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7521B1 - 휴대용 항행신호 계측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항행신호 계측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7521B1
KR102307521B1 KR1020210037534A KR20210037534A KR102307521B1 KR 102307521 B1 KR102307521 B1 KR 102307521B1 KR 1020210037534 A KR1020210037534 A KR 1020210037534A KR 20210037534 A KR20210037534 A KR 20210037534A KR 102307521 B1 KR102307521 B1 KR 1023075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surement
limiting
navigation signal
cas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7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훈석
강영수
채지웅
이승희
이재범
이달주
오경환
이의룡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엔테크
이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엔테크, 이달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엔테크
Priority to KR1020210037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75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7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75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0Instruments for performing navigational calcul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3/00Combined instruments indicating more than one navigational value, e.g. for aircraft; Combined measuring device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of movement, e.g. distance, speed or acceleration
    • G01C23/005Flight direc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30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n instrument;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 set of instru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5/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aircraft, e.g. air-traffic control [ATC]
    • G08G5/0017Arrangements for implementing traffic-related aircraft activities, e.g. arrangements for generating, displaying, acquiring or managing traffic information
    • G08G5/0021Arrangements for implementing traffic-related aircraft activities, e.g. arrangements for generating, displaying, acquiring or managing traffic information located in the aircr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행시설의 항행신호를 모니터링 하는 휴대용 항행신호 계측기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부; 상기 수용공간 상에 배치되며 항생신호를 모니터링 하는 복수의 계측부; 상기 계측부의 양측에 연결되는 매개부; 및 상기 계측부가 상기 수용공간 상에 고정되도록 상기 매개부와 상기 케이스부 간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항행신호 계측기{PORTABLE INSTRUMENT FOR ANALSING NAVAID SIGNAL}
본 발명은 휴대용 항행신호 계측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항공기에 탑재되어 항행시설의 항행신호를 모니터링 하는 휴대용 항행신호 계측기에 관한 것이다.
계기착륙시스템(Instrument Landing System, 이하 ILS)은 지상에 설치된 장치가 접근이나 착륙을 위해 진입하는 항공기에 대하여 지향성 전파를 송신함으로써, 항공기가 활주로로 진입하는 방향 및 각도를 알려준다.
종래의 항공기의 정밀 접근 및 착륙을 위한 신호측정기술로, ILS는 활주로 중심선의 정보를 제공하는 로컬라이저(Localizer), 활공각 정보를 제공하는 글라이드 패스(Glide Path),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마커비콘(Marker Beacon)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0005] 로칼라이저는 활주로 정지말단에서 300m 떨어진 거리에 활주로 진입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로칼라이저 송신기가 108~112MHz 의 반송파 주파수를 90Hz 및 150Hz 저주파 신호로 변조하여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면, 90Hz 와 150Hz변조신호의 세기가 동일하게 나타나는 지점이 착륙 시 수평진입경로가 되게 함으로써, 활주로에 접근하는 항공기에게 활주로 중심선정보를 제공해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글라이드 패스는 활주로 진입말단 근처에 설치하며, 로칼라이저와 유사하게 90Hz 와 150Hz변조신호의 세기가 동일하게 나타나는 지점이 착륙 시 3도 수직진입경로가 되게 함으로써, 활주로에 착륙하기 위하여 접근중인 항공기에게 활공각 정보를 제공해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마커비콘은 항공기가 계기접근비행 중에 직진입 접근로 또는 선회로의 특정지점 통과를 조종사에게 알리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상술한 ILS의 신호특성은 여러 개의 배열안테나에서 개별적으로 송신된 신호가 공간상에서 공간변조 되어 생성하고자 하는 신호를 형성한다.
형성된 신호가 정상적이지 못한 경우 항공기의 추락사고가 발생될 수 있으며 실제 괌에서 발생된 대한항공 추락사고는 비정상적인 ILS신호를 수신하여 발생한 사고이다.
따라서, 지상에 설치된 장치에서 발생시키는 ILS의 신호가 정상적인지 여부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본 발명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66683 B1 (2020.10.12)호에서 드론을 이용한 항행시설 신호 분석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한 바 있다.
그러나, 드론뿐만 아니라 항공기에 설치되어 항행시설의 항행신호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휴대용 항행신호 계측기를 개발할 필요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항공기에 쉽게 설치가 가능하한 휴대용 항행신호 계측기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행시설의 항행신호를 모니터링 하는 휴대용 항행신호 계측기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부; 상기 수용공간 상에 배치되며 항생신호를 모니터링 하는 복수의 계측부; 상기 계측부의 양측에 연결되는 매개부; 및 상기 계측부가 상기 수용공간 상에 고정되도록 상기 매개부와 상기 케이스부 간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항행신호 계측기에 의하면 사용자가 용이하게 항공기에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항행신호 계측기의 개략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항행신호 계측기의 케이스부와 연결부 간의 연결관계 및 케이스부와 제한부 간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항행신호 계측기의 계측부와 매개부 간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분해 사시도 및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항행신호 계측기의 방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행시설의 항행신호를 모니터링 하는 휴대용 항행신호 계측기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부; 상기 수용공간 상에 배치되며 항생신호를 모니터링 하는 복수의 계측부; 상기 계측부의 양측에 연결되는 매개부; 및 상기 계측부가 상기 수용공간 상에 고정되도록 상기 매개부와 상기 케이스부 간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연결부는 높이 방향으로 상기 매개부를 체결하는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체결공을 복수 개 형성할 수 있다.
또, 상기 연결부는 상기 케이스부 상에서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또, 상기 매개부는 상기 계측부와 연결되는 매개본체부 및 상기 매개본체부의 양측으로부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매개연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매개연장부는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연결부에 고정될 수 있다.
또, 상기 케이스부에 연결되며, 상기 계측부가 상기 수용공간 상에서 상기 폭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제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제한부는 상기 케이스부 상에서 상기 폭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또, 상기 수용공간 상에 배치된 복수 개의 상기 계측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복수 개의 상기 계측부 간의 충돌을 방지하는 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방지부는 복수개의 상기 계측부 사이에 배치되는 방지본체부, 상기 방지본체부의 양측으로부터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지연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방지연장부는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연결부에 고정될 수 있다.
또, 상기 방지부는 상기 방지본체부의 상측 및 하측에 배치되는 완충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항행신호 계측기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항행신호 계측기의 케이스부와 연결부 간의 연결관계 및 케이스부와 제한부 간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항행신호 계측기의 계측부와 매개부 간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분해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항행신호 계측기의 방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떨어지거나 당업자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는 부분은 간략화 하거나 생략하였다.
우선 방향에 대한 용어를 정의하자면, 도 2를 참조할 때, 폭 방향은 좌우 방향을 의미할 수 있고, 높이 방향은 상하 방향을 의미할 수 있으며, 길이 방향은 상기 폭 방향 및 상기 길이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항행신호 계측기(10)는 항행시설의 항행신호를 모니터링 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일례로, 활주로에는 비행기의 접근 및/또는 착륙을 유도하는 항행신호를 송출하는 항생시설이 설치될 수 있다.
항행시설은 신호를 송출하는 신호 발생기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신호 발생기는 신호 종류에 따라 로컬라이저(Localizer), 글라이드 패스(Glide Path), 마커비콘(Marker Beacon), 전방향무선표지시설(VOR), 전술항법장치(TACAN) 및/또는 거리측정시설(DME)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휴대용 항행신호 계측기(10, 이하, '계측기')는 항생신호를 모니터링 하도록 항공기에 설치되어 활주로 주변을 비행하면서 신호 발생기가 송출하는 항행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계측기(1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겠다.
일례로, 상기 계측기(10)는 수용공간(S1)을 형성하는 케이스부(100) 및 상기 수용공간(S1) 상에 배치되며 항생신호를 모니터링 하는 복수의 계측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케이스부(100)는 상기 계측부(200)가 항공기 내에 요동되지 않고 위치 고정되도록 항공기 내부에 밸트 또는 볼트 등의 고정부재에 의해 소정의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케이스부(100)는 상기 계측부(200)가 배치되는 상기 수용공간(S1)을 형성할 수 있으며, 직육면체에서 상기 길이 방향으로 개구가 형성된 박스 형상일 수 있다.
즉, 상기 케이스부(100)는 상판, 하판과 상기 폭 방향으로의 2개의 측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계측부(200)는 항행신호를 수신한 후 신호 처리를 하여 항행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계측부(200)는 항행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신호 처리를 하는 컨트롤러, 처리한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계측부(200)는 복수 개로서 상기 수용공간(S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계측기(10)는 상기 계측부(200)의 양측에 연결되는 매개부(300) 및 상기 계측부(200)가 상기 수용공간(S1) 상에 고정되도록 상기 매개부(300)와 상기 케이스부(100) 간을 연결하는 연결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연결부(400)의 상단 및 하단은 각각 상기 케이스부(100)의 상측과 하측에 연결되어 상기 수용공간(S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연결부(400)는 상기 수용공간(S1) 상에 상호 이격되어 복수 개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연결부(400)는 상기 폭 방향 및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상기 수용공간(S1) 상에 4개가 배치(도 2에는 2개의 연결부(400)만 도시함)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연결부(400)는 상기 높이 방향으로 상기 매개부(300)를 체결하는 체결부재(T)가 체결되는 체결공(H1)을 복수 개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부(400)는 상기 높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복수 개의 상기 체결공(H1)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매개부(300)는 상기 체결부재(T)가 체결되는 관통공(H2)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체결부재(T)는 상기 매개부(300)의 상기 관통공(H2)과 상기 연결부(400)의 상기 체결공(H1)을 통해 상기 연결부(400)와 상기 매개부(300)를 상호 연결/고정시킬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체결부재(T)는 볼트 및 너트일 수 있다.
상기 체결공(H1)이 상기 높이 방향으로 복수 개 형성됨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높이 방향으로 원하는 높이에 상기 매개부(300)를 상기 연결부(400)에 연결/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연결부(400)는 상기 케이스부(100) 상에서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케이스부(100)의 상측판 및 하측판은 상기 연결부(400)가 슬라이딩 되도록 상기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홈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연결부(400)의 상단 및 하단에는 슬라이딩 홈에 삽입되는 돌출부를 형성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는 상기 길이 방향으로의 상기 계측부(200)의 길이에 맞추어 상기 연결부(400)를 상기 케이스부(100) 상에서 상기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시켜 원하는 위치에 상기 연결부(400)를 위치시킬 수 있다.
이 후, 사용자는 고정못(미 도시) 등의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연결부(400)를 상기 케이스부(100) 상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계측기(10)는 상기 케이스부(100)에 연결되며, 상기 계측부(200)가 상기 수용공간(S1) 상에서 상기 폭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제한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제한부(500)는 상기 케이스부(100) 상에서 상기 폭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케이스부(100)의 상측판은 상기 제한부(500)가 슬라이딩 되도록 상기 폭 방향으로 슬라이딩 홈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제한부(500)의 상단에는 슬라이딩 홈에 삽입되는 돌출부를 형성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는 상기 폭 방향으로의 상기 계측부(200)의 길이에 맞추어 상기 제한부(500)를 상기 케이스부(100) 상에서 상기 폭 방향으로 슬라이딩 시켜 원하는 위치에 상기 제한부(500)를 위치시킬 수 있다.
이 후, 사용자는 고정못(미 도시) 등의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제한부(500)를 상기 케이스부(100) 상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제한부(500)는 상기 케이스부(100)의 상측판에 연결되는 제1 제한부(510) 및 상기 제1 제한부(510)로부터 상기 높이 방향으로 길이 조절되는 제2 제한부(520)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제한부(520)는 상기 제1 제한부(510)가 형성하는 중공 내에 삽입되어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제한부(510)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높이 방향으로 상기 제1 제한부(510)로부터 돌출되는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제한부(520)는 탄성체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매개부(300)는 상기 계측부(200)와 연결되는 매개본체부(310) 및 상기 매개본체부(310)의 양측으로부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매개연장부(320)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매개부(300)는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계측부(20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매개본체부(310)는 상기 계측부(20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여 상기 계측부(200)의 적어도 일부를 포위하는 포위 공간(S2)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포위 공간(S2)에 삽입된 상기 계측부(200)는 상기 매개본체부(310)에 의해 상기 길이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매개연장부(320)는 상기 매개본체부(310)의 상기 폭 방향으로의 양측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400)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체결부재(T)가 체결되는 상기 관통공(H2)을 형성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매개연장부(320)는 상기 체결부재(T)에 의해 상기 연결부(400)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계측부(200)의 일측에 연결된 상기 매개부(300)의 상기 매개연장부(320)는 2개의 상기 연결부(400)에 고정될 수 있고,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계측부(200)의 타측에 연결된 상기 매개부(300)의 상기 매개연장부(320)는 또 다른 2개의 상기 연결부(40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일례로, 상기 매개부(300)는 상기 매개본체부(310) 또는 상기 매개연장부(320)로부터 돌출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부(A)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손잡이부(A)는 상기 매개본체부(310) 또는 상기 매개연장부(320)로부터 상기 길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앞서 설명한 구성들을 바탕으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자면, 상기 계측부(200)는 상기 수용공간(S1) 상의 최하측에 배치된 제1 계측부(210), 상기 제1 계측부(210) 상측에 배치된 제2 계측부(220) 및 상기 제2 계측부(220) 상측에 배치된 제3 계측부(23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계측부(210) 및 상기 제2 계측부(220)는 각각 상기 길이 방향으로 일측과 타측에 상기 매개부(300)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매개부(300)는 상기 체결부재(T)체 의해 상기 연결부(400)에 고정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제1 계측부(210) 및 상기 제2 계측부(220)는 상기 수용공간(S1) 상에서 위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3 계측부(230)는 상기 제한부(500)에 접촉되어 상기 제한부(500)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S1) 상에서 위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2 제한부(520)는 탄성을 가진다는 점에서 상기 제3 계측부(230)로 탄성력을 가하여 보다 견고하게 상기 제3 계측부(230)를 위치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계측기(10)는 상기 수용공간(S1) 상에 배치된 복수 개의 상기 계측부(200)의 사이에 배치되어 복수 개의 상기 계측부(200) 간의 충돌을 방지하는 방지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방지부(600)는 상기 제1 계측부(210)와 상기 제2 계측부(220)가 상호 충돌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 계측부(210)와 상기 제2 계측부(2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방지부(600)는 복수 개의 상기 계측부(200) 사이에 배치되는 방지본체부(610), 상기 방지본체부(610)의 양측으로부터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지연장부(620)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방지본체부(610)는 사각 형상의 철판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계측부(210)와 상기 제2 계측부(2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방지연장부(620)는 상기 방지본체부(610)의 상기 폭 방향의 양단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으며, 총 4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방지연장부(620)는 상기 연결부(400)에 연결되도록 상기 체결부재(T)가 체결될 수 있는 통과홀(H3)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통과홀(H3)은 상기 폭 방향보다 상기 높이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장공홀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방지부(600)는 상기 방지본체부(610)의 상측 및 하측에 배치되는 완충부(6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완충부(630)는 스펀지와 같은 재질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계측부(210) 및 상기 제2 계측부(22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계측부(210) 및 상기 제2 계측부(220)가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며, 외력을 완충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항행신호 계측기(10)에 의하면 사용자가 상기 계측부(200)를 항공기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케이스부
200: 계측부
300: 매개부
400: 연결부

Claims (9)

  1. 항행시설의 항행신호를 모니터링 하는 휴대용 항행신호 계측기에 있어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부;
    상기 수용공간 상에 배치되며 항행신호를 모니터링 하는 복수의 계측부;
    상기 계측부의 양측에 연결되는 매개부; 및
    상기 계측부가 상기 수용공간 상에 고정되도록 상기 매개부와 상기 케이스부 간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높이 방향으로 상기 매개부를 체결하는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체결공을 복수개 형성하고,
    상기 연결부는,
    길이 방향으로의 상기 계측부의 길이에 맞추도록 상기 케이스부 상에서 상기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며,
    상기 매개부는,
    상기 계측부와 연결되는 매개본체부 및
    상기 매개본체부의 양측으로부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매개연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매개연장부는,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연결부에 고정되고,
    상기 케이스부에 연결되며, 상기 계측부가 상기 수용공간 상에서 상기 폭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제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한부는,
    상기 폭 방향으로의 상기 계측부의 길이에 맞추도록 상기 케이스부 상에서 상기 폭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고,
    상기 제한부는,
    상기 케이스부의 상측판에 연결되는 제1 제한부 및
    상기 제1 제한부로부터 상기 높이 방향으로 길이 조절되는 제2 제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제한부는,
    탄성체인,
    휴대용 항행신호 계측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 상에 배치된 복수 개의 상기 계측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복수 개의 상기 계측부 간의 충돌을 방지하는 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항행신호 계측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방지부는,
    복수개의 상기 계측부 사이에 배치되는 방지본체부,
    상기 방지본체부의 양측으로부터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지연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방지연장부는,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연결부에 고정되는,
    휴대용 항행신호 계측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방지부는,
    상기 방지본체부의 상측 및 하측에 배치되는 완충부를 더 구비하는,
    휴대용 항행신호 계측기.
KR1020210037534A 2021-03-23 2021-03-23 휴대용 항행신호 계측기 KR1023075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7534A KR102307521B1 (ko) 2021-03-23 2021-03-23 휴대용 항행신호 계측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7534A KR102307521B1 (ko) 2021-03-23 2021-03-23 휴대용 항행신호 계측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7521B1 true KR102307521B1 (ko) 2021-10-01

Family

ID=78115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7534A KR102307521B1 (ko) 2021-03-23 2021-03-23 휴대용 항행신호 계측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752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3935B1 (ko) * 2016-09-09 2017-04-06 박세원 계측기 배치장치
KR20180098845A (ko) * 2017-02-27 2018-09-05 주식회사 에스앤지파워 모듈형 유피에스 장치를 수납하기 위한 내진강화형 랙 캐비닛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3935B1 (ko) * 2016-09-09 2017-04-06 박세원 계측기 배치장치
KR20180098845A (ko) * 2017-02-27 2018-09-05 주식회사 에스앤지파워 모듈형 유피에스 장치를 수납하기 위한 내진강화형 랙 캐비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65116B2 (en) Drone encroachment avoidance monitor
US1148066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n integrated TCAS, transponder, and DME system using a dedicated DME antenna
CN109131938A (zh) 一种飞行校验系统
Novák et al. Measuring and testing the instrument landing system at the airport Zilina
CN1004943B (zh) 改进的仪表着陆系统
KR102307521B1 (ko) 휴대용 항행신호 계측기
EP0670566A2 (en) Hybrid synthetic aircraft landing system
EP0574139B1 (en) Passive aircraft monitoring system
EP0314715A4 (en) Multi-mode microwave landing system
Geise et al. Modulating features of field measurements with a UAV at millimeter wave frequencies
US2018003331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n integrated tcas and dme system using an omnidirectional antenna
KR101993327B1 (ko) 통합 신호분석 장치
KR102166683B1 (ko) 드론을 이용한 항행시설 신호 분석 방법 및 장치
EP3896476B1 (en) Simplified tcas surveillance
US20160301130A1 (en) Radio Frequency Hat System
US11009581B2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Doppler based position estimation
GB684313A (en) Improvements in systems for guiding dirigible craft
Tripathy et al.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Analysis on Localizer Beam for Various Obstacles at Expanded Airport [J]
Geise et al. A Universal Software Defined Radio Setup for Measuring Airport NavCom Infractures
Ibrahim et al. Unmanned Measurement of an ILS System Using a Software Defined Radio
SE339498B (ko)
RU2124218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отклонения от задаваемой линии положения объекта
RU2122216C1 (ru) Глиссадный радиомаяк
Sathaye Towards Secure Autonomous Aerial Vehicle Navigation
KR20230136869A (ko) 전파 품질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