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6772B1 - 입체화상 형성용 몰드 및 입체화상 성형물 - Google Patents

입체화상 형성용 몰드 및 입체화상 성형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6772B1
KR102316772B1 KR1020210070761A KR20210070761A KR102316772B1 KR 102316772 B1 KR102316772 B1 KR 102316772B1 KR 1020210070761 A KR1020210070761 A KR 1020210070761A KR 20210070761 A KR20210070761 A KR 20210070761A KR 102316772 B1 KR102316772 B1 KR 1023167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forming
molding
pattern
stereoscopic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0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환
Original Assignee
이상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환 filed Critical 이상환
Priority to KR1020210070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67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6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67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48Moulds for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42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moulding surface, e.g. ribs or grooves
    • B29C33/424Moulding surfaces provided with means for marking or patter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02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 B29C59/022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r the configuration, e.g. dimensions, of the embossments or the shaping too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02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 B29C59/04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using rollers or endless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317Production of lenses with markings or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48Moulds for lenses
    • B29D11/00548Moulds for lenses with surfaces formed by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865Applying coatings; tinting; colour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ereoscopic And Panoramic Photography (AREA)

Abstract

입체화상 형성용 몰드 및 입체화상 성형물이 제공된다. 입체화상 형성용 몰드는, 금형몸체, 금형몸체의 외면에 형성되며, 오목면 및 볼록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렌즈성형면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 개의 렌즈성형부를 포함하는 렌즈성형부어레이, 및 복수 개의 렌즈성형부 중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며, 렌즈성형면에 음각된 패턴 및 양각된 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인렌즈패턴성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입체화상 형성용 몰드 및 입체화상 성형물{Mold for forming stereoscopic image and Molded product with stereoscopic image}
본 발명은 입체화상 형성용 몰드 및 입체화상 성형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다 편리하게 입체화상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입체화상 형성용 몰드 및 입체화상 효과를 나타내는 입체화상 성형물에 관한 것이다.
시각적 이미지는 사람들에게 매우 효과적으로 어필한다. 시각은 원거리에서 가장 정확하고 빠르게 정보를 받아들이는 감각기관이며 따라서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시각 이미지에 우선적으로 집중하는 경향이 있다. 이로 인해 다양한 광고 매체에서 그림, 글씨, 도안, 영상 등 다양한 시각 이미지를 활용한다. 근래에는 광학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이러한 시각 이미지도 보다 다채롭게 개선시킬 수 있게 되었다.
예를 들면, 미세한 렌즈를 플라스틱 시트나 수지 등의 표면에 배열하는 기술을 이용하여 화상을 입체적으로 보이게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렌티큘러(lenticular) 방식 등으로 불리는 미세렌즈의 배열방식 등을 이용함으로써 별도의 장치 없이도 간단한 입체화상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관련된 기술은 대한민국 특허10-2130138 등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입체화상 기술은 렌즈들의 배열로부터 나타나는 양안시차를 이용하기 때문에 상이 맺는 거리, 렌즈의 규격, 렌즈의 배열상태 등에 따라 픽셀 등을 정확한 위치에 정밀하게 배치하는 기술이 함께 요구된다. 따라서 입체화상을 재현할 수 있는 제품의 생산이 어렵고, 불량률도 증가하는 문제가 나타난다. 또한 제품재질도 투명재질로 한정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같은 이유로 제품을 다변화하는 데에도 한계가 있어 한정된 분야에만 사용되는 경우가 많았고 제품의 제작공정도 까다로운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관련 기술에 대한 개선은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2130138호, (2020. 07. 03), 명세서
본 발명의 일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편리하게 입체화상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입체화상 형성용 몰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입체화상 효과를 나타내는 입체화상 성형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를 통해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입체화상 형성용 몰드는, 금형몸체; 상기 금형몸체의 외면에 형성되며, 오목면 및 볼록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렌즈성형면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 개의 렌즈성형부를 포함하는 렌즈성형부어레이; 및 복수 개의 상기 렌즈성형부 중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며, 상기 렌즈성형면에 음각된 패턴 및 양각된 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인렌즈패턴성형부를 포함한다.
상기 입체화상 형성용 몰드는, 상기 렌즈성형부가 위치하지 않은 상기 금형몸체의 외면에, 만입구조 및 돌출구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디자인성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자인성형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렌즈성형부어레이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인렌즈패턴성형부는, 오목면인 상기 렌즈성형면 상에 양각된 패턴 또는 볼록면인 상기 렌즈성형면 상에 음각된 패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금형몸체는 외면이 곡면으로 형성되어 롤(roll)의 외주부 중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입체화상 성형물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투명기재; 상기 투명기재의 일 면에 형성되며, 오목면 및 볼록면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렌즈면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 개의 렌즈부를 포함하는 렌즈어레이부; 및 복수 개의 상기 렌즈부 중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며, 상기 렌즈면에 음각된 패턴 및 양각된 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인렌즈패턴부를 포함한다.
상기 렌즈어레이부는 상기 투명기재의 일 면에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입체화상 성형물은, 상기 렌즈어레이부의 외측에 적층되어 상기 렌즈부 및 상기 인렌즈패턴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광투과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투과층의 적어도 일부는 유채색의 색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입체화상 성형물은, 상기 렌즈어레이부와 상기 광투과층 사이 또는 상기 광투과층 외면에 배치되는 광반사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반사층은 상기 렌즈어레이부와 상기 광투과층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렌즈면 및 상기 인렌즈패턴부의 외면에 광반사물질이 코팅되거나 광반사필름이 부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반사층은 상기 광투과층 외면에 배치되고, 상기 광투과층 외면에 광반사필름이 부착되거나 광반사물질이 코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입체화상 성형물은, 상기 광투과층의 외측 및 상기 투명기재의 타 면 외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디자인인쇄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체화상 성형물은 입체화상 필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또 다른 입체화상 성형물은, 불투명재질로 이루어지는 불투명기재; 상기 불투명기재의 일 면에 형성되며, 오목면 및 볼록면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렌즈면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 개의 렌즈부를 포함하는 렌즈어레이부; 및 복수 개의 상기 렌즈부 중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며, 상기 렌즈면에 음각된 패턴 및 양각된 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인렌즈패턴부를 포함한다.
상기 렌즈어레이부는 상기 불투명기재의 일 면이 변형되어 상기 불투명기재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입체화상 성형물은, 상기 불투명기재의 일 면에 형성되되, 상기 렌즈부가 위치하지 않은 부분에 만입구조 및 돌출구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디자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자인부는 상기 불투명기재의 일 면이 변형되어 상기 불투명기재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자인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렌즈어레이부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입체화상 성형물은 압축성형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몰드를 이용하여 매우 편리하게 입체화상 효과를 나타내는 성형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통해 보다 간결한 구조의 입체화상 효과를 갖는 제품을 제공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제조공정을 보다 단순화하고 필름 등의 형태로 제품을 형성하는 경우에도 두께를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필름 등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간결한 구조를 갖는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의 입체화상 효과를 갖는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입체화상 형성용 몰드의 구조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몰드를 이용한 입체화상 제품의 제조방식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입체화상 성형물의 구조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4의 입체화상 성형물의 제조과정을 예시한 도면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입체화상 성형물의 구조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입체화상 성형물의 시제품 사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입체화상 성형물의 시제품 사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입체화상 성형물의 디자인 인쇄층 형성 전 시제품 사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투명'은 광이 투과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하고, '불투명'은 광 투과가 차단된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광이 투과할 수 있는 상태인 한 '투명'은 '반투명'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입체화상 형성용 몰드 및 입체화상 성형물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이 간결하고 명확하도록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입체화상 형성용 몰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도 4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입체화상 성형물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입체화상 형성용 몰드의 구조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의 몰드를 이용한 입체화상 제품의 제조방식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입체화상 형성용 몰드(1)는 금형몸체(10)의 외면에 복수 개의 렌즈성형부(111)로 이루어진 렌즈성형부어레이(11)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렌즈성형부어레이(11)는 렌즈성형부(111)의 형상에 대응되는 미세한 렌즈부를 제품{다양한 형태의 수지 등으로 형성한 성형물일 수 있으며, 필름 형태로 제조되거나 그 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제품은 그 일부나 전부를 사출성형 방식으로 성형할 수 있으며 열전사 방식, 프레스 방식, (광)경화 방식 등의 다양한 가공법을 통해서 성형할 수 있다(도 2 및 도 3의 A 참조).}에 형성하여 제품의 적어도 일 면에 입체화상 효과를 부여한다. 이 때, 제품을 (광)경화 방식으로 성형시 입체화상 형성용 몰드에 (광)경화성 수지를 충진 후, (광)경화 과정을 거치는 일반적 경화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특히 이러한 입체화상 효과는 렌즈성형부(111) 안에 다시 미세하게 형성된 인렌즈패턴성형부(112)가 만드는 인렌즈패턴부에 의해 나타나는 것으로서 인렌즈패턴부는 렌즈부 내에 배치된다. 이러한 구조는 종래 입체효과를 주기 위해 렌즈(렌티큘러 렌즈 등)와 패턴 또는 이미지 등을 별개로 형성하는 방식에서 탈피한 새로운 구조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입체화상 제품을 보다 빠르고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제품의 구조를 간결하게 하여 두께나 부피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반드시 투명한 재질에 한정될 필요 없이 불투명한 재질 등으로도 입체화상 효과(또는 그에 준하는 시각적 효과)가 나타나게 할 수 있다(도 11 및 도 13의 사진참조). 또한, 입체화상 효과와 함께 그림, 도안, 문자 등을 함께 넣은 디자인까지 몰드를 이용하여 한꺼번에 형성할 수 있어 간소화된 제조공정으로 매우 다양한 형태의 입체화상 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입체화상 형성용 몰드(1)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본 발명의 입체화상 형성용 몰드(1)는, 금형몸체(10), 금형몸체(10)의 외면에 형성되며, 오목면 및 볼록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렌즈성형면(111a)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 개의 렌즈성형부(111)를 포함하는 렌즈성형부어레이(11), 및 복수 개의 렌즈성형부(111) 중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며, 렌즈성형면(111a)에 음각된 패턴 및 양각된 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인렌즈패턴성형부(112)를 포함한다[도 1의 (a)~(f)참조]. 아울러, 입체화상 형성용 몰드(1)는 렌즈성형부(111)가 위치하지 않은 금형몸체(10)의 외면에, 만입구조 및 돌출구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디자인성형부(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도 1의 (c)~(f)참조]. 이하,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바탕으로 본 발명에 의한 입체화상 형성용 몰드(1)의 구성 및 작용효과 등을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금형몸체(10)는 입체화상 형성용 몰드(1)의 몸체를 형성하며 예를 들어,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그와 같이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다양한 성형공정에서 금형으로 사용 가능한 또 다른 재질이 있는 경우 다른 재질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렌즈성형부어레이(11) 등 표면의 미세한 구조를 보다 잘 드러내기 위해서, 각 도면에서 금형몸체(10)는 표면 부근을 확대하여 전체의 일부를 도시한 것일 수 있다. 다만, 도 3의 (a)는 금형몸체(10)가 롤(10a)의 외주부를 이루는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보다 원거리에서 전체 형상을 나타내도록 도시된 것일 수 있다.
금형몸체(10)의 외면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렌즈성형부(111)를 포함하는 렌즈성형부어레이(11)가 형성된다. 렌즈성형부(111)는 오목면 및 볼록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렌즈성형면(111a)을 각각 포함한다. 렌즈성형부어레이(11)는 이러한 렌즈성형부(111)를 다수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렌즈성형부어레이(11)가 포함할 수 있는 렌즈성형부(111)의 숫자는 특별히 제한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렌즈성형부(111)는 수백 내지 수십 마이크로미터 사이의 직경 내지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고 그에 대응하는 크기의 렌즈부를 성형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하나의 예시로서 그와 같이 제한될 필요는 없으며 필요에 따라 렌즈성형부(111)의 크기와 개수는 얼마든지 조정도 가능하다. 그러한 다수의 렌즈성형부(111)를 포함하는 렌즈성형부어레이(11)를 금형몸체(10) 외면에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금형몸체(10) 외면에는 도 1의 (a) 및 (b)와 같이 렌즈성형부(111)들이 주로 형성된다. 그러나 그와 같이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필요한 경우, 도 1의 (c)~(f)와 같이 그 일부에 렌즈성형부(111)가 아닌 디자인성형부(12)가 함께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입체화상 형성용 몰드(1)는, 렌즈성형부(111)가 위치하지 않은 금형몸체(10)의 외면에, 만입구조 및 돌출구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디자인성형부(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자인성형부(12)는 적어도 일부가 렌즈성형부어레이(11)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디자인성형부(12)의 너비, 깊이, 높이, 및 길이 등은 필요에 따라 변화시켜 형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디자인성형부(12)가 형성된 구간에는 일정한 형태로 문자, 도형, 그림 등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후술하는 디자인부(도 8의 170참조)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렌즈성형부(111) 중 적어도 일부에는 렌즈성형면(111a)에 음각된 패턴 및 양각된 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인렌즈패턴성형부(112)가 배치된다. 즉 본 발명의 입체화상 형성용 몰드(1)는 오목 또는 볼록한 렌즈성형면(111a)을 갖는 렌즈성형부(111) 상에 다시 돌출되거나 만입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인렌즈패턴성형부(112)가 결합된 구조를 포함한다. 이러한 인렌즈패턴성형부(112)는 몰드로 제품을 성형할 때, 렌즈성형부(111)에 대응하는 렌즈형상 구조(전술한 렌즈부일 수 있다) 안에 돌출 또는 만입된 인렌즈패턴(전술한 인렌즈패턴부일 수 있다)을 형성하게 된다. 즉 렌즈형상 구조 자체에 패턴이 배열되어 그러한 패턴으로부터 시각적인 입체감을 주는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입체효과는 다양한 원리에 의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제품이 투명재질인 경우에는 렌즈성형면(111a)에 대응하는 렌즈면과, 인렌즈패턴성형부(112)에 대응하는 인렌즈패턴 사이의 굴절율 차이에 의해 광로 차가 생성되어 양안 시차에 의한 깊이감 등을 주는 입체화상의 효과를 발생시키는 것으로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제품이 불투명재질인 경우에는 렌즈성형면(111a)에 대응하는 렌즈형상 구조와, 인렌즈패턴성형부(112)에 대응하는 인렌즈패턴 사이에서 통상과 다른 반사광의 광경로 차이 등이 발생되어 깊이감 등을 주는 입체화상 효과를 발생시키는 것으로도 이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다양한 입체화상 성형물 등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인렌즈패턴성형부(112)는, 예를 들어 도 1의 (a), (c), (e)처럼 오목면인 렌즈성형면(111a) 상에 양각된 패턴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도 1의 (b), (d), (f)와 같이 볼록면인 렌즈성형면(111a) 상에 음각된 패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렌즈성형면(111a)과 반대로 돌출 또는 만입된 형태로 인렌즈패턴성형부(112)를 보다 입체적으로 형성해 줄 수 있다. 렌즈성형부(111)로 이루어진 렌즈성형부어레이(11)와, 디자인성형부(12), 및 인렌즈패턴성형부(112)는 예를 들면, 습식식각 및/또는 포토레지스트 등의 기법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인렌즈패턴성형부(112)는 예를 들어, 레이저 마킹 후 습식식각 및/또는 레이저를 이용한 직접 가공 등의 방식으로 형성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금형몸체(10) 표면에 정밀 가공이 가능한 다양한 가공방식으로 렌즈성형부어레이(11), 디자인성형부(12), 인렌즈패턴성형부(112) 등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입체화상 형성용 몰드 제조용 몰드(입체화상 형성용 몰드에 대응하는 렌즈성형부어레이, 인렌즈패턴성형부 등이 형성된 몰드)에 (광)경화성 수지 등을 충진하고 (광)경화시키는 방식과 같은 가공방식 등으로도 입체화상 형성용 몰드를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금형몸체(10)는 전체적으로 평판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부분적으로 굴절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를 통해 다양한 방식으로 제품을 편리하게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금형몸체(10)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면[즉, 렌즈성형부어레이(11), 디자인성형부(12), 인렌즈패턴성형부(112) 등이 형성된 면]이 곡면으로 형성되어 롤(10a)의 외주부 중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그러한 경우 입체화상 형성용 몰드(1)는 열 및 압력을 전달하는 가열롤(10a)과 함께 동작하여 이를 테면, 롤투롤 열전사 방식으로 연속적인 입체화상 제품(A)을 제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입체화상 제품(A)은 예를 들면, 연속된 필름 형태의 입체화상 성형물일 수 있다.
그러나 그와 같이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입체화상 형성용 몰드(1)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또 다른 다양한 방식으로 입체화상 제품(A)을 제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형의 입체화상 형성용 몰드(1)의 렌즈성형부(111) 상에 수지 등을 채워 대응하는 형상의 성형부(A2)를 형성하고 기재(A1)를 적층한 후 열과 빛(자외선 등)(화살표참조)을 가하여 경화시키는 방식으로 기재(A1) 상에 성형부(A2)가 형성된 입체화상 제품(A)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기재(A1)와 성형부(A2) 모두 투명한 재질일 수 있고 기재(A1)는 투명 필름일 수 있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필름 형상으로 이루어진 입체화상 성형물을 제조하는 데에도 얼마든지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다. 최종제품은 필요에 따라 추가적인 공정을 거쳐 만들어질 수 있다. 아울러, 입체화상 형성용 몰드(1)는 도 2의 (c)와 같이 몰드 반대편에서 열과 압력(화살표 참조)을 가하는 가열판(20)과 함께 이를 테면, 가압 프레스와 같은 방식으로 제품(A)을 제조할 때에도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제품(A) 일 측에는 보호필름 등으로 이루어지는 보호층(A3)이 형성될 수 있으며, 몰드에는 렌즈성형면(111a) 외에 디자인성형부(12)도 함께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보호층(A3) 아닌 제품(A)의 나머지 부분 전체가 기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러한 기재는 불투명재질일 수 있다. 성형부(A2)는 기재(A1)의 일면이 변형됨으로써 기재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입체화상 제품(A)은 예를 들어, 불투명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입체화상 성형물일 수 있으며 천연 또는 인조가죽 등으로 이루어진 가죽재질의 입체화상 성형물일 수도 있다. 입체화상 형성용 몰드(1)는 그 밖에도 압력을 가하여 가압면에 성형부(A2)를 형성할 수 있는 다양한 재질로 입체화상 제품을 제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입체화상 형성용 몰드(1)는 도 3의 (b)와 같이 예를 들어, 짝을 이루는 금형블록(22)과 함께 사출금형을 형성할 수도 있다. 즉, 그러한 경우 금형블록(22) 외측에서 압력(화살표참조)을 가하면서 양 측을 결합하고 둘 사이의 공간에 플라스틱 수지 등을 주입하여 몰드의 렌즈성형면(111a), 디자인성형부(12)와 대응되는 위치에 대응하는 형상의 성형부(A2)가 기재(A1)에 형성된 입체화상 제품(A)을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입체화상 제품(A)은 사출물로 이루어진 입체화상 성형물일 수 있다. 제조된 사출물은 불투명재질일 수 있으며 그 외에도 사출 성형이 가능한 다양한 재질로 이러한 입체화상 제품(A)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손쉽게 대량생산이 가능한 여러 가지 다양한 제조법을 사용하여, 매우 간편하게 입체화상 효과를 갖는 제품(A)들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본 발명의 입체화상 형성용 몰드(1)에 대한 설명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입체화상 성형물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입체화상 성형물의 구조도이고, 도 5 내지 도 7은 도 4의 입체화상 성형물의 제조과정을 예시한 도면들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입체화상 성형물(100)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투명기재(110), 투명기재(110)의 일 면에 형성되며, 오목면 및 볼록면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렌즈면(121a)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 개의 렌즈부(121)를 포함하는 렌즈어레이부(120), 및 복수 개의 렌즈부(121) 중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며, 렌즈면(121a)에 음각된 패턴 및 양각된 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인렌즈패턴부(122)를 포함한다. 렌즈어레이부(120)는 투명기재(110)의 일 면에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투명기재(110) 및 렌즈어레이부(120), 렌즈어레이부(120)의 렌즈부(121) 상에 형성된 인렌즈패턴부(122)는 모두 투명한 수지를 재질로 하여 형성될 수 있다. 투명기재(110)는 예를 들어 투명한 필름일 수 있으며, 이러한 입체화상 성형물(100)은 입체화상 필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입체화상 성형물(100)은 전술한 입체화상 형성용 몰드(도 1의 1참조)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도 1의 (a),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몰드를 이용하여 도 2의 (a),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공정을 거쳐 제조될 수 있다. 입체화상 성형물(100)은 전술한 몰드를 이용한 공정 외에 추가공정을 수행하여 만들어질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투과층(130), 디자인인쇄층(160), 및 광반사층(140) 등을 더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입체화상 성형물(100)은 렌즈어레이부(120)의 외측에 적층되어 렌즈부(121) 및 인렌즈패턴부(122)를 내부에 수용하는 광투과층(13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렌즈어레이부(120)와 광투과층(130) 사이 또는 광투과층(130) 외면에 배치되는 광반사층(14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디자인인쇄층(160)은 광반사층(140)이 형성된 경우[도 4의 (a), (b)] 또는 광반사층(140)이 없이 형성된 경우[도 4의 (c), (d)] 관계없이 배치될 수 있다. 이하, 예시적인 제조과정을 따라서 각 구성부의 구조 및 작용효과 등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입체화상 성형물(100)은 기본적으로 투명기재(110)와, 투명기재(110)의 일 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렌즈부(121)를 포함하는 렌즈어레이부(120), 및 복수 개의 렌즈부(121) 중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는 인렌즈패턴부(122)를 포함한다. 이러한 기본구조는 도 5를 통해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5의 구조는 전술한 몰드로부터 바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투명기재(110)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예를 들어, 투명 필름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렌즈어레이부(120)는 투명한 수지 등을 재질로 하여 복수 개의 렌즈부(121)가 투명기재(110)의 일 면에 적층되어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렌즈부(121)는 도 5의 (c), (d)와 같은 오목면, 및 도 5의 (a), (b)와 같은 볼록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렌즈면(121a)을 각각 포함하며, 인렌즈패턴부(122)는 이러한 렌즈면(121a)에 음각된 패턴 및 양각된 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인렌즈패턴부(122)는 도 5의 (a), (b)와 같이 볼록면인 렌즈면(121a)에 음각된 형태로 형성되거나, 또는 도 5의 (c), (d)와 같이 오목면인 렌즈면(121a)에 양각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렌즈성형부(도 1의 111참조)에 형성된 렌즈성형면(도 1의 111a참조)과 인렌즈패턴성형부(도 1의 112참조)와도 대응되는 구성으로서 전술한 몰드를 이용하여 대응되는 구조를 입체화상 성형물(100)에 편리하게 성형이 가능하다.
인렌즈패턴부(122)는 양각 또는 음각된 패턴으로 패턴화된 구조이되 그 형상은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한정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인렌즈패턴부(122)는 별, 달, 도트 등의 여러 가지 형태로도 얼마든지 변형될 수 있으며 그러한 형태를 음각 또는 양각된 형태로 렌즈부(121) 내에 다양하게 배치할 수 있다. 인렌즈패턴부(122)가 배치된 위치는 복수 개의 렌즈부(121) 전체이거나 또는 일부일 수 있으며 인렌즈패턴부(122)의 배열 등을 바꾸어 입체화상의 형태나 화상의 배열패턴 등을 바꾸어 주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렌즈부(121) 역시 도시된 바와 같은 길쭉한 형태[도 5의 (b), (d)참조]의 구조로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반구형 렌즈와 같은 보다 컴팩트한 형태로도 얼마든지 변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몰드의 형상을 대응하는 형태로 변형함으로써 렌즈부(121)의 형상 및 그 안에 배치되는 인렌즈패턴부(122)의 형상 등을 다양하게 바꾸어 줄 수 있다.
이와 같이 기본구조를 형성한 후 렌즈어레이부(120)의 외측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광투과층(130)을 배치할 수 있다. 광투과층(130)은 렌즈어레이부(120)의 외측에 적층되어 렌즈부(121) 및 인렌즈패턴부(122)를 내부에 수용한다. 광투과층(130)은 투명한 재질의 수지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색상을 가질 수도 있다. 광투과층(130)은 투명하되 렌즈어레이부(120)와는 굴절률이 다른 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광투과층(130)의 적어도 일부는 유채색의 색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인렌즈패턴부(122)에 의해 나타나는 입체화상 효과를 다양한 색상으로 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광투과층(130)과 렌즈어레이부(120) 및 인렌즈패턴부(122)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단색인 경우에도 예를 들어, 명도나 채도 등이 바뀌는 등의 다양한 색채효과에 의한 입체감도 얻을 수 있다. 광투과층(130)은 외면이 평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그러한 외면과 렌즈부(121)의 사이 또는 외면과 인렌즈패턴부(122)의 사이를 투명물질로 채우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도 6의 (c), (d)에 예시된 바와 같이 렌즈부(121)와 인렌즈패턴부(122) 사이에는 이를 테면, 서로 다른 매질이 만나는 경계면이 형성될 수 있고 그에 따라 굴절율의 변동이 생길 수 있다. 또한 인렌즈패턴부(122)가 렌즈부(121)의 렌즈면(121a)으로부터 불연속적으로 돌출되거나 만입되어 만드는 불연속적인 경계면 변동에 의해서도, 광로가 변경되어 광로차가 형성되거나 굴절각이 변동되어 굴절율이 바뀌는 것과 같은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인렌즈패턴부(122)가 일정 영역에 반복적으로 배열되면 이러한 효과가 중첩되어 해당 영역에 입체적인 화상효과가 나타날 수 있으며 이러한 화상효과는 전체 렌즈의 초점거리 등을 정확하게 고려하지 않고도 생성이 가능하다. 따라서 종래의 렌즈보다 렌즈부(121)의 크기, 두께 등을 보다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제품의 박막화 등의 효과도 얻을 수 있다.
한편, 입체화상 성형물(100)은 도 6의 (a), (b) 및 도 7의 (a), (b)와 같이 렌즈어레이부(120)와 광투과층(130) 사이 또는 광투과층(130)의 외면에 배치되는 광반사층(140)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a), (b)와 같이 렌즈어레이부(120)와 광투과층(130) 사이에 광반사층(140)이 배치되는 경우에는, 렌즈면(121a) 및 렌즈면(121a) 상에 형성된 인렌즈패턴부(122)의 표면을 따라 광반사층(140)이 배열되어 투명기재(110) 측 또는 광반사층(140) 측으로 바라볼 때 서로 역으로 패턴화된 반사면이 형성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양 면에서 불연속적인 반사면에 의한 반사광의 경로 차이 등에 의한 입체화상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도 7의 (a), (b)와 같이 광투과층(130) 외면에 광반사층(140)이 배치되는 경우에는, 투명기재(110) 측으로 반사되는 반사광이 렌즈부(121)와 인렌즈패턴부(122)를 통과하며 전술한 굴절률의 변화 등을 겪게 되므로 역시 전술한 바와 같은 입체화상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도 역시 렌즈부(121)의 크기, 두께 등을 보다 자유롭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박막화가 가능한 효과 등도 함께 얻을 수 있다.
광반사층(140)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광반사층(140)은 도 6의 (a), (b)에 도시된 것처럼 렌즈어레이부(120)와 광투과층(130) 사이에 배치되며, 렌즈면(121a) 및 인렌즈패턴부(122)의 외면에 광반사물질이 코팅되거나 광반사필름이 부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코팅은 광반사물질을 진공증착 등에 의한 증착방식으로 증착하거나 광반사물질이 함유된 잉크 등을 인쇄하는 방식으로도 가능하다. 증착 가능한 물질은 예를 들면, 알루미늄, 인듐, 주석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물질을 복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잉크는 광반사물질이 포함된 다양한 색상을 사용할 수 있다. 광반사필름은 예를 들면, 광반사물질이 얇은 필름 형태로 층을 이루고 있는 것일 수 있으며 이를 부착하는 방식으로도 광반사층(140)을 형성할 수 있다. 또는 그 밖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렌즈어레이부(120)와 광투과층(130) 사이에 광반사층(140)을 형성할 수 있다. 광투과층(130)은 광반사층(140)을 형성한 후 외측에 적층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광반사층(140)은 도 7의 (a), (b)에 도시된 것처럼 광투과층(130) 외면에 배치되고, 광투과층(130) 외면에 전술한 광반사필름이 부착되거나 전술한 광반사물질이 전술한 바와 같이 코팅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광투과층(130) 외면에 광반사층(140)을 배치하는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외면에 투명한 재질 등으로 형성되는 보호층(150)을 함께 형성해 줄 수 있으며 그러한 경우 보호층(150)은 광반사층(140)과 먼저 일체로 형성된 후 광투과층(130) 외면에 부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보호층(150)의 일 면에 광반사물질을 증착하는 등의 방식으로 광반사층(140)을 먼저 형성하고, 보호층(150)과 함께 광반사층(140)을 광투과층(130) 외면에 부착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그와 같은 과정을 거친 뒤에는 디자인인쇄층(160)을 형성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입체화상 성형물(100)을 완성할 수 있다. 디자인인쇄층(160)은 광투과층(130)의 외측 및 투명기재(110)의 타 면 외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인쇄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광투과층(130)의 외측은 광투과층(130)의 외면을 포함하나 그로써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그 보다 바깥쪽의 위치를 넓게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즉, 디자인인쇄층(16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투과층(130)의 외면에 바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전술한 보호층(도 7의 150참조) 등이 있는 경우 그 외면에 형성되는 것도 불가능하지 않다. 필요에 따라 광투과층(130)의 외측 및 투명기재(110) 외측의 적절한 위치에 디자인인쇄층(160)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는 광반사층(140)이 광투과층(130) 내에 위치한 형태만 도시되었지만[도 4의 (a), (b)],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도 7과 같이 광반사층(140)이 광투과층(130) 외면에 형성되고 광반사층(140) 외면에 보호층(도 7의 150참조)이 있는 경우 보호층(150)의 외면에 디자인인쇄층(160)을 형성해 줄 수 있다.
디자인인쇄층(160)은 입체화상 성형물(100)의 외면에 전술한 입체화상 효과에 더하여 그림, 문자, 도형 등을 보다 다채롭게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입체화상 성형물(100)의 외면 적어도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디자인인쇄층(160)에 의해, 입체화상 효과가 더욱 강화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패턴이 디자인과 상대적으로 시각화되어, 시각적으로 보다 깊이감을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이러한 디자인의 인쇄를 인쇄방식으로 간편하게 함으로써 매우 편리하게 입체화상 성형물(100)에 그림, 문자, 도형 등의 인쇄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그러나 그와 같이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그림, 문자, 도형 등의 디자인이 형성되어 있는 이를 테면, 디자인필름 등을 합지하는 등의 방식으로도 얼마든지 디자인인쇄층(160)을 형성해 줄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투명재질의 입체화상 성형물(100)을 제조할 수 있으며 그를 통해 전술한 바와 같이 입체화상 효과를 나타나게 할 수 있다. 전술한 것처럼 이러한 입체화상 성형물(100)은 입체화상 필름일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매우 얇게 박막화된 입체화상 필름을 제조하여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후술하는 도 9, 10의 시제품사진 참조).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입체화상 성형물의 구조도이며,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입체화상 성형물의 시제품 사진이고,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입체화상 성형물의 시제품 사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입체화상 성형물의 디자인 인쇄층 형성 전 시제품 사진이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입체화상 성형물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며, 이후 도 9 내지 도 13의 사진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입체화상 성형물의 가능한 구현형태와 효과 등도 좀더 명확히 설명한다. 설명이 간결하고 명확하도록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나는 부분에 대해 중점적으로 설명하고 별도로 언급되지 않은 부분에 대한 설명은 모두 전술한 설명으로 대신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입체화상 성형물(100-1)은 더욱 간결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입체화상 성형물(100)은, 불투명재질로 이루어지는 불투명기재(110-1), 불투명기재(110-1)의 일 면에 형성되며, 오목면 및 볼록면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렌즈면(121a)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 개의 렌즈부(121)를 포함하는 렌즈어레이부(120), 및 복수 개의 렌즈부(121) 중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며, 렌즈면(121a)에 음각된 패턴 및 양각된 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인렌즈패턴부(122)를 포함한다. 아울러 입체화상 성형물(100-1)은 불투명기재(110-1)의 일 면에 형성되되, 렌즈부(121)가 위치하지 않은 부분에 만입구조 및 돌출구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디자인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입체화상 성형물(100)은 불투명재질로 형성되며, 그러한 제품은 전술한 바와 같이 몰드를 이용한 사출방식이나, 프레스 가공방식 등을 통해서 매우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다. 입체화상 성형물(100-1)은 필요에 따라 도 8의 (a)와 같이 보호층(150-1)을 포함하거나 도 8의 (b)와 같이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입체화상 성형물(100-1)은 예를 들면, 불투명 플라스틱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압축공정으로 제조된 압축성형물일 수 있다. 압축성형물은 예를 들어, 사출공정에 의한 사출물 내지 압축롤성형 공정에 의한 롤성형물일 수 있다. 그러나 그와 같이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천연이나 인조가죽 등의 다양한 재질을 프레스 가공 등을 이용하여 형성한 것일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렌즈어레이부(120)는 불투명기재(110-1)의 일 면이 변형되어 불투명기재(110-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기재와의 사이에 별도의 경계면 등은 형성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디자인부(170) 역시 불투명기재(110-1)의 일 면이 변형되어 불투명기재(110-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실질적인 제품의 제조공정이 매우 간소화되어 손쉽게 입체화상 성형물(100-1)을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입체화상 성형물(100-1)은 예를 들어, 렌즈부(121)의 렌즈면(121a)과 렌즈면(121a)에 불연속적으로 형성된 인렌즈패턴부(122) 사이의 반사광의 광로차 등에 의해 입체화상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즉, 입체화상 성형물(100-1)은 불투명재질로 형성되므로 반사광에 의해 인식되나 연속적인 렌즈면(121a) 상에 양각이나 음각 등으로 깊이가 다른 패턴이 불연속적으로 반복되므로 해당 패턴이 나열된 인렌즈패턴부(122) 부근에서 반사광의 광경로가 불연속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로 인한 광경로의 차이에 의해 시각적인 깊이감 등을 동반하는 입체화상의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와 같은 입체화상 성형물(100-1)에는 렌즈부(121)가 위치하지 않는 지점에 디자인부(170)를 함께 형성하여 문자, 그림, 도형 등이 다른 적층구조 없이도 형성되게 할 수 있다. 디자인부(17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일부가 렌즈어레이부(120) 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는 전술한 디자인성형부(도 1의 12참조)의 구성과도 대응된다. 즉 디자인부(170)는 전술한 몰드의 디자인성형부(12)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도면상에 돌출구조의 디자인부(170)가 예시되었지만 만입구조의 디자인부(170)등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디자인부(170)는 렌즈부(121), 인렌즈패턴부(122) 등과 함께 몰드를 이용하여 한꺼번에 형성할 수 있다. 디자인부(170)의 높이, 너비, 및 전체 길이나 배열상태 등을 변경하여 다양한 문자, 그림, 도형 등의 디자인을 표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디자인부(170)에 의해, 입체화상 효과가 더욱 강화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패턴이 디자인과 상대적으로 시각화되어, 시각적으로 보다 깊이감을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입체화상 성형물(100-1)은 예를 들어,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현될 수 있다. 각 도면은 시제품의 일부를 확대하여 촬영한 사진으로 검은색 도안[디자인부(도 8의 170참조)에 해당함]과 그 배경에 마름모꼴 지그재그 형태 등으로 반복되는 입체화상 효과를 함께 확인할 수 있다. 입체화상 효과는 다수의 렌즈부(도 8의 121참조) 중 인렌즈패턴부(도 8의 122참조)가 배치된 영역에서 생겨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제품은 인조가죽 등에 프레스 가공 등의 방식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플라스틱 사출 등의 방식으로 제조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불투명재질을 이용한 입체화상 성형물(100-1)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투명재질을 이용한 입체화상 성형물(도 4의 100참조)은 예를 들어,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현될 수 있다. 각 도면은 플라스틱 카드 형태로 제조된 시제품의 일부를 촬영한 사진으로 표면에 인쇄된 문자 및 도안[디자인인쇄층(도 4의 160참조)]과 그 배경에 지그재그 형태 등으로 반복되는 입체화상 효과를 함께 확인할 수 있다. 디자인인쇄층(160)은 도시된 것처럼 입체화상 성형물(100)의 표면 전 영역에 형성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일부의 한정된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입체화상 효과는 역시 다수의 렌즈부(도 4의 121참조) 중 인렌즈패턴부(122)가 배치된 영역에서 생겨나는 것일 수 있으며 전체적인 색상은 광투과층(130)의 색상에 따른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표면의 디자인인쇄층(160)을 형성하기 이전 단계에서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투명한 필름 형태의 중간단계에 있을 수 있고, 그러한 상태에서도 지그재그 무늬와 같은 입체적인 화상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다[광투과층(130)은 아직 없거나 무채색의 광투과층(130)이 형성된 상태일 수 있다]. 이와 같은 형태로 투명재질의 입체화상 성형물(100)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입체화상 성형물(100)은 입체화상 필름일 수 있다. 입체화상 필름은 예시된 바와 같은 플라스틱 카드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제품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방식으로 본 발명을 다양하게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입체화상 형성용 몰드 10: 금형몸체
10a: 롤 11: 렌즈성형부어레이
12: 디자인성형부 20: 가열판
21: 가열롤 22: 금형블록
111: 렌즈성형부 111a: 렌즈성형면
112: 인렌즈패턴성형부 100, 100-1: 입체화상 성형물
110: 투명기재 110-1: 불투명기재
120: 렌즈어레이부 121: 렌즈부
121a: 렌즈면 122: 인렌즈패턴부
130: 광투과층 140: 광반사층
150, 150-1: 보호층 160: 디자인인쇄층
170: 디자인부
A: 제품 A1: 기재
A2: 성형부 A3: 보호부

Claims (20)

  1. 금형몸체;
    상기 금형몸체의 외면에 형성되며, 오목면 및 볼록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렌즈성형면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 개의 렌즈성형부를 포함하는 렌즈성형부어레이; 및
    복수 개의 상기 렌즈성형부 중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며, 상기 렌즈성형면에 음각된 패턴 및 양각된 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인렌즈패턴성형부를 포함하는 입체화상 형성용 몰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성형부가 위치하지 않은 상기 금형몸체의 외면에, 만입구조 및 돌출구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디자인성형부를 더 포함하는 입체화상 형성용 몰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자인성형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렌즈성형부어레이 내에 배치되는 입체화상 형성용 몰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렌즈패턴성형부는, 오목면인 상기 렌즈성형면 상에 양각된 패턴 또는 볼록면인 상기 렌즈성형면 상에 음각된 패턴으로 이루어지는 입체화상 형성용 몰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몸체는 외면이 곡면으로 형성되어 롤(roll)의 외주부 중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입체화상 형성용 몰드.
  6.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투명기재;
    상기 투명기재의 일 면에 형성되며, 오목면 및 볼록면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렌즈면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 개의 렌즈부를 포함하는 렌즈어레이부; 및
    복수 개의 상기 렌즈부 중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며, 상기 렌즈면에 음각된 패턴 및 양각된 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인렌즈패턴부를 포함하는 입체화상 성형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어레이부는 상기 투명기재의 일 면에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입체화상 성형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어레이부의 외측에 적층되어 상기 렌즈부 및 상기 인렌즈패턴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광투과층을 더 포함하는 입체화상 성형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층의 적어도 일부는 유채색의 색상을 갖는 입체화상 성형물.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어레이부와 상기 광투과층 사이 또는 상기 광투과층 외면에 배치되는 광반사층을 더 포함하는 입체화상 성형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광반사층은 상기 렌즈어레이부와 상기 광투과층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렌즈면 및 상기 인렌즈패턴부의 외면에 광반사물질이 코팅되거나 광반사필름이 부착되어 형성되는 입체화상 성형물.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광반사층은 상기 광투과층 외면에 배치되고, 상기 광투과층 외면에 광반사필름이 부착되거나 광반사물질이 코팅되어 형성되는 입체화상 성형물.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층의 외측 및 상기 투명기재의 타 면 외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디자인인쇄층을 더 포함하는 입체화상 성형물.
  14.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화상 성형물은 입체화상 필름인 입체화상 성형물.
  15. 불투명재질로 이루어지는 불투명기재;
    상기 불투명기재의 일 면에 형성되며, 오목면 및 볼록면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렌즈면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 개의 렌즈부를 포함하는 렌즈어레이부; 및
    복수 개의 상기 렌즈부 중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며, 상기 렌즈면에 음각된 패턴 및 양각된 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인렌즈패턴부를 포함하는 입체화상 성형물.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어레이부는 상기 불투명기재의 일 면이 변형되어 상기 불투명기재와 일체로 형성되는 입체화상 성형물.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불투명기재의 일 면에 형성되되, 상기 렌즈부가 위치하지 않은 부분에 만입구조 및 돌출구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디자인부를 더 포함하는 입체화상 성형물.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디자인부는 상기 불투명기재의 일 면이 변형되어 상기 불투명기재와 일체로 형성되는 입체화상 성형물.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디자인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렌즈어레이부 내에 배치되는 입체화상 성형물.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화상 성형물은 압축성형물인 입체화상 성형물.
KR1020210070761A 2021-06-01 2021-06-01 입체화상 형성용 몰드 및 입체화상 성형물 KR1023167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0761A KR102316772B1 (ko) 2021-06-01 2021-06-01 입체화상 형성용 몰드 및 입체화상 성형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0761A KR102316772B1 (ko) 2021-06-01 2021-06-01 입체화상 형성용 몰드 및 입체화상 성형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6772B1 true KR102316772B1 (ko) 2021-10-25

Family

ID=78258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0761A KR102316772B1 (ko) 2021-06-01 2021-06-01 입체화상 형성용 몰드 및 입체화상 성형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677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6915A (ko) * 2001-03-31 2002-10-11 난야 플라스틱스 코오퍼레이션 3차원 입체 플레시 선명 유색 플라스틱 시이트의 제조방법
KR20110094974A (ko) * 2010-02-18 2011-08-24 주식회사 미성포리테크 사출레진 하부에 형성된 인쇄 패턴층을 포함한 입체시트 및 그 입체시트 제조방법
KR20130116682A (ko) * 2012-04-16 2013-10-24 주식회사 미성포리테크 입체효과 사출물을 위한 금형 가공 방법
JP2015099318A (ja) * 2013-11-20 2015-05-2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セキュリティカード用転写原版およびセキュリティカード
KR102130138B1 (ko) 2013-12-24 2020-07-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렌티큘러 렌즈 필름 및 이를 이용한 3차원 입체영상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6915A (ko) * 2001-03-31 2002-10-11 난야 플라스틱스 코오퍼레이션 3차원 입체 플레시 선명 유색 플라스틱 시이트의 제조방법
KR20110094974A (ko) * 2010-02-18 2011-08-24 주식회사 미성포리테크 사출레진 하부에 형성된 인쇄 패턴층을 포함한 입체시트 및 그 입체시트 제조방법
KR20130116682A (ko) * 2012-04-16 2013-10-24 주식회사 미성포리테크 입체효과 사출물을 위한 금형 가공 방법
JP2015099318A (ja) * 2013-11-20 2015-05-2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セキュリティカード用転写原版およびセキュリティカード
KR102130138B1 (ko) 2013-12-24 2020-07-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렌티큘러 렌즈 필름 및 이를 이용한 3차원 입체영상 표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31813B2 (en) Manufacture of display devices with ultrathin lens arrays for viewing interlaced images
US11143794B2 (en) Optical film
US7414790B2 (en) Ultrathin lens arrays for viewing interlaced images with dual lens structures
US6856462B1 (en) Lenticular imaging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7307790B1 (en) Ultrathin lens arrays for viewing interlaced images
US6833960B1 (en) Lenticular imaging system
CN103380006B (zh) 用于制作具有与观察角度相关的安全特征的安全文件的方法
US20060056033A1 (en) Lenticular optical system
EP3043335A1 (en) Label for identifying genuine article using plurality of nanostructures and three-dimensional lens
CN109476173A (zh) 制造安全装置的方法
EP0809816A1 (en) Lenticular optical system
US7002748B1 (en) Method of producing a package from a sheet having lenticular lens in pre-selected areas
US20160231579A1 (en) Autostereoscopic prismatic printing rasters
TWI274675B (en) Print medium with lenticular effect
KR101472921B1 (ko) 미세 패턴과 마이크로 렌즈를 이용한 입체라벨
KR100561321B1 (ko) 투명창이 있는 입체 플라스틱 시트 및 그 제조방법
US6995914B1 (en) Method of producing a sheet having lenticular lens in pre-selected areas
US10223948B2 (en) Three-dimensional label having moving patterns using fine patterns and microlens
CN103029468B (zh) 在印品表面形成凸起立体光栅图文的制作方法及其制品
KR20180128208A (ko) 다중 패턴 보안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094974A (ko) 사출레진 하부에 형성된 인쇄 패턴층을 포함한 입체시트 및 그 입체시트 제조방법
KR20040034399A (ko) 입체 플라스틱 카드 및 그 제조방법
KR102316772B1 (ko) 입체화상 형성용 몰드 및 입체화상 성형물
KR102342056B1 (ko) 반사 집광 입체시트
KR101666819B1 (ko) 미크론 단위 두께를 가지는 렌티큘러 렌즈 기반의 보안 이미지 필름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