해 걸림되고, 아이들시트유닛(320) 방향으로 구동시트유닛(310)에 힘이 작용되어 아이들시트유닛(320)이 밀어올려지는 경우 걸림해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a force is applied to the driving seat unit 310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idle seat unit 320 , the engaging portions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nd the force is applied to the driving seat unit 310 in the idle seat unit 320 direction. It may be configured to be released when the idle seat unit 320 is pushed up by the action.

일례로서, 상기 걸림부는 구동경사면(311)과 아이들경사면(321) 각각에 형성된 걸림턱(312)(322)일 수 있다.As an example, the locking part may be locking projections 312 and 322 formed on each of the driving inclined surface 311 and the idle inclined surface 321 .

구체적으로, 상기 걸림턱(312)(322)은 경사끝단 방향의 면(312a)(322a)이 경사끝단 측으로 경사지고, 경사끝단 반대방향의 면(312b)(322b)이 경사끝단 측으로 경사지거나 수직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as for the engaging projections 312 and 322, the surfaces 312a and 322a in the inclined end direction are inclined toward the inclined end, and the surfaces 312b and 322b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inclined end are inclined or perpendicular to the inclined end. direction can be formed.

즉, 구동시트유닛(310)에 아이들시트유닛(320) 방향으로 힘이 작용되어 아이들시트유닛(320)이 밀어올려지는 경우에는, 구동경사면(311)과 아이들경사면(321) 각각의 걸림턱(312)(322)에서 경사끝단 방향의 면(312a)(322a)이 각각의 경사끝단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구동경사면(311)과 아이들경사면(321) 각각의 걸림턱(312)(322)은 서로에 대해 걸림이 해제됨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시트유닛(310)이 아이들시트유닛(320)을 밀어올리면서 아이들시트유닛(320)의 하측으로 이동된다.That is, when a force is applied to the driving seat unit 310 in the direction of the idle seat unit 320 and the idle seat unit 320 is pushed up, each of the driving inclined surface 311 and the idle inclined surface 321 is engaged ( In 312 and 322, the surfaces 312a and 322a in the inclined end direction are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each inclined end, so that the driving inclined surface 311 and the idle inclined surface 321, each of the engaging projections 312 and 322 are mutually exclusive. As the lock is released, the driving seat unit 310 moves to the lower side of the idle seat unit 320 while pushing up the idle seat unit 320 as shown in FIG. 7 .

또한, 구동시트유닛(310)에 아이들시트유닛(320)으로부터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되는 경우에는, 구동경사면(311)과 아이들경사면(321) 각각의 걸림턱(312)(322)에서 경사끝단 반대방향의 면(312b)(322b)이 각각의 경사끝단 측으로 경사지거나 수직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구동경사면(311)과 아이들경사면(321) 각각의 걸림턱(312)(322)은 서로에 대해 걸림됨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시트유닛(310)이 아이들시트유닛(320)을 견인하여 변기통(1)의 전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when a force is applied to the driving seat unit 310 in a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from the idle seat unit 320 , the driving inclined surface 311 and the idle inclined surface 321 are inclined at each of the engaging projections 312 and 322 . As the surfaces 312b and 322b opposite the end are inclined or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ward each inclined end, the driving inclined surface 311 and the idle inclined surface 321, respectively, the engaging projections 312 and 322 are relative to each other. As shown in FIG. 6 , the driving seat unit 310 may pull the idle seat unit 320 and move it to the front side of the toilet bowl 1 as shown in FIG. 6 .

그리고, 상기 시트수단은 변기통(1) 후부에서의 구동시트유닛(310) 상에서 변기통(1) 전측으로 이동되는 아이들시트유닛(320)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변기통(1)의 후부 전단에 배치된 제한턱(도 1의 60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참고로, 상부시트(300)는 변기통(1) 후부에 배치된 클리닝수단(100)의 지지케이스(100) 개구부(110a)를 통해 이동되는데, 상기 제한턱(600)은 개구부(110a)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일례로서 지지케이스(100)에 설치고정될 수 있다.And, the seat means is disposed at the front end of the rear of the toilet bowl 1 so as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idle seat unit 320 moving to the front side of the toilet bowl 1 on the driving seat unit 310 at the rear portion of the toilet bowl 1 A limiting jaw (600 in FIG. 1 ) may be further provided. For reference, the upper sheet 300 is moved through the opening 110a of the support case 100 of the cleaning means 100 disposed at the rear of the toilet bowl 1 , and the limiting jaw 600 is the upper portion of the opening 110a. It may be disposed on and may be installed and fixed to the support case 100 as an example.

도 8 및 도 7에 순차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변기통(1) 후부에서 구동시트유닛(310)이 변기통(1) 전측으로 이동 시, 구동시트유닛(310) 상에 배치된 아이들시트유닛(320)은 구동시트유닛(310)과 함께 이동되지 않도록 상기 제한턱(600)에 의해 이동이 제한됨으로써, 구동시트유닛(310)이 변기통(1) 상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점차적으로 아래로 내려옴에 따라, 종국에는 구동시트유닛(310)과 걸림부가 서로 걸림되어 구동시트유닛(310)에 의해 견인될 수 있다.
8 and 7, when the driving seat unit 310 is moved to the front side of the toilet bowl 1 from the rear of the toilet bowl 1, the idle seat unit disposed on the driving seat unit 310 ( The movement of the 320 is limited by the limiting jaw 600 so as not to move together with the driving seat unit 310, so that the driving seat unit 310 gradually descends in the process of moving it onto the toilet bowl (1). Accordingly, in the end, the driving seat unit 310 and the engaging portion may be caught with each other and towed by the driving seat unit 310 .

또한, 상기 시트수단은 상술된 상부시트(300)와 연결되어 상부시트(300)를 왕복이동시키는 구동부(400)를 구비하는데, 이러한 구동부(4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시트유닛(310)과 연결된 연결부재(410)와, 상기 연결부재(410)를 구동시키는 구동부재(420)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at means is connected to the upper sheet 300 and provided with a driving unit 400 for reciprocating the upper sheet 300, such a driving unit 400 is a driving seat unit (as shown in FIG. 3) It may include a connecting member 410 connected to the 310 and a driving member 420 for driving the connecting member 410 .

여기에서, 상기 연결부재(410)는 구동시트유닛(310)과 연결되어 구동시트유닛(310)을 견인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구동부재(420)는 이러한 연결부재(410)를 구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참고로, 구동시트유닛(310)의 하부에 형성된 체결돌기(313a)가 연결부재(410)의 선단부에 형성된 체결홈(410a)에 끼움됨으로써 구동시트유닛(310)과 연결부재(410)가 연결될 수 있다.Here, the connecting member 410 is connected to the driving seat unit 310 to perform a function of pulling the driving seat unit 310 , and the driving member 420 functions to drive the connecting member 410 . carry out For reference, the driving seat unit 310 and the connecting member 410 are connected by fitting the fastening protrusion 313a formed on the lower part of the driving seat unit 310 into the fastening groove 410a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410 . can

이때, 상기 연결부재(410)는 텔레스코프식(telescopic type)으로 신축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nection member 410 may take a structure that is telescopic (telescopic type) stretchable.

아울러, 상기 구동시트유닛(310) 및 아이들시트유닛(320) 각각은 하부에 연결부재(410)가 인입되는 유닛가이드홈(313)(323)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동 시 유닛가이드홈(313)(323)이 연결부재(410)를 따라 이동됨에 따라 일정한 이동방향을 유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each of the driving seat unit 310 and the idle seat unit 320 may have unit guide grooves 313 and 323 into which the connecting member 410 is introduc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d when moving, the unit guide groove 313 . ) 323 may maintain a constant moving direction as it moves along the connecting member 410 .

한편, 본 발명은 변기통(1) 후부에 제공되는 클리닝수단(100)을 포함하는데, 상기 클리닝수단(100)은 변기통(1) 후부의 상측에 배치되며, 세척부재(120) 또는 살균부재(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leaning means 100 provided at the rear of the toilet bowl 1, the cleaning means 100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rear portion of the toilet bowl 1, the cleaning member 120 or a sterilizing member (not shown) city) can be provided.

여기에서, 상기 세척부재(120)는 세척용액을 이용하고 살균부재(미도시)는 살균매개체(살균용액 또는 살균광)를 이용하여, 클리닝수단(100) 아래로 이동된 상부시트(300)를 세척 및 살균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클리닝수단(100)은 건조부재(130)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러한 건조부재(130)는 상부시트(300)에 잔류한 세척용액 또는 살균용액을 건조하여 제거할 수 있다.Here, the cleaning member 120 uses a cleaning solution, and the sterilizing member (not shown) uses a sterilizing medium (sterilizing solution or sterilizing light) to remove the upper sheet 300 moved under the cleaning means 100 . It can be cleaned and sterilized. In addition, the cleaning means 100 may further include a drying member 130 , and the drying member 130 may be removed by drying the cleaning solution or sterilizing solution remaining on the upper sheet 300 .

나아가, 상기 클리닝수단(100)은 구동부(400)와 전기적으로 연계되고, 세척부재(120) 또는 살균부재(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계된 제어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는 구동부(400)를 작동제어하고, 구동부(400)에 의해 상부시트(300)가 세척부재(120) 또는 살균부재(미도시)의 아래에 이동배치된 후에는, 세척부재(120) 또는 살균부재(미도시)를 적정시간 동안 작동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아울러 제어부는 상부시트(300)가 세척부재(120) 또는 살균부재(미도시)의 아래로부터 빠져나가는 과정에서는 건조부재(130)를 적정시간 동안 작동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제어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제어를 위한 입력부(140)가 지지케이스(110)의 전면에 구성될 수 있다.
Furthermore, the cleaning means 100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400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leaning member 120 or the sterilizing member (not shown). This control unit operates and controls the driving unit 400, and after the upper sheet 300 is moved and disposed under the washing member 120 or the sterilizing member (not shown) by the driving unit 400, the washing member 120 Alternatively, it performs a function of operating and controlling the sterilization member (not shown) for an appropriate time.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performs a function of operating and controlling the drying member 130 for an appropriate time while the upper sheet 300 exits from the bottom of the washing member 120 or the sterilizing member (not shown).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 , in the control unit, an input unit 140 for operation control may be configured on the front side of the support case 110 .

그러면, 도 2 및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시트수단에서 상부시트(300)가 이동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Then,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6 to 8 , a process of moving the upper sheet 300 in the sheet means will be described.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부시트(300)를 사용하는 데, 이러한 상부시트(300)를 클리닝하기 위해 구동부(400)인 구동부재(420)가 연결부재(410)를 작동시켜 수축시킴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410)와 연결된 상부시트(300)가 하부시트(200)의 시트가이드홈(200a)을 따라 변기통(도 1의 1)의 후부 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상부시트(300)에서 구동시트유닛(310)이 구동부(400)의 연결부재(410)와 연결되어 이동하며, 아이들시트유닛(320)은 구동시트유닛(310)에 의해 밀려서 이동하게 된다.The user uses the upper sheet 300 in the state shown in FIG. 2 , and in order to clean the upper sheet 300 , the driving member 420 , which is the driving unit 400 , operates the connecting member 410 . As it is contracted, as shown in FIG. 6 , the upper sheet 300 connected to the connecting member 410 moves along the seat guide groove 200a of the lower seat 200 toward the rear side of the toilet bowl (1 in FIG. 1 ). is moved At this time, the driving seat unit 310 in the upper seat 30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member 410 of the driving unit 400 and moves, and the idle seat unit 320 is pushed by the driving seat unit 310 to move. .

이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들시트유닛(320)이 스토퍼(500)에 의해 이동이 정지되면, 구동시트유닛(310)의 미는 힘에 의해 상측으로 올라가게 되고 이때 구동시트유닛(310)은 아이들시트유닛(320)의 하측으로 이동배치됨으로서, 상부시트(3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적층구조를 이루게 된다. 이러한 구동시트유닛(310)에 의한 아이들시트유닛(320)의 리프팅은, 구동시트유닛(310)과 아이들시트유닛(320)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형성된 경사부인 구동경사면(311)과 아이들경사면(321)의 구조에 의해 이루어진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 7 , when the idle seat unit 320 is stopped from moving by the stopper 500 , it is raised upward by the pushing force of the driving seat unit 310 and at this time the driving seat unit 310 . is moved to the lower side of the idle seat unit 320, so that the upper sheet 300 forms a stacked structure as shown in FIG. The lifting of the idle seat unit 320 by the driving seat unit 310 is a drive inclined surface 311 and an idle inclined surface ( 321).

상술된 바와 같이 상부시트(300)가 변기통(1) 후부 측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클리닝수단(100)의 세척부재(120)와 살균부재(미도시)가 상부시트(300)를 세척 및 살균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upper sheet 300 to the rear side of the toilet bowl 1 , the cleaning member 120 and the sterilizing member (not shown) of the cleaning means 100 wash and sterilize the upper sheet 300 . do.

나아가, 변기통(1) 후부에서 변기통(1) 전측으로의 상부시트(300) 이동하여 원상복귀하는 과정은, 상기 도면들의 역순으로 이루어진다고 이해하면 된다.
Furthermore, it is understood that the process of returning the upper sheet 300 from the rear of the toilet 1 to the front of the toilet 1 is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of the drawings.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변기통(1) 후부에 배치된 클리닝수단(100)에 의해 클리닝되도록 변기통(1) 후측으로 왕복이동되는 상부시트(300)를 가진 시트수단을 포함함으로써, 상부시트(300)를 원활하면서도 용이하게 클리닝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cludes a seat means having an upper sheet 300 reciprocally moved to the rear side of the toilet bowl 1 so as to be cleaned by the cleaning means 100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toilet bowl 1, whereby the top sheet 300 can be cleaned smoothly and easily.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ollowing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of the claims to be described.

1 : 변기통 100 : 클리닝수단
110 : 지지케이스 110a : 개구부
120 : 세척부재 130 : 건조부재
140 : 입력부 S : 시트부
200 : 하부시트 200a : 시트가이드홈
300 : 상부시트 310 : 구동시트유닛
311 : 구동경사면 320 : 아이들시트유닛
321 : 아이들경사면 312, 322 : 걸림턱
312a, 322a : 경사끝단 방향의 면 312b, 322b : 경사끝단 반대방향의 면
313, 323 : 유닛가이드홈 313a : 체결돌기
400 : 구동부 410 : 연결부재
410a : 체결홈 420 : 구동부재
500 : 스토퍼 600 : 제한턱
1: toilet bowl 100: cleaning means
110: support case 110a: opening
120: washing member 130: drying member
140: input unit S: seat unit
200: lower seat 200a: seat guide groove
300: upper seat 310: driving seat unit
311: driving slope 320: idle seat unit
321: children slope 312, 322: jamming jaw
312a, 322a: the surface in the direction of the inclined end 312b, 322b: the surfac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inclined end
313, 323: unit guide groove 313a: fastening projection
400: driving unit 410: connecting member
410a: fastening groove 420: driving member
500: stopper 600: limit jaw

Claims (16)

변기통 후부에 제공되는 클리닝수단; 및
상기 변기통의 상부에 제공되며, 상기 클리닝수단에 의해 클리닝되도록 상기 변기통 후측으로 왕복이동되는 상부시트를 가진 시트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시트수단은,
상기 변기통 상부에 설치된 하부시트와, 상기 하부시트 상에서 상기 변기통 후측으로 왕복이동되는 상기 상부시트를 가진 시트부; 및
상기 상부시트와 연결되어 상기 상부시트를 왕복이동시키는 구동부;
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시트는, 상기 상부시트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상부시트가 인입되는 시트가이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닝 가능한 변기시트.
cleaning mean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toilet bowl; and
a seat means provided above the toilet bowl and having an upper seat reciprocally moved to the rear side of the toilet bowl to be cleaned by the cleaning means;
includes,
The sheet means,
a seat portion having a lower seat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oilet bowl, and the upper seat reciprocating from the lower seat to a rear side of the toilet bowl; and
a driving unit connected to the upper sheet to reciprocate the upper sheet;
to provide
The lower seat may include a seat guide groove through which the upper seat is inserted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upper sea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시트는, 복수 개가 서로 이어지거나 적층되는 가변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닝 가능한 변기시트.
According to claim 1,
The top sheet is a cleanable toilet seat,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variable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them are connected to each other or laminated.
변기통 후부에 제공되는 클리닝수단; 및
상기 변기통의 상부에 제공되며, 상기 클리닝수단에 의해 클리닝되도록 상기 변기통 후측으로 왕복이동되는 상부시트를 가진 시트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시트수단은,
상기 변기통 상부에 설치된 하부시트와, 상기 하부시트 상에서 상기 변기통 후측으로 왕복이동되는 상기 상부시트를 가진 시트부; 및
상기 상부시트와 연결되어 상기 상부시트를 왕복이동시키는 구동부;
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시트는, 복수 개가 서로 이어지거나 적층되는 가변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시트는,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변기통 후측으로 왕복이동되는 구동시트유닛; 및
상기 구동시트유닛을 기준으로 상기 변기통 후측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시트유닛에 의해 밀리거나 견인되어 이동되는 아이들시트유닛;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닝 가능한 변기시트.
cleaning mean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toilet bowl; and
a seat means provided above the toilet bowl and having an upper seat reciprocally moved to the rear side of the toilet bowl to be cleaned by the cleaning means;
includes,
The sheet means,
a seat portion having a lower seat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oilet bowl, and the upper seat reciprocating from the lower seat to a rear side of the toilet bowl; and
a driving unit connected to the upper sheet to reciprocate the upper sheet;
to provide
The upper sheet is made of a variable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them are connected to each other or laminated,
The upper sheet is
a driving seat unit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and reciprocating to the rear side of the toilet bowl by the driving unit; and
an idle seat unit disposed at the rear side of the toilet bowl with respect to the driving seat unit and moved by being pushed or pulled by the driving seat unit;
A cleanable toilet seat comprising a.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수단은,
상기 변기통 후측으로 이동되는 상기 아이들시트유닛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변기통 후부에 배치된 스토퍼;를 더 구비하며,
상기 구동시트유닛이 상기 아이들시트유닛을 밀어서 이동 중 상기 스토퍼에 의해 상기 아이들시트유닛의 이동이 정지 시, 상기 구동시트유닛이 상기 아이들시트유닛을 밀어올리면서 상기 아이들시트유닛의 하측으로 이동배치되도록, 상기 구동시트유닛과 상기 아이들시트유닛은 서로 마주보는 면에 경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닝 가능한 변기시트.
5. The method of claim 4,
The sheet means,
a stopper disposed at the rear of the toilet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idle seat unit moving to the rear of the toilet; and
When the movement of the idle seat unit is stopped by the stopper while the driving seat unit pushes the idle seat unit, the driving seat unit is moved to the lower side of the idle seat unit while pushing up the idle seat unit. , wherein the driving seat unit and the idle seat unit have inclined portions on surfaces facing each oth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상기 아이들시트유닛 측으로 갈수록 하방경사지도록 상기 구동시트유닛에 형성된 구동경사면; 및
상기 구동시트유닛 측으로 갈수록 상방경사지도록 상기 아이들시트유닛에 형성된 아이들경사면;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닝 가능한 변기시트.
6. The method of claim 5,
The inclined portion,
a driving inclined surface formed on the driving seat unit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idle seat unit; and
an idle inclined surface formed on the idle seat unit to be inclined upward toward the driving seat unit;
A cleanable toilet seat comprising a.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경사면과 아이들경사면 각각에는 걸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는, 상기 구동시트유닛에 상기 아이들시트유닛으로부터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되는 경우 서로에 대해 걸림되고, 상기 구동시트유닛에 상기 아이들시트유닛 방향으로 힘이 작용되어 상기 아이들시트유닛이 밀어올려지는 경우 걸림해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닝 가능한 변기시트.
7. The method of claim 6,
A locking part is formed on each of the driving inclined surface and the idle inclined surface,
The engaging parts are engaged with each other when a force is applied to the driving seat unit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idle seat unit, and a force is applied to the driving seat unit in the direction of the idle seat unit to push the idle seat unit. A cleanable toilet sea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be disengaged when raised.
삭제delet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수단은,
상기 변기통 후부에서의 상기 구동시트유닛 상에서 상기 변기통 전측으로 이동되는 상기 아이들시트유닛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변기통의 후부 전단에 배치된 제한턱;
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닝 가능한 변기시트.
5. The method of claim 4,
The sheet means,
a limiting jaw disposed at the front end of the rear of the toilet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idle seat unit moving toward the front of the toilet on the driving seat unit at the rear of the toilet;
A cleanable toilet seat further comprising a.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시트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구동시트유닛을 견인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구동시트유닛에 대한 상기 연결부재의 견인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재;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닝 가능한 변기시트.
5. The method of claim 4,
The drive unit,
a connection member connected to the driving seat unit to pull the driving seat unit; and
a driving member for providing a traction force of the connecting member with respect to the driving seat unit;
A cleanable toilet seat comprising a.
삭제delet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시트유닛 및 아이들시트유닛 각각은 상기 연결부재를 따라 가이드 이동되도록, 하부에 상기 연결부재가 인입되는 유닛가이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닝 가능한 변기시트.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cleaningable toilet seat,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the driving seat unit and the idle seat unit has a unit guide groove formed therein through which the connecting member is introduced so that the driving seat unit and the idle seat unit are guided along the connecting membe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수단은,
상기 변기통 후부의 상측에 배치되며, 세척부재 또는 살균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닝 가능한 변기시트.

According to claim 1,
The cleaning means,
A cleanable toilet seat, which is disposed above the rear of the toilet bowl and includes a cleaning member or a sterilizing member.

삭제delete 제1항, 제3항 내지 제7항, 제9항, 제10항, 제12항 및 제14항 중 어느 한 항의 클리닝 가능한 변기시트; 및
상기 클리닝 가능한 변기시트가 설치되는 비데본체;
를 포함하는 비데.
Claims 1, 3 to 7, claim 9, claim 10, claim 12, claim 14, any one of the cleanable toilet seat; and
a bidet body on which the cleanable toilet seat is installed;
A bidet comprising a.
KR1020150027577A 2015-02-26 2015-02-26 Toilet seat with cleaning funtion and Bidet having the same KR10231903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7577A KR102319032B1 (en) 2015-02-26 2015-02-26 Toilet seat with cleaning funtion and Bidet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7577A KR102319032B1 (en) 2015-02-26 2015-02-26 Toilet seat with cleaning funtion and Bidet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4844A KR20160104844A (en) 2016-09-06
KR102319032B1 true KR102319032B1 (en) 2021-11-01

Family

ID=56945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7577A KR102319032B1 (en) 2015-02-26 2015-02-26 Toilet seat with cleaning funtion and Bidet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903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81095A (en) * 2017-08-04 2019-02-26 南宁市黑晶信息技术有限公司 A kind of adjustable seat crouching closestool of cush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6163A (en) * 2001-05-15 2002-11-26 Aisin Seiki Co Ltd Hygienic cleaning device for toilet seat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7591B1 (en) * 2009-03-11 2012-06-18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Seat washing station of bidet
KR101288581B1 (en) * 2011-05-13 2013-07-22 박승형 Sterilization and dry device for pedestal of a toilet bow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6163A (en) * 2001-05-15 2002-11-26 Aisin Seiki Co Ltd Hygienic cleaning device for toilet sea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4844A (en) 2016-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5012855A (en) Animal toilet
CN101612412A (en) Toothbrush sanitizer
KR102319032B1 (en) Toilet seat with cleaning funtion and Bidet having the same
EP3020880B1 (en) Flush toilet
US9091048B2 (en) Toilet removal and disposal tray
KR101526135B1 (en) Foot prop for urinal of man
KR101978863B1 (en) Videt For Infant
KR200414378Y1 (en) Toilet seat cover
JP2006087461A (en) Armrest lifting mechanism of chair-type toilet
KR101373847B1 (en) Waste paper storage bins and wastebasket combination using bathroom partition
KR102023552B1 (en) Movable type washstand
KR101554349B1 (en) A sterilizer for spoon and chopsticks
JP2005152340A (en) Portable toilet with warm water bidet
JP2022161422A (en) Splash shielding implement
JP4461488B2 (en) Portable toilet
JP2007308913A (en) Flush toilet bowl
JP6025281B1 (en) Barrier-free bathtub for care
JP2007308911A (en) Flush toilet bowl
JP4038738B1 (en) Portable toilet
CN210493971U (en) Place in sanitary ware rack in ward
JP6500322B2 (en) Toilet equipment
JP3228377U (en) Toilet bowl and simple toilet set equipped with it
KR101624414B1 (en) Bed having bathtub fucntion
JP6824330B2 (en) urinal
JP2003166271A (en) Western style flush toil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