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2418B1 - Reverse type container clean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Reverse type container clean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2418B1
KR102312418B1 KR1020190139304A KR20190139304A KR102312418B1 KR 102312418 B1 KR102312418 B1 KR 102312418B1 KR 1020190139304 A KR1020190139304 A KR 1020190139304A KR 20190139304 A KR20190139304 A KR 20190139304A KR 102312418 B1 KR102312418 B1 KR 1023124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pallet
sides
cleaning
vacu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93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53560A (en
Inventor
윤정원
Original Assignee
윤정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정원 filed Critical 윤정원
Priority to KR10201901393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2418B1/en
Publication of KR20210053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356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2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241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 B08B9/20Cleaning containers, e.g. tanks by using apparatus into or on to which containers, e.g. bottles, jars, cans are brought
    • B08B9/2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by using apparatus into or on to which containers, e.g. bottles, jars, cans are brought the apparatus cleaning by splash, spray, or jet application, with or without soaking
    • B08B9/283Cleaning containers, e.g. tanks by using apparatus into or on to which containers, e.g. bottles, jars, cans are brought the apparatus cleaning by splash, spray, or jet application, with or without soaking by gas jets
    • B08B9/286Cleaning containers, e.g. tanks by using apparatus into or on to which containers, e.g. bottles, jars, cans are brought the apparatus cleaning by splash, spray, or jet application, with or without soaking by gas jets the gas being ioniz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 B08B9/0821Handling or manipulating containers, e.g. moving or rotating containers in cleaning devices, conveying to or from clea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 B08B9/20Cleaning containers, e.g. tanks by using apparatus into or on to which containers, e.g. bottles, jars, cans are brought
    • B08B9/42Cleaning containers, e.g. tanks by using apparatus into or on to which containers, e.g. bottles, jars, cans are brought the apparatus being characterised by means for conveying or carrying containers therethrough
    • B08B9/426Grippers for bott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 클리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를 뒤집어 이물질의 자유 낙하를 통한 배출은 물론, 이오나이저 분사를 통한 용기내 정전기의 제거는 물론 이물질의 제거 및 살균이 동시에 수행 가능하게 되며, 진공을 통한 이물질의 흡입 배출이 가능하게 하는 등 개선된 구조를 통한 이물질의 완전한 제거가 가능하게 하며, 또한 파렛트를 이용한 용기의 대량 세척은 물론, 회전 작동을 통한 연속된 작업으로 생산성의 향상을 가져오게 하기 위한 역립식 용기 클리닝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clean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turn the container upside down and discharge foreign substances through free fall, as well as to remove static electricity in the container through ionizer spray, as well as to remove and sterilize foreign substances at the same time. , It enables complete removal of foreign substances through an improved structure, such as enabling suction and discharge of foreign substances through vacuum. It relates to an inverted container cleaning device for bringing out.

Description

역립식 용기 클리닝 장치{REVERSE TYPE CONTAINER CLEANING APPARATUS}Inverted container cleaning device {REVERSE TYPE CONTAINER CLEANING APPARATUS}

본 발명은 용기 클리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용기를 일시에 뒤집어 내부의 이물질의 완전한 제거가 가능하게 하며, 특히 이오나이저(ioniner)를 통한 정전기의 제거 및 살균과, 진공을 통한 이물질의 용이한 흡입 배출이 가능하게 하는 역립식 용기 클리닝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clean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by turning over a plurality of containers at once to enable complete removal of foreign substances inside, in particular, removal and sterilization of static electricity through an ionizer, and vacuum It relates to an inverted container cleaning device that enables easy suction and discharge of foreign substances.

용기는 음용수, 약품, 미용용 크림 등의 물질을 수용 및 보관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그 용도에서 알 수 있듯이 인체에 절대적으로 무해하여야 한다.Containers are used to accommodate and store substances such as drinking water, drugs, and cosmetic creams, and as can be seen from their use, they must be absolutely harmless to the human body.

특히, 합성수지재로 제작되는 용기는 재질 특성상 정전기가 발생되며, 이러한 정전기 및 운반 과정에서 용기의 내부로는 분진과 같은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다. 때문에, 용기의 제작 공정, 구체적으로 용기의 포장 공정 이전에는 이물질 제거를 위한 클리닝 공정이 반드시 수반되어야 한다.In particular, a container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generates static electricity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 and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may be introduced into the container during the static electricity and transport process. Therefore, a cleaning process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must be accompanied before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container, specifically, the packaging process of the container.

그러나 종래의 클리닝 공정은 용기를 세운 후 세척수 및 브러시를 이용하여 용기의 내부 벽면을 세정하는 방식이 주를 이루었으나, 이러한 경우 이물질과 혼합된 세척수가 잔존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때문에, 세정 이후 용기를 건조시키는 별도의 장치가 요구되었으며, 그만큼 클리닝 공정의 운용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cleaning process, washing water and a brush were used to wash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container after the container was set, but in this case,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washing water mixed with foreign substances remained. Therefore, a separate device for drying the container after washing is required,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operating cost of the cleaning process increases accordingly.

또한, 세척된 용기 내부에의 물기로 인해 이물질이 흡착되게 되는 것인바, 건조시 이물질이 그대로 잔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foreign substances are adsorbed due to moisture inside the washed container,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foreign substances remain as they are during drying.

이에, 근자에 들어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용기의 내부로 에어를 분사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클리닝장치가 제안되기도 한다.Accordingly, recently,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cleaning device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by spraying air into the container has been proposed.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클리닝장치는 에어의 분사 및 흡입을 통한 이물질의 효과적인 제거는 가능하였으나, 내부의 살균 처리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연속된 작업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cleaning apparatus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move foreign substances through air injection and suction,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terilization treatment is not performed inside, and in particular, there is a problem in that continuous operation is difficult.

대한민국실용신안공개 제20-1996-0005055호.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1996-0005055. 대한민국특허공개 제10-2013-0008728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00872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용기를 뒤집어 이물질의 자유 낙하를 통한 배출은 물론, 이오나이저 분사를 통한 용기내 정전기의 제거는 물론 이물질의 제거 및 살균이 동시에 수행 가능하게 되며, 진공을 통한 이물질의 흡입 배출이 가능하게 하는 등 개선된 구조를 통한 이물질의 완전한 제거가 가능하게 하기 위한 역립식 용기 클리닝 장치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n addition to discharging through free fall of foreign substances by inverting the vessel, static electricity in the vessel through ionizer injection as well as removal and sterilization of foreign substances can be performed at the same tim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verted container cleaning apparatus for enabling complete removal of foreign substances through an improved structure, such as enabling suction and discharge of foreign substances through vacuum.

또한, 파렛트를 이용한 용기의 대량 세척은 물론, 회전 작동을 통한 연속된 작업으로 생산성의 향상을 가져오게 하기 위한 역립식 용기 클리닝 장치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In addition,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upside-down container cleaning apparatus for increasing productivity through continuous operation through rotation, as well as mass washing of containers using pallet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좌우 길이를 가지며 다수의 용기 클램프가 일렬 형성되어 다수의 용기가 일렬 장착되는 파렛트를 이송 및 용기내 이물질을 제거하되,As a specific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plurality of container clamps having a left and right length are formed in a line to transport a pallet on which a plurality of containers are mounted in a line and remove foreign substances in the container,

좌우 길이를 가지며, 중앙에는 클리닝 작업홈이 형성된 본체;a main body having a left and right length, and a cleaning work groove formed in the center;

상기 본체 상부에서 클리닝 작업홈 양측에 형성되어 파렛트가 안착 및 이송되는 파렛트 이송부;a pallet transfer unit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leaning work groove in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to receive and transfer the pallet;

본체의 클리닝 작업홈에 형성되어 파렛트 이송부를 통해 이송되는 파렛트를 클램핑 및 그 파렛트를 상하 회전 역립시키는 회전 작동부; 및a rotation operation unit formed in the cleaning work groove of the main body to clamp the pallet transferred through the pallet transfer unit and rotate the pallet up and down; and

본체에서 회전 작동부 하부에 형성되어, 이오나이저와 진공을 통해 역립된 용기의 내부 이물질을 제거하는 클리닝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며,It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rotating operation part in the main body and comprises a cleaning part that removes foreign substances inside the container inverted through the ionizer and vacuum,

상기 회전 작동부는,The rotating operation unit,

내부가 중공되고 좌우 길이를 이루며,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 파렛트 이송부와 연결되어 파렛트를 인계받는 파렛트 안치부가 형성된 작동부 몸체;an operation unit body having a hollow inside and forming a left and right length, and a pallet seating unit connected to a pallet transfer unit and receiving a pallet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respectively;

작동부 몸체의 일단에 축 결합되어 회전모터 구동에 의해 작동부 몸체를 상하 180° 왕복 회전시키는 회전수단;Rotating means which is shaft-coupled to one end of the operating unit body and rotates the operating unit body up and down 180° reciprocally by driving the rotating motor;

작동부 몸체에 형성되며, 각각의 파렛트 안치부에 안치되는 파렛트를 잡아 고정하되, 상하에 대칭되게 형성되어 상부 및 하부의 파렛트 안치부에 안치된 파렛트를 각각 고정하는 한 쌍의 파렛트 고정수단; 및A pair of pallet fixing means formed in the operating unit body and fixed by holding and fixing the pallets placed in each of the pallet resting parts, which are formed symmetrically up and down to fix the pallets placed in the upper and lower pallet resting units, respectively; and

작동부 몸체에 형성되며, 각각의 파렛트 안치부에 안치된 파렛트에 장착된 용기를 고정하되, 양측에 대칭되게 형성되어 상부 및 하부의 파렛트에 장착된 용기를 각각 고정하는 한 쌍의 용기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하며,A pair of container fixing means formed on the operating unit body and fixing the containers mounted on the pallets placed in the respective pallet seating units, respectively, which are forme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to fix the containers mounted on the upper and lower pallets. consists of,

또한, 상기 각각의 파렛트 고정수단은,In addition, each of the pallet fixing means,

상기 작동부 몸체의 양측면에 관통 형성되는 수직형 가이드공;a vertical guide hole formed through both sides of the operating unit body;

상기 작동부 몸체의 내측에 수직 형성되며, 양측 가이드공을 통해 외부로 돌출 및 상하 승강 작동하는 승강바를 갖는 수직형 승강실린; 및a vertical lifting cylinder formed vertically on the inner side of the operating unit body and having a lifting bar that protrudes outward through both guide holes and moves up and down; and

양측으로 돌출된 승강바 단부에 결합되며, 상부 양측에는 하강시 파렛트의 폭방향 양측을 상부에서 가압 고정하는 파렛트 고정부재가 형성된 양측 한 쌍의 파렛트 고정판을 포함하여 구성하며,It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lifting bar protruding from both sides, and the upper both sides include a pair of pallet fixing plates on both sides of which pallet fixing members are formed to press and fix both sides of the pallet from the upp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when descending,

또한, 상기 각각의 용기 고정수단은,In addition, each of the container fixing means,

상기 작동부 몸체의 일측에 형성되는 지지대;a support formed on one side of the operating unit body;

상기 지지대에 수직 형성되어 상하 출몰 작동하는 승강실린더;an elevating cylinder vertically formed on the support and operating up and down;

승강실린더를 기준으로 지지대의 양측을 수직 관통 및 슬라이딩 작동하는 양측 한 쌍으로 구성되며, 양측 일단이 승강실린더가 연결되는 연결대로 연결되는 작동부 가이드봉;an operation part guide rod consisting of a pair of both sides vertically penetrating and sliding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based on the lifting cylinder, and both ends of which are connected to a connecting rod to which the lifting cylinder is connected;

양측 작동부 가이드봉의 타단을 연결 및 용기의 상부를 가압 고정하며, 용기의 목부가 관통 고정되는 복수의 용기 관통공이 형성된 용기 고정대를 포함하여 구성하며,It connects the other ends of the guide rods of both operation parts and pressurizes and fixes the upper part of the container, and comprises a container holder having a plurality of container through-holes through which the neck of the container is penetrated and fixed,

또한, 상기 클리닝부는,In addition, the cleaning unit,

좌우 길이를 가지는 클리닝부 몸체;a cleaning unit body having left and right lengths;

상기 클리닝부 몸체의 길이방향 양측에서 상부로 수직 입설되는 양측 한 쌍의 클리닝부 가이드봉;a pair of cleaning part guide rods on both sides of the cleaning part body vertically upright from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양측에 클리닝부 가이드봉이 관통 및 진공대 실린더를 통해 상하 승강 작동하며, 상부에는 중앙에 수직으로 관통홀이 관통되고, 후방에는 흡입공이 형성되어 역립된 용기의 개구된 목부를 압착 폐쇄 및 별도의 진공장치 작동에 의해 용기 내부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다수의 진공블록이 형성된 진공대;The cleaning part guide rod penetrates on both sides and moves up and down through the vacuum cylinder cylinder, a through hole is vertically penetrated in the center in the upper part, and a suction hole is formed in the rear to close the open neck of the inverted container by pressing and closing a separate vacuum. a vacuum band formed with a plurality of vacuum blocks for sucking foreign substances inside the container by the operation of the device;

상기 진공대 하부에서 양측에 클리닝부 가이드봉이 관통 및 노즐대 실린더를 통해 상하 승강 작동하며, 상부에는 진공블록의 관통홀을 관통 및 역립된 각각의 용기 내부로 출몰 작동하며 별도의 이오나이저 발생기 작동에 의해 용기 내부로 이오나이저를 분사하는 다수의 이오나이저 노즐이 형성된 노즐대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In the lower part of the vacuum band, the cleaning part guide rods on both sides penetrate and move up and down through the nozzle stand cylinder, and at the upper part, it penetrates the through hole of the vacuum block and moves in and out of each container inverted, and a separate ionizer generator is operated. This can be achieved by including a nozzle rod in which a plurality of ionizer nozzles for spraying the ionizer into the container by the ionizer are form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 역립식 용기 클리닝 장치는, 회전장치를 통한 용기의 회전 역립을 통해 이물질의 자유 낙하가 가능한 것인바 용이한 배출은 물론, 용기 내부로 이오나이저 노즐을 통한 이오나이저의 정전기 제거와 이물질의 제거 및 살균이 동시에 가능하게 하며, 특히 진공을 통한 이물질의 흡입 제거가 가능하게 되는 등 용기내 이물질의 완전한 제거 및 살균이 동시에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in the inverted container clean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ree fall of foreign substances is possible through the rotation and inversion of the container through the rotating device.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remove and sterilize foreign substances, and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simultaneously removing and sterilizing foreign substances in the container, such as suction and removal of foreign substances through vacuum.

또한, 다수의 용기가 장착되는 파렛트를 상하 회전 작동 가능하게 하되, 하부의 세척과 상부의 탈거 및 장착이 가능하여 연속된 동작을 통한 세척이 가능하게 되는 등 생산성이 한층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allet on which a plurality of containers are mounted can be rotated up and down, but the lower part can be washed and the upper part can be removed and mounted, so that it is possible to wash through continuous operation. will be.

도 1은 본 발명 역립식 용기 클리닝 장치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역립식 용기 클리닝 장치의 전체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 역립식 용기 클리닝 장치의 내부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 역립식 용기 클리닝 장치의 요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역립식 용기 클리닝 장치의 회전 작동부 요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역립식 용기 클리닝 장치의 회전 작동부 분해 사시더.
도 7은 본 발명 역립식 용기 클리닝 장치의 클리닝부 요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역립식 용기 클리닝 장치의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 역립식 용기 클리닝 장치의 이송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 역립식 용기 클리닝 장치의 회전 작동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 역립식 용기 클리닝 장치의 클리닝 상태도.
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n upside-down container clean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overall plan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inverted container cleaning apparatus.
3 is an internal side view of the upside-down container clean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upside-down container clean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rotating operation part of the upside-down container clean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xploded view of the rotating operati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verted container cleaning device.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clean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verted container cleaning apparatus.
8 is a sid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inverted container cleaning apparatus.
9 is a transport state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inverted container cleaning apparatus.
10 is a rotational operation state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inverted container cleaning device.
11 is a cleaning state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inverted container cleaning apparatus.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ir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may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describe his invention.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re is.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configuration shown in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ey can be substituted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 역립식 용기 클리닝 장치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역립식 용기 클리닝 장치의 전체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역립식 용기 클리닝 장치의 내부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역립식 용기 클리닝 장치의 요부 사시도이다.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the upside-down container clean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overall plan view of the upside-down container clean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internal side view of the upside-down container clean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It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of an inverted container cleaning apparatus.

도 1 내지 도 4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역립식 용기 클리닝 장치(1)는 좌우 길이를 가지며 다수의 용기 클램프(11)(11')가 일렬 형성되어 다수의 용기(20)가 일렬 장착되는 파렛트(10)를 이송 및 용기내 이물질을 제거하되, 본체(100)와, 파렛트 이송부(200)와, 회전 작동부(300)와, 클리닝부(400)로 구성된다.1 to 4, the present invention inverted container cleaning apparatus 1 has a left and right length, and a plurality of container clamps 11 and 11' are formed in a line, and a plurality of containers 20 are mounted in a line. (10) to transfer and remove foreign substances in the container, but consists of a main body 100, a pallet transfer unit 200, a rotation operation unit 300, and a cleaning unit 400.

먼저, 본체(100)는 본 발명 역립식 용기 클리닝 장치(1)를 구성함에 있어, 기초를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도면상 좌우 길이를 이루는 함체 형태를 이루게 구성된다.First, the main body 100 is configured to form a basis in configuring the upside-down container cleaning apparatus 1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configured to form a housing shape forming the left and right lengths in the drawing.

이때, 본체(100)에는 그 상부 중앙에는 후술하는 회전 작동부(300)와 클리닝부(400)를 통해 상기 파렛트(10)의 회전 작동 및 이물질의 제거 작업이 가능하게 하는 클리닝 작업홈(110)이 관통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main body 100 has a cleaning operation groove 110 that enables rotation operation of the pallet 10 and removal of foreign substances through a rotation operation unit 300 and a cleaning unit 400 to be described later in the upper center thereof. This is made up of penetrations.

상기 파렛트 이송부(200)는 본 발명 역립식 용기 클리닝 장치(1)를 구성함에 있어, 용기가 장착된 파렛트(10)의 이송을 단속하게 구성된다.The pallet transfer unit 200 is configured to intermittently transfer the pallet 10 on which the container is mounted, in constituting the inverted container cleaning apparatus 1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를 위해, 파렛트 이송부(200)는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 형성되되, 상기 클리닝 작업홈(110)을 기준으로 양측에 형성되어 파렛트(10)를 클리닝 작업홈(110)으로 이송 및 작업이 완료된 파렛트(10)를 클리닝 작업홈(110)으로부터 배출 이송하게 구성된다.To this end, the pallet transfer unit 200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0, is formed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cleaning work groove 110, and the pallet 10 is transferred to the cleaning work groove 110 and the operation is performed. It is configured to discharge and transport the completed pallet 10 from the cleaning work groove 110 .

한편, 본 발명에서 파렛트 이송부(200)를 구성함에 있어, 그 이송 방법은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도면중 미도시 되었지만, 통상의 실린더 작동을 통해 연속하여 중첩되는 파렛트를 밀어 이송시키거나,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in configuring the pallet transfer unit 200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fer method is not limited and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It may be transported or configured to be transportable through a conveyor.

즉, 파렛트 이송부(200)는 일측에 장착되는 파렛트(10)를 클리닝 작업홈(110)에 장착되는 후술하는 회전 작동부(300)로 이송 및 그 회전 작동부(300)로부터 배출시키게 구성된다.That is, the pallet transfer unit 200 is configured to transfer the pallet 10 mounted on one side to a rotation operation unit 300 to be described later mounted on the cleaning work groove 110 and discharge it from the rotation operation unit 300 .

상기 회전 작동부(300)는 본 발명 역립식 용기 클리닝 장치(1)를 구성함에 있어, 상기 파렛트 이송부(200)로부터 용기가 장착된 파렛트(10)를 인계받아 각각의 용기가 뒤집어지도록 회전 작동하게 구성된다.The rotation operation unit 300 receives the pallet 10 on which the container is mounted from the pallet transfer unit 200 in configuring the inverted container cleaning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rotates each container so that the container is turned over. is composed

이를 위해, 회전 작동부(300)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먼저, 작동부 몸체(310)가 구성된다.To this end, the rotation operation unit 300 is first configured with an operation unit body 310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

이때, 작동부 몸체(310)는 내부가 중공되고 좌우 길이를 이루는 함체 형태를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그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좌우로 개방되는 홈 형태를 이루어 상기 파렛트 이송부(200)로부터 파렛트(10)를 인계받는 한 쌍의 파렛트 안치부(311)(311')가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operating unit body 310 is hollow inside and is configured to form a housing having a left and right length, and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have a groove shape that is opened to the left and right, respectively, and the pallet 10 from the pallet transfer unit 200 A pair of pallet seating units 311 and 311 ′ to be taken over are configured.

여기서, 상기 파렛트 안치부(311)(311') 중 상부에 위치되는 파렛트 안치부(311)(311')는 상기 파렛트 이송부(200)와 동일 수평선상을 이루게 구성된다.Here, among the pallet seating parts 311 and 311 ′, the pallet seating parts 311 and 311 ′ positioned on the upper part are configured to form the same horizontal line as the pallet transport part 200 .

또한, 회전 작동부(300)에는 회전수단(320)이 구성된 것으로, 회전수단(320)은 상기 작동부 몸체(310)의 일단에 구동축(321a) 결합되는 회전모터(321)로 구성되어 그 회전모터(321) 작동에 의해 작동부 몸체(310)를 상하 회전시키게 구성된다.In addition, the rotation operation unit 300 includes a rotation means 320 , and the rotation means 320 includes a rotation motor 321 coupled to a driving shaft 321a to one end of the operation unit body 310 , and the rotation means It is configured to rotate the operating unit body 310 up and down by the operation of the motor 321 .

이때, 본 발명에서 상기 회전모터(321)는 정역 구동하되, 바람직하게는 작동부 몸체(310)를 상하 180° 왕복 회전시켜 상기 파렛트 안치부(311)(311')에 안치되는 파렛트(10)를 상하 위치 교번 시키게 구성된다.At this tim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ry motor 321 is driven in a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 preferably by rotating the operating unit body 310 up and down 180° reciprocally to be placed in the pallet placing parts 311 and 311 ' (10). is configured to alternate up and down positions.

또한, 회전 작동부(300)에는 파렛트 고정수단(330)(330')이 구성된 것으로, 파렛트 고정수단(330)(330')은 상기 작동부 몸체(310)에 형성되어 각각의 파렛트 안치부(311)(311')에 안치되는 파렛트(10)를 잡아 고정하되, 상부 및 하부에 대칭되게 형성되어 상부 및 하부의 파렛트 안치부(311)(311')에 안치된 파렛트(10)를 각각 고정하게 구성된다.In addition, the rotation operation unit 300 includes pallet fixing means 330 and 330 ′, and the pallet fixing means 330 and 330 ′ are formed in the operation unit body 310 to place each pallet ( 311) (311 ') but holding and fixing the pallet 10 placed in (311'), formed symmetrically on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pallet 10 placed in the upper and lower pallet seating parts (311, 311') are fixed, respectively it is composed

이때, 각각의 파렛트 고정수단(330)(330')은 먼저, 상기 작동부 몸체(310)의 양측면에는 그 작동부 몸체(310) 내부로 관통 형성되는 수직형 가이드공(331)이 구성된 것으로, 수직형 가이드공(331)은 작동부 몸체(310)의 양측에 대칭되게 구성된다.At this time, each of the pallet fixing means 330 and 330 ′ is first, on both sides of the operating unit body 310, a vertical guide hole 331 penetrating into the operating unit body 310 is configured, The vertical guide hole 331 is configured to be symmetrical on both sides of the operation unit body 310 .

또한, 각각의 파렛트 고정수단(330)(330')에는 승강실린더(332)가 구성된 것으로, 승강실린더(332)는 작동부 몸체(310)의 내부에서 상기 양측 가이드공(331)의 사이에 구성된다.In addition, each of the pallet fixing means 330 and 330 ′ is configured with a lifting cylinder 332 , and the lifting cylinder 332 is configured between the guide holes 331 on both sides in the inside of the operating unit body 310 . do.

그리고 상기 승강실린더(332)에는 실린더로드(도면중 미도시함)에 그 승강실린더(332) 작동에 의해 상하 승강 작동하는 승강바(333)가 구성된 것으로, 이때 승강바(333)는 상기 양측의 가이드공(331)을 관통하여 소정 돌출되게 구성된다.And the elevating cylinder 332 has a cylinder rod (not shown in the drawing) and an elevating bar 333 that moves up and down by the elevating cylinder 332 operation, in which case the elevating bar 333 i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elevating cylinder 332 . It is configured to protrude through the guide hole 331 .

또한, 각각의 파렛트 고정수단(330)(330')에는 파렛트 고정판(334)이 구성된 것으로, 파렛트 고정판(334)은 양측 한 쌍을 이루게 구성되며, 각각은 상기 승강바(333)의 양측에 고정되며, 서로 대응되는 면에서 양측에는 파렛트 안치부(311)(311')에 안치된 파렛트(10)를 가압 고정하는 파렛트 고정부재(335)가 구성된다.In addition, each of the pallet fixing means 330 and 330 ′ is configured with a pallet fixing plate 334 , and the pallet fixing plate 334 is configured to form a pair on both sides, and each is fixed to both sides of the lifting bar 333 . And, the pallet fixing member 335 is configured to press and fix the pallet 10 placed in the pallet resting parts 311 and 311' on both sides of the corresponding surfaces.

즉, 각각의 파렛트 고정수단(330)(330')은 파렛트(10)가 상부에 위치되는 파렛트 안치부(311)에 안치시 승강실린더(332) 작동에 의해 파렛트 고정판(334)을 하강 및 파렛트(10)의 상부 양측을 가압하여 고정하게 되며, 반대로 파렛트(10)를 배출시 상승하여 고정력을 해제하게 된다.That is, each of the pallet fixing means 330 and 330 ′ lowers and lowers the pallet fixing plate 334 by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cylinder 332 when the pallet 10 is placed in the pallet placing part 311 located on the upper part. The upper both sides of (10) are pressed and fixed, and on the contrary, when the pallet 10 is discharged, it rises to release the fixing force.

또한, 회전 작동부(300)에는 상기 파렛트(10)에 장착된 용기를 고정하기 위한 용기 고정수단(340)(340')이 구성된 것으로, 각각의 용기 고정수단(340)(340')은 상기 작동부 몸체(310)의 폭방향 양측에 대칭되게 형성되어 파렛트(10)에 장착된 다수의 용기를 고정하게 구성된다.In addition, the rotation operation unit 300 is configured with container fixing means 340 and 340' for fixing the container mounted on the pallet 10, and each container fixing means 340, 340' is the It is forme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operating unit body 310 and is configured to fix a plurality of containers mounted on the pallet 10 .

이때, 각각의 용기 고정수단(340)(340')은 먼저, 작동부 몸체(310)의 일측에는 지지대(341)가 돌출 구성된다.In this case, each of the container fixing means 340 and 340 ′ is configured such that, first, a support 341 protrudes from one side of the operation unit body 310 .

또한, 각각의 용기 고정수단(340)(340')은 승강실린더(342)가 구성된 것으로, 승강실린더(342)는 상기 지지대(341)에 수직 형성되어 상하 출몰 작동하게 구성된다.In addition, each of the container fixing means 340 and 340 'is constituted by an elevating cylinder 342, the elevating cylinder 342 is vertically formed on the support 341 and is configured to operate vertically.

또한, 각각의 용기 고정수단(340)(340')에는 작동부 가이드봉(343)이 구성된 것으로, 작동부 가이드봉(343)은 양측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승강실린더(342)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지지대(341)의 양측을 수직으로 관통 및 슬라이딩 작동하게 구성된다.In addition, each of the container fixing means 340 and 340' is configured with an operation part guide rod 343, and the operation part guide rod 343 is composed of a pair of both sides, and based on the lifting cylinder 342, It is configured to vertically penetrate and slide both sides of the support 341 .

이때, 양측의 작동부 가이드봉(343)은 그 일단이 연결대(344)로 연결되어 동시 작동하게 구성되며, 그 연결대(344)에는 상기 승강실린더(342)의 실린더로드(도면중 미도시함)가 연결되어 그 승강실린더(342) 작동에 의해 상하 슬라이딩 작동되게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guide rods 343 of the both sides of the operation part are connected at one end by a connecting rod 344 to operate simultaneously, and the connecting rod 344 has a cylinder rod of the elevating cylinder 342 (not shown in the drawing). is connected and configured to slide up and down by the operation of the elevating cylinder 342 .

또한, 각각의 용기 고정수단(340)(340')에는 실질적으로 용기의 고정이 가능한 용기 고정대(345)가 구성된 것으로, 용기 고정대(345)는 수평형 판체 형태를 이루게 구성된다.In addition, each of the container fixing means 340 and 340' is configured with a container holder 345 capable of substantially fixing the container, and the container holder 345 is configured to form a horizontal plate body.

이때, 용기 고정대(345)에는 용기의 목부가 관통 고정되는 복수의 용기 관통공(346)(346')이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container holder 345 is configured with a plurality of container through-holes 346 and 346' through which the neck of the container is penetrated and fixed.

한편, 본 발명에서 양측 각각의 용기 고정수단(340)(340')은 각각 양측으로 분할 작동 가능하도록 분할 구성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container fixing means 340, 340' on both sides can be configured to be divided so that the operation can be divided into both sides, respectively.

즉, 용기 고정수단(340)(340')은 상기 파렛트 고정수단(330)(330')과 함께 작동되되, 파렛트(10)가 상부에 위치되는 파렛트 안치부(311)에 안치시 승강실린더(342) 작동에 의해 용기 고정대(345)가 하강하여 용기를 가압 고정하되, 용기 관통공(346)(346')에 용기의 목부가 관통되어 용기 몸통을 가압 고정하게 되며, 반대로 파렛트(10)를 배출시 상승하여 용기의 고정력을 해제하게 된다.That is, the container fixing means 340 and 340' are operated together with the pallet fixing means 330 and 330', and when the pallet 10 is placed in the pallet seating part 311 located on the upper part, the elevator cylinder ( 342), the container holder 345 is lowered by operation to pressurize and fix the container, but the neck of the container is penetrated through the container through-holes 346, 346' to press and fix the container body, and vice versa, the pallet 10 When discharged, it rises to release the holding force of the container.

상기 클리닝부(400)는 본 발명 역립식 용기 클리닝 장치(1)를 구성함에 있어, 상기 본체(100)에서 회전 작동부(300) 하부에 형성되어 그 회전 작동부(300)에 의해 역립된 용기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하게 구성된다.The cleaning unit 400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rotating operation unit 300 in the main body 100 in configuring the inverted container cleaning apparatus 1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ainer is upside-down by the rotating operation unit 300 . It is configured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inside.

이를 위해, 클리닝부(400)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먼저, 클리닝부 몸체(410)가 구성된 것으로, 클리닝부 몸체(410)는 좌우 길이를 이루는 판체 형태를 이루게 구성된다.To this end, the cleaning unit 400 is configured with a cleaning unit body 410 first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 and the cleaning unit body 410 is configured to form a plate body forming the left and right lengths.

또한, 클리닝부(400)에는 클리닝부 가이드봉(420)이 구성된 것으로, 클리닝부 가이드봉(420)은 양측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클리닝부 몸체(410)의 상부에서 길이방향 양측에 수직 입설되게 구성된다.In addition, the cleaning unit 400 includes a cleaning unit guide rod 420 , and the cleaning unit guide rod 420 is configured as a pair on both sides so that the cleaning unit body 410 is placed vertically on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top of the cleaning unit body 410 . is composed

또한, 클리닝부(400)에는 진공대(430)가 구성된다.In addition, a vacuum band 430 is configured in the cleaning unit 400 .

이때, 진공대(430)는 좌우 길이를 이루는 판체 형태로 구성되어 상하 승강 작동하되, 바람직하게는 양측에 상기 클리닝부 가이드봉(420)이 관통 및 슬라이딩 작동하며, 상기 작동부 몸체(310)에 설치되는 진공대 실린더(433) 작동에 의해 상하 승강 작동하게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vacuum band 430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plate body forming a left and right length and moves up and down, preferably, the cleaning part guide rod 420 on both sides penetrates and slides, and the operation part body 310 It is configured to operate up and down by the operation of the vacuum belt cylinder 433 to be installed.

그리고 진공대(430)에는 상부에 역립된 각각의 용기의 개구된 목부를 압착 폐쇄 및 별도의 진공장치(도면중 미도시함) 작동에 의해 용기 내부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다수의 진공블록(431)(431')이 배치되게 구성된 것으로, 각각의 진공블록(431)(431')은 사각 블록 형태로 구성된다.And a plurality of vacuum blocks 431 for sucking foreign substances inside the container by pressing and closing the opened neck of each container upside down and operating a separate vacuum device (not shown in the figure) in the vacuum band 430 . (431') is configured to be disposed, each vacuum block (431, 431')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square block.

이때, 각각의 진공블록(431)(431')은 중앙에 후술하는 이오나이저 노즐(441)(441')이 관통되는 관통홀(432)이 진공대(430)와 연통되게 수직 구성되되, 관통홀(432)의 하단은 후술하는 이오나이저 노즐(441)(441')가 수밀 관통되는 마감캡(432a)로 마감되게 구성된다.At this time, each of the vacuum blocks 431 and 431 ′ is vertically configured such that a through hole 432 through which the ionizer nozzles 441 and 441 ′ to be described later pass through in the center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vacuum band 430 . The lower end of the hole 432 is configured to be closed with a closing cap 432a through which ionizer nozzles 441 and 441 ′,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re watertightly penetrated.

그리고 각각의 진공블록(431)(431')의 후방에는 관통홀(432)와 연통 및 진공장치와 연결되는 흡입공(434)가 구성된다.And a suction hole 434 connected to the vacuum device and communicating with the through hole 432 is configured in the rear of each of the vacuum blocks 431 and 431'.

그리고 각각의 진공블록(431)(431')은 상단에 용기의 목부 단부에 긴밀한 밀착을 위해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는 경사면(431a)을 이루게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And each of the vacuum blocks 431 and 431' may be configured to form an inclined surface 431a that gradually widens from the top to the bottom for close contact with the end of the neck of the container at the top.

또한, 클리닝부(400)에는 상기 진공대(430)의 하부로 노즐대(440)가 구성된다.Also, in the cleaning unit 400 , a nozzle stand 440 is configured as a lower portion of the vacuum band 430 .

이때, 노즐대(440)는 좌우 길이를 이루는 판체 형태로 구성되어 상하 승강 작동하되, 바람직하게는 양측에 상기 클리닝부 가이드봉(420)이 관통 및 슬라이딩 작동하며, 상기 진공대(430)에 수직 설치 및 그 진공대(430)를 관통하는 노즐대 실린더(443) 작동에 의해 상하 승강 작동하게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nozzle stand 440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plate body forming a left and right length and moves up and down, preferably, the cleaning unit guide rod 420 passes through and slides on both sides, and is perpendicular to the vacuum stand 430 . It is configured to operate up and down by the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the nozzle-to-cylinder 443 penetrating the vacuum band 430 .

그리고 노즐대(440)에는 상부에 역립된 각각의 용기 내부로 출몰 작동 및 별도의 이오나이저 발생기(도면중 미도시함) 작동에 의해 용기 내부로 이오나이저를 분사하는 다수의 이오나이저 노즐(441)(441')이 배치되게 구성된 것으로, 이오나이저 노즐(441)(441')은 상기 각각의 진공블록(431)(431')과 대응되게 구성된다.And the nozzle stand 440 has a plurality of ionizer nozzles 441 that spray the ionizer into the container by the operation of the retracting operation and the operation of a separate ionizer generator (not shown in the drawing) into each container upside down. 441' is configured to be disposed, and the ionizer nozzles 441 and 441' are configured to correspond to the respective vacuum blocks 431 and 431'.

이때, 각각의 이오나이저 노즐(441)(441')은 상기 진공블록(431)(431')의 관통홀(432)을 관통하게 구성된다.At this time, each of the ionizer nozzles 441 and 441' is configured to pass through the through-holes 432 of the vacuum blocks 431 and 431'.

즉, 클리닝부(400)는 역립된 용기에 대하여 각각의 진공블록(431)(431')을 통한 목부를 폐쇄 및 용기 내부에 흡입력을 부여하고, 각각의 이오나이저 노즐(441)(441')이 용기 내부로 진입되어 이오나이저를 분사하게 구성된다.That is, the cleaning unit 400 closes the neck through the respective vacuum blocks 431 and 431' with respect to the inverted container and applies a suction force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and each of the ionizer nozzles 441 and 441' It enters the inside of the container and is configured to spray the ionizer.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역립식 용기 클리닝 장치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inverted container clean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 역립식 용기 클리닝 장치(1)는 공급되는 용기를 뒤집어 그 내부를 세척이 가능하게 한다.1 to 8, the upside-down container clean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inside of the container to be cleaned by turning it inside out.

이를 위해, 본 발명 역립식 용기 클리닝 장치(1)는 먼저, 도 9를 참조하여 다수의 용기(20)는 파렛트(10)에 형성된 용기 클램프(11)(11')를 통해 그 파렛트(10)에 일렬 장착되게 되며, 그 용기(20)가 장착된 파렛트(10)는 파렛트 이송부(200)를 통해 클리닝 작업홈(110)으로 이송 및 회전 작동부(300)의 작동부 몸체(310) 상부에 형성된 파렛트 안치부(311)로 이동하게 된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nverted container cleaning device (1) first, with reference to FIG. 9, a plurality of containers 20 through the container clamps 11 and 11' formed on the pallet 10, the pallet 10 The pallet 10 on which the container 20 is mounted is transferred to the cleaning work groove 110 through the pallet transfer unit 200 and the operation unit body 310 of the rotation operation unit 300 is on the upper part. It moves to the formed pallet seating part 311 .

이후, 회전 작동부(300)에서는 파렛트 고정수단(330)(330')을 통해 진입된 파렛트(10)를 고정하게 되는 것으로, 승강실린더(332) 작동에 의해 파렛트 고정판(334)이 하강 및 파렛트 고정부재(335)가 파렛트(10)의 폭방향 양측을 상부에서 가압 고정하게 된다.Thereafter, in the rotation operation unit 300, the pallet 10 entered through the pallet fixing means 330 and 330 ′ is fixed, and the pallet fixing plate 334 is lowered and the pallet is lowered by the lifting cylinder 332 operation. The fixing member 335 presses and fixes both sides of the pallet 10 in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top.

이와 동시에 용기 고정수단(340)(340')에서는 파렛트(10)에 장착된 용기를 고정하게 되는 것으로, 승강실린더(342) 작동에 의해 작동부 가이드봉(343)이 하강 및 용기 고정대(345)가 용기(20) 상부를 가압 고정하되, 용기 관통공(346)(346')이 용기(20)의 목부를 관통 및 용기 몸체를 가압 고정하게 된다.At the same time, the container fixing means 340 and 340' fix the container mounted on the pallet 10, and the operation part guide rod 343 is lowered and the container holder 345 by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cylinder 342. The upper part of the container 20 is pressed and fixed, but the container through-holes 346 and 346' penetrate the neck of the container 20 and press and fix the container body.

이후, 상기와 같이 고정된 파렛트(10)를 회전시켜 용기(20)를 역립 시키되, 이는 도 10을 참조하여 회전 작동부(300)의 회전수단(320) 즉, 회전모터(321)가 180° 회전 작동하여 작동부 몸체(310)를 회전 및 용기(20)를 뒤집게 된다.Thereafter, the container 20 is inverted by rotating the pallet 10 fixed as described above, which is the rotation means 320 of the rotation operation unit 300, that is, the rotation motor 321, 180 ° with reference to FIG. The rotating operation rotates the operating unit body 310 and turns the container 20 over.

한편, 본 발명 역립식 용기 클리닝 장치(1)에서는 상기와 같이 작동부 몸체(310)가 회전하게 되면, 그 상부에 위치되는 또 다른 파렛트 안치부(311')에는 다시 별도의 파렛트(10)가 안착 및 고정되어 다음 클리닝 작업의 대기 상태를 이룬다.On the other hand, in the upside-down container cleaning apparatus 1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operating unit body 310 rotates as described above, another pallet 10 ' is loc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other pallet seating unit 311'. It is seated and fixed and is ready for the next cleaning operation.

이후, 상기와 같이 뒤집어진 각각의 용기(20)에 대하여 클리닝 작업을 수행하되, 이는 도 11을 참조하여 클리닝부(400)에 의해 이루어진다.Thereafter, a cleaning operation is performed on each of the containers 20 turned over as described above, which is performed by the cleaning unit 400 with reference to FIG. 11 .

즉, 클리닝부(400)에서는 먼저, 진공대(430)가 작동하되, 진공대(430)는 진공대 실린더(433) 작동에 의해 상승하게 되는 것으로, 이때 각각의 진공블록(431)(431')이 상기 용기(20)의 개구된 목부를 가압 폐쇄하게 되며, 이때 관통홀(432)은 용기(20) 내부와 연통되게 된다.That is, in the cleaning unit 400 , first, the vacuum band 430 is operated, but the vacuum band 430 is raised by the operation of the vacuum band cylinder 433 , at this time, each of the vacuum blocks 431 and 431 ′. ) closes the opened neck of the container 20 , in this case, the through-hole 432 communicates with the inside of the container 20 .

이와 동시에 노즐대(440)가 작동하되, 노즐대(440)는 노즐대 실린더(443) 작동에 의해 상승하게 되는 것으로, 이때 각각의 이오나이저 노즐(441)(441')은 진공블록(431)(431')의 관통홀(432)을 관통 및 용기 내부로 진입되게 된다.At the same time, the nozzle unit 440 is operated, but the nozzle unit 440 is raised by the operation of the nozzle unit cylinder 443. At this time, each of the ionizer nozzles 441 and 441 ′ is a vacuum block 431 . The through-hole 432 of (431') is penetrated and entered into the container.

이에, 용기(20)의 세척을 수행하되, 먼저, 이오나이저 노즐(441)(441')에서는 별도의 이오나이저 발생기를 통해 이오나이저를 용기 내부로 분사하여 이물질의 비산 및 내부의 살균과 특히 용기 내부의 정전기를 제거하게 된다.Accordingly, the container 20 is washed, but first, the ionizer nozzles 441 and 441 ′ inject the ionizer into the container through a separate ionizer generator to scatter foreign substances and sterilize the inside, and in particular, the container. It removes static electricity from the inside.

이와 동시에 진공블록(431)(431')에서는 별도의 진공장치를 통해 흡입송(434) 및 관통홀(432)에 흡입력이 부여하게 되는 것인바, 용기 내부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흡입 제거함으로 클리닝 작업을 마무리 한다.At the same time, in the vacuum blocks 431 and 431', suction power is applied to the suction feed 434 and the through-hole 432 through a separate vacuum device. to finish

이후, 상기와 같이 클리닝 작업이 마무리된 용기는 다시 회전 작동부(300) 작동에 의해 상부에 위치한 용기(20)와 상하 위치가 변경되는 것으로, 클리닝 작업이 완료된 용기(20)는 파렛트(10)와 함께 파렛트 이송부(200)를 통해 배출되고, 하부에 위치되는 용기는 연속하여 클리닝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Thereafter, the container 20 on which the cleaning operation is completed as described above is changed in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by the operation of the rotation operation unit 300 again, and the container 20 on which the cleaning operation is completed is a pallet 10 . The container is discharged through the pallet transfer unit 200 together with, and the container located at the bottom is continuously clean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 역립식 용기 클리닝 장치는 용기의 역립과 이오나이저 및 진공을 통한 세척이 가능한 것인바, 용기내 이물질의 제거 및 살균은 물론, 정전기 제거까지 일시에 가능하고, 특히 회전 작동부의 연속된 작업을 통해 생산성이 한층 향상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inverted container clean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nvert the container and wash it through an ionizer and vacuum, and it is possible to remove and sterilize foreign substances in the container, as well as to remove static electricity at once, and in particular, the continuous operation of the rotating part. Productivity will be further improved through the work done.

10 : 파렛트 11,11' : 용기 클램프
20 : 용기
100 : 본체 110 : 클리닝 작업홈
200 : 파렛트 이송부
300 : 회전 작동부 310 : 작동부 몸체
311,311' : 파렛트 안치부 320 : 회전수단
321 : 회전모터 330,330' : 파렛트 고정수단
331 : 가이드공 332 : 승강실린더
333 : 승강바 334 : 파렛트 고정판
335 : 파렛트 고정부재 340,340 : 용기 고정수단
341 : 지지대 342 : 승강실린더
343 : 작동부 가이드봉 344 : 연결대
345 : 용기 고정대 346,346' : 용기 관통공
400 : 클리닝부 410 : 클리닝부 몸체
420 : 클리닝부 가이드봉
430 : 진공대 431,431' : 진공블록
432 : 관통홀 433 : 진공대 실린더
440 : 노즐대 441,441' : 이오나이저 노즐
443 : 노즐대 실린더
10: pallet 11,11': container clamp
20: courage
100: body 110: cleaning work home
200: pallet transfer unit
300: rotation operation unit 310: operation unit body
311,311': Pallet mounting part 320: rotating means
321: rotation motor 330,330': pallet fixing means
331: guide ball 332: elevating cylinder
333: elevating bar 334: pallet fixing plate
335: pallet fixing member 340, 340: container fixing means
341: support 342: elevating cylinder
343: operation part guide rod 344: connecting rod
345: vessel holder 346,346 ': vessel through hole
400: cleaning unit 410: cleaning unit body
420: cleaning unit guide rod
430: vacuum band 431,431': vacuum block
432: through hole 433: vacuum belt cylinder
440: nozzle 441,441': ionizer nozzle
443: nozzle versus cylinder

Claims (5)

좌우 길이를 가지며 다수의 용기 클램프(11)(11')가 일렬 형성되어 다수의 용기(20)가 일렬 장착되는 파렛트(10)를 이송 및 용기내 이물질을 제거하되,
좌우 길이를 가지며, 중앙에는 클리닝 작업홈(110)이 형성된 본체(100);
상기 본체(100) 상부에서 클리닝 작업홈(110) 양측에 형성되어 파렛트(10)가 안착 및 이송되는 파렛트 이송부(200);
본체(100)의 클리닝 작업홈(110)에 형성되어 파렛트 이송부(200)를 통해 이송되는 파렛트(10)를 클램핑 및 그 파렛트(10)를 상하 회전 역립시키는 회전 작동부(300); 및
본체(100)에서 회전 작동부(300) 하부에 형성되어, 이오나이저와 진공을 통해 역립된 용기의 내부 이물질을 제거하는 클리닝부(400);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 작동부(300)는,
내부가 중공되고 좌우 길이를 이루며,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 파렛트 이송부(200)와 연결되어 파렛트(10)를 인계받는 파렛트 안치부(311)(311')가 형성된 작동부 몸체(310);
작동부 몸체(310)의 일단에 축 결합되어 회전모터(321) 구동에 의해 작동부 몸체(310)를 상하 180° 왕복 회전시키는 회전수단(320);
작동부 몸체(310)에 형성되며, 각각의 파렛트 안치부(311)(311')에 안치되는 파렛트(10)를 잡아 고정하되, 상하에 대칭되게 형성되어 상부 및 하부의 파렛트 안치부(311)(311')에 안치된 파렛트(10)를 각각 고정하는 한 쌍의 파렛트 고정수단(330)(330'); 및
작동부 몸체(310)에 형성되며, 각각의 파렛트 안치부(311)(311')에 안치된 파렛트(10)에 장착된 용기를 고정하되, 양측에 대칭되게 형성되어 상부 및 하부의 파렛트(10)에 장착된 용기를 각각 고정하는 한 쌍의 용기 고정수단(340)(340');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역립식 용기 클리닝 장치.
A plurality of container clamps 11 and 11' having a left and right length are formed in a line to transport a pallet 10 on which a plurality of containers 20 are mounted in a line and remove foreign substances in the container,
a main body 100 having a left and right length, and a cleaning work groove 110 formed in the center;
a pallet transfer unit 200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leaning work groove 110 i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0 to receive and transfer the pallet 10;
A rotation operation unit 300 for clamping the pallet 10 formed in the cleaning work groove 110 of the body 100 and transferred through the pallet transfer unit 200 and rotating the pallet 10 up and down; and
It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rotation operation unit 300 in the main body 100, and the cleaning unit 400 removes foreign substances inside the container inverted through the ionizer and vacuum; including;
The rotation operation unit 300,
The inside is hollow and forms a left and right length, and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re connected to the pallet transfer unit 200, respectively, and the pallet seating units 311 and 311 ′ for taking over the pallet 10 are formed operating unit body 310;
Rotating means 320 that is shaft-coupled to one end of the operating unit body 310 and rotates the operating unit body 310 up and down 180° reciprocally by driving the rotating motor 321;
It is formed in the operating unit body 310 and holds and fixes the pallet 10 placed in each of the pallet seating parts 311 and 311', and is formed symmetrically in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upper and lower pallet seating parts 311. A pair of pallet fixing means (330, 330') for fixing each of the pallets 10 placed in (311'); and
It is formed in the operating unit body 310, and fixes the container mounted on the pallet 10 placed in each of the pallet seating parts 311 and 311', and is forme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to form the upper and lower pallets 10 ) A pair of container fixing means (340, 340') for fixing each of the containers mounted in the upside down container cleaning apparatus comprising a.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파렛트 고정수단(330)(330')은,
상기 작동부 몸체(310)의 양측면에 관통 형성되는 수직형 가이드공(331);
상기 작동부 몸체(310)의 내측에 수직 형성되며, 양측 가이드공(331)을 통해 외부로 돌출 및 상하 승강 작동하는 승강바(333)를 갖는 수직형 승강실린더(332); 및
양측으로 돌출된 승강바(333) 단부에 결합되며, 상부 양측에는 하강시 파렛트(10)의 폭방향 양측을 상부에서 가압 고정하는 파렛트 고정부재(335)가 형성된 양측 한 쌍의 파렛트 고정판(334)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역립식 용기 클리닝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Each of the pallet fixing means 330, 330 'is,
a vertical guide hole 331 penetrating through both sides of the operation unit body 310;
a vertical lifting cylinder 332 formed vertically on the inside of the operation unit body 310 and having a lifting bar 333 that protrudes to the outside through the guide holes 331 on both sides and moves up and down; and
A pair of pallet fixing plates 334 on both sides which are coupled to the ends of the lifting bars 333 protruding from both sides, and provided with pallet fixing members 335 for pressing and fixing both sides of the pallet 10 in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upper side on both sides of the upper side when descending. Upside-down container clean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용기 고정수단(340)(340')은,
상기 작동부 몸체(310)의 일측에 형성되는 지지대(341);
상기 지지대(341)에 수직 형성되어 상하 출몰 작동하는 승강실린더(342);
승강실린더(342)를 기준으로 지지대(341)의 양측을 수직 관통 및 슬라이딩 작동하는 양측 한 쌍으로 구성되며, 양측 일단이 승강실린더(342)가 연결되는 연결대(344)로 연결되는 작동부 가이드봉(343);
양측 작동부 가이드봉(343)의 타단을 연결 및 용기의 상부를 가압 고정하며, 용기의 목부가 관통 고정되는 복수의 용기 관통공(346)(346')이 형성된 용기 고정대(345)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역립식 용기 클리닝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Each of the container fixing means 340, 340',
a support 341 formed on one side of the operation unit body 310;
an elevating cylinder 342 formed vertically on the support 341 and operating vertically;
It is composed of a pair of both sides vertically penetrating and sliding both sides of the support 341 based on the lifting cylinder 342, and both ends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ng rod 344 to which the lifting cylinder 342 is connected. (343);
Including a container holder 345 having a plurality of container through-holes 346 and 346' through which the neck of the container is fixed through and fixed by connecting the other ends of the guide rods 343 on both sides and fixing the upper part of the container. Inverted container clean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figura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부(400)는,
좌우 길이를 가지는 클리닝부 몸체(410);
상기 클리닝부 몸체(410)의 길이방향 양측에서 상부로 수직 입설되는 양측 한 쌍의 클리닝부 가이드봉(420);
양측에 클리닝부 가이드봉(420)이 관통 및 진공대 실린더(433)를 통해 상하 승강 작동하며, 상부에는 중앙에 수직으로 관통홀(432)이 관통되고, 후방에는 흡입공(434)이 형성되어 역립된 용기의 개구된 목부를 압착 폐쇄 및 별도의 진공장치 작동에 의해 용기 내부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다수의 진공블록(431)(431')이 형성된 진공대(430);
상기 진공대(430) 하부에서 양측에 클리닝부 가이드봉(420)이 관통 및 노즐대 실린더(443)를 통해 상하 승강 작동하며, 상부에는 진공블록(431)(431')의 관통홀(432)을 관통 및 역립된 각각의 용기 내부로 출몰 작동하며 별도의 이오나이저 발생기 작동에 의해 용기 내부로 이오나이저를 분사하는 다수의 이오나이저 노즐(441)(441')이 형성된 노즐대(440)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역립식 용기 클리닝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leaning unit 400,
a cleaning unit body 410 having a left and right length;
a pair of cleaning part guide rods 420 on both sides vertically standing vertically from both sides of the cleaning part body 4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cleaning part guide rod 420 on both sides penetrates and moves up and down through the vacuum cylinder 433, a through hole 432 is vertically penetrated in the center at the top, and a suction hole 434 is formed at the rear. a vacuum band 430 having a plurality of vacuum blocks 431 and 431 ′ for sucking foreign substances inside the container by pressing and closing the opened neck of the upside-down container and operating a separate vacuum device;
In the lower part of the vacuum band 430, the cleaning part guide rods 420 on both sides penetrate and the nozzle stand cylinder 443 moves up and down, and at the upper part, the through-holes 432 of the vacuum blocks 431 and 431'. Including a nozzle stand 440 in which a plurality of ionizer nozzles 441 and 441' are formed, which operate to enter and exit each container through and upright, and spray the ionizer into the container by the operation of a separate ionizer generator. Inverted container clean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figuration.
KR1020190139304A 2019-11-04 2019-11-04 Reverse type container cleaning apparatus KR10231241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9304A KR102312418B1 (en) 2019-11-04 2019-11-04 Reverse type container clean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9304A KR102312418B1 (en) 2019-11-04 2019-11-04 Reverse type container clean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3560A KR20210053560A (en) 2021-05-12
KR102312418B1 true KR102312418B1 (en) 2021-10-15

Family

ID=75918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9304A KR102312418B1 (en) 2019-11-04 2019-11-04 Reverse type container clean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241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335561A1 (en) * 2022-09-12 2024-03-13 MBF S.p.A. Rinsing machine for bottles and method for rinsing bottl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1557B1 (en) * 2009-09-30 2012-01-02 김형순 Bottle air cleaner
KR101139035B1 (en) * 2009-09-15 2012-05-08 박정곤 Apparatus for ionized cleaning bottle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6862Y1 (en) 1994-07-21 1997-07-09 주식회사 엘지화학 Apparatus for cleaning the cosmetic bottle
KR20130008728A (en) 2011-07-13 2013-01-23 (주)엔팩 A wash machine using ai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9035B1 (en) * 2009-09-15 2012-05-08 박정곤 Apparatus for ionized cleaning bottles
KR101101557B1 (en) * 2009-09-30 2012-01-02 김형순 Bottle air clea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3560A (en) 2021-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6763555U (en) A kind of cleaning device of fermented bean curd Packaging Bottle
JP7144875B2 (en) Cylindrical container cleaning equipment
KR102312418B1 (en) Reverse type container cleaning apparatus
CN113244430B (en) Disinfection equipment and disinfection method for storage and transportation device for green food storage and transportation
CN105789096B (en) A kind of wafer cleaning equipment
KR101214594B1 (en) Apparatus for cleaning cup having hot and cold water dispenser
CN114655912A (en) Device for cleaning bottled beverage after filling
KR101139035B1 (en) Apparatus for ionized cleaning bottles
JP2001293444A (en) Device for cleaning bottle
JP7328521B2 (en) container cleaning equipment
CN217314994U (en) Experimental glass instrument belt cleaning device
CN214594079U (en) Yellow peach washs unhairing equipment
JP2597662B2 (en) Equipment for cleaning food pieces in containers
CN214593594U (en) Conveying and cleaning device of egg beater
CN114226386A (en) Glass cup cleaning equipment
ITPR20020016A1 (en) INTERNAL WASHING EQUIPMENT OF PLASTIC CONTAINERS.
CN220317376U (en) Filling machine with fixed knot constructs
JPH07214013A (en) Washing device
EP0603975A1 (en) A method and a device for cleaning containers
US4091495A (en) Gas cylinder washing, draining and/or drying apparatus
CN107934384B (en) The transport device of vial
JPH0233911Y2 (en)
JP3062993U (en) Cleaning equipment for containers
CN217489326U (en) Normal-pressure water bath sterilizing device
KR102599031B1 (en) Soak and transfer devices having floating cleaning structure for pla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