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7433B1 - 실내 운동 경기장 시스템 - Google Patents

실내 운동 경기장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7433B1
KR102307433B1 KR1020190129781A KR20190129781A KR102307433B1 KR 102307433 B1 KR102307433 B1 KR 102307433B1 KR 1020190129781 A KR1020190129781 A KR 1020190129781A KR 20190129781 A KR20190129781 A KR 20190129781A KR 102307433 B1 KR102307433 B1 KR 1023074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oring
score
target area
wall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9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7381A (ko
Inventor
정인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몽고나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몽고나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몽고나무
Priority to KR1020190129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7433B1/ko
Publication of KR20210047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73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7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74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2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large-room or outdoor sporting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21Tracking a path or terminating lo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3/00Targets or goals for ball games
    • A63B63/06Revolving targets ; Moving targets, e.g. moving or revolving on impac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4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small-room or indoor sporting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05Decision makers and devices using detection means facilitating arbi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69Score-keepers or score display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21Tracking a path or terminating locations
    • A63B2024/0025Tracking the path or location of one or more users, e.g. players of a gam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25Emitting sound, noise or music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25Emitting sound, noise or music
    • A63B2071/063Spoken or verbal i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2071/0658Position or arrangement of displa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22Field hocke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6Video camera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3/00Specific ball sports not provided for in A63B2102/00 - A63B2102/38
    • A63B2243/0025Foot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3/00Specific ball sports not provided for in A63B2102/00 - A63B2102/38
    • A63B2243/0033Hand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3/00Specific ball sports not provided for in A63B2102/00 - A63B2102/38
    • A63B2243/0037Basketbal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 운동 경기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하나의 실내 공간에서 경기자가 손이나 발 혹은 손으로 잡고 사용하는 도구(예컨대, 스틱 등)로 볼을 다루어 벽부에 표시되는 득점타깃화면 중의 득점타깃영역(예컨대, 축구나 핸드볼 혹은 하키용 골문이나 농구용 바구니 등을 표현하는 득점타깃영역)에 들어가게 하여 득점을 겨루는 운동 경기(예컨대, 축구나 농구, 핸드볼, 하키 등)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실내 공간에서 볼을 다루어 득점을 겨루는 운동 경기(예컨대, 축구나 농구, 핸드볼, 하키 등)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운동 경기를 하고자하는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할 수 있다.

Description

실내 운동 경기장 시스템{Indoor sports ground system}
본 발명은 실내 운동 경기장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히는 실내에서 축구나 농구, 핸드볼, 하키 등과 같은 다양한 운동 경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는 실내 운동 경기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실내 운동 경기장 시스템의 일종으로서 스크린 골프장 시스템 혹은 스크린 야구장 시스템 등이 알려져 있다.
예컨대, 특허문헌1에는 골프 연습이 가능하고 여러 골퍼들과 실시간으로 원격 게임이 가능하며 프로그램 업데이트이가 쉽고 실시간으로 클럽 궤도와 골프공의 궤적을 정확하게 보여줄 수 있도록 한 스크린 골프장 시스템이 게시되어 있다.
특허문헌2에는 야구경기를 실내의 스크린을 기반으로 제공하도록 하기 위한 스크린 야구장 기반의 빔 프로젝터 시스템이 게시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스크린 골프장 시스템 혹은 스크린 야구장 기반의 빔 프로젝터 시스템은 각각 단일 종목의 운동 경기(예컨대, 골프 경기, 야구 경기)만을 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즉, 스크린 골프장 시스템이 설치된 실내에서 골프 경기 이외의 축구나 농구 핸드볼 등과 같은 다양한 운동 경기를 할 수 없다.
마찬가지로, 스크린 야구장 기반의 빔 프로젝터 시스템이 설치된 실내에서 야구 경기 이외의 축구나 농구 등과 같은 다양한 운동 경기를 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한 스크린 골프장 시스템 혹은 스크린 야구장 기반의 빔 프로젝터 시스템과 같은 종래의 실내 운동 경기장 시스템에서는 축구나 농구, 핸드볼, 하키 등과 같은 다양한 운동 경기를 하고자하는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하지 못한다.
KR 10-2019-0046087 A KR 10-2017-0138711 A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실내 공간에서 경기자가 손이나 발 혹은 손으로 잡고 사용하는 도구(예컨대, 스틱 등)로 볼을 다루어 벽부에 표시되는 득점타깃화면 중의 득점타깃영역(예컨대, 축구나 핸드볼 혹은 하키용 골문이나 농구용 바구니 등을 표현하는 우측면 득점타깃영역)에 들어가게 하여 득점(goal)을 겨루는 운동 경기(예컨대, 축구나 농구, 핸드볼, 하키 등)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는 실내 운동 경기장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운동 경기장 시스템은, 운동 경기가 실시되는 실내 공간의 천정 부위에 장착된 상태에서 스코어 벽부에 운동 경기의 득점 결과를 알리는 스코어 화면을 표시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스코어 빔프로젝터와; 운동 경기가 실시되는 실내 공간의 천정 부위에 장착된 상태에서 제1득점 벽부에 득점타깃영역(예컨대, 축구나 핸드볼 혹은 하키용 골문이나 농구용 바구니를 표현하는 득점타깃영역)을 포함하는 득점타깃화면을 표시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제1득점 빔프로젝터; 운동 경기가 실시되는 실내 공간의 천정 부위에 장착된 상태에서 제2득점 벽부에 득점타깃영역(예컨대, 축구나 핸드볼 혹은 하키용 골문이나 농구용 바구니를 표현하는 득점타깃영역)을 포함하는 득점타깃화면을 표시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제2득점 빔프로젝터; 상기 스코어 벽부와 제1득점 벽부 및 제2득점 벽부가 형성하는 실내 공간의 천정 부위에 장착된 상태에서 바닥부에 운동 경기장 규격화면(예컨대, 축구 경기장 규격 화면, 핸드볼 경기장 규격 화면, 하키 경기장 규격화면, 농구 경기장 규격 화면 등)을 표시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바닥부 빔프로젝터; 상기 제1득점 빔프로젝터 근처에 설치되어 상기 제1득점 벽부에 표시되는 득점타깃영역과 그 주변 영역을 촬영하여 실내에서의 운동 경기 중 경기자가 득점을 하기 위하여 상기 제1득점 벽부를 향하여 차거나 던진 볼이 상기 득점타깃영역에 포함되는지 여부에 따라 득점을 판정하기 위한 제1득점 판정영상을 촬영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제1득점 카메라센서; 상기 제2득점 빔프로젝터 근처에 설치되어 상기 제2득점 벽부에 표시되는 득점타깃영역과 그 주변 영역을 촬영하여 실내에서의 운동 경기 중 경기자가 득점을 하기 위하여 상기 제2득점 벽부를 향하여 차거나 던진 볼이 상기 득점타깃영역에 포함되는지 여부에 따라 득점을 판정하기 위한 제2득점 판정영상을 촬영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제2득점 카메라센서; 상기 바닥부 빔프로젝터 근처에 설치되어 상기 바닥부에 표시되는 운동 경기장 규격화면을 촬영하여 해당 운동 경기장 규격화면 내에서 경기자의 이동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경기자위치영상을 촬영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바닥부 카메라센서; 상기 스코어 벽부와 제1득점 벽부, 제2득점 벽부 및 바닥부가 형성하는 하나의 실내 공간에 설치되어 운동 경기용 음향을 출력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스피커; 및 상기 스코어 벽부와 제1득점 벽부, 제2득점 벽부 및 바닥부가 형성하는 하나의 실내 공간에서 경기자가 손이나 발 혹은 손으로 잡고 사용하는 도구(예컨대, 스틱 등)로 볼을 다루어 상기 득점타깃영역에 들어가게 하여 득점을 겨루는 운동 경기(예컨대, 축구나 농구, 핸드볼, 하키 등)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도록 상기 스코어 빔프로젝터와 제1득점 빔프로젝터, 제2득점 빔프로젝터 및 바닥부 빔프로젝터의 화면표시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제1득점 카메라센서에 의해 촬영된 제1득점 판정영상과 상기 제2득점 카메라센서에 의해 촬영된 제2득점 판정영상으로 득점을 판정한 결과를 상기 스코어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스피커의 음향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운동 경기장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1득점 벽부 혹은 상기 제2득점 벽부에 포함되는 상기 득점타깃영역을 정해진 위치에 고정하여 표시하는 정지방식 혹은 상기 득점타깃영역을 규칙적 혹은 불규칙적으로 이동하여 표시하는 이동방식 혹은 상기의 정지방식과 이동방식을 혼합하여 상기 득점타깃영역을 표시하는 혼합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표시하고, 상기 제1득점 카메라센서에 의해 촬영된 제1득점 판정영상 혹은 상기 제2득점 카메라센서에 의해 촬영된 제2득점 판정영상에서 상기 득점타깃영역에 볼이 포함되어 있으면 득점으로 판정하고 상기 득점타깃영역 밖에 볼이 있으면 부득점으로 판정하되, 1개의 제1득점 카메라센서 혹은 1개의 제2득점 카메라센서에 의해 촬영된 1개의 득점판정영상에서 득점타깃영역에 볼이 포함되어 있으면 득점으로 판정하거나, 2개 이상의 제1득점 카메라센서에 의해 촬영된 2개 이상의 득점판정영상에서 득점타깃영역에 볼이 포함되어 있는 득점판정영상의 개수가 정해진 확률 이상(예컨대, 30% 이상 혹은 40% 이상 혹은 50% 이상 등)이면 득점으로 판정하거나, 2개 이상의 제2득점 카메라센서에 의해 촬영된 2개 이상의 득점판정영상에서 득점타깃영역에 볼이 포함되어 있는 득점판정영상의 개수가 정해진 확률 이상(예컨대, 30% 이상 혹은 40% 이상 혹은 50% 이상 등)이면 득점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운동 경기장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바닥부 카메라센서에 의해 촬영된 상기 경기자위치영상으로부터 확인된 경기자 위치에 대응하여 해당 경기자의 발자국 화면을 상기 운동 경기장 규격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실내 공간에서 볼을 다루어 득점을 겨루는 운동 경기(예컨대, 축구나 농구, 핸드볼, 하키 등)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운동 경기를 하고자하는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운동 경기장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운동 경기장 시스템이 실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운동 경기장 시스템이 실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운동 경기장 시스템의 제어기 작동 화면을 나타낸 실시예.
도 5는 도 4에서 축구 경기가 선택되었을 때 제어기 작동 화면을 나타낸 실시예.
도 6은 도 4에서 선택된 축구 경기를 실시할 수 있도록 실내 공간을 구성한 실시예.
도 7은 도 6의 실내 공간에서 경기자들의 축구 경기 모습을 나타낸 실시예.
도 8은 도 6의 실내 공간에서 경기자 위치에 대응하여 해당 경기자의 발자국 화면을 바닥부에 표시되는 운동 경기장 규격화면에 함께 표시하는 실시예.
도 9는 도 4에서 농구 경기가 선택되었을 때 제어기 작동 화면을 나타낸 실시예.
도 10은 도 4에서 선택된 농구 경기를 실시할 수 있도록 실내 공간을 구성한 실시예.
도 11은 도 10의 실내 공간에서 경기자들의 농구 경기 모습을 나타낸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운동 경기장 시스템은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기술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해당 기술분야에 대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범위까지 그 기술적 정신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운동 경기장 시스템은 설치 장소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예컨대, 4각형, 5각형, 6각형 등의 실내 운동 경기장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1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운동 경기장 시스템(100)이 4각형의 실내 운동 경기장 형태로 제작된 실시예를 예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운동 경기장 시스템(100)은 스코어 빔프로젝터(110)와 제1득점 빔프로젝터(120), 제2득점 빔프로젝터(130), 바닥부 빔프로젝터(140), 제1득점 카메라센서(150), 제2득점 카메라센서(160), 바닥부 카메라센서(170), 스피커(180) 및 제어기(1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코어 빔프로젝터(110)는 운동 경기가 실시되는 실내 공간의 천정 부위에 장착된 상태에서 스코어 벽부(110a)에 운동 경기의 득점 결과를 알리는 스코어 화면을 표시한다.
상기 스코어 빔프로젝터(110)는 적어도 1개 이상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 1에서는 2개의 스코어 빔프로젝터(110)가 사용된 실시예를 나타낸다.
상기 제1득점 빔프로젝터(120)는 운동 경기가 실시되는 실내 공간의 천정 부위에 장착된 상태에서 제1득점 벽부(120a)에 득점타깃영역(예컨대, 축구나 핸드볼 혹은 하키용 골문이나 농구용 바구니를 표현하는 득점타깃영역)을 포함하는 득점타깃화면을 표시한다.
상기 제1득점 벽부(120a)는 상기 스코어 벽부(110a)의 우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운동 경기장 시스템(100)이 설치 장소에 따라 4각형, 5각형, 6각형 등의 다양한 실내 운동 경기장 형태로 제작되는 경우, 상기 제1득점 벽부(120a)는 배치 위치가 변경되거나 필요에 따라 복수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득점 벽부(120a)의 배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제1득점 빔프로젝터(120)의 배치 위치도 변경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복수로 설치되는 제1득점 벽부(120a)에 1대1 대응으로 상기 제1득점 빔프로젝터(12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득점 빔프로젝터(120)는 적어도 1개 이상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 1에서는 2개의 제1득점 빔프로젝터(120)가 사용된 실시예를 나타낸다.
상기 제2득점 빔프로젝터(130)는 운동 경기가 실시되는 실내 공간의 천정 부위에 장착된 상태에서 제2득점 벽부(130a)에 득점타깃영역(예컨대, 축구나 핸드볼 혹은 하키용 골문이나 농구용 바구니를 표현하는 득점타깃영역)을 포함하는 득점타깃화면을 표시한다.
상기 제2득점 벽부(130a)는 상기 스코어 벽부(110a)의 좌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운동 경기장 시스템(100)이 설치 장소에 따라 4각형, 5각형, 6각형 등의 다양한 실내 운동 경기장 형태로 제작되는 경우, 상기 제2득점 벽부(130a)는 배치 위치가 변경되거나 필요에 따라 복수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득점 벽부(130a)의 배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제2득점 빔프로젝터(130)의 배치 위치도 변경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복수로 설치되는 제2득점 벽부(130a)에 1대1 대응으로 상기 제2득점 빔프로젝터(13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득점 빔프로젝터(130)는 적어도 1개 이상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 1에서는 2개의 제2득점 빔프로젝터(130)가 사용된 실시예를 나타낸다.
상기 바닥부 빔프로젝터(140)는 상기 스코어 벽부(110a)와 제1득점 벽부(120a) 및 제2득점 벽부(130a)가 형성하는 실내 공간의 천정 부위에 장착된 상태에서 바닥부(140a)에 운동 경기장 규격화면(예컨대, 축구 경기장 규격 화면, 핸드볼 경기장 규격 화면, 하키 경기장 규격화면, 농구 경기장 규격 화면 등)을 표시한다.
상기 바닥부(140a)는 상기 스코어 벽부(110a)와 제1득점 벽부(120a) 및 제2득점 벽부(130a)가 형성하는 실내 공간의 바닥부이다.
상기 바닥부 빔프로젝터(140)는 적어도 1개 이상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 1에서는 2개의 바닥부 빔프로젝터(140)가 사용된 실시예를 나타낸다.
상기 제1득점 카메라센서(150)는 상기 제1득점 빔프로젝터(120) 근처에 설치되어 상기 제1득점 벽부(120a)에 표시되는 득점타깃영역과 그 주변 영역을 촬영하여 실내에서의 운동 경기 중 경기자가 득점을 하기 위하여 상기 제1득점 벽부(120a)를 향하여 차거나 던진 볼이 상기 득점타깃영역에 포함되는지 여부에 따라 득점을 판정하기 위한 제1득점 판정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제어기(190)로 전송한다.
상기 제1득점 카메라센서(150)는 적어도 1개 이상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 1에서는 2개의 제1득점 카메라센서(150)가 사용된 실시예를 나타낸다.
상기 제2득점 카메라센서(160)는 상기 제2득점 빔프로젝터(130) 근처에 설치되어 상기 제2득점 벽부(130a)에 표시되는 득점타깃영역과 그 주변 영역을 촬영하여 실내에서의 운동 경기 중 경기자가 득점을 하기 위하여 상기 제2득점 벽부(130a)를 향하여 차거나 던진 볼이 상기 득점타깃영역에 포함되는지 여부에 따라 득점을 판정하기 위한 제2득점 판정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제어기(190)로 전송한다.
상기 제2득점 카메라센서(160)는 적어도 1개 이상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 1에서는 2개의 제2득점 카메라센서(160)가 사용된 실시예를 나타낸다.
상기 바닥부 카메라센서(170)는 상기 바닥부 빔프로젝터(140) 근처에 설치되어 상기 바닥부(140a)에 표시되는 운동 경기장 규격화면을 촬영하여 해당 운동 경기장 규격화면 내에서 경기자의 이동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경기자위치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제어기(190)로 전송한다.
상기 바닥부 카메라센서(170)는 적어도 1개 이상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 1에서는 2개의 바닥부 카메라센서(170)가 사용된 실시예를 나타낸다.
상기 스피커(180)는 상기 스코어 벽부(110a)와 제1득점 벽부(120a), 제2득점 벽부(130a) 및 바닥부(140a)가 형성하는 하나의 실내 공간에 설치되어 운동 경기용 음향을 출력한다.
상기 스피커(180)는 적어도 1개 이상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 1에서는 상기 스코어 벽부(110a)와 제1득점 벽부(120a) 및 제2득점 벽부(130a)를 따라 5개의 스피커가 배치된 실시예를 나타낸다.
상기 제어기(190)는 상기 스코어 벽부(110a)와 제1득점 벽부(120a), 제2득점 벽부(130a) 및 바닥부(140a)가 형성하는 하나의 실내 공간에서 경기자가 손이나 발 혹은 손으로 잡고 사용하는 도구(예컨대, 스틱 등)로 볼을 다루어 상기 득점타깃영역에 들어가게 하여 득점을 겨루는 운동 경기(예컨대, 축구나 농구, 핸드볼, 하키 등)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도록 상기 스코어 빔프로젝터(110)와 제1득점 빔프로젝터(120), 제2득점 빔프로젝터(130) 및 바닥부 빔프로젝터(140)의 화면표시작동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기(190)는 상기 제1득점 카메라센서(150)에 의해 촬영된 제1득점 판정영상과 상기 제2득점 카메라센서(160)에 의해 촬영된 제2득점 판정영상으로 득점을 판정한 결과를 상기 스코어 화면에 표시한다.
상기 제어기(190)는 상기 스피커(180)의 음향 출력을 제어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코어 벽부(110a)와 제1득점 벽부(120a), 제2득점 벽부(130a) 및 바닥부(140a)에 화면(예컨대, 경기 대기 화면, 경기 시작 화면, 관중 응원 화면, 득점 축하 화면 등)이 표시되는 동안 각 화면에 적합하게 대응하도록 준비된 각종 음향(예컨대, 경기 대기 안내, 경기 시간 안내, 경기 중계 등을 알리거나, 관중 함성, 득점 축하 등을 나타내는 각종 음향)을 제공한다.
상기 제어기(190)는 상기 제1득점 벽부(120a) 혹은 상기 제2득점 벽부(130a)에 포함되는 상기 득점타깃영역을 정해진 위치에 고정하여 표시하는 정지방식 혹은 상기 득점타깃영역을 규칙적 혹은 불규칙적으로 이동하여 표시하는 이동방식 혹은 상기의 정지방식과 이동방식을 혼합하여 상기 득점타깃영역을 표시하는 혼합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표시한다.
상기 제어기(190)는 상기 제1득점 카메라센서(150)에 의해 촬영된 제1득점 판정영상 혹은 상기 제2득점 카메라센서(160)에 의해 촬영된 제2득점 판정영상에서 상기 득점타깃영역에 볼이 포함되어 있으면 득점으로 판정하고 상기 득점타깃영역 밖에 볼이 있으면 부득점으로 판정한다.
상기 제어기(190)는 1개의 제1득점 카메라센서(150) 혹은 1개의 제2득점 카메라센서(160)에 의해 촬영된 1개의 득점판정영상에서 득점타깃영역에 볼이 포함되어 있으면 득점으로 판정한다.
상기 제어기(190)는 2개 이상의 제1득점 카메라센서(150)에 의해 촬영된 2개 이상의 득점판정영상에서 득점타깃영역에 볼이 포함되어 있는 득점판정영상의 개수가 정해진 확률 이상(예컨대, 30% 이상 혹은 40% 이상 혹은 50% 이상 등)이면 득점으로 판정한다.
상기 제어기(190)는 2개 이상의 제2득점 카메라센서(160)에 의해 촬영된 2개 이상의 득점판정영상에서 득점타깃영역에 볼이 포함되어 있는 득점판정영상의 개수가 정해진 확률 이상(예컨대, 30% 이상 혹은 40% 이상 혹은 50% 이상 등)이면 득점으로 판정한다.
상기 제어기(190)는 상기 바닥부 카메라센서(170)에 의해 촬영된 상기 경기자위치영상으로부터 확인된 경기자 위치에 대응하여 해당 경기자의 발자국 화면을 상기 운동 경기장 규격화면에 표시한다.
상기 발자국 화면은 경기자의 움직임에 대한 흥미와 생동감을 부여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표시할 수 있으며, 예컨대 경기자 주변에 표시되는 다양한 색상의 원형이나 다른 형상으로 표시할 수 있고, 표시되는 발자국 화면을 점멸시킬 수도 있다.
상기 제어기(19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스코어 벽부(110a)와 제1득점 벽부(120a), 제2득점 벽부(130a), 바닥부(140a)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빔프로젝트와 카메라센서 및 스피커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들, 예컨대 스코어PC, 제1득점PC, 제2득점PC, 바닥PC, 메인서버, 음향조절기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코어 PC는 상기 스코어 벽부(110a)와 대응하여 배치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스코어 빔프로젝터(110)와 스피커(180)에 접속하여 이들을 제어한다.
상기 제1득점PC는 상기 제1득점 벽부(120a)와 대응하여 배치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제1득점 빔프로젝터(120)와 적어도 1개 이상의 제1득점 카메라센서(150) 및 스피커(180)에 접속하여 이들을 제어한다.
상기 제2득점PC는 상기 제2득점 벽부(130a)와 대응하여 배치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제2득점 빔프로젝터(130)와 적어도 1개 이상의 제2득점 카메라센서(160) 및 스피커(180)에 접속하여 이들을 제어한다.
상기 바닥PC는 상기 바닥부(140a)와 대응하여 배치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바닥부 빔프로젝터(140)와 적어도 1개 이상의 바닥부 카메라센서(170) 및 스피커(미도시)에 접속하여 이들을 제어한다.
상기 메인서버는 모니터 등과 같은 표시장치를 포함하며, 통신용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스코어PC와 제1득점PC, 제2득점PC, 및 바닥PC와 통신하여 이들 PC를 제어하고, 음향조절기와 접속하여 스피커(180)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을 제어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운동 경기장 시스템(100)은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운동 경기장 시스템(100)은 상기 스코어 벽부(110a)와 제1득점 벽부(120a), 제2득점 벽부(130a) 및 바닥부(140a)가 형성하는 하나의 실내 공간에서 경기자가 손이나 발 혹은 손으로 잡고 사용하는 도구(예컨대, 스틱 등)로 볼을 다루어 상기 득점타깃영역에 들어가게 하여 득점을 겨루는 운동 경기(예컨대, 축구나 농구, 핸드볼, 하키 등)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참고로, 도 2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운동 경기장 시스템(100)이 상기 스코어 벽부(110a)와 제1득점 벽부(120a), 제2득점 벽부(130a) 및 바닥부(140a)가 형성하는 실내 공간에서 축구 경기를 실시할 수 있도록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며, 상기 스코어 벽부(110a)와 마주보는 벽부가 추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참고로, 도 3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운동 경기장 시스템(100)이 상기 스코어 벽부(110a)와 제1득점 벽부(120a), 제2득점 벽부(130a) 및 바닥부(140a)가 형성하는 실내 공간에서 축구 경기를 실시할 수 있도록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며, 상기 스코어 벽부(110a)와 마주보는 쪽에 관람자용 울타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운동 경기장 시스템(100)이 상기 스코어 벽부(110a)와 제1득점 벽부(120a), 제2득점 벽부(130a) 및 바닥부(140a)가 형성하는 실내 공간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기(19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스템 운용자가 운동 경기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게 하는 제어기 작동 화면을 PC용 혹은 서버용 모니터 등과 같은 표시장치에 표시한다.
상기 제어기(190)는 도 4에 나타낸 제어기 작동 화면을 메인 화면으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나타낸 제어기 작동 화면은 시스템 운용자가 축구 경기와 농구 경기를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게 한다.
만약, 도 4의 제어기 작동 화면에서 축구 경기(FOOTBALL)가 선택된다면, 상기 제어기(190)는 도 5에 나타낸 축구 경기용 제어기 작동 화면을 표시한다.
도 5의 제어기 작동 화면은 상기한 득점타깃영역(예컨대, 축구용 골문을 표현하는 득점타깃영역)을 포함하는 득점타깃화면을 정해진 위치에 고정하여 표시하는 정지방식(FIXED) 혹은 상기 득점타깃영역을 규칙적 혹은 불규칙적으로 이동하여 표시하는 이동방식(MOVING) 혹은 상기의 정지방식과 이동방식을 혼합하여 상기 득점타깃영역을 표시하는 혼합방식(COMBINED)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표시할지를 선택하는 기능(GOAL), 경기 시간(예컨대, 5분, 10분, 15분 등)을 설정하는 기능(EXERCISE), 경기자들의 소속 팀명을 정하는 기능(FIRST TEAM NAME, SECOND TEAM NAME), 상기 바닥부 빔프로젝터(140)에 의해 바닥부(140a)에 표시되는 경기자의 발자국 화면을 역동효과 혹은 고정효과 혹은 표시하지 않도록 표시 형태를 설정하는 기능(DYNAMIC, STATIC, OFF), 상기 바닥부 빔프로젝터(140)에 의해 바닥부(140a)에 표시되는 축구 경기장 규격화면의 표시 형태를 비디오 영상(VIDEO) 혹은 미리 준비된 이미지(IMAGE 1, IMAGE 2) 중에서 선택하는 기능(FLOOR TYPE)을 포함한다.
도 5의 제어기 작동 화면에 있어서, 접속 기능(CONNECTED)은 상기 제어기(190)에 포함되는 제어장치들(예컨대, 상기한 스코어PC, 제1득점PC, 제2득점PC, 바닥PC 등)이 상기 스코어 벽부(110a)와 제1득점 벽부(120a), 제2득점 벽부(130a), 바닥부(140a)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빔프로젝트와 카메라센서를 제어하도록 메인서버에 접속하는 기능이며, 도 5에서 GOAL1은 상기 스코어 벽부(110a)에 대응하는 제어장치(예컨대, 스코어PC)를 메인서버에 접속하는 기능이고, GOAL2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스코어 벽부(110a)와 마주보는 벽부가 추가 설치되는 경우, 추가 설치된 벽부에 대응하는 제어장치(예컨대, 추가 설치되는 스코어PC)를 접속하는 기능이다. 또한, SIDE1, SIDE2, FLOOR는 각각 제1득점 벽부(120a), 제2득점 벽부(130a), 바닥부(140a)에 대응하는 제1득점PC, 제2득점PC, 바닥PC를 메인서버에 접속하는 기능이다.
도 5의 제어기 작동 화면의 경기 시작 버튼(START GAME)이 선택되면, 상기 스코어 벽부(110a)와 제1득점 벽부(120a), 제2득점 벽부(130a) 및 바닥부(140a)가 형성하는 실내 공간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택된 축구 경기를 실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참고로, 도 6에서는 5분 축구 경기를 나타내는 스코어 화면이 상기 스코어 벽부(110a)에 표시되어 있고, 축구용 골문을 표현하는 득점타깃영역을 포함하는 득점타깃화면이 상기 제1득점 벽부(120a)에 표시되어 있고, 축구 경기장 규격 화면이 상기 바닥부(140a)에 표시되어 있는 실내 공간을 예시한다.
도 7은 도 6의 실내 공간에서 경기자들의 축구 경기 모습을 나타내고 있으며, 현재 USA팀과 KOREA팀의 스코어가 9:0임을 나타내고 있으며, 특히 상기 스코어 화면이 상기 스코어 벽부(110a)와 상기 제1득점 벽부(120a)에 동시에 표시된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처럼, 상기 스코어 화면은 상기 제어기(190)에 의해 상기 스코어 벽부(110a)와 제1득점 벽부(120a), 제2득점 벽부(130a) 및 바닥부(140a) 중 선택된 어느 하나 혹은 둘 이상에 표시될 수도 있다.
도 8은 도 6의 실내 공간에서 경기자 위치에 대응하여 해당 경기자의 발자국 화면(예컨대, 적색의 원형)을 상기 바닥부(140a)에 표시되는 축구 경기장 규격화면에 함께 표시하는 실시예이다.
상기와 같이 축구 경기가 실시되는 동안, 상기 제어기(190)는 상기 제1득점 카메라센서(150)에 의해 촬영된 제1득점 판정영상 혹은 상기 제2득점 카메라센서(160)에 의해 촬영된 제2득점 판정영상에서 상기 득점타깃영역에 볼이 포함되어 있으면 득점으로 판정하고 상기 득점타깃영역 밖에 볼이 있으면 부득점으로 판정한다.
특히, 이때 1개의 제1득점 카메라센서(150) 혹은 1개의 제2득점 카메라센서(160)에 의해 촬영된 1개의 득점판정영상에서 득점타깃영역에 볼이 포함되어 있으면 득점으로 판정할 수 있다.
이와 달리, 2개 이상의 제1득점 카메라센서(150)에 의해 촬영된 2개 이상의 득점판정영상에서 득점타깃영역에 볼이 포함되어 있는 득점판정영상의 개수가 정해진 확률 이상(예컨대, 30% 이상 혹은 40% 이상 혹은 50% 이상 등)이면 득점으로 판정하거나, 2개 이상의 제2득점 카메라센서(160)에 의해 촬영된 2개 이상의 득점판정영상에서 득점타깃영역에 볼이 포함되어 있는 득점판정영상의 개수가 정해진 확률 이상(예컨대, 30% 이상 혹은 40% 이상 혹은 50% 이상 등)이면 득점으로 판정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달리, 만약 도 4의 제어기 작동 화면에서 농구 경기(BASKETBALL)가 선택된다면, 상기 제어기(190)는 도 9에 나타낸 농구 경기용 제어기 작동 화면을 표시한다.
도 9의 제어기 작동 화면은 상기한 득점타깃영역(예컨대, 농구용 바구니를 표현하는 득점타깃영역)을 포함하는 득점타깃화면을 정해진 위치에 고정하여 표시하는 정지방식(FIXED) 혹은 상기 득점타깃영역을 규칙적 혹은 불규칙적으로 이동하여 표시하는 이동방식(MOVING) 혹은 상기의 정지방식과 이동방식을 혼합하여 상기 득점타깃영역을 표시하는 혼합방식(COMBINED)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표시할지를 선택하는 기능(GOAL), 경기 시간(예컨대, 5분, 10분, 15분 등)을 설정하는 기능(EXERCISE), 경기자들의 소속 팀명을 정하는 기능(FIRST TEAM NAME, SECOND TEAM NAME), 상기 바닥부 빔프로젝터(140)에 의해 바닥부(140a)에 표시되는 경기자의 발자국 화면을 역동효과 혹은 고정효과 혹은 표시하지 않도록 표시 형태를 설정하는 기능(DYNAMIC, STATIC, OFF), 상기 바닥부 빔프로젝터(140)에 의해 바닥부(140a)에 표시되는 농구 경기장 규격화면의 표시 형태를 비디오 영상(VIDEO) 혹은 미리 준비된 이미지(IMAGE 1, IMAGE 2) 중에서 선택하는 기능(FLOOR TYPE)을 포함한다.
도 9의 제어기 작동 화면에 있어서, 접속 기능(CONNECTED)은 상기 제어기(190)에 포함되는 제어장치들(예컨대, 상기한 스코어PC, 제1득점PC, 제2득점PC, 바닥PC 등)이 상기 스코어 벽부(110a)와 제1득점 벽부(120a), 제2득점 벽부(130a), 바닥부(140a)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빔프로젝트와 카메라센서를 제어하도록 메인서버에 접속하는 기능이며, 도 9에서 GOAL1은 상기 스코어 벽부(110a)에 대응하는 제어장치(예컨대, 스코어PC)를 메인서버에 접속하는 기능이고, GOAL2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스코어 벽부(110a)와 마주보는 벽부가 추가 설치되는 경우, 추가 설치된 벽부에 대응하는 제어장치(예컨대, 추가 설치되는 스코어PC)를 접속하는 기능이다. 또한, SIDE1, SIDE2, FLOOR는 각각 제1득점 벽부(120a), 제2득점 벽부(130a), 바닥부(140a)에 대응하는 제1득점PC, 제2득점PC, 바닥PC를 메인서버에 접속하는 기능이다.
도 9의 제어기 작동 화면의 경기 시작 버튼(START GAME)이 선택되면, 상기 스코어 벽부(110a)와 제1득점 벽부(120a), 제2득점 벽부(130a) 및 바닥부(140a)가 형성하는 실내 공간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택된 농구 경기를 실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참고로, 도 10에서는 5분 농구 경기를 나타내는 스코어 화면이 상기 스코어 벽부(110a)에 표시되어 있고, 농구용 바구니를 표현하는 득점타깃영역을 포함하는 득점타깃화면이 상기 제1득점 벽부(120a)에 표시되어 있고, 농구 경기장 규격 화면이 상기 바닥부(140a)에 표시되어 있는 실내 공간을 예시한다. 도 10의 스코어 화면은 5분 농구 경기의 시작 후 경기자가 바닥부(140a)에 들어가 경기에 참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남은 시간 4분 54초를 표시하고 있다.
도 11은 도 10의 실내 공간에서 경기자들의 농구 경기 모습을 나타내고 있으며, 현재 USA팀과 KOREA팀의 스코어가 2:0임을 나타내고 있으며, 특히 상기 스코어 화면이 상기 스코어 벽부(110a)와 상기 제1득점 벽부(120a)에 동시에 표시된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처럼, 상기 스코어 화면은 상기 제어기(190)에 의해 상기 스코어 벽부(110a)와 제1득점 벽부(120a), 제2득점 벽부(130a) 및 바닥부(140a) 중 선택된 어느 하나 혹은 둘 이상에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1은 도 10의 실내 공간에서 경기자 위치에 대응하여 해당 경기자의 발자국 화면(예컨대, 백색의 원형)을 상기 바닥부(140a)에 표시되는 농구 경기장 규격화면에 함께 표시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농구 경기가 실시되는 동안, 상기 제어기(190)는 상기 제1득점 카메라센서(150)에 의해 촬영된 제1득점 판정영상 혹은 상기 제2득점 카메라센서(160)에 의해 촬영된 제2득점 판정영상에서 상기 득점타깃영역에 볼이 포함되어 있으면 득점으로 판정하고 상기 득점타깃영역 밖에 볼이 있으면 부득점으로 판정한다.
특히, 이때 1개의 제1득점 카메라센서(150) 혹은 1개의 제2득점 카메라센서(160)에 의해 촬영된 1개의 득점판정영상에서 득점타깃영역에 볼이 포함되어 있으면 득점으로 판정할 수 있다.
이와 달리, 2개 이상의 제1득점 카메라센서(150)에 의해 촬영된 2개 이상의 득점판정영상에서 득점타깃영역에 볼이 포함되어 있는 득점판정영상의 개수가 정해진 확률 이상(예컨대, 30% 이상 혹은 40% 이상 혹은 50% 이상 등)이면 득점으로 판정하거나, 2개 이상의 제2득점 카메라센서(160)에 의해 촬영된 2개 이상의 득점판정영상에서 득점타깃영역에 볼이 포함되어 있는 득점판정영상의 개수가 정해진 확률 이상(예컨대, 30% 이상 혹은 40% 이상 혹은 50% 이상 등)이면 득점으로 판정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실내 공간에서 볼을 다루어 득점을 겨루는 운동 경기(예컨대, 축구나 농구, 핸드볼, 하키 등)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운동 경기를 하고자하는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할 수 있다.
100: 실내 운동 경기장 시스템 110: 스코어 빔프로젝터
110a: 스코어 벽부 120: 제1득점 빔프로젝터
120a: 제1득점 벽부 130: 제2득점 빔프로젝터
130a: 제2득점 벽부 140: 바닥부 빔프로젝터
140a: 바닥부 150: 제1득점 카메라센서
160: 제2득점 카메라센서 170: 바닥부 카메라센서
180: 스피커 190: 제어기

Claims (3)

  1. 운동 경기가 실시되는 실내 공간의 천정 부위에 장착된 상태에서 스코어 벽부(110a)에 운동 경기의 득점 결과를 알리는 스코어 화면을 표시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스코어 빔프로젝터(110)와;
    운동 경기가 실시되는 실내 공간의 천정 부위에 장착된 상태에서 제1득점 벽부(120a)에 득점타깃영역을 포함하는 득점타깃화면을 표시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제1득점 빔프로젝터(120);
    운동 경기가 실시되는 실내 공간의 천정 부위에 장착된 상태에서 제2득점 벽부(130a)에 득점타깃영역을 포함하는 득점타깃화면을 표시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제2득점 빔프로젝터(130);
    상기 스코어 벽부(110a)와 제1득점 벽부(120a) 및 제2득점 벽부(130a)가 형성하는 실내 공간의 천정 부위에 장착된 상태에서 바닥부(140a)에 운동 경기장 규격화면을 표시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바닥부 빔프로젝터(140);
    상기 제1득점 빔프로젝터(120) 근처에 설치되어 상기 제1득점 벽부(120a)에 표시되는 득점타깃영역과 그 주변 영역을 촬영하여 실내에서의 운동 경기 중 경기자가 득점을 하기 위하여 상기 제1득점 벽부(120a)를 향하여 차거나 던진 볼이 상기 득점타깃영역에 포함되는지 여부에 따라 득점을 판정하기 위한 제1득점 판정영상을 촬영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제1득점 카메라센서(150);
    상기 제2득점 빔프로젝터(130) 근처에 설치되어 상기 제2득점 벽부(130a)에 표시되는 득점타깃영역과 그 주변 영역을 촬영하여 실내에서의 운동 경기 중 경기자가 득점을 하기 위하여 상기 제2득점 벽부(130a)를 향하여 차거나 던진 볼이 상기 득점타깃영역에 포함되는지 여부에 따라 득점을 판정하기 위한 제2득점 판정영상을 촬영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제2득점 카메라센서(160);
    상기 바닥부 빔프로젝터(140) 근처에 설치되어 상기 바닥부(140a)에 표시되는 운동 경기장 규격화면을 촬영하여 해당 운동 경기장 규격화면 내에서 경기자의 이동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경기자위치영상을 촬영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바닥부 카메라센서(170);
    상기 스코어 벽부(110a)와 제1득점 벽부(120a), 제2득점 벽부(130a) 및 바닥부(140a)가 형성하는 하나의 실내 공간에 설치되어 운동 경기용 음향을 출력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스피커(180); 및
    상기 스코어 벽부(110a)와 제1득점 벽부(120a), 제2득점 벽부(130a) 및 바닥부(140a)가 형성하는 하나의 실내 공간에서 경기자가 손이나 발 혹은 손으로 잡고 사용하는 도구로 볼을 다루어 상기 득점타깃영역에 들어가게 하여 득점을 겨루는 운동 경기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도록 상기 스코어 빔프로젝터(110)와 제1득점 빔프로젝터(120), 제2득점 빔프로젝터(130) 및 바닥부 빔프로젝터(140)의 화면표시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제1득점 카메라센서(150)에 의해 촬영된 제1득점 판정영상 혹은 상기 제2득점 카메라센서(160)에 의해 촬영된 제2득점 판정영상에서 상기 득점타깃영역에 볼이 포함되어 있으면 득점으로 판정하고 상기 득점타깃영역 밖에 볼이 있으면 부득점으로 판정하되, 2개 이상의 제1득점 카메라센서(150)에 의해 촬영된 2개 이상의 득점판정영상에서 득점타깃영역에 볼이 포함되어 있는 득점판정영상의 개수가 정해진 확률 이상이면 득점으로 판정하거나, 2개 이상의 제2득점 카메라센서(160)에 의해 촬영된 2개 이상의 득점판정영상에서 득점타깃영역에 볼이 포함되어 있는 득점판정영상의 개수가 정해진 확률 이상이면 득점으로 판정한 결과를 상기 스코어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스피커(180)의 음향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기(19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운동 경기장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190)는 상기 제1득점 벽부(120a) 혹은 상기 제2득점 벽부(130a)에 포함되는 상기 득점타깃영역을 정해진 위치에 고정하여 표시하는 정지방식 혹은 상기 득점타깃영역을 규칙적 혹은 불규칙적으로 이동하여 표시하는 이동방식 혹은 상기의 정지방식과 이동방식을 혼합하여 상기 득점타깃영역을 표시하는 혼합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표시하고, 상기 제1득점 판정영상 혹은 상기 제2득점 판정영상에서 상기 득점타깃영역에 볼이 포함되어 있으면 득점으로 판정하고 상기 득점타깃영역 밖에 볼이 있으면 부득점으로 판정하되, 1개의 제1득점 카메라센서(150) 혹은 1개의 제2득점 카메라센서(160)에 의해 촬영된 1개의 득점판정영상에서 득점타깃영역에 볼이 포함되어 있으면 득점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운동 경기장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190)는 상기 바닥부 카메라센서(170)에 의해 촬영된 상기 경기자위치영상으로부터 확인된 경기자 위치에 대응하여 해당 경기자의 발자국 화면을 상기 운동 경기장 규격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운동 경기장 시스템.
KR1020190129781A 2019-10-18 2019-10-18 실내 운동 경기장 시스템 KR1023074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9781A KR102307433B1 (ko) 2019-10-18 2019-10-18 실내 운동 경기장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9781A KR102307433B1 (ko) 2019-10-18 2019-10-18 실내 운동 경기장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7381A KR20210047381A (ko) 2021-04-30
KR102307433B1 true KR102307433B1 (ko) 2021-10-07

Family

ID=75740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9781A KR102307433B1 (ko) 2019-10-18 2019-10-18 실내 운동 경기장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743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7702A (ja) * 2002-09-12 2004-04-02 Konami Co Ltd ゲーム装置
US20100026809A1 (en) * 2008-07-29 2010-02-04 Gerald Curry Camera-based tracking and position determination for sporting events
US20120302301A1 (en) * 2011-05-24 2012-11-29 Nike, Inc. Adjustable fitness arena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8711A (ko) 2016-06-08 2017-12-18 김완석 스크린 야구장 기반의 빔 프로젝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스크린 야구 제공 방법
KR20190046087A (ko) 2017-10-25 2019-05-07 (주)야디지코리아 스크린 골프장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7702A (ja) * 2002-09-12 2004-04-02 Konami Co Ltd ゲーム装置
US20100026809A1 (en) * 2008-07-29 2010-02-04 Gerald Curry Camera-based tracking and position determination for sporting events
US20120302301A1 (en) * 2011-05-24 2012-11-29 Nike, Inc. Adjustable fitness aren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7381A (ko) 2021-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65505B (zh) 不受時間和空間限制模擬棒球比賽裝置
US20150065273A1 (en) Sports Training Device with Motion Detecting Randomized Play Display.
US20060287137A1 (en) Virtual Batting Range
US20060116185A1 (en) Sport development system
US8973083B2 (en) Phantom gaming in broadcast media system and method
KR101055572B1 (ko) 실내 야구게임장치
US8177642B2 (en) Game control program, game control method, and game device
US20080268952A1 (en) Game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game played by multiple players to compete against one another
KR101790747B1 (ko) 스크린 배드민턴 게임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JPH04241885A (ja) ゴルフゲーム模擬装置
US9210473B2 (en) Phantom gaming in a broadcast media, system and method
US20200197772A1 (en) Projected game arena with movable surfaces
KR102307433B1 (ko) 실내 운동 경기장 시스템
US20220370884A1 (en) Multiplayer, multisport indoor game system and method
KR101888164B1 (ko) 골프 중계 방송 영상의 스트리밍을 이용한 골프 시뮬레이션 서비스 시스템
KR102307436B1 (ko) 실내 운동 경기장 시스템
KR20010016120A (ko) 골프 시뮬레이션 제어시스템 및 골프 경기방법
KR20010016043A (ko) 골프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그 제어시스템
US2021010690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ctive and interactive game play
CN114450070A (zh) 多玩家、多运动室内游戏系统和方法
JP2004012045A (ja) 電子競技システム、電子競技方法、サーバ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010104179A (ko) 가상 현실 골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게임방법
US20190329112A1 (en) Hockey Partner-Robot
KR102633730B1 (ko) 관람자에게 플레이 영상을 제공하는 가상 스포츠 시스템
US20090023522A1 (en) Method of playing a golf g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