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7653B1 - 내장된 약액 공급이 가능하고 근적외선 및 미세전류를 활용한 두피관리기 - Google Patents

내장된 약액 공급이 가능하고 근적외선 및 미세전류를 활용한 두피관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7653B1
KR102317653B1 KR1020190076556A KR20190076556A KR102317653B1 KR 102317653 B1 KR102317653 B1 KR 102317653B1 KR 1020190076556 A KR1020190076556 A KR 1020190076556A KR 20190076556 A KR20190076556 A KR 20190076556A KR 102317653 B1 KR102317653 B1 KR 1023176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calp
ampoule
light
chem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6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1066A (ko
Inventor
최영준
Original Assignee
최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준 filed Critical 최영준
Priority to KR1020190076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7653B1/ko
Publication of KR20210001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7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76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6Skin treatment other than tanning
    • A61N5/0617Hair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7Devices for viewing the surface of the body, e.g. camera, magnifying l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ntegumentary system, e.g. skin, hair or nails
    • A61B5/441Skin evaluation, e.g. for skin disorder diagnosis
    • A61B5/446Scalp evaluation or scalp disorder diagnosis, e.g. dandruf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ntegumentary system, e.g. skin, hair or nails
    • A61B5/448Hair evaluation, e.g. for hair disorder diag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7/00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H7/002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by rubbing or brushing
    • A61H7/003Hand-held or hand-drive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5/00Devices for applying media, e.g. remedies, on the human body
    • A61M35/003Portable hand-held applicators having means for dispensing or spreading integral med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improving the appearance of the skin, e.g. facial toning or wrinkle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 A61H2201/105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with means for delivering media, e.g. drugs or cosm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2Head
    • A61H2205/021Scal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30/00Measuring parameters of the user
    • A61M2230/63Motion, e.g. physical activ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26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61N2005/0644Handheld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Abstract

본 발명은 두피에 유익한 약액이 두피와 접촉하는 압력을 통해 적정량 도포됨에 동시에 물리적인 자극과 전기 및 광 자극이 함께 이루어짐으로 효과적으로 탈모의 예방과 치료가 이루어질 수 있는 내장된 약액 공급이 가능하고 근적외선 및 미세전류를 활용한 두피관리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내장된 약액 공급이 가능하고 근적외선 및 미세전류를 활용한 두피관리기 {Scalp management device that can supply nutrients and utilize near-infrared and micro current}
본 발명은 두피관리기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두피에 유익한 약액이 두피와 접촉하는 압력을 통해 적정량 도포됨에 동시에 물리적인 자극과 전기 및 광 자극이 함께 이루어짐으로 효과적으로 탈모의 예방과 치료가 이루어질 수 있는 내장된 약액 공급이 가능하고 근적외선 및 미세전류를 활용한 두피관리기에 관한 것이다.
모간과 모근으로 구성되는 모발은, 모근의 기부에 있는 모유두에 모세혈관과 신경이 연장되어 있으므로 영양분과 산소가 원활히 공급되어야만 정상적인 성장 및 유지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모유두와 모낭의 기능이 저하되고 연결된 혈관이 손상되는 경우 성모(굵고 검은 머리털)가 빠지는 탈모가 발생하는데, 유전적인 원인뿐만 아니라 각종 질병이나 스트레스, 남성 호르몬의 작용, 약물 복용, 세정제의 남용, 환경오염 등 매우 다양한 원인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탈모 방지와, 모발의 재생과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두피와 모낭에 지속적인 자극을 가하거나, 특정 파장의 빛을 두피에 조사하여 광 에너지가 진피조직과 피하조직에 침투함으로써 모근을 포함한 각종 세포조직을 활성화하고 신진대사를 촉진하는 방법 등이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졌으며, 이에 착안하여 머리에 착용하거나 손에 잡은 상태로 두피를 마사지할 수 있는 다양한 제품들도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제품이 두피에 압력을 가하여 진동모터 등을 통해 자극을 가하며 단순히 마사지봉을 상하로 왕복운동 하는데만 그쳐 효과가 미미하였으며, 별도의 장치를 통해 약품도포, 광 조사, 물리적 자극을 자극함에 따른 번거로움을 비롯하여 사용자의 두상이나 신체적인 조건을 반영한 기능이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15149호(2016.04.1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물리적인 자극과 전기 및 광 자극과 함께 두피에 유익한 약액이 두피와 접촉하는 압력을 통해 적정량 도포되어 마사지를 수행함으로 탈모의 효과적인 예방과 치료가 이루어질 수 있는 내장된 약액 공급이 가능하고 근적외선 및 미세전류를 활용한 두피관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은 두피관리기에 있어서, 내측으로 공간이 형성되고, 외측으로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구성되며, 측면에 내부 확인이 가능한 투명창이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 하측에 설치되되, 설정된 파장의 빛을 방출하는 다수의 LED로 이루어지며 중앙부분에 위치한 광방출부와, 하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전극돌기가 상기 광방출부 외측으로 배열되어 형성된 전극부와, 약액이 수용된 앰플이 상기 투명창을 통해 확인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에 설치된 앰플로부터 약액을 공급받는 공급부와, 상기 공급부와 연결되고 하측으로 돌출되어 약액을 배출하는 토출부로 구성되는 자극부; 미세전류를 생성하여 상기 전극부를 통해 공급하는 전류제어부와, 상기 광방출부를 제어하는 광제어부를 구비하는 컨트롤러;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토출부는, 하단에 배출구가 형성된 노즐팁과, 약액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판이 설치되고 상기 노즐팁이 하측에 삽입되어 설정된 구간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된 노즐몸체와, 상기 노즐팁을 하측으로 밀어주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앰플은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되, 상기 본체는 상기 투명창을 마주보는 내벽에 설치되어 설치된 앰플을 향해 빛을 방출하는 확인램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는 전후좌우의 기울기 및 움직임을 감지는 가속센서와, 외측으로 전후좌우 방향을 안내하는 지시램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가속센서의 측정값을 통해 본체의 이동경로를 포함하는 움직임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동작인식부와, 유형별 마사지정보가 저장되되 상기 동작인식부의 움직임정보를 분석하여 대응하는 마사지정보에 따른 움직임 가이드를 상기 지시램프를 통해 지시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자극부는 상기 광방출부 상에 형성되어 두피를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 전면에 형성된 발수특성을 갖는 확대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변환하여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두피와 모근의 상태정보를 생성하는 영상분석부와, 상기 상태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가이드부의 움직임 가이드에 반영하는 최적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작하다.
본 발명을 통해 설정된 파장의 고휘도 빛의 방출 및 미세전기자극을 통해 두피를 자극하여 도포되는 탈모 예방 및 치료용 약액을 침투를 활성화하여 피부질환의 완화와 발모 촉진이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미세전류를 통해 두피와 말초 모세혈관 운동을 촉진해서 혈류량을 증가시킴으로써, 근적외선을 통해 이용해서 세포조직의 활성화, 노폐물 배출, 피부 호흡을 활성화 및 재생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에 탈모로 고통받는 환자의 치료나 모발 이식 등의 시술 비용을 절감하고, 시술에 대한 스트레스를 해소함과 더불어 많은 환자에게 치료 및 관리의 기회를 제공하여 탈모 발생 이전에 탈모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미리 저장된 마사지 정보를 바탕으로 머리 부분에 위치한 혈관을 따라 경혈 및 경락 등 주요 부분의 효과적인 자극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 머리 부분의 혈행 및 대사를 촉진함으로 두피 건강을 유지하고 탈모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외형을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내부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1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토출구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2 실시예에 따른 내부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2 실시예에 따른 배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2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 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내장된 약액 공급이 가능하고 근적외선 및 미세전류를 활용한 두피관리기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외형을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내부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1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본 발명은 근적외선과 전기자극을 비롯하여 약액의 공급이 함께 이루어지도록 하는 통합형 두피관리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케이스에 해당하는 본체(1)는 내측으로 공간이 형성되고, 외측으로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하측이 사용자의 두피를 향한다는 전제하에 상측으로 전원 공급을 위한 케이블이 연결되고 하측이 개방된 원뿔형 구조로 구성할 수 있고, 별도의 배터리를 사용할 경우 상측으로 손잡이가 형성된 기존의 두피 마사지기와 유사한 외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본체(1)의 측면에는 내부 공간의 확인이 가능한 투명창(11)이 형성되어 후술되는 바와 같이 앰플(23)에 수용한 약액의 잔량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본체(1)의 하측에는 두피와 모발에 접촉되는 자극부(2)가 결합되며, 상기 자극부(2)에는 광 자극을 위한 광방출부(21)와, 미세전류 자극을 위한 전극부(22) 및 약액의 공급을 위한 구성이 마련된다.
상기 광방출부(21)는 상기 자극부(2)의 하측 중앙부분에 설치되어 설정된 파장인 근적외선을 방출하는 다수의 LED(211)로 이루어지며, 자극부(2)의 내측, 즉 상기 본체(1) 측으로 함몰되어 후술되는 약액 등이 묻지 않으면서 원활히 두피로 광을 조사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근적외선을 두피로 조사함으로 두피의 모세혈관확장 및 땀 및 노폐물 배출로 인한 모공청소 효과를 볼 수 있다.
상기 전극부(22)는 하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전극돌기(221)가 상기 광자극부(2) 외측으로 배열되어 형성된 것으로, 통전 가능한 금속제로 이루어져 미세전류를 두피로 공급할 뿐 아니라 물리적 지압효과를 주기 위한 구성으로 단부가 둥근 형태로 이루어져 접촉되는 두피를 손상시키지 않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광방출부(21)의 주변을 따라 총 7개의 전극돌기(221)를 통해 전극부가 형성된 모습을 나타내고 있으나 자극부(2)의 규격에 대응하여 적절히 가감할 수 있으며, 전극돌기(221)가 두피를 자극하며 그 사이로 모발이 지나갈 수 있도록 적절한 간격을 갖도록 배열한다. 전극부(22)를 통해 가해지는 미세전류를 통해 두피에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도 적절한 자극을 통한 혈행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고 모근을 강화할 수 있으며, 약액의 두피 흡수를 촉진하게 된다.
상기 자극부(2) 상측으로는 상기 본체(1)의 공간에 위치하여 약액이 수용된 앰플(23)이 상기 투명창을 통해 확인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결합부(24)가 마련된다. 상기 약액은 기본적으로 모발 및 두피에 공급되는 다양한 영양제가 주성분으로 필요에 따라서는 탈모치료 약물뿐 아니라 원활한 마사지를 위한 윤활액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앰플(23)은 개인용 영양제 사용용량에 대응하여 10 ~ 15㎖ 용량의 용기로서 약액을 수용하며, 상용의 앰플(23) 용기의 뚜껑을 개방한 상태로 거꾸로 삽입하여 고정하는 형태로 설치하여 중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약액이 흘러나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앰플(23)은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투명창(11)을 통한 내부 약액의 잔량 확인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앰플(23)을 결합부(24)에 결합함에 있어 뚜껑 체결을 위한 나사산부에 대응하는 암나사부를 결합부에 형성하여 별다른 고정구조 없이 쉽게 결합 및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하게 된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자극부(2) 또한 상기 본체(1) 하단에 나사방식으로 결합 및 분리가 이루어지며 자극부(2)를 본체(1)로부터 분리한 상태로 앰플(23)의 교체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부(24) 하부로는 상기 결합부(24)에 설치된 앰플(23)로부터 흘러나오는 약액을 공급받는 공급부(25)와, 상기 공급부(25)와 연결되고 하측으로 돌출되어 약액을 배출하는 토출부(26)가 구비된다.
즉 상기 토출부(26)는 자극부(2) 하측으로 돌출되어 사용자의 두피에 접촉한 상태에서 약액을 토출하며, 상기 공급부(25)는 결합부 하부로 형성되어 토출부(26)로 약액을 보내는 통로가 된다.
첨부된 도면에서는 3개의 토출부(26)가 전극돌기(221) 사이에 위치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토출부(26) 및 전극돌기(221)의 숫자를 한정하지는 않지만 첨부된 도면과 같은 형태로 몇 개로 묶인 전극돌기(221) 마다 하나의 토출부(26)를 형성하되 자극부(2) 하측 면적에 대응하여 전반적인 약액의 도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토출부(26)의 숫자를 구성한다.
이때 중력만을 통해 약액이 흘러나올 경우 불필요한 상황에서 계속 약액이 토출될 수 있음에 따라 사용자가 약액의 토출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토출구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로, 끝 부분에 가해지는 압력에 대응하여 약액이 분사될 수 있는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토출부(26)는, 하단에 배출구(262)가 형성된 노즐팁(261)과, 상기 노즐팁(261)이 하측에 삽입되어 설정된 구간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된 노즐몸체(264)로 이루어진다. 상기 노즐팁(261)은 사용자의 두피에 접촉됨에 따라 두피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끝 부분이 둥근 형상을 하게 되고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는 배출구(262)를 구비한다.
상기 노즐몸체(264)는 관형의 구조체로 하단에 상기 노즐팁(261)이 삽입되며 내벽의 단턱을 통해 노즐팁(261)의 상하 이동범위를 제한하게 된다. 또한, 상기 노즐몸체(264)는 상기 공급부(25)와 연결되어 약액을 공급받되 약액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판(263)을 구비하고, 내측으로는 상기 노즐팁(261)을 하측으로 밀어주도록 작용하는 스프링(265)이 설치된다.
동작을 살펴보면 노즐몸체(264)에 약액이 충진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본체(1)를 눌러 두피와의 접촉압력이 상기 스프링(265)의 작용력을 이기고 노즐팁(261)을 눌러줌에 따라 노즐몸체(264) 내부의 약액이 배출구(262)를 통해 분사된다. 즉 상기 노즐팁(261)이 상승하여 노즐몸체(264) 내부의 압력상승으로 상기 역류방지판(263)이 닫힌 상태가 되며 상기 배출구(262)를 통해 약액이 분사된다. 이후 압력이 완화됨에 따라 상기 스프링(265)의 작용력을 통해 노즐팁(261)이 하강하면서 노즐몸체(264) 내부압력 하강으로 역류방지판(263)이 개방되어 공급부(25)를 통해 약액이 노즐몸체(264)로 유입된다.
또한, 상기 본체(1)에는 전원을 공급받아 미세전류자극과 광자극을 제어하는 컨트롤러(3)가 내장된다. 즉 상기 컨트롤러(3)는 MCU에 해당하는 구성으로 배터리나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원으로부터 미세전류를 생성하여 상기 전극부(22)를 통해 공급하는 전류제어부(31)와, 마찬가지로 전원을 통해 상기 광방출부(21)를 제어하는 광제어부(32)를 구비하며, 상기 전류제어부(31)는 상기 전극부(22)를 통해 두피로 가해지는 전류강도를 제어할 수 있고, 상기 광제어부(32)는 LED의 밝기 내지는 다수의 LED 중 점등되는 숫자를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근적외선의 세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전류제어부(31) 및 광제어부(32)로 제어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버튼이나 노브를 본체(1) 외측에 구비하여 사용자에게 맞는 강도의 미세전류 및 광의 세기를 제공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2 실시예에 따른 내부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2 실시예에 따른 배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2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2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1 실시예를 기반으로 마사지효과를 극대화하며 사용 편의를 향상시키기 위한 구성들이 부가되며, 이하의 설명에서 상술한 1 실시예의 설명과 동일한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2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1)에는 상기 투명창(11)을 마주보는 내벽에 앰플(23)을 향해 빛을 방출하는 확인램프(12)가 설치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투명창(11)을 통해 내부의 앰플(23)을 볼 수 있고 앰플(23)이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더라도 주변이 어두운 경우 앰플(23) 내부 약액의 잔량을 확인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따라 투명창(11)의 반대 측 내벽에 설치된 확인램프(12)를 통해 빛이 앰플(23)을 투과하도록 하고 이를 투명창(11)으로 확인함으로 앰플(23) 잔량 및 교체주기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이에 대응하여 상기 컨트롤러(3)는 앰플(23)의 잔량을 육안으로 확인하지 않더라도 전자적으로 파악 가능하도록 잔량확인부(37)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잔량확인부(37)는 일종의 수광 센서의 구성으로 상기 확인램프(12)를 통해 발산되어 앰플(23)을 투과한 빛을 수광하되, 앰플(23) 내부 약액을 통과한 빛과 약액을 통과하지 않고 앰플(23)만을 통과한 빛을 구분하여 감지함으로 약액의 소모 여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만약 앰플(23) 잔량이 설정치 이하인 경우 다양한 방식, 이를테면 다른 색상의 복수의 LED로 상기 확인램프(12)를 구성하여 광의 색상을 달리하는 등의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2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1)는 전후좌우의 기울기 및 움직임을 감지는 가속센서(13)와, 외측으로 전후좌우 방향을 안내하는 지시램프(14)를 더 포함하게 된다.
상기 가속센서(13)는 3축의 움직임을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동작센서를 통해 구현되어 사용자가 본체를 쥐고 움직이는 동작을 인식하게 되며, 상기 지시램프(14)는 상기 본체(1) 외부의 전후좌우에 각각 설치되어 최소 4방향 이상의 방향지시가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가속센서(13) 및 지시램프(14)의 구성에 대응하여 상기 컨트롤러(3)는 상기 가속센서(13)의 측정값을 통해 본체의 이동경로를 포함하는 움직임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동작인식부(33)와, 유형별 마사지정보가 저장되되 상기 동작인식부(33)의 움직임정보를 분석하여 대응하는 마사지정보에 따른 움직임 가이드를 상기 지시램프(14)를 통해 지시하는 가이드부(34)를 더 포함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본체(1)를 손에 쥐고 두피를 마사지를 위해 본체를 움직임에 있어 실질적으로 마사지에 대한 지식이 없는 경우 무작위의 움직임으로 인해 효과를 떨어뜨릴 뿐 아니라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위치, 즉 머리 부분에 위치한 혈관을 따라 경혈 및 경락 등 주요 부분의 효과적인 자극이 아닌 본인 감각에 의존한 자극이 이루어질 수밖에 없다.
이에 사용자의 두상이나 탈모유형, 탈모 정도를 반영한 효과적인 자극 위치 및 경로를 반영한 마사지정보를 미리 입력한 상태에서, 마사지 시작과 함께 사용자가 손에 쥔 본체(1)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분석하며 사용자에 대응하여 선택된 마사지정보를 반영한 추천 경로를 상기 지시램프(14)를 통해 출력하여 가이드함으로 머리 부분에 위치한 혈관을 따라 경혈 및 경락 등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위치의 집중적인 자극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더불어 본 발명의 2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두피 상태를 반영한 최적의 자극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영상을 통한 두피 및 모근 부위의 상태를 확인 및 분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자극부(2)는 상기 광방출부(21) 상에 형성되어 두피를 촬영하는 카메라(15)와, 상기 카메라(15) 전면에 형성된 발수특성을 갖는 확대경(16)을 더 포함한다. 상기 카메라(15) 및 확대경(16)은 첨부된 도면과 같이 실질적으로 상기 광방출부(21)의 중앙 부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포된 약액이 카메라(15)의 렌즈에 묻어 영상획득을 방해하지 않도록 내측으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카메라(15)의 원활한 동작을 위해 상기 광방출부(21)가 조명역할을 하게 되며 상기 확대경(16)을 통해 확대된 두피 영상을 확보함과 더불어 확대경(16)의 발수 특성으로 인해 약액 등으로 인한 오염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카메라(15)의 구성에 대응하여 상기 컨트롤러(3)는 상기 카메라(15)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변환하여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두피와 모근의 상태정보를 생성하는 영상분석부(35)와, 상기 상태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가이드부의 움직임 가이드에 반영하는 최적화부(36)를 더 포함하게 된다.
즉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해부학적 정보에 해당하는 마사지정보를 적용하더라도 사용자의 두피 및 탈모 상태에 따라 자극 위치를 가변할 필요가 있으며 상태가 상대적으로 안 좋은 위치에 대한 자극이 집중될 필요가 있다.
이에 사용자가 본체(1)를 손에 쥐고 두피를 마사지를 위해 본체를 움직임에 따라 자극부(2)에 접촉한 두피 및 모근 부분의 확대 영상이 상기 카메라(15)를 통해 촬영되어 상기 영상분석부(35)를 통해 분석이 이루어진다.
이후 영상분석을 통해 모발의 밀도가 낮거나 다양한 원인으로 두피의 상태가 좋지 않아 주변과 색상이나 표면상태가 다른 부분을 반영하여 상기 가이드부(34)를 통해 지시되는 위치를 변경하여 집중적인 자극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두피 및 모발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전류제어부(31) 및 광제어부(32)를 통한 전류 및 광의 세기조절도 설정된 단계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 본체 11: 투명창 12: 확인램프
13: 가속센서 14: 지시램프
15: 카메라 16: 확대경
2: 자극부 21: 광방출부 211: LED
22: 전극부 221: 전극돌기
23: 앰플 24: 결합부
25: 공급부 26: 토출부
261: 노즐팁 262: 배출구
263: 역류방지판 264: 노즐몸체
265: 스프링
3: 컨트롤러 31: 전류제어부 32: 광제어부
33: 동작인식부 34: 가이드부
35: 영상분석부 36: 최적화부
37: 잔량확인부

Claims (5)

  1. 두피관리기에 있어서,
    내측으로 공간이 형성되고, 외측으로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구성되며, 측면에 내부 확인이 가능한 투명창(11)과, 전후좌우의 기울기 및 움직임을 감지는 가속센서(13)와, 외측으로 전후좌우 방향을 안내하는 지시램프(14)가 형성된 본체(1);
    상기 본체(1) 하측에 설치되되, 설정된 파장의 빛을 방출하는 다수의 LED(211)로 이루어지며 중앙부분에 위치한 광방출부(21)와, 하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전극돌기(221)가 상기 광방출부(21) 외측으로 배열되어 형성된 전극부(22)와, 약액이 수용된 앰플(23)이 상기 투명창(11)을 통해 확인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결합부(24)와, 상기 결합부(24)에 설치된 앰플(23)로부터 약액을 공급받는 공급부(25)와, 상기 공급부(25)와 연결되고 하측으로 돌출되어 약액을 배출하는 토출부(26)와, 상기 광방출부(21) 상에 형성되어 두피를 촬영하는 카메라(15)와, 상기 카메라(15) 전면에 형성된 발수특성을 갖는 확대경(16)으로 구성되는 자극부(2);
    미세전류를 생성하여 상기 전극부(22)를 통해 공급하는 전류제어부(31)와, 상기 광방출부(21)를 제어하는 광제어부(32)와, 상기 가속센서의 측정값을 통해 본체의 이동경로를 포함하는 움직임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동작인식부(33)와, 유형별 마사지정보가 저장되되 상기 동작인식부의 움직임정보를 분석하여 대응하는 마사지정보에 따른 움직임 가이드를 상기 지시램프(14)를 통해 지시하는 가이드부(34)와, 상기 카메라(15)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변환하여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두피와 모근의 상태정보를 생성하는 영상분석부(35)와, 상기 상태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가이드부(34)의 움직임 가이드에 반영하는 최적화부(36)를 구비하는 컨트롤러(3);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된 약액 공급이 가능하고 근적외선 및 미세전류를 활용한 두피관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26)는,
    하단에 배출구(262)가 형성된 노즐팁(261)과, 약액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판(263)이 설치되고 상기 노즐팁(261)이 하측에 삽입되어 설정된 구간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된 노즐몸체(264)와, 상기 노즐팁(261)을 하측으로 밀어주는 스프링(265)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된 약액 공급이 가능하고 근적외선 및 미세전류를 활용한 두피관리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앰플(23)은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되,
    상기 본체(1)는 상기 투명창(11)을 마주보는 내벽에 설치되어 설치된 앰플(23)을 향해 빛을 방출하는 확인램프(1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된 약액 공급이 가능하고 근적외선 및 미세전류를 활용한 두피관리기.
  4. 삭제
  5. 삭제
KR1020190076556A 2019-06-26 2019-06-26 내장된 약액 공급이 가능하고 근적외선 및 미세전류를 활용한 두피관리기 KR1023176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6556A KR102317653B1 (ko) 2019-06-26 2019-06-26 내장된 약액 공급이 가능하고 근적외선 및 미세전류를 활용한 두피관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6556A KR102317653B1 (ko) 2019-06-26 2019-06-26 내장된 약액 공급이 가능하고 근적외선 및 미세전류를 활용한 두피관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066A KR20210001066A (ko) 2021-01-06
KR102317653B1 true KR102317653B1 (ko) 2021-10-27

Family

ID=74128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6556A KR102317653B1 (ko) 2019-06-26 2019-06-26 내장된 약액 공급이 가능하고 근적외선 및 미세전류를 활용한 두피관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76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1559A (ko) 2021-04-13 2022-10-20 김보훈 미세전류 인가 방식의 두피 관리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6492B1 (ko) * 2007-06-26 2009-03-05 주식회사 제이앤엘 휴대용 발모기
KR101105724B1 (ko) * 2010-11-03 2012-01-17 주식회사 에코마인 두피 및 모발용 광학 치료기기
KR101454799B1 (ko) * 2008-03-27 2014-11-03 렉쌈 헬스케어 라 베르삘리에르 액체 방울 방출 장치
CN207666972U (zh) * 2017-03-14 2018-07-31 深圳市波米科技有限公司 多功能补水仪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5149B1 (ko) 2014-11-27 2016-05-12 이재원 진동 두피 모발 마사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6492B1 (ko) * 2007-06-26 2009-03-05 주식회사 제이앤엘 휴대용 발모기
KR101454799B1 (ko) * 2008-03-27 2014-11-03 렉쌈 헬스케어 라 베르삘리에르 액체 방울 방출 장치
KR101105724B1 (ko) * 2010-11-03 2012-01-17 주식회사 에코마인 두피 및 모발용 광학 치료기기
CN207666972U (zh) * 2017-03-14 2018-07-31 深圳市波米科技有限公司 多功能补水仪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066A (ko) 2021-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74891C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non-invasive neurostimulation therapy of the brain
KR102173357B1 (ko) 교환가능하고 구별가능한 마사지 헤드가 설치된 마사지 기기
KR200396456Y1 (ko) 안면 피부 리쥬브네이트.
WO2015008154A2 (en) Self-administrable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non-invasive neurostimulation therapy of the brain
US20080139976A1 (en) Fingertip Stimulating Apparatus
JP3126750U (ja) 皺とり器
EP2510976A1 (en) Device for hair growth stimulation
KR102137865B1 (ko) 휴대용 다기능 피부 미용 치료기
KR20190099371A (ko) 피부 미용 및 치료 시스템
KR102317653B1 (ko) 내장된 약액 공급이 가능하고 근적외선 및 미세전류를 활용한 두피관리기
KR20110104377A (ko) 발열수단이 구비된 화장품 케이스
KR102223342B1 (ko) 두피 마사지기
JP7385237B2 (ja) 皮膚管理装置
KR102125770B1 (ko) 마이크로니들 플레이트의 부스터
KR101226939B1 (ko) 안면 피부관리용 마스크의 제어장치
KR200462094Y1 (ko) 피부 미용 장치
KR102557314B1 (ko) 안면 피부관리용 마스크 장치
KR102512824B1 (ko) 피부자극장치
KR200404931Y1 (ko) 발광다이오드를 부착한 두피 마사지 기기
RU57608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кстракорпорального ультрафиолетового облучения крови
KR20200115354A (ko) 두피 관리 장치
CN219125589U (zh) 一种多功能梳子
KR102663911B1 (ko) 피부 관리 장치
KR102299915B1 (ko) 레이저 뜸 치료기
KR20190128960A (ko) 이온화된 앰플 주입형 미용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