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8878B1 - Agricultural product sales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customizing management items, and agricultural product sales integrated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ystem - Google Patents

Agricultural product sales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customizing management items, and agricultural product sales integrated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8878B1
KR102318878B1 KR1020210003545A KR20210003545A KR102318878B1 KR 102318878 B1 KR102318878 B1 KR 102318878B1 KR 1020210003545 A KR1020210003545 A KR 1020210003545A KR 20210003545 A KR20210003545 A KR 20210003545A KR 102318878 B1 KR102318878 B1 KR 1023188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agement
unit
item
management item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35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기선
이득용
백두성
김원중
Original Assignee
박기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선 filed Critical 박기선
Priority to KR1020210003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887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8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887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2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06F16/2228Indexing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3Querying
    • G06F16/9035Filtering based on additional data, e.g. user or group profi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M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gricultural product sales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customizing management items and an integrated agricultural product sales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gricultural products sales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includes: a management item selection unit in which a plurality of management items each including information related to agricultural product sales for managing the agricultural product sales are listed; a management item insertion unit providing a space for selectively inserting the management items listed in the management item selection unit;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result value of the agricultural product sales related information for the management item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management item insertion unit.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emarkably improve convenience of managing the agricultural products and selling the agricultural products.

Description

관리항목의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한 농산물 판매 통합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시스템을 이용한 농산물 판매 통합 관리 방법{Agricultural product sales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customizing management items, and agricultural product sales integrated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ystem}Agricultural product sales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customizing management items, and agricultural product sales integrated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ystem

본 발명은 농산물 판매 통합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시스템을 이용한 농산물 판매 통합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농산물 판매 통합 관리를 위한 관리항목의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하여, 관리항목에 따른 결과 값을 신속하면서도 다양하게 확인할 수 있어 관리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농산물 판매 통합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시스템을 이용한 농산물 판매 통합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grated agricultural product sales management system and an integrated agricultural product sales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customize the management items for the integrated agricultural product sales management, so that the result values according to the management items can be quickly and varied. It relates to an integrated agricultural product sales management system that improves the convenience of management by being able to confirm it in detail, and a method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agricultural product sales using the system.

로컬푸드(Local food)는 장거리 운송을 거치지 않은 지역농산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반경 50km 이내에서 생산된 농산물을 지칭한다. Local food refers to local agricultural products that have not been transported over long distances, and generally refers to agricultural products produced within a radius of 50 km.

로컬푸드 운동은 생산자와 소비자 사이의 이동거리를 단축시켜 식품의 신선도를 극대화시키자는 취지로 지리적으로 가까운 곳에서 생산되는 신선하고 믿을 수 있는 식품을 소비하는 것으로 시작하였고, 국내에서는 2008년 전북 완주군을 시작으로 다양한 지역에서 활성화되어 각종 로컬푸드 직매장이 생겨났고, 이러한 로컬푸드 직매장으로 인하여 현재 지역적으로 푸드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며 지역 주민의 건강과 농촌의 자원을 보호할 수 있게 되었다.The local food movement started with the consumption of fresh and reliable food produced in a geographically close location with the aim of maximizing the freshness of food by shortening the movement distance between producers and consumers. As a result, various local food outlets were created as a result of the revitalization of various local food stores. Thanks to these local food direct stores, it is now possible to form a local food network, revitalize the local economy, and protect the health of local residents and rural resources.

로컬푸드 직매장에서는 다양한 지역적 농가들의 제품을 납품 받아 소비자에게 판매하고 있으며, 연 매출 단위가 수백억에 이를 정도로 활성화 되었고, 이러한 로컬푸드를 통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한국등록특허 제10-1569661호 “로컬 푸드 통합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이나, 한국등록특허 제10-1725339호 “로컬 푸드 유통 관리 방법 및 시스템” 등이 개시되었다.Local food direct stores receive products from various local farmers and sell them to consumers, and their annual sales have reached tens of billions of dollars.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and Korean Patent No. 10-1725339 “Local food distribution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have been disclosed.

한편, 최근에는 로컬푸드에서 나아가 보다 확대된 먹거리 정책 개념인 푸드플랜이 등장하였다. 푸드플랜이란 생산, 가공, 유통, 소비, 안전, 영양, 복지, 환경 등 다양한 먹거리 이슈를 통합 관리하여 기존의 외부 조달 중심의 먹거리 유통체계를 지역 내 순환 체계로 바꾸고자 하는 먹거리 종합 전략으로서, 푸드플랜의 목표 실현을 위한 사업으로는 “로컬푸드 직매장 운영”, “급식센터 운영”, “기획생산”, “가공센터 운영”, “농가레스토랑 운영” 등이 있다.Meanwhile, in recent years, a food plan, a concept of food policy that has expanded beyond local food, has emerged. A food plan is a comprehensive food strategy that aims to change the food distribution system centered on external procurement into a local circulation system by integrating and managing various food issues such as production, processing, distribution, consumption, safety, nutrition, welfare, and the environment. Projects for realizing the goals of the plan include “Operating a local food store”, “Operating a food service center”, “Planned production”, “Operating a processing center”, and “Operating a farmhouse restaurant”.

상기와 같은 푸드플랜에 맞추어 운영하기 위해서는 보다 다양한 유형과 많은 자료를 조회하고 처리할 수 있어야 하는데, 종래 로컬푸드 관리에 맞춘 한국등록특허 제10-1569661호나 한국등록특허 제10-1725339호에 개시된 시스템이나 방법만으로는 한계가 있어, 많은 유형의 자료를 처리하기에는 역부족이었고 이에 따라 엑셀 등의 프로그램을 통한 추가 기록이나 관리 작업 등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order to operate according to the food plan as described above, it is necessary to inquire and process more various types and more data. However, this method alone has limitations, and it is insufficient to process many types of data.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additional records or management work through programs such as Excel are frequently generated.

따라서, 푸드플랜 운영에 맞춘 복잡도 향상에 따라서 다수의 데이터를 보다 쉽게 처리하고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푸드플랜에 최적화된 새로운 개념의 시스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Accordingly, there is a demand for the development of a system of a new concept optimized for a food plan that can more easily process and manage a large number of data according to the increase in complexity tailored to the operation of the food plan.

본 발명은 푸드플랜으로의 확대 운영에 맞추어 농산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판매하고 관리할 수 있는 농산물 판매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농산물 판매 통합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농산물 판매 관련 정보들이 담긴 관리항목을 피벗 테이블의 형태에서 자유롭게 커스터마이징 하면서 관리하고자 하는 정보를 자유롭게 설정하고 확인하며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관리 정보의 필터링이 가능하고, 프리셋을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관리 및 판매의 편의성과 용이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킨 농산물 판매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농산물 판매 통합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gricultural product sales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and agricultural product sales integrated management method that can more effectively sell and manage agricultural products in accordance with the expansion operation to a food plan, and a management item containing a plurality of agricultural product sales related information is displayed in a pivot table. It is configured to freely set, check, and change the information to be managed while freely customizing the form, and it is configured to allow filtering of management information and to use presets. It aims to provide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and an integrated management method for agricultural product sales.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관리항목의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한 농산물 판매 통합 관리 시스템은, 농산물 판매를 관리하기 위한 농산물 판매 관련 정보들을 각각 포함하는 다수의 관리항목이 나열되는 관리 항목 선택부; 상기 관리 항목 선택부에 나열된 관리항목이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공간을 마련하는 관리 항목 삽입부 및 상기 관리 항목 삽입부에 선택적으로 삽입된 관리항목에 대한 농산물 판매 관련 정보들의 결과 값을 표기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gricultural product sales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customizing management item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 management item selection in which a plurality of management items including information related to agricultural product sales for managing agricultural product sales, respectively, are listed wealth; A management item insertion unit providing a space for selectively inserting the management items listed in the management item selection unit and a display unit displaying the result value of agricultural product sales related information for the management item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management item insertion unit can be configured.

여기서, 상기 관리항목은, 농산물 또는 농산물 관련 제품 판매처 정보들이 저장된 판매처 관리항목; 농산물 또는 농산물 관련 제품 재화 정보들이 저장된 재화 관리항목; 농산물 또는 농산물 관련 제품 판매 농가 정보들이 저장된 농가 정보 관리항목; 농산물 또는 농산물 관련 제품 거래 내역 정보들이 저장된 거래 내역 관리항목; 농산물 또는 농산물 관련 제품의 재화 단위 정보들이 저장된 단위 항목 및 농산물 또는 농산물 관련 제품의 거래 날짜 정보들이 저장된 날짜 관리항목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management item includes: a vendor management item in which agricultural products or agricultural products-related product vendor information is stored; Goods management items in which agricultural products or agricultural products related product information are stored; Farm information management item in which agricultural products or agricultural products-related product sales farm information is stored; a transaction history management item in which agricultural products or agricultural products-related product transaction history information is stored;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unit item in which product unit informa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or agricultural products-related products is stored and date management items in which transaction date informa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or agricultural products-related products is stored.

또한, 상기 관리항목은, 각기 저장된 농산물 판매 관련 정보들을 선택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필터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표시부는, 상기 필터모듈에 의한 선택적 정보 추출 시 선택적 정보에 대한 결과 값만을 표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nagement item includes a filter module capable of selectively extracting stored agricultural product sales related information, and the display unit is configured to display only the result value for the selective information when the selective information is extracted by the filter module. can

또한, 상기 농산물 판매 통합 관리 시스템은, 상기 필터모듈의 추출 조건을 편집할 수 있는 필터모듈 조건 편집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필터모듈 조건 편집모듈은, 편집하고자 하는 필터모듈의 추출 조건의 편집 공간인 필터 편집란의 추가 및 삭제를 조절하는 필터 편집란 조절부; 상기 필터 편집란을 연산하는 필터 연산자의 변경 또는 편집이 가능한 필터 연산자 변경부; 상기 필터 편집란에 적용되는 필터 조건의 설정이 가능한 필터 조건 설정부; 상기 필터 편집란에 적용되는 관리항목 설정이 가능한 관리항목 설정부 및 상기 필터 편집란에 적용되는 관리항목의 필터 조건에 대한 조건 값 설정이 가능한 조건 값 설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gricultural product sales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urther includes a filter module condition editing module capable of editing the extraction condition of the filter module, wherein the filter module condition editing module is configured to edit the extraction condition of the filter module to be edited. a filter edit field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ddition and deletion of in-filter edit fields; a filter operator change unit capable of changing or editing a filter operator for calculating the filter edit column; a filter condition setting unit capable of setting a filter condition applied to the filter edit field;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management item setting unit capable of setting a management item applied to the filter edit column and a condition value setting unit capable of setting a condition value for a filter condition of a management item applied to the filter edit column.

또한, 상기 농산물 판매 통합 관리 시스템은, 상기 농산물 판매 관련 정보들의 변화를 업데이트 하는 정보 업데이트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정보 업데이트 모듈은, 상기 농산물 판매 관련 정보들의 변화에 따라 실시간으로 자동 업데이트하거나, 데이터 로딩 요청에 따라 수동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gricultural product sales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urther comprises an information update module for updating the changes in the agricultural product sales related information, wherein the information update module automatically updates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changes in the agricultural product sales related information, or data It may be configured to manually update upon loading request.

또한, 상기 농산물 판매 통합 관리 시스템은, 상기 농산물 판매 통합 시스템의 레이아웃을 조절하는 레이아웃 조절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레이아웃 조절 모듈은, 상기 관리 항목 선택부 또는 관리 항목 삽입부의 관리항목에 대한 레이아웃을 선택적 내지 종합적으로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관리 항목 레이아웃 조절부 및 상기 관리 항목 삽입부로의 관리항목 삽입에 따른 결과 값에 대한 세부 항목을 선택적 내지 종합적으로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결과 값 레이아웃 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gricultural product sales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urther comprises a layout control module for adjusting the layout of the agricultural product sales integrated system, the layout control module, the management item selection unit or the management item insertion unit layout for the management items A management item layout control unit configured to selectively or comprehensively adjust, and a result value layout control unit configured to selectively or comprehensively control detailed items for a result value according to insertion of a management item into the management item insertion unit. have.

또한, 상기 관리 항목 삽입부에 대한 관리항목의 삽입은, 상기 관리 항목 선택부에서 관리 항목 삽입부에 이르기까지 직접 드래그&드롭 방식으로 수동 삽입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sertion of the management item into the management item insertion unit may be configured to manually insert from the management item selection unit to the management item insertion unit directly by a drag & drop method.

또한, 상기 농산물 판매 통합 관리 시스템은, 상기 관리 항목 삽입부에 대한 관리항목의 삽입이 자동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삽입 항목 입력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삽입 항목 입력 모듈은, 상기 관리 항목 선택부의 관리항목을 드래그&드롭 하도록 마련되는 입력칸; 상기 입력칸에 드래그&드롭된 관리항목의 삽입 위치를 선택하는 삽입 위치 선택부 및 상기 삽입 위치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삽입 위치로의 삽입 여부를 결정하는 삽입 결정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gricultural product sales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urther includes an insertion item input module for automatically inserting the management item to the management item insertion unit, wherein the insertion item input module includes: an input box provided to drag & drop management items;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insertion position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an insertion position of the management item dragged and dropped into the input box, and an insertion determination module for determining whether to insert into the insertion position selected by the insertion position selection unit.

또한, 상기 관리 항목 삽입부는, 상기 표시부로 표기되는 결과 값을 열(column) 단위로 나타내기 위한 관리항목의 삽입 공간인 열 삽입부; 상기 표시부로 표기되는 결과 값을 행(row) 단위로 나타내기 위한 관리항목의 삽입 공간인 행 삽입부 및 상기 열 삽입부와 행 삽입부를 통해 열과 행 단위로 나타내고자 하는 농산물 판매 정보에 대한 결과 값의 삽입 공간인 값 삽입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nagement item inserting unit may include: a column inserting unit serving as an insertion space for management items for displaying the result valu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n a column unit; A row insert, which is an insertion space for management items for displaying the result value displayed by the display unit in row units, and the result value for agricultural product sales information to be displayed in columns and rows through the column insert and row insert unit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value insertion unit that is an insertion space of .

또한, 상기 관리항목은, 각기 저장된 농산물 판매 관련 정보들에 대해 설정된 기준에 따라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으로 정렬할 수 있는 정렬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nagement items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orting module capable of sorting in ascending or descending order according to criteria set for each stored agricultural product sales related information.

아울러, 상기 농산물 판매 통합 관리 시스템은, 상기 관리 항목 삽입부에 관리항목이 삽입되어 표시부에 표기된 상태로 셋팅시켜 놓고 그대로 모듈화 시킨 프리셋을 저장하고, 저장된 프리셋 상태로 불러오기 하고, 저장된 프리셋을 연결된 네트워크 망으로 공유하도록 구성되는 프리셋 설정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gricultural product sales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the management item is inserted into the management item insertion unit, set the displayed state in the display unit, store the modularized preset as it is, call the stored preset state, and connect the stored preset to the network It may further include a preset setting module configured to be shared over a network.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농산물 판매 통합 관리 방법은, 상기 관리항목의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한 농산물 판매 통합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농산물 판매 통합 관리 방법으로서, 관리 항목 선택부에서 표시부에 표시할 관리항목들을 선택하는 단계; 선택된 관리항목들을 드래그&드롭 또는 삽입 항목 입력 모듈을 통해 관리 항목 삽입부의 열 삽입부, 행 삽입부 및 값 삽입부에 각각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열 삽입부, 행 삽입부에 삽입된 관리 항목별로 값 삽입부에 삽입된 결과 값을 표시부를 통해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gricultural product sales integrated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gricultural product sales integrated management method using an agricultural product sales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that can customize the management items, and the management item selection unit selects the management items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to do; Inserting the selected management items into the column inserter, the row inserter, and the value inserter of the management item inserter through drag & drop or an insert item input module, respectively, and a value for each management item inserted into the column inserter and the row inserter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the step of checking the result valu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unit through the display uni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농산물 판매 통합 관리 시스템은, 다수의 농산물 판매 관련 정보들이 담긴 관리항목을 피벗 테이블의 형태에서 자유롭게 커스터마이징 하면서 관리하고자 하는 정보를 자유롭게 설정하고 확인하며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농가, 농산물의 관리 및 농산물 판매의 편의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킨 장점이 있다.Agricultural products sales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freely set, check, and change information to be managed while freely customizing management items containing a plurality of agricultural product sales related information in the form of a pivot table, , it has the advantage of significantl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managing agricultural products and selling agricultural products.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농산물 판매 통합 관리 시스템은, 로컬푸드의 개념에서 확대된 상위 개념인 푸드플랜에 최적화된 시스템으로서, 푸드플랜 운영에 맞추어 필요한 다양한 종류와 매우 많은 양의 방대한 자료들을 보다 쉽고 빠르게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agricultural product sales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optimized for a food plan, which is a higher concept expanded from the concept of local food.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easier and faster to process.

또한,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만 한정되지 않고, 명세서 및 도면으로부터 예측 가능한 모든 효과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effect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content, and may further include all effects predictable from the specification an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농산물 판매 통합 관리 시스템의 위치와 연결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농산물 판매 통합 관리 시스템의 각 구성을 개략화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농산물 판매 통합 관리 시스템의 일 구성인 관리 항목 선택부의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농산물 판매 통합 관리 시스템의 일 구성인 관리 항목 삽입부의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농산물 판매 통합 관리 시스템의 전체 인터페이스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삽입 항목 입력 모듈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필터모듈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e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필터모듈 조건 편집모듈을 상세히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렬모듈의 예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로딩 요청 모듈과 레이아웃 조절모듈의 항목 레이아웃 조절부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0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로딩 요청 모듈과 레이아웃 조절모듈의 결과 값 레이아웃 조절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회 기간 설정 모듈, 프리셋 설정 모듈, 문서 파일 추출 모듈에 대한 아이콘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조회 기간 설정 모듈을 상세히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도 11의 프리셋 설정 모듈과 프리셋 설정 모듈을 통한 프리셋 변경에 대한 인터페이스 변화를 상세히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a 및 도 13에 도시된 프리셋 설정 모듈의 세부 구성을 블록화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의 세부 구성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프리셋 설정 모듈을 상세히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농산물 판매 통합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location and connection configuration of an integrated agricultural product sales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each configuration of the agricultural product sales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anagement item selection unit, which is one configuration of the agricultural product sales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of FIG. 2 .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anagement item insertion unit, which is one configuration of the agricultural product sales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of FIG. 2 .
5 is a view showing the entire interface of the agricultural product sales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sertion item input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ilte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A to 8E are diagrams illustrating in detail a filter module condition edit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alignment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A is a view showing an item layout control unit of a data loading request module and a layout control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B is a result value layout control of the data loading request module and a layout control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showing wealth.
11 is a view showing icons for an inquiry period setting module, a preset setting module, and a document file extrac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detailed view showing the inquiry period setting module of FIG. 11 .
13A and 13B are diagrams illustrating in detail the preset setting module of FIG. 11 and the interface change for preset change through the preset setting module.
14 is a block diagram of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preset setting module shown in FIGS. 13A and 13 .
15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reset setting module includ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s of FIG. 14 in detail.
16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agricultural products sa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s not limited to specific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and various embodiments may be provided. In addi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contents described below include all convers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terms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meanings are not limited thereto, and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Like reference numbers used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refer to like elements.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s used herei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addition, terms such as "comprises", "comprising" or "have" described below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exist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It should be construed as not precluding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erms such as “…unit”, “…group”, and “…modul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ca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관리항목의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한 농산물 판매 통합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시스템을 이용한 농산물 판매 통합 관리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integrated agricultural product sales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customizing management item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agricultural product sales integrated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ystem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농산물 판매 통합 관리 시스템의 위치와 연결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location and connection configuration of an integrated agricultural product sales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관리항목의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한 농산물 판매 통합 관리 시스템(100)(이하, '농산물 판매 통합 관리 시스템'이라 함)은, 로컬푸드 직매장 또는 복수의 로컬푸드 직매장에 대한 관리를 포함하는 푸드플랜을 운영 및 관리하는 통합 관리 센터의 판매 관리 서버(10) 내에 설치되어 구현되는 시스템으로서, 로컬푸드 직매장의 판매대 등에 설치되는 POS 기기(20), 재고 관리 등을 위해 직매장 관리자가 사용하는 바코드 인식기(30)나, PDA 또는 핸드폰 등의 휴대 단말(40)과 연동되어 농산물 판매 관련 정보들을 전달 받고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1 , the agricultural product sales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1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gricultural product sales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customizing management item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local food direct store or a plurality of local As a system installed and implemented in the sales management server 10 of an integrated management center that operates and manages a food plan including management of direct food stores, a POS device 20 installed in a sales stand of a local food store, inventory management, etc. For this, it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and store agricultural product sales related information by interworking with the barcode reader 30 used by the direct store manager or the portable terminal 40 such as a PDA or mobile phone.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농산물 판매 통합 관리 시스템(100)은 프로그램이나 애플리케이션 등의 형태로 PC(Personal Computer)나 모니터링 시스템 등의 형태로 마련되는 판매 관리 서버(10)에 설치되어, POS 기기(20), 바코드 인식기(30), 휴대 단말(40) 등을 통해 농산물 판매 관련 정보들이 모이는 곳으로 이러한 정보들을 활용하여 농산물 판매에 관련한 통합적인 관리를 수행하도록 형성될 수가 있는 것이다.That is, the agricultural product sales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sales management server 10 provided in the form of a PC (Personal Computer) or monitoring system in the form of a program or application, etc., POS It is a place where agricultural product sales related information is gathered through the device 20, the barcode recognizer 30, the portable terminal 40, etc., and can be formed to perform integrated management related to agricultural product sales by utilizing such information.

이때, 농산물 판매 관련 정보들이 저장되는 농산물 판매 정보 데이터베이스(105)는 판매 관리 서버(10) 내에서 농산물 판매 통합 관리 시스템(100)과는 이원화될 수 있으나,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농산물 판매 통합 관리 시스템(100) 자체 내에 마련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In this case, the agricultural products sales information database 105 in which agricultural products sales related information is stored may be dualized with the agricultural products sales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100 in the sales management server 10,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100) may be formed to be provided in itself.

즉, 농산물 판매 정보가 저장되는 농산물 판매 정보 데이터베이스(105)의 위치는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만, 농산물 판매 통합 관리 시스템(100)과 연동되어 사용되면 충분하다.That is, the location of the agricultural product sales information database 105 in which agricultural product sales information is stored is not limited, but it is sufficient if used in conjunction with the agricultural product sales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100 .

한편, POS 기기(20), 바코드 인식기(30), 휴대 단말(40) 등을 이용한 판매나 재고 관리는 통상적으로 다수의 판매 매장에서 수행되어 왔던 방식으로서, 이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On the other hand, sales or inventory management using the POS device 20, the barcode reader 30, the mobile terminal 40, etc. have been conventionally performed in a number of sales stores, and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농산물 판매 통합 관리 시스템의 각 구성을 개략화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농산물 판매 통합 관리 시스템의 일 구성인 관리 항목 선택부의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농산물 판매 통합 관리 시스템의 일 구성인 관리 항목 삽입부의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농산물 판매 통합 관리 시스템의 전체 인터페이스를 보여주는 도면이다.2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each configuration of the agricultural product sales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management item selection unit which is one configuration of the agricultural product sales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of FIG. ,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management item insertion unit, which is one configuration of the integrated agricultural product sales management system of FIG. 2 , and FIG. 5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interface of the agricultural product sales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농산물 판매 통합 관리 시스템(100)은, 관리 항목 선택부(110), 관리 항목 삽입부(120) 및 표시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2 to 5 , the agricultural product sales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nagement item selection unit 110 , a management item insertion unit 120 , and a display unit 130 . can be

구체적으로, 관리 항목 선택부(110)는 농산물 판매를 관리하기 위한 다수의 관리항목들(111)이 나열되는 곳으로, 이를 위해, 각각의 관리항목에는 농산물 판매 관련 정보들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Specifically, the management item selection unit 110 is a place where a plurality of management items 111 for managing the sale of agricultural products are listed, for this purpose, each management item may include agricultural product sales related information.

여기서, 농산물 판매 관련 정보들은 상술한 POS 기기(20), 바코드 인식기(30), 휴대 단말(40) 등으로 입력되어 전달될 수도 있고, 한편으로는 판매 관리 서버(10)나 본 발명의 농산물 판매 통합 관리 시스템(100)으로 직접 입력될 수도 있다.Here, the agricultural product sales related information may be input and transmitted to the POS device 20, the barcode recognizer 30, the mobile terminal 40, etc. It may be directly input into th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100 .

보다 구체적으로, 관리항목(111)은 판매처 관리항목(A), 재화 관리항목(B), 농가 정보 관리항목(C), 거래 내역 관리항목(D), 단위 항목(E), 날짜 관리항목(F)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management item 111 includes the vendor management item (A), the goods management item (B), the farmhouse information management item (C), the transaction history management item (D), the unit item (E), the date management item ( F) may be included.

여기서, 판매처 관리항목(A)은 복수의 판매처 예컨대, 제1의 로컬푸드 직매장, 제2의 로컬푸드 직매장, 제3의 로컬푸드 직매장과 같이 복수의 농산물 판매 매장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항목으로 이를 후술하고자 하는 관리 항목 삽입부(120)에 삽입하면 각 농산물 판매 매장별로 거래 내역, 판매 현황 등을 표시부(130)를 통해 확인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판매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Here, the vendor management item (A) is an item in which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vendors, for example, a first local food direct store, a second local food direct store, and a third local food direct store, is stored as an item in which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agricultural product sales stores is stored. When the desired management item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unit 120 , transaction details, sales status, etc. for each agricultural product sales store can be checked through the display unit 130 , and sales management can be performed using this.

이하 설명되는 관리항목들 또한 판매처 관리항목(111)과 같이 관리 항목 삽입부(120)에 삽입하면 해당 항목에 대한 정보들을 표시부(130)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해 판매 관리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에서 설명되는 관리항목(B 내지 F)들은 각 관리항목이 의미하는 것들만 설명하도록 한다.When the management items described below are also inserted into the management item insertion unit 120 like the vendor management item 111, information on the corresponding item can be checked through the display unit 130, and sales can be managed using this. For the management items (B to F) described below, only the meanings of each management item are explained.

재화 관리항목(B)은 판매처에서 판매하는 농산물 또는 농산물 관련 제품(이하 '판매 제품'이라 함)의 재화 정보들이 저장된 항목으로서, 판매 제품에 대한 제품군을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단위로 분류하여 놓은 분류 정보가 저장된 제품군 분류 항목(B1), 판매 제품에 대한 판매 품목 정보들이 저장된 품목 항목(B2), 판매 제품의 원산지 정보들이 저장된 원산지 항목(B3), 판매 제품의 과세 정보들이 저장된 과세 항목(B4), 판매 제품의 수수료율이 저장된 수수료율 항목(B5), 판매 제품의 운임률이 저장된 운임율 항목(B6), 판매 제품의 단가가 원가 단위, 할인 단위, 세금 정산 단위별 등으로 저장된 단가 항목(B7)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Goods management item (B) is an item in which product informa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or agricultural products-related products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oducts for sale') sold by vendors is stored. Product classification item (B1) where information is stored, item item (B2) where information on sales items for sale products is stored, item of origin (B3) where country of origin information of sold products is stored, and taxation item (B4) where tax information on products sold is stored , commission rate item (B5) where the commission rate of the product sold is stored, freight rate item (B6) where the freight rate of the product sold is stored, unit price item (B7), etc. It may be composed of

또한, 농가 정보 관리항목(C)은 농산물 또는 농산물 관련 제품 판매 농가 정보들이 저장된 항목으로서, 농가 구분 정보 관리항목(C1)과 농가 세부 정보 관리항목(C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armhouse information management item (C) is an item in which agricultural products or agricultural products-related product sales farmhouse information is stored, and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farmhouse classifi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item (C1) and a farmhouse detailed information management item (C2).

여기서, 농가 구분 정보 관리항목(C1)은 판매처와 거래하고 있는 농가들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농가 항목(C11), 농가가 속한 특정 그룹으로 분류하여 놓은 정보들이 저장된 농가 그룹 항목(C12), 농가가 속한 조합에 대한 정보들이 저장된 농가 조합 항목(C13), 농가의 운영 주체의 성별 정보들이 저장된 농가 성별 항목(C14), 농가의 운영 주체의 나이 정보들이 저장된 농가 나이 항목(C15), 농가의 운영 형태에 대한 정보들이 저장된 농가 형태 항목(C16), 농가의 운영 지역에 대한 정보들이 저장된 농가 지역 항목(C17), 농가의 사업자 여부에 대한 정보들이 저장된 농가 사업자여부 항목(C18), 판매처와 농가간의 계약된 판매 수수료율에 대한 정보들이 저장된 농가 기본 수수료 항목(C19), 농가의 운임 비용에 대한 정보들이 저장된 농가 기본 운임 항목(C2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farmhouse classifi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item (C1) is a farmhouse item (C11) in which information on farms transacting with the seller is stored, a farmhouse group item (C12) in which information classified into a specific group to which the farmer belongs, is stored, and the farmhouse The farmhouse association item (C13), which stores information on the association to which the farmhouse belongs, the farmhouse gender item (C14) where the gender information of the farmer's operating subject is stored, the farmhouse age item (C15) where the age information of the farmer's operating subject is stored, the farmhouse operation type The farmhouse type item (C16) in which information on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farmhouse basic fee item (C19) in which information on the sales commission rate is stored, a farmhouse basic fee item (C20) in which information on the farmhouse fare cost is stored, and the like.

또한, 농가 세부 정보 관리항목(C2)은 농가의 일반 또는 휴대폰 전화번호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농가의 전화번호 항목(C21), 농가의 이메일 정보가 저장된 농가 이메일 항목(C22), 농가의 우편번호와 주소 정보가 저장된 농가 주소 항목(C23), 농가의 사업자명 정보가 저장된 농가 사업자명 항목(C24)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armhouse detailed information management item (C2) includes the farmhouse phone number item (C21), in which information about the general or mobile phone number of the farmhouse is stored, the farmhouse email item (C22) where the farmhouse email information is stored, the farmhouse's zip code and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farmhouse address item (C23) in which address information is stored, and a farmhouse business name item (C24) in which information on the business name of the farm is stored.

상기와 같은 농가 정보 관리항목(C)의 농가 구분 정보 관리항목(C1)과 농가 세부 정보 관리항목(C2)은, 농가 구분 정보 관리항목(111)을 먼저 관리 항목 삽입부(C1)에 삽입하고, 농가 세부 정보 관리항목(C2)을 삽입하면, 표시부(130)에서 농가 구분에 따른 농가의 상세 정보를 확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s for the farmhouse classifi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item (C1) and the farmhouse detailed information management item (C2) of the farmhouse information management item (C) as described above, the farmhouse classifi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item 111 is first inserted into the management item insertion unit (C1) and , when the detailed farmhouse information management item C2 is inserted, the display unit 130 may be configured to check detailed information of the farmhouse according to the farmhouse classification.

또한, 거래 내역 관리항목(D)은 판매처에서 판매하고 있는 판매 제품에 대한 거래 내역 정보들이 저장된 항목으로서, 판매 제품에 대한 판매량 정보들이 저장된 판매 항목(D1), 판매 제품에 대한 반품 현황 정보들이 저장된 반품 항목(D2), 판매 제품에 대한 판매 금액 현황 정보들이 저장된 판매 금액 항목(D3), 판매 제품에 대한 수수료 현황 정보가 저장된 수수료 항목(D4), 판매 제품에 대한 부가세액 현황 정보가 저장된 부가세액 항목(D5), 판매 제품에 대한 운임 현황 정보가 저장된 운임 항목(D6), 판매 제품에 대한 마진 정보가 저장된 정산금액 항목(D7)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ransaction history management item (D) is an item in which transaction history information for products sold by the seller is stored, and the sales item (D1) in which sales volume information for the products sold is stored, and return status information for the products sold is stored. Return item (D2), sales amount item (D3) in which information on the status of sales amount for sale products is stored, commission item (D4) in which information on the status of commission on products sold is stored, and VAT amount in which information on the status of VAT on products sold is stored Item (D5), fare item (D6) in which fare status information for sale products is stored, and a settlement amount item (D7) in which margin information on sale products is stored may be configured to be included.

또한, 단위 항목(E)은 농산물 또는 농산물 관련 제품의 재화 단위 정보들이 저장된 항목으로서, kg, L, 개수 등의 무게나 부피, 개수 등 판매 제품을 계량할 수 있는 재화 단위 정보들이 저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nit item (E) is an item in which product unit informa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or agricultural products-related products is stored, and product unit information capable of measuring sales products such as weight, volume, and number such as kg, L, and number may be stored. .

또한, 날짜 관리항목(F)은 판매 제품의 거래 날짜 정보들이 저장된 항목으로서, 시간 단위, 일 단위, 월 단위, 년 단위 등으로 거래 날짜 정보들이 저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ate management item F is an item in which transaction date information of products for sale is stored, and transaction date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units of hours, days, months, years, and the like.

상기와 같은 다수의 관리항목(111)이 나열된 관리 항목 선택부(110)에서 확인하고자 하는 일부 항목에 대해 선택하여 관리 항목 삽입부(120)로 삽입하면 해당 항목에 대한 저장된 정보들이 표시부(130)를 통해 노출되면서 확인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When a plurality of management items 111 as described above are selected in the management item selection unit 110 listed and inserted into the management item insertion unit 120 , the stored information for the corresponding item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0 . It can be confirmed through exposure.

한편, 상술한 다수의 관리항목(111)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하게 예시하였으나, 기재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관리항목(111)의 항목 명칭 등은 그 기능이 변하지 않는 선에서라면 변경될 수 있고, 설명되지 아니하였지만 설정에 따라 다른 관리항목(111)들이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도 있고, 설명된 관리항목(111)도 설정에 따라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상술한 다수의 관리항목(111)은 예시적인 것으로만 이해되어야 한다.On the other hand, the plurality of management items 111 described above have been illustrated in detail to help understanding, but are not limited to those described and the item names of the management items 111 may be changed as long as their functions do not change, Although not described, other management items 111 may be additionally included according to settings, and the described management items 111 may not be included according to settings.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plurality of management items 111 are exemplary only.

또한, 다수의 관리항목(111)들은 서로 구분이 쉽도록 각 항목별로 다른 색상이 적용되어 구분될 수도 있다. 예컨대, 재화 관리항목(B)은 노란색, 농가 정보 관리항목(C)은 파란색, 거래 내역 관리항목(D)은 빨간색, 단위 항목(E)이나 날짜 관리항목(F)은 초록색 등으로 구분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management items 111 may be distinguished by applying different colors to each item so that they can be easily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For example, goods management item (B) is yellow, farm information management item (C) is blue, transaction history management item (D) is red, and unit item (E) or date management item (F) is green. will be.

한편, 관리항목(111)은 각각 필터모듈(111a)과 정렬모듈(111b)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Meanwhile, the management item 111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filter module 111a and an alignment module 111b, respectively,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관리 항목 삽입부(120)는 관리 항목 선택부(110)에 나열된 관리항목(111)이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이때, 관리 항목 삽입부(120)는 관리항목(111)의 삽입공간을 따로 구분하지 않을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 삽입부(121), 행 삽입부(122) 및 값 삽입부(123)를 포함하여 삽입공간을 구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management item insertion unit 120 may provide a space into which the management items 111 listed in the management item selection unit 110 are selectively inserted. At this time, the management item insertion unit 120 may not separate the insertion space of the management item 111 , but preferably, as shown in FIG. 4 , the column insertion unit 121 , the row insertion unit 122 and the value It may be formed to divide the insertion space by including the insertion part 123 .

구체적으로, 열 삽입부(121)는 표시부(130)로 표기되는 결과 값을 열(Column) 단위로 나타내기 위한 관리항목의 삽입 공간이며, 행 삽입부(122)는 표시부(130)로 표기되는 결과 값을 행(row) 단위로 나타내기 위한 관리항목의 삽입 공간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lumn inserting unit 121 is an insertion space for management items for displaying the result values indicated by the display unit 130 in units of columns, and the row inserting unit 122 is displayed by the display unit 130 . It may be an insertion space for management items to display the result value in row units.

즉, 열 삽입부(121)로 삽입된 관리항목(111)은 저장된 정보들을 열 단위로 나타내며, 행 삽입부(122)로 삽입된 관리항목(111)은 저장된 정보들을 행 단위로 나타낼 수 있다.That is, the management item 111 inserted by the column inserter 121 may represent the stored information in units of columns, and the management item 111 inserted by the row inserter 122 may represent the stored information in units of rows.

이때, 값 삽입부(123)로 확인하고자 하는 항목을 삽입하게 되면, 열과 행 단위의 관리항목(111)에 대하여 값 삽입부(123)에 있는 항목에 대한 결과 값이 표시부(130)로 도출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an item to be checked is inserted by the value inserting unit 123 , the result value for the item in the value inserting unit 123 for the management item 111 in columns and rows is derived to the display unit 130 . can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 삽입부(121)로 날짜 관리항목(F)을 삽입하고, 행 삽입부(122)로 품목 항목(B2)과 단위 항목(E)을 삽입 후에 값 삽입부(123)에 판매 항목(D1)을 삽입하면, 표시부(130)는 각 판매 제품 목록 대한 단위를 행 단위로 표기하면서 각 판매 제품 목록에 대한 판매량을 열 단위를 따라 월별로 표기하는 것이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5 , the date management item F is inserted by the column inserter 121 and the item item B2 and the unit item E are inserted by the row inserter 122, and then the value inserter When the sales item D1 is inserted at 123 , the display unit 130 displays the sales volume for each list of products for sale by column, while displaying the unit for each list of products for sale in units of rows.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열 삽입부(121)와 행 삽입부(122)에 목차를 형성할 관리항목(111)을 삽입하고, 값 삽입부(123)에 확인하고자 하는 결과 값에 대해 지정하면 원하는 결과 값을 한눈에 쉽고 빠르게 확인할 수 있어 보다 판매 제품에 대한 관리가 용이할 수 있다.In the same way as described above, if the management item 111 to form the table of contents is inserted in the column inserter 121 and the row inserter 122 and the result value to be checked is specified in the value inserter 123, the desired result is obtained. The value can be checked easily and quickly at a glance, making it easier to manage the products sold.

한편, 관리 항목 삽입부(120)로의 관리항목(111) 삽입 방식은, 수동 삽입과 자동 삽입이 모두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method of inserting the management item 111 into the management item insertion unit 12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both manual insertion and automatic insertion are possible.

구체적으로, 수동 방식은 관리 항목 선택부(110)에서 관리 항목 삽입부(120)에 이르기까지 직접 드래그&드롭(Drag&Drop)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관리자가 직접 관리 항목 선택부(110)에서 관리항목(111)을 선택하여 원하는 위치에 배치할 수 있는 것이다.Specifically, the manual method may be formed by directly dragging and dropping from the management item selection unit 110 to the management item insertion unit 120 . That is, the administrator can directly select the management item 111 from the management item selection unit 110 and arrange it at a desired location.

또한, 자동 방식은 삽입 항목 입력 모듈(14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automatic method may further include an insertion item input module 140 .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삽입 항목 입력 모듈을 예시하는 도면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sertion item input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삽입 항목 입력 모듈(140)은 입력칸(141), 삽입 위치 선택부(142) 및 삽입 결정 모듈(14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insertion item input module 140 may include an input box 141 , an insertion position selection unit 142 , and an insertion determination module 143 .

입력칸(141)은 관리 항목 선택부(110)의 관리항목을 드래그&드롭 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삽입 위치 선택부(142)는 입력칸(141)에 드래그&드롭된 관리항목(111)의 삽입 위치를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삽입 위치는 관리 항목 삽입부(120) 내에서 미리 설정되고 연동되어 해당 위치로 삽입이 되도록 준비될 수 있다. The input box 141 may be provided to drag and drop management items of the management item selection unit 110 . Also, the insertion position selection unit 142 may be configured to select an insertion position of the management item 111 dragged and dropped into the input box 141 . Here, the insertion position may be set in advance within the management item insertion unit 120 and prepared to be inserted into the corresponding position by interworking.

삽입 결정 모듈(143)은 삽입 위치 선택부(142)에 의해 선택된 삽입 위치로의 삽입 여부를 결정하는 모듈로서 삽입을 요청하면 선택된 삽입 위치로 입력칸(141)에 드래그&드롭된 관리항목(111)이 삽입되고, 삽입 취소를 요청하면 삽입 항목 입력 모듈(140)이 종료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insertion determination module 143 is a module for determining whether to insert into the insertion position selected by the insertion position selection unit 142, and when an insertion is requested, the management item 111 dragged and dropped into the input box 141 to the selected insertion position. is inserted, and the insertion item input module 140 may be terminated when requesting to cancel the insertion.

상기와 같은 삽입 항목 입력 모듈(140)을 이용하면, 다수의 관리항목(111)을 보다 빠르고 쉽게 위치를 결정하여 자동으로 삽입할 수 있어, 다수의 관리항목(111)에 대한 결과 값을 확인하는데 보다 효과적일 수 있다.By using the insertion item input module 140 a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management items 111 can be more quickly and easily determined and automatically inserted, so that the result values for the plurality of management items 111 can be checked. could be more effective.

한편, 수동 또는 자동 방식에 의해 관리 항목 삽입부(120)로 삽입된 관리항목(111)은 삽입뿐만 아니라 다시 관리 항목 선택부(110)로 위치되도록 삽입 해제될 수도 있다. 이는 다시 드래그&드롭으로 해제할 수도 있거나, 삽입 항목 해제 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하여 자동으로 해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anagement item 111 inserted into the management item insertion unit 120 by a manual or automatic method may be inserted and released so that the management item selection unit 110 is positioned again as well as inserted. This may be released again by drag & drop, or may be configured to automatically release by further including an inserted item release module (not shown).

삽입 항목 해제 모듈(미도시)은 삽입 항목 입력 모듈(140)과는 반대로 적용되는 것으로, 삽입 항목 해제 모듈(미도시)을 열면 입력칸(141)에 현재 삽입된 관리항목(111)이 표기되고, 이 중 해제하고자 하는 관리항목(111)을 다수로 선택하여 해제 요청 버튼을 누르거나 직접 관리 항목 선택부(110)로 드래그&드롭하면 선택된 다수의 관리항목(111)의 해제가 한번에 이루어질 수 있다. The inserted item release module (not shown) is applied opposite to the inserted item input module 140, and when the inserted item release module (not shown) is opened, the currently inserted management item 111 is displayed in the input box 141, Among them, if a plurality of management items 111 to be released are selected and the release request button is pressed or directly dragged and dropped to the management item selection unit 110, the selected plurality of management items 111 may be released at once.

표시부(130)는 상기 관리 항목 삽입부(120)에 선택적으로 삽입된 관리항목(111)에 대한 농산물 관련 정보들의 결과 값을 표기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표시부(130)는 단순 정보 표기 기능만 하며, 관리 항목 선택부(110)와 관리 항목 삽입부(120)의 설명에서 다 서술하였으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display unit 130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the result value of agricultural products related information for the management item 111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management item insertion unit 120, and the display unit 130 only functions as a simple information marking function. , since all have been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of the management item selection unit 110 and the management item insertion unit 120 ,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관리항목(111)은 상술한 바와 같이 필터모듈(111a)과 정렬모듈(111b)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는, 도 7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Meanwhile, the management item 111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filter module 111a and an alignment module 111b as described above.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9 .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필터모듈을 예시하는 도면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ilte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필터모듈(111a)은 각 관리항목(111) 마다 저장된 농산물 판매 관련 정보들을 필터링하여 선택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모듈로서, 표시부(130)는 필터모듈(111a)에 의한 선택적 정보 추출 시 선택적 정보에 대한 결과 값만을 표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filter module 111a is a module capable of selectively extracting agricultural product sales related information stored for each management item 111 by filtering, and the display unit 130 includes selective information by the filter module 111a. It may be configured to indicate only the result value for the optional information at the time of extraction.

예를 들어, 날짜 관리항목(111)의 경우 필터모듈(111a)을 사용하지 않으면 표기할 수 있는 모든 단위 즉, 시간 단위, 일 단위, 월 단위, 년 단위로 모두 표기될 수 있으나, 필터모듈(111a)을 사용하면 시간 단위, 일 단위, 월 단위, 년 단위에 있어 특정 단위만 표기되도록 필터링 할 수 있다. 만약 년 단위만을 선택하면 년 단위에 해당하는 값들만 표시부(130)에 표기되는 것이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date management item 111, if the filter module 111a is not used, all displayable units, that is, time units, daily units, monthly units, and year units, may all be expressed, but the filter module ( 111a) can be used to filter to display only specific units in units of hours, days, months, and years. If only the year unit is selected, only values corresponding to the year unit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0 .

이러한 필터모듈(111a)은 각 관리항목(111)별로 특정 단위가 지정되어 있을 수도 있고, 특정 범위를 수치로 지정하여 사용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filter module 111a may have a specific unit designated for each management item 111 or may be configured in a form in which a specific range is designated as a numerical value.

이때, 필터모듈(111a)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더 포함되는 필터모듈 조건 편집모듈(150)을 통해 추출 조건이 편집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filter module 111a may be configured to edit the extraction conditions through the filter module condition editing module 150 that is further inclu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a 내지 도 8e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필터모듈 조건 편집모듈을 상세히 보여주는 도면이다.8A to 8E are diagrams illustrating in detail a filter module condition edit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a 내지 도 8e를 참조하면, 필터모듈 조건 편집모듈(150)은 필터모듈(111a)의 추출 조건 편집을 위해 필터 편집란 조절부(151), 필터 연산자 변경부(152), 필터 조건 설정부(153), 관리항목 설정부(154) 및 조건 값 설정부(15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8A to 8E , the filter module condition editing module 150 includes a filter editing field control unit 151, a filter operator changing unit 152, and a filter condition setting unit ( 153), a management item setting unit 154 and a condition value setting unit 155 may be included.

구체적으로, 필터모듈 조건 편집모듈(150)은 필터모듈(111a)의 추출조건의 편집 공간인 필터 편집란(150a)에 의해 편집이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필터 편집란(150a)은 And, or, Not과 같은 연산자에 의해 연산될 수 있으며, 필터 편집란(150a)은 관리항목(111), 같음, 같지 않음, 보다 작음, 보다 큼, 사이 값, 사이 외 값 등의 다양한 필터 조건과, 조건 값의 편집 요소 간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in the filter module condition editing module 150, editing may be set by the filter editing field 150a, which is an editing space of the extraction conditions of the filter module 111a. Here, the filter edit column 150a may be calculated by operators such as And, or, Not, and the filter edit column 150a includes the management items 111, equal to, not equal to, less than, greater than, between, and between. It may be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various filter conditions such as an external value and an edit element of the condition value.

이때, 각 편집 요소들에 대한 입력란은 설정에 의해 위치가 미리 결정되어 있을 수 있어 보다 편집 요소들에 대한 적용 값만 달리하면 쉽게 편집이 가능할 수 있다.In this case, since the position of the input field for each edit element may be predetermined by setting, editing may be easily possible if only the applied value to the edit element is changed.

상기와 같은 필터모듈 조건 편집모듈(150)은 필터 편집란 조절부(151), 필터 연산자 변경부(152), 필터 조건 설정부(153), 관리항목 설정부(154) 및 조건 값 설정부(15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filter module condition editing module 150 as described above includes a filter edit field control unit 151 , a filter operator change unit 152 , a filter condition setting unit 153 , a management item setting unit 154 , and a condition value setting unit 155 . ) may be included.

여기서, 필터 편집란 조절부(151)는 상술한 필터 편집란(150a)을 추가하고 삭제하는 것이며, 필터 연산자 변경부(152)는 복수의 필터 편집란(150a)간의 연산을 위한 필터 연산자의 변경 또는 편집이 가능한 것이고, 필터 조건 설정부(153)는 필터 편집란(150a)에 적용되는 필터 조건의 설정이 가능한 것이며, 관리항목 설정부(154)는 필터 편집란(150a)에 적용되는 관리항목(111)의 설정이 가능한 것이고, 조건 값 설정부(155)는 필터 편집란(150a)에 적용되는 조건 값을 설정하는 것이다.Here, the filter edit field control unit 151 adds and deletes the aforementioned filter edit field 150a, and the filter operator change unit 152 changes or edits the filter operator for opera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filter edit fields 150a. It is possible, and the filter condition setting unit 153 is capable of setting filter conditions applied to the filter edit field 150a, and the management item setting unit 154 sets the management item 111 applied to the filter edit field 150a. This is possible, and the condition value setting unit 155 sets a condition value applied to the filter edit field 150a.

상기와 같은 필터 편집란 조절부(151)를 통해 필터 편집란(150a)을 추가 또는 삭제하면서, 각 필터 편집란(150a)에 대해 필터 연산자 변경부(152), 필터 조건 설정부(153), 관리항목 설정부(154), 조건 값 설정부(155)를 활용하여 필터모듈(111a)의 추출 조건을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가 있다.While adding or deleting the filter editing field 150a through the filter editing field adjusting unit 151 as described above, the filter operator changing unit 152, the filter condition setting unit 153, and the management item setting for each filter editing field 150a The extraction condition of the filter module 111a can be more easily adjusted by using the unit 154 and the condition value setting unit 155 .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렬모듈의 예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9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alignment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관리항목(111)에 포함되는 정렬모듈(111b)은 각기 저장된 농산물 판매 관련 정보들에 대해 설정된 기준에 따라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으로 정렬할 수 있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9 , the sorting module 111b included in the management item 111 enables sorting in ascending or descending order according to criteria set for each stored agricultural product sales related information.

이때, 정렬모듈(111b)은 관리항목(111)이 관리 항목 삽입부(120)에 삽입되었을 시에만 활성화 될 수 있으며, 아이콘 등으로 표기되어 클릭만 하면 쉽게 조절이 되도록 형성될 수가 있다.In this case, the alignment module 111b may be activated only when the management item 111 is inserted into the management item insertion unit 120 , and may be marked with an icon or the like so that it can be easily adjusted by clicking on it.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농산물 판매 통합 관리 시스템(100)은 정보 업데이트 모듈(미도시)과 레이아웃 조절 모듈(17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agricultural product sales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n information update module (not shown) and a layout adjustment module 170 .

이는,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A and 10B .

도 10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로딩 요청 모듈과 레이아웃 조절모듈의 항목 레이아웃 조절부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0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로딩 요청 모듈과 레이아웃 조절모듈의 결과 값 레이아웃 조절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10A is a view showing an item layout control unit of a data loading request module and a layout control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B is a result value layout control of the data loading request module and a layout control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showing wealth.

먼저 도 10a 또는 도 10b를 참조하면, 정보 업데이트 모듈(미도시)은 농산물 판매 관련 정보들의 변화에 따라 각 관리항목(111)이 최신 정보로 업데이트 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10A or FIG. 10B , an information update module (not shown) may be configured to update each management item 111 with the latest information according to changes in agricultural product sales related information.

이때, 정보 업데이트 모듈(미도시)은 POS 기기(20)나 재고 관리를 위한 바코드 인식기(30) 또는 휴대 단말(40)로부터 정보를 전달 받는 즉시 관리항목(111)에 반영하도록 자동 업데이트하거나, 관리자로부터 수행되는 데이터 로딩 요청에 따라 수동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information update module (not shown) automatically updates the information to be reflected in the management item 111 immediately upon receiving information from the POS device 20 or the barcode reader 30 for inventory management or the mobile terminal 40, or the manager It may be configured to manually update according to a data loading request performed from .

여기서, 정보 업데이트 모듈(미도시)의 데이터 로딩 요청은 데이터 로딩 요청 모듈(160)로부터 수행될 수 있으며, 데이터 로딩 요청 모듈(160)은 인터페이스 상에 항시 노출되어 있거나, 숨겨진 팝업 형태로 형성되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우스 우클릭 등과 같은 특정 지시에 의해 노출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가 있다.Here, the data loading request of the information update module (not shown) may be performed from the data loading request module 160, and the data loading request module 160 is always exposed on the interface or is formed in a hidden pop-up form. As shown in Fig. 8, it may be formed in a form exposed by a specific instruction such as a right-click of a mouse.

또한,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레이아웃 조절 모듈(170)은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 항목 레이아웃 조절부(171)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과 값 레이아웃 조절부(17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S. 10A and 10B , the layout adjustment module 170 controls the management item layout adjustment unit 171 as shown in FIG. 10A and the result value layout adjustment unit 172 as illustrated in FIG. 10B . may be included.

구체적으로, 관리 항목 레이아웃 조절부(171)는 관리 항목 선택부(110) 또는 관리 항목 삽입부(120)의 관리항목(111)에 대한 레이아웃을 선택적 내지 종합적으로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management item layout control unit 171 may be configured to selectively or comprehensively adjust the layout of the management item 111 of the management item selection unit 110 or the management item insertion unit 120 .

여기서, 관리항목(111)에 대한 레이아웃 조절은 관리항목(111) 전체나 일부를 숨기기거나 숨겨진 관리항목(111)에 대해 보일 수 있도록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열 삽입부(121), 행 삽입부(122) 및 값 삽입부(123)에 대해 숨기거나 보일 수 있도록 조절할 수 있다.Here, the layout control for the management item 111 may be formed so that all or part of the management item 111 can be hidden or can be adjusted to be visible for the hidden management item 111, the column inserter 121, the row The insertion unit 122 and the value insertion unit 123 can be adjusted to be hidden or visible.

또한, 관리항목(111)에 대한 이름 변경이나, 순서 정렬 또는 크기 맞춤 등의 레이아웃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be configured to change the name of the management item 111, or to adjust the layout, such as order alignment or size alignment.

결과 값 레이아웃 조절부(172)는 관리 항목 삽입부(120)로의 관리항목(111) 삽입에 따른 결과 값에 대한 세부 항목을 선택적 내지 종합적으로 조절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세부 항목은 거래량 총합이나 일 판매 제품에 대한 소계 등일 수 있으며, 이러한 세부 항목에 대해 숨기거나 보이도록 조절할 수가 있다.The result value layout adjustment unit 172 is formed to selectively or comprehensively adjust detailed items for the result values according to the insertion of the management items 111 into the management item insertion unit 120 , and the detailed items are the total transaction volume or daily sales. It may be a subtotal for a product, and you can hide or show these details.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농산물 판매 통합 관리 시스템은, 도 11 내지 도 13b을 참조하면 표시부(130)에 표기되는 결과 값에 대한 조회 기간을 설정하는 조회 기간 설정 모듈(180), 관리 항목 선택부(110), 관리 항목 삽입부(120) 및 관리항목(111)이 삽입된 관리 항목 삽입부(120)와 표시부(130)에 표기된 상태로 셋팅시켜 놓고 그대로 모듈화(이하 '프리셋'이라 함) 되도록 저장하여 차후 저장된 상태로 불러오기 할 수 있는 프리셋 설정 모듈(190) 및 관리 항목 선택부(110), 관리 항목 삽입부(120) 및 표시부(130)에 표시된 상태로 엑셀 등의 타 문서 파일로 추출해낼 수 있는 문서 파일 추출 모듈(2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gricultural product sales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S. 11 to 13B , the inquiry period setting module 180 for setting the inquiry period for the result valu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0, the management item The selection unit 110, the management item insertion unit 120, and the management item 111 are set in the indicated state on the management item insertion unit 120 and the display unit 130, into which the management item 111 is inserted, and modularized as it is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eset'). ) Preset setting module 190 and management item selection unit 110, management item insertion unit 120, and other document files such as Excel that can be recalled in a stored state later in the stat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0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document file extraction module 200 that can be extracted as .

여기서, 프리셋 설정 모듈(190)은 설정된 프리셋을 저장하는 프리셋 저장부(191)와, 프리셋 저장부(191)에 의해 저장된 프리셋을 보여주는 프리셋 목차부(192)와, 프리셋 목차부(192)에 표시되는 프리셋을 선택 시 해당 프리셋을 불러오기 하는 프리셋 불러오기부(193)와, 프리셋 저장부(191)에 의해 저장된 프리셋을 공유하는 프리셋 공유부(19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preset setting module 190 includes a preset storage unit 191 for storing set presets, a preset table of contents 192 showing presets stored by the preset storage unit 191, and a preset table of contents 192 displayed on the display.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preset fetching unit 193 for retrieving a corresponding preset when selecting a preset to be used, and a preset sharing unit 194 for sharing the preset stored by the preset storage 191 .

도 14는 도 13a 및 도 13에 도시된 프리셋 설정 모듈의 세부 구성을 블록화한 도면이며, 도 15는 도 14의 세부 구성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프리셋 설정 모듈을 상세히 도식화한 도면이다.14 is a block diagram of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preset setting module shown in FIGS. 13A and 13 , and FIG. 15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preset setting module includ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FIG. 14 in detail.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프리셋 저장부(191)는 관리 항목 삽입부(120)에 관리항목(111)들이 삽입되어 표시부(130)에 해당 목차와 값들에 대한 정보가 표기되면 해당 상태로 프리셋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프리셋이 저장되면 프리셋 목차부(192)에 설정된 정렬 값에 따라 프리셋에 대한 목차가 정렬될 수 있다.14 and 15 , the preset storage unit 191 returns to the corresponding state when the management items 111 are inserted into the management item insertion unit 120 and information on the corresponding table of contents and values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0 . This is for storing the preset, and when the preset is stored, the table of contents for the preset may be sorted according to the alignment value set in the preset table of contents unit 192 .

이때, 프리셋 저장부(191)는 프리셋 저장 시에 저장할 프리셋명을 설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프리셋명의 미설정 시에는 차후 프리셋명을 수정할 수 있도록 프리셋 설정 모듈(190)은 프리셋명 수정부(19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preset storage unit 191 is configured to set a preset name to be stored when the preset is stored, and when the preset name is not set, the preset setting module 190 is configured to modify the preset name later.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프리셋 불러오기부(193)는 프리셋 목차부(192)에 정렬된 프리셋이 선택되면 해당 프리셋의 상태로 불러오도록 마련되는 것이며, 프리셋 공유부(194)는 프리셋 목차부(192)에 정렬된 프리셋을 연결된 농산물 판매 통합 관리 시스템, SNS 또는 클라우드 시스템 등의 연결된 네트워크 망으로 공유하도록 마련되는 것이다.The preset retrieval unit 193 is provided to retrieve the preset in the state of the corresponding preset when a preset arranged in the preset table of contents 192 is selected, and the preset sharing unit 194 receives the presets arranged in the preset table of contents 192 It is prepared to be shared through a connected network such as a connected agricultural product sales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SNS, or cloud system.

이때, 프리셋 공유부(194)는 공유하고자 하는 네트워크 망을 선택 적용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며, 공유를 취소하거나 공유하는 프리셋 별로 등급을 달리하여 해당 등급에 접속할 수 있는 아이디나 코드를 가진 접속자만 확인할 수 있도록 설정이 가능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preset sharing unit 194 may be formed to selectively apply the network network to be shared, and to cancel sharing or to change the rating for each preset to be shared, only those who have an ID or code that can access the rating can be confirmed. It may be possible to set it to

이하,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농산물 판매 통합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농산물 판매 통합 관리 방법은 상술한 농산물 판매 통합 관리 시스템(100)을 이용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간단히 시계열적 흐름에 대해서만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16, a method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agricultural products sa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gricultural products sales integrated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se the above-described integrated agricultural product sales management system 100,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and will only look at a time series flow.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농산물 판매 통합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16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agricultural products sa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농산물 판매 통합 관리 방법은 관리 항목 선택부(110)에서 표시부(130)에 표시할 관리항목들(111)을 선택하는 단계(S10), 선택된 관리항목들(111)을 드래그&드롭 또는 삽입 항목 입력 모듈(140)을 통해 관리 항목 삽입부(120)의 열 삽입부, 행 삽입부 및 값 삽입부에 각각 삽입하는 단계(S20) 및 상기 열 삽입부(121), 행 삽입부(122)에 삽입된 관리 항목별로 값 삽입부(123)에 삽입된 결과 값을 표시부(130)를 통해 확인하는 단계(S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6 , the method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agricultural product sa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selecting management items 111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0 in the management item selection unit 110 ( S10 ), the selected management Inserting the items 111 into the column inserter, the row inserter, and the value inserter of the management item inserter 120 through drag & drop or the insert item input module 140, respectively (S20) and inserting the column For each management item inserted in the unit 121 and the row inserting unit 122 , the result value inserted into the value inserting unit 123 may be checked through the display unit 130 ( S30 ).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10 : 판매 관리 서버
20 : POS 기기
30 : 바코드 인식기
40 : 휴대 단말
100 :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농산물 판매 통합 관리 시스템
105 : 농산물 판매 정보 데이터베이스
110 : 관리 항목 선택부
111 : 관리항목
111a : 필터모듈
111b : 정렬모듈
120 : 관리 항목 삽입부
121 : 열 삽입부
122 : 행 삽입부
123 : 값 삽입부
130 : 표시부
140 : 삽입 항목 입력 모듈
141 : 입력칸
142 : 삽입 위치 선택부
143 : 삽입 결정 모듈
150 : 필터모듈 조건 편집모듈
150a : 필터 편집란
151 : 필터 편집란 조절부
152 : 필터 연산자 변경부
153 : 필터 조건 설정부
154 : 관리항목 설정부
155 : 조건 값 설정부
160 : 데이터 로딩 요청 모듈
170 : 레이아웃 조절 모듈
171 : 항목 레이아웃 조절부
172 : 결과 값 레이아웃 조절부
180 : 조회 기간 설정 모듈
190 : 프리셋 설정 모듈
191 : 프리셋 저장부
192 : 프리셋 목차부
193 : 프리셋 불러오기부
194 : 프리셋 공유부
195 : 프리셋명 수정부
200 : 문서 파일 추출 모듈
A : 판매처 관리항목
B : 재화 관리항목
C : 농가 정보 관리항목
C1 : 농가 구분 정보 관리항목
C2 : 농가 세부 정보 관리항목
D : 거래 내역 관리항목
E : 단위 항목
F : 날짜 관리항목
10: Sales management server
20: POS device
30: barcode reader
40: mobile terminal
100: Agricultural products sales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5: agricultural products sales information database
110: management item selection unit
111: management item
111a: filter module
111b: sorting module
120: management item insertion unit
121: column insert
122: row insert
123: value insert
130: display unit
140: insert item input module
141: input field
142: insertion position selection unit
143: insertion decision module
150: filter module condition editing module
150a : filter edit field
151: filter edit field control unit
152: filter operator change part
153: filter condition setting unit
154: management item setting unit
155: condition value setting unit
160: data loading request module
170: layout control module
171: item layout control unit
172: result value layout control unit
180: inquiry period setting module
190: preset setting module
191: preset storage
192: Preset Table of Contents
193: preset loading unit
194: preset sharing unit
195 : Preset name correction unit
200: document file extraction module
A: Vendor management items
B: Goods management items
C: Farm information management items
C1 : Farmhouse classifi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item
C2: Farm details management item
D: Transaction history management item
E: unit item
F : Date management item

Claims (12)

농산물 판매를 관리하기 위한 농산물 판매 관련 정보들을 각각 포함하는 다수의 관리항목이 나열되는 관리 항목 선택부;
상기 관리 항목 선택부에 나열된 관리항목이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공간을 마련하는 관리 항목 삽입부 및
상기 관리 항목 삽입부에 선택적으로 삽입된 관리항목에 대한 농산물 판매 관련 정보들의 결과 값을 표기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항목은,
농산물 또는 농산물 관련 제품 판매처 정보들이 저장된 판매처 관리항목;
농산물 또는 농산물 관련 제품 재화 정보들이 저장된 재화 관리항목;
농산물 또는 농산물 관련 제품 판매 농가 정보들이 저장된 농가 정보 관리항목;
농산물 또는 농산물 관련 제품 거래 내역 정보들이 저장된 거래 내역 관리항목;
농산물 또는 농산물 관련 제품의 재화 단위 정보들이 저장된 단위 항목 및
농산물 또는 농산물 관련 제품의 거래 날짜 정보들이 저장된 날짜 관리항목을 포함하되
각기 저장된 농산물 판매 관련 정보들을 선택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필터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표시부는,
상기 필터모듈에 의한 선택적 정보 추출 시 선택적 정보에 대한 결과 값만을 표기하고,
농산물 판매 통합 관리 시스템은,
상기 필터모듈의 추출 조건을 편집할 수 있는 필터모듈 조건 편집모듈 및
상기 관리 항목 삽입부에 대한 관리항목의 삽입이 자동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삽입 항목 입력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필터모듈 조건 편집모듈은,
편집하고자 하는 필터모듈의 추출 조건의 편집 공간인 필터 편집란의 추가 및 삭제를 조절하는 필터 편집란 조절부;
상기 필터 편집란을 연산하는 필터 연산자의 변경 또는 편집이 가능한 필터 연산자 변경부;
상기 필터 편집란에 적용되는 필터 조건의 설정이 가능한 필터 조건 설정부;
상기 필터 편집란에 적용되는 관리항목 설정이 가능한 관리항목 설정부 및
상기 필터 편집란에 적용되는 관리항목의 필터 조건에 대한 조건 값 설정이 가능한 조건 값 설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 항목 입력 모듈은,
상기 관리 항목 선택부의 관리항목을 드래그&드롭 하도록 마련되는 입력칸;
상기 입력칸에 드래그&드롭된 관리항목의 삽입 위치를 선택하는 삽입 위치 선택부 및
상기 삽입 위치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삽입 위치로의 삽입 여부를 결정하는 삽입 결정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삽입 위치 선택부를 통해 선택하는 삽입 위치는 상기 관리 항목 삽입부 내에서 미리 설정되고 연동되어, 상기 삽입 결정 모듈을 통해 삽입이 요청되면 상기 입력칸에 드래그&드롭된 관리항목이 선택된 관리 항목 삽입부에 대한 위치로 자동적으로 삽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판매 통합 관리 시스템.
a management item selection unit in which a plurality of management items each including information related to agricultural product sales for managing agricultural product sales are listed;
a management item insertion unit providing a space for selectively inserting management items listed in the management item selection unit; and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result value of agricultural product sales related information for the management item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management item insertion unit,
The management items are
Vendor management items in which agricultural products or agricultural products-related product vendor information is stored;
Goods management items in which agricultural products or agricultural products related product information are stored;
Farm information management item in which agricultural products or agricultural products-related product sales farm information is stored;
a transaction history management item in which agricultural products or agricultural products-related product transaction history information is stored;
A unit item in which product unit informa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or agricultural products-related products is stored, and
Including date management items in which transaction date informa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or agricultural products-related products is stored.
It further includes a filter module that can selectively extract each stored agricultural product sales related information,
The display unit,
When the selective information is extracted by the filter module, only the result value for the selective information is displayed,
Agricultural products sales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a filter module condition editing module capable of editing the extraction condition of the filter module; and
Further comprising an insertion item input module for automatically inserting the insertion of the management item to the management item insertion unit,
The filter module condition editing module,
a filter editing field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ddition and deletion of a filter editing field that is an editing space of an extraction condition of a filter module to be edited;
a filter operator change unit capable of changing or editing a filter operator for calculating the filter edit column;
a filter condition setting unit capable of setting a filter condition applied to the filter edit field;
A management item setting unit capable of setting management items applied to the filter edit column, and
and a condition value setting unit capable of setting a condition value for a filter condition of a management item applied to the filter edit field,
The insertion item input module,
an input box provided to drag and drop management items of the management item selection unit;
an insertion position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an insertion position of the management item dragged and dropped into the input box; and
and an insertion determination module for determining whether to insert into the insertion position selected by the insertion position selection unit,
The insertion position selected through the insertion position selection unit is preset and interlocked within the management item insertion unit, and when insertion is requested through the insertion determination module, the management item dragged and dropped into the input box is selected in the management item insertion unit. Agricultural products sales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o be automatically inserted into the position fo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농산물 판매 관련 정보들의 변화를 업데이트 하는 정보 업데이트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정보 업데이트 모듈은,
상기 농산물 판매 관련 정보들의 변화에 따라 실시간으로 자동 업데이트하거나, 데이터 로딩 요청에 따라 수동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판매 통합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information update module for updating changes in the agricultural product sales related information,
The information update module,
Agricultural product sales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automatically update in real time according to changes in the agricultural product sales related information, or manually update according to a data loading reques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농산물 판매 통합 시스템의 레이아웃을 조절하는 레이아웃 조절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레이아웃 조절 모듈은,
상기 관리 항목 선택부 또는 관리 항목 삽입부의 관리항목에 대한 레이아웃을 선택적 내지 종합적으로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관리 항목 레이아웃 조절부 및
상기 관리 항목 삽입부로의 관리항목 삽입에 따른 결과 값에 대한 세부 항목을 선택적 내지 종합적으로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결과 값 레이아웃 조절부를 포함하는 농산물 판매 통합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layout control module for adjusting the layout of the agricultural product sales integration system,
The layout control module,
a management item layout control unit configured to selectively or comprehensively adjust the layout of the management item of the management item selection unit or the management item insertion unit; and
Agricultural product sales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including a result value layout adjusting unit configured to selectively or comprehensively adjust detailed items for a result value according to the management item insertion into the management item insertion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항목 삽입부에 대한 관리항목의 삽입은,
상기 관리 항목 선택부에서 관리 항목 삽입부에 이르기까지 직접 드래그&드롭 방식으로 수동 삽입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판매 통합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Insertion of the management item to the management item insertion unit,
Agricultural product sales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be manually inserted in a direct drag & drop method from the management item selection unit to the management item insertion unit.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항목 삽입부는,
상기 표시부로 표기되는 결과 값을 열(column) 단위로 나타내기 위한 관리항목의 삽입 공간인 열 삽입부;
상기 표시부로 표기되는 결과 값을 행(row) 단위로 나타내기 위한 관리항목의 삽입 공간인 행 삽입부 및
상기 열 삽입부와 행 삽입부를 통해 열과 행 단위로 나타내고자 하는 농산물 판매 정보에 대한 결과 값의 삽입 공간인 값 삽입부를 포함하는 농산물 판매 통합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management item insertion unit,
a column insertion unit which is an insertion space for management items for displaying the result value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n units of columns;
a row inserting unit which is an insertion space for management items for displaying the result value displayed by the display unit in a row unit; and
and a value inserter, which is a space for inserting result values for agricultural product sales information to be displayed in units of columns and rows through the column inserter and the row insert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항목은,
각기 저장된 농산물 판매 관련 정보들에 대해 설정된 기준에 따라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으로 정렬할 수 있는 정렬모듈을 포함하는 농산물 판매 통합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management items are
Agricultural product sales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including a sorting module that can sort in ascending or descending order according to criteria set for each stored agricultural product sales related inform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항목 삽입부에 관리항목이 삽입되어 표시부에 표기된 상태로 셋팅시켜 놓고 그대로 모듈화 시킨 프리셋을 저장하고, 저장된 프리셋 상태로 불러오기 하고, 저장된 프리셋을 연결된 네트워크 망으로 공유하도록 구성되는 프리셋 설정 모듈을 더 포함하는 농산물 판매 통합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 preset setting module configured to insert a management item into the management item insertion unit and set it as indicated on the display unit, store the modularized preset as it is, load the stored preset state, and share the stored preset through a connected network network. Agricultural products sales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including more.
관리항목의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한 농산물 판매 통합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농산물 판매 통합 관리 방법으로서,
관리 항목 선택부에서 표시부에 표시할 관리항목들을 선택하는 단계;
선택된 관리항목들을 드래그&드롭 또는 삽입 항목 입력 모듈을 통해 관리 항목 삽입부의 열 삽입부, 행 삽입부 및 값 삽입부에 각각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열 삽입부, 행 삽입부에 삽입된 관리 항목별로 값 삽입부에 삽입된 결과 값을 표시부를 통해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 항목 입력 모듈은,
상기 관리 항목 선택부의 관리항목을 드래그&드롭 하도록 마련되는 입력칸;
상기 입력칸에 드래그&드롭된 관리항목의 삽입 위치를 선택하는 삽입 위치 선택부 및
상기 삽입 위치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삽입 위치로의 삽입 여부를 결정하는 삽입 결정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 위치 선택부를 통해 선택하는 삽입 위치는 상기 관리 항목 삽입부 내에서 미리 설정되고 연동되어, 상기 삽입 결정 모듈을 통해 삽입이 요청되면 상기 입력칸에 드래그&드롭된 관리항목이 선택된 관리 항목 삽입부에 대한 위치로 자동적으로 삽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판매 통합 관리 방법.
As a method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agricultural products sales using an integrated agricultural product sales management system that can customize management items,
selecting management items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n the management item selection unit;
Inserting the selected management items into the column inserter, the row inserter, and the value inserter of the management item inserter through drag & drop or an insert item input module, respectively;
and checking the result value inserted into the value insertion unit for each management item inserted into the column insertion unit and the row insertion unit through a display unit,
The insertion item input module,
an input box provided to drag and drop management items of the management item selection unit;
an insertion position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an insertion position of the management item dragged and dropped into the input box; and
An insertion determination module for determining whether to insert into the insertion position selected by the insertion position selection unit,
The insertion position selected through the insertion position selection unit is preset and interlocked within the management item insertion unit, and when insertion is requested through the insertion determination module, the management item dragged and dropped into the input box is selected in the management item insertion unit. Agricultural products sales integrated managemen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utomatically inserted into the position for the.
KR1020210003545A 2021-01-11 2021-01-11 Agricultural product sales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customizing management items, and agricultural product sales integrated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ystem KR10231887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3545A KR102318878B1 (en) 2021-01-11 2021-01-11 Agricultural product sales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customizing management items, and agricultural product sales integrated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3545A KR102318878B1 (en) 2021-01-11 2021-01-11 Agricultural product sales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customizing management items, and agricultural product sales integrated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8878B1 true KR102318878B1 (en) 2021-10-27

Family

ID=78287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3545A KR102318878B1 (en) 2021-01-11 2021-01-11 Agricultural product sales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customizing management items, and agricultural product sales integrated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887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4925B1 (en) 2023-01-06 2023-05-26 그린프레시 주식회사 Agricultural products distribution management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erp-based inventory management and order quantity forecasting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5513A (en) * 1999-10-27 2001-07-19 Japan Project System Inc Electronic commercial transaction system
KR101517894B1 (en) * 2012-10-23 2015-05-08 메타라이츠(주) Management apparatus and system for agrigulture information
KR101646639B1 (en) * 2014-05-30 2016-08-08 나루웨어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tributing a form of an electronic document through the electronic device
KR20180075809A (en) * 2016-12-27 2018-07-05 (주)네오그라프 Real-time one-stop product informatio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2079830B1 (en) * 2017-12-21 2020-02-20 고광섭 A method for providing a service for agriculture story platform and an apparatus therefo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5513A (en) * 1999-10-27 2001-07-19 Japan Project System Inc Electronic commercial transaction system
KR101517894B1 (en) * 2012-10-23 2015-05-08 메타라이츠(주) Management apparatus and system for agrigulture information
KR101646639B1 (en) * 2014-05-30 2016-08-08 나루웨어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tributing a form of an electronic document through the electronic device
KR20180075809A (en) * 2016-12-27 2018-07-05 (주)네오그라프 Real-time one-stop product informatio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2079830B1 (en) * 2017-12-21 2020-02-20 고광섭 A method for providing a service for agriculture story platform and an apparatus theref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4925B1 (en) 2023-01-06 2023-05-26 그린프레시 주식회사 Agricultural products distribution management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erp-based inventory management and order quantity forecast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24778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fining attributes, decision rules, or both, for remote execution, claim set I
US6553352B2 (en) Interface for merchandise price optimization
US7092918B1 (en) Apparatus for merchandise price optimization
US7574379B2 (en) Method and system of using artifacts to identify elements of a component business model
US7254554B2 (en) Accounting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transaction data
US8019828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fining attributes, decision rules, or both, for remote execution, claim set III
US7881987B1 (en) System and method for purchase order management
CN108369481B (en)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configurable forms, configuring forms, and for correlating forms with forms
CN110249356B (en) Sharing method and system for user-defined ERP function
JP2000242694A (en) Business strategy supporting system and machine- readable medium where program is recorded
JP5178936B1 (en) System and method for assessing the contribution of cooking recipes to product sales
CN104395899A (en) Cloud based master data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for
US6243613B1 (en) N-dimensional material planning method and system with corresponding program therefor
JP2004021364A (en) Management intention decision support system
KR102318878B1 (en) Agricultural product sales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customizing management items, and agricultural product sales integrated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ystem
US8291380B2 (en) Methods for configuring software package
CN104182226B (en) A kind of General Mobile information system adaptation method and device
KR20120011350A (en) System and method for trading of carbon credit
US20140101072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a giving plan
KR20200141426A (en) Patent sales system
JP2003346023A (en) Ordering and order-reception processing system
KR101974104B1 (en) Method of providing logistics information using application integration system
CN10637209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ocuments reflecting user pattern
KR20170014397A (en) Method for automatic stock trading in real time for open API and computer program performing the same
Ralston PowerPivot for business intelligence using Excel and SharePoi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