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2671B1 - 흡연 시스템, 급전 제어 방법, 프로그램, 일차 장치, 및 이차 장치 - Google Patents

흡연 시스템, 급전 제어 방법, 프로그램, 일차 장치, 및 이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2671B1
KR102312671B1 KR1020197028454A KR20197028454A KR102312671B1 KR 102312671 B1 KR102312671 B1 KR 102312671B1 KR 1020197028454 A KR1020197028454 A KR 1020197028454A KR 20197028454 A KR20197028454 A KR 20197028454A KR 102312671 B1 KR102312671 B1 KR 1023126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transition
power
primary device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8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0802A (ko
Inventor
타쿠마 나카노
하지메 후지타
Original Assignee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20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08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2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26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24F47/008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7/00Smokers' requisit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1Arrangement of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90Arrangement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batteri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90Arrangement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batteries thereof
    • A24F40/95Arrangement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batteries thereof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cas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5/00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 G05B15/02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electri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8Overvoltage prot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8Battery or charger load switching, e.g. concurrent charging and load supply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42The other DC source being a battery actively interacting with the first one, i.e. battery to battery char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 Hybrid Cells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Abstract

충전 모드와 직접 가열 모드의 전환을 원활히 실시한다.
흡연 시스템은, 에어로졸원을 무화 또는 향미원을 가열하는 부하 및 그 부하로 급전 가능한 전원을 구비하는 이차 장치와, 상기 이차 장치와의 접속시에 상기 부하 및 상기 전원으로 급전 가능한 일차 장치와, 상기 일차 장치로부터 상기 부하로 급전하는 제1 모드 및 상기 일차 장치로부터 상기 전원으로 급전하는 제2 모드를 실행 가능한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모드로부터 상기 제2 모드로의 천이인 제1 천이와 상기 제2 모드로부터 상기 제1 모드로의 천이인 제2 천이의 적어도 한쪽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와 상기 제2 모드의 사이에, 급전에 관한 기정의 변수를 변경하기 위한 천이 시간을 가지는 천이 모드를 실행한다.

Description

흡연 시스템, 급전 제어 방법, 프로그램, 일차 장치, 및 이차 장치
본 발명은, 흡연 시스템, 급전 제어 방법, 프로그램, 일차 장치, 및 이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전기 히터로 가열하는 가열 장치를, 소정 횟수의 흡연마다, 휴대식의 충전기로 충전하는 흡연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히, 에어로졸 발생 물품으로부터 에어로졸을 방출하기 위해 많은 전력이 필요한 경우, 충전 중에는 흡연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연속적인 흡연을 하는 것은 불가능했다.
이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충전기로부터 직접 히터로 급전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종래와 같이 충전기로부터 가열 장치의 내장 충전지를 충전하는 모드와, 충전기로부터 히터로 직접 급전하는 모드를 전환할 필요가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공표특허공보 2012-527222호 특허문헌 2: 일본 공표특허공보 2015-500647호
그런데 널리 알려져 있듯이, 급전 대상의 특성이나 용도에 따라, 급전량(레이트)을 적절한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충전지를 충전할 때의 급전량과 히터로 급전할 때의 급전량은 다르다. 그 때문에, 충전기로부터 내장 충전지를 충전하는 모드와 히터로 직접 급전하는 모드의 모드 천이시에, 특허문헌 2와 같이 특단의 배려 없이 즉석에서 모드를 전환한 경우, 충전지를 열화시키거나 히터가 충분히 기능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또한, 가열 장치에 에어로졸 발생 물품이 장착되기 전에 히터로의 직접 급전을 개시한 경우, 충전기의 전력을 낭비할 우려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의 하나는, 충전 모드와 직접 가열 모드의 전환을, 안전성이나 유저의 사용 편이를 담보하면서도 원활히 실시하는 것에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태양(態樣)은, 에어로졸원을 무화 또는 향미원을 가열하는 부하 및 그 부하로 급전 가능한 전원을 구비하는 이차 장치와, 상기 이차 장치와의 접속시에 상기 부하 및 상기 전원으로 급전 가능한 일차 장치와, 상기 일차 장치로부터 상기 부하로 급전하는 제1 모드 및 상기 일차 장치로부터 상기 전원으로 급전하는 제2 모드를 실행 가능한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모드로부터 상기 제2 모드로의 천이인 제1 천이와 상기 제2 모드로부터 상기 제1 모드로의 천이인 제2 천이의 적어도 한쪽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와 상기 제2 모드의 사이에, 급전에 관한 기정(旣定)의 변수를 변경하기 위한 천이 시간을 가지는 천이 모드를 실행하는, 흡연 시스템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태양은, 상기 일 태양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천이와 상기 제2 천이의 쌍방에 있어서 상기 천이 모드를 실행하는, 흡연 시스템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태양은, 상기 일 태양에 있어서, 상기 제1 천이에 있어서의 상기 천이 모드의 천이 시간과 상기 제2 천이에 있어서의 상기 천이 모드의 천이 시간은 길이가 다른, 흡연 시스템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태양은, 상기 일 태양에 있어서, 상기 제1 천이에 있어서의 상기 천이 모드의 천이 시간은 상기 제2 천이에 있어서의 상기 천이 모드의 천이 시간보다 짧은, 흡연 시스템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태양은, 상기 일 태양에 있어서, 상기 기정의 변수는, 상기 일차 장치로부터 상기 이차 장치로의 급전량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모드에 있어서, 상기 일차 장치로부터 상기 부하로 제1 급전량으로 급전하고, 상기 제1 천이의 상기 천이 모드에 있어서, 급전량을 상기 제1 급전량으로부터 감소시키는 처리를 상기 일차 장치에 대해서 실시함과 동시에, 상기 일차 장치로부터 상기 전원으로의 급전은 실시하지 않고, 상기 제2 모드에 있어서, 상기 일차 장치로부터 상기 전원으로 상기 제1 급전량보다 작은 제2 급전량으로 급전하도록 각 모드를 실행하는, 흡연 시스템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태양은, 상기 일 태양에 있어서, 상기 일차 장치로부터 상기 전원으로의 급전을 실시할 수 있는 상태와 실시할 수 없는 상태를 전환 가능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기정의 변수는, 상기 일차 장치로부터 상기 이차 장치로의 급전량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모드에 있어서, 상기 일차 장치로부터 상기 부하로 제1 급전량으로 급전하고, 상기 제1 천이의 상기 천이 모드에 있어서, 상기 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일차 장치로부터 상기 전원으로의 급전을 실시할 수 없는 상태로 함과 동시에, 급전량을 상기 제1 급전량으로부터 감소시키는 처리를 상기 일차 장치에 대해서 실시하고, 상기 제2 모드에 있어서, 상기 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일차 장치로부터 상기 전원으로의 급전을 실시할 수 있는 상태로 함과 동시에, 상기 일차 장치로부터 상기 전원으로 상기 제1 급전량보다 작은 제2 급전량으로 급전하도록 각 모드를 실행하는, 흡연 시스템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태양은, 상기 일 태양에 있어서, 상기 수단은, 상기 일차 장치와 상기 전원의 사이에 설치된 개폐기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천이의 상기 천이 모드에 있어서, 상기 개폐기를 열도록 제어하는 것에 의해 상기 일차 장치와 상기 전원을 전기적으로 차단하고, 상기 제2 모드에 있어서, 상기 개폐기를 닫도록 제어하는 것에 의해 상기 일차 장치와 상기 전원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흡연 시스템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태양은, 상기 일 태양에 있어서, 상기 일차 장치와 상기 전원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일차 장치로부터 상기 전원으로 향하는 방향을 순(順)방향으로 하는 다이오드를 구비하고, 상기 수단은, 상기 일차 장치의 출력 전압과 상기 전원의 전압의 상대 전압을 조정 가능한 조정기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천이의 상기 천이 모드에 있어서, 상기 일차 장치의 출력 전압이 상기 전원의 전압보다 높아지도록 상기 조정기를 제어하고, 상기 제2 모드에 있어서, 상기 전원의 전압이 상기 일차 장치의 출력 전압보다 높아지도록 상기 조정기를 제어하는, 흡연 시스템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태양은, 상기 일 태양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천이의 상기 천이 모드에 있어서, 급전량을 상기 제1 급전량으로부터 상기 제2 급전량으로 점감(漸減)시키는 처리를 상기 일차 장치에 대해서 실시함과 동시에, 상기 일차 장치로부터 상기 부하로 상기 점감하는 급전량으로 급전하는, 흡연 시스템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태양은, 상기 일 태양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천이의 상기 천이 모드에 있어서, 상기 일차 장치로부터 상기 전원 및 상기 부하로의 급전은 실시하지 않는, 흡연 시스템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태양은, 상기 일 태양에 있어서, 상기 일차 장치와 상기 전원 및 상기 부하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일차 장치로부터 상기 전원 및 상기 부하로의 급전을 실시할 수 있는 상태와 실시할 수 없는 상태를 전환 가능한 개폐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천이의 상기 천이 모드에 있어서, 상기 개폐기를 열도록 제어하는 것에 의해 상기 일차 장치와 상기 전원 및 상기 부하를 전기적으로 차단하는, 흡연 시스템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태양은, 상기 일 태양에 있어서, 상기 일차 장치는, 구속 상태에서 상기 이차 장치와 상기 일차 장치의 접속을 유지할 수 있고 또한 비구속 상태에서 상기 접속을 해제할 수 있는 구속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속부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천이와 상기 제2 천이를 식별하는, 흡연 시스템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태양은, 상기 일 태양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천이의 상기 천이 모드를, 상기 비구속 상태에 있어서 상기 부하와 에어로졸원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접촉이 실행될 때까지 지속시키는, 흡연 시스템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태양은, 흡연 시스템에 있어서 일차 장치로부터 이차 장치로의 급전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이차 장치에 설치된, 에어로졸원을 무화 또는 향미원을 가열하는 부하로 상기 일차 장치로부터 급전하는 제1 모드와, 상기 이차 장치에 설치된, 상기 부하로 급전 가능한 전원으로 상기 일차 장치로부터 급전하는 제2 모드 중의 한쪽을 실행 중인 모드로서 인식하는 스텝과, 상기 실행 중인 모드로부터, 상기 제1 모드와 상기 제2 모드 중의 다른 한쪽으로 천이시키는 지시를 받아들이는 스텝과, 상기 지시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모드로부터 상기 제2 모드로의 천이인 제1 천이와 상기 제2 모드로부터 상기 제1 모드로의 천이인 제2 천이의 적어도 한쪽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와 상기 제2 모드의 사이에, 급전에 관한 기정의 변수를 변경하기 위한 천이 시간을 가지는 천이 모드를 실행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급전 제어 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태양은, 상기 방법을 흡연 시스템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태양은, 에어로졸원을 무화 또는 향미원을 가열하는 부하 및 그 부하로 급전 가능한 전원을 구비하는 이차 장치와의 접속시에, 상기 부하 및 상기 전원으로 급전 가능한 일차 장치로서, 상기 일차 장치로부터 상기 부하로 급전하는 제1 모드 및 상기 일차 장치로부터 상기 전원으로 급전하는 제2 모드를 실행 가능한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모드로부터 상기 제2 모드로의 천이인 제1 천이와 상기 제2 모드로부터 상기 제1 모드로의 천이인 제2 천이의 적어도 한쪽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와 상기 제2 모드의 사이에, 급전에 관한 기정의 변수를 변경하기 위한 천이 시간을 가지는 천이 모드를 실행하는, 일차 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태양은, 에어로졸원을 무화 또는 향미원을 가열하는 부하 및 그 부하로 급전 가능한 전원을 구비하고, 상기 부하 및 상기 전원으로 급전 가능한 일차 장치와 접속 가능한 이차 장치로서, 상기 일차 장치로부터 상기 부하로 급전하는 제1 모드 및 상기 일차 장치로부터 상기 전원으로 급전하는 제2 모드를 실행 가능한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모드로부터 상기 제2 모드로의 천이인 제1 천이와 상기 제2 모드로부터 상기 제1 모드로의 천이인 제2 천이의 적어도 한쪽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와 상기 제2 모드의 사이에, 급전에 관한 기정의 변수를 변경하기 위한 천이 시간을 가지는 천이 모드를 실행하는, 이차 장치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충전 모드와 직접 가열 모드의 전환을, 안전성이나 유저의 사용 편이를 담보하면서도 원활히 실시할 수 있다.
[도 1]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흡연 시스템(100)의 구성도이다.
[도 2]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흡연 시스템(100)의 전기 회로도를 나타낸다.
[도 3]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흡연 시스템(100)의 복수의 동작 모드에 대한 전기 회로(200)의 상태 천이를 나타낸다.
[도 4a] 직접 가열 모드로부터 충전 모드로의 전환시에 있어서의 흡연 시스템(100)의 상태의 추이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의 일례이다.
[도 4b] 충전 모드로부터 직접 가열 모드로의 전환시에 있어서의 흡연 시스템(100)의 상태의 추이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의 일례이다.
[도 4c] 직접 가열 모드로부터 충전 모드로의 전환시에 있어서의 흡연 시스템(100)의 상태의 추이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의 다른 예이다.
[도 4d] 충전 모드로부터 직접 가열 모드로의 전환시에 있어서의 흡연 시스템(100)의 상태의 추이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의 다른 예이다.
[도 5]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흡연 시스템(100)의 제어부(제어부(134 및/또는 154))가 흡연 시스템(100)의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제어를 실시하기 위한 예시적인 처리(500)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6]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흡연 시스템(100)의 제어부(제어부(134 및/또는 154))가 흡연 시스템(100)의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제어를 실시하기 위한 다른 예시적인 처리(600)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7a] 이차 장치(140)에 설치된 공기 취입 유로(810)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7b] 일차 장치(120)에 설치된 공기 취입 유로(820)의 일례를 나타낸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흡연 시스템(100)의 구성도이다. 도 1은 흡연 시스템(100)이 구비하는 각 엘리먼트를 개략적 또한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것이며, 그들 각 엘리먼트 및 흡연 시스템(100)의 엄밀한 배치, 형상, 치수, 위치 관계 등을 나타내는 것은 아닌 점에 유의 바란다.
도 1에 나타나듯이, 흡연 시스템(100)은, 일차 장치(120) 및 이차 장치(140)를 구비한다. 흡연 시스템(100)은, 이차 장치(140)가 일차 장치(120)에 대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 사용 형태와, 이차 장치(140)가 일차 장치(120)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된 제2 사용 형태를 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도 1에 예시된 흡연 시스템(100)에 있어서, 이차 장치(140)는 일차 장치(120)의 연결 포트(122)에 삽입됨으로써 일차 장치(120)에 대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연결 포트(122)로부터 발취됨으로써 일차 장치(120)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된다. 다른 예로서, 일차 장치(120)와 이차 장치(140)의 전기적인 접속 및 비접속은, 예를 들면 USB 케이블 등의 도전성 케이블의 착탈에 의해 실행되어도 된다.
이차 장치(140)는, 흡연을 위한 에어로졸 발생 물품(160)을 전기적으로 가열하는 것에 의해 향미 성분을 포함한 에어로졸 또는 증기를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흡연자인 유저는, 이차 장치(140)로부터 발생한 에어로졸 또는 증기를 흡인할 수 있다. 일차 장치(120)는, 제1 사용 형태에 있어서 이차 장치(14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이다. 제1 사용 형태에 있어서, 일차 장치(120)는, 이차 장치(140)에 내장된 이차 전원(148)을 충전할 수 있다. 이차 장치(140)는, 제2 사용 형태에 있어서는, 내장된 이차 전원(148)에 의해 동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흡연 시스템(100)은, 예를 들면 이차 전원(148)이 소정량 소비되었을 경우에, 제2 사용 형태로부터 제1 사용 형태로 되돌려진다. 제1 사용 형태에 되돌려졌을 때, 이차 장치(140)는, 일차 장치(120)로부터 전력의 공급을 받는 것에 의해, 이차 전원(148)으로의 재충전이 실시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일차 장치(12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직접적으로 에어로졸 발생 물품(160)의 가열을 실시할 수도 있다.
도 1에 나타나듯이, 이차 장치(140)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보지(保持)부(142), 부하(144), 구동 회로(146), 이차 전원(148), 유저 조작부(152), 제어부(154), 및 메모리(156)를 구비한다. 이차 장치(140)는, 예를 들면, 유저가 에어로졸 또는 증기를 흡인하는데 적합한 형상과 치수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유저는, 예를 들면 이차 장치(140)를 손가락 사이에 유지하여, 흡연을 실시할 수 있다. 일례로서, 이차 장치(140)의 외형 형상은, 개략적으로, 궐련과 유사한 원주 형상이어도 되지만, 이는 한정적이라고 해석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고, 임의의 다른 형상 및 치수를 취할 수도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 보지부(142)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160)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공간이다. 따라서, 에어로졸 발생 물품 보지부(142)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160)에 따른 형상을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에어로졸 발생 물품(160)은, 궐련과 동일한 정도의 직경의 원주 형상 스틱으로 성형된 고체의 에어로졸 기재를 포함해도 된다. 도 1에는, 이러한 에어로졸 발생 물품(160)이 에어로졸 발생 물품 보지부(142)에 삽입된 이차 장치(140)가 나타나 있다. 에어로졸 기재는, 예를 들면, 가열하는 것에 의해 향끽미 성분을 방출하는 살담배 또는 입상 혹은 분말상의 담배 원료를 원주 형상으로 가공하고, 이것에 액체의 에어로졸원을 첨가하는 것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에어로졸 기재 및/또는 에어로졸원이 향미원으로서 기능한다. 도 1에 나타나듯이, 에어로졸 발생 물품(160)은, 그 한쪽의 단부 및 에어로졸 기재를 포함하는 주부(主部)가 에어로졸 발생 물품 보지부(142)의 내부에 수용되고, 다른 한쪽의 단부가 에어로졸 발생 물품 보지부(142)로부터 튀어나온 형태로, 에어로졸 발생 물품 보지부(142)에 유지된다. 유저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160)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 보지부(142)로부터 튀어나온 단부를 입에 무는 것으로, 흡연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 편이를 고려하면 이차 장치(140)는, 기존의 궐련에 가까운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차 장치(140)는 공동 형상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 보지부(142)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차 장치(140)의 내부에 있어서 전장품의 배치에는 제약이 가해진다. 그 결과, 이차 전원(148)도 소형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용량도 비교적 작아져 버린다. 한편, 일차 장치(120)는 이러한 제약이 없기 때문에, 이차 전원(148)을 복수회 충전할 수 있도록, 일차 전원(126)은 이차 전원(148)과 비교하여 충분히 큰 용량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일차 전원(126)은 이차 전원(148)과 비교하여 5~40배의 용량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 범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일차 전원(126)과 이차 전원(148)은 모두 리튬이온 이차 전지로부터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160) 및 에어로졸 발생 물품 보지부(142)는, 도 1에 나타나는 것과는 다르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에어로졸 발생 물품(160)은, 향미 성분(향미원)을 함유한 액체 형상의 에어로졸원이어도 된다. 일례로서, 향미 성분(향미원)을 함유한 액체 형상의 에어로졸원은, 니코틴 성분을 함유한 글리세린 또는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폴리올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에어로졸원이 향미원으로서 기능한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160)이 향미 성분(향미원)을 함유한 에어로졸원인 경우, 에어로졸 발생 물품 보지부(142)는, 예를 들면, 유리 섬유나 다공질 세라믹 등의 섬유 형상 또는 다공질성의 소재로부터 구성되고, 섬유 간의 틈새나 다공질 재료의 세공에 액체로서의 에어로졸원을 유지한다. 혹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 보지부(142)는, 액체를 수용하는 탱크로서 구성되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이차 장치(140)는, 부가적으로 흡구 부재를 구비한다. 유저는, 흡구 부재를 입에 무는 것으로, 발생한 에어로졸 또는 증기를 흡인할 수 있다.
부하(144)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보지부(142)에 유지된 에어로졸 발생 물품(160)을 전기적으로 가열하기 위한 가열 소자이다. 부하(144)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160)을 가열할 수 있도록, 에어로졸 발생 물품(160)에 접하여, 또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160)의 근방에 배치된다. 부하(144)는, 이차 장치(140)가 일차 장치(120)로부터 분리된 제2 사용 형태에 있어서는, 이차 장치(140)에 내장된 이차 전원(148)으로부터 급전되는 것에 의해, 에어로졸 발생 물품(160)을 가열한다. 또한 부하(144)는, 이차 장치(140)가 일차 장치(120)에 접속된 제1 사용 형태에 있어서는, 일차 장치(120)로부터 급전되는 것에 의해 에어로졸 발생 물품(160)을 가열한다. 또한, 에어로졸 발생 물품(160)이 에어로졸원 및 에어로졸 기재를 포함하는 경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에어로졸 발생 물품(160)을 부하(144)에서 가열함으로써, 에어로졸원을 승온시켜, 에어로졸을 발생시킨다. 한편, 에어로졸 발생 물품(160)이 향미 성분(향미원)을 함유한 액체 형상의 에어로졸원인 경우는, 에어로졸원을 부하(144)에서 직접 가열함으로써, 에어로졸을 발생시켜도 된다.
부하(144)와 에어로졸 발생 물품(160)을 접촉시키기 위한 임의의 배치가 이용되어도 된다. 일례로서, 부하(144)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보지부(142)의 내벽의 표면에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것이어도 된다. 이 배치에 의하면, 에어로졸 발생 물품 보지부(142)로 삽입된 에어로졸 발생 물품(160)은, 그 외주 표면(예를 들면 원주 형상 스틱의 측면)에 있어서 부하(144)와 접촉하므로, 에어로졸 발생 물품(160)을 외주로부터 가열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에어로졸 발생 물품 보지부(142)로 에어로졸 발생 물품(160)이 삽입되었을 때에 부하(144)가(예를 들면 에어로졸 기재를 찌르는 것에 의해) 에어로졸 기재 안으로 들어가는 것이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부하(144)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160)을 그 내부로부터 가열할 수 있다. 또한, 부하(144)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160)과 직접 접촉하는 것이 아니라, 에어로졸 발생 물품(160)을 가열할 수 있을 정도로 에어로졸 발생 물품(160)의 근방에 배치되는 것이어도 된다.
이차 전원(148)은, 제2 사용 형태에 있어서 이차 장치(140)를 동작시키는데 이용되는 전원이다. 이차 전원(148)은, 구동 회로(146)를 통하여 부하(144)로 급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부하(144)로의 급전에 의해 이차 전원(148)의 잔용량은 감소하지만, 이차 전원(148)은, 제1 사용 형태에 있어서 일차 장치(120)에 의해 충전됨으로써, 잔용량을 회복할 수 있다.
유저 조작부(152)는, 유저로부터 이차 장치(140)에 대한 조작을 받아들일 수가 있도록 구성된다. 이차 장치(140)에 대한 유저 조작은, 예를 들면, 이차 장치(140)를 기동하기 위한 기동 지시, 및 부하(144)로의 급전을 실행하기 위한 급전 지시를 포함한다. 유저 조작부(152)는, 기동 지시를 입력하기 위한 기동 지시부와 급전 지시를 입력하기 위한 급전 지시부를 별개로 구비해도 되고, 기동 지시와 급전 지시의 모두를 받아들일 수 있는 1개의 지시부를 구비하는 것이어도 된다. 일례로서, 유저 조작부(152)는, 유저가 물리적으로 조작하는 것이 가능한 버튼, 스위치, 손잡이, 레버, 터치 센서 등으로서 구성된다.
제어부(154)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컴퓨터로서 구성된 전자 회로 모듈이며, 메모리(156)에 격납된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에 따라 이차 장치(140)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프로그램된다. 메모리(156)는,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의 정보 기억 매체이다. 메모리(156)에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 외에, 이차 장치(140)의 제어에 필요한 설정 데이터가 격납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일차 장치(120)는, 연결 포트(122), 급전 회로(124), 일차 전원(126), 유저 조작부(132), 제어부(134), 및 메모리(136)를 구비한다. 일차 장치(120)의 이들 각 엘리먼트는, 예를 들면, 일차 장치(120)의 본체부(120A)에 구비되어 있다. 일차 장치(120)는 또한, 도 1에 있어서는 뚜껑으로서 도시되어 있는 구속부(120B)를 구비한다. 도 1에 나타나듯이, 뚜껑(120B)은, 힌지(120C)에 의해 본체부(120A)에 계합되어 본체부(120A)의 상부에 장착되어 있으며, 본체부(120A)를 개폐할 수 있다. 도 1에는, 뚜껑(120B)이 열린 상태의 일차 장치(120)가 나타나 있다. 뚜껑(120B)은, 닫힌 상태에 있을 때, 연결 포트(122)에 삽입된 이차 장치(140)가 연결 포트(122)로부터 탈락하지 않도록, 이차 장치(140)를 구속한다. 뚜껑(120B)은, 슬라이드 개폐식 뚜껑이어도 된다. 또한, 구속부(120B)는, 뚜껑으로서의 형태는 아니고, 이차 장치(140)의 움직임을 구속 가능한 다른 부재(예를 들면, 돌기를 이차 장치(140)에 계합시키는 구조나, 자석에 의한 흡착을 이용한 구조 등)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연결 포트(122)는, 흡연 시스템(100)의 제1 사용 형태에 있어서 이차 장치(140)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다. 연결 포트(122)에 이차 장치(140)가 삽입되면, 이차 장치(140)의 접속 단자(146-1)가, 연결 포트(122) 내에 배치된 일차 장치(120) 측의 접속 단자(124-2)와 접촉한다. 접속 단자(146-1)는 이차 장치(140)의 구동 회로(146)의 일부를 이루는 단자이며, 접속 단자(124-2)는 일차 장치(120)의 급전 회로(124)의 일부를 이루는 단자이다. 이것에 의해, 이차 장치(140)가 일차 장치(120)에 대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일차 전원(126)은, 제1 사용 형태에 있어서 이차 장치(140)에 전력을 공급하는데 이용되는 전원이다. 일차 전원(126)은, 제1 사용 형태에 있어서 흡연 시스템(100)이 후술하는 충전 모드에서 구동되는 경우, 급전 회로(124) 및 구동 회로(146)를 통하여 이차 장치(140)의 이차 전원(148)을 충전한다. 일차 전원(126)은 또한, 제1 사용 형태에 있어서 흡연 시스템(100)이 후술하는 직접 가열 모드에서 구동되는 경우에는, 급전 회로(124) 및 구동 회로(146)를 통하여 이차 장치(140)의 부하(144)로 급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이차 장치(140)의 부하(144)는, 이차 장치(140)에 내장된 이차 전원(148)의 잔용량이 회복되는 것을 기다리는 일없이, 이차 장치(140)가 연결 포트(122)에 삽입되면 즉시, 일차 전원(126)으로부터 급전을 받음으로써, 에어로졸 발생 물품(160)의 가열을 실시할 수 있다. 이차 장치(140)로의 급전에 의해 일차 전원(126)의 잔용량은 감소하지만, 일차 전원(126)은, 외부 접속 단자(미도시)를 통하여 외부의 충전 장치(미도시)에 의해 충전됨으로써, 잔용량을 회복할 수 있다.
유저 조작부(132)는, 유저로부터 일차 장치(120)에 대한 조작을 받아들일 수가 있도록 구성된다. 일차 장치(120)에 대한 유저 조작은, 예를 들면, 이차 장치(140)로의 급전을 허가하기 위한 동작 지시를 포함한다. 일례로서, 유저 조작부(132)는, 유저가 물리적으로 조작하는 것이 가능한 버튼, 스위치, 손잡이, 레버, 터치 센서 등으로서 구성된다.
제어부(134)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컴퓨터로서 구성된 전자 회로 모듈이며, 메모리(136)에 격납된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에 따라 일차 장치(120)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프로그램된다. 메모리(136)는, ROM, RAM, 플래쉬 메모리 등의 정보 기억 매체이다. 메모리(136)에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 외에, 일차 장치(120)의 제어에 필요한 설정 데이터가 격납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흡연 시스템(100)의 전기 회로도를 나타낸다. 도 2에 나타나듯이, 흡연 시스템(100)의 전기 회로(200)는, 일차 장치(120)의 급전 회로(124) 및 이차 장치(140)의 구동 회로(146)를 포함한다. 일차 장치(120)의 급전 회로(124)는, DC/DC 컨버터(124-1) 및 접속 단자(124-2)를 구비한다. DC/DC 컨버터(124-1)는, 제어부(일차 장치(120)의 제어부(134) 및/또는 이차 장치(140)의 제어부(154))에 의한 제어에 따라 일차 전원(126)의 전압을 승압 또는 강압하고, 그것에 의해 일차 장치(120)의 출력 전압을 조정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DC/DC 컨버터는, 출력 전압을 제어하는 전압 제어 모드와, 출력 전류(전력)를 제어하는 전류(전력) 모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DC/DC 컨버터(124-1)는, 일차 장치(120)의 출력 전류(전력)를 조정해도 된다. 이차 장치(140)의 구동 회로(146)는, 제1 스위치(SW1), 제2 스위치(SW2), 제3 스위치(SW3), 제4 스위치(SW4), 및 접속 단자(146-1)를 구비한다. 각 스위치(SW1, SW2, SW3, SW4)는, 예를 들면 트랜지스터 등의 전기적 스위치이며, 제어부(이차 장치(140)의 제어부(154) 및/또는 일차 장치(120)의 제어부(134))에 의해 온 상태와 오프 상태를 각각 개별적으로 전환하도록 제어된다. 전기 회로(200)는, 일차 장치(120)의 연결 포트(122)에 삽입된 이차 장치(140)가 이차 장치(140) 측의 접속 단자(146-1)와 일차 장치(120) 측의 접속 단자(124-2)를 통하여 일차 장치(12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흡연 시스템(100)의 복수의 동작 모드에 대한 전기 회로(200) 상태 천이(300)를 나타낸다. 흡연 시스템(100)은, 통상 흡연 모드, 통상 비흡연 모드, 충전 모드, 및 직접 가열 모드의 4개의 모드로 동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통상 흡연 모드는, 이차 장치(140)를 일차 장치(120)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하여 단독으로 동작시키는 것에 의해 흡연을 실시하는 모드이다. 통상 비흡연 모드는, 이차 장치(140)를 일차 장치(120)로부터 분리한 채로 흡연을 정지하는 모드이다. 충전 모드는, 이차 장치(140)를 일차 장치(120)에 접속하여 일차 장치(120)의 일차 전원(126)으로부터 이차 장치(140)의 이차 전원(148)으로의 충전을 실시하는 모드이다. 직접 가열 모드는, 이차 장치(140)를 일차 장치(120)에 접속하여 일차 장치(120)의 일차 전원(126)으로부터 이차 장치(140)의 부하(144)로의 직접적인 급전을 실시하는 것에 의해, 흡연을 실시하는 모드이다. 통상 흡연 모드와 통상 비흡연 모드는, 제2 사용 형태에 대응하고, 충전 모드와 직접 가열 모드는, 제1 사용 형태에 대응한다.
도 3에 나타나듯이, 통상 흡연 모드에 있어서, 제어부는, 제1 스위치(SW1), 제2 스위치(SW2), 및 제4 스위치(SW4)를 온 상태로 설정하고, 제3 스위치(SW3)를 오프 상태로 설정한다. 이것에 의해, 이차 장치(140)의 이차 전원(148)으로부터 부하(144)로의 급전이 실행되어, 에어로졸 발생 물품(160)이 부하(144)에 의해 가열된다. 따라서, 유저는 제2 사용 형태에 있어서 흡연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통상 비흡연 모드에 있어서, 모든 스위치(SW1, SW2, SW3, SW4)를 오프 상태로 설정한다. 이것에 의해, 부하(144)로의 급전이 차단되어, 에어로졸 발생 물품(160)의 가열이 정지된다. 충전 모드에서는, 제어부는, 제3 스위치(SW3)를 온 상태로 설정하고, 제1 스위치(SW1), 제2 스위치(SW2), 및 제4 스위치(SW4)를 오프 상태로 설정한다. 이것에 의해, 일차 장치(120)의 일차 전원(126)으로부터 이차 장치(140)의 이차 전원(148)으로의 급전이 실행되어, 이차 전원(148)이 충전된다. 한편, 직접 가열 모드에 있어서, 제어부는, 제1 스위치(SW1) 및 제2 스위치(SW2)를 온 상태로 설정하고, 제3 스위치(SW3) 및 제4 스위치(SW4)를 오프 상태로 설정한다. 이것에 의해, 일차 장치(120)의 일차 전원(126)으로부터 부하(144)로의 직접적인 급전이 실행되어, 에어로졸 발생 물품(160)이 부하(144)에 의해 가열된다. 따라서, 제1 사용 형태에 있어서도 유저는 흡연을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흡연 시스템(100)은, 이차 장치(140)의 구동 회로(146)가 구비하는 각 스위치의 온 상태와 오프 상태를 제어함으로써 동작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흡연 시스템(100)은 또한, 이차 장치(140)가 일차 장치(120)에 접속된 제1 사용 형태에 있어서, 충전 모드와 직접 가열 모드의 사이에서 모드를 전환할 때에는, 충전 모드로부터 즉시 직접 가열 모드로, 혹은 직접 가열 모드로부터 즉시 충전 모드로 이행하는 것이 아니라, 그 도중에 천이 모드를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즉, 흡연 시스템(100)의 제1 사용 형태에 있어서의 동작 모드의 전환은, 충전 모드로부터 천이 모드를 경유하여 직접 가열 모드로 이행하는 것에 의해, 또는 직접 가열 모드로부터 천이 모드를 경유하여 충전 모드로 이행하는 것에 의해 실행된다. 충전 모드로부터 직접 가열 모드로 이행하는 방향과 직접 가열 모드로부터 충전 모드로 이행하는 방향의 쌍방에 있어서 천이 모드가 개재되어도 되고, 혹은 어느 한쪽 방향에 있어서만 천이 모드가 개재되는 것이어도 된다.
천이 모드는, 일차 장치(120)로부터 이차 장치(140)로의 급전에 관한 변수를 변경하는 처리를 실시하는 모드이다. 급전에 관한 변수는, 비한정적인 예로서 일차 장치(120)로부터 이차 장치(140)로의 급전량(즉 일차 장치(120)의 일차 전원(126)으로부터의 방전 레이트)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급전 대상의 특성이나 용도에 따라, 급전량(레이트)은 적절한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충전 모드에 있어서의 일차 장치(120)로부터 이차 장치(140)로의 급전량은, 직접 가열 모드에 있어서의 일차 장치(120)로부터 이차 장치(140)로의 급전량과 다르다.
예를 들면, 이차 장치(140)의 이차 전원(148)으로서 리튬이온 이차 전지를 이용한 경우, 전극, 전기 분해액, 활(活)물질, 또는 도전조제(助劑)라고 하는 재료나 그 구조에 의해 차이는 있지만, 리튬이온 이차 전지는 레이트 의존성이라고 하는 성질을 가진다. 이 레이트 의존성이란, 충전 레이트 또는 방전 레이트의 크기와, 리튬이온 이차 전지의 열화에 미치는 영향과의 상관관계를 가리킨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리튬이온 이차 전지의 열화란, 예를 들면 신품시(공장 출하시)의 충전 가능 용량 또는 방전 가능 용량에 대한, 현재의 충전 가능 용량 또는 방전 가능 용량의 비에 의해 표시된다. 일반적인 경향으로서, 레이트가 커질수록, 리튬이온 이차 전지의 열화에 미치는 영향이 가속도적으로 커진다. 또한, 같은 레이트여도, 방전이 열화에 미치는 영향에 비해, 충전이 열화에 미치는 영향이 2~3배 정도 크다. 따라서, 충전 모드에 있어서의 일차 장치(120)로부터 이차 장치(140)로의 급전량은, 충전되는 이차 전원(140)의 열화를 억제하기 위해서 비교적 작은 값으로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쪽의 직접 가열 모드에서는, 일차 전원(126)으로부터 주로 부하(144)로의 급전을 실시하므로, 상술한 것 같은 이차 전원(140)의 열화 억제에 배려한 제약은 존재하지 않는다. 오히려 에어로졸이 생성되는 온도까지 에어로졸 발생 물품(160)을 가열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직접 가열 모드에 있어서의 일차 장치(120)로부터 이차 장치(140)로의 급전량은, 비교적 큰 값으로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 검토한다면, 일차 장치(120)의 일차 전원(126)에도 리튬이온 이차 전지를 이용한 경우, 일차 장치(120)로부터 이차 장치(140)로의 급전량을 큰 값으로 제어하면, 일차 전원(126) 자체가 가지는 레이트 의존성에 의해 일차 전원(126)에 열화가 생기는지 여부가 걱정된다. 여기서, 일차 전원(126)은, 상술한 것처럼 이차 전원(148)을 복수회 충전할 수 있도록 이차 전원(148)과 비교하여 충분히 큰 용량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널리 알려져 있듯이, 일반적으로 이차 전지는 용량이 클수록 레이트는 작아진다. 또한, 일차 전원(126)은 이차 장치(140)에 대해서 방전을 실시하지만, 상술한 것처럼, 방전은 충전과 비교하여 열화에 미치는 영향이 작다. 따라서, 일차 장치(120)로부터 이차 장치(140)로의 급전량을 큰 값으로 제어해도, 이것을 적절한 범위로 조정하면 일차 전원(126)의 열화는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충전 모드와 직접 가열 모드에 있어서의 일차 장치(120)로부터 이차 장치(140)로의 급전량의 차를 메우기 위해서, 흡연 시스템(100)은, 천이 모드에 있어서, 일차 장치(120)로부터 이차 장치(140)로의 급전량을, 동작 모드 전환 전의 모드(충전 모드와 직접 가열 모드의 한쪽)의 급전량으로부터 전환 후의 모드(충전 모드와 직접 가열 모드의 다른 한쪽)의 급전량으로 변경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급전량의 변경은, 예를 들면, 일차 장치(120)의 DC/DC 컨버터(124-1)로부터의 출력 전압이나 출력 전류(전력)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실현된다. 이와 같이 천이 모드에 있어서 흡연 시스템(100)이 급전량의 변경 처리를 실시하는 것에 의해, 제1 사용 형태에 있어서의 충전 모드와 직접 가열 모드와의 전환을 원활히 실시할 수 있다.
천이 모드가 지속하는 시간(이하, 천이 시간으로 칭한다)의 길이는, 여러 가지 값으로 설정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동작 모드를 직접 가열 모드로부터 충전 모드로 전환하는 경우의 천이 시간은, 단지, 일차 장치(120)의 DC/DC 컨버터(124-1)가 출력 전압이나 출력 전류(전압)를 변경하는데 필요로 하는 시간으로 설정되어도 된다. 이 시간의 길이는, DC/DC 컨버터(124-1)의 전기적인 처리에만 의존하고, 전형적으로는 1초 미만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동작 모드를 충전 모드로부터 직접 가열 모드로 전환하는 경우에는, 천이 모드는, DC/DC 컨버터(124-1)에 의해 전압이 변경된 후, 또한, 유저가 흡연 개시의 준비로서 에어로졸 발생 물품(160)을 이차 장치(140)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 보지부(142)에 삽입할 때까지 연기되어도 된다. 이 경우의 천이 시간은, 유저의 인위적 조작을 기다릴 필요가 있기 때문에, 전형적으로는 1초보다 길고, 예를 들면 몇 초부터 수십 초라고 상정된다.
도 4a는, 직접 가열 모드로부터 충전 모드로의 전환시에 있어서의 흡연 시스템(100)의 상태의 추이의 일례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흡연 시스템(100)은, 처음에 직접 가열 모드로 동작하고 있다. 상술한 것처럼, 직접 가열 모드에 있어서 제어부는, 이차 장치(140)의 구동 회로(146)의 제1 스위치(SW1) 및 제2 스위치(SW2)를 온 상태로, 제3 스위치(SW3)를 오프 상태로 각각 설정한다. 또한, 제어부는, 일차 장치(120)의 급전 회로(124)의 DC/DC 컨버터(124-1)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에어로졸 발생 물품(160)이 소정의 목표 온도로 가열 또는 유지되도록 일차 장치(120)로부터 이차 장치(140)의 부하(144)로의 급전량을 조정한다.
흡연 시스템(100)은 다음으로, 예를 들면 소정의 유저 조작이 유저 조작부(132 또는 152)에 입력된 것을 계기로 하여, 천이 모드로 이행한다. 예를 들면, 유저는, 흡연 시스템(100)을 직접 가열 모드로부터 충전 모드로 전환하는 지시를, 유저 조작부(132 또는 152)를 통하여 입력한다. 제어부는, 이러한 유저 조작을 받으면, 이차 장치(140)의 구동 회로(146)의 제1 스위치(SW1) 및 제2 스위치(SW2)를 온 상태로부터 오프 상태로 변경함과 동시에, 제3 스위치(SW3)를 그대로 오프 상태로 유지하는 것에 의해, 흡연 시스템(100)을 천이 모드로 이행시킨다. 제어부는 또한, 천이 모드에 있어서, 일차 장치(120)의 DC/DC 컨버터(124-1)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일차 장치(120)로부터 이차 장치(140)로의 급전량을 직접 가열 모드용의 급전량으로부터 충전 모드용의 급전량으로 변경한다. 전술한 것처럼, 일반적으로 충전지(이차 전원(148))의 충전시에 허용되는 최대의 급전량(충전 레이트)은, 히터(부하(144))의 가열에 필요한 급전량보다도 작다. 최대 허용 레이트보다도 큰 레이트에서 충전이 실행되면, 이차 전원(148)의 성능이 열화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제어부는, 일차 장치(120)로부터의 급전량이 직접 가열 모드용의 높은 급전량으로부터 충전 모드용의 낮은 급전량으로 감소하도록, DC/DC 컨버터(124-1)를 제어한다. 급전량이 다 내려가려면 유한한 시간(예를 들면 1초 미만)이 걸리지만, 도 4a의 천이 모드에서는 이차 장치(140)의 구동 회로(146)의 제3 스위치(SW3)가 오프 상태로 설정되기 때문에, 충전 모드용의 낮은 급전량으로 다 내려가기 전의 비교적 높은 급전량에 의해 이차 장치(140)의 이차 전원(148)이 충전되어 버리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급전량이 충전 모드용의 낮은 급전량으로 내려가는데 걸리는 시간은 매우 짧기 때문에, 실질상, 직접 가열 모드로부터 충전 모드로의 민첩한 전환을 실현할 수 있다.
소정 길이의 천이 시간이 경과하면, 흡연 시스템(100)은 천이 모드로부터 충전 모드로 이행한다. 충전 모드에 있어서, 제어부는, 이차 장치(140)의 구동 회로(146)의 제1 스위치(SW1) 및 제2 스위치(SW2)를 계속 천이 모드와 같은 오프 상태로 유지함과 동시에, 제3 스위치(SW3)를 오프 상태로부터 온 상태로 변경한다. 이것에 의해, 일차 장치(120)로부터 이차 장치(140)의 이차 전원(148)으로 충전 모드용의 낮은 급전량에 의한 급전이 실행되어, 이차 전원(148)이 충전된다. 또한, 직접 가열 모드로부터 천이 모드를 통한 충전 모드로의 일련의 이행에 있어서, 제4 스위치(SW4)는 계속하여 오프 상태로 제어되고 있다.
도 4b는, 충전 모드로부터 직접 가열 모드로의 전환시에 있어서의 흡연 시스템(100)의 상태 추이의 일례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4b를 참조하면, 흡연 시스템(100)은, 처음에 충전 모드로 동작하고 있다. 상술한 것처럼, 충전 모드에 있어서 제어부는, 이차 장치(140)의 구동 회로(146)의 제1 스위치(SW1) 및 제2 스위치(SW2)를 오프 상태로, 제3 스위치(SW3)를 온 상태로 각각 설정한다. 또한, 제어부는, 일차 장치(120)의 급전 회로(124)의 DC/DC 컨버터(124-1)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일차 장치(120)로부터 이차 장치(140)의 이차 전원(148)으로의 급전량을 소정의 낮은 값으로 조정한다.
흡연 시스템(100)은 다음으로, 예를 들면 소정의 유저 조작이 유저 조작부(132 또는 152)에 입력된 것을 계기로 하여, 천이 모드로 이행한다. 예를 들면, 유저는, 흡연 시스템(100)을 충전 모드로부터 직접 가열 모드로 전환하는 지시를, 유저 조작부(132 또는 152)를 통하여 입력한다. 제어부는, 이러한 유저 조작을 받으면, 이차 장치(140)의 구동 회로(146)의 제1 스위치(SW1) 및 제2 스위치(SW2)를 오프 상태로부터 온 상태로 변경함과 동시에, 제3 스위치(SW3)를 온 상태로부터 오프 상태로 변경하는 것에 의해, 흡연 시스템(100)을 천이 모드로 이행시킨다. 제어부는 또한, 천이 모드에 있어서, 일차 장치(120)의 DC/DC 컨버터(124-1)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일차 장치(120)로부터 이차 장치(140)로의 급전량을 충전 모드용의 낮은 급전량으로부터 직접 가열 모드용의 높은 급전량으로 변경한다(예를 들면, 도 4b에 나타나듯이 충전 모드용의 낮은 급전량으로부터 직접 가열 모드용의 높은 급전량으로 점증시킨다). 도 4a의 경우와 달리, 전환 후의 모드인 직접 가열 모드에서는 부하(144)로의 급전량에는 특단의 제약이 없는 점으로부터, 도 4b에 있어서의 천이 모드에서는, 제1 스위치(SW1) 및 제2 스위치(SW2)가 온 상태로 설정된다. 이것에 의해, 일차 장치(120)로부터 이차 장치(140)의 부하(144)로의 급전이 천이 모드에 있어서 개시되고, 에어로졸 발생 물품(160)을 재빨리 가열할 수 있다. 또한, 충전 모드로부터 천이 모드를 통한 직접 가열 모드로의 일련의 이행에 있어서, 제4 스위치(SW4)는 계속하여 오프 상태로 제어되고 있다.
도 4c는, 직접 가열 모드로부터 충전 모드로의 전환시에 있어서의 흡연 시스템(100)의 상태의 추이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4c의 타이밍 차트는, 천이 모드에 있어서 제1 스위치(SW1) 및 제2 스위치(SW2)가 온 상태로 설정되는 점만이 도 4a의 타이밍 차트와 다르다. 제어부는, 직접 가열 모드에 있어서 소정의 유저 조작을 받으면, 이차 장치(140)의 구동 회로(146)의 제1 스위치(SW1) 및 제2 스위치(SW2)를 온 상태로, 제3 스위치(SW3)를 오프 상태로 각각 유지한 채로, 흡연 시스템(100)을 천이 모드로 이행시킨다. 천이 모드에 있어서, 제어부는, 일차 장치(120)의 DC/DC 컨버터(124-1)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일차 장치(120)로부터 이차 장치(140)로의 급전량을 직접 가열 모드용의 높은 급전량으로부터 충전 모드용의 낮은 급전량으로 점감시킨다.
이차 장치(140)의 부하(144)가 에어로졸 발생 물품(160)과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흡연 시스템(100)에 있어서는, 유저가 흡연을 종료하여 에어로졸 발생 물품(160)을 에어로졸 발생 물품 보지부(142)로부터 제거한 후에, 에어로졸 발생 물품(160)의 성분이 부하(144)의 표면에 잔류하는 경우가 있다. 이 잔류 성분을 그대로 방치할 경우, 부하(144)의 신뢰성이나 가열 능력에 악영향을 미칠 우려도 있다. 도 4c에 나타나는 천이 모드에서는, 이차 장치(140)의 구동 회로(146)의 제1 스위치(SW1) 및 제2 스위치(SW2)가 온 상태로 설정되기 때문에, 직접 가열 모드가 종료한 후에도 부하(144)의 가열이 계속하여 실시된다. 이것에 의해, 부하(144)의 표면에 잔류한 에어로졸 발생 물품(160)의 성분을 증산(蒸散)시켜, 부하(144)를 클리닝 할 수 있다.
천이 모드를 지속시키는 천이 시간은, 예를 들면, 부하(144)의 클리닝을 충분히 효과적으로 실시하는데 필요하다고 상정되는 소정의 길이의 시간으로 설정되는 것이어도 된다. 그러한 소정의 길이의 천이 시간이 경과하면, 흡연 시스템(100)은 천이 모드로부터 충전 모드로 이행한다. 충전 모드에 있어서, 제어부는, 제1 스위치(SW1) 및 제2 스위치(SW2)를 온 상태로부터 오프 상태로 변경함과 동시에, 제3 스위치(SW3)를 오프 상태로부터 온 상태로 변경한다. 이것에 의해, 일차 장치(120)로부터 이차 장치(140)의 이차 전원(148)으로의 충전이 실행된다. 또한, 직접 가열 모드로부터 천이 모드를 통한 충전 모드로의 일련의 이행에 있어서, 제4 스위치(SW4)는 계속하여 오프 상태로 제어되고 있다.
도 4d는, 충전 모드로부터 직접 가열 모드로의 전환시에 있어서의 흡연 시스템(100)의 상태의 추이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4d의 타이밍 차트는, 천이 모드에 있어서 제1 스위치(SW1) 및 제2 스위치(SW2)가 오프 상태로 설정되는 점이 도 4b의 타이밍 차트와 다르다. 제어부는, 충전 모드에 있어서 소정의 유저 조작을 받으면, 이차 장치(140)의 구동 회로(146)의 제1 스위치(SW1) 및 제2 스위치(SW2)를 충전 모드와 같은 오프 상태로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제3 스위치(SW3)를 온 상태로부터 오프 상태로 변경하는 것에 의해, 흡연 시스템(100)을 천이 모드로 이행시킨다. 제어부는 또한, 천이 모드에 있어서, 일차 장치(120)의 DC/DC 컨버터(124-1)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일차 장치(120)로부터 이차 장치(140)로의 급전량을 충전 모드용의 낮은 급전량으로부터 직접 가열 모드용의 높은 급전량으로 변경한다. 그러나, 도 4b의 경우와 달리, 제1 스위치(SW1) 및 제2 스위치(SW2)가 오프 상태이기 때문에, 부하(144)로의 급전은, 천이 모드가 지속되고 있는 동안은 유보된다. 예를 들면, 충전 모드로부터 천이 모드로의 전환 직후에는, 이차 장치(140)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 보지부(142)에 아직 에어로졸 발생 물품(160)이 장착되지 않은 경우가 있을 수 있다. 그러한 상황에 있어서, 부하(144)로의 급전이 유보되는 것에 의해, 부하(144)의 공가열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d의 예에 있어서, 천이 모드는, 예를 들면, 에어로졸 발생 물품 보지부(142)로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160)의 장착이 이루어질 때까지 지속되는 것이어도 된다. 또는, 천이 모드의 지속 시간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 보지부(142)로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160)의 장착과는 관계없이 설정되어도 된다. 바꾸어 말하면, 에어로졸 발생 물품 보지부(142)에 에어로졸 발생 물품(160)이 장착되기 전후에 걸쳐서, 천이 모드는 지속되어도 된다. 일례로서, 이차 장치(140)의 이차 전원(148)의 충전 상태의 취득 또는 추정의 완료까지, 천이 모드는 지속되어도 된다. 제어부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보지부(142)에 에어로졸 발생 물품(160)이 장착된 것을 검지하면, 제1 스위치(SW1) 및 제2 스위치(SW2)를 오프 상태로부터 온 상태로 변경함과 동시에, 제3 스위치(SW3)를 오프 상태로 유지한다. 이것에 의해, 흡연 시스템(100)은 천이 모드로부터 직접 가열 모드로 이행하고, 일차 장치(120)로부터 이차 장치(140)의 부하(144)로의 급전이 실행된다. 또한, 충전 모드로부터 천이 모드를 통한 직접 가열 모드로의 일련의 이행에 있어서, 제4 스위치(SW4)는 계속하여 오프 상태로 제어되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흡연 시스템(100)의 제어부(제어부(134 및/또는 154))가 흡연 시스템(100)의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제어를 실시하기 위한 예시적인 처리(500)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처리(500)는, 이차 장치(140)가 일차 장치(120)에 접속되어 있는 제1 사용 형태, 또는 이차 장치(140)가 일차 장치(120)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제2 사용 형태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개시된다.
처리(500)가 개시되면, 우선 스텝 S502에 있어서, 제어부는, 이차 장치(140)가 일차 장치(120)에 접속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는, 이차 장치(140)의 접속 단자(146-1)와 일차 장치(120)의 접속 단자(124-2)의 전기적인 접촉을 검지하는 것에 의해, 이차 장치(140)가 일차 장치(120)의 연결 포트(122)에 삽입되어 있는지 여부, 즉 이차 장치(140)가 일차 장치(120)에 접속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처리(500)는, 이차 장치(140)가 일차 장치(120)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는 스텝 S504로 진행되고,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스텝 S524로 진행된다.
이차 장치(140)가 일차 장치(120)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 즉 흡연 시스템(100)이 제1 사용 형태에 있는 경우, 스텝 S504에 있어서, 제어부는, 일차 장치(120)의 구속부(120B)가 구속 상태에 있는지 비구속 상태에 있는지를 판정한다. 구속부(120B)의 구속 상태란, 일차 장치(120)와 연결 포트(122)에 삽입된 이차 장치(140)의 전기적 접속이 유지되도록, 구속부(120B)가 이차 장치(140)를 구속하고 있는 상태이다. 또한 구속부(120B)의 비구속 상태란, 구속부(120B)가 연결 포트(122)에 삽입된 이차 장치(140)를 구속하고 있지 않고, 따라서 일차 장치(120)와 이차 장치(140)의 전기적 접속을 해제하는 것도 가능해진 상태이다. 예를 들면, 구속부(120B)가 뚜껑인 구성에 있어서, 뚜껑(120B)이 닫혀 있는 상태는 구속 상태이며, 뚜껑(120B)이 열린 상태는 비구속 상태이다. 제어부는, 예를 들면, 구속부(120B)의 움직임에 연동한 기계적 스위치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하여, 구속부(120B)가 구속 상태에 있는지 비구속 상태에 있는지를 판정할 수 있다. 혹은, 일차 장치(120)가, 주전원 버튼을 온으로 하면 뚜껑(120B)이 자동적으로 열리고, 주전원 버튼을 오프로 하면 뚜껑(120B)이 자동적으로 닫히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처리(500)는, 구속부(120B)가 비구속 상태에 있는 경우는 스텝 S506로 진행되고, 구속 상태에 있는 경우는 스텝 S516로 진행된다. 또한, 뚜껑(120B)은, 슬라이드 개폐식 뚜껑이어도 된다. 또한, 구속부(120B)는, 뚜껑으로서의 형태가 아니라, 이차 장치(140)의 움직임을 구속 가능한 다른 부재(예를 들면, 돌기를 이차 장치(140)에 계합(係合)시키는 구조나, 자석에 의한 흡착을 이용한 구조 등)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일차 장치(120)의 구속부(120B)가 비구속 상태에 있는 경우, 스텝 S506에 있어서, 제어부는, 이차 장치(140)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 보지부(142)에 에어로졸 발생 물품(160)이 삽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이차 장치(140)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160)이 에어로졸 발생 물품 보지부(142)에 삽입되었을 때에 에어로졸 발생 물품(160)에 의해 눌리는 기계적 스위치를 구비한다. 기계적 스위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160)에 의해 눌린 것을 나타내는 전기 신호를 제어부에 공급한다. 제어부는, 이 신호에 근거하여, 에어로졸 발생 물품 보지부(142)에 에어로졸 발생 물품(160)이 삽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처리(500)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보지부(142)에 에어로졸 발생 물품(160)이 삽입되어 있는 경우는 스텝 S508로 진행되고, 삽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스텝 S506를 반복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텝 S506에 있어서 이차 장치(140)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 보지부(142)에 에어로졸 발생 물품(160)이 삽입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는, 스텝 S508에서 직접 가열 모드를 실행한다. 이것에 더하여, 스텝 S506와 스텝 S508의 사이에, 에어로졸 발생 물품 보지부(142)에 삽입된 에어로졸 발생 물품(160)의 잔량이 충분히 있는지 여부를 판단해도 된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160)의 잔량이 충분히 없는 경우는, 스텝 S508에 있어서 직접 가열 모드를 실행해도 충분한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없기 때문에, 직접 가열 모드를 실행하지 않거나, 또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160)의 잔량이 없어진 시점에서 직접 가열을 정지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스텝 S508에 있어서, 제어부는, 흡연 시스템(100)을 직접 가열 모드에서 동작시키도록 제어를 실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것처럼, 제어부는, 이차 장치(140)의 구동 회로(146)의 제1 스위치(SW1) 및 제2 스위치(SW2)를 온 상태로, 제3 스위치(SW3)를 오프 상태로 각각 설정한다. 또한, 제어부는, 일차 장치(120)의 급전 회로(124)의 DC/DC 컨버터(124-1)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에어로졸 발생 물품(160)이 소정의 목표 온도로 가열 또는 유지되도록 일차 장치(120)로부터 이차 장치(140)의 부하(144)로의 급전량을 조정한다. 이 스텝 S508는, 도 4a 및 도 4c의 타이밍 차트에 나타난, 직접 가열 모드로부터 충전 모드로 흡연 시스템(100)의 동작을 전환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최초로 실시되는 직접 가열 모드에 대응한다. 스텝 S508에 있어서, 일차 장치(120)로부터 이차 장치(140)의 부하(144)로의 급전이 실행되는 것에 의해, 유저는, 이차 장치(140)를 일차 장치(120)에 접속한 제1 사용 형태로 흡연을 실시할 수 있다.
제어부는 이어서, 스텝 S510에 있어서, 일차 장치(120)의 구속부(120B)의 상태가 비구속 상태로부터 구속 상태로 변화했는지 여부(예를 들면 뚜껑(120B)이 닫혔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유저는, 구속부(120B)를 비구속 상태로부터 구속 상태로 변화시키는(예를 들면 뚜껑(120B)을 닫는 조작을 실시하는) 것에 의해, 흡연 시스템(100)의 동작 모드를 직접 가열 모드로부터 충전 모드로 전환하는 지시를 흡연 시스템(100)에 부여할 수 있다. 처리(500)는, 구속부(120B)의 상태가 구속 상태로 변화한 경우는 스텝 S512로 진행되고, 비구속 상태인 채인 경우는 스텝 S508로 되돌아온다.
또한, 스텝 S510에 있어서, 구속부(120B)의 상태가 비구속 상태로부터 구속 상태로 변화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에 대신하여, 에어로졸 발생 물품(160)이 에어로졸 발생 물품 보지부(142)로부터 제거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그러한 예에 있어서, 처리(500)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160)이 에어로졸 발생 물품 보지부(142)로부터 제거된 경우는 스텝 S512로 진행되고, 에어로졸 발생 물품(160)이 에어로졸 발생 물품 보지부(142)에 삽입된 채로 있는 경우는 스텝 S508로 되돌아온다.
구속부(120B)가 구속 상태로 변경되면, 스텝 S512에 있어서, 제어부는, 흡연 시스템(100)을 직접 가열 모드로부터 천이 모드로 이행시키도록 제어를 실시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는, 이차 장치(140)의 구동 회로(146)의 제1 스위치(SW1) 및 제2 스위치(SW2)를 온 상태로부터 오프 상태로 변경함과 동시에, 제3 스위치(SW3)를 그대로 오프 상태로 유지한다. 제어부는 또한, 일차 장치(120)의 DC/DC 컨버터(124-1)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일차 장치(120)로부터 이차 장치(140)로의 급전량을 직접 가열 모드용의 높은 급전량으로부터 충전 모드용의 낮은 급전량으로 변경한다. 이것은, 도 4a의 타이밍 차트의 천이 모드에 있어서 실시되는 제어에 대응한다. 이러한 천이 모드의 제어에 의해, 높은 급전량에 의해 이차 장치(140)의 이차 전원(148)이 충전되어 버리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혹은 또한, 제어부는, 이차 장치(140)의 구동 회로(146)의 제1 스위치(SW1) 및 제2 스위치(SW2)를 온 상태로, 제3 스위치(SW3)를 오프 상태로 각각 유지한 채로, 일차 장치(120)로부터 이차 장치(140)로의 급전량을 직접 가열 모드용의 높은 급전량으로부터 충전 모드용의 낮은 급전량으로 점감시켜도 된다. 이것은, 도 4c의 타이밍 차트의 천이 모드에 있어서 실시되는 제어에 대응한다. 이러한 천이 모드의 제어에 의해, 높은 급전량에 의해 이차 장치(140)의 이차 전원(148)이 충전되어 버리는 것을 회피할 수 있음과 동시에, 부하(144)의 클리닝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부하(144)에 대한 클리닝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클리닝 실시 중에 확실히 에어로졸 발생 물품(160)이 에어로졸 발생 물품 보지부(142)로부터 제거되고 있는지를 판단해도 된다. 일례로서, 제어부는, 천이 모드에 있어서 부하(144)로 급전했을 때의 부하(144)의 승온 속도에 근거하여, 에어로졸 발생 물품(160)이 에어로졸 발생 물품 보지부(142)로부터 제거되었는지를 판단해도 된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160)이 에어로졸 발생 물품 보지부(142)로부터 분리된 상태보다도, 에어로졸 발생 물품(160)이 에어로졸 발생 물품 보지부(146)에 장착된 상태 쪽이, 열용량이 크고, 따라, 부하(144)에 같은 전류 또는 전력을 공급했을 때의 부하(144)의 승온 속도는 늦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면, 전용의 센서를 이용하지 않아도, 클리닝 실시 중에 확실히 에어로졸 발생 물품(160)이 에어로졸 발생 물품 보지부(142)로부터 제거되었는지 여부를 고정밀도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일례로서, 제어부는, 클리닝 실시 중에 에어로졸 발생 물품(160)이 에어로졸 발생 물품 보지부(142)에 장착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 에어로졸 발생 물품(160)을 에어로졸 발생 물품 보지부(142)로부터 제거하도록 유저에게 재촉하는 통지를 실시해도 된다. 또한, 아울러 통지를 실시할 때에는 부하(144)의 클리닝을 중단해도 된다.
흡연 시스템(100)이 천이 모드로 이행한 후, 예를 들면 소정의 길이의 천이 시간이 경과하면, 제어부는, 스텝 S514에 있어서, 흡연 시스템(100)을 천이 모드로부터 충전 모드로 이행시키도록 제어를 실시한다. 이것에 의해, 유저는, 일차 장치(120)를 이용하여 이차 장치(140)의 이차 전원(148)을 충전할 수 있다. 스텝 S514는, 도 4a 및 도 4c의 타이밍 차트에 있어서의, 모드 전환 후에 실시되는 충전 모드에 대응한다. 처리(500)는 그 후 스텝 S504로 되돌아온다.
한편, 스텝 S504의 판정 결과가, 일차 장치(120)의 구속부(120B)가 구속 상태에 있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제어부는, 스텝 S516에 있어서, 흡연 시스템(100)을 충전 모드로 동작시키도록 제어를 실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것처럼, 제어부는, 이차 장치(140)의 구동 회로(146)의 제1 스위치(SW1) 및 제2 스위치(SW2)를 오프 상태로, 제3 스위치(SW3)를 온 상태로 각각 설정한다. 또한, 제어부는, 일차 장치(120)의 급전 회로(124)의 DC/DC 컨버터(124-1)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일차 장치(120)로부터 이차 장치(140)의 이차 전원(148)으로의 급전량을 소정의 낮은 값으로 조정한다. 이 스텝 S516는, 도 4b 및 도 4d의 타이밍 차트에 나타난, 충전 모드로부터 직접 가열 모드로 흡연 시스템(100)의 동작을 전환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최초로 실시되는 충전 모드에 대응한다.
제어부는 이어서, 스텝 S518에 있어서, 일차 장치(120)의 구속부(120B)의 상태가 구속 상태로부터 비구속 상태로 변화했는지 여부(예를 들면 뚜껑(120B)이 열렸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유저는, 구속부(120B)를 구속 상태로부터 비구속 상태로 변화시키는(예를 들면 뚜껑(120B)을 여는 조작을 실시하는) 것에 의해, 흡연 시스템(100)의 동작 모드를 충전 모드로부터 직접 가열 모드로 전환하는 지시를 흡연 시스템(100)에 부여할 수 있다. 처리(500)는, 구속부(120B)의 상태가 비구속 상태로 변화한 경우는 스텝 S520로 진행되고, 구속 상태인 채인 경우는 스텝 S516로 되돌아온다.
구속부(120B)가 비구속 상태로 변경되면, 스텝 S520에 있어서, 제어부는, 흡연 시스템(100)을 충전 모드로부터 천이 모드로 이행시키도록 제어를 실시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는, 이차 장치(140)의 구동 회로(146)의 제1 스위치(SW1) 및 제2 스위치(SW2)를 오프 상태로부터 온 상태로 변경함과 동시에, 제3 스위치(SW3)를 온 상태로부터 오프 상태로 변경한다. 제어부는 또한, 일차 장치(120)의 DC/DC 컨버터(124-1)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일차 장치(120)로부터 이차 장치(140)로의 급전량을 충전 모드용의 낮은 급전량으로부터 직접 가열 모드용의 높은 급전량으로 변경한다. 이것은, 도 4b의 타이밍 차트의 천이 모드에 있어서 실시되는 제어에 대응한다. 이러한 천이 모드의 제어에 의해, 에어로졸 발생 물품(160)을 재빨리 가열할 수 있다.
흡연 시스템(100)이 천이 모드로 이행한 후, 예를 들면 소정의 길이의 천이 시간이 경과하면, 제어부는, 스텝 S522에 있어서, 흡연 시스템(100)을 천이 모드로부터 직접 가열 모드로 이행시키도록 제어를 실시한다. 스텝 S522는, 도 4b의 타이밍 차트에 있어서의, 모드 전환 후에 실시되는 직접 가열 모드에 대응한다. 스텝 S522에 있어서, 유저는, 이차 장치(140)를 일차 장치(120)에 접속한 제1 사용 형태로 흡연을 실시할 수 있다. 처리(500)는 그 후 스텝 S504로 되돌아온다.
스텝 S502의 판정 결과가, 이차 장치(140)가 일차 장치(120)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경우, 즉 흡연 시스템(100)이 제2 사용 형태에 있는 경우, 제어부는, 스텝 S524에 있어서, 흡연 시스템(100)의 모드를 통상 흡연 모드 또는 통상 비흡연 모드로 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는, 이차 장치(140)의 주전원 버튼(유저 조작부(152))이 온이 되어 있는 경우, 흡연 시스템(100)을 통상 흡연 모드로 동작시킨다. 이것에 의해, 이차 장치(140)의 이차 전원(148)으로부터 부하(144)로의 급전이 실행되고, 유저는 이차 장치(140)를 단독으로 이용하여 흡연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제어부는, 이차 장치(140)의 주전원 버튼이 오프로 되어 있는 경우, 흡연 시스템(100)을 통상 비흡연 모드로 동작시킨다. 이와 같이, 이차 장치(140)는 일차 장치(120)로부터 분리된 제2 사용 형태에 있어서 단독으로 동작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흡연 시스템(100)의 제어부(제어부(134 및/또는 154))가 흡연 시스템(100)의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제어를 실시하기 위한 다른 예시적인 처리(600)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처리(600)는, 스텝 S518에 있어서 구속부(120B)의 상태가 비구속 상태로 변화한 경우에 실시되는 스텝 S519 및 스텝 S521를 포함하는 점이 상술한 처리(500)와 다르다.
스텝 S519에 있어서, 제어부는, 이차 장치(140)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 보지부(142)에 에어로졸 발생 물품(160)이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 보지부(142)에 에어로졸 발생 물품(160)을 삽입하는 조작이 실행되면, 처리(600)는(처리(500)에 관하여 설명한 것과 같은) 스텝 S522로 진행되고, 직접 가열 모드가 실시된다. 한편, 에어로졸 발생 물품 보지부(142)에 에어로졸 발생 물품(160)이 아직 삽입되어 있지 않으면, 처리(600)는 스텝 S521로 진행된다.
스텝 S521에 있어서, 제어부는, 흡연 시스템(100)을 충전 모드로부터 천이 모드로 이행시키도록 제어를 실시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는, 이차 장치(140)의 구동 회로(146)의 제1 스위치(SW1) 및 제2 스위치(SW2)를 충전 모드와 같은 오프 상태로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제3 스위치(SW3)를 온 상태로부터 오프 상태로 변경한다. 제어부는 또한, 일차 장치(120)의 DC/DC 컨버터(124-1)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일차 장치(120)로부터 이차 장치(140)로의 급전량을 충전 모드용의 낮은 급전량으로부터 직접 가열 모드용의 높은 급전량으로 변경한다. 이것은, 도 4d의 타이밍 차트의 천이 모드에 있어서 실시되는 제어에 대응한다. 이러한 천이 모드의 제어에 의해, 부하(144)의 공가열을 방지할 수 있다.
스텝 S521에 계속하여, 처리(600)는 스텝 S519의 판정을 더 반복한다. 이것에 의해, 에어로졸 발생 물품 보지부(142)로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160)의 삽입이 이루어질 때까지, 스텝 S521의 천이 모드가 지속하여 실시된다. 흡연 시스템(100)은, 유저가 에어로졸 발생 물품(160)을 에어로졸 발생 물품 보지부(142)에 삽입하는 것을 계기로 하여, 직접 가열 모드로 이행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나타나는 처리(500)에 있어서, 제어부(제어부(134 및/또는 154))는, 구속부(120B)의 상태에 근거하여, 흡연 시스템(100)을 변경 전의 모드(직접 가열 모드 또는 충전 모드)로부터 천이 모드로 이행시켜도 된다. 또한, 도 6에 나타나는 처리(600)에 있어서, 제어부(제어부(134 및/또는 154))는, 구속부(120B)의 상태에 더하여, 이차 장치(140)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 보지부(142)에 에어로졸 발생 물품(160)이 삽입되었는지 여부에 근거하여, 흡연 시스템(100)을 충전 모드로부터 천이 모드로 이행시켜도 된다. 이들을 대신하여, 변경 전의 모드로부터 천이 모드로 이행하기 위한 조건을, 이차 장치(140)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 보지부(142)에 에어로졸 발생 물품(160)이 삽입되었는지 여부만으로 해도 된다. 또는 이들을 대신하여, 유저 조작부(132 또는 152)로의 입력을 이용해도 된다.
상술한 것처럼, 흡연 시스템(100)의 제어부(제어부(134 및/또는 154))는, 구속부(120B)의 상태, 이차 장치(140)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 보지부(142)에 에어로졸 발생 물품(160)이 삽입되었는지 여부, 유저 조작부(132 또는 152)로의 입력이라고 하는 구체적이고 직접적인 유저의 조작이 필요한 조건을 이용하여, 흡연 시스템(100)을 변경 전의 모드(직접 가열 모드 또는 충전 모드)로부터 천이 모드로 이행시킨다. 이들을 대신하여, 유저의 조작에 관계하지 않는 조건 또는 더 간접적인 유저 조작에 관한 조건을 이용하여, 흡연 시스템(100)을 변경 전의 모드(직접 가열 모드 또는 충전 모드)로부터 천이 모드로 이행시켜도 된다. 더 간접적인 유저 조작에 관한 조건의 일례로서, 에어로졸 발생 물품(160)의 잔량이 소정의 문턱값을 밑돌았는지 여부를 이용해도 된다. 제어부(제어부(134 및/또는 154))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보지부(142)에 신품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160)이 삽입되고 나서의, 흡연의 회수, 또는 이차 전원(148)으로부터 부하(144)로의 급전시간 혹은 급전량의 적산값을 이용하여, 에어로졸 발생 물품(160)의 잔량을 추정해도 된다. 또한, 에어로졸 발생 물품(160)의 잔량의 추정 방법은 이들로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또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160)의 잔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이용해도 된다. 이러한 센서로서, 예를 들면 중량 센서나 광학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도 7a는, 이차 장치(140)에 설치된 공기 취입 유로(710)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7b는, 일차 장치(120)에 설치된 공기 취입 유로(720)의 일례를 나타낸다. 흡연 시스템(100)은, 제1 사용 형태(직접 가열 모드)에 있어서 이차 장치(140)를 일차 장치(120)의 연결 포트(122)에 삽입하는 것에 의해 흡연을 실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이차 장치(140)가 연결 포트(122)에 삽입된 상태에서도 에어로졸 발생 물품(160)에 충분한 양의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구조가 필요하다. 이차 장치(140)에 설치된 예시적인 공기 취입 유로(710)는, 공기가 에어로졸 발생 물품 보지부(142)의 개구 측으로부터 취입되어 부하(144)의 근방으로 유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일차 장치(120)에 설치된 예시적인 공기 취입 유로(720)는, 일차 장치(120)의 본체부(120A)의 저부로부터 공기를 취입하여 연결 포트(122) 내의 최심부로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공기 취입 유로(720)를 통하여 연결 포트(122) 내에 안내된 공기는, 연결 포트(122)에 삽입된 이차 장치(140)(도 7b에 있어서 미도시)의 선단 부분(에어로졸 발생 물품 보지부(142)와 반대 측의 단부)에 개구하는, 도 7a의 공기 취입 유로(710)와는 다른 유로로서 형성된 이차 장치(140)의 공기 취입 유로를 지나, 이차 장치(140) 내부의 부하(144)의 근방으로 더 안내된다. 흡연 시스템(100)은, 공기 취입 유로(710 또는 720)의 어느 한쪽을 구비하는 것이어도 되고, 양쪽 모두를 구비하는 것이어도 된다. 이러한 공기 취입 유로(710 및/또는 720)에 의하면, 직접 가열 모드에 있어서 이차 장치(140)를 일차 장치(120)의 연결 포트(122)에 삽입하여 흡연을 실시하는 경우여도, 이차 장치(140) 내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160)에 충분한 양의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 스위치(SW1), 제2 스위치(SW2), 제3 스위치(SW3), 및 제4 스위치(SW4)의 각각의 온 상태와 오프 상태를 전환함으로써, 직접 가열 모드, 천이 모드, 및 충전 모드에 있어서의 전력의 흐름을 제어했지만, 각 모드에 있어서의 전력의 흐름을 제어하는 수단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로서, 도 2에 있어서 이차 장치(140)의 접속 단자(146-1)로부터 부하(144)로 연결되는 구동 회로(146)의 주정모선(主正母線)과 주부모선(主負母線)의 각각으로부터 분기하여 이차 전원(148)에 이르는 회로 상에, 일차 전원(126)으로부터 이차 전원(148)으로의 충전의 방향을 순방향으로 하는 역류 방지용 다이오드를 설치해도 된다. 일차 전원(126)으로부터 이차 전원(148)으로의 급전을 정지하는 직접 가열 모드에서는, 일차 장치(120)로부터의 출력 전압이 이차 전원(148)의 단자 간 전압보다 낮아지도록, 일차 장치(120)의 DC/DC 컨버터(124-1)를 제어하면 된다. 한편, 일차 전원(126)으로부터 이차 전원(148)으로 급전하는 충전 모드에서는, 일차 장치(120)로부터의 출력 전압이 이차 전원(148)의 단자 간 전압보다 높아지도록, 일차 장치(120)의 DC/DC 컨버터(124-1)를 제어하면 된다.
또한, 일차 전원(126)의 단자 간 전압과 이차 전원(148)의 단자 간 전압의 상대 전압을 조정하는 수단은, 일차 장치(120)의 DC/DC 컨버터(124-1)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이차 장치(140)에도 DC/DC 컨버터를 설치해도 된다. 또는 일차 전원(126)과 이차 전원(148)이 적어도 한쪽을 복수의 축전 장치로부터 구성하고, 이들의 직렬 접속과 병렬 접속을 전환해도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여러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직접 가열 모드에 있어서의 일차 장치(120)는 이차 장치(140)의 부하(144)에만 급전하고, 충전 모드에 있어서의 일차 장치(120)는 이차 장치(140)의 이차 전원(148)에만 급전하는 예를 설명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차 장치(140)의 부하(144)와 이차 전원(148)에 동시에 각각 전력의 일부를 급전해도 된다.
100 흡연 시스템
120 일차 장치
120A 본체부
120B 구속부(뚜껑)
120C 힌지
122 연결 포트
124 급전 회로
124-1 DC/DC 컨버터
124-2 접속 단자
126 일차 전원
132 유저 조작부
134 제어부
136 메모리
140 이차 장치
142 에어로졸 발생 물품 보지부
144 부하
146 구동 회로
146-1 접속 단자
148 이차 전원
152 유저 조작부
154 제어부
156 메모리
160 에어로졸 발생 물품
200 전기 회로
710 공기 취입 유로
720 공기 취입 유로

Claims (17)

  1. 에어로졸원을 무화 또는 향미원을 가열하는 부하 및 그 부하로 급전 가능한 전원을 구비하는 이차 장치와,
    상기 이차 장치와의 접속시에 상기 부하 및 상기 전원으로 급전 가능한 일차 장치와,
    상기 일차 장치로부터 상기 부하로 급전하는 제1 모드 및 상기 일차 장치로부터 상기 전원으로 급전하는 제2 모드를 실행 가능한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모드로부터 상기 제2 모드로의 천이인 제1 천이와 상기 제2 모드로부터 상기 제1 모드로의 천이인 제2 천이의 적어도 한쪽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와 상기 제2 모드의 사이에, 상기 일차 장치로부터 상기 전원으로의 급전을 행하지 않는 천이 모드를 실행하고, 상기 천이 모드는, 급전에 관한 기정(旣定)의 변수를 변경하기 위한 천이 시간을 가지는 천이 모드를 실행하는,
    흡연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천이와 상기 제2 천이의 쌍방에 있어서 상기 천이 모드를 실행하는, 흡연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천이에 있어서의 상기 천이 모드의 천이 시간과 상기 제2 천이에 있어서의 상기 천이 모드의 천이 시간은 길이가 다른, 흡연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천이에 있어서의 상기 천이 모드의 천이 시간은 상기 제2 천이에 있어서의 상기 천이 모드의 천이 시간보다도 짧은, 흡연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정의 변수는, 상기 일차 장치로부터 상기 이차 장치로의 급전량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모드에 있어서, 상기 일차 장치로부터 상기 부하로 제1 급전량으로 급전하고,
    상기 제1 천이의 상기 천이 모드에 있어서, 급전량을 상기 제1 급전량으로부터 감소시키는 처리를 상기 일차 장치에 대해서 실시함과 동시에, 상기 일차 장치로부터 상기 전원으로의 급전은 실시하지 않고,
    상기 제2 모드에 있어서, 상기 일차 장치로부터 상기 전원으로 상기 제1 급전량보다 작은 제2 급전량으로 급전하도록 각 모드를 실행하는, 흡연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일차 장치로부터 상기 전원으로의 급전을 실시할 수 있는 상태와 실시할 수 없는 상태를 전환 가능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기정의 변수는, 상기 일차 장치로부터 상기 이차 장치로의 급전량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모드에 있어서, 상기 일차 장치로부터 상기 부하로 제1 급전량으로 급전하고,
    상기 제1 천이의 상기 천이 모드에 있어서, 상기 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일차 장치로부터 상기 전원으로의 급전을 실시할 수 없는 상태로 함과 동시에, 급전량을 상기 제1 급전량으로부터 감소시키는 처리를 상기 일차 장치에 대해서 실시하고,
    상기 제2 모드에 있어서, 상기 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일차 장치로부터 상기 전원으로의 급전을 실시할 수 있는 상태로 함과 동시에, 상기 일차 장치로부터 상기 전원으로 상기 제1 급전량보다 작은 제2 급전량으로 급전하도록 각 모드를 실행하는, 흡연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수단은, 상기 일차 장치와 상기 전원의 사이에 설치된 개폐기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천이의 상기 천이 모드에 있어서, 상기 개폐기를 열도록 제어하는 것에 의해 상기 일차 장치와 상기 전원을 전기적으로 차단하고,
    상기 제2 모드에 있어서, 상기 개폐기를 닫도록 제어하는 것에 의해 상기 일차 장치와 상기 전원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흡연 시스템.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일차 장치와 상기 전원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일차 장치로부터 상기 전원으로 향하는 방향을 순방향으로 하는 다이오드를 구비하고,
    상기 수단은, 상기 일차 장치의 출력 전압과 상기 전원의 전압의 상대 전압을 조정 가능한 조정기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천이의 상기 천이 모드에 있어서, 상기 일차 장치의 출력 전압이 상기 전원의 전압보다 높아지도록 상기 조정기를 제어하고,
    상기 제2 모드에 있어서, 상기 전원의 전압이 상기 일차 장치의 출력 전압보다 높아지도록 상기 조정기를 제어하는,
    흡연 시스템.
  9. 청구항 5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천이의 상기 천이 모드에 있어서, 급전량을 상기 제1 급전량으로부터 상기 제2 급전량으로 점감시키는 처리를 상기 일차 장치에 대해서 실시함과 동시에, 상기 일차 장치로부터 상기 부하로 상기 점감하는 급전량으로 급전하는, 흡연 시스템.
  10. 청구항 5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천이의 상기 천이 모드에 있어서, 상기 일차 장치로부터 상기 전원 및 상기 부하로의 급전은 실시하지 않는, 흡연 시스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일차 장치와 상기 전원 및 상기 부하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일차 장치로부터 상기 전원 및 상기 부하로의 급전을 실시할 수 있는 상태와 실시할 수 없는 상태를 전환 가능한 개폐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천이의 상기 천이 모드에 있어서, 상기 개폐기를 열도록 제어하는 것에 의해 상기 일차 장치와 상기 전원 및 상기 부하를 전기적으로 차단하는, 흡연 시스템.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일차 장치는, 구속 상태에서 상기 이차 장치와 상기 일차 장치의 접속을 유지할 수 있고 또한 비구속 상태에서 상기 접속을 해제할 수 있는 구속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속부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천이와 상기 제2 천이를 식별하는,
    흡연 시스템.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천이의 상기 천이 모드를, 상기 비구속 상태에 있어서 상기 부하와 에어로졸원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접촉이 실행될 때까지 지속시키는, 흡연 시스템.
  14. 흡연 시스템에 있어서 일차 장치로부터 이차 장치로의 급전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이차 장치에 설치된, 에어로졸원을 무화 또는 향미원을 가열하는 부하로 상기 일차 장치로부터 급전하는 제1 모드와, 상기 이차 장치에 설치된, 상기 부하로 급전 가능한 전원으로 상기 일차 장치로부터 급전하는 제2 모드 중의 한쪽을 실행 중인 모드로서 인식하는 스텝과,
    상기 실행 중인 모드로부터, 상기 제1 모드와 상기 제2 모드 중의 다른 한쪽으로 천이시키는 지시를 받아들이는 스텝과,
    상기 지시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모드로부터 상기 제2 모드로의 천이인 제1 천이와 상기 제2 모드로부터 상기 제1 모드로의 천이인 제2 천이의 적어도 한쪽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와 상기 제2 모드의 사이에, 상기 일차 장치로부터 상기 전원으로의 급전을 행하지 않는 천이 모드를 실행하고, 상기 천이 모드는, 급전에 관한 기정의 변수를 변경하기 위한 천이 시간을 가지는 천이 모드를 실행하는 스텝,
    을 포함하는 급전 제어 방법.
  15. 청구항 14에 기재된 각 스텝을 흡연 시스템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
  16. 에어로졸원을 무화 또는 향미원을 가열하는 부하 및 그 부하로 급전 가능한 전원을 구비하는 이차 장치와의 접속시에, 상기 부하 및 상기 전원으로 급전 가능한 일차 장치로서,
    상기 일차 장치로부터 상기 부하로 급전하는 제1 모드 및 상기 일차 장치로부터 상기 전원으로 급전하는 제2 모드를 실행 가능한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모드로부터 상기 제2 모드로의 천이인 제1 천이와 상기 제2 모드로부터 상기 제1 모드로의 천이인 제2 천이의 적어도 한쪽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와 상기 제2 모드의 사이에, 상기 일차 장치로부터 상기 전원으로의 급전을 행하지 않는 천이 모드를 실행하고, 상기 천이 모드는, 급전에 관한 기정의 변수를 변경하기 위한 천이 시간을 가지는 천이 모드를 실행하는,
    일차 장치.
  17. 에어로졸원을 무화 또는 향미원을 가열하는 부하 및 그 부하로 급전 가능한 전원을 구비하고, 상기 부하 및 상기 전원으로 급전 가능한 일차 장치와 접속 가능한 이차 장치로서,
    상기 일차 장치로부터 상기 부하로 급전하는 제1 모드 및 상기 일차 장치로부터 상기 전원으로 급전하는 제2 모드를 실행 가능한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모드로부터 상기 제2 모드로의 천이인 제1 천이와 상기 제2 모드로부터 상기 제1 모드로의 천이인 제2 천이의 적어도 한쪽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와 상기 제2 모드의 사이에, 상기 일차 장치로부터 상기 전원으로의 급전을 행하지 않는 천이 모드를 실행하고, 상기 천이 모드는, 급전에 관한 기정의 변수를 변경하기 위한 천이 시간을 가지는 천이 모드를 실행하는,
    이차 장치.
KR1020197028454A 2017-03-13 2017-03-13 흡연 시스템, 급전 제어 방법, 프로그램, 일차 장치, 및 이차 장치 KR1023126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7/009946 WO2018167818A1 (ja) 2017-03-13 2017-03-13 喫煙システム、給電制御方法、プログラム、一次装置、及び二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0802A KR20190120802A (ko) 2019-10-24
KR102312671B1 true KR102312671B1 (ko) 2021-10-14

Family

ID=63523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8454A KR102312671B1 (ko) 2017-03-13 2017-03-13 흡연 시스템, 급전 제어 방법, 프로그램, 일차 장치, 및 이차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3) US11445760B2 (ko)
EP (1) EP3586656A4 (ko)
JP (1) JP6653043B2 (ko)
KR (1) KR102312671B1 (ko)
CN (2) CN115444173A (ko)
CA (1) CA3055162C (ko)
EA (1) EA037897B1 (ko)
TW (1) TWI700999B (ko)
WO (1) WO20181678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07418A1 (en) * 2016-05-31 2017-12-07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 generating device with multiple heaters
JP2020058236A (ja) * 2018-10-04 2020-04-16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吸引成分生成装置、制御回路、吸引成分生成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JP6609687B1 (ja) 2018-12-27 2019-11-20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吸引器用の電源ユニット、そ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6557433B1 (ja) * 2019-01-17 2019-08-07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吸引器用の電源ユニット
KR102281869B1 (ko) * 2019-06-18 2021-07-26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JP2020058394A (ja) * 2020-01-23 2020-04-16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喫煙システム、給電制御方法、プログラム、一次装置、及び二次装置
JP6856811B1 (ja) 2020-09-07 2021-04-14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生成装置の電源ユニット
JP6875587B1 (ja) * 2020-09-07 2021-05-26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発生システム
JP6856810B1 (ja) * 2020-09-07 2021-04-14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生成装置の電源ユニット
JP6905134B1 (ja) 2020-09-07 2021-07-21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生成装置の電源ユニット
CN213819843U (zh) * 2020-09-30 2021-07-30 深圳市合元科技有限公司 气溶胶生成系统及充电盒
US20220218023A1 (en) * 2021-01-13 2022-07-14 Sobota HnB Technologies LLC Vaporizer for smoking cigarettes with individual heat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93695A1 (en) * 2011-12-18 2013-06-27 Sis Resources Ltd. Charging electronic cigarette
KR101667502B1 (ko) 2012-01-03 2016-10-18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휴대용 에어로졸-발생 장치를 위한 전원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9448B1 (ko) * 1997-07-23 2001-05-02 미즈노 마사루 향미발생장치
US7977911B2 (en) * 2007-02-08 2011-07-12 O2 Micro, Inc. Power supply topology
CN101364741B (zh) * 2007-08-09 2012-03-28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手机充电器
EP2100525A1 (en) * 2008-03-14 2009-09-16 Philip Morris Products S.A. Electrically heated aerosol generating system and method
EP2253233A1 (en) 2009-05-21 2010-11-24 Philip Morris Products S.A. An electrically heated smoking system
CN201550602U (zh) * 2009-08-25 2010-08-18 陈志平 一种电子烟盒
CA2959909C (en) * 2010-04-30 2019-10-29 Fontem Holdings 4 B.V. Electronic smoking device
CN101989300A (zh) 2010-10-15 2011-03-23 江苏省莱科信息技术有限公司 失踪人员寻找系统和寻找失踪人员的实现方法
CN102940313B (zh) * 2012-11-13 2015-04-01 卓尔悦(常州)电子科技有限公司 电子烟的智能控制器及方法
CN203152482U (zh) * 2013-01-17 2013-08-28 刘秋明 电子烟
CN103230099B (zh) * 2013-05-14 2015-09-30 深圳市合元科技有限公司 电子烟供电装置及供电方法
CN104253457B (zh) * 2013-06-28 2018-08-10 惠州市吉瑞科技有限公司 电子烟盒及其对电子烟进行充电的方法
MY189739A (en) * 2014-05-02 2022-02-28 Japan Tobacco Inc Non-burning-type flavor inhaler
CN104055224B (zh) * 2014-06-09 2017-01-11 矽力杰半导体技术(杭州)有限公司 一种用于电子烟的集成电路及电子烟
CN203986117U (zh) * 2014-06-27 2014-12-10 卓尔悦(常州)电子科技有限公司 电子烟无线数据控制系统
CN106572700B (zh) * 2014-07-24 2019-05-03 尼科创业控股有限公司 用于电子烟的再充电包
TWI674072B (zh) * 2015-04-30 2019-10-11 日商日本煙草產業股份有限公司 非燃燒型香味吸嘗器
CN106410303B (zh) * 2015-07-27 2019-02-19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充电方法及装置
CN204835627U (zh) * 2015-08-10 2015-12-02 北京希格玛和芯微电子技术有限公司 充电装置及电子烟
US10201187B2 (en) * 2015-11-02 2019-02-12 Rai Strategic Holdings, Inc. User interface for an aerosol delivery device
CN205378851U (zh) * 2015-12-28 2016-07-13 广东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卷烟加热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93695A1 (en) * 2011-12-18 2013-06-27 Sis Resources Ltd. Charging electronic cigarette
KR101667502B1 (ko) 2012-01-03 2016-10-18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휴대용 에어로졸-발생 장치를 위한 전원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A037897B1 (ru) 2021-06-03
TWI700999B (zh) 2020-08-11
CN115444173A (zh) 2022-12-09
EP3586656A4 (en) 2020-11-04
CA3055162A1 (en) 2018-09-20
JPWO2018167818A1 (ja) 2019-11-07
TW201838528A (zh) 2018-11-01
US20190387806A1 (en) 2019-12-26
CA3055162C (en) 2022-01-04
US20240156169A1 (en) 2024-05-16
JP6653043B2 (ja) 2020-02-26
WO2018167818A1 (ja) 2018-09-20
US11918049B2 (en) 2024-03-05
EP3586656A1 (en) 2020-01-01
CN110430767B (zh) 2022-09-20
US11445760B2 (en) 2022-09-20
KR20190120802A (ko) 2019-10-24
EA201992101A1 (ru) 2020-02-04
CN110430767A (zh) 2019-11-08
US20220386701A1 (en) 2022-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2671B1 (ko) 흡연 시스템, 급전 제어 방법, 프로그램, 일차 장치, 및 이차 장치
KR102329512B1 (ko) 흡연 시스템, 급전 제어 방법, 프로그램, 일차 장치, 및 이차 장치
KR102603409B1 (ko) 충전식 전원을 갖는 전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JP6845131B2 (ja) 適応型電池充電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2020058394A (ja) 喫煙システム、給電制御方法、プログラム、一次装置、及び二次装置
CN109068736A (zh) 电池组件、香味吸入器、控制电池组件的方法、及程序
CN109068731A (zh) 电池组件、香味吸入器、控制电池组件的方法、及程序
KR20160040643A (ko) 배터리 전력 제어를 갖는 장치
US20210169150A1 (en) Dual Battery Electronic Cigarette
EP3410876B1 (en) Aerosol-generating device having multiple power supplies
EP4248776A1 (en) Power supply unit for aerosol production device
JP2022019752A (ja) 喫煙システム、給電制御方法、プログラム、一次装置、及び二次装置
CN116349107A (zh) 气溶胶产生装置电力系统
EA044173B1 (ru) Курительная система, способ и программа управления электропитанием, перви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втори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CN116546898A (zh) 用于乳房矫形及胸椎矫正的女性上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