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5429B1 -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공동 주거지 에너지 관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공동 주거지 에너지 관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5429B1
KR102315429B1 KR1020150018924A KR20150018924A KR102315429B1 KR 102315429 B1 KR102315429 B1 KR 102315429B1 KR 1020150018924 A KR1020150018924 A KR 1020150018924A KR 20150018924 A KR20150018924 A KR 20150018924A KR 102315429 B1 KR102315429 B1 KR 1023154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energy
imitation
residenc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8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7071A (ko
Inventor
김현학
허태욱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018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5429B1/ko
Priority to US15/014,472 priority patent/US10503190B2/en
Publication of KR20160097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70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5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54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66Regulating electric powe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5/00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 주거지 에너지 관리 방법으로, 공동 주거지에 거주하는 사용자의 에너지 관리 요청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거주하는 거주지의 환경 정보 및 에너지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수집된 환경 정보와 유사한 환경 정보를 가지는 상기 공동 주거지의 거주지들 중에서 모방 대상을 선정하는 단계와, 상기 모방 대상의 에너지 정보 모방 적용 방식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된 모방 적용 방식으로 상기 사용자가 거주하는 거주지의 에너지 관리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공동 주거지 에너지 관리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Energy of Public Residence using Social Network}
본 발명은 에너지 관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동 주거지에서의 에너지 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 세계적으로 에너지의 30% 이상이 건물에서 소비되고 있어, 국가적 차원에서 건물에서 소비되는 에너지를 줄이기 위한 다양한 분석을 통한 효율적인 에너지 소비 정책이 수행되고 있다. 그 결과, 오래전부터 상업용 빌딩에서는 에너지 관리를 위한 다양한 시스템이 도입되었으며, 최근에는 BEMS(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가 건물의 에너지 관리에 도입되었다.
한편, 첨단 가 전기기 시장에서는 가정에도 이와 유사한 HEMS(Home Energy Management System)을 도입하여 가정 내의 에너지 사용을 통합 관리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는 전 세계적인 CO2 배출 감축 협정도 한몫을 하고 있는데, 에너지를 생산하거나 사용할 때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CO2가 온실효과를 유발시키기 때문이며, 이 CO2 감축을 위해서 국가적인 차원에서도 좀 더 효율적인 에너지 소비를 강조하게 되었고, 의무 감축량을 달성하기 위해 다방면에 걸쳐 에너지의 효율적인 소비 지원 및 규제를 계획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인 흐름에 따라, 상업용 빌딩들은 BAS(Building Automation System) 등을 통해서 빌딩 내 발생하는 여러 정보들을 통합하여 관리(BEMS)하여, 에너지 사용 예측을 하는 수준에까지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가정에 도입하려고 하는 HEMS는 BEMS에 비하면 아직 초기 단계이다.
이 HEMS는 가정 내의 전력 에너지의 소비 정보를 수집하여 단순히 보여주는 수준에 그치고 있거나, 환경 정보를 추가하여 보여주는 것이 다수이다.
이번 달 에너지 사용량이나 비용 예측을 해주기도 하나, BEMS에 비하면 전문적인 수준의 예측이라고 표현하기는 힘든 수준으로, 단순히 전월 실적 등의 이력정보(예:전년동월) 등을 통해서 제시하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실질적인 활용도가 현저히 낮다.
예컨대, 동일 구성원수가 사는 동일 구조(예: 동일단지의 동일평형)와 동일 위치(예: 층과 집의 베란다의 방향)에 있는 가정들이 많이 있지만, 그 전기요금이나 수도요금, 가스요금 및 관리비는 천차 만별인 것이다. 동일조건의 다른 가정보다 두 배 이상의 에너지비용을 지불하는 집도 많지만, 비효율적으로 낭비되고 있는 에너지는 어떤 것이 있는지 뿐만 아니라 동일조건대비 에너지 비용의 지출이 평균에 비해 많은 지 혹은 적은 지조차도 전혀 알 수 없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업용 빌딩들은 군 관리 등을 통해 여러 빌딩들이 통합 관리되고 비교분석이 되지만, 주거지들은 정보공유의 문제와 프라이버시(Privacy) 문제 때문에 운영/관리/문제해결방법이 공유되지 않기 때문이다.
일례로, 더운 여름철 열대야에 실내온도를 내리기 위해 임의의 온도를 목표온도로 에어컨을 동작시키는 사용자도 있을 수 있고, 주기적으로 에어컨을 동작하도록 설정하는 사용자도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가 살고 있는 환경에서 어떤 방법이 과연 상대적으로 에너지 비용 측면에서 효율적이었는지 비교해보지 않으면 알 수 없다.
따라서 최근, 세대정보 및 세대 에너지 소비 제품의 가동상황이나 설정정보 및 에너지 소비량을 측정하고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분석결과를 전달하거나, 더 나아가 생활양식이나 행동양식이 유사한 다른 사용자와 비교하여 에너지 사용 상황을 알려주는 방법을 제시하기 시작했다.
또 에너지 총 사용정보 및 비용 등의 정보를 사용자의 유틸리티 회사로부터 받아오도록 하여 이 정보들을 이웃과 공유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에너지 사용 패턴에 따라 보상포인트(reward point)를 제공하여 서비스 사용 촉진 및 에너지 소모에 참여하는 것을 유도하기도 하였다. 소셜 네트워크(facebook)를 통해 에너지 사용량 및 비용을 전시할 수도 있게 하였다.
이런 에너지 비용을 줄여보려는 다양한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지만, 여러 가지 한계점들을 지니고 있다. 우선, 개인의 에너지 사용량과 사용 금액 및 에너지 소비 제품의 소비상황이나 설정정보는 개인정보이기 때문에 사용자들이 스스로 공개하기가 매우 어렵다.
또한, 에너지 사용 비교 분석 결과를 전달받더라도 실생활에 어떻게 적용해야 할지에 대해 사용자들이 알지 못해 번거로움만을 가중시킬 것이다. 시간대별로 변동되는 요금제에 따라 매번 사용자들이 에너지 사용 계획을 조정하기가 쉽지 않고, 분석결과를 사용자의 삶에 적용하려고 시도하더라도 개개인의 삶의 패턴이 타인과 같을 수 없으며, 동일한 평형의 동일 라인이라 하더라도 샤시 등의 부자재가 다를 수 있기 때문이고, 사용자마다 사용하는 기기들도 같지 않기 때문에 에너지 비용을 줄이려는 노력은 쉽사리 물거품이 되기 쉽다.
한편, 최근 전기차들이 도입되고 있는데, 이러한 전기차를 공동주거지 시설에서 충전하게 된다면 실시간 요금제에 따라 각 주거자들이 내야 하는 요금이 달라질 수 있으며,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다면 충전 용량에 비해 남들보다 엄청난 요금을 지불할 수도 있게 된다.
한편, 최근 가정 가스 보일러를 통해서 전력을 생산해내는 것도 가능해지는 등 에너지의 형태 변환이 가능한 것이 실질적인 가정에 도입되었기 때문에, 전력 사용량과 비용만 비교하는 것은 이런 최신 경향에 맞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전력에너지에만 집중되어 있는 현재의 시장은 태양열, 풍력, 수소 에너지 등 신 에너지를 도입하게 되면서 크게 변할 것이기 때문이다. 예컨대, 여러 신 에너지를 차치한 현시점에도 바닥 보일러와 냉난방기가 갖춰진 집이 있다면, 어느 에너지원을 어느 시점에 가동하는 것이 최적인지 비교해봐야 하는 새로운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다.
결국, 가정, 특히 공동주거지(예: Apartments, multi-building complexes)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환경을 가진 구역이 많고, 개별 세대의 개인 관리하에 있다 보니 어떤 설정이나 관리 방법이 효율적인지 특별한 고민없이, 개별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개선될 여지가 많고, 사업적으로나 경제적으로, 크게는 국가적으로 큰 이득을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한계점을 뛰어 넘을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공동주거지의 거주하는 사용자들 간에 에너지 비용 정보를 공유 및 적용하여 공동주거지의 에너지 비용을 절감하는 공동 주거지 에너지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공동 주거지 에너지 관리 방법으로, 공동 주거지에 거주하는 사용자의 에너지 관리 요청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거주하는 거주지의 환경 정보 및 에너지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수집된 환경 정보와 유사한 환경 정보를 가지는 상기 공동 주거지의 거주지들 중에서 모방 대상을 선정하는 단계와, 상기 모방 대상의 에너지 정보 모방 적용 방식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된 모방 적용 방식으로 상기 사용자가 거주하는 거주지의 에너지 관리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에너지 정보 모방 적용 방식을 설정하는 단계는 모방 대상의 환경 정보 및 에너지 정보와 사용자의 환경 정보 및 에너지 정보를 비교하여 하나 이상의 모방 패턴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하나 이상의 모방 패턴 각각에 대한 자동, 반자동 및 수동 중 적어도 하나의 모방 적용 방식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에너지 관리 소셜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서버에서의 공동 주거지 에너지 관리 방법으로, 에너지 소셜 네트워크를 통해 하나 이상의 에너지 관리 단말로부터 환경 정보 및 에너지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하나 이상의 에너지 관리 단말로부터의 모방 요청에 따라, 상기 공동 주거지 에너지 관리 단말로부터 보고된 환경 정보와 유사한 환경 정보를 가지는 상기 공동 주거지의 거주지들에 대한 에너지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제공된 에너지 정보를 보고한 에너지 관리 단말의 사용자에게 보상 포인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공동 주거지의 거주지들은 상기 전달받는 에너지 정보에 기초하여 모방 대상의 환경 정보 및 에너지 정보와 상기 공동 주거지의 거주지들의 사용자의 환경 정보 및 에너지 정보를 비교하여 하나 이상의 모방 패턴을 추출한 후 상기 추출된 하나 이상의 모방 패턴 각각에 대한 자동, 반자동 및 수동 중 적어도 하나의 모방 적용 방식을 선택하여 에너지 정보 모방 적용 방식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공동 주거지 에너지 관리 장치로, 공동 주거지에 거주하는 사용자의 에너지 관리 요청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거주하는 거주지의 환경 정보 및 에너지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와, 상기 수집된 환경 정보와 유사한 환경 정보를 가지는 상기 공동 주거지의 거주지들 중에서 모방 대상을 선정하는 모방 대상 선정부와, 상기 모방 대상의 에너지 정보 모방 적용 방식을 설정하는 모방 적용 설정부와, 상기 설정된 모방 적용 방식으로 상기 사용자가 거주하는 거주지의 에너지 관리 제어하는 적용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방 적용 설정부는 모방 대상의 환경 정보 및 에너지 정보와 사용자의 환경 정보 및 에너지 정보를 비교하여 하나 이상의 모방 패턴을 추출하는 모방 패턴 추출부와, 상기 추출된 하나 이상의 모방 패턴 각각에 대한 자동, 반자동 및 수동 중 적어도 하나의 모방 적용 방식을 선택하는 방식 설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에너지 소셜 네트워크 서버로, 에너지 소셜 네트워크를 통해 하나 이상의 에너지 관리 단말로부터 환경 정보 및 에너지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와, 하나 이상의 에너지 관리 단말로부터의 모방 요청에 따라, 상기 공동 주거지 에너지 관리 단말로부터 보고된 환경 정보와 유사한 환경 정보를 가지는 상기 공동 주거지의 거주지들에 대한 에너지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와, 상기 제공된 에너지 정보를 보고한 에너지 관리 단말의 사용자에게 보상 포인트를 제공하는 보상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동 주거지의 거주지들은 상기 전달받는 에너지 정보에 기초하여 모방 대상의 환경 정보 및 에너지 정보와 상기 공동 주거지의 거주지들의 사용자의 환경 정보 및 에너지 정보를 비교하여 하나 이상의 모방 패턴을 추출한 후 상기 추출된 하나 이상의 모방 패턴 각각에 대한 자동, 반자동 및 수동 중 적어도 하나의 모방 적용 방식을 선택하여 에너지 정보 모방 적용 방식을 설정하는 모방 적용 설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에너지 소모를 관리할 수 없었던 개별 소유물인 공동거주지의 에너지 비용의 지출을 절약할 수 있는 좀 더 편하고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한 것이다.
주거 관련 정보 등이 유사한 사용자들과 한 달에 한번 한달 에너지 사용량과 요금을 알려주거나 비교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동일 환경 거주자들의 에너지 사용 행태를 에너지 소셜 네트워크를 통해서 익명/공유 비교 분석하여, 거주자들이 에너지 비용 절감을 할 수 있도록 실시간으로 알려주고, 그 에너지 소비 설정을 그대로 복사하거나 따라할 수 있도록 해줌으로써, 에너지 절감을 보다 편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 이러한 에너지 소셜 네트워크를 통해, 건설사와 관리사의 시공 및 관리의 선의의 경쟁을 유발시켜, 이를 통한 공동주거지 수요의 변화(예:보다 에너지비용 절감에 효율적인 건설사의 공동주거지의 수요증가)도 촉진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공동 주거지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너지 관리 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너지 소셜 네트워크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너지 관리 단말에서의 공동 주거지 에너지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너지 소셜 네트워크 서버에서의 공동 주거지 에너지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초기 환경 정보 및 에너지 정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방 대상 선정을 위한 모방 대상군 정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방 대상 선정을 위한 모방 대상 패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방 적용 제어 정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방 적용 제어에 따른 온도 변화 추이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 실시 예들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명세서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관례 등에 따라 충분히 변형될 수 있는 사항이므로, 이 용어들의 정의는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공동 주거지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공동 주거지 에너지 관리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에너지 관리 단말(10)과 에너지 소셜 네트워크 서버들(100, 100a, 100b)로 구성된다.
에너지 관리 단말(10)은 아파트와 같은 공동 주거지에 거주하는 각 가정에 설치되어 에너지를 관리하는 장치로, 센서 등을 통해 환경 정보 및 에너지 정보를 수집하거나, 보일러와 같은 에너지 장치에 제어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에너지 관리 단말(10)은 공동 주거지에 거주하는 다른 가정의 에너지 정보를 모방하여 에너지를 관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에너지 관리 단말(10)은 에너지 소셜 네트워크 서버들(100), 100a, 100b)로부터 정보를 획득하여 모방 대상을 선정할 수 있고, 일단 모방 대상이 정해지면 개인 정보 보안을 위해 peer-to-peer 통신으로 모방 대상의 가정에 설치된 에너지 관리 단말(10)과 직접 정보를 송수신하여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도 있다.
에너지 소셜 네트워크 서버들(100, 100a, 100b)은 에너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여, 에너지 관리 단말(10)에 에너지 관리 정보를 제공한다. 여기서, 에너지 소셜 네트워크 서버들(100), 100a, 100b)은 단지 내에서 에너지 소셜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서버들(100a, 100b)과, 단지 에너지 소셜 네트워크 서버들(100a, 100b) 간의 에너지 소셜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단지간 에너지 소셜 네트워크 서버(100)로 구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너지 관리 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에너지 관리 단말(10)은 정보 수집부(110), 모방 대상 선정부(120), 모방 적용 설정부(130) 및 적용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업데이트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수집부(110)는 공동 주거지에 거주하는 사용자의 에너지 관리 요청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거주하는 거주지의 환경 정보 및 에너지 정보를 수집한다. 여기서, 환경 정보로는 예컨대, 건축관련 정보(예:층, 집의 방위정보-남향, 복도/계단식, 건축년도 등), 에너지 소비원 관련 정보(예: 가스<가스레인지, 가스오븐>, 전력<시스템에어컨, 냉장고, 세탁기, 컴퓨터본체, 컴퓨터모니터, TV, 내/외부 전기자동차충전기, 전기저장장치(ESS), 신재생에너지장치(Renewable Energy Device), 분산전원장치(DER)등>, 수도<싱크대, 화장실변기, 세면대, 샤워기, 베란다1>등), 센서관련 정보(예: 각방의 온도와 습도, 조도, PIR 등), 구성원관련 정보(예: 인원, 거주시간 등) 및 에너지 사용 설정정보(예: 각방의 목표온도, 에어컨의 설정값 등) 등이 포함된다. 에너지 정보들은 예컨대, 가정의 에너지가 전력, 수도, 가스로 이루어져 있다면, 각 시간별 전체전력사용량, 시간별 각 전력을 소모하거나 생산하는 기기별 전력 생산/사용량, 지난달까지의 전력 사용 요금, 시간별 전력 가격 등의 전력 관련 정보 등이 포함된다. 또한, 정보 수집부(110)는 전기 자동차처럼 가정 외부에 있지만, 가정소유물로 에너지를 소모하는 장치의 정보도 수집할 수 있다. 또한, 각 시간별 전체 물 사용량, 시간별 각 수도꼭지별 물 사용량, 지난달까지의 수도 사용 요금, 시간별 수도가격 등의 수도 관련 정보를 수집한다. 또한, 각 시간별 전체가스사용량, 시간별 각 가스기기별 가스사용량, 지난달까지의 가스 사용 요금, 시간별 수도가격 등의 가스관련 정보들을 수집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정보 수집부(110)는 수집된 정보들을 개인/가정의 정보 비/익명 설정에 따라 비/익명으로 에너지 소셜 네트워크 서버(100, 110a, 110b) 또는 다른 에너지 관리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모방 대상 선정부(120)는 수집된 환경 정보와 유사한 환경 정보를 가지는 공동 주거지의 거주지들 중에서 모방 대상을 선정한다. 본 발명이 실시 예에 따라, 상세하게는 서버 정보 획득부(121), 모방 대상군 추출부(122) 및 선택부(123)를 포함한다.
서버 정보 획득부(121)는 에너지 소셜 네트워크 서버로부터 모방 대상군의 정보를 획득한다. 즉, 사용자가 거주하는 단지 전체의 환경 정보 및 에너지 정보를 에너지 소셜 네트워크 서버(100, 100a, 100b)로부터 획득한다. 여기서, 모방 대상군의 정보는 기본적으로 익명 처리된 정보이다.
대상군 추출부(122)는 획득된 모방 대상군의 정보 중에서 상기 사용자 거주지와 유사한 환경 정보를 가지는 거주지들을 추출한다.
선택부(123)는 추출된 거주지들 중에서 비교할 모방 대상을 선택하는데, 본 발명에 따라 세 가지 실시 예가 가능하다.
일 실시 예로, 추출된 거주지들 중에서 비교할 모방 대상을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동일한 1층에 거주하는 남향의 가정들 중에서 유사한 구성원수 및 거주 시간을 가지는 비교 대상군과 비교한다.
다른 실시 예로, 추출된 거주지들의 에너지 정보의 대표값을 모방 대상으로 선택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추출된 거주지들 중에서 상위 랭크된 하나 이상의 거주지들을 모방 대상으로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모방 대상군 중에서 에너지 사용액이 상대적으로 적은 상위 랭크된 하나 이상의 가정을 모방 대상군으로 선정하여 비교할 수 있다.
모방 대상 선정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선택 정보에 따라 수행할 수도 있지만, 에너지 소셜 네트워크 서버(100, 100a, 100b) 또는 에너지 관리 단말(10)이 자료 분석을 통해 추천한 정보에 의해 선정할 수도 있다.
모방 적용 설정부(130)는 모방 대상의 에너지 정보 모방 적용 방식을 설정하는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상세하게는 모방 패턴 추출부(131) 및 방식 설정부(132)를 포함한다.
모방 패턴 추출부(131)는 모방 대상의 환경 정보 및 에너지 정보와 사용자의 환경 정보 및 에너지 정보를 비교하여 하나 이상의 모방 패턴을 추출한다. 한편, 모방 대상 패턴은 상황인지나 온톨리지 같은 기술을 접목하여 분석/학습적으로 추출해낼 수도 있으며, 에너지 소비정보를 공유하기로 한 follower가 직접 패턴을 등록하여 twit할 수도 있는 것이다. 예컨대, '취침'을 상황인지나 온톨리지 같은 기술로 분석하여 추출해낼 수도 있고, follower가 직접 '취침' 상황의 패턴을 등록하여 공유할 수도 있는 것이다.
방식 설정부(132)는 추출된 하나 이상의 모방 패턴 각각에 대한 자동, 반자동 및 수동 중 적어도 하나의 모방 적용 방식을 선택한다. 여기서, 자동은 모방 패턴을 그대로 따라서 에너지가 제어되도록 하도록 하는 것이고, 반자동은 모방 패턴을 일정 부분 변형하여 에너지가 제어되도록 하는 것이고, 수동은 모방 패턴에 대한 보고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된 정보에 의해 에너지가 제어되도록 한다는 것이다. 예컨대, 비교 대상과 사용자의 여름철 낮 에어컨의 가동 시간과 온도의 차이가 커서 모방 대상 기기로 사용자가 지정하였다면, 그 기기의 설정을 그대로 따를 것인지, 온도가 몇 도 이상일 때 비교 대상 가정의 에어컨 설정 및 가동을 그대로 따르게 할 것인지를 정하도록 한다. 이러한 설정은 상대적으로 에너지소비 비용이 낮은 상위 그룹에 랭크된 가정인 만큼, 그 가정만의 세심한 에너지 소비 절약 노하우가 담겨 있을 수 있고, 이러한 노하우를 분석하거나 추출할 필요없이 모방하도록 설정함으로, 상대적으로 편하게 에너지소비 비용 절감을 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적용 제어부(140)는 설정된 모방 적용 방식으로 상기 사용자가 거주하는 거주지의 에너지 관리 제어한다. 모방 패턴이 발생하였을 때 해당 장치를 제어하며, 이때 사용자의 편의성과 쾌적성을 위해서 제어 설정을 변형시켜 사용자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 제어가 시작되었을 때, 제어 상태가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고, 이를 취소하는 'Opt-out', 이 설정을 사용자에게 맞도록 변형하여 패턴 발생시 제어하도록 하는 'Override', 취소나 변형 후 기존 제어 상태로 복귀하는 'Opt-in'등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며, 이러한 두 가지 선택의 상황과 횟수와 변경 패턴은 단말이 learning하도록 하여, 유사 대상군 선택시 사용자에게 알림을 주도록 하여, 사용자의 선택의 유효성을 높여줄 수 있다.
업데이트부(150)는 상세하게는 모니터링부(151), 변경 판단부(152) 및 적용 설정 업데이트부(153)을 포함한다.
모니터링부(151)는 모방 대상의 환경 정보 및 에너지 정보와 사용자의 환경 정보 및 에너지 정보를 모니터링한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모니터링부(151)는 정보 보안을 위해 에너지 소셜 네트워크 서버를 통하지 않고, 모방 대상이 되는 거주지의 에너지 관리 단말로부터 직접 환경 정보 및 에너지 정보를 획득한다.
변경 판단부(152)는 모니터링 결과 업데이트될 모방 패턴이 발견되는지를 판단한다. 적용 설정 업데이트부(153)는 변경될 모방 패턴이 발견됨에 따라, 상기 에너지 정보 모방 적용 방식을 재설정한다. 예컨대, 비교 대상 가정군을 선택하여, 실시간으로 비교 가정군과의 비교에서 유의할 수준(예: 2*표준편차, 2*분산)이상의 차이가 있는 정보가 있는 경우에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를 정하게 할 수도 있다. 예컨대, 각방의 제어 온도값이 비교대상군의 표준 편차보다 2배 이상의 차이가 나는 경우 사용자의 확인없이, 각방의 제어온도를 비교 대상군의 평균값으로 정하고, 설정변경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너지 소셜 네트워크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에너지 소셜 네트워크 서버는 정보 수집부(310), DB(320), 정보 제공부(330), 보상 관리부(340) 및 정보 관리부(350)를 포함한다.
정보 수집부(310)는 에너지 소셜 네트워크를 통해 하나 이상의 에너지 관리 단말로부터 환경 정보 및 에너지 정보를 수집하여, DB(320)에 저장한다.
정보 제공부(330)는 하나 이상의 에너지 관리 단말로부터의 모방 요청에 따라, 상기 공동 주거지 에너지 관리 단말로부터 보고된 환경 정보와 유사한 환경 정보를 가지는 상기 공동 주거지의 거주지들에 대한 에너지 정보를 제공한다.
보상 관리부(340)는 제공된 에너지 정보를 보고한 에너지 관리 단말의 사용자에게 보상 포인트를 제공한다. 즉, 에너지를 공급하는 Utility 회사와 공동주거지가 단체계약을 맺는 대신 주어진 할인된 금액부분을 활용해서 줄 수도 있으며, 다른 사용자의 에너지 절감방식을 열람하고 공유하고 적용하기 위해서 지불해야 하는 포인트로 줄 수도 있다. 또한, 공유받은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간 에너지 사용량을 분석하고 비교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해야할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우수한 에너지 소비 절감의 사용자들의 소비 형태를 제공해주고, 이러한 소비형태를 따라 할 수 있는 시스템적인 장치를 제공하도록 한다.
에너지 정보 관리부(350)는 에너지 정보 제공 빈도수에 따라, 에너지 정보들의 순위를 산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너지 관리 단말에서의 공동 주거지 에너지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에너지 관리 단말(10)의 정보 수집부(110)는 S410에서 공동 주거지에 거주하는 사용자의 에너지 관리 요청에 따라, 사용자가 거주하는 거주지의 환경 정보 및 에너지 정보를 수집한다. 여기서, 환경 정보로는 예컨대, 건축관련 정보(예:층, 집의 방위정보-남향, 복도/계단식, 건축년도 등), 에너지 소비원 관련 정보(예: 가스<가스레인지, 가스오븐>, 전력<시스템에어컨, 냉장고, 세탁기, 컴퓨터본체, 컴퓨터모니터, TV, 내/외부 전기자동차충전기, 전기저장장치(ESS), 신재생에너지장치(Renewable Energy Device), 분산전원장치(DER)등>, 수도<싱크대, 화장실변기, 세면대, 샤워기, 베란다1>등), 센서관련 정보(예: 각방의 온도와 습도, 조도, PIR 등), 구성원관련 정보(예: 인원, 거주시간 등) 및 에너지 사용 설정정보(예: 각방의 목표온도, 에어컨의 설정값 등) 등이 포함된다. 에너지 정보들은 예컨대, 가정의 에너지가 전력, 수도, 가스로 이루어져 있다면, 각 시간별 전체전력사용량, 시간별 각 전력을 소모하거나 생산하는 기기별 전력 생산/사용량, 지난달까지의 전력 사용 요금, 시간별 전력 가격 등의 전력 관련 정보 등이 포함된다. 또한, 정보 수집부(110)는 전기 자동차처럼 가정 외부에 있지만, 가정소유물로 에너지를 소모하는 장치의 정보도 수집할 수 있다. 또한, 각 시간별 전체 물 사용량, 시간별 각 수도꼭지별 물 사용량, 지난달까지의 수도 사용 요금, 시간별 수도가격 등의 수도 관련 정보를 수집한다. 또한, 각 시간별 전체가스사용량, 시간별 각 가스기기별 가스사용량, 지난달까지의 가스 사용 요금, 시간별 수도가격 등의 가스관련 정보들을 수집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정보 수집부(110)는 수집된 정보들을 개인/가정의 정보 비/익명 설정에 따라 비/익명으로 에너지 소셜 네트워크 서버(100, 110a, 110b) 또는 다른 에너지 관리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에너지 관리 단말(10)의 모방 대상 선정부(120)는 S420에서 수집된 환경 정보와 유사한 환경 정보를 가지는 공동 주거지의 거주지들 중에서 모방 대상을 선정한다. 본 발명이 실시 예에 따라, 모방 대상 선정부(120)는 에너지 소셜 네트워크 서버로부터 모방 대상군의 정보를 획득한다. 즉, 사용자가 거주하는 단지 전체의 환경 정보 및 에너지 정보를 에너지 소셜 네트워크 서버(100, 100a, 100b)로부터 획득한다. 여기서, 모방 대상군의 정보는 기본적으로 익명 처리된 정보이다. 그리고, 모방 대상 선정부(120)는 획득된 모방 대상군의 정보 중에서 상기 사용자 거주지와 유사한 환경 정보를 가지는 거주지들을 추출하고, 추출된 거주지들 중에서 비교할 모방 대상을 선택하는데, 본 발명에 따라 세 가지 실시 예가 가능하다.
일 실시 예로, 추출된 거주지들 중에서 비교할 모방 대상을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동일한 1층에 거주하는 남향의 가정들 중에서 유사한 구성원수 및 거주 시간을 가지는 비교 대상군과 비교한다.
다른 실시 예로, 추출된 거주지들의 에너지 정보의 대표값을 모방 대상으로 선택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추출된 거주지들 중에서 상위 랭크된 하나 이상의 거주지들을 모방 대상으로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모방 대상군 중에서 에너지 사용액이 상대적으로 적은 상위 랭크된 하나 이상의 가정을 모방 대상군으로 선정하여 비교할 수 있다.
이때, 모방 대상 선정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선택 정보에 따라 수행할 수도 있지만, 에너지 소셜 네트워크 서버(100, 100a, 100b) 또는 에너지 관리 단말(10)이 자료 분석을 통해 추천한 정보에 의해 선정할 수도 있다.
에너지 단말(10)의 모방 적용 설정부(130)는 S430에서 모방 대상의 에너지 정보 모방 적용 방식을 설정한다.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상세하게는 모방 적용 설정부(130)는 모방 대상의 환경 정보 및 에너지 정보와 사용자의 환경 정보 및 에너지 정보를 비교하여 하나 이상의 모방 패턴을 추출한다. 한편, 모방 대상 패턴은 상황인지나 온톨리지 같은 기술을 접목하여 분석/학습적으로 추출해낼 수도 있으며, 에너지 소비정보를 공유하기로 한 follower가 직접 패턴을 등록하여 twit할 수도 있는 것이다. 예컨대, '취침'을 상황인지나 온톨리지 같은 기술로 분석하여 추출해낼 수도 있고, follower가 직접 '취침' 상황의 패턴을 등록하여 공유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런 후, 모방 적용 설정부(130)는 추출된 하나 이상의 모방 패턴 각각에 대한 자동, 반자동 및 수동 중 적어도 하나의 모방 적용 방식을 선택한다. 여기서, 자동은 모방 패턴을 그대로 따라서 에너지가 제어되도록 하도록 하는 것이고, 반자동은 모방 패턴을 일정 부분 변형하여 에너지가 제어되도록 하는 것이고, 수동은 모방 패턴에 대한 보고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된 정보에 의해 에너지가 제어되도록 한다는 것이다. 예컨대, 비교 대상과 사용자의 여름철 낮 에어컨의 가동 시간과 온도의 차이가 커서 모방 대상 기기로 사용자가 지정하였다면, 그 기기의 설정을 그대로 따를 것인지, 온도가 몇 도 이상일 때 비교 대상 가정의 에어컨 설정 및 가동을 그대로 따르게 할 것인지를 정하도록 한다. 이러한 설정은 상대적으로 에너지소비 비용이 낮은 상위 그룹에 랭크된 가정인 만큼, 그 가정만의 세심한 에너지 소비 절약 노하우가 담겨 있을 수 있고, 이러한 노하우를 분석하거나 추출할 필요없이 모방하도록 설정함으로, 상대적으로 편하게 에너지소비 비용 절감을 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에너지 관리 단말(10)의 적용 제어부(140)는 S440에서 설정된 모방 적용 방식으로 상기 사용자가 거주하는 거주지의 에너지 관리 제어한다. 모방 패턴이 발생하였을 때 해당 장치를 제어하며, 이때 사용자의 편의성과 쾌적성을 위해서 제어 설정을 변형시켜 사용자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 제어가 시작되었을 때, 제어 상태가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고, 이를 취소하는 'Opt-out', 이 설정을 사용자에게 맞도록 변형하여 패턴 발생시 제어하도록 하는 'Override', 취소나 변형 후 기존 제어 상태로 복귀하는 'Opt-in'등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며, 이러한 두 가지 선택의 상황과 횟수와 변경 패턴은 단말이 learning하도록 하여, 유사 대상군 선택시 사용자에게 알림을 주도록 하여, 사용자의 선택의 유효성을 높여줄 수 있다.
에너지 관리 단말(10)의 업데이트부(150)는 S450에서 모방 대상의 환경 정보 및 에너지 정보와 사용자의 환경 정보 및 에너지 정보를 모니터링한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업데이트부(150)는 정보 보안을 위해 에너지 소셜 네트워크 서버를 통하지 않고, 모방 대상이 되는 거주지의 에너지 관리 단말로부터 직접 환경 정보 및 에너지 정보를 획득한다.
업데이트부(150)는 S460에서 모니터링 정보를 통해 모방 대상과의 차이점을 분석하고, S470에서 업데이트될 모방 패턴이 발견되는지를 판단한다.
업데이트부(150)는 S470에서 변경될 모방 패턴이 발견됨에 따라, S480에서 에너지 정보 모방 적용 방식을 재설정한다. 예컨대, 비교 대상 가정군을 선택하여, 실시간으로 비교 가정군과의 비교에서 유의할 수준(예: 2*표준편차, 2*분산)이상의 차이가 있는 정보가 있는 경우에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를 정하게 할 수도 있다. 예컨대, 각방의 제어 온도값이 비교대상군의 표준 편차보다 2배 이상의 차이가 나는 경우 사용자의 확인없이, 각방의 제어온도를 비교 대상군의 평균값으로 정하고, 설정변경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너지 소셜 네트워크 서버에서의 공동 주거지 에너지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에너지 소셜 네트워크 서버의 정보 수집부(310)는 S510에서 에너지 소셜 네트워크를 통해 하나 이상의 에너지 관리 단말로부터 환경 정보 및 에너지 정보를 수집하여, DB(320)에 저장한다.
정보 제공부(330)는 S520에서 하나 이상의 에너지 관리 단말로부터의 모방 요청에 따라, 상기 공동 주거지 에너지 관리 단말로부터 보고된 환경 정보와 유사한 환경 정보를 가지는 상기 공동 주거지의 거주지들에 대한 에너지 정보를 제공한다.
보상 관리부(340)는 S530에서 제공된 에너지 정보를 보고한 에너지 관리 단말의 사용자에게 보상 포인트를 제공한다. 즉, 에너지를 공급하는 Utility 회사와 공동주거지가 단체계약을 맺는 대신 주어진 할인된 금액부분을 활용해서 줄 수도 있으며, 다른 사용자의 에너지 절감방식을 열람하고 공유하고 적용하기 위해서 지불해야 하는 포인트로 줄 수도 있다. 또한, 공유받은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간 에너지 사용량을 분석하고 비교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해야할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우수한 에너지 소비 절감의 사용자들의 소비 형태를 제공해주고, 이러한 소비형태를 따라 할 수 있는 시스템적인 장치를 제공하도록 한다.
에너지 정보 관리부(350)는 S540에서 에너지 정보 제공 빈도수에 따라, 에너지 정보들의 순위를 산출한다.
그러면, 본 발명이 적용되어 냉방을 위한 에너지 관리하는 예를 이하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초기 환경 정보 및 에너지 정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에너지 관리 단말(10)은 도 6에 도시된 기초 정보를 수집하거나, 입력받을 수 있다. 그러한 기초 정보 중에서 비교대상을 추출하기 위한 정보들을 선택하면, 에너지 소셜 네트워크 서버로부터 유사한 기초 정보를 가지는, 다음과 같은 단지 내 유사 비교대상 후보들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사용자의 위치와 추출된 그룹평균의 정보도 표시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방 대상 선정을 위한 모방 대상군 정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여기에서 RANK 1의 사용자 A를 비교대상으로 지정하고, 다음 에너지 소비원과 관련된 제어 및 보고를 설정하였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방 대상 선정을 위한 모방 대상 패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침실, 거실 목표 온도는 사용자A를 따라서 자동으로 동일하게 동기화(synchronization)가 되도록 하였고, 방 1,2의 목표온도는 변화를 보고받고 사용자의 확인 후 제어되도록 반자동으로 동기화하도록 하였다.
베란다 샷시의 열 차단/열림/닫힘 상태를 비교해볼 수 있는 베란다 1,2의 온도는 동기화하지 않고 보고만 받도록 하여, 추후 분석시에 비교해볼 수 있도록 하였다. 전력가격 및 수도가격이 실시간으로 변화한다면 그에 따른 동작시점도 반자동으로 동기화되어 에너지 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설정하였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방 적용 제어 정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방 적용 제어에 따른 온도 변화 추이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설정한 정보들의 변화 보고로, 침실온도와 베란다1,2의 온도를 비교해보면, 낮에는 에어컨이 28도로 설정되어 동작되었고 새벽 새벽-아침시간대(예:02~08)에는 외기(예:베란다1,2)와 비슷한 양상으로 온도가 떨어진 것을 볼 수 있는데, 외기가 들어올 수 있도록 환기가 작동하여서 에너지 비용을 줄이고 있음을 확인(예:02~08 환기동작)할 수 있다. 사용자A는 103동 105호로 자기 정보를 공개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환기동작의 구체적인 방법(예:환풍기,에어컨,기타자동환기시스템)및 설정(예:동작방법) 등을 에너지 소셜 네트워크를 통해 나의 친구 및 동료에게 제공할 수도 있으며, 또한, 다른 친구의 정보를 확인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위의 예에는 그대로 따라하기를 하였지만, 아침 8:00 전에 모두가 집을 비웠다면, 가정 내 기초정보 업데이트 시에 집안에 거주원이 없다는 것이 비교 패턴과 다르다는 것이 발견되면 패턴 적용이 멈춰져서 냉방이 동작하지 않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거주원이 없다는 정보는 PIR에서 보고되는 센서정보정보로 추측할 수 있는 거주원 정보에서나 상황인지적으로 거주원이 없음을 파악하여 갱신되어 질 수 있다.

Claims (20)

  1. 공동 주거지에 거주하는 사용자의 에너지 관리 요청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거주하는 거주지의 환경 정보 및 에너지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수집된 환경 정보와 유사한 환경 정보를 가지는 상기 공동 주거지의 거주지들 중에서 모방 대상을 선정하는 단계와,
    상기 모방 대상의 에너지 정보 모방 적용 방식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된 모방 적용 방식으로 상기 사용자가 거주하는 거주지의 에너지 관리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에너지 정보 모방 적용 방식을 설정하는 단계는
    모방 대상의 환경 정보 및 에너지 정보와 사용자의 환경 정보 및 에너지 정보를 비교하여 하나 이상의 모방 패턴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하나 이상의 모방 패턴 각각에 대한 자동, 반자동 및 수동 중 적어도 하나의 모방 적용 방식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주거지 에너지 관리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정보는
    건축 정보, 에너지 소비원 정보, 전력 정보, 수도 정보, 센서 정보, 구성원정보 및 에너지 사용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주거지 에너지 관리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정보는
    각 시간별 전체 전력 사용량, 시간별 각 전력을 소모하거나 생산하는 기기별 전력 생산/사용량, 지난달까지의 전력 사용 요금, 시간별 전력 가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력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주거지 에너지 관리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방 대상을 선정하는 단계는
    에너지 소셜 네트워크 서버로부터 모방 대상군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모방 대상군의 정보 중에서 상기 사용자 거주지와 유사한 환경 정보를 가지는 거주지들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거주지들 중에서 비교할 모방 대상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주거지 에너지 관리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방 대상을 선정하는 단계는
    에너지 소셜 네트워크 서버로부터 모방 대상군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모방 대상군의 정보 중에서 상기 사용자 거주지와 유사한 환경 정보를 가지는 거주지들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거주지들의 에너지 정보의 대표값을 모방 대상으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주거지 에너지 관리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방 대상을 선정하는 단계는
    에너지 소셜 네트워크 서버로부터 모방 대상군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모방 대상군의 정보 중에서 상기 사용자 거주지와 유사한 환경 정보를 가지는 거주지들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거주지들 중에서 상위 랭크된 하나 이상의 거주지들을 모방 대상으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주거지 에너지 관리 방법.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모방 대상의 환경 정보 및 에너지 정보와 사용자의 환경 정보 및 에너지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단계와,
    모니터링 결과 업데이트될 모방 패턴이 발견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변경될 모방 패턴이 발견됨에 따라, 상기 에너지 정보 모방 적용 방식을 재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주거지 에너지 관리 방법.
  9. 에너지 관리 소셜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서버에서의 공동 주거지 에너지 관리 방법에 있어서,
    에너지 소셜 네트워크를 통해 하나 이상의 에너지 관리 단말로부터 환경 정보 및 에너지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하나 이상의 에너지 관리 단말로부터의 모방 요청에 따라, 공동 주거지 에너지 관리 단말로부터 보고된 환경 정보와 유사한 환경 정보를 가지는 상기 공동 주거지의 거주지들에 대한 에너지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제공된 에너지 정보를 보고한 에너지 관리 단말의 사용자에게 보상 포인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공동 주거지의 거주지들은 상기 전달받는 에너지 정보에 기초하여
    모방 대상의 환경 정보 및 에너지 정보와 상기 공동 주거지의 거주지들의 사용자의 환경 정보 및 에너지 정보를 비교하여 하나 이상의 모방 패턴을 추출한 후 상기 추출된 하나 이상의 모방 패턴 각각에 대한 자동, 반자동 및 수동 중 적어도 하나의 모방 적용 방식을 선택하여 에너지 정보 모방 적용 방식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주거지 에너지 관리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정보 제공 빈도수에 따라, 에너지 정보들의 순위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주거지 에너지 관리 방법.
  11. 공동 주거지에 거주하는 사용자의 에너지 관리 요청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거주하는 거주지의 환경 정보 및 에너지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와,
    상기 수집된 환경 정보와 유사한 환경 정보를 가지는 상기 공동 주거지의 거주지들 중에서 모방 대상을 선정하는 모방 대상 선정부와,
    상기 모방 대상의 에너지 정보 모방 적용 방식을 설정하는 모방 적용 설정부와,
    상기 설정된 모방 적용 방식으로 상기 사용자가 거주하는 거주지의 에너지 관리 제어하는 적용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방 적용 설정부는
    모방 대상의 환경 정보 및 에너지 정보와 사용자의 환경 정보 및 에너지 정보를 비교하여 하나 이상의 모방 패턴을 추출하는 모방 패턴 추출부와,
    상기 추출된 하나 이상의 모방 패턴 각각에 대한 자동, 반자동 및 수동 중 적어도 하나의 모방 적용 방식을 선택하는 방식 설정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주거지 에너지 관리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집부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 및 상기 거주지에 설치된 센서로부터 측정되는 정보를 수집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주거지 에너지 관리 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방 대상 선정부는
    에너지 소셜 네트워크 서버로부터 모방 대상군의 정보를 획득하는 서버 정보 획득부와,
    상기 모방 대상군의 정보 중에서 상기 사용자 거주지와 유사한 환경 정보를 가지는 거주지들을 추출하는 모방 대상군 추출부와,
    상기 추출된 거주지들 중에서 비교할 모방 대상을 선택하는 선택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주거지 에너지 관리 장치.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방 대상 선정부는
    에너지 소셜 네트워크 서버로부터 모방 대상군의 정보를 획득하는 서버 정보 획득부와,
    상기 모방 대상군의 정보 중에서 상기 사용자 거주지와 유사한 환경 정보를 가지는 거주지들을 추출하는 모방 대상군 추출부와,
    상기 추출된 거주지들의 에너지 정보의 대표값을 모방 대상으로 선택하는 선택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주거지 에너지 관리 장치.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방 대상 선정부는
    에너지 소셜 네트워크 서버로부터 모방 대상군의 정보를 획득하는 서버 정보 획득부와,
    상기 모방 대상군의 정보 중에서 상기 사용자 거주지와 유사한 환경 정보를 가지는 거주지들을 추출하는 모방 대상군 추출부와,
    상기 추출된 거주지들 중에서 상위 랭크된 하나 이상의 거주지들을 모방 대상으로 선택하는 선택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주거지 에너지 관리 장치.
  16. 삭제
  17. 제 11항에 있어서,
    모방 대상의 환경 정보 및 에너지 정보와 사용자의 환경 정보 및 에너지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와,
    모니터링 결과 업데이트될 모방 패턴이 발견되는지를 판단하는 변경 판단부와,
    변경될 모방 패턴이 발견됨에 따라, 상기 에너지 정보 모방 적용 방식을 재설정하는 적용 설정 업데이트부를 포함하는 업데이트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주거지 에너지 관리 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모방 대상이 되는 거주지의 에너지 관리 단말로부터 직접 환경 정보 및 에너지 정보를 획득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주거지 에너지 관리 장치.
  19. 에너지 소셜 네트워크를 통해 하나 이상의 에너지 관리 단말로부터 환경 정보 및 에너지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와,
    하나 이상의 에너지 관리 단말로부터의 모방 요청에 따라, 공동 주거지 에너지 관리 단말로부터 보고된 환경 정보와 유사한 환경 정보를 가지는 상기 공동 주거지의 거주지들에 대한 에너지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와,
    상기 제공된 에너지 정보를 보고한 에너지 관리 단말의 사용자에게 보상 포인트를 제공하는 보상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동 주거지의 거주지들은 상기 전달받는 에너지 정보에 기초하여
    모방 대상의 환경 정보 및 에너지 정보와 상기 공동 주거지의 거주지들의 사용자의 환경 정보 및 에너지 정보를 비교하여 하나 이상의 모방 패턴을 추출한 후 상기 추출된 하나 이상의 모방 패턴 각각에 대한 자동, 반자동 및 수동 중 적어도 하나의 모방 적용 방식을 선택하여 에너지 정보 모방 적용 방식을 설정하는 모방 적용 설정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소셜 네트워크 서버.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정보 제공 빈도수에 따라, 에너지 정보들의 순위를 산출하는 정보 관리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소셜 네트워크 서버.
KR1020150018924A 2015-02-06 2015-02-06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공동 주거지 에너지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3154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8924A KR102315429B1 (ko) 2015-02-06 2015-02-06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공동 주거지 에너지 관리 장치 및 방법
US15/014,472 US10503190B2 (en) 2015-02-06 2016-02-03 Residential-area-energy-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using social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8924A KR102315429B1 (ko) 2015-02-06 2015-02-06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공동 주거지 에너지 관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7071A KR20160097071A (ko) 2016-08-17
KR102315429B1 true KR102315429B1 (ko) 2021-10-21

Family

ID=56565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8924A KR102315429B1 (ko) 2015-02-06 2015-02-06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공동 주거지 에너지 관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503190B2 (ko)
KR (1) KR1023154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3402B1 (ko) 2017-05-08 2019-04-29 주식회사 아시아정보통신 Hems용 ai모듈을 통한 지능형 홈 에너지 관리 장치
KR101960487B1 (ko) * 2017-09-20 2019-07-17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구성원 일정정보를 활용한 에너지 수요예측 개선방법
US11824359B2 (en) 2020-01-28 2023-11-2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Electricity management apparatus for trading dump power for housing, and housing complex association method
CN114926306B (zh) * 2022-07-22 2022-10-04 深圳慢云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公寓住宅情景模式人工智能交互方法及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6922A (ja) * 2002-04-19 2003-11-07 Toshiba Corp エネルギー情報分析方法、エネルギー情報分析装置、エネルギー情報分析システム
JP2006113702A (ja) * 2004-10-13 2006-04-27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アイデアの公募方法
JP2012018521A (ja) * 2010-07-07 2012-01-26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ネルギー管理システム
JP2014082810A (ja) * 2012-10-12 2014-05-08 Panasonic Corp エネルギー管理装置、管理装置、遠隔管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76095B2 (en) * 2007-06-11 2012-05-08 Lucid Design Group, Llc Collecting, sharing, comparing, and displaying resource usage data
KR100963188B1 (ko) 2008-05-16 2010-06-14 삼성물산 주식회사 댁내 분류별 전력 계측 시스템
US20090307034A1 (en) * 2008-06-06 2009-12-10 Enthenergy, Llc Energy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US8977404B2 (en) 2008-09-08 2015-03-10 Tendril Networks, Inc. Collaborative energy benchmarking systems and methods
CN102576451A (zh) 2009-05-08 2012-07-11 埃森哲环球服务有限公司 建筑能源消耗分析系统
US20120265586A1 (en) * 2010-09-16 2012-10-18 Rutgers, The State University Of New Jersey System and method to measure and control power consumption in a residential or commercial building via a wall socket to ensure optimum energy usage therein
KR101365168B1 (ko) 2012-01-19 2014-02-21 (주)지산웨어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 가입자 공간 전원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227124B1 (ko) 2012-01-27 2013-01-31 대동산전주식회사 건물의 특정공간별 실시간 전력 및 전기요금 관리시스템
AU2012268776A1 (en) * 2012-12-20 2014-07-10 Embertec Pty Ltd Electrical device installation improvement
JP6220401B2 (ja) * 2013-09-27 2017-10-25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情報提供方法、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情報端末機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6922A (ja) * 2002-04-19 2003-11-07 Toshiba Corp エネルギー情報分析方法、エネルギー情報分析装置、エネルギー情報分析システム
JP2006113702A (ja) * 2004-10-13 2006-04-27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アイデアの公募方法
JP2012018521A (ja) * 2010-07-07 2012-01-26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ネルギー管理システム
JP2014082810A (ja) * 2012-10-12 2014-05-08 Panasonic Corp エネルギー管理装置、管理装置、遠隔管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7071A (ko) 2016-08-17
US10503190B2 (en) 2019-12-10
US20160231764A1 (en) 2016-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38745B2 (ja) 需要応答イベント中におけるhvacシステムの制御
JP6697612B2 (ja) 需要応答プログラムおよび事象を管理するためのシステム、装置、および方法
Guerra-Santin et al. Mixed methods approach to determine occupants’ behaviour–Analysis of two case studies
CN108536188B (zh) 用于资源节约的hvac排程的自动化调整
US20130090770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energy apparatus using energy modeling technique
US11262093B2 (en) Method of intelligent demand response
JP2006331372A (ja) エージェント装置、管理マネージャ装置および環境エネルギー管理システム
King Energy impacts of smart home technologies
KR102315429B1 (ko)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공동 주거지 에너지 관리 장치 및 방법
Firth et al. Decision support systems for domestic retrofit provision using smart home data streams
Iwayemi et al. Energy management for intelligent buildings
Cosar-Jorda A socio-technical evaluation of the impact of energy demand reduction measures in family homes
Abad Integration and interoperability of building envelope information and energy modeling
Hendron et al. Modeling Savings for ENERGY STAR Smart Home Energy Management Systems
Dyson Energy reduction in domestic homes using smart control systems
Penkala Occupant behaviour vs energy consumption in a residential building
Jiménez-Redondo et al. D4. 1 Evaluation Methodology and preliminary pilots descriptions WP4 Demonstration and Evaluation of Behavioural Change through eTEACHER solutions T4. 1 Evaluation Methodology
Taksdal et al. Energy Flexibility Characterization of Norwegian Residential Buildings Heated by Direct Electricity
Kamel Hedayat Abad INTEGRATION AND INTEROPERABILITY OF BUILDING ENVELOPE INFORMATION AND ENERGY MODELING
Hassan DECISION SUPPORT SYSTEMS FOR DOMESTIC RETROFIT PROVISION USING SMART HOME DATA STREA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