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9525A -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에서의 무선 디바이스들에 대한 중복 제어 - Google Patents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에서의 무선 디바이스들에 대한 중복 제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9525A
KR20220059525A KR1020227011495A KR20227011495A KR20220059525A KR 20220059525 A KR20220059525 A KR 20220059525A KR 1020227011495 A KR1020227011495 A KR 1020227011495A KR 20227011495 A KR20227011495 A KR 20227011495A KR 20220059525 A KR20220059525 A KR 202200595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home automation
control
wpan
wl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1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버트 피. 마돈나
케빈 시. 킥라이터
스와프닐 보라
Original Assignee
사반트 시스템즈,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반트 시스템즈, 인크. filed Critical 사반트 시스템즈, 인크.
Publication of KR20220059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95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32Interconnection of the control functionalities between home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4Arrangements for maintain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2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based on user interaction within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34Switching of information between an external network and a hom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04W84/20Master-slave selection or change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dium used
    • H04L2012/2841Wirel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5Generic home appliances, e.g. refrig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서, WLAN 및 WPAN 통신의 조합을 사용하는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의 무선 디바이스들(예컨대, 무선 조명 기구들, 무선 조명 스트립들, 무선 창문 차양들, 또는 다른 무선 디바이스들)의 중복 제어를 위한 아키텍처가 제공된다.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의 정상 동작 동안, 제어 디바이스(예를 들어, 리모컨,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다른 전자 디바이스) 상의 제어 애플리케이션(앱)에서의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생성된 제어 커맨드들은 WLAN(예를 들어, Wi-Fi)을 통해 무선 디바이스에 근접한 브리지 디바이스(예를 들어, 램프 모듈 또는 무선 키패드)에 송신되고, 브리지 디바이스는 커맨드들을 WPAN(예를 들어, BLE)을 통해 무선 디바이스에 포워딩한다. 이용가능한 WLAN 연결의 부재 시에(예를 들어, 실패로 인해, 그것의 구성 이전에 등), 제어 디바이스는 WPAN(예를 들어, BLE)을 통해 무선 디바이스에 직접 제어 커맨드들을 송신할 수 있다.

Description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에서의 무선 디바이스들에 대한 중복 제어
관련 출원
본 출원은 Robert P. Madonna 등에 의해 2019년 9월 11일자로 출원된, 발명의 명칭이 "Redundant Control for Wireless Devices in a Home Automation System"인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899,004호의 이익을 주장하며, 그 내용들은 참조 문헌으로서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기술분야
본 개시내용은 일반적으로 디바이스 제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의 무선 디바이스들의 중복 제어를 위한 아키텍처에 관한 것이다.
홈들 및 다른 구조들이 더 커지고, 더 많은 디바이스들로 채워짐에 따라, 디바이스 제어는 점점 더 도전과제가 되고 있다.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들은 이러한 복잡성들을 관리하기 위해 점점 더 대중화되고 있다. 전형적으로,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들은 제어기들과 제어 대상인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조명 디바이스들, 전기 창문 차양들, 전자 도어 록들 등) 사이에서 통신하기 위해 유선 연결들(예를 들어, 이더넷, RS-232, DMX/RS-485 등)에 주로 의존하였다. 이러한 유선 연결은 신뢰성이 높았지만, 특히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을 기존의 구조물에 설치할 때, 상당한 설치 과제를 제기하였다. 설치자들은 전형적으로 디바이스들과 제어기들 각각 사이의 벽들을 통해 와이어들을 피싱(fishing)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 작업은 상당한 시간, 노력 및 비용을 요구하였다.
유선 연결들을 사용하는 설치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들의 디바이스들로 다양한 타입들의 무선 통신이 시도되었다. 일부 디바이스들은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인터페이스들(예를 들어, Wi-Fi 인터페이스들)로 구성되고, 하나 이상의 AP들(access points)(예를 들어, Wi-Fi AP들)에 의해 제공되는 홈 내 WLAN에 합류한다. 다른 디바이스들은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어댑터들(예컨대, BLE(Bluetooth Low Energy) 어댑터들)로 구성되고 단거리 WPAN을 통해 통신하도록 구성되었다. 사용 가능하지만, 각각의 접근법은 단점들을 갖는다.
WLAN 통신은 AP 장애, 낮은 신호 강도 및 다른 문제들로 인해 신뢰성이 없을 수 있다. WLAN이 이용가능하지 않을 때, 사용자는, 예를 들어, 조명 디바이스들을 조명하고, 자연광을 받아들이기 위해 전기 창문 차양들을 열고, 전기 도어록들로 도어들을 잠금해제하는 등을 위해,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에 의해 제어되는 디바이스들의 상태를 변경하지 못할 수 있다. 이것은 불편할 뿐만 아니라, WLAN 통신에서의 실패(예를 들어, AP 재부팅)를 해결하고 기능성을 복원하는 사용자의 능력을 방해할 수 있다. 또한, WLAN 통신의 사용은 홈 오토메이션 디바이스들의 설치를 복잡하게 할 수 있다. 기능하는 WLAN은 디바이스들의 초기 구성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구조에서 동작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특정 프로젝트 워크플로들에 대해 편리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새로운 구성에서, 조명 디바이스들이 설치되기 전에 기능하는 WLAN을 설정하는 것이 불편할 수 있다. 또한, WLAN 통신의 사용은 디바이스들에 대한 배터리 전력의 사용에 제한들을 부과한다. WLAN 어댑터(예를 들어, Wi-Fi 어댑터)는 상당한 전력 자원들을 소비할 수 있다. 이러한 요구들은 배터리 전력공급형 디바이스들로 충족시키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WPAN 통신은 그 자신의 문제들을 제시할 수 있다. 대부분의 WPAN 프로토콜들은 실세계 조건들(예를 들어, BLE에 대해 10 미터 이하) 하에서 짧은 동작 범위를 가지며, 구조물에서 장애물들(예를 들어, 벽들)을 잘 관통하지 못한다. 이와 같이, WPAN이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의 제어 디바이스와 무선 디바이스 사이에 사용될 때, 제어 디바이스는 전형적으로 상당히 근접해야 한다. WPAN만으로, 사용자는 구조물의 원격 방으로부터 또는 구조물 외부로부터 무선 디바이스를 제어하지 못할 수 있다.
다수의 아키텍처들이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려고 시도하였지만, 많은 이러한 아키텍처들은 바람직하지 않은 복잡성 및 유닛 비용을 추가하였다.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은 다수의 무선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복잡성 및 유닛 비용을 최소화하는 것이 매우 중요할 수 있다.
따라서,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의 무선 디바이스들의 제어를 위한 개선된 아키텍처가 필요하다. 아키텍처는 바람직하게는 일상적인 사용 동안 장거리 동작을 제공하면서, 또한 초기 설치 동안 높은 신뢰성 및 유연성을 제공할 것이다. 이러한 아키텍처가 상당한 복잡성 및 단위 비용을 추가하지 않았다면 더 바람직할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WLAN 및 WPAN 통신의 조합을 사용하는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의 무선 디바이스들(예컨대, 무선 조명 기구들, 무선 조명 스트립들, 무선 창문 차양들, 또는 다른 무선 디바이스들)의 중복 제어를 위한 아키텍처가 제공된다.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의 정상 동작 동안, 제어 디바이스(예를 들어, 리모컨,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다른 전자 디바이스) 상의 제어 애플리케이션(앱)에서의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생성된 제어 커맨드들은 WLAN(예를 들어, Wi-Fi)을 통해 무선 디바이스에 근접한 브리지 디바이스(예를 들어, 램프 모듈 또는 무선 키패드)에 송신되고, 브리지 디바이스는 커맨드들을 WPAN(예를 들어, BLE)을 통해 무선 디바이스에 포워딩한다. 이용가능한 WLAN 연결의 부재 시에(예를 들어, 실패로 인해, 그것의 구성 이전에 등), 제어 디바이스는 WPAN(예를 들어, BLE)을 통해 무선 디바이스에 직접 제어 커맨드들을 송신할 수 있다.
일상적인 동작 동안, 긴 범위의 WLAN 통신(예를 들어, Wi-Fi)이 달성될 수 있고, 이용가능한 WLAN이 없는 경우, 디바이스는 제어 디바이스를 근처에 가져옴으로써 여전히 WPAN을 사용하여 제어될 수 있다. 중복 하드웨어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예를 들어, 디바이스가 WLAN 인터페이스 및 WPAN 어댑터 둘 다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무선 디바이스의 복잡성 및 비용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브리지 디바이스는 브리징과 독립적으로 다른 유용한 홈 오토메이션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예를 들어, 브리징 기능들과 독립적으로, 램프 모듈은 조명 디바이스 제어 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키패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등), 브리징을 제공하는 증가 비용은 해소될 수 있다. (예컨대, Wi-Fi와 비교하여) WPAN(예컨대, BLE) 통신의 저전력 요구사항들을 고려할 때, 이 기법은 배터리 전력공급형 무선 디바이스들에 아주 적합할 수 있다.
각종의 부가의 특징들 및 대안의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이 요약은 단순히 독자에게 간략한 소개로서 의도되고,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예들이 본 발명의 모든 양태들을 커버하거나, 본 발명의 필요한 또는 필수적 양태들이라는 것을 나타내거나 암시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은 첨부 도면들을 참조한다.
도 1은 적어도 일부 무선 디바이스들의 중복 제어를 특징으로 할 수 있는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의 예시적인 아키텍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WPAN(예컨대, BLE)에의 무선 연결을 통해 제어 커맨드들을 수신할 수 있는 예시적인 무선 창문 차양의 블록도이다.
도 3은 WLAN 및 WPAN 통신의 조합을 사용하는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의 무선 디바이스들의 중복 제어를 위한 예시적인 단계들의 시퀀스의 흐름도이다.
정의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이라는 용어는 주거용 주택 또는 상업용 건물과 같은 구조물 내의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조명 디바이스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전기 창문 차양들, HVAC 디바이스들, 및/또는 다른 타입들의 디바이스들)을 제어할 수 있는 다양한 타입들의 홈 제어, "스마트 홈", 및/또는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들을 포괄하도록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라는 용어는 범용 운영 체제를 실행하고 해당 개인이 들고 다니도록 적용된 전자 디바이스를 지칭한다. 스마트폰들과 같은 디바이스들은 모바일 디바이스들로 간주되어야 한다. 데스크톱 컴퓨터들, 서버들, 또는 다른 주로-고정된 컴퓨팅 디바이스들은 일반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들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브리지 디바이스"라는 용어는, 상이한 무선 통신 프로토콜들을 이용하는 다수의 무선 인터페이스들/어댑터들을 포함하고 하나의 무선 통신 프로토콜(예를 들어, Wi-Fi)을 통해 제어 커맨드들을 수신하고 다른 무선 통신 프로토콜(예를 들어, BLE)을 통해 제어 커맨드들을 포워딩할 수 있는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의 디바이스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근접"이라는 용어는 다른 디바이스의 WPAN 어댑터의 동작 범위 내에 있는 특성을 지칭한다. 제2 디바이스의 WPAN 어댑터의 동작 범위 내에 있는 디바이스는 제2 디바이스에 근접한 것으로 간주된다. 제2 디바이스의 WPAN 어댑터의 동작 범위 내에 있지 않은 디바이스는 제2 디바이스에 근접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된다.
예시적인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아키텍처
도 1은 적어도 일부 무선 디바이스들의 중복 제어를 특징으로 할 수 있는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의 예시적인 아키텍처(100)의 블록도이다. 시스템의 코어에는, 홈 내 WLAN을 제공하는 AP(107), 예를 들어, Wi-Fi AP에 결국 결합되는 홈 내 유선 LAN(local area network)(105), 예를 들어, 이더넷 LAN에 결합된 호스트 제어기(110)가 있다.
호스트 제어기(110)는 디바이스들(120-142)의 동작들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고; UI 해석, 시스템 관리 및 모니터링을 제공하고; 클라우드 서비스들(180)과의 동기화를 수행하고; 활동 기록 서비스들을 제공하고; 활동 예측 서비스들을 제공하고; 및/또는 다른 타입들의 기능성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호스트 소프트웨어(111)를 집합적으로 저장하고 실행하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 저장 디바이스와 같은 하드웨어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호스트 제어기(110)는 또한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에 의해 제어되는 디바이스들(120-142)에 관한 정보, 및 디바이스들이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들뿐만 아니라, 리모컨들(140), 모바일 디바이스들(160), 및 디바이스들(120-142)을 제어하기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제공하는 다른 전자 디바이스들(170)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구성 정보를 저장하는 홈 데이터베이스(112)를 자신의 저장 디바이스에 유지할 수 있다.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에 의해 제어되는 디바이스들(120-142)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디바이스들(120-142)은 유선 LAN(105)과의 유선 연결(예를 들어, 이더넷 링크)을 통해, 상호연결 디바이스(126)(예를 들어, 적외선(IR) 블라스터) 또는 다른 타입의 유선 또는 무선 링크를 통해 제어 커맨드들을 수신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텔레비전들, 모니터들 등), A/V 디바이스 제어기들, 미디어 서버들, 오디오 증폭기들, 케이블 박스들 등과 같은 오디오 디바이스들(122) 및 비디오 디바이스들(124)(집합적으로 A/V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들(120-142)은 또한 유선 조명 기구들(128) 및 제어기들(135)(예를 들어, 제어를 위한 유선 연결들을 갖는 제어기들에 결합된 발광 다이오드(LED) 기구들); 무선 조명 기구들(129)(예를 들어, 제어를 위한 무선 연결들을 갖는 LED 기구들); 무선 조명 스트립들(130) 및 구동기들(132)(예를 들어, 제어를 위한 유선 연결을 갖는 구동기들에 결합된 LED 스트립들); 무선 조명 스트립들(131)(예를 들어, 제어를 위한 무선 연결들을 갖는 LED 조명 스트립들); 무선 램프 모듈들(133)(즉, 전기 코드(예를 들어, 가정용 120/240v 전기 코드)를 통해 램프(134)와 같은 조명원에 결합되고 무선 연결들을 통해 수신된 제어 커맨드들에 응답하여 하나 이상의 부착된 조명원로의 전력 흐름을 조절하는 모듈들) 등과 같은 조명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일부 조명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조명 제어기들(135))은 유선 연결을 통해 커맨드들을 수신하고 제어 신호들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 제어기들(135)은 유선 LAN(105)에 대한 이더넷 링크를 통해 커맨드들을 수신하고 하나 이상의 다른 유선 연결(예로서, DMX/RS-485, 2-와이어 0-10v 와이어링 등)을 통해 개별 조명 기구들(128) 및 조명 스트립들(130)에 제어 신호들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조명 디바이스들은 WLAN(예를 들어, Wi-Fi) 또는 WPAN(예를 들어, BLE)에 대한 무선 연결들을 통해 제어 커맨드들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램프 모듈들(133)은 WLAN(예를 들어, Wi-Fi)(105)에 대한 무선 연결을 통해 제어 커맨드들을 수신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또 다른 조명 디바이스들은 WPAN(예를 들어, BLE)을 통해 제어 커맨드들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조명 기구들(129) 및 무선 조명 스트립들(131)은 WPAN(예를 들어, BLE)을 통해 제어 커맨드들을 수신할 수 있다. 적어도 일부 조명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램프 모듈들(133))은 조명 기능에 더하여, 예를 들어 WLAN(예를 들어, Wi-Fi)을 통해 커맨드들을 수신하고 WPAN(예를 들어, BLE)을 통해 커맨드들을 무선 디바이스에 포워딩하는 브리징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디바이스들(120-142)은 또한 키패드들(136), 키패드 제어기들(138) 및 무선 키패드들과 같은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키패드들(136))은 상태 변경들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유선 연결들(예를 들어, RS-485)을 통해 다른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키패드 제어기들(138))에 제어 커맨드들을 제공하며, 다른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들은 다른 유선 연결들(예를 들어, LAN(105))을 통해 제어 커맨드들을 변환 및 포워딩한다. 다른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들은 상태 변경들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WLAN(예로서, Wi-Fi)과 같은 무선 연결들을 통해 제어 커맨드들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키패드(137)는 WLAN(예를 들어, Wi-Fi)(105)에 대한 무선 연결을 통해 제어 커맨드들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들은 상태 변경들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조명 기구(128)와 같은 하나 이상의 부착된 조명원에 직접 결합되고, 그것으로의 전력 흐름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키패드(137)는 더 많은 조명 기구들(128)에 (예를 들어, 가정용 120/240v 와이어링을 통해) 결합되고 그것들로의 전력 흐름을 조절할 수 있다. 적어도 일부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무선 키패드(137))은, 예를 들어, WLAN(예를 들어, Wi-Fi)을 통해 커맨드들을 수신하고 WPAN(예를 들어, BLE)을 통해 커맨드들을 무선 디바이스에 포워딩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능(및 잠재적으로 조명 디바이스 제어 기능)에 더하여 브리징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디바이스들(120-142)은 또한 모터 및/또는 릴레이 동작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모터 및/또는 릴레이 동작 디바이스(예를 들어, 차양 제어기(142))들은 유선 연결들을 통해 커맨드들을 수신하고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양 제어기(142)는 유선 LAN(105)에 대한 이더넷 링크를 통해 커맨드들을 수신하고, 다른 유선 연결들(예를 들어, RS-485)을 통해 개별 창문 차양들(140)과 인터페이스할 수 있다. 다른 모터 및/또는 릴레이 동작 디바이스들은 무선 연결들을 통해, 예를 들어 WPAN(예를 들어, BLE)을 통해 제어 커맨드들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차양들(141)은 WPAN(예를 들어, BLE)에 대한 무선 연결을 통해 제어 커맨드들을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WPAN 신호들은 WLAN(예를 들어, Wi-Fi)을 통해 커맨드들을 수신하고 그 커맨드들을 WPAN을 통해 디바이스에 포워딩하는 디바이스에 근접한 브리지 디바이스(예를 들어, 램프 모듈(133) 또는 무선 키패드(137))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WPAN(BLE) 무선 조명 디바이스들(예컨대, 무선 조명 기구들(129), 및 무선 조명 스트립(131)) 및 무선 모터 및/또는 릴레이 동작 디바이스들(예컨대, 무선 창문 차양들(141))에 부가하여, 각종의 다른 타입들의 무선 디바이스들(예컨대, 보안 디바이스들, HVAC(heating ventilation and cooling) 디바이스들,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들, 전자 도어록들 등)이 WPAN(예컨대, BLE)을 통해 제어 커맨드들을 수신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사용자는 리모컨(150)을 사용하여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100)의 디바이스들(120-142)을 제어할 수 있다. 리모컨(150)은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 스크린, 물리적 버튼들, WLAN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Wi-Fi 인터페이스), WPAN 어댑터(예를 들어, BLE 어댑터), 프로세서, 호스트 제어기(110) 및 클라우드 서비스들(180)과 인터페이스하도록 구성된 제어 앱을 저장하고 실행하는 메모리 및 저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리모컨(150) 상의 제어 앱은, 다른 기능성 중에서,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100)의 디바이스들(120-142)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커맨드들을 트리거하기 위한 스크린들을 갖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60)를 사용하여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100)의 디바이스들(120-142)을 제어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60)는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 스크린, WLAN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Wi-Fi 인터페이스), WPAN 어댑터(예를 들어, BLE 어댑터), 프로세서, 호스트 제어기(110) 및/또는 클라우드 서비스들(180)과 인터페이스하도록 구성된 제어 앱(162)을 저장하고 실행하는 메모리 및 저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60) 상의 제어 앱은 다른 기능성 중에서,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100)의 디바이스들(120-142)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커맨드들을 트리거하기 위한 스크린들을 갖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태블릿 컴퓨터, 전용 터치 스크린 유닛, 또는 다른 전자 디바이스(170)를 사용하여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100)의 디바이스들(120-142)을 제어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70)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예를 들어, 터치 감지, 비-터치 감지 등), 입력 디바이스, WLAN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Wi-Fi 인터페이스), WPAN 어댑터(예를 들어, BLE 어댑터), 프로세서, 호스트 제어기(110) 및/또는 클라우드 서비스들(180)과 인터페이스하도록 구성된 제어 앱(162)을 저장하고 실행하는 메모리 및 저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70) 상의 제어 앱은 다른 기능성 중에서,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100)의 디바이스들(120-142)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커맨드들을 트리거하기 위한 스크린들을 갖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시할 수 있다.
일부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호스트 제어기(110), 모바일 디바이스(160), 다른 전자 디바이스(170) 등)은 인터넷(175)을 통해 클라우드 서비스들(180) 및 그것의 호스트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들(API들)(182) 및 모바일 API들(184)과 통신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비스들(180)은 홈 오토메이션 제어부에 대한 원격 액세스; 예를 들어, 구성 데이터베이스(186)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홈 데이터베이스(130)의 지속적인 백업; 예를 들어, 제3자 어댑터들(188)을 통한, 제3자 인프라스트럭처에 대한 인터페이스들; 예를 들어,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89)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사용자 프로파일들 및 사용 추적; 무선(over-the-air) 업데이트들을 위한 메커니즘; 호스트 충돌 보고; 라이센스 관리뿐만 아니라 다양한 다른 기능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WPAN(예컨대, BLE)에 대한 무선 연결을 통해 제어 커맨드들을 수신할 수 있는 무선 창문 차양(141)의 블록도이다. 무선 창문 차양(141)은 외부 또는 내부에 있을 수 있는 전력 공급부(210)(예를 들어, AC/DC 전력 공급부), 및 전력을 적절한 전압 및 전류로 변환하는 전력 변환기(220)를 이용한다. 전력은 모터 제어 프로세서(240) 및 안테나(260)에 결합된 무선 어댑터(250)를 포함하는 제어기 보드(230)에 공급된다. 무선 어댑터(250)는 안테나(260)를 통해 수신된 제어 커맨드들을 취하고 이들을 병렬 또는 직렬 통신(예를 들어, I2C, SPI, UART 등)을 통해 모터 제어 프로세서(240)에 전달하는 WPAN(예를 들어, BLE)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고, 모터 제어 프로세서(240)는 변환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이들을 차양 어셈블리(도시되지 않음)에 부착된 모터(270)를 구동하고, 차양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해 특정 지속기간 동안 특정 속력을 갖는 특정 방향으로 모터를 회전시키기 위한 신호들로 변환한다. 모터(270)는 디지털 모터 또는 다른 타입의 제어가능한 모터일 수 있다.
도 3은 WLAN 및 WPAN 통신의 조합을 사용하는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의 무선 디바이스들의 중복 제어를 위한 예시적인 단계들의 시퀀스의 흐름도이다. 단계(310)에서, 무선 디바이스(예를 들어, 무선 조명 기구(129), 무선 조명 스트립(131), 무선 창문 차양(141) 또는 다른 무선 디바이스(142))에 대한 상태 변경을 요청하는 입력이 제어 디바이스(예를 들어, 리모컨(150), 모바일 디바이스(160), 또는 다른 전자 디바이스(170))에서 실행되는 제어 앱의 GUI에서 사용자로부터 수신된다. 단계(320)에서, 제어 앱은 사용될 수 있는 무선 디바이스와 별개이지만 근접한 브리지 디바이스(예를 들어, 램프 모듈(133) 또는 무선 키패드(137))에 이용가능한 WLAN 연결(예를 들어, Wi-Fi 연결)이 있는지를 결정한다. 있는 경우, 단계(330)에서, 제어 앱은 제어 디바이스로 하여금 무선 디바이스에 근접한 브리지 디바이스(예를 들어, 램프 모듈(133) 또는 무선 키패드(137))에 제어 커맨드들을 송신하게 한다. 단계(340)에서, 브리지 디바이스(예를 들어, 램프 모듈(133) 또는 무선 키패드(137))는 WPAN(예를 들어, BLE)을 통해 제어 커맨드들을 변환하여 무선 디바이스에 포워딩한다. 단계(350)에서, 무선 디바이스의 WPAN 어댑터(예를 들어, BLE 어댑터)는 제어 커맨드들을 수신하고, 이들을 원하는 상태 변경을 구현하는 적절한 회로에(예를 들어, 무선 창문 차양(141)에서 모터(270)를 구동하는 모터 제어 프로세서(250)로) 포워딩한다. 그 후 시스템은 대기하고 사용자로부터 GUI에서 추가 입력이 수신될 때 단계(310)로 루프백하고, 단계들이 반복된다.
단계(320)로 돌아가서, 이용 가능한 WLAN의 부재 시에(예를 들어, 실패로 인해, 그것의 구성 전에, 기타 등등으로 인해), 실행은 단계(360)로 진행하고, 여기서 제어 앱은 제어 디바이스로 하여금 WPAN(예를 들어, BLE)을 통해 무선 디바이스에 직접 제어 커맨드들을 송신하도록 시도하게 한다. 제어 디바이스가 무선 디바이스에 근접하면, 이러한 시도는 성공해야 한다. 그렇게 가정하면, 단계(370)에서, 무선 디바이스의 WPAN 어댑터(예를 들어, BLE 어댑터)는 제어 커맨드들을 수신하고, 이들을 원하는 상태 변경을 구현하는 적절한 회로에(예를 들어, 무선 창문 차양(141)에서 모터(270)를 구동하는 모터 제어 프로세서(250)로) 포워딩한다. 그 후 시스템은 대기하고 사용자로부터 GUI에서 추가 입력이 수신될 때 단계(310)으로 루프백하고, 단계들이 반복된다.
요약하면, WLAN 및 WPAN 통신의 조합을 사용하는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의 무선 디바이스들의 중복 제어를 위한 아키텍처가 제공된다. 위의 설명은 소정의 특정 예들을 사용하지만, 이에 대해 다수의 수정들 및/또는 추가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해야 한다.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예를 들어, 무선 조명 기구(129), 무선 조명 스트립(131), 무선 창문 차양(141) 또는 다른 무선 디바이스(142))에 대한 WPAN(예를 들어, BLE) 통신이, 예를 들어, 실패로 인해, 이용 가능한 WLAN 연결(예를 들어, Wi-Fi 연결)의 부재 시에 중복성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위에 논의되었지만, WPAN은 이용 가능한 WLAN 연결이 있더라도 때때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치자는 초기 구성 동안 설정들(예를 들어, 제한들, 속도, 방향 등)을 구성하기 위해 설치자 제어 디바이스(예를 들어, 설치자에 의해 동작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다른 전자 디바이스)와 무선 디바이스 사이에 WPAN(예를 들어, BLE)을 사용할 수 있다. 시스템의 최종 사용자는 추후에, WPAN(예컨대, BLE)을 통해 무선 디바이스로 포워딩되는 제어 커맨드들을 WLAN(예컨대, Wi-Fi)을 통해 무선 디바이스에 근접한 브리지 디바이스로 전송하기 위해 그들의 제어 디바이스를 주로 사용함으로써 무선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기술들은, 이용가능한 WLAN 연결(예를 들어, Wi-Fi 연결)이 있더라도, 확장 가능한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의 일부로서 초기 옵션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은 초기에 제어 디바이스와 무선 디바이스 사이에서 WPAN(예를 들어, BLE)을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후속 시간에,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100)은 브리지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램프 모듈들(133) 또는 무선 키패드들(137)) 및 잠재적으로 다른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호스트 제어기(110))을 추가하도록 업그레이드될 수 있고, 제어 디바이스와 무선 디바이스 사이의 통신은 WLAN(예를 들어, Wi-Fi)을 통한 무선 디바이스에 근접한 브리지 디바이스로의 송신 및 WPAN(예를 들어, BLE)을 통한 무선 디바이스로의 포워딩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명은 WPAN 프로토콜의 예로서 BLE를 논의하지만, WPAN은 매우 다양한 다른 프로토콜들, 예를 들어 통상의 블루투스, IrDA, 무선 USB, ZigBee, 및 다른 프로토콜들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추가로, 전술된 많은 동작 및 단계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포함한 비일시적 전자 디바이스-판독가능한 매체로서 구현된)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비일시적 전자 디바이스 판독가능 매체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와 같은 메모리, 하드 드라이브 또는 플래시 디바이스와 같은 디스크, 또는 다른 유형의(tangible) 저장 매체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위의 설명들은 예로서만 취해지는 것을 의도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청구되는 것은 다음과 같다:

Claims (20)

  1.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에서의 무선 디바이스의 제어를 위한 방법으로서,
    제어 디바이스 상에서 실행되는 제어 애플리케이션(앱)에 의해,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상태 변경을 요청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에서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근접하지만 별개인 상기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의 브리지 디바이스에 대한 이용가능한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WLAN) 연결이 있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브리지 디바이스에 대한 가용성 WLAN 연결이 있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WLAN 연결을 통해 상기 제어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브리지 디바이스로 제어 커맨드들을 송신하는 단계 - 상기 브리지 디바이스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상태 변경을 구현하게 하기 위해 무선 개인 영역 네트워크(WPAN)를 통해 상기 무선 디바이스로 상기 제어 커맨드들을 변환 및 포워딩함 -; 및
    상기 브리지 디바이스에 대한 이용가능한 WLAN 연결의 부재에 응답하여, 상기 무선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상태 변경을 구현하게 하기 위해 WPAN을 통해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직접 제어 커맨드들을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에서의 무선 디바이스의 제어를 위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별개인 브리지 디바이스는 브리징에 독립적인 적어도 하나의 다른 홈 오토메이션 기능을 제공하는,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에서 무선 디바이스의 제어를 위한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리지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부착된 조명원들로의 전력 흐름을 제어하는 램프 모듈이고, 상기 브리징에 독립적인 적어도 하나의 다른 홈 오토메이션 기능은 상기 하나 이상의 부착된 조명원들로의 전력 흐름을 조절하는 것을 포함하는 조명 디바이스 제어 기능인,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에서의 무선 디바이스의 제어를 위한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리지 디바이스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키패드이고, 상기 브리징에 독립적인 적어도 하나의 다른 홈 오토메이션 기능은 상태 변경들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 및 이에 응답하여 제어 커맨드들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능인,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에서의 무선 디바이스의 제어를 위한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는 WLAN 인터페이스가 없는 배터리 전력공급형 디바이스인,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에서의 무선 디바이스의 제어를 위한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는 무선 조명 기구, 무선 조명 스트립 및 무선 창문 차양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디바이스인,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에서의 무선 디바이스의 제어를 위한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모바일 디바이스인,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에서의 무선 디바이스의 제어를 위한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WLAN은 Wi-Fi 네트워크이고, 상기 WPAN은 블루투스 저에너지(BLE) 네트워크인,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에서의 무선 디바이스의 제어를 위한 방법.
  9.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에서의 무선 디바이스의 제어를 위한 브리지 디바이스로서,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WLAN)에 연결하고, 제어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상태 변경을 요청하는 제어 커맨드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1 무선 인터페이스;
    무선 개인 영역 네트워크(WPAN)에 연결하고 상기 상태 변경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제어 커맨드들을 무선 디바이스에 포워딩하도록 구성된 제2 무선 인터페이스; 및
    브리징에 독립적인 적어도 하나의 다른 홈 오토메이션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회로 - 상기 브리징에 독립적인 적어도 하나의 다른 홈 오토메이션 기능은 하나 이상의 부착된 조명원들에 대한 전력 흐름을 조절하는 것을 포함하는 조명 디바이스 제어 기능, 및 상태 변경들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그에 응답하여 제어 커맨드들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능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됨 -
    를 포함하는,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에서의 무선 디바이스의 제어를 위한 브리지 디바이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브리지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부착된 조명원들에의 전력 흐름을 제어하는 램프 모듈이고, 상기 브리징에 독립적인 적어도 하나의 다른 홈 오토메이션 기능은 상기 조명 디바이스 제어 기능인,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에서의 무선 디바이스의 제어를 위한 브리지 디바이스.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브리지 디바이스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키패드이고, 상기 브리징에 독립적인 적어도 하나의 다른 홈 오토메이션 기능은 상태 변경들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 및 이에 응답하여 제어 커맨드들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능인,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에서의 무선 디바이스의 제어를 위한 브리지 디바이스.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는 무선 조명 기구, 무선 조명 스트립 및 무선 창문 차양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디바이스인,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에서의 무선 디바이스의 제어를 위한 브리지 디바이스.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모바일 디바이스인,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에서의 무선 디바이스의 제어를 위한 브리지 디바이스.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WLAN은 Wi-Fi 네트워크이고, 상기 WPAN은 블루투스 저에너지(BLE) 네트워크인,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에서의 무선 디바이스의 제어를 위한 브리지 디바이스.
  15. 소프트웨어가 저장된 비일시적 전자 디바이스 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소프트웨어는, 하나 이상의 전자 디바이스 상에서 실행될 때: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의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상태 변경을 요청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에서의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근접하지만 별개인 상기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의 브리지 디바이스에 대한 이용가능한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WLAN) 연결이 있는지를 결정하고;
    상기 브리지 디바이스에 대한 가용성 WLAN 연결이 있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WLAN 연결을 통해 상기 브리지 디바이스에 제어 커맨드들을 송신하고 - 상기 브리지 디바이스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상태 변경을 구현하게 하기 위해 무선 개인 영역 네트워크(WPAN)를 통해 상기 무선 디바이스로 상기 제어 커맨드들을 변환 및 포워딩함 -;
    상기 브리지 디바이스에 대한 이용가능한 WLAN 연결의 부재에 응답하여, 상기 무선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상태 변경을 구현하게 하기 위해 WPAN을 통해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직접 제어 커맨드들을 송신하도록
    동작 가능하고, 상기 별개인 브리지 디바이스는 또한 하나 이상의 부착된 조명원들에 대한 전력 흐름을 조절하는 것을 포함하는 조명 디바이스 제어 기능, 또는 상태 변경들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 및 그에 응답하여 제어 커맨드들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능을 제공하는, 비일시적 전자 디바이스 판독가능 매체.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브리지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부착된 조명원들로의 전력 흐름을 제어하는 램프 모듈이고, 상기 램프 모듈은 상기 하나 이상의 부착된 조명원들로의 전력 흐름을 조절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조명 디바이스 제어 기능을 제공하는, 비일시적 전자 디바이스 판독가능 매체.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브리지 디바이스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키패드이고, 상기 키패드는 상태 변경들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그에 응답하여 제어 커맨드들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능을 제공하는, 비일시적 전자 디바이스 판독가능 매체.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는 무선 조명 기구, 무선 조명 스트립 및 무선 창문 차양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디바이스인, 비일시적 전자 디바이스 판독가능 매체.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전자 디바이스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비일시적 전자 디바이스 판독가능 매체.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WLAN은 Wi-Fi 네트워크이고 상기 WPAN은 블루투스 저 에너지(BLE) 네트워크인, 비일시적 전자 디바이스 판독가능 매체.
KR1020227011495A 2019-09-11 2020-09-11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에서의 무선 디바이스들에 대한 중복 제어 KR2022005952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899004P 2019-09-11 2019-09-11
US62/899,004 2019-09-11
PCT/US2020/050304 WO2021050811A1 (en) 2019-09-11 2020-09-11 Redundant control for wireless devices in a home automation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9525A true KR20220059525A (ko) 2022-05-10

Family

ID=72659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1495A KR20220059525A (ko) 2019-09-11 2020-09-11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에서의 무선 디바이스들에 대한 중복 제어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936492B2 (ko)
EP (1) EP4029200A1 (ko)
JP (1) JP2022548012A (ko)
KR (1) KR20220059525A (ko)
CN (1) CN114651466A (ko)
AU (1) AU2020347245A1 (ko)
CA (1) CA3153778A1 (ko)
IL (1) IL291210A (ko)
WO (1) WO2021050811A1 (ko)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26408B1 (en) 2005-03-14 2010-11-02 Ozmo,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grating short-rang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for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infrastructure
US10333731B2 (en) 2005-06-09 2019-06-25 Whirlpool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vely coupling internal components within appliances, and appliances with external components and accessories
US8649386B2 (en) 2007-09-11 2014-02-11 Prodea Systems, Inc Multi-interface wireless adapter and network bridge
US8190275B2 (en) 2008-09-26 2012-05-29 Michael Alan Chang Peer-to-peer home automation management
US8724639B2 (en) 2010-02-26 2014-05-13 Mohamed K. Mahmoud Smart home hub
US9191230B2 (en) 2010-06-03 2015-11-17 Savant Systems, Llc Docking station with redundant communication path
US9019083B2 (en) 2010-09-22 2015-04-28 Savant Systems, Llc Programmable multimedia control system having a tactile remote control
BR112014010970A2 (pt) 2011-11-07 2017-06-06 Kortek Ind Pty Ltd sistema adaptável sem fio de energia, luz e automação
US9137350B2 (en) * 2013-03-13 2015-09-15 Ecolink Intelligent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with battery-powered electronic devices
US9800429B2 (en) * 2013-03-15 2017-10-24 Smartbotics Inc. Adaptive home and commercial automation devices, methods and systems based on the proximity of controlling elements
WO2015001041A1 (en) 2013-07-05 2015-01-08 Lyse Smart As A gateway system for facilitating the interoperability between different service domains and a multitude of communication protocols within and outside a home network
CN106464551A (zh) * 2014-01-06 2017-02-22 魅力能源公司 一种使用网络装置和基于遥感的信息来协调环境的系统、装置和设备
US9325516B2 (en) 2014-03-07 2016-04-26 Ubiquiti Networks, Inc. Power receptacle wireless access point devices for networked living and work spaces
US10194296B2 (en) 2014-08-11 2019-01-29 iDevices, LLC Multifunction pass-through wall power plug with communication relay and related method
US10951712B2 (en) 2015-01-05 2021-03-16 iDevices, LLC IoT communications bridging power switch
US9806900B2 (en) * 2015-10-05 2017-10-31 Savant Systems, Llc Wireless provisioning and configuring of hardware elements of a home automation system
US10042339B2 (en) * 2015-10-05 2018-08-07 Savant Systems, Llc Cloud-synchronized architecture for a home automation system
KR102478245B1 (ko) * 2016-06-09 2022-1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마트홈 컨트롤러 냉장고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US10375035B2 (en) 2016-09-22 2019-08-06 Apple Inc. Coexistence management for multiple wireless devices by a wireless network device
CA3049120A1 (en) * 2017-01-03 2018-07-12 Brilliant Home Technology, Inc. Home device controller with a touch control groove
US11109425B2 (en) * 2018-08-24 2021-08-31 Ledvance Llc Bluetooth low energy backed smart lighting system
CN112352204A (zh) * 2018-10-08 2021-02-09 谷歌有限责任公司 简要传达智能电器状态
US10594990B1 (en) * 2018-11-07 2020-03-17 Amazon Technologies, Inc. Reporting connectivity problems for electronic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936492B2 (en) 2024-03-19
WO2021050811A1 (en) 2021-03-18
EP4029200A1 (en) 2022-07-20
US20210075637A1 (en) 2021-03-11
AU2020347245A1 (en) 2022-03-31
CA3153778A1 (en) 2021-03-18
CN114651466A (zh) 2022-06-21
IL291210A (en) 2022-05-01
JP2022548012A (ja) 2022-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10840B1 (en) Intelligent lighting control system automated adjustment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US10694611B2 (en) Network power switch
US10172082B2 (en) Power optimized video for smart home ecosystem
US11171803B2 (en) Smart home communications architecture
US9110848B1 (en) Backup-instructing broadcast to network devices responsive to detection of failure risk
EP2988185B1 (en) Smart home system and control method
US20120019162A1 (en) Modular wireless lighting control system using a common ballast control interface
CN102647825A (zh) 基于数字可寻址照明接口通信控制照明的装置和方法
EP3132593B1 (en) Controlling intelligent powered devices
US11032089B2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power delivery and fixture operation for power over ethernet systems
US20240097932A1 (en) Bridging mesh device controller for implementing a scene
JP2022547320A (ja) 多様なホームオートメーションシステムにおけるサーカディアン照明
CN112136297A (zh) 用于控制和能量管理的智能灯开关/恒温器
JP6328337B2 (ja) アプライアンスにおける電力使用の制御
US10616981B2 (en) Smart LED lighting system and method
WO2015121662A1 (en) Remote control system for electrical appliances
US11936492B2 (en) Redundant control for wireless devices in a home automation system
US2016033679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power sources for a plurality of luminaires
KR20180063104A (ko)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디바이스 전력 최적화
GB2528297A (en) Improvements in building automation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