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4643B1 - 조명 장치 및 조명 장치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조명 장치 및 조명 장치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4643B1
KR102314643B1 KR1020140166626A KR20140166626A KR102314643B1 KR 102314643 B1 KR102314643 B1 KR 102314643B1 KR 1020140166626 A KR1020140166626 A KR 1020140166626A KR 20140166626 A KR20140166626 A KR 20140166626A KR 102314643 B1 KR102314643 B1 KR 1023146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ing device
network information
signal
wireless network
convers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6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3077A (ko
Inventor
곽희삼
김진성
이충희
정주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66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4643B1/ko
Priority to US15/528,384 priority patent/US10356884B2/en
Priority to EP15862247.2A priority patent/EP3165057A4/en
Priority to PCT/KR2015/012688 priority patent/WO2016085245A1/en
Priority to CN201580061031.0A priority patent/CN107148807B/zh
Publication of KR20160063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30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4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46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35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remote control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8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power line carrier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9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wireless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98Grouping of control procedures or address assignation to light sources
    • H05B47/199Commissioning of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dium used
    • H04L2012/2841Wireles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10Controlling the intensity of the 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조명 장치의 무선 네트워크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조명 장치에 공급되는 교류 신호를 검출하는 검출회로; 및 상기 검출된 교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조명 장치의 무선 네트워크 정보를 초기화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조명 장치 및 조명 장치의 제어 방법{LIGH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ING LIGHTING APPARATUS}
조명 장치 및 조명 장치의 제어 방법에 연관되며, 구체적으로는 무선 조명 장치 및 무선 조명 장치의 네트워크 설정을 제어하는 방법에 연관된다.
사무실, 가정등 실내에서 복수의 조명 장치들이 사용되고 있다. 복수의 조명 장치가 실내에서 전부 사용될 경우, 전기 소모량을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이어져 효율적인 조명 장치의 관리 방법이 필요하다.
효율적인 조명 장치의 관리 방법으로, 무선 제어 장치(예를 들면, 리모콘)에 의한 조명 장치 제어가 보편화 되고 있다. 무선 조명 제어 시스템에서 조명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무선 네트워크 형성을 해야 한다.
조명 장치에 대한 무선 네트워크가 올바르게 설정되지 않은 경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조명 장치를 제어할 수 없다. 따라서, 무선 조명 장치의 무선 네트워크 설정을 제어하는 방법이 요구된다.
조명 장치에서 교류 신호의 온 상태 및 오프 상태가 반복되면, 조명 장치는 온 상태 및 오프 상태에 기초하여 조명 장치의 네트워크 정보를 초기화할 수 있다.
조명 장치의 네트워크 정보가 초기화되면, 조명 장치는 네트워크 정보를 재설정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조명 장치의 무선 네트워크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조명 장치에 공급되는 교류 신호를 검출하는 검출회로; 및 상기 검출된 교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조명 장치의 무선 네트워크 정보를 초기화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가 제공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초기화에 따라, 상기 조명 장치의 무선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통신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 정보를 초기화할 것으로 결정된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무선 네트워크 정보를 초기화하고,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무선 네트워크 정보를 상기 초기화가 이루어지기 전에 설정된 무선 네트워크와 상이한 무선 네트워크로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검출회로는, 미리 지정한 시간 동안 상기 교류 신호의 온 상태의 횟수와 오프 상태의 횟수를 검출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온 상태의 횟수와 상기 오프 상태의 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네트워크 정보를 초기화할 것으로 결정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횟수가 미리 지정된 횟수보다 큰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 정보를 초기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류 신호가 오프 상태인 경우, 상기 검출회로는, 상기 통신 모듈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네트워크 정보는, 상기 조명 장치를 제어하는 게이트웨이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검출회로는, 상기 교류 신호를 인가 받는 입력부; 상기 교류 신호를 제1 직류 신호로 변환하는 제1 변환부; 상기 제1 직류 신호를 상기 통신모듈에 미리 설정된 제2 직류 신호로 변환하는 제2 변환부; 상기 통신모듈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 가능한 레벨로 상기 교류 신호를 변환하는 제3 변환부; 및 상기 변환된 교류 신호 및 상기 제2 직류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변환부 및 상기 제2 변환부는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3 변환부는 상기 제1 변환부의 입력단 및 상기 제2 변환부의 출력단과 병렬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변환부는 상기 제3 변환부와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변환부의 출력단은 상기 제2 변환부 및 상기 제3 변환부가 연결된 병렬회로의 입력단과 직렬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변환부는, 적어도 둘 이상의 저항들 및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는,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저항들 중 하나의 저항과 병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에 따르면, 조명 장치에 공급되는 교류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교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조명 장치의 무선 네트워크 정보를 초기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초기화에 따라, 상기 조명 장치의 무선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무선 네트워크 정보를 초기화할 것으로 결정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명 장치의 무선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 정보를 상기 초기화가 이루어지기 전에 설정된 무선 네트워크와 상이한 무선 네트워크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명 장치에 공급되는 교류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는, 미리 지정한 시간 동안 상기 교류 신호의 온 상태의 횟수와 오프 상태의 횟수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 장치의 무선 네트워크 정보를 초기화할 것으로 결정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온 상태의 횟수와 상기 오프 상태의 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네트워크 정보를 초기화할 것으로 결정된 정보를 획득하는 것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명 장치의 무선 네트워크 정보를 초기화할 것으로 결정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교류 신호의 온 상태의 횟수와 상기 오프 상태의 횟수가 미리 지정된 횟수보다 큰 경우, 상기 무선 네트워크 정보를 초기화할 것으로 결정된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류 신호가 오프 상태인 경우, 상기 조명 장치의 통신 모듈로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 정보는, 상기 조명 장치를 제어하는 게이트웨이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조명 장치의 제어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수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조명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조명 장치에 공급되는 교류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교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조명 장치의 무선 네트워크 정보를 초기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다음의 자세한 설명과 그에 수반되는 도면들의 결합으로 쉽게 이해될 수 있으며, 참조 번호(reference numerals)들은 구조적 구성요소(structural elements)를 의미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과 관련된 스마트 관리 시스템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과 관련된 조명 관리 시스템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라, 무선 조명 네트워크의 설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는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b는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검출회로의 구성 간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라, 도 5의 블록도를 상세하게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7은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검출회로의 구성 간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라, 도 7의 블록도를 상세하게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라, 시간에 따라 검출된 교류신호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일실시예에 따라, 조명 장치의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흐름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1은 일실시예에 따라, 조명 장치의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흐름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2는 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조명 장치의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흐름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과 관련된 스마트 관리 시스템(100)에 대한 개념도이다.
네트워크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사무실 뿐만 아니라, 가정에서도 네트워크 구현이 가능하다. 도 1을 참고하면, 주거 공간에는 도어락 장치(131), 냉/난방 장치(132), TV(133)와 같은 가전 제품 및 조명 장치(134)가 설치된다. 도어락 장치(131), 냉/난방 장치(132), TV(133) 및 조명 장치(134)는 통합 제어기(110)에 의하여 관리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합 제어기(11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네트워크(120)와 연결되어, 도어락 장치(131), 냉/난방 장치(132), TV(133) 및 조명 장치(134)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통합 제어기(110)는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근거리 통신 모듈, 유선 통신 모듈 및 이동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120)는 유선 통신 네트워크 및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여기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는 무선 랜(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지그비(zigbee), WFD(Wifi-direct), UWB(ultra wideband),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BLE (Bluetooth Low Energy)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될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락 장치(131), 냉/난방 장치 (132), TV(133) 및 조명 장치(134)는 하나의 통합 제어기(110)로 관리될 수 있다. 사용자는 통합 제어기(110)를 이용하여 각 장치의 전부 또는 일부를 일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통합 제어기(110)는 스마트 폰(smart phone), 랩탑 컴퓨터, PDA, 태블릿 PC 등이 해당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과 관련된 조명 제어 시스템(200)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2는 실내에 설치되는 복수의 조명 장치를 제어하는 조명 제어 시스템(200)을 도시한다. 무선 통신 기반의 조명 제어 시스템(200)은 서버(210), 무선 조명 제어기(220) 및 각 조명(231, 232, 233, 234, 235)에 탑재된 무선 모듈로 구성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서버(210)는 조명 장치를 제어 및 관리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210)는 조명 상태, 조명 종류, 전력 사용량, 조명 모드 설정, 전원 온/오프 기능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조명 제어기(220)는 각 조명(231, 232, 233, 234, 235)등에 탑재된 무선 모듈과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된다. 서버(210)와 무선 조명 제어기(22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각 조명(231, 232, 233, 234, 235)들에 탑재된 무선 모듈은 무선 조명 제어기(220)의 제어 명령에 따라 조명을 온 또는 오프하거나 밝기를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조명 제어 시스템(200)에 포함된 서버(210), 무선 조명 제어기(220) 각 조명(231, 232, 233, 234, 235)에 탑재된 무선 모듈 중 일부 또는 전부는 하드웨어 모듈에 의해 동작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상술한 구성 중 일부가 소프트웨어에 의해 동작할 수도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원격지에서 컴퓨터나 휴대용 모바일 기기를 이용해 조명 제어 시스템(200)에 접속하고,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 설치된 조명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노트북, PDA,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조명 제어 시스템(200)의 웹페이지에 접속하고, 복수의 조명 장치들 전부 또는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가정이나 사무실에 설치된 복수 개의 조명들을 각각 제어할 수 있고, 각 조명(231, 232, 233, 234, 235) 기구의 전원 온/오프를 통해 불필요한 전원을 차단하여 전기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각 조명(231, 232, 233, 234, 235)의 밝기 등을 조절하여 최소의 조명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하여 전기 소모량을 줄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빌딩과 같은 대형 건물에서 복수의 조명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조명 장치를 개별 또는 그룹으로 제어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조명 제어 시스템(200)이 필요하다. 조명 제어 시스템(200)은 실시간으로 각 층 또는 특정 구역에 설치된 조명 장치의 온/오프, 밝기(dimming), 조명 장치의 상태 정보 및 전력 사용량을 관리함으로써 불필요한 에너지의 사용처를 검출하여 그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조명 장치가 설정된 네트워크 정보가 올바르지 않으면, 복수의 조명 장치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제어하는 데에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조명 장치에 대한 네트워크 정보가 올바르지 않은 경우, 조명 제어 시스템(200)은 조명 장치에 대한 네트워크 정보를 초기화하고, 올바른 네트워크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라, 무선 조명 네트워크의 설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조명 제어 시스템은 서버, 게이트웨이, 리모콘, 무선 조명 제어 모듈이 포함된 조명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조명 장치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 형성이 필요하며, 조명 장치들은 무선 조명 제어 네트워크의 조정 역할을 하는 게이트웨이로 연결되어야 한다.
여기서, 게이트웨이는 스마트 기기와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조명 장치의 조명 제어를 위해 조명 장치로 연결될 수 있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조명 장치가 연결되어야 할 제1 게이트웨이(320)가 아닌 제2 게이트웨이(350)에 연결되었을 때, 제2 게이트웨이(350)로 연결된 네트워크를 분리하여 제1 게이트웨이(320)로 네트워크를 형성하여야 한다.
도 3을 참고하면, 제1 주거 공간(310) 및 제2 주거 공간(340)이 있다. 제1 주거 공간(310)에는 제1 게이트웨이(320) 및 제1 주거 공간(310)에서 이용될 조명 장치들(331, 332, 333)이 있다. 또한, 제2 주거 공간(340)에는 제2 게이트웨이(350) 및 제2 주거 공간(340)에서 이용될 조명 장치들(361, 362, 363)이 있다. 여기서, 각 주거 공간의 조명 장치들은 각 주거 공간의 게이트웨이에 연결되어야 한다.
제2 주거 공간(340)의 조명 장치들(361, 362, 363)이 제1 게이트웨이(320)로 연결된다면, 제2 게이트웨이(350)에서는 제2 주거 공간(340)의 조명 장치들(361, 362, 363)을 제어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제2 주거 공간(340)의 조명 장치들(361, 362, 363)은 제1 게이트웨이(320)로 연결된 네트워크를 분리하고, 제2 게이트웨이(350)로 연결되도록 네트워크를 재형성 해야 한다. 제2 주거 공간(340)의 조명 장치들(361, 362, 363)은 네트워크 정보를 초기화함으로써, 제1 게이트웨이(320)로 연결된 네트워크를 분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조명 장치의 전원이 온(ON)이 되는 경우, 조명 장치는 메모리에 저장된 네트워크 정보를 확인하여, 유효할 경우 별도의 프로세스를 거치지 않는다. 그러나, 네트워크 정보가 유효하지 않은 경우, 조명 장치는 네트워크 정보를 초기화하고, 조명 장치가 올바르게 연결되어야 할 네트워크 정보를 등록한다.
도 4a는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400-1)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조명 장치(400-1)는 메모리(410), 검출회로(420) 및 프로세서(4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 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조명 장치(400-1)가 구현될 수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조명 장치(400-1)가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 요소들에 대해 살펴본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410)는 조명 장치(400-1)의 무선 네트워크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무선 네트워크 정보는 게이트웨이의 정보, 무선 제어 장치의 정보, 네트워크 ID 정보, MAC 주소 및 조명 장치(400-1)의 노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메모리(410)는 플래시 메모리(410), 하드디스크, EEPROM 등 여러 가지 종류의 저장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검출회로(420)는 조명 장치(400-1)에 공급되는 교류 신호를 검출한다. 여기서, 교류는 시간에 따라 크기와 방향이 주기적으로 변화는 전류로서 일반적으로 AC(Alternating Current)로 나타낸다. 교류는 사인 파형일 수 있고, 사각파나 삼각파 등을 포함한다. 교류 신호는 교류를 의미할 수 있고, 교류 전원 신호도 의미할 수 있다. 검출회로(420)는 미리 지정한 시간 동안 교류 신호의 온 상태의 횟수와 오프 상태의 횟수를 검출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검출회로(420)는 주기적으로 교류 신호의 온 상태 및 오프 상태를 검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검출회로(420)는 교류 신호의 온 상태의 횟수와 오프 상태의 횟수를 검출하면서 처음 오프 상태의 시점부터 마지막 온 상태의 시점까지의 시간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검출회로(420)는 10초 동안 교류 신호의 온 상태 및 오프 상태가 몇 번이 있었는지를 검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30)는 검출된 교류 신호에 기초하여, 조명 장치(400-1)의 무선 네트워크 정보를 초기화한다. 프로세서(430)는 무선 네트워크 정보를 초기화할 것으로 결정된 정보를 획득한다. 프로세서(430)는 교류 신호의 온 상태 횟수와 오프 상태의 횟수에 기초하여 무선 네트워크 정보를 초기화할 것으로 결정된 정보를 획득한다. 예를 들면, 교류 신호의 온 상태 횟수와 오프 상태의 횟수가 미리 지정된 횟수보다 큰 경우, 프로세서(430)는 무선 네트워크 정보를 초기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온 상태 횟수 및 오프 상태의 횟수가 10초 동안 7회 이상인 경우, 무선 네트워크 정보는 초기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430)가 직접 교류 신호에 기초하여 조명 장치(400-1)의 무선 네트워크 정보를 초기화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430)는 조명 장치(400-1)의 다른 구성 또는 외부 장치가 무선 네트워크 정보를 초기화할 것으로 결정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에 따라 무선 네트워크 정보를 초기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교류 신호의 온/오프 상태를 반복하면, 조명 장치(400-1)의 전원 공급부에서 통신 모듈로 교류 신호를 전달하고, 통신 모듈에서는 교류 신호에 대한 온 상태 및 오프 상태를 검출하여 무선 네트워크 정보를 초기화할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통신 모듈은 결정된 정보를 프로세서(430)로 전달하고, 프로세서(430)는 무선 네트워크 정보를 초기화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430)는 무선 네트워크 정보를 초기화하는 것 이외에 조명 장치(400-1)의 발광부의 온/오프, 조도 및 색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검출회로(420)는 입력부, 제1 변환부, 제2 변환부, 제3 변환부 및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언급한 검출회로(420)의 구성 요소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다. 언급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검출회로(420)가 구현될 수 있다.
검출회로(420)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입력부는 교류 신호를 인가 받는다. 제1 변환부는 교류 신호를 제1 직류 신호로 변환한다. 제2 변환부는 제1 직류 신호를 통신 모듈에 미리 설정된 제2 직류 신호로 변환한다. 제3 변환부는 통신 모듈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 가능한 레벨로 교류 신호를 변환한다. 출력부는 변환된 교류 신호 및 제2 직류 신호를 출력한다. 검출회로(420) 구성의 연결관계는 도 5 내지 도 8에서 설명한다.
도 4b는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400-2)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b에 도시된 조명 장치(400-2)는 도 4a에 비하여, 통신 모듈(4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b에 있어서, 조명 장치(400-2)의 메모리(410), 검출회로(420) 및 프로세서(430)는 도 4a에서의 조명 장치(400-2)의 각 구성과 동일 대응되므로, 도 4a에서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440)은 조명 장치(400-2)의 무선 네트워크를 설정한다. 프로세서(430)가 무선 네트워크 정보를 초기화하면, 통신 모듈(440)은 무선 네트워크 정보를 초기화가 이루어지기 전에 설정된 무선 네트워크와 상이한 무선 네트워크로 설정한다.
또한, 통신 모듈(440)은 조명 장치(400-2)의 발광부에 대한 제어 신호를 외부 장치 또는 프로세서(430)로부터 수신하고, 발광부의 작동 상태를 외부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통신 모듈(440)은 발광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발광부의 PWM(Pulse Width Modulation) 제어를 위한 출력단 및 센서로부터 감지된 상태 정보가 입력되는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 입력단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태 정보는 온도 정보, 조도 정보 및 재실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440)은 소정 거리 이내의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기술에는 무선 랜(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지그비(zigbee), WFD(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BLE (Bluetooth Low Energy),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조명 장치(400-2)는 벌브(Bulb) 타입, PAR(Parabolic Aluminized Reflector Lamp) 타입 및 평판형 타입의 조명 장치(400-2)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조명 장치는 중앙 연산 프로세서를 구비하여, 메모리, 검출회로, 프로세서 및 통신 모듈의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중앙 연산 프로세서는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범용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형태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조명 장치가 수행하는 다양한 동작이나 응용들이 설명되는데, 상기 메모리, 검출회로, 프로세서 및 통신 모듈 중 어느 구성을 특정하지 않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대한 통상의 기술자가 명확하게 이해하고 예상할 수 있는 정도의 내용은 통상의 구현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특정한 구성의 명칭이나 물리적/논리적 구조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검출회로의 구성 간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검출회로(420)는 입력부(510), 제1 변환부(520), 제2 변환부(530), 제3 변환부(540) 및 출력부(550)를 포함한다. 여기서, 도 4에서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검출회로(420)는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검출회로(420)가 구현될 수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검출회로(420)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변환부(520)는 및 제2 변환부(530)는 직렬로 연결되고, 제3 변환부(540)는 제1 변환부(520)의 입력단 및 제2 변환부(530)의 출력단과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변환부(520)의 입력단 및 제3 변환부(540)의 입력단은 입력부(510)와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변환부(530)의 출력단 및 제3 변환부(540)의 출력단은 출력부(550)와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출력부(550)는 교류 신호의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출력부(550)에 대해 구체적인 예를 들면, 출력부(550)는 통신 모듈의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라, 도 5의 블록도를 상세하게 도시한 회로도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조명 장치의 검출회로(420)는 교류 신호의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를 검출하기 위해 도 6의 회로도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변환부(520)는 교류 신호를 제1 직류 신호로 변환한다. 제1 변환부(520)는 다이오드, 인덕터 및 저항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변환부(530)는 제1 직류 신호를 통신 모듈에 미리 설정된 제2 직류 신호로 변환한다. 제3 변환부(540)는 통신 모듈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 가능한 레벨로 교류 신호를 변환한다. 여기서, 제3 변환부(540)는 적어도 둘 이상의 저항들 및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는 적어도 하나의 둘 이상의 저항들 중 하나의 저항과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출력부(550)는 통신 모듈과 대응될 수 있다. 도 6은 구체적인 회로의 구성소자 등과 같은 많은 특정사항들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을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관련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관련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교류 전원이 오프되더라도, 인덕터 또는 커패시터에 에너지가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저장된 에너지는 짧은 시간 동안 통신 모듈이 동작할 수 있도록 전력을 공급한다. 이 경우, 조명 장치의 통신 모듈은 정상적인 동작을 유지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3 변환부(540)에 도시된 저항 R1 및 R2의 비율을 조정하여 통신 모듈의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 동작 범위 내로 입력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검출회로(420)에서 교류 신호의 오프 상태가 검출되면, 조명 장치는 통신 모듈에 공급되는 파워를 유지하기 위해 LED 드라이버쪽으로 나가는 PWM(Pulse Width Modulation) 신호를 오프하고 불필요한 전력이 낭비되지 않도록 한다.
도 6에 도시된 검출회로(420)는 도 8에 도시된 검출회로(420)보다 응답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조명 장치의 네트워크를 초기화하는데 더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도 7은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검출회로의 구성 간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검출회로(420)는 입력부(710), 제1 변환부(720), 제2 변환부(730), 제3 변환부(740) 및 출력부(750)를 포함한다. 여기서, 도 4에서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2 변환부(730)는 제3 변환부(740)와 병렬로 연결되고, 제1 변환부(720)의 출력단은 제2 변환부(730) 및 제3 변환부(740)가 연결된 병렬회로의 입력단과 직렬로 연결된다. 입력부(710)와 제1 변환부(720)는 직렬로 연결된다. 제2 변환부(730) 및 제3 변환부(740)가 연결된 병렬회로의 출력단은 출력부(750)와 직렬로 연결된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라, 도 7의 블록도를 상세하게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입력부(710), 제1 변환부(720), 제2 변환부(730), 제3 변환부(740) 및 출력부(750)는 도 6의 구성의 입력부(710), 제1 변환부(720), 제2 변환부(730), 제3 변환부(740) 및 출력부(750)와 대응되므로, 도 6에서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의 제3 변환부(740)는 도 6의 제3 변환부(740)와 다르게 제2 변환부(730)만 병렬로 연결된다.
도 8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관련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라, 시간에 따라 검출된 교류신호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검출회로를 도 8로 구성하였을 때, 출력되는 복수의 파형(920, 930)을 도시한다. 도 9를 참고하면, 교류 신호(910)의 입력이 온/오프가 반복되면, 도 8에 도시된 제3 변환부의 저항 R1 및 R2 사이의 전압이 도 9의 제1 파형(920)으로 도시된다. 이 경우, 통신 모듈의 전압은 도 9의 제2 파형(930)으로 도시된다. 통신 모듈은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를 통하여 통신 모듈의 전압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0은 일실시예에 따라, 조명 장치의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흐름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단계 S1010에서, 조명 장치는 사용자의 물리적인 스위치 온(ON) 또는 사용자의 조명 온 신호를 수신하여 조명을 온(ON)할 수 있다.
단계 S1020에서, 조명 장치는 조명 장치의 메모리에 저장된 무선 네트워크 정보를 확인한다. 여기서, 무선 네트워크 정보는 게이트웨이의 정보, 무선 제어 장치의 정보, 네트워크 ID 정보, MAC 주소 및 조명 장치의 노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계 S1030에서, 조명 장치는 무선 네트워크 정보가 유효한지를 확인한다. 무선 네트워크 정보가 유효하면, 조명 장치는 무선 네트워크 정보를 유지한다. 무선 네트워크 정보가 유효하지 않으면, 조명 장치는 단계 S1040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제1 게이트웨이에 연결되어야 할 제1 조명 장치가 제2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경우, 제1 조명 장치는 제1 조명 장치에 대한 무선 네트워크 정보를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조명 장치는 무선 네트워크 정보를 초기화를 하고, 제1 게이트웨이에 제1 조명 장치가 연결되도록 한다.
단계 S1040에서, 조명 장치는 무선 네트워크 정보를 재설정한다. 조명 장치는 기존에 설치되어 있던 무선 네트워크 정보를 초기화하고, 조명 장치가 연결되어야 무선 네트워크로 네트워크 정보를 재설정한다.
도 11은 일실시예에 따라, 조명 장치의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흐름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1을 참고하면, 단계 S1110에서, 조명 장치는 조명 장치에 공급되는 교류 신호를 검출한다. 교류 신호는 교류를 의미할 수 있고, 교류 전원 신호도 의미할 수 있다.
단계 S1120에서, 조명 장치는 검출된 교류 신호에 기초하여, 조명 장치의 무선 네트워크 정보를 초기화한다. 조명 장치의 무선 네트워크 정보를 초기화하는 과정은 도 12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계 S1130에서, 조명 장치는 초기화에 따라 조명 장치의 무선 네트워크를 설정한다.
도 12는 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조명 장치의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흐름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2를 참고하면, 단계 S1210에서, 조명 장치는 미리 지정한 시간 동안 조명 장치에 공급되는 교류 신호의 온 상태 횟수 및 오프 상태의 횟수를 검출한다.
단계 S1220에서, 조명 장치는 검출된 온 상태 횟수 및 오프 상태의 횟수가 미리 지정된 횟수보다 큰지를 확인한다. 검출된 횟수가 미리 지정된 횟수보다 크면, 조명 장치는 단계 S1230을 수행한다. 검출된 횟수가 미리 지정된 횟수보다 작으면, 조명 장치는 단계 S1210을 수행한다.
단계 S1230에서, 조명 장치는 무선 네트워크 정보를 초기화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교류 신호의 온 상태 횟수 및 오프 상태 횟수가 10초 동안 8번을 초과하면, 조명 장치의 네트워크 정보를 초기화하는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10초 동안 온 상태 횟수 및 오프 상태의 횟수가 9번인 경우, 조명 장치는 조명 장치의 네트워크 정보를 초기화할 수 있다.
다른 방식으로, 조명 장치는 교류 신호의 처음 오프 상태부터 8번의 온 상태까지의 시간을 계산하고, 10초를 초과하였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10초를 초과하면, 조명 장치는 조명 장치의 네트워크 정보를 초기화할 수 있다.
단계 S1240에서, 조명 장치는 무선 네트워크 정보를 초기화가 이루어지기 전에 설정된 네트워크와 상이한 네트워크로 설정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0)

  1. 조명 장치의 무선 네트워크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조명 장치에 공급되는 교류 신호를 검출하는 검출회로; 및
    상기 조명 장치에 전원이 입력되면, 상기 조명 장치의 무선 네트워크 정보가 유효한지 결정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저장된 무선 네트워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조명 장치가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제어되기 위해 이전에 사용된 네트워크 정보가 유효한지 결정하며,
    상기 네트워크 정보가 유효한 경우, 상기 네트워크 정보를 유지하고,
    상기 네트워크 정보가 유효하지 않은 경우, 상기 검출된 교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조명 장치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네트워크 정보로 상기 네트워크 정보를 재설정하고,
    상기 유지 또는 재설정된 네트워크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조명 장치가 현재 위치하는 공간의 네트워크에 상기 조명 장치를 연결하는, 조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장치의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제어 장치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는, 조명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회로는, 미리 지정한 시간 동안 상기 교류 신호의 온 상태의 횟수와 오프 상태의 횟수를 검출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온 상태의 횟수와 상기 오프 상태의 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네트워크 정보를 재설정할 것으로 결정하는, 조명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횟수가 미리 지정된 횟수보다 큰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 정보를 재설정할 것으로 결정하는, 조명 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 정보는, 상기 조명 장치를 제어하는 게이트웨이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회로는,
    상기 교류 신호를 인가 받는 입력부;
    상기 교류 신호를 제1 직류 신호로 변환하는 제1 변환부;
    상기 제1 직류 신호를 상기 통신모듈에 미리 설정된 제2 직류 신호로 변환하는 제2 변환부;
    상기 통신모듈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 가능한 레벨로 상기 교류 신호를 변환하는 제3 변환부; 및
    상기 변환된 교류 신호 및 상기 제2 직류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변환부 및 상기 제2 변환부는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3 변환부는 상기 제1 변환부의 입력단 및 상기 제2 변환부의 출력단과 병렬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변환부는 상기 제3 변환부와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변환부의 출력단은 상기 제2 변환부 및 상기 제3 변환부가 연결된 병렬회로의 입력단과 직렬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변환부는, 적어도 둘 이상의 저항들 및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는,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저항들 중 하나의 저항과 병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13. 조명 장치에 공급되는 교류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조명 장치의 무선 네트워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한 무선 네트워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조명 장치가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제어되기 위해 이전에 사용된 네트워크 정보가 유효한지 결정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정보가 유효한 경우 상기 네트워크 정보를 유지하고, 상기 네트워크 정보가 유효하지 않은 경우, 상기 검출된 교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조명 장치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네트워크 정보로 상기 네트워크 정보를 재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유지 또는 재설정된 네트워크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장치가 현재 위치하는 공간의 네트워크에 상기 조명 장치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의 제어 방법.
  14. 삭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장치의 무선 네트워크를 재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 정보를 현재 설정된 무선 네트워크 정보와 상이한 무선 네트워크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의 제어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장치에 공급되는 교류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는,
    미리 지정한 시간 동안 상기 교류 신호의 온 상태의 횟수와 오프 상태의 횟수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정보가 유효한지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온 상태의 횟수와 상기 오프 상태의 횟수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조명 장치의 제어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정보가 유효한지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교류 신호의 온 상태의 횟수와 상기 오프 상태의 횟수가 미리 지정된 횟수보다 큰 경우, 상기 네트워크 정보가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결정하는, 조명 장치의 제어 방법.
  18. 삭제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 정보는, 상기 조명 장치를 제어하는 게이트웨이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의 제어 방법.
  20. 조명 장치의 제어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수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조명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조명 장치에 공급되는 교류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조명 장치의 무선 네트워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한 무선 네트워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조명 장치가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제어되기 위해 이전에 사용된 네트워크 정보가 유효한지 결정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정보가 유효한 경우 상기 네트워크 정보를 유지하고, 상기 네트워크 정보가 유효하지 않은 경우, 상기 검출된 교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조명 장치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네트워크 정보로 상기 네트워크 정보를 재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유지 또는 재설정된 네트워크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장치가 현재 위치하는 공간의 네트워크에 상기 조명 장치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0140166626A 2014-11-26 2014-11-26 조명 장치 및 조명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3146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6626A KR102314643B1 (ko) 2014-11-26 2014-11-26 조명 장치 및 조명 장치의 제어 방법
US15/528,384 US10356884B2 (en) 2014-11-26 2015-11-25 Lighting apparatus that determines whether network information to connect to a network is effectiv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15862247.2A EP3165057A4 (en) 2014-11-26 2015-11-25 Light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PCT/KR2015/012688 WO2016085245A1 (en) 2014-11-26 2015-11-25 Light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201580061031.0A CN107148807B (zh) 2014-11-26 2015-11-25 照明装置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6626A KR102314643B1 (ko) 2014-11-26 2014-11-26 조명 장치 및 조명 장치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3077A KR20160063077A (ko) 2016-06-03
KR102314643B1 true KR102314643B1 (ko) 2021-10-19

Family

ID=56074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6626A KR102314643B1 (ko) 2014-11-26 2014-11-26 조명 장치 및 조명 장치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356884B2 (ko)
EP (1) EP3165057A4 (ko)
KR (1) KR102314643B1 (ko)
CN (1) CN107148807B (ko)
WO (1) WO20160852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98497B1 (en) * 2015-05-29 2018-08-01 Black & Decker Inc. Worklight
DE102016203530A1 (de) * 2016-03-03 2017-09-07 Osram Gmbh Leuchte mit eingebauten Netzwerkzugangspunkt und Beleuchtungsanlage mit einem drahtlosen Netzwerk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48643A1 (en) * 2010-04-09 2011-10-13 Richtek Technology Corporation Wireless Remote Control Lighting Unit and Wireless Remote Control Light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46671B2 (en) * 2002-12-19 2008-11-0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of configuration a wireless-controlled lighting system
US7088263B1 (en) * 2004-06-08 2006-08-08 Controlled Power Company Runway approach lighting system and method
US8829799B2 (en) * 2006-03-28 2014-09-09 Wireless Environment, Llc Autonomous grid shifting lighting device
CN201081098Y (zh) * 2007-06-11 2008-07-02 蚬壳电器工业(集团)有限公司 采用交流供电的交流和/或直流照明装置
WO2010063001A1 (en) 2008-11-26 2010-06-03 Wireless Environment, Llc Wireless lighting devices and applications
CN102246600B (zh) * 2008-12-09 2015-01-14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用于自动地将设备集成到联网的系统中的系统和方法
US9155167B2 (en) * 2009-10-01 2015-10-06 Ixys Intl Limited Registering a replaceable RF-enabled fluorescent lamp starter unit to a master unit
EP2498581B1 (en) * 2009-11-02 2017-03-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ghting control apparatus
US20120098650A1 (en) 2010-10-24 2012-04-26 Richard Landry Gray Device and Method For Setting Adjustment Control
US8890435B2 (en) * 2011-03-11 2014-11-18 Ilumi Solutions, Inc. Wireless lighting control system
KR101100228B1 (ko) * 2011-05-25 2011-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명 시스템 및 조명 시스템에서의 주소 설정, 관리 및 제어 방법
TWI486736B (zh) 2012-12-06 2015-06-01 Yu Sheng So 照明調控方法及設備
CN103068123A (zh) 2012-12-25 2013-04-24 生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可调节光照强度的led灯
WO2014138822A1 (en) 2013-03-15 2014-09-18 Kortek Industries Pty Ltd Wireless light pairing, dimming and control
KR102074950B1 (ko) 2013-08-13 2020-03-02 삼성전자 주식회사 조명 장치, 조명 제어 시스템 및 조명 장치의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48643A1 (en) * 2010-04-09 2011-10-13 Richtek Technology Corporation Wireless Remote Control Lighting Unit and Wireless Remote Control Light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3077A (ko) 2016-06-03
EP3165057A4 (en) 2018-03-14
EP3165057A1 (en) 2017-05-10
CN107148807B (zh) 2019-12-10
US10356884B2 (en) 2019-07-16
US20170325324A1 (en) 2017-11-09
CN107148807A (zh) 2017-09-08
WO2016085245A1 (en) 2016-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17251B2 (en) Digital messages in a load control system
US20160174320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lighting based on combination of inputs
US9514637B2 (en) Wireless two-way communication protocol for automated furniture accessory integration
US10123398B2 (en) Intelligent lighting control multi-switch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EP2974549B1 (en) Commissioning load control systems
EP2959750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lighting
CA2912230C (en) Dynamic configuration for a wireless peripheral device
TW201635253A (zh) 遙控燈具方法
KR101190063B1 (ko) 저전력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한 led 조명 제어 방법 및 시스템.
CN107004342B (zh) 照明控制设备和方法
US11038707B2 (en) Remote configuration of lighting power supply
KR102314643B1 (ko) 조명 장치 및 조명 장치의 제어 방법
WO2017186532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lighting device.
US20170068267A1 (en) Electrical device, network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18024956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 intelligent lighting system
US20170273164A1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intelligent lighting control
CN110073725B (zh) 用于控制电子设备的组件和方法
US20220264732A1 (en) A method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a group of lighting units
RU2732954C2 (ru)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осветительным устройством, выполненным с возможностью обеспечения функционального и/или атмосферного освещения
RU165571U1 (ru) Лампа с возможностью управления со смартфона или компьютера посредством звукового кодированного сигнала
GB2528297A (en) Improvements in building automation systems
CA2935725C (en) Wireless two-way communication protocol for automated furniture accessory integration
KR20220059525A (ko)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에서의 무선 디바이스들에 대한 중복 제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