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6173B1 - 가스 회수 장치 - Google Patents

가스 회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6173B1
KR102306173B1 KR1020200141956A KR20200141956A KR102306173B1 KR 102306173 B1 KR102306173 B1 KR 102306173B1 KR 1020200141956 A KR1020200141956 A KR 1020200141956A KR 20200141956 A KR20200141956 A KR 20200141956A KR 102306173 B1 KR102306173 B1 KR 102306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mounting
recovery device
unit
switch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1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중
Original Assignee
김창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중 filed Critical 김창중
Priority to KR1020200141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61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6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6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 H02B13/055Features relating to the ga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5Electrical failure alar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 H02B13/0356Mounting of monitoring devices, e.g. current transform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 H02B13/065Means for detecting or reacting to mechanical or electrical def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as-Insulated Switchgea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 회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절연 가스 개폐 장치(GIS, Gas Insulated Switchgear)와 연결되어 절연 가스를 회수하는 회수부; 및 회수부를 통해 회수된 절연 가스를 저장하는 탱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스 회수 장치{GAS RECOVERY DEVICE}
본 발명은 가스 회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변전소와 같이 고전압 차단을 위해 사용되는 가스 절연 개폐 장치(GIS, Gas Insulated Switchgear)에서 사용되는 절연 가스를 회수하는 장치에서 회수 과정에서 오류 발생시 장치의 동작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가스 회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의 발달로 인한 전력 수요의 증가에 따라 전력 계통도 대용량, 초고압화 되어가고 있으며, 이에 따른 전력 설비의 안전성과 신뢰도는 매우 중요한 사항이다.
전력 수요의 급증에 따른 초고압 변전설비는 용지확보의 곤란, 유지보수 비용의 과다, 안전성 확보 등의 이유로 변전 설비의 주회로 계통은 밀폐, 은폐화 되고 제어 계통은 전자 회로로 변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존에는 개폐를 위한 장치로 공기 또는 유류를 사용하였으나, 현재는 반응성이 낮은 가스를 이용한 가스 절연 개폐 장치(GIS: Gas Insulated Switchgear)로 변화하고 있다.
가스 절연 개폐 장치(GIS: Gas Insulated Switchgear)는 차단기, 단로기 등의 개폐 설비와 변성기, 피뢰기, 주회로 모선 등을 금속제 탱크 내에 일괄 수납하고, 충전부는 고체 절연물(Spacer)로 지지하고 있으며, 탱크 내부에는 육불화황(SF6)을 절연 매체로 하여 충진 및 밀봉한 개폐 설비 시스템이다.
육불화황(SF6)은 정상상태에서 화학적 불활성, 무독성, 난연성, 비폭발성, 그리고 열적 안정성을 가지고, 대기압 조건에서 SF6 가스의 파괴전압은 공기의 약 3배이고, 더욱이 열전도성이 우수하고 또한 방전 및 섬락 시 고기압 조건에서 분해된 후의 자기 회복성도 우수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육불화황(SF6)은 전력 계통에서 절연 매질로 자주 사용되지만, 적외선 흡수력이 크고, 화학적 불활성 때문에 지구 대기권으로부터 신속하게 제거되지 못하여서, 잠재적 온실가스로 지정되어 있다.
이로 인해, 육불화황(SF6) 가스를 회수하는 장치에 대한 연구가 상당히 진행된 상태이다.
가스 절연 개폐 장치(GIS)의 정상적인 동작과 고장 상태에 따라, 전력 수급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 되고, 가스 절연 개폐 장치(GIS)의 고장 상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장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가스 절연 개폐 장치(GIS)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유지하기 위해 주기적인 점검을 해야 하는데, 점검 작업을 위해서는 앞서 언급한 가스 회수 장치를 이용하여 절연 가스를 회수를 해야만 한다.
모선을 활선 상태에서 사선 상태로 전환한 후에 회수 작업을 진행하여야 하나, 작업상 실수 등에 의해 활선 상태에서 가스를 회수하는 경우에 절연 파괴가 발생하게 되어 가스 절연 개폐 장치(GIS) 및 전력 수급에 문제가 발생함과 더불어 인명사고의 위험성이 있다.
이와 같이, 가스 절연 개폐 장치(GIS)는 활선 상태에서 가스를 회수하지 않아야 함에도 가스를 회수하는 것에 대한 차단 기능이 없어 감독자나 작업자의 실수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점이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20094호 한국등록특허 제10-1505920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절연 가스 개폐 장치로부터 가스를 회수하여 저장하되, 모선의 상태를 인식하여 모선이 활선 상태인 경우 가스의 회수 작업을 차단하여 가스 오회수를 방지하여 절연 가스 개폐 장치를 포함한 장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가스 회수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절연 가스 개폐 장치는 변전소 및 발전소의 다양한 곳에 위치하고, 주기적인 점검이 필요하므로 각각의 절연 가스 개폐 장치가 위치한 곳을 손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스 회수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스 회수 장치는 절연 가스 개폐 장치(GIS, Gas Insulated Switchgear)와 연결되어 절연 가스를 회수하는 회수부 및 회수부를 통해 회수된 절연 가스를 저장하는 탱크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절연 가스 개폐 장치(GIS, Gas Insulated Switchgear)의 상태가 활선 상태 또는 사선 상태인지를 확인하는 센서부, 회수부 및 센서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회수부가 동작 중이고, 절연 가스 개폐 장치(GIS, Gas Insulated Switchgear)가 활선 상태이면 경고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 및 제어부로부터 경고 신호를 수신하면, 회수부의 동작을 정지시켜서 절연 가스 개폐 장치(GIS, Gas Insulated Switchgear)로부터 절연 가스의 회수를 차단하는 차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스 회수 장치는, 가스 회수 장치의 하부면에 설치되며, 상기 가스 회수 장치를 이동시킬 때, 바닥면과의 마찰을 줄여주는 이동부 및 가스 회수 장치의 측면에 설치되며, 가스 회수 장치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고정부는, 측판부의 중앙 부분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힌지부, 힌지부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버팀부, 버팀부의 아래쪽 측면에 설치되며, 지면과 맞닿아서 마찰을 발생시키는 거치부, 힌지부 및 거치부와 연결되고, 힌지부에 걸리는 토크를 거치부로 전달하는 연결부 및 연결부와 맞닿아서 연결부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면서 연결부의 방향을 조정하는 고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힌지부는, 원통의 형태로 연결부를 감을 수 있는 드럼부, 드럼부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 연결 설치되며, 드럼부보다 미리 정해진 길이만큼 긴 지름의 원통이며, 직각 삼각형의 기어가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톱니부, 톱니부에 수직 방향으로 타공된 관통부 및 톱니부의 바깥쪽 측면에 고정 설치되며, 힌지부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는 핸들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버팀부는, 측판부의 일측에 수직 방향으로 연결 설치되고, 내측이 비어있는 버팀 외장부, 버팀 외장부의 내측에서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고, 하측에는 직각 삼각형이 형성되는 버팀 이동부 및 버팀 이동부에 아래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버팀 탄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거치부는, 가스 회수 장치의 측면에 연결 설치되고, 내측에 원통형의 천공이 형성되는 거치 외장부, 거치 외장부의 내측에서 상하로 움직이는 거치 내장부, 거치 내장부의 아래 쪽에 연결 설치되고, 거치 내장부가 아래로 이동하면 지면과 닿아서 마찰을 발생시키는 거치 정지부, 거치 외장부와 거치 내장부 사이에 배치되고, 거치 내장부가 위쪽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수직 탄성부 및 거치 내장부와 거치 정지부의 사이에 위치하고, 거치 정지부가 지면과 닿아있는 상태에서 거치 내장부를 위쪽 방향으로 밀어내는 거치 탄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연결부는, 관통부에 좌우로 설치 고정되는 제1 번들부, 거치 정지부의 상부면에 설치 고정되는 제2 번들부 및 제1 번들부와 제2 번들부를 연결하는 코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은, 가스 회수 장치는 절연 가스 개폐 장치로부터 가스를 회수하여 저장하되, 모선의 상태를 인식하여 모선이 활선 상태인 경우 가스의 회수 작업을 차단하여 가스 오회수를 방지하여 절연 가스 개폐 장치를 포함한 장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스 회수 장치는 절연 가스 개폐 장치가 변전소 및 발전소의 다양한 곳에 위치하고, 주기적인 점검이 필요하므로 각각의 절연 가스 개폐 장치가 위치한 곳을 손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회수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스 회수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스 회수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스 회수 장치의 고정부 내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고정부를 확대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가스 회수 장치가 이동 상태일 때, 고정부의 외부 및 내부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가스 회수 장치가 정지 상태일 때, 고정부의 외부 및 내부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가스 회수 장치가 정지 상태일 때, 고정부의 거치 탄성부가 충격을 흡수하는 모습을 타나내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회수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스 회수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회수 장치(10)는 회수부(100) 및 탱크부(200)를 포함한다.
회수부(100)는 절연 가스 개폐 장치(GIS, Gas Insulated Switchgear)와 연결되어 절연 가스를 회수할 수 있다.
탱크부(200)는 회수부(100)를 통해 회수된 절연 가스를 저장할 수 있다.
대표적인 절연 가스는 육불화황(SF6, 육플루오린화황)이며, 플루오린(F)과 황(S)의 화합물로, 황 원자를 중심으로 플루오린 원자가 정팔면체 구조를 취하고 있다.
인체에 무해하나 지구 온난화를 추진시키는 가스이며, 1960년대부터 절연제 등으로 넓게 사용되고 있다. 이 기체는 인공적인 온실 효과를 만들어내는 기체이다.
사용량은 많지 않았으나, 최근 들어서 수요량이 늘어나고 있으며, 이산화탄소, HFCs, PFCs와 함께 대표적인 온실 가스이어서 육불화항(SF6)은 사용 후 회수하여야 한다.
절연 가스 개폐 장치(GIS)는 육불화황(SF6)과 같은 절연 가스를 사용하기 때문에 가스 회수 장치()를 이용하여 회수하여야 하고, 가스 회수 장치는 절연 가스 개폐 장치(GIS)의 사선 상태일 때, 회수를 수행하여야 한다.
절연 가스 개폐 장치(GIS)가 활선 상태일 때, 가스가 회수될 경우 절연 가스 개폐 장치(GIS)에 절연 파괴가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즉각적인 작업의 중단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기존의 기술은 절연 가스 개폐 장치(GIS)와 가스 회수 장치()의 사이에 솔레노이드를 부가하여 오회수가 감지되면, 솔레노이드에 의해 차단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절연 가스 개폐 장치(GIS)는 자체로 복잡한 구조를 가지는 장치이고, 솔레노이드를 추가하기 위한 작업의 난이도가 높은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절연 가스 개폐 장치(GIS)가 활선 상태일 때, 가스가 회수되는 경우와 같은 오회수가 발생하면, 가스 회수 장치()를 정지시켜서 절연 가스 개폐 장치(GIS)로부터 절연 가스가 배기되지 않도록 하여 장비 손상을 막을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가스 회수 장치(10)는 센서부(300), 제어부(400) 및 차단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300)는 절연 가스 개폐 장치(GIS, Gas Insulated Switchgear)의 상태가 활선 상태 또는 사선 상태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회수부(100) 및 센서부(3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회수부(100)가 동작 중이고, 절연 가스 개폐 장치(GIS, Gas Insulated Switchgear)가 활선 상태이면 경고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데이터는 회수부(100)가 절연 가스 개폐 장치(GIS)로부터 절연 가스를 회수하고 있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 및 센서부(300)에 의해 절연 가스 개폐 장치(GIS)의 상태 정보를 의미한다.
절연 가스 개폐 장치(GIS)가 사선 상태일 때, 회수부(100)가 절연 가스를 회수할 수 있기 때문에 절연 가스 개폐 장치(GIS)가 활선 상태이면, 작업을 중지하여야 하므로, 제어부(400)는 이를 감지하여 경고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차단부(500)는 제어부(400)로부터 경고 신호를 수신하면, 회수부의 동작을 정지시켜서 절연 가스 개폐 장치(GIS, Gas Insulated Switchgear)로부터 절연 가스의 회수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가스 회수 장치(10)가 정지하는 것 외에도 알림 장치를 추가하여 주변의 작업자가 인하게 하거나 관제 서버로 전송하여 절연 가스 개폐 장치(GIS)의 상태를 조작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스 회수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스 회수 장치의 고정부 내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5는 고정부를 확대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가스 회수 장치(10)는 이동부() 및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부()는 가스 회수 장치(10)의 하부면에 설치되며, 가스 회수 장치(10)를 이동시킬 때, 바닥면과의 마찰을 줄여줄 수 있다.
이동부()에 의해 편리한 이동이 가능하지만, 작업 중에 가스 회수 장치(10)가 외부의 충격에 의해 흔들리거나 지면의 기울기로 이동하게 될 경우 용접 장치(W)와 용접봉의 결선이 분리되거나 용접이 흔들려서 제품이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 중 이동이 적은 경우에는 가스 회수 장치(10)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고, 고정 상태를 빠르게 해제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고정부()는 가스 회수 장치(10)의 측면에 설치되며, 가스 회수 장치(10)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고정부(700)는 힌지부(710), 버팀부(730), 거치부(750), 연결부(770) 및 고리부(790)를 포함할 수 있다.
힌지부(710)는 고정부()의 중앙 부분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힌지부(710)는 드럼부(711), 톱니부(713), 관통부(715) 및 핸들부(717)를 포함할 수 있다.
드럼부(711)는 원통의 형태로 연결부(770)를 감을 수 있다.
드럼부(711)는 실과 같은 구조물은 감아서 보관하기 위한 것으로 후술하는 연결부(770)의 코드부(775)가 감기게 되고, 드럼부(711)는 원통의 형태로 수평한 면이 가스 회수 장치(10)의 측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톱니부(713)는 드럼부(711)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 연결 설치되며, 드럼부(711)보다 미리 정해진 길이만큼 긴 지름의 원통이며, 직각 삼각형의 기어가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톱니부(713)는 드럼부(711)의 평평한 면에 설치되므로 각각 좌측면 및 우측면에 설치된다. 이 때, 드럼부(711)가 적절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드럼부(711)의 지름보다 미리 정해진 길이만큼 더 길게 형성되며, 미리 정해진 길이는 제조 과정에서 정해지는 스펙으로 반드시 특정된 값이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톱니부(713)의 테두리에는 직각 삼각형 형태의 기어가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며, 톱니부(713)와 후술하는 버팀부(730)에 의해 한 방향으로만 회전하게 된다.
이 때, 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반대 방향의 회전 방향은 톱니부(713)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직각 삼각형의 방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관통부(715)는 톱니부(713)에 수직 방향으로 타공될 수 있다. 관통부(715)는 각각의 톱니부(713)에 각각 뚫려있으며, 후술하는 제1 번들부(771)가 삽입된다.
핸들부(717)는 톱니부(713)의 바깥쪽 측면에 고정 설치되며, 힌지부(71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수직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핸들부(717)는 아래에서 위로 올리면서 회전시킬 때, 후술하는 고정부(700)에 의해 가스 회수 장치(10)가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적절하다.
버팀부(730)는 힌지부(710)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할 수 있다.
버팀부(730)는 톱니부(713)에서 돌출되는 직각 삼각형의 기어와 맞물려서 힌지부(710)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만 회절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버팀부(730)에 외력을 가하면 힌지부(71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버팀부(730)는 버팀 외장부(731), 버팀 이동부(733) 및 버팀 탄성부(735)를 포함할 수 있다.
버팀 외장부(731)는 가스 회수 장치(10)의 일측에 수직 방향으로 연결 설치되고, 내측이 비어있는 상태이다.
여기서 수직 방향은 가스 회수 장치(10)를 기준으로 수직 방향이므로 지면과는 수평한 방향으로 돌출된다.
버팀 이동부(733)는 버팀 외장부(731)의 내측에서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고, 하측에는 직각 삼각형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수직 방향으로 지면을 기준으로 하며, 버팀 이동부(733)의 아래는 톱니부(713)가 위치하고, 버팀 이동부(733)의 아래쪽의 직각 삼각형의 형태가 톱니부(713)의 직각 삼각형의 형태의 톱니부(713)와 맞닿게 된다.
버팀 탄성부(735)는 버팀 이동부(733)에 아래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버팀 탄성부(735)는 버팀 이동부(733)가 톱니부(713)와 잘 맞물릴 수 있도록 아래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기 때문에 힌지부(710)는 평소에는 회전하지 않으며, 작업자가 핸들부(717)를 이용하여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및 작업자가 버팀 이동부(733)를 위쪽으로 이동시켜서 고정 상태를 해제시키면 힌지부(71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거치부(750)는 버팀부(730)의 아래쪽 측면에 설치되며, 지면과 맞닿아서 마찰을 발생시킬 수 있다.
거치부(750)와 관련하여서는 이하에서 도 6 내지 도 8과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연결부(770)는 힌지부(710) 및 거치부(750)와 연결되고, 힌지부(710)에 걸리는 토크를 거치부(750)로 전달할 수 있다.
연결부(770)는 힌지부(710)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토크에 의해 연결부(770)를 끌어당기면 연결부(770)에 연결된 거치부(750)에 전달하게 된다.
이를 위해, 연결부(770)는, 제1 번들부(771), 제2 번들부(773) 및 코드부(77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번들부(771)는 관통부(715)에 좌우로 설치 고정될 수 있다.
제1 번들부(771)는 드럼부(711)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 위치하는 톱니부(713)에 타공되어 있는 관통부(715)에 끼워져서 설치되며, 제1 번들부(771)에는 코드부(775)의 한 쪽 끝이 고정 결합된다.
제2 번들부(773)는 거치 정지부(755)의 상부면에 설치 고정될 수 있다.
거치 정지부(755)는 이하에서 도 6 내지 도 8과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제2 번들부(773)는 거치 정지부(755)의 상부면에 설치되며, 코드부(775)의 다른 일측에 고정 결합된다. 코드부(775)에 인장력이 발생하면 거치부(750)를 아래로 끌어내리게 된다.
코드부(775)는 제1 번들부(771)와 제2 번들부(773)를 연결할 수 있다.
코드부(775)는 유연하지만, 강한 인장력을 가진 금속성 소재의 선으로 제작되며,
고리부(790)는 연결부(770)와 맞닿아서 연결부(770)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면서 연결부(770)의 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고리부(790)는 연결부(770)의 코드부(775)가 힌지부(710)의 회전에 따라 움직이는 과정에서 안정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코드부(775)의 위치를 잡아주는 역할을 수행하며, 내부에는 코드부(775)와의 마찰을 줄이기 위해 도르래와 같은 바퀴가 설치될 수 있다.
도 6은 가스 회수 장치가 이동 상태일 때, 고정부의 외부 및 내부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가스 회수 장치가 정지 상태일 때, 고정부의 외부 및 내부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8은 가스 회수 장치가 정지 상태일 때, 고정부의 거치 탄성부가 충격을 흡수하는 모습을 타나내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거치부(750)는 거치 외장부(751), 거치 내장부(753), 거치 정지부(755) 수직 탄성부(757) 및 거치 탄성부(759)를 포함할 수 있다.
거치 외장부(751)는 가스 회수 장치(10)의 측면에 연결 설치되고, 내측에 원통형의 천공이 형성될 수 있다.
거치 외장부(751)는 가스 회수 장치(10)의 측면에 연결 설치되어 고정되고, 내측은 지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원통형으로 뚫려 있게 된다.
거치 내장부(753)는 거치 외장부(751)의 내측에서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거치 내장부(753)는 거치 외장부(751)의 내측에 삽입되는 원통형의 구조물로 상부면에 제2 번들부(773)가 끼워서 고정되고, 코드부(775)에 의해 인장력이 강해지면 거치 내장부(753)는 아래로 이동하여 지면과 닿아서 가스 회수 장치(10)가 고정되고, 코드부(775)에 의해 인장력이 약해지면 거치 내장부(753)는 위로 이동하여 지면에서 이격되면서 가스 회수 장치(10)가 이동하기 쉬운 상태가 된다.
거치 정지부(755)는 거치 내장부(753)의 아래 쪽에 연결 설치되고, 거치 내장부(753)가 아래로 이동하면 지면과 닿아서 마찰을 발생시킬 수 있다.
거치 정지부(755)는 지면과 맞닿는 지점으로 거치 내장부(753)의 아래 쪽에 연결 설치되고, 거치 정지부(755)의 하부면은 고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높은 마찰 계수가 높은 소재를 부착시킬 수 있다.
수직 탄성부(757)는 거치 외장부(751)와 거치 내장부(753) 사이에 배치되고, 거치 내장부(753)가 위쪽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수직 탄성부(757)는 거치 내장부(753)가 위쪽으로 이동하도록 하며, 코드부(775)에 의한 인장력으로 거치 내장부(753)가 아래로 이동하고, 인장력이 없어지면, 수직 탄성부(757)의 탄성력에 의해 거치 내장부(753)는 위쪽으로 이동하여 원위치로 돌아가게 된다.
거치 탄성부(759)는 거치 내장부(753)와 거치 정지부(755)의 사이에 위치하고, 거치 정지부(755)가 지면과 닿아있는 상태에서 거치 내장부(753)를 위쪽 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다.
거치 탄성부(759)는 거치 내장부(753)가 아래로 내려와서 가스 회수 장치(10)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이용되는 구성으로 가스 회수 장치(10)가 고정된 상태에서 외부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거치 내장부(753)가 아래로 내려올 때 바닥면이 평평하지 않으면 각각의 거치 탄성부(759)가 각각 다르게 수축하여 가스 회수 장치(10)의 수평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가스 회수 장치(10)는 절연 가스 개폐 장치(GIS)로부터 가스를 회수하여 저장하되, 절연 가스 개폐 장치(GIS)의 상태를 인식하여 절연 가스 개폐 장치(GIS)가 활선 상태인 경우 가스의 회수 작업을 차단하여 가스 오회수를 방지하여 절연 가스 개폐 장치(GIS)를 포함한 장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가스 회수 장치(10)는 절연 가스 개폐 장치(GIS)가 변전소 및 발전소의 다양한 곳에 위치하고, 주기적인 점검이 필요하므로 각각의 절연 가스 개폐 장치(GIS)가 위치한 곳을 손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가스 회수 장치
100: 센서부
200: 제어부
300: 차단부
400: 회수부
500: 탱크부
600: 이동부
700: 고정부

Claims (3)

  1. 절연 가스 개폐 장치(GIS, Gas Insulated Switchgear)와 연결되어 절연 가스를 회수하는 회수부; 및
    상기 회수부를 통해 회수된 절연 가스를 저장하는 탱크부;를 포함하고,
    절연 가스 개폐 장치(GIS, Gas Insulated Switchgear)의 상태가 활선 상태 또는 사선 상태인지를 확인하는 센서부;
    상기 회수부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회수부가 동작 중이고, 절연 가스 개폐 장치(GIS, Gas Insulated Switchgear)가 활선 상태이면 경고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경고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회수부의 동작을 정지시켜서 절연 가스 개폐 장치(GIS, Gas Insulated Switchgear)로부터 절연 가스의 회수를 차단하는 차단부;를 더 포함하는 가스 회수 장치는,
    상기 가스 회수 장치의 하부면에 설치되며, 상기 가스 회수 장치를 이동시킬 때, 바닥면과의 마찰을 줄여주는 이동부;
    상기 가스 회수 장치의 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가스 회수 장치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중앙 부분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힌지부;
    상기 힌지부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버팀부;
    위쪽 방향 또는 아래쪽 방향으로 움직이며, 지면과 맞닿아서 마찰을 발생시키는 거치부;
    상기 힌지부 및 상기 거치부와 연결되고, 상기 힌지부에 걸리는 토크를 상기 거치부로 전달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와 맞닿아서 상기 연결부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연결부의 방향을 조정하는 고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부는,
    원통의 형태로 상기 연결부를 감을 수 있는 드럼부;
    상기 드럼부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드럼부보다 미리 정해진 길이만큼 긴 지름의 원통이며, 직각 삼각형의 기어가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톱니부;
    상기 톱니부에 수직 방향으로 타공된 관통부; 및
    상기 톱니부의 바깥쪽 측면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힌지부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는 핸들부;를 포함하며,
    상기 버팀부는,
    수직 방향으로 연결 설치되고, 내측이 비어있는 버팀 외장부;
    상기 버팀 외장부의 내측에서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고, 하측에는 직각 삼각형이 형성되는 버팀 이동부; 및
    상기 버팀 이동부에 아래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버팀 탄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부는,
    상기 가스 회수 장치의 측면에 연결 설치되고, 내측에 원통형의 천공이 형성되는 거치 외장부;
    상기 거치 외장부의 내측에서 상하로 움직이는 거치 내장부;
    상기 거치 내장부의 아래 쪽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거치 내장부가 아래로 이동하면 지면과 닿아서 마찰을 발생시키는 거치 정지부;
    상기 거치 외장부와 상기 거치 내장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거치 내장부가 위쪽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수직 탄성부; 및
    상기 거치 내장부와 상기 거치 정지부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거치 정지부가 지면과 닿아있는 상태에서 상기 거치 내장부를 위쪽 방향으로 밀어내는 거치 탄성부;를 포함하며,
    연결부는,
    상기 관통부에 좌우로 설치 고정되는 제1 번들부;
    상기 거치 정지부의 상부면에 설치 고정되는 제2 번들부; 및
    상기 제1 번들부와 상기 제2 번들부를 연결하는 코드부;를 포함하는 가스 회수 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200141956A 2020-10-29 2020-10-29 가스 회수 장치 KR1023061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1956A KR102306173B1 (ko) 2020-10-29 2020-10-29 가스 회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1956A KR102306173B1 (ko) 2020-10-29 2020-10-29 가스 회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6173B1 true KR102306173B1 (ko) 2021-09-27

Family

ID=77925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1956A KR102306173B1 (ko) 2020-10-29 2020-10-29 가스 회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617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4109B1 (ko) * 2007-03-16 2007-10-05 우성진공기술(주) 육불화황가스 액화회수장치
KR101505920B1 (ko) 2013-10-02 2015-03-2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Sf6 분리회수장치 및 방법
KR101620094B1 (ko) 2014-12-01 2016-05-12 김상현 고효율 육불화황 가스 회수 정제 장치
KR20200069134A (ko) * 2018-12-06 2020-06-16 한국전력공사 절연가스 회수오류 자동차단 장치 및 방법
KR20200119101A (ko) * 2019-04-09 2020-10-19 김만석 Gis 운영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4109B1 (ko) * 2007-03-16 2007-10-05 우성진공기술(주) 육불화황가스 액화회수장치
KR101505920B1 (ko) 2013-10-02 2015-03-2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Sf6 분리회수장치 및 방법
KR101620094B1 (ko) 2014-12-01 2016-05-12 김상현 고효율 육불화황 가스 회수 정제 장치
KR20200069134A (ko) * 2018-12-06 2020-06-16 한국전력공사 절연가스 회수오류 자동차단 장치 및 방법
KR20200119101A (ko) * 2019-04-09 2020-10-19 김만석 Gis 운영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6173B1 (ko) 가스 회수 장치
CN203481707U (zh) 上桩头引流线固定杆
KR101667639B1 (ko) 3-포지션 인터록 조절 장치
CN105742965A (zh) 带有位置指示装置的配电盘
CN105580224A (zh) 用于将架空线固定在塔杆上的装置和用于安装线路避雷器的方法
CN105043670A (zh) 新型带电sf6检漏装置
CN214848334U (zh) 一种单臂水平旋转隔离开关防鸟筑巢保护套
CN204831702U (zh) 新型带电sf6检漏装置
KR20190127403A (ko)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전동 스프링 조작장치
CN111049045B (zh) 一种电力系统真空断路器检修平台
US2877320A (en) Fuse cutout
CN210142813U (zh) 一种可调节的高压开关柜
CN105762753A (zh) 一种±800千伏直流线路避雷器安装装置及方法
CN201266568Y (zh) 封闭式空气开关
KR102435051B1 (ko) 모니터링 기능을 구비한 154kv 이상급 변전소용 변전설비
JP2008262790A (ja) 懸垂吊碍子装置の横振れ抑制装置
CN204904949U (zh) 一种避雷装置
KR102435052B1 (ko) 변전전력계통의 보호가 용이한 변전설비
CN211879844U (zh) 一种输变电安全高压开关柜
CN216251547U (zh) 一种稳定的验电器用接地线连接结构
CN206819929U (zh) 新型防雷真空断路器
CN216121447U (zh) 一种电气设备保护外壳
CN108233316A (zh) 一种浮顶油罐限流避雷装置
CN208782469U (zh) 一种智能消弧及过电压保护装置
CN108418170B (zh) 高压电缆接头包裹式柔性防火防爆毯拼装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