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0821B1 - 타깃 셀 액세스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타깃 셀 액세스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0821B1
KR102310821B1 KR1020197018873A KR20197018873A KR102310821B1 KR 102310821 B1 KR102310821 B1 KR 102310821B1 KR 1020197018873 A KR1020197018873 A KR 1020197018873A KR 20197018873 A KR20197018873 A KR 20197018873A KR 102310821 B1 KR102310821 B1 KR 1023108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evice
network device
network slice
network
targ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8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9959A (ko
Inventor
총 루
뤼 왕
밍쩡 다이
칭하이 젱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to KR1020217031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5714B1/ko
Publication of KR20190089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99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0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08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04L41/0813Configuration setting characterised by the conditions triggering a change of sett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8Mobility data transfer
    • H04W8/16Mobility data transfer selectively restricting mobility data trac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95Configuration of virtualised networks or elements, e.g. virtualised network function or OpenFlow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4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using virtualisation of network functions or resources, e.g. SDN or NFV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50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 H04L41/5003Managing SLA; Interaction between SLA and QoS
    • H04L41/5006Creating or negotiating SLA contracts, guarantees or penal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50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 H04L41/5041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characterised by the time relationship between creation and deployment of a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3Protecting confidentiality, e.g. by encryption
    • H04W12/033Protecting confidentiality, e.g. by encryption of the user plane, e.g. user's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8Access secu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60Context-dependent security
    • H04W12/69Identity-depend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4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of control information between different access 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9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in case of dual connectivity, e.g. decoupled uplink/down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6Reselecting a communication resource in the serving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0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broadcasted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2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downlink control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1Allocation or use of connection ident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04L41/0806Configuration setting for initial configuration or provisioning, e.g. plug-and-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68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using specific QoS parameters for wireless networks, e.g. QoS class identifier [QCI] or guaranteed bit rate [GB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3Cell handover without a predetermined boundary, e.g. virtua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본 출원의 실시예는, 단말 장치가 타깃 셀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단말 장치에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자 및 네트워크 슬라이스 구성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셀 액세스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셀 액세스 방법은, 단말 장치가 단말 장치가 위치하는 서빙 셀에 대응하는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자를 획득하는 단계 -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자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의해 서비스되는 영역을 나타내는 데 사용됨 -; 단말 장치가 네트워크 슬라이스 구성 정보 및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자에 기초하여 타깃 셀을 결정하는 단계 - 네트워크 슬라이스 구성 정보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영역과 서비스 간의 대응 관계를 포함하고 있음 -; 및 단말 장치가 타깃 셀에 액세스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타깃 셀 액세스 방법 및 장치
삭제
본 출원은 이동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타깃 셀 액세스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점점 더 많은 사용자 케이스가 네트워크 성능에 대한 뚜렷하게 다른 요구사항을 가지고 있다. 5세대(5G)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관련된 네트워크 아키텍처를 구축하기 위해 네트워크 슬라이스(network slice, NS)의 개념이 제안되어 있다.
현재, 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the 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에 따르면, 5G에서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주요 유형이 3가지 유형, 즉 향상된 모바일 광대역(enhanced mobile broadband, eMBB) 서비스, 대규모 기계 유형 통신(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 mMTC) 서비스, 및 초고신뢰 저지연 통신(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s, URLLC) 서비스로 구분된다. eMBB는 레이트와 이동성에 대한 높은 요구사항을 갖는 단말기, 예컨대 휴대폰 또는 멀티미디어 장치를 위한 것이다. mMTC는 주로 대규모, 낮은 이동성, 비교적 낮은 레이트에 대한 요구사항을 갖는 사물 인터넷 장치를 위한 것이다. URLLC는 대기 시간과 안정성에 대한 엄격한 요구사항을 갖는 서비스 또는 장치 유형, 예컨대 주로 자동차 사물 인터넷 및 보안 정보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휴대폰 사용자가 eMBB 유형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액세스하여 고속으로 다운로드하거나 또는 4K 고화질 비디오를 시청할 수 있다. 센서 장치가 mMTC 타입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액세스하여, 작은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고 또한 시스템 구성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사용자가 동시에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또는 모든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액세스하여, 서비스 요구사항을 만족하고 또한 더 나은 사용자 경험을 얻을 수 있다.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선택하는 절차가 2단계, 즉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이딩(network slice guiding) 및 네트워크 슬라이스 연관(network slice association)으로 구분되어 있다.
단계 1(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이딩): 단말 장치가 선택된 공중 육상 이동 네트워크(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로의 네트워크 연결 구축을 개시하는 때,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가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 CN)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선택 모듈에 사용자의 구축 요청을 포워딩한다. 네트워크 슬라이스 선택 모듈은 단말 장치에 의해 제공된 유용한 정보, 예컨대 선택된 PLMN 식별자, 단말 장치의 식별자, 및 단말 장치에 의해 지원되는 CN 성능에 관한 정보에 기반한 단말 장치에 관한 정보, 예컨대 네트워크 슬라이스와 관련된 가입 정보, 서비스 수준 협약(service level agreement, SLA), 부하 정보, 및 로컬 구성을 질의함으로써, 단말 장치에 대한 적절한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선택하고 또한 단말 장치에 적절한 NSID를 할당할 수 있다. 단말 장치는 NSID 를 저장한다. 또한, RAN이 나중에 단말 장치와 선택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간의 CP 채널과 UP 채널을 구축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 슬라이스 선택 모듈은 선택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엔티티에 대응하는 구성 정보, 예컨대 대응하는 NF 식별자를 RAN에 통지한다.
단계 2(네트워크 슬라이스 연관):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이딩이 종료된 후, 단말 장치가 네트워크 슬라이스 연결을 재개시하는 경우, 예를 들어 서비스 요구사항으로 인해 단말 장치가 서비스 요청을 개시할 필요가 있는 경우, RAN은 단말 장치에 의해 저장되어 보고된 NSID와 네트워크 슬라이스 엔티티의 로컬에 저장된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NF를 선택함으로써, 단말 장치와 단말 장치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 간의 CP 연결과 UP 연결을 구축한다.
네트워크가 단말 장치에 대한 적절한 네트워크 슬라이스 명확히 선택한다는 가정에 기초하여, 현재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이딩 방식이 구축된다. 하지만, 실제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배치 케이스가 고려되지 않고, 일부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로컬 네트워크 영역에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사가 회사의 직원을 특별히 서비스하기 위해 산업 단지 내의 회사의 직원에 대한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구축한다. 대안적으로, 사용자가 경기장 내에서 서비스를 시작하는 경우, 사용자가 더 나은 서비스를 즐길 수 있고 또한 서비스 경험이 향상될 수 있도록,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경기장에 배치된다. 이때, 단말 장치가 이동하면 서빙 셀이 변경되고, 단말 장치가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서비스를 계속 경험하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서비스 연속성과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서비스 경험을 보장하는 것이 어렵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단말 장치가 타깃 셀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단말 장치에 대한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자와 네트워크 슬라이스 구성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타깃 셀 액세스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고려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1 양태는 타깃 셀 액세스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타깃 셀 액세스 방법은, 이하를 포함한다.
단말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가 위치하는 서빙 셀에 대응하는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자를 획득한다.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자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의해 서비스되는 영역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트래킹 영역(Tracking Area, TA)의 식별자가 각각의 셀에 미리 할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셀 1의 TA 식별자가 TA1이다. 서로 다른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서로 다른 서비스 범위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슬라이스 1이 TA1, TA2, 및 TA3을 커버할 필요가 있고, 네트워크 슬라이스 2가 TA2, TA4, 및 TA5를 커버할 필요가 있으며, 네트워크 슬라이스 3이 TA6만을 커버할 필요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에 대해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 단말 장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구성 정보 및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자에 기초하여 타깃 셀을 결정한다.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구성 정보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영역, 및 서비스 간의 대응 관계를 포함한다.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타깃 셀에 액세스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제1 실시 형태에서, 상기 타깃 셀 액세스 방법은, 상기 단말 장치가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구성 정보를 획득한다는 것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현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구성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의 장치 스토리지 또는 가입자 식별 모듈(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SIM) 카드의 저장 유닛에 미리 구성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구성 메시지는 비접속 계층(Non-access, NAS)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 장치에 송신될 수 있고,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수신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구성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단말 장치가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서비스 범위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코어 네트워크와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구성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와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자를 교환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제1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제2 실시 형태에서, 상기 타깃 셀 액세스 방법은 이하를 포함한다.
상기 단말 장치는 요청 메시지를 상기 코어 네트워크에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요청 메시지는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구성 정보를 요청하는 데 사용된다. 일부 실현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로의 네트워크 연결, 예를 들어 RRC 연결을 구축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연결이 구축된 후에,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와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상기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를 서비스하는 코어 네트워크와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구성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단말 장치가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서비스 범위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코어 네트워크와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자를 교환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제3 실시 형태에서, 상기 타깃 셀 액세스 방법은 이하를 포함한다.
상기 단말 장치는 지시 메시지를 상기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에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지시 메시지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한 요구사항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자를 획득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와 먼저 동기화함으로써, 예를 들어 1차 동기화 신호(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와 2차 동기화 신호(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에 대해 검출을 수행하고, 시간 영역과 주파수 영역에서 보정을 수행함으로써, 대응하는 주파수 채널 번호 및 대역폭과 같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타깃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상기 단말 장치가 이동하는 경우, 상기 서빙 셀이 변경되더라도, 서비스 연속성이 보장될 수 있도록,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획득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구성 정보 및 상기 획득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타깃 셀을 결정하고, 상기 타깃 셀 내에서 상기 타깃 서비스를 계속 즐길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2 양태는 타깃 셀 액세스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타깃 셀 액세스 방법은, 이하를 포함한다.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가 연결 지시를 타깃 네트워크 장치에 송신한다. 상기 연결 지시는 단말 장치에 연결하도록 상기 타깃 네트워크 장치에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는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타깃 네트워크 장치는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또는 코어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상기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가 제1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이고 또한 상기 타깃 네트워크 장치가 제2 RAN 네트워크 엘리먼트인 경우, 일부 실현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타깃 네트워크 장치로의 인터페이스 구축 요청을 개시한다. 상기 인터페이스 구축 요청은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를 포함하고, 2개의 연결된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의 애플리케이션 측에서 구성을 교환하는 데 사용된다. 상기 단말 장치가 네트워크 슬라이스 구성 정보 및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자에 기초하여 타깃 셀을 결정할 수 있도록, 상기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는 타깃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자를 상기 단말 장치에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타깃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자는 타깃 영역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고,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구성 정보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영역, 및 서비스 간의 대응 관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제1 실시 형태에서, 상기 타깃 셀 액세스 방법은, 이하를 포함한다.
상기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는 핸드오버 요청을 상기 타깃 네트워크 장치에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핸드오버 요청은 핸드오버 준비를 개시하는 데 사용되는 상기 연결 지시를 포함한다. 상기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에 타깃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자를 송신한다는 것은, 상기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에 핸드오버 명령을 송신한다는 것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핸드오버 명령은 상기 타깃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핸드오버 명령은 상기 타깃 네트워크 장치로 핸드오버하도록 상기 단말 장치에 지시한다.
네트워크 장치가 이웃 셀의 슬라이스 커버리지 정보를 감지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 장치가 네트워크 슬라이스 구성 정보를 교환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제2 실시 형태에서, 상기 타깃 셀 액세스 방법은, 이하를 포함한다.
상기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는 노드 추가 요청을 상기 타깃 네트워크 장치에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노드 추가 요청은 상기 연결 지시를 포함한다. 2개의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를 서비스하고 있는 네트워크 슬라이스로서 상기 단말 장치가 요구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서비스 영역 식별자를 교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는 다중 연결 작업(multi-connection operation)을 수행하거나 또는 상기 타깃 네트워크 장치에 관한 정보를 직접 수정하도록 상기 타깃 네트워크 장치를 트리거할 수 있다. 상기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가 타깃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자를 상기 단말 장치에 송신한다는 것은, 상기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가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상기 단말 장치에 송신한다는 것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 재구성 메시지는 상기 타깃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재구성 메시지는 상기 타깃 네트워크 장치에 연결하도록 상기 단말 장치에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상기 타깃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정보를 고려하여 이동성을 최적화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가 관심이 있는 네트워크 슬라이스로서 상기 단말 장치를 서비스하고 있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서비스 영역 식별자를 교환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제3 실시 형태에서, 상기 타깃 셀 액세스 방법법은, 이하를 포함한다.
상기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는 노드 수정 요청을 상기 타깃 네트워크 장치에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노드 수정 요청은 상기 단말 장치에 대한 상기 타깃 네트워크 장치의 무선 자원 구성을 수정하도록 상기 타깃 네트워크 장치에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일부 실현 가능한 실시예에서, 2개의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가 요구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또는 상기 단말 장치를 서비스하고 있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서비스 영역 식별자를 교환할 수 있고, 1차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가 현재의 다중 연결 작업을 수정하도록 2차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를 트리거한다. 상기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에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 재구성 메시지는 상기 무선 자원 구성을 포함한다.
상기 서비스 액세스 네트워크가 상기 다중 연결 작업을 수행하거나 또는 상기 타깃 네트워크 장치를 수정하게끔 상기 타깃 네트워크 장치를 트리거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가 관심이 있는 네트워크 슬라이스로서 상기 단말 장치를 서비스하고 있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서비스 영역 식별자를 교환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제4 실시 형태에서, 상기 타깃 셀 액세스 방법은, 이하를 포함한다.
상기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타깃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송신된 노드 수정 요청을 수신한다. 일부 실현 가능한 실시예에서, 2개의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가 요구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또는 상기 단말 장치를 서비스하고 있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서비스 영역 식별자를 교환할 수 있고, 2차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가 현재의 다중 연결 작업의 수정을 개시한다.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가 관심이 있는 네트워크 슬라이스로서 상기1차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현재의 다중 연결 작업을 수정하게끔 상기 타깃 네트워크 장치를 트리거할 수 있도록, 단말 장치를 서비스하고 있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서비스 영역 식별자를 교환한다.
타깃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상기 단말 장치가 이동하는 경우, 서빙 셀이 변경되더라도, 서비스 연속성이 보장될 수 있도록,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획득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구성 정보 및 상기 획득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타깃 셀을 결정하고, 상기 타깃 셀 내에서 상기 타깃 서비스를 계속 즐길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3 양태는 단말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가 위치하는 서빙 셀에 대응하는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자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제1 획득 모듈 -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자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의해 서비스되는 영역을 나타내는 데 사용됨 -; 네트워크 슬라이스 구성 정보 및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자에 기초하여 타깃 셀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모듈 -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구성 정보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영역, 및 서비스 간의 대응관계를 포함하고 있음 -; 및 상기 타깃 셀에 액세스하도록 구성된 액세스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 양태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양태의 제1 실시 형태에서, 상기 단말 장치는,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구성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제2 획득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 양태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양태의 제2 실시 형태에서,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코어 네트워크에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1 전송 서브모듈 - 상기 요청 메시지는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구성 정보를 요청하는 데 사용됨 -; 및 상기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구성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서브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 양태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양태의 제3 실시 형태에서,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에 지시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2 전송 서브모듈 - 상기 지시 메시지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한 요구사항을 나타내는 데 사용됨 -; 및 상기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자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획득 서브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4 양태는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는,
타깃 네트워크 장치에 연결 지시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1 전송 모듈 - 상기 연결 지시는 단말 장치에 연결하도록 상기 타깃 네트워크 장치에 지시하기 위해 사용됨 -; 및 상기 단말 장치가 네트워크 슬라이스 구성 정보 및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자에 기초하여 타깃 셀을 결정할 수 있도록, 타깃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자를 상기 단말 장치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2 전송 모듈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타깃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자는 타깃 영역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고,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구성 정보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영역, 및 서비스 간의 대응 관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4 양태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양태의 제1 실시 형태에서, 상기 제1 전송 모듈은,
상기 타깃 네트워크 장치에 핸드오버 요청을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1 전송 서브모듈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핸드오버 요청은 상기 연결 지시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전송 모듈은, 상기 단말 장치에 핸드오버 명령을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2 전송 서브모듈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핸드오버 명령은 상기 타깃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핸드오버 명령은 상기 타깃 네트워크 장치로 핸드오버하도록 상기 단말 장치에 지시한다.
본 발명의 제4 양태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양태의 제2 실시 형태에서, 상기 제1 전송 모듈은,
상기 타깃 네트워크 장치에 노드 추가 요청을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3 전송 서브모듈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노드 추가 요청은 상기 연결 지시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전송 모듈은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상기 단말 장치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4 전송 서브모듈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 재구성 메시지는 상기 타깃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재구성 메시지는 상기 타깃 네트워크 장치에 연결하도록 상기 단말 장치에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본 발명의 제4 양태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양태의 제3 실시 형태에서, 상기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타깃 네트워크 장치에 노드 수정 요청을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3 전송 모듈 - 상기 노드 수정 요청은 상기 단말 장치에 대한 상기 타깃 네트워크 장치의 무선 자원 구성을 수정하도록 상기 타깃 네트워크 장치에 지시하는 데 사용됨 -; 및 상기 단말 장치에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1 수신 모듈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 재구성 메시지는 상기 무선 자원 구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4 양태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양태의 제4 실시 형태에서, 상기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타깃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송신된 노드 수정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2 수신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5 양태는 단말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단말 장치는,
송수신기, 메모리, 프로세서, 및 버스를 포함한다. 상기 송수신기, 상기 메모리, 및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버스를 이용하여 연결된다. 상기 송수신기는 상기 단말 장치가 위치하는 서빙 셀에 대응하는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자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자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의해 서비스되는 영역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상기 프로세서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구성 정보 및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자에 기초하여 타깃 셀을 결정하고 -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구성 정보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영역, 및 서비스 간의 대응 관계를 포함하고 있음 -; 및 상기 타깃 셀에 액세스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메모리는 프로그램, 타깃 영역, 타깃 서비스, 및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구성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6 양태는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는,
송수신기, 메모리, 프로세서, 및 버스를 포함한다. 상기 송수신기, 상기 메모리, 및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버스를 이용하여 연결된다. 상기 송수신기는 연결 지시를 타깃 네트워크 장치에 송신하고 - 여기서, 상기 연결 지시는 단말 장치에 연결하도록 상기 타깃 네트워크 장치에 지시하는 데 사용됨 -; 상기 단말 장치가 네트워크 슬라이스 구성 정보 및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자에 기초하여 타깃 셀을 결정할 수 있도록, 타깃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자를 상기 단말 장치에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타깃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자는 타깃 영역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고,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구성 정보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영역, 및 서비스 간의 대응 관계를 포함한다. 상기 메모리는 프로그램, 타깃 영역, 타깃 서비스, 및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구성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의 기능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본 출원의 다른 양태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를 제공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는 명령을 저장한다. 상기 명령이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는 경우, 상기 컴퓨터는 전술한 양태의 타깃 셀 액세스 방법을 실행한다.
본 출원의 또 다른 양태는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한다. 상기 명령이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는 경우, 상기 컴퓨터는 전술한 양태의 타깃 셀 액세스 방법을 실행한다.
전술한 기술적 해결책으로부터 본 출원의 실시예가 다음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단말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가 위치하는 서빙 셀에 대응하는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자를 획득한다.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자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의해 서비스되는 영역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상기 단말 장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구성 정보 및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자에 기초하여 타깃 셀을 결정한다.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구성 정보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영역, 및 서비스 간의 대응관계를 포함한다.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타깃 셀에 액세스한다. 따라서, 타깃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상기 단말 장치가 이동하는 경우, 서빙 셀이 변경되더라도, 서비스 연속성이 보장될 수 있도록,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획득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구성 정보 및 상기 획득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타깃 셀을 결정하고, 상기 타깃 셀 내에서 상기 타깃 서비스를 계속 즐길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가 연결 지시를 상기 타깃 네트워크 장치에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 지시는 상기 단말 장치에 연결하도록 상기 타깃 네트워크 장치에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상기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타깃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자를 상기 단말 장치에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타깃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자는 상기 타깃 영역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구성 정보 및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타깃 셀을 결정한다.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구성 정보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영역, 및 서비스 간의 대응관계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상기 타깃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상기 단말 장치가 이동하는 경우, 상기 서빙 셀이 변경되더라도, 서비스 연속성이 보장될 수 있도록,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획득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구성 정보 및 상기 획득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타깃 셀을 결정하고, 상기 타깃 셀 내에서 상기 타깃 서비스를 계속 즐길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슬라이스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깃 셀 액세스 방법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깃 셀 액세스 방법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깃 셀 액세스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깃 셀 액세스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깃 셀 액세스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깃 셀 액세스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깃 셀 액세스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깃 셀 액세스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깃 셀 액세스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1000)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1000)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1000)의 또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1000)의 또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1400)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1400)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1400)의 또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1400)의 또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1400)의 또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1900)의 또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2000)의 또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단말 장치가 타깃 셀에 접속할 수 있도록 단말 장치에 대한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자와 네트워크 슬라이스 구성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본 출원의 실시예는 타깃 셀 액세스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당업자가 본 출원의 실시예의 해결책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출원의 실시예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책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한다. 명백히, 전술한 실시예는 본 출원의 실시예 중 일부이며 실시예의 전부는 아니다.
본 출원의 명세서, 청구 범위, 및 첨부 도면에서, "제1", "제2", "제3", 및 "제4" 등의 용어는 (존재한다면) 유사한 대상을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반드시 특정 순서나 시퀀스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순서와는 다른 순서로 구현될 수 있도록, 이렇게 명명된 데이터가 적절한 상황에서 교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포함한다(include, contain)"와 같은 용어와 이러한 용어의 다른 변형은 비한정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포괄하고자 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단계 또는 유닛의 목록을 포함하는 과정, 방법, 시스템, 제품, 또는 장치가 명시적으로 나열된 이러한 단계 또는 유닛에 반드시 한정되지 않으며, 명시적으로 나열되지 않거나 또는 이러한 과정, 방법, 시스템, 제품, 또는 장치에 내재된 다른 단계나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은 네트워크 슬라이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조도이다. 네트워크 슬라이스 시스템은 네트워크 장치와 단말기를 포함하고, 네트워크 장치는 코어 네트워크와 액세스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이 설명을 위한 예로서 사용된다.
단말 장치가 매크로 기지국 또는 마이크로 기지국에 의해 제공되는 셀(캐리어)의 커버리지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단말 장치가 셀에 의해 사용된 전송 자원(예를 들어, 주파수 영역 자원 또는 스펙트럼 자원)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장치와 통신한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상기 셀은 네트워크 장치에 대응하는 셀일 수 있고, 상기 셀은 매크로 셀(Macro Cell), 하이퍼 셀(Hyper Cell), 또는 빔(Beam)에 속할 수 있거나, 또는 스몰 셀(Small Cell)에 대응하는 기지국에 속할 수 있다. 여기서, 스몰 셀은 메트로 셀(Metro cell), 또는 마이크로 셀(Micro cell), 또는 피코 셀(Pico cell), 또는 펨토 셀(Femto cell)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스몰 셀은 커버리지 영역이 작고 송신 전력이 낮다는 특징이 있으며, 고속의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적용 가능하다. 단말 장치를 서비스하는 복수의 셀이 존재하는 경우, 단말 장치는 협력 멀티포인트 전송(coordinated multiple point transmission, CoMP) 방식으로 작동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스 시스템의 기능이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software defined network, SDN) 기술과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 NFV) 기술을 핵심 기술로서 이용하여 구현된다.
NFV 기술은 기초 물리적 자원의 가상화를 구현하고, 가상 네트워크와 같은 일반 플랫폼에 가상 네트워크 기능(network function, NF)을 로딩한다. SDN 기술은 가상 머신들 간의 논리적인 연결을 구현하며, 시그널링 및 데이터 플로우를 싣고 있는 경로를 구성한다.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구성될 수 있도록, 단-대-단 서비스 링크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RAN)와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 CN)의 상이한 NF들 간의 동적인 연결을 이용하여 구성된다. 용량, 커버리지, 레이트, 지연, 및 안정성과 같은 핵심 성과 지표(key performance indicator, KPI)에 대한 특정 상업적 사용 사례의 요구 사항에 따라, 요구되는 통신 서비스와 네트워크 기능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운영자가 특정 네트워크 기능 세트와 이러한 네트워크 기능을 실행하는 데 필요한 네트워크 리소스를 구성함으로써, 특정 시장 시나리오와 요구사항을 충족시킬 수 있다.
3GPP에서, 네트워크 아키텍처와 관련된 현재의 논의가 주로 네트워크 슬라이스 선택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네트워크 슬라이스 선택은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에 대한 적절한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선택하고, 단말 장치를 특정 네트워크 슬라이스와 연관시킴으로써, 네트워크 슬라이스로의 대응하는 제어 평면(control plane, CP) 및/또는 사용자 평면(user plane, UP) 연결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일부 실현 가능한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가 네트워크 슬라이스와 연관되거나 또는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핸드오버할 필요가 있으면, 적절한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선택되고,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이딩(network slice guiding)에 기초하여 단말 장치와 연관될 수 있다. 즉, 대응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network Slice identification, NSID)가 단말 장치에 할당된다. 구체적으로, 단말 장치에 대해 2개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이딩 방식으로 NSID가 선택되어 네트워크 슬라이스 선택의 완전한 절차를 구현한다.
가이딩 방식 1: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network slice identification, NSID)가 단말 장치의 범용 가입자 식별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카드에 사전 구성된다. 가이딩 방식 2: 단말 장치가 공중 육상 이동 네트워크(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에 등록하는 과정에서, 네트워크가 단말 장치에 NSID를 할당한다.
2가지 방식이 각각 서로 다른 시나리오에 대응하고 있다. 네트워크 슬라이스 가이딩이 종료된 후에, 단말 장치는 각각의 PLMN에 대한 하나의 NSID를 저장하고, PLMN과의 후속 통신 과정에서 하나의 NSID를 사용하며, 단말 장치를 대응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와 연관시키기 위해 하나의 NSID가 네트워크에 의해 사용된다.
본 출원은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가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배치와 단말기 장치의 이동성을 고려하는 방법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데 사용된다. 즉, 서비스 영역에 의해 제한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경우, 단말 장치의 이동성이 고려된다. 단말 장치가 이동하는 경우, 단말 장치에 대한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서비스 연속성이 향상된다. 구체적으로, 단말 장치는 요구된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의해 커버되는 셀을 선택하거나 또는 재선택을 위한 우선순위를 높여서 가능한 한 이러한 셀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유휴 상태의 단말 장치가 요구된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커버리지 영역에 관한 정보를 학습한다. 또한, 단말 장치가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액세스하고, 현재 셀의 커버리지 가장자리로 이동하며, 소스 셀과 타깃 셀 간에 핸드오버가 수행될 필요가 있는 경우, 소스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가 적절한 타깃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를 선택함으로써, 타깃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에 의해 액세스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보장하면서 다른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재선택하고 핸드오버 절차가 성공적으로 수행되도록 보장할 필요가 있다.
일부 실현 가능한 실시예에서, 본 출원은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UMTS) 시스템, CDMA 시스템, 무선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또는 새로운 무선접속 기술(New Radio Access Technology)의 새로운 무선(New Radio, NR) 시스템이나 진화된 LTE (evolved LTE, eLTE)와 같은 미래의 5세대(5G) 무선 통신 시스템에 또한 적용 가능하다. 즉, eLTE에서의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가 동시에 LTE의 코어 네트워크, 또는 미래의 5G의 코어 네트워크 등에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장치가 액세스 네트워크에 있는 장치로서 섹터를 이용하여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단말기와 통신하고 단말기에 연결되는 장치일 수 있다. 네트워크 장치는 수신된 무선(over-the-air) 프레임과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 패킷을 상호 변환하고, 단말 장치와 액세스 네트워크의 나머지 부분 사이에서 라우터의 역할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액세스 네트워크의 나머지 부분이 IP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장치는 무선 인터페이스의 속성 관리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장치는 이동통신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SM) 또는 코드분할 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기술에서의 베이스 트랜시버 스테이션(Base Transceiver Station, BTS)일 수 있거나; 또는 광대역 코드분할 다중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에서의 NodeB일 수 있거나; 또는 LTE에서의 진화된 NodeB(eNB 또는 evolutional Node B(e-NodeB))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에 대해 제한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RAN 장치가 WLAN에서의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이거나 또는 GSM이나 CDMA에서의 베이스 트랜시버 스테이션(Base Transceiver Station, BTS)일 수 있거나; 또는 WCDMA에서의 NodeB(NodeB, NB)일 수 있거나; 또는 LTE에서의 진화된 NodeB(Evolutional Node B, eNB 또는 eNodeB), 중계국이나 액세스 포인트, 차량용 장치(in-vehicle device), 웨어러블 장치, 미래의 5G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장치, 또는 미래의 진화된 PLMN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장치, 예를 들어, 5G 코어 네트워크 장치에 연결할 수 있는 기지국, 전송 및 수신점(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 TRP), 중앙 유닛(Centralized Unit, CU), 또는 분산 유닛(Distributed Unit, DU)일 수 있다. CN 장치가 LTE에서의 이동성 관리 엔티티(Mobile Management Entity, MME) 또는 게이트웨이(Gateway)일 수 있거나, 또는 5G 네트워크에서의 제어 평면(Control Plan, CP) 네트워크 기능(Network Function, NF) 또는 사용자 평면 (User Plan, UP) 네트워크 기능, 예를 들어 공통 제어 평면 네트워크 기능(Common CP NF, CCNF) 또는 세션 관리 네트워크 기능(Session Management NF, SMF)일 수 있다.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는 서버일 수 있고, 서로 다른 구성 또는 서로 다른 성능으로 인해 크게 바뀔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중앙처리장치(CPU)(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메모리,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저장 매체(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대용량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와 저장 매체는 일시적인 스토리지 또는 영구적인 스토리지일 수 있다. 저장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은 하나 이상의 모듈(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모듈은 서버에 대한 일련의 명령 연산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중앙처리장치는 서버 상에서 저장 매체 내의 일련의 명령 연산을 수행하기 위해 저장 매체와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하나 이상의 전원, 하나 이상의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하나 이상의 입력/출력 인터페이스, 및/또는 Windows ServerTM, Mac OS XTM, UnixTM, LinuxTM, 또는 FreeBSDTM과 같은 하나 이상의 운영체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언급된 단말 장치가 사용자에게 음성 및/또는 데이터 접속을 제공하는 장치, 또는 무선 연결 기능을 갖는 핸드헬드 장치, 또는 무선 모뎀에 연결된 다른 처리 장치일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무선 단말기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 Radio Access Network)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다. 무선 단말기는 휴대폰(또는 "셀룰러" 폰이라고 함)과 같은 모바일 단말기와 모바일 단말기를 가진 컴퓨터, 예를 들어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와 음성 및/또는 데이터를 교환하는 휴대용 장치, 포켓 크기의 장치, 핸드헬드형 장치, 컴퓨터 내장형 장치, 또는 차량용 모바일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단말기는 개인 휴대 통신 서비스(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PCS) 전화기, 무선 전화기 세트, 세션 개시 프로토콜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전화기, 무선 가입자 회선(Wireless Local Loop, WLL) 스테이션, 또는 개인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와 같은 장치일 수 있다. 무선 단말기는 시스템, 가입자 유닛(Subscriber Unit), 가입자 스테이션(Subscriber Station), 이동국(Mobile Station), 원격 스테이션(Remote Station),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원격 단말기(Remote Terminal), 액세스 단말기(Access Terminal), 사용자 단말기(User Terminal), 단말 장치, 사용자 에이전트(User Agent), 사용자 장치(User Device), 또는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라고도 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휴대폰이 사용되고, 휴대폰의 구조가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 회로, 메모리, 입력 유닛, 디스플레이 유닛, 센서, 오디오 주파수 회로,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WiFi) 모듈, 프로세서, 및 전원과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당업자라면 도 11에 도시된 휴대폰의 구조가 휴대폰을 제한하지 않으며, 휴대폰이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 또는 더 적은 구성요소를 포함하거나, 또는 몇몇 구성요소를 결합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컴포넌트 배치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는 단말 장치가 위치하는 서빙 셀에 대응하는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자를 획득한다. 여기서,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자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의해 서비스되는 영역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단말 장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구성 정보와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자에 기초하여 타깃 셀을 결정한다. 여기서, 네트워크 슬라이스 구성 정보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영역, 및 서비스 간의 대응 관계를 포함한다. 단말 장치는 타깃 셀에 액세스한다. 따라서, 타깃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단말 장치가 이동하는 경우, 서빙 셀이 변경되더라도, 서비스 연속성이 보장될 수 있도록, 단말 장치는 획득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구성 정보 및 획득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자에 기초하여 타깃 셀을 결정할 수 있고, 타깃 셀 내에서 타깃 서비스를 계속 즐길 수 있다.
또한,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는 타깃 네트워크 장치에 연결 지시를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 지시는 단말 장치에 연결하도록 타깃 네트워크 장치에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단말 장치가 타깃 영역, 타깃 서비스, 및 사전 획득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타깃 네트워크 장치를 결정하고, 타깃 네트워크에 의해 서비스되는 타깃 셀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는 타깃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자를 단말 장치에 송신한다. 여기서, 타깃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자는 타깃 영역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그러므로, 타깃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단말 장치가 이동하는 경우, 서빙 셀이 변경되더라도, 서비스 연속성이 보장될 수 있도록, 단말 장치는 획득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구성 정보와 획득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자에 기초하여 타깃 셀을 결정하고, 타깃 셀 내에서 타깃 서비스를 계속 즐길 수 있다.
이해가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구체적인 절차에 대해 설명한다. 단말 장치가 서로 다른 방식으로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를 획득하고, 이하에서는 이러한 방식에 대해 개별적으로 설명한다.
I. 단말 장치가 코어 네트워크와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관련 정보를 개별적으로 획득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타깃 셀 액세스 방법의 실시예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201. 단말 장치가 단말 장치가 위치하는 서빙 셀에 대응하는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자를 획득한다. 여기서,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자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의해 서비스되는 영역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일부 실현 가능한 실시예에서,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는 단말 장치에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 정보를 추가로 송신할 수 있다.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저장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자가 운용, 관리, 및 유지보수(Operation And Management, OAM) 엔티티와 같은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에 의해 미리 구성될 수 있거나, 또는 응용 계층 기능 엔티티에 의해 미리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여기서는 이에 대해 제한하지 않는다. 단말 장치가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자를 획득할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여기서는 이에 대해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일부 실현 가능한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 정보는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메시지를 이용하여 송신되는 시스템 메시지일 수 있고, 상기 시스템 메시지는 새로 추가된 필드로서 기존의 시스템 메시지 블록에 포함될 수 있거나, 또는 새로운 시스템 메시지 블록으로서 사용되어 단말 장치에 송신될 수 있다. 여기서는 이에 대해 제한하지 않는다.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 정보는 대안적으로, RRC 메시지를 이용하여 송신되는 단말 장치를 위한 전용 메시지일 수 있고, 이 경우 다른 단말 장치가 전용 메시지를 수신할 수 없도록, 상기 단말 장치만이 메시지를 정확하게 수신하고 디코딩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현 가능한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 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는 우선순위, 즉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정렬될 수 있다.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우선순위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자에 대응하는 우선순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A의 우선순위가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B의 우선순위보다 높다.
또한, 일부 실현 가능한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자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커버리지 영역을 나타낼 수 있고,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하나의 PLMN 내에서 셀의 그룹을 커버할 수 있다. 각각의 셀은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에 속할 수 있다.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자는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전체 PLMN 내의 모든 셀을 커버한다는 것을 추가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자는 사전 정의된 특정 값일 수 있거나, 또는 셀의 그룹 식별자, 또는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식별자의 그룹, 또는 트래킹 영역(tracking area, TA) TA 식별자 목록일 수 있다.
또한, 일부 실현 가능한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자를 수신한 후에, 단말 장치는 식별자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커버리지 영역을 결정할 수 있고,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서비스나 서비스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현 가능한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 정보는 셀에 의해 지원되는 동일한 주파수 목록 또는 서로 다른 주파수 목록 내의 각각의 주파수의 주파수 채널 번호에 관한 정보; 및 주파수 채널 번호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자와 같은 관련 정보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여기서,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자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데 사용되고,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은 섹터, 빔, 셀, 트래킹 영역, 페이징 영역,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스테이션, 전송 및 수신점(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 TRP), 분산 유닛(Distributed Unit, DU), 또는 중앙 유닛(Central Unit, CU) 등일 수 있다. 여기서는 이에 대해 제한하지 않는다.
일부 실현 가능한 실시예에서, 이웃 셀에 의해 지원되는 동일한 주파수 목록 또는 서로 다른 주파수 목록 내의 각각의 주파수의 주파수 채널 번호에 관한 정보 및 주파수 채널 번호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자가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데 사용된다.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은 섹터, 빔, 셀, 트래킹 영역, 페이징 영역,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스테이션, TRP, DU, 또는 CU 등일 수 있다. 여기서는 이에 대해 제한하지 않는다.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의 많은 분할된 셀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이 많은 안테나를 가지고 있으며, 각각의 안테나가 섹터 형상의 셀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에는 단말 장치가 액세스하는 셀과 셀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202. 단말 장치가 네트워크 슬라이스 구성 정보와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자에 기초하여 타깃 셀을 결정한다. 여기서, 네트워크 슬라이스 구성 정보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영역, 및 서비스 간의 대응 관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현 가능한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는 수신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구성 정보와 수신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 정보를 셀 선택 및 재선택을 위한 표준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에 의해 서비스되고 있는 단말 장치, 서비스 유형, 및/또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해, 단말 장치는 서비스 및/또는 현재 캠핑 셀의 주파수와 주파수 채널 번호를 제공할 수 있는 현재 캠핑 셀의 식별자를 최고 우선순위로 설정할 수 있다. 셀 재선택을 수행하는 경우, 단말 장치는 셀 식별자에 대응하는 셀, 및/또는 주파수와 주파수 채널 번호에 대응하는 셀을 우선적으로 재선택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서비스 유형, 및/또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의해 서빙될 필요가 있는 단말 장치에 대해, 단말 장치가 서비스, 서비스 유형, 및/또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에 의해 서비스되기를 기대하는 경우, 단말 장치는 상기 서비스를 향상시킬 수 있는 현재 캠핑 셀의 식별자 및/또는 현재 캠핑 셀의 주파수와 주파수 채널 번호를 최고 우선순위로 설정할 수 있다. 셀 재선택을 수행하는 경우, 단말 장치는 상기 주파수에 대응하는 셀과 셀 식별자, 및/또는 상기 주파수 채널 번호에 대응하는 셀을 우선적으로 재선택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에 의해 요구되는 서비스, 서비스 유형, 및/또는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없는 경우, 예를 들어 세션이 종료된 경우, 단말 장치는 상기 서비스를 개선할 수 있는 현재 캠핑 셀의 주파수와 주파수 채널 번호를 더 이상 최고 우선순위로 설정하지 않는다.
203. 단말 장치가 타깃 셀에 액세스한다.
204. 단말 장치가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네트워크 슬라이스 구성 정보를 획득한다.
선택적으로, 도 2a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는 단계 204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단계 204는 단계 201 이전에 수행된다.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트래킹 영역(Tracking Area, TA)의 식별자가 각각의 셀에 사전 할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셀 1의 TA 식별자가 TA1이다. 서로 다른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서로 다른 서비스 범위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슬라이스 1이 TA1, TA2, 및 TA3을 커버할 필요가 있고, 네트워크 슬라이스 2가 TA2, TA4, 및 TA5를 커버할 필요가 있으며, 네트워크 슬라이스 3이 TA6만을 커버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는 이에 대해 제한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는 응용 계층 또는 서비스 계층과 관련된 코어 네트워크 또는 기능 엔티티에 의해 송신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구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 슬라이스 구성 정보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와 서비스 간의 대응 관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네트워크 슬라이스 구성 정보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1이 서비스 1, 서비스 2, 및 서비스 3을 제공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슬라이스 2가 서비스 3, 서비스 4, 및 서비스 5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현 가능한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스 구성 정보는 단말 장치의 장치 스토리지 또는 가입자 식별 모듈(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SIM) 카드의 스토리지 유닛에 미리 구성될 수 있거나, 또는 구성 메시지는 비접속 계층(Non-access, NAS) 메시지를 이용하여 단말 장치에 송신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현 가능한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스 구성 정보는, 서비스, 예를 들어 비디오, 스포츠 프로그램, 또는 텔레비전 채널, 또는 하나 이상의 서비스에 대응하는 서비스 유형, 예를 들어 서비스, 채널, 또는 서비스 유형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임시 모바일 그룹 아이덴티티(Temporary Mobile Group Identity, TMGI)와 같은 비디오 유형 서비스에 대응하는 식별자; 서비스가 시작하거나 또는 종료하는 시간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서비스 또는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는 세션이 시작되거나 및/또는 종료되는 시간; 서비스 또는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는 주파수 정보 - 상기 주파수 정보는 상기 서비스 또는 상기 서비스 유형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주파수 또는 주파수 채널 번호만을 나타내는 데 사용됨 -; 서비스 또는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자 - 상기 서비스는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자에 대응하고 있을 수 있고,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자에 대응하는 셀에서만 서비스를 즐길 수 있음 -; 서비스 또는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 정보; 및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할당되고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등의 관련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서비스 또는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는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 정보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유형을 나타내는 정보와 같은 네트워크 슬라이스 유형, 예를 들어, 향상된 모바일 광대역(enhanced Mobile Broadband, eMBB), 초고신뢰 저지연 통신(Ultra-Reliable Low Latency Communications, URLLC), 또는 대규모 기계 유형 통신(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 mMTC) - 네트워크 슬라이스 유형은 추가적으로, RAN과 CN을 포함하는 단-대-단 네트워크 슬라이스 유형일 수 있거나, 또는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유형이거나 또는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유형일 수 있음 -; 서비스 특징 또는 특정 서비스, 예를 들어 비디오 서비스, 또는 자동차 사물 인터넷 서비스, 또는 음성 서비스를 나타내는 정보와 같은 특정 서비스와 관련된 서비스 유형;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구축하거나 또는 임대하는 고객, 예를 들어, 텐센트(Tencent) 또는 상태 그리드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테넌트(Tenant) 정보; 사용자의 레벨과 같은 특징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그룹화되는 그룹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단말 장치 그룹 정보; 단말 장치가 특징에 기초하여 액세스할 수 있는 인스턴스 식별자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거나, 또는 인스턴스 식별자와 피처 정보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슬라이스 그룹 정보(예를 들어, 식별자가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에 할당되어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거나, 또는 새로운 식별자가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 식별자에 기초하여 매핑되고, 상기 식별자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와 연관되며, 수신기가 상기 식별자에 기초하여, 표현된 특정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를 식별할 수 있음); 및 전용 코어 네트워크(Dedicated Core Network, DCN) 식별자 - 상기 DCN 식별자는 전용 코어 네트워크, 예를 들어 사물 인터넷의 전용 코어 네트워크를 고유하게 나타내는 데 사용되고, 선택적으로, DCN 식별자와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간의 매핑 관계가 존재할 수 있으며,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는 매핑된 DCN 식별자에 기초하여 획득될 수 있고, 상기 DCN 식별자는 매핑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에 기초하여 획득될 수 있음 - 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실현 가능한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스 구성 정보는 다른 요구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는 이에 대해 제한하지 않는다.
네트워크 슬라이스 구성 정보를 수신한 후에, 단말 장치가 네트워크 슬라이스 구성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연결된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와 동기화하며, 예를 들어, 1차 동기화 신호(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와 2차 동기화 신호(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에 대해 검출을 수행하며, 시간 영역과 주파수 영역에서 보정을 수행함으로써, 대응하는 주파수 채널 번호 및 대역폭과 같은 정보를 획득한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다시 말해, 단말 장치는 시간 영역과 주파수 영역 모두에서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와 동기화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이 정보를 송신할 필요가 있는 경우, 단말 장치는 정보가 송신되는 정확한 순간을 획득할 필요가 있다. 일부 실현 가능한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가 RAN과 통신을 개시하기 전에, 단말 장치는 RAN과 동기화할 필요가 있다.
II. 단말 장치가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관련 정보를 획득한다.
301. 단말 장치가 요청 메시지를 코어 네트워크에 송신한다. 여기서, 요청 메시지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구성 정보를 요청하는 데 사용된다.
일부 실현 가능한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는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로의 네트워크 연결, 예를 들어 RRC 연결을 구축할 수 있다. 네트워크 연결이 구축된 후에, 단말 장치는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와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를 이용하여,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를 서비스하는 코어 네트워크와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현 가능한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는 코어 네트워크에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 일부 실현 가능한 실시예에서, 요청 메시지는 NAS 메시지, 예를 들어 CN에 접속하거나 또는 등록하도록 단말 장치에 요청하는 데 사용되는 접속 요청; 또는 CN과 서비스를 구축하도록 단말 장치에 요청하는 데 사용되는 서비스 요청; 또는 CN과 세션을 구축하도록 단말 장치에 요청하는 데 사용되는 세션(Session) 구축 요청; 또는 단말 장치가 현재 트래킹 영역 밖으로 이동하는 경우 트래킹 영역을 업데이트하도록 단말 장치와 CN에 요청하는 데 사용되는 트래킹 영역 업데이트 요청일 수 있다.
일부 실현 가능한 실시예에서, 요청 메시지는 RRC 메시지, 예를 들어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의 네트워크 엘리먼트로의 RRC 연결을 구축하도록 요청하는 데 사용되는 RRC 연결 셋업 요청; 또는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의 네트워크 엘리먼트로의 RRC 연결을 재구축하도록 요청하는 데 사용되는 RRC 연결 재구축 요청; 또는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의 네트워크 엘리먼트로의 RRC 연결을 구축하는 과정이 완료된 것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RRC 연결 셋업 완료(RRC connection setup complete); 또는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에 단말 장치의 성능 정보를 통지하는 데 사용되는 단말 장치의 성능 정보 전송일 수 있다. 여기서는 이에 대해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요청 메시지는 코어 네트워크에 의해 단말 장치에 할당되고, 네트워크 엘리먼트에 연결된 단말 장치를 고유하게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단말 장치의 임시 식별자; 전역적으로 고유한 방식으로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를 식별하는 데 사용되는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식별자; 전역적으로 고유한 방식으로 셀을 식별하는 데 사용되는 셀 식별자;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또는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및/또는 셀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자를 전달하도록 코어 네트워크에 요청하는 데 사용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 정보 요청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실현 가능한 실시예에서, 요청 메시지는 전술한 메시지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명세서에서는 이를 제한하지 않는다.
302. 단말 장치가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네트워크 슬라이스 구성 정보를 수신한다.
일부 실현 가능한 실시예에서, 코어 네트워크는 메시지로 단말 장치에 응답할 수 있고, 상기 메시지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메시지는 NAS 메시지, 예를 들어 CN이 단말 장치의 접속 요청을 허가한 것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접속 허가(attach permission); CN이 단말 장치의 서비스 요청을 허가한 것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서비스 요청 허가; 또는 CN이 단말 장치에 대한 세션을 구축한 것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세션 구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시지는 전역적으로 고유한 방식으로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식별자; 또는 서빙 셀과 이웃 셀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 정보, 예컨대 모든 주파수의 목록에서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 정보 또는 서빙 셀과 이웃 셀에 의해 지원되는 주파수 채널 번호와 같은 정보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실현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메시지는 다른 요구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는 이에 대해 제한하지 않는다. 단말 장치는 수신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303. 단말 장치가 네트워크 슬라이스 구성 정보와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자에 기초하여 타깃 셀을 결정한다. 여기서, 네트워크 슬라이스 구성 정보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영역, 및 서비스 간의 대응 관계를 포함한다.
304. 단말 장치가 타깃 셀에 액세스한다.
본 실시예에서, 단계 303와 단계 304는 전술한 실시예의 단계 203과 단계 204와 동일하고, 본 명세서에서는 세부사항에 대해 설명하지 않는다.
III. 단말 장치가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관련 정보를 획득한다.
401. 단말 장치가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에 지시 메시지를 송신한다. 여기서, 지시 메시지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한 요구사항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이 양태의 실시예에서,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가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한 단말 장치의 요구사항을 감지하여 이동성을 개선할 수 있도록, 단말 장치는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에 네트워크 슬라이스 요구사항 정보를 통지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는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와 먼저 동기화하고, 예를 들어 1차 동기화 신호와 2차 동기화 신호에 대해 검출을 수행하고, 시간 영역과 주파수 영역에서 보정을 수행함으로써, 대응하는 주파수 채널 번호 및 대역폭과 같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런 다음,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한 단말 장치의 요구사항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기 위해, 단말 장치는 지시 메시지를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에 송신한다. 또한, 지시 메시지는 특정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Preamble) 또는 특정 랜덤 액세스 시간-주파수 자원과 같은 랜덤 액세스 자원을 이용하여 송신될 수 있다. 지시 메시지는 대안적으로 MAC 제어 엘리먼트(Control Element) 메시지일 수 있고, 지시 메시지는 RRC 메시지, 예를 들어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의 네트워크 엘리먼트로의 RRC 연결을 구축하도록 요청하는 데 사용되는 RRC 연결 셋업 요청;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의 네트워크 엘리먼트로의 RRC 연결을 재구축하도록 요청하는 데 사용되는 RRC 연결 재구축 요청;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의 네트워크 엘리먼트로의 RRC 연결을 구축하는 과정이 완료된 것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RRC 연결 설정 완료; 또는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에 단말 장치의 성능 정보를 통지하는 데 사용되는 단말 장치의 성능 정보 전송일 수 있다. 여기서는 이에 대해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지시 메시지는 단말 장치를 서비스하고 있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서비스 영역 식별자; 단말 장치를 서비스하고 있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서비스 영역 식별자에 대응하는 주파수 또는 주파수 채널 번호에 관한 정보; 단말 장치에서 요구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서비스 영역 식별자; 단말 장치에서 요구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서비스 영역 식별자에 대응하는 주파수 또는 주파수 채널 번호에 관한 정보; 및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자에 대응하는 우선순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우선순위와 같은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슬라이스 A의 우선순위가 네트워크 슬라이스 B의 우선순위보다 높다.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는 지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액세스 네트워크 측의 네트워크 엘리먼트가 핸드오버 준비를 위해,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한 단말 장치의 요구 성능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는 이에 대해 제한하지 않는다.
402. 단말 장치가 단말 장치가 위치하는 서빙 셀에 대응하는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자를 획득한다. 여기서,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자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의해 서비스되는 영역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403. 단말 장치가 네트워크 슬라이스 구성 정보와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자에 기초하여 타깃 셀을 결정한다. 여기서, 네트워크 슬라이스 구성 정보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영역, 및 서비스 간의 대응 관계를 포함한다.
404. 단말 장치가 타깃 셀에 액세스한다.
본 실시예에서, 단계 402 내지 단계 404는 전술한 실시예의 단계 202 내지 단계 204와 동일하고, 본 명세서에서는 세부사항에 대해 설명하지 않는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단말 장치가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장치들 간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 교환에 대해 설명한다. 네트워크 장치들이 상이한 방식으로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를 교환하고, 이하에서는 상이한 방식을 개별적으로 설명한다.
1.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가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를 타깃 네트워크 장치에 송신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1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가 제2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의 슬라이스 커버리지 정보를 학습할 수 있도록, 2개의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가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출원의 실시예의 타깃 셀 액세스 방법의 다른 실시예는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501.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가 타깃 네트워크 장치에 연결 지시를 송신한다. 여기서, 연결 지시는 단말 장치에 연결하도록 타깃 네트워크 장치에 지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는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를 포함하고, 타깃 네트워크 장치는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또는 코어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가 제1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이고, 타깃 네트워크 장치가 제2 RAN 네트워크 엘리먼트인 경우, 일부 실현 가능한 실시예에서,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는 타깃 네트워크 장치로의 인터페이스 구축 요청을 개시한다. 인터페이스 구축 요청은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를 포함하고, 2개의 연결된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의 애플리케이션 측에서 구성을 교환하는 데 사용된다. 또한, 상기 메시지는 전역적으로 고유한 방식으로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를 식별하는 데 사용되는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식별자; 각각의 서빙 셀의 서빙 셀과 이웃 셀에 관한 정보, 예를 들어 셀 식별자, 물리적 셀 식별자, 주파수 채널 번호에 관한 정보, 트래킹 영역 코드, 및 각각의 서빙 셀의 서빙 셀과 이웃 셀에 각각 대응하는 지원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 정보; 또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자에 대응하는 우선순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우선순위와 같은 정보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A의 우선순위가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B의 우선순위보다 높다.
502. 타깃 네트워크 장치가 인터페이스 구축 요청 응답을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에 송신함으로써, 연결된 2개의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의 애플리케이션 측에서 구성을 교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시지는 전역적으로 고유한 방식으로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를 식별하는 데 사용되는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식별자; 또는 각각의 서빙 셀의 서빙 셀과 이웃 셀에 관한 정보, 예를 들어 셀 식별자, 물리적 셀 식별자, 주파수 채널 번호에 관한 정보, 트래킹 영역 코드, 및 각각의 서빙 셀의 서빙 셀과 이웃 셀에 각각 대응하는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 정보; 또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자에 대응하는 우선순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우선순위와 같은 정보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A의 우선순위가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B의 우선순위보다 높다.
503.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가 타깃 네트워크 장치로의 인터페이스 구성 업데이트를 개시함으로써, 갱신된 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상기 메시지는 전역적으로 고유한 방식으로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를 식별하는 데 사용되는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식별자; 새로운 셀을 추가하는 것, 기존의 셀 구성을 수정하는 것, 또는 셀을 삭제하는 것과 같은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각각의 서빙 셀의 서빙 셀과 이웃 셀에 관한 정보의 변경 정보, 예를 들어 셀 식별자, 물리적 셀 식별자, 주파수 채널 번호에 관한 정보, 트래킹 영역 코드, 및 각각의 서빙 셀의 서빙 셀과 이웃 셀에 대응하는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 정보; 또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자에 대응하는 우선순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우선순위와 같은 정보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A의 우선순위가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B의 우선순위보다 높다.
504. 타깃 네트워크 장치가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의 구성 갱신 메시지가 수신된 것을 수신확인하기 위해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로의 인터페이스 구성 업데이트 확인응답 메시지를 개시한다.
선택적으로, 타깃 네트워크 장치가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개시된 인터페이스 구성 업데이트 내용을 지원할 수 없으면, 타깃 네트워크 장치는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의 구성 업데이트가 실패한 것을 나타내기 위해 실패 메시지로 응답할 수 있다.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를 획득한 후에, 단말 장치는 타깃 영역, 타깃 서비스, 및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타깃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결정하고, 타깃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타깃 영역 내에서 타깃 서비스를 싣는 데 사용된다. 단말 장치가 타깃 영역에 위치하고 타깃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단말 장치는 타깃 네트워크 슬라이스와 연관된다.
II.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가 타깃 네트워크 장치에 핸드오버 요청을 송신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핸드오버 과정에서,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와 타깃 네트워크 장치는 단말 장치를 서비스하고 네트워크 슬라이스 또는 단말 장치에서 요구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서비스 영역 식별자를 교환할 수 있다. 타깃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정보를 고려하여 이동성을 최적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핸드오버 준비 단계에서, 타깃 RAN 장치가 핸드오버 이후에 우선적으로, 단말 장치를 서비스하고 있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또는 단말 장치에서 요구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서비스 영역 식별자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장치를 새로운 타깃 RAN 장치로서 사용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출원의 실시예의 타깃 셀 액세스 방법의 다른 실시예는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601.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가 타깃 네트워크 장치에 핸드오버 요청을 송신한다. 핸드오버 요청은 연결 지시를 포함한다.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는 핸드오버 준비를 개시하기 위해 핸드오버 요청을 타깃 네트워크 장치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시지는,
단말 장치를 서비스하고 있는 서비스 영역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식별 정보; 또는
단말 장치에서 요구하는 서비스 영역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식별 정보; 또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자에 대응하는 우선순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우선순위(예를 들어,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A의 우선순위가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B의 우선순위보다 높음); 또는
이번의 핸드오버 원인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핸드오버 원인, 예를 들어 무선 네트워크 계층(신호 또는 자원 최적화로 인해 트리거되는 핸드오버 등) 상에서의 원인; 또는
타깃 셀의 식별자를 고유하게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타깃 셀 식별자; 또는
서빙 PLMN, 동등한 PLMN, 금지되거나 허용된 트래킹 영역의 목록, 또는 금지되거나 허용된 셀의 목록 등을 포함하는 핸드오버 제한 목록; 또는
코어 네트워크에 의해 단말 장치의 저장된 콘텍스트를 검색하는 데 사용되는 단말 장치에 대응하는 임시 식별자; 또는
단말 장치와 연관된 코어 네트워크 제어 기능 엔티티의 식별자; 또는
단말 장치에 의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또는 모든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 또는
구축될 필요가 있는 베어러의 정보로서 단말 장치에 의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또는 모든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응하고 있는 베어러의 정보, 예를 들어, 베어러 식별자, 베어러 레벨 QoS(quality of service) 파라미터, 터널의 종단점, 또는 베어러 레벨 보안 정보, 예를 들어 암호화 기능 활성화 옵션(암호화 기능의 위치가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및/또는 코어 네트워크에 있음), 헤더 압축 기능 활성화 옵션(헤더 압축 기능의 위치가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및/또는 코어 네트워크에 있음), 또는 무결성 보호 활성화 옵션(무결성 보호의 위치가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및/또는 코어 네트워크에 있음); 또는
구축될 필요가 있고 또한 단말 장치에 의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또는 모든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응하고 있는 세션 정보로서 단말 장치에 의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또는 모든 네트워크 슬라이스, 예를 들어 세션 식별자, 세션 레벨 QoS(서비스 품질) 파라미터, 터널의 종단점, 또는 세션 레벨 보안 정보, 예를 들어 암호화 기능 활성화 옵션(암호화 기능은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및/또는 코어 네트워크에 위치함), 헤더 압축 기능 활성화 옵션(헤더 압축 기능의 위치는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및/또는 코어 네트워크, 또는 무결성 보호 활성화 옵션(무결성 보호의 위치가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및/또는 코어 네트워크에 있음); 또는
구축될 필요가 있는 플로우로서 또한 단말 장치에 의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또는 모든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응하고 있는 플로우의 정보, 예를 들어 플로우 식별자, 플로우 레벨 QoS(서비스 품질) 파라미터, 터널의 종단점, 또는 플로우 레벨 보안 정보, 예를 들어, 암호화 기능 활성화 옵션(암호화 기능의 위치가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및/또는 코어 네트워크에 있음), 헤더 압축 기능 활성화 옵션(헤더 압축 기능의 위치가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및/또는 코어 네트워크에 있음), 또는 무결성 보호 활성화 옵션(무결성 보호의 위치가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및/또는 코어 네트워크에 있음); 또는
단말 장치의 콘텍스트 정보,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제한되지 않는 단말 장치에 의해 가입된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또는 모든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와 같은 정보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602. 타깃 네트워크 장치는 타깃 네트워크 장치가 자원을 준비했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핸드오버 요청 수신확인으로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에 응답한다.
또한, 상기 메시지는,
구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식별자(old serving access network device identifier); 또는
신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식별자(new serving access network device identifier); 또는
RRC 핸드오버 명령을 포함하는, 타깃 노드에서 소스 노드까지의 투명한 컨테이너(container); 또는
허용되지 않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자, 베어러의 목록, 세션, 및/또는 플로우(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자, 상기 베어러, 상기 세션, 및/또는 상기 플로우는 단말 장치에 의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또는 모든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응하고 있음); 또는
허용된 베어러의 정보, 세션, 및/또는 플로우(상기 베어러, 상기 세션, 및/또는 상기 플로우는 단말 장치에 의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또는 모든 네트워크 슬라이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제한되지 않는 베어러 식별자, 세션 식별자, 플로우 식별자, 베어러 레벨 QoS(서비스 품질) 파라미터, 또는 터널의 종단점에 대응하고 있음)와 같은 정보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603.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에 핸드오버 명령을 송신한다. 핸드오버 명령은 타깃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자를 포함한다. 핸드오버 명령은 타깃 네트워크 장치로 핸드오버하도록 단말 장치에 지시한다.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는 핸드오버 명령을 전달하기 위해 단말 장치로의 RRC 메시지를 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시지는 타깃 셀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 정보; 또는 타깃 셀 식별자; 또는 단말 장치의 새로운 임시 식별자; 또는 베어러 구성, 예를 들어 PDCP,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RLC) 프로토콜, 매체 접근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및 물리 계층 상에서의 구성 등의 정보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단말 장치는 타깃 네트워크 장치로의 RRC 연결을 구축하고, 핸드오버가 완료된 것을 나타내기 위해 타깃 네트워크 장치로의 핸드오버 완료 메시지, 예컨대, RRC 연결 재구성 완료(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Complete)를 개시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현 가능한 실시예에서, RAN 장치와 CN 장치 간의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는 핸드오버의 과정이 트리거될 필요가 있는 경우, 예를 들어, 직접적인 지상측 인터페이스가 없거나 또는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와 타깃 네트워크 장치 간에 무선 백홀 링크(wireless backhaul link)가 없는 경우,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는 CN 장치로의 핸드오버 요청을 추가로 개시할 수 있다. 구체적인 메시지 내용에 대해서는, 단계 601에서의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참조하라. 여기서,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는 핸드오버 준비를 개시하는 데 사용된다. CN 장치는 수신된 메시지를 타깃 네트워크 장치에 포워딩하고, 타깃 네트워크 장치는 핸드오버 요청 수신확인으로 CN 장치에 응답함으로써, 타깃 네트워크 장치가 자원을 준비했다는 것을 나타낸다. 구체적인 메시지 내용에 대해서는, 단계 602에서의 핸드오버 요청 확인응답 메시지를 참조하라. 그런 다음, CN 장치는 수신된 메시지를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에 포워딩한다.
II.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가 노드 추가 요청을 타깃 네트워크 장치에 송신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2개의 네트워크 장치는 단말 장치를 서비스하고 있거나 또는 단말 장치에서 요구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서비스 영역 식별자를 교환할 수 있다. 여기서,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는 다중 연결 동작을 수행하거나 또는 타깃 네트워크 장치에 관한 정보를 직접 수정하도록 타깃 네트워크 장치를 트리거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출원의 실시예의 타깃 셀 액세스 방법의 다른 실시예는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701.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가 타깃 네트워크 장치에 노드 추가 요청을 송신한다. 노드 추가 요청은 연결 지시를 포함한다.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는, 다중 연결 동작을 구축하도록 타깃 네트워크 장치에 요청하기 위해 노드 추가 요청을 타깃 네트워크 장치에 송신함으로써, 단말 장치에 대한 무선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시지는,
단말 장치를 서비스하고 있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식별 정보; 또는
단말 장치가 액세스하도록 허용된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식별 정보; 또는
단말 장치를 서비스하고 있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서비스 영역 식별 정보; 또는
단말 장치에서 요구하는 서비스 영역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식별 정보; 또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자에 대응하는 우선순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우선순위(예를 들어,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A의 우선순위가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B의 우선순위보다 높음); 또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식별자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구성 정보, 예를 들어,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Physical Random Access Control, PRACH) 구성,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구성, 보안과 관련된 구성, 또는 무선 자원 관리와 관련된 구성(여기서는 이에 대해 제한하지 않음); 단말 장치에 의해 지원되는 암호화 알고리즘과 무결성 보호 알고리즘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단말 장치의 보안 성능; 또는
단말 장치에 대한 데이터 암호화를 수행하기 위해 타깃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사용되는 타깃 네트워크 장치의 보안 키; 또는
상향링크 총 최대 비트 레이트와 하향링크 총 최대 비트 레이트를 포함하는, 타깃 네트워크 장치에 적용가능한 단말 장치의 총 최대 비트 레이트; 또는
타깃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구축될 필요가 있는 무선 베어러에 대응하는 PLMN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서빙 PLMN; 또는
구축될 필요가 있는 베어러로서 단말 장치에 의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또는 모든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응하는 베어러의 정보, 세션 정보, 및/또는 플로우 정보, 예를 들어, 마스터 셀 그룹 베어러(Master cell group bearer), 2차 셀 그룹 베어러(Secondary cell group bearer), 또는 스플릿 베어러(Split bearer)와 같은 베어러 유형, 베어러 식별자, 베어러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에 관한 정보, 터널의 종단점, 세션 식별자, 플로우 식별자, 세션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에 관한 정보, 플로우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에 관한 정보, 베어러 레벨, 세션 레벨, 또는 플로우 레벨의 보안에 관한 정보, 예를 들어, 암호화 기능 활성화 옵션(암호화 기능의 위치가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및/또는 코어 네트워크에 있음), 헤더 압축 기능 활성화 옵션(헤더 압축 기능의 위치가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및/또는 코어 네트워크에 있음), 또는 무결성 보호 활성화 옵션(무결성 보호의 위치가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및/또는 코어 네트워크에 있음); 또는
서빙 PLMN, 동등한 PLMN, 금지되거나 허용된 트래킹 영역의 목록, 또는 금지되거나 허용된 셀의 목록(여기서는 이에 대해 제한하지 않음)을 포함하는 핸드오버 제한 목록 등의 정보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702. 타깃 네트워크 장치가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에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추가 요청 수신확인을 응답함으로써, 타깃 네트워크 장치가 자원을 준비했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메시지는 허용되지 않는 베어러, 세션, 및/또는 플로우의 목록(상기 베어러, 상기 세션 및/또는 상기 플로우는 단말 장치에 의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또는 모든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응하고 있음); 허용된 베어러, 세션, 및/또는 플로우의 정보(상기 베어러, 상기 세션 및/또는 상기 플로우는 단말 장치에 의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또는 모든 네트워크 슬라이스, 예를 들어 베어러 식별자, 세션 식별자, 플로우 식별자, 베어러 레벨 QoS(서비스 품질) 파라미터, 또는 터널의 종단점에 대응하고 있음); 또는 타깃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생성된 베어러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타깃 노드에서 소스 노드까지의 투명 컨테이너(container) 등의 정보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타깃 네트워크 장치가 수신된 임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무선 베어러, 세션, 또는 플로우 등을 지원할 수 없거나, 또는 과정 중에 에러가 발생하면, 타깃 네트워크 장치는 원인을 싣고 있는 거부 메시지로 응답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슬라이스, 무선 베어러, 세션, 또는 플로우 등이 지원될 수 없다.
703.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에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송신한다. 연결 재구성 메시지는 타깃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자를 포함한다. 연결 재구성 메시지는 타깃 네트워크 장치에 연결하도록 단말 장치에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일부 실현 가능한 실시예에서,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는 단말 장치로의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개시할 수 있다.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는 수신된 메시지에 기초하여 무선 자원 구성을 수행하도록 단말 장치에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무선 자원 구성 정보를 싣고 있다. 또한,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는 타깃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자; 타깃 셀 식별자; 단말 장치의 새로운 임시 식별자; 또는 베어러 구성, 예를 들어 PDCP, RLC, MAC, 및 물리 계층 상에서의 구성 등의 정보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
704. 단말 장치가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에 RRC 연결 재구성 완료로 응답함으로써, 단말 장치가 무선 자원 구성을 완료한 것을 나타낸다.
705.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가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구성 완료를 타깃 네트워크 장치에 송신함으로써, 단말 장치가 무선 자원 구성을 완료했다는 것을 나타낸다.
IV.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가 타깃 네트워크 장치에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수정 요청을 송신한다.
801.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가 노드 수정 요청을 타깃 네트워크 장치에 송신한다. 여기서, 노드 수정 요청은 타깃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에 대한 무선 자원 구성을 완료하도록 타깃 네트워크 장치에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일부 실현 가능한 실시예에서, 2개의 네트워크 장치는 단말 장치에서 요구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또는 단말 장치를 서비스하고 있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서비스 영역 식별자를 교환할 수 있고, 1차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가 현재 다중 연결 동작을 수정하도록 2차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를 트리거한다. 구체적으로,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는 타깃 네트워크 장치로의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수정 요청을 개시함으로써, 단말 장치의 현재의 콘텍스트 정보 및 타깃 네트워크 장치가 준비하는 단말 장치에 대한 무선 자원 할당을 수정하도록 타깃 네트워크 장치에 요청한다. 또한, 상기 메시지는,
단말 장치를 서비스하고 있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식별 정보; 또는 단말 장치가 액세스하도록 허용된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식별 정보; 또는
단말 장치를 서비스하고 있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서비스 영역 식별 정보; 또는
단말 장치에서 요구하는 서비스 영역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식별 정보; 또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자에 대응하는 우선순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우선순위(예를 들어,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A의 우선순위가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B의 우선순위보다 높음); 또는
2차 셀 그룹 베어러가 수정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2차 셀 그룹 베어러 수정 지시; 또는
단말 장치에 의해 지원되는 암호화 알고리즘과 무결성 보호 알고리즘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단말 장치의 보안 성능; 또는
단말 장치에 대해 데이터 암호화를 수행하기 위해 타깃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사용되는 타깃 네트워크 장치의 보안 키; 또는
상향링크 총 최대 비트 레이트와 하향링크 총 최대 비트 레이트를 포함하는, 타깃 네트워크 장치에 적용가능한 단말 장치의 총 최대 비트 레이트; 또는
구축되거나, 수정되거나, 또는 해제될 필요가 있는 베어러로서 단말 장치에 의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또는 모든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응하고 있는 베어러의 정보, 세션 정보, 및/또는 플로우 정보, 예를 들어, 마스터 셀 그룹 베어러(Master cell group bearer), 2차 셀 그룹 베어러(Secondary cell group bearer), 스플릿 베어러(Split bearer)와 같은 베어러 유형, 베어러 식별자, 베어러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에 관한 정보, 터널의 종단점, 세션 식별자, 플로우 식별자, 세션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에 관한 정보, 플로우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에 관한 정보, 베어러 레벨, 세션 레벨, 또는 플로우 레벨의 보안에 관한 정보, 예를 들어, 암호화 기능 활성화 옵션(암호화 기능의 위치가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및/또는 코어 네트워크에 있음), 헤더 압축 기능 활성화 옵션(헤더 압축 기능의 위치가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및/또는 코어 네트워크에 있음), 또는 무결성 보호 활성화 옵션(무결성 보호의 위치가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및/또는 코어 네트워크에 있음); 또는
서빙 PLMN, 동등한 PLMN, 금지되거나 허용된 트래킹 영역의 목록, 또는 금지되거나 허용된 셀의 목록을 포함하는 핸드오버 제한 목록 등의 정보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여기서는 이에 대해 제한하지 않는다.
802. 타깃 네트워크 장치가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에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수정 요청 수신확인으로 응답함으로써, 타깃 네트워크 장치의 수정 요청을 수신 확인한다.
또한, 상기 메시지는 허용되지 않는 베어러, 세션, 및/또는 플로우의 목록(상기 베어러, 상기 세션, 및/또는 상기 플로우는 단말 장치에 의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또는 모든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응하고 있음); 또는 허용된 베어러, 세션, 및/또는 플로우의 정보(상기 베어러, 상기 세션, 및/또는 상기 플로우는 단말 장치에 의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또는 모든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응하고 있음), 예를 들어 추가되거나, 수정되거나, 또는 해제될 필요가 있는 허용된 베어러 정보, 허용된 세션 정보, 및/또는 허용된 플로우 정보, 베어러 식별자, 세션 식별자, 플로우 식별자, 베어러 레벨 QoS(서비스 품질) 파라미터, 또는 터널의 종단점; 또는 타깃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생성된 베어러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타깃 노드에서 소스 노드까지의 투명 컨테이너(container) 등의 정보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타깃 네트워크 장치가 수신된 임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무선 베어러, 세션, 또는 플로우를 지원할 수 없거나, 또는 프로세스에서 에러가 발생하면, 타깃 네트워크 장치는 원인을 싣고 있는 거부 메시지로 응답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슬라이스, 무선 베어러, 세션, 또는 플로우 등이 지원될 수 없다. 여기서는 이에 대해 제한하지 않는다.
803.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에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송신한다. 여기서, 연결 재구성 메시지는 무선 자원 구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메시지는 타깃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자; 또는 타깃 셀 식별자; 또는 단말 장치의 새로운 임시 식별자; 또는 베어러 구성, 예를 들어 PDCP, RLC, MAC, 및 물리 계층 상에서의 구성 등의 정보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804. 단말 장치가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에 연결 재구성 완료로 응답함으로써, 단말 장치가 무선 자원 구성을 완료한 것을 나타내다.
805.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가 타깃 네트워크 장치에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구성 완료를 송신함으로써, 단말 장치가 무선 자원 구성을 완료한 것을 나타낸다.
V.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가 타깃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송신된 노드 수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
901.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가 타깃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송신된 노드 수정 요청을 수신한다.
일부 실현 가능한 실시예에서, 2개의 네트워크 장치는 단말 장치를 서비스하고 있거나 또는 단말 장치에서 요구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서비스 영역 식별자를 교환할 수 있고, 2차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가 현재의 다중 연결 동작의 수정을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는 타깃 네트워크 장치로의 노드 수정 요청을 개시하여 무선 자원을 해제하도록 트리거할 수 있고, 1차 서빙 셀을 수정하며,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시퀀스 번호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을 뒤바꾼다.
또한, 상기 메시지는,
단말 장치를 서비스하고 있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식별 정보; 또는
단말 장치가 액세스하도록 허용된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식별 정보; 또는
단말 장치를 서비스하고 있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서비스 영역 식별 정보; 또는
단말 장치에서 요구하는 서비스 영역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식별 정보; 또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자에 대응하는 우선순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우선순위(예를 들어,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A의 우선순위가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B의 우선순위보다 높음); 또는
2차 셀 그룹 베어러가 수정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2차 셀 그룹 베어러 수정 지시; 또는
해제될 필요가 있는 베어러로서 단말 장치에 의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또는 모든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응하고 있는 베어러의 정보, 세션 정보, 및/또는 플로우 정보, 예를 들어 마스터 셀 그룹 베어러(Master cell group bearer), 2차 셀 그룹 베어러(Secondary cell group bearer), 스플릿 베어러(Split bearer)와 같은 베어러 유형, 베어러 식별자, 베어러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에 관한 정보, 터널의 종단점, 세션 식별자, 플로우 식별자, 세션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에 관한 정보, 플로우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에 관한 정보, 베어러 레벨 , 세션 레벨, 또는 플로우 레벨의 보안에 관한 정보, 예를 들어 암호화 기능 활성화 옵션(암호화 기능의 위치가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및/또는 코어 네트워크에 있음), 헤더 압축 기능 활성화 옵션(헤더 압축 기능의 위치가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및/또는 코어 네트워크에 있음), 또는 무결성 보호 활성화 옵션(무결성 보호의 위치가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및/또는 코어 네트워크에 있음); 또는
서빙 PLMN, 동등한 PLMN, 금지되거나 허용된 트래킹 영역의 목록, 또는 금지되거나 허용된 셀의 목록을 포함하는 핸드오버 제한 목록 등의 정보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902.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가 타깃 네트워크 장치로의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수정 요청을 개시한다.
선택적으로, 데이터 포워딩 주소, 또는 2차 RAN 장치의 보안 키 등이 제공될 필요가 있는 경우,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는 타깃 네트워크 장치로의 RAN 장치 수정 요청을 개시함으로써, 타깃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를 위해 준비하는 단말 장치의 현재의 콘텍스트 정보와 무선 자원 할당을 수정하도록 타깃 네트워크 장치에 요청한다. 또한, 상기 메시지는,
단말 장치를 서비스하고 있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식별 정보; 또는
단말 장치가 액세스하도록 허용된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식별 정보; 또는
단말 장치를 서비스하고 있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서비스 영역 식별 정보; 또는
단말 장치에서 요구하는 서비스 영역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식별 정보; 또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자에 대응하는 우선순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우선순위(예를 들어,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A의 우선순위가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B의 우선순위보다 높음); 또는
2차 셀 그룹 베어러가 수정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2차 셀 그룹 베어러 수정 지시; 또는
단말 장치에 의해 지원되는 암호화 알고리즘과 무결성 보호 알고리즘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단말 장치의 보안 성능; 또는
단말 장치에 대해 데이터 암호화를 수행하기 위해 타깃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사용되는 타깃 네트워크 장치의 보안 키; 또는
상향링크 총 최대 비트 레이트와 하향링크 총 최대 비트 레이트를 포함하는, 타깃 네트워크 장치에 적용가능한 단말 장치의 총 최대 비트 레이트; 또는
구축되거나, 수정되거나, 또는 해제될 필요가 있는 베어러로서 단말 장치에 의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또는 모든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응하고 있는 베어러의 정보, 세션 정보, 및/또는 플로우 정보, 예를 들어 마스터 셀 그룹 베어러(Master cell group bearer), 2차 셀 그룹 베어러(Secondary cell group bearer), 스플릿 베어러(Split bearer)와 같은 베어러 유형, 베어러 식별자, 베어러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에 관한 정보, 터널의 종단점, 세션 식별자, 플로우 식별자, 세션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에 관한 정보, 플로우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에 관한 정보, 베어러 레벨, 세션 레벨, 또는 플로우 레벨의 보안에 관한 정보, 예를 들어 암호화 기능 활성화 옵션(암호화의 위치가 RAN 장치 및/또는 CN 장치에 있음), 헤더 압축 기능 활성화 옵션(헤더 압축 기능의 위치가 RAN 장치 및/또는 CN 장치에 있음), 또는 무결성 보호 활성화 옵션(무결성 보호의 위치가 RAN 장치 및/또는 CN 장치에 있음); 또는
서빙 PLMN, 동등한 PLMN, 금지되거나 허용된 트래킹 영역의 목록, 또는 금지되거나 허용된 셀의 목록 등을 포함하는 핸드오버 제한 목록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903. 타깃 네트워크 장치가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에 노드 수정 요청 수신확인으로 응답함으로써,타깃 네트워크 장치가 자원을 준비했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메시지는 허용되지 않는 베어러, 세션, 및/또는 플로우의 목록(상기 베어러, 상기 세션, 및/또는 상기 플로우는 단말 장치에 의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또는 모든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응하고 있음); 또는 허용된 베어러, 세션, 및/또는 플로우의 정보(상기 허용된 베어러, 상기 세션, 및/또는 상기 플로우는 단말 장치에 의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또는 모든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응하고 있음), 예를 들어, 추가되거나, 수정되거나, 또는 해제될 필요가 있는 허용된 베어러 정보, 허용된 세션 정보, 및/또는 허용된 플로우 정보, 베어러 식별자, 세션 식별자, 플로우 식별자, 베어러 레벨 QoS(서비스 품질) 파라미터, 또는 터널의 종단점; 또는 타깃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생성된 베어러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타깃 노드에서 소스 노드까지의 투명 컨테이너(container) 등의 정보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타깃 네트워크 장치가 수신된 임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무선 베어러, 세션, 또는 플로우를 지원할 수 없거나, 또는 프로세스에서 에러가 발생하면, 타깃 네트워크 장치는 원인을 싣고 있는 거부 메시지로 응답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슬라이스, 무선 베어러, 세션, 또는 플로우 등이 지원될 수 없다.
904. 타깃 네트워크 장치가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수정 요청 수신확인으로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에 응답함으로써, 타깃 네트워크 장치의 수정 요청을 수신 확인한다.
또한, 상기 메시지는 허용되지 않는 베어러, 세션, 및/또는 플로우의 목록(상기 베어러, 상기 세션, 및/또는 상기 플로우는 단말 장치에 의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또는 모든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응하고 있음); 또는 베어러의 정보, 세션 정보, 및/또는 허용된 플로우(상기 베어러, 상기 세션, 및/또는 상기 플로우는 단말 장치에 의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또는 모든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응하고 있음), 예를 들어, 추가되거나, 수정되거나, 또는 해제될 필요가 있는 허용된 베어러 정보, 허용된 세션 정보, 및/또는 허용된 플로우 정보, 베어러 식별자, 세션 식별자, 플로우 식별자, 베어러 레벨 QoS(서비스 품질) 파라미터, 또는 터널의 종단점; 또는 타깃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생성된 베어러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타깃 노드에서 소스 노드까지의 투명 컨테이너(container) 등의 정보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타깃 네트워크 장치가 수신된 임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무선 베어러, 세션, 또는 플로우를 지원할 수 없거나, 또는 프로세스에서 에러가 발생하면, 타깃 네트워크 장치는 원인을 싣고 있는 거부 메시지로 응답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슬라이스, 무선 베어러, 세션, 또는 플로우 등이 지원될 수 없다.
905.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가, 수신된 메시지에 기초하여 무선 자원 구성을 수행하도록 단말 장치에 지시하기 위해 단말 장치로의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개시한다. 여기서,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는 무선 자원 구성 정보를 싣고 있다.
또한, 상기 메시지는 타깃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자; 또는 타깃 셀 식별자; 또는 단말 장치의 새로운 임시 식별자; 또는 베어러 구성, 예를 들어 PDCP, RLC, MAC, 및 물리 계층 상에서의 구성 등의 정보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여기서는 이에 대해 제한하지 않는다.
906. 단말 장치가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에 RRC 연결 재구성 완료로 응답함으로써, 단말 장치가 무선 자원 구성을 완료한 것을 나타낸다.
907.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가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구성 완료를 타깃 네트워크 장치에 송신함으로써, 단말 장치가 무선 자원 구성을 완료한 것을 나타낸다.
이상에서는 타깃 셀 액세스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고, 이하에서는 관련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 10은 단말 장치(1000)를 나타내고, 단말 장치(1000)는,
단말 장치가 위치하는 서빙 셀에 대응하는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자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제1 획득 모듈(1001) -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자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의해 서비스되는 영역을 나타내는 데 사용됨 -;
네트워크 슬라이스 구성 정보와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자에 기초하여 타깃 셀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모듈(1002) - 네트워크 슬라이스 구성 정보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영역, 및 서비스 간의 대응 관계를 포함하고 있음 -; 및
타깃 셀에 액세스하도록 구성된 액세스 모듈(1003)을 포함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단말 장치(1000)는,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네트워크 슬라이스 구성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제2 획득 모듈(1004)을 더 포함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2 획득 모듈(1004)은,
코어 네트워크에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1 전송 서브모듈(10041) - 요청 메시지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구성 정보를 요청하는 데 사용됨 -; 및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네트워크 슬라이스 구성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서브모듈(10042)을 포함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1 획득 모듈(1001)은,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에 지시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2 전송 서브모듈(10011) - 지시 메시지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한 요구사항을 나타내는 데 사용됨 -; 및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자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획득 서브모듈(10012)을 포함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도 14은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1400)을 나타낸다.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1400)는,
타깃 네트워크 장치에 연결 지시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1 전송 모듈(1401)을 포함한다. 연결 지시는 단말 장치에 연결하도록 타깃 네트워크 장치에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단말 장치가 네트워크 슬라이스 구성 정보와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자에 기초하여 타깃 셀을 결정할 수 있도록, 제2 전송 모듈(1402)은 타깃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자를 단말 장치에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타깃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자는 타깃 영역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고, 네트워크 슬라이스 구성 정보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영역, 및 서비스 간의 대응 관계를 포함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1 전송 모듈(1401)은,
타깃 네트워크 장치에 핸드오버 요청을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1 전송 서브모듈(14011)을 포함한다. 핸드오버 요청은 연결 지시를 포함한다.
제2 전송 모듈(1402)은,
단말 장치에 핸드오버 명령을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2 전송 서브모듈(14021)을 포함한다. 여기서, 핸드오버 명령은 타깃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자를 포함하고, 핸드오버 명령은 타깃 네트워크 장치로 핸드오버하도록 단말 장치에 지시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제1 전송 모듈(1401)은,
타깃 네트워크 장치에 노드 추가 요청을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3 전송 서브모듈(14012)을 포함한다. 여기서, 노드 추가 요청은 연결 지시를 포함한다.
제2 전송 모듈(1402)은,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단말 장치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4 전송 서브모듈(14022)을 포함한다. 여기서, 연결 재구성 메시지는 타깃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자를 포함하고, 연결 재구성 메시지는 타깃 네트워크 장치에 연결하도록 단말 장치에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도 17을 참조하면,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1400)는,
노드 수정 요청을 타깃 네트워크 장치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3 전송 모듈(1403) - 노드 수정 요청은 단말 장치에 대한 타깃 네트워크 장치의 무선 자원 구성을 수정하도록 타깃 네트워크 장치에 지시하는 데 사용됨 -; 및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단말 장치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1 수신 모듈(1404)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연결 재구성 메시지는 무선 자원 구성을 포함한다.
도 18을 참조하면,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1400)는,
타깃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송신된 노드 수정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2 수신 모듈(1405)을 더 포함한다.
이상에서는 모듈화 기능 엔티티의 관점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고, 이하에서는 하드웨어 처리의 관점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9을 참조하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단말 장치(1900)를 제공한다. 단말 장치(1900)는,
송수신기(1901), 메모리(1902), 프로세서(1903), 및 버스(1904)를 포함한다.
송수신기(1901), 메모리(1902), 및 프로세서(1903)는 버스(1904)를 이용하여 연결된다.
송수신기(1901)는 단말 장치가 위치하는 서빙 셀에 대응하는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자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자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의해 서비스되는 영역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송수신기(1901)는 프로세서(1903)와 표준 통신 서브시스템 간의 통신 인터페이스(communication interface)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1901)는 EIA-RS-232C 표준의 통신 인터페이스, 즉 데이터 단말 장비(Data Terminal Equipment, DTE)와 데이터 회선 종단 장치(Data Circuit-terminating Equipment, DCE) 간의 직렬 2진 데이터 교환 인터페이스 기술 표준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RS-485 프로토콜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는 이에 대해 제한하지 않는다.
프로세서(1903)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구성 정보와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자에 기초하여 타깃 셀을 결정하고, 타깃 셀에 액세스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네트워크 슬라이스 구성 정보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영역, 및 서비스 간의 대응 관계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903)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또는 네트워크 프로세서(network processor, NP), 또는 CPU와 NP의 조합일 수 있다.
프로세서(1903)은 하드웨어 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드웨어 칩은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또는 프로그래머블 논리 소자(programmable logic device, PLD),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PLD는 복합 프로그래머블 논리 소자(complex programmable logic device, CPLD), 또는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일반 어레이 논리(generic array logic, GAL),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다.
메모리(1902)는 프로그램, 타깃 영역, 타깃 서비스, 및 네트워크 슬라이스 구성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메모리(1902)는 휘발성 메모리(volatile memory), 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access memory, RAM)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402)는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또는 하드 디스크(hard disk drive, 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state drive SSD)를 포함할 수도 있다. 메모리(403)는 전술한 메모리의 조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는 이에 대해 제한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메모리(1902)는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단말 장치(1900)가 전술한 방법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403)는 메모리(1902)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을 호출함으로써,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단계 또는 선택적인 실시 형태를 수행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도 20은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2000)를 나타낸다.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2000)는,
송수신기(2001), 메모리(2002), 프로세서(2003), 및 버스(2004)를 포함한다.
송수신기(2001), 메모리(2002), 및 프로세서는 버스를 이용하여 연결된다.
단말 장치가 네트워크 슬라이스 구성 정보와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자에 기초하여 타깃 셀을 결정할 수 있도록, 송수신기(2001)는 타깃 네트워크 장치에 연결 지시를 송신하고 - 여기서, 연결 지시는 단말 장치에 연결하도록 타깃 네트워크 장치에 지시하는 데 사용됨 -; 타깃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자를 단말 장치에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타깃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자는 타깃 영역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고, 네트워크 슬라이스 구성 정보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영역, 및 서비스 간의 대응 관계를 포함한다.
송수신기(2001)는 프로세서(2003)와 표준 통신 서브시스템 사이에 통신 인터페이스(communication interface)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2001)는 EIA-RS-232C 표준의 통신 인터페이스, 즉 데이터 단말 장비(Data Terminal Equipment, DTE)와 데이터 회선 종단 장치(Data Circuit-terminating Equipment, DCE) 사이에 직렬 2진 데이터 교환 인터페이스 기술 표준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RS-485 프로토콜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는 이에 대해 제한하지 않는다.
메모리(2002)는 프로그램, 타깃 영역, 타깃 서비스, 및 네트워크 슬라이스 구성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메모리(2002)는 휘발성 메모리(volatile memory), 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access memory, RAM)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402)는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또는 하드 디스크(hard disk drive, 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state drive SSD)를 포함할 수도 있다. 메모리(403)는 전술한 메모리의 조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는 이에 대해 제한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메모리(2002)는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2000)가 전술한 방법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403)는 메모리(2002)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을 호출함으로써,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단계 또는 선택적인 실시 형태를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003)는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의 기능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2003)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또는 네트워크 프로세서(network processor, NP), 또는 CPU와 NP의 조합일 수 있다.
프로세서(2003)는 하드웨어 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드웨어 칩은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또는 프로그래머블 논리 소자(programmable logic device, PLD),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PLD는 복합 프로그래머블 논리 소자(complex programmable logic device, CPLD), 또는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일반 어레이 논리(generic array logic, GAL),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다.
편리하고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전술한 시스템, 장치, 및 유닛의 상세한 작동 과정에 대해서는, 전술한 방법 실시예의 대응하는 과정을 참조할 수 있다는 것을 당업자라면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본 명세서에서는 세부사항에 대해 설명하지 않는다.
본 출원에서 제공된 몇몇 실시예에서, 개시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이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고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전술한 장치 실시예는 단지 예일 뿐이다. 예를 들어, 유닛 구분은 단지 논리적 기능 구분일 뿐이고 실제 구현에서는 이와 다르게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유닛 또는 컴포넌트가 다른 시스템으로 결합되거나 또는 통합될 수 있거나, 또는 몇몇 특징이 무시되거나 또는 수행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표시되거나 또는 논의된 상호 연결 또는 직접 연결 또는 통신 연결이 일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장치 또는 유닛 간의 간접 연결 또는 통신 연결이 전자적 형태, 또는 기계적 형태, 또는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별도의 부분으로서 설명된 유닛이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거나 또는 분리되어 있지 않을 수 있고, 유닛으로서 표시된 부분이 물리적 유닛이거나 또는 물리적 유닛이 아닐 수 있으며, 하나의 위치에 놓여 있을 수 있거나 또는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 상에 분산되어 있을 수 있다. 유닛의 일부 또는 전부가 실제 필요에 따라 선택되어 실시예의 해결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의 전부 또는 일부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또는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가 실시예를 구현하는 데 사용되는 경우, 이러한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형태로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명령을 포함한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이 컴퓨터 상에 로딩되어 실행되는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차나 기능이 전부 또는 부분적으로 생성된다. 상기 컴퓨터는 범용 컴퓨터, 또는 전용 컴퓨터,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 또는 다른 프로그램 가능한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컴퓨터 명령은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에 저장될 수 있거나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에서 다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컴퓨터 명령은 유선(예를 들어, 동축 케이블, 광섬유, 또는 디지털 가입자 회선(digital subscriber line, DSL)) 방식이나 또는 무선(예를 들어, 적외선, 무선, 또는 마이크로파) 방식으로 웹사이트, 또는 컴퓨터, 또는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에서 다른 웹사이트, 또는 컴퓨터, 또는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로 전송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는 컴퓨터, 또는 서버나 데이터 센터와 같은 데이터 저장 장치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하나 이상의 사용 가능한 매체를 통합하는 임의의 사용 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사용 가능한 매체는 자기 매체(예를 들어, 플로피 디스크, 또는 하드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또는 광학 매체(예를 들어, DVD), 또는 반도체 매체(예를 들어, 솔리드 스테이트 디스크(Solid State Disk, SSD)) 등일 수 있다.
결론적으로, 전술한 실시예는 본 출원의 기술적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출원을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출원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된 기술적 해결책에 대해 여전히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거나 또는 몇몇 기술적 해결책의 기술적 특징에 대해 등가의 대체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Claims (70)

  1. 통신을 위한 방법으로서,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가 타깃 네트워크 장치에 노드 추가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노드 추가 요청 메시지는 세션 레벨 보안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세션 레벨 보안 정보는 암호화 기능 활성화 옵션(ciphering function enabling option) 및 무결성 보호 활성화 옵션(integrity protection enabling option)을 포함하고 있음 -;
    상기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타깃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추가 요청 수신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을 위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 추가 요청 메시지는 단말 장치를 서비스하고 있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식별 정보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유형을 포함하는, 통신을 위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을 위한 방법이,
    상기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가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단말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 - 상기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는 무선 자원 구성 정보를 포함하고 있음 -;
    상기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RRC 연결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가 무선 자원 구성을 완료했다는 것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메시지를 상기 타깃 네트워크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통신을 위한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요청 수신확인 메시지는 단말 장치에 의해 선택된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응하고 있는 허용된 세션 목록을 더 포함하는, 통신을 위한 방법.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요청 수신확인 메시지는 허용되지 않는 플로우 목록을 더 포함하는, 통신을 위한 방법.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 추가 요청 메시지는 구축될 필요가 있는 베어러로서 단말 장치에 의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또는 모든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응하고 있는 베어러의 정보를 더 포함하는, 통신을 위한 방법.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 추가 요청 메시지는 베어러 유형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베어러 유형은 2차 셀 그룹 베어러(secondary cell group bearer)와 스플릿 베어러(split bearer)를 포함하는, 통신을 위한 방법.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 추가 요청 메시지는 세션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통신을 위한 방법.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 추가 요청 메시지는 플로우 식별자 및 플로우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통신을 위한 방법.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는 타깃 셀 식별자를 더 포함하는, 통신을 위한 방법.
  11. 통신을 위한 방법으로서,
    타깃 네트워크 장치가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노드 추가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노드 추가 요청 메시지는 세션 레벨 보안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세션 레벨 보안 정보는 암호화 기능 활성화 옵션(ciphering function enabling option) 및 무결성 보호 활성화 옵션(integrity protection enabling option)을 포함하고 있음 -; 및
    상기 타깃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에 추가 요청 수신확인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을 위한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 추가 요청 메시지는 단말 장치를 서비스하고 있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식별 정보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유형을 포함하는, 통신을 위한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 추가 요청 메시지는 구축될 필요가 있는 베어러로서 단말 장치에 의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또는 모든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응하고 있는 베어러의 정보를 더 포함하는, 통신을 위한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러는 2차 셀 그룹 베어러(secondary cell group bearer)와 스플릿 베어러(split bearer)를 포함하는, 통신을 위한 방법.
  15.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 추가 요청 메시지는 세션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세션 정보는 세션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을 위한 방법.
  16.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을 위한 방법이,
    상기 타깃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단말 장치가 무선 자원 구성을 완료한 것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통신을 위한 방법.
  17.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로서,
    타깃 네트워크 장치에 노드 추가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모듈 - 상기 노드 추가 요청 메시지는 세션 레벨 보안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세션 레벨 보안 정보는 암호화 기능 활성화 옵션(ciphering function enabling option) 및 무결성 보호 활성화 옵션(integrity protection enabling option)을 포함하고 있음 -; 및
    상기 타깃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추가 요청 수신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모듈
    을 포함하는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 추가 요청 메시지는 단말 장치를 서비스하고 있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식별 정보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유형을 포함하는,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 추가 요청 메시지는 구축될 필요가 있는 베어러로서 단말 장치에 의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또는 모든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응하고 있는 베어러의 정보를 더 포함하는,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러는 2차 셀 그룹 베어러(secondary cell group bearer)와 스플릿 베어러(split bearer)를 포함하는,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21. 제17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말 장치에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모듈 - 상기 연결 재구성 메시지는 타깃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영역 식별자를 포함하고 있음 -; 및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연결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모듈
    을 더 포함하는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22. 제17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말 장치가 자원 구성을 완료한 것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메시지를 상기 타깃 네트워크 장치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모듈
    을 더 포함하는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23. 네트워크 장치로서,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노드 추가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모듈 - 상기 노드 추가 요청 메시지는 세션 레벨 보안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세션 레벨 보안 정보는 암호화 기능 활성화 옵션(ciphering function enabling option) 및 무결성 보호 활성화 옵션(integrity protection enabling option)을 포함하고 있음 -; 및
    상기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에 추가 요청 수신확인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모듈
    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 추가 요청 메시지는 단말 장치를 서비스하고 있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식별 정보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유형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장치.
  25. 제23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 추가 요청 메시지는 구축될 필요가 있는 베어러로서 단말 장치에 의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또는 모든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응하고 있는 베어러의 정보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러는 2차 셀 그룹 베어러(secondary cell group bearer)와 스플릿 베어러(split bearer)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장치.
  27. 제23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 추가 요청 메시지는 세션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장치.
  28. 제23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단말 장치가 무선 자원 구성을 완료했다는 것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모듈
    을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장치.
  29. 통신 장치로서,
    상기 통신 장치는 버스를 이용하여 연결된 송수신기,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 명령을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신호를 송수신하게끔 상기 송수신기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상기 컴퓨터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상기 컴퓨터 명령을 실행하는 경우, 상기 통신 장치는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통신을 위한 방법이나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통신을 위한 방법을 완료하도록 구성된, 통신 장치.
  30.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 명령을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상기 컴퓨터 명령이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통신을 위한 방법이나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통신을 위한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31.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통신을 위한 방법이나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통신을 위한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32. 통신을 위한 방법으로서,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가 타깃 네트워크 장치에 노드 추가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노드 추가 요청 메시지는 연결 지시 및 세션 레벨 보안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세션 레벨 보안 정보는 암호화 기능 활성화 옵션(ciphering function enabling option) 및 무결성 보호 활성화 옵션(integrity protection enabling option)을 포함하고 있음 -;
    상기 타깃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노드 추가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타깃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에 추가 요청 수신확인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추가 요청 수신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을 위한 방법.
  33. 통신을 위한 시스템으로서,
    상기 통신을 위한 시스템은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와 타깃 네트워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타깃 네트워크 장치에 노드 추가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 여기서, 상기 노드 추가 요청 메시지는 세션 레벨 보안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세션 레벨 보안 정보는 암호화 기능 활성화 옵션(ciphering function enabling option) 및 무결성 보호 활성화 옵션(integrity protection enabling option)을 포함하고 있음 -;
    상기 타깃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에 추가 요청 수신확인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통신을 위한 시스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48. 삭제
  49. 삭제
  50. 삭제
  51. 삭제
  52. 삭제
  53. 삭제
  54. 삭제
  55. 삭제
  56. 삭제
  57. 삭제
  58. 삭제
  59. 삭제
  60. 삭제
  61. 삭제
  62. 삭제
  63. 삭제
  64. 삭제
  65. 삭제
  66. 삭제
  67. 삭제
  68. 삭제
  69. 삭제
  70. 삭제
KR1020197018873A 2017-01-26 2018-01-24 타깃 셀 액세스 방법 및 장치 KR1023108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7031724A KR102495714B1 (ko) 2017-01-26 2018-01-24 타깃 셀 액세스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10061634.1 2017-01-26
CN201710061634.1A CN108366365B (zh) 2017-01-26 2017-01-26 一种接入目标小区的方法以及设备
PCT/CN2018/073924 WO2018137637A1 (zh) 2017-01-26 2018-01-24 一种接入目标小区的方法以及设备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1724A Division KR102495714B1 (ko) 2017-01-26 2018-01-24 타깃 셀 액세스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9959A KR20190089959A (ko) 2019-07-31
KR102310821B1 true KR102310821B1 (ko) 2021-10-07

Family

ID=6297811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8873A KR102310821B1 (ko) 2017-01-26 2018-01-24 타깃 셀 액세스 방법 및 장치
KR1020217031724A KR102495714B1 (ko) 2017-01-26 2018-01-24 타깃 셀 액세스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1724A KR102495714B1 (ko) 2017-01-26 2018-01-24 타깃 셀 액세스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10945194B2 (ko)
EP (2) EP3855679B1 (ko)
JP (2) JP6920443B2 (ko)
KR (2) KR102310821B1 (ko)
CN (5) CN108366365B (ko)
AU (2) AU2018213630B2 (ko)
BR (1) BR112019012530A2 (ko)
CO (1) CO2019008230A2 (ko)
RU (1) RU2758933C2 (ko)
WO (1) WO20181376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66365B (zh) 2017-01-26 2021-03-2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接入目标小区的方法以及设备
CN108632927B (zh) * 2017-03-24 2021-08-13 华为技术有限公司 移动网络切换方法和通信装置
JP2021512515A (ja) * 2017-11-24 2021-05-13 オッポ広東移動通信有限公司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無線ローカルエリアネットワークにアクセスする方法、端末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装置
CN109982382B (zh) * 2017-12-28 2020-12-04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一种服务质量流的处理方法及通信设备
CN110324839B (zh) * 2018-03-30 2022-05-1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重配置方法、网络设备及终端
CN109168171B (zh) * 2018-09-14 2020-09-25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配置信息获取方法、装置、设备及系统
CN112740732A (zh) * 2018-09-18 2021-04-3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用于网络切片鉴权的方法和设备
CN113179540B (zh) * 2018-10-22 2023-11-0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移动切换方法及相关设备
CN111148187B (zh) * 2018-11-02 2023-12-15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和装置
CN111989949B (zh) * 2018-11-15 2022-04-0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数据的传输方法及装置
WO2020102989A1 (zh) * 2018-11-20 2020-05-2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注册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CN111356205B (zh) * 2018-12-21 2021-12-14 华为技术有限公司 公共陆地移动网络的配置信息的处理方法及装置
CN109729582B (zh) * 2018-12-27 2021-12-1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信息交互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5396927A (zh) * 2018-12-29 2022-11-25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和装置
CN111526030B (zh) * 2019-02-03 2021-12-14 华为技术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和装置
CN111726808B (zh) * 2019-03-21 2022-06-10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和装置
WO2020228926A1 (en) * 2019-05-10 2020-11-19 Nokia Technologies Oy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CN110087271A (zh) * 2019-05-24 2019-08-02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网络切换方法及装置
CN111615159A (zh) * 2019-06-06 2020-09-0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终端驻留方法及终端
WO2021035730A1 (zh) * 2019-08-30 2021-03-0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及装置
KR102169718B1 (ko) * 2019-09-17 2020-10-26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세션 그룹 제어 방법 및 장치
CN112566186B (zh) * 2019-09-26 2022-04-05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及装置
WO2021056577A1 (zh) * 2019-09-29 2021-04-01 华为技术有限公司 信息更新方法、设备及系统
EP4038974A4 (en) * 2019-09-30 2023-06-14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NETWORK SLICING IN A WIRELESS ACCESS NETWORK
CN112584511B (zh) * 2019-09-30 2022-09-0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网络切片的组播方法及装置
CN114557064B (zh) * 2019-10-17 2023-06-2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及装置
CN110768836B (zh) * 2019-10-28 2022-02-08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一种网络切片管理方法及装置
WO2021102709A1 (zh) * 2019-11-26 2021-06-0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小区驻留方法及装置
CN114946218A (zh) * 2020-01-18 2022-08-26 鸿颖创新有限公司 用于小区重新选择的用户设备和方法
US20230056855A1 (en) * 2020-01-20 2023-02-23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Cell reselection method,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communication device
WO2021093173A1 (en) * 2020-01-20 2021-05-20 Zte Corporation Method for slice specific information
WO2021159307A1 (en) * 2020-02-12 2021-08-19 Apple Inc. Network slice aware cell selection
CN113271217B (zh) * 2020-02-17 2022-09-16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装置及系统
CN113329453A (zh) * 2020-02-28 2021-08-31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切换方法及设备
CN113498129B (zh) * 2020-04-02 2023-03-2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小区切换方法、小区切换处理方法、终端及网络设备
CN113498144A (zh) * 2020-04-08 2021-10-12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无线接入模式指示方法及装置
CN111565436B (zh) * 2020-04-15 2022-08-12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和接入网设备
WO2021208072A1 (zh) * 2020-04-17 2021-10-21 华为技术有限公司 无线资源控制rrc重建立方法和装置
CN113596961A (zh) * 2020-04-30 2021-11-0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小区选择方法、小区选择控制方法及相关设备
CN113596962A (zh) * 2020-04-30 2021-11-0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信息处理装置及终端设备
CN111669792B (zh) * 2020-05-22 2022-02-18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一种小区切换方法及装置
CN113825181B (zh) * 2020-06-18 2023-08-15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切片管理方法、装置、接入网设备及核心网设备
CN113853004A (zh) * 2020-06-28 2021-12-2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信息发送方法、nr小区接入方法、接入网设备及移动终端
CN113873581B (zh) * 2020-06-30 2024-04-09 华为技术有限公司 小区选择的方法和装置
CN111787533B (zh) * 2020-06-30 2022-08-26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加密方法、切片管理方法、终端及接入和移动性管理实体
CN113891427B (zh) * 2020-07-01 2023-03-10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和装置
JP7290181B2 (ja) * 2020-07-17 2023-06-13 日本電気株式会社 基地局装置、amf、通信装置、及び方法
US20230308363A1 (en) * 2020-08-05 2023-09-28 Sharp Kabushiki Kaisha Coverage area attribute for network slicing
US20230308963A1 (en) * 2020-08-05 2023-09-28 Sharp Kabushiki Kaisha Area scope of band associations for network slicing
CN114258102A (zh) * 2020-09-25 2022-03-2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传输业务数据的方法、装置、终端设备和网络设备
CN116546573A (zh) * 2020-09-30 2023-08-0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网络切片信息处理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CN114389943B (zh) * 2020-10-22 2023-08-15 中移(成都)信息通信科技有限公司 一种网络配置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CN112600693B (zh) * 2020-12-02 2023-11-07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业务请求的处理方法、系统、电子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CN112399609B (zh) * 2020-12-03 2023-08-11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一种资源配置方法及装置
WO2022151170A1 (zh) * 2021-01-14 2022-07-21 华为技术有限公司 切换控制的方法、准入控制的方法和通信装置
CN114828106A (zh) * 2021-01-18 2022-07-29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用于实现移动性管理的方法和用户终端
CN112969204B (zh) * 2021-02-26 2022-12-0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小区数据传输方法、装置和电子设备
CN116458207A (zh) * 2021-03-15 2023-07-1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小区选择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15225215A (zh) * 2021-03-30 2022-10-21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信息获取、发送方法、装置、终端设备及网络设备
CN117063595A (zh) * 2021-03-31 2023-11-14 高通股份有限公司 用于对多个随机接入信道参数集进行优先化的技术
CN113194507B (zh) * 2021-04-27 2022-08-12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网络切片的资源分配方法及装置
CN113473536B (zh) * 2021-06-16 2023-04-28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及装置
WO2023015538A1 (en) * 2021-08-13 2023-02-16 Zte Corporation Slice information for cell selection or cell reselection
US20230115367A1 (en) * 2021-10-08 2023-04-13 Dish Wireless L.L.C. Selective handover of cellular device based on network slicing
CN113891249B (zh) * 2021-10-18 2023-07-28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网络覆盖确定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4095986B (zh) * 2021-11-03 2024-02-13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5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39096A1 (en) 2006-03-28 2008-02-14 Nokia Corporatio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providing secure distributed HO signaling for 3.9G with secure U-plane location update from source eNB
EP1909521A1 (en) 2006-10-02 2008-04-0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thod for supporting quality of service over a connection lifetime
US8261308B2 (en) * 2008-01-21 2012-09-04 Nokia Corporation Mapping of network information between data link and physical layer
WO2010021764A1 (en) * 2008-08-22 2010-02-2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ecure and non-secure data
US9276909B2 (en) * 2008-08-27 2016-03-01 Qualcomm Incorporated Integrity protection and/or ciphering for UE registration with a wireless network
US8452290B2 (en) * 2009-03-31 2013-05-28 Broadcom Corporation Communication session soft handover
CN101651949B (zh) 2009-08-17 2011-10-2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安全模式建立的方法及无线网络控制器
EP2609775A1 (en) * 2010-08-27 2013-07-03 Nokia Siemens Networks Oy Handover of connection of user equipment
WO2012078092A2 (en) * 2010-12-10 2012-06-1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Enabling and disabling integrity protection for data radio bearers
US20120252355A1 (en) * 2011-04-04 2012-10-04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ing over relays
US9516691B2 (en) * 2012-01-16 2016-12-0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roximity ser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065802B2 (en) * 2012-05-01 2015-06-23 Fortinet, Inc. Policy-based configuration of internet protocol security for a virtual private network
JP6135878B2 (ja) * 2012-05-04 2017-05-31 ▲ホア▼▲ウェイ▼技術有限公司Huawei Technologies Co.,Ltd. ネットワークスイッチング中におけるセキュリティ処理方法およびシステム
CN104322123B (zh) * 2012-05-21 2018-02-06 诺基亚技术有限公司 管理用于用户设备的无线承载的方法和装置
WO2014019123A1 (zh) * 2012-07-30 2014-02-0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无线接入技术间切换方法、相应设备及通信系统
KR101737239B1 (ko) * 2012-08-06 2017-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성 정보 보고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US8923880B2 (en) * 2012-09-28 2014-12-30 Intel Corporation Selective joinder of user equipment with wireless cell
WO2014100929A1 (en) * 2012-12-24 2014-07-03 Nokia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differencitating security configurations in a radio local area network
WO2014109968A1 (en) * 2013-01-09 2014-07-17 Ntt Docomo, Inc. Secure radio access with inter-enb carrier aggregation
US9357438B2 (en) * 2013-02-22 2016-05-31 Htc Corporation Method for simultaneous communications with multiple base stations and related communication device
US10624005B2 (en) * 2013-08-08 2020-04-14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proxy algorithm identity selection
EP3793167B1 (en) 2013-09-11 2021-09-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to enable secure communication for inter-enb transmission
WO2015055257A1 (en) * 2013-10-18 2015-04-23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Selection and use of a security agent for device-to-device (d2d) wireless communications
CN104811984A (zh) * 2014-01-27 2015-07-29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一种服务质量管理方法、设备及系统
JP6325917B2 (ja) 2014-06-30 2018-05-16 株式会社Nttドコモ 基地局、移動通信システム、およびハンドオーバ制御方法
CN106576397B (zh) * 2014-07-24 2020-07-14 Lg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支持用于双连接的本地网关服务的方法和设备
GB2528913B (en) * 2014-08-04 2017-03-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Signalling in dual connectivity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CN104202778B (zh) * 2014-08-05 2017-12-19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承载接纳控制方法及装置
EP2983439B1 (en) * 2014-08-06 2020-12-16 Alcatel Lucent Special cell selection at secondary network nodes supporting dual connectivity
CN105471611A (zh) * 2014-09-05 2016-04-0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用户服务提供的处理方法、装置及系统
WO2016056957A1 (en) * 2014-10-07 2016-04-1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Routing in an communications network having a distributed s/pgw architecture
US9949176B2 (en) * 2014-11-10 2018-04-17 Nxp Usa, Inc.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EP3241385B1 (en) * 2014-12-30 2019-08-2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erforming inter-menb handover without senb chang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6120052A1 (en) * 2015-01-30 2016-08-04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A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dual connectivity handover
JP6971148B2 (ja) * 2015-05-15 2021-11-24 京セラ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装置及び基地局
BR112017023037A2 (pt) * 2015-06-01 2018-07-03 Huawei Tech Co Ltd aparelho e método para funções virtualizadas em planos de controle e de dados.
US20160353367A1 (en) * 2015-06-01 2016-12-01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Virtualized Functions in Control and Data Planes
CN106341832B (zh) * 2015-07-07 2020-11-06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网络切片的管理及选择方法、系统、基站、路由交换设备
CN106375987B (zh) 2015-07-22 2021-08-2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网络切片的选择方法及系统
KR102489521B1 (ko) * 2015-08-31 2023-01-17 삼성전자주식회사 서비스들 및 디바이스들에 따라 구성가능한 무선 프로토콜 구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EP3400739B1 (en) * 2016-01-08 2020-05-2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adio network nodes and methods performed therein
JP2019054308A (ja) 2016-01-26 2019-04-04 シャープ株式会社 基地局装置、端末装置および通信方法
US10887805B2 (en) * 2016-04-01 2021-01-05 Htc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of handling handover
US11089519B2 (en) * 2016-04-13 2021-08-10 Qualcomm Incorporated Migration of local gateway function in cellular networks
CN105813195B (zh) * 2016-05-13 2019-05-17 电信科学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按需为终端选择移动性管理机制的方法及装置
CN106060900B (zh) * 2016-05-13 2019-12-10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网络切片的接入控制方法及装置、终端化小区和sdn控制器
CN106102105B (zh) * 2016-06-15 2019-09-17 京信通信系统(中国)有限公司 一种小区内切换的方法及装置
CN106210042B (zh) * 2016-07-11 2019-06-18 清华大学 一种基于端到端网络切片的用户服务请求选择方法
US10805168B2 (en) * 2016-07-29 2020-10-13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cell specific procedure or mobility procedure for network slice-based N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8307423B (zh) * 2016-08-26 2023-03-2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无线接入网络切片选择方法和装置
US20180083972A1 (en) * 2016-09-20 2018-03-22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ity configu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8617025B (zh) * 2016-12-30 2021-02-1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双连接方法及接入网设备
GB2558585A (en) * 2017-01-06 2018-07-18 Nec Corp Communication system
CN108282836B (zh) * 2017-01-06 2020-10-30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辅基站切换方法、装置及基站
CN108366365B (zh) 2017-01-26 2021-03-2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接入目标小区的方法以及设备
CN110419205B (zh) * 2017-01-30 2022-11-25 瑞典爱立信有限公司 针对用户平面数据的完整性保护的方法
EP3528540B1 (en) * 2018-02-17 2024-04-03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Supplemental uplink selection us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TSG RAN WG2 Meeting #95-bis, R2-166787, 2016.9.30.*
3GPP TSG RAN WG3 Meeting #Af hoc, R3-170195, 2017.1.11.*
3GPP TSG RAN WG3 NR-adhoc, R3-170065, 2017.1.7.*
3GPP TSG SA WG3 Meeting #75, S3-140957, 2014.5.1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266820A1 (en) 2021-08-26
CN112995977A (zh) 2021-06-18
AU2020289786B2 (en) 2022-09-15
CO2019008230A2 (es) 2019-10-31
JP7425024B2 (ja) 2024-01-30
US10945194B2 (en) 2021-03-09
AU2018213630B2 (en) 2020-09-17
CN109561423B (zh) 2020-07-14
AU2020289786A1 (en) 2021-01-21
CN110226337A (zh) 2019-09-10
EP3570574A4 (en) 2020-01-29
WO2018137637A1 (zh) 2018-08-02
US11849385B2 (en) 2023-12-19
EP3570574B1 (en) 2020-12-09
EP3855679B1 (en) 2023-11-29
CN109561423A (zh) 2019-04-02
JP2020507255A (ja) 2020-03-05
CN108566309A (zh) 2018-09-21
KR20210121316A (ko) 2021-10-07
AU2018213630A1 (en) 2019-07-11
JP2021185665A (ja) 2021-12-09
BR112019012530A2 (pt) 2019-11-19
KR20190089959A (ko) 2019-07-31
CN108366365A (zh) 2018-08-03
CN110226337B (zh) 2021-06-01
JP6920443B2 (ja) 2021-08-18
RU2019123600A (ru) 2021-02-26
EP3855679A1 (en) 2021-07-28
RU2758933C2 (ru) 2021-11-03
CN112995977B (zh) 2022-12-13
CN108366365B (zh) 2021-03-23
KR102495714B1 (ko) 2023-02-06
EP3570574A1 (en) 2019-11-20
US20190289528A1 (en) 2019-09-19
RU2019123600A3 (ko) 2021-04-15
CN108566309B (zh) 2019-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0821B1 (ko) 타깃 셀 액세스 방법 및 장치
KR102165454B1 (ko) 시스템 정보 전송 방법 및 기지국과 시스템 정보 수신 방법 및 사용자기기
JP2020505890A (ja) 通信方法および通信機器
JP7147830B2 (ja) 無線端末及びその方法
US20220217611A1 (en) Service Configuration Method,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System
CN110913439A (zh) 一种网元选择方法及装置
WO2021168647A1 (zh) 提供网络切片的方法和通信装置
US10959171B2 (en) Cell selection by service group
US20230031092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communication apparatus
US20220264435A1 (en) Access control method and communications apparatus
KR102362560B1 (ko)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22237898A1 (zh) 用于在线签约的方法、通信装置、介质及芯片
WO2020156182A1 (zh) 服务小区信息的更新方法及装置
WO202322219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use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