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3879B1 -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모바일 서비스 콘텐츠 관리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모바일 서비스 콘텐츠 관리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3879B1
KR102313879B1 KR1020200010144A KR20200010144A KR102313879B1 KR 102313879 B1 KR102313879 B1 KR 102313879B1 KR 1020200010144 A KR1020200010144 A KR 1020200010144A KR 20200010144 A KR20200010144 A KR 20200010144A KR 102313879 B1 KR102313879 B1 KR 1023138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management unit
user
behavior
platf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0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6540A (ko
Inventor
정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블리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블리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블리뷰
Priority to KR1020200010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3879B1/ko
Publication of KR20210096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65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3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38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02Providing cryptographic facilities or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78Product apprais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7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distributed storage of data in networks, e.g. transport arrangements for network file system [NFS], storage area networks [SAN] or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the encryption apparatus using shift registers or memories for block-wise or stream coding, e.g. DES systems or RC4; Hash functions; Pseudorandom sequence generators
    • H04L9/0643Hash functions, e.g. MD5, SHA, HMAC or f9 MA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20/00Business processing using cryptography
    • G06Q2220/10Usage protection of distributed data files
    • H04L2209/3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60Digital content management, e.g. content distribution
    • H04L2209/605Copy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ioeth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랫폼 운영부, 콘텐츠 관리부, 행동 관리부, 저작권 관리부를 포함하는 중앙서버에 있어서, 사용자가 제작하여 중앙서버에서 운영하는 플랫폼을 통해 업로드한 사진 또는 동영상의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관리부가 암호화하고, 암호화된 콘텐츠를 상기 플랫폼을 통해 제3의 이용자가 확인하거나 공유 또는 캡처하는 행동 내역을 상기 행동 관리부에서 확인한 후, 행동 내역 관련 정보를 데이터 처리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상기 저작권 관리부에 전달하고, 상기 저작권 관리부의 제1관리부는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노드로 참여하여 행동 내역 관련 정보의 블록을 저장하고, 상기 제2관리부는 행동 관리부로부터 행동 내역 관련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모바일 서비스 콘텐츠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모바일 서비스 콘텐츠 관리 방법 및 시스템 {Method and system for content managing on mobile service using block chain network}
본 발명은 콘텐츠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모바일 서비스상에서 사용자 제작 콘텐츠의 관리 및 보호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인터넷을 통한 물품의 판매 및 구매가 일상화되면서, 대형 인터넷 쇼핑몰 외에도 개인이 운영하는 소규모 쇼핑몰들이 증가하고 있고, 판매되는 물품의 종류도 의류나 각종 생필품은 물론, 농산물이나 핸드메이드 소품에 이르기까지 다양해지고 있다.
인터넷 쇼핑몰은 판매 대상 물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문서로 된 정보뿐만 아니라 해당 물품의 사진이나 동영상을 제공하여 소비자가 물품 구매시 물품의 특성을 쉽게 이해하고 본인의 필요에 맞는 물품을 선택하도록 돕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쇼핑몰 운영자가 직접 제작한 물품 관련 콘텐츠 이외에도 제3자가 직접 해당 물품의 사용예를 보인 사용자 제작 콘텐츠(사진 또는 동영상)를 쇼핑몰에 업로드하여 타 소비자가 해당 물품에 관한 정보를 보다 다양하게 향유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 제작 콘텐츠는 소비자 입장에서는 물품 선택 시 구매 여부를 판단하는데 도움이 되어 현명한 소비 활동을 할 수 있고, 쇼핑몰 운영자에게는 판매 물품에 대한 홍보 역할을 할 수 있어 도움이 된다. 이러한 긍정적인 쇼핑 효과를 촉진하기 위해 쇼핑몰 운영자는 콘텐츠 제작하여 제공하는 사용자에게 소정의 대가를 제공할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쇼핑몰에서 사용할 수 있는 사이버 머니(구매권 등)를 제공하거나 실제 금액을 해당 사용자의 계좌로 입금해주는 방식 등이 그것이다. 이러한 대가를 받음으로써 콘텐츠 제작 사용자는 본인이 해당 제품의 모델이 되어 누리는 만족감 이외에도 경제적인 이익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자발적인 인터넷 모델'들이 증가하면서 인터넷 쇼핑몰 등의 사이버 경제 생태계의 확장 및 촉진에 이바지하게 된다.
쇼핑몰 등에 업로드되는 사용자 제작 콘텐츠는 특별한 컨셉을 반영하여 심여를 기울여 제작된 사진 또는 동영상 형태의 콘텐츠로서 그 자체가 저작물의 성격을 갖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 제작 콘텐츠는 퍼블리시티권 등의 인격적 보호를 위한 장치가 마련되어야 하며, 재산적 가치가 훼손되지 않도록 저작권적 보호가 필요하다. 그런데, 웹 또는 모바일을 통한 인터넷 쇼핑몰은 업로드된 사진이나 동영상을 SNS 등을 통한 공유가 일반화되어 있고, 특히 사용자 기기에서 해당 콘텐츠를 쉽게 다운받거나 캡쳐하는 행위가 용이하여 콘텐츠를 제작한 사용자의 의도와는 다르게 악용될 가능성이 있다.
공개특허 10-2004-0102907호에 따르면,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인터넷을 통해서 불법으로 유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네트웍 단계에서 차단하는 기술이 제안되었는데, 네트웍단에 콘텐츠 필터를 설치하여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 또는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들에 대한 필터링작업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시스템으로 그리고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패킷을 분석하고, 이 패킷이 콘텐츠인 경우에 이 콘텐츠로부터 워터마크를 추출한다. 워터마크에는 유통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해당 콘텐츠가 불법으로 유통되는 것인가를 판단하여 해당 콘텐츠의 폐기 또는 전송여부를 결정한다.
최근 컴퓨팅 기술이 발달하고, 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모든 정보가 디지털 정보로 관리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정보 유출에 대한 우려가 심각하며, 보안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또한, 모바일 기기의 보급이 확대되면서 모바일 서비스를 수행하는 각종 플랫폼에서 콘텐츠의 불법 복제 및 유통의 우려가 증가되고 있다. 예를 들어, 소비자의 정상적인 콘텐츠 이용 외에 무단으로 SNS에서 공유하거나 휴대용 개인기기에서의 캡처 등의 행동이 발생할 때 인터넷 쇼핑몰 등에 업로드된 사용자 제작 콘텐츠의 완벽한 보호가 불가능하며, 사용자 자체 제작 콘텐츠의 불법 유통으로 인한 법적 분쟁이 증가하게 되고, 그 결과 인터넷 쇼핑몰의 운영이나 사용자들의 자발적인 콘텐츠 업로드가 위축될 우려가 있다.
특히 인터넷을 통해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의 경우, 플랫폼 운영과 콘텐츠 보호를 동시에 고려하는 과정에서 플랫폼을 구현하는 서버 등의 물리적 장치의 트래픽이 증가되거나 운영 인원이 과도하게 확보되어야 하는 등 사업 전반에 걸쳐 어려움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인터넷망을 통한 쇼핑몰 등의 플랫폼을 운영할 때 사용자 제작 콘텐츠의 보안 유지 및 저작권 보호를 위해 보다 개선된 기술이 요구되며, 법적 분쟁 발생 시 쉽고 빠르게 해당 사실의 입증이 가능한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기술적 배경하에서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인터넷을 통한 서비스 플랫폼, 특히 모바일 서비스 플랫폼에서의 콘텐츠 보호와 관리를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 제작 콘텐츠의 보호를 위한 엄격한 관리 및 무단 복제 등의 피해가 발생했을 때 해당 내역을 빠르게 검증하고 확인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에서 콘텐츠 보호를 위해 과도한 트래픽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며 콘텐츠 제작자도 쉽게 콘텐츠 도용이나 유출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기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및 기술적 특징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될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서비스 운영에 관련된 정보 관리 및 제어를 수행하는 플랫폼 운영부,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관리하는 콘텐츠 관리부, 사용자 제작 콘텐츠에 대한 제3의 이용자의 확인, 공유, 캡처 등의 행동 내역을 관리하는 행동 관리부, 사용자 제작 콘텐츠의 행동 내역에 대한 데이터를 관리하며 제1관리부와 제2관리부를 포함하는 저작권 관리부를 포함하는 중앙서버에 있어서, 사용자가 제작하여 중앙서버에서 운영하는 플랫폼을 통해 업로드한 사진 또는 동영상의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관리부가 암호화하고, 암호화된 콘텐츠를 상기 플랫폼을 통해 제3의 이용자가 확인하거나 공유 또는 캡처하는 행동 내역을 상기 행동 관리부에서 확인한 후, 행동 내역 관련 정보를 데이터 처리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상기 저작권 관리부에 전달하고, 상기 저작권 관리부의 제1관리부는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노드로 참여하여 행동 내역 관련 정보의 블록을 저장하고, 상기 제2관리부는 행동 관리부로부터 행동 내역 관련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콘텐츠 관리부는 사용자 제작 콘텐츠의 암호화에 있어서, 콘텐츠를 제작한 사용자의 ID, 상기 콘텐츠 데이터, 콘텐츠 업로드 시간에 대한 제1시간값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메타데이터를 암호화하고, 상기 행동 내역 관련 정보는 상기 콘텐츠 메타데이터, 제3의 이용자 ID, 제3의 이용자의 상기 콘텐츠 이용 시간에 관련된 제2시간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모바일 서비스 콘텐츠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관리부에서 암호화된 콘텐츠는 워터마크 처리되거나 DRM 처리되어 상기 중앙서버에서 운영하는 플랫폼 내에서만 제3의 이용자가 확인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를 제작한 사용자는 본인의 ID 또는 본인의 콘텐츠를 플랫폼을 통해 입력하여 상기 저작권 관리부로부터 해당 ID 또는 해당 콘텐츠와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행동 관리부에서 전달되는 데이터 처리된 행동 내역 관련 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 내에서 전달받는 최초 노드는 지분증명 또는 작업 증명 방식으로 선정되며, 최초 노드에서 다른 노드로 가십 방식으로 유포하여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을 관리하는 중앙서버로서, 서비스 운영에 관련된 정보 관리 및 제어를 수행하는 플랫폼 운영부와,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관리하며,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입력받아 콘텐츠를 제작한 사용자의 ID, 상기 콘텐츠 데이터, 콘텐츠 업로드 시간에 대한 제1시간값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메타데이터를 암호화하는 콘텐츠 관리부와, 사용자 제작 콘텐츠에 대한 제3의 이용자의 확인, 공유, 캡처 등의 행동 내역을 관리하며, 암호화된 콘텐츠를 상기 플랫폼을 통해 제3의 이용자가 확인하거나 공유 또는 캡처하는 행동 내역을 확인한 후 행동 내역 관련 정보를 데이터 처리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달하는 행동 관리부와, 사용자 제작 콘텐츠의 행동 내역에 대한 데이터를 관리하며,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노드로 참여하여 행동 내역 관련 정보의 블록을 저장하는 제1관리부와 상기 행동 관리부로부터 행동 내역 관련 정보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제2관리부를 포함하는 저작권 관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행동 내역 관련 정보는 상기 콘텐츠 메타데이터, 제3의 이용자 ID, 제3의 이용자의 상기 콘텐츠 이용 시간에 관련된 제2시간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모바일 서비스 콘텐츠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비스 플랫폼에 업로드된 사용자 제작 콘텐츠가 무단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관리할 수 있고, 해당 콘텐츠의 불법 유출이 발생했을 때 유통 경로 및 유출자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서비스 플랫폼이 해킹되는 등 콘텐츠 관리상의 예기치 못한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도 외부의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관련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어 사용자 제작 콘텐츠의 저작권적 보호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콘텐츠 관리 방법은 서비스 플랫폼에 콘텐츠를 업로드한 사용자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노드로 참며하지 않더라도 블록체인에 기록된 콘텐츠 관련 제3자의 행동 내역 쉽게 확인할 수 있어, 서비스 플랫폼 운영자 외에 콘텐츠 제작자가 함께 저작권 보호를 위한 행동을 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콘텐츠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따르면, 플랫폼 내의 콘텐츠 관리부 또는 저작권 관리부가 해킹되더라도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제3자의 불법 유통이나 해당 콘텐츠의 위조 내지 변조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사용자 제작 콘텐츠 관리에 따르는 중앙 서버의 트래픽 집중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콘텐츠 불법 유출 등의 검증을 플랫폼 내의 관리부 등에서 1차 검증 과정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의 2차 검증으로 분리함으로써 처리 속도가 느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단점을 해소하면서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자 제작 콘텐츠의 저작권 보호가 가능하다.
도 1은 모바일 기기를 통해 접속한 서비스 플랫폼 화면을 보인 모식도
도 2는 모바일 서비스를 운영하는 중앙서버의 구성을 보인 모식도
도 3은 사용자 제공 콘텐츠의 암호화 과정을 보인 모식도
도 4는 사용자 모바일 기기와 서비스 플랫폼 간의 상호 작용을 보인 모식도
도 5는 사용자 제작 콘텐츠의 암호화 및 관련 데이터 트랜잭션 과정을 보인 모식도
도 6은 콘텐츠 제작 사용자의 행동 내역 정보 확인 과정을 보인 모식도
본 발명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모바일 서비스 콘텐츠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안한다.
플랫폼 운영의 주체에 의해 제작된 콘텐츠가 아닌, 일반 사용자가 자체적으로 제작하여 해당 플랫폼에 업로드하는 사진 등의 콘텐츠가 무단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관리하며, 원치 않는 콘텐츠 유출이 발생했을 때 유통 경로 및 유출자를 쉽게 색출하고, 해당 사실에 대한 자료를 확보하여 법적 대응의 근거로 활용하는 등 사용자 제작 콘텐츠의 저작권을 보호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서비스 제공 플랫폼 내에서의 콘텐츠 관리 뿐만 아니라, 콘텐츠 내용 관련 데이터 및 콘텐츠에 대한 확인, 공유, 캡처 등의 '행동 내역'에 대한 데이터를 외부의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함께 관리하여 사용자 제작 콘텐츠의 무단 유출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콘텐츠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은 퍼스널컴퓨터로 이용할 수 있는 일반적인 웹서비스 플랫폼은 물론이고, 특히 모바일 서비스 플랫폼에서 사용자 제작 콘텐츠 보호에 더욱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모바일 기기를 통해 접속한 서비스 플랫폼(200) 화면을 예시적으로 보인 모식도로서, 모바일 기기(M)의 디스플레이상에 출력되는 쇼핑몰을 보이고 있다. 모바일 서비스 플랫폼은 다수의 상품(210)을 전시하고 사용자가 해당 상품을 확인하면서 회원 가입 등의 절차를 거쳐 구매가 가능하도록 원하는 상품의 선택, 결제 시스템, 배송지 입력 등의 항목과 절차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서비스 플랫폼은 특정 상품과 관련하여 사용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부가 콘텐츠를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플랫폼 운영자에 의해 제작된 것이 아닌 사용자가 자체 제작하여 상기 플랫폼에 업로드한 콘텐츠(22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제작 콘텐츠는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 파일의 형태로 업로드될 수 있고, 다른 사용자가 해당 콘텐츠를 클릭하는 과정을 통해 사진이나 동영상을 시청할 수 있으며, 특정 상품을 자신이 직접 착용한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어 상품 구매 결정에 도움을 받게 된다. 또한, 플랫폼 입장에서는 운영 주체가 판매 상품들에 대한 콘텐츠를 일일히 제작하여야 하는 불편과 비용을 줄일 수 있고, 콘텐츠 제작 사용자에게 소정의 대가를 지불함으로써 상호 이익이 되는 관계를 정립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 제작 콘텐츠가 모바일 서비스 플랫폼에서 효과적으로 사용되고 쇼핑몰 등의 운영에 도움을 주고 경제적 가치를 높이기 위해서는 콘텐츠의 독창적인 제작을 장려하고 자유롭게 공개하는 명확하고 편리한 프로세스와 함께 제3자의 불법적인 도용 내지 무단 유출을 방지하는 시스템적 대책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옷이나 화장품, 기타 상품의 구매 활동이 일어나고, 업로드된 사진 등의 콘텐츠 공유(또는 원치않는 캡쳐)가 일어나는 플랫폼(ex. 인터넷 쇼핑몰)을 구현하는 메인서버는 사진 등의 콘텐츠의 저작권 관리를 위해 기본적으로 해당 콘텐츠를 암호화하여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상품의 구매, 해당 상품 관련 콘텐츠의 공유 또는 캡쳐 등과 관련된 '행위'에 대한 일련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보하고 사후적으로 검증할 수 있도록 신뢰성있는 하드웨어 및 네트워크에 저장하여 보관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모바일 서비스 플랫폼을 구현하는 시스템에서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보호하기 위한 핵심적인 프로세스로서, i) 콘텐츠의 암호화 (및 복호화) 방법, ii) 상품의 구매, 해당 상품 관련 콘텐츠의 공유 (또는 캡쳐) 행위 등과 관련한 정보를 블록체인 기반으로 저장하는 방법, 및 iii) 상기 콘텐츠의 원치않는 유출(캡쳐 등에 의한 유포)이 발생하였을 때, 유출경로 및 유출자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결정하고, 이러한 프로세스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모바일 서비스 플랫폼의 기술적 구성을 차별화하였다.
도 2는 모바일 서비스를 운영하는 중앙서버(100)의 구성을 보인 모식도로서, 중앙서버는 기본적으로 플랫폼 운영부(110)와, 콘텐츠 관리부(120), 행동 관리부(130) 및 저작권 관리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플랫폼 운영부(110)는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에서 서비스 운영에 관련된 정보 관리 및 제어를 수행하며, 예를 들어 쇼핑몰의 경우 상품 관리, 회원 관리, 배송 관리, 결제 시스템 관리 등의 기능을 담당한다. 플랫폼이 사용자 모바일 기기에서 디스플레이될 때 화면 구성도 플랫폼 운영부에서 담당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관리부(120)는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관리하며,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입력받아 콘텐츠를 제작한 사용자의 ID, 상기 콘텐츠 데이터, 콘텐츠 업로드 시간에 대한 제1시간값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메타데이터를 암호화한다.
상기 행동 관리부(130)는 사용자 제작 콘텐츠에 대한 제3의 이용자의 확인, 공유, 캡처 등의 행동 내역을 관리한다. 여기서, 제3의 이용자는 콘텐츠 제작 사용자 이외에 모바일 서비스 플랫폼에 접속하여 상품의 확인 또는 구매 활동을 하는 다수의 이용자를 의미하며, 콘텐츠의 확인, 공유, 캡처는 상기 이용자의 모바일 기기를 통해 특정 상품 관련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시각적으로 확인하는 행위(클릭하여 화면을 확대하는 행위 포함), 타 SNS 등에 상기 콘텐츠 관련 정보를 공유하는 행위, 이용자의 모바일 기기로 상기 콘텐츠를 캡처(화면 카피 등)하는 행위를 포함한다. 행동 관리부는 암호화된 콘텐츠를 상기 플랫폼을 통해 제3의 이용자가 확인하거나 공유 또는 캡처하는 '행동 내역'을 확인한 후 행동 내역 관련 정보를 데이터 처리하여 외부의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달한다.
상기 저작권 관리부(140)는 사용자 제작 콘텐츠의 행동 내역에 대한 데이터를 관리하며, 제1관리부(142)와 제2관리부(144)를 포함한다. 제1관리부는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직접 노드로 참여하여 행동 내역 관련 정보의 블록을 저장한다. 또한, 제2관리부는 상기 행동 관리부로부터 행동 내역 관련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받아 저장한다. 본 발명에서는 저작권 관리부가 사용자 제작 콘텐츠의 '행동 내역'에 대한 정보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여 저장하는 한편, 외부의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직접 노드로 참여하여 블록화된 데이터를 저장함으로써 모바일 서비스 플랫폼에 업로드되는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두텁게 보호하고, 해당 콘텐츠의 유출을 방지하고 원치않는 유출이 발생하더라도 유출 관련 정보를 습득함으로써 콘텐츠의 저작권적 보호가 충분히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콘텐츠 관리부를 통해 암호화된 사용자 제작 콘텐츠는 서비스 플랫폼 내에서만 시각적으로 확인 가능하고 콘텐츠 자체가 외부로 공유되거나 무단 캡처 등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관리부를 통해 암호화된 콘텐츠는 해당 콘텐츠 제작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암호가 해제되어 전달될 수 있다. 도 3은 사용자 제공 콘텐츠의 암호화 과정을 보인 모식도로서, 콘텐츠 제작 사용자(MC)가 플랫폼에 업로드한 콘텐츠는 예를 들어 대칭 암호화 방식으로 암호화될 수 있으며, 플랫폼의 비밀공개키로 암호화한 후 콘텐츠 제작 사용자의 요청이 있을 경우 그 비밀공개키를 해당 사용자에게 전달하여 복호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콘텐츠 관리부에서 암호화된 콘텐츠는 워터마크 처리되거나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디지털 저작권 관리) 처리되어 상기 중앙서버에서 운영하는 플랫폼 내에서만 제3의 이용자가 확인 가능하도록 제한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콘텐츠를 제작한 사용자는 본인의 ID 또는 본인의 콘텐츠를 플랫폼을 통해 입력하여 상기 저작권 관리부로부터 해당 ID 또는 해당 콘텐츠와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도 4는 사용자 모바일 기기와 서비스 플랫폼 간의 상호 작용을 보인 모식도이다. 중앙서버의 플랫폼 운영부를 통해 다수의 이용자 모바일 기기(M3)에 서비스 플랫폼이 구현되고, 이러한 모바일 서비스 플랫폼에서 이용자들의 사이버 쇼핑 행위가 이루어진다. 이와는 별개로 콘텐츠 제작 사용자는 모바일 기기(MC)를 통해 자신의 콘텐츠를 업로드한다.
사용자가 제작하여 중앙서버에서 운영하는 플랫폼을 통해 업로드한 사진 또는 동영상의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관리부(120)가 암호화한다. 사용자 제작 콘텐츠의 암호화에 있어서, 콘텐츠 관리부는 콘텐츠를 제작한 사용자의 ID, 상기 콘텐츠 데이터, 콘텐츠 업로드 시간에 대한 제1시간값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메타데이터를 암호화한다. 암호화된 콘텐츠는 상기 플랫폼을 통해 제3의 이용자가 확인하거나 공유 또는 캡처하는 행동 내역을 행동 관리부(130)에서 확인한다.
행동 내역 관련 정보는 행동 관리부에서 데이터 처리하여 외부의 블록체인 네트워크(BN)와 상기 저작권 관리부에 실시간 전달된다. 저작권 관리부의 제1관리부(142)는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노드로 참여하여 행동 내역 관련 정보의 블록을 저장하고, 제2관리부는 행동 관리부로부터 행동 내역 관련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행동 내역 관련 정보는 상기 콘텐츠 메타데이터, 제3의 이용자 ID, 제3의 이용자의 상기 콘텐츠 이용 시간에 관련된 제2시간값을 포함하며, 상기 저작권 관리부에 있어서 상기 제1관리부에 저장된 데이터와 상기 제2관리부에 저장된 데이터는 시간값을 매개로 상호 데이터가 연동될 수 있다.
행동 관리부에서 데이터 처리된 행동 내역 관련 정보는 데이터 저장의 신뢰도 및 안정성을 위해 외부의 블록체인 네트워크, 예를 들어 이더리움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블록체인의 처리 속도가 늦은 단점은 저작권 관리부의 제2관리부에서 보완한다. 즉, 데이터 조작의 위험성을 제거하는 신뢰성 측면에서 외부의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2차 검증 수단으로 이용하며, 데이터 처리 속도 측면에서 플랫폼 내부의 저작권 관리부(제2관리부)를 1차 검증 수단으로 활용하여 상호 기능적으로 보완한다. 특히 저작권 관리부의 제1관리부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노드 중 하나로 직접 참여시킴으로써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활용성을 높인다. 제1관리부는 예를 들어 풀노드로 참여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라이트 노드로 참여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행동 관리부에서 전달되는 데이터 처리된 행동 내역 관련 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 내에서 전달받는 최초 노드(N1, 최초 유포 노드)는 지분증명 또는 작업 증명 방식으로 선정될 수 있으며, 최초 노드에서 다른 노드로 가십(GOSHIP) 방식으로 유포하여 전달할 수 있다.
도 5는 사용자 제작 콘텐츠의 암호화 및 관련 데이터 트랜잭션 과정을 보인 모식도이다. 사용자가 모바일기기(M)를 통해 사진 또는 동영상의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업로드하고, 콘텐츠는 콘텐츠 관리 서버에서 암호화가 이뤄진다. 암호화 파일은 행동관리 서버에서 행동 값의 트랜잭션이 이뤄지며 해당 내용은 블록체인 망에 전달된다. 블록의 유포는 최초 유포 노드가 불특정 다수에게 전파하는 가십 형태를 취한다. 전파 받은 노드는 다시 불특정 다수에게 전파한다. 콘텐츠의 업로드 및 제작자에 대한 정보는 최초 '유포 노드'를 통해 블록체인 내 모든 노드에게 전파되고 기록된다.
저작권 관리부의 제1관리부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포함된 하나의 노드로 '행동 내역' 관련 정보의 블록을 저장한다. 제2관리부는 행동 관리 서버에서 '행동 내역'을 받아 저장한다. 중앙서버, 특히 저작권 관리부가 해킹되더라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관련 자료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한) 2차 검증 과정에서 저작권 관리부의 저장 내용의 위조 또는 변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제작 콘텐츠의 저작권 관련 검증을 중앙 서버에 집중하는 것이 아닌 저작권 관리부에서 별도 관리함으로써 중앙 서버에 집중되는 트래픽을 분산시킬 수 있다.
도 6은 콘텐츠 제작 사용자의 행동 내역 정보 확인 과정을 보인 모식도이다. 콘텐츠를 제작하여 업로드한 사용자는 모바일 기기(M)를 통해 플랫폼에서 본인의 ID 입력하고 해당 ID가 포함된 콘텐츠 관련 정보를 저작권 관리부에서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본인의 콘텐츠를 입력하여 해당 콘텐츠 관련 행동 내역 등의 정보를 저작권 관리부에서 받을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노드에 포함되지 않은 일반 사용자도 블록체인에 기록된 본인의 콘텐츠 관련 정보를 저작권 관리부를 통해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따라서, 콘텐츠 제작자가 본인의 콘텐츠 저작권 보호를 위한 모니터링 요원으로 활동할 수 있고 그 결과 플랫폼 운영자의 부담을 경감하면서도 효과적인 콘텐츠 보호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처리 속도가 느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한 유일한 또는 최종적인 입증이 아닌,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저장된 콘텐츠 관련 데이터가 별도로 저장되어 있는 저작권 관리부를 통하여 빠른 '1차 검증'을 실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모바일 서비스 플랫폼의 콘텐츠 보호 및 관리 방법은 옷을 판매하는 인터넷 쇼핑몰 뿐만 아니라, 화장품이나 피부건강용품 등 뷰티 관련 쇼핑몰. 헬스케어 기구 등 건강제품 관련 쇼핑몰 등에서도 활용할 수 있으며, 나아가 개인의 독창적인 사진 또는 동영상 콘텐츠 등의 제3자에게 공유될 수 있는 온라인 플랫폼에 두루 적용되어 해당 콘텐츠의 저작권적 보호 및 유출 방지(관리 및 색출)에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상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서 제시한 기술적 사상, 구체적으로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정, 변경, 또는 개선될 수 있을 것이다.
100:중앙서버 110:플랫폼 운영부
120:콘텐츠 관리부 130:행동 관리부
140:저작권 관리부 142:제1관리부
144:제2관리부 200:모바일 서비스 플랫폼
210:상품 화면 220:사용자 제작 콘텐츠
M:사용자 모바일 기기 BN:블록체인 네트워크
N1:최초 유포 노드

Claims (5)

  1. 서비스 운영에 관련된 정보 관리 및 제어를 수행하는 플랫폼 운영부,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관리하는 콘텐츠 관리부, 사용자 제작 콘텐츠에 대한 제3의 이용자의 확인, 공유, 캡처 등의 행동 내역을 관리하는 행동 관리부, 사용자 제작 콘텐츠의 행동 내역에 대한 데이터를 관리하며 제1관리부와 제2관리부를 포함하는 저작권 관리부를 포함하는 중앙서버에 있어서,
    사용자가 제작하여 중앙서버에서 운영하는 플랫폼을 통해 업로드한 사진 또는 동영상의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관리부가 암호화하고,
    암호화된 콘텐츠를 상기 플랫폼을 통해 제3의 이용자가 확인하거나 공유 또는 캡처하는 행동 내역을 상기 행동 관리부에서 확인한 후, 행동 내역 관련 정보를 데이터 처리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상기 저작권 관리부에 전달하고,
    상기 저작권 관리부의 제1관리부는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노드로 참여하여 행동 내역 관련 정보의 블록을 저장하고, 상기 제2관리부는 행동 관리부로부터 행동 내역 관련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콘텐츠 관리부는 사용자 제작 콘텐츠의 암호화에 있어서, 콘텐츠를 제작한 사용자의 ID, 콘텐츠 데이터, 콘텐츠 업로드 시간에 대한 제1시간값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메타데이터를 암호화하고,
    상기 행동 내역 관련 정보는 상기 콘텐츠 메타데이터, 제3의 이용자 ID, 제3의 이용자의 콘텐츠 이용 시간에 관련된 제2시간값을 포함하며,
    상기 콘텐츠를 제작한 사용자는 본인의 ID 또는 본인의 콘텐츠를 플랫폼을 통해 입력하여 상기 저작권 관리부로부터 해당 ID 또는 해당 콘텐츠와 관련된 행동 내역 정보를 저작권 관리부에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모바일 서비스 콘텐츠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관리부에서 암호화된 콘텐츠는 워터마크 처리되거나 DRM 처리되어 상기 중앙서버에서 운영하는 플랫폼 내에서만 제3의 이용자가 확인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모바일 서비스 콘텐츠 관리 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행동 관리부에서 전달되는 데이터 처리된 행동 내역 관련 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 내에서 전달받는 최초 노드는 지분증명 또는 작업 증명 방식으로 선정되며, 최초 노드에서 다른 노드로 가십 방식으로 유포하여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모바일 서비스 콘텐츠 관리 방법.
  5.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을 관리하는 중앙서버로서,
    서비스 운영에 관련된 정보 관리 및 제어를 수행하는 플랫폼 운영부와,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관리하며,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입력받아 콘텐츠를 제작한 사용자의 ID, 콘텐츠 데이터, 콘텐츠 업로드 시간에 대한 제1시간값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메타데이터를 암호화하는 콘텐츠 관리부와,
    사용자 제작 콘텐츠에 대한 제3의 이용자의 확인, 공유, 캡처 등의 행동 내역을 관리하며, 암호화된 콘텐츠를 상기 플랫폼을 통해 제3의 이용자가 확인하거나 공유 또는 캡처하는 행동 내역을 확인한 후 행동 내역 관련 정보를 데이터 처리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달하는 행동 관리부와,
    사용자 제작 콘텐츠의 행동 내역에 대한 데이터를 관리하며,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노드로 참여하여 행동 내역 관련 정보의 블록을 저장하는 제1관리부와, 상기 행동 관리부로부터 행동 내역 관련 정보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제2관리부를 포함하는 저작권 관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행동 내역 관련 정보는 상기 콘텐츠 메타데이터, 제3의 이용자 ID, 제3의 이용자의 콘텐츠 이용 시간에 관련된 제2시간값을 포함하며,
    상기 콘텐츠를 제작한 사용자는 본인의 ID 또는 본인의 콘텐츠를 플랫폼을 통해 입력하여 상기 저작권 관리부로부터 해당 ID 또는 해당 콘텐츠와 관련된 행동 내역 정보를 저작권 관리부에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모바일 서비스 콘텐츠 관리 시스템.
KR1020200010144A 2020-01-28 2020-01-28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모바일 서비스 콘텐츠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3138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0144A KR102313879B1 (ko) 2020-01-28 2020-01-28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모바일 서비스 콘텐츠 관리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0144A KR102313879B1 (ko) 2020-01-28 2020-01-28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모바일 서비스 콘텐츠 관리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6540A KR20210096540A (ko) 2021-08-05
KR102313879B1 true KR102313879B1 (ko) 2021-10-18

Family

ID=77316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0144A KR102313879B1 (ko) 2020-01-28 2020-01-28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모바일 서비스 콘텐츠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38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7539A (ko) * 2021-08-19 2023-02-28 삼성전자주식회사 Nft 기반 소프트웨어에 관한 장치 및 방법
CN114520813B (zh) * 2021-12-29 2023-09-01 浙江中环瑞蓝科技发展有限公司 基于区块链的污染源管控系统
CN114780919B (zh) * 2022-04-26 2024-03-29 山东浪潮超高清视频产业有限公司 一种基于视频基因的区块链版权确权方法
KR102531437B1 (ko) * 2022-08-11 2023-05-11 김주원 블록체인 기반의 nft 미디어콘텐츠 관련 활동 증명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0586A (ko) * 2001-10-11 2003-04-18 박연일 디지털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888118B1 (ko) * 2006-11-17 2009-03-13 주식회사 케이티 소유권과 배포권을 제공하는 디지털 콘텐츠 유통 시스템 및방법
KR102034449B1 (ko) * 2017-12-12 2019-10-21 주식회사 디지캡 콘텐츠 블록체인에서의 콘텐츠 암호키 관리 및 배포 방법
KR20200000659A (ko) * 2018-06-25 2020-01-03 범재룡 블록체인기술을 활용한 디지탈콘텐츠 재판매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6540A (ko) 2021-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3879B1 (ko)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모바일 서비스 콘텐츠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628005B1 (ko)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리 위변조 감지시스템
CA2808369C (en) System for protecting an encrypted information unit
US7979697B2 (en) Securing digital content system and method
US8359392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ely communicating on-demand content from closed network to dedicated devices, and for compiling content usage data in closed network securely communicating content to dedicated devices
US20080167994A1 (en) Digital Inheritance
US20040059683A1 (en) Automated multi-level marketing system
JPH09244886A (ja) ソフトウエア利用方法及びソフトウエア流通システム
CN110210246A (zh) 一种基于安全计算的个人数据服务方法和系统
US20220086187A1 (en) Decentralized digital content distribution system and process using block chains and encrypted peer-to-peer network
CN107660286A (zh) 用于选择性内容许可和安全回放的技术
KR102323722B1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저작권 보호 시스템
Lu et al. Blockchain for digital rights management of design works
JPWO2003067486A1 (ja) ウェブ・リンクにおけるコンテンツ管理システム
WO201812626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hentication and content sharing
Lee et al. A portable DRM scheme using smart cards
Kitahara et al. A method of digital rights management based on Bitcoin protocol
Sinha et al. Right to Correct Information in the Cyber World
Yao et al. Privacy preserving DRM solution with content classification and superdistribution
Sarode et al. Supporting Digital Rights and Copyright in Online eBook Stores Using Blockchain.
Seki et al. A proposal on open DRM system coping with both benefits of rights-holders and users
Mohan et al. Accounting and privacy preserving of data owner in cloud storage
TW201115388A (en) Copyrighted work redistribution promotion system
Zuo et al. Post-release information privacy protection: A framework and next-generation privacy-enhanced operating system
Prabanand et al. Innovative Online Ticketing Model on an Intelligent Public Blockchai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