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3992B1 - Entering structure for cable stayed girdir bridge having amusement facilities - Google Patents

Entering structure for cable stayed girdir bridge having amusement faciliti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3992B1
KR102313992B1 KR1020190062100A KR20190062100A KR102313992B1 KR 102313992 B1 KR102313992 B1 KR 102313992B1 KR 1020190062100 A KR1020190062100 A KR 1020190062100A KR 20190062100 A KR20190062100 A KR 20190062100A KR 102313992 B1 KR102313992 B1 KR 1023139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ylon
pair
cable
parts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21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136249A (en
Inventor
박태균
Original Assignee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62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3992B1/en
Publication of KR20200136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624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3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399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1/00Suspension or cable-stayed bridges
    • E01D11/04Cable-stayed bridg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7/00Russian swings; Great wheels, e.g. Ferris whee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4Towers; Anchors ; Connection of cables to bridge parts; Saddle suppo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4/00Buildings for combinations of different purposes not covered by any single one of main groups E04H1/00-E04H13/00 of this subclass, e.g. for double purpose; Buildings of the drive-in type

Abstract

본 발명은 사장교의 주탑에 대한 출입을 위한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주탑을 형성함과 아울러, 심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도록,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한 쌍의 주탑부(100); 상기 한 쌍의 주탑부(100)의 중앙부를 가로질러 설치된 회전축부(200); 상기 회전축부(200)에 의해 회전구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설치공간에 설치된 유희시설(300); 상기 한 쌍의 주탑부(100)의 하부 및 유희시설(300)에 출입하도록, 상기 한 쌍의 주탑부(100)의 기초부에 형성된 출입부(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희시설이 설치된 사장교의 출입구조물을 제시함으로써, 특별한 기능과 경관을 갖춤으로서, 그 구조물이 설치된 지역의 랜드마크가 되어 관광상품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for entering and exiting the pylon of a cable-stayed bridge, comprising: a pair of pylons (100) installed at intervals in the width direction so that the pylon is formed and an installation space is formed in the deep part; a rotating shaft part 200 installed across the central part of the pair of pylon parts 100; A play facility 300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space to enable rotational driving by the rotating shaft 200; In order to enter and exit the lower part of the pair of pylons 100 and the amusement facility 300, an entrance 600 formed on the base of the pair of pylons 100; By presenting the entrance structure of the cable-stayed bridge, it has a special function and landscape, so that it can serve as a tourist product by becoming a landmark in the area where the structure is installed.

Figure R1020190062100
Figure R1020190062100

Description

유희시설이 설치된 사장교의 출입구조물{ENTERING STRUCTURE FOR CABLE STAYED GIRDIR BRIDGE HAVING AMUSEMENT FACILITIES}Entrance structure of cable-stayed bridge with amusement facilities installed {ENTERING STRUCTURE FOR CABLE STAYED GIRDIR BRIDGE HAVING AMUSEMENT FACILITIES}

본 발명은 건설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유희시설이 설치된 사장교의 출입구조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field of constru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ntrance and exit structure of a cable-stayed bridge where amusement facilities are installed.

사장교는 교량의 중앙부에 주탑을 시공하고, 거더의 전구간 또는 일부구간이 위 주탑에 설치된 케이블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는 구조를 말한다.Cable-stayed bridge refers to a structure in which a pylon is constructed in the central part of the bridge and the entire section or part of the girder is supported by the cables installed in the pylon above.

이는 장경간의 거더를 교각없이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는 점, 경관이 아름답다는 점 등의 특징으로 인하여, 경간이 큰 해상교량, 폭이 넓은 하천용 교량 등으로 널리 사용된다.It is widely used as an offshore bridge with a large span and a wide river bridge due to its features such as being able to stably support a long-span girder without a pier and a beautiful landscape.

최근의 토목 구조물은 단지 구조적 안정성, 내구성이 우수한 시설물로서의 역할 뿐만 아니라, 특별한 기능과 경관을 갖춤으로서, 그 구조물이 설치된 지역의 랜드마크가 됨에 따른 관광상품으로서의 역할이 추가되는 추세이다.Recent civil structures are not only serving as facilities with excellent structural stability and durability, but also have special functions and landscapes.

사장교는 위와 같은 많은 장점을 지녔음에 불구하고, 전통적인 구조로 시공되고 있으며, 아직까지 특별한 기능과 경관이 구비된 구조는 개발되어 있지 않아 문제로 지적되어 왔다.Although cable-stayed bridges have many advantages as above, they are being constructed in a traditional structure, and have been pointed out as a problem because a structure equipped with special functions and landscapes has not yet been develop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특별한 기능과 경관을 갖춤으로서, 그 구조물이 설치된 지역의 랜드마크가 되어 관광상품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유희시설이 설치된 사장교의 출입구조물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riv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by having a special function and landscape, it becomes a landmark of the area where the structure is installed and serves as a tourist product. It aims to present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사장교의 주탑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주탑을 형성함과 아울러, 심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도록,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한 쌍의 주탑부(100); 상기 한 쌍의 주탑부(100)의 중앙부를 가로질러 설치된 회전축부(200); 상기 회전축부(200)에 의해 회전구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설치공간에 설치된 유희시설(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희시설이 설치된 사장교의 주탑 구조물을 제시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ylon structure of a cable-stayed bridge, comprising: a pair of pylons 100 installed at intervals in the width direction so that the pylon is formed and an installation space is formed in the deep part; a rotating shaft part 200 installed across the central part of the pair of pylon parts 100; It proposes a pylon structure of a cable-stayed bridge equipped with an amusement facility,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상기 유희시설(300)은 대관람차 또는 바이킹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amusement facility 300 is preferably a Ferris wheel or a Viking.

상기 한 쌍의 주탑부(100)의 상단을 폐쇄하도록 형성된 상단 폐쇄부(101); 상기 한 쌍의 주탑부(100)의 하단을 폐쇄하도록 형성된 하단 폐쇄부(10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희시설(300)은 상기 상단 폐쇄부(101)와 하단 폐쇄부(102)의 사이영역에서 구동하도록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an upper end closing portion 101 formed to close the upper end of the pair of main tower portions 100; The pair of pylons (100) formed to close the lower end of the closure (102); further comprising, the amusement facility 300 is a region between the upper closure (101) and the lower closure (102) It is preferable that it is installed to operate in

상기 한 쌍의 주탑부(100)는 각각, 상기 회전축부(200)의 상측 연직방향으로 연장설치된 주탑상부(110); 상기 회전축부(200)의 하측 경사방향으로 연장설치된 한 쌍의 주탑하부(120);를 포함하는 역 Y자형 또는 A자형 단면구조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Each of the pair of pylon parts 100 includes a pylon upper part 110 installed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bove the rotation shaft part 200; It is preferable to have an inverted Y-shaped or A-shaped cross-sectional structure including a pair of pylon lower portions 120 installed extending in a downward inclined direction of the rotating shaft portion 200 .

상기 한 쌍의 주탑부(100)의 주탑상부(110) 각각의 전면 및 후면에는 케이블 결합부(111)가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주탑부(100) 중 좌측 주탑부(100a)의 케이블 결합부(111)에 설치된 케이블(112)은 상기 좌측 주탑부(100a)의 좌측을 지나도록 설치된 좌측 거더(10a)를 지지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주탑부(100) 중 우측 주탑부(100b)의 케이블 결합부(111)에 설치된 케이블(112)은 상기 우측 주탑부(100b)의 우측을 지나도록 설치된 우측 거더(10b)를 지지하도록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A cable coupling part 111 is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each of the pylon upper parts 110 of the pair of pylon parts 100 , and the cable coupling part 111 of the left pylon part 100a of the pair of pylon parts 100 . ) is installed to support the left girder 10a installed to pass through the left side of the left pylon part 100a, and the cable coupling part of the right pylon part 100b of the pair of pylon parts 100 ( The cable 112 installed in the 111) is preferably installed to support the right girder 10b installed to pass through the right side of the right pylon 100b.

상기 한 쌍의 주탑부(100)의 주탑하부(120) 사이에는, 상기 대관람차를 회전구동시키는 구동부(400)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driving unit 400 for rotationally driving the Ferris wheel is installed between the pylon lower part 120 of the pair of pylon parts 100 .

본 발명은 상기 주탑 구조물의 시공방법으로서, 기초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초부의 상부에 상기 한 쌍의 주탑부(100)의 형성하되, 상기 한 쌍의 주탑부(100)의 사이에 임시보강부재(103)를 설치하는 단계; 상단 폐쇄부(101)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주탑부(100)의 상단을 폐쇄하는 단계; 상기 상단 폐쇄부(101) 형성 이후, 상기 임시보강부재(103)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희시설이 설치된 사장교의 주탑 구조물을 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struction method of the pylon structure, the method comprising: forming a foundation; forming the pair of pylon parts 100 on the upper part of the base part, and installing a temporary reinforcing member 103 between the pair of pylon parts 100; closing the upper ends of the pair of main tower portions 100 by the upper end closing portion 101; After the formation of the upper closure part 101, removing the temporary reinforcing member 103 presents a pylon structure of a cable-stayed bridge equipped with an amusement facility, comprising: a.

본 발명은 사장교의 주탑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주탑을 형성함과 아울러, 심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도록,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됨과 아울러, 내부공간에 중앙슬랩(130)이 형성된 한 쌍의 주탑부(100); 상기 한 쌍의 주탑부(100)의 중앙부를 가로지르는 구조로 양단이 상기 중앙슬랩(130)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회전축부(200); 상기 회전축부(200)에 의해 회전구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설치공간에 설치된 유희시설(300);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부(200)는, 높이조절장치(20)에 의해 상기 중앙슬랩(130)에 대한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회전축 프레임(210); 상기 회전축 프레임(21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설치된 회전축(2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희시설의 회전축이 설치된 사장교의 주탑 구조물을 제시한다.In the pylon structure of a cable-stayed bridge, a pair of pylons are installed at intervals in the width direction to form the pylon and form an installation space in the deep part, and a central slab 130 is formed in the inner space. (100); a rotating shaft part 200 installed so that both ends are supported by the central slab 130 in a structure that crosses the central part of the pair of pylon parts 100; Including; and a game facility 300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space to enable rotational driving by the rotation shaft 200 , the rotation shaft 200 is the central slab 130 by a height adjusting device 20 . ) of the rotating shaft frame 210 installed to enable height adjustment; Presents a pylon structure of a cable-stayed bridge equipped with a rotation shaft of an amusement facility,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rotation shaft 220 installed to be rotatably supported by the rotation shaft frame 210 .

상기 회전축 프레임(210)은, 본체(211); 상기 회전축(220)이 지지되도록, 상기 본체(211)의 상부에 형성된 지지홈(212); 양단의 하부에 상기 높이조절장치(20)의 설치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본체(211)의 전후방으로 연장형성된 연장부(213); 상기 중앙슬랩(130)의 상부에 안착되도록, 상기 본체(211)의 하부에 형성된 안착부(214);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otating shaft frame 210, the body 211; a support groove 212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211 so that the rotation shaft 220 is supported; Extension parts 213 extending forward and backward of the main body 211 so as to form an installation space for the height adjusting device 20 at the lower portions of both ends;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seating portion 214 form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211 so as to be se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entral slab 130 .

상기 안착부(214)의 폭은 상기 회전축(22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width of the seating portion 214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rotation shaft 220 .

본 발명은 상기 주탑 구조물의 시공방법으로서, 상기 한 쌍의 주탑부(100)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회전축부(200)의 양단을 상기 중앙슬랩(130)에 임시로 거치하는 단계; 상기 높이조절장치(20)를 설치하고, 상기 회전축 프레임(210)의 높이 및 기울기를 조절하는 단계; 상기 회전축 프레임(210)의 하부와 상기 중앙슬랩(130)의 사이에 무수축 콘크리트(C)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희시설의 회전축이 설치된 사장교의 주탑 구조물의 시공방법을 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constructing the pylon structure, comprising: forming a pair of pylon parts 100; Temporarily mounting both ends of the rotating shaft part 200 on the central slab 130; installing the height adjusting device 20 and adjusting the height and inclination of the rotating shaft frame 210; A method of constructing a pylon structure of a cable-stayed bridge equipped with a rotating shaft of an amusement facility, comprising; pouring non-shrinkable concrete (C) between the lower portion of the rotating shaft frame 210 and the central slab 130. present.

본 발명은 사장교의 주탑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주탑을 형성함과 아울러, 심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도록,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한 쌍의 주탑부(100); 상기 한 쌍의 주탑부(100)의 상단을 폐쇄하도록 형성된 상단 폐쇄부(101); 상기 한 쌍의 주탑부(100)의 하단을 폐쇄하도록 형성된 하단 폐쇄부(102); 상기 한 쌍의 주탑부(100)의 중앙부를 가로질러 설치된 회전축부(200); 상기 회전축부(200)에 의해 회전구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상단 폐쇄부(101)와 하단 폐쇄부(102)의 사이영역의 상기 설치공간에 설치된 대관람차(300); 상기 대관람차(300)의 횡방향 변위를 방지하도록, 상기 대관람차(300)와 상기 한 쌍의 주탑부(100) 내면 사이의 간격을 유지함과 아울러, 상기 대관람차(300)의 회전구동을 허용하도록 상기 한 쌍의 주탑부(100) 내면에 설치된 가이드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희시설 가이드부를 구비한 사장교의 주탑 구조물을 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ylon structure of a cable-stayed bridge, comprising: a pair of pylons 100 installed at intervals in the width direction so that the pylon is formed and an installation space is formed in the deep part; an upper end closing portion 101 formed to close the upper end of the pair of main tower portions 100; a lower end closing portion 102 formed to close the lower ends of the pair of main tower portions 100; a rotating shaft part 200 installed across the central part of the pair of pylon parts 100; a Ferris wheel 300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space between the upper closure part 101 and the lower closure part 102 so as to be rotationally driven by the rotating shaft part 200; To prevent lateral displacement of the Ferris wheel 300, maintain a distance between the inner surfaces of the Ferris wheel 300 and the pair of pylon parts 100, and to allow rotational driving of the Ferris wheel 300 It proposes a pylon structure of a cable-stayed bridge having a guide part for amusement facilitie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guide part 500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air of pylon parts 100.

상기 가이드부(500)는, 상기 대관람차(300)의 휠레일(310)과 접촉하면서 회전구동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축부(200)와 직교하는 방향의 회전축에 의해 회전하도록 설치된 가이드롤러(510); 상기 가이드롤러(510)의 회전축을 지지하도록, 상기 한 쌍의 주탑부(100) 내면에 설치된 롤러지지부(52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guide part 500 is a guide roller 510 installed to rotate by a rotation shaft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rotation shaft part 200 in order to rotate while contacting the wheel rail 310 of the Ferris wheel 300 . );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roller support unit 520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air of pylons 100 so as to support the rotation shaft of the guide roller 510 .

상기 가이드부(500)는, 상기 대관람차(300)의 복수의 휠레일(310) 중 최외곽 휠레일(310a)을 가이드하도록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The guide part 500 is preferably installed to guide the outermost wheel rail 310a among the plurality of wheel rails 310 of the Ferris wheel 300 .

상기 한 쌍의 주탑부(100)는 각각, 상기 회전축부(200)의 상측 연직방향으로 연장설치된 주탑상부(110); 상기 회전축부(200)의 하측 경사방향으로 연장설치된 한 쌍의 주탑하부(120);를 포함하는 역 Y자형 또는 A자형 단면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500)는, 상기 주탑상부(110) 및 한 쌍의 주탑하부(120)에 각각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Each of the pair of pylon parts 100 includes a pylon upper part 110 installed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bove the rotation shaft part 200; It is formed in an inverted Y-shape or A-shaped cross-sectional structure including; ) and a pair of pylon lower parts 120 are preferably installed respectively.

상기 한 쌍의 주탑부(100)의 주탑하부(120) 사이에는, 상기 대관람차를 회전구동시키는 구동부(400)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driving unit 400 for rotationally driving the Ferris wheel is installed between the pylon lower part 120 of the pair of pylon parts 100 .

상기 구동부(400)는, 상기 대관람차(300)의 최외곽 휠레일(310a)을 상측으로 지지함과 아울러, 회전구동시키도록 간격을 두고 설치된 한 쌍의 구동휠부(410); 상기 한 쌍의 구동휠부(410)를 탄성지지하도록 설치된 탄성지지부(420); 상기 탄성지지부(420)를 상기 주탑하부(120) 내면에 결합하는 지지결합부(43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riving unit 400 includes: a pair of driving wheel units 410 installed at intervals to support the outermost wheel rail 310a of the Ferris wheel 300 upward and rotate and drive it; an elastic support part 420 installed to elastically support the pair of driving wheel parts 410;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support coupling part 430 for coupling the elastic support part 420 to the inner surface of the pylon lower part 120 .

상기 구동부(400)는, 마주 보는 상기 주탑하부(120) 내면에 각각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The driving unit 400 is preferably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ylon lower part 120 facing each other.

본 발명은 사장교의 주탑에 대한 출입을 위한 구조물로서, 상기 주탑을 형성함과 아울러, 심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도록,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한 쌍의 주탑부(100); 상기 한 쌍의 주탑부(100)의 중앙부를 가로질러 설치된 회전축부(200); 상기 회전축부(200)에 의해 회전구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설치공간에 설치된 유희시설(300); 상기 한 쌍의 주탑부(100)의 하부 및 유희시설(300)에 출입하도록, 상기 한 쌍의 주탑부(100)의 기초부에 형성된 출입부(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희시설이 설치된 사장교의 출입구조물을 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ucture for entering and exiting the pylon of a cable-stayed bridge, comprising: a pair of pylons 100 installed at intervals in the width direction so that the pylon is formed and an installation space is formed in the deep part; a rotating shaft part 200 installed across the central part of the pair of pylon parts 100; A play facility 300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space to enable rotational driving by the rotating shaft 200; In order to enter and exit the lower part of the pair of pylons 100 and the amusement facility 300, an entrance 600 formed on the base of the pair of pylons 100; Present the entrance structure of the cable-stayed bridge.

상기 출입부(600)는, 상기 주탑부(100)의 기초부에 형성된 인공섬(610); 상기 유희시설(300)에 대한 접근 및 탑승이 가능하도록, 상기 인공섬(610)의 상부에 형성된 탑승부(62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ntrance 600 includes an artificial island 610 formed on the base of the pylon 100;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boarding unit 620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artificial island 610 so that access to and boarding of the amusement facility 300 is possible.

상기 한 쌍의 주탑부(100)는 각각, 상기 회전축부(200)의 상측 연직방향으로 연장설치된 주탑상부(110); 상기 회전축부(200)의 하측 경사방향으로 연장설치된 한 쌍의 주탑하부(120);를 포함하는 역 Y자형 또는 A자형 단면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주탑부(100)의 주탑하부(120) 사이에는, 상기 대관람차를 회전구동시키는 구동부(400)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Each of the pair of pylon parts 100 includes a pylon upper part 110 installed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bove the rotation shaft part 200; It is formed in an inverted Y-shape or A-shaped cross-sectional structure including; ), it is preferable that a driving unit 400 for rotationally driving the Ferris wheel is installed.

상기 구동부(400)는, 상기 대관람차(300)의 최외곽 휠레일(310)을 상측으로 지지함과 아울러, 회전구동시키도록 간격을 두고 설치된 한 쌍의 구동휠부(410); 상기 한 쌍의 구동휠부(410)를 탄성지지하도록 설치된 탄성지지부(420); 상기 탄성지지부(420)를 상기 주탑하부(120) 내면에 결합하는 지지결합부(43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riving unit 400 includes: a pair of driving wheel units 410 installed at intervals to support the outermost wheel rail 310 of the Ferris wheel 300 upward and rotate it; an elastic support part 420 installed to elastically support the pair of driving wheel parts 410;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support coupling part 430 for coupling the elastic support part 420 to the inner surface of the pylon lower part 120 .

상기 출입부(600)는, 상기 주탑하부(120)의 외면을 통해 상기 구동부(400)에 접근가능하도록, 상기 주탑하부(120)의 외면에 형성된 구동부 접근부(63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ntry/exit unit 600 may include a driving unit access unit 630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ylon lower part 120 so as to be accessible to the driving unit 400 through the outer surface of the pylon lower part 120 . do.

상기 출입부(600)는, 상기 구동부 접근부(630)의 상부 영역으로서, 상기 주탑부(100)의 내부에 형성된 내부통로(640); 상기 내부통로(640)에 출입가능하도록, 상기 구동부 접근부(630)에 인접하여 형성된 출입구(641);를 포함하고, 상기 주탑부(100) 중 상기 구동부 접근부(630)의 하부 영역에는 상기 내부통로(640)가 형성되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The entrance 600 is an upper region of the driving unit access portion 630, the inner passage 640 formed in the interior of the pylon 100; and an entrance 641 formed adjacent to the driving unit access unit 630 so as to be able to enter and exit the inner passage 640 , and a lower region of the driving unit access unit 630 of the pylon 100 has the inside Preferably, the passage 640 is not formed.

본 발명은 사장교의 주탑부(100)와, 상기 주탑부(100)의 중앙부를 가로질러 설치된 회전축부(200)와, 상기 회전축부(200)에 의해 회전구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주탑부(100)에 설치된 유희시설(300)을 포함하는 사장교의 시공방법으로서, 상기 주탑부(100)를 설치하는 단계; 가설벤트(11) 및 거더(10)를 열지어 설치하되, 상기 유희시설(300)의 설치를 위한 장비(30)의 작업공간(31)이 확보되도록, 상기 주탑부(100) 일측의 일부 영역을 제외하고 설치하는 단계; 상기 작업공간(31)에서 상기 장비(30)에 의해 상기 유희시설(300)을 설치하는 유희시설 설치단계; 상기 작업공간(31)에 대하여 상기 가설벤트(11) 및 거더(10)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주탑부(100) 및 거더(10)에 대하여 케이블(112)을 설치하고, 상기 가설벤트(11)를 해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희시설을 구비한 사장교의 시공방법을 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ylon 100 of a cable-stayed bridge, a rotating shaft 200 installed across the central portion of the pylon 100, and a game installed in the pylon 100 so that rotation is possible by the rotating shaft 200 A method of constructing a cable-stayed bridge including a facility (300), the method comprising: installing the pylon part (100); The temporary vent 11 and the girder 10 are opened and installed, but a partial area of one side of the pylon 100 is secured so that the working space 31 of the equipment 30 for the installation of the amusement facility 300 is secured. Steps to install except; an amusement facility installation step of installing the amusement facility 300 by the equipment 30 in the work space 31; installing the temporary vent 11 and the girder 10 with respect to the working space 31; We propose a construction method of a cable-stayed bridge with an amusement facility, comprising the steps of installing a cable 112 with respect to the pylon 100 and the girder 10 and dismantling the temporary vent 11 .

상기 유희시설(300)은 대관람차이고, 상기 유희시설 설치단계는, 상기 주탑부(100)를 중심으로 상기 작업공간(31)의 반대영역에 와이어 당김장치(41)를 설치하는 당김장치 설치단계; 일부 조립상태의 상기 대관람차에 와이어(40)의 일단을 결합하고, 상기 와이어(40)의 타단을 상기 와이어 당김장치(41)에 연결하는 와이어 설치단계; 상기 와이어 당김장치(41)에 의해 상기 와이어(40)를 당겨 일부 조립상태의 상기 대관람차를 일부씩 회전시키면서 상기 장비(30)에 의해 상기 대관람차를 조립하는 조립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musement facility 300 is a Ferris wheel, and the installation step of the amusement facility includes a pulling device installation step of installing a wire pulling device 41 in an area opposite to the work space 31 centered on the pylon 100; a wire installation step of coupling one end of a wire 40 to the Ferris wheel in a partially assembled state, and connecting the other end of the wire 40 to the wire pulling device 41;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n assembly step of assembling the Ferris wheel by the equipment 30 while pulling the wire 40 by the wire pulling device 41 and rotating the Ferris wheel in a partially assembled state. .

상기 와이어 설치단계는, 상기 와이어(40)의 일단을 일부 조립상태의 상기 대관람차의 하부에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조립단계는, 상기 와이어 당김장치(41)에 의해 상기 와이어(40)를 당겨 일정 지점에서 멈춤에 따라, 일부 조립상태의 상기 대관람차의 자중과 상기 와이어(40)의 장력의 평형에 의해 일부 조립상태의 상기 대관람차가 임시고정상태가 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장비(30)에 의해 임시고정상태인 상기 대관람차를 조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wire installation step includes coupling one end of the wire 40 to the lower part of the Ferris wheel in a partially assembled state, and the assembling step includes the wire pulling device 41 by the wire pulling device 41 . pulling the ferris wheel to stop at a certain point, so that the partially assembled ferris wheel is temporarily fixed by balancing its own weight and the tension of the wire 40;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ssembling the Ferris wheel in a temporarily fixed state by the equipment (30).

상기 와이어 설치단계는, 상기 와이어 당김장치(41)에 의해 상기 와이어(40)가 상향 경사지게 당겨지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wire installation step includes; allowing the wire 40 to be pulled upwardly inclined by the wire pulling device 41 .

상기 당김장치 설치단계는, 상기 주탑부(100)를 중심으로 상기 작업공간(31)의 반대영역에 기설치된 상기 거더(10)에 와이어 당김장치(41)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주탑부(100)와 와이어 당김장치(41)의 사이에 상기 와이어(40)의 경사방향을 변경하기 위한 경사방향 변경부재(42)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설치단계는, 일단이 일부 조립상태의 상기 대관람차의 하부에 결합한 상기 와이어(40)가 상향 경사진 상태로 상기 경사방향 변경부재(42)에 거치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경사방향 변경부재(42)에 거치된 상기 와이어(40)의 타단이 하향 경사진 상태로 상기 와이어 당김장치(41)에 연결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tep of installing the pulling device may include: installing a wire pulling device 41 on the girder 10 that is previously installed in an area opposite to the working space 31 around the pylon 100; Installing the inclination direction changing member 42 for changing the inclination direction of the wire 40 between the pylon 100 and the wire pulling device 41; including, wherein the wire installation step is, allowing the wire 40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Ferris wheel in the partially assembled state to be mounted on the inclination direction changing member 42 in an upwardly inclined state;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llowing the other end of the wire 40 mounted on the inclination direction changing member 42 to be connected to the wire pulling device 41 in a downwardly inclined state.

본 발명은 특별한 기능과 경관을 갖춤으로서, 그 구조물이 설치된 지역의 랜드마크가 되어 관광상품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유희시설이 설치된 사장교의 출입구조물을 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n entrance structure of a cable-stayed bridge equipped with an amusement facility that can serve as a tourism product by becoming a landmark of the area where the structure is installed by having a special function and landscape.

도 1 이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2는 사장교의 사시도.
도 3은 사장교의 측면도.
도 4,5는 주탑의 단면도.
도 6은 대관람차의 측면도.
도 7은 대관람차의 정면도.
도 8은 주탑 및 바이킹의 측면도.
도 9는 회전축부의 정면도.
도 10은 회전축부의 측면도.
도 11은 주탑 및 대관람차의 측면도.
도 12는 주탑 및 대관람차의 정면도.
도 13은 가이드부의 구성도.
도 14는 구동부의 측면도.
도 15는 구동부의 평면도.
도 16은 대관람차의 변위방지구조에 관한 정면도.
도 17은 주탑 및 대관람차의 평면도.
도 18은 주탑의 출입부의 측면도.
도 19는 주탑의 시공방법의 공정도.
도 20 내지 25는 사장교의 시공방법의 공정도.
1 show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of a cable-stayed bridge.
3 is a side view of a cable-stayed bridge;
4,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tower.
6 is a side view of the Ferris wheel;
7 is a front view of the Ferris wheel.
8 is a side view of the pylon and viking;
9 is a front view of a rotating shaft portion;
10 is a side view of a rotating shaft portion;
11 is a side view of the main tower and the Ferris wheel;
12 is a front view of the main tower and the Ferris wheel;
1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guide unit;
14 is a side view of a driving unit;
15 is a plan view of a driving unit;
16 is a front view of the displacement preventing structure of the Ferris wheel.
17 is a plan view of the main tower and the Ferris wheel.
18 is a side view of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main tower;
19 is a process diagram of a construction method of a pylon.
20 to 25 are process diagrams of a construction method of a cable-stayed bridge.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사장교의 주탑 구조물은 기본적으로, 주탑을 형성함과 아울러, 심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도록,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한 쌍의 주탑부(100); 한 쌍의 주탑부(100)의 중앙부를 가로질러 설치된 회전축부(200); 회전축부(200)에 의해 회전구동이 가능하도록, 설치공간에 설치된 유희시설(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ure 1 or less, the pylon structure of the cable-stayed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forms a pylon and a pair of pylon parts 100 installed at intervals in the width direction so that an installation space is formed in the deep part. ; a rotating shaft part 200 installed across the center of the pair of main tower parts 10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the amusement facility 300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space so that rotation is possible by the rotating shaft unit 200 .

사장교의 주탑은 케이블에 의해 지지되는 장경간의 거더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하여 높은 고도의 대단면 구조로 시공된다.The pylon of the cable-stayed bridge is constructed in a high-altitude, large-section structure to support the load of the long-span girder supported by cables.

대관람차(ferris wheel)나 바이킹(pirate ship)(도 8)과 같은 유희시설(300)은 그 하중이 위 거더의 하중에 비해 수십분의 1에 불과한 것이므로, 이러한 유희시설(300)을 사장교의 주탑의 구조적 안정성에는 거의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Since the load of the amusement facilities 300 such as a ferris wheel or a viking ship (FIG. 8) is only one tenth of that of the upper girder, these amusement facilities 300 are used as the main tower of the cable-stayed bridge. has little effect on the structural stability of

그러나 이러한 유희시설(300)이 사장교의 주탑에 설치되는 경우, 교량이 교통시설을 넘어 관광시설이 되므로, 그 교량이 설치된 지역의 랜드마크가 되어 관광상품으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할 수 있다.However, when the amusement facility 300 is installed in the main tower of the cable-stayed bridge, the bridge becomes a tourist facility beyond a transportation facility, and thus it can become a landmark in the area where the bridge is installed and can sufficiently serve as a tourism product.

일반적인 유희시설(300)은 놀이공원 내부에 설치되므로, 대관람차를 타고 높은 곳에 올라가 봤자 놀이공원의 내부 중 먼곳 내지 놀이공원의 외부 근방이 보일 뿐이다.Since the general amusement facilities 300 are installed inside the amusement park, when you ride the Ferris wheel to a high place, you can only see the far part of the interior of the amusement park or the vicinity of the exterior of the amusement park.

그러나 사장교의 주탑에 설치된 유희시설(300)을 타고 높이 올라가는 경우, 교량이 설치된 하천이나 바다의 풍경 및 주위 경치를 감상할 수 있으므로, 일반 놀이공원의 유희시설(300)과는 비교가 안 되는 경관을 즐길 수 있다.However, if you climb high on the amusement facility 300 installed in the main tower of the cable-stayed bridge, you can enjoy the scenery of the river or the sea where the bridge is installed and the surrounding scenery, so it is a scenery that cannot be compared with the amusement facilities 300 of general amusement parks. can enjoy

유희시설(300)에는 종류가 많지만, 주탑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회전축부(200)에 의해 연직방향 및 전후방향을 따라 회전구동하는 종류의 유희시설(300)(대관람차(ferris wheel), 바이킹(pirate ship) 등)이 구조적 안정성 및 설치에 의한 효용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There are many types of amusement facilities 300, but amusement facilities 300 (ferris wheel), vikings (ferris wheel), pirate ship) is preferable in terms of structural stability and utility due to installation.

이러한 유희시설(300)은 일체로 형성된 일반적인 구조의 주탑의 일측면에 설치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주탑에 대하여 비대칭 횡방향 하중을 인가하게 되므로, 구조적 안정성 측면에서 좋지 못하다.The amusement facility 300 may 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pylon of a general structure formed integrally, but in this case, an asymmetric lateral load is applied to the pylon, which is not good in terms of structural stability.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고자, 심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도록,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한 쌍의 주탑부(100)를 설치하고, 그 한 쌍의 주탑부(100)의 중앙부를 가로질러 회전축부(200)를 설치하며, 그 회전축부(200)에 의해 회전구동이 가능하도록, 설치공간에 유희시설(300)을 설치한 구조를 취한다(도 5,9).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s a pair of pylon parts 100 at intervals in the width direction so that an installation space is formed in the deep part, and crosses the center of the pair of pylon parts 100 to rotate the shaft part ( 200), and takes a structure in which the amusement facility 300 is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space so that rotation is possible by the rotating shaft part 200 (FIGS. 5 and 9).

이는 한 쌍의 주탑부(100)에 의해 형성되는 주탑에 대하여 위와 같은 비대칭 횡방향 하중을 인가하지 않게 되므로, 구조적 안정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This has an advantage in that structural stability is excellent because the above asymmetric lateral load is not applied to the pylon formed by the pair of pylon parts 100 .

이러한 한 쌍의 주탑부(100)는 다음과 같은 공정에 의해 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6).The pair of pylon parts 100 is preferably constructed by the following process (FIG. 16).

기초부를 형성하고, 기초부의 상부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철근 배근, 거푸집 설치,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한 쌍의 주탑부(100)를 형성하되, 일정 높이마다 한 쌍의 주탑부(100)의 사이에 철근이나 강봉 등에 의한 임시보강부재(103)를 설치하여 상호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다.A pair of pylon parts 100 are formed by sequentially reinforcing reinforcement, installing formwork, and pouring concrete with respect to the upper part of the foundation, but at a certain height between the pair of pylon parts 100, such as reinforcing bars or steel bars, etc. Temporary reinforcing member 103 is installed so that the mutual distance is kept constant.

한 쌍의 주탑부(100)의 상단을 연결하여 상단 폐쇄부(101)를 형성한 이후에는, 위 임시보강부재(103)를 제거하고, 유희시설(300)을 설치한다.After connecting the upper ends of the pair of pylons 100 to form the upper closing part 101 , the temporary reinforcing member 103 is removed, and the amusement facility 300 is installed.

주탑에 대한 비대칭 하중의 인가를 방지하기 위하여, 한 쌍의 주탑부(100)의 주탑상부(110) 각각의 전면 및 후면에는 케이블 결합부(111)가 형성되고, 한 쌍의 주탑부(100) 중 좌측 주탑부(100a)의 케이블 결합부(111)에 설치된 케이블(112)은 좌측 주탑부(100a)의 좌측을 지나도록 설치된 좌측 거더(10a)를 지지하도록 설치되고, 한 쌍의 주탑부(100) 중 우측 주탑부(100b)의 케이블 결합부(111)에 설치된 케이블(112)은 우측 주탑부(100b)의 우측을 지나도록 설치된 우측 거더(10b)를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2).In order to prevent the application of an asymmetric load to the pylon, a cable coupling part 111 is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each of the pylon upper parts 110 of the pair of pylon parts 100 , and the left side of the pair of pylon parts 100 . The cable 112 installed in the cable coupling part 111 of the pylon part 100a is installed to support the left girder 10a installed to pass through the left side of the left pylon part 100a, and the right pylon part of the pair of pylon parts 100 The cable 112 installed in the cable coupling part 111 of (100b) is preferably installed to support the right girder 10b installed to pass through the right side of the right pylon part 100b (FIGS. 1 and 2).

즉, 교량 중 사장교 구간(주탑에 인접한 구간)에서는, 주탑을 사이에 두고, 좌측 거더(10a) 및 우측 거더(10b)가 서로 이격하여 설치되도록 함과 아울러, 한 쌍의 주탑부(100a,100b)에 각각 설치된 케이블이 그 양측(외측)에 설치된 거더(10a,10b)를 지지하도록 한 것이다.That is, in the cable-stayed bridge section of the bridge (section adjacent to the pylon), the left girder 10a and the right girder 10b are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 the pylon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 pair of pylon parts 100a and 100b) The cables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girders (10a, 10b) installed on both sides (outside) thereof are supported.

이는 사장교의 케이블과 유희시설(300)이 상호 저촉되는 것을 방지한다는 효과도 있다.This also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cables of the cable-stayed bridge and the amusement facilities 300 from collide with each other.

한 쌍의 주탑부(100)의 주탑하부(120) 사이에는, 대관람차를 회전구동시키는 구동부(400)가 설치된다.Between the pylon lower part 120 of the pair of pylon parts 100, a driving unit 400 for rotationally driving the Ferris wheel is installed.

이 구동부(400)는, 대관람차(300)의 최외곽 휠레일(310a)을 상측으로 지지함과 아울러, 회전구동시키도록 간격을 두고 설치된 한 쌍의 구동휠부(410); 한 쌍의 구동휠부(410)를 탄성지지하도록 설치된 탄성지지부(420); 탄성지지부(420)를 상기 주탑하부(120) 내면에 결합하는 지지결합부(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14,15).The driving unit 400 includes a pair of driving wheel units 410 installed at intervals to support the outermost wheel rail 310a of the Ferris wheel 300 upward and rotate it; an elastic support part 420 installed to elastically support the pair of driving wheel parts 410; and a support coupling part 430 for coupling the elastic support part 420 to the inner surface of the pylon lower part 120 ( FIGS. 14 and 15 ).

구동휠부(410)는 모터(412)와 타이어(411)의 회전구동에 의해 대관람차(300)의 최외곽 휠레일(310a)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고, 탄성지지부(420)는 대관람차(300)의 유동을 제한적으로 허용하는 탄성지지 역할을 한다.The driving wheel part 410 serves to rotate the outermost wheel rail 310a of the Ferris wheel 300 by rotational driving of the motor 412 and the tire 411 , and the elastic support part 420 serves to rotate the Ferris wheel 300 . ) acts as an elastic support that restricts the flow of

구동부(400)는, 마주 보는 주탑하부(120) 내면에 각각 한 쌍이 설치되는 것이 구조적 안정성을 위하여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for structural stability that a pair of driving units 400 are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ylon lower part 120 facing each other.

이하, 회전축부(200)에 대하여 설명한다(도 9,10).Hereinafter, the rotating shaft part 200 will be described (FIGS. 9 and 10).

한 쌍의 주탑부(100)는 위 회전축부(200)의 설치를 위하여, 내부공간에 중앙슬랩(130)이 형성된다.A pair of pylon parts 100 is provided with a central slab 130 in the inner space for the installation of the upper rotating shaft part 200 .

회전축부(200)는 한 쌍의 주탑부(100)의 중앙부를 가로지르는 구조로 양단이 중앙슬랩(130)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치된다.The rotating shaft 200 has a structure that crosses the center of the pair of pylons 100 and is installed so that both ends are supported by the central slab 130 .

이는 유압잭과 같은 높이조절장치(20)에 의해 중앙슬랩(130)에 대한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회전축 프레임(210); 회전축 프레임(21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설치된 회전축(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is includes a rotating shaft frame 210 installed to enable height adjustment of the central slab 130 by a height adjustment device 20 such as a hydraulic jack;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rotating shaft 220 installed to be rotatably supported by the rotating shaft frame 210 .

이는 다음과 같은 공정에 의해 설치된다.It is installed by the following process.

콘크리트의 타설 및 양생에 의해 한 쌍의 주탑부(100)를 형성하고, 회전축부(200)의 양단을 중앙슬랩(130)에 임시로 거치한다.A pair of pylon parts 100 are formed by pouring and curing concrete, and both ends of the rotating shaft part 200 are temporarily mounted on the central slab 130 .

타설되고 시간이 얼마 지나지 않은 콘크리트는 건조수축 기타의 이유로 시간의 경과와 함께 변위가 발생하므로, 이러한 변형이 중단될 때까지 기다리는 것이 바람직하다.Concrete that has not been poured for a while is displaced with the passage of time due to drying shrinkage and other reasons, so it is desirable to wait until such deformation stops.

콘크리트의 초기변형이 완료된 후, 높이조절장치(20)를 설치하고, 회전축 프레임(210)의 높이 및 기울기를 조절한다.After the initial deformation of the concrete is completed, the height adjusting device 20 is installed, and the height and inclination of the rotating shaft frame 210 are adjusted.

회전축 프레임(210)의 하부(저면)와 중앙슬랩(130)의 사이에 무수축 콘크리트(C)를 타설하여 고정한다.Non-shrinkable concrete (C) is poured and fixed between the lower part (bottom surface) of the rotating shaft frame 210 and the central slab 130 .

즉, 유희시설(300)의 회전축(220)을 콘크리트 구조물에 설치함에 있어서, 단순히 결합구조만을 취한 것이 아니라,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등을 감안하여 회전축부(200)가 안정적인 위치를 확보하도록 별도의 높이조절구조를 추가한 것이다.That is, in installing the rotating shaft 220 of the amusement facility 300 in the concrete structure, not only the coupling structure is taken, but a separate height so that the rotating shaft 200 secures a stable position in consideration of the drying and shrinkage of the concrete. A control structure was added.

따라서 콘크리트의 초기변형에 불구하고, 유희시설(300)의 회전축(220)을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despite the initial deformation of the concret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rotating shaft 220 of the amusement facility 300 can be stably installed.

회전축 프레임(210)은 구체적으로, H 빔 등의 강구조로 형성된 본체(211); 회전축(220)이 지지되도록, 본체(211)의 상부에 형성된 지지홈(212); 양단의 하부에 높이조절장치(20)의 설치공간이 형성되도록, 본체(211)의 전후방으로 연장형성된 연장부(213); 중앙슬랩(130)의 상부에 안착되도록, 본체(211)의 하부에 형성된 안착부(214);를 포함하는 구성을 취하는 경우, 상술한 공법에 의한 효과를 극대화하여 얻을 수 있다.The rotating shaft frame 210 specifically includes a body 211 formed of a steel structure such as an H-beam; a support groove 212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211 so that the rotating shaft 220 is supported; Extension portions 213 extending forward and backward of the main body 211 so as to form an installation space of the height adjusting device 20 at the lower portions of both ends; When a configuration including; a seating portion 214 form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211 to be se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entral slab 130 can be obtained by maximizing the effect of the above-described construction method.

회전축(220)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하여, 안착부(214)의 폭은 회전축(22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stable support of the rotating shaft 220 , the width of the seating part 214 is preferably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rotating shaft 220 .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주탑 구조물의 횡방향 하중에 대한 저항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resistance structure to the lateral load of the pyl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상술한 바와 같이, 유희시설(300)은 그 자중이 크지 않지만, 풍하중에 의해 주탑에 대하여 횡방향 하중을 인가할 수 있으므로, 이에 저항하기 위한 구조가 필요하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self-weight of the amusement facility 300 is not large, a lateral load may be applied to the pylon by the wind load, and thus a structure to resist this is required.

한 쌍의 주탑부(100)의 상단과 하단은 개방되도록 할 수도 있고, 폐쇄되도록 할 수도 있는데, 위 횡방향 하중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저항하기 위해서는 후자의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pair of pylons 100 may be opened or closed, but it is preferable to adopt the latter structure in order to stably resist the upper lateral load.

즉, 한 쌍의 주탑부(100)의 상단을 폐쇄하도록 형성된 상단 폐쇄부(101); 한 쌍의 주탑부(100)의 하단을 폐쇄하도록 형성된 하단 폐쇄부(102);를 더 포함하고, 유희시설(300)은 상단 폐쇄부(101)와 하단 폐쇄부(102)의 사이영역에서 구동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That is, the upper end closing portion 101 formed to close the upper end of the pair of main tower portion 100; A pair of pylons 100 formed to close the lower ends of the lower closure portion (102); further comprising, the amusement facility 300 is driven in the region between the upper closure portion 101 and the lower end closure portion (102) It is preferable to be installed.

또한, 한 쌍의 주탑부(100)는 각각, 회전축부(200)의 상측 연직방향으로 연장설치된 주탑상부(110); 회전축부(200)의 하측 경사방향으로 연장설치된 한 쌍의 주탑하부(120);를 포함하는 역 Y자형 또는 A자형 단면구조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위 횡방향 하중에 대한 저항성을 더욱 높인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each of the pair of pylon parts 100 is a pylon upper part 110 that is installed extending in the upper vertical direction of the rotary shaft part 200 ; It can be formed in an inverted Y-shape or A-shaped cross-sectional structure including a pair of pylon lower parts 120 installed extending in the downward oblique direction of the rotating shaft part 200, which further increases the resistance to the upper lateral load. There are advantages.

대관람차(300)와 한 쌍의 주탑부(100) 내면 사이의 간격을 유지함과 아울러, 대관람차(300)의 회전구동을 허용하도록 한 쌍의 주탑부(100) 내면에 가이드부(500)가 설치되는 경우, 위 대관람차(300)의 횡방향 변위를 더욱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도 11 내지 13).A guide part 500 is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air of pylon parts 100 to maintain a distance between the inner surfaces of the Ferris wheel 300 and the pair of pylons 100 and to allow rotational driving of the Ferris wheel 300 In this case, the lateral displacement of the Ferris wheel 300 can be prevented more stably ( FIGS. 11 to 13 ).

이 가이드부(500)는 구체적으로, 대관람차(300)의 휠레일(310)과 접촉하면서 회전구동하도록 하기 위하여, 회전축부(200)와 직교하는 방향의 회전축에 의해 회전하도록 설치된 가이드롤러(510); 가이드롤러(510)의 회전축을 지지하도록, 한 쌍의 주탑부(100) 내면에 설치된 롤러지지부(5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Specifically, the guide part 500 is a guide roller 510 installed to rotate by a rotation shaft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rotation shaft part 200 in order to rotate while in contact with the wheel rail 310 of the Ferris wheel 300 . ); To support the axis of rotation of the guide roller 510, a pair of pylons 100, the roller support 520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is configured to include.

대관람차(300)에는 동심원 구조의 다수의 휠레일(310)이 설치되는데, 이들 중 횡방향 변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최외곽 휠레일(310a)이므로, 위 가이드부(500)는 대관람차(300)의 최외곽 휠레일(310a)을 가이드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 plurality of wheel rails 310 having a concentric circle structure are installed in the Ferris wheel 300, and the outermost wheel rail 310a has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lateral displacement among them, so the guide unit 500 above the Ferris wheel It is preferable to be installed to guide the outermost wheel rail (310a) of (300).

상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주탑부(100)가 각각, 회전축부(200)의 상측 연직방향으로 연장설치된 주탑상부(110); 회전축부(200)의 하측 경사방향으로 연장설치된 한 쌍의 주탑하부(120);를 포함하는 역 Y자형 또는 A자형 단면구조로 형성되는 경우, 가이드부(500)는 주탑상부(110)(2개) 및 한 쌍의 주탑하부(120)(2개씩 4개)에 각각 설치됨으로써, 최소한 6개소에 설치되는 것이 구조적 안정성을 위하여 바람직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air of pylon parts 100, respectively, the pylon upper part 110 extending in the upper vertical direction of the rotary shaft part 200; When formed in an inverted Y-shape or A-shaped cross-sectional structure including; ) and a pair of pylon lower parts 120 (four by two), it is preferable for structural stability to be installed in at least six places.

이러한 구조를 취하는 경우, 한 쌍의 주탑부(100) 내부 영역에서, 대관람차(300)의 종방향 변위는 자중 및 구동부(400)에 의해 구속하고, 횡방향 변위는 위 6개소의 가이드부(500)에 의해 구속하게 되므로, 안정적인 변위의 방지가 가능하다(도 16).In the case of taking such a structure, in the inner region of the pair of pylon parts 100 , the longitudinal displacement of the Ferris wheel 300 is constrained by its own weight and the driving unit 400 , and the lateral displacement is determined by the guide parts 500 at six places above. ), it is possible to prevent stable displacement (FIG. 16).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유희시설이 설치된 사장교의 출입구조물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entrance structure of the cable-stayed bridge in which the amusement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will be described.

한 쌍의 주탑부(100)의 하부 및 유희시설(300)에 출입하도록, 한 쌍의 주탑부(100)의 기초부에는 별도의 출입부(600)가 형성된다.A separate entrance 600 is formed at the base of the pair of pylons 100 so as to enter and exit the lower part of the pair of pylons 100 and the amusement facility 300 .

일반적인 사장교의 주탑의 하부는 수중에 위치하므로, 위 출입부(600)의 구조가 있을 필요가 없다.Since the lower part of the main tower of a typical cable-stayed bridge is located in the water, there is no need to have a structure of the upper entrance 600 .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에는 탑승자가 유희시설(300)에 탑승하기 위하여, 그리고 주탑부(100)의 하부에 설치된 시설(구동부(400), 가이드부(500))의 점검을 위하여 위 출입부(600)가 필요하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for the occupant to board the amusement facility 300 and for inspection of the facilities (drive unit 400, guide unit 500)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main tower unit 100, the upper access unit 600 ) is required.

기본적으로, 주탑의 하단이 수중에 잠겨 있는 경우에는, 탑승자가 유희시설(300)에 탑승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출입부(600)는 주탑부(100)의 기초부에 형성된 인공섬(610); 유희시설(300)에 대한 접근 및 탑승이 가능하도록, 인공섬(610)의 상부에 형성된 탑승부(6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11,16,17).Basically, when the lower end of the pylon is submerged in water, since it is impossible for passengers to board the amusement facility 300 , the entrance 600 includes an artificial island 610 formed on the base of the pylon 100 ;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boarding unit 620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artificial island 610 to allow access and boarding to the amusement facility 300 ( FIGS. 11, 16 and 17 ).

탑승부(620)는 탑승자가 유희시설(300)에 오르기 위한 시설로서, 계단, 에스컬레이터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The boarding unit 620 is a facility for passengers to climb into the amusement facility 300 , and may be implemented by stairs, escalators, and the like.

주탑하부(120)에는 대단히 중요한 시설인 구동부(400)가 설치되므로, 주기적인 점검이 반드시 필요하다.Since the driving unit 400, which is a very important facility, is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pylon 120, periodic inspection is absolutely necessary.

안정적인 접근 및 점검을 위해서는, 주탑부(100)의 내부에 형성된 내부통로(640)를 이용하는 것이 좋지만, 사장교의 주탑의 하단 부위는 대단히 큰 응력집중이 발생하는 영역이므로, 내부통로의 형성에 의해 단면을 축소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다.For stable access and inspection, it is recommended to use the inner passage 640 formed inside the pylon part 100, but since the lower part of the pylon of the cable-stayed bridge is an area where a very large stress concentration occurs, the cross section is reduced by the formation of the inner passage. It is not advisable to downsize.

따라서 구동부(400)에 접근하기 위한 구동부 접근부(630)는, 주탑하부(120)의 외면을 통해 구동부(400)에 접근가능하도록, 주탑하부(120)의 외면에 형성된 구조(사다리 등)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8).Therefore, the driving unit access unit 630 for accessing the driving unit 400 is a structure (ladder, etc.)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ylon lower part 120 so that the driving unit 400 can be accessed through the outer surface of the pylon lower part 120. It is preferred to take (Fig. 18).

구동부 접근부(630)의 상부 영역은 위와 같은 제한이 없으므로, 주탑부(100)의 내부에 내부통로(640)를 형성하고, 이 내부통로(640)에 출입가능하도록, 구동부 접근부(630)에 인접하여 출입구(641)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ince the upper region of the driving unit access part 630 is not limited as above, an internal passage 640 is formed in the interior of the pylon 100, and the driving unit access unit 630 is provided to be able to enter and exit the internal passage 640 . It is preferable to form an entrance 641 adjacent to each other.

상술한 바와 같이, 주탑부(100) 중 구동부 접근부(630)의 하부 영역에는 내부통로(640)가 형성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사장교의 구조적 안정성을 위하여 바람직하다.As described above, it is preferable for structural stability of the cable-stayed bridge to prevent the internal passage 640 from being formed in the lower region of the driving part access part 630 of the pylon part 100 .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유희시설을 구비한 사장교의 시공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for constructing a cable-stayed bridge having an amusement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이는 기본적으로, 사장교의 주탑부(100)와, 주탑부(100)의 중앙부를 가로질러 설치된 회전축부(200)와, 회전축부(200)에 의해 회전구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주탑부(100)에 설치된 유희시설(300)을 포함하는 사장교에 적용될 수 있는 시공방법으로서, 다음과 같은 공정에 의해 이루어진다.This is basically an amusement facility installed in the pylon 100 of the cable-stayed bridge so that it can be rotated by the pylon 100, the rotating shaft 200 installed across the central part of the pylon 100, and the rotating shaft 200. As a construction method that can be applied to a cable-stayed bridge including (300), it is made by the following process.

주탑부(100)를 설치하고, 가설벤트(11) 및 거더(10)를 열지어 설치하되, 유희시설(300)의 설치를 위한 장비(30)의 작업공간(31)이 확보되도록, 주탑부(100) 일측의 일부 영역을 제외하고 설치한다(도 20).The pylon part 100 is installed, and the temporary vent 11 and the girder 10 are opened and installed, but the pylon part 100 so that the working space 31 of the equipment 30 for the installation of the amusement facility 300 is secured. ) installed except for some areas on one side (FIG. 20).

작업공간(31)에서 크레인 등의 장비(30)에 의해 유희시설(300)을 설치한다(도 21).The amusement facility 300 is installed by the equipment 30 such as a crane in the work space 31 ( FIG. 21 ).

유희시설(300)이 대관람차인 경우, 와이어 당김장치(41)(가설 윈치)를 이용하여 보다 편리하게 시공할 수 있다.When the amusement facility 300 is a Ferris wheel, it can be constructed more conveniently by using the wire pulling device 41 (temporary winch).

즉, 주탑부(100)를 중심으로 작업공간(31)의 반대영역에 와이어 당김장치(41)를 설치하고, 일부 조립상태의 대관람차에 와이어(40)의 일단을 결합하고, 와이어(40)의 타단을 와이어 당김장치(41)에 연결한 후, 와이어 당김장치(41)에 의해 와이어(40)를 당겨 일부 조립상태의 대관람차를 일부씩 회전시키면서 장비(30)에 의해 대관람차를 조립할 수 있다.That is, the wire pulling device 41 is installed in the opposite area of the working space 31 with the pylon 100 as the center, and one end of the wire 40 is coupled to the Ferris wheel in a partially assembled state, and the After connecting the other end to the wire pulling device 41, by pulling the wire 40 by the wire pulling device 41, the Ferris wheel in a partially assembled state is partially rotated, and the Ferris wheel can be assembled by the equipment 30. .

와이어(40)의 일단을 일부 조립상태의 대관람차의 하부에 결합하고, 와이어 당김장치(41)에 의해 와이어(40)를 당겨 일정 지점에서 멈춤에 따라, 일부 조립상태의 대관람차의 자중과 와이어(40)의 장력의 평형에 의해 일부 조립상태의 대관람차가 임시고정상태가 되도록 한 후, 장비(30)에 의해 임시고정상태인 대관람차를 조립하는 경우, 시공이 편하면서도 안정적인 작업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도 22).One end of the wire 40 is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Ferris wheel in a partially assembled state, and as the wire 40 is pulled by the wire pulling device 41 and stopped at a certain point, the weight and the wire of the Ferris wheel in the partially assembled state In the case of assembling the temporarily fixed Ferris wheel by means of the equipment 30 after making the partially assembled Ferris wheel temporarily fixed by the balance of tension in (40), construction is easy and stable work is possible. There are advantages (FIG. 22).

이를 위해서는, 와이어 당김장치(41)에 의해 와이어(40)가 상향 경사지게 당겨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o this end, it is preferable to pull the wire 40 inclined upward by the wire pulling device 41 .

다만, 와이어 당김장치(41)를 높이 설치하는 것이 불편한 경우, 기설치된 거더(10)에 와이어 당김장치(41)를 설치하고, 주탑부(100)와 와이어 당김장치(41)의 사이에 와이어(40)의 경사방향을 변경하기 위한 경사방향 변경부재(42)를 설치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However, if it is inconvenient to install the wire pulling device 41 at a high height, the wire pulling device 41 is installed on the pre-installed girder 10 and the wire 40 between the pylon 100 and the wire pulling device 41 . ), a method of installing the inclination direction changing member 42 for changing the inclination direction can be used.

이 경우, 일단이 일부 조립상태의 대관람차의 하부에 결합한 와이어(40)가 상향 경사진 상태로 경사방향 변경부재(42)에 거치되도록 하고, 경사방향 변경부재(42)에 거치된 와이어(40)의 타단이 하향 경사진 상태로 와이어 당김장치(41)에 연결되도록 한다.In this case, the wire 40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Ferris wheel in a partially assembled state is mounted on the inclination direction changing member 42 in an upwardly inclined state, and the wire 40 mounted on the inclination direction changing member 42 . ) so that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wire pulling device 41 in a downwardly inclined state.

이는 와이어 당김장치(41)를 높이 설치하지 않으면서도, 와이어 당김장치(41)에 의해 와이어(40)가 상향 경사지게 당겨지도록 할 수 있으므로, 상술한 대관람차의 자중과 와이어(40)의 장력의 평형에 의해 일부 조립상태의 대관람차가 임시고정상태가 되도록 하는 공법을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This allows the wire 40 to be pulled upwardly and obliquely by the wire pulling device 41 without installing the wire pulling device 41 at a high height, so that the above-described self-weight of the Ferris wheel and the tension of the wire 40 are balanced. This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apply a construction method that makes the Ferris wheel in a partially assembled state temporarily fixed.

유희시설(300)이 조립이 완료된 후, 작업공간(31)에 대하여도 가설벤트(11) 및 거더(10)를 설치한다(도 23).After the amusement facility 300 is assembled, the temporary vent 11 and the girder 10 are installed in the work space 31 as well (FIG. 23).

주탑부(100) 및 거더(10)에 대하여 케이블(112)을 설치하고, 가설벤트(11)를 해체한다(도 24,25).The cable 112 is installed with respect to the main tower part 100 and the girder 10, and the temporary vent 11 is dismantled (FIGS. 24 and 25).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Since the above has only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some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at can be implemented by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note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It will be said that the technical idea and the technical idea with the root are all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거더 11 : 가설벤트
20 : 높이조절장치 30 : 장비
31 : 작업공간 40 : 와이어
41 : 와이어 당김장치 42 : 경사방향 변경부재
100 : 주탑부 101 : 상단 폐쇄부
102 : 하단 폐쇄부 103 : 임시보강부재
110 : 주탑상부 111 : 케이블 결합부
112 : 케이블 120 : 주탑하부
130 : 중앙슬랩 200 : 회전축부
210 : 회전축 프레임 220 : 회전축
211 : 본체 212 : 지지홈
213 : 연장부 214 : 안착부
300 : 유희시설 310 : 휠레일
400 : 구동부 410 : 구동휠부
420 : 탄성지지부 430 : 지지결합부
500 : 가이드부 510 : 가이드롤러
520 : 롤러지지부 600 : 출입부
610 : 인공섬 620 : 탑승부
630 : 구동부 접근부 640 : 내부통로
641 : 출입구
10: girder 11: temporary vent
20: height adjustment device 30: equipment
31: work space 40: wire
41: wire pulling device 42: inclined direction change member
100: main tower 101: upper closing part
102: lower closing part 103: temporary reinforcing member
110: pylon upper part 111: cable coupling part
112: cable 120: pylon lower part
130: central slab 200: rotating shaft part
210: rotation shaft frame 220: rotation shaft
211: body 212: support groove
213: extension 214: seating part
300: amusement facilities 310: wheel rails
400: driving unit 410: driving wheel unit
420: elastic support part 430: support coupling part
500: guide part 510: guide roller
520: roller support 600: entry and exit
610: artificial island 620: boarding part
630: driving part access part 640: internal passage
641: entrance

Claims (6)

사장교의 주탑에 대한 출입을 위한 구조물로서,
상기 주탑을 형성함과 아울러, 심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도록,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한 쌍의 주탑부(100);
상기 한 쌍의 주탑부(100)의 중앙부를 가로질러 설치된 회전축부(200);
상기 회전축부(200)에 의해 회전구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설치공간에 설치된 유희시설(300);
상기 한 쌍의 주탑부(100)의 상단을 폐쇄하도록 형성된 상단 폐쇄부(101);
상기 한 쌍의 주탑부(100)의 하단을 폐쇄하도록 형성된 하단 폐쇄부(102);
상기 한 쌍의 주탑부(100)의 하부 및 유희시설(300)에 출입하도록, 상기 한 쌍의 주탑부(100)의 기초부에 형성된 출입부(600);를 포함하고,
상기 유희시설(300)은 대관람차 또는 바이킹이고,
상기 유희시설(300)은 상기 상단 폐쇄부(101)와 하단 폐쇄부(102)의 사이영역에서 구동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출입부(600)는,
상기 주탑부(100)의 기초부에 형성된 인공섬(610);
상기 유희시설(300)에 대한 접근 및 탑승이 가능하도록, 상기 인공섬(610)의 상부에 형성된 탑승부(620);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주탑부(100)는 각각,
상기 회전축부(200)의 상측 연직방향으로 연장설치된 주탑상부(110);
상기 회전축부(200)의 하측 경사방향으로 연장설치된 한 쌍의 주탑하부(120);를 포함하는 역 Y자형 또는 A자형 단면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주탑부(100)의 주탑하부(120) 사이에는, 상기 유희시설(300)인 대관람차를 회전구동시키는 구동부(400)가 설치되고,
상기 출입부(600)는,
상기 주탑하부(120)의 외면을 통해 상기 구동부(400)에 접근가능하도록, 상기 주탑하부(120)의 외면에 형성된 구동부 접근부(630);
상기 구동부 접근부(630)의 상부 영역으로서, 상기 주탑부(100)의 내부에 형성된 내부통로(640);
상기 내부통로(640)에 출입가능하도록, 상기 구동부 접근부(630)에 인접하여 형성된 출입구(641);를 포함하고,
상기 주탑부(100) 중 상기 구동부 접근부(630)의 하부 영역에는 상기 내부통로(640)가 형성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희시설이 설치된 사장교의 출입구조물.
As a structure for access to the main tower of the cable-stayed bridge,
A pair of pylon parts 100 installed at intervals in the width direction so as to form the pylon and form an installation space in the core;
a rotating shaft part 200 installed across the central part of the pair of pylon parts 100;
A play facility 300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space to enable rotational driving by the rotating shaft 200;
an upper end closing portion 101 formed to close the upper end of the pair of main tower portions 100;
a lower end closing portion 102 formed to close the lower ends of the pair of main tower portions 100;
Including; and an entrance 600 formed on the base of the pair of pylons 100 to enter and exit the lower part of the pair of pylons 100 and the amusement facility 300,
The amusement facility 300 is a Ferris wheel or a Viking,
The amusement facility 300 is installed to drive in the region between the upper closure part 101 and the lower closure part 102,
The entrance 600 is,
An artificial island 610 formed on the base of the pylon 100;
To enable access and boarding to the amusement facility 300, a boarding unit 620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artificial island 610; includes;
Each of the pair of main tower parts 100,
a pylon upper part 110 installed extending in the upper vertical direction of the rotating shaft part 200;
It is formed in an inverted Y-shaped or A-shaped cross-sectional structure including;
Between the pylon lower part 120 of the pair of pylon parts 100, a driving unit 400 for rotatingly driving the ferris wheel, which is the amusement facility 300, is installed,
The entrance 600 is,
a driving part access part 630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ylon lower part 120 so as to be accessible to the driving part 400 through the outer surface of the pylon lower part 120;
an inner passage 640 formed inside the pylon 100 as an upper region of the driving part access part 630;
Including a;
The entrance structure of a cable-stayed bridge equipped with an amusement facility,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passage 640 is not formed in the lower region of the driving part access part 630 of the main tower part 100 .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400)는,
상기 대관람차(300)의 최외곽 휠레일(310)을 상측으로 지지함과 아울러, 회전구동시키도록 간격을 두고 설치된 한 쌍의 구동휠부(410);
상기 한 쌍의 구동휠부(410)를 탄성지지하도록 설치된 탄성지지부(420);
상기 탄성지지부(420)를 상기 주탑하부(120) 내면에 결합하는 지지결합부(4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희시설이 설치된 사장교의 출입구조물.
According to claim 1,
The driving unit 400,
a pair of driving wheel parts 410 installed at intervals to support the outermost wheel rail 310 of the Ferris wheel 300 upward and rotate it;
an elastic support part 420 installed to elastically support the pair of driving wheel parts 410;
A support coupling part 430 for coupling the elastic support part 420 to the inner surface of the pylon lower part 120; and
Entrance structure of cable-stayed bridge equipped with amusement facilitie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90062100A 2019-05-27 2019-05-27 Entering structure for cable stayed girdir bridge having amusement facilities KR10231399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100A KR102313992B1 (en) 2019-05-27 2019-05-27 Entering structure for cable stayed girdir bridge having amusement faciliti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100A KR102313992B1 (en) 2019-05-27 2019-05-27 Entering structure for cable stayed girdir bridge having amusement faciliti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6249A KR20200136249A (en) 2020-12-07
KR102313992B1 true KR102313992B1 (en) 2021-10-15

Family

ID=73791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2100A KR102313992B1 (en) 2019-05-27 2019-05-27 Entering structure for cable stayed girdir bridge having amusement faciliti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3992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9834A (en) * 2003-11-10 2005-06-02 Mamoru Kawaguchi Bridge with ferris wheel
JP2007167215A (en) * 2005-12-20 2007-07-05 Senyo Kogyo Kk Ferris wheel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3664B2 (en) * 1993-09-08 2000-02-28 鹿島建設株式会社 Underwater / Aerial Ferris Wheel
JP3860914B2 (en) * 1998-02-06 2006-12-20 三菱重工業株式会社 Ferris wheel erection method
KR20110114170A (en) * 2010-04-13 2011-10-19 (주)창조하는사람들 Bridge structure included multi-plex area and rotation veiw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9834A (en) * 2003-11-10 2005-06-02 Mamoru Kawaguchi Bridge with ferris wheel
JP2007167215A (en) * 2005-12-20 2007-07-05 Senyo Kogyo Kk Ferris whe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6249A (en) 2020-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010415B (en) Support the prestressed concrete floating platform of offshore wind turbine and ocean power generator
EP0318421B1 (en) Cable-stay roof for stadium or arena and method of construction of same
KR102297365B1 (en) Construction metod for main tower structure of cable stayed girdir bridge having amusement facilities
CN102146660A (en) Installation methods of cross-arch-rib gantry crane and butterfly arch bridge space structure system
JPH11513761A (en) Cable-supported opening / closing daylighting roof for stadium, arena and other structures,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CN110847063A (en) Method for dismantling multi-span double-arch bridge
CN107034791A (en) A kind of assembling method of Cantilever Casting Construction Hanging Basket
KR102313992B1 (en) Entering structure for cable stayed girdir bridge having amusement facilities
KR102321121B1 (en) Main tower structure for cable stayed girdir bridge having amusement facilities
CN106522364A (en) Garland steel structure system for periphery of stadium and installation technique of garland steel structure system
CN209066475U (en) A kind of prefabricated assembled steel construction pit basis of existing multi-storey building installation elevator
CN212316706U (en) Bridge erecting machine
KR102542385B1 (en) Hybrid cable pedestrian suspension bridge and contruction method thereof
CN108677750B (en) Assembled railroad bridge rotation construction method
CN113235460A (en) Prefabricated segment swinging method for bridge cantilever assembly
CN111472252A (en) Single-arch-rib framing swivel construction steel box arch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ing et al. Aquatics Centre, London 2012 Olympic and Paralympics Games
RU47910U1 (en) CULTURAL LEISURE OR PUBLIC APPOINTMENT
JP2005090108A (en) Erection method of bridge
JPH01256636A (en) Construction method of building
KR102633919B1 (en) Cable suspension bridge in multi-directional paths
CN215925592U (en) Rotary cable-stayed bridge
KR20090103592A (en) Building Bridge
CN217298608U (en) Assembled steel trestle
JP2769490B2 (en) Anchor structure of small suspension brid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