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7261B1 - 태양광발전시설 부지적합여부 판단시스템 - Google Patents

태양광발전시설 부지적합여부 판단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7261B1
KR102317261B1 KR1020180152777A KR20180152777A KR102317261B1 KR 102317261 B1 KR102317261 B1 KR 102317261B1 KR 1020180152777 A KR1020180152777 A KR 1020180152777A KR 20180152777 A KR20180152777 A KR 20180152777A KR 102317261 B1 KR102317261 B1 KR 1023172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te
power generation
determination unit
location
analy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2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5879A (ko
Inventor
황호득
Original Assignee
신나라에너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나라에너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나라에너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52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7261B1/ko
Publication of KR20200065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58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7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72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50Systems or methods supporting the power network operation or management, involving a certain degree of interaction with the load-side end user applica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정위치에 대한 태양광발전시설 부지 적합 여부를 판단하고, 적합부지에 대한 발전량 및 경제성을 제공할 수 있는 태양광발전시설 부지적합여부 판단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선택된 위치에 대한 지형 및 지적정보를 기반으로, 태양광발전시설에 대한 개발행위허가 및 자치법규에 따른 부지 적합 여부를 판단하고, 계통연계 가능 여부, 문화재 보존구역 여부, 생태자연도 등급분석, 진입도로 확보 가능여부, 산사태 위험 등급분석 및 토양정보 분석을 통해, 부지적합여부를 판단하는 부지적합여부 판단부 및 상기 부지적합여부 판단부에 의해 상기 선택된 위치가 태양광발전시설 부지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위치에 대해 분석된 계통연계시 발생되는 선로설계비용, 예상배치용량 및 예측민원정보를 기반으로 최종 적합부지를 판단하여 제공하며, 최종 적합부지에 대해 예측된 예상발전량 및 경제성을 제공하는 결과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발전시설 부지적합여부 판단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태양광발전시설 부지적합여부 판단시스템{System for determining whether a site is suitable for solar energy generation facility}
본 발명은 특정위치에 대한 태양광발전시설 부지 적합 여부를 판단하고, 적합부지에 대한 발전량 및 경제성을 제공할 수 있는 태양광발전시설 부지적합여부 판단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선택된 위치에 대한 지형 및 지적정보를 기반으로, 태양광발전시설에 대한 개발행위허가 및 자치법규에 따른 부지 적합 여부를 판단하고, 계통연계 가능 여부, 문화재 보존구역 여부, 생태자연도 등급분석, 진입도로 확보 가능여부, 산사태 위험 등급분석 및 토양정보 분석을 통해, 부지적합여부를 판단하는 부지적합여부 판단부 및 상기 부지적합여부 판단부에 의해 상기 선택된 위치가 태양광발전시설 부지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위치에 대해 분석된 계통연계시 발생되는 선로설계비용, 예상배치용량 및 예측민원정보를 기반으로 최종 적합부지를 판단하여 제공하며, 최종 적합부지에 대해 예측된 예상발전량 및 경제성을 제공하는 결과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발전시설 부지적합여부 판단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태양광발전은 태양이 비추는 지역이라면 장소 제한이 가장 적으며, 또한 소형의 시설에서부터 대형의 시설까지 운영자가 원하는 형태로 다양하게 제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더욱 선호되고 있다.
이러한 태양광발전시설의 설치 및 운용하기 위해, 적지 않은 비용이 필요하기 때문에, 설치에 앞서 자신이 설치하고자 하는 태양광발전에 따른 발전량이라던가 수익 등을 미리 알고, 타당성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등록특허 제10-1269587호와 같이 태양광발전소의 경제성을 검토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었으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한 정보들을 사용자가 직접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하며, 태양광발전시설을 설치하고자 하는 지역이 태양광발전시설에 관한 법률, 조례, 규칙 또는 훈령에 저촉되는지 여부를 사용자가 직접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태양광발전시설을 설치하고자 하는 지역에 대한 정보를 직접 입력하거나 태양광발전시설을 설치하고자 하는 지역이 태양광발전시설에 관한 법률, 조례, 규칙 또는 훈령에 저촉되는지를 일일이 확인하지 않고도 부지적합 여부 판단할 수 있는 시스템이 요구된다.
1. 한국등록특허 제10-1269587호(2013.06.05)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은 특정위치에 대한 태양광발전시설 부지 적합 여부를 판단하고, 적합부지에 대한 발전량 및 경제성을 제공할 수 있는 태양광발전시설 부지적합여부 판단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태양광발전시설 부지적합여부 판단시스템은 선택된 위치에 대한 지형 및 지적정보를 기반으로, 태양광발전시설에 대한 개발행위허가 및 자치법규에 따른 부지 허가여부를 판단하고, 계통연계 가능 여부, 문화재 보존구역 여부, 생태자연도 등급분석, 진입도로 확보 가능여부, 산사태 위험 등급분석 및 토양정보 분석을 통해, 부지적합여부를 판단하는 부지적합여부 판단부 및 상기 부지적합여부 판단부에 의해 상기 선택된 위치가 태양광발전시설 부지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위치에 대해 분석된 계통연계시 발생되는 선로설계비용, 예측민원정보를 기반으로 최종 적합부지를 판단하여 제공하며, 최종 적합부지에 대해 예측된 예상배치용량, 예상발전량 및 경제성을 제공하는 결과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과 제공부는, 상기 선택된 위치가 태양광설비 부적합부지로 판단되면 부적합 알림을 제공하며, 상기 선택된 위치를 중심으로 기설정영역 또는 상기 선택된 위치를 포함하는 지역 내에서 상기 부지적합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적합부지를 추출하도록 상기 부지적합여부 판단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지적합여부 판단부에서 적합한 부지로 판단되면, 예측되는 민원 원인 및 민원인을 분석하여 점수화하고, 해당 위치의 민원통계를 가중치로 적용하여 민원점수를 산출하는 민원 분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과제공부는, 상기 부지적합여부 판단부에서 적합한 부지로 판단된 위치에 대하여 분석된 선로설계비용 및 민원점수가 기준치보다 낮은 위치를 최종 적합부지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지적합여부 판단부에서 적합한 부지로 판단되면, 해당 위치에서 예상되는 예상배치용량을 분석하는 예상 배치용량 분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과제공부는, 최종 적합부지로 판단된 위치가 다수 개이면, 예상배치용량은 높은 순위이면서 민원점수 및 계통연계 선로설계비용은 낮은 순위인 적합부지를 우선순위로 제공하되, 예상발전량 및 경제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결과제공부는, 상기 최종 적합부지에 대한 예상발전량을 산출하고, 시설발전량, REC(Renewable Energy Certificate) 가중치발전량, SMP(System Marginal Price) 전력판매수익 및 REC 인증서판매수익을 포함하는 경제성 분석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시설발전량은 시설용량*일일평균 일조시간, REC 가중치발전량은 일일발전량*기설정 가중치, SMP판매수익은 일일발전량*SMP평균거래단가 및 REC판매수익은 REC가중치발전량*입찰단가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태양광발전시설 부지적합여부 판단시스템은 특정위치에 대한 태양광발전시설 부지적합성 판단을 위한 조건을 일일이 검색 및 분석할 필요없이, 위치선택시 해당 위치에 대한 부지적합여부 및 적합부지에 대한 발전량 및 경제성을 확인할 수 있도록 분석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선택된 위치가 부적합 부지로 판단될 시, 선택된 위치를 기준으로 기설정범위 또는 해당지역 내에서의 적합부지를 추출하여 제공함으로써 태양광발전시설 부지설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예상배치용량, 민원점수 및 선로설계비용을 기반한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적합부지를 제공함으로써 태양광발전시설 부지설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태양광발전시설 부지적합여부 판단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부지적합여부 판단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지적합 여부를 제공하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태양광발전시설 부지적합여부 판단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블록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태양광발전시설 부지적합여부 판단시스템은 부지적합여부 판단부(110), 예상 배치용량 분석부(120), 민원분석부(130) 및 결과제공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태양광발전시설 부지적합여부 판단시스템은 특정위치, 특정영역에 대한 태양광발전시설 부지적합성 판단을 위한 조건을 일일이 검색 및 분석할 필요없이, 위치선택시 해당 위치에 대한 부지적합여부 및 적합부지에 대한 발전량 및 경제성을 확인할 수 있도록 분석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이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태양광발전시설 부지적합여부 판단시스템은 외부의 정보제공서버(미도시)로부터 부지적합성 판단시 필요한 자료를 추출하여 활용할 수 있다.
이때, 외부의 정보제공서버는 대한민국 국토해양부가 운영하는 브이월드(Vworld), 토지이용계획확인원 제공서버, 산지정보조회 제공서버, 온나라부동산정보 제공서버, 대한민국 임엄진흥원 필지별 분석서비스 제공서버, 한전의 계통연계 제공서버, 문화재보존관리지도 제공서버, 국토환경성평가지도 제공서버 및 지도 제공서버 등이 될 수 있다.
부지적합여부 판단부(110)는 태양광발전시설 부지판단을 위해 선택된 위치에 대한 지형 및 지적정보를 기반으로, 태양광발전시설에 대한 개발행위허가 및 자치법규에 따른 부지 적합 여부를 판단하고, 계통연계 가능 여부, 문화재 보존구역 여부, 생태자연도 등급분석, 진입도로 확보 가능여부, 산사태 위험 등급분석 및 토양정보 분석을 통해, 부지적합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태양광발전시설 부지판단을 위해 선택된 위치는, 지도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영역 또는 지점이 될 수 있으며, 주소지 입력을 통해 선택될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의 부지적합여부 판단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 블록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부지적합여부 판단부(110)는 지형 및 지적정보 판단부(111), 허가여부 판단부(112), 부지환경 판단부(113), 계통연계 판단부(114), 진입도로 판단부(115) 및 제어부(11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16)는 지형 및 지적정보 판단부(111), 허가여부 판단부(112), 부지환경 판단부(113), 계통연계 판단부(114) 및 진입도로 판단부(115)의 판단결과가 모두 적합부지로 판단되는 경우, 선택된 위치를 적합부지로 판단하여 결과제공부(150)로 판단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지형 및 지적정보 판단부(111)는 브이월드를 활용하여 선택된 위치에 대한 지형을 분석할 수 있다. 이때, 분석된 지형은 선택된 위치를 기반으로 기설정범위의 영역을 나타내는 지도상(지번표기)에 고도 및 거리 측정을 통해 산출된 경사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지형 및 지적정보 판단부(111)는 토지이용계획 확인원을 통해 해당 위치에 대한 토지이용계획확인원, 산지정보, 필지별분석정보 등을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토지이용계획확인원은 지적면적, 지역/지구 지정여부(일 예로, 계획관리지역 등) 개별공시지가 등에 대한 정보가 될 수 있다.
또한, 산지정보는 산지구분현황(보전,준보전)이 되고, 필지별분석정보는 선택위치에 대한 표고, 방위, 경사도 등의 정보가 될 수 있다.
지형 및 지적정보 판단부(111)는 선택위치에 대한 분석지형을 기반으로, 토지이용계획, 도시계획, 개발행위허가, 지구단위계획 규제가 있는 위치를 맵핑하여 태양광발전시설 부지로 이용할 수 있는 위치인지 제1판단할 수 있다.
허가여부 판단부(112)는 태양광발전시설 개발행위허가 및 자치법규분석을 통해 부지 허가여부를 제2판단할 수 있다. 이때, 태양광발전시설의 개발과 관련한 정부의 법령, 조례, 지침 등을 활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허가여부 판단부(112)는 지형 및 지적정보 판단부(111)에 의해 판단된 해당 위치의 지형 및 지적정보를 이용하여, 이격거리(도로경계로부터의 거리, 주거지경계로부터의 거리, 관광지/공공시설/문화재 경계로부터의 거리), 경사도, 표고 등의 규제조건에 해당 위치가 부합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부지환경 판단부(113)는 문화재 보존영향 분석, 생태자연도 분석, 산사태 위험등급 분석 및 토양 정보 분석 등을 수행하여, 각 분석결과가 태양광발전시설 부지로 적합한지를 제3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부지환경 판단부(113)는 문화재보존관리지도를 활용하여 해당 위치의 문화재보존관리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문화재보전관리지역이 아닌 경우 태양광발전시설 부지 적합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부지환경 판단부(113)는 국토환경성평가지도 및 환경공간정보서비스를 활용하여 도시생태계보전가치에 따른 등급을 판단하여, I등급 및 Ⅱ등급 토지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I등급 및 Ⅱ등급에 해당되지 않는 경우, 적합부지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등급기준은 법령, 조례, 지침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부지환경 판단부(113)는 한국 임업진흥원 필지별 분석서비스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해당위치의 산사태 위험등급 및 토양정보(토양깊이, 토성, 건습도 등)를 분석하여 기설정기준에 따른 부지적합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계통연계 판단부(114)는 해당위치에서 계통연계조건을 제4판단할 수 있다. 이때, 태양광발전을 통해 생성되는 전력을 계통연계를 통해 수익을 올릴 수 있다. 이를 위해, 계통연계조건 분석이 필요하며, 한국전력공사의 분산전원 연계정보를 통해 분석할 수 있다. 계통연계 판단부(114)는 계통연계 가능여부, 계통연계 가능시 여유용량 및 선로설비비용 등을 판단할 수 있으며, 계통연계 가능한 경우 선로설비비용이 기준비용범위인 경우 적합부지로 판단할 수 있다.
진입도로 판단부(115)는 해당 위치를 기반으로 태양광발전시설 설비를 위한 진입도로 확보가능여부를 제5판단할 수 있다. 이때, 진입도로확보를 위해, 지목상도로 및 구거점용허가가 필요한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위치를 중심으로 기설정범위 내에서 진입위치 고려를 통한 진입도로 위치를 설정하고, 설정된 진입도로 위치가 지목상 도로 및 구거점용허가 등이 필요한 위치인지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1차적으로 판단된 적합부지의 위치를 기준으로 기설정범위를 설정하고, 해당 설정범위의 지도정보를 이용하여 지적상의 도로를 파악하여 진입도로 적합위치를 추출하고, 추출된 적합위치가 지목상 도로 및 구거점용허가 등이 필요한 위치인지 판단할 수 있다.
진입도로 판단부(115)의 제5판단결과 즉, 적합부지여부는 제어부(116)로 전송하고, 진입도로 위치가 지목상 도로 및 구거점용허가를 통해 진입도로를 확보할 수 있는 경우 적합부지로 판단하여 결과제공부(14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진입도로 판단부(115)의 분석정보는 민원분석부(130)로 제공되어 진입도로 확보시 발생될 수 있는 민원여부를 예측할 수 있다.
제어부(116)는 제1 내지 제5 판단에 따른 부지적합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5 판단이 모두 부지적합으로 판단된 경우에만, 해당 위치를 1차적으로 적합부지로 판단할 수 있으며, 1차적 적합부지 판단여부를 결과제공부(140)로 제공할 수 있다.
예상 배치용량 분석부(120)는 1차적으로 판단된 적합부지의 개발 가능한 부지면적을 kw당 소요평수로 나눈 값을 평단위로 환산하여 산출할 수 있다. 즉, 일 예로 개발 가능한 부지면적이 19,680m2이고, kw당 소요평수가 4.9평이면, 3.3(평형)으로 환산하여 1217kw(5963평)의 예상배치용량을 산출할 수 있다.
예상 배치용량 분석부(120)는 해당위치에 따른 예상배치용량을 결과제공부(140)로 제공할 수 있다.
민원 분석부(130)는 진입도로 판단부(115)로부터 수신된 진입도로 분석정보를 수신하여 민원발생여부를 예측하고, 예측되는 민원원인 및 민원인을 분석하여 점수화한 후, 해당 위치의 민원통계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하여 민원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민원 분석부(130)는 추출된 적합위치가 지목상 도로 및 구거점용허가 등이 필요한 위치이면, 해당 허가를 위한 자료를 추출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진입도로 추출위치의 주변환경파악을 통해 민원원인 및 민원인을 분석할 수 있다.
일 예로, 진입도로 확보지 주변이 경작지(민원원인)이면, 경작지의 소유주 또는 경작자를 민원인으로 예측할 수 있다. 주변환경에서 파악되는 민원인 수를 가산하고, 해당위치 또는 해당지역에서 발생된 민원통계를 가산된 민원인 수에 가중치로 적용함으로써 민원분석정보를 점수화할 수 있다. 여기서, 가중치는 해당위치 또는 해당지역에서 기설정기간 동안 발생된 누적 민원통계치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누적 민원통계치가 높을수록 가중치가 커질 수 있다.
민원 분석부(130)는 산출된 민원점수를 결과제공부(140)로 제공할 수 있다.
결과 제공부(140)는 부지적합여부 판단부(110)의 제어부(116)에 의해, 선택된 위치가 태양광발전시설 부지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위치에 대해 분석된 계통연계시 발생되는 선로설계비용, 예측민원정보를 기반으로 최종 적합부지를 판단하여 제공하며, 최종 적합부지에 대해 예측된 예상배치용량, 예상발전량 및 경제성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과 제공부(140)는 제어부(116)에서 적합한 부지로 판단된 위치에 대하여 분석된 선로설계비용 및 민원점수가 기준치보다 낮은 위치를 최종 적합부지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결과 제공부(140)는 선택된 위치가 태양광발전설비 부적합부지로 판단되면 부적합 사유와 함께 부적합 알림을 제공하며, 기선택된 위치를 중심으로 기설정영역 또는 기선택된 위치를 포함하는 지역 내에서 부지적합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적합부지를 추출하도록 부지적합여부 판단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새로운 위치에 대한 부지적합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또한, 결과 제공부(140)는 최종 적합부지로 판단된 위치가 다수 개이면, 예상배치용량은 높은 순위이면서 민원점수 및 계통연계 선로설계비용은 낮은 순위인 적합부지를 우선순위로 제공하되, 예상발전량 및 경제성을 제공할 수 있다.
결과 제공부(140)는 최종 적합부지로 판단된 해당위치의 면적, 설비 타입 및 패널설치 방향, 해당 위치의 평균경사도, 전체면적 대비 음영면적의 비율, 해당 주소지의 지난 기설정기간 평균 일조시간, 일사량, 월별 또는 일별 평균기온, 평균풍속/강수량, 경사각 및 고도각 등을 고려하여 예상발전량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결과제공부(140)는 최종 적합부지에 대한 예상발전량을 산출하고, 시설발전량, REC(Renewable Energy Certificate) 가중치발전량, SMP(System Marginal Price) 전력판매수익 및 REC 인증서판매수익을 포함하는 경제성 분석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시설발전량은 시설용량*일일평균 일조시간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또한, REC 가중치발전량은 일일발전량*기설정 가중치에 의해 산출되고, SMP판매수익은 일일발전량*SMP평균거래단가에 의해 산출되며, REC판매수익은 REC가중치발전량*입찰단가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결과제공부(140)에 의한 최종 부지적합 여부 결과는 도 3과 같이 도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결과제공부(140)에 의해 분석된 예상배치용량, 예상발전량 및 경제성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위치선택만으로 각 거점 및 각 거점의 지점에 대한 태양광발전량 및 경제성을 추정할 수 있다.
한편, 도 3은 설명의 이해를 위한 실시 예로, 다양한 형태로 시물레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도 1 내지 도 3을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 1 내지 도 3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110 : 부지적합여부 판단부 120 : 예상 배치용량 분석부
130 : 민원 분석부 140 : 결과 제공부
111 : 지형 및 지적정보 판단부 112 : 허가여부 판단부
113 : 부지환경 판단부 114 : 계통연계 판단부
115 : 진입도로 판단부 116 : 제어부

Claims (5)

  1. 선택된 위치에 대한 지형 및 지적정보를 기반으로, 태양광발전시설에 대한 개발행위허가 및 자치법규에 따른 부지 허가여부를 판단하고, 계통연계 가능 여부, 문화재 보존구역 여부, 생태자연도 등급분석, 진입도로 확보 가능여부, 산사태 위험 등급분석 및 토양정보 분석을 통해, 부지적합여부를 판단하는 부지적합여부 판단부;
    상기 부지적합여부 판단부에서 적합한 부지로 판단되면, 예측되는 민원 원인 및 민원인을 분석하여 점수화하고, 해당 위치의 민원통계를 가중치로 적용하여 민원점수를 산출하는 민원 분석부; 및
    상기 부지적합여부 판단부에 의해 상기 선택된 위치가 태양광발전시설 부지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위치에 대해 분석된 계통연계시 발생되는 선로설계비용, 예측민원정보를 기반으로 최종 적합부지를 판단하여 제공하며, 최종 적합부지에 대해 예측된 예상배치용량, 예상발전량 및 경제성을 제공하는 결과 제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부지적합여부 판단부는 지형 및 지적정보 판단부, 허가여부 판단부, 부지환경 판단부, 계통연계 판단부, 및 진입도로 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형 및 지적정보 판단부는 상기 선택위치에 대한 분석지형을 기반으로, 토지이용계획, 도시계획, 개발행위허가, 지구단위계획 규제가 있는 위치를 맵핑하여 태양광 발전시설 부지로 이용할 수 있는 위치인지 판단하며,
    상기 허가여부 판단부는 상기 태양광발전시설에 대한 개발행위허가 및 자치법규에 따른 부지 허가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부지환경 판단부는 상기 문화재 보존구역 여부 및 상기 생태자연도 등급분석을 수행하여 태양광발전시설 부지로 적합한 지를 판단하고,
    상기 계통연계 판단부는 계통연계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진입도로 판단부는 상기 진입도로확보를 위해 지목상도로 및 구거점용허가가 필요한지 판단하여 상기 진입도로 확보 가능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민원 분석부는 상기 진입도로 판단부로부터 수신된 진입도로 분석정보를 수신하여 민원발생여부를 예측하고, 상기 예측되는 민원원인 및 민원인을 분석하여 점수화한 후, 해당 위치의 상기 민원통계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하여 민원점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발전시설 부지적합여부 판단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과 제공부는,
    상기 선택된 위치가 태양광설비 부적합부지로 판단되면 부적합 알림을 제공하며, 상기 선택된 위치를 중심으로 기설정영역 또는 상기 선택된 위치를 포함하는 지역 내에서 부지적합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적합부지를 추출하도록 상기 부지적합여부 판단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발전시설 부지적합여부 판단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과제공부는,
    상기 부지적합여부 판단부에서 적합한 부지로 판단된 위치에 대하여 분석된 선로설계비용 및 민원점수가 기준치보다 낮은 위치를 최종 적합부지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발전시설 부지적합여부 판단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지적합여부 판단부에서 적합한 부지로 판단되면, 해당 위치에서 예상되는 예상배치용량을 분석하는 예상 배치용량 분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과제공부는,
    최종 적합부지로 판단된 위치가 다수 개이면, 예상배치용량은 높은 순위이면서 민원점수 및 계통연계 선로설계비용은 낮은 순위인 적합부지를 우선순위로 제공하되, 예상발전량 및 경제성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발전시설 부지적합여부 판단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과제공부는,
    상기 최종 적합부지에 대한 예상발전량을 산출하고, 시설발전량, REC(Renewable Energy Certificate) 가중치발전량, SMP(System Marginal Price) 전력판매수익 및 REC 인증서판매수익을 포함하는 경제성 분석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시설발전량은 시설용량*일일평균 일조시간, REC 가중치발전량은 일일발전량*기설정 가중치, SMP판매수익은 일일발전량*SMP평균거래단가 및 REC판매수익은 REC가중치발전량*입찰단가에 의해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발전시설 부지적합여부 판단시스템.
KR1020180152777A 2018-11-30 2018-11-30 태양광발전시설 부지적합여부 판단시스템 KR1023172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2777A KR102317261B1 (ko) 2018-11-30 2018-11-30 태양광발전시설 부지적합여부 판단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2777A KR102317261B1 (ko) 2018-11-30 2018-11-30 태양광발전시설 부지적합여부 판단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5879A KR20200065879A (ko) 2020-06-09
KR102317261B1 true KR102317261B1 (ko) 2021-10-27

Family

ID=71082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2777A KR102317261B1 (ko) 2018-11-30 2018-11-30 태양광발전시설 부지적합여부 판단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72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18854B (zh) * 2021-12-03 2022-10-21 中国科学院地理科学与资源研究所 一种道路网络扩展对景观生态风险影响的评估方法和装置
CN116451978B (zh) * 2023-06-15 2023-09-12 山东泰霖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风光电能源网架规划分析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3671B1 (ko) 2015-10-30 2017-05-08 장영상 태양광 발전 온라인 설계와 인허가 문서 작성 시스템 및 방법
KR101893340B1 (ko) * 2018-04-04 2018-09-04 에너지코리아 주식회사 태양광발전시설 부지 타당성 분석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6576B1 (ko) * 2011-05-26 2013-10-15 대한민국 풍력발전소 적지 분석 시스템 및 방법
KR101269587B1 (ko) 2012-12-27 2013-06-05 권오현 지리정보시스템 기반의 태양광발전 경제성분석 시스템 및 중개시스템
KR101663369B1 (ko) * 2014-08-20 2016-10-07 한국전력공사 분산형 태양광발전소의 경제성 검토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3671B1 (ko) 2015-10-30 2017-05-08 장영상 태양광 발전 온라인 설계와 인허가 문서 작성 시스템 및 방법
KR101893340B1 (ko) * 2018-04-04 2018-09-04 에너지코리아 주식회사 태양광발전시설 부지 타당성 분석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5879A (ko) 2020-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6426B1 (ko) 상세기상 예측정보 실시간 운영 시스템과 이를 이용하는 폭염 및 열대야 영향 예보 활용 방법
Schallenberg-Rodríguez et al. Evaluation of on-shore wind techno-economical potential in regions and islands
Tabrizi et al. Performance and safety of rooftop wind turbines: Use of CFD to gain insight into inflow conditions
Brower Wind resource assessment: a practical guide to developing a wind project
CN107944632A (zh) 一种基于开发地图的风电场选址系统及选址方法
Xydis A techno-economic and spatial analysis for the optimal planning of wind energy in Kythira island, Greece
Petersen In search of the wind energy potential
Kim et al. Siting criteria and feasibility analysis for PV power generation projects using road facilities
Effat Spatial modeling of optimum zones for wind farms using remote sensing an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pplication in the Red Sea, Egypt
KR101893340B1 (ko) 태양광발전시설 부지 타당성 분석 시스템
KR101733671B1 (ko) 태양광 발전 온라인 설계와 인허가 문서 작성 시스템 및 방법
KR102317261B1 (ko) 태양광발전시설 부지적합여부 판단시스템
Sozen et al. Selection of the best location for solar plants in Turkey
Olsen et al. Small wind site assessment guidelines
Aboushal Applying GIS Technology for optimum selection of Photovoltaic Panels “Spatially at Defined Urban Area in Alexandria, Egypt”
Kariniotakis et al. Next generation forecasting tools for the optimal management of wind generation
Marciukaitis et al. Wind power usage and prediction prospects in Lithuania
McKenna et al. Determination of cost–potential-curves for wind energy in the German federal state of Baden-Württemberg
Al-Rashidi et al. Investigation of the efficiency of existing air pollution monitoring sites in the state of Kuwait
Monteiro et al. Evaluation of electrification alternatives in developing countries-the SOLARGIS tool
Araneo et al. Low-environmental impact routeing of overhead power lines for the connection of renewable energy plants to the italian HV grid
Haine et al. Towards solar urban planning: A new step for better energy Performance case of study Ibenbadis, Constantine (Algeria)
Gonçalves et al. Multi-criteria assessment of potential regions for wind power generation in the State of Rio de Janeiro
Hansen et al. Wind Atlas for South Africa (WASA)–Best practice guide for application of WASA
Hossain Python based location analysis of wind mills in urban environ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