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0620B1 - 접이식 보면대 - Google Patents

접이식 보면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0620B1
KR102310620B1 KR1020200037195A KR20200037195A KR102310620B1 KR 102310620 B1 KR102310620 B1 KR 102310620B1 KR 1020200037195 A KR1020200037195 A KR 1020200037195A KR 20200037195 A KR20200037195 A KR 20200037195A KR 102310620 B1 KR102310620 B1 KR 1023106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extension
coupled
rotating
extension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7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수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37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06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0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06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7/00Othe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e.g. conductors' batons or separate holders for resin or str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이식 보면대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중공부를 지니는 원통 형상의 받침부, 받침부의 하부와 결합되는 연장부 및 연장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받침부는 한 쌍의 반 원통으로 구비되어, 연장부의 상부에서 수직되도록 펼쳐지거나 연장부와 일직선상으로 연결되도록 내측면이 상호 맞닿도록 조립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이로 인해, 받침부, 연장부 및 지지부가 조립될 경우, 3단의 봉 형상으로 조립되어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접이식 보면대 {FOLDING MUSIC STAND}
본 발명은 접이식 보면대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중공부를 지니는 원통 형상의 받침부, 받침부의 하부와 결합되는 연장부 및 연장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받침부는 한 쌍의 반 원통으로 구비되어, 연장부의 상부에서 수직되도록 펼쳐지거나 연장부와 일직선상으로 연결되도록 내측면이 상호 맞닿도록 조립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이로 인해, 받침부, 연장부 및 지지부가 조립될 경우, 3단의 봉 형상으로 조립되어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보면대는 앉은 상태 또는 서 있는 상태에서 악기를 연주하거나 노래를 부를 때 연주나 연습과정에서 악보를 편히 볼 수 있도록 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물품이다. 이러한 보면대는 연주나 인쇄물 거치용으로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는 이점으로 인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보면대는 일체화된 판상으로 제작되어 악보 또는 인쇄물을 보기 적당한 경사각도를 획일적으로 유지하는 구조이므로 펴고 접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전체적으로 부피 및 무게가 기대 이상으로 커짐으로서 휴대나 보관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접이식 또는 분리식 보면대가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분리식 보면대의 경우, 나사산 또는 볼트를 이용해 체결 또는 분리가 가능한 구조로, 별도의 결합 부품이 필요하고, 완전히 분리되는 구조로, 부품의 이탈 가능성이 커져 분실의 우려가 존재하는 문제가 있다.
반면에, 접이식 보면대의 경우, 다수의 관절로 연결된 링크 형상으로 조립을 위해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링크 또는 슬라이딩 단추 체결로 부품이 증가되어 무게가 오히려 무거워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휴대 및 보관을 위한 조립 또는 사용하기 위한 조립이 간편하고, 무게 및 부피가 절감된 접이식 보면대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KR 10-1695785 B1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접이식 보면대에 관한 것으로, 중공부를 지니는 원통 형상의 받침부, 받침부의 하부와 결합되는 연장부 및 연장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받침부는 한 쌍의 반 원통으로 구비되어, 연장부의 상부에서 수직되도록 펼쳐지거나 연장부와 일직선상으로 연결되도록 내측면이 상호 맞닿도록 조립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보면대는 중공부를 지니는 원통 형상의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하부와 결합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는 한 쌍의 반 원통을 구비하고, 상기 연장부의 상부에서 수직되도록 펼쳐지거나 상기 연장부와 일직선상으로 연결되도록 내측면이 상호 맞닿도록 조립이 가능함에 따라 상기 받침부, 상기 연장부 및 상기 지지부는 3단의 봉 형상으로 조립되어 휴대 및 보관이 용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받침부는, 소정의 두께를 지니는 원판 형상의 회전부; 상기 회전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한 쌍의 악보대부; 및 상기 회전부의 일 지점에 결합되는 거치부;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악보대부는 중공부를 지니되, 합치될 경우, 원통 형상을 이루고, 상기 회전부를 기준으로 펼쳐질 경우, 상기 회전부의 상면과 연장되는 평면이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연장부는, 중공부를 지니는 원통 형상의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원통 형상의 제1 연장부; 상기 제1 연장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원통 형상의 제2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원통 형상의 제3 연장부;를 구비하되,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기 제1 연장부, 상기 제2 연장부 및 제3 연장부 순으로 수직 방향으로 연장시켜 상기 받침부의 높이 조절이 가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제3 연장부의 상부에서 소정의 직경을 지니는 원통 형상의 연결부;를 더 구비하고,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회전부의 하면에서 소정의 간격이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는 각도 조절부가 구비되되, 상기 연결부와 상기 각도 조절부는 힌지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는, 상기 본체부의 하부와 결합되는 원통 형상의 지지 헤드부; 및 상기 지지 헤드부의 외측면에서 복수 개로 결합되는 다리부;로 구비되되, 상기 다리부는, 상기 지지 헤드부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펼침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다리부는 상기 지지 헤드부의 외측면을 따라 소정의 간격이 이격되어 결합되는 복수 개의 회전판을 구비하되, 상기 회전판은 상기 지지 헤드부와 핀 결합되고, 상기 지지 헤드부의 외측면으로부터 소정의 경사를 지니도록 돌출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다리부는, 복수 개의 상기 회전판의 단부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레그;를 더 구비하되, 상기 레그는 조립될 경우,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 헤드부의 중심축과 동일한 축을 지니고, 상기 지지 헤드부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펼쳐질 경우, 상기 레그의 일지점이 지면과 맞닿아 상기 받침부 및 상기 연장부를 지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레그의 하부에는 자석이 내장된다.
본 발명의 접이식 보면대에 의하면 좌 거치판 및 우 거치판의 틸팅 구조로, 회전 반경의 범위를 선택할 수 있음으로써, 악보 또는 인쇄물이 평면을 유지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악보 또는 인쇄물을 안정적으로 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악보대부의 내부에 중공부를 구비하여 거치부의 수용이 가능해짐에 따라, 미 사용 시의 거치부를 악보대부의 내부로 보관하여 먼지 등이 쌓이는 것과 외부의 공기중에 노출되어 부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관리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악보대부의 미 사용시에는 한 쌍의 악보대부가 상호 맞닿아 원통 형상을 이룸으로써, 받침부를 사용자의 손으로 잡고 휴대하는데 있어서, 그립감이 향상되고, 보관이 용이한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레그가 조립될 경우에는 지지부가 연장부 및 지지 헤드부와 동일한 축을 지니는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고, 레그가 펼쳐질 경우에는 지지 헤드부를 중심으로 방사상 형상으로 펼쳐지는 구조의 간단한 조립 방법으로 사용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홈은 펼침유지 평면에서 소정의 간격이 이격되는 지점에서 레그의 내부의 일부가 절삭되도록 구비되어 무게가 절감될 수 있고, 재료 또한 절감되어 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접이식 보면대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접이식 보면대의 받침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접이식 보면대의 받침부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접이식 보면대의 받침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종래의 접이식 보면대의 각도조절을 위한 회전되는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접이식 보면대의 각도 조절부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접이식 보면대의 길이 방향 기준으로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접이식 보면대의 사용을 위한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접이식 보면대의 보관 또는 휴대를 위한 접힌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접이식 보면대의 지지부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접이식 보면대의 레그의 저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길이 방향"이란, 도 1을 기준으로 x축 방향이며, "폭 방향"이란, 도 1을 기준으로 y축 방향이며, "수직 방향"이란, 도 1을 기준으로 z축 방향이다. 또한, "상부"란, 수직 방향에서 위쪽 방향을 의미하고, "하부"란 수직 방향에서 아래쪽 방향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접이식 보면대는 받침부(100), 연장부(200) 및 지지부(300)를 포함한다.
도 1과 같이, 지지부(300)는 지면에 놓여지도록 펼침이 가능하고, 지지부(300)의 상부에 연장부(200)가 결합된다. 또한, 연장부(200)의 상부에 받침부(100)가 결합되어 악보, 인쇄물 등을 거치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받침부(100)를 설명하도록 한다.
받침부(100)는 회전부(110), 악보대부(120) 및 거치부(130)로 구비된다.
회전부(110)는 소정의 두께를 지니는 판 형상으로, 상부는 거치부(130)가 결합되고, 하부는 연장부(200)가 결합된다. 또한, 회전부(110)의 길이 방향으로의 양단부에는 한 쌍의 악보대부(120)가 결합된다.
한 쌍의 악보대부(120)는 회전부(110)를 기준으로 대칭되어 힌지와 같은 결합수단으로 결합된다.
상세하게는, 한 쌍의 악보대부(120)는 힌지결합으로 회전부(110)를 기준으로 맞닿을 수 있고, 일직선상으로 위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악보대부(120)는 서로 맞닿아 조립되었을 경우, 중공부를 지니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회전부(110)를 기준으로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펼쳐졌을 경우, 회전부(110)를 중심으로 연장되는 반 원통으로 구비된다.
이때, 한 쌍의 악보대부(120)는 내부에 평면(121)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한 쌍의 악보대부(120)가 상호 반대방향으로 펼쳐졌을 경우에 외측면은 반원으로 구비되지만, 내부에 구비되는 평면(121)으로 악보 또는 인쇄물 등이 거치될 경우, 평면(121)에 안착될 수 있다(도 7 참조).
또한, 회전부(110)의 상부의 중심에는 거치부(130)가 결합된다(도 2 참조).
거치부(130)는 기준 거치판(131), 좌 거치판(132) 및 우 거치판(133)으로 구비된다.
기준 거치판(131)은 회전부(110)의 상부에서 일직선상의 수직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좌 거치판(132) 및 우 거치판(133)은 기준 거치판(131)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회전부(110)의 상부에서 결합된다.
또한, 좌 거치판(132) 및 우 거치판(133)은 틸팅 구조로 악보대부(120) 및 기준 거치판(131) 사이에서 회전이 가능하다.
즉, 사용자가 받침부(100)를 정면으로 바라볼 때, 사용자의 왼손과 좌 거치판(132)이 대응되고, 사용자의 오른손과 우 거치판(133)이 대응된다고 할 때, 좌 거치판(132)은 회전부(110)의 0°~90°의 예각으로만 회전이 가능하고, 우 거치판(133)은 회전부(110)의 90°~180의 둔각으로만 회전이 가능하도록 틸팅 결합되게 된다.
따라서, 좌 거치판(132) 및 우 거치판(133)은 기준 거치판(131)을 기준으로 회전 반경이 겹치지 않게 되고, 악보 또는 인쇄물의 중심이 기준 거치판(131)에 놓여진다고 할 때, 좌 거치판(132) 및 우 거치판(133)이 악보 또는 인쇄물의 형상이 변형(일 예로, 악보 또는 인쇄물이 완전히 지지되지 않아 흐물거리는 것)되지 않도록 지지해줄 수 있다.
이에 따라, 좌 거치판(132) 및 우 거치판(133)의 틸팅 구조로, 회전 반경의 범위를 선택할 수 있음으로써, 악보 또는 인쇄물이 평면을 유지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악보 또는 인쇄물을 안정적으로 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기준 거치판(131)의 일측면에 소정의 길이만이 돌출되어 연장되는 돌기(1312)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를 참조하면, 돌기(1312)는 기준 거치판(131)의 중심에 돌출 형성되어, 좌 거치판(132) 및 우 거치판(133)의 회전 반경을 제한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좌 거치판(132)은 기준 거치판(131)의 일측면에서 예각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이는 기준 거치판(131)의 일측면에서 돌출된 돌기(1312)로 인해 좌 거치판(132)은 90°이상의 둔각으로 회전될 수 없게 된다.
마찬가지로, 우 거치판(133)은 기준 거치판(131)의 일측면에서 둔각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이는 기준 거치판(131)의 일측면에서 돌출된 돌기(1312)로 인해 우 거치판(133)은 90°미만의 예각으로 회전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기준 거치판(131)의 중심에서 돌출된 돌기(1312)로 인해 좌 거치판(132) 및 우 거치판(133)의 회전반경이 제한됨에 따라, 거치부(130)의 조작이 간편해지고, 사용자의 편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돌기(1312)로 인해, 안착되는 악보 또는 인쇄물의 지지력이 향상될 수 있다.
상세하게, 도 7을 참조하면, 거치부(130)는 회전부(110)의 상면에서 중심에 결합되어, 측면에서 볼 때, 평면(121)의 중심부에 위치되게 된다.
따라서, 거치부(130)는 평면(121)과 수직하여 악보 또는 인쇄물이 평면(121)과 거치부(130)의 일측면에 맞닿아 안착되게 되는데, 거치부(130)의 양 측면 모두 악보 또는 인쇄물의 거치가 가능할 수 있다.
즉, 길이 방향의 측면에서 바라볼 때, 거치부(130)는 평면(121)의 중심에 위치되어 악보 또는 인쇄물이 거치부(130)의 양측면 모두 안착 가능하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도 4 참조).
또한, 기준 거치판(131)의 돌기(1312)를 기준으로 관통공(1311)이 대칭되어 구비된다.
관통공(1311)은 돌기(1312)를 기준으로 대칭되기 위해, 동일한 형상으로 두 개가 구비되고, 도 2의 확대도와 같이, 기준 거치판(131)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따라서, 기준 거치판(131)에서 타원 형상으로 절삭되는 관통공(1311)으로 재료를 경감할 수 있고, 이동이 잦은 보면대의 무게를 줄여 사용자로 하여금 부담을 줄여주는 편리성이 제공될 수 있다.
이하, 받침부(100)의 조립 구조로 인한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받침부(100)의 보관 또는 휴대 시에는 회전부(110)를 기준으로 악보대부(120)를 맞닿도록 회전시켜 거치부(130)가 악보대부(120)의 내부로 숨기워질 수 있다.
즉, 도 4와 같이, 회전부(110)를 기준으로 한 쌍의 악보대부(120)는 상호간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원통 형상으로 전환되고, 한 쌍의 악보대부(120)가 맞닿음으로써, 내부에 형성되는 중공부에 거치부(130)가 내장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받침부(100)의 사용 시에는 회전부(110)를 기준으로 악보대부(120)를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일직선상으로 펼쳐 거치부(130)의 형상이 드러나 사용되어질 수 있다.
따라서, 악보대부(120)의 내부에 중공부를 구비하여 거치부(130)의 수용이 가능해짐에 따라, 미 사용 시의 거치부(130)를 악보대부(120)의 내부로 보관하여 먼지 등이 쌓이는 것과 외부의 공기중에 노출되어 부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관리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악보대부(120)의 미 사용시에는 한 쌍의 악보대부(120)가 상호 맞닿아 원통 형상을 이룸으로써, 받침부(100)를 사용자의 손으로 잡는 그립감이 향상되고, 보관 또는 이동이 용이한 효과가 발생한다.
게다가, 종래의 접이식 또는 조립식 보면대와는 다르게, 본 발명의 접이식 보면대는, 한 쌍의 악보대부(120)가 회전부(110)를 기준으로 회전하는 동작 만으로, 원통 형상으로 조립이 완료되어 조립의 간편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조립을 위한 작업 시간이 절감될 수 있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연장부(200)를 설명하도록 한다.
연장부(200)는 본체부(210), 제1 연장부(220), 제2 연장부(230), 제3 연장부(240) 및 연결부(250)로 구비된다.
본체부(210)는 원통 형상으로 내부에 중공부가 구비된다.
제1 연장부(220)는 본체부(210) 내부에서 삽입 또는 탈거 가능하고, 원통 형상으로 중공부가 구비된다.
제2 연장부(230)는 제1 연장부(220) 내부에서 삽입 또는 탈거 가능하고, 원통 형상으로 중공부가 구비된다.
제3 연장부(240)는 제2 연장부(230) 내부에서 삽입 또는 탈거 가능하고, 원통 형상으로 중공부가 구비된다.
연결부(250)는 소정의 직경을 지니는 원통형상으로, 하부는 제3 연장부(240)의 상부와 결합되고, 상부는 회전부(110)의 하면과 결합된다.
이와 같이, 제1 연장부(220) 내지 제3 연장부(240)는 본체부(210)의 내부로부터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인출되어 지면으로부터 받침부(100)의 높이를 설정할 수 있음에 따라, 본 발명의 접이식 보면대를 사용하는 모든 사용자의 키에 따라 맞춤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는, 볼 베어링, 나사 또는 스프링 등으로 구비된 가변 폴대와 동일한 구조로, 제1 연장부(220) 내지 제3 연장부(240)는 개별적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이는 공지 기술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때, 연결부(250)의 상부와 결합되는 회전부(110)의 하면에는 각도 조절부(111)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을 참조하면, 회전부(110)의 하면에는 소정의 두께를 지녀 돌출되는 한 쌍의 각도 조절부(111)가 구비된다.
한 쌍의 각도 조절부(111)는 소정의 간격이 이격되어 연결부(250)의 상부에서 힌지 결합된다.
상세한 설명을 위해, 도 4를 참조하도록 한다.
연결부(250)는 양 측면에 결합면(251)이 구비된다.
결합면(251)은 연결부(250)의 원통 형상의 외측면에서 대칭으로 평면을 구비하도록 절삭되는 형태로 구비된다.
이에, 한 쌍의 각도 조절부(111)가 결합면(251)에 핀 결합되고,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각도 조절부(111)는 하부에 경사부(1111)를 구비하여 회전하는 범위를 더 넓게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 5의 종래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예시를 먼저 살펴보도록 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5의 회전하는 구성을 '종래의 각도 조절부(111a)'라고 지칭하고, 종래의 각도 조절부(111a)가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구성을 '종래의 결합면(251a)'이라 지칭하도록 한다.
종래에는 종래의 각도 조절부(111a)는 종래의 결합면(251a)과 핀 결합되어 종래의 결합면(251a)의 평면으로부터 회전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각도 조절부(111a)는 육면체 형상으로 하부가 직각으로 형성되어 회전하는데 있어서, 도 5와 같이, 각도가 θ1 으로 한정되는 문제가 있다.
즉, 종래의 각도 조절부(111a)의 하부는 직각 형상으로 θ1 이상의 각도로 회전이 어렵게 되어 회전 범위가 좁아지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접이식 보면대의 각도 조절부(111)는 경사부(1111)를 구비하여 종래보다 회전 범위를 넓게할 수 있다.
상세하게, 도 6을 참조하면, 각도 조절부(111)는 하부의 일측에서 경사를 지니도록 절삭되는 경사부(1111)가 구비되어 θ2의 각도까지 회전할 수 있게 된다(여기서, θ2 는 θ1 보다 큰 값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각도 조절부(111)는 하부의 일측이 직각이 아닌 경사면으로 형성됨에 따라, 종래보다 회전 반경이 더 넓어지게 되고, 각도 조절부(111)에 의해 회전하는 악보대부(120) 및 거치부(130)의 회전 반경도 넓어져 거치되는 악보 또는 인쇄물의 각도 조절 범위가 더 넓어지므로,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지지부(300)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지지부(300)는 지지 헤드부(310) 및 다리부(320)로 구비된다.
지지 헤드부(310)는 원통 형상으로 본체부(210)의 하부에 결합된다.
또한, 다리부(320)는 지지 헤드부(310)의 외측면에서 방사상으로 펼쳐지는 구조로 결합된다.
상세하게는, 도 10을 참조하여, 다리부(320)는 회전 판(321), 레그(322), 홈(323) 및 펼침유지 평면(324)로 구비된다.
회전 판(321)은 지지 헤드부(310)의 외측면을 따라 소정의 간격이 이격되어 복수 개로 결합된다.
또한, 회전 판(321)은 지지 헤드부(310)와 힌지 결합되어 회전할 수 있는데, 회전 판(321)은 지지 헤드부(310)의 외측면에서 회전으로 인하여 돌출되거나, 지지 헤드부(3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회전 판(321)은 지지 헤드부(310)의 일체형으로, 회전하여 일부 돌출되거나, 지지 헤드부(310)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조립되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회전 판(321)의 단부에 복수 개의 레그(322)가 각각 결합된다.
이때, 복수 개의 레그(322)는 내측면이 상호 맞닿도록 조립될 경우에는 지지 헤드부(310)와 동일한 축을 지니는 원통 형상으로 전환되고, 회전 판(321)을 따라 회전될 경우에는 지지 헤드부(310)의 외측면을 따라 방사상으로 펼쳐지는 구조로 전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레그(322)가 조립될 경우에는 도 9와 같이, 연장부(200) 및 지지 헤드부(310)와 동일한 축을 지니는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고, 레그(322)가 펼쳐질 경우에는 도 10과 같이, 방사상 형상으로 펼쳐질 수 있다.
또한, 도 11과 같이, 하부에서 레그(322)를 바라볼 때, 복수 개의 레그(322)는 상호간에 결합력이 유지되도록 자석(M)이 삽입된다.
이에 따라, 레그(322)가 조립될 경우, 내측면에 삽입되는 자석(M)으로 인해 상호간 끌어당기는 힘으로 조립되어 작은 힘만으로 간편하게 작업 가능하고, 결합력이 향상되어 휴대 또는 보관에 있어서, 조립된 형상으로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복수 개의 레그(322)를 펼침 또는 내측면이 상호 맞닿게 하는 동작만으로 조립이 가능하여 간단한 조립 방법으로 사용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복수 개의 레그(322)의 내측면의 모서리(지지 헤드부(310)와 결합되는 반대 방향) 지점에는 펼침유지 평면(324)이 구비된다.
이는, 평면을 지니도록 절삭되는 형태로, 복수 개의 레그(322)가 펼쳐졌을 경우에 펼침유지 평면(324)이 지면과 맞닿도록 구비되어 연장부(200) 및 받침부(100)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레그(322)의 내측면에서 내부를 향하여 함몰되는 홈(323)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홈(323)은 펼침유지 평면(324)에서 소정의 간격이 이격되는 지점에서 레그(322)의 내부의 일부가 절삭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복수 개의 레그(322)의 내측면이 상호 맞닿아 조립된다면, 홈(323)으로 인해 레그(322)의 내부는 중공부가 구비되게 된다.
이는 본 발명의 접이식 보면대가 사용될 경우에 대부분 사용자에 의해 들려져 이동됨에 따라 레그(322)의 내부에 구비되는 홈(323)으로 인해 무게가 절감될 수 있고, 재료 또한 절감되어 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받침부(100), 연장부(200) 및 지지부(300)는 미 사용시에는 모두 조립되어 도 9와 같이 일직선상의 봉 형상으로 변환될 수 있다.
여기서, 미 사용시를 위한 조립은 한 쌍의 악보대부(120)가 회전부(110)를 기준으로 회전하여 맞닿아 거치부(130)가 한 쌍의 악보대부(120)의 내부에 수용되고, 제1 연장부(220) 내지 제3 연장부(240) 및 연결부(250)가 본체부(210) 내부로 내장되고, 복수 개의 레그(322)가 지지 헤드부(310)와 동일한 축을 지니도록 내측면이 상호 맞닿아 조립되는 경우를 말한다.
따라서, 받침부(100), 연장부(200) 및 지지부(300) 모두가 조립되게 되면, 단순 원통 형상의 샤프트와 같이 전환되어 휴대가 용이하고, 소형화로 인한 보관이 편리한 효과가 발생된다. 또한, 사용자의 휴대에도 특정 지점이 돌출되거나 하는 부분이 없이 곡률을 지니는 원통 형상으로 위험 요소를 제거하여 안전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곡률을 지니는 원통 형상으로 인하여 심미성이 우수하고, 균일한 외측면으로 인해 보관을 위한 적재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조립을 위한 접고 펴는 과정에서 단순한 동작으로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편리성이 향상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 받침부, 110 : 회전부,
111 : 각도 조절부, 120 : 악보대부,
121 : 평면, 130 : 거치부,
131 : 기준 거치판, 1311 : 관통공,
1312 : 돌기, 132 : 좌 거치판,
133 : 우 거치판, 200 : 연장부,
210 : 본체부, 220 : 제1 연장부,
230 : 제2 연장부, 240 : 제3 연장부,
250 : 연결부, 300 : 지지부,
310 : 지지 헤드부, 320 : 다리부,
321 : 회전 판, 322 : 레그,
323 : 홈, 324 : 펼침유지 평면.

Claims (8)

  1. 중공부를 지니는 원통 형상의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하부와 결합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는 한 쌍의 반 원통을 구비하고, 상기 연장부의 상부에서 수직되도록 펼쳐지거나 상기 연장부와 일직선상으로 연결되도록 내측면이 상호 맞닿도록 조립이 가능함에 따라 상기 받침부, 상기 연장부 및 상기 지지부는 3단의 봉 형상으로 조립되어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고,
    상기 받침부는,
    소정의 두께를 지니는 원판 형상의 회전부;
    상기 회전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한 쌍의 악보대부; 및
    상기 회전부의 일 지점에 결합되는 거치부;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악보대부는 중공부를 지니되,
    합치될 경우, 원통 형상을 이루고, 상기 회전부를 기준으로 펼쳐질 경우, 상기 회전부의 상면과 연장되는 평면이 구비되고,
    상기 연장부는,
    중공부를 지니는 원통 형상의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원통 형상의 제1 연장부;
    상기 제1 연장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원통 형상의 제2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원통 형상의 제3 연장부;를 구비하되,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기 제1 연장부, 상기 제2 연장부 및 제3 연장부 순으로 수직 방향으로 연장시켜 상기 받침부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제3 연장부의 상부에서 소정의 직경을 지니는 원통 형상의 연결부;를 더 구비하고,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회전부의 하면에서 소정의 간격이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는 각도 조절부가 구비되되,
    상기 연결부와 상기 각도 조절부는 힌지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본체부의 하부와 결합되는 원통 형상의 지지 헤드부; 및
    상기 지지 헤드부의 외측면에서 복수 개로 결합되는 다리부;로 구비되되,
    상기 다리부는, 상기 지지 헤드부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펼침이 가능하고,
    상기 다리부는 상기 지지 헤드부의 외측면을 따라 소정의 간격이 이격되어 결합되는 복수 개의 회전판을 구비하되,
    상기 회전판은 상기 지지 헤드부와 핀 결합되고,
    상기 지지 헤드부의 외측면으로부터 소정의 경사를 지니도록 돌출 가능한
    접이식 보면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는,
    복수 개의 상기 회전판의 단부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레그;를 더 구비하되,
    상기 레그는 조립될 경우,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 헤드부의 중심축과 동일한 축을 지니고,
    상기 지지 헤드부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펼쳐질 경우, 상기 레그의 일지점이 지면과 맞닿아 상기 받침부 및 상기 연장부를 지지하는 것인
    접이식 보면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의 하부에는 자석이 내장되는
    접이식 보면대.
KR1020200037195A 2020-03-27 2020-03-27 접이식 보면대 KR1023106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195A KR102310620B1 (ko) 2020-03-27 2020-03-27 접이식 보면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195A KR102310620B1 (ko) 2020-03-27 2020-03-27 접이식 보면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0620B1 true KR102310620B1 (ko) 2021-10-07

Family

ID=78609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7195A KR102310620B1 (ko) 2020-03-27 2020-03-27 접이식 보면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062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60812B1 (en) * 1996-11-15 2001-07-17 Trond Auke Arrangement in a stand, especially a music stand
US7223041B1 (en) * 2000-06-23 2007-05-29 Manhasset Specialty Co. Camming coupler
KR101695785B1 (ko) 2015-06-05 2017-01-23 정진원 접이식 보면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60812B1 (en) * 1996-11-15 2001-07-17 Trond Auke Arrangement in a stand, especially a music stand
US7223041B1 (en) * 2000-06-23 2007-05-29 Manhasset Specialty Co. Camming coupler
KR101695785B1 (ko) 2015-06-05 2017-01-23 정진원 접이식 보면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52250A (en) Portable instrument stand
US10760727B2 (en) Display stand
US6264161B1 (en) Portable music stand
KR100682670B1 (ko) 힌지 구조 및 상기 힌지 구조를 사용한 스탠드
US20120120628A1 (en) Modular flat-panel monitor stand
TW201328548A (zh) 折疊型支架
US20180160219A1 (en) Transportable loudspeaker system having a large sound and resonance volume on the basis of a sound panel with reflection and resonance effect
RU2213378C2 (ru) Подставка для музыкальных инструментов
KR102310620B1 (ko) 접이식 보면대
US6017011A (en) Collapsible music stand with optional multiple desks having dual-angular and verticle adjustability
KR101014760B1 (ko) 독서대
US6340213B1 (en) Collapsible astronomy station
US5106048A (en) Support stands
US20180151157A1 (en) System and method a mobile cello stand
US5999340A (en) Magnifier stand
KR20130000046U (ko) 접이식 테이블
KR102173717B1 (ko) 기표대
KR20210126946A (ko) 각도조절 및 조작이 용이한 독서대를 갖는 테이블
KR200399199Y1 (ko) 스위블 및 틸팅 구조의 기타 스탠드
KR200184749Y1 (ko) 책받침대
CN217917448U (zh) 一种折叠式画架
CN218543851U (zh) 一种支撑脚架
CN215335701U (zh) 一种摄影用支架及云台
KR20230001887U (ko) 이동식 전자기기용 고정장치
KR102250577B1 (ko) 보면대를 구비한 악기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