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1550B1 - 암모니아 흡착용 금속 첨착 활성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암모니아 흡착용 금속 첨착 활성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1550B1
KR102311550B1 KR1020210041475A KR20210041475A KR102311550B1 KR 102311550 B1 KR102311550 B1 KR 102311550B1 KR 1020210041475 A KR1020210041475 A KR 1020210041475A KR 20210041475 A KR20210041475 A KR 20210041475A KR 102311550 B1 KR102311550 B1 KR 1023115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monia
adsorption
activated carbon
metal
swing adsor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1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형철
이광복
박지혜
조강희
한상섭
김선형
주형국
범희태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041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15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1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15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 B01J20/3231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or impregnating layer
    • B01J20/3234Inorganic material layers
    • B01J20/3236Inorganic material layers containing metal, other than zeolites, e.g. oxides, hydroxides, sulphides or sa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B01D53/0462Temperature swing ad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B01D53/047Pressure swing ad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B01D53/047Pressure swing adsorption
    • B01D53/0476Vacuum pressure swing ad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0203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compounds of metals not provided for in B01J20/04
    • B01J20/0222Compounds of Mn, 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2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free carbon; comprising carbon obtained by carbonis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 B01J20/320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support or substrate used for impregnation or coating
    • B01J20/3204Inorganic carriers, supports or subst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4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441Regeneration or reactivation by electric current, ultrasound or irradiation, e.g. electromagnetic radiation such as X-rays, UV, light, microwa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40Nitrogen compounds
    • B01D2257/406Ammonia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망간 금속 전구체 및 MgBr2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금속 전구체를 함유하는 수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및 (b) 상기 수용액과 활성탄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모니아 흡착용 금속 첨착 활성탄의 제조 방법 및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암모니아 흡착용 금속 첨착 활성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금속 첨착 활성탄을 함유하는 암모니아 흡착제는 압력 변동 흡착(Pressure Swing Adsorption, PSA), 온도 변동 흡착(Temperature Swing Adsorption, TSA), 압력 온도 변동 흡착(Pressure Temperature Swing Adsorption, PTSA), 또는 진공 압력 변동 흡착(Vacuum Pressure Swing Adsorption, VPSA)에 사용될 수 있으며, 재생이 용이하고, 반복 재생 이후에도 우수한 암모니아 흡착량을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암모니아 흡착용 금속 첨착 활성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용도 {Metal-Impregnated Activated Carbon For Adsorbing Ammonia,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Uses Thereof}
본 발명은 암모니아 흡착용 금속 첨착 활성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화석 연료 고갈 및 지구 온난화에 대한 해결 방안으로 신재생 에너지 기반 발전에 대한 연구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신재생 에너지원으로서 수소는 연소 후에도 공해물질을 실질적으로 배출하지 않아 궁극적인 미래 에너지원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수소의 생산 방법으로서 수증기 메탄 개질 방식(Steam Methane Reforming)이 있으나 이 방법은 이산화탄소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수소는 이를 저장하고 운반하는 방법도 복잡한 설비나 공정이 필요한 단점이 있다.
한편, 암모니아는 한 분자당 세 개의 수소를 가지고 있으며, 분해하면 수소와 질소만 나오기 때문에 이산화탄소 배출을 최소화할 수 있어서 수소 공급원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뿐만 아니라, 액상 암모니아는 액화 수소보다 동일부피에서 1.7배 많은 용량의 수소를 저장할 수 있으며, 암모니아는 전 세계에서 연간 2억 톤 이상이 생산되어 산업 곳곳에 활용되므로 기존 인프라를 활용할 수 있어서 운반이나 저장에 이점이 많다. 이에 따라 암모니아를 연료로 하여 수소 충전소에서 암모니아를 바로 분해해서 수소를 생산 및 사용하는, 수소 충전을 위한 암모니아 분해 수소 생산 시스템 및 암모니아 연료 추진 선박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암모니아 생산 공정은 극저온을 이용한 분리(cryogenic separation)을 이용하여 암모니아를 분리 및 농축하고 있는데, 이 공정은 에너지 사용량이 많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암모니아의 분리 및 농축시 압력 변동만으로 암모니아를 용이하게 탈착하여 에너지 저감 효과를 볼 수 있는 암모니아 흡착제의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암모니아를 분해하여 수소를 생산 및 사용하는 수소 연료 전지의 경우 피독 문제 때문에 잔류 암모니아를 반드시 0.1 ppm 미만이 되도록 제거해야 한다. 또한, 암모니아 연료 추진 선박에서 암모니아 배출이 필요한 경우 일반 대기로 바로 배출하지는 못하고 반드시 암모니아를 제거하여 배출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현재 적용하는 물 흡수법은 ppm 수준까지 제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저농도의 암모니아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흡착 성능이 우수한 암모니아 흡착제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온도 변동 흡착 뿐만 아니라 압력 변동 흡착에도 적용이 가능하며 재생이 용이하고 반복 재생 이후에도 우수한 흡착 성능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암모니아 흡착용 금속 첨착 활성탄, 이를 함유하는 암모니아 흡착제, 및 상기 활성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a) 망간 금속 전구체 및 MgBr2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금속 전구체를 함유하는 수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및 (b) 상기 수용액과 활성탄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모니아 흡착용 금속 첨착 활성탄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용액은 MnBr2, MnCl2, MnF2, 및 MnI2 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금속 전구체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금속 전구체는 금속이 활성탄 중량에 대해 0.1 내지 20 중량%가 되도록 하는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수용액과 활성탄의 혼합은 초음파 처리와 함께 수행되거나 또는 습윤함침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초음파 처리는 상기 수용액의 용액이 모두 증발할 때까지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전술한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암모니아 흡착용 금속 첨착 활성탄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망간 금속이 첨착된 활성탄을 함유하는, 암모니아 흡착용 흡착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흡착제는 압력 변동 흡착(Pressure Swing Adsorption, PSA), 온도 변동 흡착(Temperature Swing Adsorption, TSA), 압력 온도 변동 흡착(Pressure Temperature Swing Adsorption, PTSA), 또는 진공 압력 변동 흡착(Vacuum Pressure Swing Adsorption, VPSA)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흡착제는 압력 변동 흡착에 사용되며, 여기서, 암모니아의 흡착은 3 bar 이상의 압력에서 수행되고 암모니아의 탈착은 상압 또는 진공 부근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흡착제는 암모니아 분해에 의한 수소 생산 시스템에서 잔류 암모니아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흡착제는 흡착 및 탈착으로 이루어진 재생 사이클을 2회 또는 그 이상 반복한 후 암모니아 흡착량이 최초 암모니아 흡착량의 60% 이상 수준으로 유지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흡착제는 상기 재생 사이클을 2회 또는 그 이상 반복한 후, 7 bar 에서 암모니아 흡착을 수행하였을 때 2 mmol/g 이상의 암모니아 흡착량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금속 첨착 활성탄은 암모니아의 제거 또는 분리농축을 위한 암모니아 흡착제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금속 첨착 활성탄 및 이를 함유하는 암모니아 흡착제는 암모니아 흡착 성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압력 변동 흡착(PSA), 온도 변동 흡착(TSA), 압력 온도 변동 흡착(PTSA), 또는 진공 압력 변동 흡착(VPSA)에 사용되어 온도나 압력의 변동 만으로도 용이하게 흡착 및 재생(탈착)될 수 있다. 또한, 흡착 및 탈착에 따른 재생을 반복한 이후에도 우수한 암모니아 흡착량을 유지할 수 있어서 반복적 재생에 의해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함유"한다, "가지다"라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a) 망간 금속 전구체 및 MgBr2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금속 전구체를 함유하는 수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및 (b) 상기 수용액과 활성탄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모니아 흡착용 금속 첨착 활성탄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망간 금속 전구체는 망간의 할로겐화염, 구체적으로 MnBr2, MnCl2, MnF2, 및 MnI2 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상기 (a) 단계에서 금속 전구체를 함유하는 상기 수용액은 구체적으로는 MnBr2, MnCl2, MnF2, MnI2, 및 MgBr2 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금속 전구체, 더 구체적으로는 MnBr2, MnCl2, MnF2, 및 MnI2 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금속 전구체를 함유하는 수용액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금속 전구체는 금속이 활성탄 중량에 대해 0.1 내지 20 중량%가 되도록 하는 양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2 내지 10 중량%가 되도록 하는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충분한 암모니아 흡착량을 위해서는 상기 금속의 양은 많은 것이 바람직하지만, 20 중량%를 초과할 경우, 금속끼리 뭉치는 소결 현상 또는 활성탄 기공막힘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b) 단계에서 수용액과 활성탄의 혼합은 1) 초음파 처리와 함께, 더 구체적으로는 초음파 처리 및 교반의 반복에 의해, 또는 2) 습윤함침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초음파 처리는 60℃ 내지 80℃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혼합물의 초음파 처리는 온도 조절이 가능한 초음파기에서 60℃ 내지 80℃의 온도를 유지하며 초음파를 가해주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초음파 처리는 상기 수용액의 용액이 모두 증발할 때까지 수행될 수 있다. 60℃ 미만의 온도 조건에서 초음파 처리를 수행할 경우 물의 증발이 잘 일어나지 않아 초음파 처리 시간이 매우 길게 되어 경제성의 문제와, 과도한 초음파로 활성탄의 구조가 변형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80℃를 초과하는 온도 조건에서 수행할 경우 증발이 너무 빠르게 일어나 초음파 처리 시간이 짧아져 금속 소결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상기 (b) 단계 이후, (c) 상기 (b) 단계에서 얻어진 활성탄을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조는 예를 들어 오븐에서 수행될 수 있다. 건조 온도 및 시간은 활성탄의 양 등에 따라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적절히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통상적으로 상기 건조 온도는 대략 100℃ 내외일 수 있으며, 상기 건조 시간은 대략 8 시간 내지 24시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상기 (b) 단계 이후 (만약 (c) 단계를 수행할 경우에는 (c) 단계 이후), (d) 활성탄을 소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성은 불활성 분위기, 예를 들어 질소 분위기에서 수행될 수 있다. 소성 온도 및 시간은 나이트레이트 전구체를 제거하되 금속끼리 뭉치는 소결 현상이 일어나지 않을 수 있을 정도 이도록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적절히 조절할 수 있을 것이며, 통상적으로는 상기 소성 온도는 대략 150℃ 내지 600℃ 일 수 있고, 상기 소성 시간은 2 내지 3 시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금속 첨착 활성탄은, 활성탄에 금속을 첨착함으로써, 암모니아 흡착능이 증가되고, 저농도 암모니아의 고농축을 위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암모니아 흡착과 탈착의 반복에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고 암모니아 합성을 위한 저농도 암모니아의 농축 공정에 적용이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망간 금속을 이용함으로써 종래의 금속 첨착 활성탄과 비교했을 때, 암모니아 흡착 성능이 향상되었고, 재생후에도 암모니아 흡착성이 우수하게 유지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금속 첨착 활성탄 및 이를 함유하는 암모니아 흡착용 흡착제는 흡착 및 탈착으로 이루어진 재생 사이클을 2회 또는 그 이상 반복한 후 암모니아 흡착량이 최초 암모니아 흡착량의 60% 이상 수준으로 유지되는 것일 수 있고, 더 구체적으로는 3회 이상 또는 4회 이상의 재생 사이클을 반복한 후에도 암모니아 흡착량이 최초 암모니아 흡착량의 60% 이상, 또는 65% 이상, 또는 70% 이상, 또는 75% 이상의 수준으로 유지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금속 첨착 활성탄 및 이를 함유하는 암모니아 흡착용 흡착제는 7 bar 에서 암모니아 흡착을 수행하였을 때 최초 암모니아 흡착량이 3 mmol/g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또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금속 첨착 활성탄 및 이를 함유하는 암모니아 흡착용 흡착제는 7 bar 에서 암모니아 흡착을 수행하였을 때 재생 사이클을 2회 또는 그 이상, 구체적으로는 3회 이상 또는 4회 이상 반복한 후, 7 bar 에서 암모니아 흡착을 수행하였을 때 1.6 mmol/g 이상, 바람직하게는 2 mmol/g 이상의 암모니아 흡착량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활성탄에는 금속 전구체로부터의 금속 양이온이 첨착됨에도 불구하고, 전구체의 음이온(Br 등)에 의해서도 흡착량 등의 성능이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금속 첨착 활성탄의 제조를 위한 금속 전구체 선택시 금속 그 자체만을 주목하지 않고, 이의 염을 형성하기 위한 음이온, 구체적으로 Br도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함으로써 흡착제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금속 첨착 활성탄 및 이를 함유하는 암모니아 흡착용 흡착제는 상압 또는 진공 부근에서 탈착 및 재생이 가능하기 때문에 공정 운전비용의 감소를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온도 변동 흡착(TSA) 뿐만 아니라 압력 변동 흡착(PSA), 압력 온도 변동 흡착(PTSA), 및 진공 압력 변동 흡착(VPSA)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 이에,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금속 첨착 활성탄 및 이를 함유하는 암모니아 흡착용 흡착제는 압력 변동 흡착에 사용되며, 이 때 암모니아의 흡착은 3 bar 이상의 압력에서 수행되고 암모니아의 탈착은 상압 또는 진공 부근에서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흡착제는 암모니아 제거 또는 분리농축이 필요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암모니아를 연료로 사용하는 연료 전지, 암모니아 분해에 의한 수소 생산 시스템, 암모니아를 연료로 사용하는 추진 선박 시스템, 암모니아 개질기 등에서 잔류 암모니아를 제거하거나 암모니아 배출 필요시 대기 배출을 최소화하기 위한 암모니아 제거에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수소 생산 시스템이나 암모니아 개질기 정제 등과 같이 0.1 ppm 미만의 수준으로 암모니아를 제거해야할 필요가 있는 용도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실시예는 발명의 설명을 위해 제시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금속 첨착 활성탄의 제조
금속 전구체로서 MgCl2, MnBr2·4H2O, 및 MnCl2·4H2O를 사용하였으며, 활성탄에 첨착되는 금속의 양이 활성탄 중량 대비 5 중량%가 되도록 고정하고 pH가 동일하도록 금속 전구체 수용액의 몰농도를 0.05 M로 일정하게 고정하여 금속 전구체 수용액을 준비하였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금속 전구체 수용액의 상세를 다음의 [표 1]에 나타내었다.
전구체 중량 (g) 용매양 (mL) 농도 (M)
MgCl2 0.979 205 0.05
MnBr2·4H2O 1.305 91 0.05
MnCl2·4H2O 0.901 91 0.05
전술한 각각의 금속 전구체 수용액에 활성탄을 넣어 주었으며, 80℃의 초음파 수조에서 수용액이 모두 증발될 때까지 초음파처리와 교반을 번갈아 수행하였다. 수용액이 증발된 시료를 회수하여 100℃의 오븐에서 건조하였다. 건조된 시료를 소성로에서 N2 분위기에서 온도를 300℃까지 올려 2시간 동안 소성 처리하였다. 각각의 시료는 MgCl2-AC, MnBr2-AC, 및 MnCl2-AC 로 명명하였다.
[실험예] 암모니아 파괴 실험
실시예를 통해 준비된 활성탄을 체 분리를 통해 150 ~ 300 ㎛의 크기로 걸러내어 사용하였으며, 반응기는 고정층 반응기로 사용하였다. 암모니아 기체를 반응기 상부에서 주입하여 시료층을 거친 후, 하부로 배출되도록 하였으며, 흡착 완료후 하부에서 배출된 암모니아를 휴대용 암모니아 분석 장비로 검출하였다.
PSA 공정 조건에서 암모니아 흡착을 수행하였으며, PSA는 역압력 레귤레이터 (back pressure regulator)를 통해 반응기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여 7 bar 에서 흡착을 진행하였으며, 다시 상압으로 감압시켜 N2 를 흘려주며 탈착을 진행하였고 이러한 재생 사이클 과정을 반복하였다. 그 결과를 다음의 [표 2] 내지 [표 4]에 나타낸다.
종래 기술에 따른 금속 첨착 활성탄 MgCl2-AC 의 사용
운전조건 Cycle 암모니아 흡착량
(mmol/g)
PSA (7bar 흡착, 상압 탈착) 1 2.611
PSA (7bar 흡착, 상압 탈착) 2 1.395
PSA (7bar 흡착, 상압 탈착) 3 1.07
PSA (7bar 흡착, 상압 탈착) 4 1.10
본 발명에 따른 금속 첨착 활성탄 MnBr2-AC 의 사용
운전조건 Cycle 암모니아 흡착량
(mmol/g)
PSA (7bar 흡착, 상압 탈착) 1 3.4
PSA (7bar 흡착, 상압 탈착) 2 2.19
PSA (7bar 흡착, 상압 탈착) 3 2.09
PSA (7bar 흡착, 상압 탈착) 4 2.04
본 발명에 따른 금속 첨착 활성탄 MnCl2-AC 의 사용
운전조건 Cycle 암모니아 흡착량
(mmol/g)
PSA (7bar 흡착, 상압 탈착) 1 2.15
PSA (7bar 흡착, 상압 탈착) 2 1.623
PSA (7bar 흡착, 상압 탈착) 3 1.644
PSA (7bar 흡착, 상압 탈착) 4 1.632
상기 표 2의 MgCl2-AC 사용에 따른 암모니아 흡착량 (1 cycle, 2.611 mmol/g)과 표 3의 MnBr2-AC 사용에 따른 암모니아 흡착량 (1 cycle, 3.4 mmol/g)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활성탄 및 이를 포함하는 암모니아 흡착용 흡착제를 사용함으로써 암모니아 흡착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 2의 2 cycle 및 그 이상의 반복 재생 후의 암모니아 흡착량을 상기 표 3 과 비교했을 때, 본 발명에 따른 MnBr2-AC (표 3)의 사용시 심지어는 4 cycle 반복 이후에도 MgCl2-AC (표 2)의 1 cycle 성능에 버금가는 성능을 유지하는 우수한 효과를 보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표 4의 MnCl2-AC 의 사용시 2 cycle 반복 이후에도 암모니아 흡착 성능이 75% 이상의 수준으로 유지되었으며, 이는 표 2의 MgCl2-AC 의 53% 수준의 성능 유지에 비해 월등히 우수한 장기간 흡착 안정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표 3과 표 4로부터 금속 전구체에 있어서 금속 양이온 뿐만 아니라 금속 음이온도 암모니아 흡착용 흡착제의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3)

  1. (a) 망간 금속 전구체 또는 MgBr2 를 함유하는 수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및
    (b) 상기 수용액과 활성탄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압력 변동 흡착(Pressure Swing Adsorption, PSA), 압력 온도 변동 흡착(Pressure Temperature Swing Adsorption, PTSA), 또는 진공 압력 변동 흡착(Vacuum Pressure Swing Adsorption, VPSA)에 적용하기 위한 암모니아 흡착용 금속 첨착 활성탄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액은 MnBr2, MnCl2, MnF2, 및 MnI2 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금속 전구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액은 MnBr2 및 MnCl2 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금속 전구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전구체는 금속이 활성탄 중량에 대해 0.1 내지 20 중량%가 되도록 하는 양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수용액과 활성탄의 혼합은 초음파 처리와 함께 수행되는 것 또는 습윤함침법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처리는 상기 수용액의 용액이 모두 증발할 때까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7. 제1항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제조된 압력 변동 흡착, 압력 온도 변동 흡착, 또는 진공 압력 변동 흡착에 적용하기 위한 암모니아 흡착용 금속 첨착 활성탄.
  8. 망간 금속이 첨착된 활성탄을 함유하는, 압력 변동 흡착, 압력 온도 변동 흡착, 또는 진공 압력 변동 흡착에 적용하기 위한 암모니아 흡착용 흡착제.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압력 변동 흡착에 사용되며, 암모니아의 흡착이 3 bar 이상의 압력에서 수행되고 암모니아의 탈착이 상압 또는 진공 부근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제.
  11. 제8항에 있어서,
    암모니아 분해에 의한 수소 생산 시스템에서 잔류 암모니아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제.
  12. 제8항에 있어서,
    흡착 및 탈착으로 이루어진 재생 사이클을 2회 또는 그 이상 반복한 후 암모니아 흡착량이 최초 암모니아 흡착량의 60% 이상 수준으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사이클을 2회 또는 그 이상 반복한 후, 7 bar 에서 암모니아 흡착을 수행하였을 때 2 mmol/g 이상의 암모니아 흡착량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제.
KR1020210041475A 2021-03-30 2021-03-30 암모니아 흡착용 금속 첨착 활성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용도 KR102311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1475A KR102311550B1 (ko) 2021-03-30 2021-03-30 암모니아 흡착용 금속 첨착 활성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1475A KR102311550B1 (ko) 2021-03-30 2021-03-30 암모니아 흡착용 금속 첨착 활성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1550B1 true KR102311550B1 (ko) 2021-10-12

Family

ID=78078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1475A KR102311550B1 (ko) 2021-03-30 2021-03-30 암모니아 흡착용 금속 첨착 활성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155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5032A (ko) * 2021-10-18 2023-04-25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암모니아 흡착제
KR20230091712A (ko) 2021-12-16 2023-06-23 주식회사 포스코 화학기상증착법을 이용한 암모니아 제거용 왕겨 활성탄 제조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97124A (ja) * 1984-10-18 1986-05-15 インペリアル・ケミカル・インダストリーズ・ピーエルシー 二酸化炭素の回収方法
JP2003047649A (ja) * 2001-05-29 2003-02-18 Sanei Service Kk 脱臭フィルター
KR20180034172A (ko) * 2016-09-26 2018-04-04 (주)원익머트리얼즈 암모니아 흡착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97124A (ja) * 1984-10-18 1986-05-15 インペリアル・ケミカル・インダストリーズ・ピーエルシー 二酸化炭素の回収方法
JP2003047649A (ja) * 2001-05-29 2003-02-18 Sanei Service Kk 脱臭フィルター
KR20180034172A (ko) * 2016-09-26 2018-04-04 (주)원익머트리얼즈 암모니아 흡착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5032A (ko) * 2021-10-18 2023-04-25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암모니아 흡착제
KR102644329B1 (ko) * 2021-10-18 2024-03-06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암모니아 흡착제
KR20230091712A (ko) 2021-12-16 2023-06-23 주식회사 포스코 화학기상증착법을 이용한 암모니아 제거용 왕겨 활성탄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Onishi et al. Development of effective catalysts for hydrogen storage technology using formic acid
Tabarkhoon et al. Synthesis of novel and tunable Micro-Mesoporous carbon nitrides for Ultra-High CO2 and H2S capture
KR102311550B1 (ko) 암모니아 흡착용 금속 첨착 활성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용도
Dong et al. Sulfur and nitrogen co-doped mesoporous carbon with enhanced performance for acetylene hydrochlorination
Gong et al. Metal–organic framework derived nanoporous carbons with highly selective adsorption and separation of xenon
EP3441505B1 (en) Ammonia production method
US11077423B2 (en) Highly stable [MaMbF6-n(O/H2O)n(Ligand)2(solvent)x]n metal organic frameworks
CN109748770B (zh) 一种基于超微孔金属有机框架材料的乙烯乙烷吸附分离方法
KR102178696B1 (ko) 암모니아 제거 재료, 암모니아 제거 방법 및 연료 전지 자동차용 수소 가스의 제조 방법
Zhang et al. A comparative study of manganese–cerium doped metal–organic frameworks prepared via impregnation and in situ methods in the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of NO
Asif et al. Recent advances in green hydrogen production, storage and commercial-scale use via catalytic ammonia cracking
Verma et al. Recent strategies for enhancing the catalytic activity of CO2 hydrogenation to formate/formic acid over Pd-based catalyst
Gong et al. Facile synthesis of porous α-Fe2O3 nanostructures from MIL-100 (Fe) via sacrificial templating method, as efficient catalysts for NH3-SCR reaction
US11850546B2 (en) Process for separation of hydrogen and oxygen
Zhong et al. Automatic high-pressure hydrogen generation from formic acid in the presence of nano-Pd heterogeneous catalysts at mild temperatures
Tamai et al. NO x oxidation and storage properties of a ruddlesden–popper-type Sr3Fe2O7− δ-layered perovskite catalyst
Payra et al. The structural and surface modification of zeolitic imidazolate frameworks towards reduction of encapsulated CO 2
CN100368077C (zh) Co2分解催化剂及其制备方法
Yang et al. Study on preparation of CuCl/REY adsorbent with high CO adsorption and selectivity
KR102069492B1 (ko) 저농도 암모니아의 농축을 위한 금속 첨착 활성탄의 제조 방법
KR102628990B1 (ko) 수소 제조용 백금-텅스텐 촉매 및 이를 이용한 수소의 제조방법
Feng et al. Novel synthetic route to Ce-Cu-WO microspheres for efficient catalytic oxidation of vinyl chloride emissions
CN114522504A (zh) 一种脱除高纯度气体中二氧化碳的方法
Phuong et al. Synthesis of metal organic framework based on Cu and benzene‐1, 3, 5‐tricarboxylic acid (H3BTC) by potentiodynamic method for CO2 adsorption
KR102644329B1 (ko) 암모니아 흡착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