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6992B1 - 상용차를 위한 고전압/저전압 컨버터 장치 - Google Patents

상용차를 위한 고전압/저전압 컨버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6992B1
KR102316992B1 KR1020210066188A KR20210066188A KR102316992B1 KR 102316992 B1 KR102316992 B1 KR 102316992B1 KR 1020210066188 A KR1020210066188 A KR 1020210066188A KR 20210066188 A KR20210066188 A KR 20210066188A KR 102316992 B1 KR102316992 B1 KR 1023169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full
output
battery
conve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6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구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디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디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디엠
Priority to KR1020210066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69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6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69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493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he static converters being arranged for operation in paralle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02J7/0014Circuits for equalisation of charge between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64Magnetic structures combining different functions, e.g. storage, filtering or transform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83Converter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or output configuration
    • H02M1/009Converter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or output configuration having two or more independently controlled outpu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4815Resonant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53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7/53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 H02M7/538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in a bridge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20Charging or discharging characterised by the power electronics conver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전압과 고전압을 개별적으로 출력할 수 있는 상용차를 위한 고전압/저전압 컨버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고전압 배터리 전원(1), 입력단이 상기 고전압 배터리 전원(1)과 연결되고, 2개의 스위칭 레그를 포함하는 풀 브리지 인버터부(110)를 포함해 고전압을 출력하는 풀 브리지 컨버터(100), 상기 2개의 스위칭 레그 중, 하나의 스위칭 레그와 연결되어 저전압을 출력하는 하프 브리지 컨버터(200) 및 외부의 지령에 따라 상기 풀 브리지 컨버터(100) 및 상기 하프 브리지 컨버터(200)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상용차를 위한 고전압/저전압 컨버터 장치{High voltage/low voltage converter device for commercial vehicles}
본 발명은 상용차를 위한 고전압/저전압 컨버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종래 상용차에서 사용되는 풀 브리지 인버터 기반 상용차에 적용되는 12V/24V 컨버터 시스템 구조 및 배터리 이퀄라이저 컨버터에 비해, 고전압 출력이 필요하지 않을 때, 고전압을 출력하지 않고도 저전압을 출력할 수 있는 저전압 컨버터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001은 스위칭 전력 손실을 개선한 DC-DC컨버터 및 그 제어 방법이며, 외부로부터 공급된 제1직류전원을 제2직류전원으로 생성 출력하기 위한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컨버터에 있어서, 모스펫(SW), 출력단 커패시터(CO), 제1커패시터(C1), 출력단 저항(RO), 출력단 다이오드(DO), 제1다이오드(D1), 제2다이오드(D2), 제1인덕터(L1) 및 제2인덕터(L2)로 구성된 2차 승압형 컨버터(100), 제2커패시터(C2), 제3커패시터(C3), 제3다이오드(D3), 제4다이오드(D4)로 구성된 차지 펌프 회로(200) 및 상기 차지 펌프 회로(200)의 차지 펌핑 경로에 직렬 연결된 제3인덕터(L3)를 포함하는 스위칭 전력 손실을 개선한 DC-DC컨버터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2는 상용차를 위한 고전압/저전압 컨버터 구조이며, 인덕터를 통해 입력 측과 연결되며, 서로 병렬로 연결된 복수의 클램프 스위치 및 상기 복수의 클램프 스위치에 연결된 클램프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클램프부, 상기 클램프부와 병렬로 연결되며, 제1 내지 제 4 스위치를 포함하는 제1 스위칭부, 상기 제1 스위칭부와 연결된 변압기 및 상기 변압기와 출력 측 사이에 연결되며, 제5 내지 제 8 스위치를 포함하는 제2 스위칭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칭부는, 상기 입력 측의 입력 전압을 승압하여 출력 측으로 제공하거나 상기 출력 측의 출력 전압을 강압하여 상기 입력 측으로 제공하기 위해, 모드에 따른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상용차를 위한 고전압/저전압 컨버터 구조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3은 단일전력단 AC-DC 컨버터이며, 3상 또는 단상 교류전원에 연결되어 교류전원을 입력받고, 상기 교류전원의 입력역률 및 전고조파왜형률을 개선하는 입력필터, 상기 입력필터에 연결된 복수의 승압인덕터들을 통해 전달된 상기 교류전원을 정류하여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입력정류부 및 상기 직류전원의 레벨을 변환하여 출력하는 DC-DC 변환부를 포함하되, 상기 DC-DC 변환부는, 링크(Link)단에 각각 직렬연결된 복수의 입력커패시터들 및 복수의 스위칭소자들과, 상기 복수의 스위칭소자들 중 적어도 하나에 접속된 한 개의 공진탱크들-상기 공진탱크는 변압기, 공진커패시터 및 플라잉커패시터를 포함하고, 복수의 스위칭소자들의 교번 스위칭동작에 따라 상기 변압기의 2차측 권선에 전압을 인가함-을 포함하는 1차측 회로 및 상기 변압기의 2차측 권선에 연결되어 공진부하전류를 개별 정류하는 복수의 다이오드들을 포함하는 2차측 출력정류부를 포함하는 단일전력단 AC-DC 컨버터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4는 상용차를 위한 고전압/저전압 컨버터 구조 및 그의 제어 방법이며, DC입력을 수신하며 캐패시턴스가 조정될 수 있는 전자기 간섭 필터부(EMI Filter), 상기 전자기 간섭 필터의 출력을 제1 AC전류로 변경하는 컨버터(Converter), 상기 설정된 비율에 대응하여 상기 제1 AC전류를 제2 AC전류로 변환하는 변환부(Transformer), 상기 제2 AC전류를 정류하여 DC출력을 생성하는 정류부, 상기 DC출력의 전류를 모니터링하는 감지부 및 상기 DC출력의 전류에 대응하여 상기 캐패시턴스를 조정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상용차를 위한 고전압/저전압 컨버터 구조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KR 10-2021-0054181(2021년 05월 13일) KR 10-2017-0100163(2017년 09월 04일) KR 10-2020-0003587(2020년 01월 01일) KR 10-2018-0010367(2019년 08월 07일)
본 발명은 상용차에 있어서, 고전압을 출력하지 않더라도 저전압을 출력할 수 있는 상용차를 위한 고전압/저전압 컨버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상용차를 위한 고전압/저전압 컨버터 장치는, 고전압 배터리 전원(1), 입력단이 상기 고전압 배터리 전원(1)과 연결되고, 2개의 스위칭 레그를 포함하는 풀 브리지 인버터부(110)를 포함해 고전압을 출력하는 풀 브리지 컨버터(100), 상기 2개의 스위칭 레그 중, 하나의 스위칭 레그와 연결되어 저전압을 출력하는 하프 브리지 컨버터(200) 및 외부의 지령에 따라 상기 풀 브리지 컨버터(100) 및 상기 하프 브리지 컨버터(200)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상용차를 위한 고전압/저전압 컨버터 장치에서 상기 풀 브리지 컨버터(100)는, 1차측이 상기 풀 브리지 인버터부(110)에 연결되어 권선비에 따라 상기 풀 브리지 인버터부(110)에서 출력되는 AC 전압을 변압하는 제1변압기(120), 상기 제1변압기(120)의 2차측에 연결되어 변압된 AC 전압을 정류해 출력하는 제1정류기(130) 및 상기 제1변압기(120)의 2차측에 연결되어 상기 제1정류기(130)에서 정류된 AC전압을 평활화해 DC전압인 고전압을 출력하는 제1필터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풀 브리지 컨버터(100)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제1부하(151)상기 제1부하(151)와 병렬로 연결되되, 서로 직렬로 연결되는 제1배터리(161)와 제2배터리(162) 및 상기 제2배터리(162)와 병렬로 연결되는 제2부하(152)를 포함하는 상용차를 위한 고전압/저전압 컨버터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상용차를 위한 고전압/저전압 컨버터 장치에서 상기 하프 브리지 컨버터(200)는, 1차측이 상기 2개의 스위칭 레그 중, 하나의 스위칭 레그와 연결되어 권선비에 따라 상기 하나의 스위칭 레그에서 출력되는 AC 전압을 변압하는 제2변압기(220), 상기 제2변압기(220)의 2차측에 연결되어 변압된 AC 전압을 정류하는 제2정류기(230) 및 상기 제2정류기(230)에 연결되어 정류된 AC 전압을 평활화해 DC전압인 저전압을 출력하는 제2필터부(240)를 포함하고, 입력단이 상기 제2필터부(240)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출력단이 상기 제2배터리(162)의 양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2배터리(162)를 충전시키면서 상기 제2부하(152)에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제1배터리(161)와 상기 제2배터리(162)의 전압이 같도록 제어하는 배터리 이퀄라이저(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상용차를 위한 고전압/저전압 컨버터 장치에서 상기 제어부는, 고전압의 출력이 요구되지 않고, 저전압의 출력이 요구될 경우, 상기 하프 브리지 컨버터(200)에 연결된 스위칭 레그를 동작시켜 저전압을 출력시킨다.
본 발명에 의한 상용차를 위한 고전압/저전압 컨버터 장치에서 상기 제어부는, 고전압과 저전압의 출력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풀 브리지 인버터부(110)에 포함된 2개의 스위치 레그를 동작시켜 상기 풀 브리지 컨버터(100)에서는 고전압을, 상기 하프 브리지 컨버터(200)에서는 저전압을 출력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상용차를 위한 고전압/저전압 컨버터 장치에서 상기 하프 브리지 인버터(200)는, 상기 제2변압기(220)의 1차측과 직렬로 연결되는 제1커패시터(C1)와 제1인덕터(Lf)를 포함하는 공진회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상용차를 위한 고전압/저전압 컨버터 장치에서 상기 하프 브리지 인버터(200)는, 상기 2개의 스위칭 레그와 병렬로 연결되되, 서로 직렬로 연결되는 제1커패시터(C1)와 제2커패시터(C2) 및 상기 제2변압기(220)와 직렬로 연결되는 제1인덕터(Lf)를 포함하는 공진회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상용차를 위한 고전압/저전압 컨버터 장치는, 하프 브리지 컨버터(200)가 풀 브리지 인버터부(110)에 포함되는 하나의 스위칭 레그를 공유하여 사용하여, 풀 브리지 컨버터(100)와 별개로 동작할 수 있어, 고전압이 요구되지 않고 저전압의 발생이 요구되는 경우에도 저전압을 생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터리 이퀄라이저(300)를 위한 별도의 스위칭 인버터가 추가적으로 필요하지 않아, 종래의 기술보다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상용차에 적용되는 12V/24V 컨버터 시스템의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상용차를 위한 고전압/저전압 컨버터 장치의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상용차를 위한 고전압/저전압 컨버터 장치의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상용차를 위한 고전압/저전압 컨버터 장치의 회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상용차를 위한 고전압/저전압 컨버터 장치의 회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에서 인용하는 번호는 인용대상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구성과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발휘하는 대상은 균등한 치환대상에 해당된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상위개념은 기재하지 않은 하위개념 대상을 포함한다.
(실시예 1-1) 본 발명인 상용차를 위한 고전압/저전압 컨버터 장치는, 고전압 배터리 전원(1), 입력단이 상기 고전압 배터리 전원(1)과 연결되고, 2개의 스위칭 레그를 포함하는 풀 브리지 인버터부(110)를 포함해 고전압을 출력하는 풀 브리지 컨버터(100), 상기 2개의 스위칭 레그 중, 하나의 스위칭 레그와 연결되어 저전압을 출력하는 하프 브리지 컨버터(200) 및 외부의 지령에 따라 상기 풀 브리지 컨버터(100) 및 상기 하프 브리지 컨버터(200)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버스, 트럭 등의 상용차는 24V의 전원 체계를 가지고 있다. 다만, 상용차에는 24V인 제1부하(151)와 12V인 제2부하(152)가 있어, 고전압인 24V와 저전압인 12V를 함께 출력해야 한다.
이러한 저전압/고전압인 12V/24V를 함께 출력하는 종래의 상용차에 적용되는 12V/24V 컨버터 시스템을 설명하면, 고전압 배터리 전원(1)을 입력으로 하는 풀 브리지 컨버터(100), 풀 브리지 컨버터(100)의 출력을 입력 받아 12V로 출력하는 배터리 이퀄라이저(500)(BEQ, Battery Equalizer)를 포함한다. 풀 브리지 컨버터(100)는 두 개의 스위칭 레그를 포함하는 풀 브리지 인버터부(110), 풀 브리지 인버터부(110)에서 생성되는 AC 구형파 전압을 권선비에 따라 변압해 출력하는 제1변압기(120), 제1변압기(120)의 2차측에 연결되어 변압된 AC 구형파 전압을 정류하는 제1정류기(130), 제1정류기(130)에서 정류된 전압을 평활화하여 DC 전압을 출력하는 제1필터부(40)를 포함한다. 풀 브리지 컨버터(100)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통해 24V의 출력을 내며, 풀 브리지 컨버터(100)의 출력단에는 제1부하(151)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는다. 이 외에도 풀 브리지 컨버터(100)의 출력단에는 제1배터리(161)와 제2배터리(162)가 제1부하(151)와는 병렬로 연결되되, 서로 직렬로 연결되고, 제2부하(152)가 제2배터리(162)와 병렬로 연결된다.
배터리 이퀄라이저(300)는 풀 브리지 컨버터(100)로부터 24V의 출력을 입력받아 12V로 출력하면서, 제2부하(152)에 전원을 공급하고, 제1배터리(161)와 제2배터리(162)의 전압레벨을 동일하게 유시키면서, 제2배터리(162)를 충전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상용차에 적용되는 12V/24V 컨버터 시스템은 24V를 생성하는 풀 브리지 컨버터(100)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배터리 이퀄라이저(300)에 입력전압이 공급되지 않아, 12V의 저전압이 출력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대적으로 고전압인 24V를 출력하는 풀 브리지 컨버터(100)가 동작해야만 12V의 저전압이 출력되는 구조였으므로,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기존의 풀 브리지 컨버터(100)에, 하프 브리지 컨버터(200) 및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하프 브리지 컨버터(200)는 풀 브리지 인버터부(110)에 포함되는 2개의 스위칭 레그 중, 하나의 스위칭 레그와 연결되어, 하나의 스위칭 레그의 스위칭 동작만으로 저전압을 출력해, 풀 브리지 컨버터(100)와 하프 브리지 컨버터(200)가 서로 별개로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가 외부로부터 저전압/고전압인 12V/24V를 모두 출력하도록 지령을 받으면, 풀 브리지 인버터부(110)에 포함되는 2개의 스위칭 레그에 포함되는 스위칭 소자인 Q1, Q2, Q3, Q4를 소정의 주파수로 스위칭해, 풀 브리지 컨버터(100)와 하프 브리지 컨버터(200)로 개별적으로 전압을 출력하도록 할 수 있으며, 제어부가 외부로부터 저전압인 12V만을 출력하도록 지령을 받으면, Q1, Q3는 스위칭하고, Q2, Q4는 구동시키지 않고 0V로 유지하여, 하프 브리지 컨버터(200)로만 전압을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 1-2) 본 발명인 상용차를 위한 고전압/저전압 컨버터 장치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풀 브리지 컨버터(100)는, 1차측이 상기 풀 브리지 인버터부(110)에 연결되어 권선비에 따라 상기 풀 브리지 인버터부(110)에서 출력되는 AC 전압을 변압하는 제1변압기(120), 상기 제1변압기(120)의 2차측에 연결되어 변압된 AC 전압을 정류해 출력하는 제1정류기(130) 및 상기 제1변압기(120)의 2차측에 연결되어 상기 제1정류기(130)에서 정류된 AC전압을 평활화해 DC전압인 고전압을 출력하는 제1필터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풀 브리지 컨버터(100)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제1부하(151), 상기 제1부하(151)와 병렬로 연결되되, 서로 직렬로 연결되는 제1배터리(161)와 제2배터리(162) 및 상기 제2배터리(162)와 병렬로 연결되는 제2부하(152)를 포함하고, 상기 하프 브리지 컨버터(200)는, 1차측이 상기 2개의 스위칭 레그 중, 하나의 스위칭 레그와 연결되어 권선비에 따라 상기 하나의 스위칭 레그에서 출력되는 AC 전압을 변압하는 제2변압기(220), 상기 제2변압기(220)의 2차측에 연결되어 변압된 AC 전압을 정류하는 제2정류기(230) 및 상기 제2정류기(230)에 연결되어 정류된 AC 전압을 평활화해 DC전압인 저전압을 출력하는 제2필터부(240)를 포함하고, 입력단이 상기 제2필터부(240)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출력단이 상기 제2배터리(162)의 양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2배터리(162)를 충전시키면서 상기 제2부하(152)에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제1배터리(161)와 상기 제2배터리(162)의 전압이 같도록 제어하는 배터리 이퀄라이저(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상용차를 위한 고전압/저전압 컨버터 장치는, 풀 브리지 컨버터(100)가 제1변압기(120), 제1정류기(130), 제1필터부(140)를 포함해 24V의 고전압을 출력하고, 풀 브리지 컨버터(100)의 출력단에는 제1부하(151), 제2부하(152), 제1배터리(161), 제2배터리(162)이 연결된다. 풀 브리지 컨버터(100)의 구체적인 구성들과, 부하 및 배터리의 연결구조는 앞서 설명한 종래의 기술과 동일하며, 풀 브리지 컨버터(100)의 출력단에 배터리 이퀄라이저(300)가 없는 것이 차이점이다.
하프 브리지 컨버터(200) 또한 제2변압기(220), 제2정류기(230), 제2필터부(240)를 포함해 12V의 저전압을 출력한다. 제2변압기(220), 제2정류기(230), 제2필터부(240)는 앞서 설명한 제1변압기(120), 제1정류기(130), 제1필터부(140)에 대응된다. 즉, 제2변압기(220)는 스위칭소자인 Q1, Q3의 동작으로 인해 발생하는 AC 구형파 전압을 권선비에 따라 변압시켜 출력하고, 제2정류기(230)는 제2변압기(220)의 2차측으로 출력되는 AC 구형파 전압을 정류해 출력하며 다이오드 정류기 또는 동기 정류기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2필터부(240)는 제2정류기(230)에서 정류된 전압을 평활화한다. 제1필터부(140)와 제2필터부(140)는 일반적인 LC필터 또는 C필터가 사용될 수 있다.
배터리 이퀄라이저(300)는 하프 브리지 컨버터(200)로부터 소정의 전압을 입력받아 저전압인 12V를 출력해, 종래기술에서 배터리 이퀄라이저의 동작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는, 12V/24V를 개별적으로 출력할 수 있음과 동시에, 24V를 출력하지 않으면서 12V를 출력시킬 때, 12V를 출력하는 배터리 이퀄라이저(300)를 위한 별도의 스위칭 인버터를 추가적으로 요구하지 않으므로,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실시예 1-3) 본 발명인 상용차를 위한 고전압/저전압 컨버터 장치는 실시예 1-2에 있어서, 상기 하프 브리지 인버터(200)는, 상기 제2변압기(220)의 1차측과 직렬로 연결되는 제1커패시터(C1)와 제1인덕터(Lf)를 포함하는 공진회로를 포함한다.
제어부는 제1커패시터(C1) 및 제1인덕터(Lf)의 용량에 따른 공진주파수로 스위칭 소자인 Q1, Q2, Q3, Q4를 스위칭해, 보다 높은 효율로 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변압기(220)의 2차측에는 제2정류기(230)가 다이오드인 D1과 D2로 구현되어 2차측에서 변압된 AC 구형파 전압을 정류할 수 있으며, 제2필터부(240)는 제2변압기(240)의 2차측과 병렬로 연결되는 커패시터로 구현되어, 정류된 전압을 평활화해, DC 전압으로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 1-4) 본 발명인 상용차를 위한 고전압/저전압 컨버터 장치는 실시예 1-2에 있어서, 상기 하프 브리지 인버터(200)는, 상기 2개의 스위칭 레그와 병렬로 연결되되, 서로 직렬로 연결되는 제1커패시터(C1)와 제2커패시터(C2) 및 상기 제2변압기(220)와 직렬로 연결되는 제1인덕터(Lf)를 포함하는 공진회로를 포함한다.
제어부는 제1커패시터(C1), 제2커패시터(C2) 및 제1인덕터(Lf)의 용량에 따른 공진주파수로 스위칭 소자인 Q1, Q2, Q3, Q4를 스위칭해, 보다 높은 효율로 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변압기(220)의 2차측에는 제2정류기(230)가 다이오드인 D1과 D2로 구현되어 2차측에서 변압된 AC 구형파 전압을 정류할 수 있으며, 제2필터부(240)는 제2변압기(240)의 2차측과 병렬로 연결되는 커패시터로 구현되어, 정류된 전압을 평활화해, DC 전압으로 출력할 수 있다.
1 : 고전압 배터리 전원 100 : 풀 브리지 컨버터
110 : 풀 브리지 인버터부 120 : 제1변압기
130 : 제1정류기 140 : 제1필터부
151 : 제1부하 152 : 제2부하
161 : 제1배터리 162 : 제2배터리
200 : 하프 브리지 컨버터 220 : 제2변압기
230 : 제2정류기 240 : 제2필터부
300 : 배터리 이퀄라이저

Claims (7)

  1. 고전압 배터리 전원(1);
    입력단이 상기 고전압 배터리 전원(1)과 연결되고, 2개의 스위칭 레그를 포함하는 풀 브리지 인버터부(110)를 포함해 고전압을 출력하는 풀 브리지 컨버터(100);
    상기 2개의 스위칭 레그 중, 하나의 스위칭 레그와 연결되어 저전압을 출력하는 하프 브리지 컨버터(200); 및
    외부의 지령에 따라 상기 풀 브리지 컨버터(100) 및 상기 하프 브리지 컨버터(200)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풀 브리지 컨버터(100)는, 1차측이 상기 풀 브리지 인버터부(110)에 연결되어 권선비에 따라 상기 풀 브리지 인버터부(110)에서 출력되는 AC 전압을 변압하는 제1변압기(120);
    상기 제1변압기(120)의 2차측에 연결되어 변압된 AC 전압을 정류해 출력하는 제1정류기(130); 및
    상기 제1변압기(120)의 2차측에 연결되어 상기 제1정류기(130)에서 정류된 AC전압을 평활화해 DC전압인 고전압을 출력하는 제1필터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풀 브리지 컨버터(100)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제1부하(151);
    상기 제1부하(151와 병렬로 연결되되, 서로 직렬로 연결되는 제1배터리(161);와 제2배터리(162); 및
    상기 제2배터리(162)와 병렬로 연결되는 제2부하(152);
    를 포함하며,
    상기 하프 브리지 컨버터(200)는,
    1차측이 상기 2개의 스위칭 레그 중, 하나의 스위칭 레그와 연결되어 권선비에 따라 상기 하나의 스위칭 레그에서 출력되는 AC 전압을 변압하는 제2변압기(220);
    상기 제2변압기(220)의 2차측에 연결되어 변압된 AC 전압을 정류하는 제2정류기(230); 및
    상기 제2정류기(230)에 연결되어 정류된 AC 전압을 평활화해 DC전압인 저전압을 출력하는 제2필터부(240);
    를 포함하고,
    입력단이 상기 제2필터부(240)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출력단이 상기 제2배터리(162)의 양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2배터리(162)를 충전시키면서 상기 제2부하(152)에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제1배터리(161)와 상기 제2배터리(162)의 전압이 같도록 제어하는 배터리 이퀄라이저(300);
    를 포함하는 고전압/저전압 컨버터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고전압의 출력이 요구되지 않고, 저전압의 출력이 요구될 경우, 상기 하프 브리지 컨버터(200)에 연결된 스위칭 레그를 동작시켜 저전압을 출력시키는 고전압/저전압 컨버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고전압과 저전압의 출력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풀 브리지 인버터부(110)에 포함된 2개의 스위치 레그를 동작시켜 상기 풀 브리지 컨버터(100)에서는 고전압을, 상기 하프 브리지 컨버터(200)에서는 저전압을 출력하도록 하는 고전압/저전압 컨버터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프 브리지 인버터(200)는,
    상기 제2변압기(220)의 1차측과 직렬로 연결되는 제1커패시터(C1)와 제1인덕터(Lf)를 포함하는 공진회로;
    를 포함하는 고전압/저전압 컨버터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프 브리지 인버터(200)는,
    상기 2개의 스위칭 레그와 병렬로 연결되되, 서로 직렬로 연결되는 제1커패시터(C1)와 제2커패시터(C2) 및 상기 제2변압기(220)와 직렬로 연결되는 제1인덕터(Lf)를 포함하는 공진회로;
    를 포함하는 고전압/저전압 컨버터 장치.
KR1020210066188A 2021-05-24 2021-05-24 상용차를 위한 고전압/저전압 컨버터 장치 KR1023169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6188A KR102316992B1 (ko) 2021-05-24 2021-05-24 상용차를 위한 고전압/저전압 컨버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6188A KR102316992B1 (ko) 2021-05-24 2021-05-24 상용차를 위한 고전압/저전압 컨버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6992B1 true KR102316992B1 (ko) 2021-10-26

Family

ID=78268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6188A KR102316992B1 (ko) 2021-05-24 2021-05-24 상용차를 위한 고전압/저전압 컨버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699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7852A (ko) * 2014-07-04 2016-01-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펄스폭 변조 공진 컨버터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충전기
KR20160038348A (ko) * 2014-09-30 2016-04-0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저전압 dc-dc 컨버터 일체형 충전 장치
KR20170100163A (ko) 2016-02-25 2017-09-04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Dc-dc 컨버터
KR20180010367A (ko) 2016-07-20 2018-01-31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웨이브렛과 순환대수 엔빌로프 스펙트럼을 이용한 회전기기의 고장을 검출하는 방법
KR20200003587A (ko) 2018-07-02 2020-01-10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단일전력단 ac-dc 컨버터
KR20210054181A (ko) 2019-11-05 2021-05-13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스위칭 전력 손실을 개선한 dc-dc컨버터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7852A (ko) * 2014-07-04 2016-01-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펄스폭 변조 공진 컨버터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충전기
KR20160038348A (ko) * 2014-09-30 2016-04-0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저전압 dc-dc 컨버터 일체형 충전 장치
KR20170100163A (ko) 2016-02-25 2017-09-04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Dc-dc 컨버터
KR20180010367A (ko) 2016-07-20 2018-01-31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웨이브렛과 순환대수 엔빌로프 스펙트럼을 이용한 회전기기의 고장을 검출하는 방법
KR20200003587A (ko) 2018-07-02 2020-01-10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단일전력단 ac-dc 컨버터
KR20210054181A (ko) 2019-11-05 2021-05-13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스위칭 전력 손실을 개선한 dc-dc컨버터 및 그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94467B2 (en) Induction power system
US8102678B2 (en) High power factor isolated buck-type power factor correction converter
US6717827B2 (en) Switching power supply
US8693213B2 (en) Resonant power factor correction converter
TWI536709B (zh) 電源系統及供電方法
US20110121774A1 (en) Alternating voltage control apparatus
US9209698B2 (en) Electric power conversion device
Vinnikov et al. New bi-directional DC/DC converter for supercapacitor interfacing in high-power applications
KR20150067510A (ko) 배터리용 충전 제어 장치 및 방법
US20220161673A1 (en) System and method for single-stage on-board charger power factor correction reactive control
EP2975753A1 (en) A three-level converter
KR101742231B1 (ko) 고역률 고효율 인터리브드 듀얼-벅 컨버터 및 제어방법
KR20190115364A (ko) 단상 및 3상 겸용 충전기
KR100681688B1 (ko) 스위칭 전원장치
US9306468B2 (en) Synchronized isolated AC-AC converter with variable regulated output voltage
AU2012361646A1 (en) Switching power supply device and air conditioner
KR102316992B1 (ko) 상용차를 위한 고전압/저전압 컨버터 장치
KR101937013B1 (ko) 역률 개선 컨버터
US9490720B1 (en) Power conversion with solid-state transformer
US20230322105A1 (en) Charging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charging device
JP6270753B2 (ja) 電力変換装置
GB2346744A (en) Heavy duty isolating converter
JP6364307B2 (ja) 電源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無停電電源システム
Srinivas Integrated Magnetics based Dual Output AC/DC Flyback Converter Topology with Active Front-End Power Factor Correction for Low Power Medical Applications
KR102428668B1 (ko) 단일전력단 3 레벨 컨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