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5328B1 - 온라인 상의 대화를 블록체인에 저장하여 당사자간의 분쟁을 해결하기 위한 법률 계약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온라인 상의 대화를 블록체인에 저장하여 당사자간의 분쟁을 해결하기 위한 법률 계약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5328B1
KR102315328B1 KR1020210023854A KR20210023854A KR102315328B1 KR 102315328 B1 KR102315328 B1 KR 102315328B1 KR 1020210023854 A KR1020210023854 A KR 1020210023854A KR 20210023854 A KR20210023854 A KR 20210023854A KR 102315328 B1 KR102315328 B1 KR 1023153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conversation
blockchain
contract
on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3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중
박승호
전종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시티랩스
조영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시티랩스, 조영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시티랩스
Priority to KR1020210023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53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5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53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 G06Q50/182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05Parsing
    • G06F40/211Syntactic parsing, e.g. based on context-free grammar [CFG] or unification gramma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68Morphological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30Semantic analysis
    • G06F40/35Discourse or dialogue repres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06Q50/3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61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biometrical features, e.g. fingerprint, retina-sca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7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distributed storage of data in networks, e.g. transport arrangements for network file system [NFS], storage area networks [SAN] or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Biophys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echnology Law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 상에서 사용자들이 SNS, 채팅 프로그램 등을 이용하여 거래를 할 때 사용자의 대화 내용을 자연어 처리(Natural Language Processing)하여 핵심 포인트를 자동으로 추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블록체인의 리카르디안 계약(Ricardian Contract)을 생성한 후 블록체인 원장에 저장하는 온라인 상의 대화를 블록체인에 저장하여 당사자간의 분쟁을 해결하기 위한 법률 계약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온라인 상에서 거래 후 당사자간 분쟁 발생시 당사자의 책임을 추적하는데 사용할 수가 있고, 법적 증거자료로도 활용이 가능하여 분쟁해결에 도움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온라인에서 이루어지는 거래의 신뢰성을 강화하는데 큰 도움을 줄 수가 있다.

Description

온라인 상의 대화를 블록체인에 저장하여 당사자간의 분쟁을 해결하기 위한 법률 계약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EGAL CONTRACT SERVICES TO RESOLVE DISPUTES BETWEEN PARTIES BY STORING ONLINE CONVERSATIONS IN A BLOCKCHAIN}
본 발명은 거래를 원하는 사용자들의 온라인에서의 대화 또는 채팅 내용을 블록체인 원장에 안전하게 저장하여 사용자간의 거래 내용을 법적으로 구속하고 분쟁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 상의 대화를 블록체인에 저장하여 당사자간의 분쟁을 해결하기 위한 법률 계약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거래에 있어서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불확실성에 대비하기 위하여 당사자는 계약을 체결함으로써 예견가능성과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새로운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이에 맞추어 새로운 형태의 계약이 나타나고 있다. 법적 문언을 프로그램으로 변환한 코드를 실행하여 합의된 계약조건에 따라 거래의 이행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는 블록체인 기술에 기초한 스마트 계약(Smart Contract)이 관심을 끌고 있다. 계약의 조건과 이행에 관한 사실은 분산된 블록체인에 프로그램된다. 블록체인의 네트워크의 다수의 참여자에 의하여 상호 이행이 확보되므로 당사자는 상대방에 대한 신뢰가 없어도 블록체인을 신뢰하여 계약체결에 나아갈 수 있다.
현재 블록체인에서 사용되고 있는 스마트 계약은 서면으로 이루어지던 계약을 코드로 구현하고 특정 조건이 충족되었을 때 해당 계약이 이행되도록 하는 스크립트(script)에 가깝다.
스마트 계약을 활용하면 두 당사자가 서로를 모르거나 신뢰하지 않더라도 계약을 체결할 수 있다. 왜냐하면 특정 조건이 충족되지 않으면 해당 계약은 실행되지 않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중개인 없이도 계약을 이행할 수 있다는 것이 스마트 계약의 특징이다.
그러나 스마트 계약을 체결하고 이행함에 있어 모든 가능성을 미리 예상하여 분쟁을 회피하려는 노력에도 불구하고 당사자 간에 분쟁이 발생할 가능성은 항상 존재한다. 따라서 스마트 계약을 활용함에 있어서도 분쟁해결 메커니즘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리카르디안 계약(Ricardian Contract)은 암호화 서명 및 확인된 둘 이상의 피어 간의 상호 작용 조건을 정의하는 디지털 계약이다. 중요한 것은 사람과 기계가 모두 읽을 수 있고 디지털 서명 된 것이다. 리카르디안 계약은 계약이 실행되기 전에도 계약과 관련된 "의도" 및 모든 "행동"을 기록하는 계약 모델이다. 리카르디안 계약은 또한 발생하는 디지털 거래가 법적 문서에 언급된 조건을 기반으로 하고 거래가 외부 법적 문서의 해시를 참조하여 거래를 합법적으로 구속하는 코드를 쉽게 참조할 수 있다.
리카르디안 계약은 시장이나 거래 사이트에서 서로 상품을 판매할 때 당사자의 책임을 추적하는 수단이다. 기본적으로 계약은 상품 또는 서비스의 단일 단위를 나타낸다. 리카르디안 계약은 디지털 서명 및 체크섬 해시 계약 체인을 사용하여 P2P 네트워크의 교환에 대한 변경 불가능한 계약 기록을 생성한다.
최근에는 오프라인보다 온라인에서 더 많은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거래에 따른 법적 분쟁도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따라서 온라인 상에서 개인 및 기업 고객들이 SNS나 채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거래를 할 때 리카르디안 계약을 이용하여 사용자 간의 거래를 법적으로 구속함으로써 분쟁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미국공개특허 US20200034469A1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9569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온라인 상에서 사용자들이 SNS, 채팅 프로그램 등을 이용하여 거래를 할 때 사용자의 대화 내용을 자연어 처리(Natural Language Processing)하여 핵심 포인트를 자동으로 추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블록체인의 리카르디안 계약(Ricardian Contract)을 생성한 후 사용자의 블록체인 원장에 저장함으로써, 사용자간 거래의 적법성을 확인하고 분쟁 발생시에 법정에서 증거자료로 사용할 수 있어 분쟁 해결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온라인 상의 대화를 블록체인에 저장하여 당사자간의 분쟁을 해결하기 위한 법률 계약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상의 대화를 블록체인에 저장하여 당사자간의 분쟁을 해결하기 위한 법률 계약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온라인상의 사용자의 대화 내용을 입력 받아 구문 분석하고 핵심 포인트를 추출하여 블록체인의 리카르디안 계약(Ricardian Contract)을 생성하는 자연어처리 서버; 상기 자연어처리 서버에서 생성된 리카르디안 계약을 블록체인 원장에 저장하는 블록체인 서버; 및 상기 블록체인 서버에 각 사용자의 블록체인 계정을 생성하며, 사용자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블록체인 주소를 생성하고, 생성된 블록체인 주소를 통해 각 사용자의 블록체인 계정을 액세스하고 상기 자연어처리 서버가 생성한 리카르디안 계약을 각 사용자의 블록체인 원장에 저장하는 미들웨어;를 포함한다.
상기 자연어처리 서버는, 자연어 처리 엔진을 이용하여 온라인상의 사용자의 대화 내용에 대한 형태소 분석을 수행하여 문장 단위로 나누고, 불필요한 단어를 제거하여 의미있는 단어들만 추출하고, 추출된 의미있는 단어들에 대해 구문 분석을 수행하는 전처리부; 상기 전처리부가 분석한 내용에서 핵심 포인트를 추출하여 사용자의 대화 내용을 요약하는 요약정리부; 및 상기 요약정리부가 요약한 내용에 대해 리카르디안 계약을 생성하는 계약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요약정리부는 전처리부가 분석한 내용에 대해 요약을 위해 선택되는 원본 대비 요약 텍스트 문장 수의 비율을 결정하여 사용자의 대화 내용을 요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자연어처리 서버는, 전처리부가 분석한 내용에서 각 사용자가 주고 받은 질문과 그에 대응하는 답변 내용에 포함된 단어의 상관관계를 딥러닝(Deep Learning) 기반의 검색엔진으로 분석하여 각 사용자가 주고 받은 질문 문장과 그에 해당하는 답변 문장을 연관지어 태깅(tagging)하는 문장 연관 태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요약정리부는 사용자의 대화 내용을 요약할 때 문장 연관 태깅부가 연관지어 태깅한 질문 문장과 답변 문장을 중심으로 요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딥러닝(Deep Learning) 기반의 검색엔진은 각 사용자가 주고 받은 질문과 그에 대응하는 답변 내용에 포함된 단어의 상관관계를 분석할 때 해당 단어가 거래의 관련된 정도에 따라 문장 태깅의 가중치를 다르게 부여하고, 상기 요약정리부는 원본 대비 요약 텍스트 문장 수의 비율을 결정하여 사용자의 대화 내용을 요약할 때 문장 태깅 가중치 점수가 큰 대화 내용 중심으로 사용자의 대화 내용을 요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가 제공한 정보가 유효한지 확인하기 위해 오라클(Oracle)을 이용하며, 오라클에 의해 유효한 정보로 확인되면 탈중앙화 분산형 ID(Decentralized Identity)를 발급하고 로그인시 이를 확인하며, 사용자로부터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요청이 수신되면 인증 후 해당 API에 대한 요청을 상기 미들웨어로 전달하는 분산형 신원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제공한 정보에는 생체 인식 정보가 포함되며 사용자에게 발급한 분산형 ID(DID)는 생체 인식 정보가 매핑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상의 대화를 블록체인에 저장하여 당사자간의 분쟁을 해결하기 위한 법률 계약 서비스 제공 방법은 블록체인 서버에 각 사용자의 블록체인 계정을 생성하며, 사용자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블록체인 주소를 생성하는 단계; 자연어처리(Natural Language Processing) 서버에서 온라인상의 사용자의 대화 내용을 입력 받아 구문 분석하고 핵심 포인트를 추출하여 블록체인의 리카르디안 계약(Ricardian Contract)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리카르디안 계약을 각 사용자의 블록체인 원장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카르디안 계약을 생성하는 단계는, 자연어 처리(NLP) 엔진을 이용하여 온라인상의 사용자의 대화 내용에 대한 형태소 분석을 수행하여 문장 단위로 나누고, 불필요한 단어를 제거하여 의미있는 단어들만 추출하고, 추출된 의미있는 단어들에 대해 구문 분석을 수행하여 전처리하는 단계; 전처리 된 내용에서 핵심 포인트를 추출하여 사용자의 대화 내용을 요약하는 단계; 및 요약한 내용에 대해 리카르디안 계약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전처리 단계에서 분석한 내용에서 각 사용자가 주고 받은 질문과 그에 대응하는 답변 내용에 포함된 단어의 상관관계를 딥러닝(Deep Learning) 기반의 검색엔진으로 분석하여 각 사용자가 주고 받은 질문 문장과 그에 해당하는 답변 문장을 연관지어 태깅(tagging)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사용자의 대화 내용을 요약하는 단계는 태깅 단계에서 연관지어 태깅한 질문 문장과 답변 문장을 중심으로 요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딥러닝(Deep Learning) 기반의 검색엔진은 각 사용자가 주고 받은 질문과 그에 대응하는 답변 내용에 포함된 단어의 상관관계를 분석할 때 해당 단어가 거래의 관련된 정도에 따라 문장 태깅의 가중치를 다르게 부여하고, 사용자의 대화 내용을 요약하는 단계는 원본 대비 요약 텍스트 문장 수의 비율을 결정하여 사용자의 대화 내용을 요약할 때 문장 태깅 가중치 점수가 큰 대화 내용 중심으로 사용자의 대화 내용을 요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블록체인 주소를 생성하는 단계 이전에, 사용자가 제공한 정보가 유효한지 오라클(Oracle)을 이용하여 확인하는 단계; 및 오라클에 의해 유효한 정보로 확인되면 사용자에게 탈중앙화 분산형 ID(Decentralized Identity)를 발급하고 로그인시 이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가 제공한 정보에는 생체 인식 정보가 포함되며 사용자에게 발급한 분산형 ID(DID)는 생체 인식 정보가 매핑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온라인에서 사용자들이 SNS 또는 채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품을 거래할 때 자연어처리(Natural Language Processing) 서버를 이용하여 사용자 대화 내용을 분석하고 핵심 포인트를 추출하여 리카르디안 계약(Ricardian Contract)을 생성하고 블록체인 원장에 저장함으로써, 추후 당사자간 분쟁 발생시 당사자의 책임을 추적하는데 사용할 수가 있고, 법적 증거자료로도 활용이 가능하여 분쟁해결에 도움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온라인에서 이루어지는 거래의 신뢰성을 제공하는데 큰 도움을 줄 수가 있다.
그리고 계약 내용은 블록체인 원장에 저장되므로 투명성, 탈 중앙화, 보안성 및 사용자 간의 신뢰성을 제공한다.
또한 분산된 환경에서 사용자의 진정성을 얻기 위해 사용자가 제공하는 자격 증명에는 얼굴인식, 홍채, 지문 등과 같은 생체 인식 정보를 포함시킴으로써, 합법적인 사용자임을 확인할 수 있는 강력한 인증 시스템을 제공한다.
나아가 API 서비스를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원 클릭 통합 플러그형 서비스를 제공하므로 본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블록체인 엔진을 자신들의 채팅 프로그램 내에 플러그인 형태로 연동할 수 있어 복잡한 작업 없이 손쉽게 사용할 수가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상의 대화를 블록체인에 저장하여 당사자간의 분쟁을 해결하기 위한 법률 계약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사용자에게 분산형 ID를 제공하고 본 발명에 따른 응용프로그램을 인증 및 액세스할 수 있는 분산형 신원 관리부의 구성도
도 3은 사용자 ID와 비밀번호 관리 및 블록체인 주소 연결을 제공하는 미들웨어의 구성도
도 4는 특정 정보의 검증자 역할을 하는 오라클의 구성도
도 5는 자연어처리(NLP) 서버의 기본 구성도(a)와 추가 기능이 포함된 구성도(b)
도 6은 쿼럼(Quorum) 블록체인 서버의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전체 프로세스를 API 접근 방식으로 나타낸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전체 프로세스를 독립형 접근 방식으로 나타낸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상의 대화를 블록체인에 저장하여 당사자간의 분쟁을 해결하기 위한 법률 계약 서비스 제공 방법의 순서도
도 10은 도 9의 리카르디안 계약의 각 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상의 대화를 블록체인에 저장하여 당사자간의 분쟁을 해결하기 위한 법률 계약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미들웨어(101), 자연어처리(NLP) 서버(105) 및 블록체인 서버(106)를 포함하며, 분산형 신원 관리부(100)와 오라클(10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User Device1(103A)와 User Device2(103A)는 본 발명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를 나타낸다.
자연어처리 서버(105)는 온라인상의 사용자의 대화 내용을 입력 받아 구문 분석하고 핵심 포인트를 추출하여 블록체인의 리카르디안 계약(Ricardian Contract)을 생성한다.
자연어처리(NATURAL LANGUAGE PROCESSING)는 자연어를 사용하여 컴퓨터와 인간 간의 상호 작용을 다루는 인공지능의 한 분야이다. NLP의 궁극적인 목적은 가치있는 방식으로 인간 언어를 읽고, 해독하고, 이해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자연어처리 서버(105)의 특징에 대해서는 도면 5에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리카르디안 계약(Ricardian Contract)이란 둘 이상의 당사자들이 서로 행동하기 위한 조건과 내용을 정의한 디지털 문서이고, 사람이 읽을 수 있는 형태로 쓰이며, 그 다음에 암호로 서명하고 승인한 것을 말한다. 인간과 프로그램 모두가 쉽게 읽을 수 있어야 하고, 여러 가지 발생할 수 있는 상황에 대해서 당사자들이 명확하게 받아들일 수 있어야 한다. 금융 암호화 분야의 선구자 중 한 명인 Ian Grigg가 1995년 리카르도(Ricardo) 지불 시스템의 일부분으로 만든 것이다.
본 발명은 리카르디안 계약을 이용하는데, 리카르디안 계약은 스마트 계약(Smart Contract)과 다르다. 스마트 계약은 어떤 이벤트를 받고 그에 따라 작업을 시작하도록 해주는 명령어들이며, 그 명령어들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다. 리카르디안 계약은 그것을 위한 의도와 구체적인 행동들을 요약한 문서이다. 리카르디안 계약은 해당 계약을 기록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고, 스마트 계약은 그 계약을 실행한다.
블록체인 서버(106)는 자연어처리 서버(105)에서 생성된 리카르디안 계약을 블록체인 원장에 저장한다. 블록체인 서버(106)에 대해서는 도면 6에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미들웨어(101)는 블록체인 서버(106)에 각 사용자의 블록체인 계정을 생성하며, 사용자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블록체인 주소를 생성하고, 생성된 블록체인 주소를 통해 블록체인 서버(106)에 있는 각 사용자의 블록체인 계정을 액세스하고 자연어처리 서버(105)가 생성한 리카르디안 계약을 블록체인 서버(106)에 있는 각 사용자의 블록체인 원장에 저장한다. 미들웨어(101)의 그 밖의 기능에 대해서는 도면 3에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을 참고하면, 사용자(103A)는 생체인식 상세정보를 포함한 모든 필수 정보를 분산형 신원 관리부(100)에 제공한다. 분산형 신원 관리부(100)는 오라클 시스템(104)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정부 사이트 등과 같이 외부로부터 안전하게 ID를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오라클 시스템(104)에 의해 확인되면 사용자에게 DID(Decentralized Identity)가 발급된다. 그것을 입력으로 사용하여, 사용자는 본 발명의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한 API 키를 요청할 수 있다. 인증에 성공하면 사용자는 미들웨어(101)에 액세스할 수 있다. 키 쌍(Private Key, Public Key)은 사용자의 분산 ID를 사용하여 생성된 다음 마스터 암호를 사용하여 암호화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그런 다음 미들웨어(101)는 사용자의 데이터를 통해 블록체인 주소를 생성합니다. 블록체인 서버(106)는 해당 블록체인 주소를 통해 접근할 수 있고 생성된 계약서를 원장에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들은 채팅 프로그램을 통해서 온라인으로 거래를 하며, 사용자의 채팅 내용은 NLP 서버(105)에 의해 구문 분석되고 핵심 포인트는 추출되어 리카르디안 계약을 생성한다.
도 5를 참고하여, 자연어처리(NLP) 서버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자연어처리(NLP) 서버의 기본 구성도(a)와 추가 기능이 포함된 구성도(b)를 나타낸다. 추가 기능이 포함된 구성도(b)에는 요약정리부(508)와 문장연관태깅부(507)가 더 포함된다.
자연어처리 서버(105)는 전처리부(506), 요약정리부(508), 계약생성부(504) 및 문장연관태깅부(507)를 포함한다.
전처리부(506)는 자연어 처리 엔진을 이용하여 온라인상에서 사용자의 대화 내용(예를 들면, 채팅 내용 등)에 대한 형태소 분석(502)을 수행하여 문장 단위로 나누고, 불필요한 단어를 제거하여 의미있는 단어들만 추출하고, 추출된 의미있는 단어들에 대해 구문 분석(503)을 수행한다.
요약정리부(508)는 전처리부(506)가 분석한 내용에서 핵심 포인트를 추출하여 사용자의 대화 내용을 요약한다. 사용자의 채팅 내용에는 중복되는 내용이나 거래의 중요한 사항과 관련이 없는 내용도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모든 내용을 블록체인의 원장에 저장시 서버의 용량이 부족해 질 수 있는 문제가 있으며, 나중에 분쟁 발생시 당사자들이 거래 관련 내용을 용이하게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계약생성부(504)는 요약정리부(508)가 요약한 내용에 대해 리카르디안 계약을 생성한다.
요약정리부(508)는 전처리부(506)가 분석한 내용에 대해 요약을 위해 선택되는 원본 대비 요약 텍스트 문장 수의 비율을 결정하여 사용자의 대화 내용을 요약한다. 요약정리부(508)는 텍스트를 요약하는 함수를 이용하며, 0~1 사이의 수로써 요약을 위해 선택되는 원본 텍스트 문장의 수의 비율을 결정한다.
문장연관태깅부(507)는 전처리부(506)가 분석한 내용에서 각 사용자가 주고 받은 질문과 그에 대응하는 답변 내용에 포함된 단어의 상관관계를 딥러닝(Deep Learning) 기반의 검색엔진을 이용하여 분석하여 각 사용자가 주고 받은 질문 문장과 그에 해당하는 답변 문장을 연관지어 태깅(tagging)한다.
딥러닝(Deep Learning) 기반의 검색엔진을 이용하여 분석하면 시간에 관계된 질문, 장소에 관계된 질문, 가격에 관계된 질문, 상품의 품질에 관계된 질문, 배송에 관계된 질문, 상품의 내용에 관계된 질문 등 다양한 질문의 특징을 나타내는 단어와 각 질문에 해당하는 답변의 특징을 나타내는 단어를 연관지을 수가 있다. 사용자들이 주고 받은 채팅 내용에는 다양한 특징의 질문과 그에 대한 답변들이 포함되며, 그러한 질문 및 답변 내용들은 거래와 관련도가 높은 내용도 있고, 거래와 관련도가 떨어지는 내용도 포함되어 있다.
이 때 요약정리부(508)는 사용자의 대화 내용을 요약할 때 문장 연관 태깅부(507)가 연관지어 태깅한 질문 문장과 답변 문장을 중심으로 요약한다. 다시 말해서,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와 상품을 구매하는 구매자 사이의 대화 내용에는 질문과 그에 대응하는 답변 내용이 태깅(tagging)되어 있고, 상품 판매와 관련 없는 내용 즉, 태깅되지 않은 내용도 포함되어 있는데, 태깅된 질문 문장과 답변 문장을 중심으로 요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딥러닝(Deep Learning) 기반의 검색엔진은 각 사용자가 주고 받은 질문과 그에 대응하는 답변 내용에 포함된 단어의 상관관계를 분석할 때 해당 단어가 거래의 관련된 정도에 따라 문장 태깅의 가중치를 다르게 부여한다.
상품의 판매자와 상품의 구매자가 채팅에서 나눈 대화 내용에는 해당 상품의 품질, 수량, 배송, 원산지, 기능 등 상품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내용 외에도 상품에 직접적이지는 않지만 상품의 판매자와 구매자가 나눈 대화 내용도 포함되어 있다. 딥러닝(Deep Learning) 기반의 검색엔진은 질문과 답변 내용을 분석할 때 상품 거래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내용(가중치 3), 상품 거래에 직접적이지는 않지만 참고할 만한 내용(가중치 2) 그리고 상품 거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내용(가중치 1) 등으로 나누어 문장 태깅의 가중치를 다르게 부여할 수 있다. 이것은 예로 든 것일 뿐 더 다양한 기준에 의해 문장 태깅의 가중치를 다르게 부여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 상품 거래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내용인지, 상품 거래에 직접적이지는 않지만 참고할 만한 내용인지, 그리고 상품 거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내용인지 여부는 판매 상품의 카테고리에 따라 서로 다르며, 부여되는 문장 태깅의 가중치도 서로 다를 것이다.
예를 들어, 상품의 판매자와 구매자가 '자동차'를 거래할 때 상품 거래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내용은 가중치 3, 상품 거래에 직접적이지는 않지만 참고할 만한 내용은 가중치 2.5를 부여할 수 있다. 그러나 상품의 판매자와 구매자가 '컨설팅 서비스'를 계약할 때 상품 거래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내용은 가중치 4, 상품 거래에 직접적이지는 않지만 참고할 만한 내용은 가중치 2를 부여할 수 있다.
딥러닝(Deep Learning) 기반의 검색엔진은 질문과 답변 내용을 분석하여 상품 카테고리의 특징과 주고 받은 대화 내용의 양, 단어의 빈도 등을 분석하여 어떤 특성의 대화 내용에서 상품의 판매자와 구매자가 서로 대화를 주고 받았는지를 파악하고 가중치를 부여하기 때문에 상품 카테고리의 특성에 따라 서로 달라질 수가 있는 것이다.
여기서 판매 상품의 카테고리는 자동차, 컴퓨터, 주택과 같은 유형의 상품과 특허, 기술평가, 컨설팅 서비스, 법률 서비스와 같은 무형의 상품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요약정리부(508)는 원본 대비 요약 텍스트 문장 수의 비율을 결정하여 사용자의 대화 내용을 요약할 때 문장 태깅 가중치 점수가 큰 대화 내용 중심으로 사용자의 대화 내용을 요약한다.
예를 들어, 원본 대비 요약 텍스트 문장 수의 비율을 0.4로 설정하면 위에서 설명한 태깅한 질문과 답변 내용을 모두 포함하지 못할 수도 있는데, 이 때 문장 태깅 가중치 점수가 큰 질문과 그에 대응하는 답변을 중심으로 사용자의 대화 내용을 요약한다. 물론, 원본 대비 요약 텍스트 문장 수의 비율을 0.4로 설정하더라도 상품 거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내용을 제외하고 상품 거래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내용과 상품 거래에 직접적이지는 않지만 참고할 만한 내용은 모두 포함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원본 대비 요약 텍스트 문장 수의 비율은 사용자에 의해 변경 설정이 가능하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분산형 신원 관리부(100)는 사용자가 제공한 정보가 유효한지 확인하기 위해 오라클(104)을 이용하며, 오라클(104)에 의해 유효한 정보로 확인되면 탈중앙화 분산형 ID(Decentralized Identity)를 발급하고 로그인시 이를 확인하며, 사용자로부터 본 발명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요청이 수신되면 인증 후 해당 API에 대한 요청을 미들웨어(101)로 전달한다.
사용자가 제공한 정보에는 얼굴 인식, 홍채 인식, 지문 인식 등과 같은 생체 인식 정보가 포함되며 사용자에게 발급한 분산형 ID(DID)는 생체 인식 정보가 매핑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반의 '탈중앙화 신원증명(DID, Decentralized Identity)'을 사용하는 점이 특징이다. DID란 개인 정보를 사용자의 단말기에 저장해, 개인 정보 인증 시 필요한 정보만 골라서 제출하도록 해주는 전자신원증명 기술이다. 개인들이 자신의 데이터를 직접 관리하는 구조로, 중앙화 된 기관을 거치지 않으면서도 검증이 가능하여 인증이 요구되는 상황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오라클(104)은 외부 세계의 데이터를 블록체인 네트워크 내로 들여오는 기술이다. 즉, 현실 세계의 데이터를 찾아서 진위 여부를 확인하고 이 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제출하는 역할을 한다. 오라클(104)의 구조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 4를 참고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사용자(103A)는 분산형 신원 관리부(100)와 통신한다. 분산형 신원 관리부(100)의 구성 요소는 사용자에게 시스템에서 분산 ID를 얻기 위해 필요한 입력을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분산형 신원 관리부(100)의 역할은 DID(202)를 발급하고 로그인 시 이를 확인한다. 사용자로부터 수신되는 API 요청(201)을 처리하는 구성 요소를 갖추고 있다. 수신 요청이 유효한 것으로 인증되면(204) 요청을 미들웨어(101)로 라우팅한다. 생성 블록은 클라이언트용 API 키(203)을 생성하여 다시 전송한다. API에 액세스하기 위해 사용자는 API 키를 제공하고 확인되면(205) 본 발명의 시스템에 액세스(206)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사용자 인증이 성공한 후 미들웨어(101)와 통신을 수행할 때의 구체적인 동작을 나타낸다.
분산형 신원 관리부(100)에서 라우팅된 수신 API 요청이 미들웨어(101)에 의해 수신된다. 이 구성 요소는 사용자 세부 정보를 사용하여 키 쌍(301)을 생성한다. 사용자 ID와 해시된 비밀번호(306)를 결합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암호화된 형식(307)으로 저장한다. 키 쌍과 고유 ID를 포함하는 JWE 토큰(302)이 생성되고 이후 통신을 위해 사용자에게 다시 전송된다. 이렇게 하면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계속 입력할 필요가 없다. 이 토큰의 유효 기간은 24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각 사용자에 대해 쿼럼 계정(304)이 생성된다. 블록체인 암호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의 개인 키를 사용하여 암호화된다(305). 암호화된 블록체인 비밀번호(308)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사용자로부터 얻은 JWE 토큰은 암호화되어 있기 때문에 먼저 해독되고(309), 이를 통해 암호화된 블록체인 암호가 해독된(310) 후 원장에 액세스 된다. 그런 다음 미들웨어(101)는 사용자의 데이터를 통해 블록체인 주소를 생성한다.
도 4를 참고하면, 오라클(104)의 구체적인 동작을 나타낸다.
사용자(103)가 신분 발급을 신청하면 분산형 신원 관리부(100)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그 정보는 진품인지 아닌지 오라클(104)에 의해 확인된다. 분산형 신원 관리부(100)는 오라클(104)에 요청을 전송하여 필요한 정보가 올바른지 확인한다. 리더 오라클 노드의 분산 ID 관리 인터페이스(401)가 이벤트 로그를 감지하면 요청이 엔클로저/코어(405)로 전달됩니다. 요청을 포함한 메시지 서명이 엔클로저 내부에서 계산되면 서명이 포함된 메시지는 오라클 인터페이스(402)를 사용하여 다른 오라클 노드로 브로드캐스트 된다. 그런 다음 다른 오라클 노드는 엔클로저 내부에서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한다. TLS 통신은 데이터 소스 인터페이스(403)을 통해 외부 데이터 소스(404)에서 데이터를 가져오는데 사용된다. 외부 소스의 데이터 전송 프로세스는 각 오라클 노드가 엔클로저 내에서 수신된 데이터의 서명을 생성하고 서명이 포함된 데이터를 리더 오라클 노드로 전송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리더 오라클 노드는 데이터 수신을 완료하면 원격 증명을 통해 수신된 데이터의 서명을 검증한다. 수신된 데이터의 평균과 시그니처(Signature)를 사용하여 분산형 신원 관리부(100)로 전송한다.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쿼럼(Quorum) 블록체인 서버(106)의 구조를 나타낸다. Quorum은 Private 블록체인이다. 즉, 사용자가 임의로 자신의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필요한 상대방(예를 들어, 거래처)과 구성할 수 있도록 도와 주는 플랫폼이며, Quorum은 Ethereum에 기반하고 있다.
쿼럼 블록체인(106)은 해당 블록체인 주소를 통해 접근할 수 있으며 자연어처리 서버(105)에서 생성된 계약서를 블록체인 원장에 저장한다. 스마트 컨트랙트 기능을 호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상위 수준에서 쿼럼 클라이언트는 쿼럼 노드(601)과 구성으로 구성됩니다. 쿼럼 노드는 Ethereum Geth 클라이언트와 Constellation을 기반으로 트랜잭션 관리자(602)와 엔클레이브 하위 구성 요소(603)의 도움을 받아 제출된 정보를 안전하게 저장한다.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전체 프로세스를 API 접근 방식으로 나타낸다.
클라이언트는 본 발명의 응용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API를 사용한다. 이러한 API를 사용함으로써 기존 사용자들은 자신들의 채팅 어플리케이션 내에 플러그인 형태로 연동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7을 구성하는 분산형 신원 관리부(100), 미들웨어(101), 오라클 시스템(104), 자연어처리 서버(105), 쿼럼 블록체인 서버(106) 사이의 흐름이 그림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으며, 각 구성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6에서 자세하게 설명하였다.
도 8을 참고하면, 도 7의 API 접근 방식과 다르게 본 발명의 전체 프로세스를 독립형 어플리케이션으로 설계한 경우를 나타낸다.
분산형 신원 관리부(100)와 오라클 시스템(104)이 없는 점에서 도 7과 차이가 있다. 도 8에는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 주요 프로세스 영역이 있다. 등록, 로그인, 쿼럼 API, 에이전트 API, NLP API의 각 프로세스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사용자 회원가입(등록)
1. 사용자 ID 및 암호를 포함한 사용자 세부 정보가 백엔드(801)로 전송된다. 사용자 ID 및 해시된 암호(802)가 데이터베이스 컬렉션(803)에 추가된다.
2. 암호화에 대한 키 쌍(Private Key, Public Key)(804)이 생성된다.
3. 이 키 쌍 및 사용자 ID는 JWE(JSON Web Encryption)(805)라고도 하는 암호화된 JSON 웹 토큰에 추가된다. 이 JWE는 서명되고 인코딩되어 JWS(JSON Web Signature) 토큰(806)을 얻는다.
4. 키 쌍은 사용자 암호를 사용하여 암호화되고 데이터베이스 컬렉션(807)에 추가된다.
5. 쿼럼 계정(808)이 생성되고 쿼럼 공개 키가 데이터베이스 컬렉션(809)에 추가되는 동안 쿼럼 개인 키는 키 쌍을 사용하여 암호화되고 데이터베이스 컬렉션(811)에 추가된다.
6. Aries Agent(812) 사용자에 대해 Unique Agent ID가 생성된다. 이 고유 에이전트 ID는 키 쌍(813)을 사용하여 암호화되고 데이터베이스 컬렉션(814)에 추가된다.
7. 그 후 해시 에이전트 ID(815)를 거쳐 컨트롤러(816)에 전달된다. 그런 다음 컨트롤러(816)는 새 에이전트 엔드 포인트(818)를 생성하고 데이터베이스 컬렉션의 해시 에이전트 ID(815)로 에이전트 끝점을 매핑하는 역할을 하는 게이트웨이 서버(817)에 전달한다.
8. 이 전체 프로세스가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JWS(819)가 사용자에게 전송된다.
사용자 로그인
1. 사용자 ID & 비밀번호(801)가 백엔드로 전송된다.
2. 암호는 DB에 저장된 해시(803)를 사용하여 확인한다.
3. 확인 후 암호는 암호화된 키 쌍(807)의 암호를 해독하는데 사용된다.
4. 그런 다음 키 쌍이 JWE(805)에 추가되고, 서명되어 JWS(806)으로 인코딩된다.
5. 이 JWS(819)는 사용자에게 전송된다.
쿼럼 API
1. 사용자가 JWS(820)과 함께 요청을 보낸다.
2. JWS는 JWE를 얻기 위해 검증하고 디코딩(821)한다.
3. 그런 다음 JWE의 암호를 해독하여 키 쌍을 얻는다.
4. 키 쌍을 사용하여 쿼럼 개인 키는 암호 해독(823)된다.
5. 쿼럼 키를 포함하는 JWT 토큰(824)이 생성된다.
6. 그런 다음 JWT(825)와 함께 요청이 쿼럼 서버(826)로 전달된다.
7. 쿼럼 서버(826)는 요청을 처리하기 위해 JWT를 확인하고 디코딩할 수 있다.
에이전트 API
1. 사용자가 JWS(820)과 함께 요청을 보낸다.
2. JWS는 JWE를 얻기 위해 검증하고 디코딩(821)한다.
3. 그런 다음 JWE의 암호를 해독하여 키 쌍을 얻는다.
4. 키 쌍을 사용하여 에이전트 ID의 암호를 해독(826)한다.
5. 에이전트 ID를 포함하는 JWT 토큰(827)이 생성된다.
6. 그런 다음 JWT와 함께 요청이 컨트롤러(816)를 통해 게이트웨이 서버(817)로 전달된다.
7. 게이트웨이 서버(817)는 요청을 처리하기 위해 JWT를 확인하고 디코딩할 수 있다.
NLP(자연어처리) API
1. 사용자가 JWS(820)과 함께 요청을 보낸다.
2. JWS가 확인되고 요청이 NLP 서버(828)로 전달된다.
도 1, 도 9 및 도 10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온라인 상의 대화를 블록체인에 저장하여 당사자간의 분쟁을 해결하기 위한 법률 계약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에서 자세하게 설명하였기 때문에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생략하였다.
블록체인 서버(106)에 각 사용자의 블록체인 계정을 생성하며, 사용자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블록체인 주소를 생성한다(S910).
자연어처리(Natural Language Processing) 서버(105)에서 온라인상의 사용자의 대화 내용을 입력 받아 구문 분석하고 핵심 포인트를 추출하여 블록체인의 리카르디안 계약(Ricardian Contract)을 생성한다(S940).
생성된 리카르디안 계약을 각 사용자의 블록체인 원장에 저장한다(S950).
여기서, 리카르디안 계약을 생성하는 단계(S940)는,
자연어 처리(NLP) 엔진을 이용하여 온라인상의 사용자의 대화 내용에 대한 형태소 분석을 수행하여 문장 단위로 나누고, 불필요한 단어를 제거하여 의미있는 단어들만 추출하고, 추출된 의미있는 단어들에 대해 구문 분석을 수행하여 전처리하고(S941), 전처리 된 내용에서 핵심 포인트를 추출하여 사용자의 대화 내용을 요약하며(S943), 요약한 내용에 대해 리카르디안 계약을 생성하는 과정(S944)을 포함한다.
전처리 단계(S941)에서 분석한 내용에서 각 사용자가 주고 받은 질문과 그에 대응하는 답변 내용에 포함된 단어의 상관관계를 딥러닝(Deep Learning) 기반의 검색엔진으로 분석하여 각 사용자가 주고 받은 질문 문장과 그에 해당하는 답변 문장을 연관지어 태깅(tagging)하는 단계(S9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대화 내용을 요약하는 단계는 태깅 단계에서 연관지어 태깅한 질문 문장과 답변 문장을 중심으로 요약한다(S943).
여기서, 딥러닝(Deep Learning) 기반의 검색엔진은 각 사용자가 주고 받은 질문과 그에 대응하는 답변 내용에 포함된 단어의 상관관계를 분석할 때 해당 단어가 거래의 관련된 정도에 따라 문장 태깅의 가중치를 다르게 부여할 수 있다.
사용자의 대화 내용을 요약하는 단계(S943)는 원본 대비 요약 텍스트 문장 수의 비율을 결정하여 사용자의 대화 내용을 요약할 때 문장 태깅 가중치 점수가 큰 대화 내용 중심으로 사용자의 대화 내용을 요약할 수 있다.
블록체인 주소를 생성하는 단계(S930) 이전에,
사용자가 제공한 정보가 유효한지 오라클(Oracle)을 이용하여 확인하는 단계(S910)와 오라클(104)에 의해 유효한 정보로 확인되면 사용자에게 탈중앙화 분산형 ID(Decentralized Identity)를 발급하고 로그인시 이를 확인하는 단계(S92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가 제공한 정보에는 생체 인식 정보가 포함되며 사용자에게 발급한 분산형 ID(DID)는 생체 인식 정보가 매핑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은 채팅을 통해 사용자 사이의 거래를 위해 자동으로 생성되는 리카르디안 계약(Ricardian contract)을 제공하기 위한 컴퓨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NLP 서버는 채팅에서 생성된 정보를 구문분석하고, 이를 이용하여 생성된 리카르디안 계약은 블록체인 원장에 저장된다. ID 관리는 분산된 ID 관리 구성 요소(decentralized identity management component)를 통해 수행된다. 사용자는 탈 중앙화 신원 신청이 가능하고, 일단 인증되면 어플리케이션에 접근할 수 있다. 발급시 분산 신원 관리는 사용자에 의해 제공된 정보가 유효한지 확인하기 위해 오라클 서비스를 사용한다. 신원 증명 시스템은 사용자의 책임을 강화하는 생체 인식 입력을 사용한다. 오라클이 바람직한 웹 사이트에 접속하여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면 사용자에게 DID가 발급된다. 본 발명의 코어 기능과 인증된 사용자들 사이에서 중재자로 역할을 하는 미들웨어 컴포넌트가 있다. 미들웨어의 임무는 사용자 JWE(JASON Web Encryption)를 관리하고, 사용자 신원을 해당 블록체인 주소에 매핑한다. 저장된 계약은 동일한 ID를 사용하여 향후 사용자가 액세스 할 수 있다. 생성된 계약은 법적으로 입증 가능하므로 분쟁 해결시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이 전체 시스템은 거래 과정에서 사용자 간의 보안과 신뢰를 강화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특정되는 것이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분산형 신원 관리부
101: 미들웨어
104: 오라클
105: 자연어처리(NLP) 서버
106: 쿼럼 블록체인 서버
502: 형태소분석
503: 구문분석
504: 계약생성부
506: 전처리부
507: 문장연관태깅부
508: 요약정리부

Claims (13)

  1. 온라인상의 사용자의 대화 내용을 입력 받아 구문 분석하고 핵심 포인트를 추출하여 블록체인의 리카르디안 계약(Ricardian Contract)을 생성하는 자연어처리 서버;
    상기 자연어처리 서버에서 생성된 리카르디안 계약을 블록체인 원장에 저장하는 블록체인 서버; 및
    상기 블록체인 서버에 각 사용자의 블록체인 계정을 생성하며, 사용자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블록체인 주소를 생성하고, 생성된 블록체인 주소를 통해 각 사용자의 블록체인 계정을 액세스하고 상기 자연어처리 서버가 생성한 리카르디안 계약을 각 사용자의 블록체인 원장에 저장하는 미들웨어;를 포함하되,
    상기 자연어처리 서버는,
    자연어 처리 엔진을 이용하여 온라인상의 사용자의 대화 내용에 대한 형태소 분석을 수행하여 문장 단위로 나누고, 불필요한 단어를 제거하여 의미있는 단어들만 추출하고, 추출된 의미있는 단어들에 대해 구문 분석을 수행하는 전처리부;
    상기 전처리부가 분석한 내용에서 핵심 포인트를 추출하여 사용자의 대화 내용을 요약하는 요약정리부; 및
    상기 요약정리부가 요약한 내용에 대해 리카르디안 계약을 생성하는 계약 생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요약정리부는 전처리부가 분석한 내용에 대해 요약을 위해 선택되는 원본 대비 요약 텍스트 문장 수의 비율을 결정하여 사용자의 대화 내용을 요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상의 대화를 블록체인에 저장하여 당사자간의 분쟁을 해결하기 위한 법률 계약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온라인상의 사용자의 대화 내용을 입력 받아 구문 분석하고 핵심 포인트를 추출하여 블록체인의 리카르디안 계약(Ricardian Contract)을 생성하는 자연어처리 서버;
    상기 자연어처리 서버에서 생성된 리카르디안 계약을 블록체인 원장에 저장하는 블록체인 서버; 및
    상기 블록체인 서버에 각 사용자의 블록체인 계정을 생성하며, 사용자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블록체인 주소를 생성하고, 생성된 블록체인 주소를 통해 각 사용자의 블록체인 계정을 액세스하고 상기 자연어처리 서버가 생성한 리카르디안 계약을 각 사용자의 블록체인 원장에 저장하는 미들웨어;를 포함하되,
    상기 자연어처리 서버는,
    자연어 처리 엔진을 이용하여 온라인상의 사용자의 대화 내용에 대한 형태소 분석을 수행하여 문장 단위로 나누고, 불필요한 단어를 제거하여 의미있는 단어들만 추출하고, 추출된 의미있는 단어들에 대해 구문 분석을 수행하는 전처리부;
    상기 전처리부가 분석한 내용에서 핵심 포인트를 추출하여 사용자의 대화 내용을 요약하는 요약정리부; 및
    상기 요약정리부가 요약한 내용에 대해 리카르디안 계약을 생성하는 계약 생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자연어처리 서버는,
    전처리부가 분석한 내용에서 각 사용자가 주고 받은 질문과 그에 대응하는 답변 내용에 포함된 단어의 상관관계를 딥러닝(Deep Learning) 기반의 검색엔진을 이용하여 분석하여 각 사용자가 주고 받은 질문 문장과 그에 해당하는 답변 문장을 연관지어 태깅(tagging)하는 문장 연관 태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요약정리부는 사용자의 대화 내용을 요약할 때 문장 연관 태깅부가 연관지어 태깅한 질문 문장과 답변 문장을 중심으로 요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상의 대화를 블록체인에 저장하여 당사자간의 분쟁을 해결하기 위한 법률 계약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딥러닝(Deep Learning) 기반의 검색엔진은 각 사용자가 주고 받은 질문과 그에 대응하는 답변 내용에 포함된 단어의 상관관계를 분석할 때 해당 단어가 거래의 관련된 정도에 따라 문장 태깅의 가중치를 다르게 부여하고,
    상기 요약정리부는 원본 대비 요약 텍스트 문장 수의 비율을 결정하여 사용자의 대화 내용을 요약할 때 문장 태깅 가중치 점수가 큰 대화 내용 중심으로 사용자의 대화 내용을 요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상의 대화를 블록체인에 저장하여 당사자간의 분쟁을 해결하기 위한 법률 계약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사용자가 제공한 정보가 유효한지 확인하기 위해 오라클(Oracle)을 이용하며, 오라클에 의해 유효한 정보로 확인되면 탈중앙화 분산형 ID(Decentralized Identity)를 발급하고 로그인시 이를 확인하며, 사용자로부터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요청이 수신되면 인증 후 해당 API에 대한 요청을 상기 미들웨어로 전달하는 분산형 신원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상의 대화를 블록체인에 저장하여 당사자간의 분쟁을 해결하기 위한 법률 계약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사용자가 제공한 정보에는 생체 인식 정보가 포함되며 사용자에게 발급한 분산형 ID(DID)는 생체 인식 정보가 매핑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상의 대화를 블록체인에 저장하여 당사자간의 분쟁을 해결하기 위한 법률 계약 서비스 제공 시스템.
  8. 블록체인 서버에 각 사용자의 블록체인 계정을 생성하며, 사용자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블록체인 주소를 생성하는 단계;
    자연어처리(Natural Language Processing) 서버에서 온라인상의 사용자의 대화 내용을 입력 받아 구문 분석하고 핵심 포인트를 추출하여 블록체인의 리카르디안 계약(Ricardian Contract)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리카르디안 계약을 각 사용자의 블록체인 원장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리카르디안 계약을 생성하는 단계는,
    자연어 처리(NLP) 엔진을 이용하여 온라인상의 사용자의 대화 내용에 대한 형태소 분석을 수행하여 문장 단위로 나누고, 불필요한 단어를 제거하여 의미있는 단어들만 추출하고, 추출된 의미있는 단어들에 대해 구문 분석을 수행하여 전처리하는 단계;
    전처리 된 내용에서 핵심 포인트를 추출하여 사용자의 대화 내용을 요약하는 단계; 및
    요약한 내용에 대해 리카르디안 계약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전처리 단계에서 분석한 내용에서 각 사용자가 주고 받은 질문과 그에 대응하는 답변 내용에 포함된 단어의 상관관계를 딥러닝(Deep Learning) 기반의 검색엔진으로 분석하여 각 사용자가 주고 받은 질문 문장과 그에 해당하는 답변 문장을 연관지어 태깅(tagging)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사용자의 대화 내용을 요약하는 단계는 태깅 단계에서 연관지어 태깅한 질문 문장과 답변 문장을 중심으로 요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상의 대화를 블록체인에 저장하여 당사자간의 분쟁을 해결하기 위한 법률 계약 서비스 제공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딥러닝(Deep Learning) 기반의 검색엔진은 각 사용자가 주고 받은 질문과 그에 대응하는 답변 내용에 포함된 단어의 상관관계를 분석할 때 해당 단어가 거래의 관련된 정도에 따라 문장 태깅의 가중치를 다르게 부여하고,
    사용자의 대화 내용을 요약하는 단계는 원본 대비 요약 텍스트 문장 수의 비율을 결정하여 사용자의 대화 내용을 요약할 때 문장 태깅 가중치 점수가 큰 대화 내용 중심으로 사용자의 대화 내용을 요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상의 대화를 블록체인에 저장하여 당사자간의 분쟁을 해결하기 위한 법률 계약 서비스 제공 방법.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 주소를 생성하는 단계 이전에,
    사용자가 제공한 정보가 유효한지 오라클(Oracle)을 이용하여 확인하는 단계; 및
    오라클에 의해 유효한 정보로 확인되면 사용자에게 탈중앙화 분산형 ID(Decentralized Identity)를 발급하고 로그인시 이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상의 대화를 블록체인에 저장하여 당사자간의 분쟁을 해결하기 위한 법률 계약 서비스 제공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제공한 정보에는 생체 인식 정보가 포함되며 사용자에게 발급한 분산형 ID(DID)는 생체 인식 정보가 매핑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상의 대화를 블록체인에 저장하여 당사자간의 분쟁을 해결하기 위한 법률 계약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210023854A 2021-02-23 2021-02-23 온라인 상의 대화를 블록체인에 저장하여 당사자간의 분쟁을 해결하기 위한 법률 계약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153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3854A KR102315328B1 (ko) 2021-02-23 2021-02-23 온라인 상의 대화를 블록체인에 저장하여 당사자간의 분쟁을 해결하기 위한 법률 계약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3854A KR102315328B1 (ko) 2021-02-23 2021-02-23 온라인 상의 대화를 블록체인에 저장하여 당사자간의 분쟁을 해결하기 위한 법률 계약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5328B1 true KR102315328B1 (ko) 2021-10-21

Family

ID=78268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3854A KR102315328B1 (ko) 2021-02-23 2021-02-23 온라인 상의 대화를 블록체인에 저장하여 당사자간의 분쟁을 해결하기 위한 법률 계약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53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61816A (zh) * 2023-07-07 2023-08-08 北科信链(武汉)数字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李嘉图合约的可信存证方法及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5696B1 (ko) 2016-07-14 2017-11-09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메신저 서비스를 통하여 송수신되는 데이터에 대한 기록 및 검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US20200034469A1 (en) 2018-07-29 2020-01-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tomatic generation of smart contracts
KR20200120015A (ko) * 2019-04-11 2020-10-21 황성재 인스턴트 메세지의 자연어 인식을 통한 스마트 계약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5696B1 (ko) 2016-07-14 2017-11-09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메신저 서비스를 통하여 송수신되는 데이터에 대한 기록 및 검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US20200034469A1 (en) 2018-07-29 2020-01-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tomatic generation of smart contracts
KR20200120015A (ko) * 2019-04-11 2020-10-21 황성재 인스턴트 메세지의 자연어 인식을 통한 스마트 계약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61816A (zh) * 2023-07-07 2023-08-08 北科信链(武汉)数字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李嘉图合约的可信存证方法及装置
CN116561816B (zh) * 2023-07-07 2023-09-29 北科信链(武汉)数字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李嘉图合约的可信存证方法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77726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recovering data using dynamic passwords
US10992478B2 (en) Blockchain-based digital identity management method
KR101883156B1 (ko) 인증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인증 서버 및 서비스 서버
US20210279736A1 (en) Blockchain secure transaction method and device based on biomarker authentication
WO2020073491A1 (zh) 基于区块链的供应链支付方法、收款方法、装置、设备及介质
US20030046237A1 (en) Method and system for enabling the issuance of biometrically secured online credit or other online payment transactions without tokens
CN109255619A (zh) 一种基于区块链的身份认证方法及设备
EP3837828B1 (en) Secure data transfer system and method
US11615399B1 (en) Method and system for obfuscating sensitive personal data in processes requiring personal identification in unregulated platforms
US11736476B2 (en) Biometric one touch system
CN110324314A (zh) 用户注册方法及装置、存储介质、电子设备
KR20210139110A (ko) 블록체인 기반의 금융계좌 안전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15328B1 (ko) 온라인 상의 대화를 블록체인에 저장하여 당사자간의 분쟁을 해결하기 위한 법률 계약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Tavares et al. WalliD: Secure your ID in an Ethereum wallet
US11341573B1 (en) Using voice biometrics for trade of financial instruments
KR102437375B1 (ko) 블럭체인기술을 활용한 연구노트 활용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Pramono et al. Firebase Authentication Cloud Service for RESTful API Security on Employee Presence System
Ratnawat et al. Optimizing the KYC Process using a Blockchain based approach
US11803840B1 (en) Method and system for obfuscating sensitive personal data available on unregulated platforms
US20240005325A1 (en) Using a conversation interface to transfer digital assets
US20230419285A1 (en) NFT Enforcement Control System
US20230412393A1 (en) Multisignature Custody of Digital Assets
US20230419276A1 (en) Using a conversation interface to transfer digital assets
Agrawal Blockchain Technology-Concepts and Applications
KR20220066842A (ko) 블록체인 기반 스미싱 방지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