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9156B1 - 다기능 원터치 텐트 세트 - Google Patents

다기능 원터치 텐트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9156B1
KR102309156B1 KR1020210079051A KR20210079051A KR102309156B1 KR 102309156 B1 KR102309156 B1 KR 102309156B1 KR 1020210079051 A KR1020210079051 A KR 1020210079051A KR 20210079051 A KR20210079051 A KR 20210079051A KR 102309156 B1 KR102309156 B1 KR 1023091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t
touch
fly
touch functional
func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9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사
Priority to KR1020210079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91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9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91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convertible, e.g. from one type tent to another type tent, from tent to canopy or from tent cover into diverse art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2Tents combined or specially associated with other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다기능 원터치 텐트 세트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다기능 원터치 텐트 세트는, 원터치 방식으로 펼쳐지고 보관 시 접힐 수 있는 원터치 기능성 텐트; 단독으로 또는 상기 원터치 기능성 텐트의 상부 또는 측부에 설치되며, 원터치 방식으로 펼쳐지고 보관 시 접힐 수 있는 원터치 기능성 플라이; 및 상기 원터치 기능성 텐트와 상기 원터치 기능성 플라이를 공용으로 보관하는 한편 별도의 공간에 독립적으로 보관하는 제품 보관용 공용 커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기능 원터치 텐트 세트{Multi function one touch tent set}
본 발명은, 다기능 원터치 텐트 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종전과 달리 텐트와 플라이를 함께 보관, 운반 및 취급할 수 있어서 사용상의 편의성이 높아질 수 있으며, 또한 텐트와 플라이가 원터치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으면서도 기능성을 강화할 수 있는 다기능 원터치 텐트 세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여가의 효율적인 활용과 함께 건강에 대한 욕구와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캠핑이나 등산을 즐기는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캠핑이나 장거리 등산 또는 낚시 등을 하고자 하는 경우 숙박을 위한 텐트, 예컨대 도 1과 같은 텐트(10)가 필수적으로 필요하다.
도 1의 텐트(10)는 하나의 예인데, 이러한 텐트(10)는 돔형, 거실형, 팝업형, 캐빈형, 티피형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제조된다. 그뿐만 아니라 최근에 출시되는 텐트(미도시)는 다양한 기능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 목적에 맞는 제품을 선택해서 사용하게 된다.
한편, 도 1과 같은 텐트(10)는 일반적으로 천막에 폴대를 끼워 일일이 조립해야 하는 구조로 제작되기 때문에, 사실 숙련자가 아니고서는 텐트(10)를 설치하기가 쉽지 않다.
그뿐만 아니라 텐트(10)를 설치했다 하더라도 추가적으로 예컨대, 플라이를 더 설치하려면 그에 적합한 플라이를 개별적으로 더 가지고 다녀야 한다는 점을 고려해보면, 보관, 운반 및 취급이 불편할 수밖에 없다.
더욱이, 도 1과 같은 통상적인 텐트(10)에는 실질적으로 별다른 기능이 포함되어 있지 않아 기능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는 점을 두루 고려해볼 때, 이러한 사항들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요구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8-0066651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4-0164545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5-0073238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5-0135701호
본 발명의 목적은, 종전과 달리 텐트와 플라이를 함께 보관, 운반 및 취급할 수 있어서 사용상의 편의성이 높아질 수 있으며, 또한 텐트와 플라이가 원터치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으면서도 기능성을 강화할 수 있는 다기능 원터치 텐트 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원터치 방식으로 펼쳐지고 보관 시 접힐 수 있는 원터치 기능성 텐트; 단독으로 또는 상기 원터치 기능성 텐트의 상부 또는 측부에 설치되며, 원터치 방식으로 펼쳐지고 보관 시 접힐 수 있는 원터치 기능성 플라이; 및 상기 원터치 기능성 텐트와 상기 원터치 기능성 플라이를 공용으로 보관하는 한편 별도의 공간에 독립적으로 보관하는 제품 보관용 공용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원터치 텐트 세트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제품 보관용 공용 커버는, 공용 센터 지지대; 상기 공용 센터 지지대의 일측에 연결되되 상기 공용 센터 지지대와 함께 상기 원터치 기능성 텐트가 수납되는 장소를 이루는 텐트 수납부; 상기 공용 센터 지지대의 타측에 연결되되 상기 공용 센터 지지대와 함께 상기 원터치 기능성 플라이가 수납되는 장소를 이루는 플라이 수납부; 및 상기 텐트 수납부와 상기 플라이 수납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텐트 수납부와 상기 플라이 수납부를 지지하는 수납부 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텐트 수납부는, 제1 포켓이 형성되는 텐트 수납용 전면 커버부; 상기 텐트 수납용 전면 커버부에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 지퍼부; 및 상기 텐트 수납용 전면 커버부와 상기 공용 센터 지지대 사이에 신축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주름 수납부를 포함하며, 상기 플라이 수납부는, 제2 포켓이 형성되는 플라이 수납용 전면 커버부; 상기 플라이 수납용 전면 커버부에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 지퍼부; 및 상기 플라이 수납용 전면 커버부와 상기 공용 센터 지지대 사이에 신축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주름 수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납부 홀더는, 상기 텐트 수납부와 상기 플라이 수납부 중 하나에 마련되는 힌지; 일단부가 상기 힌지에 연결되는 제1 홀더 바디; 상기 텐트 수납부와 상기 플라이 수납부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는 제1 자석부재; 상기 제1 자석부재에 선택적으로 탈부착되는 제2 자석부재를 구비하는 제2 홀더 바디; 상기 제1 홀더 바디와 상기 제2 홀더 바디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탄성 연결대; 및 상기 탄성 연결대에 연결되는 핸들링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터치 기능성 텐트에 마련되는 전열 패드; 상기 원터치 기능성 텐트에 마련되는 냉각 패드; 상기 제1 포켓 또는 상기 제2 포켓에 수납 가능한 입력 리모컨; 및 상기 입력 리모컨의 입력값에 기초하여 상기 전열 패드 또는 상기 냉각 패드의 동작, 세기 및 가동 시간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열 패드와 상기 냉각 패드가 상기 텐트 바닥부에 마련되되 상기 전열 패드가 상기 냉각 패드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전과 달리 텐트와 플라이를 함께 보관, 운반 및 취급할 수 있어서 사용상의 편의성이 높아질 수 있으며, 또한 텐트와 플라이가 원터치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으면서도 기능성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텐트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원터치 텐트 세트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제품 보관용 공용 커버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단면 구조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3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6은 원터치 기능성 텐트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8은 원터치 기능성 플라이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2의 다기능 원터치 텐트 세트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원터치 텐트 세트의 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이나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어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여지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려고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같은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때에 따라 같은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원터치 텐트 세트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제품 보관용 공용 커버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단면 구조도, 도 4 및 도 5는 도 3의 사용상태도, 도 6은 원터치 기능성 텐트의 정면도, 도 7은 도 6의 사용상태도, 도 8은 원터치 기능성 플라이의 사시도, 도 9는 도 2의 다기능 원터치 텐트 세트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원터치 텐트 세트(100)는 종전과 달리 텐트(110)와 플라이(120), 즉 원터치 기능성 텐트(110)와 원터치 기능성 플라이(120)를 함께 보관, 운반 및 취급할 수 있어서 사용상의 편의성이 높아질 수 있으며, 또한 원터치 기능성 텐트(110)와 원터치 기능성 플라이(120)가 원터치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으면서도 기능성을 강화할 수 있게끔 한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원터치 텐트 세트(100)는 원터치 기능성 텐트(110), 원터치 기능성 플라이(120) 및 제품 보관용 공용 커버(1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의 그림은 제품 보관용 공용 커버(130)에 원터치 기능성 텐트(110)와 원터치 기능성 플라이(120)가 수납된 것으로 본다.
원터치 기능성 텐트(110)는 예컨대, 도 6 및 도 7과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원터치 방식으로 펼쳐지고 보관 시 접힐 수 있다. 원터치 기능성 텐트(110)는 제품 보관용 공용 커버(130)의 텐트 수납부(140)에 수납될 수 있다.
물론, 도 6 및 도 7의 그림은 원터치 기능성 텐트(110)에 대한 하나의 예일 뿐이므로 이러한 도면 형상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원터치 기능성 텐트(110)는 원터치 방식으로 펼쳐지고 보관 시 접힐 수 있는 탄성 골조로서의 원터치 텐트 골조부(111)를 포함한다. 원터치 텐트 골조부(111)의 바닥, 측면 및 전면에는 각각 텐트 바닥부(112), 텐트 측벽부(113) 및 텐트 전면부(114)가 마련된다. 이들은 일체형일 수도 있고 혹은 분리형일 수도 있다.
텐트 전면부(114)에는 전면 지퍼(115)가 마련된다. 따라서, 텐트 전면부(114)는 도 6처럼 닫힐 수 있고, 혹은 도 7처럼 열릴 수 있다. 열린 상태에서 텐트 전면부(114)를 고정하기 위해 전면 고리부(116)가 형성된다.
이러한 원터치 기능성 텐트(110)에는 보온 또는 냉각을 위한 수단으로서, 전열 패드(171)와 냉각 패드(172)가 마련된다.
전열 패드(171)와 냉각 패드(172)는 텐트 바닥부(112)에 마련된다. 이때, 전열 패드(171)가 냉각 패드(172)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들은 입력 리모컨(170)의 입력조건에 기초한 컨트롤러(180)의 컨트롤에 의해 동작이 컨트롤될 수 있다.
원터치 기능성 플라이(120)는 단독으로 또는 원터치 기능성 텐트(110)의 상부 또는 측부에 설치되며, 원터치 방식으로 펼쳐지고 보관 시 접힐 수 있는 수단이다. 그늘막 형태로 단독 사용할 수도 있고, 혹은 원터치 기능성 텐트(110)에 덮어 우기에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원터치 기능성 플라이(120)는 원터치 방식으로 펼쳐지고 보관 시 접힐 수 있는 탄성 골조로서의 원터치 플라이 골조부(121)와, 원터치 플라이 골조부(121)의 둘레면에 설치되는 플라이 천막(122)을 포함한다. 플라이 천막(122)은 자외선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방수 기능을 갖는 소재로 적용될 수 있다.
원터치 기능성 플라이(120)의 전면부에는 입구발(123)이 형성된다. 도면처럼 입구발(123)을 올려 출입개구를 개방할 수 있다. 원터치 기능성 플라이(120)의 측부에는 바닥 지지대(124)가 마련된다. 바닥 지지대(124)에 고리를 두고 팩을 끼워 원터치 기능성 플라이(120)를 지면에 고정할 수도 있다.
한편, 제품 보관용 공용 커버(130)는 원터치 기능성 텐트(110)와 원터치 기능성 플라이(120)를 보관하기 위한 수단이다.
이때,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제품 보관용 공용 커버(130)는 원터치 기능성 텐트(110)와 원터치 기능성 플라이(120)를 공용으로 보관하는 한편 원터치 기능성 텐트(110)와 원터치 기능성 플라이(120)를 별도의 공간에 독립적으로 보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원터치 기능성 텐트(110)와 원터치 기능성 플라이(120)를 별개로 꺼내어 사용하기가 좋고, 또한 원터치 기능성 텐트(110)와 원터치 기능성 플라이(120)에 부속되는 부품들이 섞이지 않게 관리하기에 좋다.
이러한 제품 보관용 공용 커버(130)는 공용 센터 지지대(131)와, 공용 센터 지지대(131)의 일측에 연결되되 공용 센터 지지대(131)와 함께 원터치 기능성 텐트(110)가 수납되는 장소를 이루는 텐트 수납부(140)와, 공용 센터 지지대(131)의 타측에 연결되되 공용 센터 지지대(131)와 함께 원터치 기능성 플라이(120)가 수납되는 장소를 이루는 플라이 수납부(150)와, 텐트 수납부(140)와 플라이 수납부(150)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텐트 수납부(140)와 플라이 수납부(150)를 지지하는 수납부 홀더(160)를 포함할 수 있다.
공용 센터 지지대(131)는 텐트 수납부(140)와 플라이 수납부(150)의 공용 배면을 이룬다. 텐트 수납부(140)와 플라이 수납부(150)가 연결되는 형태라서 제품의 부피를 줄이는데 좋다.
텐트 수납부(140)는 제1 포켓(141)이 형성되는 텐트 수납용 전면 커버부(142)와, 텐트 수납용 전면 커버부(142)에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 지퍼부(143)와, 텐트 수납용 전면 커버부(142)와 공용 센터 지지대(131) 사이에 신축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주름 수납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플라이 수납부(150)는 제2 포켓(151)이 형성되는 플라이 수납용 전면 커버부(152)와, 플라이 수납용 전면 커버부(152)에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 지퍼부(153)와, 플라이 수납용 전면 커버부(152)와 공용 센터 지지대(131) 사이에 신축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주름 수납부(15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주름 수납부(144)와 제2 주름 수납부(154)가 형성되기 때문에 캠핑 후 정리할 때, 원터치 기능성 텐트(110)와 원터치 기능성 플라이(120)를 제대로 접지 않아 부피가 커지더라도 텐트 수납부(140)와 플라이 수납부(150)에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다. 물론, 대충 수납한 원터치 기능성 텐트(110)와 원터치 기능성 플라이(120)는 집에 돌아온 후, 세척한 다음, 잘 접어서 보관하면 된다.
수납부 홀더(160)는 텐트 수납부(140)와 플라이 수납부(150) 중 하나에 마련되는 힌지(161)와, 일단부가 힌지(161)에 연결되는 제1 홀더 바디(162)와, 텐트 수납부(140)와 플라이 수납부(150)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는 제1 자석부재(163)와, 제1 자석부재(163)에 선택적으로 탈부착되는 제2 자석부재(164)를 구비하는 제2 홀더 바디(165)와, 제1 홀더 바디(162)와 제2 홀더 바디(165)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탄성 연결대(166)와, 탄성 연결대(166)에 연결되는 핸들링 손잡이(167)를 포함할 수 있다.
수납부 홀더(160)에 탄성 연결대(166)가 마련되기 때문에, 텐트 수납부(140)와 플라이 수납부(150)의 부피가 불가피하게 커지더라도 이들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제1 자석부재(163)와 제2 자석부재(164) 대신에 후크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도면의 형상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원터치 텐트 세트(100)에는 입력 리모컨(170)과 컨트롤러(180)가 더 갖춰진다.
입력 리모컨(170)은 제1 포켓(141) 또는 제2 포켓(151)에 수납 가능한 전자기기로서, 전열 패드(171) 또는 냉각 패드(172)의 동작, 세기 및 가동 시간 등의 각종 정보를 입력한다.
컨트롤러(180)는 입력 리모컨(170)의 입력값에 기초하여 전열 패드(171) 또는 냉각 패드(172)의 동작, 세기 및 가동 시간을 컨트롤한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컨트롤러(180)는 중앙처리장치(181, CPU), 메모리(182, MEMORY), 그리고 서포트 회로(183, SUPPORT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처리장치(181)는 본 실시예에서 입력 리모컨(170)의 입력값에 기초하여 전열 패드(171) 또는 냉각 패드(172)의 동작, 세기 및 가동 시간을 컨트롤하기 위해서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세서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메모리(182, MEMORY)는 중앙처리장치(181)와 연결된다. 메모리(182)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로컬 또는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임의의 디지털 저장 형태와 같이 쉽게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일 수 있다.
서포트 회로(183, SUPPORT CIRCUIT)는 중앙처리장치(181)와 결합되어 프로세서의 전형적인 동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서포트 회로(183)는 캐시, 파워 서플라이, 클록 회로, 입/출력 회로, 서브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180)는 입력 리모컨(170)의 입력값에 기초하여 전열 패드(171) 또는 냉각 패드(172)의 동작, 세기 및 가동 시간을 컨트롤하는데, 이러한 일련의 컨트롤 프로세스 등은 메모리(182)에 저장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소프트웨어 루틴이 메모리(182)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루틴은 또한 다른 중앙처리장치(미도시)에 의해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루틴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은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를 기반으로 작용을 하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종전과 달리 원터치 기능성 텐트(110)와 원터치 기능성 플라이(120)를 함께 보관, 운반 및 취급할 수 있어서 사용상의 편의성이 높아질 수 있으며, 또한 원터치 기능성 텐트(110)와 원터치 기능성 플라이(120)가 원터치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으면서도 기능성을 강화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원터치 텐트 세트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원터치 텐트 세트(200) 역시, 원터치 기능성 텐트(110), 원터치 기능성 플라이(120) 및 제품 보관용 공용 커버(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의 구조와 기능, 그리고 역할은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따라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원터치 텐트 세트(200)에는 관찰창(290)이 더 갖춰진다. 관찰창(290)은 텐트 수납부(140) 및 플라이 수납부(150) 모두에 적용될 수 있는데, 제1 및 제2 지퍼부(143,153)를 열지 않더라도 텐트 수납부(140) 및 플라이 수납부(150) 내에 수납된 원터치 기능성 텐트(110)와 원터치 기능성 플라이(120)의 유무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끔 한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종전과 달리 원터치 기능성 텐트(110)와 원터치 기능성 플라이(120)를 함께 보관, 운반 및 취급할 수 있어서 사용상의 편의성이 높아질 수 있으며, 또한 원터치 기능성 텐트(110)와 원터치 기능성 플라이(120)가 원터치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으면서도 기능성을 강화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다기능 원터치 텐트 세트 110 : 원터치 기능성 텐트
111 : 원터치 텐트 골조부 112 : 텐트 바닥부
113 : 텐트 측벽부 114 : 텐트 전면부
115 : 전면 지퍼 116 : 전면 고리부
120 : 원터치 기능성 플라이 121 : 원터치 플라이 골조부
122 : 플라이 천막 123 : 입구발
124 : 바닥 지지대 130 : 제품 보관용 공용 커버
131 : 공용 센터 지지대 140 : 텐트 수납부
141 : 제1 포켓 142 : 텐트 수납용 전면 커버부
143 : 제1 지퍼부 144 : 제1 주름 수납부
150 : 플라이 수납부 151 : 제2 포켓
152 : 플라이 수납용 전면 커버부 153 : 제2 지퍼부
154 : 제2 주름 수납부 160 : 수납부 홀더
161 : 힌지 162 : 제1 홀더 바디
163 : 제1 자석부재 164 : 제2 자석부재
165 : 제2 홀더 바디 166 : 탄성 연결대
167 : 핸들링 손잡이 170 : 입력 리모컨
171 : 전열 패드 172 : 냉각 패드
180 : 컨트롤러

Claims (5)

  1. 원터치 방식으로 펼쳐지고 보관 시 접힐 수 있는 원터치 기능성 텐트;
    단독으로 또는 상기 원터치 기능성 텐트의 상부 또는 측부에 설치되며, 원터치 방식으로 펼쳐지고 보관 시 접힐 수 있는 원터치 기능성 플라이; 및
    상기 원터치 기능성 텐트와 상기 원터치 기능성 플라이를 공용으로 보관하는 한편 별도의 공간에 독립적으로 보관하는 제품 보관용 공용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품 보관용 공용 커버는,
    공용 센터 지지대;
    상기 공용 센터 지지대의 일측에 연결되되 상기 공용 센터 지지대와 함께 상기 원터치 기능성 텐트가 수납되는 장소를 이루는 텐트 수납부;
    상기 공용 센터 지지대의 타측에 연결되되 상기 공용 센터 지지대와 함께 상기 원터치 기능성 플라이가 수납되는 장소를 이루는 플라이 수납부; 및
    상기 텐트 수납부와 상기 플라이 수납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텐트 수납부와 상기 플라이 수납부를 지지하는 수납부 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텐트 수납부는,
    제1 포켓이 형성되는 텐트 수납용 전면 커버부;
    상기 텐트 수납용 전면 커버부에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 지퍼부;
    상기 텐트 수납용 전면 커버부와 상기 공용 센터 지지대 사이에 신축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주름 수납부를 포함하며,
    상기 플라이 수납부는,
    제2 포켓이 형성되는 플라이 수납용 전면 커버부;
    상기 플라이 수납용 전면 커버부에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 지퍼부;
    상기 플라이 수납용 전면 커버부와 상기 공용 센터 지지대 사이에 신축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주름 수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원터치 텐트 세트.
  2. 삭제
  3. 삭제
  4. 원터치 방식으로 펼쳐지고 보관 시 접힐 수 있는 원터치 기능성 텐트;
    단독으로 또는 상기 원터치 기능성 텐트의 상부 또는 측부에 설치되며, 원터치 방식으로 펼쳐지고 보관 시 접힐 수 있는 원터치 기능성 플라이; 및
    상기 원터치 기능성 텐트와 상기 원터치 기능성 플라이를 공용으로 보관하는 한편 별도의 공간에 독립적으로 보관하는 제품 보관용 공용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품 보관용 공용 커버는,
    공용 센터 지지대;
    상기 공용 센터 지지대의 일측에 연결되되 상기 공용 센터 지지대와 함께 상기 원터치 기능성 텐트가 수납되는 장소를 이루는 텐트 수납부;
    상기 공용 센터 지지대의 타측에 연결되되 상기 공용 센터 지지대와 함께 상기 원터치 기능성 플라이가 수납되는 장소를 이루는 플라이 수납부; 및
    상기 텐트 수납부와 상기 플라이 수납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텐트 수납부와 상기 플라이 수납부를 지지하는 수납부 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수납부 홀더는,
    상기 텐트 수납부와 상기 플라이 수납부 중 하나에 마련되는 힌지;
    일단부가 상기 힌지에 연결되는 제1 홀더 바디;
    상기 텐트 수납부와 상기 플라이 수납부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는 제1 자석부재;
    상기 제1 자석부재에 선택적으로 탈부착되는 제2 자석부재를 구비하는 제2 홀더 바디;
    상기 제1 홀더 바디와 상기 제2 홀더 바디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탄성 연결대; 및
    상기 탄성 연결대에 연결되는 핸들링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원터치 텐트 세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터치 기능성 텐트에 마련되는 전열 패드;
    상기 원터치 기능성 텐트에 마련되는 냉각 패드;
    상기 제1 포켓 또는 상기 제2 포켓에 수납 가능한 입력 리모컨; 및
    상기 입력 리모컨의 입력값에 기초하여 상기 전열 패드 또는 상기 냉각 패드의 동작, 세기 및 가동 시간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열 패드와 상기 냉각 패드가 상기 텐트 바닥부에 마련되되 상기 전열 패드가 상기 냉각 패드들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원터치 텐트 세트.
KR1020210079051A 2021-06-18 2021-06-18 다기능 원터치 텐트 세트 KR1023091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9051A KR102309156B1 (ko) 2021-06-18 2021-06-18 다기능 원터치 텐트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9051A KR102309156B1 (ko) 2021-06-18 2021-06-18 다기능 원터치 텐트 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9156B1 true KR102309156B1 (ko) 2021-10-08

Family

ID=78116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9051A KR102309156B1 (ko) 2021-06-18 2021-06-18 다기능 원터치 텐트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915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6651A (ko) 2003-12-24 2008-07-16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시트재 절단 방법
KR20150073238A (ko) 2013-12-20 2015-07-01 교통안전공단 차량의 전자제어장치 진단기의 시뮬레이션장치
KR20150135701A (ko) 2014-05-23 2015-12-03 주식회사 제노포커스 신규 베타-갈락토시다아제
KR101925433B1 (ko) * 2018-04-12 2018-12-06 주식회사 아이두젠 원터치 텐트용 플라이
KR20190000575U (ko) * 2017-08-25 2019-03-06 주식회사 아이두젠 텐트용 가방 겸용 포장커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6651A (ko) 2003-12-24 2008-07-16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시트재 절단 방법
KR20150073238A (ko) 2013-12-20 2015-07-01 교통안전공단 차량의 전자제어장치 진단기의 시뮬레이션장치
KR20150135701A (ko) 2014-05-23 2015-12-03 주식회사 제노포커스 신규 베타-갈락토시다아제
KR20190000575U (ko) * 2017-08-25 2019-03-06 주식회사 아이두젠 텐트용 가방 겸용 포장커버
KR101925433B1 (ko) * 2018-04-12 2018-12-06 주식회사 아이두젠 원터치 텐트용 플라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79686B1 (en) Foldable and expandable pet carrier bag
US9301493B2 (en) Pet carrier
US20130175130A1 (en) Multi-purpose wheeled luggage
US6843398B2 (en) Rucksack
AU2009201140B2 (en) Portable bedding system
KR101868133B1 (ko) 차량용 텐트 및 이를 갖춘 차량
US6351851B1 (en) Personal shelter device
KR102309156B1 (ko) 다기능 원터치 텐트 세트
US20050051404A1 (en) Foldable luggage with carrier
US6546574B1 (en) Baby boat
US20080230104A1 (en) Cubicle
CN209489290U (zh) 一种可折叠组装式宠物笼
CN102907966A (zh) 一种传统式防帐外蚊虫叮咬睡眠蚊帐
CN210809588U (zh) 一种伞套一体式的防雨伞具
CN209528163U (zh) 一种可展开为婴儿床的新型手提包
GB2491959A (en) Infant seat having canopy detachably connected to seat body when deployed
US20100254634A1 (en) Bag with an extensible exterior pocket
JPH11285407A (ja) リュックサック等椅子付き携帯用具
CN102920386A (zh) 一种便携式自携带厕所
CN205757965U (zh) 一种可调翻板式雨伞背包
GB2515050A (en) Suitcase/sunlounger/campbed
CN212678587U (zh) 一种带有可拆卸蚊帐折叠婴儿床背包
CN212754692U (zh) 一种折叠婴儿床背包
CN209463520U (zh) 一种具有挡雨功能的旅行包
CN209518550U (zh) 移动多功能办公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