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1437B1 - 블록체인 기반의 nft 미디어콘텐츠 관련 활동 증명 시스템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기반의 nft 미디어콘텐츠 관련 활동 증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1437B1
KR102531437B1 KR1020220100273A KR20220100273A KR102531437B1 KR 102531437 B1 KR102531437 B1 KR 102531437B1 KR 1020220100273 A KR1020220100273 A KR 1020220100273A KR 20220100273 A KR20220100273 A KR 20220100273A KR 102531437 B1 KR102531437 B1 KR 1025314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activity
information
server
platf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0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원
Original Assignee
김주원
(주)밈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원, (주)밈비 filed Critical 김주원
Priority to KR1020220100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14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1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14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 G06Q50/184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7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distributed storage of data in networks, e.g. transport arrangements for network file system [NFS], storage area networks [SAN] or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1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a third party or a trusted authority
    • H04L9/3213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a third party or a trusted authority using tickets or tokens, e.g. Kerber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chnology Law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Fina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블록체인 기반의 NFT 미디어콘텐츠 관련 활동 증명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블록체인 기반의 NFT 미디어콘텐츠 관련 활동 증명 시스템은 프로젝트와 관련하여 미디어콘텐츠를 제작하고 관리하며, 블록체인 기반 미디어 제작 플랫폼을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서버; 및 상기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회원가입에 필요한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여 회원가입을 진행하고, 회원가입이 완료된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관리하는 회원 관리부; 회원가입이 완료된 사용자에게 상기 플랫폼에서의 플랫폼 활동을 가능하게 하는 활동카드를 발급하고, 상기 활동카드를 발급받은 상기 사용자의 활동기록을 관리하는 활동 관리부; 및 상기 사용자의 상기 플랫폼 활동을 기반으로 리워드를 제공하고 관리하는 멤버쉽 리워드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블록체인 기반의 NFT 미디어콘텐츠 관련 활동 증명 시스템 {BLOCKCHAIN-BASED NFT MEDIA CONTENT-RELATED ACTIVITY PROOF SYSTEM}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반의 NFT 미디어콘텐츠 관련 활동 증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미디어(media)란 인간 사회에서 자신의 의사나 감정 또는 객관적 정보를 서로 주고받을 수 있도록 마련된 수단을 가리키는 말이다. 더 나아가 신문, 방송 등의 기존의 정보 전달 수단을 대신해 전자기술의 발전에 따라 새롭게 발달한 여러 가지 커뮤니케이션 및 정보 전달의 수단을 뉴미디어라고 한다. 현재 '미디어'의 개념은 기본적인 의미에 뉴미디어 개념을 더하여 통괄적인 의미로 활용된다고 볼 수 있다.
OECD에서는 콘텐츠 및 미디어산업을 '콘텐츠 상품의 생산, 발간 또는 전자적 유통에 관련된 산업'으로 정의했다. 이후 2009년에는 콘텐츠산업에 대해 '주로 매스미디어를 통해 알리고 교육하며 즐거움을 주는 산업으로서 재화와 서비스의 생산'으로 개념화하면서 인간에게 조직화된 메시지를 전달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정보적, 문화적, 오락적 상품인 콘텐츠를 생산하고, 출판 또는 유통시키는 산업'으로 정의하고 있다.
종래 미디어 제작환경의 공통적인 문제점은 중앙 집중형의 불공정한 관행이라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현재 방송 미디어의 제작은 50% 전후 외주제작사를 통해 진행되고 있으나, 방송사-제작사-근로자 간 불공정 관행으로 인하여 제작환경/저작권/표준계약서 등의 문제점이 있다. 특히, 미디어 제작 관련 관계자(일예로, 대중예술인, 현장스텝, 기술직 등)의 95% 이상이 프리랜서이고, 프로그램을 제작하는 기간만 계약을 체결하는 형식이며, 저작권(Intellectual Property, IP)의 대부분이 방송국에 귀속되는 등의 문제점들이 있다.
또한, 종래의 미디어 제작 환경에서는 동영상 공유 플랫폼과 창작자 간에 불합리한 수익 분배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대표적으로 유튜브는 [유튜버 : 구글 = 55 : 45]의 수익 배분 구조이며, 아프리카tv는 후원금의 30%의 수익을 플랫폼이 가져가는 구조이다. 이러한 종래의 수익 분배 구조는 중개 플랫폼이 창작자에 대해 과도한 수익 분배를 가져가는 구조라 볼 수 있다. 또한, 기존 엔터테인먼트와 대중예술인 사이의 수익금 배분은 계약형태에 따라 8:2에서 5:5 비율까지 일어난다. 연예계 활동과 대중예술인 사이의 중앙 역할을 하고 있는 엔터테인먼트의 힘이 커지면서 불공정 계약 수준까지 이르렀다.
이처럼, 종래의 미디어 제작 환경은 실제 창작자의 저작권(IP)에 대한 권리 확보 방안이 부재하고, 콘텐츠 저작권의 투자 수익에 대한 분배 과정이 불투명한 측면이 있었다. 이에, 창작자의 권리를 보호하면서, 투명성과 보안성을 갖춘 콘텐츠 제작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이 절실히 요구된다.
한편, 전자상거래 시장 중O2O(Online to Offline, 온라인·오프라인 연계 서비스) 산업이 급격히 성장하고 있는 가운데, O2O 서비스에서 개인정보가 충분히 안전하게 관리되고 있지 않아 문제가 되고 있다. 개인정보는 글로벌 빅테크(일예로 구글, 페이스북 등)도 애를 먹을 정도로 관리가 쉽지 않은 분야이다. 이러한 O2O 서비스에서 블록체인 DID(분산ID, Decentralized Identity) 기술이 해결방안으로 고려되고 있으며, DID 기술은 온라인 거래에 사용됐던 공인인증서를 대체할 기술로 최근 주목받고 있다.
DID는 분산 신원증명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는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신원을 증명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즉, 탈중앙화 신원증명인 DID는 말 그대로 중앙화를 벗어난 신원증명 방식으로서, 일반적인 신원증명은 내 정보를 확인하는 국가기관, 기업 등 중앙의 통제를 받는 식인 반면, DID는 중앙기관이 아닌 개인이 직접 자신의 정보(데이터)를 관리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DID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필요시 됐다. 신원 증명 중앙화 체제에서는 해킹이 발생할 경우 개인 정보가 대규모로 유출될 위험이 있고, 기업들이 개 인 정보를 몰래 이용해 이익을 얻는 사례들이 발생하기도 한다. 일각에서는 농담으로 우리 국민의 주민등록 번호가 중국에서는 공공재라는 말이 있기도 했는데, 안타깝게도 과거 중국의 유명 검색엔진에서는 국내 유명 사이트 계정 ID와 이름, 나이, 생년월일은 물론 주민등록번호까지 민감한 개인 정보가 거래되고 있었다. 이러한 개인정보(개인의 데이터)는 막대한 이익을 창줄하고 있지만 데이터 권한은 서비스 사업자들이 독점하고 있다. 개인 정보 유출과 사생활 침해 이슈가 커지는 가운데 DID는 이에 대응할 수 있는 방안 중 하나로 부각되었고, 사용자 개인정보 침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블록체인 기반의 탈중앙화 신원증명(DID)이라 할 수 있다.
최근에는 인터넷의 표준을 정하는 월드와이드웹 컨소시엄(W3C)이 블록체인 기반 분산신원인증(DID) 기술을 새로운 웹 표준으로 승인한 바 있다. 구글, 애플 등 글로벌 인터넷 기업들이 DID 웹 표준 승인을 강력히 반대했지만, W3C는 보안에 강한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디지털 서명 기술인 DID가 개인정보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며 웹표준으로 인정한 것이다. DID가 웹표준으로 지정된 가운데 전세계에서 동일한 표준의 DID 기술을 사용하면 보다 다양한 서비스에 DID가 적용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주민등록번호를 사용하는 우리나라에서는 쇼핑몰 등 인터넷 사이트를 통한 개인정보 유출 사태가 종종 발생한다는 점에서 DID 사용 확산을 통해 웹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개인정보 유출의 위험을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웹세상에 대한 주도권을 갖고 있는 구글, 애플, 모질라 같은 곳들은 DID가 W3C의 표준으로 지정되는 데에 반대 입장을 밝혀왔는데, DID가 웹표준으로 지정된 후 웹에 미칠 영향에 대한 평가가 없었으며, DID가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다는 점에서 환경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이유에서 이다. DID는 DID에 신뢰를 부여하는 기관과, 이를 이용할 수 있는 사용처를 별도로 구축해야 한다는 장벽이 있어 널리 확산되는 데에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873897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NFT 미디어콘텐츠의 제작과 관련된 사용자의 활동과 온라인/오프라인에서의 사용자의 활동을 포함한 사용자의 모든 활동기록(사용자의 모든 활동의 수행에 따른 활동로그의 기록)을 저장/관리/증명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의 NFT 미디어콘텐츠 관련 활동 증명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창작자의 권리를 보호하면서, 투명성과 보안성을 갖춘 콘텐츠 제작환경을 제공하며, 이러한 환경 내에서의 사용자 활동 및 온/오프라인에서의 사용자의 활동을 관리/증명할 수 있도록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NFT 미디어콘텐츠 관련 활동 증명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종래의 DID(즉, 신원증명용 정보)와는 다른 개념의 ID로서 활동로그기반 ID(이는 활동증명용 정보를 의미함)를 사용자에게 부여함으로써 종래의 DID가 갖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의 NFT 미디어콘텐츠 관련 활동 증명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NFT 미디어콘텐츠 관련 활동 증명 시스템은, 프로젝트와 관련하여 미디어콘텐츠 제작 환경을 제공하고, 블록체인 기반 미디어 제작 플랫폼을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서버; 및 상기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회원가입에 필요한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여 회원가입을 진행하고, 회원가입이 완료된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관리하는 회원 관리부; 회원가입이 완료된 사용자에게 상기 플랫폼에서의 플랫폼 활동을 가능하게 하는 활동카드를 발급하고, 상기 활동카드를 발급받은 상기 사용자의 활동기록을 관리하는 활동 관리부; 및 상기 사용자의 상기 플랫폼 활동을 기반으로 리워드를 제공하고 관리하는 멤버쉽 리워드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원 관리부는, 상기 회원가입의 진행시 블록체인 서버로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활동로그기반 ID의 생성을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블록체인 서버로부터 상기 활동로그기반 ID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활동로그기반 ID를 회원가입이 완료된 사용자에게 부여하고, 상기 활동로그기반 ID를 부여받은 사용자를 준회원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정보는, 공개 가능 정보 및 프라이빗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회원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 정보 중 프라이빗 정보의 경우 상기 서버 내 마련된 내부 DB에 저장하고 관리하되, 상기 사용자 정보 중 공개 가능 정보의 경우 상기 서버의 내부가 아닌 외부에 마련된 블록체인 DB에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활동 관리부는, 상기 플랫폼 활동의 수행 및 온/오프라인에서의 활동 수행에 따라 발생되는 활동기록을 실시간으로 획득하여 블록체인 DB에 상기 활동로그기반 ID와 연계시켜 저장하고, 상기 활동카드를 발급받은 상기 사용자를 정회원으로 관리하며, 상기 플랫폼 활동은, 플랫폼 내부 활동, 플랫폼 경제활동 및 NFT 컬렉션 활동을 포함하고, 상기 플랫폼 내부 활동은, 상기 서버에서 진행하는 시놉시스 공모전에 사용자가 기획한 기획서를 제출하는 활동인 공모전 참여 활동을 포함한 프로젝트 활동, 커뮤니티 활동 및 구인구직 활동을 포함하고, 상기 플랫폼 경제활동은, 제작 관련 사용자들의 참여로 제작된 미디어콘텐츠의 저작권에 대하여 발급된 NFT의 판매 및 구매와 관련된 활동을 포함하고, 상기 NFT 컬렉션 활동은, 상기 활동카드를 발급받은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가상의 큐브 공간에 대한 꾸밈 및 참여 활동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블록체인 기반의 NFT 미디어콘텐츠 관련 활동 증명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NFT 미디어콘텐츠의 제작과 관련된 사용자의 활동과 온라인/오프라인에서의 사용자의 활동을 포함한 사용자의 모든 활동기록(사용자의 모든 활동의 수행에 따른 활동로그의 기록)을 저장/관리/증명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블록체인 기반의 NFT 미디어콘텐츠 관련 활동 증명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창작자의 권리를 보호하면서, 투명성과 보안성을 갖춘 콘텐츠 제작환경을 제공할 수 있고, 이러한 환경 내에서의 사용자 활동 및 온/오프라인에서의 사용자의 활동을 관리/증명 가능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현재 NFT를 온/오프라인의 출입증으로 하는 업체들이 늘어나고 있음을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메타버스 출입증, 입출입 카드, 신분증명 등의 용도로 활용(사용) 가능한 활동카드를 발급하고, 활동카드를 발급받아 소지한 사용자가 행하는 모든(전체) 활동에 대한 활동 로그를 활동기록으로서 활동로그기반 ID와 연계해 기록하고 관리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종래의 DID(즉, 신원증명용 정보)와는 다른 개념의 ID로서 활동로그기반 ID(이는 활동증명용 정보를 의미함)를 사용자에게 부여함으로써 종래의 DID가 갖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상기된 바와 같은 효과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효과들이 존재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NFT 미디어콘텐츠 관련 활동 증명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NFT 미디어콘텐츠 관련 활동 증명 시스템 내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NFT 미디어콘텐츠 관련 활동 증명 시스템 내 서버가 미가입된 사용자에 대하여 회원가입을 진행하여 준회원으로 만든 후 정회원이 되도록 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NFT 미디어콘텐츠 관련 활동 증명 시스템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NFT 미디어콘텐츠 관련 활동 증명 시스템 내 서버가 준회원인 사용자를 대상으로 제공하는 서비스의 전반적인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NFT 미디어콘텐츠 관련 활동 증명 시스템 내 서버가 회원가입을 완료한 사용자에게 발급하는 활동카드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NFT 미디어콘텐츠 관련 활동 증명 시스템 내 서버가 사용자 단말의 화면의 일영역에 제공 가능한 관심 항목 표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NFT 미디어콘텐츠 관련 활동 증명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NFT 미디어콘텐츠 관련 활동 증명 시스템(1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NFT 미디어콘텐츠 관련 활동 증명 시스템(100) 내 서버(10)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일예로 플랫폼 활동의 종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즉,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NFT 미디어콘텐츠 관련 활동 증명 시스템(100) 내 서버(10)가 미가입된 사용자에 대하여 회원가입을 진행하여 준회원으로 만든 후 정회원이 되도록 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즉, 도 4는 사용자(1')가 정회원이 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5(즉,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NFT 미디어콘텐츠 관련 활동 증명 시스템(100)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즉, 도 6a 내지 도 6d)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NFT 미디어콘텐츠 관련 활동 증명 시스템(100) 내 서버(10)가 준회원인 사용자를 대상으로 제공하는 서비스의 전반적인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NFT 미디어콘텐츠 관련 활동 증명 시스템(100) 내 서버(10)가 회원가입을 완료한 사용자에게 발급하는 활동카드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NFT 미디어콘텐츠 관련 활동 증명 시스템(100)을 본 시스템(100)이라 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시스템(100)은 서버(10) 및 사용자 단말(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시스템(100)은 블록체인 서버(2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는 프로젝트와 관련하여 미디어콘텐츠 제작 환경을 제공하고, 블록체인 기반 미디어 제작 플랫폼을 사용자 단말(1)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블록체인 기반 미디어 제작 플랫폼은 서버(10)에 의해 제공되는 플랫폼을 의미할 수 있다.
서버(10)에 의해 제공되는 플랫폼은 이하 설명의 편의상 본 플랫폼이라 지칭될 수 있다. 본 플랫폼은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미디어 제작 환경을 제공하는 블록체인 기반 미디어 제작 플랫폼, 미디어콘텐츠 제작과 관련해 사용자의 활동을 관리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NFT 미디어콘텐츠 관련 활동 증명 플랫폼 등의 용어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플랫폼은 밈비(Make Your Media in Blockchain, MYMB) 플랫폼, 밈비 등의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밈비(Make Your Media in Blockchain, MYMB)는 블록체인 기반 미디어 제작을 의미할 수 있다.
본 시스템(100)은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NFT 미디어콘텐츠와 관련된 사용자의 활동을 증명할 수 있도록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NFT 미디어콘텐츠 관련 활동 증명 시스템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시스템(100)은 밈비 블록체인 및 타 블록체인/메타버스에 관련된 활동 증명 시스템으로 달리 지칭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1)은 서버(10)를 이용하는(혹은 서버(10)에 의해 제공되는 본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용자(1')가 소지한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1')는 유저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사용자(1')에는 콘텐츠(미디어콘텐츠)의 제작과 관련된 플랫폼 활동을 수행하는 참여자(창작자), 미디어콘텐츠 제작에 투자하는 투자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해, 사용자 단말(1)은 참여자가 소지한 참여자 단말, 투자자가 소지한 투자자 단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1')에는 참여자(창작자), 투자자 외에도 일반 사용자, 실제 미디어콘텐츠(즉, 프로젝트)의 제작에 참여하는 제작 관련 사용자들(일예로, 수많은 스텝들로서, 연출팀, 제작팀, 촬영팀, 녹음팀, 장비팀, 미술팀 등에 속한 스텝들, 감독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시스템(100) 내 사용자(1')는 이들 중 어느 한 사용자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본 시스템(100) 및 서버(10)를 이용하는 사용자에는, 참여자(창작자), 투자자, 투표자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유형의 사용자들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들 사용자에는 본 플랫폼과 본 플랫폼에서 고려되는 프로젝트에 관여(기여)하는 모든 사용자들이 포함될 수 있다. 이처럼, 본 시스템(100) 및 서버(10)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크리에이터라는 용어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서버(10)로부터 활동로그기반 ID(즉, 밈비 ID)를 부여받은 사용자들은 모두 크리에이터라 지칭될 수 있다.
참여자는 서버(10)로 프로젝트 관련 기획서(기획안, 시놉시스)를 제공하는 사용자로서, 창작자, 참가자 등으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 창작자는 자신이 소지한 단말을 이용하 서버(10)에 기획안(시놉시스) 공모전에 참여할 수 있다. 기획서는 기획안, 시놉시스 등의 용어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
서버(10)는 참여자의 참여자 단말로부터 프로젝트(즉, 프로그램형 프로젝트 또는 개인형 프로젝트) 관련 기획서를 수신하고, 수신된 기획서에 대한 투표 진행 결과 수신된 기획서가 제작 대상 기획서로 선정되면, 선정된 제작 대상 기획서의 프로젝트인 진행 가능 프로젝트의 제작비(제작예산, 미디어콘텐츠의 사전제작에 필요한 금액)를 산정할 수 있다. 이후, 서버(10)는 산정된 제작비에 대응하는 금액에 대하여 투자 기반 모금을 진행할 수 있다. 이때, 서버(10)는 투자 기반 모금 진행에 의하여 산정된 제작비의 모금이 완료된 경우, 모금된 금액을 기반으로 진행 가능 프로젝트에 대응하는 미디어콘텐츠의 사전제작이 수행되도록 하고, 이후 사전제작이 완료되면 제작된 미디어콘텐츠를 판매하고, 판매에 의해 발생되는 수익을 배분할 수 있다.
여기서, 투자 기반 모금은 기업, 문화예술 관련 펀드회사, 광고주 및 개인 사용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개인 사용자는 본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용자 누구나를 의미할 수 있으며, 개개인의 사용자를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본 플랫폼에서는 프로젝트(미디어콘텐츠 제작)에 대한 투자를 기존 미디어콘텐츠 주 투자자들(기업, 펀드회사, 광고주, VC 등)뿐만 아니라, 본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용자 개개인이 미디어콘텐츠의 제작에 참여 및 투자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서버(10)는 사용자 단말(1)과 네트워크(3)를 통해 연동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3)는 일예로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고, 다양한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1')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1)은 단순히 단말 이라는 용어로 지칭될 수 있고, 이러한 단말은 일예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패드(SmartPad), 태블릿 PC, 노트북, 웨어러블 디바이스, 데스크탑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유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서버(10)는 본 플랫폼(즉, 블록체인 기반의 NFT 미디어콘텐츠 관련 활동 증명 내지 블록체인 기반 미디어 제작)과 관련하여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서버(10)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이 소지한 단말들 각각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서버(10)는 본 플랫폼(즉, 블록체인 기반의 NFT 미디어콘텐츠 관련 활동 증명 내지 블록체인 기반 미디어 제작) 관련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에 있어서, 웹 또는 앱을 통해 사용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서버(10)에 의해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어플, 앱)은 이하 설명의 편의상 본 앱이라 하기로 한다. 서버(10)는 본 앱을 설치한 사용자들의 단말의 작동(일예로 화면 표시 작동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서버(10)는 본 앱 및 웹의 제공을 통해 본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서버(10)는 미디어콘텐츠 제작과 관련하여 본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의 활동을 기록(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블록체인 서버(20)는 서버(10)와 연계되어 네트워크(3)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외부 서버이며, 서버(10)가 사용자 단말(91)로부터 획득하는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일부의 정보(특히, 공개 가능 정보)를 블록체인(Block Chain)을 이용해 관리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하 서버(10)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다음과 같다.
서버(10)는 회원 관리부(11), 활동 관리부(12), 멤버쉽 리워드 관리부(13) 및 제어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는 현재 NFT를 온/오프라인의 출입증으로 하는 업체들이 늘어나고 있음을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메타버스 출입증, 입출입 카드, 신분증명 등의 용도로 활용(사용) 가능한 활동카드(즉, 밈 카드)를 발급하고, 활동카드를 발급받아 소지한 사용자(1')가 행하는 모든(전체) 활동에 대한 활동 로그를 활동기록으로서 활동로그기반 ID와 연계해 블록체인 DB(21)에 기록하고 관리할 수 있다.
회원 관리부(11)는 사용자 단말(1)로부터 회원가입에 필요한 사용자(1')의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여 회원가입을 진행하고, 회원가입이 완료된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회원 관리부(11)에 대한 설명은 일예로 도 4a를 참조하여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서버(10)에 의해 제공되는 본 플랫폼(내지 본 앱)에 미가입한 사용자(Non-Registered User)는 미가입 사용자라 지칭되고, 본 플랫폼에 회원가입이 완료된 사용자는 준회원(Associate Member)이라 지칭되고, 본 플랫폼에 회원가입이 완료된 후 활동카드를 발급받은 사용자는 정회원(Regular Member)이라 지칭될 수 있다.
서버(10)는 미가입 사용자를 대상으로 회원가입을 진행하고, 미가입 사용자가 회원가입을 완료하면, 회원가입이 완료된 사용자(준회원)를 대상으로 활동카드를 발급하여 정회원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고려되는 활동카드는 일예로 i) 메타버스에서의 큐브 공간에 입장하기 위한 출입증(즉, 메타버스 출입증), ii) 오프라인에서의 특정 장소(건물) 등에 대한 입출입을 위한 입출입 카드, iii) 사용자의 신분증이나 사용자의 학생증 등과 같은 신분증명 등의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회원 관리부(11)는, 회원가입의 진행시 블록체인 서버(20)로 사용자(1')에 대응하는 활동로그기반 ID의 생성을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블록체인 서버(20)로부터 활동로그기반 ID를 수신하고, 수신된 활동로그기반 ID를 회원가입이 완료된 사용자(1')에게 밈비 ID로서 부여할 수 있다. 회원 관리부(11)는 활동로그기반 ID를 부여받은 사용자(1')를 준회원으로 관리할 수 있다. 준회원은 본 플랫폼 내에서 타 사용자들에 의해 업로드된 정보들을 단순히 보는것(뷰 모드)만 가능할 뿐, 본 플랫폼에서의 플랫폼 활동은 불가능할 수 있다. 플랫폼 활동은 정회원을 대상으로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1')에게 부여되는 활동로그기반 ID는, 사용자(1')의 모든(전체) 활동 로그를 시스템적으로 기록하고 관리하기 위해(즉, 사용자의 모든 활동에 대한 활동 로그의 기록인 '활동기록'을 관리하기 위해) 사용자(1')에게 부여되는 ID를 의미할 수 있다. 즉, 활동로그기반 ID는 활동카드(밈 카드)를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1’)가 활동을 수행함에 따른 모든 활동기록의 관리를 위해 부여되는 ID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활동로그기반 ID는 밈비 아이디(밈비 ID, MYM.B-ID), 블록체인 ID 등의 용어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
이때, 블록체인 서버(20)는 회원 관리부(11)로부터 요청(즉, 활동로그기반 ID의 생성에 관한 요청)이 왔을 때, 그에 응답하여 사용자(1')에 대응하는 활동로그기반 ID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때 활동로그기반 ID의 생성시 오픈키(Open Key)와 시크릿키(Secret Key)를 함께 생성할 수 있다. 회원 관리부(11)는 사용자(1')의 사용자 정보를 관리함에 있어서, 사용자 정보와 사용자(1')에 대응하는 활동로그기반 ID(밈비 ID)와 활동로그기반 ID가 생성될 때 생성된 오픈키와 시크릿키를 함께 연계시켜 관리할 수 있다. 즉, 활동로그기반 ID의 생성시 오픈키와 시크릿키가 같이 생성될 수 있고, 회원 관리부(11)는 이들(오픈키와 시크릿키)을 활동로그기반 ID(밈비 ID) 및 사용자 정보와 함께 연계시켜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활동로그기반 ID는 블록체인 서버(20)에서 사용자(1')에게 부여하는 사용자(1')의 고유 식별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즉, 활동로그기반 ID는 사용자(1')에 대응하도록 생성되는 블록체인에서의 사용자(1') 고유식별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활동로그기반 ID는 밈비 ID, 밈비 ID 등의 용어로 달리 지칭될 수 있고, 도면 상에서 'MTM.B-ID'로 표현될 수 있다.
회원 관리부(11)가 회원가입을 위해 사용자 단말(1)로부터 획득하는 사용자 정보는 공개 가능 정보 및 프라이빗(private) 정보(즉, 사적인 정보, 개인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회원 관리부(11)는, 사용자 정보 중 프라이빗 정보의 경우 서버(10) 내 마련된 내부 DB(15)에 저장하고 관리하되, 사용자 정보 중 공개 가능 정보의 경우 서버(10)의 내부가 아닌 외부에 마련된 블록체인 DB(21)에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특히, 회원 관리부(11)는 프라이빗 정보의 경우 사용자(1')에게 부여된 활동로그기반 ID와 연계시켜 내부 DB(15)에 저장하고, 공개 가능 정보의 경우 사용자(1')에게 부여된 활동로그기반 ID와 연계시켜 블록체인 DB(21)에 저장할 수 있다. 회원 관리부(11)는 프라이빗 정보와 공개 가능 정보를 두 DB(15, 21)에 서로 구분해 분리하여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프라이빗 정보는 사용자(1')의 사적인 정보, 개인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일예로 사용자(1')의 이름(First & Last Name), 이메일(E-Mail), 비밀번호(Password), 계좌번호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공개 가능 정보는 타 사용자 등에게 공개 가능한 사용자의 정보로서, 일예로 사용자(1')의 닉네임(Nickname), 사용자가 거주하는 국가(Country), 추천코드(Referral Code, 레퍼럴코드)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추천코드는 타 사용자를 본 플랫폼에 회원가입 시키고자 할 때 타 사용자에게 본 플랫폼을 추천한 사용자에게 부여되는 추천인 고유번호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공개 가능 정보는 활동카드를 발급받은 사용자(1')의 모든 활동기록(Activity Log)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 사용자(1')의 활동기록이라 함은, 사용자(1')가 본 플랫폼에서의 플랫폼 활동을 수행함에 따른 기록(즉, 플랫폼 활동에 대응하는 기록)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이는 달리 표현하여 활동카드에 대응하는 기록을 의미할 수 있다.
회원 관리부(11)는 프라이빗 정보를 시크릿키를 통해 내부 DB(15)에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으며, 공개 가능 정보를 오픈키를 통해 블록체인 DB(21)에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도면 상에서, 블록체인 DB(21)는 Blockchain DB로 표현되고, 내부 DB(15)는 MYMB Security DB, MYM-B DB, MYMB DB 등으로 표현될 수 있다.
사용자(1')의 회원가입이 완료되면, 이후 활동 관리부(12)는 회원가입이 완료된 사용자(1')에게 본 플랫폼에서의 플랫폼 활동을 가능하게 하는 활동카드를 발급하고, 상기 활동카드를 발급받은 사용자(1')의 활동기록을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활동카드는 일예로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은 형태의 카드를 의미할 수 있다. 활동카드는 본 발명에서 밈카드, MYM-Card(2D) 등의 용어로 지칭되고 표현될 수 있다. 활동 관리부(12)에 대한 설명은 일예로 도 4b를 참조하여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다.
활동 관리부(12)는, 본 플랫폼에서의 플랫폼 활동의 수행 및 온/오프라인(온라인 및 오프라인)에서의 활동 수행에 따라 발생되는 모든 활동기록을 실시간으로 획득하여 블록체인 DB(21)에 활동로그기반 ID와 연계시켜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즉, 활동 관리부(12)는, 활동카드(밈 카드)를 발급받은 사용자(1')가 본 플랫폼에서 플랫폼 활동을 수행함에 따라 발생되는 활동 로그에 대한 기록과, 활동카드를 발급받은 사용자(1')가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에서 활동을 수행함에 따라 발생되는 활동 로그에 대한 기록을 포함한 모든 활동기록을 실시간으로 획득하여 블록체인 DB(21)에 활동로그기반 ID(즉, 사용자에 대응하여 생성된 활동로그기반 ID인 밈비 ID)와 연계시켜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활동 관리부(12)는 활동카드를 발급받은 사용자(1')를 정회원으로 관리할 수 있다.
활동 관리부(12)는 최소 1개 이상의 활동카드를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1')에 한하여, 1개 이상의 활동카드를 소지한 사용자(1')에게 정회원 자격을 부여할 수 있다. 달리 말해, 사용자(1')는 본 플랫폼 내에서 정회원이 되기 위해서는 서버(10)로부터 최소 1개 이상의 활동카드를 발급받아야만 정회원이 될 수 있다. 서버(10)는 활동카드를 발급받은 사용자(1')를 정회원으로 고려하고, 정회원은 서버(10)에 의해 제공되는 각종 서비스(즉, 본 플랫폼을 통해 제공되는 각종 서비스)를 이용 가능하고, 각종 플랫폼 활동을 수행 가능할 수 있다. 즉, 1개 이상의 활동카드를 발급받은 사용자만이 본 플랫폼에서의 플랫폼 활동을 수행 가능할 수 있다.
달리 말해, 본 발명에서는 활동로그기반 ID(밈비 ID)의 경우 사용자(1')가 본 플랫폼에 회원가입을 완료한 경우에 생성하여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회원가입을 완료한 사용자가 정회원이 되기 위해서는, 최소 1개 이상의 활동카드를 발급받아야 정회원이 될 수 있다. 이때, 서버(10)는 처음 회원가입한 사용자에게는 회원카드 1개를 무료(공짜)로 발급하여 제공할 수 있다.
활동 관리부(12)는 일예로 본 플랫폼에 대한 회원가입을 완료한 사용자(1')에게 1개의 활동카드를 무료로 제공(발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1')는 추가적으로 활동카드를 발급받고자 할 경우, 서버(10)에 기 설정된 활동카드 발급 비용을 지불함으로써 활동카드를 추가적으로 발급 가능할 수 있다. 이때, 기 설정된 활동카드 발급 비용은 예시적으로 개당 4000원 일 수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활동카드 발급 비용의 설정 값은 서버(10)를 운영하는 운영자(관리자)에 의해 다양한 값으로 설정, 변경 될 수 있다.
또한, 서버(10)는 일예로 사용자(1')가 3명의 타 사용자를 본 플랫폼에 회원가입을 하게 한 경우(즉, 사용자(1')의 추천코드로 3명의 타 사용자가 본 플랫폼에 회원가입을 한 것으로 감지된 경우), 해당 사용자(1')에게 1개의 활동카드를 무료로 제공(발급)할 수 있다.
본 플랫폼에서의 플랫폼 활동의 종류로는 플랫폼 내부 활동, 플랫폼 경제활동 및 NFT 컬렉션 활동 등이 포함될 수 있고, 이는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버(10)는 정회원을 대상으로 플랫폼 활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플랫폼에서 수행 가능한 플랫폼 활동에는(즉, 본 플랫폼에 의해 제공 가능한 플랫폼 활동 서비스에는), 플랫폼 내부 활동, 플랫폼 경제활동 및 NFT 컬렉션 활동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플랫폼 내부 활동은, 서버에서 진행하는 시놉시스 공모전에 사용자가 기획한 기획서를 제출하는 활동인 공모전 참여 활동을 포함한 프로젝트 활동, 커뮤니티 활동 및 구인구직 활동을 포함할 수 있다.
플랫폼 경제활동은 제작 관련 사용자들의 참여로 제작된 미디어콘텐츠(창작물)의 저작권(IP)에 대하여 발급(발행)된 디지털자산인 NFT(Non-Fungible Token, 대체 불가능 토큰)의 판매 및 구매와 관련된 활동을 포함할 수 있다.
NFT 컬렉션 활동은, 활동카드를 발급받은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가상의 큐브 공간에 대한 꾸밈 및 참여 활동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NFT 컬렉션 활동에는 활동카드를 발급받은 사용자가 타 사용자의 큐브 공간에 방문하는 활동, 타 사용자와 친구맺기를 하는 활동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큐브 공간은 서버(10)가 활동카드를 발급받은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가상의 공간으로서, 밈비큐브(MYMB Cube, MTM.B-Cube), 밈비큐브 3D 아공간, 큐브 스페이스(Cube Space)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큐브 공간은 일예로 메타버스(Metaverse) 등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큐브 공간은 사용자(1')의 고유한 공간으로서, 밈비 ID에 대응하여 생성되는 공간일 수 있다.
활동 관리부(12)는 활동카드를 발급받은 사용자(1')(즉, 정회원)에게 가상의 큐브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큐브 공간은 1명의 정회원마다 1개씩 제공될 수도 있고, 또는, 1개의 활동카드마다 1개씩 제공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큐브 공간은 1개의 활동로그기반 ID(밈비 ID)마다(즉, 회원가입이 완료된 1명의 사용자마다) 1개씩 제공될 수 있다.
본 시스템(100)에서 정회원인 사용자(1')는 자신에게 부여된 큐브 공간을 꾸미는 등의 컬렉션(NFT 컬렉션) 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1')는 NFT 컬렉션 활동과 관련하여, 일예로 NFT로 발급받은 활동카드(즉, MYM-Card(2D))나 NFT로 발급받은 아이템(즉, 밈 아이템, MYM-ITEM)으로 큐브 공간을 꾸미는 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1')는 NFT 컬렉션 활동과 관련하여, 일예로 콘텐츠 제작 참여를 위한 NFT 티켓(Project NFT Ticket)의 구매 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 활동카드는 2D 개인용(Personal) NFT를 의미하고, 밈 아이템(MYM-ITEM)은 3D 아이템일 수 있으며, 3D 개인용(Personal) NFT를 의미할 수 있다. 큐브 공간은 NFT로 발급된 것들(일예로, 활동카드, 밈 아이템, NFT 티켓 등)로만 꾸밈이 가능할 수 있다.
활동 관리부(12)는 활동카드를 발급받은 사용자(1')가 본 플랫폼에서 각종 플랫폼 활동을 수행함에 따라 발생되는 모든 활동기록을 실시간으로 획득하여, 실시간으로 획득되는 사용자(1')의 모든 활동기록을 사용자(1')에게 부여된 고유 식별정보인 밈비 ID(즉, 활동로그기반 ID)에 연계시켜 블록체인 DB(21)에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활동 관리부(12)는 서버(10)를 이용하는 모든 정회원인 사용자들 각각에 대응하는 활동기록을, 각 사용자에게 부여된 밈비 ID(활동로그기반 ID)에 연계시켜 블록체인 DB(21)에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활동 관리부(12)는 외부 단말에서 사용자(1')의 활동기록의 제공을 요청한 경우, 요청에 응답하여 블록체인 DB(21)에 저장된 사용자(1')의 활동기록을 외부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단말은 예시적으로 사용자(1')가 범죄에 연루되어 사용자(1')의 당일 행적 기록의 확인을 필요로 하는 경찰서에 대응하는 단말 등일 수 있으며,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1')의 행적, 활동의 기록을 필요로 하는 각종 분야에 속한 사용자의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즉, 활동 관리부(12)는 사용자의 플랫폼 활동 내지 활동카드의 사용에 따른 사용자(1')의 모든 활동기록을 블록체인 DB(21)에 사용자(1')에게 기 부여된 활동로그기반 ID와 연계해 실시간으로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활동 관리부(12)는 외부 단말(일예로 외부 업체의 단말)에서 사용자(1')의 활동기록의 제공을 요청한 경우, 요청에 응답하여 사용자(1')의 활동기록을 제공할 수 있다.
멤버쉽 리워드 관리부(13)는 사용자(1')가 본 플랫폼에서 수행하는 플랫폼 활동을 기반으로 리워드(보상)를 제공하고 관리할 수 있다. 멤버쉽 리워드 관리부(13)는 플랫폼 활동을 참여한 사용자(1')에게 플랫폼 활동의 참여에 따른 리워드를 제공할 수 있다. 활동카드를 발급받은 사용자(1')는 서버(10)에 대하여 멤버쉽 등록이 이루어질 수 있고, 이러한 사용자(1')는 정회원으로 관리될 수 있다.
서버(10)에서 고려되는 사용자(1')의 자산(User Asset)에는 NFT 컬렉션, 코인 및 캐쉬를 포함하여 3가지 유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멤버쉽 리워드 관리부(13)는 사용자(1')의 자산을 관리할 수 있으며, 일예로 도 5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의 자산 중 NFT 컬렉션과 코인의 경우 블록체인 DB(21)에 저장하고 관리하고, 사용자의 자산 중 캐쉬의 경우 서버(10) 내 내부 DB(15)에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멤버쉽 리워드 관리부(13)는 사용자의 플랫폼 활동에 따른 리워드를 코인으로 제공할 수 있고, 코인은 본 플랫폼에서 사용 가능한 자산으로서, 멤버쉽 포인트, 밈비 코인(MYMB COIN) 등의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제어부(14)는 서버(10) 내 각 부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고, 서버(10)와 네트워크(3)를 통해 연동된 사용자 단말(1) 및 블록체인 서버(20) 각각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예시적으로, 서버(10)는 활동카드(밈카드)를 발급받은 사용자(1')가 친구와 오프라인 사진매장에 방문하여 친구와 함께 사진 촬영을 수행한 경우, 오프라인 사진매장에서 친구와 함께 사진 촬영이 이루어졌음에 대한 정보 및 오프라인 사진매장에서 촬영된 사진(결과물)을 사용자(1')의 활동기록으로서 실시간으로 획득하여 사용자(1')의 활동로그기반 ID(밈비 ID)와 연계시켜 블록체인 DB(21)에 저장(기록)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1')는 자신의 큐브 공간 내에 블록체인 DB(21)에 저장된 사진(결과물)을 위치시킴으로써 큐브 공간을 꾸밀 수 있으며, 이때의 사진(결과물)은 일예로 활동카드(즉, 2D 개인용 NFT)에 대응하는 컬렉션 아이템으로 고려될 수 있다.
서버(10)는 활동카드를 소지한 사용자(1')의 모든 활동기록을 실시간으로 획득해 저장할 수 있는바, 활동카드로 하여금 사용자(1')의 소중한 추억, 매 순간의 추억이 NFT 기술로 실시간 기록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기록에 대응하는 결과물이 큐브 공간을 통하여 타 사용자(일예로 친구나 타 사용자들)에게 공유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활동로그기반 ID는 본 플랫폼에서의 플랫폼 활동을 하기 위한 ID를 의미할 수 있다. 서버(10)는 사용자(1')에 대하여 활동카드(밈 카드)가 생성(발급)되기 이전까지 내부적으로 활동로그기반 ID(밈비 ID)를 생성해 사용자(1')에게 부여되도록 할 수 있고, 이후 사용자(1')에게 활동카드를 부여함으로써 해당 사용자(1')가 본 플랫폼에서 플랫폼 활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정회원 자격이 부여되도록 할 수 있다.
서버(10)는 활동카드가 발급된 정회원인 사용자(1')를 대상으로, 해당 사용자(1')의 모든 활동기록(즉, 프로젝트 활동 기록, NFT 컬렉션 활동, 플랫폼 경제활동 등을 수행함에 따른 모든 활동기록)을 사용자(1')에게 부여된 활동로그기반 ID(밈비 ID)와 연계시켜 블록체인 DB(21)에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서버(10)는, 활동카드를 발급받은 사용자(1')가 본 플랫폼 내에서 수행하는 활동(즉, 플랫폼 활동)에 대한 활동기록 뿐만 아니라, 일예로 서버(10)에 의해 제공되는 메타버스 환경 외에 다른 외부의 외부 메타버스 환경에 접속해 활동을 하는 경우 외부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사용자의 활동기록 역시 밈비 ID와 연계시켜 블록체인 DB(21)에 저장할 수 있고, 오프라인에서의 모든 사용자의 활동기록도 밈비 ID와 연계시켜 저장할 수 있다.
즉, 사용자(1')가 활동카드를 가지고 다니면서 발생되는 모든 사용자(1')의 활동에 대한 기록(활동기록)은 블록체인 DB(21)에 저장될 수 있다. 활동카드는 일예로 메타버스에서의 큐브 공간에 입장하기 위한 출입증, 사용자의 신분증, 사용자의 학생증 등의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활동카드는, NFT 컬렉션의 요소 중 한 요소일 수 있다.
즉, 활동 관리부(12)는 활동카드를 발급받은 사용자(1')가 행하는 모든 활동기록을 사용자(1')에게 부여된 활동로그기반 ID(밈비 ID)와 연계시켜 블록체인 DB(21)에 실시간으로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활동로그기반 ID는, 일예로 블록체인 월렛(wallet)의 생성시 생기는 오픈키 값이 밈비 ID(활동로그기반 ID)와 연계되는 구조일 수 있다. 서버(10)는 사용자(1')에게 큐브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자신의 공간을 꾸밀 수 있도록 하는 재미 요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시스템(100)에서는 서버(10)와 블록체인 서버(20)가 별도로 구분되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서버(10)는 사용자(1')에 대한 활동로그기반 ID(밈비 ID)의 관리시, 오픈값과 시크릿값을 함께 연계시켜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일예로 서버(10)가 사용자 정보 중 공개 가능 정보와 프라이빗 정보를 각각 서버(10)의 내부에 마련된 내부 DB(15)와 외부의 DB인 블록체인 DB(21)에 각각 서로 구분해 저장하고 관리하는 것으로만 예시하였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내부 DB(15)에 저장된 정보와 블록체인 DB(21)에 저장된 정보는 서로 공유되어 관리될 수 있다. 본 시스템(100)에서의 사용자 정보의 저장 구조는, 일예로 내부 DB(15)와 블록체인 DB(21)를 통해 내/외부에 구분하여 저장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일예로 문제가 발생하여 사용자(1')의 정보 요청이 이루어졌을 때 서버(10)의 내부에서 확인해 줄 수 있는 구조로 분리되어 있는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서버(10)는 사용자 단말(1)로 본 플랫폼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웹(WEB)을 통해 웹 페이지로 제공하거나, 앱(어플)을 통해 앱 페이지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서버(10)는 본 플랫폼을 웹 페이지의 형태로 사용자 단말(1)로 제공하는 경우, 웹 페이지를 통해서 사용자(1') 자신의 활동로그기반 ID(밈비 ID)의 값을 볼 수 없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고려되는 활동로그기반 ID를 통해서는 일예로 사용자의 프라이빗 정보(일예로, 이름, 계좌번호 등)의 확인이 가능할 수 있는데, 이때 서버(10)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을 통해 본 플랫폼의 서비스를 웹 페이지로 제공받는 경우 활동로그기반 ID의 값의 확인(즉, 활동로그기반 ID의 값을 통한 프라이빗 정보의 확인)이 불가능하도록 제어하고, 반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을 통해 본 플랫폼의 서비스를 앱 페이지로 제공받는 경우 활동로그기반 ID의 값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서버(10)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을 통해 본 앱에 접속한 경우에 한하여, 본 앱을 통해서만 사용자(1') 본인의 활동로그기반 ID의 값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1')가 본 앱에서 자기의 지갑(월렛)을 통해서만 프라이빗 정보(일예로 계좌번호 등)를 확인 가능 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1')에게 부여되는 활동로그기반 ID(즉, 밈비 ID)는, 월렛(지갑) 개념이나 종래의 분산 신원증명(DID, Decentralized Identity)과는 다른 개념의 ID(즉, 새로운 개념의 ID)를 의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의 '활동로그기반 ID(즉, 밈비 ID, 블록체인 ID)'는 DID와는 다른 개념의 ID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고려되는 활동기록은 활동로그기반 DI(밈비 ID)의 프로필이자 신뢰도이며, 증명원으로 고려될 수 있다.
활동로그기반 ID는,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사용자(1')의 모든(전체) 활동 로그를 시스템적으로 기록하고 관리하기 위해(즉, 사용자의 모든 활동에 대한 활동 로그의 기록인 '활동기록'을 관리하기 위해) 사용자(1')에게 부여되는 ID를 의미할 수 있다. 즉, 활동로그기반 ID는 활동카드(밈 카드)를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1’)가 활동을 수행함에 따른 모든 활동기록의 관리를 위해 부여되는 ID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1')의 입장에서는 NFT가 활동카드(밈 카드), 즉 밈비아이디로 여겨질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 시스템적으로는 DID와는 다르게 활동로그기반 ID(밈비 ID)라는 새로운 개념을 도입한 것이라 할 수 있다.
현재 NFT를 온/오프라인의 출입증으로 하는 업체들이 늘어나고 있는 경향을 보이며, 이는 1회 혹은 다회성으로 이용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의 활동로그기반 ID(즉, 밈비 ID)는 NFT를 활동카드(밈 카드)로 삼지만(고려하지만), 밈비 ID 자체가 전체 활동 로그를 시스템으로 관리하며 활동이 곧 신뢰성의 힘을 갖게되는 방식이라 할 수 있다. 달리 말해, 본 발명에서의 활동로그기반 ID(즉, 밈비 ID)는 그 자체가, 활동카드를 소지한 사용자(1')가 행하는 모든(전체) 활동에 대한 로그를 활동기록으로서 본 시스템(100) 내지 서버(10)에 기록하고 관리 가능하도록 하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고려되는 활동로그기반 ID(즉, 밈비 ID)는 본 플랫폼(즉, 밈비 플랫폼)에만 한정되어 적용되는 ID가 아닌, 본 플랫폼을 포함하여 ID 생성 메커니즘(즉, ID 생성과 관련된 모든 기술 분야)에 적용 가능한 ID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7에 도시(기재)된 사항은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서버(10)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서버(10)는 사용자(1')에 대한 회원가입의 진행 및 활동카드의 발급의 진행을 도 4에 도시된 흐름을 기반으로 수행(진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시스템(100)에서 각 구성들 간의 흐름은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은 흐름으로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서버(10)는 정회원인 사용자(1')의 사용자 단말(1)로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은 흐름을 기반으로 본 플랫폼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서버(10)는 일예로, 사용자(1')에게 활동카드의 발급시 활동카드의 발급 비용을 예시적으로 개당 4000원 등과 같이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는 NFT 프로젝트 투자 수수료를 0.5%로 설정하고, 프로젝트 관련 콘텐츠의 제작 집행비를 5% 등으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서버(10)는 앞서 말한 바와 같이 본 플랫폼(블록체인 기반 미디어 제작 플랫폼, 블록체인 기반의 NFT 미디어콘텐츠 관련 활동 증명 플랫폼)을 사용자 단말(1)로 제공할 수 있다.
서버(10)에서 고려되는 블록체인(블록체인 기술)의 기본 개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블록체인의 개념을 살펴보면, 블록체인은 '블록'이라고 하는 소규모 데이터들이 P2P(peer to peer) 방식을 기반으로 생성된 체인 형태의 연결고리 기반의 분산 데이터 저장환경에 저장되어 누구라도 임의로 수정할 수 없고, 누구나 변경의 결과를 열람할 수 있는 분 산 컴퓨팅 방식의 데이터 변조 방지 기술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블록체인은 여러 건의 거래 내역을 하나의 블록으로 묶어 기존에 생성된 블록에 체인처럼 계속적으로 연결하는 데이터 구조를 의미한다. 블록체인은 모든 거래 정보를 포함하는 거대한 분산 장부라고도 할 수 있다. 블록체인은 분산되고, 독립적이며, 공통 장부 관리 기술이라 할 수 있다.
블록체인 내 블록은 전체 기간 중 일정기간의 거래 정보를 기록한 덩어리를 의미할 수 있다. 블록체인은 이러한 블록들을 체인 형태로 연결하여, 수많은 컴퓨터에 동시에 이를 복제해 저장하는 분산형 데이터 저장 기술을 의미한다. 블록체인은 데이터를 체인처럼 연결하여, 중앙 집중형 서버에 거래 기록을 보관하지 않고 누구나 열람할 수 있게 공개함으로써 데이터 위조나 변조를 할 수 없도록 서로서로 감시하는 P2P(peer to peer : 개인과 개인이 직접 연결됨) 구조를 가지며, 해당 시스템의 프로토콜(일정한 규칙)을 따를 수 있다. 쉽게 말해, 은행과 같은 제3자를 거치지 않고 블록체인을 이용하게 되면, 노드(node : 해당 시스템의 네트워크 참가자들-> 개개인의 네트워크 서버, 즉, 참가자)간, 직접 가치를 전달할 수 있으며, 이러한 블록체인은 4차산업혁명의 핵심기술이라 할 수 있다.
블록체인 기술의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블록체인은 분산성, 확장성, 투명성, 보안성 및 안정성 등의 특징을 갖는다. 분산성에 의하면, 신뢰할 수 있는 제 3자를 별도로 두지 않고 분산형 네트워크(P2P) 환경에서 거래 가능하며, 중앙집중형의 시스템을 운영하고 유지보수 등 필요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확장성에 의하면, 모든 소스가 공개되어 있어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누구나 구축, 연결, 확장이 가능하다. 투명성에 의하면, 모든 거래 기록은 공개적으로 접근이 가능하며, 거래 양성화 및 규제 비용 절감 가능하다. 보안성에 의하면, 거래내역 장부는 네트워크 참여자 모두가 공동으로 소유하여 거래 데이터 조작 방지 및 무결성을 보장할 수 있다. 안정성에 의하면, 분산형 네트워크 구조로 단일 실패점이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일부 참가 시스템에 오류 또는 성 능 저하가 발생하여도 전체 네트워크에 영향이 미미한 특성이 있다.
또한, 앞선 설명에 의하면, 본 발명에서 사용자(1')에게 부여되는 활동로그기반 ID(즉, 밈비 ID)는, 월렛(지갑) 개념이나 종래의 분산 신원증명(DID, Decentralized Identity)과는 다른 개념의 ID(즉, 새로운 개념의 ID)를 의미할 수 있다.
종래의 DID는 분산 신원증명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는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신원을 증명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기존 신원 확인 방식과 달리 중앙 시스템에 의해 통제되지 않으며 개개인이 자신의 정보에 완전한 통제권을 가질 수 있게 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즉, 탈중앙화 신원증명인 DID는 말 그대로 중앙화를 벗어난 신원증명 방식으로서, 일반적인 신원증명은 내 정보를 확인하는 국가기관, 기업 등 중앙의 통제를 받는 식인 반면, DID는 중앙기관이 아닌 개인이 직접 자신의 정보(데이터)를 관리하는 기술이다. 서비스 사업자가 가지고 있는 내 데이터 권리를 내가 다시 가져오는 것이다.
종래의 DID 기반 신원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1. 서비스 제공자가 사용자에게 신원 정보 인증 요청을 할 수 있다. 다음으로, 2. 사용자가 신원정보발행자(인증기관 등)에게 신원 정보 발행 요청을 할 수 있다. 다음으로, 3. 신원정보발행자가 분산 ID저장소에 사용자의 신원 정보를 검증할 수 있는 서명된 ID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다음으로, 4. 신원정보발행자가 사용자에게 신원정보 발행 및 사용자는 신원정보발행자가 서명한 내용에 대해 Counter-sign을 하여 DIDs(Key) ― DID Document(Value)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5. 사용자는 서비스 제공자에게 신원 정보를 전달할 수 있고, 이때 신원정보발행자에게 받은 신원 정보 전체 중 인증에 필요한 일부만을 선택한 신원 정보를 서비스 제공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다음으로, 6. 서비스 제공자는 DIDs를 통해 분산 ID저장소에 저장된 DID Document를 검증하여 신원 확인을 완료할 수 있다. 즉, DID는 여러 곳에 흩어진 내 개인 정보를 내가 원하는 단말기에 저장한다. 신원증명이 필요할 시 해당 서비스에 꼭 필요한 몇 개의 정보만 골라서 제출할 수 있다. 매번 별도의 인증을 할 필요 없이 이전 데이터를 불러오면 되는 셈이다.
이러한 DID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필요시 됐다. 신원 증명 중앙화 체제에서는 해킹이 발생할 경우 개인 정보가 대규모로 유출될 위험이 있고, 기업들이 개 인 정보를 몰래 이용해 이익을 얻는 사례들이 발생하기도 한다. 일각에서는 농담으로 우리 국민의 주민등록 번호가 중국에서는 공공재라는 말이 있기도 했는데, 안타깝게도 과거 중국의 유명 검색엔진에서는 국내 유명 사이트 계정 ID와 이름, 나이, 생년월일은 물론 주민등록번호까지 민감한 개인 정보가 거래되고 있었다. 이러한 개인정보(개인의 데이터)는 막대한 이익을 창줄하고 있지만 데이터 권한은 서비스 사업자들이 독점하고 있다. 개인 정보 유출과 사생활 침해 이슈가 커지는 가운데 DID는 이에 대응할 수 있는 방안 중 하나로 부각되었고, 사용자 개인정보 침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블록체인 기반의 탈중앙화 신원증명(DID)이라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전자상거래 시장 중O2O(Online to Offline, 온라인·오프라인 연계 서비스) 산업이 급격히 성장하고 있는 가운데, O2O 서비스에서 개인정보가 충분히 안전하게 관리되고 있지 않아 문제가 되고 있다. 개인정보는 글로벌 빅테크(일예로 구글, 페이스북 등)도 애를 먹을 정도로 관리가 쉽지 않은 분야이다. 이러한 O2O 서비스에서 블록체인 DID(분산ID, Decentralized Identity) 기술이 해결방안으로 고려되고 있으며, DID 기술은 온라인 거래에 사용됐던 공인인증서를 대체할 기술로 최근 주목받고 있다.
최근에는 인터넷의 표준을 정하는 월드와이드웹 컨소시엄(W3C)이 블록체인 기반 분산신원인증(DID) 기술을 새로운 웹 표준으로 승인한 바 있다. 구글, 애플 등 글로벌 인터넷 기업들이 DID 웹 표준 승인을 강력히 반대했지만, W3C는 보안에 강한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디지털 서명 기술인 DID가 개인정보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며 웹표준으로 인정한 것이다. DID가 웹표준으로 지정된 가운데 전세계에서 동일한 표준의 DID 기술을 사용하면 보다 다양한 서비스에 DID가 적용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주민등록번호를 사용하는 우리나라에서는 쇼핑몰 등 인터넷 사이트를 통한 개인정보 유출 사태가 종종 발생한다는 점에서 DID 사용 확산을 통해 웹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개인정보 유출의 위험을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한편, 현재 웹세상에 대한 주도권을 갖고 있는 구글, 애플, 모질라 같은 곳들은 DID가 W3C의 표준으로 지정되는 데에 반대 입장을 밝혀왔는데, DID가 웹표준으로 지정된 후 웹에 미칠 영향에 대한 평가가 없었으며, DID가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다는 점에서 환경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이유에서 이다. DID는 DID에 신뢰를 부여하는 기관과, 이를 이용할 수 있는 사용처를 별도로 구축해야 한다는 장벽이 있어 널리 확산되는 데에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종래의 DID가 갖는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본 발명에서의 '활동로그기반 ID(즉, 밈비 ID, 블록체인 ID)'는 종래의 DID와는 다른 개념의 ID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고려되는 활동기록은 활동로그기반 DI(밈비 ID)의 프로필이자 신뢰도이며, 증명원으로 고려(활용, 이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고려되는 '활동로그기반 ID(즉, 밈비 ID, 블록체인 ID)'는 신원증명에 필요한 정보가 아닌, 미디어 콘텐츠 생태계 참여(즉, 본 플랫폼의 참여)를 위한 최소값(즉, 사용자의 닉네임, 국가, 활동카드인 밈카드, 레퍼럴코드)으로 사용자의 활동을 증명하기 위한 '활동증명'에 필요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활동로그기반 ID는 신원증명용 정보가 아닌, 활동증명용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활동로그기반 ID는 종래 DID(신원증명용 정보)가 갖는 문제에 대한 솔루션으로 활용되어, 타 서비스들과 대비해 차별성을 가진다 할 수 있다.
서버(10)는 이러한 활동로그기반 ID를 블록체인 DB(21)에 기록하고 관리할 수 있다. 서버(10)는 사용자(1')가 행하는 모든(전체) 활동에 대한 활동 로그를 활동기록으로서 사용자(1')의 활동로그기반 ID와 연계해 블록체인 DB(21)에 기록하고 관리할 수 있다.
본 시스템(100)은 본 플랫폼(블록체인 기반 미디어 제작 플랫폼, 블록체인 기반의 NFT 미디어콘텐츠 관련 활동 증명 플랫폼)을 사용자 단말(1)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본 시스템(100) 및 서버(10)는 다음과 같이 크게 6가지의 특성들을 가질 수 있다.
1. 탈중앙성 : 본 시스템(100)은 기획 단계부터 제작, 광고 등 누구나 참여 및 투자가 가능하기 때문에 탈중앙성을 가질 수 있다.
2. 보안성 : 본 시스템(100)은 암호화된 분산 장부 구조로 중앙 기관 없이 자금의 보안 확보가 가능하다.
3. P2P 더블(Double) 시스템 : 본 시스템(100)은 누구나 프로젝트 기획/제작/투자와 플랫폼 디지털자산 스왑에 참여할 수 있는 P2P Double 시스템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특히, 본 시스템(100)은 Peer to Project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고, 이와 관련하여 프로젝트형 지분형 디지털 자산으로 개인, 기관, 광고주 등 누구나 원하는 프로젝트에 원하는 금액을 P2P로 투자 가능하다. 또한, 본 시스템(100)은 Peer to Platform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고, 이와 관련하여 마이닝을 통한 플랫폼 디지털자산 및 지분형 디지털자산을 스왑 방식으로 플랫폼 내에서 P2P로 거래할 수 있다.
4. 투명성 : 본 시스템(100)은 지분형 디지털 자산 소유시 프로젝트 관련된 자금 내역, 판권 판매, OTT 스트리밍 수익 등을 열람할 수 있게 함으로써 블록체인의 투명성을 적용시킬 수 있다.
5. 불변성 : 본 시스템(100)은 사용자들의 이력 관리(활동로그기반 ID 활용), 프로젝트 기획서 등 블록체인 블록에 암호화된 상태로 기록이 되며, 이는 불변성을 가지므로 신뢰를 가질 수 있다.
6. 스마트컨트렉트 : 본 시스템(100)은 현재 대면으로만 진행되던 계약과정을 스마트컨트렉트의 활용으로 비대면으로 전자계약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시스템(100)에 의하면, 본 플랫폼 내 프로젝트 진행시 관련 사용자들은 자동 계약체결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다.
서버(10)는 본 플랫폼의 제공을 통해, 사용자가 미디어콘텐츠의 제작과 관련된 활동에 참여하고 투자할 수 있도록 하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서버(10)에서 정회원이 된 사용자(1')는 본 플랫폼을 통해 미디어 제작과 관련된 활동에 참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디어콘텐츠 제작에 투자할 수도 있다. 본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용자들 누구나가 미디어콘텐츠의 제작과 관련해 참여, 제작, 투자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미디어콘텐츠는, 미디어, 콘텐츠, 뉴미디어 등의 용어로 달리 지칭될 수 있고, 본 발명에서 미디어 제작(미디어콘텐츠 제작)이라 함은 미디어콘텐츠의 창조, 생산, 유통, 소비 등 모든 과정을 포함한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플랫폼은 미디어를 제작할 수 있는 환경을 갖춘 플랫폼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프로젝트라 함은 미디어(미디어콘텐츠)를 기획하고 제작하는 과정부터 이와 관련된 수익 창출의 전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플랫폼 활동 내 프로젝트 활동은 이러한 전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서버(10)에서 고려되는 프로젝트(Project)는 프로그램형 프로젝트 및 개인형 프로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그램형 프로젝트는 드라마, 예능 및 교양을 포함하는 방송 관련 프로젝트(방송 범위의 프로젝트)일 수 있다. 개인형 프로젝트는 개인 채널을 운영하는 인플루언서 관련 프로젝트(인플루언서 범위의 프로젝트)일 수 있다. 서버(10)는 미디어콘텐츠의 기획 단계에서부터 제작, 유통 및 보급까지 모두 자체 제작으로 이루어진 본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1') 중 투자자들은, 프로젝트를 분석하고 판단하여, 프로젝트의 지분형 디지털 자산을 구매할 수 있다. 본 플랫폼의 사용자들은 크게 참여자(창작자), 투자자, 일반 사용자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1') 중 프로젝트의 참여자들은 스텝과 인플루언서를 중심으로 본 플랫폼 내에서 구인구직, 캐스팅 등을 할 수 있다.
사용자(1') 중 투자자들은 프로젝트를 스스로 판단하고 직접 그 지분 디지털 자산에 투자할 수 있다. 인플루언서들은 본 플랫폼을 통하여, 엔터테인먼트 스텝진(일예로, 매니저, 스타일리스트, 메이크업아티스트, 동영상편집자, 디자이너, 기획자, 작곡가, 안무가 등)과 AI 매칭 서비스를 통해 스마트컨트렉트로 법적으로 효력이 있는 전자계약서의 작성을 수행(진행)할 수 있다.
서버(10)의 멤버쉽 리워드 관리부(13)는, 일예로 기 정의된 참여형 합의 알고리즘인 PoM 멤버쉽 메커니즘을 기반으로, 플랫폼 활동에 따라 사용자(1')에게 리워드(보상)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정의된 PoM 멤버쉽 메커니즘은 본 플랫폼의 이용량 및 프로젝트량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디지털자산 발급량이 결정되도록 정의된 참여형 멤버쉽 알고리즘일 수 있다. PoM 멤버쉽 메커니즘에 의하면, 서버(10)는 본 플랫폼을 이용하는 모든 사용자에게 패시브인컴(Passive income) 수익을 주고, 참여형 멤버쉽으로서 본 플랫폼에 대한 참여를 독려할 수 있다. 여기서, 패시브인컴은 내가 일을 하지 않아도 잠자는 시간에도 돈이 쌓이는 신종 불로소득을 의미할 수 있다.
멤버쉽 리워드 관리부(13)는 일예로 플랫폼 활동에 따른 활동기록을 기반으로 사용자(1')의 본 플랫폼의 이용 시간을 분석할 수 있으며, 기 정의된 이용 시간별 보상량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에게 리워드(보상)를 제공할 수 있다. 보상으로는 일예로 디지털자산(NFT)이 제공될 수 있다. 멤버쉽 리워드 관리부(13)는 일예로, 발행된 코인을 사용자의 플랫폼 활동에 따라(일예로 플랫폼 활동의 활동량, 이용시간 등에 따라) 리워드로서 분배하여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고려되는 플랫폼 활동 중 프로젝트 활동에는 일예로 프로젝트 기획 활동, 기획안(시놉시스) 공모 활동, 공모된 기획안에 대한 투표 활동, 구인구직 활동 환경을 제공하는 워커시스템의 이용 활동, 프로젝트 NFT 투자 활동, 동영상 업로드 활동, 동영상 시청 활동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서버(10)는 미디어콘텐츠의 사전제작에 필요한 금액을 블록체인의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 Non-Fungible Token)을 이용하여 미디어콘텐츠의 저작권(Intellectual Property, IP) 지분율을 유동적으로 확보한 후 실제 미디어콘텐츠의 제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달리 말해, 서버(10)는 미디어콘텐츠의 제작(사전제작 등)에 필요한 금액의 투자가 NFT를 이용하여(NFT 투자 프로세스, NFT 조각 투자 프로세스를 이용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즉, 서버(10)는 IP(저작권)에 NFT 기반 기술을 활용하여 미디어콘텐츠의 제작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서버(10)는 조각 투자의 활용도를 극대화시키는 NFT를 이용하여 투자 프로세스가 진행(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서버(10)는 프로젝트(프로그램형 프로젝트, 개인형 프로젝트)의 제작과 관련하여, 프로젝트 제작에 관한 저작권(IP)에 대하여 NFT 기술을 적용할 수 있고, 이를 토대로 프로젝트에 대응하는 미디어콘텐츠의 제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NFT는 Non-Fungible Token의 약자로 대체 불가능한 토큰을 의미하고, 이는 블록체인에 저장된 데이터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NFT는 고유하면서 상호 교환할 수 없는 토큰을 뜻하며, 사진, 비디오, 오디오 및 기타 유형의 디지털 파일을 나타내는데 사용될 수 있다. 즉, NFT는 하나의 디지털 단위(미디어콘텐츠)를 작은 단위로 분할이 가능하며, 발행된 NFT에 투자 및 수익 배분을 하는데 매우 효율적이다.
기존에는 중개자 수수료, 추가 투자, 저작권 계약 비율 등 복잡한 투자 프로세스를 통한 수익 배분이 이루어졌다. 이에 반해, 서버(10)는 본 플랫폼의 제공을 통해 기존의 투자 프로세스를 간소화시키면서도, 사용자들을 위한 효율적인 NFT 조각 투자 프로세스를 제공한다.
서버(10)는 프로젝트와 관련하여, 기획선정/투표를 진행 후 펀딩(funding)을 통해 제작에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게 되면, NFT를 투자금액에 따라 지급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는 프로젝트 전문관리팀이 제작에 필요한 요건을 처리하도록 하고, 본 시스템(100)의 스마트계약을 활용하여 출연진, 스텝 등이 고용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프로젝트에 대한 미디어콘텐츠가 제작되도록 할 수 있다. 서버(10)는 미디어콘텐츠의 제작이 완료되면, 광고/PPL/OTT/해외판권 판매금액이 NFT 지분에 따라 지속적으로 수익을 배분할 수 있다.
즉, 서버(10)는 기획안 공모전(시놉시스 공모전)과 관련해, 복수의 창작자로부터 기획서(기획안)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복수의 기획서를 대상으로 투표를 진행하여 그들 중 제작 대상 기획서를 선정하는 기획 선정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서버(10)는 심사 및 사용자 투표를 통해 사전 프로젝트를 선정(제작 대상 기획서)하여 투자 자금을 조달하는 투자/자금 조달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서버(10)는 프로젝트 제작 참여를 가능하게 하는 티켓(NFT 티켓, 프로젝트 NFT 티켓)을 판매할 수 있으며, 프로젝트 티켓의 판매 완료시 프로젝트에 대한 IP(저작권)에 대한 NFT를 발급하고, 이후 콘텐츠 제작 과정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서버(10)는 제작 스텝 전자계약, 프리랜서 이력 관리, 제작 전반 ERP(프로젝트 관리 전담팀) 등을 수행하고 제작 완료된 콘텐츠를 공급 및 판매할 수 있다. 이후, 서버(10)는 프로젝트 NFT 소유자에게 제작 및 유통과정을 투명(공정)하게 공개할 수 있고, 수익을 배분할 수 있다. 이러한 서버(10)는 NFT 기반으로 IP(저작권)을 관리하고, 지속적인 저작권료로 수익 창출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서버(10)는 선정된 기획서(제작 대상 기획서)에 대응하는 미디어콘텐츠가 제작되도록 함에 있어서, 미디어콘텐츠 제작에 실제 참여하는 사용자들에게 본 플랫폼의 부가 서비스인 워커시스템(Woker-System, MYMB Woker-System)을 사용하여 편리하고 효율적인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제 미디어콘텐츠 제작에 참여하는 사용자들은 본 플랫폼을 통해 표준계약서에 의거한 스마트컨트렉트, 활동로그기반 ID를 통한 급여 관리 및 경력관리 등 다양한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제작에 참여하는 사용자(즉, 미디어콘텐츠 제작에 참여하는 사용자)는 일예로 미디어 관련 종사자 및 인플루언서, 대중예술인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여자인 사용자(1')는 자신의 단말인 사용자 단말(1)을 통해 기획 공모(시놉시스 공모전)에 자신의 기획서를 제출함으로써 시놉시스 공모전에 참여할 수 있다. 즉, 프로젝트 기획에 참여하고자 하는 사용자(프로젝트 기획에 참여를 희망하는 사용자)인 참여자(창작자)는, 자신의 기획서(프로젝트 관련 기획서, 시놉시스)를 사용자 단말을 통해 서버(10)에 제출(업로드)할 수 있다. 서버(10)는 사용자(1')가 기획서 제출을 통해 시놉시스 공모전에 참여한 것으로 감지되면, 이후 다양한 전문가 집단을 선정 후 다수의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기획서에 대한 투표를 통해 진행 가능한 프로젝트를 선정할 수 있다.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참여자(창작자)인 복수의 사용자들은 서버(10)에서 진행하는 시놉시스 공모전에 자신이 기획한 기획서(기획안)를 제출함으로써 시놉시스 공모전에 참여할 수 있다.
이때, 서버(10)는 시놉시스 공모전의 참여 및 계약과 관련하여, 일예로 기획안에 대한 저작권의 귀속과 포기 등의 범위를 다음과 같이 설정할 수 있다. 즉, 서버(10)는 시놉시스 공모전의 참여에 대한 저작권의 귀속/포기 등의 범위 설정과 관련하여, 일예로 1위 내지 10권의 설정, 그외 차등을 두기 위한 조건, 특히 2차적 저작물 작성권을 본 플랫폼 및 본 플랫폼의 이용 회원(정회원)에게 부여하는 경우 그 범위를 다음과 같이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서버(10)는 일예로 시놉시스 공모전에 참여한 복수의 사용자들(참여자, 창작자들)의 복수의 기획서를 기반으로, 복수의 기획서 중 1위 내지 10위에 해당하는 상위권 기획서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서버(10)는 추출된 10개의 상위권 기획서 각각에 대하여 저작권 협회에 저작권 등록을 자동으로 진행한 후, 추출된 10개의 상위권 기획서에 대하여 투표를 진행하여 1위 기획서를 제작 대상 기획서로서 선정할 수 있다.
이때, 서버(10)는 제작 대상 기획서로 선정된 1위 기획서에 대하여 제작비 확보 단계를 필수적으로 진행 할 수 있다. 여기서, 제작비 확보 단계라 함은, 상술한 설명에서 선정된 제작 대상 기획서(1위 기획서)에 대응하여 산정된 제작비에 대한 금액을 투자 기반 모금을 진행함으로써 제작비를 확보하는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일예로 서버(10)는 제작 대상 기획서와 관련하여 2차 영상 저작물에 대한 귀속은 포기되도록 할 수 있다. 서버(10)는 일예로 제작비 확보 단계의 과정을 거쳐 제작비에 대응하는 금액의 투자 기반 모금이 마감된 경우, 2차 저작물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비율(일예로 2%)에 대응하는 디지털 자산인 NFT를 제작 대상 기획서(1위 기획서)를 제공한 사용자에게 리워드(보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는 시놉시스 공모전에 대한 기획서(기획안) 제출 활동(즉, 공모전 참여 활동)의 경우, 서버(10)로부터 활동카드(밈 카드, 밈비카드)를 발급받은 사용자(즉, 정회원)만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즉, 활동카드를 발급받은 정회원만이 서버(10)에서 운영되는 시놉시스 공모전에 참여(응모) 가능할 수 있다. 서버(10)는 회원가입이 완료된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획득(수집)하여 앞서 말한 바와 같이 내부 DB(15) 및 블록체인 DB(21)에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는 일예로 참여자인 사용자(1')가 자신의 기획안(기획서, 시놉시스)를 시놉시스 공모전에 제출함으로써 시놉시스 공모전에 참여한 경우, 사용자(1')의 기획안의 원본을 내부 DB(15)에 저장하고, 사용자(1')의 기획안의 원본에 대한 고유코드만 블록체인 DB(21)에 저장(기록)하고 관리할 수 있다. 서버(10)는 앞서 추출된 10개의 상위권 기획서에 대해서는, 저작권 협회에 저작권 등록을 진행한 후 블록체인 DB(21)에 10개의 상위권 기획서를 저장하여 타 사용자들에게 오픈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플랫폼에서 제공 가능한 워커 시스템의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워커 시스템은 본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용자(1')가 미디어콘텐츠 제작과 관련해 구인구직 활동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본 플랫폼에서 제작되는 모든 미디어 프로젝트(미디어콘텐츠 제작을 위한 프로젝트)에서는 수많은 스텝이 필요하다. 일예로, 수많은 스텝에는 감독, 연출팀, 제작팀, 촬영팀, 녹음팀, 장비팀, 미술팀 등에 속한 사람들이 포함될 수 있다. 종래의 다단계 형태의 고용 시스템 구조와는 달리, 본 플랫폼의 워커시스템은 수평형 구조를 갖는 P2P(Project to People) 형태의 구인구직 시스템일 수 있다. 본 시스템(100)에서 고려되는 워커시스템은 일예로 활동로그기반 ID(밈비ID)를 통한 이력 자동 관리, 표준계약서에 기반한 스마트컨트렉트 계약서비스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서버(10)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은 본 플랫폼을 통해 제공되는 부가서비스인 워커시스템을 이용함으로써 구인구직 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는, 활동로그기반 ID를 서버(100로부터 부여받음으로써, 워커시스템을 통하여 자신만의 이력 관리를 할 수 있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개인 이력을 등록/인증받게 되면, 이 기록은 암호화되어 블록에 동기화될 수 있다. 구인을 원하는 사용자가 AI 매칭 서비스에서 검색하게 되면 자신의 이력 정보를 베이스로 일을 제안받을 수 있다. 여러 프로젝트를 거치면서 사용자들은 평가시스템에 점수와 후기를 남길 수 있는데, 이는 해당 인력의 신뢰점수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신뢰점수가 높은 인력일수록 시장경제원리에 따라 고용금액이 상향될 수 있다.
서버(10)는 본 플랫폼의 워커시스템을 통해 필요한 매니저, 스타일리스트, 작곡가, 안무가 등을 구하고(모집, 선정하고), 본 플랫폼을 통해 계약을 맺도록 할 수 있다.
본 플랫폼에서는 사용자(일예로, 참여자, 투자자, 혹은 일반 사용자들 등)가 자신이 원하는 인력을 검색을 통해 찾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혹은 본 플랫폼은 사용자와 같이 일하던 사람이 있는 경우에도 본 플랫폼을 통해 표준계약서를 기반으로 한 P2P 전자계약서를 이용하도록 할 수 있어, 복잡성을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서버(10)는 신인 연예인이나 지망생, 인플루언서들 등의 사용자들도 본 플랫폼의 워커시스템을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통하여, 손쉽게 필요한 인력을 얻을 수 환경을 경험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은 본 플랫폼을 통해 프로그램 캐릭터에 맞는 배우들을 모아볼 수 있고, 오디션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은 바로 캐스팅의 기회를 이 시스템(인플루언서 시스템, 워커시스템)을 통해 서로 얻을 수 있다.
또한, 서버(10)는 구인구직 AI 매칭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이때 서버(10)는 복수의 구직자 중 제2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와 매칭되는 구직자를 검색하고, 검색된 구직자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검색된 구직자가 일예로 제1 사용자라고 하자.
서버(10)는 검색된 제1 사용자(구직자) 관련 정보를 제2 사용자의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서버(10)는 제1 사용자 관련 정보의 제공시, 제1 사용자의 이력 정보(즉, 프로필 정보, 직업 경력 정보, 주소, 연락처 등을 포함한 이력 정보 전체) 내 프로필 정보만 1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제2 사용자는 1차적으로 서버(10)를 통해 제1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만 제공받을 수 있다. 만약, 제2 사용자가 제1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를 보고 해당 사용자를 캐스팅하고자 하는 경우, 제2 사용자 단말의 화면 일영역에 제공되는 캐스팅 버튼을 클릭할 수 있다. 서버(10)는 캐스팅 버튼에 대한 제2 사용자의 클릭 입력에 응답하여, 제1 사용자의 단말로 '캐스팅 알림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캐스팅 알림 메시지는 '제2 사용자 님이 캐스팅을 요청했습니다. 수락 하시겠습니까?'와 같은 메시지일 수 있고, 해당 캐스팅 알림 메시지에는 일예로 제2 사용자의 기본 소개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기본 소개 정보는 캐스팅 목적, 직업, 업종 분야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제1 사용자가 캐스팅 알림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수락 응답을 한 경우, 2차적으로 서버(10)는 제2 사용자의 단말로 제1 사용자의 이력 정보(이력 정보 전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서버(10)는 제1 사용자가 캐스팅 알림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수락 응답으로 한 경우에 한하여, 제1 사용자가 등록해 둔 모든 이력 정보(프로필 정보, 직업 경력 정보, 주소, 연락처 등 전체)를 제공할 수 있다. 만약, 제1 사용자가 캐스팅 알림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서 거절 응답을 한 경우, 서버(10)는 제2 사용자의 단말로 캐스팅 거절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서버(10)는 제2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구직자를 보다 빠르게 찾아 캐스팅을 완료(즉, 캐스팅 성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1 사용자에게 캐스팅 알림 메시지를 제공한 이후, 미리 설정된 시간(일예로 1시간) 내에서 미리 설정된 응답 기한(일예로 10분)의 경과시마다 제1 사용자(구직자)의 단말로 재촉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서버(10)는 미리 설정된 응답 기한(10분)의 경과시마다 재촉 알림의 제공시, 제공되는 재촉 알림의 알림 유형을 달리할 수 있으며, 재촉 알림의 반복 제공시 보다 강도가 높은 알림 유형으로 바꾸어 제공할 수 있다.
재촉 알림의 알림 유형에는 일예로 메시지 유형인 제1 알림 유형, 메시지와 진동이 결합된 제2 알림 유형, 메시지와 벨소리가 결합된 제3 알림 유형 및 전화 연결 유형인 제4 알림 유형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서버(10)가 오늘 오전 10시에 제1 사용자의 단말로 캐스팅 알림 메시지를 전송했다고 하자. 이때, 서버(10)는 오전 10시 10분 내에 제1 사용자로부터 확인 응답(확인 응답에는 수락 응답 또는 거절 응답이 포함될 수 있음)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오전 10시 10분에 제1 사용자의 단말로 캐스팅 알림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재촉하는 재촉 알림을 제1 알림 유형(메시지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재촉 알림을 제1 알림 유형으로 제공한 이후 미리 설정된 응답 기한(일예로 10분)이 경과한 오전 10시 20분 내에, 역시나 제1 사용자로부터 확인 응답(즉, 수락 응답 또는 거절 응답)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서버(10)는 오전 10시 20분에 재차 캐스팅 알림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재촉하는 재촉 알림을 제2 알림 유형(메시지 제공과 더불어 제1 사용자의 단말에 진동이 발생되도록 하는 유형)으로 제공할 수 있다. 만약, 제2 알림 유형으로 재촉 알림을 제공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제1 사용자가 확인 응답을 하지 않으면, 서버(10)는 또 다시 재촉 알림을 제3 알림 유형으로 제공하고, 이 역시도 확인 응답을 하지 않으면 또 다시 재촉 알림을 제4 알림 유형으로 바꾸어 제공할 수 있다.
이처럼, 서버(10)는 캐스팅 알림 메시지의 전송 이후 미리 설정된 시간(일예로 1시간) 내에 한하여, 제1 사용자의 확인 응답(수락 응답 또는 거절 응답)이 이루어질 때까지 미리 설정된 응답 기한(일예로 10분) 마다 재촉 알림을 반복적으로 제공하되, 반복적으로 재촉 알림의 제공시 알림 유형을 달리하며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서버(10)는 재촉 알림을 반복 제공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일예로 1시간) 내에 제1 사용자의 응답(수락 응답 또는 거절 응답)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제1 사용자가 미응답인 것으로 인지하여 제2 사용자(구인 희망자)의 단말로 구직자의 재선택을 요청(즉, 다른 구직자로의 선택을 요청)하는 재선택 요청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처럼, 구직자 단말로 알림 유형을 변경하면서 재촉 알림을 반복 제공함에 따라, 서버(10)는 캐스팅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제1 사용자(구직자)가 캐스팅 알림 메시지에 대하여 보다 빠르게 응답(수락 응답 또는 거절 응답)하도록 유도할 수 있고, 캐스팅 알림 메시지를 수신했음에 대한 인지가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서버(10)는 제2 사용자(구인 희망자)에게 있어서, 자신이 원하는 구직자에 대한 캐스팅을 보다 빠르게 수행(완료)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서버(10)는 사용자(1')가 본 플랫폼을 통해 구인구직 활동을 수행하는 구직자인 경우, 사용자(1')가 보다 편리하게 구인구직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관심 항목 표시부를 사용자 단말(1)의 화면에 제공할 수 있다. 관심 항목 표시부에 대한 설명은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NFT 미디어콘텐츠 관련 활동 증명 시스템(100) 내 서버(10)가 사용자 단말(1)의 화면의 일영역에 제공 가능한 관심 항목 표시부(5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서버(10) 내 제어부(14)는 사용자(1')가 본 플랫폼을 통해 구인구직 활동(특히, 일예로 구직 활동)을 수행하는 구직자인 경우, 사용자 단말(1)의 화면 일영역에 구직 활동의 편의를 위해 관심 항목 표시부(50)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10)는 구인을 희망하는 복수의 사용자(즉, 복수의 구인 희망자)의 단말로부터 업로드된 복수의 구인 정보(구인 공고, 구인 게시글)를 서버(10) 내 구인구직 DB(미도시)에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서버(10)는 구직을 희망하는 복수의 구직자의 단말로부터 업로드된 복수의 구직 정보(구직 공고, 구직 게시글)를 서버(10) 내 구인구직 DB(미도시)에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구직을 희망하는 구직자인 사용자(1’)는 일예로 사용자 단말(1)을 통해 검색 조건 정보를 입력하여 검색 요청을 할 수 있고, 이에 제어부(14)는 구인구직 DB(미도시)에 등록된 복수의 구인 정보 중 사용자 단말(1)에서 입력된 검색 조건 정보와 매칭되는 복수의 구인 정보(41, 42, 43, …)를 포함한 리스트를 검색 결과로서 사용자 단말(1)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구인 정보(41, 42, 43, …)는 일예로 복수의 매칭 구인 정보라 달리 지칭될 수 있다.
사용자(1’)는 리스트를 통해 구인 정보들(41, 42, 43, …)을 비교해 보고, 그들 중 사용자(1’)가 희망하는 구인 정보에 지원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사용자(1’)가 리스트 내에 포함된 복수의 구인 정보(41, 42, 43, …) 중 원하는 조건에 맞는 구인 정보를 선택(즉, 지원하고자 하는 구인 정보에 구직을 위해 지원)함에 있어서, 여러 관심 후보 정보들(관심 후보 구인 정보들) 사이에서 어느 정보를 선택할지를 고민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즉, 사용자(1’)는 복수의 구인 정보(41, 42, 43, …) 중 일예로 가장 마음에 드는 구인 정보로서 제1 구인 정보(41)를 선택하여 지원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과정에서 사용자(1’)는 서버(10)에 의해 제공되는 관심 항목 표시부(50)를 이용하여, 복수의 구인 정보(41, 42, 43, …) 중 일부 구인 정보(일예로 제1 구인 정보, 제3 구인 정보)가 마음에 드는 경우, 마음에 드는 일부 구인 정보를 관심 구인 정보로서 관심 항목 표시부(50)에 임시로 저장해 두고, 관심 항목 표시부(50)에 임시로 저장해둔 일부 구인 정보(즉, 관심 구인 정보)와 복수의 구인 정보(41, 42, 43, …)들을 함께 비교해 보면서, 실제로 지원하기를 희망하는 가장 마음에 드는 구인 정보(일예로 제1 구인 정보)를 최종 선택하여 지원할 수 있다.
즉, 일예로 사용자(1’)는 리스트 내 복수의 구인 정보(41, 42, 43, …)을 확인해 보면서, 일예로 제1 구인 정보(41)를 관심 구인 정보로 임시 저장해 두고 싶은 경우, 제1 구인 정보(41)를 미리 설정된 시간(일예로 2초) 동안 누를 수 있고, 이에 응답하여 제어부(14)는 사용자(1’)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누른 제1 구인 정보(41)를 관심 항목 표시부(50) 내 비어있는 복수개의 슬롯(51, 52, …) 중 제1 슬롯(51)에 임시로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1’)는 리스트를 확인해 보면서 리스트 내 복수의 구인 정보(41, 42, 43, …) 중 제3 구인 정보(43)를 관심 구인 정보로 임시 저장해 두고 싶은 경우, 제3 구인 정보(43)를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누를 수 있으며, 이에 응답하여 제어부(14)는 제2 슬롯(52)에 제3 구인 정보(43)를 임시로 저장할 수 있다.
이때, 관심 항목 표시부(50)는 기본적으로 도 8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은 기본 상태일 수 있다. 이때, 사용자(1’)가 자신이 관심 구인 정보로 임시 저장해 둔 구인 정보들을 확인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1’)는 기본 상태의 관심 항목 표시부(50) 내 확장부(50a)를 클릭할 수 있다. 이때, 확장부(50a)에 대한 사용자(1’)의 클릭에 응답하여, 제어부(14)는 기본 상태의 관심 항목 표시부(50)가 도 8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확장 상태의 관심 항목 표시부(50’)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확장 상태의 관심 항목 표시부(50’)로 인해, 사용자(1’)는 자신이 관심 구인 정보로 임시 저장해둔 구인 정보들을 확인할 수 있다. 즉, 확장 상태의 관심 항목 표시부(50’) 내에는 제1 슬롯(51)에 제1 구인 정보(41)가, 제2 슬롯(52)에 제3 구인 정보(43)가 표시(노출)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확장 상태의 관심 항목 표시부(50’) 내 각 슬롯을 통해서는 일예로 임시 저장되어 있는 관심 구인 정보와 관련하여 관심 구인 정보의 대표 이미지가(일예로 제1 슬롯(51)에는 제1 구인 정보(41)의 대표 이미지가, 제2 슬롯(52)에는 제3 구인 정보(43)의 대표 이미지가) 표시(노출)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4)는 기본 상태의 관심 항목 표시부(50)가 확장 상태의 관심 항목 표시부(50’)로 표시된 상태일 때, 제1 구인 정보(41)의 대표 이미지가 표시되어 있는 제1 슬롯(51)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일예로 1초) 이내의 사용자의 선택 입력(클릭 입력)이 이루어진 것으로 감지된 경우, 제1 슬롯(51)에 대응되는 제1 구인 정보(41)의 상세정보의 화면이 사용자 단말(1)의 화면 전체에 표시되도록 사용자 단말(1)을 제어(즉, 제1 구인 정보(41)의 상세정보를 제공하는 페이지로 넘어가도록 사용자 단말(1)의 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반면, 제어부(14)는 확장 상태의 관심 항목 표시부(50’)로 표시된 상태일 때, 제1 구인 정보(41)의 대표 이미지가 표시되어 있는 제1 슬롯(51)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누름 시간(일예로 3초) 이상으로 사용자의 누름 입력이 이루어진 것으로 감지된 경우(일예로 3초 동안 눌렀다가 뗀 경우), 이를 제1 구인 정보(41)의 상세정보의 화면이 팝업 형태로 표시되도록 요청하는 신호로 인식하여(즉, 제1 구인 정보(41)의 상세정보를 제공하는 페이지로 넘어가는 것이 아니라, 현재의 사용자 단말(1)의 화면 상에서 제1 구인 정보(41)의 상세정보의 화면이 일정 영역에 오버랩 형태로 표시되도록 요청하는 신호로 인식하여), 제1 슬롯(51)에 대응되는 제1 구인 정보(41)의 상세정보의 화면을 현재 사용자 단말(1)의 화면 상에 팝업 형태로 오버랩하여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오버랩 되어 표시되는 상세정보의 화면의 크기(즉, 오버랩 영역의 크기, 혹은 팝업 영역의 크기)는, 사용자 단말(1)의 전체 화면 중 확장 상태의 관심 항목 표시부(50’)의 표시 영역을 제외한 영역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오버랩 표시 영역의 일영역에는 오버랩되어 표시된 상세정보의 화면이 화면 상에 미노출 되도록 하기 위한(즉, 사용자 단말의 화면 상에 보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꺼짐 버튼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꺼짐 버튼에 대한 사용자(1’)의 선택이 이루어진 경우, 사용자 단말(1)의 화면 상에 오버랩되어 표시되어 있던 상세정보의 화면이 화면 상에서 없어질 수 있다.
이처럼, 제1 슬롯(51)에 대응되는 제1 구인 정보(41)의 상세정보를 사용자 단말의 화면 상의 소정의 영역에 오버랩 형태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1’)는 다수의 관심 구인 정보를 서로 비교함에 있어서, 특정 관심 구인 정보의 상세페이지로 넘어갔다가 다시 이전페이지로 돌아왔다가 하는 등 왔다갔다 할 필요 없이(즉, 번거로움의 필요 없이), 효율적으로 비교가 가능할 수 있다.
사용자(1’)는 관심 항목 표시부가 도 8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확장된 상태에서, 다른 구인 정보들(즉, 리스트 내 복수의 구인 정보(41, 42, 43, …))을 확인할 수 있다. 만약, 확장 상태의 관심 항목 표시부(50’)를 기본 상태로 변형시키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1’)는 확장 상태의 관심 항목 표시부(50’) 내 확장부(50a)를 클릭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확장 상태의 관심 항목 표시부(50’)에서 기본 상태의 관심 항목 표시부(50)로 바뀔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서버(10)는 사용자(1’)가 리스트 내 복수의 구인 정보(41, 42, 43, …) 중 구직을 희망하는 원하는 구인 정보를 선택해 지원을 함에 있어서, 어느 곳에 지원할지를 고르는 데에 고민되는 후보 정보들을 관심 있는 관심 구인 정보로서 관심 항목 표시부(50) 내 슬롯들에 임시로 저장해 두고 비교해 볼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4)는 사용자(1’)가 슬롯들에 임시 저장해둔 관심 구인 정보들의 정보와 리스트의 정보가 사용자 단말(1)의 한 화면 상에 함께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관심 항목 표시부의 제공을 통해, 서버(10)는 사용자(1’)가 복수의 구인 정보(41, 42, 43, …)들 중 자신이 원하는 구인 정보를 최종적으로 선택함에 있어서, 다수 구인 정보들 간의 비교(특히, 임시 저장해둔 복수의 관심 구인 정보들 간의 비교, 내지 임시 저장해둔 관심 구인 정보와 리스트 내 구인 정보 간의 비교)를 사용자 단말(1)의 한 화면 상에서 보다 쉽고 직관적으로 효율적으로 비교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바, 사용자(1’)에게 구직시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사용자(1’)가 구직자인 경우를 기준으로 관심 항목 표시부(50)가 사용되는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1’)가 구인을 희망하는 구인 희망자인 경우에도 관심 항목 표시부(50)의 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일예로 서버(10)를 이용하는 복수의 사용자 중 제1 사용자가 자신의 작성한 기획서(기획안)인 제1 기획서를 제1 사용자의 단말을 통해 서버(10)에 업로드함으로써 시놉시스 공모전에 참여를 하고, 제1 사용자에 의해 제출된 제1 기획서가 1위 기획서(즉, 제작 대상 기획서)로 선정되었다고 하자. 이러한 경우, 서버(10)는 제1 기획서를 기반으로 제1 기획서에 대응하는 프로젝트를 진행 가능한 프로젝트로 인식하여, 제1 기획서에 대응하는 미디어콘텐츠(일예로 제1 미디어콘텐츠)의 실제 제작이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제1 미디어콘텐츠의 실제 제작의 수행시, 앞서 말한 바와 같이 감독을 포함하여 연출팀, 제작팀, 촬영팀, 녹음팀, 장비팀, 미술팀 등 다양한 분야(팀)에 속한 다수의 스텝들(즉, 제작 관련 사용자들)이 제1 미디어콘텐츠의 실제 제작시에 참여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고, 이때 제작 관련 사용자들이 특정 날짜에 서로 대면 만남을 하여 제1 미디어콘텐츠의 실제 제작을 수행(진행)할 수 있다.
일예로, 서버(10)를 이용하는 복수의 사용자 중 20명의 사용자(일예로 제2 사용자 내지 제21 사용자)가 제1 미디어콘텐츠의 실제 제작에 참여하는 제작 관련 사용자들이라고 하자. 그리고, 제1 미디어콘텐츠의 실제 제작을 위해 일예로 이들 제작 관련 사용자들이 기 설정된 날짜의 기간(일예로 2주의 기간) 동안 매일 서로 직접 만나 제1 미디어콘텐츠를 함께 제작한다고 하자.
이때, 상술한 예시와 같이 일예로 제작 관련 사용자들이 여러명(일예로 20명)이고, 특정 날에 대면 만남(대면 모임 만남)이 예정되어 있을 때, 일부 사용자의 경우 차량이 막히거나, 전철이 연착되거나, 늦잠을 자거나 하는 등 다양한 이유로 약속 시간보다 늦는 사용자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약속 시간에 맞춰서 온 사람들은 아직 오지 않은 사람에게 전화 등의 연락을 취하여 현재 어디쯤인지를 확인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작 관련 사용자들 중 만남 약속 당일날 약속된 시간보다 일찍 도착한 사용자의 경우, 아직 약속장소에 도착하지 않은 사용자가 현재 어디쯤에 위치하는지를 궁금해 하여 전화 등의 연락을 취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는 연락을 취하는 사용자로 하여금 다소 번거로움(불편함)을 야기하는 측면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고자, 서버(10) 내 제어부(14)는, 일예로 제1 미디어콘텐츠의 실제 제작에 참여하는 복수의 제작 관련 사용자(일예로 20명의 제작 관련 사용자) 중 어느 한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대면 약속 정보를 수신한 경우, 수신한 대면 약속 정보를 서버(10) 내 약속 관리 DB(미도시)에 등록하고 관리할 수 있다. 이때, 대면 약속 정보는, 대면 만남의 약속 날짜(일예로 기 설정된 날짜의 기간), 약속 시간, 약속 장소, 제1 미디어콘텐츠의 실제 제작에 참여하는(즉, 실제 제작을 위해 대면 만남의 약속에 참여하는) 복수의 제작 관련 사용자의 단말들 각각의 핸드폰번호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4)는 등록된 대면 약속 정보가 대면 약속 정보 내 약속 날짜의 당일이 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대면 약속 정보 내 복수의 제작 관련 사용자의 단말들 각각의 핸드폰번호를 기반으로 복수의 제작 관련 사용자의 단말들 각각의 실시간 현재 위치 정보(현재 GPS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현재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복수의 제작 관련 사용자들의 단말 각각의 현 위치를 지도 상에 아이콘으로 표시한 위치공유 지도를 생성하고, 생성된 위치공유 지도를 복수의 제작 관련 사용자의 단말들 각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4)는 약속 날짜의 당일에 한하여, 생성된 위치공유 지도를 제공할 수 있다.
위치공유 지도를 제공한 이후, 제어부(14)는 약속 날짜의 당일에 복수의 제작 관련 사용자의 단말들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현재 위치 정보가 모두 대면 약속 정보 내 약속 장소의 위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반경(일예로 30m) 이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복수의 제작 관련 사용자의 단말들 각각의 실시간 현재 위치 정보의 수신을 중단하고, 생성된 위치공유 지도의 제공을 중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대면 약속 정보 내 약속 날짜가 다음주 월요일부터 다음주 금요일까지 총 5일의 기간으로 설정되어 있다고 하자. 이러한 경우, 제어부(14)는 다음주 월요일이 되었을 때, 복수의 제작 관련 사용자의 단말들 각각의 실시간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토대로 위치공유 지도를 생성한 후, 생성된 위치공유 지도를 복수의 제작 관련 사용자의 단말들 각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복수의 제작 관련 사용자 각각은 제공된 위치공유 지도로 하여금, 제1 미디어콘텐츠의 실제 제작에 참여하는 타 제작 관련 사용자들이 약속 당일날 현재 어디쯤에 위치해 있는지에 대한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약속 당일날, 복수의 제작 관련 사용자들이 약속 장소의 위치에 모두 모임에 따라, 복수의 제작 관련 사용자의 단말들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현재 위치 정보가 약속 장소의 위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반경(일예로 30m) 이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감지되면, 제어부(14)는 각 제작 관련 사용자들의 단말로부터 실시간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제어를 중단하고, 나아가 위치공유 지도 역시 공유가 되지 않도록(제공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제어부(14)는 복수의 제작 관련 사용자들이 약속 당일날 약속 장소에 모두 모이기 이전까지에 한해서만, 약속 당일날 복수의 제작 관련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실시간 현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제어 및 이를 토대로 생성된 위치공유 지도를 제공하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서버(10)는, 약속 당일날 복수의 제작 관련 사용자들이, 타 사용자가 현재 어디까지 왔는지 등을 확인하기 위한 불필요한 연락을 취하지 않도록 할 수 있는바, 번거로움(불편함)의 문제가 해소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4)는 사용자 단말(1)의 화면의 일영역에 창작물 정보 노출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창작물 정보 노출 메뉴에 대하여 사용자(1’)의 선택(클릭) 입력이 이루어지면, 제어부(14)는 복수의 사용자가 업로드함으로써 서버(10) 내 창작물 DB(미도시)에 기 등록된 복수의 창작물 정보의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1)의 화면에 노출시킬 수(표시할 수) 있다.
이때, 활동 관리부(12)는 리스트 내 복수의 창작물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창작물 정보를 사용자(1’)가 선택하여 확인(재생)한 경우, 사용자들이 업로드한 창작물 정보의 저작권 도용 방지를 위해 사용자(1’)가 선택하여 확인한 적어도 하나의 창작물 정보에 대한 사용자(1’)의 확인 기록을 활동기록으로서 더 포함시켜 블록체인 DB(21) 또는 내부 DB(15)에 기록하고 관리할 수 있다.
달리 말해, 서버(10)에 업로드된 복수의 창작물 정보는 향후 타 사용자가 해당 창작물 정보를 도용하는 경우 법적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고자, 활동 관리부(12)는 창작물 DB(미도시)에 기 등록된 복수의 창작물 정보 각각에 대하여, 각 창작물 정보를 확인(클릭하여 확인, 열람, 재생)한 사용자들의 확인 기록을 각 창작물 정보에 대한 확인 기록 정보로서 블록체인 DB(21) 또는 내부 DB(15)에 저장(기록)하고 관리할 수 있다.
또한, 활동 관리부(12)는 창작물 DB(미도시)에 기 등록된 복수의 창작물 정보 중, 사용자 단말(1)의 화면에 미리 설정된 시간(일예로 2초) 이상 노출된 창작물 정보에 대한 화면 노출 기록을 사용자(1’)의 활동기록(활동기록 정보)으로서 더 포함시켜 블록체인 DB(21) 또는 내부 DB(15)에 기록하고 관리할 수 있다.
이때, 활동 관리부(12)는 복수의 창작물 정보 중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사용자 단말(1)의 화면에 노출된 창작물 정보의 경우, 사용자(1’)가 해당 창작물 정보를 직접적으로 선택하여 확인(재생)하지는 않았으나, 일정 시간동안 사용자 단말(1)의 화면에 노출됨에 따라 이러한 화면 노출에 의해 해당 창작물 정보의 저작권 도용 가능성이 있는 것(즉, 사용자(1’)가 해당 창작물 정보를 무단으로 사용해 저작권을 도용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사용자 단말(1)의 화면에 노출된 창작물 정보의 화면 노출 정보(창작물 정보의 화면 노출 정보)를 사용자(1’)의 활동기록으로서 더 고려해 블록체인 DB(21) 또는 내부 DB(15)에 저장(기록)하고 관리할 수 있다.
즉, 활동 관리부(12)는 창작물 DB(미도시)에 기 등록된 복수의 창작물 정보 각각에 대하여, 사용자들의 단말의 화면에 미리 설정된 시간(일예로 2초) 이상 노출된 각 창작물 정보의 화면 노출 정보를 활동기록으로서 기록(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는 사용자 단말(1)의 화면에 창작물 DB(미도시)에 기 등록된 복수의 창작물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창작물 정보가 표시(노출)된 상태일 때, 적어도 하나의 창작물 정보의 정보가 표시된 사용자 단말(1)에서 화면 캡처가 불가능하도록 사용자 단말(1)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의 화면 상에 표시되는 창작물 정보(즉, 서버(10)에 기 등록한 복수의 창작물 정보 각각)는, 별도의 카메라(즉, 사용자 단말(1’)에 자체 포함된 카메라가 아닌, 그와는 별도의 다른 카메라)로 사용자 단말(1)의 화면에 표시(노출)되어 있는 창작물 정보가 포함된 화면의 이미지(즉, 창작물 정보의 이미지)를 획득하고자 할 때 카메라로 창작물 정보의 이미지의 획득이 불가능하도록(일예로, 카메라의 자동 초점 기능, 자동 노출 조절 기능, 획득한 이미지의 후보정 기능 중 하나 이상에 대한 기능 수행이 교란되도록) 생성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창작물 DB(미도시)에 기 등록된 복수의 창작물 정보 중 어느 한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제1 창작물 정보가 사용자 단말(1)의 화면에 표시(노출)되어 있다고 하자. 이때, 사용자 단말(1)의 화면에 표시(노출)되는 제1 창작물 정보는, 일예로 별도의 카메라(일예로, 디지털카메라, 사용자 단말(1)과는 다른 단말의 카메라)가 사용자 단말(1)의 화면에 표시된 제1 창작물 정보를 촬영하고자 할 때 해당 카메라의 자동 초점 기능, 자동 노출 조절 기능, 획득한 이미지의 후보정 기능 중 하나 이상에 대한 기능 수행이 교란되도록 생성하여 표시되는 정보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1’)가 사용자 단말(1)의 화면에 표시된 제1 창작물 정보를 일예로 별도의 카메라로 촬영하는 경우, 별도의 카메라로 촬영된 이미지에는 제1 창작물 정보에 대응하는 부분이 블러(Blur)처리 되거나 검은색 영역으로 처리되는 등 제1 창작물 정보의 식별이 불가능하도록 표시된 상태일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창작물 정보 중 제1 창작물 정보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본 발명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복수의 창작물 정보 각각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창작물 정보에서 창작물이라 함은, 기획서(기획안, 시놉시스)를 의미할 수도 있겠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창작자에 의해 창작(생성, 제조)된 각종 창작물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일예로 그림, 대본, 조형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창작물 정보는 이러한 창작물에 관련된 정보로서, 그림, 대본, 조형물 등을 촬영한 이미지(사진), 설명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제어부(14)는, 복수의 창작물 정보 중 적어도 일부의 창작물 정보가 사용자 단말(1)의 화면에 표시된 상태(노출된 상태)일 때 해당 사용자 단말(1)에서 화면 캡처가 불가능하도록 사용자 단말(1)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혹은 사용자 단말(1)의 화면에 표시된 창작물 정보를 별도의 카메라로 촬영시 해당 카메라로 창작물 정보의 이미지 획득이 불가능해지도록 창작물 정보를 생성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서버(10)는 복수의 사용자가 서버(10)에 업로드한 복수의 창작물 정보를 타 사용자들이 단순히 눈으로 확인하는 것만 가능하도록 할 뿐, 타 사용자들이 해당 창작물 정보가 표시된 화면을 화면 캡처하거나 별도의 카메라로 촬영하여 도용하거나 유포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에 자세히 설명된 내용을 기반으로, 본 발명의 동작 흐름을 간단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NFT 미디어콘텐츠 관련 활동 증명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블록체인 기반의 NFT 미디어콘텐츠 관련 활동 증명 방법은 앞서 설명된 서버(1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서버(10)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블록체인 기반의 NFT 미디어콘텐츠 관련 활동 증명 방법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단계S11에서 회원 관리부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회원가입에 필요한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여 회원가입을 진행하고, 회원가입이 완료된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S12에서 활동 관리부는, 회원가입이 완료된 사용자에게 상기 플랫폼에서의 플랫폼 활동을 가능하게 하는 활동카드를 발급하고, 상기 활동카드를 발급받은 상기 사용자의 활동기록을 관리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S13에서 멤버쉽 리워드 관리부는, 사용자의 상기 플랫폼 활동을 기반으로 리워드를 제공하고 관리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11 내지 S13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NFT 미디어콘텐츠 관련 활동 증명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전술한 블록체인 기반의 NFT 미디어콘텐츠 관련 활동 증명 방법은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블록체인 기반의 NFT 미디어콘텐츠 관련 활동 증명 시스템
10: 서버
11: 회원 관리부
12: 활동 관리부
13: 멤버쉽 리워드 관리부
14: 제어부
15: 내부 DB

Claims (4)

  1. 블록체인 기반의 NFT 미디어콘텐츠 관련 활동 증명 시스템으로서,
    프로젝트와 관련하여 미디어콘텐츠 제작 환경을 제공하고, 블록체인 기반 미디어 제작 플랫폼을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서버; 및 상기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회원가입에 필요한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여 회원가입을 진행하고, 회원가입이 완료된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관리하는 회원 관리부;
    회원가입이 완료된 사용자에게 상기 플랫폼에서의 플랫폼 활동을 가능하게 하는 활동카드를 발급하고, 상기 활동카드를 발급받은 상기 사용자의 활동기록을 관리하는 활동 관리부;
    상기 사용자의 상기 플랫폼 활동을 기반으로 리워드를 제공하고 관리하는 멤버쉽 리워드 관리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미가입 사용자를 대상으로 회원가입을 진행하고, 미가입 사용자가 회원가입을 완료하면, 회원가입이 완료된 사용자를 준회원으로 관리하고, 준회원을 대상으로 활동카드를 발급하여 정회원이 되도록 하며, 회원가입이 완료된 후 활동카드를 발급받은 사용자를 정회원으로 관리하고,
    상기 프로젝트에 대응하는 미디어콘텐츠의 저작권에 대하여 NFT를 발급하고 이후 상기 미디어콘텐츠의 제작 과정이 수행되도록 하되, 상기 미디어콘텐츠의 제작에 참여하는 제작 관련 사용자들에 의해 상기 미디어콘텐츠의 제작이 진행되도록 하며,
    상기 활동 관리부는, 상기 플랫폼 활동의 수행 및 온/오프라인에서의 활동 수행에 따라 발생되는 활동기록을 실시간으로 획득하여 블록체인 DB에 사용자에게 기 부여된 활동로그기반 ID와 연계시켜 저장하고 관리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의 일영역에 제작된 미디어콘텐츠인 창작물의 정보의 노출이 가능한 창작물 정보 노출 메뉴를 표시하고, 상기 창작물 정보 노출 메뉴에 대하여 사용자의 선택 입력이 이루어지면, 복수의 사용자가 업로드함으로써 상기 서버 내 창작물 DB에 기 등록된 복수의 창작물 정보의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하며,
    상기 활동 관리부는,
    상기 리스트 내 복수의 창작물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창작물 정보를 사용자가 선택하여 확인한 경우, 사용자들이 업로드한 창작물 정보의 저작권 도용 방지를 위해 사용자가 선택하여 확인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창작물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확인 기록을 활동기록으로서 더 포함시켜 상기 블록체인 DB에 기록하고 관리하되,
    상기 창작물 DB에 기 등록된 복수의 창작물 정보 중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선택하여 확인하지 않고 일정 시간동안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노출된 창작물 정보의 경우, 상기 화면에 대한 노출에 의해 상기 노출된 창작물 정보의 저작권 도용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노출된 창작물 정보의 화면 노출 기록을 사용자의 활동기록으로서 더 고려해 상기 블록체인 DB에 기록하고 관리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창작물 DB에 기 등록된 복수의 창작물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창작물 정보가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된 상태일 때, 적어도 하나의 창작물 정보의 정보가 표시된 사용자 단말에서 화면 캡처가 불가능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인, 블록체인 기반의 NFT 미디어콘텐츠 관련 활동 증명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원 관리부는,
    상기 회원가입의 진행시 블록체인 서버로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활동로그기반 ID의 생성을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블록체인 서버로부터 상기 활동로그기반 ID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활동로그기반 ID를 회원가입이 완료된 사용자에게 부여하고,
    회원가입이 완료되어 상기 활동로그기반 ID를 부여받은 사용자를 상기 준회원으로 관리하는 것인, 블록체인 기반의 NFT 미디어콘텐츠 관련 활동 증명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는, 공개 가능 정보 및 프라이빗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회원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 정보 중 프라이빗 정보의 경우 상기 서버 내 마련된 내부 DB에 저장하고 관리하되, 상기 사용자 정보 중 공개 가능 정보의 경우 상기 서버의 내부가 아닌 외부에 마련된 블록체인 DB에 저장하고 관리하는 것인, 블록체인 기반의 NFT 미디어콘텐츠 관련 활동 증명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활동 관리부는, 상기 활동카드를 발급받은 상기 사용자를 상기 정회원으로 관리하며,
    상기 플랫폼 활동은, 플랫폼 내부 활동, 플랫폼 경제활동 및 NFT 컬렉션 활동을 포함하고,
    상기 플랫폼 내부 활동은, 상기 서버에서 진행하는 시놉시스 공모전에 사용자가 기획한 기획서를 제출하는 활동인 공모전 참여 활동을 포함한 프로젝트 활동, 커뮤니티 활동 및 구인구직 활동을 포함하고,
    상기 플랫폼 경제활동은, 제작 관련 사용자들의 참여로 제작된 미디어콘텐츠의 저작권에 대하여 발급된 NFT의 판매 및 구매와 관련된 활동을 포함하고,
    상기 NFT 컬렉션 활동은, 상기 활동카드를 발급받은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가상의 큐브 공간에 대한 꾸밈 및 참여 활동을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수신된 기획서가 제작 대상 기획서로 선정되면, 상기 선정된 제작 대상 기획서의 프로젝트에 대응하는 미디어콘텐츠에 대한 제작이 상기 미디어콘텐츠의 실제 제작에 참여하는 제작 관련 사용자들에 의해 수행되도록 하고, 상기 제작 관련 사용자들의 참여로 제작된 미디어콘텐츠를 판매하는 것인, 블록체인 기반의 NFT 미디어콘텐츠 관련 활동 증명 시스템.
KR1020220100273A 2022-08-11 2022-08-11 블록체인 기반의 nft 미디어콘텐츠 관련 활동 증명 시스템 KR1025314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0273A KR102531437B1 (ko) 2022-08-11 2022-08-11 블록체인 기반의 nft 미디어콘텐츠 관련 활동 증명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0273A KR102531437B1 (ko) 2022-08-11 2022-08-11 블록체인 기반의 nft 미디어콘텐츠 관련 활동 증명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1437B1 true KR102531437B1 (ko) 2023-05-11

Family

ID=86378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0273A KR102531437B1 (ko) 2022-08-11 2022-08-11 블록체인 기반의 nft 미디어콘텐츠 관련 활동 증명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143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6540A (ko) * 2020-01-28 2021-08-05 주식회사 리블리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모바일 서비스 콘텐츠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72379A (ko) * 2020-11-25 2022-06-02 주식회사 캐러멜베이 블록체인 기반 저작물 관리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6540A (ko) * 2020-01-28 2021-08-05 주식회사 리블리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모바일 서비스 콘텐츠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72379A (ko) * 2020-11-25 2022-06-02 주식회사 캐러멜베이 블록체인 기반 저작물 관리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8410B1 (ko) 온라인 서비스의 제공 방법
Rashideh Blockchain technology framework: Current and future perspectives for the tourism industry
US10613716B2 (en) Systems and methods of creative work collaborative systems
AU202020441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network and method based on uniform code sending and sensing access device
US8706809B2 (en) Systems and methods of creative work collaborative systems
WO2017027484A1 (en) System and method for microshare based content funding and distribution
CN114511397A (zh) 一种基于供应链管理的信息处理方法及系统
US20220321578A1 (en) Unified access method applying digital human being codechain
US20220318853A1 (en) System and method for tokenized licensing of content
US20220318852A1 (en) System and method for tokenized affiliate marketing
US20220309540A1 (en) System and method for tokenized utilization of event information
US20220309541A1 (en) System and method for tokenized minting, authentication, and utilization of assets
Guidi et al. Analysis of witnesses in the steem blockchain
KR102488075B1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
Lacity et al. The quiet corner of Web3 that means business
US20220309542A1 (en) System and method for funding a virtual location
Wadhwa Decentralized digital identity management using blockchain and its implication on public sector
KR102531437B1 (ko) 블록체인 기반의 nft 미디어콘텐츠 관련 활동 증명 시스템
Rafati Niya et al. DeTi: A Decentralized Ticketing Management Platform
Menne Blockchain in the Sharing Economy: Will Blockchain Disrupt Today’s Winning Business Models?
US20240127128A1 (en) System and method for a digital ticketing platform
WO2015106297A2 (en) Convergent product development finance and distribution system
KR102552628B1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멤버쉽 관리 장치
Dalić et al. Ttokens event: management NFT company: digital ticketing supply company
KR20240033389A (ko) 커뮤니티 기능이 부가된 nft 창작물 관리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