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6733B1 - Intelligent led nameplate display board with voice recognition function - Google Patents

Intelligent led nameplate display board with voice recognition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6733B1
KR102316733B1 KR1020210041553A KR20210041553A KR102316733B1 KR 102316733 B1 KR102316733 B1 KR 102316733B1 KR 1020210041553 A KR1020210041553 A KR 1020210041553A KR 20210041553 A KR20210041553 A KR 20210041553A KR 102316733 B1 KR102316733 B1 KR 1023167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keyword
nameplate
personal information
micro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15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권일
Original Assignee
포스텍네트웍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스텍네트웍스(주) filed Critical 포스텍네트웍스(주)
Priority to KR1020210041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673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6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673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7/00Speaker identification or verification techniques
    • G10L17/22Interactive procedures; Man-machine interfaces
    • G10L17/24Interactive procedures; Man-machine interfaces the user being prompted to utter a password or a predefined phras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10Controlling the intensity of the ligh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20Controlling the colour of the 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ameplate electronic display board which includes: a nameplate case; a microphone which receives a user's command; a command processing unit which extracts information related to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as text information from the command received by the microphone; and a display unit which constitutes one surface of the nameplate case and outputs the text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command processing unit.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is directly expressed without an external input means.

Description

음성인식 기능을 갖는 지능형 LED 명패 전광판{INTELLIGENT LED NAMEPLATE DISPLAY BOARD WITH VOICE RECOGNITION FUNCTION}Intelligent LED nameplate signage with voice recognition function {INTELLIGENT LED NAMEPLATE DISPLAY BOARD WITH VOICE RECOGNITION FUNCTION}

본 발명은 명패 전광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인식된 음성을 시각적으로 표출할 수 있는 명패 전광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ameplate electric sign, and more particularly, to a nameplate electric sign capable of visually expressing the recognized voice by recognizing a user's voice.

명판 또는 명패는 타인에게 나에 대해 알리기 위한 수단으로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다. 종래의 명패는 목재 및 아크릴 등 다양한 소재를 사용하여 만들어졌고 비즈니스 및 회사 조직 내에서 본인의 직함을 나타내거나 홍보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기존의 명판 또는 명패는 각인된 내용을 변경하는 것이 불가능하거나 번거로운 작업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에 명판 또는 명패의 내용을 쉽게 변경할 수 있는 전자명패가 제시되었다.Nameplates or nameplates have long been used as a means to inform others about me. Conventional nameplates are made using various materials such as wood and acrylic, and are used as a means of publicity or to indicate one's title in business and company organizations. Existing nameplates or nameplates have problems that it is impossible to change the engraved content or require cumbersome work, and thus an electronic nameplate that can easily change the contents of the nameplate or nameplate has been proposed.

종래의 전자 명패는 사용자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가 연결된 스마트 기기 또는 PC를 이용하여 원하는 텍스트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그러나, 종래의 전자 명패는 스마트 기기 또는 PC에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과정,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과정 등이 요구되며, 본인의 직함 등을 입력하기 위해 어플리케이션에 접속해서 텍스트를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In a conventional electronic nameplate, a text desired by a user is displayed on a display using a smart device or a PC connected to a wired or wireless network. However, the conventional electronic nameplate requires a process of installing an application on a smart device or PC, a process of connecting a wired or wireless network, etc. there was

전자 명패 관련 종래특허로, 수 개의 전자명패를 중앙서버에서 통제할 수 있도록 한국등록특허 제10-1132653호는 회의용 명패의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을 개시한다. 상기의 선행특허문헌은 전자명패와 연결된 중앙서버에서 정보를 수신받아 텍스트를 변경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와 마이크를 상호 연동하여 디스플레이를 통해 마이크 사용상태 여부를 표시함으로써 현재 발표자를 구분할 수 있다.As a prior patent related to electronic nameplates,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132653 discloses a monitoring system for nameplates for meeting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so that several electronic nameplates can be controlled by a central server. The above-mentioned prior patent documents can change text by receiving information from a central server connected to an electronic nameplate, and by interworking a display and a microphone to indicate whether the microphone is in use through the display,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the current presenter.

종래의 경우, 마이크가 연동된 전자 명패를 개시한 것으로 보일 수 있으나, 상기 선행특허에서 마이크는 회의시 사용자가 사용하기 위한 수단이며, 마이크를 전자 명패의 입력 수단으로 개시한 것은 아니다. 따라서, 종래의 전자 명패는 중앙 서버를 통해 텍스트 변경이 수행되므로, 텍스트 출력을 위해 단말에 접속하는 과정이 여전히 요구된다. 이에, 본 출원인은 스마트 기기 또는 PC를 거치지 않고, 명패에 출력사항을 바로 입력할 수 있는 명패 전광판을 고안하게 되었다.In the conventional case, it can be seen that an electronic nameplate in which a microphone is linked is disclosed, but in the prior patent, the microphone is a means for a user to use during a meeting, and the microphone is not disclosed as an input means of the electronic nameplate. Therefore, in the conventional electronic nameplate, text change is performed through a central server, so a process of accessing the terminal for text output is still required. Accordingly, the present applicant has devised a nameplate electric sign that can directly input the output information on the nameplate without going through a smart device or PC.

한국등록특허 제10-1132653호Korean Patent No. 10-1132653

본 발명은 명패 전광판에 있어서, 사용자의 인적사항 기재를 음성인식으로 가능하게 하여 번거로운 작업 없이 간단하게 사용자의 인적사항을 디스플레이로 표출하는 명패 전광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ameplate electric signboard that enables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to be written by voice recognition in a nameplate electric signboard, thereby simply expressing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on a display without cumbersome work.

본 발명은, 직함의 표출 외에 추가적인 기능이 없었던 명패를 컨텐츠 등의 추가적인 정보 제공 단말로서 활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나아가 작업 환경시 심미감을 조성할 수 있는 인테리어 조명의 기능을 수행하여 다각도로 활용이 가능한 명패 전광판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utilize a nameplate, which had no additional function other than the expression of a title, as a terminal for providing additional information such as contents, and furthermore, performs the function of interior lighting that can create an aesthetic feeling in a work environment, so that it can be utilized from various angles. We would like to provide a nameplate electric signboar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명패 전광판에 있어서, 명패 케이스; 사용자의 명령어를 입력받는 마이크; 상기 마이크에서 입력된 명령어에서, 사용자의 인적사항과 관련된 정보를 텍스트 정보로 추출하는 명령어 처리부; 및 상기 명패 케이스의 일면을 구성하고, 상기 명령어 처리부에서 추출된 텍스트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외부 입력 수단 없이 사용자의 인적사항을 직접 표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ameplate electric sign, comprising: a nameplate case; a microphone for receiving user commands; a command processing unit for extrac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as text information from the command input from the microphone; and a display unit that constitutes one side of the nameplate case and outputs the text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command processing unit; including, characterized in that it directly expresses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without an external input means.

바람직하게, 상기 명령어 처리부는, 상기 마이크에서 입력된 명령어의 문장을 기설정된 키워드 구문으로 분류하여 인식하는 키워드 인식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키워드 구문으로, 인적사항 키워드, 컨텐츠 키워드, 메시지 키워드, 조명 키워드, 또는 실행 키워드의 카테고리가 설정될 수 있다.Preferably, the command processing unit includes a keyword recognition module for classifying and recognizing sentences of commands input from the microphone into preset keyword phrases, and as the keyword phrases, personal information keywords, content keywords, message keywords, lighting keywords , or a category of the execution keyword may be set.

바람직하게,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출력 수단이 LED 소자로 구비되고, 상기 명령어 처리부는, 상기 마이크에서 입력된 명령어의 문장을 기설정된 키워드 구문으로 분류하여 처리하되, 분류된 키워드 구문이 조명 키워드인 경우, 상기 LED 소자의 밝기, 색감, 또는 발광순서의 변주(variation)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인테리어 조명 제어 모듈을 포함하여, 심미적 조명으로 기능할 수 있다.Preferably, the display unit, the output means is provided with an LED element, and the command processing unit, but classifies the sentence of the command input from the microphone into a preset keyword phrase and processes it, when the classified keyword phrase is a lighting keyword, By including an interior lighting control module that controls the display unit with variations in brightness, color, or light emission order of the LED elements, it can function as aesthetic lighting.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명패 전광판은 사용자의 이동형 단말기 또는 컴퓨터에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기 위해 설치된 어플리케이션과 호환되어, 사용자의 원격 조작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게 되는 어플리케이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nameplate sign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application unit that is compatible with an application installed to receive a user's manipulation input to the user's mobile terminal or computer, and controls the display unit by the user's remote manipulation.

바람직하게, 상기 마이크에서 입력된 명령어의 음성을 분석하여 음성 특징을 추출하고 추출된 음성 특징과 암호화되어 저장된 사용자의 음성 특징이 일치하는지 비교하는 사용자 음성 식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it may further include a user voice identification unit that analyzes the voice of the command input from the microphone to extract voice features and compares the extracted voice features with the encrypted and stored voice features of the user.

본 발명에 따르면, 명령어 처리부가 사용자의 음성에서 사용자의 인적사항과 관련된 정보를 텍스트 정보로 추출하여 디스플레이로 표출함으로써 번거로운 작업 없이 간단하게 사용자의 인적사항을 디스플레이로 표출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mmand processing unit extracts information related to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from the user's voice as text information and displays it on the display, it is possible to simply express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on the display without cumbersome work.

또한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부 또는 명령어 처리부의 다양한 제어 모듈이 사용자의 인적사항을 표시하는 수단을 넘어 컨텐츠 또는 인테리어 조명의 기능을 구현하여 명패의 활용성을 높이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in that the various control modules of the application unit or the command processing unit implement the function of content or interior lighting beyond the means of displaying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thereby increasing the utility of the nameplat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명패 전광판의 사용 형태 및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명령어 처리부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워드 인식 모듈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적사항 정보 제어 모듈의 처리 프로세스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정보 제어 모듈의 처리 프로세스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정보 제어 모듈의 처리 프로세스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명패 전광판이 인테리어 조명으로 사용되는 예시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조명 제어 모듈을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낸다.
도 9는 사용자 음성 식별부의 실시예로서, 도 9의 (a)는 사용자의 음성 특징을 암호화하는 프로세스를 나타내고, 도 9의 (b)는 사용자 음성을 식별하는 프로세스를 나타낸다.
1 shows a usage form and configuration diagram of a nameplate electric sign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n instruction process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function of a keyword recogni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shows a processing process of the personal information information control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shows a processing process of the content information control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shows a processing process of a message information control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shows an example in which a nameplate electric sign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interior lighting.
8 shows an application for controlling an interior lighting control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mbodiment of the user voice identification unit. FIG. 9 (a) shows a process of encrypting the user's voice characteristics, and FIG. 9 (b) shows a process of identifying the user's voice.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예시적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 참조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exemplary embodiment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provided in the respective drawings indicate members that perform substantially the same functions.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 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Object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naturally understood or made clearer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e object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only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명패 전광판(10)의 사용 형태 및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명패 전광판(10)는 명패 케이스(100), 마이크(200), 명령어 처리부(300), 디스플레이부(400), 어플리케이션부(500), 네트워크 연결부(600) 및 사용자 음성 식별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명패 전광판(10)은 외부의 입력 수단을 거치지 않고 사용자의 인적사항을 직접 표출할 수 있다.1 shows a usage form and configuration diagram of a nameplate electric sign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 the nameplate billboard 10 includes a nameplate case 100 , a microphone 200 , a command processing unit 300 , a display unit 400 , an application unit 500 , a network connection unit 600 , and user voice identification. may include a portion 700 . The nameplate electric sign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directly express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without going through an external input means.

본 실시예에 따른 명패 전광판(10)는 서버, 사용자의 컴퓨터, 사용자의 이동형 단말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서버는 후술하게 될 컨텐츠 등의 정보를 전송받기 위한 인터넷 환경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컴퓨터 상에 네트워크 환경으로 연결된 경우 별도의 서버를 거치지 않고 사용자의 컴퓨터 환경을 서버로 이용할 수도 있다. 명패 전광판(10)은 사용자의 이동형 단말인 스마트폰과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또는 4/5G의 통신환경으로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으며, 이동형 단말과의 네트워크 환경은 후술하게 될 원격 제어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함이다. The nameplate electric sign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connected to a server, a user's computer, or a user's mobile terminal by wire or wirelessly. The server may be understood as an Internet environment for receiving information such as content,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when connected to a network environment on the user's computer, the user's computer environment may be used as a server without going through a separate server. The nameplate electric sign 10 may be network-connected to a user's mobile terminal, a smartphone, in a communication environment of Bluetooth or Wi-Fi or 4/5G, and the network environment with the mobile terminal is to implement a remote control functio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도 1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명패 전광판(10)이 다양한 단말/기기에 연결된 형태를 개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1에 예시된 어떠한 단말/기기에 연결되지 않더라도 사용자의 인적사항을 표출 및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하게 될 명패 전광판(10)의 입력 수단으로 사용자의 음성을 처리하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명패 전광판(10)은 사용자의 스마트폰 또는 컴퓨터 등에 명패 전광판(10)을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어플리케이션 등의 관리프로그램을 거치지 않아도, 명패 고유의 인적사항 표출을 사용자의 음성을 통해 다이렉트로 표출시킬 수 있어 명패 사용의 번거로움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하, 명패 전광판(10)의 구성요소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In FIG. 1, although the nameplate electric sign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nected to various terminals/devices,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even if it is not connected to any terminal/device illustrated in FIG. 1,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is expressed and It may be implemented to enable control. This is because the user's voice is processed as an input means of the nameplate electric sign 1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nameplate electric sign 1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does not need to go through a management program such as a separate application for controlling the nameplate electric sign 10 on the user's smartphone or computer, etc. Since it can be displayed directl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hassle of using the nameplate. Hereinafter, the components of the nameplate electric sign 1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명패 케이스(100)는 본 실시예에 따른 명패 전광판(10)의 외관을 지칭한다. 명패 케이스(100)는 후술하게 될 명패 전광판(10)의 구성요소들이 탑재되는 케이스 또는 프레임이 될 수 있다. 명패 케이스(100)는 사용자의 인적사항을 표출하기 위한 일방향으로 신장된 길이를 갖고 바닥에 거치할 수 있도록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명패 케이스(100)는 일면에 디스플레이부(400)가 구성되며, 기존의 명패의 일반적인 모형인 각형 기둥의 형상이거나 반원형의 기둥 형상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명패 케이스(100)는 가로 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된 기둥 형상으로 제공되되, 양 옆면이 편평하게 형성되어 세로 방향으로도 거치가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는 명패 전광판(10)이 후술하게 될 인테리어 조명의 모드로 기능할 때 세로로 세워져서 사용자의 작업 환경에 심미적 효과를 부여하기 위함이다.The nameplate case 100 refers to the appearance of the nameplate electric sign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nameplate case 100 may be a case or a frame in which components of the nameplate electric sign 10 to be described later are mounted. The nameplate case 100 may have an extended length in one direction for expressing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and may have an exterior shape so that it can be mounted on the floor. The nameplate case 100 is configured with a display unit 400 on one surface, and may have a prismatic shape or a semicircular pillar shape, which is a general model of an existing nameplate. The nameplate cas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in the shape of a column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both side surfaces are formed to be flat so that it can be moun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is is to give an aesthetic effect to the user's work environment by standing vertically when the nameplate electric sign 10 functions as an interior lighting mod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마이크(200)는 사용자의 명령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마이크(200)는 명패 케이스(100)의 내부에 내장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마이크(200)는 외부장치로서 명패 케이스(100)에 연결된 형태로 제공되어도 무방하다. 마이크(200)는 사용자의 음성을 증폭 및 노이즈를 제거하는 주지의 구성이 포함될 수 있다.The microphone 200 may receive a user's command. The microphone 200 may be configured to be built in the nameplate case 100 . Alternatively, the microphone 200 may be provided in a form connected to the nameplate case 100 as an external device. The microphone 200 may include a well-known configuration for amplifying a user's voice and removing noise.

디스플레이부(400)는 명패 케이스(100)의 일면을 구성하고, 명령어 처리부(300)에서 추출된 텍스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400 may constitute one surface of the nameplate case 100 and may output text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command processing unit 300 .

네트워크 연결부(600)는 명령어 처리부(300) 또는 어플리케이션부(500)가 인터넷 또는 네트워크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하게 할 수 있다. 네트워크 연결부(600)는 무선으로 인터넷 또는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해 4/5G 또는 WiFi를 사용할 수 있다.The network connection unit 600 may allow the command processing unit 300 or the application unit 500 to connect to the Internet or a network by wire or wirelessly. The network connection unit 600 may use 4/5G or WiFi to wirelessly connect to the Internet or a network.

네트워크 연결부(600)는 WiFi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인터넷 또는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경우 WiFi가 있는 환경에서 자동으로 인터넷 또는 네트워크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네트워크 연결부(600)는 WiFi가 있는 환경에서 자동으로 인터넷 또는 네트워크를 연결하기 위해 WiFi 신호를 스캔하여 SSID를 검색할 수 있다. 네트워크 연결부(600)는 검색된 SSID 신호의 신호 세기에 따른 SSID 분류를 할 수 있다. 네트워크 연결부(600)는 신호 세기가 우수한 SSID를 순서대로 분류 후 보안 방식에 따른 분류를 할 수 있다. 네트워크 연결부(600)는 WiFi를 한번이라도 연결한 경우 위치 값, SSID, 또는 신호세기 값 등을 데이터 목록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네트워크 연결부(600)는 목록화된 WiFi 연결정보의 데이터와 검색된 WiFi 연결정보의 데이터 값이 같다면 우선 접속을 할 수 있다.When connecting to the Internet or a network wirelessly using WiFi, the network connection unit 600 may automatically connect the Internet or a network in an environment with WiFi. The network connection unit 600 may search for an SSID by scanning a WiFi signal in order to automatically connect to the Internet or a network in an environment with WiFi. The network connection unit 600 may classify the SSID according to the signal strength of the searched SSID signal. The network connection unit 600 may classify SSIDs having excellent signal strength in order and then classify them according to a security method. The network connection unit 600 may list and store a location value, an SSID, or a signal strength value when WiFi is connected at least once. The network connection unit 600 may connect first if the data of the listed WiFi connection information and the data value of the searched WiFi connection information are the same.

명령어 처리부(300)는 마이크(200)에서 입력된 명령어에서, 사용자의 인적사항과 관련된 정보를 텍스트 정보로 추출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명령어 처리부(300)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명령어 처리부(300)은 키워드 인식 모듈(310), 인적사항 정보 제어 모듈(330), 컨텐츠 정보 제어 모듈(350), 메시지 정보 제어 모듈(370) 및 인테리어 조명 제어 모듈(39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명령어 처리부(300)는 4가지의 다른 제어 모드의 모듈을 포함한다. 그 중, 인적사항 정보 제어 모듈(330)은 별도의 관리 어플리케이션, 관리 프로그램 등을 통해 조작해야 하는 명패의 불편함을 고려하여, 별도의 외부 장치와 연동되지 않고도 직함, 이름의 인적사항 정보를 디스플레이부(400)에 직접 표출시키는 처리 수단이 된다. The command processing unit 300 may extract information related to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as text information from the command input from the microphone 200 . 2 is a block diagram of a command processing unit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 the command processing unit 300 includes a keyword recognition module 310 , a personal information control module 330 , a content information control module 350 , a message information control module 370 , and an interior lighting control module 390 . ) may be included. The command processing unit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modules of four different control modes. Among them, the personal information information control module 330 displays personal information of titles and names without interworking with a separate external device in consideration of the inconvenience of nameplates that must be operated through separate management applications and management programs. It becomes a processing means to directly express to the unit 400 .

인적사항 정보 제어 모듈(330)과 달리, 컨텐츠 정보 제어 모듈(350), 메시지 정보 제어 모듈(370), 인테리어 조명 제어 모듈(390)은 반드시 명령어 처리부(300)의 구성 하에 탑재되지 않아도 무방하며, 도 2의 실시예는 인적사항 외의 컨텐츠, 메시지, 인테리어 모드와 같은 추가 기능 역시 음성인식으로 함께 수행할 수 있음을 나타내기 위한 실시예로 이해될 수 있다. Unlike the personal information control module 330 , the content information control module 350 , the message information control module 370 , and the interior lighting control module 390 do not necessarily have to be mounted under the configuration of the command processing unit 300 , The embodiment of FIG. 2 may be understood as an embodiment for indicating that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content, message, and interior mode other than personal information can also be performed through voice recognition.

명령어 처리부(300)는 크게, 사용자의 음성을 명령어로 인식하는 인식 단계와, 인식된 명령어를 분석하여 제어하는 제어 단계로 구분된다. 인식 단계는 키워드 인식 모듈(310)을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제어 단계는 명패 전광판(10)이 제공하는 기능별로 구성된 제어 모듈이 수행할 수 있다.The command processing unit 300 is largely divided into a recognition step of recognizing the user's voice as a command, and a control step of analyzing and controlling the recognized command. The recognition step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keyword recognition module 310 , and the control step may be performed by a control module configured for each function provided by the nameplate electric sign 10 .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워드 인식 모듈(310)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키워드 인식 모듈(310)은 마이크(200)에서 입력된 명령어의 문장을 기설정된 키워드 구문으로 분류하여 인식할 수 있다.3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function of the keyword recognition module 3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 the keyword recognition module 310 may classify and recognize a sentence of a command input from the microphone 200 into a preset keyword phrase.

키워드 인식 모듈(310)은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마이크(200)에서 입력된 명령어의 문장을 기설정된 키워드 구문으로 분류하여 인식할 수 있다. 인공지능 알고리즘은 사용자의 발음 또는 문장구조에 따라 키워드 인식률이 낮아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보완 수단으로 사용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다양한 문장이 입력되어도, 입력된 문장 중 본 실시예에 따른 명패 전광판(10)이 제공하는 기능에 해당하는 사용자 의도를 정확하게 추론하기 위해 적용될 수 있다.The keyword recognition module 310 may classify and recognize a sentence of a command input from the microphone 200 into a preset keyword phrase us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The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may be used as a supplementary means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keyword recognition rate is lowered according to the pronunciation or sentence structure of the user. (10) can be applied to accurately infer the user's intention corresponding to the function provided.

키워드 인식 모듈(310)은 마이크(200)에서 입력된 명령어의 문장을 분류하는 키워드 구문으로, 인적사항 키워드, 컨텐츠 키워드, 메시지 키워드, 조명 키워드, 또는 실행 키워드의 카테고리가 설정될 수 있다. 키워드 인식 모듈(310)은 인공신경망 기반 뉴럴 네트워크 알고리즘(DNN, CNN)이 적용되어 명령어 문장을 T1, T2의 구분으로 분류하고 각 구분에서의 키워드가 인적사항에 해당하는 키워드인지, 컨텐츠에 해당하는 키워드인지 등을 판단할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는 “홍길동 이사로 표시해 줘”라는 간단한 문장 예시로 키워드 구문의 분류가 T1, T2인 두 개로 이루어진 실시예이며, 보다 확장되어 복잡한 문장이 입력될 경우, T1, T2, T3 이상의 구분으로 분류되어도 무방하다. The keyword recognition module 310 is a keyword phrase for classifying sentences of commands input from the microphone 200, and categories of personal information keywords, content keywords, message keywords, lighting keywords, or execution keywords may be set. The keyword recognition module 310 applies an artificial neural network-based neural network algorithm (DNN, CNN) to classify the command sentence into T1 and T2 divisions, and whether the keyword in each division is a keyword corresponding to personal information, You can determine whether it is a keyword or the like. The embodiment of FIG. 3 is an example of a simple sentence “Mark as Director Hong Gil-dong”, and is an embodiment consisting of two keyword phrases classified as T1 and T2. It is free even if it is classified by division.

본 실시예에서는 크게 4가지의 키워드 구문을 제시한다. 인적사항 키워드는 이름과 직책이 조합된 키워드의 카테고리이다. 키워드 인식 모듈(310)에 적용된 인공지능은 기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유사한 직책의 키워드가 T1 또는 T2 구분에 포함된 경우 이를 인적사항 키워드로 분류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four keyword phrases are largely presented. Personal information keywords are categories of keywords that are a combination of name and positio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applied to the keyword recognition module 310 may classify keywords of similar positions as personal information keywords when keywords of similar positions are included in the T1 or T2 classification through a pre-established database.

본 실시예로, 키워드 인식 모듈(310)은 사용자의 명령어에서 분류된 키워드 구문에 있어서, 최소 2개의 키워드 구문의 정보를 조합하여 제어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키워드 인식 모듈(310)은 인적사항 키워드의 경우 이름 또는 직책의 인적사항 키워드와 and 조건으로 대응되는 실행 키워드가 있는 경우에 한하여 인적사항 정보 제어 모듈(330)로 키워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인적사항 키워드에 적합한 실행 키워드 구문으로는 “표시, 표출, 변경”의 키워드가 포함될 수 있다. 키워드 인식 모듈(310)은 최소 2개의 구문 키워드를 조합하여 키워드 인식 모듈(310)은 사용자의 의도를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keyword recognition module 310 may select a control mode by combining information of at least two keyword phrases in the keyword phrase classified in the user's command. The keyword recognition module 310 may transmit keyword information to the personal information information control module 330 only when there is an execution keyword corresponding to the personal information keyword of a name or job title and the condition in the case of the personal information keyword. Executable keyword phrases suitable for personal information keywords may include keywords of “display, expression, change”. The keyword recognition module 310 combines at least two syntax keywords so that the keyword recognition module 310 can accurately estimate the user's intention.

본 실시예로, 인적사항 키워드로의 키워드 구문 분류시에는 키워드 인식 모듈(310)이 사용자 명령어를 T1, T2, T3, T4의 구문으로 분류했을 때, 최소 2개인 T1, T2가 ‘이름 또는 직책’과 같은 이름 및 직책 키워드와 ‘표시, 표출, 또는 변경’의 실행 키워드가 조합된 경우를 인적사항 키워드 구문으로 분류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when the keyword syntax is classified into personal information keywords, when the keyword recognition module 310 classifies the user command into the syntax of T1, T2, T3, T4, at least two T1 and T2 are 'names or titles' A case in which name and position keywords such as ' and the execution keyword of 'display, expression, or change' are combined can be classified as personal information keyword phrases.

본 실시예로, 컨텐츠 키워드로의 키워드 구문 분류시에는 키워드 인식 모듈(310)이 사용자 명령어를 T1, T2, T3, T4의 구문으로 분류했을 때, 최소 2개인 T1, T2가 ‘날씨, 미세먼지, 온도, 습도, 날짜, 또는 시간’과 관련된 키워드 구문 및 ‘몇 시, 어 때, 몇이야’의 실행 키워드 구문이 조합된 경우를 컨텐츠 키워드 구문으로 분류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when the keyword phrase is classified into content keywords, when the keyword recognition module 310 classifies the user command into the phrases of T1, T2, T3, and T4, at least two T1 and T2 are 'weather, fine dust' A case in which keyword phrases related to ', temperature, humidity, date, or time' and execution keyword phrases of 'what time, what time, what time' are combined may be classified as content keyword phrases.

본 실시예로, 메시지 키워드로의 키워드 구문 분류시에는 키워드 인식 모듈(310)이 사용자 명령어를 T1, T2, T3, T4의 구문으로 분류했을 때, 최소 2개인 T1, T2가 ‘자리비움, 부재중’과 관련된 키워드 구문 및 ‘메시지, 입력, 표시, 표출, 변경’의 실행 키워드 구문이 조합된 경우를 메시지 키워드 구문으로 분류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when the keyword syntax is classified into message keywords, when the keyword recognition module 310 classifies the user command into the syntax of T1, T2, T3, T4, at least two T1 and T2 are 'Away, Out of Office' A case in which keyword phrases related to 'and execution keyword phrases of 'message, input, display, expression, change' are combined can be classified as message keyword phrases.

본 실시예로, 조명 키워드로의 키워드 구문 분류시에는 키워드 인식 모듈(310)이 사용자 명령어를 T1, T2, T3, T4의 구문으로 분류했을 때, 최소 2개인 T1, T2가 ‘인테리어, 조명, 불, 또는 라이트’와 관련된 키워드 구문 및 ‘모드, 온, 오프, 켜줘, 꺼줘’의 실행 키워드 구문이 조합된 경우를 조명 키워드 구문으로 분류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when classifying keyword phrases into lighting keywords, when the keyword recognition module 310 classifies the user commands into phrases of T1, T2, T3, T4, at least two T1, T2 are 'interior, lighting, A case in which keyword phrases related to 'fire or light' and execution keyword phrases of 'mode, on, off, on, off' are combined can be classified as lighting keyword phrases.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적사항 정보 제어 모듈(330)의 처리 프로세스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인적사항 정보 제어 모듈(330)은 명령어 처리부(300)가 마이크(200)에서 입력된 명령어의 문장을 기설정된 키워드 구문으로 분류하여 처리하되, 분류된 키워드 구문이 인적사항 키워드인 경우, 인적사항 키워드를 텍스트 변환하여 디스플레이부(400)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4 shows a processing process of the personal information information control module 3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 , the personal information information control module 330 categorizes and processes the sentences of the commands input from the microphone 200 by the command processing unit 300 into preset keyword phrases, but the classified keyword phrases are personal information keywords. In the case of ,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personal information keyword to be converted into text and output to the display unit 400 .

인적사항 정보 제어 모듈(330)은 명령어 처리부(300)가 분류한 키워드 구문(T1)이 인적사항 키워드인 경우, 인적사항과 관련된 키워드(T1)를 키워드 인식 모듈(310)로부터 전송받는다.When the keyword phrase T1 classified by the command processing unit 300 is a personal information keyword, the personal information information control module 330 receives the personal information related keyword T1 from the keyword recognition module 310 .

인적사항 정보 제어 모듈(330)은 인적사항 키워드를 분석하여 STT(Speech to Text) 전환할 수 있다. 인적사항 정보 제어 모듈(330)은 STT 전환된 TEXT를 저장하고 저장된 TEXT를 추출할 수 있다. 인적사항 정보 제어 모듈(330)은 추출된 TEXT가 디스플레이부(400)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personal information information control module 330 may analyze the personal information keyword to convert STT (Speech to Text). The personal information information control module 330 may store the STT converted TEXT and extract the stored TEXT. The personal information information control module 330 may control to output the extracted TEXT to the display unit 400 .

본 실시예로 사용자가 “홍길동 이사로 표시해 줘”라는 명령어를 입력한 경우, 인적사항 정보 제어 모듈(330)은 인적사항 키워드(T1)인 ‘이사’ 및 ‘홍길동’을 STT 전환하여 TEXT로 저장한다. 인적사항 정보 제어 모듈(330)은 저장된 TEXT를 추출하여 ‘이사 홍길동’이라는 TEXT가 디스플레이부(400)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when the user inputs a command "Mark as director Hong Gil-dong", the personal information information control module 330 converts the personal information keywords T1, 'Director' and 'Hong Gil-dong', to STT and stores it as TEXT. do. The personal information information control module 330 may extract the stored TEXT and control so that the TEXT called 'Move Hong Gil-dong' is output to the display unit 400 .

인적사항 정보 제어 모듈(330)은 사용자가 글씨의 색상, 띄어쓰기 또는 줄바꿈을 명령어에 포함시킬 수 있고 이를 반영하여 TEXT가 디스플레이부(400)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로 인적사항 정보 제어 모듈(330)은 사용자가 “이사 줄 바꾸고 홍길동으로 표시해 줘”라고 입력하면 첫 줄에는 이사 다음 줄에는 홍길동으로 TEXT가 디스플레이부(400)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personal information information control module 330 may control the user to include the color, spacing, or line break of text in the command, and reflect this so that the TEXT is output to the display unit 400 . In this embodiment, the personal information information control module 330 can control so that when the user inputs "Change the moving line and display it as Hong Gil-dong", the text is output to the display unit 400 as Hong Gil-dong in the first line and Hong Gil-dong in the next line. .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정보 제어 모듈(350)의 처리 프로세스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컨텐츠 정보 제어 모듈(350)은 명령어 처리부(300)가 마이크(200)에서 입력된 명령어의 문장을 기설정된 키워드 구문으로 분류하여 처리하되, 분류된 키워드 구문(T1)이 컨텐츠 키워드인 경우, 해당 컨텐츠의 정보를 서버 또는 사용자의 컴퓨터로부터 로딩하여 디스플레이부(400)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5 shows a processing process of the content information control module 3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5 , the content information control module 350 classifies and processes the sentence of the command input from the microphone 200 by the command processing unit 300 into a preset keyword phrase, but the classified keyword phrase T1 is the content In the case of a keyword,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may be loaded from a server or a user's computer and controlled to be output on the display unit 400 .

컨텐츠 정보 제어 모듈(350)은 ‘날씨, 미세먼지, 온도, 습도, 날짜, 또는 시간’과 같은 컨텐츠 키워드(T1)가 입력된 경우 입력된 컨텐츠 정보를 디스플레이부(400)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컨텐츠 정보 제어 모듈(350)은 컨텐츠 정보를 디스플레이부(400)에 단독으로 출력시킬 수 있고 사용자 인적사항과 함께 출력시킬 수도 있다.The content information control module 350 may control to output the input content information to the display unit 400 when a content keyword T1 such as 'weather, fine dust, temperature, humidity, date, or time' is input. have. The content information control module 350 may output the content information to the display unit 400 alone or together with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본 실시예로 사용자가 “현재 시각 표시해 줘”라는 명령어를 입력한 경우, 컨텐츠 정보 제어 모듈(350)은 ‘현재 시각’을 서버 또는 사용자의 컴퓨터로부터 로딩하여 디스플레이부(400)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user inputs a command "display the current time", the content information control module 350 loads the 'current time' from the server or the user's computer and controls it to be output on the display unit 400 . can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정보 제어 모듈(370)의 처리 프로세스를 나타낸다. 도6을 참조하면, 메시지 정보 제어 모듈(370)은 명령어 처리부(300)가 마이크(200)에서 입력된 명령어의 문장을 기설정된 키워드 구문으로 분류하여 처리하되, 분류된 키워드 구문이 메시지 키워드인 경우, 메시지 키워드를 텍스트 변환하여 디스플레이부(400)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6 shows a processing process of the message information control module 37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6 , the message information control module 370 classifies and processes the sentence of the command input from the microphone 200 by the command processing unit 300 into a preset keyword phrase, but when the classified keyword phrase is a message keyword ,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message keyword to be converted into text and output to the display unit 400 .

메시지 정보 제어 모듈(370)은 명령어 처리부(300)가 분류한 메시지 키워드(T1)를 분석하여 STT(Speech to Text) 전환할 수 있다. 메시지 정보 제어 모듈(370)은 STT 전환된 TEXT를 저장하고 저장된 TEXT를 추출할 수 있다. 메시지 정보 제어 모듈(370)은 추출된 TEXT가 디스플레이부(400)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message information control module 370 may analyze the message keyword T1 classified by the command processing unit 300 to convert STT (Speech to Text). The message information control module 370 may store the STT converted TEXT and extract the stored TEXT. The message information control module 370 may control to output the extracted TEXT to the display unit 400 .

본 실시예로 사용자가 “잠시 자리 비움이라고 표시해 줘”라는 명령어를 입력한 경우, 메시지 정보 제어 모듈(370)은 메시지 키워드(T1)인 ‘잠시 자리 비움’을 STT 전환하여 TEXT로 저장한다. 메시지 정보 제어 모듈(370)은 저장된 TEXT를 추출하여 ‘잠시 자리 비움’이라는 TEXT가 디스플레이부(400)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user inputs a command to "mark that you are away for a while", the message information control module 370 converts the message keyword T1, 'Away for a while' to STT, and stores it as TEXT. The message information control module 370 may extract the stored TEXT and control so that the TEXT 'off for a while' is output to the display unit 400 .

인테리어 조명 제어 모듈(390)은 명령어 처리부(300)가 마이크(200)에서 입력된 명령어의 문장을 기설정된 키워드 구문으로 분류하여 처리하되, 분류된 키워드 구문이 조명 키워드인 경우, 디스플레이부(400)를 인테리어 조명의 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400)는 출력 수단이 LED 소자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The interior lighting control module 390 classifies and processes the sentence of the command input from the microphone 200 by the command processing unit 300 into a preset keyword phrase, but when the classified keyword phrase is a lighting keyword, the display unit 400 can be controlled as the mode of interior lighting. In this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put means of the display unit 400 is composed of an LED element.

인테리어 조명 제어 모듈(390)은 분류된 키워드 구문이 조명 키워드인 경우, LED 소자의 밝기, 색감, 또는 발광순서의 변주(variation)로 디스플레이부(400)를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classified keyword phrase is a lighting keyword, the interior lighting control module 390 may control the display unit 400 with variations in brightness, color, or light emission order of LED elements.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명패 전광판(10)이 인테리어 조명으로 사용되는 예시를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인테리어 조명 제어 모듈(390)은 책상 위에 있는 모니터(13)의 주변에 위치하여 인테리어 조명으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400)를 제어할 수 있다. 인테리어 조명 제어 모듈(390)은 명패 전광판(10)이 단순한 정보 전달 기능을 넘어 명패 전광판(10)의 사용 범위를 인테리어 조명으로까지 확장할 수 있다.7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nameplate electric sign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interior lighting. Referring to FIG. 7 , the interior lighting control module 390 may be positioned around the monitor 13 on the desk to control the display unit 400 to function as interior lighting. The interior lighting control module 390 can extend the use range of the nameplate electric sign 10 to interior lighting beyond the simple information transfer function of the nameplate electric sign 10 .

본 실시예로 사용자가 “조명 켜줘”라는 명령어를 입력한 경우, 인테리어 정보 제어 모듈(350)은 인테리어 조명의 모드로 기능을 하도록 기설정된 LED 소자의 밝기, 색감, 또는 발광순서의 변주(variation)로 디스플레이부(40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LED 소자의 밝기, 색감, 또는 발광순서는 후술하는 도 8의 별도의 관리 어플리케이션(391)을 통해 사용자가 설정한 모드일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when the user inputs a command "turn on the light", the interior information control module 350 changes the brightness, color, or light emitting order of the LED element preset to function as an interior lighting mode. to control the display unit 400 . Here, the brightness, color, or light emission order of the LED element may be a mode set by the user through a separate management application 391 of FIG. 8 to be described later.

인테리어 조명 제어 모듈(390)은 다양한 형태의 조명이 만들어지도록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LED 소자별로 다른 밝기 또는 색감을 갖도록 디스플레이부(400)를 제어할 수 있다. 인테리어 조명 제어 모듈(390)은 LED 소자별로 발광순서를 달리하여 다양한 심미감을 주도록 디스플레이부(400)를 제어할 수 있다. 인테리어 조명 제어 모듈(390)은 명패 전광판(10)에서 자체적으로 발생하거나 외부에서 발생한 음악 리듬에 맞춰 LED 소자의 밝기, 색감, 또는 발광순서를 달리하여 디스플레이부(400)를 제어할 수 있다.The interior lighting control module 390 may control the display unit 400 to have different brightness or color for each LED element according to a user's setting so that various types of lighting are created. The interior lighting control module 390 may control the display unit 400 to provide various esthetics by changing the light emission order for each LED element. The interior lighting control module 390 may control the display unit 400 by changing the brightness, color, or order of light emission of LED elements in accordance with the music rhythm generated by itself on the nameplate signboard 10 or externally generated.

인테리어 조명 모드에서, 사용자는 명패 케이스(100)를 세로로 세워 작업 환경 주변에 거치할 수 있다. 인테리어 조명 모드에서, 디스플레이부(400)는 인적사항의 출력 표시 대신 조명환경으로 LED 소자를 발광시키거나, 작업 컴퓨터의 음악의 음량에 대응되는 음량 바를 표출할 수 있다.In the interior lighting mode, the user may vertically erect the nameplate case 100 and mount it around the work environment. In the interior lighting mode, the display unit 400 may emit light to the LED element in the lighting environment instead of displaying the output of personal information, or may display a volume bar corresponding to the volume of the music of the work computer.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조명 제어 모듈(390)을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면, 어플리케이션부(500)는 사용자의 이동형 단말기 또는 컴퓨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391)을 조작하여 조명의 밝기, 색감, 또는 발광순서의 변주를 조작할 수 있다.8 shows an application for controlling the interior lighting control module 39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8 , the application unit 500 may operate an application 391 installed in a user's mobile terminal or computer to manipulate brightness, color, or variation of light emission order.

어플리케이션부(500)는 사용자의 이동형 단말기 또는 컴퓨터에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기 위해 설치된 어플리케이션(391)과 호환되어, 사용자의 원격 조작으로 디스플레이부(400)를 제어할 수 있다.The application unit 500 is compatible with the application 391 installed to receive a user's manipulation input to the user's mobile terminal or computer, and can control the display unit 400 by the user's remote manipulation.

어플리케이션부(500)는 사용자가 이동형 단말기 또는 컴퓨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입력한 인적사항 정보를 TEXT로 저장하고 저장된 TEXT를 추출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부(500)는 추출된 TEXT가 디스플레이부(400)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application unit 500 may store personal information information input by a user into an application installed on a mobile terminal or a computer as TEXT and extract the stored TEXT. The application unit 500 may control the extracted TEXT to be output to the display unit 400 .

어플리케이션부(500)는 사용자가 컨텐츠 정보가 출력되도록 이동형 단말기 또는 컴퓨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조작한 경우 컨텐츠의 정보를 서버 또는 사용자의 컴퓨터로부터 로딩하여 디스플레이부(400)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부(500)는 사용자가 컨텐츠의 정보가 출력되도록 명패 케이스(100)에 구성된 장치를 조작한 경우에 컨텐츠의 정보를 서버 또는 사용자의 컴퓨터로부터 로딩하여 디스플레이부(400)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user manipulates an application installed in a mobile terminal or computer to output content information, the application unit 500 may control the content information to be loaded from the server or the user's computer and output to the display unit 400 . When the user manipulates the device configured in the nameplate case 100 to output the content information, the application unit 500 may control the content information to be loaded from the server or the user's computer and output to the display unit 400 . have.

어플리케이션부(500)는 사용자가 이동형 단말기 또는 컴퓨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입력한 메시지 내용을 TEXT로 저장하고 저장된 TEXT를 추출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부(500)는 추출된 TEXT가 디스플레이부(400)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application unit 500 may store the message content input by the user into the application installed on the mobile terminal or the computer as TEXT and extract the stored TEXT. The application unit 500 may control the extracted TEXT to be output to the display unit 400 .

어플리케이션부(500)는 사용자가 이동형 단말기 또는 컴퓨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명패 전광판(10)이 인테리어 조명으로 작동하도록 조작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부(500)는 사용자의 이동형 단말기 또는 컴퓨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이 조작된 경우에 LED 소자의 밝기, 색감, 또는 발광순서의 변주로 디스플레이부(400)를 제어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부(500)는 명패 전광판(10)이 인테리어 조명으로 작동하도록 사용자가 명패 케이스(100)에 구성된 장치를 조작한 경우에 LED 소자의 밝기, 색감, 또는 발광순서의 변주로 디스플레이부(400)를 제어할 수 있다.The application unit 500 may allow a user to operate the nameplate electric sign 10 as an interior lighting by using an application installed on a mobile terminal or a computer. The application unit 500 may control the display unit 400 by changing the brightness, color, or light emission order of the LED element when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user's mobile terminal or computer is operated. When the user operates the device configured in the nameplate case 100 so that the nameplate electric sign 10 operates as an interior lighting, the application unit 500 displays the brightness, color, or variation of the light emitting order of the LED element as a variation of the display unit 400 can control

어플리케이션부(500)는 앞서 설명한 인적사항 정보 제어 모듈(330), 컨텐츠 정보 제어 모듈(350), 메시지 정보 제어 모듈(370), 및 인테리어 조명 제어 모듈(390)과 같은 기능을 할 수 있다. 다만, 어플리케이션부(500)는 마이크(200)에서 입력된 명령어를 인식하여 디스플레이부(400)를 제어하는 인적사항 정보 제어 모듈(330), 컨텐츠 정보 제어 모듈(350), 메시지 정보 제어 모듈(370), 및 인테리어 조명 제어 모듈(390)과는 달리, 사용자의 이동형 단말기 또는 컴퓨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조작되거나 명패 케이스(100)에 구성된 장치를 조작하여 디스플레이부(400)를 제어할 수 있다.The application unit 500 may function as the aforementioned personal information information control module 330 , the content information control module 350 , the message information control module 370 , and the interior lighting control module 390 . However, the application unit 500 recognizes a command input from the microphone 200 to control the display unit 400 by a personal information information control module 330 , a content information control module 350 , and a message information control module 370 . ), and unlike the interior lighting control module 390 ,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display unit 400 by operating the user's mobile terminal or an application installed on the computer, or by operating the device configured in the nameplate case 100 .

도 9는 사용자 음성 식별부의 실시예로서, 도 9의 (a)는 사용자의 음성 특징을 암호화하는 프로세스를 나타내고, 도 9의 (b)는 사용자 음성을 식별하는 프로세스를 나타낸다.9 is an embodiment of the user voice identification unit. FIG. 9 (a) shows a process of encrypting the user's voice characteristics, and FIG. 9 (b) shows a process of identifying the user's voice.

도 9의 (a)를 참조하면, 사용자 음성 식별부(700)는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아 음성을 분석하여 음성 특징을 추출할 수 있다. 사용자 음성 식별부(700)는 사용자의 음성을 MFCC(Mel-frequency cepstral coefficient)기법을 이용하여 주파수를 분석하고 주파수 특징을 추출할 수 있다. 사용자 음성 식별부(700)는 순환 신경망(RNN)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음성 분석 및 특징을 추출할 수 있다. 사용자 음성 식별부(700)는 추출된 사용자의 주파수 음성 특징을 암호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A , the user's voice identification unit 700 may receive the user's voice, analyze the voice, and extract voice features. The user voice identification unit 700 may analyze the frequency of the user's voice using a Mel-frequency cepstral coefficient (MFCC) technique and extract frequency characteristics. The user's voice identification unit 700 may use a recurrent neural network (RNN) to analyze and extract the user's voice. The user voice identification unit 700 may encrypt and store the extracted user's frequency voice characteristics.

도 9의 (b)를 참조하면, 사용자 음성 식별부(700)는 마이크에서 입력된 명령어의 음성을 분석하여 음성 특징을 추출하고 추출된 음성 특징과 암호화되어 저장된 사용자의 음성 특징이 일치하는지 비교할 수 있다. 사용자 음성 식별부(700)는 마이크(200)에서 입력된 명령어의 음성 특징과 사용자의 음성 특징이 일치하는 경우 사용자로 인증된 것으로 보아 입력된 명령어가 명령어 처리부(300)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 음성 식별부(700)는 마이크(200)에서 입력된 명령어의 음성 특징과 사용자의 음성 특징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로 인증이 않된 것으로 보아 입력된 명령어가 명령어 처리부(300)로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9 (b), the user voice identification unit 700 analyzes the voice of the command input from the microphone to extract voice features, and compares the extracted voice features with the encrypted and stored voice features of the user. have. The user voice identification unit 700 allows the input command to be transmitted to the command processing unit 300 as it is deemed authenticated as a user when the voice characteristic of the command input from the microphone 200 matches the voice characteristic of the user. The user voice identification unit 700 prevents the input command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command processing unit 300 as it is deemed that the user has not been authenticated when the voice characteristics of the command input from the microphone 200 and the voice characteristics of the user do not match. .

사용자 음성 식별부(700)는 불특정 다수의 명령어가 입력되었을 때 사용자의 명령어만 인식하도록 하여 의도치 않은 동작이 일어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 음성 식별부(700)는 사용자의 음성 특성을 암호화함으로써 타인이 명패 전광판(10)을 조작할 수 없도록 하여 보안성을 강화할 수 있다.The user voice identification unit 700 may prevent an unintended operation from occurring by recognizing only the user's command when an unspecified number of commands are input. The user's voice identification unit 700 encrypts the user's voice characteristics so that other people cannot operate the nameplate electric sign 10, thereby enhancing security.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representative embodiments above,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limi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spect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ll be.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be defined by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as well as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10 : 명패 전광판
13: 모니터
100 : 명패 케이스
200 : 마이크
300 : 명령어 처리부
310 : 키워드 인식 모듈
330 : 인적사항 정보 제어 모듈
350 : 컨텐츠 정보 제어 모듈
370 : 메시지 정보 제어 모듈
390 : 인테리어 조명 제어 모듈
391 : 어플리케이션
400 : 디스플레이부
500 : 어플리케이션부
600 : 네트워크 연결부
700 : 사용자 음성 식별부
T1 : 키워드 구문 1
T2 : 키워드 구문 2
10: nameplate electric sign
13: monitor
100: nameplate case
200: microphone
300: command processing unit
310: keyword recognition module
330: personal information information control module
350: content information control module
370: message information control module
390: interior lighting control module
391 : application
400: display unit
500: application part
600: network connection
700: user voice identification unit
T1 : keyword phrase 1
T2: keyword phrase 2

Claims (5)

명패 케이스;
사용자의 명령어를 입력받는 마이크;
상기 마이크에서 입력된 명령어에서, 사용자의 인적사항과 관련된 정보를 텍스트 정보로 추출하는 명령어 처리부; 및
상기 명패 케이스의 일면을 구성하고, 상기 명령어 처리부에서 추출된 텍스트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명령어 처리부는,
상기 마이크에서 입력된 명령어의 문장을 기설정된 키워드 구문으로 분류하여 인식하는 키워드 인식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키워드 구문으로, 인적사항 키워드, 컨텐츠 키워드, 메시지 키워드, 조명 키워드, 또는 실행 키워드의 카테고리가 설정되며,
상기 명령어 처리부는,
상기 실행 키워드를 포함한 최소 2개의 키워드 카테고리를 조합하여, 사용자의 명령어를 구분함에 따라, 사용자가 발성한 명령어 중 인적사항인 [이름][직책]을 구분하여 텍스트 변환을 수행하여,
키워드 처리의 자유도가 확장되어 외부의 입력 수단을 통하지 않고, 사용자의 음성 기반으로 인적사항의 표출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패 전광판.
nameplate case;
a microphone for receiving user commands;
a command processing unit for extrac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as text information from the command input from the microphone; and
Constructing one side of the nameplate case, and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the text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command processing unit;
The command processing unit,
and a keyword recognition module for classifying and recognizing sentences of commands input from the microphone into preset keyword phrases,
As the keyword phrase, categories of personal information keywords, content keywords, message keywords, lighting keywords, or execution keywords are set,
The command processing unit,
By combining at least two keyword categories including the execution keyword and classifying the user's command, text conversion is performed by classifying personal information [name][position] among commands uttered by the user,
Nameplate electric signage, characterized in that the degree of freedom of keyword processing is expanded so that personal information can be expressed based on the user's voice without using an external input means.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출력 수단이 LED 소자로 구비되고,
상기 명령어 처리부는,
상기 마이크에서 입력된 명령어의 문장을 기설정된 키워드 구문으로 분류하여 처리하되,
분류된 키워드 구문이 조명 키워드인 경우, 상기 LED 소자의 밝기, 색감, 또는 발광순서의 변주(variation)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인테리어 조명 제어 모듈을 포함하여,
심미적 조명으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패 전광판.
The method of claim 1,
The display unit,
The output means is provided with an LED element,
The command processing unit,
Classify and process the sentences of the commands input from the microphone into preset keyword phrases,
When the classified keyword phrase is a lighting keyword, including an interior lighting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with variations in brightness, color, or light emission order of the LED elements,
Nameplate electric sign, characterized in that it functions as an aesthetic lighting.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이동형 단말기 또는 컴퓨터에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기 위해 설치된 어플리케이션과 호환되어,
사용자의 원격 조작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게 되는 어플리케이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패 전광판.
The method of claim 1,
Compatible with the application installed to receive the user's operation input to the user's mobile terminal or computer,
The nameplate signboard further comprising an application unit for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by a user's remote oper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에서 입력된 명령어의 음성을 분석하여 음성 특징을 추출하고 추출된 음성 특징과 암호화되어 저장된 사용자의 음성 특징이 일치하는지 비교하는 사용자 음성 식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패 전광판.
The method of claim 1,
The nameplate signboard further comprising a user voice identification unit that analyzes the voice of the command input from the microphone to extract voice features and compares the extracted voice features with the encrypted and stored voice features of the user.
KR1020210041553A 2021-03-31 2021-03-31 Intelligent led nameplate display board with voice recognition function KR10231673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1553A KR102316733B1 (en) 2021-03-31 2021-03-31 Intelligent led nameplate display board with voice recognition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1553A KR102316733B1 (en) 2021-03-31 2021-03-31 Intelligent led nameplate display board with voice recognition fun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6733B1 true KR102316733B1 (en) 2021-10-25

Family

ID=78258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1553A KR102316733B1 (en) 2021-03-31 2021-03-31 Intelligent led nameplate display board with voice recognition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6733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3428A (en) * 2002-10-14 2004-04-28 주식회사 다날 Bothway advertisement system used voice recognition and method thereof
KR20110098481A (en) * 2010-02-26 2011-09-01 주식회사 태건광고 A sign device with voice recognition sensor
KR101132653B1 (en) 2011-09-09 2012-04-03 (주) 대호아이앤티 Nameplate and monitoring system for conference and method thereof
KR20120138449A (en) * 2011-06-15 2012-12-26 엔에이치엔(주)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dvertisement using voise recognition when telephone conversation on the voip bas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3428A (en) * 2002-10-14 2004-04-28 주식회사 다날 Bothway advertisement system used voice recognition and method thereof
KR20110098481A (en) * 2010-02-26 2011-09-01 주식회사 태건광고 A sign device with voice recognition sensor
KR20120138449A (en) * 2011-06-15 2012-12-26 엔에이치엔(주)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dvertisement using voise recognition when telephone conversation on the voip base
KR101132653B1 (en) 2011-09-09 2012-04-03 (주) 대호아이앤티 Nameplate and monitoring system for conference and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3314B1 (en) Electronic Device and the Method for Generating Short cut of Quick Command
KR102445382B1 (en) Voice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supporting the same
KR102389625B1 (en) Electronic apparatus for processing user utteran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305992B1 (en) Voice play method and device
KR102012968B1 (en) Method and server for controlling interaction robot
KR20190084789A (en) Electric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6325095A (en) Intelligent voice housekeeper robot system
CN107515944A (en) Exchange method, user terminal and storage medium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KR2016005654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qusetion-answering
KR20110110391A (en) A visual communication method in microblog
US11257482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JP2016154032A (en) Voice enabled telnet interface
KR102517219B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JPWO200706951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program
CN110569070A (en) Lamplight display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10908631A (en) Emotion interaction method, device, equipment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KR20200027753A (en) Electronic Device and the Method for Operating Task corresponding to Shortened Command
KR102316733B1 (en) Intelligent led nameplate display board with voice recognition function
JPH08339288A (en) Information processo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2334998B1 (en) Human emotional expression tools on the basis of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1581919A (en) Task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KR102519635B1 (en) Method for displaying an electronic document for processing a voice command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JP2003157095A (en) Voice recognition device, and method and program therefor
KR20220143622A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178175B1 (en) User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