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8373B1 - 리셉터클 섹션 - Google Patents

리셉터클 섹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8373B1
KR102318373B1 KR1020197010649A KR20197010649A KR102318373B1 KR 102318373 B1 KR102318373 B1 KR 102318373B1 KR 1020197010649 A KR1020197010649 A KR 1020197010649A KR 20197010649 A KR20197010649 A KR 20197010649A KR 102318373 B1 KR102318373 B1 KR 102318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erosol
actuating element
channel
receptacle section
mou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0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7043A (ko
Inventor
리차드 헵워스
콜린 딕켄스
Original Assignee
니코벤처스 트레이딩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코벤처스 트레이딩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니코벤처스 트레이딩 리미티드
Priority to KR1020217034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3382B1/ko
Publication of KR20190047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70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8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83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24F47/008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0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7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in liquid or vaporisable form, e.g. liquid compositions for electronic cigarett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06Use of materials for tobacco smoke filters
    • A24D3/061Use of materials for tobacco smoke filters containing additives entrapped within capsules, sponge-like material or the like, for further release upon smok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30Devices using two or more structurally separated inhalable precursors, e.g. using two liquid precursors in two cartridg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2Cartridges or containers for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7/00Smokers' requisit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7/00Mouthpieces for pipes; Mouthpieces for cigar or cigarette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4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 A61M11/041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using heaters
    • A61M11/042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using heaters electric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6Inhaling appliances shaped like cigars, cigarettes or pi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003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 A61M2016/0015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inhalation detectors
    • A61M2016/0018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inhalation detectors electrical
    • A61M2016/0024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inhalation detectors electrical with an on-off output signal, e.g. from a swit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6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related to heating or cooling
    • A61M2205/3653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related to heating or cooling by Joule effect, i.e. electric res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82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 A61M2205/8206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battery-opera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사용 시에 에어로졸의 유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에어로졸 제공 물품을 위한 리셉터클 섹션이 설명되며, 리셉터클 섹션은, 일단 활성화되면, 상기 에어로졸의 유동의 특성을 변경시키기 위한 활성화 가능한 요소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리셉터클 섹션은, 사용자에 의한 리셉터클 섹션 내에의 상기 활성화 가능한 요소의 설치 후에, 사용 시에 리셉터클 섹션 내에 설치된 상기 활성화 가능한 요소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활성화 가능한 요소에 힘을 인가하도록 작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 요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리셉터클 섹션
본 발명은 리셉터클 섹션(receptacle section)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로졸 제공 물품(aerosol provision article)을 위한 리셉터클 섹션에 관한 것이다.
시가렛들(cigarettes), 시가들(cigars) 등과 같은 흡연 물품들은 사용 동안에 담배를 태워서 담배 연기를 생성한다. 태우지 않고 화합물들을 방출하는 제품들을 생성함으로써, 담배를 태우는 이들 물품들에 대한 대안들을 제공하려는 시도들이 있었다.
그러한 제품들의 예들에는 재료를 가열하되 태우지 않음으로써 화합물들을 방출하는 가열 디바이스들(heating devices)이 있다. 재료는, 예를 들어 니코틴(nicotine)을 보유할 수 있거나 보유하지 않을 수 있는, 담배 또는 다른 비-담배 제품들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는, 소위 e-시가렛 디바이스들(e-cigarette devices)과 같은 에어로졸 제공 물품들이 있다. 이러한 디바이스들은 전형적으로 흡입 가능한 증기 또는 에어로졸(aerosol)을 생성하기 위해 액체를 증발시키도록 가열되는 액체를 보유한다. 액체는 니코틴 및/또는 향료들(flavourings) 및/또는 글리세롤(glycerol)과 같은 에어로졸-발생 물질들(aerosol-generating substances)을 보유할 수 있다. 알려진 e-시가렛 디바이스들은 전형적으로 액체 내에 그러한 것들 이외의 향료들을 보유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르면, 사용 시에 에어로졸의 유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에어로졸 제공 물품을 위한 리셉터클 섹션이 제공되며, 리셉터클 섹션은, 일단 활성화되면, 상기 에어로졸의 유동의 특성을 변경시키기 위한 활성화 가능한 요소(activatable element)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배열되고, 리셉터클 섹션은, 사용자에 의한 리셉터클 섹션 내에의 상기 활성화 가능한 요소의 설치 후에, 사용 시에 리셉터클 섹션 내에 설치된 상기 활성화 가능한 요소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상기 활성화 가능한 요소에 힘을 인가하도록 작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 요소(activating element)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파괴 요소는 사용 시에 리셉터클 섹션 내에 설치된 상기 활성화 가능한 요소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제1 포지션과, 상이한 제2 포지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할 수 있고, 제1 포지션으로부터 제2 포지션으로의 적어도 하나의 파괴 요소의 이동은 사용 시에 리셉터클 섹션 내에 설치된 상기 활성화 가능한 향미 요소를 활성화시키도록 상기 힘이 인가되게 할 수 있다.
제1 포지션은 사용자에 의한 리셉터클 섹션 내에의 상기 활성화 가능한 요소의 설치를 허용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이동은 리셉터클 섹션의 종축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축을 따르는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 요소의 이동을 포함할 수 있다.
리셉터클 섹션은 상기 활성화 가능한 요소가 내부에 설치되는 채널(channel)을 규정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 요소는 리셉터클 섹션의 측벽을 통해 슬라이딩 가능하게(slidably) 장착될 수 있고, 제1 포지션과 제2 포지션 사이에서 슬라이딩하도록(slide) 사용자에 의해 작동 가능할 수 있으며, 제2 포지션에서,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 요소는 채널 내로 연장되고, 이에 의해 사용 시에 채널 내에 수용된 상기 활성화 가능한 요소를 활성화시키도록 상기 힘을 인가할 수 있다.
리셉터클 섹션은 채널의 적어도 일부분을 따라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재형상화 요소(reshaping element)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재형상화 요소는 리셉터클 섹션의 종축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채널을 향해 편향되고, 이에 의해 사용 시에 상기 활성화 가능한 요소의 상기 활성화로 인한 변형 후에 채널 내에 수용된 상기 활성화 가능한 요소의 재형상화를 허용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재형상화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 요소 중 하나에 대해 리셉터클 섹션의 종축을 중심으로 직각으로 또는 거의 직각으로 배향될 수 있다.
리셉터클 섹션은 적어도 2 개의 상기 활성화 요소들 및 적어도 2 개의 상기 재형상화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의 상기 활성화 요소는 제2의 상기 활성화 요소에 대해 채널의 반대측 상에 위치될(located) 수 있고, 제1의 상기 재형상화 요소는 제2의 상기 재형상화 요소에 대해 채널의 반대측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리셉터클 섹션은 상기 활성화 가능한 요소가 내부에 설치되는 채널을 규정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 요소는 채널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연장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탄성 부재는 제1 포지션과 제2 포지션 사이에서 구부러지도록 작동 가능할 수 있고, 제2 포지션에서, 탄성 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은 채널 내로 돌출하고, 이에 의해 사용 시에 채널 내에 수용된 상기 활성화 가능한 요소를 활성화시키도록 상기 힘을 인가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의 단부는 리셉터클 섹션에 대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탄성 부재는 탄성 부재로부터 채널을 향해 돌출하는 내향 돌출 부분(inwardly protruding portion)을 포함할 수 있으며, 내향 돌출 부분은, 사용 시에 채널 내에 수용된 상기 활성화 가능한 요소와 접촉하고, 이에 의해 사용 시에 채널 내에 수용된 상기 활성화 가능한 요소를 활성화시키도록 상기 힘을 인가하기 위한 것이다.
탄성 부재는 외향 돌출 부분(outwardly protruding portion)을 포함할 수 있으며, 외향 돌출 부분은 탄성 부재로부터 외부로 채널로부터 멀리 돌출하고, 리셉터클 섹션의 작동 요소와 접촉하기 위한 것이다.
리셉터클 섹션은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 및 상기 활성화 가능한 요소가 수납되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작동 요소는 하우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고, 이에 의해 리셉터클 섹션의 종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하우징에 대한 작동 요소의 슬라이딩 이동을 허용할 수 있고, 작동 요소는, 작동 요소가 탄성 부재의 외향 돌출 부분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멀리 포지셔닝되는(positioned) 제1 작동 요소 포지션과, 작동 요소가 상대적으로 탄성 부재의 외향 돌출 부분을 향해 포지셔닝되는 제2 작동 요소 포지션 사이에서 슬라이딩하도록 사용자에 의해 작동 가능할 수 있으며, 제1 작동 요소 포지션으로부터 제2 작동 요소 포지션으로의 작동 요소의 슬라이딩은 제1 포지션으로부터 제2 포지션으로의 탄성 부재의 구부러짐을 유발하고, 이에 의해 사용 시에 채널 내에 수용된 상기 활성화 가능한 요소를 활성화시키도록 상기 힘을 인가할 수 있다.
작동 요소는 작동 요소로부터 탄성 부재를 향해 돌출하는 내향 돌출 부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작동 요소가 제2 작동 요소 포지션에 있을 때, 작동 요소의 내향 돌출 부분은 탄성 부재의 외향 돌출 부분과 종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리셉터클 섹션은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가 수납되고 상기 활성화 가능한 요소가 수납 가능한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고, 리셉터클 섹션은 작동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작동 요소는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이에 의해 리셉터클 섹션의 종축을 중심으로 한, 하우징에 대한 작동 요소의 회전을 허용할 수 있고, 작동 요소는 제1 내부 반경방향 치수 및 보다 작은 제2 내부 반경방향 치수를 규정할 수 있고, 작동 요소는, 제1 내부 반경방향 치수가 탄성 부재와 회전식으로 정렬되는 제1 작동 요소 배향과, 제2 내부 반경방향 치수가 탄성 부재와 회전식으로 정렬되는 제2 작동 요소 배향 사이에서 회전하도록 사용자에 의해 작동 가능할 수 있으며, 제1 작동 요소 배향으로부터 제2 작동 요소 배향으로의 작동 요소의 회전은 제1 포지션으로부터 제2 포지션으로의 상기 탄성 부재의 구부러짐을 유발하고, 이에 의해 사용 시에 채널 내에 수용된 상기 활성화 가능한 요소를 활성화시키도록 상기 힘을 인가할 수 있다.
작동 요소의 내부 반경방향 치수는 제1 내부 반경방향 치수로부터 제2 내부 반경방향 치수까지 점진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리셉터클 섹션은 탄성 외부 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탄성 외부 부분은 탄성 부재에 연결되어 탄성 부재를 제1 포지션으로 편향시킨다.
리셉터클 섹션은 적어도 2 개의 상기 탄성 부재들을 포함하고, 제1의 상기 탄성 부재는 제2의 상기 탄성 부재에 대해 채널의 반대측 상에 위치될 수 있다.
활성화 가능한 요소는 리셉터클 섹션 내에 설치될 수 있다.
활성화 가능한 요소는 에어로졸의 상기 특성을 변경시키기 위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힘은 물질이 노출되게 하고, 이에 의해 상기 에어로졸의 유동의 상기 특성을 변경시킬 수 있다.
활성화 가능한 요소는 물질을 보유하는 파괴 가능한 캡슐(breakable capsule)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힘은 캡슐을 파괴시키고, 이에 의해 물질을 노출시킬 수 있다.
파괴 가능한 캡슐은 담체 재료(carrier material) 내에 유지될 수 있고, 물질은 액체 및/또는 겔(gel)일 수 있고, 상기 힘은 파괴 가능한 캡슐을 파괴시켜 담체 재료 내로 액체 및/또는 겔을 방출시킬 수 있다.
상기 특성은 에어로졸의 관능적 특성, 에어로졸의 향미 및 에어로졸의 pH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리셉터클 섹션은 리셉터클 섹션을 상기 에어로졸 제공 물품에 해제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연결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르면, 에어로졸 제공 물품을 위한 마우스피스(mouthpiece)가 제공되며, 상기 에어로졸 제공 물품은 사용 시에 에어로졸의 유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이고, 마우스피스는 제1 양태에 따른 리셉터클 섹션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따르면, 사용 시에 에어로졸의 유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에어로졸 제공 물품이 제공되며, 에어로졸 제공 물품은 제1 양태에 따른 리셉터클 섹션, 및/또는 제2 양태에 따른 마우스피스를 포함한다.
에어로졸 제공 물품은, 액체 또는 재료를 유지하기 위한 용기; 및 사용 시에 상기 에어로졸의 유동을 발생시키기 위해 용기 내에 유지된 액체를 휘발시키거나, 사용 시에 상기 에어로졸의 유동을 발생시키기 위해 재료를 가열하되 연소시키지 않는(heating but not combusting) 히터(heater)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루어지고 단지 예로서 주어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일 예에 따른 에어로졸 제공 물품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2는 제1 예에 따른 제1 리셉터클 섹션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물품의 일부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3a 및 도 3b는 제2 예에 따른 상이한 구성들의 제2 리셉터클 섹션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물품의 일부의 개략적인 단면도들을 도시하고;
도 4a 내지 도 4c는 제3 예에 따른 상이한 구성들의 제3 리셉터클 섹션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물품의 일부의 개략적인 단면도들을 도시하고;
도 5a 내지 도 5d는 제4 예에 따른 상이한 구성들의 제4 리셉터클 섹션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물품의 일부의 개략적인 단면도들을 도시하고;
도 6a 내지 도 6c는 제5 예에 따른 상이한 구성들의 제5 리셉터클 섹션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물품의 일부의 개략적인 단면도들을 도시하고;
도 7a 내지 도 7d는 제6 예에 따른 상이한 구성들의 제6 리셉터클 섹션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물품의 일부의 개략적인 단면도들을 도시하고;
도 8a, 도 8b 및 도 8d는 제7 예에 따른 상이한 구성들의 제7 리셉터클 섹션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물품의 일부의 개략적인 단면도들을 도시하며;
도 8c 및 도 8e는 도 8a 및 도 8d에 각각 도시된 예시적인 리셉터클 섹션의 개략적인 단면도들을 도시하지만, 도 8a 및 도 8d에 각각 도시된 단면도들의 평면에 수직한 평면에서의 단면도들을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예시적인 에어로졸 제공 물품(100)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에어로졸 제공 물품(100)은 흡입 디바이스(즉, 사용자가 그것을 사용하여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된 에어로졸을 흡입함)이다. 에어로졸 제공 물품은 핸드헬드형(hand-held)이다. 이러한 예에서, 물품(100)은 전자 시가렛 디바이스(100)이다. 대체적인 개요에서, 디바이스(100)는 액체를 휘발시켜, 디바이스(100)의 리셉터클 섹션(102)에 수용된 활성화 가능한 요소(124)를 통과하는 증기 또는 에어로졸을 형성한다. 이러한 예에서, 리셉터클 섹션(102)은 디바이스의 마우스피스(mouthpiece)(102)이다. 활성화 가능한 요소(124)는, 일단 활성화되면, 사용자에 의한 흡입을 위해 마우스피스(102)를 통과하는 증기 또는 에어로졸의 특성을 변경시킨다. 예를 들어, 활성화 가능한 요소(124)는, 일단 파괴되면, 사용자에 의한 흡입을 위해 마우스피스(102)를 통과하는 증기 또는 에어로졸에 향미를 부여하는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breakable flavour element)(124)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우선, 일반적으로, 증기는 임계 온도보다 낮은 온도에서 기체 상인 물질이라는 것에 주목할 수 있으며, 이것은 예를 들어 온도를 감소시키지 않고서 그 압력을 증가시킴으로써 증기가 액체로 응축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일반적으로, 에어로졸은 공기 또는 다른 기체 내의 미세한 고체 입자들 또는 액체 방울들의 콜로이드(colloid)이다. 콜로이드는 미시적으로 분산된 불용성 입자들이 다른 물질 전체에 걸쳐 현탁된 물질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바이스(100)는 액체(116)를 보유하는 액체 용기(122), 무화기(atomiser)(108) 및 배터리 부분(battery portion)(112)을 수납하는 외부 본체(106)를 포함한다. 무화기(108)는 배터리 부분(1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마우스피스(102)는, 이러한 예에서, 외부 본체(106)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된다. 마우스피스(102)는, 예를 들어 액체 용기(122) 내에 유지된 액체(116)를 재충전하기 위해, 예를 들어 액체 용기(122)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도록 외부 본체(106)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마우스피스(102)는 증기 또는 에어로졸의 유동을 위한 유동 경로를 규정하고 마우스피스(102)를 통해 연장되는 채널(channel)(132)을 갖는다. 마우스피스(102)는, 일단 파괴되면, 사용 시에 마우스피스(102)를 통과하는 상기 에어로졸 또는 증기의 유동에 향미를 부여하기 위해 채널(132) 내에 제거 가능하게 수용된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124)를 갖는다.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124)는,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가 파괴되면(예를 들어, 파쇄되고(crushed), 피어싱되며(pierced), 기계적으로 활성화되면(mechanically activated)), 원하는 맛(taste) 또는 향기(aroma) 또는 니코틴 함량(nicotine content)과 같은 다른 특성들을 생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향미 재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124)는,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파괴될 때, 증기 및 에어로졸 중 적어도 하나의 유동에 향미를 부여하기 위한 액체 및/또는 겔(gel)과 같은 가향제(flavourant)를 방출하기 위한 파괴 가능한 향미 캡슐(breakable flavour capsule)(126)을 포함한다. 이러한 예에서,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124)는 담체 재료(carrier material) 내에 감싸지거나 매립된 파괴 가능한 향미 캡슐(126)을 포함한다. 담체 재료(carrier material)는 증기 또는 에어로졸이 그것을 통과할 수 있게 하는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담체 재료는 파괴될 때 파괴 가능한 향미 캡슐(126)로부터 방출된 액체 및/또는 겔을 유지하는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담체 재료는 임의의 적합한 재료, 예를 들어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cellulose acetate)일 수 있다.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124), 및 그에 따른 향미 캡슐(126)이 파괴되면(예를 들어, 파쇄되고, 피어싱되며, 기계적으로 활성화되면), 향미 캡슐(126) 내에 보유된 액체 및/또는 겔과 같은 가향제는 담체 재료를 통과하는 증기 또는 에어로졸에 향미를 부가하도록 담체 재료 내로 방출된다.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124)는, 예를 들어 증기 또는 에어로졸이 그것을 통과할 수 있게 하도록 다공성일 수 있다.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124)는 사용자에 의해 용이하게 취급되도록(예를 들어, 마우스피스(102)로부터 용이하게 삽입 및/또는 제거되도록) 자기 지지형(self-supporting)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124)는 래퍼(wrapper) 내에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감싸진 재료를 포함할 수 있고, 그리고/또는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124)는 탄성 하우징(resilient housing), 예를 들어 플라스틱 하우징(도시되지 않음) 내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124)는, 예를 들어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등과 같은 담체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담체 재료 자체가 향미를 낼 수 있다.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124)는 마우스피스(102)의 대응하는 원통형 채널(132) 내로 쉽게 및/또는 억지 끼워맞춰지도록 원통형일 수 있고, 그리고/또는 원통형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사용 시에, 액체(116)가 액체 방울들의 에어로졸을 생성하도록 휘발되거나 증기를 생성하기에 충분히 가열될 때, 에어로졸 또는 증기의 적어도 일부, 바람직하게는 모두 또는 실질적으로 모두가, 예를 들어 향미 요소(124)의 성분들을 내부에 비말 동반하도록 마우스피스(102) 내에 수용된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124)를 통과하도록 배열된다. 일부 예들에서, 증기가 생성되고, 그 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응축되어 디바이스(100)를 빠져나가기 전에 에어로졸을 형성한다.
액체 용기(122)는 외부 본체(106)의 대체로 중앙에 제공된다. 액체 용기(122)는 형상이 환형이고, 액체 용기(122)의 길이를 통해 연장되는 채널(104)을 규정한다. 액체 용기(122)는 금속, 적합한 플라스틱들 등과 같은 강성, 수밀성 및 기밀성 재료들로 형성될 수 있다. 액체 용기(122)는 원추형, 절두 원추형(frustroconical), 또는 이들의 조합 등과 같은 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무화기(108)에는 히터(110), 및 히터(110)와 (열) 접촉하는 심지(wick)(도시되지 않음)가 제공된다. 히터(110)의 배향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히터(110)는 무화기(108)의 종축에 수직하거나 평행한 종축을 갖는 코일(coil)일 수 있다. 심지(도시되지 않음)는 액체(116)와 접촉한다. 이것은, 예를 들어 심지(도시되지 않음)가 액체 용기(122)의 단부벽(122b)의 관통 홀(through hole)(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삽입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단부벽(122b)은 액체가 액체 용기(122)로부터 통과할 수 있게 하는 다공성 부재일 수 있고, 심지(도시되지 않음)는 다공성 단부벽(122b)과 접촉할 수 있다. 단부벽(122b)은, 예를 들어 다공성 세라믹 디스크(porous ceramic disk)의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다공성 단부벽(122b)은 심지(도시되지 않음) 상으로의 액체의 유동을 조절하는 것을 돕는다. 심지(도시되지 않음)는 대체로 흡수성이며, 모세관 작용에 의해 액체 용기(122)로부터 액체(116)를 흡인하도록 작용한다(도 1에서 화살표들(A)로 도시됨). 심지는 바람직하게는 부직포이고, 예를 들어 면 또는 울(wool) 재료 등, 또는 예를 들어 폴리에스터(polyester), 나일론(nylon), 비스코스(viscos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등을 포함하는 합성 재료, 또는 세라믹 재료일 수 있다.
무화기(108)는 배터리 부분(116) 내의 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히터(110)에 전력이 공급될 수 있게 한다. 히터(110)에 전력이 공급될 때(그 자체로 알려진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사용자가 디바이스(100)의 버튼(도시되지 않음)을 작동시키는 것에 의해, 또는 전체 디바이스(100)의 퍼프 검출기(puff detector)(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개시될 수 있음), 액체(116)는 심지에 의해 액체 용기(122)로부터 흡인되고(도 1에서 화살표들(A)로 도시됨), 히터(110)에 의해 가열되어 액체를 휘발 또는 증발시켜서 증기 및 에어로졸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킨다.
사용자가 마우스피스(102) 상에서 흡인함에 따라, 공기는 공기 입구(118)를 통해 흡인된다. 액체(116)는 히터(110)에 의해 공기 입구(118)로부터 공기 중으로 휘발 또는 증발되고, 이에 의해 증기 및 에어로졸 중 하나의 유동을 생성한다. 증기 또는 에어로졸의 유동은 사용자에 의한 흡입을 위해, 액체 용기(122)의 채널(104)을 통해, 마우스피스(102)의 채널(132) 내로, 마우스피스(102) 내에 수용된 향미 요소(124)를 통해, 그리고 디바이스(100)로부터 외부로 흡인된다(도 1에서 화살표(B)로 도시됨). 증기 또는 에어로졸은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124)(예를 들어,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124)가 파괴된다면)로부터 향미(및/또는 다른 성분들)를 픽업(pick up)(비말 동반)한다. 이에 의해,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124)의 하나 이상의 성분들은 증기 및 에어로졸 중 적어도 하나의 유동과 혼합된다. 이에 의해,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124)가 니코틴을 보유하거나 포함하는 예들에서, 증기 또는 에어로졸은 또한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124)로부터 비말 동반된 니코틴을 보유할 수 있다. 일방향 밸브(one-way valve)(도시되지 않음)가, 예를 들어 액체 용기(122)의 상단부(122a)에 또는 그 근처에 제공될 수 있어, 증기 또는 에어로졸이 단지 채널(104)을 빠져나갈 수 있고, 히터(110) 또는 디바이스(100)의 전자기기(도시하지 않음)로 역류할 수 없다.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124)는 에어로졸 또는 증기에 향미(및/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성분들)를 부여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재료일 수 있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124)의 하나 이상의 성분들은 재료 자체에 내재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재료는, 예를 들어 담배로 이루어질 수 있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또는 증기가 담배를 통해 그리고 담배 위로 통과할 때, 에어로졸 또는 증기는 담배에 관능적 특성들을 부여하는 담배로부터의 유기 및 다른 화합물들 또는 성분들을 비말 동반하고, 그에 따라 에어로졸 또는 증기에 향미를 부여한다. 그러나, 담배 이외의 재료들이 에어로졸 또는 증기 유동에 상이한 향미들(및/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성분들)을 부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향미 요소(124)는 향미 요소(124)의 재료에 첨가된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니코틴이 액체(116) 내에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디바이스(100)가 사용자에게 니코틴을 제공하도록 의도되는 경우, 니코틴이 액체(116) 내에 제공될 수 있거나, 향미 요소(124)로부터 얻어질 수 있거나,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향료들(flavourings)이 향미 요소(124)(향미 요소(124)가 담배이거나 담배를 포함하든지 아니든지 간에) 및/또는 액체(116)에 첨가될 수 있다. 향미 요소(124)의 재료는 고체 재료일 수 있거나, 고체 재료들의 혼합물일 수 있으며, 각각의 고체 재료 중 하나 이상은 증기 또는 에어로졸의 유동과 혼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성분들을 포함한다. 향미 요소(124)는 그것을 통과하는 에어로졸 또는 증기에 비말 동반되지 않는 하나 이상의 다른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향미 요소(124)는 증기 또는 에어로졸의 유동 내에 임의의 향미를 부여하지 않고 그리고/또는 임의의 성분들을 방출하지 않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제, 에어로졸 제공 물품(예를 들어, 도 1의 디바이스(100))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다양한 리셉터클 섹션들이 설명될 것이다. 대체적인 개요에서, 다양한 리셉터클 섹션들은, 일단 파괴되면, 사용 시에 전체 에어로졸 제공 물품에 의해 발생된 증기 및 에어로졸 중 적어도 하나의 유동에 향미를 부여하기 위한 가향제를 방출하기 위한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배열된다. 예를 들어, 향미는 사용 시에 리셉터클 섹션 내에 설치된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를 통과하는 에어로졸 또는 증기 중 적어도 하나의 유동에 의해 부여될 수 있다. 다양한 리셉터클 섹션들 각각은, 사용자에 의한 리셉터클 섹션 내에의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의 설치 후에, 사용 시에 리셉터클 섹션 내에 설치된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를 파괴하도록 작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파괴 요소(breaking element)를 포함한다. 따라서, 다양한 리셉터클 섹션들은, 리셉터클 섹션이 그와 함께 사용되는 전체 에어로졸 제공 물품(예를 들어, 도 1의 디바이스(100)) 내에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가 설치된 후에, 사용자가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를 파괴시키는 편리한 방식을 제공한다. 이것은, 예를 들어 사용 동안에, 흡입을 위한 증기 또는 에어로졸에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의 향미에 의해 향미를 부가하지 않을 것인지(즉,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가 파괴되지 않은 상태에 있을 때), 또는 흡입을 위한 증기 또는 에어로졸에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의 향미에 의해 향미를 부가할 것인지(즉,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가 파괴(활성화)된 상태에 있을 때)를, 사용자가 신속하고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게 한다.
편의상,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에어로졸은 에어로졸, 증기, 또는 에어로졸과 증기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우선 도 2를 참조하면, 예시적인 리셉터클 섹션(202)을 포함하는 디바이스(200)의 일부의 사시도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예에서, 리셉터클 섹션(202)은 디바이스(200)의 마우스-단부 섹션(mouth-end section)(202)이며, 즉, 리셉터클 섹션(202)은 사용 시에 사용자의 입 내로의 수용을 위해 디바이스(200)의 단부를 향하여 위치된다. 일부 예들에서, 마우스-단부 섹션(202) 또는 그것의 적어도 일부분은 마우스피스(202)이다. 다른 예들에서, 리셉터클 섹션(202)은 전체 디바이스(200) 내의 상이한 위치(different location), 예를 들어 본체 및 마우스피스의 중간에 있을 수 있다. 간결화를 위해, 도 1을 참조하여 이미 설명된 특징들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 2의 특징들 및 그 기능은 도 1에서와 유사한 참조 번호들로 부여되지만 100만큼 증가되며, 다시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마우스-단부 섹션(202)은 형상이 대체로 원통형이다. 마우스-단부 섹션(202)은 연결 수단(228)을 통해 전체 디바이스(200)의 본체(206)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된다. 연결 수단(228)은 예를 들어 나사형 연결부 등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마우스-단부 섹션(202)은 본체(206)의 대응하는 암나사부에 연결 가능한 수나사부를 가질 수 있다. 마우스-단부 섹션(202)은 사용자의 입(도시되지 않음) 내로의 수용을 위한 제거 가능한 마우스 부분(removable mouth portion)(202a)을 포함한다. 마우스-단부 섹션(202)은 그 내부에 채널(232)을 규정한다. 채널(232)은 전체 디바이스(예를 들어, 도 1의 디바이스(100))의 에어로졸 유동 경로(204)와의 유체 연결을 위한 개구(도 2에 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사용자에 의한 흡입을 위한 에어로졸의 출구를 위한 마우스 부분(202a)의 개구(234)까지 연장된다. 파괴 가능한 향미 캡슐(226)을 포함하는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224)는 채널(232) 내에 수용된다.
마우스-단부 섹션은 파괴 요소(250)를 포함한다. 이러한 예에서, 단 하나의 파괴 요소(250)가 도 2에 도시되어 있지만, 하나 초과의 파괴 요소들, 예를 들어 임의의 수의 파괴 요소들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파괴 요소(250)는 제1 포지션(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음)과 제2 포지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제1 포지션은 사용자에 의한 마우스-단부 섹션(202) 내에의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224)의 설치를 허용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파괴 요소(250)가 제1 포지션에 있을 때(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음), 파괴 요소(250)는 채널(232) 내로 연장되지 않고, 따라서 채널(232)은, 예를 들어 마우스 부분(202a)의 개구(234)를 통한 채널 내에의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224)의 설치를 위해 열려 있다. 제2 포지션(도시되지 않음)은 사용 시에 마우스-단부 섹션(202) 내에 설치된 향미 요소(224)를 파괴하기 위한 것이다. 제1 포지션으로부터 제2 포지션으로의 파괴 요소(250)의 이동(화살표(C))은 사용 시에 마우스-단부 섹션(202) 내에 설치된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224)를 파괴시킨다.
구체적으로는, 파괴 요소(250)의 이동은 마우스-단부 섹션(202)의 종축(P-P)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축을 따르는 파괴 요소(250)의 이동을 포함한다. 이러한 예에서, 파괴 요소(250)는 세장형 로드(elongate rod)이다. 마우스-단부 섹션(202)은 마우스-단부 섹션(202)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마우스-단부 섹션(202)에 의해 규정된 채널(232)까지 연장되는 마우스-단부 섹션(202)의 측벽(230)의 개구(231)를 규정한다. 파괴 요소(250)는 측벽(230)의 개구(231) 내에 수용되고, 이에 의해 마우스-단부 섹션(202)의 측벽(230)을 통해 슬라이딩(sliding) 가능하게 장착된다. 파괴 요소(250)는 측벽(230)의 두께보다 길고, 따라서 제1 포지션(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음)에서, 개구(231) 외부로 채널(232)로부터 멀리 돌출한다. 파괴 요소(250)는 제1 포지션(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음)과 제2 포지션(도시되지 않음) 사이에서 슬라이딩(화살표(C))하도록, 즉 측벽(230)을 통해 채널(232) 내로 슬라이딩하도록 사용자에 의해 작동 가능하다. 제2 포지션에서, 파괴 요소(250)는 채널(232) 내로 연장되고, 이에 의해 사용 시에 채널(232) 내에 수용된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224)를 파괴시킨다. 파괴 요소(250)는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250)를 측방향으로 파괴시킨다.
파괴 요소(250)는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224)를 파괴하기 위해 일 단부(250a)에서 좁아진다. 파괴 요소(250)의 단부(250a)에서 좁아지는 것은 사용자에 의해 인가된 소정의 힘에 대해 파괴 요소(250)에 의해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224)에 가해지는 압력을 증가시킨다. 이것은 사용자가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224)를 파괴시킬 수 있는 용이성을 증대시킨다.
사용 시에, 예를 들어 마우스-단부 섹션(202)이 (예를 들어, 도 1에서 디바이스(100)에 대해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의 나머지부에 연결되는 경우, 사용자는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224)를 마우스-단부 섹션(202) 내에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얼마 후의 시간에, 사용자는 파괴 요소(250)를 작동시켜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224)를 파괴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마우스-단부 섹션(202) 상에서 흡인할 때, 공기는 공기 입구(도 1의 120)를 통해 흡인되고, 히터(도 1의 110)는 액체 용기(도 1의 122) 내에 유지된 액체(도 1의 116)를 유입 공기(inlet air) 내로 휘발시켜 에어로졸의 유동을 발생시킨다. 유동은 액체 용기(도 1의 122) 내의 채널(도 1의 104)을 통해, 마우스-단부 섹션(202)의 채널(232) 내로, (파괴된)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224)를 통해 통과하고, 사용자에 의한 흡입을 위해 마우스 부분(202a)의 출구(234)로부터 빠져나간다. 이에 의해, (파괴된)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224)를 통한 에어로졸의 유동은 유동 내의 파괴된 향미 요소(224)에 의해 방출된 성분들 중 하나 이상을 비말 동반한다. 이러한 사용 설명은 본원에 설명된 다른 예들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그래서 다시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이제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상이한 구성들의 예시적인 리셉터클 섹션(302)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300)의 다른 일부의 단면도들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3a 및 도 3b의 단면도들은 리셉터클 섹션(302)의 종축(P)에 수직한 평면에서 취해진다. 이러한 예에서, 리셉터클 섹션(302)은 또 다시 마우스-단부 섹션(302)이다. 간결화를 위해, 도 2를 참조하여 이미 설명된 특징들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 3의 특징들 및 그 기능은 도 2에서와 유사한 참조 번호들로 부여되지만 100만큼 증가되며, 다시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마우스-단부 섹션(302)은 도 2에 도시된 마우스-단부 섹션(202)과 유사하다. 파괴 가능한 향미 캡슐(326)을 포함하는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324)는 마우스-단부 섹션(302)의 채널(322) 내에 수용된다. 일 단부(350a)에서 좁아지는 제1 파괴 요소(350)는 마우스-단부 섹션(302)의 측벽(330)의 개구(331)를 통해 수용되고, 이에 의해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한 파괴 요소(250)에 대해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포지션과 제2 포지션 사이에서 작동 가능하다.
그러나,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마우스-단부 섹션(302)은 제2 파괴 요소(351)를 포함한다. 제2 파괴 요소(351)는 제1 파괴 요소(350)와 본질적으로 동일하다. 제2 파괴 요소(351)는 일 단부(351a)에서 좁아지는 세장형 로드이고, 마우스-단부 섹션(302)의 측벽(330)의 제2 개구(333)를 통해 수용되고, 이에 의해 마우스-단부 섹션(302)의 측벽(330)을 통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1 파괴 요소(350)와 유사하게, 제2 파괴 요소(351)는 파괴 요소(351)가 채널(332) 내로 연장되지 않는 제1 포지션(도 3a에서와 같음)과, 파괴 요소(351)가 채널(332) 내로 연장되는 제2 포지션(도 3b에서와 같음)에서 슬라이딩하도록 사용자에 의해 작동 가능하다.
이러한 예에서, 제1 파괴 요소(350) 및 제2 파괴 요소(351) 둘 모두는 단면이 화살표와 유사하다. 각각의 단부들(350a, 351a)은 메인 로드형 본체(main rod like body)(350b, 351b)의 단부 상에 화살표 헤드(arrow head)의 형태를 취한다. 따라서, 파괴 요소들(350, 351)은 각각의 단부들(350a, 351a)과 각각의 본체들(350b, 351b) 사이에, 폭에 있어서의 각각의 단차부(step)(350c, 351c)를 포함한다. 각각의 본체들(350b, 351b)은 각각의 개구들(331, 333)을 통해 수용된다. 각각의 단차부들(350c, 351c)에서의 각각의 단부들(350a, 351a)의 폭이 각각의 개구들(331, 333)의 폭보다 크므로, 각각의 파괴 요소들(350, 351)이 각각의 개구들(331, 333)을 통해 반경방향 외측으로 완전히 제거되는 것이 방지된다.
제2 개구(333) 및 제2 파괴 요소(351)는 제1 개구(331) 및 제1 파괴 요소(350)에 대해 채널(332)의 반대측 상에 위치된다. 제2 개구(333) 및 제2 파괴 요소(351)는 마우스-단부 섹션(302)의 종축(P-P)을 따라 제1 개구(331) 및 제1 파괴 요소(350)와 동일한 포지션에 위치된다. 이에 의해, 제1 파괴 요소(350) 및 제2 파괴 요소(351)는 마우스-단부 섹션(302)의 종축(P-P)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축을 따라 서로를 향해 슬라이딩하도록 사용자에 의해 작동 가능하다. 따라서, 마우스-단부 섹션(302)의 채널(332) 내에 수용된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324)는 제1 파괴 요소(350) 및 제2 파괴 요소(351) 각각의 좁은 단부들(350a, 351a) 사이에서 파괴될 수 있다. 2 개의 작동 가능한 파괴 요소들(350, 351)이 존재하므로, 그 사이에서 채널(332) 내의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224)를 파괴하기 위해 파괴 요소(350, 351) 당 필요한 힘이 감소된다. 2 개의 파괴 요소들(350, 351)이 대향하고 있으므로, 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의 엄지 및 검지를 각각 사용하여 파괴 요소들(350, 351)의 편리한 수동 작동이 허용된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마우스-단부 섹션(302)은 채널(332)의 대향 측부들 상에서 채널(332)의 일부분을 따라 각각 연장되는 제1 재형상화 요소(reshaping element)(370) 및 제2 재형상화 요소(371)를 포함한다. 재형상화 요소들(370, 371)은 마우스-단부 섹션(302)의 측벽(330)의 내부에 있다. 재형상화 요소들(370, 371)은 마우스-단부 섹션(302)의 종축(P-P)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제1 재형상화 요소(370)는 마우스-단부 섹션(302)의 핀(pin)(396)을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세장형 슬롯(elongate slot)(397)을 포함한다. 유사하게, 제2 재형상화 요소(371)는 마우스-단부 섹션(302)의 핀(396a)을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세장형 슬롯(397a)을 포함한다. 세장형 슬롯들(397, 397a)은 마우스-단부 섹션(302)의 종축(P-P)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고, 따라서 마우스-단부 섹션(302)의 종축(P-P)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마우스-단부 섹션(302)에 대한 각각의 재형상화 요소들(370, 371)의 슬라이딩 이동을 허용한다. 재형상화 요소들(370, 371)은 파괴 요소들(350, 351)에 대해 종축(P-P)을 중심으로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배향되어 있다. 따라서, 재형상화 요소들의 이동은 파괴 요소들(359, 351)이 이동 가능한 축에 실질적으로 직각인 축을 따른다.
재형상화 요소들(370, 371) 각각은 각자의 좁은 단부들(350a, 351a)에서 파괴 요소들(350, 351)과 접촉한다. 재형상화 요소들(370, 371)은, 파괴 요소(350, 351)와 접촉하기 위한 재형상화 요소(370, 371)의 표면이 파괴 요소(350, 351)의 좁은 단부(350a, 351a)에 의해 규정된 평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평면 내에 놓이도록 형상화된다. 파괴 요소들(350, 351)이 채널(332)을 향해 반경방향 내측으로 밀려져서, 예를 들어 내부에 수용된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324)를 파괴시킬 때, 따라서 각각의 좁은 단부들(350a, 351a)은 재형상화 요소들(370, 371)에 힘을 인가하여 재형상화 요소들(370, 371)이 채널(332)로부터 멀리 반경방향 외측으로 슬라이딩하게 한다.
마우스-단부 섹션(302)은 제1 재형상화 요소(370)를 측벽(330)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멀리 채널(332)을 향해 편향시키는 제1 편향 수단(biasing means)(399), 예를 들어 스프링(399)을 포함한다. 유사하게, 마우스-단부 섹션(302)은 제2 재형상화 요소(371)를 측벽(330)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멀리 채널(332)을 향해 편향시키는 제2 편향 수단(398), 예를 들어 스프링(398)을 포함한다. 따라서, 재형상화 요소들(370, 371)은 각각의 편향 수단(398, 399)의 힘하에서, 채널(332)을 향해 반경방향 내측으로 다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재형상화 요소들(370, 371)은 파괴 요소들(350, 351)에 대해 마우스-단부 섹션(302)의 종축(P-P)을 중심으로 직각으로 또는 거의 직각으로 배향된다. 파괴 요소(350)가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324)를 측방향으로 파괴(예를 들어, 파쇄)할 때,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324)는 파괴 축(breaking axis)(즉, 파괴 요소들(350, 351)이 슬라이딩하는 축)을 따라 폭이 감소하고, 파괴 축에 수직한 축을 따라 폭이 증가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재형상화 요소들(370, 371)이 파괴 요소들(350, 351)에 대해 직각으로 배향되는 것은, 재형상화 요소들(370, 371)이, 편향 수단들(399, 398)을 통해, 파괴 축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축을 따라 복귀력(returning force)(압착력(squeezing force))을 인가할 수 있게 한다. 이것은 파괴 축에 수직한 축을 따라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324)의 폭을 감소시키고, 파괴 축을 따라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324)의 폭을 증가시키며, 이에 의해 파괴되기 전의 원래의 형상을 향해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를 복귀시킨다.
이에 의해, 재형상화 요소들(370, 371)은, 사용 시에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324)의 파괴로 인한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324)의 변형 후에 채널(332) 내에 수용된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324)의 재형상화를 허용한다. 이러한 재형상화는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324)의 파괴로부터 생길 수 있는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324) 내의 압력 강하의 증가를 감소시킨다. 따라서, 재형상화는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324)가 파괴되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전체 디바이스(300)로부터의 에어로졸의 일관된 전달을 허용한다.
이제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순서를 참조하면, 도 3a에서,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는 채널(332) 내에 수용되고, 제1 파괴 요소(350) 및 제2 파쇄 요소(351)는 각각 제1 포지션에 있고, 즉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324)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다. 사용자는, 예를 들어, 디바이스(300)에 의해 생성된 에어로졸의 향미를 변화시키도록,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324)를 파괴하기를 원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 파괴 요소(350) 및 제2 파괴 요소(351)를 서로를 향해 반경방향 내측으로 밀 수 있고, 즉 제1 파괴 요소(350) 및 제2 파괴 요소(351)를 제2 포지션으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도 3b). 이에 의해,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324)는 제1 파괴 요소(350)와 제2 파쇄 요소(351) 사이에서 파괴(파쇄)되고, 파괴(예를 들어, 파쇄)되면, 향미를 방출하여 그것을 통과하는 에어로졸에 향미를 부가한다. 파괴(예를 들어, 파쇄)될 때,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324)는 파괴 축에 수직한 축을 따라 그의 폭이 증가하도록 변형된다. 제1 파괴 요소(350) 및 제2 파괴 요소(351)의 반경방향 내측으로의 이동은 재형상화 요소들(370, 371)이 파괴 축에 수직한 축을 따라 채널로부터 멀리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동하게 하고, 따라서 편향 수단들(398, 399)을 가압시킨다(도 3b). 다음에, 사용자는 파괴 요소들(350, 351)을 미는 것을 중지할 수 있다. 편향 수단들(398, 399)은 재형상화 요소들(370, 371)이 원래의 포지션들로 반경방향 내측으로 복귀하게 하고, 그렇게 하여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324)를 원래 형태로 재형상화하게 한다. 재형상화 요소들(370, 371)의 반경방향 내측으로의 이동은 파괴 요소들이 제1 포지션으로 반경방향 외측으로 슬라이딩하게 한다(도 3a).
본원에서의 다른 예시적인 리셉터클 섹션들의 설명은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의 '재형상화 요소들' 또는 '재형상화'를 명시적으로 지칭하지는 않지만, 이러한 특징은 다른 예들에 동등하게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 쉽게 이해될 것이다.
이제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상이한 구성들의 다른 예시적인 리셉터클 섹션(402)을 갖는 에어로졸 제공 물품(400)의 일부의 단면도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예에서, 리셉터클 섹션(402)은 또 다시 마우스-단부 섹션(402)이다. 간결화를 위해,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이미 설명된 특징들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 4의 특징들 및 그 기능은 도 3에서와 유사한 참조 번호들로 부여되지만 100만큼 증가되며, 다시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마우스-단부 섹션(202)에서와 같이, 도 4a 내지 도 4d에 도시된 마우스-단부 섹션(402)은 파괴 가능한 향미 캡슐(426)을 포함하는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424)가 내부에 설치된 채널(432)을 규정한다. 마우스-단부 섹션(402)은 전체 디바이스(400)에 의해 생성된 에어로졸의 흡입을 위한 출구(434)를 규정하는 제거 가능한 마우스 부분(202a)을 포함한다. 마우스 부분(402a)이 제거될 때, 채널의 개구(444)가 노출되어, 내부에의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424)의 설치를 허용한다. 마우스-단부 섹션(402)은 마우스-단부 섹션(402)을 전체 디바이스(400)의 본체(406)에 해제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연결 수단(428)을 포함한다. 마우스-단부 섹션(402)은 채널(432) 내에의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424)의 설치를 허용하는 제1 포지션(도 4a 참조)과, 채널(432) 내에 설치된 상기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424)를 파괴시키기 위한 제2 포지션(도 4b 참조) 사이에서 마우스-단부 섹션(402)의 종축(P-P)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축을 따라 이동 가능한 파괴 요소(450)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예에서, 파괴 요소(450)는 마우스-단부 섹션(402)의 채널(432)의 일부분을 따라 연장되는, 즉 마우스-단부 섹션(402)의 종축(P-P)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채널(432)을 따라 연장되는 탄성 부재(450)를 포함한다. 탄성 부재(450)는 제1 포지션(도 4a 참조)과 제2 포지션(도 4b 참조) 사이에서 구부러지거나 굴곡되도록 사용자에 의해 작동 가능하다. 제1 포지션(도 4a)에서, 탄성 부재(450)는 채널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놓이고, 이에 의해 내부에의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424)의 삽입을 허용한다. 제2 포지션(도 4b 참조)에서, 탄성 부재(450)의 부분(450a)은 채널(432) 내로 돌출하고, 이에 의해 채널(432) 내에 수용된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424)를 파괴(예를 들어, 파쇄)시킨다.
이러한 예에서, 탄성 부재(450)는 채널(432)을 규정하는 마우스-단부 섹션(402)의 측벽(430)의 일부를 형성한다. 탄성 부재(450)의 일 단부(453)는 측벽(430)에 대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탄성 부재(450)의 단부(453)는 채널(432) 내로 측벽(430)의 나머지부에 대해 구부러질 수 있고, 이에 의해 채널(432) 내에 수용된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424)를 파괴시킬 수 있다.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424)는 지지 부재(456)에 의해 채널(432) 내에 지지된다.
탄성 부재(450)는,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탄성 부재(450)의 단부(453)에서, 탄성 부재(450)로부터 채널(432)을 향해 돌출하는 내향 돌출 부분(inward protruding portion)(450a)을 포함한다. 내향 돌출 부분(450a)은, 채널(432) 내에 수용된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424)와 접촉하고, 이에 의해 탄성 부재(450)가 제2 포지션으로 구부러질 때 채널(432) 내에 수용된 상기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424)를 파괴시키기 위한 것이다. 내향 돌출 부분(450a)은 탄성 부재(450)가 사용자에 의해 탄성 부재(450)에 가해지는 소정의 측방향 힘에 대해 제2 포지션으로 구부러질 때 파괴 향미 요소(424)에 가해지는 압력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내향 돌출 부분(450a)은 사용자가 채널(432) 내에 수용된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424)를 파괴시킬 수 있는 용이성을 증대시킨다. 이러한 '내향 돌출 부분' 특징은 본원에 설명된 모든 예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는 않지만, 이러한 특징은 다른 예들에 동등하게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마우스-단부 섹션(402)은 마우스-단부 섹션(402)의 채널(432)의 일부분을 따라 연장되는, 즉 마우스-단부 섹션(402)의 종축(P-P)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채널(432)을 따라 연장되는 반동 요소(reacting element)(458)를 포함한다. 반동 요소(458)는 탄성 부재(450)에 대해 채널(432)의 반대측 상에 포지셔닝되고,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작동될 때 탄성 부재(450)에 의해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426)에 가해지는 힘에 반작용한다. 따라서,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426)는 사용자에 의해 작동 가능한 탄성 부재(450)와 반동 요소(458) 사이에서 파괴(예를 들어, 파쇄)된다. 탄성 부재(450)와 유사하게, 반동 요소(458)는 채널(432) 내로 돌출하고 탄성 부재(450)의 내향 돌출 부분(450a)에 대향하는 내향 돌출 부분(458a)을 포함한다. 이것은 탄성 부재(450)가 사용자에 의해 작동될 때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424)에 가해지는 압력을 (더욱) 증가시키고, 따라서 사용자가 채널(432) 내에 수용된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424)를 파괴시킬 수 있는 용이성을 (더욱) 증대시킨다.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순서를 참조하면, 도 4a에서, 마우스 부분(402a)은 마우스-단부 섹션(402)으로부터 제거되고, 이에 의해 채널(432)에 대한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424)의 삽입, 제거 또는 교체를 허용한다. 사용자는 마우스 부분(402a)을 마우스-단부 섹션(402) 내로 교체할 수 있다. 도 4a에서,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424)는 채널(432) 내에 수용되고, 탄성 부재(450)는 제1 포지션에 있고, 즉 마우스-단부 섹션(402)의 종축(P-P)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다(구부러지지 않음). 얼마 후의 단계에서, 사용자는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를 파괴(활성화)시켜 디바이스(400)로부터 흡입된 에어로졸에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에 의해 향미가 부가되게 하기를 원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탄성 부재(450)에 대해 측방향으로(즉, 마우스-단부 섹션(402)의 종축(P-P)에 수직한 방향으로) 밀 수 있다(화살표(I)). 이것은 탄성 부재(450)가 구부러지게 하여, 내향 돌출 부분(450a)이 채널(432) 내로 돌출하고, 탄성 부재의 내향 돌출 부분(450a)과 반동 요소(458)의 내향 돌출 부분(458a) 사이에서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424)를 파괴(활성화)시키고, 이에 의해 파괴 가능한 향미 캡슐(426)로부터 향미를 방출시킨다. 이제, 탄성 부재(450)는 제2 포지션에 있다(도 4b 참조). 사용자가 탄성 부재(450)를 미는 것을 중지하는 경우, 그 탄성력(자연적인 탄력성(natural springiness))으로 인해, 탄성 부재(450)는 제1 포지션으로 복귀하고, 즉 마우스-단부 섹션(402)의 종축(P-P)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도록(구부러지지 않음) 복귀한다.
이제 도 5a 내지 도 5d를 참조하면, 상이한 구성들의 다른 예시적인 리셉터클 섹션(502)을 갖는 에어로졸 제공 물품(500)의 일부의 단면도들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예에서, 리셉터클 섹션은 또 다시 마우스-단부 섹션(502)이다. 간결화를 위해,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이미 설명된 특징들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 5a 내지 도 5d의 특징들 및 그 기능은 도 4a 내지 도 4d와 유사한 참조 번호들로 부여되지만 100만큼 증가되며, 다시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도 5a 내지 도 5d에 도시된 마우스-단부 섹션(502)은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마우스-단부 섹션(402)과 유사하다. 파괴 가능한 향미 캡슐(526)을 포함하는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524)는 마우스-단부 섹션(502)의 채널(532) 내에 수용된다. 제1 탄성 부재(550)는 마우스-단부 섹션(502)의 종축에 평행한 축을 따라 구부러질 수 있고, 이에 의해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탄성 부재(450)에 대해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포지션과 제2 포지션 사이에서 작동 가능하다.
그러나, 도 5a 내지 도 5d에 도시된 마우스-단부 섹션(502)은 제2 탄성 부재(551)를 포함한다. 제2 탄성 부재(551)는 전술한 제1 탄성 부재(550)와 본질적으로 동일하고, 그래서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제1 탄성 부재(550)와 유사하게, 제2 탄성 부재(551)는 탄성 부재(551)가 채널(532) 내로 연장되지 않는 제1 포지션(도 5b에서와 같음)과 탄성 부재(551)가 채널(532) 내로 연장되는 제2 포지션(도 5c에서와 같음) 사이에서 구부러지도록 사용자에 의해 작동 가능하다.
제2 탄성 부재(551)는 제1 탄성 부재(550)에 대해 채널(532)의 반대측 상에 위치된다. 제2 탄성 부재(551)는 마우스-단부 섹션(502)의 종축(P-P)을 따라 제1 탄성 부재(550)와 동일한 포지션에 위치된다. 이에 의해, 제1 탄성 부재(550) 및 제2 탄성 부재(551)는 서로를 향해 구부러지도록 사용자에 의해 작동 가능하다. 따라서, 마우스-단부 섹션(502)의 채널(532) 내에 수용된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524)는 제1 탄성 부재(550)와 제2 탄성 부재(551) 사이에서 파괴(예를 들어, 파쇄)될 수 있다. 2 개의 작동 가능한 탄성 부재(550, 551)가 존재하므로, 그 사이에서 채널(532) 내의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524)를 파괴(예를 들어, 파쇄)하기 위해 탄성 부재(550, 551) 당 필요한 힘이 감소된다. 2 개의 탄성 요소들(550, 551)이 대향하고 있으므로, 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의 엄지 및 검지를 각각 사용하여 탄성 부재(550, 551)의 편리한 수동 작동이 허용된다.
마우스-단부 섹션(502)은 탄성 외부 부분(553)을 포함한다. 탄성 외부 부분(553)은 형상이 대체로 환형이고, 측벽(530), 및 마우스-단부 섹션(502)의 탄성 부재(550, 551)를 둘러싸고 있다. 탄성 외부 부분(553)은, 탄성 부재들(550, 551)과 유사하게, 마우스-단부 섹션(502)의 종축(P-P)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탄성적이다. 탄성 외부 부분(553)은, 채널(532) 내에 수용된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524)를 파괴(활성화)시킬 때 탄성 부재들(550, 551)을 구부리도록 마우스-단부 섹션(502) 상을 측방향으로 압착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파지(grip)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그 외부 표면 상에 리브(ribbing)를 포함한다. 탄성 외부 부분(553)은 탄성 부재들(550, 551)에 연결(예를 들어, 고정식으로 연결)되어 탄성 부재들(550, 551)을 제1 포지션으로 편향시킨다. 탄성 외부 부분(553)은 도 3과 관련하여 전술한 재형상화 요소들(370, 371)과 유사한 기능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며, 이러한 기능은 다시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탄성 외부 부분(553)은 파괴 축에 수직한 축을 따라 재형상화 힘(reshaping force)을 가함으로써 파괴 후의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를 재형상화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는 것만 해도 충분하다.
도 5a 내지 도 5d에 도시된 순서를 참조하면, 도 5a에서, 마우스 부분(502a)은 마우스-단부 섹션(502)으로부터 제거되고, 이에 의해 마우스 부분(502a)의 수용 부분(580) 내로의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524)의 삽입(화살표(J))을 허용한다. 사용자는 마우스-단부 섹션(502)의 채널(532) 내로 마우스 부분(502a)을 밀어넣고(화살표(K)), 이에 의해 채널(532) 내로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524)를 설치할 수 있다. 도 5b에서,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524)는 채널(532) 내에 수용되고, 탄성 부재(551, 553)는 제1 포지션에 있고, 즉 마우스-단부 섹션(502)의 종축(P-P)에 대해 평행하다(구부러지지 않음). 얼마 후의 단계에서, 사용자는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524)를 파괴(활성화)시켜 디바이스(500)로부터 흡입된 에어로졸에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에 의해 향미가 부가되게 하기를 원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탄성 외부 부분(553)을 통해, 탄성 부재들(550, 551)에 대해 측방향으로(즉, 마우스-단부 섹션(502)의 종축(P-P)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밀 수 있다(화살표들(L)). 이것은 탄성 부재들(550, 551)이 서로를 향해 내측으로 구부러져서, 채널(532) 내로 돌출하고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524)를 파괴시키게 하고, 이에 의해 파괴 가능한 향미 캡슐(526)로부터 향미를 방출시킨다. 이제, 탄성 부재(550)는 제2 포지션에 있다(도 5c 참조). 사용자가 탄성 부재들(550, 551)을 미는 것을 중지하는 경우, 탄성 부재들(550, 551)의 탄성력(자연적인 탄력성)으로 인해(또는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탄성 부재들(550, 551)이 연결된 탄성 외부 부분(553)의 탄성력으로 인해), 탄성 부재들(550, 551)은 각자의 제1 포지션들로 복귀하고, 즉 마우스-단부 섹션(502)의 종축(P-P)에 대해 평행하도록(구부러지지 않음) 복귀한다(도 5d).
이제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면, 상이한 구성들의 다른 예시적인 리셉터클 섹션(602)을 갖는 에어로졸 제공 물품(600)의 일부의 단면도들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예에서, 리셉터클 섹션은 또 다시 마우스-단부 섹션(602)이다. 간결화를 위해, 도 5a 내지 도 5d를 참조하여 이미 설명된 특징들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 6의 특징들 및 그 기능은 도 5에서와 유사한 참조 번호들로 부여되지만 100만큼 증가되며, 다시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도 6a 내지 도 6d의 마우스-단부 섹션(602)은 도 5a 내지 도 5d에 도시된 마우스-단부 섹션(502)과 유사하다. 마우스-단부 섹션(602)은 파괴 가능한 향미 캡슐(626)을 포함하는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624)가 내부에 수용된 채널(632)의 대향 측부들 상에 탄성 부재들(650, 651)을 포함한다. 탄성 부재들(650, 651)은 도 5a 내지 도 5d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포지션으로부터 제2 포지션까지 채널(632) 내로 작동 가능하게 구부러질 수 있고, 이에 의해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624)를 파괴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예에서, 탄성 부재들(650, 651) 각각은 내부에 수용된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624)를 파괴시키기 위해 채널(632)을 향해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각각의 내향 돌출 부분(650a, 651a)을 포함한다.
이러한 예에서, 탄성 부재들(650, 651)은 사용자의 입 내로의 수용을 위한 마우스 부분(602a) 내에 수용된다. 마우스 부분(602a)은 사용자가 채널(632)을 통해 디바이스(600)로부터 에어로졸을 흡입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개구(634)를 규정한다. 마우스 부분(602a)은 마우스-단부 섹션(602)으로부터 제거 가능하고, 이에 의해 탄성 부재들(650, 651)을 노출시켜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624)가 그 사이에 수용될 수 있게 한다. 마우스 부분(602a)은 가요성 끈(flexible leash)(657)에 의해 마우스-단부 섹션(602)에 연결된다(묶이고, 매어짐). 이러한 끈(657)은 마우스 부분(602a)이 마우스-단부 섹션(602)으로부터 제거될 때 잘못 두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돕는다.
마우스 부분(602a)의 측벽(642)은 탄성 부분(642a)을 포함한다. 탄성 부분(642a)은 형상이 대체로 환형이고, 탄성 부재들(650, 651)이 마우스 부분(602a) 내에 수용되도록 마우스 부분(602a)이 마우스-단부 섹션(602)에 연결될 때, 탄성 부분은 탄성 부재들(650, 651)을 둘러싼다. 탄성 부재들(650, 651)과 유사하게, 탄성 부분(642a)은 마우스-단부 섹션(602)의 종축(P-P)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탄성적이다.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된 순서를 참조하면, 도 6a에서, 마우스 부분(602a)은 마우스-단부 섹션(602)으로부터 제거되고, 이에 의해 탄성 부재들(650, 651) 사이에서 채널(632) 내로의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624)의 삽입(화살표(Q))을 허용한다. 사용자는 마우스 부분(602a)을 탄성 부재들(650, 651) 위로 조작하여(화살표(R)) 마우스 부분(602a)을 마우스-단부 섹션(602)에 연결하고, 이에 의해 마우스-단부 섹션(602) 내로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624)를 설치할 수 있다(도 6a 참조). 얼마 후의 단계에서, 사용자는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624)를 파괴(활성화)시켜 디바이스(600)로부터 흡입된 에어로졸에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에 의해 향미가 부가되게 하기를 원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마우스 부분(602a)의 탄성 부분(642a)을 통해, 탄성 부재들(650, 651)에 대해 측방향으로(즉, 마우스-단부 섹션(602)의 종축(P-P)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밀(압착할) 수 있다(화살표들(S)). 이것은 탄성 부재들(650, 651)이 서로를 향해 내측으로 구부러져서, 채널(632) 내로 돌출하고 각각의 내향 돌출 부분들(650a, 651a)을 통해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624)를 파괴시키게 하고, 이에 의해 파괴 가능한 향미 캡슐(626)로부터 향미를 방출시킨다. 이제, 탄성 부재들(650, 651)은 제2 포지션에 있다(도 6b 참조). 사용자가 탄성 부재들(650, 651)을 미는 것을 중지하는 경우, 탄성 부재들(650, 651)의 탄성력(자연적인 탄력성)으로 인해, 탄성 부재들(650, 651)은 각자의 제1 포지션들로 복귀하고, 즉 마우스-단부 섹션(602)의 종축(P-P)에 대해 평행하도록(구부러지지 않음) 복귀한다(도 6c).
이제 도 7a 내지 도 7d를 참조하면, 상이한 구성들의 다른 예시적인 리셉터클 섹션(702)을 갖는 에어로졸 제공 물품(700)의 일부의 단면도들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예에서, 리셉터클 섹션은 또 다시 마우스-단부 섹션(702)이다. 간결화를 위해,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여 이미 설명된 특징들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 7의 특징들 및 그 기능은 도 6에서와 유사한 참조 번호들로 부여되지만 100만큼 증가되며, 다시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도 7a 내지 도 7d의 마우스-단부 섹션(702)은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된 마우스-단부 섹션(602)과 유사하다. 마우스-단부 섹션(702)은 파괴 가능한 향미 캡슐(726)을 포함하는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724)가 내부에 수용된 채널(732)의 대향 측부들 상에 탄성 부재들(750, 751)을 포함한다. 탄성 부재들(750, 751)은 도 6a 내지 도 6c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포지션으로부터 제2 포지션까지 채널(732) 내로 작동 가능하게 구부러질 수 있고, 이에 의해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724)를 파괴시킨다.
그러나,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여 설명된 탄성 부재들(650, 651)과 달리, 탄성 부재들(750, 751)은 사용자가 탄성 부재들(750, 751)에 측방향 압착력을 인가하는 것에 의해 측방향으로 함께 구부러지지 않고, 마우스-단부 섹션(702)의 종축(P-P)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작동 요소(operation element)(759)의 슬라이딩에 의해 함께 구부러진다.
구체적으로는, 마우스-단부 섹션(702)의 마우스 부분(702a)은, 마우스-단부 섹션(702) 내에 설치될 때, 탄성 부재들(750, 751) 및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724)가 수납되는 하우징(702a)이다. 작동 요소(759)는 마우스 부분(702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고, 이에 의해 마우스-단부 섹션(702)의 종축(P-P)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마우스 부분(702a)에 대한 작동 요소(759)의 슬라이딩 이동을 허용한다. 이러한 예에서, 작동 요소(759)는 형상이 대체로 환형이고, 칼라(collar)(759)로서 마우스 부분의 원주부 주위에 배열된다.
탄성 부재들(750, 751) 각각은 외향 돌출 부분(outward protruding portion)(750b, 751b)을 포함한다. 외향 돌출 부분(750b, 751b)은, 각각의 탄성 부재(750, 751)로부터 외부로 채널(732)로부터 멀리 돌출하여, 마우스-단부 섹션(702)의 작동 요소(759)와 접촉하기 위한 것이다.
작동 요소(759)는 제1 작동 요소 포지션(도 7b 참조)과 제2 작동 요소 포지션(도 7c 참조) 사이에서 슬라이딩하도록 사용자에 의해 작동 가능하다. 제1 작동 요소 포지션(도 7b)에서, 작동 요소(759)는 탄성 부재(750, 751)의 외향 돌출 부분(750b, 751b)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멀리(즉, 축방향으로 떨어져서) 포지셔닝된다. 이러한 포지션에서, 작동 요소(759)는 탄성 부재(750, 751) 상에 임의의 반경방향의 내향력(inward force)을 인가하지 않고, 탄성 부재(750, 751)는 제1 포지션에 유지된다. 제2 작동 요소 포지션(도 7c)에서, 작동 요소(759)는 상대적으로 탄성 부재(750, 751)의 외향 돌출 부분(750b, 751b)을 향해(즉, 축방향으로 근접하여) 포지셔닝된다. 이러한 포지션에서, 작동 요소(759)는 외향 돌출 부분(750b, 751b) 및 그에 따라 탄성 부재(750, 751)를 채널(732)을 향해 반경방향 내측으로, 즉 제2 포지션으로 변위시킨다. 이에 의해, 제1 작동 요소 포지션(도 7b)으로부터 제2 작동 요소 포지션(도 7c)으로 마우스-단부 섹션(702)의 종축(P-P)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마우스 부분(702a)에 대한 작동 요소(759)의 슬라이딩은, 제1 포지션으로부터 제2 포지션으로의 탄성 부재(750)의 구부러짐을 유발하고, 이에 의해 채널(732) 내에 수용된 상기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724)를 파괴시킨다.
작동 요소(759)는 작동 요소(759)로부터 탄성 부재(750, 751)를 향해 돌출하는 내향 돌출 부분(759a)을 포함한다. 작동 요소(759)가 제2 작동 요소 포지션에 있을 때(도 7b), 작동 요소(759)의 내향 돌출 부분(759a)은 탄성 부재(750, 751)의 외향 돌출 부분(750b, 751b)과 종방향(축방향)으로 정렬된다. 이에 의해, 작동 요소(759)의 내향 돌출 부분(759a)은 채널(732) 내로의 탄성 부재들(750, 751)의 변위(구부러짐)를 증가시키고, 이에 의해 채널(732) 내에 수용된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724)의 효율적인 파괴를 제공한다.
작동 요소(759)는 제2 작동 요소 포지션을 넘어서 제3 작동 요소 포지션(도 7d 참조)까지 슬라이딩 가능하다. 제3 작동 요소 포지션에서, 작동 요소(759)의 내향 돌출 부분(759a)은 탄성 부재(750, 751)의 외향 돌출 부분(750b, 751b)을 넘어서 슬라이딩되고, 따라서 그와 종방향(축방향)으로 오정렬된다. 이러한 포지션에서, 제1 작동 요소 포지션과 같이, 작동 요소(759)는 탄성 부재(750, 751)에 임의의 반경방향의 내향력을 인가하지 않고, 탄성 부재(750, 751)는 그 탄성력(자연적인 탄력성)에 의해서 제1 포지션으로 다시 복귀한다. 이러한 예에서, 제3 작동 요소 포지션의 작동 요소(759)는 마우스 부분(702a)의 갭(gap)(754)을 폐쇄하고, 이에 의해 마우스-단부 섹션(702)을 통해 전체 디바이스(700)의 본체(706)로부터 마우스 부분(702a)의 출구(734)로의 유동 경로를 밀봉한다.
도 7a 내지 도 7d에 도시된 순서를 참조하면, 도 7a에서, 마우스 부분(702a)은 마우스-단부 섹션(702)으로부터 제거되고, 이에 의해 탄성 부재들(750, 751) 사이에의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724)의 삽입을 허용한다. 사용자는 마우스 부분(702a)을 마우스-단부 섹션(702)에 부착하고, 이에 의해 마우스 부분(702a) 내에 탄성 부재(750, 751) 및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724)를 수납할 수 있다(도 7b 참조). 도 7b에서, 작동 요소(759)는 제1 작동 요소 포지션에 있고, 따라서 탄성 부재들(751, 750)은 제1 포지션에 있고, 즉 마우스-단부 섹션(702)의 종축(P-P)에 대해 평행하다(구부러지지 않음). 얼마 후의 단계에서, 사용자는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724)를 파괴(활성화)시켜 디바이스(700)로부터 흡입된 에어로졸에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에 의해 향미가 부가되게 하기를 원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마우스-단부 섹션(702)의 종축(P-P)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디바이스(700)의 본체(706)를 향해 마우스-단부 섹션(702)에 대해 작동 요소(759)를 밀거나, 당기거나, 다른 방식으로 조작할 수 있다. 이것은 작동 요소(759)의 내향 돌출 부분들(759a)이 탄성 부재들의 외향 돌출 부분(750b, 751b)에 대해 밀게 한다. 이렇게 미는 것은 반경방향 내향력을 초래하고, 이 반경방향 내향력은 탄성 부재들(750, 751)이 서로를 향해 내측으로 구부러져서, 채널(732) 내로 돌출하고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724)를 파괴시키게 하고, 이에 의해 파괴 가능한 향미 캡슐(726)로부터 향미를 방출시킨다(도 7c 참조). 작동 요소(759)는 이제 제2 작동 요소 포지션에 있고, 탄성 부재들(750, 751)은 이제 제2 포지션에 있다(도 7c 참조). 사용자는, 작동 요소(759)가 제3 작동 요소 포지션에 있을 때까지(도 7d), 마우스-단부 섹션(702)의 종축(P-P)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디바이스(700)의 본체(706)를 향해 마우스-단부 섹션(702)에 대해 작동 요소(759)를 계속해서 추가로 밀거나, 당기거나, 다른 방식으로 조작할 수 있다. 따라서, 탄성 부재들(750, 751)은 작동 요소(759)에 의해 더 이상 변위되지 않는다. 탄성 부재들(750, 751)의 탄성력(자연적인 탄력성)으로 인해, 탄성 부재들(750, 751)은 각자의 제1 포지션들로 복귀하고, 즉 마우스-단부 섹션(702)의 종축(P-P)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도록(구부러지지 않음) 복귀한다(도 7d).
이제 도 8a 내지 도 8e를 참조하면, 상이한 구성들의 다른 리셉터클 섹션(802)을 갖는 에어로졸 제공 물품(800)의 일부의 단면도들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8c 및 도 8e의 단면도들은 각각 도 8b 및 도 8c의 단면도들에 대응하지만, 도 8c 및 도 8e의 단면도들은 도 8b 및 도 8c에 각각 제시된 평면에 수직한 평면에서 취해진 것이다. 이러한 예에서, 리셉터클 섹션(802)은 또 다시 마우스-단부 섹션(802)이다. 간결화를 위해, 도 7a 내지 도 7d를 참조하여 이미 설명된 특징들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 8의 특징들 및 그 기능은 도 7a 내지 도 7d와 유사한 참조 번호들로 부여되지만 100만큼 증가되며, 다시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도 8a 내지 도 8e의 마우스-단부 섹션(802)은 도 7a 내지 도 7d에 도시된 마우스-단부 섹션(702)과 유사하다. 마우스-단부 섹션(702)은 파괴 가능한 향미 캡슐(826)을 포함하는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824)가 내부에 수용된 채널(832)의 대향 측부들 상에 탄성 부재들(850, 851)을 포함한다. 탄성 부재들(850, 851)은 도 8a 내지 도 8d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포지션으로부터 제2 포지션으로 채널(832) 내로 작동 요소(890)에 의해 작동 가능하게 구부러질 수 있고, 이에 의해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824)를 파괴시킨다. 탄성 부재들(850, 851) 각각은 작동 요소(890)와 접촉하기 위해 각각의 탄성 부재들(850, 851)로부터 외부로 채널(832)로부터 멀리 돌출하는 외향 돌출 부분(850b, 851b)을 포함한다.
그러나, 도 7a 내지 도 7d를 참조하여 설명된 탄성 부재들(750, 751)과 달리, 탄성 부재들(850, 851)은 마우스-단부 섹션(702)의 종축(P-P)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작동 요소(759)의 슬라이딩에 의해 측방향으로 함께 구부러지지 않고, 마우스-단부 섹션(802)의 종축(P-P)을 중심으로 한 작동 요소(890)의 회전에 의해 측방향으로 함께 구부러진다.
구체적으로는, 마우스-단부 섹션(802)의 마우스 부분(802a)은, 마우스-단부 섹션(802) 내에 설치될 때, 탄성 부재들(850, 851) 및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824)가 수납되는 하우징(802a)이다. 작동 요소(890)는 마우스 부분(802a)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이에 의해 마우스-단부 섹션의 종축(P-P)을 중심으로 한, 마우스 부분(802a)에 대한 작동 요소(890)의 회전을 허용한다. 이러한 예에서, 작동 요소(890)는 형상이 대체로 환형이고, 칼라(890)로서 마우스 부분의 원주부 주위에 배열된다.
작동 요소(890)는 제1 내부 반경방향 치수(D1) 및 보다 작은 제2 내부 반경방향 치수(D2)를 규정한다(도 8c 및 도 8e에서 가장 잘 도시됨). 작동 요소(890)는 제1 작동 요소 배향(도 8b 및 도 8c 참조)과 제2 작동 요소 배향(도 8d 및 도 8e 참조) 사이에서 마우스-단부 섹션(802)의 종축(P-P)을 중심으로 마우스 부분(802a)에 대해 회전하도록 사용자에 의해 작동 가능하다. 제1 작동 요소 배향(도 8b 및 도 8c)에서, 제1 내부 반경방향 치수(D1)는 탄성 부재(850, 851)와 회전식으로 정렬된다. 이러한 배향에서, 탄성 부재들(850, 851)은 작동 요소의 보다 큰 내부 반경방향 치수(D1)를 경험한다. 내부 반경방향 치수는, 마우스-단부 섹션(802)의 종축(P-P)에 실질적으로 평행할 때, 각각의 탄성 부재들(850, 851)의 외향 돌출 부분들(850b, 851b) 사이의 거리보다 크며, 그래서 작동 요소(890)는 탄성 부재들(850, 851)을 변위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탄성 부재들(850, 851)은 제1 포지션에 유지된다. 제2 작동 요소 배향(도 8d 및 도 8e)에서, 제2 내부 반경방향 치수(D2)는 탄성 부재(850, 851)와 회전식으로 정렬된다. 이러한 배향에서, 탄성 부재들(850, 851)은 작동 요소(890)의 보다 작은 내부 반경방향 치수(D2)를 경험한다. 제2 내부 반경방향 치수(D2)는, 마우스-단부 섹션(802)의 종축(P-P)에 실질적으로 평행할 때, 탄성 부재들(850, 851)의 외향 돌출 부분들(850b, 851b) 사이의 거리보다 작으며, 그래서 작동 요소(890)는 탄성 부재들(850, 851)을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824)를 향해 내측으로 변위시킨다. 따라서, 탄성 부재들(850, 851)은 제2 포지션으로 강제되고, 탄성 부재들(850, 851)의 내향 돌출 부분들(850a, 851a)은 그 사이에 수용된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824)와 접촉하여 파괴시킨다. 이에 의해, 제1 작동 요소 배향(도 8b 및 도 8c)으로부터 제2 작동 요소 배향(도 8d 및 도 8e)으로 마우스-단부 섹션(802)의 종축(P-P)을 중심으로 한, 마우스 부분(802a)에 대한 작동 요소(890)의 회전은 제1 포지션으로부터 제2 포지션으로의 탄성 부재들(850, 851)의 구부러짐을 유발하고, 이에 의해 채널(832) 내에 수용된 상기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824)를 파괴시킨다.
제1 반경방향 치수(D1)는 제2 반경방향 치수(D2)에 대해 마우스-단부 섹션(802)의 종축(P-P)을 중심으로 직각으로 배향된다. 이러한 경우, 제1 작동 요소 배향으로부터 제2 작동 요소 배향으로 변화시키기 위해, 사용자는 작동 요소(890)를 마우스-단부 섹션(802)의 종축(P-P)을 중심으로 1/4 회전(즉, 90°만큼) 회전시킨다.
도 8c 및 도 8e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요소(890)의 내부 반경방향 치수는 제1 내부 반경방향 치수(D1)로부터 제2 내부 반경방향 치수(D2)까지 점진적으로 변화한다. 즉, 작동 요소(890)의 내부 반경방향 치수에 있어서는, 단계적 변화가 아니라, 오히려 작동 요소(890)의 원주부 주위의 연속 지점들에서 작은 치수로부터 큰 치수로의 점진적인(부드러운) 증가가 있다. 이러한 점진적인 증가(또는 '기어링(gearing)')는 종축(P-P)을 중심으로 한 작동 요소(890)의 소정의 회전 정도에 대해 탄성 부재들(850, 851)이 구부러지는 정도의 감소를 제공한다. 이러한 '기어링'은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824)를 파괴하기 위해 작동 요소(890)에 가해질 필요가 있는 토크를 감소시킬 수 있고, 따라서 전체 디바이스(800) 내에 설치된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824)의 용이하고 편리한 파괴를 제공한다.
도 8a 내지 도 8e에 도시된 순서를 참조하면, 도 8a에서, 마우스 부분(802a)은 마우스-단부 섹션(802)으로부터 제거되고, 이에 의해 탄성 부재들(850, 851) 사이에의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824)의 삽입을 허용한다. 사용자는 마우스 부분(802a)을 마우스-단부 섹션(802)에 부착하고, 이에 의해 마우스 부분(802a) 내에 탄성 부재들(850, 851) 및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824)를 수납할 수 있다(도 8b 참조). 도 8b 및 도 8c에서, 작동 요소(890)는 제1 작동 요소 배향으로 있고, 따라서 탄성 부재들(851, 850)은 제1 포지션에 있고, 즉 마우스-단부 섹션(802)의 종축(P-P)에 대해 평행하다(구부러지지 않음). 얼마 후의 단계에서, 사용자는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824)를 파괴(활성화)시켜 디바이스(800)로부터 흡입된 에어로졸에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에 의해 향미가 부가되게 하기를 원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마우스-단부 섹션(802)의 종축(P-P)을 중심으로 90°만큼 마우스-단부 섹션(802)에 대해 작동 요소(890)를 회전시킬 수 있다(화살표(M)). 이것은 제2 반경방향 치수(D2)에서의 작동 요소(890)의 내부 표면이 탄성 부재들의 외향 돌출 부분(850b, 851b)에 대해 밀게 한다. 이렇게 미는 것은 반경방향 내향력을 초래하고, 이 반경방향 내향력은 탄성 부재들(850, 851)이 서로를 향해 내측으로 구부러져서, 채널(832) 내로 돌출하고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824)를 파괴시키게 하고, 이에 의해 파괴 가능한 향미 캡슐(826)로부터 향미를 방출시킨다(도 8d 및 도 8e 참조). 작동 요소(890)는 이제 제2 작동 요소 배향으로 있고, 탄성 부재들(850, 851)은 이제 제2 포지션에 있다(도 8d 및 도 8e 참조). 사용자는, 작동 요소(890)가 제1 작동 요소 배향으로 되돌아올 때까지(도 8b 및 도 8c에서와 같음), 작동 요소(890)를 계속해서 회전시킬 수 있다(또는 대안적으로 작동 요소를 뒤로 회전시킴). 따라서, 탄성 부재들(850, 851)은 작동 요소(890)의 제2 내부 반경방향 치수(D2)에 의해 더 이상 변위되지 않는다. 탄성 부재들(850, 851)의 탄성력(자연적인 탄력성)으로 인해, 탄성 부재들(850, 851)은 각자의 제1 포지션들로 복귀하고, 즉 마우스-단부 섹션(802)의 종축(P-P)에 대해 평행하도록(구부러지지 않음) 복귀한다(도 8b 및 도 8c에서와 같음).
전술한 예들에서, 다양한 리셉터클 섹션들(102, 202, 302)은 향미 캡슐(126, 226, 326 등)을 파쇄함으로써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124, 224, 324 등)를 파괴하도록 배열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설명되지만, 향미 요소(124, 224, 324 등)가 파괴될 수 있는 다른 방식들이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리셉터클 섹션들(102, 202, 302)은 향미 요소(124, 224, 324 등)의 향미 캡슐(126, 226, 326 등)을 피어싱, 천공, 절단 또는 슬라이싱함으로써 향미 요소(124, 224, 324 등)를 파괴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파괴 요소들(이를 테면, 예를 들어, 탄성 부재들(250, 251, 350, 351 등) 또는 내향 돌출 부분들(560, 660 등))은, 예를 들어, 향미 캡슐(126, 226, 326)을 피어싱 또는 천공하기 위한 스파이크(spike) 또는 다른 날카로운 돌출부, 또는 향미 요소(124, 224, 324 등)의 향미 캡슐(126, 226, 326 등)을 절단 또는 슬라이싱하기 위한 날(edge)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예들에서, 다양한 리셉터클 섹션들(102, 202, 302)은 리셉터클 섹션 내로의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124, 224, 324 등)의 설치 후에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124, 224, 324 등)를 파괴하도록 배열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이것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다양한 리셉터클 섹션들(102, 202, 302)은 리셉터클 섹션(102, 202, 302 등) 내로의 활성화 가능한 요소(124, 224, 324 등)의 설치 후에 활성화 가능한 요소(124, 224, 324 등)를 활성화시키도록 힘을 인가함으로써 임의의 적합한 활성화 가능한 요소(124, 224, 324 등)를 활성화시키도록 배열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파괴 가능한 향미 요소를 파괴시키도록 작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파괴 요소보다는, 리셉터클 섹션은 사용자에 의한 리셉터클 섹션 내에의 상기 활성화 가능한 요소의 설치 후에, 활성화 가능한 요소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활성화 가능한 요소에 힘을 인가하도록 작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활성화 가능한 요소는 (예를 들어, 액체 및/또는 겔 형태의) 가향제의 저장조(reservoir)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조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와 같은 적합한 담체 재료 내에 감싸지거나 매립될 수 있다. 저장조는 탄성 또는 변형 가능한 벽들을 가질 수 있다. 저장조는 가향제가 저장조로부터 담체 재료로 방출될 수 있게 하는 구멍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상기 예들 중 어느 하나에서 상세하게 설명된 바와 같은 리셉터클 섹션의 활성화 요소에 의해(예를 들어, 탄성 부재들(250, 350, 351, 450 등)과 같은 파괴 요소들을 통해) 활성화 가능한 요소에 힘이 가해질 때, 저장조는 압착(변형)되고, 이에 의해 가향제는 저장조로부터 구멍을 통해 담체 재료 내로 강제된다. 이에 의해, 리셉터클 섹션은 리셉터클 섹션 내로의 활성화 가능한 향미 요소의 설치 후에, 활성화 가능한 요소에 힘을 인가함으로써 활성화 가능한 향미 요소를 활성화시킨다.
일부 예들에서, 활성화 가능한 요소는 분쇄되거나, 노출되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적절하게 물리적으로 활성화될 때, 가향제를 방출하는 향미 재료, 예를 들어 고체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향미 재료는, 예를 들어 분쇄 담배(ground tobacco)일 수 있다. 향미 재료는, 예를 들어 래퍼 내에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감싸질 수 있고, 그리고/또는 향미 재료는 탄성 하우징, 예를 들어 플라스틱 하우징 내에 지지될 수 있거나,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와 같은 적합한 담체 재료 내에 유지 또는 매립될 수 있다. 전술한 다양한 상기 예들 중 어느 하나에서 상세하게 설명된 바와 같은 리셉터클 섹션에 의해(예를 들어, 탄성 부재들(250, 350, 351, 450 등)을 통해) 활성화 가능한 요소에 힘이 가해질 때, 고체 재료는 노출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적절하게 물리적으로 활성화되고, 이에 의해 가향제(또는 가향제의 증가 및/또는 변화)가 방출되어 에어로졸 유동에 향미(또는 증가된 및/또는 상이한 향미)를 부여한다. 이에 의해, 리셉터클 섹션은 리셉터클 섹션 내로의 활성화 가능한 향미 요소의 설치 후에, 활성화 가능한 요소에 힘을 인가함으로써 활성화 가능한 향미 요소를 활성화시킨다.
전술한 예들에서, 다양한 리셉터클 섹션들(202, 302, 402 등) 내에 수용된 활성화 가능한 요소(124, 224, 324 등)는 향미 요소(124, 224, 324 등)이고, 에어로졸이 향미 요소(124, 224, 324 등)를 통해 유동할 때 가향제를 방출하여 에어로졸에 향미를 부여하기 위한 것이지만, 이것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대신에(또는 추가적으로) 활성화 가능한 요소(124, 224, 324 등)는 향미 이외에(또는 향미에 부가하여) 에어로졸의 특성을 변경시키기 위한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향미 이외에(또는 향미에 부가하여) 에어로졸의 특성을 변경시키기 위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요소(124, 224, 324 등)는 에어로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관능적 특성들을 변경시키는(예를 들어, 사용자에 대한 에어로졸의 느낌 또는 냄새 또는 외관을 변경시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요소(124, 224, 324 등)는 PH를 하강 또는 상승시킴으로써(예를 들어, 에어로졸의 산도 또는 염기도를 변경시킴으로써) 에어로졸의 PH를 변경시키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요소(124, 224, 324 등)는 에어로졸 내의 알데히드류(aldehydes)의 양을 변경(예를 들어, 감소)시키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요소(124, 224, 324 등)는 에어로졸의 이들 특성들 또는 실제로 다른 특성들 중 둘 이상의 특성들의 상이한 조합들을 변경시키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예들에서, 디바이스(100, 200, 300 등)는 액체를 가열함으로써 에어로졸을 발생시키지만(이 디바이스는 통상적으로 e-cig로 지칭되는 유형임), 이것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다른 예들에서,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담배를 보유할 수 있는, 예를 들어 고체 재료를 포함하는 재료를 가열하되 태우지(연소시키지) 않음으로써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다(예를 들어, 때로는 담배 가열 제품(Tobacco Heating Product; THP) 디바이스로도 지칭되는 디바이스).
상기 예들에서, 액체 용기(122)는 형상이 원통형이고, 액체 용기(122)의 길이를 통해 연장되는 원통형 채널(104)을 규정하였다. 그러나, 다른 예들에서, 액체 용기는 형상이 환형이 아닐 수 있고, 그리고/또는 액체 용기는 외부 쉘(outer shell)을 포함할 수 있고, 이 외부 쉘은 증기 또는 에어로졸이 추가로 또는 대신에 통과할 수 있는 외부 쉘과 액체 용기 사이의 환형 채널을 규정한다.
실제로, 소위 e-시가렛 디바이스들과 같은 에어로졸 제공 물품들(그것의 일부가 이와 같은 디바이스와 일체형인 재충전 가능한 액체 용기들을 갖지 않고, 오히려 예를 들어 일체형 무화기들을 포함하는, 예를 들어 교체 가능한 카트리지들(cartridges), 즉 소위 "카토마이저들(cartomisers)"을 가짐)의 많은 구성들이 있으며, 상기 예들이 또한 이들 또는 다른 구성들, 또는 다른 에어로졸 제공 물품들에도 적용될 수도 있다는 것이 쉽게 이해될 것이다.
사용 시에, 향미 요소의 재료는 재료의 온도보다 높은 온도를 갖는 증기 또는 에어로졸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전체적으로 재료의 주변 온도보다 높고 그리고/또는 디바이스의 주변 온도보다 높은 임의의 온도가 고체 재료로부터 성분들의 방출을 향상시킬 것이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들 "향미" 및 "가향제"는, 지역 규제들(local regulations)이 허용하는 경우, 성인 소비자들을 위해 제품에 원하는 맛 또는 향기를 생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재료들을 지칭할 수 있다. 이들은 추출물들(예컨대, 감초, 수국, 일본 흰 껍질 목련 잎(Japanese white bark magnolia leaf), 카모마일(chamomile), 호로파(fenugreek), 정향(clove), 멘톨(menthol), 일본 민트(Japanese mint), 아니스열매(aniseed), 시나몬(cinnamon), 허브(herb), 윈터그린(wintergreen), 체리(cherry), 베리(berry), 복숭아, 사과, 드람뷔(Drambuie), 버번(bourbon), 스카치(scotch), 위스키(whiskey), 스피아민트(spearmint), 페퍼민트(peppermint), 라벤더(lavender), 카다몬(cardamom), 셀러리(celery), 카스카라야(cascarilla), 육두구(nutmeg), 샌달우드(sandalwood), 베르가못(bergamot), 제라늄(geranium), 허니 에센스(honey essence), 로즈 오일(rose oil), 바닐라(vanilla), 레몬 오일(lemon oil), 오렌지 오일(orange oil), 카시아(cassia), 캐러웨이(caraway), 코냑(cognac), 자스민(jasmine), 일랑-일랑(ylang-ylang), 세이지(sage), 회향(fennel), 피망, 생강, 아니스(anise), 고수(coriander), 커피, 또는 멘타 속(genus Mentha)의 임의의 종들로부터의 민트 오일), 향미 증강제들(flavour enhancers), 쓴맛 수용체 부위 차단제들(bitterness receptor site blockers), 감각 수용체 부위 활성화제들(sensorial receptor site activators) 또는 자극제들(stimulators), 당류 및/또는 당 대용물들(예컨대, 수크랄로스(sucralose), 아세설팜 칼륨(acesulfame potassium), 아스파탐(aspartame), 사카린(saccharine), 사이클라메이트들(cyclamates), 락토오스(lactose), 수크로스(sucrose), 글루코스(glucose), 프룩토스(fructose), 소르비톨(sorbitol) 또는 만니톨(mannitol)), 및 목탄(charcoal), 엽록소, 미네랄들, 식물생약들(botanicals) 또는 구취 제거제들(breath freshening agents)과 같은 다른 첨가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인조, 합성 또는 천연 성분들 또는 이들의 블렌드들일 수 있다. 이들은 임의의 적합한 형태, 예를 들어 오일, 액체, 고체 또는 분말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액체, 오일 또는 다른 그러한 유체 가향제가 다공성 고체 물질에 함침되어, 향미 및/또는 다른 특성들을 그 다공성 고체 재료에 부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액체 또는 오일은 그것이 함침되는 재료의 성분이다.
상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예들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임의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임의의 특징은 단독으로, 또는 설명된 다른 특징들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고, 또한 임의의 다른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 또는 임의의 다른 실시예들의 임의의 조합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에 규정된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상기에서 설명되지 않은 균등물들 및 변형예들도 또한 이용될 수 있다.

Claims (27)

  1. 사용 시에 에어로졸(aerosol)의 유동을 발생시키도록 배열된 에어로졸 제공 물품(aerosol provision article)으로서,
    상기 에어로졸 제공 물품은 리셉터클 섹션(receptacle section)을 포함하고,
    상기 리셉터클 섹션은, 활성화되면 상기 에어로졸의 유동의 특성을 변경시키기 위한 활성화 가능한 요소(activatable element)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리셉터클 섹션은, 사용자에 의한 상기 리셉터클 섹션 내에의 상기 활성화 가능한 요소의 설치 후에, 사용 시에 상기 리셉터클 섹션 내에 설치된 상기 활성화 가능한 요소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상기 활성화 가능한 요소에 힘을 인가하도록 작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 요소(activating element)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파괴 요소는, 사용 시에 상기 리셉터클 섹션 내에 설치된 상기 활성화 가능한 요소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제1 포지션과, 상이한 제2 포지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1 포지션으로부터 상기 제2 포지션으로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괴 요소의 이동은 사용 시에 상기 리셉터클 섹션 내에 설치된 활성화 가능한 향미 요소(favour element)를 활성화시키도록 상기 힘이 인가되게 하고,
    상기 이동은 상기 리셉터클 섹션의 종축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축을 따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 요소의 이동을 포함하고,
    상기 리셉터클 섹션은 상기 활성화 가능한 요소가 내부에 설치되는 채널을 규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 요소는 상기 채널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연장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제1 포지션과 상기 제2 포지션 사이에서 구부러지도록 작동 가능하고, 상기 탄성 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제2 포지션에서 상기 채널 내로 돌출하고, 이에 의해 사용 시에 상기 채널 내에 수용된 상기 활성화 가능한 요소를 활성화시키도록 상기 힘을 인가하는,
    에어로졸 제공 물품.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지션은 사용자에 의한 상기 리셉터클 섹션 내에의 상기 활성화 가능한 요소의 설치를 허용하기 위한 것인,
    에어로졸 제공 물품.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의 단부는 상기 리셉터클 섹션에 대해 자유롭게 이동하는,
    에어로졸 제공 물품.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탄성 부재로부터 상기 채널을 향해 돌출하는 내향 돌출 부분(inwardly protruding portion)을 포함하며, 상기 내향 돌출 부분은, 사용 시에 상기 채널 내에 수용된 상기 활성화 가능한 요소와 접촉하고, 이에 의해 사용 시에 상기 채널 내에 수용된 상기 활성화 가능한 요소를 활성화시키도록 상기 힘을 인가하기 위한 것인,
    에어로졸 제공 물품.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외향 돌출 부분(outwardly protruding portion)을 포함하며, 상기 외향 돌출 부분은 상기 탄성 부재로부터 외부로 상기 채널로부터 멀리 돌출하고, 상기 리셉터클 섹션의 작동 요소와 접촉하기 위한 것인,
    에어로졸 제공 물품.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섹션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 및 상기 활성화 가능한 요소가 수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작동 요소는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고, 이에 의해 상기 리셉터클 섹션의 종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상기 하우징에 대한 상기 작동 요소의 슬라이딩 이동을 허용하고, 상기 작동 요소는, 상기 작동 요소가 상기 탄성 부재의 외향 돌출 부분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멀리 포지셔닝되는 제1 작동 요소 포지션과, 상기 작동 요소가 상대적으로 상기 탄성 부재의 외향 돌출 부분을 향해 포지셔닝되는 제2 작동 요소 포지션 사이에서 슬라이딩하도록 사용자에 의해 작동 가능하며,
    상기 제1 작동 요소 포지션으로부터 상기 제2 작동 요소 포지션으로의 상기 작동 요소의 슬라이딩은 상기 제1 포지션으로부터 상기 제2 포지션으로의 상기 탄성 부재의 구부러짐을 유발하고, 이에 의해 사용 시에 상기 채널 내에 수용된 상기 활성화 가능한 요소를 활성화시키도록 상기 힘을 인가하는,
    에어로졸 제공 물품.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요소는 상기 작동 요소로부터 상기 탄성 부재를 향해 돌출하는 내향 돌출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작동 요소가 상기 제2 작동 요소 포지션에 있을 때, 상기 작동 요소의 내향 돌출 부분은 상기 탄성 부재의 외향 돌출 부분과 종방향으로 정렬되는,
    에어로졸 제공 물품.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섹션은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가 수납되고 상기 활성화 가능한 요소가 수납 가능한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리셉터클 섹션은 작동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 요소는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이에 의해 상기 리셉터클 섹션의 종축을 중심으로 한, 상기 하우징에 대한 상기 작동 요소의 회전을 허용하고,
    상기 작동 요소는 제1 내부 반경방향 치수 및 보다 작은 제2 내부 반경방향 치수를 규정하고, 상기 작동 요소는, 상기 제1 내부 반경방향 치수가 상기 탄성 부재와 회전식으로 정렬되는 제1 작동 요소 배향과, 상기 제2 내부 반경방향 치수가 상기 탄성 부재와 회전식으로 정렬되는 제2 작동 요소 배향 사이에서 회전하도록 사용자에 의해 작동 가능하며,
    상기 제1 작동 요소 배향으로부터 상기 제2 작동 요소 배향으로의 상기 작동 요소의 회전은 상기 제1 포지션으로부터 상기 제2 포지션으로의 상기 탄성 부재의 상기 구부러짐을 유발하고, 이에 의해 사용 시에 상기 채널 내에 수용된 상기 활성화 가능한 요소를 활성화시키도록 상기 힘을 인가하는,
    에어로졸 제공 물품.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요소의 내부 반경방향 치수는 상기 제1 내부 반경방향 치수로부터 상기 제2 내부 반경방향 치수까지 점진적으로 변화하는,
    에어로졸 제공 물품.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섹션은 탄성 외부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 외부 부분은 상기 탄성 부재를 상기 제1 포지션으로 편향시키기 위해 상기 탄성 부재에 연결되는,
    에어로졸 제공 물품.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섹션은 적어도 2 개의 상기 탄성 부재들을 포함하고, 제1의 상기 탄성 부재는 제2의 상기 탄성 부재에 대해 상기 채널의 반대측 상에 위치되는,
    에어로졸 제공 물품.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 가능한 요소는 상기 리셉터클 섹션 내에 설치되는,
    에어로졸 제공 물품.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 가능한 요소는 상기 에어로졸의 상기 특성을 변경시키기 위한 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힘은 상기 물질이 노출되게 하고, 이에 의해 상기 에어로졸의 유동의 상기 특성을 변경시키는,
    에어로졸 제공 물품.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 가능한 요소는 상기 물질을 보유하는 파괴 가능한 캡슐(breakable capsule)을 포함하며, 상기 힘은 상기 캡슐을 파괴시키고, 이에 의해 상기 물질을 노출시키는,
    에어로졸 제공 물품.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파괴 가능한 캡슐은 담체 재료(carrier material) 내에 유지되고, 상기 물질은 액체 또는 겔(gel) 중 하나 이상이고, 상기 힘은 상기 담체 재료 내로 상기 액체 또는 겔 중 하나 이상을 방출시키기 위해 상기 파괴 가능한 캡슐을 파괴시키는,
    에어로졸 제공 물품.
  16. 제1 항 내지 제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특성은 상기 에어로졸의 관능적 특성, 상기 에어로졸의 향미 및 상기 에어로졸의 pH 중 하나 이상인,
    에어로졸 제공 물품.
  17. 제1 항 내지 제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섹션은 상기 리셉터클 섹션을 상기 에어로졸 제공 물품에 해제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연결 부분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물품.
  18. 제1 항 내지 제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섹션을 포함하는 마우스피스(mouthpiece)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물품.
  19. 제1 항 내지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액체 또는 재료를 유지하기 위한 용기; 및
    사용 시에 상기 에어로졸의 유동을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용기 내에 유지된 액체를 휘발시키거나, 사용 시에 상기 에어로졸의 유동을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재료를 가열하되 연소시키지 않는(heating but not combusting) 히터(heater)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물품.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KR1020197010649A 2016-09-14 2017-09-12 리셉터클 섹션 KR1023183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7034180A KR102493382B1 (ko) 2016-09-14 2017-09-12 리셉터클 섹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1615603.6A GB201615603D0 (en) 2016-09-14 2016-09-14 Receptacle section
GB1615603.6 2016-09-14
PCT/EP2017/072814 WO2018050613A1 (en) 2016-09-14 2017-09-12 Receptacle section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4180A Division KR102493382B1 (ko) 2016-09-14 2017-09-12 리셉터클 섹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7043A KR20190047043A (ko) 2019-05-07
KR102318373B1 true KR102318373B1 (ko) 2021-10-26

Family

ID=5723465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0649A KR102318373B1 (ko) 2016-09-14 2017-09-12 리셉터클 섹션
KR1020217034180A KR102493382B1 (ko) 2016-09-14 2017-09-12 리셉터클 섹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4180A KR102493382B1 (ko) 2016-09-14 2017-09-12 리셉터클 섹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90254344A1 (ko)
EP (1) EP3512367B1 (ko)
JP (1) JP6860233B2 (ko)
KR (2) KR102318373B1 (ko)
CN (1) CN109788800A (ko)
GB (1) GB201615603D0 (ko)
PL (1) PL3512367T3 (ko)
RU (1) RU2740178C2 (ko)
WO (1) WO20180506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615601D0 (en) 2016-09-14 2016-10-26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td Receptacle section
GB201615602D0 (en) 2016-09-14 2016-10-26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td Receptacle Section
GB201700136D0 (en) 2017-01-05 2017-02-22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td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article
GB201700620D0 (en) 2017-01-13 2017-03-01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td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article
GB201717484D0 (en) * 2017-10-24 2017-12-06 Nicoventures Holdings Ltd Electronic aerosol provision device
GB201717486D0 (en) 2017-10-24 2017-12-06 Nicoventures Holdings Ltd Mechanism for hatch of electronic aerosol provision device
GB201717489D0 (en) 2017-10-24 2017-12-06 Nicoventures Holdings Ltd Electronic aerosol provision device
GB201717480D0 (en) * 2017-10-24 2017-12-06 Nicoventures Holdings Ltd Electronic aerosol provision device with seal
CN115530429A (zh) * 2017-10-30 2022-12-30 韩国烟草人参公社 气溶胶生成装置
GB201720338D0 (en) 2017-12-06 2018-01-17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td Component for an aerosol-generating apparatus
US10786010B2 (en) 2017-12-15 2020-09-29 Rai Strategic Holdings, Inc. Aerosol delivery device with multiple aerosol delivery pathways
US10492540B2 (en) * 2018-01-29 2019-12-03 Tuanfang Liu Electronic cigarette
WO2020115306A1 (en) * 2018-12-07 2020-06-11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generating system and cartridge with leakage protection
GB201903290D0 (en) * 2019-03-11 2019-04-24 Nicoventures Trading Ltd An article for use in a non-combustible aerosol provision system
GB201903288D0 (en) * 2019-03-11 2019-04-24 Nicoventures Trading Ltd An aerosol provision system
US11602164B2 (en) * 2019-03-14 2023-03-14 Rai Strategic Holdings, Inc. Aerosol delivery device with graded porosity from inner to outer wall surfaces
EP3711570A1 (en) * 2019-03-22 2020-09-23 Nerudia Limited Consumable comprising crush ball for smoking substitute system
EP3741231A1 (en) * 2019-05-24 2020-11-25 Nerudia Limited Aerosol delivery device
KR102365666B1 (ko) * 2019-07-29 2022-02-21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카트리지
EP3799728A1 (en) * 2019-10-02 2021-04-07 NextGEN360 Ltd. Vaping device having a disposable filter member
CN114980758A (zh) * 2020-01-30 2022-08-30 菲利普莫里斯生产公司 用于气溶胶生成制品的包括可激活元件的多通道和反向气流烟嘴
US11439185B2 (en) * 2020-04-29 2022-09-13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Aerosol delivery device with sliding and transversely rotating locking mechanism
US20230145606A1 (en) * 2020-07-17 2023-05-11 Kt&G Corporation Pressurization device for aerosol generating article and aerosol generat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EP4159055A1 (en) * 2021-09-30 2023-04-05 Nerudia Limited Smoking substitute apparatus
WO2023083931A1 (en) * 2021-11-10 2023-05-19 Philip Morris Products S.A. Mouthpiece for inhaling an aerosol with a flavor elem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46385A1 (ja) 2013-09-30 2015-04-02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非燃焼型香味吸引器及びカプセルユニット
CN204560971U (zh) * 2015-04-08 2015-08-19 华健 一种在电子烟或烟草卷烟上实现增味功能的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57353A (en) * 1936-10-13 Vaporizing unit fob therapeutic
JPS6033891U (ja) * 1983-07-18 1985-03-08 テイ−ピ−エフインダストリ−株式会社 喫煙パイプ
AR002035A1 (es) * 1995-04-20 1998-01-07 Philip Morris Prod Un cigarrillo, un cigarrillo y encendedor adaptados para cooperar entre si, un metodo para mejorar la entrega de aerosol de un cigarrillo, un material continuo de tabaco, un cigarrillo operativo, un metodo para manufacturar un material continuo, el material asi obtenido, un calentador, un metodo para formar un calentador y un sistema electrico para fumar
US6606992B1 (en) * 1999-06-30 2003-08-19 Nektar Therapeutics Systems and methods for aerosolizing pharmaceutical formulations
US8042550B2 (en) * 2006-11-02 2011-10-25 Vladimir Nikolaevich Urtsev Smoke-simulating pipe
GB201108057D0 (en) * 2011-05-13 2011-06-29 British American Tobacco Co Support structure
GB201110863D0 (en) * 2011-06-27 2011-08-10 British American Tobacco Co Smoking article filter and insertable filter unit thereof
EP2649892A4 (en) * 2011-12-23 2015-07-22 Hi-Tech Inc Kimree SUCTION NOZZLE FOR AN ELECTRONIC CIGARETTE
DE102012103482A1 (de) * 2012-04-20 2013-10-24 Alfred Von Schuckmann Vorrichtung zum Inhalieren pulverförmiger Substanzen
JP2017500864A (ja) * 2013-12-31 2017-01-12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液体放出構成要素を備えた喫煙物品
US20160037823A1 (en) * 2014-08-11 2016-02-11 Aari Ruben Medical therapy using cigarettes
WO2016075747A1 (ja) * 2014-11-10 2016-05-19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非燃焼型香味吸引器及びパッケー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46385A1 (ja) 2013-09-30 2015-04-02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非燃焼型香味吸引器及びカプセルユニット
CN204560971U (zh) * 2015-04-08 2015-08-19 华健 一种在电子烟或烟草卷烟上实现增味功能的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7043A (ko) 2019-05-07
EP3512367B1 (en) 2023-11-01
RU2019110945A (ru) 2020-10-15
KR20210132218A (ko) 2021-11-03
KR102493382B1 (ko) 2023-01-27
WO2018050613A1 (en) 2018-03-22
RU2740178C2 (ru) 2021-01-12
US20190254344A1 (en) 2019-08-22
RU2019110945A3 (ko) 2020-10-15
GB201615603D0 (en) 2016-10-26
JP6860233B2 (ja) 2021-04-14
CN109788800A (zh) 2019-05-21
EP3512367A1 (en) 2019-07-24
PL3512367T3 (pl) 2024-03-04
JP2019528715A (ja) 2019-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8373B1 (ko) 리셉터클 섹션
KR102273679B1 (ko) 리셉터클 섹션
KR102379689B1 (ko) 리셉터클 섹션
EP3512361B1 (en) A container
EP3512368B1 (en) A container
KR102355453B1 (ko) 마우스피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