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4120B1 - 침입감지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침입감지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4120B1
KR102314120B1 KR1020190136847A KR20190136847A KR102314120B1 KR 102314120 B1 KR102314120 B1 KR 102314120B1 KR 1020190136847 A KR1020190136847 A KR 1020190136847A KR 20190136847 A KR20190136847 A KR 20190136847A KR 102314120 B1 KR102314120 B1 KR 1023141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inaudible frequency
intrusion
inaudible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6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2721A (ko
Inventor
김현국
김상현
김석주
박태훈
김지현
박준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원
Priority to KR1020190136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4120B1/ko
Publication of KR20210052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27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4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41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mechanical vibrations in air or other fluid
    • G08B13/165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mechanical vibrations in air or other fluid using passive vibration detect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ement Of Velocity Or Position Using Acoustic 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본 기술은 침입감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기술의 구현 예에 따르면, 별도의 센서를 설치하는 비용 없이 가정 등에 설치된 스피커와 마이크를 이용하여 침입을 감지할 수 있는 침입감지 시스템 및 방법의 제공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침입감지 시스템 및 방법. {Intrusion Detection System and method}
침입감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가청 시그널링을 기반으로 침입 여부를 감지하는 침입감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 시큐리티 시스템에서의 움직임 검출을 통한 침입 분석에서는 가정 등의 내부에 여러 개의 센서와 통신기기를 설치가 필요하였다. 이와 같이 침입 감지 용도의 별개 센서와 통신기기의 설치는 고가의 기기 비용과 설치 비용이 발생하는 내재적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종래기술인 한국등록특허 제10-1573475호 침입감지시스템 및 침입감지방법은 가속도센서로부터의 출력신호에 따라 침입을 감지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나 별도의 가속도센서를 설치하여야 하는 등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1. 한국등록특허 제10-1573475호 (침입감지시스템 및 침입감지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정 등에 설치된 스피커와 마이크 장비를 이용한 비가청 시그널링으로 침입자의 움직임을 검출하여 침입을 감지할 수 있는 침입감지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비가청 주파수 채널을 설정하는 채널설정부; 설정된 상기 비가청 주파수 채널에 따라 스피커를 작동하도록 하여 비가청 주파수 신호를 송신하는 신호송신부; 신호송신부로부터 송신된 상기 비가청 주파수 신호를 마이크를 통해 수신하는 신호수신부; 및 상기 신호수신부에서 수신한 비가청 주파수 신호로부터 침입 패턴을 검출하여 침입여부를 감지하는 침입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채널설정부는 상기 비가청 주파수 채널을 변경 설정함에 따라 상기 신호수신부에 수신되는 비가청 주파수 신호를 비교 분석하여 복수의 비가청 주파수 채널 중에서 침입 감지에 이용할 유효 비가청 주파수 채널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채널설정부는 상기 유효한 비가청 주파수 채널을 신호대 잡음비에 따라 설정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채널설정부는 상기 유효한 비가청 주파수 채널을 신호대 간섭비 및 잡음비에 따라 설정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피커 및 상기 마이크가 설치된 주변 온도를 측정하여 상기 침입감지부에 제공하는 온도측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침입감지부는 상기 온도측정부로부터 제공받은 온도에 따른 음파속도와 검출한 상기 침입 패턴의 주파수에 따라 침입 거리를 산출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따른 침입감지 방법은 비가청 주파수 채널을 설정하는 단계; 설정된 상기 비가청 주파수 채널에 따라 스피커를 작동하여 비가청 주파수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비가청 주파수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에서 송신된 비가청 주파수 신호를 마이크로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비가청 주파수 신호를 마이크로 수신하는 단계에서 수신한 비가청 주파수 신호로부터 침입 패턴을 검출하여 침입여부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비가청 주파수 채널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비가청 주파수 채널을 변경 설정함에 따라 상기 비가청 주파수 신호를 마이크로 수신하는 단계에서 수신하는 비가청 주파수 신호를 비교 분석하여 복수의 비가청 주파수 채널 중에서 침입 감지에 이용할 유효 비가청 주파수 채널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가청 주파수 채널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유효 비가청 주파수 채널을 신호대 잡음비에 따라 설정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가청 주파수 채널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유효 비가청 주파수 채널을 신호대 간섭비 및 잡음비에 따라 설정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피커 및 상기 마이크가 설치된 주변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침입여부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주변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에서 측정된 온도에 따른 음파속도와 상기 침입여부를 감지하는 단계에서 검출된 침입 패턴의 주파수에 따라 침입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 센서 없이 가정 등에 설치된 스피커와 마이크를 이용하여 침입을 감지함으로써 추가로 별도 센서 및 그에 대한 설치 비용을 소요하지 않고 침입을 감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비가청 주파수 영역에 관한 그래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입감지 시스템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3은 인공지능 스피커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입감지 시스템의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5는 주파수 영역에 따른 수신신호의 세기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6은 주파수 영역에 따른 수신신호를 신호대 잡음비(SNR) 그래프 및 신호대 간섭비 및 잡음비(SINR) 그래프로 변환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처리 구조의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침입감지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시스템이란 통상적인 입출력장치와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정보처리장치를 포함하여 구성 될 수 있으며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도 1은 비가청 주파수 영역에 관한 그래프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서는 비가청 주파수를 이용하여 침입여부를 감지한다. 비가청 주파수는 사람은 들을 수 없으면서 스피커에서 신호 송신이 가능하고, 마이크에서도 신호 수신이 가능하다. 비가청주파수는 예를 들면 일반적으로 사람이 들을 수 있는 20Hz에서 18.5KHz의 가청주파수 영역을 제외한 주파수 영역을 말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입감지 시스템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채널설정부(100)는 비가청 주파수 채널을 설정한다. 주파수 채널은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일정 주파수 간격을 가질 수도 있다. 채널설정부(100)는 여러 비가청 주파수 채널을 변경 설정할 수 있고, 여러 비가청 주파수를 스윕하여 비가청 주파수의 스캔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채널설정부(100)는 비가청 주파수 채널 변경 설정함에 따라 신호수신부(300)에 수신되는 비가청 주파수 신호에 따라 복수의 비가청 주파수 채널 중에서 침입 감지에 이용할 유효 비가청 주파수 채널을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채널설정부(100)은 침입감지를 시작할 때 신호송신부(200)로 하여 설정된 유효 비가청 주파수 채널에 따른 비가청 주파수 신호를 송신하게 할 수 있다.
신호송신부(200)는 채널설정부(100)에 의해 설정된 비가청 주파수 채널에 따라 스피커(10)를 작동하도록 하여 비가청 주파수 신호를 송신한다. 예를 들면 스피커(10)는 통신사 등에서 보급하는 인공지능 스피커에 포함된 스피커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송신 신호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연속파 또는 펄스파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연속파는 구현상 용이하며, 펄스파는 정밀 거리 분석이 가능한 특성이 있다. 연속파 또는 펄스파는 비가청 주파수 신호성분과 곱해져 스피커(10)를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신호수신부(300)는 신호송신부(200)에 의해 송신된 비가청 주파수 신호를 마이크(30)를 통해 수신한다. 예를 들면 마이크(30)는 인공지능 스피커에 포함된 것일 수 있다.
마이크(30)를 통해 수신된 신호는 송신에 적용된 비가청 주파수 성분과 곱해지고 이를 저역통과 필터를 통과 후 적분기를 통해 신호를 축적한 후 채널설정부(100) 및 침입감지부(400)에 제공되어 침입 감지에 이용할 유효 비가청 주파수 채널 설정하거나 침입 패턴을 검출하여 침입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침입감지부(400)는 신호수신부(300)에서 수신한 비가청 주파수 신호에서 침입 패턴을 검출하여 침입여부를 감지한다. 예를 들면, 침입 패턴은 침입 시 발생하여 신호수신부(300)에 수신되는 비가청 주파수의 일정한 역치 값 이상의 급격한 변동일 수 있다.
침입감지부(400)는 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털 신호처리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유무선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제공받은 신호를 서버에 전송 후 서버에서 신호의 분석 처리를 하도록 할 수도 있다.
우수한 침입감지 성능확보를 위해서는 적절한 비가청 주파수 채널 q를 선택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채널설정부(100)는 유효한 비가청 주파수 채널을 신호대 잡음비에 따라 설정하는 것일 수 있고, 신호대 간섭비 및 잡음비에 따라 설정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채널설정부(100)는 비가청 주파수 채널 스캔에 따라 신호대 잡음비가 최대인 비가청 주파수 채널을 유효한 비가청 주파수 채널로 설정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채널설정부(100)는 비가청 주파수 채널 스캔에 따라 신호대 간섭비 및 잡음비가 최대인 비가청 주파수 채널을 유효한 비가청 주파수 채널로 설정하는 것일 수 있다.
온도측정부(500)는 스피커(10) 및 마이크(30)가 설치된 주변 온도를 측정하여 침입감지부(400)에 제공한다.
침입감지부(400)는 온도측정부(500)로부터 제공받은 온도에 따른 음파속도와 검출한 침입 패턴의 주파수에 따라 침입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도 3은 인공지능 스피커의 구조를 도시한다.
인공지능 스피커(5)는 DAC를 포함하는 스피커(10), ADC를 포함하는 마이크(30), 디지털 신호 처리장치(50), 무선통신 모듈(60)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무선통신 모듈(60)은 유선통신 모듈로 대체될 수 있다. 스피커와 마이크의 개수는 구조에 따라 하나이거나 여러 개로 구성이 가능하다.
스피커(10)는 연속파 또는 펄스파를 비가청 주파수 신호 성분과 곱하여 DAC(20)를 통해 송신할 수 있다.
마이크(30)는 수신한 시그널을 ADC(40)를 거쳐 디지털 신호 처리장치(50)에 제공하여 디지털 신호 처리장치(50)는 마이크(30)로부터 제공받은 신호를 처리하거나 무선통신 모듈(60)을 통해 서버 등으로 송신하여 처리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예시한 인공지능 스피커(5)의 작동을 소프트웨어적으로나 하드웨어적으로 제어하여 침입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침입감지 시스템은 인공지능 스피커(5)와 유무선 통신으로 연결된 서버, 컴퓨터 등을 통해 비가청 주파수 신호의 송수신 및 신호 분석을 처리하여 침입을 감지할 수 있고, 인공지능 스피커(5)의 정보처리장치(50)를 통해 비가청 주파수 신호의 송수신 및 신호 분석을 처리하여 침입을 감지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입감지 시스템의 개념도를 도시한다.
채널설정부(100)는 주파수 발생기(110) 및 주파수 선택부(120)을 포함하여 침입 감지에 이용할 유효 비가청 주파수 채널 q를 설정할 수 있다.
주파수 발생기(110)는 다양한 비가청 주파수 채널을 예를 들면, 아래 수학식 1과 같이 스윕(sweep)하면서 발생시킬 수 있고 발생된 비가청 주파수 채널은 펄스파 또는 연속파와 곱해질 수 있다.
Figure 112019111348912-pat00001
신호송신부(200)는 펄스파 또는 연속파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생성기(210)을 포함하여 스피커(10)에 펄스파 또는 연속파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신호생성기(210)에서 생성된 신호는 비가청 주파수 채널 성분과 곱하여져 DAC(20)에 제공되어 스피커(10)로 하여 비가청 주파수 신호를 송신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거리정보를 필요로 할 때에는 펄스파 방식이 유리하다.
신호수신부(300)는 마이크(30)에서 수신한 비가청 주파수 신호를 ADC를 거쳐 주파수 발생기(110)에서 발생한 비가청 주파수 채널 성분을 곱하고 저역통과필터(310)와 적분기(320)롤 통해 신호를 축적한 후 채널설정부(100) 및 침입감지부(400)에 제공할 수 있다.
침입감지부(400)는 신호 처리장치(410)을 포함하여 신호수신부(300)의 적분기(320)로부터 제공받은 신호로부터 침입 패턴을 검출하여 경고할 수 있다.
온도측정부(500)는 온도 센서(510)을 포함하여 침입감지부(400)의 신호 처리장치(410)에 측정한 온도를 제공할 수 있다.
침입감지부(400)는 온도측정부(500)로부터 제공받은 온도에 따른 음파 속도와 검출한 침입 패턴의 주파수에 따라 침입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도 5는 주파수 영역에 따른 수신신호의 세기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에 도시된 그래프의 상단에서 시작하는 그래프는 신호송신부(200)에 의하여 송신된 신호를 나타내고, 하단에서 시작하는 그래프는 노이즈 신호와 간섭신호를 나타낸다.
채널설정부(100)에서 설정할 수 있는 주파수 채널은 예를 들면, 다음 수학식 2의 q로서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19111348912-pat00002
는 소정의 주파수(예를 들면 100Hz)이고, q(예를 들면 20)를 곱하여 주파수 채널을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19111348912-pat00003
신호수신부(300)의 수신신호는 수학식 3과 같이 주파수 채널 특성에 노이즈와 간섭신호의 영향을 받는다.
Figure 112019111348912-pat00004
채널설정부(100)는 신호수신부(300)에서 수신한 비가청 주파수 신호에 기초하여 신호대 잡음비 기준에 따른 유효한 비가청 주파수 채널
Figure 112019111348912-pat00005
를 argmax 함수를 이용하여 다음 수학식 4와 같이 설정할 수 있다.
Figure 112019111348912-pat00006
은 기본주파수(예를 들면 18.5kHz),
Figure 112019111348912-pat00007
은 채널 이득 전력을 나타내고,
Figure 112019111348912-pat00008
은 노이즈 전력을 나타낸다.
Figure 112019111348912-pat00009
또한, 채널설정부(100)는 신호수신부(300)에서 수신한 비가청 주파수 신호에 기초하여 신호대 간섭비 및 잡음비 기준에 따른 유효한 비가청 주파수 채널
Figure 112019111348912-pat00010
를 argmax 함수를 이용하여 다음 수학식 5와 같이 설정할 수 있다.
Figure 112019111348912-pat00011
은 간섭신호 전력을 나타낸다.
Figure 112019111348912-pat00012
도 6은 주파수 영역에 따른 수신신호를 신호대 잡음비(SNR) 그래프 및 신호대 간섭비 및 잡음비(SINR) 그래프로 변환하여 도시한 것이다.
SNR 기준에 따른 유효한 비가청 주파수 채널 선택은 비가청 활용 디바이스가 하나뿐인 경우에 적합하고, SINR 기준에 따른 유효한 비가청 주파수 채널 선택은 비가청 활용 디바이스가 여러 개인 경우에 적합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처리 구조의 개념도를 도시한다.
채널설정부(100)에서 설정한 유효한 비가청 주파수 채널에 따라 신호송신부(200)에서 스피커(10)를 작동하여 비가청 주파수 신호를 송신하면 신호수신부(300)는 신호송신부(200)에서 송신한 비가청 주파수 신호를 포함한 비가청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고, 침입감지부(400)는 신호수신부(300)에서 수신한 신호의 직류 전압을 제거하는 등의 전처리를 거쳐 역치 이상의 침입 패턴을 검출한다.
한편, 온도측정부(500)는 상기 스피커(10) 및 상기 마이크(30)가 설치된 주변 온도를 측정하여 침입감지부(400)에 제공할 수 있다.
침입감지부(400)는 온도측정부(500)로부터 제공받은 온도에 따른 음파속도와 검출한 침입 패턴의 샘플링 주파수에 따라 침입 거리를 산출하여 침입 여부와 함께 침입 거리를 경고할 수 있다.
음파는 온도에 따라 이동속도가 가변적이므로 거리산출부(400)는 다음과 같은 수학식 6과 같이 측정된 온도와 침입 패턴의 샘플링 주파수에 따른 침입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Figure 112019111348912-pat00013
는 샘플링 주파수 이다.
Figure 112019111348912-pat00014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침입감지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먼저, 비가청 주파수 채널을 설정한다(S100). 이어서, S100 단계에서 설정된 비가청 주파수 채널에 따라 스피커(10)를 작동하여 비가청 주파수 신호를 송신한다(S200). 이어서 S200 단계에서 송신된 비가청 주파수 신호를 마이크(30)로 수신한다(S300). 이때, S100단계는 비가청 주파수 채널을 스윕하여 스캔하는 등으로 변경 설정함에 따라 S300 단계에서 수신하는 비가청 주파수 신호를 비교 분석하여 복수의 비가청 주파수 채널 중에서 침입 감지에 이용할 유효 비가청 주파수 채널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비가청 주파수 채널을 설정하는 단계(S100)은 유효 비가청 주파수 채널을 신호대 잡음비에 따라 설정하는 것일 수 있고, 신호대 간섭비 및 잡음비에 따라 설정하는 것일 수도 있다. 이어서 S300 단계에서 수신한 비가청 주파수 신호에서 침입 패턴을 검출하여 침입여부를 감지한다(S400). 이어서, 스피커(10) 및 마이크(30)가 설치된 주변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S500). 이때, 침입을 감지하는 단계(S400)는 S500단계에서 측정된 온도에 따른 음파속도와 검출한 침입 패턴의 주파수에 따라 침입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5 : 인공지능 스피커
10 : 스피커
20 : DAC
30 : 마이크
40 : ADC
50 : 디지털 신호 처리장치
60 : 무선 통신모듈
100 : 채널설정부
110 : 주파수발생기
120 : 주파수선택기
200 : 신호송신부
210 : 신호발생기
300 : 신호수신부
310 : 저역통과필터
320 : 적분기
400 : 침입감지부
410 : 신호 처리장치
500 : 온도측정부
510 : 온도센서

Claims (8)

  1. 비가청 주파수 채널을 설정하는 채널설정부;
    설정된 상기 비가청 주파수 채널에 따라 스피커를 작동하도록 하여 비가청 주파수 신호를 송신하는 신호송신부;
    신호송신부로부터 송신된 상기 비가청 주파수 신호를 마이크를 통해 수신하는 신호수신부; 및
    상기 신호수신부에서 수신한 비가청 주파수 신호로부터 침입 패턴을 검출하여 침입여부를 감지하는 침입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채널설정부는 상기 비가청 주파수 채널을 변경 설정함에 따라 상기 신호수신부에 수신되는 비가청 주파수 신호를 비교 분석하여 복수의 비가청 주파수 채널 중에서 침입 감지에 이용할 유효 비가청 주파수 채널을 설정하며,
    상기 채널설정부는 상기 유효 비가청 주파수 채널을 신호대잡음비에 따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입감지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설정부는 상기 유효한 비가청 주파수 채널을 신호대 간섭비 및 잡음비에 따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입감지 시스템.
  4. 제1항 및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및 상기 마이크가 설치된 주변 온도를 측정하여 상기 침입감지부에 제공하는 온도측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침입감지부는 상기 온도측정부로부터 제공받은 온도에 따른 음파속도와 검출한 상기 침입 패턴의 주파수에 따라 침입 거리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입감지시스템.
  5. 비가청 주파수 채널을 설정하는 단계;
    설정된 상기 비가청 주파수 채널에 따라 스피커를 작동하여 비가청 주파수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비가청 주파수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에서 송신된 비가청 주파수 신호를 마이크로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비가청 주파수 신호를 마이크로 수신하는 단계에서 수신한 비가청 주파수 신호로부터 침입 패턴을 검출하여 침입여부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비가청 주파수 채널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비가청 주파수 채널을 변경 설정함에 따라 상기 비가청 주파수 신호를 마이크로 수신하는 단계에서 수신하는 비가청 주파수 신호를 비교 분석하여 복수의 비가청 주파수 채널 중에서 침입 감지에 이용할 유효 비가청 주파수 채널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비가청 주파수 채널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유효 비가청 주파수 채널을 신호대 잡음비에 따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입감지방법.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비가청 주파수 채널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유효 비가청 주파수 채널을 신호대 간섭비 및 잡음비에 따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입감지방법.
  8. 제5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및 상기 마이크가 설치된 주변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침입여부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주변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에서 측정된 온도에 따른 음파속도와 검출한 침입 패턴의 주파수에 따라 침입 거리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입감지방법.
KR1020190136847A 2019-10-30 2019-10-30 침입감지 시스템 및 방법. KR1023141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6847A KR102314120B1 (ko) 2019-10-30 2019-10-30 침입감지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6847A KR102314120B1 (ko) 2019-10-30 2019-10-30 침입감지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2721A KR20210052721A (ko) 2021-05-11
KR102314120B1 true KR102314120B1 (ko) 2021-10-18

Family

ID=75914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6847A KR102314120B1 (ko) 2019-10-30 2019-10-30 침입감지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412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32671A1 (ja) * 2006-05-12 2007-11-22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音波式煙感知器
JP2019015607A (ja) * 2017-07-06 2019-01-31 旭化成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検知装置、セキュリティ機器、音声認識装置、および照明機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6108B1 (ko) * 2010-10-18 2012-07-23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위치 인식 시스템 및 그것의 위치 인식 방법
KR101573475B1 (ko) 2013-09-03 2015-12-01 주식회사 라스테크 침입감지시스템 및 침입감지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32671A1 (ja) * 2006-05-12 2007-11-22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音波式煙感知器
JP2019015607A (ja) * 2017-07-06 2019-01-31 旭化成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検知装置、セキュリティ機器、音声認識装置、および照明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2721A (ko) 2021-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24395B2 (en) Voice detection for automatic volume controls and voice sensors
US7283423B2 (en) System and method for position determination of objects
JP3878482B2 (ja) 音声検出装置および音声検出方法
US10237639B2 (en) Motion detection for microphone gating
US9658329B2 (en) Measurement of reflected ultrasound signal for ultrasonic emitter gating control
US11402499B1 (en) Processing audio signals for presence detection
US1088576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 hazard detector signal in the presence of interference
US11513216B1 (en) Device calibration for presence detection using ultrasonic signals
CN105405260A (zh) 一种基于无线信号的防盗系统及防盗方法
US9172463B2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detecting infrared noise at a remote control
JP6610977B2 (ja) 目標探知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394603B1 (ko) 침입 감지 장치 및 방법
KR102312997B1 (ko) 멀티톤 음원을 이용한 보안 감시 방법
KR102314120B1 (ko) 침입감지 시스템 및 방법.
JP6647424B2 (ja) 無線機
JP2011247633A (ja) 動体検知装置及び動体検知方法
US11564036B1 (en) Presence detection using ultrasonic signals with concurrent audio playback
CN111815877B (zh) 一种白噪声警示方法及装置
WO2010002405A1 (en) Voice detection for automatic volume controls and voice sensors
US4580249A (e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doppler motion detection with standing wave drift compensation
KR20120024818A (ko) Fm 무선 마이크로폰 신호의 스펙트럼 감지 방법 및 장치
KR101617433B1 (ko) 고주파 변조 연속파 기반 침입 감지 장치 및 방법
KR101827509B1 (ko) 클루터 신호를 이용한 침입탐지와 오탐지 저감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침입 탐지 및 오탐지 저감 방법
Srinivasan et al. Presence detection using wideband audio-ultrasound sensor
KR101525466B1 (ko) Uwb 센서 시스템 및 uwb 센서 시스템에서의 수신 안테나 선택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