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6354B1 - 자기부상장치 - Google Patents

자기부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6354B1
KR102306354B1 KR1020190086198A KR20190086198A KR102306354B1 KR 102306354 B1 KR102306354 B1 KR 102306354B1 KR 1020190086198 A KR1020190086198 A KR 1020190086198A KR 20190086198 A KR20190086198 A KR 20190086198A KR 102306354 B1 KR102306354 B1 KR 1023063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agnetic levitation
electromagnetic
magnetically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6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9539A (ko
Inventor
조우람
권영인
Original Assignee
조우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우람 filed Critical 조우람
Priority to KR1020190086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6354B1/ko
Publication of KR20210009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95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6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63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15/00Holding or levitation devices using magnetic attraction or repuls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기부상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자석의 성질을 가지는 하나 이상의 자기 부상부; 상기 자기 부상부가 자기 부상할 수 있도록 전자기력을 발생하고, 상기 자기 부상부가 특정 위치 상에서 자기 부상할 수 있도록 전자기력을 제어하는 전자기 제어부; 및 상기 전자기 제어부에 상기 자기 부상부가 회전하거나 상하 위치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기 제어 신호를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기부상장치{AN APPRATUS OF MAGNETISM RISE}
본 발명은 자기부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기부상 모듈을 이용하여 특정 위치에 고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중 부양이란 중력에 대항하여 안정된 위치에서 물리적인 접촉점이 없이 공중에 떠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러한 공중 부양 장치의 원리로는 공기압이나 자기력을 이용한 것들이 있으며, 최근까지 주로 공기압에 의한 공중 부양 장치가 연구 및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공기압을 이용한 공중 부양 장치는 공기압을 제공하기 위한 펌프 및 컴프레셔가 필요함으로써 장치 구조가 커질 뿐만 아니라, 소음이 크고 또한 에너지가 많이 소비되는 문제가 있다.
공기압에 의한 공중 부양과 비슷한 원리로 드론과 같은 비행 장치의 동력에 의한 공중 부양이 있으나, 단순히 제자리에 고정하는 것이 아니라 비행의 개념이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소음이 크고 에너지가 많이 소비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최근에는 자석에 의해 발생되는 인력 또는 척력을 통하여 물체를 비접촉 방식으로 소정 위치에 공중 부양시키는 자기 부상 장치가 연구 및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면, 회전하는 자석 팽이를 부양시키거나 지구본 등을 공중 부양시키는 장치 등이 알려져 있다.
자석 팽이의 공중 부양 원리는 자석 팽이를 회전시키게 되면 토크가 만들어져 쓰러지지 않으려는 힘이 있으며, 이 원리를 이용하여 동일한 극성 즉, 척력을 가지는 판 자석 위에서 부상시키는 방법이다.
지구본을 부양시키는 장치는 “ㄷ”자 형태의 장치를 만들고, “ㄷ”자 내측 공간에 지구본을 부양시키는 방법이다. 즉, 장치의 윗단에 전자석을 설치하고 지구본에는 영구 자석을 설치하여, 전자석의 중심에 설치된 센서를 이용하여 부양 높이를 조절하는 방법이다. 여기서 지구본은 중력에 의해 항상 아래로 떨어지려는 힘이 있으므로 수평으로의 힘은 존재하지 않고 수직 방향으로의 힘만 존재함으로써, 전자 회로를 이용하여 수직 힘만 조절하면 되는 비교적 간단한 장치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부양 장치는 다양한 상품을 공중 부양하여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장치로서는 부적합하다. 즉, 이러한 종래의 부양 장치는 특정한 상품 및 특정한 조건을 갖는 제품만을 공중 부양하여 전시할 수 있을 뿐, 다양한 상품을 공중에 부양시켜 사용자에게 전시하기에는 부적합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양한 전시물을 자기부상모듈을 이용하여 고정 전시할 수 있다.
또한, 자기 부상 원리를 이용하여 전시물을 회전 및 이동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자기부상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자석의 성질을 가지는 하나 이상의 자기 부상부; 상기 자기 부상부가 자기 부상할 수 있도록 전자기력을 발생하고, 상기 자기 부상부가 특정 위치 상에서 자기 부상할 수 있도록 전자기력을 제어하는 전자기 제어부; 및 상기 전자기 제어부에 상기 자기 부상부가 회전하거나 상하 위치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기 제어 신호를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기 제어부는, 상기 자기 부상부가 특정 위치 상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자기부상장치의 복수의 코일의 전자기력을 제어하고, 상기 전자기 제어 신호는 상기 자기 부상부의 부상 높이 또는 회전 속도를 조절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는 자기 부상 모듈을 포함하는 전시물; 상기 전시물을 전시할 수 있도록 하는 선반; 및 상기 선반 내부의 자기 부상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기 부상 모듈은, 상기 전시물이 자기 부상한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전자석의 전자기력이 조절되도록 설정되는 자기 부상 모듈이다.
또한, 상기 자기 부상 모듈은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자기 부상 모듈은, 상기 통신부에서 휴대폰으로부터 입력받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시물이 상기 선반으로부터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전자석의 전자기력을 설정하는 자기 부상 모듈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전시물을 자기부상모듈을 이용하여 고정 전시할 수 있다.
또한, 자기 부상 원리를 이용하여 전시물을 회전 및 이동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자기부상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자기부상장치의 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자기부상장치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이끼볼 트레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이끼볼 트레이에서 이끼볼의 회전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이끼볼 트레이에서 이끼볼의 상하 이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사용자 단말"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나 타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 기반 단말,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등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나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또는 위성 통신망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자기부상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기부상장치(100)는 자기 부상부(110)를 포함한다. 자기 부상부(110)는 전자기력 중 척력(repulsive force)에 의하여 자기부상장치의 하단으로부터 밀어내는 힘을 이용하여 공중에 부상할 수 있다.
다만, 자기부상장치(100)에서 자기 부상부(110)에 단순히 일정 크기의 척력을 제공하는 경우, 자기 부상부(110)가 한 위치에 고정적으로 부상하도록 제어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자기 부상부(110)가 한 위치에서 고정적으로 부상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제어 신호에 따라서 회전하거나 상하로 위치를 이동하도록 구현하는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자기부상장치의 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기부상장치(100)는 자기 부상부(110), 전자기 제어부(120) 및 통신부(1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자기 부상부(110)는 자성을 띄는 물체일 수 있으며, 특정 기준점을 기준으로 상하 대칭이거나 무게의 균형을 가지는 매체일 수 있다. 무게의 균형이 필요한 이유는 자기 부상부(110) 하단의 자기부상장치에서 전자기력을 발생시키는 경우, 서로 같은 크기의 전자기력을 발생하는 경우, 무게의 균형이 생겨서 일정 위치에서 고정적으로 부상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전자기 제어부(120)는 자기 부상부(110)가 자기 부상할 수 있도록 전자기력을 발생하고, 자기 부상부(110)가 특정 위치 상에서 자기 부상할 수 있도록 전자기력을 제어한다.
전자기 제어부(120)는 복수 개의 코일 또는 복수 개의 전자기석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코일 또는 전자기석의 전자기력을 제어한다. 자기 부상부(110)가 자기 부상하기 위해서는 최소 3방향에서 전자기력이 발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는 4 방향에서 전자기력을 발생하는 것을 전제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4방향에서의 전자기력 발생을 예로 들었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당업자가 용이하기 도출할 수 있는 범위 전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넓게 해석함이 바람직하다.
전자기 제어부(120)는 4 방향 각각의 전자기석에 전기가 흐르는 경우, 각각 전자기력이 발생되어, 자기 부상부(110)에 같은 크기의 척력이 발생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전자기 제어부(120)는 자기 부상부(110)가 특정 위치에 고정되어 부상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자기 부상부(110)가 특정 위치에 고정되어 부상하기 위해서는 자기 부상부(110) 하단의 4방향 전자기석에 동일한 크기의 척력이 발생되어야 하며, 전자기 제어부(120)가 이에 대한 전자기력 제어를 수행한다.
전자기 제어부(120)는 자기 부상부(110)가 특정 위치에서 부상한 상태로 회전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자기 부상부(110)가 회전하기 위해서는 상기 기재한 동일한 크기의 척력의 균형이 재조정될 필요가 있다. 전자기 제어부(120)는 자기 부상부(110) 하단의 4방향 전자기석의 어느 하나 이상의 전자기석의 척력 또는 인력의 크기를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고정되어 부상한 자기 부상부(110)를 제자리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전자기 제어부(120)는 자기 부상부(110)가 특정 위치에서 상하로 이동하면서 부상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자기 부상부(110)가 특정 위치에서 상하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자기 부상부(110) 하단의 4방향 전자기석의 척력 또는 인력의 크기가 증가 또는 감소되어야 하며, 전자기 제어부(120)가 이에 대한 전자기력 제어를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통신부(130)는, 자기부상장치에 자기 부상부(110)의 부상 높이 또는 회전 속도를 조절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송수신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통신부(130)는 스마트폰 또는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전자기기와 연결되어 자기 부상부(110)에 대한 위치 및 회전 등에 대한 제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에서는 자기 부상부(11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자기부상장치의 4방향 전자기석의 전자기력을 제어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통신부(130)에 전송할 수 있으며, 통신부(130)는 이러한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기 제어부(120)는 통신부(130)가 수신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4방향 전자기석의 전자기력을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자기부상장치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기부상장치는 자기 부상부(110) 하단에 복수 개의 전자기 코일 또는 전자기석(120a, 120b, 120c 및 120d)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기 제어부는 각각의 전자기석(120a, 120b, 120c 및 120d)의 전자기력을 제어하여 자기 부상부(110)가 특정 위치에 고정하여 부상하거나, 상하 이동 또는 제자리 회전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전자석(120a 및 120b)의 척력을 서로 다르게 조정하는 경우, 자기 부상부(110)의 균형 상태는 깨질 수 있으며, 이후 다른 전자석(120c 및 120d)의 전자기력을 조정함으로써 자기 부상부(110)가 회전할 수 있는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자기 부상부(110)가 지속적으로 회전하게끔 하기 위해서는 일정 크기 이상의 회전 모멘텀이 필요하며, 일정 크기 이상의 회전 모멘텀이 생기는 경우에는 균형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각각의 전자기력의 크기의 차이를 감소하는 방향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전자기석 전부(120a, 120b, 120c 및 120d)의 척력을 증가시키는 경우, 자기 부상부(110)의 부상 위치가 높아질 수 있으며 반대로, 전자기석 전부(120a, 120b, 120c 및 120d)의 척력을 감소시키는 경우, 자기 부상부(110)의 부상 위치가 낮아질 수 있다. 전자기 제어부는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자기 부상부가 상하 이동하는 것과 같은 연출 효과를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200)에서는 자기 부상부(110)의 자기부상 연출 효과를 위해서 특정 전자기석의 전자기력을 제어해야 하는지 결정할 수 있다. 스마트폰(200)에서 결정되어 생성된 제어 신호는 자기부상장치의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여, 전자기 제어부에서 이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자기부상장치를 직접적으로 조정하지 않고서도 스마트폰과 같은 별도 제어 기기를 통하여 다양한 연출 효과를 발생할 수 있다.
실시예 : 이끼볼 트레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이끼볼 트레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기부상장치는 자기 부상부를 특정 모형과 결합하여 연출하고자 하는 모형이 공중에 부양한 것과 같은 효과를 발생할 수 있다. 도 4의 이끼볼(410) 내부에는 자기 부상부가 포함될 수 있으며, 자기 부상부가 이끼볼(410)와 고정되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자기부상장치는 선반이나 트레이 같은 전시가 가능한 구조물 상에 포함될 수 있다. 자기부상장치의 경우, 내부에 전자기 코일 또는 전자기석, 전원부 등 다양한 하드웨어 모듈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선반이나 트레이 같은 구조물 내부에 산입시킴으로써 외부에서 바라본 경우에 이끼볼 자체만 공중에 부양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게 연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이끼볼 트레이에서 이끼볼의 회전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기부상장치는 자기 부상부를 포함한 이끼볼(510)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각각의 이끼볼 하단의 전자기석을 제어함으로써 이끼볼이 제자리에서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전자기 제어부는 각각의 이끼볼 하단의 4방향 전자기석의 척력을 주변의 전자기석의 척력과 서로 다르게 함으로써 균형 상태의 이끼볼을 움직이게 할 수 있으며, 이후 회전 모멘텀을 가지게 하여, 이끼볼이 트레이 위에서 제자리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전자기 제어부는, 자기 부상부가 회전하는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각 전자기 코일 또는 전자기석의 전자기력 변화를 빠르게 하는 경우, 자기 부상부의 회전 속도 역시 빨라지며, 전자기력의 변화를 느리게 하는 경우, 자기 부상부의 회전 속도 역시 느리게 할 수 있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이끼볼 트레이에서 이끼볼의 상하 이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기부상장치는 자기 부상부를 포함한 이끼볼이 상하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각각의 이끼볼 하단의 전자기석을 제어함으로써 이끼볼이 상하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전자기 제어부는 각각의 이끼볼 하단의 4방향 전자기석의 척력 크기를 증가시킴으로써 이끼볼이 더 높은 위치에 부상하도록 할 수 있으며, 척력 크기를 감소시킴으로써 이끼볼이 더 낮은 위치에 부상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전자기 제어부는 주기적으로 척력의 크기를 일정 범위 내에서 변화되도록 하여 이끼볼이 트레이에서 계속 상하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의 도 4 내지 도 6의 설명에서는 자기 부상부가 이끼볼이라는 모형 내부에 결합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자기 부상부는 다양한 모형과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당과 같은 공간에서는 햄버거 모형 내부에 자기 부상부를 결합시켜 햄버거가 공중 부양한 것과 같은 연출을 할 수 있다.
또는, 지구 모형 내부에 자기 부상부를 결합하여 지구가 계속 자전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연출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자기 부상부를 부상시키는 자기부상장치와도 연관될 수 있다.
자기부상장치는 다양한 구조물 내부에 내장될 수 있으며, 자기부상장치 및 자기 부상부 사이에는 전자기력에 영향을 적게 미치는 나무, 유리 등의 물질로 마감될 수 있다. 자기부상장치 및 자기 부상부 사이에 자성을 가지는 물질이나, 철과 같이 금속성 물질이 존재하는 경우, 자기부상장치에서의 제어에 방해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나무 장식장의 판 내부에 자기부상장치를 내장하여, 나무 장식장 안에서 특정 장식물이 자기 부상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스마트폰에서는 카메라부를 통하여 자기 부상부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에서는 모니터링하고 있는 자기 부상부에 관한 식별 정보 및 부상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앞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이끼볼 트레이 상에 이끼볼 모형이 자기 부상하고 있는 것을 스마트폰을 통해 동영상 이미지로 획득할 수 있다.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에서는 획득한 동영상 이미지에 기초하여 어떠한 자기 부상부인지 식별할 수 있으며(자기부상장치에서 전송하는 신호 상에 식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어떠한 자기부상장치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내부에 전자기석이 4개 포함된 것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에서는 동영상 이미지 상의 자기 부상부의 부상 높이, 회전 상태 또는 회전 속도를 결정할 수 있다.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에서는 자기 부상체의 부상 높이, 회전 여부 또는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또는 관리자는, 자기 부상부의 위치를 조절하거나 회전 속도를 조절하는 등의 입력을 수행할 수 있고, 스마트폰은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자기부상장치의 통신부에 전송할 수 있다. 전자기 제어부에서는 통신부를 통해서 수신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자기부상장치의 전자기력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그것들의 구성 요소 또는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범용 하드웨어 아키텍쳐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자기부상장치
200: 스마트폰

Claims (1)

  1. 자기부상장치에 있어서,
    전자석의 성질을 가지는 하나 이상의 자기 부상부;
    상기 자기 부상부가 자기 부상할 수 있도록 전자기력을 발생하고, 상기 자기 부상부가 특정 위치 상에서 자기 부상할 수 있도록 전자기력을 제어하는 전자기 제어부; 및
    상기 전자기 제어부에 상기 자기 부상부가 복수의 코일 상단에서 제자리 회전하거나 상하 위치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기 제어 신호를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기 제어부는,
    상기 자기 부상부가 특정 위치 상에서 제자리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자기부상장치의 복수의 코일의 전자기력을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코일 각각은 상기 자기 부상부의 하단에 4방향 위치에서 상기 자기 부상부와의 척력의 크기가 동일하게 발생되도록 위치하며,
    상기 전자기 제어 신호는 상기 스마트폰을 통해 획득한 동영상 이미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자기 부상부에 관한 식별 정보 및 부상 상태에 따라 결정된 상기 자기 부상부의 부상 높이 및 제자리 회전 속도를 조절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자기 부상부에 관한 식별 정보는 상기 자기부상장치에서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신호 상에 포함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부상장치.
KR1020190086198A 2019-07-17 2019-07-17 자기부상장치 KR1023063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198A KR102306354B1 (ko) 2019-07-17 2019-07-17 자기부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198A KR102306354B1 (ko) 2019-07-17 2019-07-17 자기부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9539A KR20210009539A (ko) 2021-01-27
KR102306354B1 true KR102306354B1 (ko) 2021-09-30

Family

ID=74238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6198A KR102306354B1 (ko) 2019-07-17 2019-07-17 자기부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63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5269B1 (ko) 2022-07-15 2022-12-06 이재완 자기부상 서스펜션 모듈을 활용한 진열장 시스템 및 운영 방법
KR102518782B1 (ko) 2022-07-15 2023-04-06 주식회사 디앤지예와가 자기부상 서스펜션 모듈을 활용한 진열장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9846B1 (ko) * 2016-10-05 2017-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부상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Position Control of Magnetic Levitation System, Pooja Mane 외2, 2015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dustrial Instrumentation and Control (ICIC) (2015.05.28. 공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5269B1 (ko) 2022-07-15 2022-12-06 이재완 자기부상 서스펜션 모듈을 활용한 진열장 시스템 및 운영 방법
KR102518782B1 (ko) 2022-07-15 2023-04-06 주식회사 디앤지예와가 자기부상 서스펜션 모듈을 활용한 진열장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9539A (ko) 2021-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6354B1 (ko) 자기부상장치
US10963206B2 (en) Multi-panel, multi-communication video wall and system and method for seamlessly isolating one or more panels for individual user interaction
CN105142971B (zh) 静态或运动物体的磁悬浮
JP6563247B2 (ja) マイクロプロジェクタ装置、磁気浮上ベース及びマイクロプロジェクタ設備
EP3157157B1 (en) System for levitating mobile terminal
CN206627682U (zh) 相机镜头模块
US20180252228A1 (en) Active magnetic bearing
JP2012508604A (ja) 表面にわたる物体の輸送
CN104638983A (zh) 一种小型磁悬浮稳定平台
CN202395704U (zh) 一种利用磁铁同极相斥、异性相吸以及电磁相结合的悬浮装置
CN111884544A (zh) 磁斥式磁悬浮装置
US20110140819A1 (en) Magnetically Levitated Mount
CN205080395U (zh) 自推进设备
CN109362228B (zh) 无人飞行器、无人飞行器底座及无人飞行器系统
CN205563456U (zh) 一种基于虚拟现实技术的房地产销售展示系统
CN2894076Y (zh) 具有垂向移动控制机构的磁斥型悬浮装置
CN206757396U (zh) 一种送餐机器人
CN108217207A (zh) 磁悬浮式基板传送装置
US20140210578A1 (en) Solid elastic sphere levitation device
CN210113126U (zh) 摆件单元和波摆组件
JP2016095354A (ja) 表示装置、表示システムおよび表示方法
US20030027483A1 (en) Controlling the position of an object in three dimensions
CN1538367A (zh) 物品空中悬浮展示方法及装置
CN205899900U (zh) 一种便携式磁悬浮展示装置
CN215450589U (zh) 一种可移动的磁悬浮演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