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8857B1 - 스트레칭 기구 - Google Patents

스트레칭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8857B1
KR102318857B1 KR1020210021090A KR20210021090A KR102318857B1 KR 102318857 B1 KR102318857 B1 KR 102318857B1 KR 1020210021090 A KR1020210021090 A KR 1020210021090A KR 20210021090 A KR20210021090 A KR 20210021090A KR 102318857 B1 KR102318857 B1 KR 102318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support
foam
sag
foam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1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복상
Original Assignee
유복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복상 filed Critical 유복상
Priority to KR1020210021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8857B1/ko
Priority to PCT/KR2021/012605 priority patent/WO2022177088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8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88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4Exercising devices moving as a whole during exercis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9Specific exercise interfaces contoured to fit to specific body parts, e.g. back, knee or neck 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2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023/0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stretching exerci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Abstract

본 발명은 스트레칭 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폼롤러에 신체를 기대어 스트레칭 운동을 할 수 있는 스트레칭 기구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칭 기구는 소정 길이를 갖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지면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사용자가 외주면에 몸을 눕혀 신체를 지지할 수 있는 폼롤러부와; 상기 폼롤러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스트레칭 기구{Stretching tool}
본 발명은 스트레칭 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폼롤러에 신체를 기대어 스트레칭 운동을 할 수 있는 스트레칭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폼롤러(Foam roller)는 통나무를 굴리면서 운동하는 것에 유래하여 중량이 가볍고 충격흡수력이 좋은 스폰지 재질로 만들어진 원통형 모양의 소도구로 알려져있다.
이러한 폼롤러는 원통형의 구르는 성질을 이용해 신체 각부위를 효율적으로 스트레칭에 의한 긴장된 근육조직을 풀어 운동능력을 확대시키는 운동기구이다.
다시 말해, 폼롤러는 전신의 스트레칭 및 관절의 가동범위를 증진시키는 효과, 밸런스 능력향상 및 근력강화 운동 프로그램에 활용할 수 있고, 임상적 활용으로 근경화, 근증후군, 근유작, 오십견등의 개선, 회복 및 예방에 이용되며, 뇌졸증, 소아마비의 환자에게 치료적 운동요법으로 활용되고 있고, 긴장된 근육을 쉽게 이완시킬 수있어, 재활치료, 자세교정 등의 용도로 활용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5-0108100 호에는 이러한 원통형상을 갖는 '폼롤러'가 개시되어 잇다.
또한, 이와 같은 폼롤러는 소재에 따라 부드러운 것 또는 딱딱한 것으로 나뉘기도 하고, 근육과 근막을 풀어 주기 위해표면에 돌기나 물결모양의 골곡 등의 형성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일례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2001390 호에는 척추의 극돌기 및 횡돌기에 대응되도록 외주면에 횡돌기자극부 및 접합돌기수용홈 및 늑곡결절자극돌기가 형성된 '대사증진을 위한 척추교정용 정형 폼 롤러'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폼롤러는 통상 바닥에 놓여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몸을 기대어 폼롤러에 의해 신체가 지지된 상태에서, 몸을 전후진 시켜 폼롤러를 굴려 사용토록 구성된다.
그러나 사용자가 신체를 전후진 시키며 스트레칭 운동을 할 시 폼롤러가 신체의 이동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지면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전후방향을 따르는 충분한 이동공간이 요구되어 협소한 공간에서의 운동이 제한되며, 사용자가 신체의 이동거리를 짐작하기 어려워 벽체 부근에서 운동시 부주의에 의한 충격에 의해 부상을 입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5-0108100 호 : 폼롤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2001390 호 : 대사증진을 위한 척추교정용 정형 폼 롤러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신체를 전후진 시켜 폼롤러를 굴리더라도 폼롤러는 제자리에서 회전하게 되어 협소한 공간에서 운동이 가능하며, 사용자가 신체의 이동거리를 짐작하기 용이한 스트레칭 기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칭 기구는 소정 길이를 갖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지면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사용자가 외주면에 몸을 눕혀 신체를 지지할 수 있는 폼롤러부와; 상기 폼롤러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폼롤러부는 내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된 중공부를 가지며 관상으로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중공부에 관통 삽입되는 샤프트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샤프트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샤프트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1 및 제 2베어링블럭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샤프트부는 상기 제 1 및 제 2베어링블럭의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의 양 단부로부터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및 제 2연장부를 가지며, 상기 본체부는 복수개가 각각 상기 중앙부와 상기 제 1 및 제 2연장부에 각각 결합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폼롤러부가 지지되는 높이를 가변시킬 수 있는 높이조절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지지부의 하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외주면에 연장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의 높이조절공이 형성된 슬라이드부와, 상기 슬라이드부가 상하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슬라이드공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부가 상기 슬라이드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높이조절공들 중 적어도 하나와 동축을 이루도록 높이고정공이 관통 형성된 받침부와, 상호 동축을 이루는 상기 높이조절공 및 상기 높이고정공에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드부와 상기 받침부를 상호 체결하는 높이고정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샤프트부는 일측이 상기 제 1베어링블럭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타측에 제 1결합부가 형성된 제 1마디샤프트와, 일측에 제 2결합부가 마련되고 타측이 상기 제 2베어링블럭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 2마디샤프트와, 일측에 상기 제 1결합부와 결합되는 제 3결합부가 마련되고 타측에 상기 제 2 또는 제 3결합부와 결합되는 제 4결합부가 마련되어 상기 제 1 마디샤프트와 상기 제 2마디샤프트의 사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 마디샤프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 1지지롤러부와 상기 제 2지지롤러부의 간격을 가변시킬 수 있는 간격조절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롤러받침부는 상기 제 1 및 제 2지지롤러부를 개별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되 소정 간격으로 상호 이격된 제 1 및 제 2롤러받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간격조절부는 소정 길이로 연장형성되어 일측이 상기 제 2롤러받침부에 고정되며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관통된 복수 개의 간격조절공이 형성된 간격조절가이드와, 상기 제 1롤러받침부에 상기 간격조절공들 중 적어도 하나와 동축을 이루도록 형성된 간격고정공 및 상기 간격조절공에 결합되는 간격고정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로부터 인가되는 하중에 의해 상기 폼롤러부의 일측과 타측 사이의 일 부분이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처짐방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폼롤러부와 평행한 회전축을 가지며 상호 이격되어 상기 폼롤러부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외주면을 상기 폼롤러부가 구속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상호 나란한 축선을 갖게 배치되는 제 1 및 제 2처짐방지롤러부와, 상기 제 1 및 제 2처짐방지롤러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처짐방지롤러받침부를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칭 기구는 폼롤러부가 지지부에 대해 지면과 이격된 상태에서 제자리 회전가능하게 지지됨으로써 사용자가 신체를 전후진 시켜 폼롤러부를 굴리더라도 폼롤러부가 신체의 이동방향을 따라 이동하지 않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스트레칭 운동을 하기 위해 필요한 공간이 사용자가 스트레칭 운동을 위해 신체를 전후진 시키는 거리로 한정되기 때문에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스트레칭 운동을 하는 동안 신체의 이동거리를 짐작하기 용이하여 벽에 머리를 부딪쳐 부상을 입게 되는 위험이 경감된다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칭 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칭 기구의 사시도,
도 3는 도 2의 스트레칭 기구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칭 기구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칭 기구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높이조절부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칭 기구의 분리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칭 기구의 사시도,
도 9는 도 8의 간격조절부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칭 기구의 사시도,
도 11은 롤러받침부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2는 롤러받침부 및 간격조절부의 또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칭 기구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칭 기구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칭 기구는 소정 길이를 갖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지면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사용자가 외주면에 몸을 눕혀 신체를 지지할 수 있는 폼롤러부(110)와, 폼롤러부(11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210)를 구비한다.
폼롤러부(110)는 관상으로 형성된 본체부(111)와, 본체부(111)에 관통 삽입되는 샤프트부(113)를 구비한다.
본체부(111)는 환형의 단면을 갖는다. 본체부(111)는 외경과 동심원을 이루는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중공부(112)가 형성된다. 본체부(111)는 외주면에 사용자가 몸을 기대어 굴리기 용이하도록 돌기부(114)가 돌출되거나 홈부(미도시)가 인입 형성된다. 본체부(111)는 스폰지 또는 폴리우레탄 폼(polyurethane foam) 등과 같이 사용자가 신체를 기대었을 때 푹신하고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소재로 제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샤프트부(113)에 하나의 본체부(111)가 결합된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와 다르게 하나의 샤프트부(113)에 복수 개의 본체부(111)들이 결합된 구성이 적용될 수도 있다.
샤프트부(113)는 원형 단면을 가지며 소정 길이로 연장 형성된다. 샤프트부(13)는 본체부(111)의 중공부(112)의 내경과 대응되는 외경을 갖는다. 샤프트부(113)는 양 단부에 후술할 제1 및 제 2베어링블럭(211, 216)이 결합될 수 있도록 본체부(111)의 길이보다 제 1 및 제 2베어링블럭(211, 216)이 결합될 길이 이상만큼 더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샤프트부(113)는 중공부(112)에 끼움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샤프트부(113)는 본체부(111)의 중공부(112)에 억지 끼움결합되어 샤프트부(113) 및 본체부(111)가 상대회전 하지 않으며 일체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다르게 샤프트부(113) 및 본체부(111)는 상호 맞닿는 면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상호 상대회전 하지 않도록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본체부(111)는 도시된 예와 다르게 샤프트부(113)에 판상의 소재를 롤 형상으로 권취하여 접합되는 환형구조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지지부(210)는 샤프트부(113)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어 샤프트부(113)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1 및 제 2베어링블럭(211, 216)을 구비한다.
제 1 및 제 2베어링블럭(211, 216)은 샤프트부(113)의 양 단부에 결합되는 제 1 및 제 2베어링(213, 217)과, 제 1 및 제 2베어링(213, 217)을 소정 높이로 지지하는 제 1 및 제 2베어링하우징(212, 216)을 포함한다.
제1 및 제 2 베어링하우징(212, 216)은 본체부(111)의 길이보다 더 긴 간격으로 상호 이격되어 나란히 배치된다. 제 1 및 제 2베어링하우징(212, 216)은 제 1 및 제 2베어링(213, 217)이 결합될 수 있는 베어링삽입구가 마련된 제 1 및 제 2베어링지지부(212a, 216a)와 제1 및 제 2베어링지지부(212a, 216a)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제 1 및 제 2받침부(212b, 216b)를 포함한다. 제1 및 제 2받침부(212b, 216b)는 제 1 및 2베어링지지부(212a, 216b)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제 1 및 제 2베어링지지부(212a, 216a)의 하단으로부터 제 1 및 제 2베어링지지부(212a, 216a)의 폭보다 더 넓은 폭으로 연장 형성된다.
베어링삽입구는 각 제 1 및 제 2베어링(213, 217)의 상호 동축을 이루는 위치에 관통형성된다. 제1 및 제 2베어링하우징(212, 216)이 제 1 및 제 2베어링(213, 217)을 본체부(111)의 반경보다 더 높은 높이로 지지한다.
제 1 및 제 2베어링(213, 217)은 제 1 및 제 2베어링하우징(212, 216)의 각 베어링삽입구에 끼워져 고정되는 외륜과, 외륜의 내측에서 외륜과 동심원을 이루며 상대회전 가능한 내륜을 갖는 볼베어링 또는 롤러베어링이 적용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베어링(213, 217)은 외륜이 제 1 및 제 2베어링하우징(212, 216)의 베어링삽입구에 장착되고, 샤프트부(113)의 양 단부가 제 1 및 제 2베어링(213, 217)의 내륜에 장착됨으로써 샤프트부(113)가 제 1 및 제 2베어링하우징(212, 216)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샤프트부(113)가 제 1 및 제 2 베어링(213, 217)에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성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와 다르게 샤프트부(113)가 제 1 및 제 2 베어링하우징(212, 216)의 베어링삽입구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으로 형성되고, 샤프트부(113)가 베어링삽입구에 직접 끼워져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이 적용될 수도 있다.
제 1 및 제 2베어링하우징(212, 216)의 하부에는 지면에 대해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제 1 및 제 2 미끄럼방지부재(214, 218)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및 제 2미끄럼방지부재(214, 218)는 제 1 및 제 2베어링하우징(212, 216)이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인가되는 지지력에 의해 미끄러지지 않도록 맞닿는 지면과의 사이에 충분한 마찰력이 발생되는 고무패드가 적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칭 기구는 제 1 및 제 2미끄럼방지부재(214, 218)가 지면에 대해 지지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본체부(111)의 외주면에 신체를 지지시킨 상태에서 신체를 이용해 본체부(111)를 회전시키며 스트레칭 운동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칭 기구는 폼롤러부(110)가 제1 및 제2 베어링블럭(211, 215)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가 전후진 하더라도 폼롤러부(110)는 제자리 회전되어 사용자가 스트레칭 운동을 하기 위해 필요한 공간이 사용자가 스트레칭 운동을 위해 신체를 전후진 시키는 거리로 한정되기 때문에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사용자가 스트레칭 운동을 하는 동안 신체의 이동거리를 가늠하기 용이하여 벽에 머리를 부딪쳐 부상을 입게 되는 위험이 경감된다는 이점을 갖는다.
도 2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칭 기구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칭 기구는 지지부(210)의 구성이 제 1실시예와 동일함에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샤프트부(126)는 제 1 및 제 2베어링블럭(211, 215)의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중앙부(127)와, 중앙부(127)의 양 단부로부터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및 제 2연장부(128, 129)를 갖는다.
중앙부(127)와 제 1 및 제 2연장부(128, 129)는 일체로 형성된다. 중앙부(127) 및 제 1 및 제 2연장부(128, 129)는 동일 외경을 갖는 관상으로 형성된다. 제 1 및 제 2연장부(128, 129)는 동일 길이로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폼롤러부(120)는 복수개의 본체부(121, 122, 123)들과 샤프트부(126)를 포함한다. 본체부(121, 122, 123)는 중앙부에 결합되는 제 1본체부(121)와, 제 1 및 제 2연장부(128, 129)에 각각 결합되는 제 2 및 제 3본체부(122, 12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2, 3본체부(121, 122, 123)는 내측에 상호 동일한 내경의 중공부(121a, 122a, 123a)가 각각 형성된 관상으로 형성된다. 제 1, 2, 3본체부(121, 122, 123)는 샤프트부(126)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 1 및 제 2베어링하우징(211, 215)이 상방으로 돌출되지 않기에 충분한 외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제 1본체부(121)는 제 1 및 제 2베어링블럭(211, 215)의 상호 이격된 간격보다 더 작은 길이로 형성되되 샤프트부(126)의 중앙부(127)에 결합된 상태에서 양 단부로부터 제 1 및 제 2베어링블럭(211, 215) 까지의 간격이 최소화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및 제 3본체부(122, 123)는 제 1 및 제 2연장부(128, 129)의 연장된 길이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된다. 제 2 및 제 3본체부(122, 123)는 제 1 및 제 2연장부(128, 129)에 각각 결합된 상태에서 제 1 및 제 2베어링블럭(211, 215)과 이격되게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칭 기구는 폼롤러부(12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베어링블록(211)이 제 1본체부(121) 제 2본체부(122)의 사이에 위치되고, 제 2베어링블록(215)이 제 1본체부(121)와 제 3본체부(123)의 사이에 위치되어 설치에 필요한 공간을 절약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칭 기구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칭 기구는 소정 길이를 갖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지면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사용자가 외주면에 몸을 눕혀 신체를 지지할 수 있는 폼롤러부(130)와, 폼롤러부(130)의 외주면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220, 220')를 구비한다.
폼롤러부(130)는 원형 단면을 가지며 소정 길이로 연장된 원통 형상의 본체부(131)만을 구비하는 것이 적용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지지부(220, 220')는 폼롤러부(130)의 길이방향의 양 단부를 하부에서 각각 지지하도록 폼롤러부(130)의 일측 단부를 지지하는 제 1지지부(220)와, 타측 단부를 지지하는 제 2지지부(220')를 구비한다. 제 1 및 제 2지지부(220, 220')는 상호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본 실시예와 다르게 후술할 제 1 및 제 2지지롤러부(221, 225)가 폼롤러부(130)의 외주면을 길이방향을 따라 충분히 지지할 수 있는 길이로 연장된 경우에는 제 1 지지부(220)만을 포함하는 구성이 적용될 수도 있다.
제 1지지부(220)는 폼롤러부(130)와 평행한 회전축을 가지며 상호 이격되어 폼롤러부(130)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외주면을 폼롤러부(130)가 구속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상호 나란한 축선을 갖게 배치되는 제 1 및 제 2지지롤러부(221, 225)와, 제 1 및 제 2지지롤러부(221, 225)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받침부(230)를 구비한다.
제 1 및 제 2지지롤러부(221, 225)는 한쌍의 나란한 제 1 및 제 2지지바퀴(222, 226)와, 제 1 및 제 2지지바퀴(222, 226)의 양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 1 및 제 2지지롤러회전축(223, 227)과, 제 1 및 제 2지지롤러회전축(54, 58)의 각 양 단부에 결합되는 제 1 및 제 2지지롤러베어링(224, 228)을 포함한다.
제1 및 제 2지지바퀴(222, 226)는 폼롤러부(130)와 평행한 회전축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 1 및 제 2지지롤러회전축(223, 227)은 제 1 및 제 2지지바퀴(222, 226)의 양 단부로부터 제 1 및 제 2지지바퀴(222, 226)의 외경보다 더 작은 외경을 갖도록 연장형성된다. 제 1 및 제 2지지바퀴(222, 226)와 제 1 및 제 2지지롤러회전축(223, 227)는 동일 축선을 갖는다.
제 1 및 제 2지지롤러베어링(224, 228)는 상호 상대회전 가능한 내륜과 외륜으로 이루어진 통상의 롤러베어링 또는 볼베어링이 적용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지지롤러회전축(223, 227)은 각각의 양 단부가 제 1 및 제 2지지롤러베어링(224, 228)의 내륜에 결합된다.
롤러받침부(230)는 지지베이스(231)와, 지지베이스(231)에 대해 제1 및 제 2 지지롤러베어링(224, 228)을 소정 높이로 지지하는 제1 및 제 2지지편(232, 233)을 구비한다.
지지베이스(231)는 소정 두께를 가지며 장방형의 판상으로 형성된다. 지지베이스(231)의 하면에는 지지베이스(231)가 사용자로부터 가해지는 지지력에 의해 지면에 대해 미끄러지지 않도록 고무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미끄럼방지부재(235)가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및 제 2지지편(232, 233)은 지지베이스(231)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 1 지지편(232)은 제 1지지롤러회전축(223)의 양 단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베이스(231)의 일측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한쌍이 각각 형성된다. 제 2지지편(233)은 제 2지지롤러회전축(223)의 양 단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베이스(231)의 타측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한쌍이 각각 형성된다. 제 1지지롤러베어링(224)는 외륜이 제 1지지편(232)에 설치되고, 제 2지지롤러베어링(228)은 제 2지지편(233)에 의해 지지되게 설치된다.
제 1 및 제 2 지지편(232, 233)은 제 1 및 제 2 지지롤러베어링(224, 228)이 설치되는 상측 단부가 제 1 및 제 2지지바퀴(222, 226)에 의해 지지되는 폼롤러부(130)의 외주면에 간섭되지 않도록 제 1 및 제 2 지지바퀴(222, 226)의 직경보다 작은 너비로 형성되되 하측 단부는 제 1 및 제 2지지바퀴(222, 226)을 통해 인가되는 사용자의 체중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도록 넓은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칭 기구는 스트레칭 운동을 시행함에 있어, 폼롤러부(130)가 회전하더라도 폼롤러부(130)가 전후진 되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시중에서 구매 가능한 폼롤러가 적용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5 내지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칭 기구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칭 기구는 높이조절부(240, 240') 외 다른 구성요소들이 제 1실시예와 동일함에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칭 기구는 폼롤러부(10)가 지지되는 높이를 가변시킬 수 있는 높이조절부(240, 240')를 더 구비한다.
높이조절부(240, 240')는 제 1베어링블럭(211)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 1높이조절부(240)와, 제 2베어링블럭(215)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 2높이조절부(240')를 포함한다. 제 1 및 제 2높이조절부(240, 240')는 후술할 슬라이드부(242)가 설치되는 위치 외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제 1 및 제 2높이조절부(240, 240')는 지지부(210)의 하부에 설치되는 슬라이드부(242)와, 슬라이드부(242)의 하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부(242)가 진퇴 가능하게 결합되는 받침부(245)와, 슬라이드부(241)와 받침부(245)를 상호 체결하는 높이고정부재(249)을 구비한다.
슬라이드부(242)는 제1 및 제 2베어링하우징(212, 216)의 하부에 설치된다. 슬라이드부(242)는 사각 단면을 가지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된다. 슬라이드부(242)는 상부 일측이 제 1 및 제 2베어링하우징(212, 216)의 각 하부에 고정된다 슬라이드부(242)는 외주면에 연장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의 높이조절공(243)이 관통 형성된다.
받침부(245)는 중공의 사각관 형상으로 형성된다. 받침부(245)는 폼롤러부(11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받침부분(246)과 받침부분(246)의 양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지지부분(247)로 구분된다. 받침부(245)의 받침부분(246)에는 슬라이드부(242)가 상하 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슬라이드공(246a)이 형성된다. 받침부분(246)의 슬라이드공(246a)의 관통방향과 직교하는 측면에는 슬라이드부(242)가 슬라이드공(246a)에 삽입된 상태에서 진퇴함에 따라 높이조절공(243)들 중 적어도 하나와 동축을 이룰 수 있는 위치에 높이고정공(246b)이 관통 형성된다.
받침부(245)의 받침부분(246)에는 높이고정부재(249)를 진퇴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는 높이고정부재 지지브라켓(248)이 마련된다. 높이고정부재 지지브라켓(248)은 판상의 나사결합부(248a)와, 나사결합부(248a)의 양 단부로부터 받침부분(246)으로 연장되는 나사결합부 지지부재(248b)를 포함한다. 나사결합부(248a)는 받침부분(246)의 측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나사결합부(248a)는 내측에 높이고정공(246b)과 동축을 이루는 방향을 따라 나사결합공(248c)이 관통 형성된다. 나사결합공(248c)은 높이고정공(246b)과 동축을 이루는 위치에 형성된다. 나사결합공(248c)의 내주면에는 높이고정부재(249)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선이 형성된다.
높이고정부재(249)는 나사결합공(248c)에 나사결합될 수 있는 볼트가 적용된다. 높이고정부재(249)는 일측에 사용자가 파지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가 마련되며 타측이 나사결합공(248c)을 통해 나사결합부(248a)와 나사결합된다. 높이고정부재(249)는 정방향으로 회전됨에 의해 타측 단부가 높이고정공(246b)를 향하는 방향으로 전진하거나, 역방향으로 회전됨에 의해 후퇴하게 된다.
높이고정부재(249)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정방향으로 회전하여 상호 동축을 이루는 높이조절공(243)과 높이고정공(246b)에 삽입됨으로써 슬라이드부(71)와 받침부(73)를 상호 체결한다. 또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높이조절공(243)과 높이고정공(246b)으로부터 분리되어 슬라이드부(242)와 받침부(246)의 체결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다.
본 도면에서 높이조절부(240, 240')는 슬라이드부(242) 및 받침부(245)가 제 1실시예의 제 1 및 제 2베어링하우징(212, 216)의 하부에 설치된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와 다르게 제 2 실시예의 베어링하우징(212, 216) 또는 제 3실시예의 롤러받침부(231)의 하부에 설치됨으로써 동일한 기능을 발휘하도록 구현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칭 기구는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지면에 대해 폼롤러부(110)의 높이를 가변시켜 사용자의 체형에 맞는 운동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폼롤러부(110)의 높이 변화에 따른 다양한 운동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이점을 갖는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칭 기구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칭 기구는 폼롤러부(10) 외의 구성요소들이 제 1실시예와 동일함에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칭 기구는 복수개의 본체부(131, 132)를 구비하며, 길이방향을 따라 길이가 조절되는 샤프트부(134)를 구비한다.
본체부(131, 132)는 환형 단면을 가지며 소정 길이로 연장 형성된 제 1본체부(131)와, 제 1본체부(131)와 동축을 이루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 2본체부(132)와, 제 1 및 제 2본체부(131, 132)들을 길이방향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제 1 및 제 2스토퍼(138, 139)를 구비한다. 제1 및 제 2본체부(131, 132)는 상호 다른 직경의 외경을 갖는다. 제 1 및 제 2본체부(131, 132)는 외경과 동심원을 이루는 내측에 동일한 직경의 내경의 갖는 중공부(131a, 132a)가 각각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서로 다른 외경을 이루는 제 1 및 제 2본체부(131, 132)가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가 배열된 구성이나 이와 다르게 서로 동일한 외경을 가지며 각각의 외주면에 서로 다른 패턴의 돌출부가 형성된 것이 구성될 수 있다.
샤프트부(134)는 제 1 및 제 2마디샤프트(135, 136)와, 제 1마디샤프트(135)와 제 2마디샤프트(136)의 사이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 마디샤프트(137)를 포함한다.
제 1 및 제 2마디샤프트(135, 136)와 연장 마디샤프트(137)는 상호 동일한 외경을 가지며 상호 동축을 이루도록 배열된다.
제 1마디샤프트(135)는 일측이 제 1베어링블럭(212)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타측에 제 1결합부(135a)가 형성된다. 제 1결합부(135a)는 제 1마디샤프트(135)의 타측 단부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제 1마디샤프트(135)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도록 연장된다. 제 1결합부(135a)는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된다.
제 2마디샤프트(136)는 일측에 제 2결합부(136a)가 마련되고 타측이 제 2베어링블럭(215)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제 2결합부(136a)는 제 2마디샤프트(136)의 일측 단부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깊이로 인입형성된 것이다. 제 2결합부(136a)는 내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된다.
연장 마디샤프트(137)는 일측에 제 1결합부(135a)와 결합되는 제 3결합부(137a)가 마련되고 타측에 제 2 또는 제 3결합부(136a, 137a)와 결합되는 제 4결합부(137b)가 마련된다. 제 3결합부(137a)는 연장 마디샤프트(137)의 일측 단부로부터 제 1결합부(135a)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으로 인입 형성된다. 제 3결합부(137a)는 내주면에 제 1결합부(135a)가 나사결합 될 수 있는 나사선이 형성된다. 제 4결합부(137b)는 연장 마디샤프트(137)의 타측 단부로부터 제 2 또는 제 3결합부(136a, 137a)에 대응되는 길이 및 외경을 갖도록 연장 형성된다. 제 4결합부(137b)는 외주면에 제 2 또는 제 3결합부(136a, 137a)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선과 대응되는 나사선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2 마디샤프트(135, 136) 및 연장 마디샤프트(137)는 각 결합부들의 나사결합에 의해 샤프트부(134)의 총 길이가 조절된다. 본 실시예와 다르게 제 1, 2 마디샤프트(135, 136) 및 연장 마디샤프트(137)는 나사결합 외 클램프결합, 억지끼움결합 등과 같은 다른 결합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다.
제 1 및 제 2스토퍼(138, 139)는 제 1 또는 제 2본체부(131, 132)의 단부를 감쌀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된 원통의 함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및 제 2스토퍼(138, 139)는 제 1본체부(131)의 단부를 감쌀 수 있도록 제 1본체부(131)의 외경과 대응되는 내경을 갖는다. 제 1 및 제 2스토퍼(138, 139)의 타측에는 제 1 또는 제 2 마디샤프트(135, 136)의 각 일측과 타측 사이의 부분에 고정결합될 수 있는 제 1 및 제 2스토퍼 고정부(138a, 139a)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및 제 2마디샤프트(135, 136)의 각 일측과 타측 사이 부분의 외주면의 소정 길이구간에 제 1 및 제 2스토퍼 결합나사선(135b, 136b)이 형성되고, 제 1 및 제 2스토퍼 고정부(138a, 139a)는 제 1 및 제 2 스토퍼(138, 139)의 각 타측에 제 1 및 제 2스토퍼 결합나사선(135b, 136b)이 결합될 수 있는 내경의 관통공이 마련되게 타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것이다. 제 1 및 제 2스토퍼 고정부(138a, 139a)는 내주면에 제 1 및 제 2 스토퍼결합나사선(135b, 136b)이 나사결합되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이와 대응되는 나사선이 형성된다. 제 1 및 제 2 스토퍼(138, 139)의 고정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방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칭 기구는 본체부(130)의 총 길이가 샤프트부(134)에 결합되는 제 1 및 제 2본체부(131, 132)의 개수에 따라 가변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뭄을 기대어 지지할 수 있는 구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칭 기구는 본체부(130)가 두 가지의 서로 다른 형상의 제 1 및 제 2본체부(131, 132)로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의 체형이나 운동방식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본체부(130)를 연출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칭 기구는 샤프트부(134)가 길이방향을 따라 분리 및 결합 가능한 구성으로, 연장 마디샤프트(137)가 제 1 및 제 2마디샤프트(135, 136)의 사이에 결합되는 개수에 따라 길이를 조절 가능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다른 길이규격의 본체부(130)를 장착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칭 기구는 제 1스토퍼(138)가 제 1마디샤프트(135)에 결합되고, 제 2스토퍼(139)가 제 2마디샤프트(136)에 결합되어 이들의 사이에 위치한 제 1 및 제 2본체부(131, 132)의 양 단부를 지지함으로써 제 1 및 제 2본체부(131, 132)가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 형태가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이점을 갖는다.
도 8 내지 도 9에는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칭 기구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칭 기구는 폼롤러부(130)가 제 3실시예와 동일함에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칭 기구의 지지부(250)는 제 1지지롤러부(251)와 제 2지지롤러부(255)의 간격을 가변시킬 수 있는 간격조절부(280)를 더 구비한다.
그리고, 롤러받침부(260, 260')는 제 1 및 제 2지지롤러부(251, 255)의 양 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제 1 및 제 2지지롤러부(251, 255)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한쌍이 제1 및 제 2지지롤러부(251, 255)의 양측에 설치된다. 롤러받침부(260, 260')들은 각각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각각의 롤러받침부(260, 260')들은 제 1 및 제 2지지롤러부(251, 255)를 개별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되 소정 간격으로 상호 이격된 제 1 및 제 2롤러받침부(261, 265)를 포함한다.
제 1롤러받침부(261)는 제 1지지롤러부(251)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1롤러브라켓(262)과, 제 1롤러브라켓(262)을 하부에서 하는 제 1롤러받침판(263)을 포함한다. 제 1롤러받침판(263)는 장방형의 판상으로 형성된다. 제 1롤러받침판(263)의 하부에는 제 1롤러받침판(263)이 지면에 대해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되게 지면과 맞닿아 마찰력을 발휘하는 판상의 제 1미끄럼방지부재(264)가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롤러브라켓(262)은 제 1롤러받침판(263)의 상단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연장되어 제 1롤러받침판(263)의 상부에 입설된다.
제 1지지롤러부(251)는 제1 바퀴(252)와, 제1 바퀴(252)의 양 단부에 형성되는 제 1지지롤러회전축(253)과, 제 1지지롤러회전축(253)에 결합되는 제 1지지롤러베어링(254)을 포함한다.
제 1바퀴(252)는 원형단면을 가지며 수평방향으로 연장된다. 폼롤러부(130)의 축선과 평행한 축선을 갖도록 배열된다. 제 1바퀴(252)는 폼롤러부(130)를 지지하기 충분한 길이로 연장 형성된다. 제1 지지롤러회전축(253)은 제 1바퀴(252)의 양 단부로부터 연장 각각 연장 형성된다.
제 1지지롤러회전축(253)의 양측에는 제1 지지롤러베어링(254)이 설치된다. 제 1지지롤러베어링(254)은 제 1롤러브라켓(262)에 설치됨으로써 제 1바퀴(252)가 제 1롤러브라켓(262)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제 1지지롤러부(251)와 평행한 회전축을 가지며 제 1롤러받침부(261)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폼롤러부(130)를 보조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제 1보조지지롤러부(251')가 더 구비된다. 제 1보조지지롤러부(251')는 제 1지지롤러부(251)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질수 있다.
제 2롤러받침부(265)는 제 2지지롤러부(255)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2롤러브라켓(266)과, 제 1롤러브라켓(266)을 하부에서 하는 제 2롤러받침판(267)을 포함한다. 제 2롤러받침판(267)는 장방형의 판상으로 형성된다. 제 2롤러받침판(267)의 하부에는 제 2롤러받침판(267)이 지면에 대해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되게 지면과 맞닿아 마찰력을 발휘하는 판상의 제 2미끄럼방지부재(268)가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롤러브라켓(266)은 제 2롤러받침판(267)의 상단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연장되어 제 2롤러받침판(267)의 상부에 입설된다.
제 2지지롤러부(255)는 제2 지지바퀴(256)와, 제2 지지바퀴(256)의 양 단부에 형성되는 제 2지지롤러회전축(257)과, 제 2지지롤러회전축(257)에 결합되는 제 2지지롤러베어링(258)을 포함한다.
제 2지지바퀴(256)는 원형단면을 가지며 수평방향으로 연장된다. 제 2지지바퀴(256)은 폼롤러부(130)의 축선과 평행한 축선을 갖도록 배열된다. 제 2지지바퀴(256)는 폼롤러부(130)를 지지하기 충분한 길이로 연장 형성된다. 제2 지지롤러회전축(257)은 제 2지지바퀴(256)의 양 단부로부터 연장 각각 연장 형성된다.
제 2지지롤러회전축(257)의 양측에는 제2 지지롤러베어링(258)이 설치된다. 제 2지지롤러베어링(258)은 제 2롤러브라켓(266)에 설치됨으로써 제 2지지바퀴(256)가 제 2롤러브라켓(266)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제 2지지롤러부(255)와 평행한 회전축을 가지며 제 2롤러받침부(265)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폼롤러부(130)를 보조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제 2보조지지롤러부(256')가 더 구비된다. 제 2보조지지롤러부(256')는 제 2지지롤러부(256)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질수 있다.
간격조절부(280)는 소정 길이로 연장형성되어 일측이 제 2롤러받침부(265)에 고정되며 복수 개의 간격조절공(282)이 형성된 간격조절가이드(281)와, 제 1롤러받침부(261)에 간격조절공(282)들 중 적어도 하나와 동축을 이루도록 형성된 간격고정공(284) 및 간격조절공(282)에 결합되는 간격고정부재(285)를 구비한다.
간격조절가이드(281)는 소정 길이로 연장된 사각관 형상으로 형성된다. 간격조절가이드(281)는 폼롤러부(130)의 축선과 직교하는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간격조절가이드(281)의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간격조절공(282)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개가 관통 형성된다. 간격조절가이드(281)는 일측이 제 1롤러브라켓(262)의 외측면에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간격조절가이드(281)는 타측이 제 1롤러브라켓(262)의 외측면과 맞닿도록 배치된다.
간격고정공(284)은 제 1롤러받침부(261)의 제 1롤러브라켓(262)의 외측면에 관통 형성된다. 간격고정공(284)은 간격조절가이드(281)에 형성된 간격조정공(282)의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에 형성된다. 간격고정공(284)는 간격조절가이드(281)의 간격조절공(284)의 관통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관통형성된다. 간격고정공(284)은 간격조절공(284)과 동일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롤러브라켓(282)에는 간격고정부재(285)를 진퇴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는 간격고정부재 지지브라켓(286)이 마련된다. 간격고정부재 지지브라켓(286)은 판상의 나사결합부(287)와, 나사결합부(287)의 양 단부로부터 제 1롤러브라켓(262)으로 연장되는 나사결합부 지지부재(288)를 포함한다. 나사결합부(287)는 제 1롤러브라켓(262)의 외측면으로부터 소정 간격이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나사결합부(287)는 내측에 간격고정공(284)과 동축을 이루는 위치에 간격고정공(284)의 관통방향을 따라 나사결합공(289)이 관통 형성된다. 나사결합공(289)은 간격고정공(284)과 동축을 이루는 위치에 형성된다. 나사결합공(289)의 내주면에는 간격고정부재(285)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선이 형성된다.
간격고정부재(285)는 나사결합공(289)에 나사결합될 수 있는 볼트가 적용된다. 간격고정부재(285)는 일측에 사용자가 파지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가 마련되며 타측이 나사결합공(289)을 통해 나사결합부(285)와 나사결합된다. 간격고정부재(285)는 정방향으로 회전됨에 의해 타측 단부가 간격고정공(284)을 향하는 방향으로 전진하거나, 역방향으로 회전됨에 의해 후퇴하게 된다.
간격고정부재(285)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정방향으로 회전하여 상호 동축을 이루는 간격조절공(282)과 간격고정공(284)에 삽입됨으로써 간격조절가이드(281)와 제 1롤러브라켓(262)를 상호 체결한다. 또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간격조절공(282)과 간격고정공(284)으로부터 분리되어 간격조절가이드(281)와 제 1롤러브라켓(262)의 체결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칭 기구는 사용자가 간격고정부재(285)의 체결을 해제한 상태에서 제 1 및 제 2롤러받침부(261, 265)의 간격을 상호 가까워지거나 멀어지게 조절하거나 간격고정부재(285)를 체결시키는 방법으로 제 1 및 제 2지지롤러부(251, 255)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제 6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칭 기구는 체형이나 운동방식에 따라 다른 외경을 갖는 폼롤러부(130)를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이와 같이 간격조절부(300)가 적용된 상태에서 롤러받침부(260, 260')는 다른 구성을 갖는 것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1에는 다른 방식의 롤러받침부(260)가 적용된 스트레칭 기구가 도시되어 있다.
롤러받침부(260)는 복수개의 제 1 및 제 2지지롤러부(251, 255) 및 제 1 및 제 2보조지지롤러부(251',255')를 변화된 외경의 폼롤러부(130)의 중심으로부터 동일한 곡률반경의 외주면에 접촉하도록 배열하는 배열유닛(400)을 더 구비한다.
배열유닛(400)은 제 1 및 제 2롤러브라켓(262, 266)의 각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및 제 2배열브라켓(411, 415)을 포함한다.
제 1 및 제 2배열브라켓(411, 415)은 소정 길이로 연장 형성되며 길이방향의 일측과 타측의 사이에 상기 제 1 및 제 2롤러브라켓(262, 266)과 결합될 수 있는 제 1 및 제 2배열브라켓 회전축(412, 416)이 상기 폼롤러부(130)의 회전축과 평행하게 연장 형성된다.
제 1 및 제 2롤러브라켓(262, 266)에는 후술할 제 1 및 제 2배열브라켓 지지베어링(413, 417)이 결합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된다.
제 1 및 제 2배열브라켓 지지베어링(413, 417)은 제 1 및 제 2지지롤러베어링(254, 258)과 동일한 유형의 베어링이 적용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배열브라켓 지지베어링(413, 417)은 외륜이 제 1 및 제 2롤러브라켓(262, 266)에 의해 소정 높이로 지지되게 설치된다. 제 1 및 제 2배열브라켓(411, 415)는 각각의 제 1 및 제 2 배열브라켓 회전축(412, 416)은 제 1 및 제 2배열브라켓 지지베어링(413, 417)의 내륜에 결합됨으로써 제 1 및 제 2배열브라켓(411, 415)이 제 1 및 제 2롤러브라켓(262, 266)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제 1지지롤러부(251) 및 제 1보조지지롤러부(251')는 제 1 배열브라켓(4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과 타측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제 2지지롤러부(255) 및 제 2보조지지롤러부(255')는 제 2배열브라켓(415)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과 타측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은 배열유닛(400)은 제 1 및 제 2지지롤러부(251, 255) 및 제 1 및 제 2 보조지지롤러부(251', 255')가 제 1 및 제 2롤러브라켓(262, 266)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 및 제 2배열브라켓(411, 415)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폼롤러부(130)의 본체부(131)가 보다 더 큰 외경을 갖는 다른 본체부(132)로 교체된 상태에서도 다른 본체부(132)의 중심으로부터 동일한 곡률반경에 위치하도록 제 1 및 제 2지지롤러부(251, 255) 및 제 1 및 제 2 보조지지롤러부(251', 255')를 배열하도록 적응적으로 회전하여 본체부(131)를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이점을 발휘한다.
한편, 도 12에는 제 1 및 제 2 지지롤러부(251, 255) 및 제 1 및 제 2 보조지지롤러부(251', 255')를 변화된 외경의 폼롤러부(130)의 중심으로부터 동일한 곡률반경의 외주면에 접촉하도록 배열하기 위한 롤러받침부(420) 및 간격조절부(440)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롤러받침부(420)는 제 1 및 제 2지지롤러부(251, 255)의 양 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제 1 및 제 2지지롤러부(251, 255)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제 1 및 제 2지지롤러부(251, 255)의 양 단부에 각각 한 쌍이 설치된다.
각각의 롤러받침부(420)는 제 1 및 제 2지지롤러부(251, 255)를 개별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되 소정간격으로 상호 이격된 제 1 및 제 2 롤러받침부(421, 425)와, 제 1 및 제 2롤러받침부(421, 425)의 사이에 설치되는 보조롤러받침부(431)을 포함한다. 제 1 및 제 2롤러받침부(421, 425) 및 제 1 및 제 2지지롤러부(441, 445)는 제 6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보조롤러받침부(431)는 제 1 및 제 2보조지지롤러부(251', 255')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보조롤러브라켓(432)과, 보조롤러브라켓(432)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보조롤러받침판(433)을 포함한다. 보조롤러받침판(433)은 장방형의 판상으로 형성된다. 롤러받침판(433)의 하부에는 롤러받침판(433)이 지면에 대해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되게 지면과 맞닿아 마찰력을 발휘하는 판상의 보조미끄럼방지부재(435)가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롤러브라켓(432)는 보조롤러받침판(433)의 상단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연장되어 보조롤러받침판(433)의 상부에 입설된다.
제 1 및 제 2보조지지롤러부(251', 255')는 보조롤러브라켓(432)의 상부에 설치된다. 제 1 및 제 2보조롤러부(251', 255')는 상호 이격되어 폼롤러부(130)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외주면을 폼롤러부(130)가 구속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상호 나란한 축선을 갖도록 배치된다. 제 1 및 제 2보조지지롤러부(251', 255')는 보조롤러브라켓(432)의 폼롤러부(130)의 축선과 직교하는 수평방향을 따라 일측과 타측에 각각 나란히 설치된다. 제 1 및 제 2 보조지지롤러부(251', 255')는 제 1 및 제 2지지롤러부(441, 445)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간격조절부(440)는 소정 길이로 수평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되어 일측이 제 1롤러받침부(421)에 고정되고 타측이 보조받침부(431)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제 1랙기어(441)와, 소정 길이로 수평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되어 일측이 제 2롤러받침부(425)에 고정되고 타측이 보조받침부(431)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제 2랙기어(442)와, 보조받침부(431)에 설치되어 제 1 및 제 2랙기어(441, 442)를 제 1롤러받침부(421)와 제 2롤러받침부(425)가 상호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피니언기어(445)를 포함한다.
피니언기어(445)는 보조롤러브라켓(432)의 측면에 폼롤러부(130)와 평행한 축선을 갖도록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피니언기어(445)는 외주면을 따라 일정한 치형의 기어가 형성된다. 피니언기어(445)는 동축을 이루는 위치에 피니언기어(445)와 동일 회전속도로 회전되게 설치되어 사용자가 파지함으로써 피니언기어(445)를 편리하게 회전시킬 수 있는 손잡이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랙기어(441, 442) 각각 피니언기어(445)의 외경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상하 이격되게 설치된다. 제 1 및 제 2랙기어(441, 442)는 상호 마주보는 일면에 피니언기어(445)의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의 치형에 대응되는 기어가 형성된다. 제 1 및 제 2랙기어(441, 442)는 피니언기어(445)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치결합 된다.
이와 같은 방식의 간격조절부(400)는 사용자가 피니언기어(445)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제 1 및 제 2롤러받침부(421, 425)가 보조롤러받침부(431)로부터 항상 동일한 간격을 이루며 상호 멀어지거나 가까워지게 이동시킴으로써 폼롤러부(130)의 본체부(131)가 보다 더 큰 외경을 갖는 다른 본체부(132)로 교체된 상태에서도 다른 본체부(132)의 중심으로부터 동일한 곡률반경에 위치되어 폼롤러부(130)의 외주면을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이점을 발휘한다.
도 10에는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칭 기구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칭 기구는 처짐방지부(300)외의 구성요소들이 제 1실시예와 동일함에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칭 기구는 사용자로부터 인가되는 하중에 의해 폼롤러부(110)의 일측과 타측 사이의 일 부분이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처짐방지부(300)를 더 구비한다.
처짐방지부(300)는 폼롤러부(110)와 평행한 회전축을 가지며 상호 이격되어 폼롤러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외주면을 폼롤러부(110)가 구속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상호 나란한 축선을 갖게 배치되는 제 1 및 제 2처짐방지롤러부(311, 315)와, 제 1 및 제 2처짐방지롤러부(311, 315)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처짐방지롤러받침부(320)를 구비한다.
제 1 및 제 2처짐방지롤러부(311, 315)는 한쌍의 나란한 제 1 및 제 2처짐방지바퀴(312, 316)와, 제 1 및 제 2처짐방지바퀴(312, 316)의 양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 1 및 제 2처짐방지롤러회전축(313, 317)과, 제 1 및 제 2처짐방지롤러회전축(313, 317)에 설치되는 제 1 및 제 2처짐방지롤러베어링(314, 318)을 포함한다.
제 1 및 제 2처짐방지바퀴(312, 316)는 폼롤러부(110)와 평행한 회전축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 1 및 제 2처짐방지롤러회전축(313, 317)은 제 1 및 제 2처짐방지바퀴(312, 316)의 양 단부로부터 제 1 및 제 2처짐방지바퀴(312, 316)의 외경보다 더 작은 외경을 갖도록 연장형성된다. 제 1 및 제 2처짐방지바퀴(312, 316)와 제 1 및 제 2처짐방지롤러회전축(313, 317)는 동일 축선을 갖는다.
제 1 및 제 2처짐방지롤러베어링(314, 318)은 제 1및 제 2처짐방지롤러회전축(313, 317)의 양 단부에 각각 결합된다. 제 1 및 제 2처짐방지롤러베어링(314, 318)은 상호 상대회전 가능한 내륜과 외륜으로 이루어진 통상의 롤러베어링 또는 볼베어링이 적용될 수 있다. 제1 및 제 2처짐방지롤러회전축(313, 317)은 각 제 1 및 제 2처짐방지롤러베어링(314, 318)의 내륜에 결합된다.
처짐방지롤러받침부(320)는 처짐방지롤러베이스(321)와, 처짐방지롤러베이스(321)에 대해 제1 및 제 2 처짐방지롤러베어링(314, 318)을 소정 높이로 지지하는 제1 및 제 2처짐방지롤러지지편(322, 323)을 구비한다.
처짐방지롤러베이스(321)는 소정 두께를 가지며 장방형의 판상으로 형성된다. 처짐방지롤러베이스(321)의 하면에는 처짐방지롤러베이스(321)가 사용자로부터 인가되는 지지력에 의해 지면에 대해 미끄러지지 않도록 고무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처짐방지부미끄럼방지부재(324)가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처짐방지롤러지지편(322)은 각각의 제 1처짐방지롤러롤러회전축(313)의 단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처짐방지롤러베이스(321)의 일측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한쌍이 각각 형성된다. 제 2처짐방지롤러지지편(323)은 제 2처짐방지롤러회전축(317)의 양 단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처짐방지롤러베이스(321)의 타측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한쌍이 각각 형성된다.
제 1 및 제 2처짐방지롤러지지편(322, 323)은 처짐방지롤러베이스(321)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 1처짐방지롤러베어링(314)은 외륜이 제 1처짐방지롤러지지편(322)에 지지되게 설치되고, 제 2처짐방지롤러베어링(318)은 외륜이 제 2처짐방지롤러지지편(323)에 의해 지지되게 설치됨으로써 제 1 및 제 2처짐방지바퀴(312, 316)이 처짐방지롤러받침부(320)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제 1 및 제 2 처짐방지롤러지지편(322, 323)은 제 1 및 제 2 처짐방지롤러베어링(314, 318)이 설치되는 상측 단부가 제 1 및 제 2처짐방지바퀴(312, 316)에 의해 지지되는 폼롤러부(130)의 외주면에 간섭되지 않도록 제 1 및 제 2 처짐방지바퀴(312, 316)의 직경보다 작은 너비로 형성되되 하측 단부는 제 1 및 제 2처짐방지바퀴(312, 316)를 통해 인가되는 사용자의 체중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도록 넓은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칭 기구는 사용자가 신체를 폼롤러부(110)에 몸을 기대어 사용자의 체중이 폼롤러부(110)에 인가되는 상태에서 폼롤러부(110)가 하방으로 굴절되어 사용자의 운동 효과를 경감시키거나 사용자의 신체가 잘못된 자세로 지지는 것을 방지하여 운동의 효과를 개선하는 이점을 갖는다.
110, 120,130 : 폼롤러부 210, 220, 250 : 지지부
240 : 높이조절부 280 : 간격조절부

Claims (8)

  1. 소정 길이를 갖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지면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사용자가 외주면에 몸을 눕혀 신체를 지지할 수 있는 폼롤러부와;
    상기 폼롤러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폼롤러부와 평행한 회전축을 가지며 상호 이격되어 상기 폼롤러부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외주면을 상기 폼롤러부가 구속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상호 나란한 축선을 갖게 배치되는 제 1 및 제 2지지롤러부와, 상기 제 1 및 제 2지지롤러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받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칭 기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폼롤러부가 지지되는 높이를 가변시킬 수 있는 높이조절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지지부의 하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외주면에 연장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의 높이조절공이 형성된 슬라이드부와, 상기 슬라이드부가 상하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슬라이드공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부가 상기 슬라이드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높이조절공들 중 적어도 하나와 동축을 이루도록 높이고정공이 관통 형성된 받침부와, 상호 동축을 이루는 상기 높이조절공 및 상기 높이고정공에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드부와 상기 받침부를 상호 체결하는 높이고정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칭 기구.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 1지지롤러부와 상기 제 2지지롤러부의 간격을 가변시킬 수 있는 간격조절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롤러받침부는 상기 제 1 및 제 2지지롤러부를 개별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되 소정 간격으로 상호 이격된 제 1 및 제 2롤러받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간격조절부는 소정 길이로 연장형성되어 일측이 상기 제 2롤러받침부에 고정되며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관통된 복수 개의 간격조절공이 형성된 간격조절가이드와, 상기 제 1롤러받침부에 상기 간격조절공들 중 적어도 하나와 동축을 이루도록 형성된 간격고정공 및 상기 간격조절공에 결합되는 간격고정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칭 기구
  8. 소정 길이를 갖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지면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사용자가 외주면에 몸을 눕혀 신체를 지지할 수 있는 폼롤러부와;
    상기 폼롤러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와;
    사용자로부터 인가되는 하중에 의해 상기 폼롤러부의 일측과 타측 사이의 일 부분이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처짐방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처짐방지부는 상기 폼롤러부와 평행한 회전축을 가지며 상호 이격되어 상기 폼롤러부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외주면을 상기 폼롤러부가 구속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상호 나란한 축선을 갖게 배치되는 제 1 및 제 2처짐방지롤러부와, 상기 제 1 및 제 2처짐방지롤러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처짐방지롤러받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칭 기구.
KR1020210021090A 2021-02-17 2021-02-17 스트레칭 기구 KR1023188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1090A KR102318857B1 (ko) 2021-02-17 2021-02-17 스트레칭 기구
PCT/KR2021/012605 WO2022177088A1 (ko) 2021-02-17 2021-09-15 스트레칭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1090A KR102318857B1 (ko) 2021-02-17 2021-02-17 스트레칭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8857B1 true KR102318857B1 (ko) 2021-10-27

Family

ID=78287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1090A KR102318857B1 (ko) 2021-02-17 2021-02-17 스트레칭 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18857B1 (ko)
WO (1) WO2022177088A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0895Y1 (ko) * 2001-07-24 2001-11-22 최찬묵 건강증진용 롤마사지기
KR200306133Y1 (ko) * 2002-11-28 2003-03-03 이해준 휴대용 안마봉
KR200384409Y1 (ko) * 2005-03-02 2005-05-16 조병덕 복근 운동기구
JP2010172421A (ja) * 2009-01-28 2010-08-12 J Make:Kk 足裏マッサージ器
KR101529298B1 (ko) * 2014-12-24 2015-06-17 엄광복 요추 교정운동 보조 기구
KR20150108100A (ko) 2014-03-17 2015-09-25 손제경 폼롤러
KR102001390B1 (ko) 2018-06-28 2019-10-21 (주)메드사피엔스 대사증진을 위한 척추교정용 정형 폼 롤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5338Y1 (ko) * 2002-11-21 2003-02-26 성진헬먼트전자 주식회사 로울러형 지압기
KR20180112959A (ko) * 2017-04-05 2018-10-15 유논수 롤러 회전형 온열 마사지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0895Y1 (ko) * 2001-07-24 2001-11-22 최찬묵 건강증진용 롤마사지기
KR200306133Y1 (ko) * 2002-11-28 2003-03-03 이해준 휴대용 안마봉
KR200384409Y1 (ko) * 2005-03-02 2005-05-16 조병덕 복근 운동기구
JP2010172421A (ja) * 2009-01-28 2010-08-12 J Make:Kk 足裏マッサージ器
KR20150108100A (ko) 2014-03-17 2015-09-25 손제경 폼롤러
KR101529298B1 (ko) * 2014-12-24 2015-06-17 엄광복 요추 교정운동 보조 기구
KR102001390B1 (ko) 2018-06-28 2019-10-21 (주)메드사피엔스 대사증진을 위한 척추교정용 정형 폼 롤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77088A1 (ko) 2022-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67163B2 (en) Leg rehabilitation exercise apparatus
US7311644B2 (en) Exercise ball mounted for rotation
US5713823A (en) Therapeutic exercise device for the shoulder
US9011356B2 (en) Multiple position foot massaging device
US20070173750A1 (en) Massage apparatus with spherical elements
US20090112137A1 (en) Exercise Device
US7846077B2 (en) Oblique abdominal trainer
US20080146979A1 (en) Wall-mounted back massager
KR101287134B1 (ko) 척추교정 및 척추주변 근육강화 운동기구
US20170020771A1 (en) Interchangeable massage roller system
US6315742B1 (en) Device for self massage, acupressure self care and acupressure meridian stimulation
US20190308053A1 (en) Multi-Use Fitness and Rehabilitation Machine
CA2845337C (en) Massage and traction table for spinal massage therapy
US20110040219A1 (en) Spinal Awareness, Massage, and Alignment Apparatus
KR102318857B1 (ko) 스트레칭 기구
US20080261784A1 (en) Oblique abdominal trainer
US20120238925A1 (en) Interchangeable pressure therapy tool
US20110021959A1 (en) Wall mountable back massager
KR20190020585A (ko) 헬스기구겸용 데스크체어
US20200306131A1 (en) Stationary foam roller with an adjustable mount
US7878961B2 (en) Muscle stretching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10869806B2 (en) Therapeutic systems and roller devices and methods of use
CN212466986U (zh) 一种拆装方便的健身训练器械
US20120065558A1 (en) Lower Back Alignment And Decompression Machine
CN217163039U (zh) 健身训练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