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6538B1 - Triboelectric nanogenerator with capsule structure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Triboelectric nanogenerator with capsule structure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6538B1
KR102316538B1 KR1020180051832A KR20180051832A KR102316538B1 KR 102316538 B1 KR102316538 B1 KR 102316538B1 KR 1020180051832 A KR1020180051832 A KR 1020180051832A KR 20180051832 A KR20180051832 A KR 20180051832A KR 102316538 B1 KR102316538 B1 KR 102316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boelectric nanogenerator
capsule structure
triboelectric
polymer tube
nanogen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18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108453A (en
Inventor
김태환
차오 싱 우
박재현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90108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845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6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653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1/00Electrostatic generators or motors using a solid moving electrostatic charge carrier
    • H02N1/04Friction generators

Landscapes

  •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And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는 고분자 튜브; 상기 고분자 튜브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고분자 튜브의 내부에서 이동하는 진동자; 및 상기 고분자 튜브의 외부에 코팅된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고분자 튜브는 외부와 차단되어 밀폐된 구조이며, 상기 전극은 상기 고분자 튜브의 외부에 적어도 한 쌍(pair) 이상의 전극쌍(pair-electrode)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with a capsule structure.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having a capsu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lymer tube; a vibrator installed inside the polymer tube and moving in the polymer tube; and an electrode coated on the outside of the polymer tube, wherein the polymer tube is blocked from the outside and has a closed structure, and the electrode has at least one pair of electrode pairs on the outside of the polymer tub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Description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 및 그 제조 방법{TRIBOELECTRIC NANOGENERATOR WITH CAPSULE STRUCTURE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TRIBOELECTRIC NANOGENERATOR WITH CAPSULE STRUCTURE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유롭게 움직이는 진동자, 밀폐된 튜브 및 외부에 코팅된 공동 전극으로 구성되어, 진동자의 움직임을 통하여 마찰 전기를 생성하는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having a capsule structur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reely moving vibrator, a sealed tube, and a cavity electrode coated on the outside to generate triboelectric electricity through the movement of the vibrator It relates to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having a capsule structur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생활 주변이나 산업현장에서 볼 수 있는 대부분의 물품이나 장치는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고 있고, 사회의 고도화에 따라 그 수요가 증가되고 있다.Most of the goods or devices that can be found around life or in industrial sites use electricity as a power source, and the demand for them is increasing with the advancement of society.

이에 따라, 화석에너지를 이용한 화력발전, 핵융합 및 핵분열을 이용한 원자력발전과 같이 다양한 발전시설에 대한 시설투자가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있고, 최근에는 에너지자원의 고갈로 인해 태양광발전, 풍력발전, 조력발전과 같은 다양한 대체 발전시설에 투자와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Accordingly, facility investment in various power generation facilities, such as thermal power generation using fossil energy, nuclear power generation using nuclear fusion and nuclear fission, is continuously increasing. Investment and development are actively progressing in various alternative power generation facilities such as

특히, 최근에는 에너지 하베스트(energy harvest)라는 개념으로 일상 생활에서 버려지는 에너지를 회수하는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인간 주변의 움직임으로부터 소량의 전기를 수확하는 방법으로 2개의 다른 물체가 마찰될 때 발생하는 전자를 포획하는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In particular, recently, research on a system that recovers energy wasted in daily life with the concept of energy harvest is being actively conducted. Techniques for trapping electrons generated when objects are rubbed are being studied.

최근에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는 높은 에너지 전환 효율, 낮은 제조 단가 비용 및 뛰어난 접근성 때문에 역학에너지 하베스팅에 대해 유망한 대체 후보로 뽑히고 있다. 기계적 진동, 인체의 움직임, 바람, 소리 및 파도와 같은 에너지원들도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에 응용되고 있다.Recently, triboelectric nanogenerators have been selected as promising replacement candidates for mechanical energy harvesting due to their high energy conversion efficiency, low manufacturing cost and excellent accessibility. Energy sources such as mechanical vibration, human movement, wind, sound and waves are also being applied to triboelectric nanogenerators.

도 1 내지 도 4는 종래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1 to 4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a conventional triboelectric nanogenerator.

일반적인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는 서로 다른 전하 극성을 갖는 제1 표면과 제2 표면을 가지고, 제1 표면과 제2 표면이 접촉할 때에 각 표면의 전하 극성 차이에 의한 정전기 생성을 통하여 마찰 전기를 생성할 수 있다.A general triboelectric nanogenerator has a first surface and a second surface having different charge polarities, and when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are in contact, triboelectric electricity is generated through static electricity generation due to the difference in charge polarity of each surface. can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100)는 지그재그(zig-zag) 형태의 구조체(110)에 제1 전하 극성을 갖는 제1 표면(120)과 제2 전하 극성을 갖는 제2 표면(130)을 형성하고, 지그재그 형태의 구조체에 화살표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면 제1 표면(120)과 제2 표면(130)이 서로 맞닿게 되고, 이 때 마찰 전기가 생성된다.The conventional triboelectric nanogenerator 100 shown in FIG. 1 has a first surface 120 having a first charge polarity and a second surface having a second charge polarity in a structure 110 in a zig-zag shape. Forming 130 and applying pressure to the zigzag-shaped structure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the first surface 120 and the second surface 130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t this time, triboelectric electricity is generated.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200)는 격자 구조의 구조체(210)에 제1 전하 극성을 갖는 제1 표면(220)과 제2 전하 극성을 갖는 제2 표면(230)을 형성하고, 격자 구조의 구조체에 화살표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면 제1 표면(220)과 제2 표면(230)이 서로 맞닿게 되고, 이 때 마찰 전기가 생성된다.The conventional triboelectric nanogenerator 200 shown in FIG. 2 forms a first surface 220 having a first charge polarity and a second surface 230 having a second charge polarity on a structure 210 having a lattice structure. And, when pressure is applied to the structure of the grid structure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the first surface 220 and the second surface 230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t this time, triboelectric electricity is generated.

도 3에 도시된 종래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300)는 본체부와 돌출부를 가져, 본체부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운동 할 수 있는 핑거(finger) 형태의 제1 구조체(310)와, 고정체(350)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핑거 형태의 제2 구조체(330)를 갖는다. The conventional triboelectric nanogenerator 300 shown in FIG. 3 has a body portion and a protrusion, a first structure 310 in the form of a finger capable of reciprocat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and a fixed body 350 ) has a second structure 330 in the form of a finger fixed by.

도 3에 도시된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300)는 제1 구조체(310)의 돌출부에 제1 전하 극성을 갖는 제1 표면(320)을 형성하고, 제2 구조체(330)의 돌출부에 제2 전하 극성을 갖는 제2 표면(340)을 형성한 후 제1 구조체(310)의 돌출부와 제2 구조체(340)의 돌출부를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한 구조를 가져, 제1 구조체(310)가 일 방향으로 왕복운동 시 제1 구조체(310)의 제1 표면(320)과 제2 구조체(330)의 제2 표면(340)이 서로 맞닿게 되고, 이 때 마찰 전기가 생성된다.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300 shown in FIG. 3 forms a first surface 320 having a first charge polarity on the protrusion of the first structure 310 , and a second charge on the protrusion of the second structure 330 . After forming the second surface 340 having a polarity, the first structure 31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protrusions of the first structure 310 and the protrusions of the second structure 340 are arranged to cross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structure 310 moves in one direction. During the reciprocating motion, the first surface 320 of the first structure 310 and the second surface 340 of the second structure 330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t this time, triboelectric electricity is generated.

도 4에 도시된 종래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400)는 본체부와 돌출부를 가져, 돌출부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운동 할 수 있는 핑거(finger) 형태의 제1 구조체(410)와, 고정되어 있는 핑거 형태의 제2 구조체(430)를 갖는다.The conventional triboelectric nanogenerator 400 shown in FIG. 4 has a body portion and a protrusion, a first structure 410 in the form of a finger that can reciprocat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otrusion, and a fixed finger It has a second structure 430 in the form.

도 4에 도시된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400)는 제1 구조체(410)의 돌출부에 제1 전하 극성을 갖는 제1 표면(420)을 형성하고, 제2 구조체(430)의 돌출부에 제2 전하 극성을 갖는 제2 표면(440)을 형성한 후 제1 구조체(410)의 돌출부와 제2 구조체(440)의 돌출부를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하되, 제1 구조체(410)의 돌출부와 제2 구조체(440)의 돌출부가 실질적으로 접촉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다.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400 shown in FIG. 4 forms a first surface 420 having a first charge polarity on the protrusion of the first structure 410 , and a second charge on the protrusion of the second structure 430 . After forming the second surface 440 having a polarity, the protrusions of the first structure 410 and the protrusions of the second structure 440 are arranged to cross each other, and the protrusions of the first structure 410 and the second structure ( 44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protrusions are substantially in contact.

이때, 제1 구조체(410)가 돌출부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운동 시 제1 구조체(410)의 제1 표면(420)과 제2 구조체(430)의 제2 표면(440)이 서로 맞닿은 채로 슬라이딩(sliding) 되고, 이때 마찰 전기가 생성된다.At this time, when the first structure 410 reciprocat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otrusion, the first surface 420 of the first structure 410 and the second surface 440 of the second structure 430 are sliding ( sliding), and friction electricity is generated at this time.

전술한 종래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들은 각각 다른 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서로 다른 전하 극성을 갖는 제1 표면과 제2 표면을 가지고, 제1 표면과 제2 표면이 접촉할 때에 각 표면의 전하 극성 차이에 의한 정전기 생성을 통하여 마찰 전기를 생성한다는 마찰 전기 생성 방법에 대하여는 동일하다.The conventional triboelectric nanogenerators described above have different structures, but have a first surface and a second surface having different charge polarities, and when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are in contact, the difference in charge polarity of each surface The same applies to the triboelectric generation method of generating triboelectric electricity through static electricity generation.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에 대한 응용에서 가장 중요한 이슈는 충분한 출력 전력을 수집하는 것이다. 순간출력전력을 극대화하기 위한 방법으로 여러 개의 소자를 통합할 수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알려진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는 구조적으로 여러 개의 소자의 통합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The most important issue in applications for triboelectric nanogenerators is to collect sufficient output power. Multiple devices can be integrated as a way to maximize the instantaneous output power. However, triboelectric nanogenerators known to date have a structural disadvantage in that it is difficult to integrate multiple devices.

도 5는 종래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를 다수개 통합한 네트워크를 도식화 한 것이다.5 is a schematic diagram of a network in which a plurality of conventional triboelectric nanogenerators are integrated.

하나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510)는 전기적 네트워크(520)를 통하여 서로 연결(500)되어 있고, 이 때 하나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510)을 단독으로 쓸 때에 비하여 출력 전압을 상승시킬 수 있다.On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510 is connected to each other 500 through an electrical network 520 , and in this case, the output voltage can be increased compared to when on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510 is used alone.

하지만, 종래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들은, 다수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를 통합하기 용이하지 않고, 다수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를 통합하여 출력 전력을 극대화 하더라도 임계 진동 진폭 또한 증가하게 되어, 일상 생활에서 끊임없이 발생되는 비교적 작은 진폭을 갖는 진동의 에너지는 효율적으로 하베스팅할 수 없다.However, conventional triboelectric nanogenerators are not easy to integrate a plurality of triboelectric nanogenerators, and even if the output power is maximized by integrating a plurality of triboelectric nanogenerators, the critical vibration amplitude also increases, which constantly occurs in daily life. The energy of vibrations with relatively small amplitudes cannot be harvested efficiently.

더하여, 종래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는 다수의 발전기 유닛을 전기적 네트워크를 통해 통합하여 시스템을 한 번 구성하게 되면, 후속적으로 장치 구조를 쉽게 변경할 수 없게 되어 전체적인 출력 전압 및 전류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없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triboelectric nanogenerator integrates a plurality of generator units through an electrical network to form a system once, and subsequently, the device structure cannot be easily changed, so that the overall output voltage and current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The disadvantage is that it cannot be easily changed.

순간 출력 전력을 극대화하기 위해 여러 소자를 통합한 종류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가 개발되었지만, 발전기의 성능 측면에서 여전히 개선의 여지가 많이 남아있다. 수직으로 적층된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의 경우, 수직으로 적층된 소자의 수가 증가하면 임계 진동 진폭도 증가한다. 따라서 진폭이 비교적 작은 진동의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하베스팅할 수가 없다. Although triboelectric nanogenerators of a kind that integrate multiple elements to maximize instantaneous output power have been developed, there is still room for improvement in terms of generator performance. In the case of vertically stacked triboelectric nanogenerators, the critical vibration amplitude also increases as the number of vertically stacked devices increases. Therefore, it is impossible to efficiently harvest the energy of vibrations with relatively small amplitudes.

또한, 통합된 여러 소자로 구성되는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의 경우, 시스템이 한번 제작되면 장치 구조를 변경할 수 없다. 결과적으로 통합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는 선택적으로 통합되어 전체 출력 전압 및 전류를 변화시킬 수 없다.Also, in the case of triboelectric nanogenerators, which consist of several integrated elements, once the system is built, the device structure cannot be changed. As a result, triboelectric nanogenerators with integrated structures are selectively integrated and cannot change the overall output voltage and current.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는 다양한 형태의 진동에너지가 주변 환경에 존재하기 때문에 광대역 주파수를 가진 진동으로부터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수집할 수 있는 소자 능력에 초점을 맞추어 왔다. 주목할 점은 진동 진폭이 증가하면 진동에너지가 증가한다는 것이다. 주변에 존재하는 진동은 일반적으로 넓은 진폭 스펙트럼에 분산되어 있어 효율적인 에너지 하베스팅을 위해 시연된 대부분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들은 비실용적으로 제작된다. Most research on triboelectric nanogenerators has focused on the device's ability to effectively collect energy from vibrations with broadband frequencies because various forms of vibrational energy exist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t should be noted that as the vibration amplitude increases, the vibration energy increases. Surrounding vibrations are generally spread over a wide amplitude spectrum, making most triboelectric nanogenerators demonstrated for efficient energy harvesting impractical.

따라서, 진동에너지 대 전기 변환 효율(vibration energy-to-electricity conversion efficiency)이 높고 실제 응용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는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진폭이 광대역인 진동으로부터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수집할 수 있어야 한다.Therefore, in order to develop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that has high vibration energy-to-electricity conversion efficiency and can be used in practical applications, it is necessary to efficiently collect energy from vibrations with a wide amplitude. .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22098호, "표면 플라즈몬 공명을 이용한 마찰전기 발전기"Korean Patent Laid-Open Patent No. 10-2018-0022098, "Triboelectric generator using surface plasmon resonance"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87122호, "마찰전기 발전기 및 그 제조방법"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7-0087122, "Friction electric genera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02424호, "액체의 역학 에너지를 수집하는 마찰식 나노발전기 및 발전 방법"Korean Patent Laid-Open Patent No. 10-2017-0002424, "A friction-type nano-generator and power generation method that collects the mechanical energy of a liquid"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은 광대역 진폭의 진동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수집하고 높은 전기 출력을 달성하기 위한 선택적 통합이 가능한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UMMARY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having a capsule structure capable of efficiently collecting vibration energy of a broadband amplitude and selectively integrating to achieve a high electrical output,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은 1 차원, 2 차원 및 3 차원 구조로 사용자 임의대로 편리하게 구조를 변형하기 용이하고, 전극쌍의 개수 또한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어 광대역 진폭의 진동에서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수집할 수 있는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asy to conveniently transform the structure into a one-dimensional, two-dimensional, and three-dimensional structure at will, and the number of electrode pairs can also be freely changed, so that energy can be efficiently collected from vibrations of broadband amplitud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having a capsule structur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은 높은 휴대성, 낮은 비용, 간단한 공정 방법, 높은 통합성 및 다양한 종류의 역학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는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having a capsule structure capable of high portability, low cost, simple process method, high integration and storage of various types of mechanical energy,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은 신체의 움직임과 연관된 에너지, 음파에너지, 풍력에너지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에너지를 수집할 수 있는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UMMARY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capable of collecting various types of energy, such as energy associated with body movement, sound wave energy, and wind energy,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은 전기 발전기, 휴대형 자가 발전형 전자 기기 및 플렉서블/웨어러블 의료기기에 응용 가능한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UMMARY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having a capsule structure applicable to an electric generator, a portable self-generation electronic device, and a flexible/wearable medical devic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는 고분자 튜브; 상기 고분자 튜브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고분자 튜브의 내부에서 이동하는 진동자; 및 상기 고분자 튜브의 외부에 코팅된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고분자 튜브는 외부와 차단되어 밀폐된 구조이며, 상기 전극은 상기 고분자 튜브의 외부에 적어도 한 쌍(pair) 이상의 전극쌍(pair-electrode)으로 구성된다.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of the capsul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lymer tube; a vibrator installed inside the polymer tube and moving in the polymer tube; and an electrode coated on the outside of the polymer tube, wherein the polymer tube is blocked from the outside and has a closed structure, and the electrode has at least one pair of electrode pairs on the outside of the polymer tube. is composed of

상기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는, 외력에 응답하여 발생하는 상기 진동자의 진동 시에 상기 진동자 및 상기 고분자 튜브의 접촉에 의해 발생하는 정전기 유도(electrostatic induction)를 통하여 마찰 전기를 생성할 수 있다.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having the capsule structure may generate triboelectric electricity through electrostatic induction generated by contact between the vibrator and the polymer tube when the vibrator vibrates in response to an external force.

상기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는, 상기 전극쌍을 구성하는 두 개의 전극 간 간격이 클수록 높은 진동 진폭을 갖는 마찰 전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of the capsule structur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greater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electrodes constituting the electrode pair, the higher the triboelectricity is generated.

상기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는 상기 전극쌍을 구성하는 상기 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극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of the capsule structure further comprises an electrode connection part electrically connecting the electrodes constituting the electrode pair.

상기 진동자는 상기 고분자 튜브 대비 작은 직경을 가지고, 상기 진동자가 상기 고분자 튜브 내에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vibrator has a smaller diameter than the polymer tube, and the vibrator moves within the polymer tube.

상기 진동자는 추가 정전하(additional static charge)를 포함하여 상기 고분자 튜브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vibrato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inside the polymer tube including an additional static charge (additional static charge).

상기 추가 정전하는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olyvinylidenefluoride, PVDF),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PTFE),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 PDMS), 폴리비닐클로라이드(polyvinylchloride, PVC),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술폰(polysulfone, PSF),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ilfon, PES),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및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는 용기 내에 상기 진동자의 진동(shake)에 의해 상기 진동자 내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dditional electrostatic charge is polyvinylidenefluoride (PVDF),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polydimethylsiloxane (PDMS), polyvinylchloride (PVC), polyimide (PI) ), polysulfone (PSF), polyether sulfone (PES), polyacrylonitrile (PAN) and polypropylene (PP) in a container consisting of at least one of the vibrator by the vibration (shak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cluded in the vibrator.

상기 고분자 튜브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PTFE),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 PDMS), 폴리비닐클로라이드(polyvinylchloride, PVC), 폴리이미드(polyimide, PI) 및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olymer tube is at least one of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polydimethylsiloxane (PDMS), polyvinylchloride (PVC), polyimide (PI) and polypropylene (PP).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one.

상기 진동자는 전도성 물질로 형성되고, 상기 전도성 물질은 금속, 전도성 옥사이드 물질, 전도성 폴리머 및 전도성 유기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vibrator is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the conductive material includes at least one of a metal, a conductive oxide material, a conductive polymer, and a conductive organic material.

상기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는, 상기 고분자 튜브, 상기 고분자 튜브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고분자 튜브의 내부에서 이동하는 진동자 및 상기 고분자 튜브의 외부에 코팅된 전극으로 구성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나노발전기 유닛(unit)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나노발전기 유닛의 각각의 전극이 서로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of the capsule structure includes at least two or more nanogenerator units comprising the polymer tube, a vibrator installed inside the polymer tube and moving inside the polymer tube, and electrodes coated on the outside of the polymer tube. (unit), wherein each electrode of the at least two or more nanogenerator units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상기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는, 상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상기 나노발전기 유닛이 상기 고분자 튜브의 길이 방향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of the capsule structur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t least two or more of the nanogenerator units are conn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olymer tube.

상기 진동자는 원기둥(cylinder) 형태 및 구(sphere) 형태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vibrato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cylindrical shape and a sphere shap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의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에 따르면 광대역 진폭의 진동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수집하고 높은 전기 출력을 달성하기 위해 선택적 통합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of the capsule structur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collect vibration energy of broadband amplitude and selectively integrate to achieve high electrical output.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의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에 따르면 1 차원, 2 차원 및 3 차원 구조로 사용자 임의대로 편리하게 구조를 변형하기 용이하고, 전극쌍의 개수 또한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어 광대역 진폭의 진동에서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수집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of the capsule structur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asy to conveniently transform the structure into a one-dimensional, two-dimensional, and three-dimensional structure at will, and the number of electrode pairs can also be freely changed, so that the broadband Energy can be efficiently collected from oscillations of amplitud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의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에 따르면 높은 휴대성, 낮은 비용, 간단한 공정 방법, 높은 통합성 및 다양한 종류의 역학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of the capsule structur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igh portability, low cost, simple process method, high integration, and various kinds of mechanical energy can be stor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의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에 따르면 신체의 움직임과 연관된 에너지, 음파에너지, 풍력에너지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에너지를 수집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of the capsule structur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llect various types of energy, such as energy associated with body movement, sound wave energy, and wind energy.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의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에 따르면 전기 발전기, 휴대형 자가 발전형 전자 기기 및 플렉서블/웨어러블 의료기기에 응용이 가능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of the capsule structur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pply to an electric generator, a portable self-generation electronic device, and a flexible/wearable medical device.

도 1 내지 도 4는 종래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5는 종래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를 다수개 통합한 네트워크를 도식화 한 것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일 유닛의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를 도시한 입체도 및 단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의 실제 크기와 중량을 도시한 이미지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의 진동자 추가 정전하 도입 공정에서, 추가 정전하 도입 공정 시간 대비 단락 전류의 값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의 작동 사이클 수에 따른 피크 전압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의 외부 부하 저항에 따른 피크 전력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의 진동 주파수 별 동일 시간 동안의 출력 전압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의 동일 시간 동안 주파수 별 전기 에너지량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의 외부 습도 조건에 따른 출력 전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일 유닛의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를 2차원 평면 구조로 통합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 2차원 통합 구조체를 도시한 것이다.
도 18은 도 17에서 도시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 2차원 통합 구조체에 대하여 단일 유닛의 수에 따른 출력 전압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9는 도 17에서 도시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 2차원 통합 구조체에 대하여 단일 유닛의 수에 따른 피크 전력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일 유닛의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를 1차원 선형 구조로 통합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 1차원 통합 구조체를 도시한 것이다.
도 21은 도 20에서 도시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 1차원 통합 구조체에 대하여 단일 유닛의 수에 따른 출력 전압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2는 도 20에서 도시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 1차원 통합 구조체에 대하여 단일 유닛의 수에 따른 피크 전력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일 유닛의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를 3차원 입체 구조로 통합한 3차원 통합 구조체를 도시한 것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 3차원 통합 구조체의 출력 전압을 도시한 그래프와, 이를 이용하여 작동시킨 발광다이오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5는 도 23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 3차원 통합 구조체를 이용하여 220 μF의 커패시터(capacitor)를 충전 할 때의 시간에 따른 출력 전압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의 마찰 전기 생성 원리를 도시한 것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의 시간당 출력 전압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의 전극쌍 수에 따른 전기 에너지 값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를 통합한 개략도와 그에 따른 출력 전압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 2차원 통합 구조체에 대하여 단일 유닛의 수에 따른 피크 전력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32는 종래의 수직 접촉-분리 모드(vertical contact-separation mode)를 갖는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의 진동 진폭에 대한 전압 출력의 의존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 중 두 개의 전극쌍을 갖는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의 진동 진폭에 대한 전압 출력의 의존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 다수개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를 통합하여 하나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 시스템을 구성한 것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35는 도 34에서 도시한 혼합형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의 진동 진폭에 대한 전압 출력의 의존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1 to 4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a conventional triboelectric nanogenerator.
5 is a schematic diagram of a network in which a plurality of conventional triboelectric nanogenerators are integrated.
6 and 7 are three-dimensional views and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having a capsule structure of a singl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A to 8C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having a capsu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having a capsu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image showing the actual size and weight of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having a capsu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graph showing the value of the short-circuit current versus the time of the additional electrostatic charge introduction process in the vibrator addition electrostatic charge introduction process of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having a capsu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graph illustrating a peak voltage according to the number of operating cycles of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having a capsu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graph showing peak power according to external load resistance of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having a capsu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graph showing the output voltage for the same time for each vibration frequency of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having a capsu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graph showing the amount of electrical energy for each frequency for the same time of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having a capsu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llustrates an output voltage according to external humidity conditions of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having a capsu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shows a two-dimensional integrated structure of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having a capsu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having a single unit capsule structure is integrated into a two-dimensional plana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d it
18 is a graph showing the output voltage according to the number of single units for the two-dimensional integrated structure of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of the capsu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7 .
19 is a graph showing the peak power according to the number of single units for the two-dimensional integrated structure of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of the capsule struc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7 .
20 is a one-dimensional integrated structure of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having a capsu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having a single unit capsu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grated into a one-dimensional linear structure. did it
21 is a graph showing the output voltage according to the number of single units for the one-dimensional integrated structure of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of the capsu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20 .
22 is a graph showing peak power according to the number of single units for the one-dimensional integrated triboelectric nanogenerator structure having a capsu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20 .
23 illustrates a three-dimensional integrated structure in which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having a single unit capsule structure is integrated into a three-dimensional three-dimensional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4 is a graph illustrating an output voltage of a three-dimensional integrated structure of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having a capsu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light emitting diode operated using the graph.
25 is a graph showing the output voltage according to time when a capacitor of 220 μF is charged using the three-dimensional integrated structure of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of the capsule struc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FIG. .
26 shows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7 illustrates a triboelectric generation principle of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8 is a graph showing the output voltage per hour of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9 is a graph illustrating electrical energy valu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electrode pairs of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0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integrated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graph showing an output voltage thereof.
31 is a graph showing peak power according to the number of single units for a two-dimensional integrated structure of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having a capsule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2 is a graph showing the dependence of voltage output on vibration amplitude of a conventional triboelectric nanogenerator with a vertical contact-separation mode.
33 is a graph showing the dependence of voltage output on vibration amplitude of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having two electrode pairs among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having a capsule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ingl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system by integrating a plurality of triboelectric nanogenerators having a capsu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having a capsule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chematic diagram of
FIG. 35 is a graph showing the dependence of voltage output on vibration amplitude of the hybrid triboelectric nanogenerator shown in FIG. 34 .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embodiment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refers to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mentioned. or addition is not excluded.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측면", "예시" 등은 기술된 임의의 양상(aspect)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As used herein, “embodiment”, “example”, “aspect”, “exemplary”, etc. are to be construed as advantageous in which any aspect or design described is preferred or advantageous over other aspects or designs. it is not doing

또한, '또는' 이라는 용어는 배타적 논리합 'exclusive or'이기보다는 포함적인 논리합 'inclusive or'를 의미한다. 즉,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또는 문맥으로부터 명확하지 않는 한, 'x가 a 또는 b를 이용한다'라는 표현은 포함적인 자연 순열들(natural inclusive permutations)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한다.Also, the term 'or' means 'inclusive or' rather than 'exclusive or'. That is, unless stated otherwise or clear from context, the expression 'x employs a or b' means any one of natural inclusive permutations.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항들에서 사용되는 단수 표현("a" 또는 "an")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또는 단수 형태에 관한 것이라고 문맥으로부터 명확하지 않는 한,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lso, as used herein and in the claims, the singular expression "a" or "an" generally means "one or more" unless stated otherwise or clear from the context that it relates to the singular form. should be interpreted as

아래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연관되는 기술 분야에서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것으로 선택되었으나, 기술의 발달 및/또는 변화, 관례, 기술자의 선호 등에 따라 다른 용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아래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description below are selected as general and universal in the related technical field, but there may be other terms depending on the development and/or change of technology, customs, preferences of technicians, and the like. Therefore, the terms used in the description below should not be understood as limiting the technical idea, but should be understood as exemplary terms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설명 부분에서 상세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아래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이해되어야 한다.In addition, in a specific case, there is a term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and in this case, the meani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corresponding description. Therefore, the terms used in the description below should be understoo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and the content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not the simple name of the term.

한편,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는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Meanwhile,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또한, 막, 층, 영역, 구성 요청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층,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In addition, when a part such as a film, layer, region, configuration request, etc. is said to be “on” or “on” another part, not only when it is directly on the other part, but also another film, layer, region, or component in between. Including cases where etc. are interposed.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with the meaning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not to be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clearly defined in particular.

한편,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Meanwhile,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the terms (terminology)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terms used to properly expres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a user or operator, or customs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ccordingly,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일 유닛의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를 도시한 입체도 및 단면도이다.6 and 7 are three-dimensional views and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having a capsule structure of a singl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600)는 고분자 튜브(610), 진동자(620) 및 전극(630, 640)을 포함한다.6 and 7 ,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600 having a capsu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lymer tube 610 , a vibrator 620 , and electrodes 630 and 64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600)는 외력에 응답하여 발생하는 진동자(620)의 진동 시에 진동자(620) 및 고분자 튜브(610)의 접촉에 의해 발생하는 정전기 유도(electrostatic induction)를 통하여 마찰 전기를 생성할 수 있다.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600 having a capsu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tatic electricity generated by contact between the vibrator 620 and the polymer tube 610 when the vibrator 620 vibrates in response to an external force. It is possible to generate triboelectric electricity through electrostatic indu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600)의 고분자 튜브(610)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기둥 형태이며, 원기둥 내부가 외부 환경과 차단된 밀폐된 구조를 갖는다.The polymer tube 610 of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600 having a capsu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ylindrical shape with an empty inside, and has a sealed structure in which the inside of the cylinder is blocked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고분자 튜브(610)가 외부 환경과 차단된 밀폐된 구조를 가지면, 외부 습도의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습도는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의 성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600)의 고분자 튜브(610)는 밀폐된 구조를 갖고, 외부 습도 변화에 따른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When the polymer tube 610 has a closed structure that is blocked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the influence of external humidity can be minimized. Humidity is a factor that has an important influence on the performance of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nd the polymer tube 610 of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600 having a capsu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ealed structure, and changes in external humidity impact can be minimiz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600)의 성능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performance reliability of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600 having a capsu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roved.

고분자 튜브(610)의 재료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PTFE),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 PDMS), 폴리비닐클로라이드(polyvinylchloride, PVC), 폴리이미드(polyimide, PI) 및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material of the polymer tube 610 is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polydimethylsiloxane (PDMS), polyvinylchloride (PVC), polyimide (PI), and polypropylene (polypropylene, PP) may be inclu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600)의 진동자(620)는 고분자 튜브(610)의 내부에 설치되어 고분자 튜브(610)의 내부에서 이동한다.The vibrator 620 of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600 having a capsu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side the polymer tube 610 and moves inside the polymer tube 610 .

예를 들어, 진동자(620)는 고분자 튜브(610) 대비 작은 직경을 가져, 고분자 튜브(610) 내부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vibrator 620 has a smaller diameter than the polymer tube 610 , and can move freely inside the polymer tube 610 .

실시예에 따라서는 진동자(620)는 원기둥(cylinder) 형태 및 구(sphere) 형태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고, 금속, 전도성 옥사이드 물질, 전도성 폴리머 및 전도성 유기 물질 중 적어도 하나의 전도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vibrator 62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cylinder shape and a sphere shape, and at least one conductive material selected from a metal, a conductive oxide material, a conductive polymer, and a conductive organic material. can be formed with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600)의 진동자(620)는 추가 정전하(additional static charge)를 포함하여 고분자 튜브(61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The vibrator 620 of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600 having a capsu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inside the polymer tube 610 including an additional static charge.

추가 정전하는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olyvinylidenefluoride, PVDF),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PTFE),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 PDMS), 폴리비닐클로라이드(polyvinylchloride, PVC),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술폰(polysulfone, PSF),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ilfon, PES),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및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는 용기 내에 상기 진동자의 진동(shake)에 의해 상기 진동자 내에 포함될 수 있다.Additional electrostatic charge is polyvinylidenefluoride (PVDF),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polydimethylsiloxane (PDMS), polyvinylchloride (PVC), polyimide (PI) , polysulfone (PSF), polyether sulfone (polyethersilfon, PES), polyacrylonitrile (PAN) and polypropylene (PP) in a container consisting of at least one of the vibrator by the vibration (shake) It can be included in the vibrator.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600)의 진동자(620)는 고분자 튜브(610)와 서로 다른 정전기적 극성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vibrator 620 of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600 having a capsu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different electrostatic polarity from the polymer tube 610 .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분자 튜브(610)는 음의 정전기적 극성을 가질 수 있고, 진동자(620)는 양의 정전기적 극성을 가질 수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6 and 7, the polymer tube 610 may have a negative electrostatic polarity, and the vibrator 620 is shown to have a positive electrostatic polarity,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it is no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600)의 전극(630, 640)은 고분자 튜브(610)의 외부에 코팅된다.The electrodes 630 and 640 of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600 having a capsu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ated on the outside of the polymer tube 610 .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600)의 전극은, 제1 전극(630)과 제2 전극(640)의 두 개의 전극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전극(630)과 제2 전극(640)은 고분자 튜브(610)의 외부 표면에 코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electrode of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600 having a capsu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of two electrodes, a first electrode 630 and a second electrode 640 , The first electrode 630 and the second electrode 640 may be formed by coa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polymer tube 610 .

또한, 제1 전극(630)과 제2 전극(640)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고, 제1 전극(630)과 제2 전극(640)은 하나의 전극쌍(pair-electrode)을 구성하며, 고분자 튜브(610) 내부의 진동자(620)가 이동함에 따라 제1 전극(630)과 제2 전극(640) 간에 전하 이동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대한 내용은 후술할 도 9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first electrode 630 and the second electrode 640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first electrode 630 and the second electrode 640 constitute one pair-electrode, , as the vibrator 620 inside the polymer tube 610 moves, charge transfer occurs between the first electrode 630 and the second electrode 640 .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9,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추가적으로, 전극쌍을 구성하는 두 개의 전극 간 간격이 클수록 상대적으로 높은 진동 진폭의 에너지를 수확하여 마찰 전기를 생성할 수 있다.Additionally, as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electrodes constituting the electrode pair increases, energy of a relatively high vibration amplitude may be harvested to generate triboelectric electricity.

제1 전극(630)과 제2 전극(640)은 금속 재료를 포함하는 전도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고분자 상에 용이하게 코팅할 수 있는 전도성 재료라면, 특별히 그 종류가 제한되지 않는다.The first electrode 630 and the second electrode 640 may be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including a metal material. As long as it is a conductive material that can be easily coated on a polymer, the typ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600)는 전극쌍을 구성하는 제1 전극(630)과 제2 전극(640)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극 연결부(6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600 having a capsu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n electrode connection part 650 that electrically connects the first electrode 630 and the second electrode 640 constituting the electrode pair to each other. may include

전극 연결부(650)는 금속 재료를 포함하는 전도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나, 특별히 그 종류가 제한되지 않는다.The electrode connection part 650 may be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including a metal material, but the type thereof is not particularly limited.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8A to 8C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having a capsu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600)는 진동자(620)의 단계적인 움직임을 통해 마찰 전기를 생성할 수 있다.8A to 8C ,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600 having a capsu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generate triboelectric electricity through the stepwise movement of the vibrator 620 .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 (600)의 고분자 튜브(610)는 음의 정전기적 극성을 가질 수 있고, 진동자(620)는 양의 정전기적 극성을 가질 수 있다.The polymer tube 610 of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600 having a capsu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8A to 8C may have a negative electrostatic polarity, and the vibrator 620 may have a positive It may have an electrostatic polarity.

도 8a를 참조하면, 고분자 튜브(610) 내부의 진동자(620)가 제1 전극(630)이 형성된 부분에 위치하고 있고, 제1 전극(630)은 양의 정전기적 극성을 갖는 진동자(620)에 대응하여 음전하가 모여있는 상태를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8A , the vibrator 620 inside the polymer tube 610 is positioned at a portion where the first electrode 630 is formed, and the first electrode 630 is connected to the vibrator 620 having a positive electrostatic polarity. Correspondingly, it may have a state in which negative charges are gathered.

또한, 제2 전극(640)은 음의 정전기적 특성을 갖는 고분자 튜브(610)에 대응하여 양전하가 모여있는 상태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electrode 640 may have a state in which positive charges are collected in response to the polymer tube 610 having negative electrostatic properties.

도 8b를 참조하면, 고분자 튜브(610) 내부의 진동자(620)가 제2 전극(640)이 형성된 부분을 향하여 이동하고 있고, 양의 정전기적 특성을 갖는 진동자(620)의 이동에 따라, 제1 전극(630)에 모여있던 음전하가 전극 연결부(650)를 통하여 제2 전극(640)으로 이동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B , the vibrator 620 inside the polymer tube 610 is moving toward the portion where the second electrode 640 is formed, an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vibrator 620 having positive electrostatic properties, the first Negative charges accumulated in the first electrode 630 may move to the second electrode 640 through the electrode connection part 650 .

도 8c를 참조하면, 고분자 튜브(610) 내부의 진동자(620)가 제2 전극(640)이 형성된 부분까지 도달하여 제2 전극(640)이 형성된 부분에 위치하고 있고, 제2 전극(640)은 양의 정전기적 극성을 갖는 진동자(620)에 대응하여 음전하가 모여있는 상태를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8c , the vibrator 620 inside the polymer tube 610 reaches the portion where the second electrode 640 is formed and is located in the portion where the second electrode 640 is formed, and the second electrode 640 is It may have a state in which negative charges are collected in response to the vibrator 620 having a positive electrostatic polarity.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600)는 도 8a의 진동자(620)의 위치에서 도 8c의 진동자(620)의 위치로의 단계적인 위치 변화를 통하여 마찰 전기가 생성될 수 있고, 그 역을 통해서도 마찰 전기가 생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600 having a capsu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ep-by-step position change from the position of the vibrator 620 of FIG. 8A to the position of the vibrator 620 of FIG. 8C. Triboelectricity can be generated and vice versa.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having a capsu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의 제조방법은 고분자 튜브를 준비하는 단계(S110), 고분자 튜브에 전극 물질을 코팅하는 단계(S120), 진동자에 추가적인 정전하를 도입하는 단계(S130) 및 고분자 튜브 내부에 진동자 배치 후 고분자 튜브를 밀폐하는 단계(S1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9 ,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having a capsu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preparing a polymer tube (S110), coating an electrode material on the polymer tube (S120), and applying It includes the step of introducing an additional electrostatic charge (S130) and sealing the polymer tube after placing the vibrator inside the polymer tube (S140).

고분자 튜브를 준비하는 단계(S110) 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PTFE),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 PDMS), 폴리비닐클로라이드(polyvinylchloride, PVC), 폴리이미드(polyimide, PI) 및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중 적어도 하나의 재료를 이용하여 내부에 빈 공간을 갖는 원통형의 튜브를 형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The step of preparing the polymer tube (S110) is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polydimethylsiloxane (PDMS), polyvinylchloride (PVC), polyimide (PI) and polypropylene ( It may be a step of forming a cylindrical tube having an empty space therein using at least one material of polypropylene, PP).

원통형의 튜브 구조의 양쪽 평면부는 고분자가 형성되지 않고 열려 있는 파이프(pipe) 형태일 수 있다.Both flat portions of the cylindrical tube structure may be in the form of an open pipe without polymer being formed.

고분자 튜브에 전극 물질을 코팅하는 단계(S120)는 고분자 튜브의 표면에 서로 이격된 제1 전극과 제2 전극을 코팅하는 단계일 수 있다.Coating the electrode material on the polymer tube (S120) may be a step of coating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surface of the polymer tube.

전극 물질은 전술한 바와 같이 금속 재료를 포함하는 전도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극 물질의 코팅 공정은 고분자 상에 용이하게 전도성 물질을 코팅할 수 있는 공정이라면 특별히 그 종류가 제한되지 않는다.The electrode material may be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including a metal material as described above, and the coating process of the electrode material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process capable of easily coating the conductive material on a polymer.

진동자에 추가 정전하를 도입하는 단계(S130)는 원기둥(cylinder) 형태 및 구(sphere) 형태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를 갖는 전도성 진동자를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olyvinylidenefluoride, PVDF),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PTFE),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 PDMS), 폴리비닐클로라이드(polyvinylchloride, PVC),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술폰(polysulfone, PSF),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ilfon, PES),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및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용기 내에 넣은 후 상기 용기를 진동시켜 진동자 표면에 추가적인 정전하를 도입하는 단계일 수 있다.In the step of introducing an additional electrostatic charge to the vibrator (S130), a conductive vibrator having at least one of a cylindrical shape and a sphere shape is subjected to polyvinylidenefluoride (PVDF), polytetrafluoroethylene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polydimethylsiloxane (PDMS), polyvinylchloride (PVC), polyimide (PI), polysulfone (PSF), polyether sulfone (PES), poly It may be a step of introducing an additional electrostatic charge to the surface of the vibrator by vibrating the container after putting it in a container including at least one of acrylonitrile (PAN) and polypropylene (PP).

진동자에 추가 정전하를 도입하는 단계(S130)는 진동자에 복잡한 공정 없이 용이하게 진동자 표면에 추가 정전하를 도입할 수 있다.In the step of introducing an additional electrostatic charge to the vibrator ( S130 ), it is possible to easily introduce an additional electrostatic charge to the surface of the vibrator without a complicated process in the vibrator.

고분자 튜브 내부에 진동자 배치 후 고분자 튜브를 밀폐하는 단계(S140)는 진동자에 추가 정전하를 도입하는 단계(S130)를 통하여 표면에 추가 정전하가 도입된 진동자를 튜브 내에 위치시키고 튜브를 밀폐하는 단계일 수 있다.The step of sealing the polymer tube after disposing the vibrator inside the polymer tube (S140) is a step of placing the vibrator in which the additional electrostatic charge is introduced to the surface through the step (S130) of introducing an additional electrostatic charge to the vibrator in the tube and sealing the tube. can be

진동자를 설치한 채로 튜브를 밀폐하게 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의 성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외부 습도의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If the tube is sealed with the vibrator installed, as described above, the influence of external humidity, which has an important effect on the performance of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can be minimized.

추가적으로, 진동자에 추가적인 정전하를 도입하는 단계(S130)를 통하여 진동자 표면에 도입된 추가 정전하가 오랜 시간동안 보존이 가능하게 된다.Additionally, through the step of introducing additional electrostatic charges to the vibrator ( S130 ), the additional electrostatic charges introduced to the surface of the vibrator can be stored for a long time.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의 실제 크기와 중량을 도시한 이미지이다.10 is an image showing the actual size and weight of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having a capsu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600)는 23 mm의 길이 및 0.7308 g의 중량을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600 having a capsu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length of 23 mm and a weight of 0.7308 g.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는 일상생활에서 끊임없이 발생되는 작은 진동에 의한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수집하는데 그 의의가 있고,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600)는 작은 크기와 가벼운 무게를 모두 구현하였다.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has significance in effectively collecting energy by small vibrations that are constantly generated in daily life. All weights were implemented.

또한, 후술할 다수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600)를 통합할 때에도 작은 크기와 가벼운 무게가 통합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integrating a plurality of triboelectric nanogenerators 600 to be described later, their small size and light weight may provide ease of integration.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의 추가 정전하를 도입하는 공정 시간에 대비한 단락 전류의 값을 도시한 그래프이다.11 is a graph illustrating a value of a short-circuit current with respect to a process time of introducing an additional electrostatic charge of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having a capsu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진동자(620)에 추가 정전하를 도입할 경우, 공정 시간 0초 내지 60초의 구간에서는 공정 시간이 증가할수록 단락 전류의 값 또한 증가하는 모습을 보이다가, 공정 시간이 120초가 되면 오히려 단락 전류의 값이 소폭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 when an additional electrostatic charge is introduced into the vibrator 620 , the value of the short-circuit current also increases as the process time increases in the process time period of 0 seconds to 60 seconds, but the process time is 120 seconds. Rather, it can be seen that the value of the short-circuit current is slightly decreased.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60초의 추가적인 정전하 도입 공정만으로 충분한 추가적인 정전하가 도입되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의 특성을 높일 수 있다.As shown in FIG. 11 , sufficient additional static charge is introduced only by an additional static charge introduction process of 60 seconds, so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having a capsu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roved.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의 동작 사이클 수에 따른 피크 전압을 도시한 그래프이다.12 is a graph illustrating a peak voltage according to the number of operating cycles of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having a capsu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면, 도 10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를 제작 후 최초 100사이클(cycle) 동안 일정한 피크 전압 값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2 ,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having a capsu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FIG. 10 has a constant peak voltage value during the first 100 cycles after manufacturing.

그 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를 3개월 동안 10,000사이클 이상을 작동시켰을 경우에도, 제작 직후의 피크 전압 값과 거의 동일한 피크 전압 값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After that, even when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of the capsu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ted for more than 10,000 cycles for 3 months,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peak voltage value is almost the same as the peak voltage value immediately after fabrication.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의 높은 내구성을 보여준다.This shows the high durability of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having a capsu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의 외부 부하 저항에 따른 피크 전력을 도시한 그래프이다.13 is a graph showing peak power according to external load resistance of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having a capsu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을 참조하면, 도 13에 도시된 피크 전력은 5.0 Hz의 진동 주파수 조건에서 측정된 것으로, 도 10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는 7.5 MΩ의 외부 부하 저항에서 약 2.6 μW의 최대 피크 전력에 도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 the peak power shown in FIG. 13 is measured under a vibration frequency condition of 5.0 Hz, and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having a capsu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FIG. 10 has an external load resistance of 7.5 MΩ. It can be seen that the maximum peak power of about 2.6 μW is reached.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의 진동 주파수 별 동일 시간 동안의 출력 전압을 도시한 그래프이다.14 is a graph showing the output voltage for the same time for each vibration frequency of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having a capsu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를 참조하면, 도 14의 출력 전압은 7.5 MΩ의 외부 부하 저항 조건에서 측정된 것으로, 도 10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는 진동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출력 전압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4 , the output voltage of FIG. 14 is measured under an external load resistance condition of 7.5 MΩ, and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having a capsu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FIG. It can be seen that the voltage increases.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의 동일 시간 동안 주파수 별 전기 에너지량을 도시한 그래프이다.15 is a graph showing the amount of electrical energy for each frequency for the same time of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having a capsu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를 참조하면, 도 10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의 동일 시간 동안 전기 에너지량은 진동 주파수가 높을수록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5 , it can be seen that the amount of electrical energy during the same time of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having a capsu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FIG. 10 is measured to be higher as the vibration frequency is higher.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의 외부 습도 조건에 따른 출력 전압을 도시한 것이다.16 illustrates an output voltage according to external humidity conditions of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having a capsu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을 참조하면, 도 10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는 22% 내지 96%의 외부의 습도 조건에 영향을 받지 않고 일정한 출력 전압을 생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6 , it can be seen that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having a capsu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FIG. 10 generates a constant output voltage without being affected by an external humidity condition of 22% to 96%. .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일 유닛의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를 2차원 평면 구조로 통합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의 2차원 통합 구조체를 도시한 것이다.17 is a two-dimensional integrated structure of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having a capsu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having a single unit capsule structure is integrated into a two-dimensional plana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shown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600)의 2차원 통합 구조체는 전술한 바 있는 고분자 튜브, 고분자 튜브 내부에 설치되어 고분자 튜브의 내부에서 이동하는 진동자 및 고분자 튜브의 외부에 코팅된 전극으로 구성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나노발전기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상기 나노발전기 유닛의 각각의 전극이 서로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Referring to FIG. 17 , the two-dimensional integrated structure of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600 having a capsu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side the polymer tube and the polymer tube as described above and moves inside the polymer tube. and at least two or more nanogenerator units composed of a vibrator and an electrode coated on the outside of the polymer tube. In addition, the respective electrodes of the at least two or more of the nanogenerator unit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re electrically connected.

두 개의 전극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600) 다수개를 서로 전극이 맞닿도록 배치하는 것 만으로 전기적으로 병렬 연결이 가능하게 된다.Electrically parallel connection is possible only by arranging a plurality of triboelectric nanogenerators 600 having a capsu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wo electrodes are expos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electrode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

2차원 통합 구조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600)가 단순한 구조를 가지므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결합 하거나 분해할 수 있다.Since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600 having a capsu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mple structure, the two-dimensional integrated structure can be easily combined or disassembled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도 18은 도 17에서 도시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의 2차원 통합 구조체에 대하여 나노발전기 유닛의 수에 따른 출력 전압을 도시한 그래프이다.FIG. 18 is a graph showing the output voltage according to the number of nanogenerator units for the two-dimensional integrated structure of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having a capsu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7 .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의 2차원 통합 구조체를 구성하는 나노발전기 유닛의 수가 증가할수록 2차원 통합 구조체의 출력 전압 또한 비례하여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8 , it can be seen that as the number of nanogenerator units constituting the two-dimensional integrated structure of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having a capsu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s, the output voltage of the two-dimensional integrated structure also increases proportionally. can

도 19는 도 17에서 도시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의 2차원 통합 구조체에 대하여 나노발전기 유닛의 수에 따른 피크 전력을 도시한 그래프이다.19 is a graph showing peak power according to the number of nanogenerator units for the two-dimensional integrated structure of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having a capsu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7 .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의 2차원 통합 구조체를 구성하는 나노발전기 유닛의 수가 증가할수록 통합 구조체의 피크 전력은 지수함수적으로(exponentially)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9 , as the number of nanogenerator units constituting the two-dimensional integrated structure of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having a capsu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s, the peak power of the integrated structure increases exponentially. can confirm that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일 유닛의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를 1차원 선형 구조로 통합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의 1차원 통합 구조체를 도시한 것이다.20 is a one-dimensional integrated structure of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having a capsu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having a single unit capsu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grated into a one-dimensional linear structure. it will be shown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의 1차원 통합 구조체는, 나노발전기 유닛이(600)이 직렬 연결 방향으로 연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0 , in the one-dimensional integrated structure of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having a capsu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nanogenerator unit 600 is connected in a series connection direction.

도 17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 2차원 통합 구조체는 구조적으로는 직렬 연결 방향으로 연결되지만, 전기적으로는 병렬 연결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The two-dimensional integrated structure of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having a capsu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FIG. 17 is structurally connected in a series connection direction, but it can be confirmed that they are electrically connected in parallel.

도 21은 도 20에서 도시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의 1차원 통합 구조체에 대하여 나노발전기 유닛의 수에 따른 출력 전압을 도시한 그래프이다.21 is a graph showing the output voltage according to the number of nanogenerator units for the one-dimensional integrated structure of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having a capsu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20 .

도 2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의 1차원 통합 구조체를 구성하는 나노발전기 유닛의 수가 증가할수록 통합 구조체의 출력 전압 또한 비례하여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1 , it can be seen that as the number of nanogenerator units constituting the one-dimensional integrated structure of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having a capsu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s, the output voltage of the integrated structure also increases proportionally. .

도 22는 도 20에서 도시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의 1차원 통합 구조체에 대하여 나노발전기 유닛의 수에 따른 피크 전력을 도시한 그래프이다.22 is a graph showing the peak power according to the number of nanogenerator units for the one-dimensional integrated structure of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having a capsu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20 .

도 2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의 1차원 통합 구조체를 구성하는 나노발전기 유닛의 수가 증가할수록 통합 구조체의 피크 전력은 지수함수적으로(exponentially)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2 , as the number of nanogenerator units constituting the one-dimensional integrated structure of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having a capsu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s, the peak power of the integrated structure increases exponentially. can confirm that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일 유닛의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를 3차원 입체 구조로 통합한 3차원 통합 구조체를 도시한 것이다.23 shows a three-dimensional integrated structure in which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having a single unit capsule structure is integrated into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의 3차원 통합 구조체는, 도 17에서 도시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의 2차원 통합 구조체와 도 20에서 도시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의 1차원 통합 구조체를 통합하여 3차원 입체 구조를 형성한 것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23 , the three-dimensional integrated structure of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having a capsu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2 of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having a capsu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7 . It can be seen that a three-dimensional three-dimensional structure is formed by integrating the three-dimensional integrated structure and the one-dimensional integrated structure of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having a capsu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20 .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의 3차원 통합 구조체의 출력 전압을 도시한 그래프와, 이를 이용하여 작동시킨 발광다이오드를 도시한 것이다.24 is a graph illustrating an output voltage of a three-dimensional integrated structure of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having a capsu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light emitting diode operated using the graph.

도 25는 도 23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의 3차원 통합 구조체를 이용하여 220 μF의 커패시터(capacitor)를 충전 할 때의 시간에 따른 출력 전압을 도시한 그래프이다.25 is a graph showing the output voltage according to time when a capacitor of 220 μF is charged using the three-dimensional integrated structure of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having a capsu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FIG. am.

사용자의 손목에 도 24에서 도시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 3차원 통합 구조체를 착용 후 달리기(running) 운동 시, 커패시터는 7분 후에 1.45 V로 충전되고, 2.3 ⅹ 10-4 J의 전기 에너지를 수확할 수 있었다.When a user's wrist wears a three-dimensional integrated triboelectric nanogenerator structure having a capsu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ⅹ 10 -4 J of electrical energy could be harvested.

도 2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를 도시한 것이다.26 shows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700)는 고분자 튜브(710), 진동자(720), 제1 전극(730), 제2 전극(740) 및 제1 전극(730)과 제2 전극(740)을 연결하는 전극 연결부(75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6 ,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7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lymer tube 710 , a vibrator 720 , a first electrode 730 , a second electrode 740 , and a first electrode. and an electrode connector 750 connecting the 730 and the second electrode 740 .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7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고분자 튜브(710)의 길이가 더 길고 전극의 개수가 2개를 초과하여 2개 이상의 전극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7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similar to that of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length of the polymer tube 710 is longer and the number of electrodes is high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wo or more electrode pairs are formed in excess of two.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700)의 전극은 전술한 제1 전극(730)과 제2 전극(740)에 더하여 추가적인 전극이 형성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전극의 수는 제한되지 않는다.In the electrode of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7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dditional electrode may be formed in addition to the first electrode 730 and the second electrode 740 described above, and the number of additional electrodes is not limited. does not

전술한 바와 같이, 도 6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600)와, 도 26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700)는 전극의 개수에 차이가 있고, 전극의 개수가 늘어남에 따라 전극쌍 또한 늘어나는 차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6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and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7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6 depend on the number of electrodes. There is a difference, and as the number of electrodes increases, the electrode pair also increases.

도 2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의 마찰 전기 생성 원리를 도시한 것이다.27 illustrates a triboelectric generation principle of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700)의 기본적인 마찰 전기 생성 원리는, 도 9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600)의 마찰 전기 생성 원리와 동일하므로, 도 9의 설명을 참조하도록 한다.Since the basic triboelectric generation principle of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7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e triboelectric electricity generation principle of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6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FIG. 9 , , refer to the description of FIG. 9 .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700)는 진동자(720)가 한 쌍의 전극쌍을 지나간 후 초기 위치로 돌아오는 것이 아닌, 진행 방향 상에 배치된 또 다른 전극쌍에서 추가적으로 마찰 전기를 생성할 수 있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However, in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7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ibrator 720 does not return to the initial position after passing the pair of electrode pairs, but in another electrode pair disposed in the traveling direction. It is different in that it can additionally generate triboelectric electricity.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700)는 여러 간격의 전극쌍을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전극쌍의 전극간 간격에 의한 서로 다른 진동 진폭의 에너지 수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7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figure electrode pairs with multiple intervals,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energy harvesting of different vibration amplitudes due to the inter-electrode spacing of the electrode pairs. hav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 (700)의 연속적인 마찰 전기 생성은 후술할 도 28의 그래프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The continuous triboelectric generation of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7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the graph of FIG. 28 to be described later.

도 2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의 시간당 출력 전압을 도시한 그래프이다.28 is a graph showing the output voltage per hour of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8의 그래프 중 좌측 하단의 확대 그래프를 참조하면, 진동자가 각 전극쌍을 지나갈 때 마다 출력 전압이 형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각각의 전극쌍은 단독으로 작동하는 것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the enlarged graph at the lower left of the graph of FIG. 28 , it can be seen that an output voltage is formed whenever the vibrator passes each electrode pair, and it can be seen that each electrode pair operates independently.

또한, 도 28의 그래프 중 우측 하단의 확대 그래프는 진동자가 초기 위치로 돌아올 때의 출력 전압을 확대한 그래프로서, 시간을 기준으로 마지막 전극쌍부터 최초의 전극쌍까지 차례대로 출력 전압이 형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nlarged graph at the bottom right of the graph of FIG. 28 is an enlarged graph of the output voltage when the vibrator returns to the initial position, and it is a graph showing that the output voltage is sequentially formed from the last electrode pair to the first electrode pair based on time can be checked

도 2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의 전극쌍 수에 따른 전기 에너지 값을 도시한 그래프이다.29 is a graph illustrating electrical energy valu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electrode pairs of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는 전극쌍의 수가 증가할수록 전기 에너지 값 또한 비례하여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9 , in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seen that the electrical energy value also increases proportionally as the number of electrode pairs increases.

도 3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를 통합한 개략도와 그에 따른 출력 전압을 도시한 그래프이다.30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integrated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graph showing an output voltage thereof.

도 3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 2차원 통합 구조와 같은 형태로 통합될 수 있고, 출력 전압 역시 통합되는 유닛 수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0 ,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tegrated in the same form as the two-dimensional integrated structure of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number of units in which the output voltage is also integrated It can be seen that increases in proportion to

도 3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 2차원 통합 구조체에 대하여 단일 유닛의 수에 따른 피크 전력을 도시한 그래프이다.31 is a graph showing peak power according to the number of single units for a two-dimensional integrated structure of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having a capsule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1을 참조하면, 통합 구조체를 구성하는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의 유닛 수가 증가할수록 통합 구조체의 피크 전력은 지수함수적으로(exponentially)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1 , it can be seen that the peak power of the integrated structure increases exponentially as the number of units of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of the capsule structure constituting the integrated structure increases.

도 32는 종래의 수직 접촉-분리 모드(vertical contact-separation mode)를 갖는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의 진동 진폭에 대한 전압 출력의 의존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32 is a graph showing the dependence of voltage output on vibration amplitude of a conventional triboelectric nanogenerator having a vertical contact-separation mode.

도 32를 참조하면, 접촉부 간의 간격이 좁아질수록, 즉 진동 진폭이 작아질수록 출력 전압이 급격하게 낮아져서 1 cm 이내의 접촉부 간 간격을 갖는 경우, 출력 전압이 거의 발생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2 , it can be seen that the output voltage is abruptly lowered as the distance between the contacts decreases, that is, as the vibration amplitude decreases.

도 3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 중 두 개의 전극쌍을 갖는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의 진동 진폭에 대한 전압 출력의 의존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33 is a graph showing the dependence of voltage output on vibration amplitude of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having two electrode pairs among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having a capsule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는 진동 진폭이 작아지더라도, 각각의 전극쌍의 간격 조절에 의하여 작은 진동 진폭 또한 효율적으로 수확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3 , it can be seen that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having a capsule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iciently harvest a small vibration amplitude by adjusting the spacing between each electrode pair even if the vibration amplitude is small. can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 다수개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를 통합하여 하나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 시스템을 구성한 것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3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ingl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system by integrating a plurality of triboelectric nanogenerators having a capsu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having a capsule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chematic diagram of

도 3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를 혼합하여 하나의 시스템, 즉 혼합형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로 구성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4 , it can be confirmed that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ixed to form a single system, that is, a mixed triboelectric nanogenerator.

도 35는 도 34에서 도시한 혼합형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의 진동 진폭에 대한 전압 출력의 의존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FIG. 35 is a graph showing the dependence of voltage output on vibration amplitude of the hybrid triboelectric nanogenerator shown in FIG. 34 .

도 3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가 서로 다른 진동 진폭에서도 유효한 출력 전압을 생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35 ,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having a capsu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having a capsule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 an effective output voltage even at different vibration amplitudes. that can be checked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merely presented as specific examples to aid understanding,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100,200,300,400,510: 종래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
110,210,310,330,410,430: 구조체
120,220,320,420: 제1 표면 130,230,340,440: 제2 표면
500: 종래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 통합체
520: 전기적 네트워크
600,700: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
610,710: 고분자 튜브 620,720: 진동자
630,730: 제1 전극 640,740: 제2 전극
650,750: 전극 연결부
100,200,300,400,510: conventional triboelectric nanogenerator
110,210,310,330,410,430: structure
120,220,320,420: first surface 130,230,340,440: second surface
500: Conventional triboelectric nanogenerator integration
520: electrical network
600,700: triboelectric nanogenerator with capsule structure
610,710: polymer tube 620,720: vibrator
630,730: first electrode 640,740: second electrode
650, 750: electrode connection

Claims (12)

적어도 둘 이상의 단일 유닛이 서로 결합하여 2차원 통합 구조체를 형성하는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에 있어서,
상기 단일 유닛은,
고분자 튜브;
상기 고분자 튜브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고분자 튜브의 내부에서 이동하는 진동자; 및
상기 고분자 튜브의 외부에 코팅된 전극
을 포함하고,
상기 고분자 튜브는 외부와 차단되어 밀폐된 구조이며,
상기 전극은 상기 고분자 튜브의 외부에 적어도 두 쌍(pair) 이상의 전극쌍(pair-electrode)으로 구성되고,
상기 진동자는 추가 정전하(additional static charge)를 포함하여 상기 고분자 튜브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전극쌍으로 구성된 전극 간 간격에 의해 서로 다른 진동 진폭의 에너지를 수확하고,
상기 2차원 통합 구조체는,
상기 단일 유닛 각각에 구비된 전극이 서로 맞닿도록 배치되어 전기적으로 병렬 연결되고, 상기 단일 유닛 각각의 결합 및 분해가 가능한 구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
In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of a capsule structure in which at least two or more single units combine with each other to form a two-dimensional integrated structure,
The single unit is
polymer tube;
a vibrator installed inside the polymer tube and moving in the polymer tube; and
Electrodes coated on the outside of the polymer tube
including,
The polymer tube is blocked from the outside and has a closed structure,
The electrode is composed of at least two or more pairs of electrode pairs (pair-electrode) on the outside of the polymer tube,
The vibrator is installed inside the polymer tube, including an additional static charge,
Harvesting energy of different vibration amplitudes by the inter-electrode spacing composed of the electrode pair,
The two-dimensional integrated structure,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of a capsul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electrodes provided in each of the single units are dispos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re electrically connected in parallel, and are structures capable of combining and disassembling each of the single unit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는,
외력에 응답하여 발생하는 상기 진동자의 진동 시에 상기 진동자 및 상기 고분자 튜브의 접촉에 의해 발생하는 정전기 유도(electrostatic induction)를 통하여 마찰 전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
According to claim 1,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of the capsule structure,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with a capsul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vibrator is vibrated in response to an external force, triboelectric electricity is generated through electrostatic induction generated by contact between the vibrator and the polymer tub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쌍을 구성하는 두 개의 전극 간 간격이 클수록 높은 진동 진폭을 갖는 마찰 전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
3. The method of claim 1 or 2,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with a capsul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greater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electrodes constituting the electrode pair, the higher the triboelectricity is genera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는,
상기 전극쌍을 구성하는 상기 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극 연결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
According to claim 1,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of the capsule structure,
Electrode connection part electrically connecting the electrodes constituting the electrode pair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of the capsul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자는 상기 고분자 튜브 대비 작은 직경을 가지고, 상기 진동자가 상기 고분자 튜브 내에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
According to claim 1,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of a capsul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vibrator has a smaller diameter than the polymer tube, and the vibrator moves within the polymer tub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정전하는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olyvinylidenefluoride, PVDF),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PTFE),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 PDMS), 폴리비닐클로라이드(polyvinylchloride, PVC),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술폰(polysulfone, PSF),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ilfon, PES),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및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는 용기 내에 상기 진동자의 진동(shake)에 의해 상기 진동자 내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
According to claim 1,
The additional electrostatic charge is polyvinylidenefluoride (PVDF),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polydimethylsiloxane (PDMS), polyvinylchloride (PVC), polyimide (PI) ), polysulfone (PSF), polyether sulfone (PES), polyacrylonitrile (PAN) and polypropylene (PP) in a container consisting of at least one of the vibrator by the vibration (shake)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having a capsul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tained in the vibra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튜브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PTFE),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 PDMS), 폴리비닐클로라이드(polyvinylchloride, PVC), 폴리이미드(polyimide, PI) 및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
According to claim 1,
The polymer tube is at least one of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polydimethylsiloxane (PDMS), polyvinylchloride (PVC), polyimide (PI) and polypropylene (PP).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with a capsul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o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자는 전도성 물질로 형성되고,
상기 전도성 물질은 금속, 전도성 옥사이드 물질, 전도성 폴리머 및 전도성 유기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
According to claim 1,
The vibrator is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The conductive material comprises at least one of a metal, a conductive oxide material, a conductive polymer, and a conductive organic materi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는,
상기 고분자 튜브, 상기 고분자 튜브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고분자 튜브의 내부에서 이동하는 진동자 및 상기 고분자 튜브의 외부에 코팅된 전극으로 구성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나노발전기 유닛(unit)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나노발전기 유닛의 각각의 전극이 서로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
According to claim 1,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of the capsule structure,
At least two or more nanogenerator units comprising the polymer tube, a vibrator installed inside the polymer tube and moving in the polymer tube, and an electrode coated on the outside of the polymer tube,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having a capsul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electrodes of the at least two or more nanogenerator unit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re electrically connected.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는,
상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상기 나노발전기 유닛이 상기 고분자 튜브의 길이 방향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of the capsule structure,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of a capsul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at least two or more of the nanogenerator units are conn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olymer tub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자는 원기둥(cylinder) 형태 및 구(sphere) 형태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
According to claim 1,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of a capsul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vibrator has at least one of a cylindrical shape and a sphere shape.
KR1020180051832A 2018-03-14 2018-05-04 Triboelectric nanogenerator with capsule structure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31653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9759 2018-03-14
KR20180029759 2018-03-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8453A KR20190108453A (en) 2019-09-24
KR102316538B1 true KR102316538B1 (en) 2021-10-25

Family

ID=68068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1832A KR102316538B1 (en) 2018-03-14 2018-05-04 Triboelectric nanogenerator with capsule structure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653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9881A (en) 2022-08-05 2024-02-14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article triboelectric nano-generation apparatus and wearabl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61291A (en) * 2020-11-11 2021-03-09 大连海事大学 Modularization concatenation formula is from energy supply device and marine biosensor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80060B (en) 2014-04-09 2017-05-10 北京纳米能源与系统研究所 Triboelectric nanometer generator capable of collecting liquid mechanical energy and power generating method thereof
KR20170087122A (en) 2016-01-19 2017-07-28 한국기계연구원 Triboelectric genera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600148B1 (en) 2016-08-23 2023-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Triboelectric generator using surface plasmon resonance

Non-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ybrid energy harvester with simultaneous triboelectric and electromagnetic generation from an embedded floating oscillator in a single package",Myeong-Lok Seol, Nano Energy 23 (2016.03.11. 공개)*
"Surface-charge engineering for high-performanc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based on identical electrification materials", Xiao YanWei, Nano Energy 10 (2014.09.11.)*
Energy harvesting model of moving water inside a tubular system and its application of a stick-type compact triboelectric nanogenerator, Dongwhi Choi 외5, Nano Research 2015 (2015.08.29. 공개)*
Freestanding Triboelectric-Layer-Based Nanogenerators for Harvesting Energy from a Moving Object or Human Motion in Contact and Non-contact Modes, Sihong Wang 외4, Adv. Mater. 2014 (2014.01.21. 공개)*
인용발명2: "Liquid-FEP-based U-tub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for harvesting water-wave energy",Lun Pan, Nano Research 2018, 11(8) (2018.02.09. 공개)
인용발명3: "A non-resonant, gravity-induced micro triboelectric harvester to collect kinetic energy from low-frequency jiggling movements of human limbs", Yingxian Lu,Lun Pan, J. Micromech. Microeng. 24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9881A (en) 2022-08-05 2024-02-14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article triboelectric nano-generation apparatus and wearabl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8453A (en) 2019-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hmed et al. A review on energy harvesting approaches for renewable energies from ambient vibrations and acoustic waves using piezoelectricity
Tao et al. Miura-origami-inspired electret/triboelectric power generator for wearable energy harvesting with water-proof capability
Fan et al. Capturing energy from ultra-low frequency vibrations and human motion through a monostable electromagnetic energy harvester
Yin et al. Structure and dimension effects on the performance of layered triboelectric nanogenerators in contact-separation mode
Rahman et al. A highly miniaturized freestanding kinetic-impact-based non-resonant hybridized electromagnetic-triboelectric nanogenerator for human induced vibrations harvesting
Wu et al.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 foundation of the energy for the new era
Shi et al. Overview of human walking induced energy harvesting technologies and its possibility for walking robotics
Xu et al. Coupled triboelectric nanogenerator networks for efficient water wave energy harvesting
Zhao et al. Freestanding flag-typ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for harvesting high-altitude wind energy from arbitrary directions
McKay et al. Dielectric elastomer generators that stack up
Xie et al. Rotary triboelectric nanogenerator based on a hybridized mechanism for harvesting wind energy
US9543860B2 (en) Triboelectric nanogenerator
Wang et al. An ultra-low-frequency, broadband and multi-stable tri-hybrid energy harvester for enabling the next-generation sustainable power
Fan et al. An eccentric mass-based rotational energy harvester for capturing ultralow-frequency mechanical energy
Lagomarsini et al. Hybrid piezoelectric–electrostatic generators for wearable energy harvesting applications
Lapčinskis et al. Hybrid tribo-piezo-electric nanogenerator with unprecedented performance based on ferroelectric composite contacting layers
Zhu et al. Zinc oxide-enhanced piezoelectret polypropylene microfiber for mechanical energy harvesting
KR102316538B1 (en) Triboelectric nanogenerator with capsule structure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8539837B (en) Wearable graphene type electret self-generating and super-capacitor integrated woven cloth
Fatma et al. Maghemite/polyvinylidene fluoride nanocomposite for transparent, flexibl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nd noncontact magneto-triboelectric nanogenerator
KR20160144615A (en) Three dimensional triboelectric energy harvester
Hou et al. Stretchable triboelectric textile composed of wavy conductive-cloth PET and patterned stretchable electrode for harvesting multivariant human motion energy
Li et al. Nanocomposite electret with surface potential self-recovery from water dipping for environmentally stable energy harvesting
Jeong et al. A sustainable and flexible microbrush‐faced triboelectric generator for portable/wearable applications
Rana et al. Ultrahigh‐output triboelectric and electromagnetic hybrid generator for self‐powered smart electronics and biomedical appl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1001425;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00525

Effective date: 20210406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