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0798B1 - Pa 바이어스를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Pa 바이어스를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0798B1
KR102310798B1 KR1020140054515A KR20140054515A KR102310798B1 KR 102310798 B1 KR102310798 B1 KR 102310798B1 KR 1020140054515 A KR1020140054515 A KR 1020140054515A KR 20140054515 A KR20140054515 A KR 20140054515A KR 102310798 B1 KR102310798 B1 KR 1023107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as
module
value
electronic device
off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4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7949A (ko
Inventor
송성준
김경중
박원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54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0798B1/ko
Priority to US14/707,602 priority patent/US9629108B2/en
Publication of KR20150127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79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0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07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52TPC using AGC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s or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0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 H03F1/0205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 H03F1/0211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with control of the supply voltage or current
    • H03F1/0216Continuous control
    • H03F1/0222Continuous control by using a signal derived from the input signal
    • H03F1/0227Continuous control by using a signal derived from the input signal using supply convert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189High frequency amplifiers, e.g. radio frequency amplifiers
    • H03F3/19High frequency amplifiers, e.g. radio frequency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03F3/21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03F3/24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of transmitter output stages
    • H03F3/245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of transmitter output stage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1/0475Circuits with means for limiting noise, interference or distor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82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for resource allocation, admission control or hando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2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using signal quality det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2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using signal quality detector
    • H04L1/203Details of error rate determination, e.g. BER, FER or W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6Uplink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1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channel quality metrics, e.g. SIR, SNR, CIR, Eb/l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6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where the output power of a terminal is based on a path parameter calculated in said terminal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451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amplifier being a radio frequency amplifie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555A voltage generating circuit being realised for biasing different circuit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2001/0408Circuits with power amplifiers
    • H04B2001/0416Circuits with power amplifiers having gain or transmission power control

Abstract

수신 신호의 채널 퀄리티(channel quality)를 측정하는 채널 퀄리티 측정 모듈; 상기 측정된 채널 퀄리티에 기반하여 바이어스 오프셋(bias offset)을 결정하는 바이어스 오프셋 결정 모듈; 지정된 바이어스 값에 상기 결정된 바이어스 오프셋을 적용하여 바이어스를 수정하는 바이어스 오프셋 적용 모듈; 및 상기 수정된 바이어스에 따라 송신 전력을 증폭하는 전력 증폭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가 개시된다. 이 외에도 다른 실시 예들이 가능하다.

Description

PA 바이어스를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Amplifier Bias}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통신 환경에 따라 전력 증폭기에 인가되는 PA 바이어스(power amplifier bias)를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에 포함된 안테나를 이용하여 신호를 수신하거나 송신함으로써 무선 통신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안테나는 자유 공간의 미세한 강도의 신호가 감지되더라도 필터링 및 증폭(예: low noise amplification) 기능을 이용하여 원래의 신호를 효율적으로 복원할 수 있다. 그러나 안테나가 자유 공간으로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에는, 먼 거리에 위치한 타 단말 또는 기지국, 네트워크로 신호가 전달될 수 있도록 충분한 전력으로 증폭(예: power amplification)하여 신호를 송신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송신단에서 전력을 증폭하기 위해서 전력 증폭기(power amplifier, PA)가 사용된다. 전력 증폭기는 지정된 DC 전원, 즉 바이어스 전압을 전력 원(power source)으로 하여 동작할 수 있다.
기존의 전력 증폭기 제어 방법은, 전력 증폭기의 소모 전류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하나의 RF 밴드(예: WCDMA의 밴드 1)에 해당하는 주파수 대역(예: 상향링크 1920~1980MHz, 하향링크 2110~2170MHz, 총 2*60MHz 대역)에 대하여 동일한 PA 바이어스 값을 적용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한 밴드 내에 존재하는 다수의 채널 중 일부 채널은 인접채널누설비(adjacent channel leakage ratio, 이하 “ACLR”)와 같은 PA 선형성(linearity)이 좋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낮은 바이어스 값이 적용되어, 송신에 의한 수신감도 열화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모드 또는 음성 모드 구분 없이 동일한 바이어스 값을 사용하기 때문에 통화시 소모 전류 최적화를 위한 음성 모드 바이어스 값을 데이터 모드에서도 동일하게 사용하게 되고, 그 결과 ACLR 성능을 더 높게 요구하는 데이터 모드에서 성능 열화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LTE-A(LTE-advanced) 기술 중 CA(carrier aggregation)를 지원하는 단말은 기존의 LTE 단말과 비교하여, 안테나와 듀플렉서(duplexer) 사이에 하이/로우(high/low) 밴드를 분리하기 위한 다이플렉서(diplxer)와 안테나 스위치, 또는 커플러(예: wideband coupler)가 추가될 수 있다. 그에 따라 LTE CA를 지원하는 단말에서는 송신 경로 손실(Tx path loss)이 1~3dB정도 증가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전압 증폭기의 출력을 1dB 정도 높여야 하기 때문에 전압 증폭기의 소모 전류가 증가하게 된다. 예를 들어, 최대 송신 전력에서 1~3dB의 증가는 수십~수백 mA의 전류를 더 소모하게 되고, 그에 따라 PA 선형성이 열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채널의 특성에 따라 채널 별로 다르게 PA 바이어스 값을 적응적으로 제어하여 전자 장치의 소모 전류 및 수신 감도를 개선하는 방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수신 신호의 채널 퀄리티(channel quality)를 측정하는 채널 퀄리티 측정 모듈; 상기 측정된 채널 퀄리티에 기반하여 바이어스 오프셋(bias offset)을 결정하는 바이어스 오프셋 결정 모듈; 지정된 바이어스 값에 상기 결정된 바이어스 오프셋을 적용하여 바이어스를 수정하는 바이어스 오프셋 적용 모듈; 및 상기 수정된 바이어스에 따라 송신 전력을 증폭하는 전력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같은 밴드에 속한 채널이라도 채널에 따라서 PA 바이어스를 다르게 설정하여 소모 전류의 감소와 수신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일부 채널에서 발생하는 송신 신호의 누설에 따른 수신 감도의 저하 현상을 완화할 수 있으며, RFFE 하드웨어 특성에 따라 적절하게 PA 바이어스의 적응적인 제어가 가능하다.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 및 통신 환경을 나타낸다.
도 2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바이어스 모듈의 동작을 나타낸다.
도 3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바이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를 나타낸다.
도 4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바이어스 제어 프로세스를 나타낸다.
도 5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BLER에 기반한 바이어스 제어 방법을 나타낸다.
도 6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소모 전류 변화를 나타낸다.
도 7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수신 감도 변화를 나타낸다.
도 8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ACLR 측정에 따라 PA 바이어스를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9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PA 바이어스를 바이어스 룩업 테이블에 저장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바이어스 룩업 테이블로부터 PA 바이어스를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과 연관되어 기재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이 도면에 예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또는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되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 가운데 사용될 수 있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개시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또는" 또는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의 어떠한, 그리고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A 또는 B" 또는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각각은, A를 포함할 수도, B를 포함할 수도, 또는 A 와 B 모두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 가운데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수식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및/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 짓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2 사용자 기기는 모두 사용자 기기이며,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통신 기능이 포함된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스마트 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화상전화기, 전자북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톱 PC(desktop PC), 랩탑 PC(laptop PC),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예: 전자 안경과 같은 head-mounted-device(HMD), 전자 의복, 전자 팔찌, 전자 목걸이, 전자 앱세서리(appcessory), 전자 문신, 또는 스마트 와치(smart watch) 등)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통신 기능을 갖춘 스마트 가전 제품(smart home appliance)일 수 있다. 스마트 가전 제품은, 예를 들자면, 전자 장치는 텔레비전,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set-top box), TV 박스(예를 들면, 삼성 HomeSync™, 애플TV™, 또는 구글 TV™, 게임 콘솔(game consoles),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camcorder),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각종 의료기기(예: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GPS 수신기(global positioning system receiver),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장치 및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 기기(avionics), 보안 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금융 기관의 ATM(automatic teller’s machine) 또는 상점의 POS(point of sale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통신 기능을 포함한 가구(furniture) 또는 건물/구조물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입력 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projector), 또는 각종 계측 기기(예: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 따른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대해서 살펴본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이용되는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 및 통신 환경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전자 장치 101은 버스 110, 프로세서 120, 메모리 130, 입출력 인터페이스 140, 디스플레이 150, 통신 인터페이스 160 및 바이어스 모듈 17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스 110은 전술한 구성요소들을 서로 연결하고, 전술한 구성요소들 간의 통신(예: 제어 메시지)을 전달하는 회로일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 120은, 예를 들면, 상기 버스 110을 통해 전술한 다른 구성요소들(예: 상기 메모리 130,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 140, 상기 디스플레이 150,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160, 상기 바이어스 모듈 170)로부터 명령을 수신하여, 수신된 명령을 해독하고, 해독된 명령에 따른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130은, 상기 프로세서 120 또는 다른 구성요소들(예: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 140, 상기 디스플레이 150,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160, 상기 바이어스 모듈 170)로부터 수신되거나 상기 프로세서 120 또는 다른 구성요소들에 의해 생성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130은, 예를 들면, 커널 131, 미들웨어 132,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133, 어플리케이션 134, 또는 바이어스 룩업 테이블(bias look-up table 또는 바이어스 LUT) 135 등의 프로그래밍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각각의 프로그래밍 모듈들은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널 131은 나머지 다른 프로그래밍 모듈들, 예를 들면, 상기 미들웨어 132, 상기 API 133, 상기 어플리케이션 134, 또는 바이어스 LUT 135 등에 구현된 동작 또는 기능을 실행하거나 저장된 데이터를 호출하는데 사용되는 시스템 리소스들(예: 상기 버스 110, 상기 프로세서 120, 또는 상기 메모리 130 등)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널 131은 상기 미들웨어 132, 상기 API 133, 상기 어플리케이션 134, 또는 바이어스 LUT 135에서 상기 전자 장치 101의 개별 구성요소에 접근하여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미들웨어 132는 상기 API 133, 상기 어플리케이션 134, 또는 바이어스 LUT 135가 상기 커널 131과 통신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중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들웨어 132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134로부터 수신된 작업 요청들과 관련하여, 예를 들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134 중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상기 전자 장치 101의 시스템 리소스(예: 상기 버스 110, 상기 프로세서 120 또는 상기 메모리 130 등)를 사용할 수 있는 우선 순위를 배정하는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작업 요청에 대한 제어(예: 스케줄링 또는 로드 밸런싱)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API 133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134가 상기 커널 131 또는 상기 미들웨어 132에서 제공되는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예를 들면, 파일 제어, 창 제어, 화상 처리 또는 문자 제어 등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또는 함수(예: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134는 SMS/MMS 어플리케이션, 이메일 어플리케이션, 달력 어플리케이션, 알람 어플리케이션, 건강 관리(health care) 어플리케이션(예: 운동량 또는 혈당 등을 측정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환경 정보 어플리케이션(예: 기압, 습도 또는 온도 정보 등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 134는 상기 전자 장치 101과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 104 또는 서버 106) 사이의 정보 교환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상기 정보 교환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특정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알림 전달(notification relay) 어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관리(device management)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알림 전달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전자 장치 101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예: SMS/MMS 어플리케이션, 이메일 어플리케이션, 건강 관리 어플리케이션, 또는 환경 정보 어플리케이션 등)에서 발생한 알림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 104 또는 서버 106)로 전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상기 알림 전달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 104 또는 서버 106)로부터 알림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상기 전자 장치 101과 통신하는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 104 또는 서버 106)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기능(예: 외부 전자 장치 자체(또는, 일부 구성 부품)의 턴온/턴오프(turn on/turn off) 또는 디스플레이의 밝기(또는, 해상도) 조절),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예: 통화 서비스 또는 메시지 서비스)를 관리(예: 설치, 삭제 또는 업데이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134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 104 또는 서버 106)의 속성(예: 전자 장치의 종류)에 따라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전자 장치가 MP3 플레이어인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134는 음악 재생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외부 전자 장치가 모바일 의료기기인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134는 건강 관리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134는 전자 장치 101에 지정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 104 또는 서버 106)로부터 수신된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바이어스 룩업 테이블 135는 전자 장치 101이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 104 또는 서버 106)로 송신하는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 101은 바이어스 룩업 테이블 135에 저장된 바이어스 값을 참조하여,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 104 또는 서버 106)로 신호를 송신할 때, 전력 증폭기(미도시)로 하여금 적절한 바이어스에 해당하는 직류 전압이 인가되도록 할 수 있다. 바이어스 룩업 테이블 135는 전자 장치 101이 신호를 송수신하는 복수의 채널(n) 및 각각의 채널에서의 복수의 송신 전력 수준(Tx power level)(m)에 대응하는 복수의 바이어스 값(n*m)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 140은, 입출력 장치(예: 센서, 키보드 또는 터치 스크린)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예를 들면, 상기 버스 110을 통해 상기 프로세서 120, 상기 메모리 130,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160, 상기 바이어스 모듈 170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 140은 터치 스크린을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의 터치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프로세서 120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 140은, 예를 들면, 상기 버스 110을 통해 상기 프로세서 120, 상기 메모리 130,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160, 상기 바이어스 모듈 170으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기 입출력 장치(예: 스피커 또는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 140은 상기 프로세서 120을 통하여 처리된 음성 데이터를 스피커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150은 사용자에게 각종 정보(예: 멀티미디어 데이터 또는 텍스트 데이터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160은 상기 전자 장치 101과 외부 장치(예: 전자 장치 104 또는 서버 106) 간의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160은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서 네트워크 162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은, 예를 들어, Wi-Fi(wireless fidelity), BT(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또는 셀룰러(cellular) 통신(예: LTE, LTE-A, CDMA, WCDMA, UMTS, WiBro 또는 GSM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선 통신은, 예를 들어,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 232)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네트워크 162는 통신 네트워크(telecommunications network)일 수 있다. 상기 통신 네트워크는 컴퓨터 네트워크(computer network), 인터넷(internet),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또는 전화망(telephone network)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 101과 외부 장치 간의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예: 전송 계층 규약(transport layer protocol), 데이터 연결 계층 규약(data link layer protocol) 또는 물리 계층 규약(physical layer protocol))은 바이어스 룩업 테이블 135, 어플리케이션 134,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133, 상기 미들웨어 132, 커널 131, 통신 인터페이스 160, 또는 바이어스 모듈 170 중 적어도 하나에서 지원될 수 있다.
바이어스 모듈 170은, 바이어스 룩업 테이블 135에 바이어스 값을 저장하거나, 바이어스 룩업 테이블 135에 저장된 바이어스 값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이어스 모듈 170은 통신 모듈(예: 통신 인터페이스 160)로부터 수신된 통신 환경에 관련된 정보에 기반하여, 바이어스 룩업 테이블 135에 저장된 바이어스 값을 갱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바이어스 모듈 170은, 다른 구성요소들(예: 상기 프로세서 120, 상기 메모리 130,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 140, 또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160 등)로부터 획득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처리하고, 이를 다양한 방법으로 통신 모듈(예: 통신 인터페이스 160) 등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바이어스 모듈 170은, 상기 바이어스 룩업 테이블 135로부터 지정된 바이어스 값을 획득하여 통신 모듈에 포함된 전력 증폭기로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바이어스 모듈의 동작을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바이어스 모듈 170은 바이어스 오프셋(bias offset) 결정 모듈 171, 바이어스 오프셋 적용 모듈 173, 또는 바이어스 저장 모듈 175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 101)는 통신 모듈(예: 통신 인터페이스 160)과 바이어스 모듈(예: 바이어스 모듈 170)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바이어스 모듈 170은 통신 인터페이스 160에 포함되어 하나의 통신 모듈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채널과 송신 전력에 대응하는 바이어스 값에 수신 채널의 상태에 따라 결정되는 바이어스 오프셋을 가감하여 변경된 바이어스 값으로 전력 증폭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채널과 송신 전력에 대응하는 바이어스 값을 미리 저장해두고, 신호를 송신할 채널과 송신 전력이 결정되면, 결정된 채널 및 송신 전력에 대응하는 바이어스 값으로 전력 증폭기를 제어할 수 있다.
3G 또는 LTE와 같은 무선 통신 환경에서, 하나의 밴드에는 복수의 채널이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심 주파수를 2100MHz로 하는 밴드 1(band 1, B1)은 1920~1980MHz의 상향링크 주파수 대역 및 2110~2170MHz의 하향링크 주파수 대역을 포함한다. 밴드 1의 채널 대역폭은 20MHz로 설정될 수 있고, 밴드 1은 적어도 6개의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밴드 1의 채널 대역폭은 20MHz 외에도 5, 10, 15MHz로 설정될 수도 있다) 전자 장치는 각각의 채널에 대하여 다양한 전력으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각각의 채널에서 0dBm, 10dBm, 20dBm, 또는 24dBm의 전력으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은, 동일 밴드에 포함된 복수의 채널에 대하여 일률적인 PA 바이어스 값을 적용하지 않고, 각각의 채널 및 송신 전력 수준에 따라 PA 바이어스 값을 변경하거나, 미리 저장된 PA 바이어스 값을 이용하여 소모 전류를 줄이고 수신 감도를 개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바이어스 오프셋 결정 모듈 171은 하나의 밴드에 포함된 복수의 채널 중에서 임의의 채널에 대하여 기준 바이어스 값에 적용될 바이어스 오프셋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이어스 오프셋 결정 모듈 171은 통신 인터페이스 160으로부터 상기 채널에 대한 채널 퀄리티를 수신할 수 있다. 바이어스 오프셋 결정 모듈 171은 상기 수신된 채널 퀄리티에 기반하여 기준 바이어스 값에 적용될 바이어스 오프셋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이어스 오프셋 결정 모듈 171은 상기 채널 퀄리티가 지정된 임계 값(threshold) 이상인 경우(예를 들어, 채널 퀄리티가 좋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1 바이어스 오프셋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제1 바이어스 오프셋은, 최종 바이어스 값을 증가시키기 위하여(그에 따라 채널 퀄리티를 개선하기 위하여) 양(positive)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바이어스 오프셋 결정 모듈 171은 상기 채널 퀄리티가 지정된 임계 값 미만인 경우(예를 들어, 채널 퀄리티가 양호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2 바이어스 오프셋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제2 바이어스 오프셋은 최종 바이어스 값을 감소시키기 위하여(채널 퀄리티를 일정 수준 이상 악화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음(negative)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전술한, 또는 향후 후술되는 설명에서, 이상-미만의 관계는 논리적으로 허락되는 한 이상-이하, 초과-미만, 또는 초과-이하의 관계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제1 바이어스 오프셋 및 제2 바이어스 오프셋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바이어스 오프셋 결정 모듈 171이 2개의 바이어스 오프셋을 결정한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바이어스 오프셋 결정 모듈 171은, 통신 환경과 전자 장치의 하드웨어(예: RFFE(RF front end)) 구성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바이어스 오프셋을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바이어스 오프셋 적용 모듈 173은, 바이어스 오프셋 결정 모듈 171에 의해 결정된 바이어스 오프셋(예: 제1 바이어스 오프셋, 제2 바이어스 오프셋 등)을 지정된 바이어스 값(예: 바이어스 룩업 테이블 135에 저장되어 있는 바이어스 값)에 적용할 수 있다. 바이어스 모듈 170은 바이어스 오프셋이 적용된 바이어스 값(예: 1차 바이어스)을 통신 인터페이스 160으로 제공할 수 있다. 채널 퀄리티 측정, 바이어스 오프셋 결정, 바이어스 오프셋 적용의 과정은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차 바이어스 적용 후에 측정된 채널 퀄리티에 기반하여 다시 바이어스 오프셋이 적용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바이어스 오프셋이 재차 적용된 바이어스 값(예: 2차 바이어스)으로 전력 증폭기를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바이어스 오프셋 적용 모듈 173은 지정된 통신 채널과 송신 전력에 기반하여 바이어스 룩업 테이블 135로부터 상기 채널 및 상기 송신 전력에 대응하는 바이어스 값을 획득할 수 있다. 바이어스 오프셋 적용 모듈 173은 상기 획득된 바이어스 값을 통신 인터페이스 160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바이어스 값은, 통신 모듈 또는 전자 장치의 제작이나 설계 시점에서 미리 조정(calibration)된 수치를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바이어스 값은 전자 장치의 사용에 따라 학습되고 최적화되어 저장되는 수치를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바이어스 저장 모듈 175는 바이어스 값을 바이어스 룩업 테이블 135에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바이어스 룩업 테이블 135는 바이어스 모듈 170의 외부에 위치하는 별도의 저장 공간(예: 메모리 130)에 위치할 수도 있고, 바이어스 모듈 170, 또는 바이어스 저장 모듈 175 내부에 포함될 수도 있다. 바이어스 저장 모듈 175는 하나의 밴드에 포함된 다양한 채널 및 다양한 송신 전력에 대하여 미리 조정된 PA 바이어스 값을 바이어스 룩업 테이블 135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조정 과정에 대해서는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바이어스 저장 모듈 175는 측정된 채널 퀄리티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최적화된 것으로 학습된 바이어스 값을 바이어스 룩업 테이블 135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바이어스 저장 모듈 175는 바이어스 룩업 테이블 135에 저장된 바이어스 값을 갱신하거나 삭제 또는 추가할 수 있다.
도 3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바이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 300(예: 전자 장치 101)은 리시버(receiver) 301, 모뎀 처리 모듈(modem processing module) 303, 채널 퀄리티 측정 모듈 305, 송신 측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Tx DAC(digital-analog converter)) 307, 트랜스미터(transmitter) 309, 바이어스 오프셋 결정 모듈 311(예: 바이어스 오프셋 결정 모듈 171), 바이어스 오프셋 적용 모듈 313(예: 바이어스 오프셋 적용 모듈 173), 바이어스 LUT 315(예: 바이어스 룩업 테이블 135), 가변 DC-DC 전원 317, 전력 증폭기 319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전술한 내용과 중복되거나, 대응 또는 유사한 내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리시버 301은 안테나를 통해 지정된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채널(control channel)을 통해 기지국 또는 네트워크로부터 제공되는 전력 제어 정보 또는 스케줄링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모뎀 처리 모듈 303은 상기 수신된 신호 또는 정보를 필터(예: BPF(band pass filter), IMF(image reject filter) 등)나 증폭기(예: LNA(low noise amplifier) 등)을 통해 처리할 수 있다. 모뎀 처리 모듈 303은 수신 신호의 감도를 판단하기 위한 정보를 채널 퀄리티 측정 모듈 305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모뎀 처리 모듈 303은 전력 제어 정보 등을 Tx DAC 307로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채널 퀄리티 측정 모듈 305는 수신된 신호의 채널 퀄리티를 측정할 수 있다. 채널 퀄리티는 예를 들어, BLER(block error rate), BER(bit error rate), FER(frame error rate), 송신 전력 레벨(Tx power level),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CP(received signal code power), Ec/Io(chip energy/others interference), RB 수(resource block number), RB 위치(RB position)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판단될 수 있다.
채널 퀄리티 측정 모듈 305는 채널 별 특성에 따라서 주파수 대역을 일정 간격으로 구분하고, 핸드오버(handover)가 발생하는 경우 채널 퀄리티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 퀄리티 측정 모듈 305는 WCDMA의 B1 대역을 20MHz 단위로 6개 대역으로 구분하고, 해당 대역 중 하나의 대역으로 핸드오버가 발생하면 해당 채널의 특성을 체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송신 측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 즉 Tx DAC 307은 전력 제어 또는 스케줄링 정보에 기반하여 송신 전력을 결정하고, 상기 송신 전력에 대한 정보를 채널 퀄리티 측정 모듈 305, 바이어스 LUT 315, 및 트랜스미터 309 중 적어도 하나로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채널 퀄리티 측정 모듈 305은 상기 정보에 기반한 송신 전력 수준을 채널 퀄리티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바이어스 LUT 315는 상기 정보에 기반한 바이어스 값을 바이어스 오프셋 적용 모듈 313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트랜스미터 309는 상기 정보에 기반한 송신 전력으로 신호가 송신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바이어스 오프셋 결정 모듈 311은 채널 퀄리티 측정 모듈 305에 의해 측정된 채널 퀄리티에 기반하여 바이어스 오프셋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이어스 오프셋 결정 모듈 311은 전술한 채널 퀄리티를 나타내는 지표(예: BLER 등)가 임계 값 이상의 상태인 경우, 즉 채널 퀄리티가 나쁜 상태이면 현재의 PA 바이어스 값(예: Tx DAC 307에서 제공된 송신 전력에 대응되는 바이어스 LUT에 저장된 값)에 일정한 PA 바이어스 오프셋 값이 더해지도록 바이어스 오프셋을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임계 값은 채널 별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바이어스 오프셋 결정 모듈 311은 채널 퀄리티를 나타내는 지표가 임계 값 이하의 상태인 경우, 즉 채널 퀄리티가 양호한 상태이면 현재의 PA 바이어스 값에 일정한 바이어스 값이 감해지도록 바이어스 오프셋을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바이어스 오프셋은 WDCMA의 내부 루프 전력 제어(inner loop power control) 특성이나 송신 전력 레벨 인덱스(Tx power level index) 사이의 전압 증폭기 이득(PA gain) 특성 차이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이어스 오프셋은 +0.1v, +0.2v, +0.4v, -0.1v, 또는 0(바이어스 값을 변경하지 않음) 등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이어스 오프셋이 0인 경우, 현재의 바이어스 값에 바이어스 오프셋이 적용되어 수정된 바이어스 값은 초기의(현재의) 바이어스 값과 동일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바이어스 오프셋 적용 모듈 313은 바이어스 LUT 315에 저장된 바이어스 값에, 바이어스 오프셋 결정 모듈 311에 의해 결정된 바이어스 오프셋을 적용시킬 수 있다. 바이어스 오프셋이 적용된 바이어스 값(예: 1차 바이어스)은 가변 DC-DC 전원 317로 제공되고, 가변 DC-DC 전원 317은 상기 바이어스에 기반하여 전력 증폭기 319로 전압(PA Vcc)을 인가할 수 있다.
도 4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바이어스 제어 프로세스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동작 410에서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 101, 전자 장치 300)는 수신 채널의 퀄리티를 측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이벤트(예를 들어 핸드오버 발생, 마지막 측정 이후 소정 시간 경과, 또는 송신 전력 변경 등)가 발생한 경우에 채널 퀄리티를 측정할 수 있다. 채널 퀄리티는 전술한 BLER, 송신 전력 레벨(Tx power level), RSRP, RSCP, 또는 Ec/Io 등의 지표를 이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동작 420에서 전자 장치는 상기 측정된 채널 퀄리티에 기반하여 바이어스 오프셋을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상기 채널 퀄리티가 상대적으로 양호한 경우, PA 바이어스 값이 소폭 감소하도록 음의 바이어스 오프셋을 설정하거나, PA 바이어스 값이 유지(예를 들어, 바이어스 오프셋 =0)되도록 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상기 채널 퀄리티가 상대적으로 불량한 경우, PA 바이어스 값이 증가하도록 양의 바이어스 오프셋을 설정할 수 있다.
동작 430에서 전자 장치는 동작 420에서 결정된 바이어스 오프셋을 지정된 바이어스 값(예를 들어, ACLR 측정 값에 기반하여 바이어스 룩업 테이블 135에 저장되어 있던 바이어스 값, 또는 바이어스 오프셋이 1번 이상 적용되어 미리 저장되어 있던 바이어스 값)에 적용할 수 있다. 전력 증폭기에서는 상기 바이어스 오프셋이 적용된 바이어스 값을 입력 전압(Vcc)으로 하여 송신 전력을 증폭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구체적인 적용 예를 설명한다.
도 5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BLER에 기반한 바이어스 제어 방법을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동작 510에서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 101, 전자 장치 300)는 지정된 기능을 수행 또는 운영하거나, 대기상태에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하거나, 다른 사용자 단말과 통화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전자 장치는 기지국과 연결 상태를 유지하면서 슬립(sleep) 상태에 있을 수도 있다.
동작 520에서, 전자 장치(예: 모뎀 처리 모듈 303)는 핸드오버(handover, 또는 hand off)가 발생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WCDMA 다운로드 채널 10713CH에 대해서 핸드오버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핸드오버가 발생하였다면 프로세스는 530으로 진행하고, 핸드오버가 발생하지 않았다면 프로세스는 다시 510으로 진행할 수 있다. 그러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핸드오버가 아닌 다른 이벤트의 발생에 따라 동작 530 및 동작 510으로 진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동작 530에서, 전자 장치(예: 채널 퀄리티 측정 모듈 305)는 수신 채널의 BLER을 측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가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BLER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RSSI가 변하는 전계 상황에서 약전계 지역으로 이동하여, RSSI가 -108dBm인 지역에서 BLER을 측정할 수 있다.
동작 540에서, 전자 장치(예: 바이어스 오프셋 결정 모듈 311)는 측정된 BLER을 지정된 비율(예: 기준 BLER)과 비교할 수 있다. 만약 측정된 BLER 값이 기준 BLER 값보다 큰 경우, 동작 550에서 전자 장치는 양(+)의 값을 갖는 바이어스 오프셋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기준 BLER이 0.1%인 경우, 측정된 BLER이 0.1% 이상이면 현재 정해져 있는 PA 바이어스 값이 0.2V 증가하도록 바이어스 오프셋을 +0.2V로 결정할 수 있다. 만약 측정된 BLER이 기준 BLER 값보다 작은 경우, 동작 560에서 전자 장치는 음(-)의 값을 갖는 바이어스 오프셋을 결정하거나, 또는 바이어스 오프셋을 0으로 결정하여 현재의 PA 바이어스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된 BLER이 0.1% 미만이면 현재 정해져 있는 PA 바이어스 값이 0.1V 감소하도록 바이어스 오프셋을 -0.1V로 결정할 수 있다.
동작 570에서, 전자 장치(예: 바이어스 오프셋 적용 모듈 313)는 동작 550 또는 동작 560에서 결정된 바이어스 오프셋을 지정된 PA 바이어스에 적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지정된 PA 바이어스는 바이어스 룩업 테이블 315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동작 580에서, 전자 장치는 동작 570에서 바이어스 오프셋이 적용된 바이어스 전압에 따라 송신 전력을 증폭하여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동작 530 내지 570은 반복되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상기 동작 570에서 바이어스 오프셋이 적용된 바이어스(예: 1차 바이어스)에 따라 동작 580에서 신호를 송신하면서, 일정 시간이 경과하거나 핸드오버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동작 530 내지 570을 반복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예시에서 RSSI가 -108dBm인 동일 지역에서, 전자 장치는 수신 채널의 BLER을 체크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는 측정된 BLER이 0.1% 이상이면 다시 PA 바이어스를 0.2V 증가(바이어스 오프셋 = +0.2V)시키고, BLER이 0.1% 미만이면 PA 바이어스를 추가로 0.1V 감소(바이어스 오프셋 = -0.1V)시킬 수 있다. 상술한 프로세스는 정해진 횟수만큼 반복될 수 있다. 전술한 예시에서, 전자 장치는 동작 530 내지 570이 2회 반복되어 결정된 바이어스 값(예: 2차 바이어스)을 10713CH에 대한 최종 바이어스 값으로 결정하고, 상기 최종 바이어스 값에 의해 전력 증폭기가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표 1]
Figure 112014043119557-pat00001
표 1은 10713CH에서 도 5의 프로세스에 따른 바이어스 값의 변화를 나타낸다. 기본 PA 바이어스는 초기 조정(calibration) 또는 제품 설계 단계에서 미리 결정된 값일 수 있다. 송신 전력(Tx level)이 24dBm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면, 1차로 측정된 BLER이 0.1%보다 크면 기본 PA 바이어스(3.0V)에서 0.2V 증가(바이어스 오프셋=+0.2V)한 3.2V가 1차 바이어스가 될 수 있다. 만약 측정된 BLER이 0.1%보다 작은 경우 기본 PA 바이어스에서 0.1V 감소(바이어스 오프셋=-0.1V)한 2.9V가 1차 바이어스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추가로(2차) 측정된 BLER이 한번 더 0.1% 보다 큰 것으로 나타나면 1차 바이어스(3.2V)에 다시 +0.2를 더하여 3.4V를 2차 바이어스로 결정할 수 있다. 만약 추가로 측정된 BLER이 0.1%보다 작은 것으로 측정되면, 전자 장치는 1차 바이어스(3.2V)에서 0.1V를 감소시켜서 3.1V를 2차 바이어스로 결정할 수 있다(1차에서 BLER이 1% 미만, 2차에서 BLER이 1% 초과로 측정된 경우에도 결과는 같을 수 있다). 만약 1차와 2차 모두 BLER이 0.1%보다 작게 측정되면(즉, 채널 상태가 우수하다면), 전자 장치는 2차 바이어스를 2.8V로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전자 장치는 채널 10713CH의 다양한 송신 전력에 대해 PA 바이어스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전술한 방법은 다양한 밴드 및 다양한 채널에 대해서 적용될 수 있다.
표 1의 실시 예에서, PA 바이어스의 최대 값은 저전압 배터리 조건(약 3.5V)에서 0.1V 배선에 의한 전압 강하를 고려한 전압 증폭기 입력 전압(PA Vcc) 3.4V 조건에서도 동일한 전압 증폭기 하드웨어 성능(예를 들어, ACLR 또는 송신 전력)을 가지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한 PA 바이어스의 최대 값은 PA 바이어스 모드로 사용되는 경우 또는 배터리 전원과 동일하게 사용 가능한 바이패스(bypass) 모드로 사용되는 경우 3.7V 값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PA 바이어스의 최소 값은 전압 증폭기의 기본적인 하드웨어 성능을 만족하기 위한 최소 값(보통 0.5~0.7V)에 0.1~0.2V 정도의 마진을 고려한 전압인 1.0V로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다양한 실시 예에서, 다양한 전압이 최대값 또는 최소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전술한 채널 퀄리티는 송신 전력 수준을 이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RFFE 하드웨어 설계 과정에서, 10838CH는 송신 신호의 누설(leakage) 현상이 심하여, 인접 채널(예: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의 다운로드 채널)의 수신 감도가 저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 전력이 15dBm 이상으로 증가하게 되면 ACLR 특성 열화에 따른 수신감소 현상이 발생하는 채널(예: 10838CH)에 대해서, 전자 장치는 송신 전력 수준을 채널 퀄리티로 판단할 수 있다.
송신 전력 수준을 채널 퀄리티로서 사용하는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 5에 도시된 프로세스에서 BLER에 대응되는 동작이 송신 전력 수준으로 대체되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 520에서 임의의 채널(예: 채널 10838CH)로 핸드오버되고, 동작 현재 지역에 대한 송신 전력 수준이 체크될 수 있다. 송신 전력은 안테나에서 수신된 전력 제어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의 예시에서, Tx DAC 307은 전력 제어 정보에 포함된 송신 전력에 관한 정보를 채널 퀄리티 측정 모듈 305로 제공할 수 있다.
동작 540에서 송신 전력 수준이 기준 값(지정된 송신 전력(예: 15dBm))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송신 전력 수준이 기준 값 이상인 경우, 동작 550에서 양의 바이어스 오프셋이 결정될 수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 음의 또는 0의 바이어스 오프셋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 전력이 15dBm 이상인 경우 현재 지정된 PA 바이어스에 +0.4V의 바이어스 오프셋이 적용되고, 송신 전력이 15dBm 미만인 경우 현지 지정된 PA 바이어스 값이 그대로 이용(바이어스 오프셋 = 0)될 수 있다. 채널 10838CH에서 송신 전력 수준에 따른 예시적인 결과가 표 2에 도시된다.
[표 2]
Figure 112014043119557-pat00002
상기 표 2의 예시에서, 초기에 정해져 있는 송신 전력에 대한 PA 바이어스 값이 25dBm까지 설정되어 있고, WDCMA에서 최대 송신 전력은 24dBm이므로, 마진으로 고려하여 송신 전력의 범위는 25dBm 이하로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통신 환경이 제공하는 최대 송신 전력과 PA 바이어스의 초기 설정 값 등에 기반하여, 송신 전력의 범위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표 3]
Figure 112014043119557-pat00003
표 3은 도 5에 도시된 방법에 따라 바이어스 오프셋을 적용하여 획득될 수 있는 PA 바이어스 테이블의 예시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PA 바이어스 테이블은 데이터 구조의 형태로 바이어스 룩업 테이블 315에 저장될 수 있다.
일반적인 WCDMA, HDSPA, HSUPA 환경에서의 상기 표 3에 도시된 통신 채널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주파수가 높은 채널은 15dBm 이상의 송신 전력에서 수신 감도의 열화(desensitization)가 심해지고, 중간 주파수 대역의 채널은 ACLR 마진이 상대적으로 주파수가 낮은 채널 대비 2~3dB 정도 더 크게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채널을 주파수 기준으로 분류하여 각각의 분류된 채널에 적용되는 바이어스, 또는 바이어스 오프셋이 다르게 결정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0600CH 및 10800CH를 기준으로 LOW, MID, HIGH 채널로 구분하여 표 3과 같은 바이어스 테이블을 얻을 수 있다. 표 3을 참조하면, MID 채널에 포함되는 10664CH, 10700CH, 10735CH에서는 송신 전력에 따른 바이어스 값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MID 채널에서는 ACLR 및 수신 감도의 특성이 상대적으로 가장 우수하므로, LOW 또는 HIGH 채널 대비 바이어스 오프셋 적용 결과, 가장 낮은 PA 바이어스 값이 적용되고, 이에 따라 소모 전류가 감소할 수 있다. 반면 HIGH 채널(예: 10838CH)에서는 송신 전력 15dBm 이상에서 수신 감도 열화 현상이 심해지고, ACLR 마진도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LOW/MID 채널 대비 더 높은 PA 바이어스 값이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채널 상태(예: 채널 퀄리티)가 양호한 경우, 표 3의 우측 테이블과 같이, HIGH 채널은 LOW 채널(예: 10562CH)의 PA 바이어스 값과 동일한 값으로 운영될 수 있다.
도 6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소모 전류 변화를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WCDMA 하향링크 10700CH에 대해서 PA 바이어스 값에 따른 소모 전류의 변화가 도시된다. PA 바이어스 값이 감소할수록 ACLR 성능도 열화되지만, 전력 증폭기의 소모 전류도 선형적으로 감소함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ACLR 마진 7dB를 고려하여 약 -40dBc를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PA 바이어스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PA 바이어스 값은 약 3.1V까지 감소할 수 있고, 3.1V에서 소모 전류는 약 445mA이다. 이는 PA 바이어스가 3.7V인 경우(소모 전류는 약 535mA) 또는 PA 바이어스가 3.4V인 경우(소모 전류는 약 495mA)와 비교하여 최대 90mA의 소모 전류의 감소를 가져올 수 있다.
도 7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수신 감도 변화를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PA 바이어스 값이 증가하면 전력 증폭기의 선형성이 증가하고, 수신 주파수 대역의 송신 신호의 누설 성분이 감소하여 수신 감도의 열화 현상이 감소한다. 도 7에서는 도 6에서와 같이, 전자 장치는 ACLR 마진 7dB를 고려하여 약 -40dBc를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PA 바이어스 값을 결정할 수 있지만, PA 바이어스 값을 증가시키면 그에 따라 BER(또는 BLER) 0.1% 기준에서 측정되는 RSSI 값이 감소(-107에서 -108.5로)하므로 수신 감도가 좋아진다. 도 7을 참조하면, WDCMA 하향링크 10838CH에 대하여 PA 바이어스 값을 3.4V에서 3.6V로 증가시키면 약 1.5dB의 수신 감도 개선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바이어스 제어 방법은, 수신 신호의 채널 퀄리티를 측정하는 동작; 상기 측정된 채널 퀄리티에 기반하여 바이어스 오프셋을 결정하는 동작; 지정된 바이어스 값에 상기 결정된 바이어스 오프셋을 적용하는 동작; 및 상기 바이어스 오프셋이 적용된 바이어스 값에 따라 송신 전력을 증폭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방법은 핸드오버가 발생하면 수행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채널 퀄리티를 측정하는 동작은, 지정된 범위의 RSSI에서 수행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지정된 바이어스 값에 상기 결정된 바이어스 오프셋을 적용하는 동작은, 상기 측정된 채널 퀄리티에 대응하는 채널 및 송신 전력에 대한 바이어스에 대해서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전자 장치에서 통신 환경, 예를 들어 채널 및 송신 전력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된 PA 바이어스 값을 저장하고, 이를 이용하여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내지 도 7과 관련하여 설명된 구성이나 효과에 관한 기술은 후술하는 설명에 적용될 수 있다.
도 8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ACLR 측정에 따라 PA 바이어스를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면, 동작 810에서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 101, 전자 장치 300)는 채널 별 특성에 따라 주파수 대역을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채널을 구분하고, 상기 복수의 채널 중 하나의 채널을 설정할 수 있다. 동작 820에서 전자 장치는 상기 설정된 채널에 대한 전송 전력(예: 최대 전송 전력, 24dBm 등)을 설정하고, 최대 PA 바이어스를 설정할 수 있다.
동작 830에서, 전자 장치는 전력 증폭기의 선형성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ACLR을 측정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중심 채널의 전력과 지정된 오프셋만큼 떨어진 지점의 전력과의 차이를 dBc로 계산할 수 있다.
동작 840에서 전자 장치는 측정된 ACLR 값과 기준이 되는 마진 값을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된 ACLR 값이 마진 값보다 큰 경우, 선형성이 충분히 좋게 나타나고 있으므로, PA 바이어스를 하향 조정할 수 있다. PA 바이어스가 하향 조정되면 다시 동작 830으로 진행하여 조정된 바이어스 값을 ACLR 마진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의 동작 830 내지 동작 850은 측정된 ACLR 값이 기준이 되는 마진 값보다 작거나 같게 될 때까지 반복된다. 측정된 ACLR 값이 기준 마진 값보다 작은 경우, 동작 860으로 진행하여 마지막으로 하향 조정된 PA 바이어스 값을 유지한 상태에서 동작 A로 진행할 수 있다. 이하의 프로세스는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PA 바이어스를 바이어스 룩업 테이블에 저장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9의 프로세스는 도 8의 동작 A에 후속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동작 910에서 전자 장치는 BER 또는 FER을 체크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지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예를 들어 단말이 온라인 모드(online mode)로 진입하거나 및/또는 수신 감도 측정이 가능한 낮은 RSSI 상태가 되는 경우에 BER 또는 FER을 체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BER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동작 920에서 전자장치는 측정된 BER과 기준 BER(또는 임계(threshold) BER)을 비교할 수 있다. 기준 BER은 채널 별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측정된 BER이 기준 값(예: 0.1%)보다 높은 경우, 동작 930에서 전자 장치는 PA 바이어스 값을(예: 동작 860에서 유지되고 있는 바이어스 값) 상향 조정할 수 있다. PA 바이어스 값이 상향 조정되면, BER이 개선될 수 있다. 측정된 BER이 기준 값보다 작은 경우, 동작 940에서 전자 장치는 PA 바이어스 값(예: 동작 860에서 유지되고 있는 바이어스 값)을 계속 유지할 수 있다. 동작 950에서 전자 장치(예: 바이어스 저장 모듈 175)는 PA 바이어스를 바이어스 LUT(예: 바이어스 룩업 테이블 135 또는 바이어스 LUT 315)에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송신 전력 수준을 이용하여 PA 바이어스 값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0838CH는 송신 신호의 누설(leakage) 현상이 심하여, 인접 채널의 수신 감도가 저하될 수 있다. 송신 전력 수준을 이용하여 PA 바이어스를 조절하는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 9에 도시된 프로세스에서 BER에 대응되는 동작이 송신 전력 수준으로 대체되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 910에서 전자 장치는 단말이 온라인 모드로 진입하면 송신 전력 수준을 체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송신 전력이 지정된 범위(예: 15~25dBm)에 있는 경우(동작 920에 대응), 현재의 PA 바이어스 값(예: 동작 860에서 유지되고 있는 바이어스 값)을 상향 조정하여(동작 930에 대응) 바이어스 룩업 테이블에 저장할 수 있다(동작 950에 대응). 만약 지정된 범위 밖에 송신 전력이 위치하는 경우, 전자 장치는 이전에 설정한 PA 바이어스 값(예: 동작 860에서 유지되고 있는 바이어스 값)을 그대로(동작 940에 대응) 바이어스 룩업 테이블에 저장할 수 있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바이어스 룩업 테이블로부터 PA 바이어스를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10를 참조하면, 동작 1010에서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 101, 전자 장치 300)는 지정된 기능을 수행 또는 운영하거나, 대기상태에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하거나, 다른 사용자 단말과 통화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전자 장치는 기지국과 연결 상태를 유지하면서 슬립(sleep) 상태에 있을 수도 있다.
동작 1020에서, 전자 장치는 현재 신호를 송신하는 채널과 송신 전력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신호를 송신하는 채널은 WCDMA환경의 B1에서 10838CH 채널일 수 있다. 또한, 송신 전력은 24dBm일 수 있다.
동작 1030에서, 전자 장치는 PA 바이어스 LUT(예: 바이어스 룩업 테이블 135 또는 바이어스 LUT 315)로부터 상기 채널과 송신 전력에 기반하여 전력 증폭기로 제공될 PA 바이어스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PA 바이어스 LUT는 도 8 및 도 9의 방법으로 각각의 채널 및 송신 전력에 대하여BER, FER과 같은 채널 퀄리티나 송신 전력 수준에 기반하여 결정된 PA 바이어스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 1040에서 전자 장치는 상기 PA 바이어스에 기반하여 송신 전력을 증폭하여 신호를 네트워크로 송신할 수 있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낸다.
상기 전자 장치 1100은,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 101의 전체 또는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도 11를 참조하면, 상기 전자 장치 1100은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application processor) 1110, 통신 모듈 1120,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카드 1124, 메모리 1130, 센서 모듈 1140, 입력 장치 1150, 디스플레이 1160, 인터페이스 1170, 오디오 모듈 1180, 카메라 모듈 1191, 전력 관리 모듈 1195, 배터리 1196, 인디케이터 1197, 또는 모터 1198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P 1110(예: 프로세서 120)은 운영체제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상기 AP 1110에 연결된 다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고,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포함한 각종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AP 1110은, 예를 들면, SoC(system on chip)로 구현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AP 1110은 GPU(graphic processing unit, 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 1120(예: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160)은 상기 전자 장치 1100(예: 전자 장치 101)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다른 전자 장치들(예: 전자 장치 104, 서버 106) 간의 통신에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 모듈 1120은 셀룰러 모듈 1121, Wi-Fi 모듈 1123, BT 모듈 1125, GPS 모듈 1127, NFC 모듈 1128 및 RF(radio frequency) 모듈 112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셀룰러 모듈 1121은 통신망(예: LTE, LTE-A, CDMA, WCDMA, UMTS, WiBro, 또는 GSM 등)을 통해서 음성 통화, 영상 통화, 문자 서비스 또는 인터넷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셀룰러 모듈 1121은, 예를 들면, 가입자 식별 모듈(예: SIM 카드 1124)을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의 구별 및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셀룰러 모듈 1121은 상기 AP 1110이 제공할 수 있는 기능 중 적어도 일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셀룰러 모듈 1121은 멀티 미디어 제어 기능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셀룰러 모듈 1121은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P: communication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셀룰러 모듈 1121은, 예를 들면, SoC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1에서는 상기 셀룰러 모듈 1121(예: CP), 상기 메모리 1130, 또는 상기 전력관리 모듈 1195 등의 구성요소들이 상기 AP 1110와 별개의 구성요소로 도시되어 있으나,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AP 1110이 전술한 구성요소들의 적어도 일부(예: 셀룰러 모듈 1121)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AP 1110 또는 상기 셀룰러 모듈 1121(예: CP)은 각각에 연결된 비 휘발성 메모리 또는 다른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로드(load)하여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AP 1110 또는 상기 셀룰러 모듈 1121은 다른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하거나 다른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를 비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store)할 수 있다.
상기 Wi-Fi 모듈 1123, 상기 BT 모듈 1125, 상기 GPS 모듈 1127 또는 상기 NFC 모듈 1128 각각은, 예를 들면, 해당하는 모듈을 통해서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에서는 셀룰러 모듈 1121, Wi-Fi 모듈 1123, BT 모듈 1125, GPS 모듈 1127 또는 NFC 모듈 1128이 각각 별개의 블록으로 도시되었으나,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 1121, Wi-Fi 모듈 1123, BT 모듈 1125, GPS 모듈 1127 또는 NFC 모듈 1128 중 적어도 일부(예: 두 개 이상)는 하나의 통합 칩(integrated chip, IC) 또는 IC 패키지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셀룰러 모듈 1121, Wi-Fi 모듈 1123, BT 모듈 1125, GPS 모듈 1127 또는 NFC 모듈 1128 각각에 대응하는 프로세서들 중 적어도 일부(예: 셀룰러 모듈 1121에 대응하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 및 Wi-Fi 모듈 1123에 대응하는 Wi-Fi 프로세서)는 하나의 SoC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RF 모듈 1129는 데이터의 송수신, 예를 들면, RF 신호의 송수신을 할 수 있다. 상기 RF 모듈 1129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예를 들면, 트랜시버(transceiver), PAM(power amp module), 주파수 필터(frequency filter) 또는 LNA(low noise amplifi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RF 모듈 1129는 무선 통신에서 자유 공간상의 전자파를 송수신하기 위한 부품, 예를 들면, 도체 또는 도선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1에서는 셀룰러 모듈 1121, Wi-Fi 모듈 1123, BT 모듈 1125, GPS 모듈 1127 및 NFC 모듈 1128이 하나의 RF 모듈 1129을 서로 공유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 1121, Wi-Fi 모듈 1123, BT 모듈 1125, GPS 모듈 1127 또는 NFC 모듈 1128 중 적어도 하나는 별개의 RF 모듈을 통하여 RF 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SIM 카드 1124는 가입자 식별 모듈을 포함하는 카드일 수 있으며, 전자 장치의 특정 위치에 형성된 슬롯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SIM 카드 1124는 고유한 식별 정보(예: ICCID(integrated circuit card identifier)) 또는 가입자 정보(예: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1130(예: 메모리 130)은 내장 메모리 1132 또는 외장 메모리 11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장 메모리 1132는, 예를 들면,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면, DRAM(dynamic RAM), SRAM(static RAM), SDRAM(synchronous dynamic RAM) 등) 또는 비 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 예를 들면,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mask ROM, flash ROM, NAND flash memory, NOR flash memory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내장 메모리 1132는 SSD(solid state drive) 일 수 있다. 상기 외장 메모리 1134는 플래시 드라이브(flash drive), 예를 들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micro secure digital), Mini-SD(mini secure digital), xD(extreme digital)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장 메모리 1134는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전자 장치 1100과 기능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 1100은 하드 드라이브와 같은 저장 장치(또는 저장 매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모듈 1140은 물리 량을 계측하거나 전자 장치 1100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여, 계측 또는 감지된 정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센서 모듈 1140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1140A, 자이로 센서 1140B, 기압 센서 1140C, 마그네틱 센서 1140D, 가속도 센서 1140E, 그립 센서 1140F, 근접 센서 1140G, color 센서 1140H(예: RGB(red, green, blue) 센서), 생체 센서 1140I, 온/습도 센서 1140J, 조도 센서 1140K 또는 UV(ultra violet) 센서 1140M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상기 센서 모듈 1140은, 예를 들면, 후각 센서(E-nose sensor), EMG 센서(electromyography sensor), EEG 센서(electroencephalogram sensor), ECG 센서(electrocardiogram sensor), PPG 센서(photoplethysmography sensor), IR(infra-red)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지문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모듈 1140은 그 안에 속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장치 1150은 터치 패널(touch panel) 1152, (디지털) 펜 센서(pen sensor) 1154, 키(key) 1156 또는 초음파(ultrasonic) 입력 장치 115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 1152는, 예를 들면, 정전식, 감압식, 적외선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터치 입력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패널 1152는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정전식의 경우, 물리적 접촉 또는 근접 인식이 가능하다. 상기 터치 패널 1152는 택타일 레이어(tactile layer)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터치 패널 1152는 사용자에게 촉각 반응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펜 센서 1154는, 예를 들면,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받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한 방법 또는 별도의 인식용 시트(sheet)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키 1156는, 예를 들면, 물리적인 버튼, 광학식 키 또는 키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초음파(ultrasonic) 입력 장치 1158은 초음파 신호를 발생하는 입력 도구를 통해, 전자 장치 1100에서 마이크(예: 마이크 1188)로 음파를 감지하여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로서, 무선 인식이 가능하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 1100은 상기 통신 모듈 1120을 이용하여 이와 연결된 외부 장치(예: 컴퓨터 또는 서버)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1160(예: 상기 디스플레이 150)은 패널 1162, 홀로그램 장치 1164 또는 프로젝터 116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널 1162는, 예를 들면, LCD(liquid-crystal display) 또는 AM-OLED(active-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등일 수 있다. 상기 패널 1162는, 예를 들면, 유연하게(flexible), 투명하게(transparent) 또는 착용할 수 있게(wearable)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패널 1162는 상기 터치 패널 1152과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홀로그램 장치 1164는 빛의 간섭을 이용하여 입체 영상을 허공에 보여줄 수 있다. 상기 프로젝터 1166는 스크린에 빛을 투사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린은, 예를 들면, 상기 전자 장치 1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1160은 상기 패널 1162, 상기 홀로그램 장치 1164, 또는 프로젝터 1166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1170은, 예를 들면,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1172, USB(universal serial bus) 1174, 광 인터페이스(optical interface) 1176 또는 D-sub(D-subminiature) 117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1170은,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통신 인터페이스 160에 포함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상기 인터페이스 1170은, 예를 들면,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인터페이스, SD(secure digital) 카드/MMC(multi-media card) 인터페이스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규격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모듈 1180은 소리(sound)와 전기신호를 쌍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상기 오디오 모듈 1180의 적어도 일부 구성요소는, 예를 들면, 도 1 에 도시된 입출력 인터페이스 140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모듈 1180은, 예를 들면, 스피커 1182, 리시버 1184, 이어폰 1186 또는 마이크 1188 등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소리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 1191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장치로서,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이미지 센서(예: 전면 센서 또는 후면 센서), 렌즈(미도시), ISP(image signal processor, 미도시) 또는 플래시 (flash, 미도시)(예: LED 또는 xenon lamp)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 관리 모듈 1195은 상기 전자 장치 1100의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전력 관리 모듈 1195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충전 IC(charger integrated circuit) 또는 배터리 또는 연료 게이지(battery or fuel gaug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MIC는, 예를 들면, 집적회로 또는 SoC 반도체 내에 탑재될 수 있다. 충전 방식은 유선과 무선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충전 IC는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으며, 충전기로부터의 과전압 또는 과전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충전 IC는 유선 충전 방식 또는 무선 충전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충전 IC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충전 방식으로는, 예를 들면, 자기공명 방식, 자기유도 방식 또는 전자기파 방식 등이 있으며, 무선 충전을 위한 부가적인 회로, 예를 들면, 코일 루프, 공진 회로 또는 정류기 등의 회로가 추가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게이지는, 예를 들면, 상기 배터리 1196의 잔량, 충전 중 전압, 전류 또는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1196는 전기를 저장 또는 생성할 수 있고, 그 저장 또는 생성된 전기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 11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1196는, 예를 들면, 충전식 전지(rechargeable battery) 또는 태양 전지(solar battery)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 1197는 상기 전자 장치 1100 혹은 그 일부(예: 상기 AP 1110)의 특정 상태, 예를 들면, 부팅 상태, 메시지 상태 또는 충전 상태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모터 1198은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전자 장치 1100은 모바일 TV 지원을 위한 처리 장치(예: GPU)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TV지원을 위한 처리 장치는, 예를 들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또는 미디어 플로우(media flow) 등의 규격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술한 구성요소들 각각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품(component)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 요소의 명칭은 전자 장치의 종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 요소들 중 일부가 결합되어 하나의 개체(entity)로 구성됨으로써, 결합되기 이전의 해당 구성 요소들의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수신 신호의 채널 퀄리티(channel quality)를 측정하는 채널 퀄리티 측정 모듈; 상기 측정된 채널 퀄리티에 기반하여 바이어스 오프셋(bias offset)을 결정하는 바이어스 오프셋 결정 모듈; 지정된 바이어스 값에 상기 결정된 바이어스 오프셋을 적용하여 바이어스를 수정하는 바이어스 오프셋 적용 모듈; 및 상기 수정된 바이어스에 따라 송신 전력을 증폭하는 전력 증폭기(power amplifier)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채널 퀄리티 측정 모듈은 상기 송신 전력의 증폭 이후에 상기 채널 퀄리티를 재-측정하고, 상기 바이어스 오프셋 적용 모듈은 상기 재-측정된 채널 퀄리티에 기반하여 상기 수정된 바이어스에 대해 상기 결정된 바이어스 오프셋을 적용하여 재-수정된 바이어스를 결정하고, 상기 전력 증폭기는 상기 재-수정된 바이어스에 따라 송신 전력을 증폭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채널 퀄리티 측정 모듈은 채널 핸드오버(channel handover)가 발생하면 상기 채널 퀄리티를 측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수신 신호는 복수의 채널을 통해 수신되고, 상기 바이어스 오프셋 결정 모듈은 상기 복수의 채널을 주파수를 기준으로 분류하고, 각각의 상기 분류된 채널에 적용되는 바이어스 오프셋을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결정된 바이어스 오프셋 중 적어도 일부는 0의 값을 갖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바이어스 오프셋 결정 모듈은 상기 복수의 채널을 주파수에 따라 고주파 그룹, 중간 주파수 그룹, 및 저주파 그룹으로 분류하고, 상기 채널 퀄리티가 지정된 수준 이상인 경우 상기 고주파 그룹과 상기 저주파 그룹의 상기 1차 바이어스를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채널 퀄리티 측정 모듈은 상기 수신 신호의 BLER(block error rate)을 측정하고, 상기 바이어스 오프셋 결정 모듈은 상기 BLER이 지정된 비율 이상인 경우 양(positive)의 값을 갖는 제1 바이어스 오프셋을, 미만인 경우 음(negative)의 값을 갖는 제2 바이어스 오프셋을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채널 퀄리티 측정 모듈은 송신 신호의 송신 전력을 측정하고, 상기 바이어스 오프셋 결정 모듈은 상기 송신 전력이 지정된 값 이상인 경우 양(positive)의 바이어스 오프셋을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지정된 값은 송신 신호에 의해 상기 수신 신호의 수신 감도가 저하되는 현상이 나타나는 전력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신 신호는 10838CH를 통해 수신되고, 상기 지정된 값은 15dBm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전자 장치는 집성 캐리어(예: LTE-A(LTE-advanced)의 CA(carrier aggregation))를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2개 이상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1개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속의 통신 속도를 지원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채널 퀄리티는 BLER, BER, FER, 송신 전력 레벨, RSRP, RB 수, RB 위치 중 적어도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수신 신호의 채널 퀄리티(channel quality)를 측정하는 통신 모듈; 상기 측정된 채널 퀄리티에 기반하여 바이어스 오프셋(bias offset)을 결정하는 바이어스 오프셋 결정 모듈; 지정된 바이어스 값에 상기 결정된 바이어스 오프셋을 적용하는 바이어스 오프셋 적용 모듈; 및 상기 바이어스 오프셋이 적용된 바이어스 값을 바이어스 룩업 테이블(look-up table)에 저장하는 바이어스 저장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통신 모듈은 채널 및 송신 전력에 기반하여 상기 바이어스 룩업 테이블로부터 획득된 바이어스 값으로 전력 증폭기를 구동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지정된 바이어스 값은, 적어도 임의의 채널에서 측정된 ACLR과 기준 마진의 비교에 기반하여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채널 퀄리티는 BER 또는 FER이고, 상기 바이어스 오프셋 결정 모듈은 상기 측정된 BER이 기준 BER보다 높으면 양의 값을 갖는 바이어스 오프셋을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채널 퀄리티는 송신 전력 레벨이고, 상기 바이어스 오프셋 결정 모듈은 상기 송신 전력 레벨이 지정된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양의 값을 갖는 바이어스 오프셋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사용된 용어 "모듈"은, 예를 들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firmware)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단위(unit)를 의미할 수 있다. "모듈"은 예를 들어, 유닛(unit), 로직(logic), 논리 블록(logical block), 부품(component) 또는 회로(circuit) 등의 용어와 바꾸어 사용(interchangeably use)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모듈"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도 있다. "모듈"은 기계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모듈"은, 알려졌거나 앞으로 개발될, 어떤 동작들을 수행하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칩, FPGAs(field-programmable gate arrays) 또는 프로그램 가능 논리 장치(programmable-logic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장치(예: 모듈들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예컨대, 프로그래밍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예: 상기 프로세서 1110)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예를 들면, 상기 메모리 1130이 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래밍 모듈의 적어도 일부는, 예를 들면, 상기 프로세서 1010에 의해 구현(implement)(예: 실행)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래밍 모듈의 적어도 일부는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예를 들면, 모듈, 프로그램, 루틴, 명령어 세트(sets of instructions) 또는 프로세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마그네틱 매체(magnetic media)와,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c)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와,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와, 그리고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예: 프로그래밍 모듈)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모듈 또는 프로그래밍 모듈은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모듈, 프로그래밍 모듈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heuristic)한 방법으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동작은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의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9)

  1. 제1 주파수 채널 및 기설정된 송신 전력 레벨에 대응하는 제1 바이어스 값을 포함하는 기정의된 바이어스 값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안테나를 통하여 지정된 대역의 신호를 수신하도록 설정된 수신기로서, 상기 지정된 대역은 상기 제1 주파수 채널 및 제2 주파수 채널을 포함하는 복수의 주파수 채널들을 포함함;
    상기 수신기를 이용하여 수신된 상기 제2 주파수 채널의 수신 신호를 이용하여 채널 퀄리티(channel quality)를 측정하는 채널 퀄리티 측정 모듈;
    상기 측정된 상기 제2 주파수 채널의 채널 퀄리티에 기반하여 바이어스 오프셋(bias offset)을 결정하는 바이어스 오프셋 결정 모듈;
    상기 제1 바이어스 값에 상기 결정된 바이어스 오프셋을 적용하여 상기 제1 바이어스 값을 수정하는 바이어스 오프셋 적용 모듈;
    상기 수정된 제1 바이어스 값에 따라 상기 제1 주파수 채널을 통하여 송신될 송신 신호의 송신 전력을 증폭하는 전력 증폭기(power amplifier); 및
    상기 제1 주파수 채널을 통하여 상기 기정의된 송신 전력 레벨로 상기 송신 신호를 송신하도록 설정된 송신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채널 퀄리티 측정 모듈은 상기 송신 전력의 증폭 이후에 상기 채널 퀄리티를 재-측정하고,
    상기 바이어스 오프셋 결정 모듈은 상기 재-측정된 채널 퀄리티에 기반하여 상기 바이어스 오프셋을 재결정하고,
    상기 바이어스 오프셋 적용 모듈은 상기 수정된 제1 바이어스 값에 대해 상기 재결정된 바이어스 오프셋을 적용하여 상기 제1 바이어스 값을 재-수정하고,
    상기 전력 증폭기는 상기 재-수정된 제1 바이어스 값에 따라 상기 송신 전력을 증폭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채널 퀄리티 측정 모듈은 채널 핸드오버(channel handover)가 발생하면 상기 채널 퀄리티를 측정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신 신호는 복수의 채널을 통해 수신되고,
    상기 바이어스 오프셋 결정 모듈은 상기 복수의 채널을 주파수를 기준으로 분류하고, 상기 복수의 채널에 적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바이어스 오프셋을 결정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채널에 적용되는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바이어스 오프셋 중 적어도 일부는 0의 값을 갖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채널 퀄리티 측정 모듈은 상기 수신 신호의 BLER(block error rate)을 측정하고,
    상기 바이어스 오프셋 결정 모듈은 상기 BLER이 지정된 비율 이상인 경우 양(positive)의 값을 갖는 제1 바이어스 오프셋을, 상기 BLER이 상기 지정된 비율 미만인 경우 음(negative)의 값을 갖는 제2 바이어스 오프셋을 결정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채널 퀄리티 측정 모듈은 송신 신호의 송신 전력을 측정하고,
    상기 바이어스 오프셋 결정 모듈은 상기 송신 전력이 지정된 값 이상인 경우 양(positive)의 바이어스 오프셋을 결정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지정된 값은 상기 송신 신호의 누설(leakage) 현상에 의해 상기 수신 신호의 수신 감도가 일정 수준 이상 저하되는 현상이 나타나는 전력 값으로 설정되는 전자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집성 캐리어(carrier aggregation)를 지원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채널 퀄리티는 BLER, BER(bit error rate), FER(frame error rate), 송신 전력 레벨(Tx power level),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Ec/Io(the energy per chip over the interference noise) 또는 RSCP(received signal code power) 중 적어도 하나로 설정되는 전자 장치.
  11. 제1 주파수 채널 및 기설정된 송신 전력 레벨에 대응하는 제1 바이어스 값을 포함하는 기정의된 바이어스 값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안테나를 통하여 지정된 대역의 신호를 수신하도록 설정된 수신기로서, 상기 지정된 대역은 상기 제1 주파수 채널 및 제2 주파수 채널을 포함하는 복수의 주파수 채널들을 포함함;
    상기 수신기를 이용하여 수신된 상기 제2 주파수 채널의 수신 신호를 이용하여 채널 퀄리티(channel quality)를 측정하는 통신 모듈;
    상기 측정된 상기 제2 주파수 채널의 채널 퀄리티에 기반하여 바이어스 오프셋(bias offset)을 결정하는 바이어스 오프셋 결정 모듈;
    상기 제1 바이어스 값에 상기 결정된 바이어스 오프셋을 적용하는 바이어스 오프셋 적용 모듈; 및
    상기 바이어스 오프셋이 적용된 상기 제1 바이어스 값을 바이어스 룩업 테이블(look-up table)에 저장하는 바이어스 저장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채널 및 송신 전력에 기반하여 상기 바이어스 룩업 테이블로부터 획득된 바이어스 값으로 전력 증폭기를 구동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 바이어스 값이 적어도 상기 제2 주파수 채널에서 측정된 ACLR(adjacent channel leakage ratio)과 기준 마진의 비교에 기반하여 미리 저장되어 있는, 전자 장치.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채널 퀄리티는 BER(bit error rate) 또는 FER(frame error rate)이고,
    상기 바이어스 오프셋 결정 모듈은 상기 측정된 BER이 기준 BER보다 높으면 양의 값을 갖는 바이어스 오프셋을 결정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채널 퀄리티는 송신 전력 레벨이고,
    상기 바이어스 오프셋 결정 모듈은 상기 송신 전력 레벨이 지정된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양의 값을 갖는 바이어스 오프셋을 결정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16. 전자 장치의 바이어스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제1 주파수 채널 및 기정의된 송신 전력 레벨에 대응하는 제1 바이어스 값을 포함하는 기정의된 바이어스 값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함,
    안테나를 통하여 제2 주파수 채널의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수신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주파수 채널의 채널 퀄리티를 측정하는 동작;
    상기 측정된 채널 퀄리티에 기반하여 바이어스 오프셋을 결정하는 동작;
    상기 제1 바이어스 값에 상기 결정된 바이어스 오프셋을 적용하는 동작; 및
    상기 바이어스 오프셋이 적용된 바이어스 값에 따라 상기 제1 주파수 채널을 통하여 송신될 송신 신호의 송신 전력을 증폭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바이어스 제어 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핸드오버가 발생하면 수행되도록 설정되는 바이어스 제어 방법.
  18.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채널 퀄리티를 측정하는 동작은, 지정된 범위의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에서 수행되는 바이어스 제어 방법.
  19.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1 바이어스 값에 상기 결정된 바이어스 오프셋을 적용하는 동작은, 상기 측정된 채널 퀄리티에 대응하는 채널 및 송신 전력에 대한 바이어스에 대해서 적용되도록 설정되는 바이어스 제어 방법.
KR1020140054515A 2014-05-08 2014-05-08 Pa 바이어스를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1023107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4515A KR102310798B1 (ko) 2014-05-08 2014-05-08 Pa 바이어스를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
US14/707,602 US9629108B2 (en) 2014-05-08 2015-05-08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amplifier bia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4515A KR102310798B1 (ko) 2014-05-08 2014-05-08 Pa 바이어스를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7949A KR20150127949A (ko) 2015-11-18
KR102310798B1 true KR102310798B1 (ko) 2021-10-12

Family

ID=54368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4515A KR102310798B1 (ko) 2014-05-08 2014-05-08 Pa 바이어스를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629108B2 (ko)
KR (1) KR1023107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97145A (ja) * 2015-04-02 2016-11-24 株式会社東芝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6899550B2 (ja) * 2017-02-16 2021-07-0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基地局及び通信方法
CN107018561A (zh) * 2017-04-24 2017-08-04 深圳天珑无线科技有限公司 一种内环功率控制优化方法及装置
CA3070321C (en) * 2017-07-31 2020-12-29 Systems And Software Enterprises, Llc Wired and wireless audio output device for in-vehicle entertainment system
CN108983934B (zh) * 2018-06-29 2021-11-16 联想(北京)有限公司 电子设备以及用于电子设备的控制方法
US11509407B2 (en) 2018-08-10 2022-11-22 Apple Inc. Techniques in new radio (NR) radio resource management (RRM) performance accuracy measurements
KR102382301B1 (ko) * 2020-06-16 2022-04-01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Aclr 불량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CN112152734B (zh) * 2020-09-08 2022-08-0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装置、通信终端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2152648B (zh) * 2020-09-08 2022-08-1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射频电路、功率调节方法和通信终端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21687A1 (en) 2000-06-14 2002-02-21 Kazuya Toki Time-division multiplexing radio system
US20100291975A1 (en) 2009-05-13 2010-11-18 Dimpflmaier Ronald W Electronic device with data-rate-dependent power amplifier bias
US20120314606A1 (en) 2010-02-25 2012-12-13 Sony Corporation Method for controlling handover, user equipment, base station, and radio communic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7619B1 (ko) * 1998-06-23 2003-01-15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단말기의 출력전력 제어장치 및 방법
WO2007104341A1 (en) * 2006-03-15 2007-09-20 Freescale Semiconducto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ed data rate adaptation and lower power controlin a wlan semiconductor chip
US8611941B2 (en) * 2008-08-18 2013-12-17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power control command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537936B2 (en) * 2010-05-13 2013-09-17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Channel quality estimation from raw bit error rate
US20130195219A1 (en) 2012-01-27 2013-08-01 Research In Motion Limited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with selective power amplifier control and related method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21687A1 (en) 2000-06-14 2002-02-21 Kazuya Toki Time-division multiplexing radio system
US20100291975A1 (en) 2009-05-13 2010-11-18 Dimpflmaier Ronald W Electronic device with data-rate-dependent power amplifier bias
US20120314606A1 (en) 2010-02-25 2012-12-13 Sony Corporation Method for controlling handover, user equipment, base station, and radio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7949A (ko) 2015-11-18
US20150326258A1 (en) 2015-11-12
US9629108B2 (en) 2017-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0798B1 (ko) Pa 바이어스를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
US1190307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reception antenna set of user terminal
US9807777B2 (en) Antenna switching method
US9930619B2 (en) Method for selecting communicat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2194839B1 (ko) 송신 전력 크기 조절 방법 및 전자 장치
KR102545601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7528625B (zh) 用于控制天线的方法和使用天线的电子设备
KR20160145449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안테나 제어 방법
EP3098973B1 (en) Method for cancelling noise of audio signal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998653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mmunication
US20160105854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radiation power
KR20150145655A (ko) 통신 방법, 전자 장치 및 저장 매체
KR20180013099A (ko) 무선 통신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50143101A (ko) 전자장치의 안테나 임피던스 매칭을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US9615334B2 (en) Communication power operat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US10483932B2 (en) Method for amplifying audio signal based on its amplitude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KR102324384B1 (ko) 임피던스 튜닝을 이용한 안테나의 방사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60149886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전력증폭기 제어 방법
US2024014757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reception antenna set of user terminal
US10368311B2 (en) Communication method for determining channel according to current consumption and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the same
KR20150128069A (ko) 데이터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전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