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7535B1 -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7535B1
KR102307535B1 KR1020207002962A KR20207002962A KR102307535B1 KR 102307535 B1 KR102307535 B1 KR 102307535B1 KR 1020207002962 A KR1020207002962 A KR 1020207002962A KR 20207002962 A KR20207002962 A KR 20207002962A KR 102307535 B1 KR102307535 B1 KR 1023075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information
continuous display
digital
mode op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2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3812A (ko
Inventor
브래들리 토마스 존슨
존 웨슬리 스워포드
마이클 앨빈 램케
조셉 크리스티안 어니스트
Original Assignee
알티씨 인더스트리즈,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3/836,680 external-priority patent/US9898712B2/en
Application filed by 알티씨 인더스트리즈, 인크. filed Critical 알티씨 인더스트리즈, 인크.
Priority to KR1020217030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5763B1/ko
Publication of KR20200013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38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7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75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8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 G09F3/20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for adjustable, removable, or interchangeable labels
    • G09F3/208Electronic labels, Labels integrating electronic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8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 G09F3/20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for adjustable, removable, or interchangeable labels
    • G09F3/204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for adjustable, removable, or interchangeable labels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helf or the lik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6Use of wireless transmission of display inform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80/00Specific applications
    • G09G2380/04Electronic lab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Display Rack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판매기의 선반(shelf)의 에지를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가 설명된다. 선반상의 제 1 제품에 대한 제 1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판매기의 선반의 에지를 따라 배향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상에 제공된다. 선반상의 적어도 하나의 제 2 제품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제 2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상에 제공된다. 개인은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파라미터를 편집하도록 허용된다. 파라미터는 디스플레이 상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크기, 디스플레이상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형상, 및 디스플레이상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 정보는 디스플레이에 동시에 출력될 수 있다.

Description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CONTINUOUS DISPLAY SHELF EDGE LABEL DEVICE}
[01] 본 출원은 2004년 2월 3일에 출원된 미국출원 일련번호 제10/772,010호의 일부계속출원인, 2010년 9월 7일에 출원된 미국출원 일련번호 제12/876,919호의 계속출원인, 2011년 7월 29일에 출원된 미국출원 일련번호 제13/194,649호의 일부계속출원인, 2013년 3월 15일에 출원된 미국출원 일련번호 제13/836,680호의 계속출원이며, 현재 미국출원 특허번호 제7,792,711호이다. 또한, 2011년 7월 29일에 출원된 미국출원 일련번호 제13/194,649호는 2010년 8월 6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일련번호 제61/371,417호의 우선권을 주장한다. 또한, 미국출원 일련번호 제13/836,680호는 2013년 3월 5일에 출원된 미국출원 일련번호 제13/785,082호의 일부계속출원이다. 이들 출원들의 각각의 내용은 그 전체가 인용에 의해 본원에 통합된다.
[02] 소매업은 종종 고객의 제품 관심에 대한 급속한 변화 및 이를 처리하기 위하여 실행되는 내부 변화들과 관련한 과제를 제공한다. 신제품들이 고객들 사이에서 인기가 점점더 높아질 때, 판매기들에는, 가능한 빠르게, 다른 제품들, 즉 시장 특화 제품들을 고객들에게 유인하거나 또는 업데이트 제품 정보, 예를들어 가격 책정을 업데이트하기 위하여 제품들의 선반 에지 라벨들을 변경하는 과제가 제공된다.
[03] 전자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들은, 판매기로 하여금, 하나의 단일 제품을 나타내는 단일 디바이스를 다른 단일 제품을 나타내는 다른 디바이스로 수동으로 교체하거나 또는 심지어 단일 제품상에 다른 정보를 제공하도록 디바이스를 변경하거나 또는 다른 단일 제품상의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을 다른 단일 제품상의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으로 변경하도록 한다. 그러나, 판매기에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추가 개선 및 혁신이 요구된다.
[04] 판매기의 선반(shelf)의 에지를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가 설명된다. 선반상의 제 1 제품에 대한 제 1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판매기의 선반의 에지를 따라 배향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상에 제공된다. 선반상의 적어도 하나의 제 2 제품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제 2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상에 제공된다. 개인은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파라미터를 편집하도록 허용된다. 파라미터는 디스플레이상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크기, 디스플레이상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형상, 및 디스플레이상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 정보는 디스플레이에 동시에 출력될 수 있다.
[05] 본원의 일부 특징들은 동일한 참조부호가 동일한 엘리먼트를 지칭하는 첨부 도면들에서 제한이 아니라 예시로서 예시된다.
[06] 도 1은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양상들에 따라, 콘텐츠를 통신하고 분배하기 위한 장치의 예시적인 블록도를 예시한다.
[07] 도 2a-도 2b는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양상들에 따라, 콘텐츠를 통신하고 분배하기 위한 시스템들의 예시적인 블록도들을 예시한다.
[08] 도 3은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양상들에 따라, 콘텐츠를 통시하고 분배하기 위한 장치의 예시적인 블록도를 예시한다.
[09] 도 4a-도 4b는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양상들에 따른 연속 변경 디스플레이의 예를 예시한다.
[10] 도 5a-도 5c는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양상들에 따른 로킹 메커니즘을 가진 예시적인 연속 디스플레이들을 예시한다.
[11] 도 5d-도 5f는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양상들에 따른, 로킹 메커니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진 연속 변경 디스플레이의 예를 예시한다.
[12] 도 6a-도 6b는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양상들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변경 크기의 예를 예시한다.
[13] 도 7a-도 7b는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양상들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변경 형상의 예를 예시한다.
[14] 도 8a-도 8b는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양상들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의 변경 위치의 예를 예시한다.
[15] 도 9는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양상들에 따라 콘텐츠를 분배하는 예시적인 방법을 예시한다.
[16] 도 10은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양상들에 따라 콘텐츠를 분배하기 위한 다른 예시적인 방법을 예시한다.
[17] 도 11은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양상들에 따라 콘텐츠를 통신하고 분배하기 위한 시스템의 예시적인 블록도를 예시한다.
[18] 도 1은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양상들에 따라 콘텐츠를 통신하고 분배하기 위한 장치의 예시적인 블록도를 예시한다. 네트워크(110)는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들의 네트워크들, 인터넷 디바이스들, 전화 네트워크들, 셀룰라 전화 네트워크들, 광섬유 네트워크들, 로컬 무선 네트워크들(예를들어, WiMAX), 위성 네트워크들 및 임의의 다른 원하는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110)는 다양한 프로세싱 및/또는 메모리 디바이스들 을 포함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인프라스트럭처(예를들어, 서버들, 데이터베이스들, 애플리케이션 제공자들 등)를 포함하고 그리고/또는 이 클라우드 컴퓨팅 인프라스트럭처로서 기능을 할 수 있다.
[19] 본원에서 설명된 다양한 디바이스들, 예를들어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 서버, 스캐너, 데이터베이스, 컴퓨터 등은 컴퓨팅 디바이스일 수 있으며, 도 1은 본원에서 논의되는 다양한 컴퓨팅 디바이스들 중 임의의 디바이스를 구현하도록 사용될 수 있는 일반적인 하드웨어 엘리먼트들을 예시한다. 컴퓨팅 디바이스(100)는 본원에서 설명된 특징들 중 임의의 특징을 수행하기 위하여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들을 실행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101)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01)는 ASIC과 같은 개인 맞춤형 디지털 집적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애플리케이션들에서,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프로세서들이 사용될 수 있다. 명령들은 프로세서(101)의 동작을 구성하기 위하여 임의의 타입의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또는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들어, 명령들은 판독-전용 메모리(ROM)(102),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103), 하드 드라이브(105), 분리성 매체(104), 예를들어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USB) 드라이브, 컴팩트 디스크(CD) 또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 또는 임의의 다른 원하는 전자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명령들은 또한 부착 (또는 내부)하드 드라이브(105)에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들(102, 103, 104 및/또는 105) 중 하나 이상은 진보된 기능성 및 적용성(adaptability)에 대비하여 운영체제와 같은 더 진보된 동작 환경을 포함할 수 있다.
[20] 하나 이상의 메모리들(102, 103, 104 및/또는 105)은 저장된 어드레스 위치 및 디스플레이 데이터 위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어드레스 위치는 컴퓨팅 디바이스(100)를 식별하는 어드레스를 포함할 수 있다. 어드레스는 컴퓨팅 디바이스(100)를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데이터 위치 데이터는 디스플레이(111)상에 디스플레이될 데이터를 포맷하기 위하여 프로세서(101)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이는 텍스트 데이터, 그래픽, 동적 콘텐츠 및 이들의 조합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의 디스플레이 데이터 위치 데이터는 HTML, XML 등과 같은 마크업 언어에 따를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100) 외부에 있는 것으로 도 1에 도시되었을지라도, 디스플레이(111)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00)와 동일한 물리적 하우징 및/또는 구조물에 통합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100)내에 도시된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은 컴퓨팅 디바이스(100)와 다른 디바이스 및/또는 위치에서는 유사하게 개별적으로 하우징될 수 있다.
[21] 컴퓨팅 디바이스(100)는 하나 이상의 출력 디바이스들, 예를들어 디스플레이(111)를 포함할 수 있으며, 비디오 프로세서와 같은 하나 이상의 출력 디바이스 제어기들(107)을 포함할 수 있다. 리모트 컨트롤, 키보드, 마우스, 터치 스크린, 마이크로폰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들(도시안됨)이 또한 존재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입력/출력 기능들은 디스플레이(111)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여기서 디스플레이(111)는 디스플레이(111)상의 추가 출력을 보기 위하여 터치 스크린 입력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8b의 예들에서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디스플레이(111)는 판매기의 선반의 전체 에지를 따라 배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선반 영역은 종종 자신 위에서 판매되고 있는 제품을 식별하는 페이퍼 라벨들 및 가능한 경우에 가격, 값/oz 등과 같은 추가 정보를 포함한다. 전자 선반 라벨들은 페이퍼 라벨과 유사한 개념을 참작하나, 각각의 제품에 대해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가진 개별 컴퓨팅 디바이스의 사용을 고려한다. 이러한 전자 선반 라벨 디바이스는 선반 위에서 판매되고 있는 단일 제품에 관한 정보, 그리고 가능한 경우 예를들어 가격, 값/oz 등과 같은 추가 정보를 제공하며, 비디오와 같은 추가 출력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 1의 디스플레이(111)는 판매기가 판매를 위하여 제공할 수 있는 2개의 상이한 제품들과 상관하는 적어도 2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22] 디스플레이(111)는, 디바이스 제어기(107) 및/또는 프로세서(101)와 함께 동작하여, 개인의 손가락으로 그 자신의 표면을 가로지르는 스와이프(swipe)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손가락의 스와이프들은 출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이터에 대하여 취해질 행위에 대한 동작 테이블과 상관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1)는, 디바이스 제어기(107) 및/또는 프로세서(101)와 함께 동작하여, 본원에서 설명되는 바와같이 취해질 하나 이상의 특정 행위들로서 그 자신의 표면을 가로지르는 하나 이상의 손가락 스와이프들을 번역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예들은 확대 명령으로서 디스플레이 표면상에서 2개의 손가락이 서로 멀어지게 이동하는 움직임, 예를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텍스트 크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가장자리 디자인 크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프레임 크기 등과 같은 어떤것의 크기를 확대하기 위한 개인의 입력을 해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들은 검출 명령으로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최상부 위에서 2개의 손가락 움직임에 의한 "X"의 생성, 예를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검출하기 위한 개인의 입력을 해석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 다른 예들은 이동 명령으로서 디스플레이의 한 영역으로부터 디스플레이의 다른 영역으로의 손가락의 이동 및 프레스 앤드 홀드(press and hold), 예를들어 디스플레이상의 현재의 위치로부터 디스플레이상의 다른 위치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동시키기 위한 개인의 입력을 해석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 다른 예시적인 예들은 추가 명령으로서 2개의 손가락을 두드리는 것에 의한 디스플레이 표면상의 더블 탭(double tap), 예를들어 두드려진 디스플레이의 영역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추가하기 위한 개인의 입력을 해석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 다른 예시적인 예들은 축소 명령으로서 표면상에서 2개의 손가락을 서로쪽으로 이동시키는 움직임, 예를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텍스트 크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가장자리 디자인 크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프레임 크기 등을 축소시키기 위한 개인의 입력을 해석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설명된 예들은 단순히 예시적이며, 디스플레이(111)의 표면을 가로지르는 다수의 추가 입력 이동들/탭들 중 임의의 것은 디스플레이(111)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파라미터를 변경하기 위한 개인의 다수의 다른 타입들의 명령 요청들 중 임의의 요청을 위해 본원에 포함될 수 있다.
[23] 다른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111)는 개인의 손가락들과 관련하여 본원에서 설명되는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그 자신의 표면에 대한 스타일러스 또는 다른 포인팅 디바이스의 움직임들을 식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및 디스플레이(111)는 사용자에 의한 입력원으로서 스타일러스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개인의 잠재적인 허가까지, 식별/허가의 일부 방식은 스타일러스로 구축될 수 있으며, 따라서 만일 디스플레이(111)와의 접촉시 스타일러스는 본원에서 설명된 바와같이 개인이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을 변경할 수 있도록 개인에게 허가하기 위한 메커니즘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111)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보를 직접 입력하기 위한, 그 자신의 표면에 대한 개인 손가락의 움직임들을 식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특정 제품에 대한 가격 정보 및/또는 다른 정보를 자신의 손가락을 사용하여 디스플레이(111)상에 핸드라이팅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수신된 손가락 스와이프들을 가격 정보, 제품 이름 정보, 및/또는 다른 제품 데이터 정보에 대응하게 번역하기 위하여 컴퓨팅 디바이스의 메모리에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예들에서, 작업자는 단순히 제품에 대한 현재의 가격을 쓸 수 있다.
[24] 유사하게, 디스플레이(111)는 스크린상의 전자 키보드 및/또는 전자 키패드를 활성화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디지털 알파뉴메릭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허가된 개인이 제품 정보 데이터를 입력하고 그리고/또는 일부 다른 방식으로 디스플레이(111)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수정하도록 디스플레이(111)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들어, 작업자는 디스플레이된 디지털 키패드상에 숫자 시퀀스를 입력함으로써 특정 제품에 대한 가격을 입력할 수 있다. "$" 문자와 이 다음에 "1", ".", "4", "9"의 엔트리는 디스플레이(111)와 연관된 컴퓨팅 디바이스의 메모리내의 소프트웨어에 의해, 특정 제품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1.49의 가격 라벨의 엔트리로서 번역될 수 있다. 다른 시나리오에서, 작업자는 "지금 판매중"과 같은, 제품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텍스트의 형태의 알파뉴메릭 문자들을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시나리오에서, 빠른 입력을 위하여 특정 디지털 입력 옵션들이 허가된 개인에게 이용가능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선호 리스트는 하나의 엔트리가 "지금 판매중"일 수 있고 두번째 엔트리가 "내일 판매 종료"일 수 있는 반면에 다른 엔트리가 "하나 사면 하나를 더 드립니다!"일 수 있는 리스트로부터 선택하도록 사용자에게 프롬프트(prompt)할 수 있다.
[25]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 허가된 개인은 원격 위치로부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데이터에 액세스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111)에 액세스할 수 있다. 제품들에 대한 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223)에서 유지될 수 있는 도 2a의 예에서, 작업자는 제품에 대한 특정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해 디스플레이(111)에 액세스할 수 있다. 작업자는 시각적 파일/폴더 시스템을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할 수 있다. 본원에서 설명된 개시내용을 구현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각각의 컴포넌트는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를 통해 액세스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111)상에서 일부 타입의 시각적 표시자로서 보일 수 있다. 작업자는 요청된 데이터에 대한 적용가능 컴포넌트를 검색하여 찾을 수 있으며(예를들어, 데이터베이스(223)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찾을 수 있으며), 원하는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하여 그 컴포넌트에 액세스할 수 있다(아이콘을 론치할 수 있다). 다수의 추가 엔트리 메커니즘들 중 임의의 메커니즘이 허가될 수 있으며, 본원에서 설명된 예들은 단순히 예시적이다.
[26] 추가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111)는 허가된 개인이 디스플레이(111)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편집/조작하도록 하는 일 방식으로서 제스처-기반 인터페이스 능력들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1)는 산술적 알고리즘들을 통해, 손가락이던지, 손이던지 그리고/또는 일부 다른 부분이던지 간에 개인의 제스처들을 해석하기 위하여 적절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제스처들은 본원에서 설명된 외관 예들에 손가락 중 하나 이상을 포함시킬 수 있다. 이들 실시예들 중 일부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카메라들은 이미지를 캡처하고 제스처들을 인식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111)와 연관되고 그리고/또는 디스플레이(111)를 포함한다. 비록 본원의 대다수의 예들이, 개인이 자신의 손가락으로 디스플레이와 인터페이싱하는 것과 관련될지라도, 이러한 예들이 본원에서 설명된 제스처 기반 기술들로서 단순히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27] 컴퓨팅 디바이스(100)는 또한 외부 네트워크(110)와 통신하기 위하여 입력/출력 회로들(109)(예를들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회로, 스캐너 인터페이스 회로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출력 회로들(109)은 유선 인터페이스, 무선 인터페이스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입력/출력 회로들(109)은 2개의 컴퓨팅 디바이스들, 예를들어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들과 스캐너, 예를들어 본원에서 설명된 도 2의 200과 221,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들과 원격 사용자 단말, 예를들어 본원에서 설명된 도 2의 200과 227 및/또는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들과 데이터베이스, 예를들어 본원에서 설명된 도 2의 200과 223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28] 컴퓨팅 디바이스(100)는 또한 전력 소스(113)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소스(113)는 컴퓨팅 디바이스가 프로세서(101) 및 다양한 다른 컴포넌트들을 동작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전력 소스(113)는 전용 배터리 소스 또는 외부 전력 소스, 예를들어 AC 소스 커넥션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전력 소스(113)는 컴퓨팅 디바이스가 위치하는 상점에서 주변 광으로부터 동작하는 에너지 하베스팅(harvesting energy)에 의해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광 에너지는 변환을 위한 다양한 수단, 예를들어 포토 센서들, 태양광 발전 패널, 및 광 다이오드들에 의해 캡처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100)가 외부 소스 커넥션 없이 동작할 수 있기 때문에, 한 물리적 위치로부터 다른 물리적 위치로의 컴퓨팅 디바이스의 이동은 또 다른 외부 소스에 재연결할 필요성 없이 달성될 수 있다. 게다가, 컴퓨팅 디바이스(100)가 내부 배터리 없이 동작할 수 있기 때문에, 컴퓨팅 디바이스는 동작을 보장하기 위하여 체크될 필요가 없고 또한 기술자가 내부 배터리를 교체할 필요가 없다.
[29] 도 2a-도 2b는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양상들에 따라 콘텐츠를 통신하고 분배하기 위한 시스템들의 예시적인 블록도들을 예시한다. 도 2a의 예에서는 복수의 컴퓨팅 디바이스들이 네트워크(210)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된 것으로 도시된다. 네트워크(210)는 네트워크(110)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210)에는 3개의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들(200A-200C)에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들(200A-200C)은 컴퓨팅 디바이스(100)일 수 있으며 그리고/또는 본원에서 설명된 컴포넌트들 중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3개의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들(200A-200C)은 판매기의 상점의 통로를 따라 있을 수 있다. 3개의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들(200A-200C)은 도 2b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하나가 다른 하나 위에 포지셔닝될 수 있다.
[30]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200A)는 스캐너(221)과 통신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비록 무선 통신으로서 예시적으로 도시될지라도,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200A)와 스캐너(221) 사이의 전송 경로는 네트워크(210)를 통한 그리고/또는 일부 다른 방식의 유선 통신 경로일 수 있다. 스캐너(221)는 통신 인터페이스, 예를들어 입력/출력 회로들(109)을 통해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200A)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200A)는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200A)가 위치하는 선반 상의 제품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판매기에 대한 작업자와 같은 허가된 개인은 선반상의 제품에 대하여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가격 데이터를 업데이트하기를 원할 수 있다. 스캐너(221)와 인터페이싱함으로써, 특정 제품에 대한 가격 데이터는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200A)에 의해 전자적으로 수신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예시적인 방식들은 무선 전송을 위한 데이터를 코딩하는 것 및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200A)에 데이터를 무선으로 포워딩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례로, 개인은 스캐너(221)에 가격을 타이핑할 수 있고, 가격을 나타내는 데이터는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200A)에 무선으로 송신될 수 있다. 이후,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200A)는 본원에서 설명되는 바와같이 가격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품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31]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들(200B 및 200C)은 서로 통신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비록 무선 통신으로서 예시적으로 도시될지라도,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들(200B 및 200C) 사이의 전송 경로는 네트워크(210)를 통한 그리고/또는 일부 다른 방식의 유선 통신 경로일 수 있다.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200B)는 입력/출력 회로들(109)과 같은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200C)과 상호작용할 수 있다.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200B)은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200B)가 위치하는 선반상의 제품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허가된 개인, 예를들어 판매기에 대한 작업자는 선반상의 제품에 대한 정보에 대하여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가격 데이터를 업데이트하기를 원할 수 있다.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200C)와 인터페이싱함으로써, 특정 제품에 대한 가격 데이터는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200B)에 의해 전자적으로 수신될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는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200C)로부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200B)에 전달되게 하는 이동 명령을 개시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200C)의 디스플레이 표면을 가로질러 자신의 손가락을 스와이핑하는 것일 수 있다. 일례에서, 작업자는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200C)상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프레스 앤 홀드할 수 있으며, 플리킹 움직임에서 자신의 손가락을 빨리 위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이동은 플리킹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다음 선반 에지 위로 전달하는 것으로 시스템에 의해 해석될 수 있다. 따라서,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200B)이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200C) 위의 다음 선반 에지에 있기 때문에, 플리킹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200B)에 추가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식들은 유선 전송을 위한 데이터를 코딩하는 것 및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200B)에 데이터를 포워드하는 것을 포함한다.
[32] 스캐너(221)와 선반 근처에 위치한 작업자 간의 상호작용의 양상들은 이러한 선반으로부터 원격으로 위치한 작업자사이에서 유사하게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디바이스(227)는 네트워크(210) 및 주 허브(225)를 통해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200A-200C)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된 것으로 도시된다. 주 허브(225)는 판매기의 네트워크의 다양한 백엔드 컴포넌트들, 예를들어 사용자 단말들(227) 및 데이터베이스(223)사이에서 그리고 백엔드로부터 네트워크(210)를 통해 상점 정면 끝, 예를들어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들(200A-200C)로 통신들의 전송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일부 타입의 중앙 프로세싱 서버일 수 있다. 주 허브(225), 사용자 단말(227) 및/또는 데이터베이스(223)는 도 1에 예시된 컴퓨팅 디바이스(100)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32] 사용자 단말(227)의 작업자는 제품과 연관된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에 액세스함으로써 특정 선반상의 특정 제품에 대한 가격 데이터 및/또는 다른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27)은 잠재적 디스플레이 및/또는 스케줄링된 디스플레이에 대한 현재의 제품 정보에 대하여 데이터베이스(223)에 액세스할 수 있다. 명령들은 사용자 단말(227)로부터 이러한 제품 정보를 통해 적절한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로 송신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들(200A-200C)은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들상에서 개별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에 대한 현재의 제품 정보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하여 데이터베이스(223)에 액세스할 수 있다. 하나의 이러한 예에서, 데이터베이스(223)는 예를들어 작업자에 의해 사용자 단말(227)을 통해 가격 변화들을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들(200A-200C)은 현재의 제품 정보 데이터를 획득하고 필요에 따라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변경하기 위하여 데이터베이스(223)를 주기적으로 폴링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 데이터베이스(223), 주 허브(225) 및/또는 사용자 단말(227)은, 주기적으로,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들(200A-200C)에 현재의 제품 정보 데이터를 전역적으로 또는 특별히 푸시할 수 있다.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들(200A-200C)은 이러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필요에 따라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변경할 수 있다.
[34] 도 3은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양상들에 따라 콘텐츠를 통신하고 분배하기 위한 장치의 예시적인 블록도를 예시한다. 도 3은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300), 예를들어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들(200A-200C)을 예시한다. 이러한 예에서,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300)는 선반(350)의 전체 에지를 따라 배향되는 단일 디스플레이 영역(301)을 포함한다.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300)는 또한 로킹 메커니즘(303)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며, 로킹 메커니즘(303)은 개인이 본원에서 설명되는 바와같이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들(300)의 동작 모드들을 변경하도록 한다. 하나의 모드에서, 허가된 개인은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들(311, 313 및 315)을 편집하는 반면에, 제 2 모드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들(311, 313 및 315)은 편집되지 않을 수 있다.
[35] 단일 연속 디스플레이(301)는 선반(350)상에 판매용으로 제공되고 있는 3개의 개별 제품들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3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이러한 예에서, 선반(350)은 제 1 제품(321), 제 2 제품(323) 및 제 3 제품(325)을 홀딩한다. 단일 연속 디스플레이(301)는 3개의 디지털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하며, 판매용으로 제공되고 있는 각각의 개별 제품에 대하여 하나의 디스플레이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311)는 사용자 인터페이스(311) 바로 위에 제 1 제품(321)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유사하게, 사용자 인터페이스들(313 및 315)은 개별 사용자 인터페이스들(313, 315) 위에 있는 제 2 제품(323) 및 제 3 제품(325)에 대한 정보를 각각 제공한다. 그래픽, 텍스트, 애니메이션들, 비디오 및/또는 이들의 조합들을 비롯하여 제품에 대한 다수의 타입들의 정보 중 임의의 정보가 단일 연속 디스플레이(301)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36] 도 4a-도 4b는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양상들에 따른 가변 연속 디스플레이의 예를 예시한다. 도 4a로부터 도 4b로의 전환은 단일 연속 디스플레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변경하는 동작 전후에 하나의 가능성을 예시한다. 도 4a에서, 선반(350)에 대해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400)가 도시된다. 연속적인 선반 라벨 디바이스(400)는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200A-200C 및 300) 중 하나일 수 있다.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400)는 선반(350)의 전체 에지를 따라 배향된 단일 디스플레이 영역(401)을 포함한다. 단일 연속 디스플레이(401)는 선반(350)상에 판매용으로 제공되고 있는 3개의 개별 제품들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3개의 개별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37] 예시적인 예를 위하여, 디지털 분할기 라인(441)은 3개의 개별 사용자 인터페이스들(411A, 413A 및 415)에 대한 3개의 개별 시각적 프레임들을 생성한다. 디지털 분할기 라인은 2개의 디스플레이들을 분리하는 물리적 라인이 아니라, 오히려 단일 연속 디스플레이(401)를 다수의 디스플레이 영역들로 분리한 외관인 디지털 라인이다. 이러한 예에서, 선반(350)은 제 1 제품(421), 제 2 제품(423) 및 제 3 제품(425)을 홀딩한다. 단일 연속 디스플레이(401)는 3개의 디지털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하며, 판매용으로 제공되고 있는 각각의 개별 제품에 대하여 하나의 디지털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411A)는 사용자 인터페이스(411) 바로 위에 제 1 제품(421)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413A)는 사용자 인터페이스(413A) 바로 위에 제 2 제품(423)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사용자 인터페이스(415)는 사용자 인터페이스(415) 바로 위에 제 3 제품(425)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38] 도 4b를 전환할 때, 작업자는 선반(350)에 대한 제품 레이아웃을 변경하기를 원할 수 있으며, 이러한 예에서 선반(350)으로부터 제 3 제품(425)을 제거하였으며, 제 1 제품(421)이 위치하는 선반(350)상의 넓은 영역을 생성하였다. 따라서, 이에 응답하여, 작업자는 본원에서 설명된 바와같이 단일 연속 디스플레이(401)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변경하였다. 이러한 예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의 위치가 변경되었기 때문에, 사용자 인터페이스(411B)는 제 1 제품(421)이 선반(350)의 우측으로 이동되었기 때문에 연속 디스플레이(401)의 우측으로 이동한 것으로 지금 도시된다. 유사하게, 사용자 인터페이스(413B)는 제 2 제품(423)이 선반(350)의 좌측으로 이동되었기 때문에 연속 디스플레이(401)의 좌측으로 이동된 것으로 도시된다. 제 3 제품(425)이 선반(350)상에서 더이상 판매용으로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제 3 제품(425)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415)는 연속 디스플레이(401)로부터 제거되었다. 도 4b의 예에서, 단지 2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들(411B 및 413B)만이 연속 디스플레이(401)상에 도시되기 때문에, 단지 하나의 디지털 분할기 라인(441)은 2개의 개별 사용자 인터페이스들(411B 및 413B)를 프레임 아웃한 것으로 도시된다.
[39] 도 5a-도 5c는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양상들에 따라 로킹 메커니즘을 가진 예시적인 연속 디스플레이들을 예시한다. 본원에서 설명된 바와같이, 로킹 메커니즘은 비허가 개인이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 예를들어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디스플레이된 정보를 변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상에 포함될 수 있다. 다수의 방지 방식들 중 임의의 방식은 본원에 포함될 수 있으나 이하는 일부의 예시적인 예들이다. 도 5a에서, 예를들어 물리적 키에 대한 수동 디바이스 입력(503A)은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500A)에 포함될 수 있다. 적절한 키를 삽입함으로써, 허가된 개인은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의 동작 모드를 디스플레이 모드로부터 변경 모드로 변경시킬 수 있다.
[40] 디스플레이 모드는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가 단일 연속 디스플레이상에서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들을 디스플레이하며 심지어 고객과 같은 사용자가 추가 정보에 대하여 단일 연속 디스플레이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하는 동작 모드일 수 있다. 이러한 액세스는 터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이러한 고객은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파라미터, 예를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크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형상 또는 단일 연속 디스플레이상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없다. 고객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디스플레이 영역의 파라미터들을 변경할 능력을 가지지 않고 허용될 때 보고 상호작용할 수 있다. 변경 모드는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가 단일 연속 디스플레이상에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들을 디스플레이하고 작업자와 같은 허가된 사용자가 단일 연속 디스플레이의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을 변경하도록 하는 동작 모드일 수 있다. 이러한 액세스는 본원에서 설명된 바와같이 터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변경 모드에서, 작업자는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파라미터, 예를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크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형상, 또는 단일 연속 디스플레이상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판매시점 관리에서 제품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임의의 양상을 용이하게 수정할 수 있다.
[41] 도 5b 및 도 5c는 2가지 다른 타입들의 로킹 메커니즘들을 예시한다. 도 5b에서, 예를들어 손가락의 프린트들을 스캔하기 위한 생체인식 스캐너(503B)는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500B)에 포함될 수 있다. 생체인식 스캐너(503B)에 대하여 손가락을 누름으로써, 허가된 개인은 디스플레이 모드로부터 변경 모드로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의 동작 모드를 변경시킬 수 있다. 도 5c에서, 예를들어 작업자들의 근거리 자기장 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 인에이블 액세스 카드들을 스캔하기 위한 NFC 판독기(503C)는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500C)에 포함될 수 있다. NFC 판독기(503C)에 대해 NFC 인에이블 액세스 카드를 누름으로써, 허가된 개인은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의 동작 모드를 디스플레이 모드로부터 변경 모드로 변경시킬 수 있다.
[42] 도 5d-도 5f는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양상들에 따라 로킹 메커니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진 가변 연속 디스플레이의 예를 예시한다. 도 5d-도 5f의 예에서, 로킹 메커니즘은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500D)내에 구축된다. 이러한 예에서, 작업자는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500D)의 동작 모드를 변경시키기 위한 코드를 입력할 것이다. 도 5d에 도시된 바와같이, 단일 연속 디스플레이(501D)는 개별 제품들에 대한 2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들(511 및 513)을 포함한다. 도 5d에는 또한 로크 아이콘(503D)가 도시되어 있다. 로크 아이콘(503D)에 액세스하는 것은 허가된 개인이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500D)의 동작 모드를 변경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로크 아이콘(503D)을 가볍게 두드림으로써, 작업자에게는 도 5e에서 보여지는 것이 보여질 수 있다. 도 5e에서는 동작 모드들의 변경을 허용하기 위한 코드를 입력할 것을 개인에게 프롬프트하는 새로운 사용자 인터페이스(503E)가 보인다. 도 5e의 적절한 코드를 삽입함으로써, 허가된 개인은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500D)의 동작 모드를 디스플레이 모드로부터 변경 모드로 변경시킬 수 있다.
[43] 만일 개인이 적절한 코드를 입력시키지 않으면,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500D)는 도 5d에 도시된 외관으로 다시 전환될 수 있다. 그러나, 만일 개인이 적절한 코드를 입력하면,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500D)는 개인이 제품들에 대한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의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을 변경하도록 하는 변경 모드로 동작 모드들을 변경시킬 수 있다. 임의의 변경들 이후에, 개인은 적절한 코드를 입력하지 않으며,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500D)는 도 5f에 도시된 바와같이 디스플레이 모드로 다시 전환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같이, 개인은 단일 연속 디스플레이 (501D)상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511)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513)의 위치를 서로에 대해 변경시켰다. 로킹 아이콘(503D)가 또한 도시된다.
[44] 도 6a-도 6b는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양상들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가변 크기의 예를 예시한다. 이러한 예시적인 예에서, 허가된 개인은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600)에서 모드 변경 요청에 액세스했다. 이러한 예에서,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600)는 선반의 전체 에지를 따라 배향된 단일 연속 디스플레이(601)를 포함한다. 도 6a는 사용자 인터페이스(613A)의 파라미터의 변경 전에 2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들(611 및 613a)을 예시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각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611 및 613A)의 가장자리의 형상은 가장자리 내의 텍스트의 크기와 상이하고 또한 이러한 크기를 가진다. 본원에서 설명된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의 동작을 통해, 도 6b는 사용자 인터페이스(613A)의 크기를 변경하기 위한 변경 모드 이후에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600)가 무엇을 닮았는지를 예시한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613b)는 자신내에서 크기가 감소된 텍스트를 가진다. 도 6a로부터 도 6b로 전환하면, 허가된 개인은 파라미터,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613A)의 텍스트의 큰 크기를 파라미터,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613B)의 텍스트의 가장 작은 크기로 변경했다.
[45] 도 7a-도 7b는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양상들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가변 형상의 예를 예시한다. 이러한 예시적인 예에서, 허가된 개인은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700)에서 모드 변경 요청에 액세스했다. 이러한 예에서,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700)는 선반의 전체 에지를 따라 배향된 단일 연속 디스플레이(701)를 포함한다. 도 7a는 사용자 인터페이스(713A)의 파라미터의 변경 전에 2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들(711 및 713a)을 예시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각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711 및 713A)의 가장자리의 형상은 가장자리 내의 텍스트의 크기와 상이하고 또한 이러한 크기를 가진다. 본원에서 설명된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의 동작을 통해, 도 7b는 사용자 인터페이스(713A)의 가장자리의 형상을 변경하기 위한 변경 모드 이후에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700)가 무엇을 닮았는지를 예시한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713b)는 외관이 상이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가장자리의 형상을 가진다. 도 7a로부터 도 7b로 전환하면, 허가된 개인은 파라미터,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713A)의 가장자리의 직사각형 형상을 파라미터,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713B)의, 끝이 삼각형으로 뽀족한 형상을 가진 가장자리가 둥근 모서리의 직사각형으로 변경했다.
[46] 도 8a-도 8b는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양상들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가변 위치의 예를 예시한다. 이러한 예시적인 예에서, 허가된 개인은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800)에서 모드 변경 요청에 액세스했다. 이러한 예에서,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800)는 선반의 전체 에지를 따라 배향된 단일 연속 디스플레이(801)를 포함한다. 도 8a는 사용자 인터페이스(811A 및 813A)의 파라미터의 변경 전에 2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들(811A 및 813A)을 예시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단일 연속 디스플레이(801)내에서 각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811A 및 813A)의 위치는 변경된다. 본원에서 설명된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의 동작을 통해, 도 8b는 두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들(811A 및 813A)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변경 모드 이후에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800)가 무엇을 닮았는지를 예시한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813b)는 단일 연속 디스플레이(801) 내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811B)에 대한 위치 배향을 변경했다. 도 8a로부터 도 8b로 전환하면, 허가된 개인은 2개의 파라미터들,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들(811A 및 813A) 각각의 위치들을 2개의 파라미터,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들(811B 및 813B) 각각의 위치들로 변경했다.
[47] 도 9는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양상들에 따라 콘텐츠를 분배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을 예시한다. 일례에서, 도 9의 단계들 중 하나 이상의 단계는 도 1의 컴퓨팅 디바이스(100) 및/또는 도 2a-도 8b에 도시된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스는 단계(901)에서 시작하며, 단계(901)에서,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는 단일 연속 디스플레이를 통해 2개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출력하며, 각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판매용으로 제공된 제품에 대응한다. 이러한 예는 도 3에 도시된다. 단계(903)로 진행하면,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의 변경 모드가 허가되었는지에 관한 결정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예는 작업자가 도 5b의 생체인식 스캐너(503B)에 자신의 손가락을 놓고 가격을 삽입하고,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의 동작 모드를 변경하도록 작업자에게 허가한 것을 시스템이 인식하게 하는 것일 수 있다.
[48] 만일 동작 모드의 변경이 단계(903)에서 허가되지 않으면, 프로세스는 동작 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명령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단계(905)로 이동하며, 프로세스는 단계(901)로 되돌아가서, 단일 연속 디스플레이를 통해 2개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출력하며, 각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판매용으로 제공되는 제품에 대응한다. 만일 동작 변경 모드가 단계(903)에서 허가되면, 프로세스는 추가 결정이 이루어지는 단계(907)로 이동한다. 단계(907)에서는 파라미터 변경 입력이 수신되었는지에 관한 결정이 이루어진다. 파라미터 변경의 예시된 예는 도 6a 및 도 6b, 도 7a 및 도 7b 및/또는 도 8a 및 도 8b와 관련하여 도시된다. 만일 수신된 파라미터 변경 입력이 존재하지 않으면, 프로세스는 단계(909)로 이동한다. 만일 파라미터 변경 입력이 단계(907)에서 수신되면, 프로세스는 단계(911)로 이동하며, 단계(911)에서 사용자의 텍스트의 크기를 확대하는 것과 같은 파라미터의 변경이 요청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상에서 구현된다. 이후, 프로세스는 단계(913)로 진행한다.
[49] 단계(909)로 되돌아가면, 제품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거하고 그리고/또는 추가하는 입력이 수신되었는지에 대한 추가 결정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예시적인 예는 도 4a 내지 도 4b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415)의 제거와 함께 도시된다. 만일 단계(909)에서 입력이 수신되지 않았다면, 프로세스는 단계(905)로 되돌아갈 수 있으며, 추가로 단계(901)로 되돌아가기 전에 변경 동작 모드로부터 디스플레이 동작 모드로 나갈 수 있다. 만일 입력이 단계(909)에서 수신되면, 프로세스는 단계(915)로 이동하며, 단계(915)에서 입력이 적용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입력에 따라 추가되거나 또는 제거된다. 이후, 프로세스는 단계(913)로 진행한다.
[50] 단계(913)에서는 변경 동작 모드의 추가 변경들이 요청되는지의 여부에 관한 결정이 이루어진다. 만일 요청된 추가 변경들이 존재하면, 프로세스는 단계(907)로 되돌아갈 수 있다. 만일 추가 변경들이 요청되지 않으면, 프로세스는 단계(917)로 진행한다. 단계(917)에서,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의 모드를 변경 동작 모드로부터 디스플레이 동작 모드로 변경하는 동작은, 구현되었을지도 모를 임의의 변경들에 따라 단일 연속 디스플레이를 통해 2개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출력하는 단계(901)로 되돌아 가기 전에 발생하며, 각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판매용으로 제공되는 제품에 대응한다.
[51] 도 10은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양상들에 따라 콘텐츠를 분배하는 또 다른 예시적인 방법을 예시한다. 일 예에서, 도 10의 하나 이상의 단계들은 도 1의 컴퓨팅 디바이스(100) 및/또는 도 2a-8b에 도시된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스가 시작되며 단계(1001)에서, 2개의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들 각각은, 단일 연속 디스플레이를 통해 2개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출력하며, 각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판매용인 제품에 대응한다. 이러한 예가 도 2b에 도시된다. 단계(1003)로 되돌아가서,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들 중 하나에 의해 데이터가 수신되는지에 대한 결정이 이루어진다.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프로세스는 단계(1001)로 리턴될 수 있다. 단계(1003)에서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프로세스는 단계(1005)로 이동한다.
[52] 단계(1005)에서,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는 데이터의 허가를 확인한다. 예를들어, 시스템은 수신되는 데이터가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에 대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 예를들어 도 2a의 데이터베이스(223)로부터의 글로벌 전송인 경우,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는, 단계(1003)에서 수신되는 데이터가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에 대한 것으로 의도되지 않음을 결정할 수 있다. 단계(1005)에서 데이터의 허가 확인시, 프로세스는 단계(1007)로 이동하며, 여기서는 데이터의 출처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들어,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는, 데이터가 스캐너, 예를들어 도 2a의 스캐너(221)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통신으로부터 국부적으로 수신됨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는, 데이터가 도 2a의 주 허브(225) 및 네트워크(210)를 통해 사용자 단말, 예를들어 사용자 단말(227)로부터 수신되는 유선 통신으로부터 원격으로 수신됨을 결정할 수 있다.
[53] 단계(1009)로 이동해서, 단일 연속 디스플레이를 통해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에 의해 현재 출력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에 대한 변경이 필요한지에 대한 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들어, 데이터가 단계 1003에서 수신되고 단계(1005)에서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출력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연관된 제품의 가격에서의 변경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1009)에서 변경이 필요하지 않다면, 프로세스는 단계(1001)로 리턴할 수 있다. 단계(1009)에서 단일 연속 디바이스를 통해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에 의해 현재 출력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에 대한 변경이 필요하다면, 프로세스는 단계(1011)로 이동하며, 여기서는 하나의 연속 디스플레이를 통해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에 의해 현재 출력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에 대한 하나 이상의 변경들이 구현된다. 이후, 프로세스는 단계(1001)로 리턴될 수 있으며, 여기서는 2개의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들 각각이 단일 연속 디스플레이를 통해 2개 이상의 인터페이스들을 출력하며, 각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판매용인 제품에 대응하며, 단계(1003)에서 데이터를 수신한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의 각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단계(1011)에서 구현될 수 있는 임의의 변경들에 따라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출력한다.
[54] 도 11은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양상들에 따라 콘텐츠를 통신하고 분배하기 위한 시스템의 예시적인 블록도를 예시한다. 일 예에서, 도 11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은 도 1의 컴퓨팅 디바이스(100) 및/또는 도 2a-도 10에 도시된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 예에서, 다수의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들의 시스템(1100)은 함께 동작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이 예에서는, 4개의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들이 있다. 각각의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는 선반(1150A-1150D)의 전체 에지를 따라 배향된 단일 디스플레이 영역(1101A-1101D)을 포함한다. 또한, 이 예에서, 셜프들(1150A-D) 각각은 제 1 제품(1121A-1121D), 제 2 제품(1123A-D), 및 제 3 제품(1125A-D)을 각각 보유한다. 단일 연속 디스플레이들(1101A-D) 각각은, 판매용인 각각의 개별 제품에 대해 하나씩 3개의 디지털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들(1111A-D)은, 각각, 사용자 인터페이스(1111A-D) 바로 위 제 1 제품(1121A-D)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유사하게, 사용자 인터페이스들(1113A-D 및 1115A-D)은, 각각, 각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들(1113A-D, 1115A-D) 위에 있는 제 2 제품(1123A-D) 및 제 3 제품(1125A-D)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55]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양상들에 따라, 다양한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들은 고객에게 추가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협력하여(고객) 동작할 수 있다.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들을 나란한(1101A 및 1101B 또는 1101C 및 1101D) 배향으로 배열하고 선반들(1101A 및 1101C 또는 1101B 및 1101D)처럼 하나의 위에 다른 하나가 적층되게 함으로써,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들의 어레이가 구성될 수 있다. 도 11의 예시적인 예에서는, 4개의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들이 2x2 어레이인, 2개의 행들 및 2개의 열들의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들로서 배열된다.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4x1, 3x4, 3x3, 및 4x4 구성들을 비롯한 임의의 수의 추가 어레인지먼트들이 구성될 수 있다.
[56] 다양한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들이 함께 동작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판매기는 고객들을 유인하기 위해 임의의 수의 원하는 방식들의 디스플레이들을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들은 단일 제품, 단일 타입의 제품, 단일 브랜드명 등을 홍보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다수의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들에 걸쳐 스패닝되는 애니메이션 및/또는 그래픽들이 구현될 수 있다.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들의 디스플레이 상에서의 상이한 출력들은 통로에서, 특정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 부근에서, 그리고/또는 소매 상점의 다른 어떤 장소에서 고객의 존재를 검출하는 것에 기초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원에 설명된 것처럼, 원하는 결과 및/또는 효과에 따라 상이한 디스플레이 모드들이 구현될 수 있다.
[57] 이러한 일 예에서, 매 10-15초들마다, 하나 이상의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들 상의 디스플레이는 일부 방식으로 출력되는 것을 변경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들은 매우 역동적인 빌보드로서의 역할을 하는 디스플레이 출력에서는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출력이 보다 일정한 빌보드로서 서빙되든지 아니면 움직이든지 간에,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들은 함께 동작할 수 있다.
[58] 일 실시예에서, 고객은 멀리서 이러한 변화하는 디스플레이 출력 또는 정지상태 디스플레이 출력을 볼 수 있고 이로 유인될 수 있다. 변화하는 디스플레이 출력 또는 정지상태 디스플레이 출력이 제 1 디스플레이 동작 모드일 수 있다. 이에 응답하여, 고객은 선반에 접근할 수 있다. 고객이 선반에 접근함에 따라, 하나 이상의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들은 예를들어 근접 센서에 의해 고객의 존재를 감지할 수 있고, 또 다른 디스플레이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이런 예에서,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들과 연관된 제품과 같은 제품에 대한 특정 광고가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광고는 제품이 판매중임의 통지일 수 있다. 일단 고객이 주어진 시간 기간, 예를들어 3-5초 동안 특정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의 정면에 있다면,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는 또 다른 디스플레이 모드로 전환될 수 있으며, 여기서는 SKU 특정 가격 및 패지징 정보가 각 제품 아래에 나타날 수 있다.
[59]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는,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가 배향되는 선반에 포함되는 푸셔 어셈블리(pusher assembly)와 동작할 수 있다. 푸셔 어셈블리는, 제품이 스택으로부터 제거될 때 제품들의 스택 뒤로 압력을 가해 선반의 정면을 향해 전방으로 스택을 푸시하도록 구성된 푸셔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푸셔 어셈블리는 어셈블리의 일부 부분들과 관련하여 푸셔의 위치을 결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제품들의 스택은 10개의 제품들로 맞춰지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푸셔 어셈블리에는 플로어(floor)가 통합될 수 있는데, 플로어는 푸셔가 제품과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10개의 위치들 각각에 트랙커(tracker) 컴포넌트를 포함한다. 푸셔가 트랙커 컴포넌트에 도달하면, 푸셔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가 알려질 수 있고 이러한 데이터는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로 전송될 수 있다.
[60] 유사하게, 다른 데이터가 마찬가지로 필요에 따라 결정되고 전송될 수 있다. 예를들어, 선반 및/또는 푸셔 어셈블리와 관련하여 푸셔의 움직임이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결정은 위치에 기초할 수 있으며 움직임 결정시 이용할 타이머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예들에서는,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와 연관된 제품의 제품 레벨에서의 변화율이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원래 50개의 아이템들의 제품이 비축된 선반은 일정 시간 기간, 예를들어 한 시간 후 단지 15개 아이템들의 제품이 남아 있는 것으로 결정되며, 선반상에 제품을 재비축하도록 판매기의 작업자에게 통지가 전송될 수 있다. 유사하게, 이러한 데이터는 제품과 연관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변경하기 위해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에 전송될 수 있다. 동일한 예의 경우, 단지 15 아이템들의 제품이 남아있는 것과 관련한 데이터를 수신되면,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정보를 변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마지막 재고 15개 남았음!"의 발광하는/깜빡이는 디스플레이 출력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거나, 또는 디스플레이 출력이 자동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의 가격을 10% 낮출 수 있거나 또는 디스플레이는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의 구역에서 작업자의 존재를 결정할 시 발광/깜빡일 수 있다.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는, 예를들어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와 연관된 그리고/또는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내에 포함된 센서의 감지 범위 내에서 작업자의 NFC 인에이블드 액세스 카드(NFC)를 감지함으로써, 작업자의 존재를 감지할 수 있다.
[61] 다른 데이터가 푸셔 및/또는 푸셔 어셈블리로부터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로 통신되고 그리고/또는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들어,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는 연관된 제품에 관한 데이터로 프로그램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로컬 또는 원격 소스, 예를들어 도 2a의 데이터베이스(223)로부터 이러한 데이터에 액세스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제품은 기간만료(expiration) 데이터를 가질 수 있다. 예를들어, 제품은 우유일 수 있으며 선반상의 판매용 특정 제품들은 모두 동일한 기간만료일을 가질 수 있다. 임계치는, 고객들을 위해서든 아니면 더 나중의 기간만료일들을 갖는 더 새로운 우유 아이템들을 위해서든, 선반으로부터 우유 아이템을 제거시키기 위해 기간만료일에 대해 남아있는 우유 아이템들의 수를 파악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하나의 시나리오에서, 시스템은, 기간만료일을 충족할 때까지의 시간이 임계치로 줄어들게 됨에 따라 우유의 값을 더 낮출 수 있다. 기간만료일이 일주일남았으면,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는 우유에 대한 가격을 $2로 출력할 수 있다. 기간만료일이 4일 남았을 때, 가격은 10% 감소되거나 가격이 $0.25 만큼 떨어질 수 있다. 기간만료일이 2일 남았을 때 일부 우유가 남아있다면, 가격은 50% 감소되거나 가격이 $1 만큼 떨어질 수 있다. 또 다른 시나리오들에서, 기간만료일이 임계치에 다가감에 따라, 판매기의 작업자에게 일부 방식으로 통지가 제공될 수 있다. 작업자는, 우유가 교체될 필요가 있다거나 또는 우유가 곧 교체될 필요가 있을 수도 있다는 것을 텍스트 또는 이메일, 헨드핸드 스캐너상의 통지 및/또는 일부 다른방식으로 수신할 수 있다.
[62] 제품에 대한 하나의 예시적인 정보는 또한 푸셔 및/또는 푸셔 어셈블리로부터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에 통신되고 그리고/또는 이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예들은 다른 제품에 대하여 남아있는 제품의 양을 결정하는 것 및 이에 응답하여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변경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들어,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는 경쟁 제품 및/또는 관련 제품(예를들어, 치약 대 칫솔)에 대한 데이터를 결정하거나 또는 이 데이터를 다른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데이터를 활용하면,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는 자신과 연관된 제품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예를들어 제품의 가격을 변경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에서 가격 변경이 언제 그리고 어떤 환경들하에서 발생하는지를 조절하기 위한 알고리즘들이 설정될 수 있다.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는 이를 수행하고 그리고/또는 제품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변경되어야 한다는 그 자신의 결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허가를 위해 원격 소스에 액세스할 수 있다. 따라서, 제품이 움직이는 것보다 훨씬 빠른 방식으로 경쟁 제품이 선반으로부터 움직인다고 결정되면 그 제품에 대하여 가격 인하가 발생할 수 있다.
[63] 앞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들은 단순히 비제한적인 예이며, 임의의 원하는 방식으로 재배열되고, 결합되고, 세분되며, 생략되며 그리고/또는 변경될 수 있다. 예를들어, 본원에서 설명된 컴퓨팅 디바이스(도 1에 예시된 디바이스들 중 하나일 수 있음)의 특징들은 다수의 프로세서들 및 컴퓨팅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세분될 수 있다. 본 특허의 진정한 범위는 이하의 청구항들에 의해서만 한정되어야 한다.

Claims (20)

  1.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디지털 디스플레이 ― 상기 디지털 디스플레이는 상점의 선반(shelf)의 전체 에지를 따라 배향(oriented)된 단일 연속 디스플레이이고, 상기 디지털 디스플레이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드 동작으로부터 복수의 정보를 출력하고,
    복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제공하고 ― 상기 복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은 상기 복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위한 복수의 개별 시각적 프레임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디지털 분할기 라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개별 시각적 프레임의 디스플레이 영역은 제품이 차지하는 상기 상점의 선반의 영역에 정비례함 ―, 그리고
    허가된 개인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의 파라미터(parameter)를 편집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 상기 파라미터는 상기 디지털 분할기 라인의 위치 또는 상기 디지털 분할기 라인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구성됨 ―,
    적어도 두개의 모드들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된 로킹 메커니즘(locking mechanism) ― 상기 적어도 두개의 모드들은, 상기 허가된 개인이 상기 파라미터를 편집하는 것을 허용하는 제 1 모드 및 비허가된 개인이 상기 파라미터를 편집하는 것을 막는 제 2 모드를 포함함 ―;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들을 저장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복수의 정보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를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장치로 하여금, 상기 복수의 정보를 상기 디지털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도록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디스플레이는 상기 상점의 선반의 전체 에지로부터 제거되도록 구성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디스플레이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이며, 상기 디지털 디스플레이는 터치에 의해 상기 허가된 개인이 상기 디지털 디스플레이를 터치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의 파라미터를 편집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추가로 구성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디스플레이는 복수의 디지털 디스플레이들과 함께 동작하도록 추가로 구성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드 동작로부터의 상기 복수의 정보는 텍스트 데이터, 그래픽, 동적 콘텐츠, 또는 이들의 조합들인,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근접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근접 센서는 고객의 존재를 검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드 동작은 상기 고객의 존재를 검출함에 따라 제2 디스플레이 모드 동작으로 전환되고, 상기 디지털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드 동작으로부터 복수의 정보를 출력하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드 동작으로부터의 상기 복수의 정보는 텍스트 데이터, 그래픽, 동적 콘텐츠, 또는 이들의 조합들인,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 센서는 상기 고객이 상기 디지털 디스플레이 앞에 3 내지 5초 동안 있는 것을 검출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드 동작은 제3 디스플레이 모드 동작으로 전환되고, 상기 디지털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3 디스플레이 모드 동작으로부터 복수의 정보를 출력하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디스플레이 모드 동작으로부터의 상기 복수의 정보는 텍스트 데이터, 그래픽, 동적 콘텐츠, 또는 이들의 조합들인,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개인 제스처들의 인식을 위해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더 포함하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은 상기 개인 제스처들의 인식에 의해 조작되도록 구성된,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점의 선반 상에 남아 있는 제품의 양을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된, 장치.
  13. 방법으로서,
    상점의 선반 상에, 상기 선반의 에지를 따라 제거가능하게 장착되도록 구성된 선반 에지 라벨 디지털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단계 ― 상기 디지털 디스플레이는 단일 연속 디스플레이임 ―;
    제1 디스플레이 모드 동작으로부터의 복수의 정보를 상기 디지털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하는 단계 ―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드 동작으로부터의 복수의 정보는 텍스트 데이터, 그래픽, 동적 콘텐츠, 또는 이들의 조합들이며 제품과 관련됨 ―;
    상기 디지털 디스플레이 상에 복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제공하는 단계 ― 상기 복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은 상기 복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위한 복수의 개별 시각적 프레임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디지털 분할기 라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개별 시각적 프레임의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제품이 차지하는 상기 상점의 선반의 영역에 정비례함 ―;
    허가된 개인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의 파라미터를 편집하는 것을 허용하는 단계 ― 상기 파라미터는 상기 디지털 분할기 라인의 위치 또는 상기 디지털 분할기 라인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
    적어도 두개의 모드들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된 로킹 메커니즘을 제공하는 단계 ― 상기 적어도 두개의 모드들은, 상기 허가된 개인이 상기 파라미터를 편집하는 것을 허용하는 제 1 모드 및 비허가된 개인이 상기 파라미터를 편집하는 것을 막는 제 2 모드를 포함함 ―; 및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복수의 정보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디스플레이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이며, 상기 허용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허가된 개인이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터치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의 파라미터를 편집하는 것을 허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디스플레이가 복수의 디지털 디스플레이들과 함께 동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근접 센서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근접 센서는 고객의 존재를 검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드 동작으로부터의 복수의 정보를 상기 디지털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고객의 존재를 검출함에 따라 제2 디스플레이 모드 동작으로부터의 복수의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로 전환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드 동작으로부터의 복수의 정보는 텍스트 데이터, 그래픽, 동적 콘텐츠, 또는 이들의 조합들인,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 센서는 상기 고객이 상기 디지털 디스플레이 앞에 3 내지 5초 동안 있는 것을 검출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드 동작으로부터의 복수의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디지털 디스플레이 앞에 상기 고객이 검출됨에 따라 제3 디스플레이 모드 동작으로부터의 복수의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로 전환되고, 상기 제3 디스플레이 모드 동작으로부터의 복수의 정보는 텍스트 데이터, 그래픽, 동적 콘텐츠, 또는 이들의 조합들인, 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개인 제스처들의 인식을 위해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은 상기 개인 제스처들의 인식에 의해 조작되도록 구성된, 방법.
  20. 삭제
KR1020207002962A 2013-03-15 2014-03-14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 KR1023075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7030818A KR102375763B1 (ko) 2013-03-15 2014-03-14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836,680 US9898712B2 (en) 2004-02-03 2013-03-15 Continuous display shelf edge label device
US13/836,680 2013-03-15
KR1020187015060A KR102073893B1 (ko) 2013-03-15 2014-03-14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
PCT/US2014/029124 WO2014144631A2 (en) 2013-03-15 2014-03-14 Continuous display shelf edge label devic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5060A Division KR102073893B1 (ko) 2013-03-15 2014-03-14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0818A Division KR102375763B1 (ko) 2013-03-15 2014-03-14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3812A KR20200013812A (ko) 2020-02-07
KR102307535B1 true KR102307535B1 (ko) 2021-09-29

Family

ID=50694000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5060A KR102073893B1 (ko) 2013-03-15 2014-03-14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
KR1020217030818A KR102375763B1 (ko) 2013-03-15 2014-03-14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
KR1020157029832A KR101863894B1 (ko) 2013-03-15 2014-03-14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
KR1020207002962A KR102307535B1 (ko) 2013-03-15 2014-03-14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5060A KR102073893B1 (ko) 2013-03-15 2014-03-14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
KR1020217030818A KR102375763B1 (ko) 2013-03-15 2014-03-14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
KR1020157029832A KR101863894B1 (ko) 2013-03-15 2014-03-14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2972762B1 (ko)
KR (4) KR102073893B1 (ko)
CN (2) CN110096246A (ko)
AU (1) AU2014228923B2 (ko)
BR (1) BR112015023437B1 (ko)
WO (1) WO201414463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38396B2 (en) 2004-02-03 2015-01-20 Rtc Industries, Inc. System for inventory management
US9898712B2 (en) 2004-02-03 2018-02-20 Rtc Industries, Inc. Continuous display shelf edge label device
US9818148B2 (en) 2013-03-05 2017-11-14 Rtc Industries, Inc. In-store item alert architecture
US11182738B2 (en) 2014-11-12 2021-11-23 Rtc Industries, Inc. System for inventory management
US11109692B2 (en) 2014-11-12 2021-09-07 Rtc Industr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erchandizing electronic displays
TWI612477B (zh) * 2016-08-31 2018-01-21 聯相光電股份有限公司 光能電子顯示裝置
WO2019091566A1 (en) * 2017-11-10 2019-05-16 Ses-Imagotag Gmbh Electronic shelf label system with positioned virtual shelf labels and a method of positioning said virtual shelf labels
US11694582B2 (en) * 2019-01-12 2023-07-04 Ses-Imagotag Gmbh Electronic shelf label with interaction interface
WO2020143923A1 (en) * 2019-01-12 2020-07-16 Ses-Imagotag Gmbh Electronic shelf label and shelf illumination devices
CN109933378A (zh) * 2019-01-30 2019-06-25 北京无线体育俱乐部有限公司 信息配置、显示方法、设备、系统及存储介质
CN110364084B (zh) * 2019-07-01 2022-02-25 苏宁云计算有限公司 一种电子标签的显示控制方法及装置
KR20210144155A (ko) * 2020-05-21 2021-11-30 주식회사 라인어스 터치 입력이 가능한 바형태 전자 가격 표시기
KR20210144156A (ko) 2020-05-21 2021-11-30 주식회사 라인어스 전자 가격 표시기 제어 방법
KR20220017599A (ko) * 2020-08-05 2022-02-14 주식회사 라인어스 전자 가격 표시기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 관리 장치
KR102626535B1 (ko) * 2021-06-30 2024-01-18 손승희 가격표시 제어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58854A (ja) * 2010-09-06 2012-03-22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ジェスチャ認識装置及び方法
JP2012089140A (ja) * 2005-02-10 2012-05-10 Fujitsu Ltd 情報提供装置および情報提供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608A (ja) * 1993-05-06 1995-01-20 Hitachi Ltd 電子棚ラベルシステム
US5537312A (en) * 1993-05-06 1996-07-16 Hitachi, Ltd. Electronic rack labeling system
US8009348B2 (en) * 1999-05-03 2011-08-30 E Ink Corporation Machine-readable displays
US20050108098A1 (en) * 2003-11-13 2005-05-19 Majid Syed Network controlled retail shelf display receiver system and method
KR20050066397A (ko) * 2003-12-26 2005-06-30 강용준 소비자의 접근을 감지하여 상품 광고를 출력하는 진열대광고 장치 및 진열대 광고 장치가 구비된 상품 진열대
US20050149414A1 (en) * 2003-12-30 2005-07-0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RFID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out-of-stock items
US9424589B2 (en) * 2005-04-29 2016-08-23 Mercatus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nabling and managing ordering information within a network
CN101472509B (zh) * 2005-09-12 2011-06-15 Rtc工业股份有限公司 具有无轨推进器机构的产品管理展示系统
JP2007284238A (ja) * 2006-04-20 2007-11-01 Ishida Co Ltd 仕分システム
US20080255960A1 (en) * 2006-07-05 2008-10-16 Martin Khang Nguyen Managing retail transactions
US20080164310A1 (en) * 2007-01-09 2008-07-10 Dupuy Charles G Labeling system
JP5228106B2 (ja) * 2008-07-15 2013-07-03 株式会社オプトエレクトロニクス 電子棚札の管理方法及び電子棚札システム
US20120004769A1 (en) * 2008-10-22 2012-01-05 Newzoom, Inc. Automated retail shelf units and systems
US9361061B2 (en) * 2010-11-12 2016-06-07 The Sinclair Group, Inc. Electronic retail shelf pricing and promotional display modular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89140A (ja) * 2005-02-10 2012-05-10 Fujitsu Ltd 情報提供装置および情報提供システム
JP2012058854A (ja) * 2010-09-06 2012-03-22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ジェスチャ認識装置及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44631A2 (en) 2014-09-18
KR20210122886A (ko) 2021-10-12
KR102073893B1 (ko) 2020-02-05
CN105229594A (zh) 2016-01-06
BR112015023437A2 (pt) 2017-07-18
KR20200013812A (ko) 2020-02-07
KR101863894B1 (ko) 2018-06-01
WO2014144631A3 (en) 2015-06-04
BR112015023437B1 (pt) 2022-05-03
AU2014228923A1 (en) 2015-10-29
EP2972762B1 (en) 2017-11-08
BR112015023437A8 (pt) 2019-12-03
AU2014228923B2 (en) 2017-06-15
CN105229594B (zh) 2019-04-26
KR20150131342A (ko) 2015-11-24
CN110096246A (zh) 2019-08-06
KR102375763B1 (ko) 2022-03-16
EP2972762A4 (en) 2016-09-21
EP2972762A2 (en) 2016-01-20
KR20180061420A (ko) 2018-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7535B1 (ko)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
US11397914B2 (en) Continuous display shelf edge label device
KR20120134694A (ko) 매장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
US9491368B2 (en) Information obtaining and viewing device, data processing method thereof,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storing a program
CN112073767B (zh) 一种显示设备
EP3331227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2017022803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teractive content
US20170038924A1 (en) Graphical user interface indicating virtual storage of consumable items
CN104243749A (zh) 图像形成装置及图像形成装置的控制方法
CN106030578A (zh) 搜索系统、服务器系统以及搜索系统和服务器系统的控制方法
JP6048475B2 (ja) コンテンツ出力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09683711B (zh) 产品展示方法及装置
CN106155462A (zh) 一种界面交互方法及装置
WO2016033033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esenting information
JP6586904B2 (ja) 画像表示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KR20210144155A (ko) 터치 입력이 가능한 바형태 전자 가격 표시기
US10915753B2 (en) Operation assistance apparatus, operation assistance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US2019024458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US20190102831A1 (en) System and Method for Virtual Display of Customized Products in a Facility
JP7477439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7477438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US2021025315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JP2015007863A (ja) 広告配信システム
KR20230046688A (ko) Xr 컨텐츠를 활용한 모바일 쇼핑 플랫폼
US20180137559A1 (en) Virtual reality shopp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