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6209B1 - 역삼투 해수 담수화 시스템 및 그 에너지 사용량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역삼투 해수 담수화 시스템 및 그 에너지 사용량 제어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16209B1 KR102316209B1 KR1020200021750A KR20200021750A KR102316209B1 KR 102316209 B1 KR102316209 B1 KR 102316209B1 KR 1020200021750 A KR1020200021750 A KR 1020200021750A KR 20200021750 A KR20200021750 A KR 20200021750A KR 102316209 B1 KR102316209 B1 KR 10231620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verse osmosis
- energy consumption
- abnormality
- load device
- wat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12—Controlling or regula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025—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04—Feed pretreat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06—Energy recover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08—Apparatus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10—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14—Ultrafiltration; Microfiltration
- B01D61/145—Ultrafiltr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2—Membrane cleaning or sterilisation ; Membrane regenera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reverse osmosi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ultrafiltration or microfiltration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1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using digital techniqu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5/00—Testing or calibrating of apparatus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1R35/04—Testing or calibrating of apparatus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of instru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power or curr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separation process operations and control
- B01D2311/04—Specific process operations in the feed stream; Feed pretreatment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8—Seawater, e.g. for desalina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0—Energy recovery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24—Water desalination
- Y02A20/131—Reverse-osmosi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24—Water desalination
- Y02A20/138—Water desalination using renewable energy
- Y02A20/144—Wave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anotechn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처리 공정 및 역삼투 공정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역삼투 해수화 시스템의 에너지 사용량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전처리 공정의 에너지 사용량을 측정하는 단계와; 측정된 상기 에너지 사용량이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전처리 공정의 에너지 사용량을 측정하기 위한 전력량계의 이상 유무를 점검하는 단계와; 상기 전력량계에 이상이 없는 경우, 전기 에너지 부하로 작용하는 전기 부하 장치의 이상 유무를 점검하는 단계; 및 상기 전기 부하 장치의 점검 결과에 따라, 상기 전기 부하 장치에 대한 수리 또는 상기 전처리 공정의 운전 조건 재조정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역삼투 해수 담수화 시스템의 에너지 사용량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역삼투 해수 담수화 시스템의 에너지 사용량을 줄이면서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단위 공정 별로 에너지 사용량을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된 역삼투 해수 담수화 시스템 및 그 에너지 사용량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물은 인간의 가장 중요한 천연 자원으로써, 지구 표면의 약 75%를 덮고 있다. 지구상에 존재하는 물의 약 97%는 바다에 있고, 나머지 3% 중의 약 2/3는 극지방의 만년설이나 빙하로 존재한다. 그러나 바다에 존재하는 해수는 인간의 생활용수나 산업용수로 이용하기에는 염도가 너무 높은바, 실제로 인간이 생활에 이용할 수 있는 담수는 매우 적다. 더욱이, 오늘날에는 계속하여 증가되고 있는 산업화와 이에 따른 환경오염으로 인해 인간의 생활에 이용할 수 있는 담수는 점차 그 양이 줄어들고 있으며, 이로 인해 담수 부족 및 고갈 현상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해수 담수화에 의한 용수 생산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해수담수화 방법은 크게 증발법(Distillation), 역삼투법(Reverse Osmosis)이 있다. 과거에는 역삼투막의 낮은 성능으로 인하여 증발법이 주로 해수담수화에 사용되었지만, 현재는 역삼투막의 성능 개선과 더불어 농축수가 갖는 압력을 회수할 수 있는 에너지회수장치의 개발로 인하여 역삼투법이 해수담수화 시장의 지배기술로서 대부분의 해수담수화 플랜트에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역삼투법 또한 기존의 상수 처리 시스템에 비해서는 에너지 사용량이 매우 높은 문제점이 있으며, 모든 단위 공정들이 직렬로 연결되어 있어 한 공정이 제대로 운영 되지 않을 경우 후속 공정의 운전에 악영향을 끼치게 되므로, 전체 시스템을 정지한 후 원인을 파악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플랜트 가동 중단 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물 공급이 중단되고 이로 인한 비용 손실이 커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역삼투 해수 담수화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는 단위 공정들의 에너지 사용량을 감시하고, 에너지 사용량의 과다시 에너지 사용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원인들을 단계별로 자동 점검하여 적절한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체 시스템을 정지하지 않고 해수 담수화 시스템의 에너지 사용량을 최적 상태로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처리 공정 및 역삼투 공정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역삼투 해수화 시스템의 에너지 사용량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전처리 공정의 에너지 사용량을 측정하는 단계와; 측정된 상기 에너지 사용량이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전처리 공정의 에너지 사용량을 측정하기 위한 전력량계의 이상 유무를 점검하는 단계와; 상기 전력량계에 이상이 없는 경우, 전기 에너지 부하로 작용하는 전기 부하 장치의 이상 유무를 점검하는 단계; 및 상기 전기 부하 장치의 점검 결과에 따라, 상기 전기 부하 장치에 대한 수리 또는 상기 전처리 공정의 운전 조건 재조정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역삼투 해수 담수화 시스템의 에너지 사용량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전력량계의 점검 결과, 상기 전력량계에 이상이 있는 경우 상기 전력량계에 대한 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전처리 공정의 에너지 사용량을 재측정하여, 재측정 결과에 따라 운전 상태의 유지 또는 상기 전기 장치의 이상 유무 점검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단계;가 추가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 부하 장치에 대한 수리 완료 후, 상기 전처리 공정의 에너지 사용량을 재측정하는 단계; 및 재측정 결과에 따라 운전 상태의 유지 또는 상기 운전 조건 재설정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단계;가 추가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전처리 공정은, 망형 튜브 필터(Membrane Tube Bio-Filter, MTBF)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전기 부하 장치는 상기 망형 튜브 필터가 수용된 반응조에 반응용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반응용 송풍기 및 상기 반응조의 역세를 수행하기 위한 역세용 송풍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처리 공정은, 용존 공기 부상 (Dissolved Air Flotation, DAF)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전기 부하 장치는 용존 공기의 주입을 위한 컴프레서 및 여과수의 일부를 포화기로 반송시키기 위한 반송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처리 공정은 한외 여과(Ultra-filtration, UF)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전기 부하 장치는 원수 공급을 위한 여과 펌프, 역세 진행을 위한 역세 펌프 및 역세용 송풍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 부하 장치에 이상이 없는 경우, 막 오염 물질에 대한 세척 공정 진행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세척 공정 진행 여부에 대한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세척 공정 또는 여과 방향 변경을 선택적으로 진행하는 단계;가 추가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전 조정의 재설정 후, 에너지 사용량을 재측정하는 단계; 및 재측정 결과에 따라 운전 상태의 유지 또는 분리막 교체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단계;가 추가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처리 공정은, 망형 튜브 필터(Membrane Tube Bio-Filter, MTBF) 공정과 한외 여과(Ultra-filtration, UF) 공정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거나, 용존 공기 부상 (Dissolved Air Flotation, DAF) 공정과 한외 여과(Ultra-filtration, UF) 공정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망형 튜브 필터 공정, 상기 용존 공기 부상 공정, 한외 여과 공정 별로 에너지 사용량에 대한 제어가 개별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역삼투 공정의 에너지 사용량을 측정하는 단계와; 측정된 상기 역삼투 공정의 에너지 사용량이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역삼투 공정의 에너지 사용량을 측정하기 위한 전력량계의 이상 유무를 점검하는 단계와; 상기 역삼투 공정용 전력량계에 이상이 없는 경우, 전기 에너지 부하로 작용하는 전기 부하 장치의 이상 유무를 점검하는 단계; 및 상기 전기 부하 장치의 점검 결과에 따라, 상기 전기 부하 장치에 대한 수리 또는 회수율 조정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단계;가 추가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역삼투 공정의 전기 부하 장치는, 고압 펌프, 부스터 펌프 및 에너지 회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역삼투 공정의 전기 부하 장치에 이상이 없는 경우, 막 오염 물질에 대한 세척 공정 진행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세척 공정 진행 여부에 대한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세척 공정을 선택적으로 진행하는 단계;가 추가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수율의 조정 후, 상기 역삼투 공정의 에너지 사용량을 재측정하는 단계; 및 재측정 결과에 따라 운전 상태의 유지 또는 분리막 교체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단계;가 추가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취수 공정 유닛, 전처리 공정 유닛, 역삼투 공정 유닛 및 후처리 공정 유닛을 포함하는 역삼투 해수 담수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 공정 유닛의 에너지 사용량을 측정하는 전력량계와; 상기 전처리 공정 유닛을 구성하되 전기 에너지 부하로 작용하는 전기 부하 장치; 및 상기 전력량계 및 전기 부하 장치에 연결되며, 제1항을 따르는 제어 방법을 통해 상기 전처리 공정의 에너지 사용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역삼투 해수 담수화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역삼투 해수담수화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는 단위 공정들인 전처리 공정 및 역삼투 공정의 에너지 사용량 한계값을 설정하고, 이를 초과하였을 경우 각 공정 별로 에너지 사용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원인을 단계별로 자동 점검하여, 이상이 발생한 부분에 대하여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인 생산 수량 및 에너지 사용량 유지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역삼투 해수 담수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처리 공정 유닛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에 망형 튜브 필터 유닛의 개략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망형 튜브 필터 유닛의 에너지 사용량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용존 공기 부상 유닛의 개략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용존 공기 부상 유닛의 에너지 사용량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7은 도 2에 도시된 한외여과 유닛의 개략도.
도 8은 도 2에 도시된 한외여과 유닛의 에너지 사용량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역삼투 공정 유닛의 개략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역삼투 공정 유닛의 에너지 사용량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처리 공정 유닛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에 망형 튜브 필터 유닛의 개략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망형 튜브 필터 유닛의 에너지 사용량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용존 공기 부상 유닛의 개략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용존 공기 부상 유닛의 에너지 사용량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7은 도 2에 도시된 한외여과 유닛의 개략도.
도 8은 도 2에 도시된 한외여과 유닛의 에너지 사용량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역삼투 공정 유닛의 개략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역삼투 공정 유닛의 에너지 사용량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역삼투 해수 담수화 시스템 및 그 수질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역삼투 해수 담수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의 도시와 같이, 역삼투 해수 담수화 시스템은 취수 공정 유닛(10), 전처리 공정 유닛(20), 역삼투 공정 유닛(30) 및 후처리 공정 유닛(40)을 포함한다.
취수 공정 유닛(10)은 담수화를 위한 원수인 해수를 취수하는 공정을 위한 것으로서, 원수를 여과기, 디스크 필터 등의 장치를 거치게 하여 전처리 공정 유닛(20)으로 유입되게 한다.
전처리 공정 유닛(20)은 역삼투막의 오염이나 손상을 야기할 수 있는 부유 고형물, 무기화합물, 유기오염물질 등을 제거하는 공정을 위한 것이다. 부유 고형물에는 콜로이드와 입자성 물질, 무기화합물에는 이온, 망간, 탄산칼슘, 황산칼슘, 이산화규소 등이 있으며, 유기오염물질은 해수 중의 유기물과 미생물이 해당된다.
역삼투 공정 유닛(30)은 역삼투 원리를 이용하여 전처리 공정(20)을 거친 해수로부터 염분, 이온, 유기물질을 제거하는 공정을 말하며, 여기에 사용되는 반투과막을 역삼투막이라고 한다. 역삼투막은 모듈 형태로 제조되어 공정에 사용되며, 막모듈은 구조에 따라 나권형(spiral wound), 중공사형(hollow fiber), 관형(tubular), 평막형(flat sheet) 등으로 구분 가능하다.
후처리 공정 유닛(40)은 역삼투 공정(30)에 의하여 염분이 제거된 물을 최종 사용 목적에 맞도록 적절히 처리하는 공정을 말한다. 후처리 공정(40)에서는 물속에 녹아 있는 이산화탄소, 산소 등과 같은 가스를 제거하고, 알칼리도와 pH를 조정하며, 미생물 재번식을 막기 위한 소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처리 공정 유닛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처리 공정 유닛(20)은 망형 튜브 필터(Membrane Tube Bio-Filter, MTBF) 유닛(50)을 포함한다. 망형 튜브 필터 유닛(50)은 겉은 망으로 되어있고 속은 비어 있는 망형 튜브 필터(MTBF)를 이용하여 용존성 유기물질의 여과 면적을 극대화한 수처리 공정을 말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망형 튜브 필터 공정을 수행한 후, 한외여과(Ultra-filtration, UF) 유닛(70)을 통한 막분리 공정이 수행된다. 한외여과 유닛(70)은 원액이 한외여과막을 빠른 속도로 흐르면서 압력차의 추진력으로 고분자량 물질은 막에 의해 배제되어 농축되고, 저분자량 물질과 물은 막을 통과하여 투과되는 원리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해수담수화 시스템의 생산수 탁도가 기준치를 넘을 경우, 망형 튜브 필터 공정을 정지하고, 용존 공기 부상(Dissolved Air Flotation, DAF) 유닛(60)을 이용한 공정을 운영한다. 용존 공기 부상 공정은 공기로 포화된 가압수를 순간적으로 감압하였을 때 발생하는 미세 기포가 고형물 입자와 기름에 부착되어 상승 분리되는 원리를 이용한다.
본 발명의 전처리 공정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망형 튜브 필터 공정과 한외여과 공정이 순차적으로 수행되도록 운영되며, 망형 튜브 필터 공정의 생산수 탁도가 기준치를 넘어서는 경우 용존 공기 부상 공정이 망형 튜브 필터 공정을 대체하여 용존 공기 부상 공정과 한외여과 공정이 순차적으로 수행되도록 운영된다.
도 3은 도 2에 망형 튜브 필터 유닛의 개략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망형 튜브 필터 유닛의 에너지 사용량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과 같이, 망형 튜브 필터 유닛(50)은 집수조(51), 혼화/응집조(52), 반응조(53), 처리수조(54)를 포함하며, 혼화/응집조(52)에 응집제 주입탱크(56)의 응집제를 주입하여 혼화 및 응집 과정을 거친 후, 망형 튜브 필터가 수용된 반응조(53)로 해수를 투입하여 수처리를 수행한다. 반응조(53)의 내부에는 복수개의 망형 튜브가 적층되게 수용된 튜브 적층용 케이지(55)가 복수개로 설치된다. 망형 튜브는 외부가 그물망 형태로 되어 있고, 내부는 비어 있어서 상하좌우 어느 방향으로나 수류의 흐름이 유도되어 여과 면적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반응조(55) 중앙에 산기석을 배열하여 포기를 시킴으로써, 반응조(55)의 혼합양상을 완전혼합으로 유도하여, 부유물질부하를 여과매체의 전면에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다. 반응조(55)에는 반응용 공기주입을 위한 반응용 송풍기(57), 역세를 위한 역세용 송풍기(58)가 연결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해수 담수화 시스템의 에너지 사용량 제어 방법은 각 단위 공정을 위한 단위 공정 유닛(예를 들어, 전처리 공정 유닛, 역삼투 공정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에 의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수행된다. 제어부는 단위 공정 유닛에 별개로 각각 구비되거나, 단위 공정 유닛 모두를 함께 제어하도록 단일 제어부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에너지 사용량 제어 방법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전처리 공정, 구체적으로 망형 튜브 필터 공정의 에너지 사용량을 측정한다. 에너지 사용량의 판단 기준으로서, 고유소비전력(Specific Energy Consumption, SEC)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단위 부피를 얻을 때 소요되는 에너지 효율(kWh/㎥)을 의미한다. 고유소비전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망형 튜브 필터 유닛(50)에 전력량계를 설치하여 소비 전력량을 측정하여 제어부로 전송한다.
측정된 에너지 사용량(즉, SEC)을 기준치와 비교하여(S12), 에너지 사용량이 기준치 이내인 경우 운전 상태를 유지한다(S13), 측정된 에너지 사용량이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전력량계의 이상 유무를 점검한다(S14).
전력량게의 이상 유무 점검은 전력량계의 측정값과 작업자가 휴대용 전력량계를 이용하여 직접 측정한 측정값을 비교하여 그 오차가 설정치(예를 들어, 10%) 이상인 경우, 전력량계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정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는 휴대용 전력량계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어 휴대용 전력량계의 측정값을 전송 받거나, 사용자에게 측정값을 직접 입력 받도록 운영 가능하다.
전력량계에 대한 점검 결과, 전력량계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 전력량계에 대한 수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S15). 이는 운용 시스템의 디스플레이에 전력량계에 대한 수리를 요구하는 메시지를 표시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전력량계에 대한 수리가 완료되면, 에너지 사용량을 재측정하여 기준치와 비교하며(S16), 측정값이 기준치 이내인 경우 운전 상태를 유지한다(S17).
전력량계에 이상이 없는 것으로 판정되거나, 상기 조치 후에도 측정값이 기준치를 초과한 경우, 전기 에너지 부하로 작용하는 전기 부하 장치의 이상 유무를 점검한다.
망형 튜브 필터 유닛의 경우, 전기 부하 장치는 반응용 송풍기(57)와 역세용 송풍기(58)를 포함한다. 반응용 송풍기(57)와 역세용 송풍기(58)의 이상 유무는 전력량계를 통해 측정된 전력사용량의 변화율를 통해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존 30분 사용량 대비 현재 30분 사용량의 변화율이 20%를 초과하거나, 평균 사용량 대비 20% 이상의 변화율을 나타낼 경우, 송풍기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정한다. 또한 송풍기의 전력 사용량이 0인 경우에도 숭풍기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정한다.
반응용 송풍기(57)의 이상 유무를 점검(S18)한 결과,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 반응용 송풍기(57)에 대한 수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S19). 이는 앞선 전력량계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운용 시스템의 디스플레이에 수리를 요구하는 메시지를 표시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반응용 송풍기(57)에 대한 수리가 완료되면, 에너지 사용량을 재측정하여 기준치와 비교하며(S20), 측정값이 기준치 이내인 경우 운전 상태를 유지한다(S21).
반응용 송풍기(57)에 이상이 없는 것으로 판정되거나, 상기 조치 후에도 측정값이 기준치를 초과한 경우, 역세용 송풍기(58)의 이상 유무를 점검한다(S22). 역세용 송풍기(58)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 역세용 송풍기(58)에 대한 수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S23). 역세용 송풍기(58)에 대한 수리가 완료되면, 에너지 사용량을 재측정하여 기준치와 비교하며(S24), 측정값이 기준치 이내인 경우 운전 상태를 유지한다(S25).
전기 부하 장치의 점검 결과에 따라 이상이 업는 것으로 판정되거나, 수리 후에도 에너지 사용량 측정값이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운전 조건(예를 들어, 반응용 공기의 주입량, 역세 주기) 등을 재설정한다(S26).
망형 튜브 필터 공정은 용존 공기 부상 공정에 비해 에너지 사용량이 적은 장점이 있지만, 생산수의 수질을 만족시키지 못했을 경우 후속 공정인 한외여과 공정과 역삼투 공정의 막 오염에 큰 영향을 끼치는 문제가 있다. 망형 튜브 필터 공정의 생산수 수질을 측정하여 한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용존 공기 부상 공정으로 대체시키는 것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용존 공기 부상 유닛의 개략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용존 공기 부상 유닛의 에너지 사용량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의 도시와 같이, 용존 공기 부상 유닛은 처리조(61), 포화기(62), 컴프레서(63), 반송 펌프(64), 스크래퍼(65) 등을 포함한다.
컴프레서(64)의 동작에 의해 용존 공기가 포화기(62) 내부로 유입되며, 이에 따라 용존 공기가 함유된 가압수가 처리조(61) 내로 공급된다. 이에 따라 가압수가 순간적으로 감압되어 미세 기포가 발생하게 되며, 미세 기포가 고형물 입자에 부착되어 수면으로 떠오르게 된다. 그리고, 처리조(61)의 수면에 설치된 스크래퍼(65)에 의해 슬러지가 제거된다. 처리수 중 일부는 반송 펌프(64)의 동작에 의해 포화기(62)로 반송되어 순환되게 된다.
도 6을 참조하여 용존 공기 부상 유닛의 에너지 사용량 제어 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용존 공기 부상 유닛의 에너지 사용량을 측정하며(S31), 에너지 사용량의 측정 방식 및 기준은 앞선 설명에 갈음한다.
측정된 에너지 사용량(즉, SEC)을 기준치와 비교하여(S32), 에너지 사용량이 기준치 이내인 경우 운전 상태를 유지한다(S33), 측정된 에너지 사용량이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전력량계의 이상 유무를 점검한다(S34).
전력량계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 전력량계에 대한 수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S35). 전력량계에 대한 수리가 완료되면, 에너지 사용량을 재측정하여 기준치와 비교하며(S36), 측정값이 기준치 이내인 경우 운전 상태를 유지한다(S37).
전력량계에 이상이 없는 것으로 판정되거나, 상기 조치 후에도 측정값이 기준치를 초과한 경우, 전기 에너지 부하로 작용하는 전기 부하 장치의 이상 유무를 점검한다.
용존 공기 부상 유닛(60)의 경우, 전기 부하 장치는 컴프레서(63)와 반송 펌프(64)를 포함한다. 컴프레서(63)와 반송 펌프(64)의 이상 유무는 전력량계를 통해 측정된 전력사용량의 변화율을 통해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존 30분 사용량 대비 현재 30분 사용량의 변화율이 20%를 초과하거나, 평균 사용량 대비 20% 이상의 변화율을 나타낼 경우, 송풍기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정한다. 또한, 전력 사용량이 0인 경우에도 컴프레서(63)와 반송 펌프(64)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정한다. 이러한 방식 이외에도 컴프레서(63)의 압력계 측정값과 반송 펌프(64)의 유량계 측정값이 정상 동작시 측정한 사전 측정값과 일정 이상 차이가 나는 경우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정 가능하다.
컴프레서(63)의 이상 유무를 점검(S38)한 결과,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 컴프레서(63)에 대한 수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S19). 컴프레서(63)에 대한 수리가 완료되면, 에너지 사용량을 재측정하여 기준치와 비교하며(S40), 측정값이 기준치 이내인 경우 운전 상태를 유지한다(S41).
컴프레서(63)에 이상이 없는 것으로 판정되거나, 상기 조치 후에도 측정값이 기준치를 초과한 경우, 반송 펌프(64)의 이상 유무를 점검한다(S42). 반송 펌프(64)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 반송 펌프(64)에 대한 수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S43). 반송 펌프(64)에 대한 수리가 완료되면, 에너지 사용량을 재측정하여 기준치와 비교하며(S44), 측정값이 기준치 이내인 경우 운전 상태를 유지한다(S45).
전기 부하 장치의 점검 결과에 따라 이상이 업는 것으로 판정되거나, 수리 후에도 에너지 사용량 측정값이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운전 조건(예를 들어, 용존 공기 주입압력, 반송비 등)을 재설정한다(S46).
도 7은 도 2에 도시된 한외여과 유닛의 개략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한외여과 유닛의 에너지 사용량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한외여과 유닛(70)은 공급 탱크(71), 여과 펌프(72), 막 모듈(73) 및 생산수 탱크(74)를 포함한다. 여과 펌프(72)의 동작에 의해 공급 탱크(71)의 원수가 막 모듈(73)로 공급되며, 막 모듈(73)을 통한 막 분리 현상에 의해 생산수(여과수)가 생산수 탱크(74)로 배출된다.
생산수 탱크(74)와 막 모듈(73)의 사이에는 역세 라인이 구비되며, 역세 라인에 역세 펌프(75)가 설치된다. 역세 진행시 생산수 탱크(74)의 물을 이용하여 물을 역방향으로 흘려 보낸다.
막 모듈(73)의 원수 유입 라인 측에는 역세용 송풍기(76)가 설치되며, 이는 역세 진행시 공기를 막 모듈(73)의 내부로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막 모듈(73)의 원수 유입 라인에는 약품 세정 라인이 연결되며, 여기에는 세정 펌프(78) 및 세정액 탱크(77)가 설치된다.
도 8을 참조하여 한외 여과 유닛(70)의 에너지 사용량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먼저, 한외여과 유닛(70)의 에너지 사용량을 측정한다(S51).
측정된 에너지 사용량(즉, SEC)을 기준치와 비교하여(S52), 에너지 사용량이 기준치 이내인 경우 운전 상태를 유지한다(S53), 측정된 에너지 사용량이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전력량계의 이상 유무를 점검한다(S54).
전력량계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 전력량계에 대한 수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S55). 전력량계에 대한 수리가 완료되면, 에너지 사용량을 재측정하여 기준치와 비교하며(S56), 측정값이 기준치 이내인 경우 운전 상태를 유지한다(S37).
전력량계에 이상이 없는 것으로 판정되거나, 상기 조치 후에도 측정값이 기준치를 초과한 경우, 전기 에너지 부하로 작용하는 전기 부하 장치의 이상 유무를 점검한다.
한외여과 유닛(70)의 경우, 전기 부하 장치는 여과 펌프(72), 역세 펌프(75), 역세용 송풍기(76)를 포함한다. 이들 전기 부하 장치의 이상 유무는 앞선 전기 부하 장치의 점검 방법과 마찬가지의 방식으로 점검 가능하다.
여과 펌프(72)의 이상 유무를 점검(S58)한 결과,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 여과 펌프(72)에 대한 수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S59). 여과 펌프(63)에 대한 수리가 완료되면, 에너지 사용량을 재측정하여 기준치와 비교하며(S60), 측정값이 기준치 이내인 경우 운전 상태를 유지한다(S61).
여과 펌프(72)에 이상이 없는 것으로 판정되거나, 상기 조치 후에도 측정값이 기준치를 초과한 경우, 역세 펌프(75)의 이상 유무를 점검한다(S62). 역세 펌프(75)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 역세 펌프(75)에 대한 수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S63). 역세 펌프(75)에 대한 수리가 완료되면, 에너지 사용량을 재측정하여 기준치와 비교하며(S64), 측정값이 기준치 이내인 경우 운전 상태를 유지한다(S65).
역세 펌프(75)에 이상이 없는 것으로 판정되거나, 상기 조치 후에도 측정값이 기준치를 초과한 경우, 역세용 송풍기(76)의 이상 유무를 점검한다(S66). 역세용 송풍기(76)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 역세용 송풍기(76)에 대한 수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S67). 역세용 송풍기(76)에 대한 수리가 완료되면, 에너지 사용량을 재측정하여 기준치와 비교하며(S68), 측정값이 기준치 이내인 경우 운전 상태를 유지한다(S69).
다음으로, 전기 부하 장치에 이상이 없거나, 상기 조치 후에도 에너지 사용량 측정값이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막 오염 물질에 대한 세척 공정 진행 여부 확인(S70)이 추가로 수행될 수 있다. 세척 공정 진행이 일정 시간 이내에 진행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며, 이는 운영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확인 가능하다.
세척 공정이 일정 시간(예를 들어, 최근 일주일) 이내에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세척 공정이 진행되도록 한다(S71). 세척 공정을 진행한 후, 에너지 사용량을 재측정하여 기준치와 비교하며(S72), 측정값이 기준치 이내인 경우 운전 상태를 유지한다(S73).
세척 공정이 일정 시간(예를 들어, 최근 일주일) 이내에 진행된 경우이거나, 상기 조치 후에도 에너지 사용량 측정값이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막 모듈(73)의 여과 방향 변경이 추가로 수행될 수 있다(S74). 여과 방향이 상항으로 진행하고 있는 경우 하향으로 변경하고, 하향으로 진행하는 경우 상향으로 변경한다. 다만, 여과 방향의 변경은 여과 방향의 변경이 가능한 한외여과 유닛에 한해 선택적으로 수행 가능하다. 여과 방향의 변경 후, 에너지 사용량을 재측정하여 기준치와 비교하며(S75), 측정값이 기준치 이내인 경우 운전 상태를 유지한다(S76).
여과 방향의 변경 후에도 에너지 사용량의 측정값이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운전 조건(예를 들어, 역세 조건, CEB 조건 등)을 재설정한다(S77). 운전 조건을 재설정하여 운영한 후, 에너지 사용량을 재측정하여 기준치와 비교하며(S78), 측정값이 기준치 이내인 경우 운전 상태를 유지하고(S79), 그렇지 않은 경우 분리막 교체가 진행되도록 한다(S80). 이는 운용 시스템의 디스플레이에 분리막의 교체를 요구하는 메시지를 표시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처리 공정은 망형 튜브 필터(Membrane Tube Bio-Filter, MTBF) 공정과 한외 여과(Ultra-filtration, UF) 공정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거나, 용존 공기 부상 (Dissolved Air Flotation, DAF) 공정과 한외 여과(Ultra-filtration, UF) 공정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망형 튜브 필터 공정, 용존 공기 부상 공정, 한외 여과 공정 별로 에너지 사용량에 대한 제어가 개별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역삼투 공정 유닛의 개략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역삼투 공정 유닛의 에너지 사용량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9와 같이, 역삼투 공정 유닛(30)은 막 모듈(33)과, 그에 유입되는 물에 압력을 제공하는 고압 펌프(32), 막 모듈(33)에서 생산되는 여과수를 수용하는 여과수 탱크(34) 등을 포함한다. 고압 펌프(32)의 전단에는 세이프티 필터(31)가 설치될 수 있고, 막 모듈(33)에는 농축수의 압력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회수하기 위한 에너지 회수 장치(35)가 설치될 수 있다. 에너지 회수 장치(35)와 막 모듈(33)의 사이에는 부스터 펌프(36)가 설치된다.
앞서 설명한 전처리 공정 유닛(20)에 대한 에너지 사용량 제어와 동시에 역삼투 공정 유닛(30)에 대한 에너지 사용량 제어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여 역삼투 공정 유닛(30)의 에너지 사용량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먼저, 역삼투 공정 유닛(30)의 에너지 사용량을 측정하고(S81), 측정된 에너지 사용량과 기준치를 비교하여(S82), 에너지 사용량이 기준치 이내인 경우 운전 상태를 유지한다(S83), 측정된 에너지 사용량이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역삼투 공정 유닛(30)의 전력량계의 이상 유무를 점검한다(S85).
전력량계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 전력량계에 대한 수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S56). 전력량계에 대한 수리가 완료되면, 에너지 사용량을 재측정하여 기준치와 비교하며(S86), 측정값이 기준치 이내인 경우 운전 상태를 유지한다(S87).
전력량계에 이상이 없는 것으로 판정되거나, 상기 조치 후에도 측정값이 기준치를 초과한 경우, 전기 에너지 부하로 작용하는 전기 부하 장치의 이상 유무를 점검한다.
역삼투 공정 유닛(30)의 경우, 전기 부하 장치는 고압 펌프(32), 부스터 펌프(36) 및 에너지 회수 장치(35)를 포함한다.
고압 펌프(32), 부스터 펌프(36)의 이상 유무는 전력량계를 통해 측정된 전력 사용량의 변화를 통해 파악 가능하다. 예를 들어 기존 사용량 대비 20% 이상 변화한 경우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정한다. 또는 측정된 에너지 사용량을 이용하여 펌프 효율을 계산하고, 이것이 효율 곡선의 범위값을 벗어났을 경우 이상 발생으로 판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고암 펌프(32)나 부스터 펌프(36)에 진동계를 설치하여 측정된 진동값이 기준치를 넘어설 경우 고장 발생으로 판정할 수 있다.
에너지 회수 장치(35)의 이상 유무는 그 전후단의 압력값을 측정하여 에너지 회수 장치의 효율을 계산하고, 계산된 효율이 기준치보다 낮아질 경우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고압 펌프(32)의 이상 유무를 점검(S88)한 결과,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 고압 펌프(32)에 대한 수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S89). 고압 펌프(32)에 대한 수리가 완료되면, 에너지 사용량을 재측정하여 기준치와 비교하며(S90), 측정값이 기준치 이내인 경우 운전 상태를 유지한다(S91).
고압 펌프(32)에 이상이 없는 것으로 판정되거나, 상기 조치 후에도 측정값이 기준치를 초과한 경우, 부스터 펌프(36)의 이상 유무를 점검한다(S92). 부스터 펌프(36)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 부스터 펌프(36)에 대한 수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S93). 부스터 펌프(36)에 대한 수리가 완료되면, 에너지 사용량을 재측정하여 기준치와 비교하며(S94), 측정값이 기준치 이내인 경우 운전 상태를 유지한다(S95).
부스터 펌프(36)에 이상이 없는 것으로 판정되거나, 상기 조치 후에도 측정값이 기준치를 초과한 경우, 에너지 회수 장치(35)의 이상 유무를 점검한다(S96). 에너지 회수 장치(35)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 에너지 회수 장치(35)에 대한 수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S97). 에너지 회수 장치(35)에 대한 수리가 완료되면, 에너지 사용량을 재측정하여 기준치와 비교하며(S98), 측정값이 기준치 이내인 경우 운전 상태를 유지한다(S99).
다음으로, 에너지 회수 장치(35)에 이상이 없거나, 상기 조치 후에도 에너지 사용량 측정값이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막 오염 물질에 대한 세척 공정 진행 여부 확인(S100)이 추가로 수행될 수 있다. 세척 공정 진행이 일정 시간 이내에 진행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며, 이는 운영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확인 가능하다.
세척 공정이 일정 시간(예를 들어, 최근 일주일) 이내에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세척 공정이 진행되도록 한다(S101). 세척 공정을 진행한 후, 에너지 사용량을 재측정하여 기준치와 비교하며(S102), 측정값이 기준치 이내인 경우 운전 상태를 유지한다(S103).
세척 공정이 일정 시간(예를 들어, 최근 일주일) 이내에 진행된 경우이거나, 상기 조치 후에도 에너지 사용량 측정값이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역삼투 공정의 회수율(원수 중 담수로 전환되는 물의 비율)을 조정한다(S014). 이 경우 전처리 공정의 에너지 사용량을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회수율의 조정 후, 에너지 사용량을 재측정하여 기준치와 비교하며(S105), 측정값이 기준치 이내인 경우 운전 상태를 유지한다(S106). 회수율을 조정한 후에도 에너지 사용량의 측정값이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분리막 교체가 진행되도록 한다(S107). 이는 운용 시스템의 디스플레이에 분리막의 교체를 요구하는 메시지를 표시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역삼투 해수담수화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는 단위 공정들인 전처리 공정(망형 튜브 필터 공정, 용존 공기 부상 고정, 한외여과 공정) 및 역삼투 공정의 에너지 사용량을 측정하여, 에너지 사용량이 공정별로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하였을 경우, 각 공정 별로 에너지 사용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원인을 단계별로 자동 점검하고, 이상이 발생한 부분에 대하여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취수 공정 유닛 20: 전처리 공정 유닛
30: 역삼투 공정 유닛 40: 후처리 공정 유닛
50: 망형 튜브 필터 유닛 60: 용존 공기 부상 유닛
70: 한외여과 유닛
30: 역삼투 공정 유닛 40: 후처리 공정 유닛
50: 망형 튜브 필터 유닛 60: 용존 공기 부상 유닛
70: 한외여과 유닛
Claims (14)
- 전처리 공정 및 역삼투 공정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역삼투 해수 담수화 시스템의 에너지 사용량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전처리 공정을 수행하는 전처리 공정 유닛에 설치된 전력량계를 통해 에너지 사용량에 해당하는 고유소비전력(Specific Energy Consumption)을 측정하는 단계;
측정된 상기 에너지 사용량이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전처리 공정의 에너지 사용량을 측정하기 위한 전력량계의 이상 유무를 점검하는 단계;
상기 전력량계에 이상이 없는 경우, 전기 에너지 부하로 작용하는 전기 부하 장치의 이상 유무를 점검하는 단계; 및
상기 전기 부하 장치의 점검 결과에 따라, 상기 전기 부하 장치에 대한 수리 또는 상기 전처리 공정의 운전 조건 재조정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처리 공정은 망형 튜브 필터(Membrane Tube Bio-Filter, MTBF) 공정 또는 용존 공기 부상 (Dissolved Air Flotation, DAF)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망형 튜브 필터 공정의 전기 부하 장치는 상기 망형 튜브 필터가 수용된 반응조에 반응용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반응용 송풍기 및 상기 반응조의 역세를 수행하기 위한 역세용 송풍기를 포함하며,
상기 용존 공기 부상 공정의 전기 부하 장치는 용존 공기의 주입을 위한 컴프레서 및 여과수의 일부를 포화기로 반송시키기 위한 반송 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삼투 해수 담수화 시스템의 에너지 사용량 제어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량계의 점검 결과, 상기 전력량계에 이상이 있는 경우 상기 전력량계에 대한 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전처리 공정의 에너지 사용량을 재측정하여, 재측정 결과에 따라 운전 상태의 유지 또는 상기 전기 장치의 이상 유무 점검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삼투 해수 담수화 시스템의 에너지 사용량 제어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부하 장치에 대한 수리 완료 후, 상기 전처리 공정의 에너지 사용량을 재측정하는 단계; 및
재측정 결과에 따라 운전 상태의 유지 또는 상기 운전 조건 재설정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삼투 해수 담수화 시스템의 에너지 사용량 제어 방법.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 공정은 한외 여과(Ultra-filtration, UF) 공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기 부하 장치는 여과 펌프, 역세 펌프, 역세용 송풍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삼투 해수 담수화 시스템의 에너지 사용량 제어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부하 장치에 이상이 없는 경우, 막 오염 물질에 대한 세척 공정 진행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세척 공정 진행 여부에 대한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세척 공정 또는 여과 방향 변경을 선택적으로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삼투 해수 담수화 시스템의 에너지 사용량 제어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 조정의 재설정 후, 에너지 사용량을 재측정하는 단계;
재측정 결과에 따라 운전 상태의 유지 또는 분리막 교체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삼투 해수 담수화 시스템의 에너지 사용량 제어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 공정은,
상기 망형 튜브 필터(Membrane Tube Bio-Filter, MTBF) 공정과 상기 한외 여과(Ultra-filtration, UF) 공정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용존 공기 부상 (Dissolved Air Flotation, DAF) 공정과 상기 한외 여과(Ultra-filtration, UF) 공정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망형 튜브 필터 공정, 상기 용존 공기 부상 공정, 한외 여과 공정 별로 에너지 사용량에 대한 제어가 개별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삼투 해수 담수화 시스템의 에너지 사용량 제어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삼투 공정의 에너지 사용량을 측정하는 단계;
측정된 상기 역삼투 공정의 에너지 사용량이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역삼투 공정의 에너지 사용량을 측정하기 위한 전력량계의 이상 유무를 점검하는 단계;
상기 역삼투 공정용 전력량계에 이상이 없는 경우, 전기 에너지 부하로 작용하는 전기 부하 장치의 이상 유무를 점검하는 단계; 및
상기 전기 부하 장치의 점검 결과에 따라, 상기 전기 부하 장치에 대한 수리 또는 회수율 조정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삼투 해수 담수화 시스템의 에너지 사용량 제어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역삼투 공정의 전기 부하 장치는,
고압 펌프, 부스터 펌프, 에너지 회수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삼투 해수 담수화 시스템의 에너지 사용량 제어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역삼투 공정의 전기 부하 장치에 이상이 없는 경우, 막 오염 물질에 대한 세척 공정 진행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세척 공정 진행 여부에 대한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세척 공정을 선택적으로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삼투 해수 담수화 시스템의 에너지 사용량 제어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율의 조정 후, 상기 역삼투 공정의 에너지 사용량을 재측정하는 단계; 및
재측정 결과에 따라 운전 상태의 유지 또는 분리막 교체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삼투 해수 담수화 시스템의 에너지 사용량 제어 방법.
- 취수 공정 유닛, 전처리 공정 유닛, 역삼투 공정 유닛 및 후처리 공정 유닛을 포함하는 역삼투 해수 담수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 공정 유닛의 에너지 사용량을 측정하는 전력량계;
상기 전처리 공정 유닛을 구성하되 전기 에너지 부하로 작용하는 전기 부하 장치; 및
상기 전력량계 및 전기 부하 장치에 연결되며, 제1항을 따르는 제어 방법을 통해 상기 전처리 공정의 에너지 사용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역삼투 해수 담수화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21750A KR102316209B1 (ko) | 2020-02-21 | 2020-02-21 | 역삼투 해수 담수화 시스템 및 그 에너지 사용량 제어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21750A KR102316209B1 (ko) | 2020-02-21 | 2020-02-21 | 역삼투 해수 담수화 시스템 및 그 에너지 사용량 제어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07214A KR20210107214A (ko) | 2021-09-01 |
KR102316209B1 true KR102316209B1 (ko) | 2021-10-25 |
Family
ID=77779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21750A KR102316209B1 (ko) | 2020-02-21 | 2020-02-21 | 역삼투 해수 담수화 시스템 및 그 에너지 사용량 제어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16209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86835A (ko) | 2021-12-08 | 2023-06-16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생산수량 변동형 해수담수화 시스템 및 그 가변운전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26724B1 (ko) * | 2001-06-12 | 2004-04-08 | 코오롱건설주식회사 | 에너지 절감을 위한 역삼투법 해수 담수화 시스템 |
KR200383455Y1 (ko) | 2005-02-04 | 2005-05-03 | 주식회사 그린웰 | 에너지 저감형 해수담수화 시스템 |
KR100672844B1 (ko) * | 2005-02-04 | 2007-01-22 | 주식회사 그린웰 | 에너지 저감형 해수담수화 시스템 |
KR101609795B1 (ko) * | 2014-06-09 | 2016-04-06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다채널 압력지연삼투 평가장치를 이용하여 분리막과 유도용매 펌프를 제어하는 해수담수화-발전 시스템 및 그 방법 |
KR101867063B1 (ko) * | 2016-07-15 | 2018-06-14 |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 담수화 플랜트 설비 관리 장치 및 시스템 |
-
2020
- 2020-02-21 KR KR1020200021750A patent/KR102316209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86835A (ko) | 2021-12-08 | 2023-06-16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생산수량 변동형 해수담수화 시스템 및 그 가변운전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07214A (ko) | 2021-09-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brahim et al. | Fifteen years of R&D program in seawater desalination at KISR Part I. Pretreatment technologies for RO systems | |
Singh et al. | Introduction to membrane processes for water treatment | |
CN102942276B (zh) | 涉及中水回用的锅炉补给水处理方法和处理系统 | |
KR102378124B1 (ko) | 역삼투 해수 담수화 시스템 및 그 수질 제어 방법 | |
CN101160264B (zh) | 纯净水制造装置 | |
US20090107915A1 (en) | Treatment process and system for wastewater, process waters, and produced waters applications | |
Chen et al. | Membrane separation: basics and applications | |
KR101299165B1 (ko) | 약품 투입 자동 제어가 가능한 가압식 막 여과 장치 및 방법 | |
KR101389450B1 (ko) | 담수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담수화 방법 | |
JP2013188710A (ja) | 膜ろ過装置及び造水装置並びに膜ろ過装置の洗浄方法 | |
Ferrero et al. | A knowledge-based control system for air-scour optimisation in membrane bioreactors | |
Bou-Hamdashad et al. | Performdashance evaluation of three different pretreatmdashent systemdashs for seawater reverse osmdashosis technique | |
CN108463282B (zh) | 膜分离处理方法 | |
KR101035899B1 (ko) | 고회수 저오염형 하수처리수 재이용 장치 및 방법 | |
KR102316209B1 (ko) | 역삼투 해수 담수화 시스템 및 그 에너지 사용량 제어 방법 | |
Zhang et al. | Pilot testing of outside-in MF and UF modules used for cooling tower blowdown pretreatment of power plants | |
JP2003305343A (ja) | 脱塩処理方法および脱塩処理システム | |
Ebrahim et al. | Conventional pretreatment system for the Doha Reverse Osmosis Plant: Technical and economic assessment | |
JP2014008439A (ja) | 膜分離式水処理装置および水処理分離膜の洗浄方法 | |
US20020038782A1 (en) | Plate-and -frame type membrane module system with inserted durable balls using vortex flow | |
KR102584871B1 (ko) | 수처리 설비의 농축수 처리장치 | |
US20140144840A1 (en) | Sequencing batch type or batch type water-filtering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 |
CN115103820B (zh) | 造水装置的控制方法和运转方法、造水装置的故障判定方法、造水装置和记录介质 | |
CN115297950B (zh) | 造水装置的洗涤故障判定方法和洗涤故障判定程序 | |
JP5048239B2 (ja) | 浄水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