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6150B1 - Boltless Lane separation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Google Patents

Boltless Lane separation and Its construction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6150B1
KR102306150B1 KR1020200075834A KR20200075834A KR102306150B1 KR 102306150 B1 KR102306150 B1 KR 102306150B1 KR 1020200075834 A KR1020200075834 A KR 1020200075834A KR 20200075834 A KR20200075834 A KR 20200075834A KR 102306150 B1 KR102306150 B1 KR 1023061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ing
ground
buried
striking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58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오세민
박정현
Original Assignee
오세민
주식회사 정현로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세민, 주식회사 정현로드텍 filed Critical 오세민
Priority to KR1020200075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615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6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615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1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and having means for providing occasional passage, e.g. for emergency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84Installing; Repairing; Adju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ltless lane separator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the boltless lane separator comprises: a plurality of pillar part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installed in the ground in a buried manner; and one or more transverse parts installed between the pillar parts. The pillar part includes: pillars each formed in a tubular shape having a length and installed in the ground in the buried manner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fixed bushing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a lower part of the pillar and buried in the ground. The construction method for the boltless lane separator comprises: a drilling step of drilling one or more burying grooves in the ground; a burying step of placing the pillar part in the burying groove and striking the pillar part using a pillar striking device to bury the pillar part; and a connecting step of installing the transverse part on the buried pillar par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the occurrence of secondary accidents caused by bolts is prevented.

Description

무볼트 차선분리대 및 이의 시공방법{Boltless Lane separation and Its construction method}Boltless Lane separation and Its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무볼트 차선분리대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볼트 없이 차선분리대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볼트에 의한 2차 사고 발생을 방지하며 설치가 용이한 무볼트 차선분리대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lt-free lane divider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bolt-free lane divider and its construction method, which can be installed without bolts, thereby preventing secondary accidents caused by bolts and easy installation is about

일반적으로 차선분리대는 차도 중앙이나 차도와 인도가 서로 맞닿는 부분에 설치되어 하나의 도로에서 수평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차선을 분리하거나, 차도와 인도를 구분지어 차량이 인도를 침범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운전자에게 올바른 차선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Generally, lane dividers are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roadway or where the roadway and sidewalk meet to separate lanes so that they can move in opposite directions based o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one road, or separate the roadway from the sidewalk so that the vehicle invades the sidewalk. It plays a role of guiding the driver to move into the correct lane to prevent

또한, 차선분리대는 단순히 차선을 분리하는 것뿐만이 아닌 빛을 반사하는 시트지를 부착하여 차량 이동방향을 안내하거나 심야운전시 차량의 빛을 반사하여 운전자가 올바른 차선으로 운전하게 유도할 수 있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ane divider not only separates lanes, but also guides the direction of vehicle movement by attaching a sheet that reflects light or reflects the light of the vehicle during night driving to induce the driver to drive in the correct lane. can do.

또한, 보행자의 무단횡단 또한 방지할 수 있어 차량 및 보행자가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it can prevent pedestrians from crossing the road, allowing vehicles and pedestrians to move safely.

종래의 기술로 한국등록특허 제10-1851214호(발명의 명칭: 무단횡단금지용 차선분리대)가 공개되어 있다.As a prior art,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851214 (Title of the Invention: Lane Separator for Unauthorized Crossing) has been disclosed.

그러나 차량사고로 인해 충격을 흡수한 지주는 훼손 또는 파손되기 때문에 잦은 교체작업이 필요하나 볼트를 지면에 견고하게 관통 결합시키므로 교체 작업 시 매번 볼트를 분리 및 결합해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다.However, frequent replacement work is required because the pole that absorbs the shock caused by a vehicle accident is damaged or damaged, but since the bolt is firmly penetrated into the ground, it is inconvenient to have to separate and combine the bolt each time during replacement work.

또한 설치시에도 지면을 관통해야하기 때문에 설치를 할 때도 지면에 볼트 결합을 위한 타공작업이 필요하며, 작업시 지면을 볼트의 개수만큼 타공하는데 지면의 평탄도가 저하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ground must be penetrated during installation, a drilling operation for bolting the bolt to the ground is required during installation.

또한 차량사고로 인해 파손될 경우 볼트가 도로에 굴러다니는 상황이 발생하고, 이러한 볼트에 의해 2차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if it is damaged due to a vehicle accident, a situation in which the bolt rolls on the road occurs,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secondary accident occurs due to the bolt.

또한 지주와 가로봉의 연결부분이 파손될 경우 가로봉만이 아닐 지주까지 모두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In addition, if the connecting part between the post and the cross bar was damaged, it was inconvenient to replace not only the cross bar but also the post.

따라서, 시공이 용이하며 파손 시 교체가 간편하고 2차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차선분래대의 개발이 필요하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lane divider that is easy to construct, can be easily replaced when damaged, and can prevent secondary accidents from occurring.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볼트 없이 차선분리대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볼트에 의한 2차 사고 발생을 방지하며 설치가 용이한 무볼트 차선분리대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olt-free lane divider that can be installed without bolts, thereby preventing secondary accidents caused by bolts, and easy to install,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볼트 차선분리대는 서로 이격되어 지면에 매립식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지주부 및 상기 지주부간 사이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가로부를 포함하되, 상기 지주부는 길이를 가지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이격되게 지면에 매립식으로 설치되는 지주 및 상기 지주 하부 외면에 설치되어 지면에 매립되는 고정부싱을 포함하는 무볼트 차선분리대를 제공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bolt-free lane divid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post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installed in a buried manner in the ground, and one or more horizontal parts installed between the posts. Including, wherein the holding portion is formed in a tubular shape having a length, to provide a bolt-free lane divider comprising a post installed to be buried in the grou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fixing bushing installed on the lower outer surface of the post and buried in the ground. can

여기서, 상기 지주는 내부가 빈 관 형상으로 형성되되, 하면이 개구된 지주몸체; 상기 지주몸체 하부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타격부재 및 상기 지주몸체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가로부가 설치되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holding body is formed in a hollow tubular shape, the lower surface of the open holding body; It may include a striking member form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lower part of the holding body, and a coupling part formed on one or both sides of the holding body, in which the horizontal part is installed.

또한, 상기 결합부는 관 형상으로 상기 지주몸체에 내측으로 형성되되, 외면이 관통되게 형성되는 결합부재 및 상기 결합부재 내주면에 형성된 결합나사산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upling part may include a coupling member formed in a tubular shape on the inside of the holding body, and a coupling member having an outer surface to be penetrated and a coupling screw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member.

또한, 상기 고정부싱은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주 하부 외면에 설치되는 부싱몸체 및 상기 부싱몸체 외면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bushing may include a bushing body formed in a tubular shape and installed on the lower outer surface of the post, and one or more fixing protrusions formed to protrude outwardly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bushing body.

또한, 상기 지주부는 지주타격장치를 통해 상기 타격부재가 타격되어 지면에 형성된 매립홈에 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hold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riking member is hit through the post striking device is embedded in the buried groove formed in the ground.

또한, 상기 지주타격장치는 내부가 빈 관 형상으로 형성되되 하면이 개구되어, 상기 지주부가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타격부재를 타격할 수 있는 타격몸체 및 상기 타격몸체에 형성된 손잡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st striking device may include a striking body formed in a hollow tubular shape and the lower surface is opened, the holding part being accommodated therein to hit the striking member, and a handle formed on the striking body.

또한, 상기 매립홈은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uried groov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a ring shape.

또한, 상기 가로부는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는 연결부 및 일단과 타단이 상기 연결부에 각각 체결되는 가로바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rizontal portion may include a connecting portion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and a horizontal bar having one end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connecting portion, respectively.

또한, 상기 연결부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 일측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와 결합되는 연결나사산 및 상기 연결부재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가로바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portion is a connecting member; It may include a connecting screw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one side of the connecting member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and an insertion groove formed at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ng member into which the horizontal bar is inserted.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삽입홈 내부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체결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로바는 일단과 타단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체결돌기가 체결될 수 있는 체결홈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fastening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inside the insertion groove, and the horizontal bar may include a fastening groove form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respectively, to which the fastening protrusion can be fastened.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볼트 차선분리대의 상기 지주는 상기 지주몸체에 길이방향을 따라 길이를 기지도록 형성된 암나사산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타격부재는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암나사산과 결합하는 수나사산을 포함하며, 상기 타격부재가 상기 암나사산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볼트 차선분리대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of the bolt-free lane divid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female thread formed to extend a lengt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lding body, and the striking member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form the female thread and the female threa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bolt-free lane divider,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male thread for coupling, the striking member can move along the female thread.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무볼트 차선분리대의 상기 지주는 상기 지주몸체에 상기 타격부재 상측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주몸체 외부로 인출이 가능한 해체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주타격장치는 상기 타격몸체 하단에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인출된 상기 해체돌출부가 삽입 및 고정될 수 있는 해체홀을 더 포함하는 무볼트 차선분리대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le of the bolt-free lane separato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above the striking member on the pole body, and further comprises a dismantling protrusion that can be withdrawn to the outside of the pole body, the pole striking device can provide a bolt-free lane divider further comprising a dismantling hole formed in a 'L' shape at the lower end of the striking body and into which the dismantling protrusion drawn out can be inserted and fix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볼트 차선분리대의 시공방법은 지면에 하나 이상의 매립홈을 천공하는 천공단계; 지주부를 상기 매립홈에 위치시키고 지주타격장치를 이용해 타격시켜 매립시키는 매립단계 및 매립된 지주부에 가로부를 설치하는 연결단계를 포함하는 무볼트 차선분리대의 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bolt-free lane divi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illing step of drilling one or more buried grooves in the groun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nstruction method of a bolt-free lane divider comprising a embedding step of locating a holding part in the buried groove and hitting it using a post striking device to embed it, and a connecting step of installing a horizontal part on the buried holding part.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볼트 차선분리대 및 이의 시공방법은 볼트 없이 차선분리대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고에 의한 파손 발생 시 차선분리대에서 이탈된 볼트에 의해 2차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The boltless lane divider and its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llow the lane divider to be installed without a bolt, so that when a damage occurs due to an accident, a secondary accident occurs due to a bolt detached from the lane divider can prevent

또한, 볼트가 아닌 연결부에 의해 지주부와 가로바가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파손 발생 시 연결부 또는 가로바만 교체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by connecting the holding portion and the transverse bar by the connecting part, not the bolt, it is possible to reuse only the connecting part or the transverse bar when damage occurs.

이 뿐만 아니라, 지주부간의 설치간격에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연결부를 통해 조절하여 가로바를 지주부에 용이하게 연결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o this, even if an error occurs in the installation interval between the poles, it is possible to easily connect the horizontal bar to the poles by adjusting it through the connecting part.

또한 볼드에 의해 지면에 고정되는 것이 아닌 매립식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시공이 간편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it is made of a buried type rather than fixed to the ground by a bolt, construction can be simpl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볼트 차선분리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볼트 차선분리대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의 (a) 및 (b)는 도 2의 지주부를 도시한 정단면도 및 확대도.
도 4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볼트 차선분리대 시공 시 사용되는 지주타격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및 사용되는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볼트 차선분리대의 지주부가 지면에 매립된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도 2의 가로부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연결부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볼트 차선분리대의 지주부와 가로부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볼트 차선분리대의 지주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타격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볼트 차선분리대의 지주부가 타격부재의 이동에 따라 지면에 시공된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무볼트 차선분리대의 지주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해체돌출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14의 (a) 및 (b)는 도 12의 해체돌출부가 인입 및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15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무볼트 차선분리대 시공 시 사용되는 지주타격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볼트 차선분리대의 시공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oltless lane divid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eparation of the bolt-free lane divid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 and (b) are a front cross-sectional view and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support of FIG.
4 (a) and (b) are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t striking device used in the construction of a bolt-free lane divid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state in use.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lding portion of the bolt-free lane divid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mbedded in the ground.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orizontal portion of Figure 2 separated.
Figure 7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nection of Figure 6;
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holding portion and a horizontal portion of the boltless lane divid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bined.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pporting part of a bolt-free lane divid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iking member of Figure 9;
11 (a) and (b) are exemplary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lding part of the bolt-free lane separat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on the groun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triking member.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pporting part of a bolt-free lane divid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disassembly protrusion of FIG. 12;
14 (a) and (b) are exemplary view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disassembly protrusion of FIG. 12 is drawn in and drawn out.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st striking device used in the construction of a bolt-free lane divid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struction method of a bolt-free lane divi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s not limited to specific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and various embodiments may be provided. In addi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contents described below include all convers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terms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meanings are not limited thereto, and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Like reference numbers used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refer to like elements.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s used herei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addition, terms such as "comprises", "comprising" or "have" described below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exist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It should be construed as not precluding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6 attached thereto.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볼트 차선분리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볼트 차선분리대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의 (a) 및 (b)는 도 2의 지주부를 도시한 정단면도 및 확대도이고, 도 4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볼트 차선분리대 시공 시 사용되는 지주타격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및 사용되는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볼트 차선분리대의 지주부가 지면에 매립된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6은 도 2의 가로부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연결부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볼트 차선분리대의 지주부와 가로부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olt-free lane divid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olt-free lane divid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 a) and (b) are a front cross-sectional view and an enlarged view of the holding part of FIG. 2, and FIGS. 4 (a) and (b) are the posts used in the construction of the boltless lane divid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perspective view of a striking device and a state in which it is used, and FIG.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lding part of the boltless lane divid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mbedded in the ground, an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orizontal part of FIG. 2 separated, FIG. 7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nection part of FIG. 6, and FIG. It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볼트 차선분리대는 지주부(1) 및 가로부(2)를 포함할 수 있다.1 to 3 , the bolt-free lane divid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holding portion 1 and a horizontal portion 2 .

먼저, 지주부(1)는 다수가 구비되어, 서로 이격되게 지면에 매립식으로 설치될 수 있는데, 이때 일정간격으로 이격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First, a plurality of the holding parts 1 are provided and may be installed in the groun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buried manner.

매립식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지주부(1)는 지주(10) 및 고정부싱(11)을 포함할 수 있다.The holding part 1 may include a holding post 10 and a fixing bushing 11 to be installed in a buried type.

지주(10)는 길이를 가지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이격되게 지면에 매립식으로 설치될 수 있고, 외부에 의한 충격을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도록 유연성이 있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post 10 is formed in a tubular shape having a length, may be installed in a buried manner in the groun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may be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to easily absorb an external shock, for example For example, it may be formed of a 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 material,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지주(10)의 길이는 90cm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post 10 may be formed to be 90 cm or more.

이러한 지주(10)는 지주몸체(100), 타격부재(101), 결합부(102), 반사부(103) 및 이탈방지돌기(104)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st 10 may include a post body 100 , a striking member 101 , a coupling part 102 , a reflective part 103 , and a separation prevention protrusion 104 .

지주몸체(100)는 길이를 가지는 내부가 빈 관 형상으로 형성되되, 하면이 개구될 수 있다. 지주몸체(100)는 원형 관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각 형상 등 다양한 관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holding body 100 is formed in a hollow tube shape having a length, the lower surface may be opened. The holding body 100 is preferably formed in a circular tubular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tubular shapes such as a square shape.

이에 지면에 지주부(1) 시공 시, 지주몸체(100) 내면도 지면과 접하게 되어 접촉면적이 넓어짐에 따라 지주부(1)가 보다 견고하게 지면에 설치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holding part 1 is constructed on the ground, the holding body 100 inner surface is also in contact with the ground, and as the contact area increases, the holding part 1 can be more firmly installed on the ground.

타격부재(101)는 지주몸체(100) 하부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지주타격장치(3)에 의해 타격될 수 있다. 이에 지주타격장치(3)를 통해 지주부(1)를 지면에 매립시킬 수 있도록 한다.The striking member 101 is formed to protrude outwardly on the lower part of the pole body 100 , and may be hit by the pole striking device 3 . Accordingly, the holding part 1 can be embedded in the ground through the post striking device 3 .

이러한 타격부재(101)는 지주몸체(100) 하부에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되, 외면이 내측에서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외주면을 따라 이격된 다수의 돌기 형태로 형성되는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striking member 101 is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under the holding body 100, the outer surface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ly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formed in the form of a plurality of protrusions spaced apart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결합부(102)는 지주몸체(100) 상부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되어, 가로부(2)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결합부(102)는 지주몸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지주몸체(100)의 상부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하나 또는 한쌍으로 형성되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어 다수 또는 다수 쌍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The coupling portion 102 is formed on one or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holding body 100, the horizontal portion 2 may be installed. In this case, the coupling portion 102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lding body 100 . That is, to be form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holding body 100, it is formed in one or a pair, and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be formed in a plurality or a plurality of pairs.

또한 결합부(102)는 결합부재(1020) 및 결합나사산(1021)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upling part 102 may include a coupling member 1020 and a coupling screw thread 1021 .

결합부재(1020)는 원형 관 형상으로 지주몸체(100) 내측에 수직되게 형성되되, 외면이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The coupling member 1020 is vertically formed inside the holding body 100 in a circular tubular shape, and may be formed so that the outer surface thereof is penetrated.

이에 가로부(2)의 연결부(20)가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necting portion 20 of the horizontal portion 2 may be inserted therein.

결합나사산(1021)은 결합부재(1020) 내주면에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연결부(20)의 연결나사산과 결합되어 연결부(20)가 지주(10)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The coupling screw thread 1021 may be formed to have a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member 1020 , and may be coupled to the coupling screw thread of the coupling part 20 so that the coupling part 20 is fixed to the post 10 .

이와 같이 결합부(102)와 연결부(20)가 길이를 가지는 나사산의 형태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지주부(1)간의 간격에 따라 연결부(20)가 결합부(102)에 삽입되는 삽입길이를 조절하여 가로바(21)를 설치하도록 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coupling part 102 and the connection part 20 are coupled in the form of a thread having a length, so that the connection part 20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part 102 according to the interval between the holding parts 1 . can be adjusted to install the horizontal bar 21 .

이를 통해 지주부(1)간의 설치간격에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지주부(1)의 재설치 없이 연결부(20)를 통해 좌우간격을 조절할 수 있어 가로바를 용이하게 연결시킬 수 있다.Through this, even if an error occurs in the installation interval between the holding parts 1, the left and right intervals can be adjusted through the connecting part 20 without reinstalling the holding part 1, so that the horizontal bars can be easily connected.

반사부(103)는 지주몸체(100)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야간에 빛을 반사시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반사부(103)는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는데, 다수개가 형성될 경우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reflective part 103 is formed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lding body 100, so that it can be easily identified by reflecting light at night. In addition, one or more reflection units 103 may be formed. When a plurality of reflection units 103 are formed, they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이탈방지돌기(104)는 지주몸체(100) 하단에 외주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는데, 외측으로 수직되게 형성되어 지주몸체(100)에 설치된 고정부싱(11)이 이탈되지 않도록 막아줄 수 있다.The separation prevention protrusion 104 may be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t the lower end of the holding body 100 , and may be formed vertically to the outside to prevent the fixing bushing 11 installed on the holding body 100 from being separated.

고정부싱(11)은 지주(10) 하부 외면에 설치되어 지면에 매립될 수 있다. 고정부싱(11)은 지주(10) 보다 딱딱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지면에 지주부(1)가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고정부싱(11)은 폴리프로필렌(PP)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fixing bushing 11 is installed on the lower outer surface of the post 10 and may be embedded in the ground. The fixing bushing 11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rder than the support 10, which is to allow the support 1 to be more firmly fixed to the ground. More specifically, the fixing bushing 11 may be formed of a polypropylene (PP) material,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지면의 상태가 좋지 않을 경우 에폭시 등의 이액형 접착제를 이용하여 지주부(1)를 설치할 수 있는데 고정부싱(11) 없이 지주(10)에 바로 이액형 접착제를 발라 매립시킬 경우 지면과 접착되지 않기 때문에, 고정부싱(11) 외면에 이액형 접착제를 발라 매립시키는 것으로 지면과 지주부(1)의 접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if the condition of the ground is not good, the holding part 1 can be installed using a two-component adhesive such as epoxy. Since it is not, it is possible to make the adhesion of the ground and the holding part (1) possible by applying a two-component adhesive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xing bushing (11) and embedding it.

또한 고정부싱(11)은 지주(10) 하부 외면에 끼워져 타격부재(101)와 이탈방지돌기(104) 사이에 위치되고 밀착돌기(112)와 하단이 타격부재(101)와 이탈방지돌기(104)에 각각 접하여 고정되도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In addition, the fixing bushing 11 is inserted into the lower outer surface of the post 10 and is positioned between the striking member 101 and the separation prevention protrusion 104, and the contact protrusion 112 and the lower end are the striking member 101 and the separation prevention projection 104. ) is preferably fixed in contact with each,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러한 고정부싱(11)은 부싱몸체(110)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xing bushing 11 may include a bushing body 110 .

부싱몸체(110)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지주(10) 하부 외면에 밀착되게 끼워져 설치될 수 있다. 매립 시 지면과 접하여 마찰력에 의해 지주부(1)가 지면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The bushing body 110 may be installed in a tubular shape and fit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outer surface of the post 10 . When buried, the holding part 1 may be fixed to the ground by frictional force in contact with the ground.

또한 고정부싱(11)은 지면과의 결합력이 보다 향상되도록 고정돌기(1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bushing 11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protrusion 111 to further improve the bonding force with the ground.

고정돌기(111)는 하나 이상이 부싱몸체(110) 외면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One or more fixing protrusions 111 may be formed to protrude outwardly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bushing body 110 .

보자 자세하게 고정돌기(111)는 부싱몸체(110) 외면을 따라 형성되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In detail, the fixing protrusions 111 are forme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bushing body 110, and one or more may be formed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또한 고정돌기(111)는 지면에 용이하게 매립될 수 있도록 외면이 내측에서 외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Also, the fixing protrusion 111 may have an outer surface inclined upward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so that it can be easily embedded in the ground.

그러나 고정돌기(111)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고정돌기(111) 대신 홈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However, the shape of the fixing protrusion 111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and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groove instead of the fixing protrusion 111 .

또한 고정부싱(11)은 지주(10)에서 움직임이 발생하지 않고 지면과의 고정력이 보다 향상될 수 있도록 밀착돌기(1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bushing 11 may further include a close contact protrusion 112 so that no movement occurs in the post 10 and the fixing force with the ground can be further improved.

밀착돌기(112)는 부싱몸체(110) 상단에 수직되게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지주(10)에 설치될 시 상측이 타격부재(101)와 접할 수 있고, 매립될 시 하측이 지면에 접할 수 있다.The close contact protrusion 112 is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be perpendicular to the top of the bushing body 110, and when installed on the post 10, the upper side can contact the striking member 101, and the lower side can be in contact with the ground when buried. have.

상기와 같이 구성된 지주부(1)는 지주타격장치(3)를 통해 타격부재(101)를 타격시켜 지면에 형성된 매립홈(H)에 매립될 수 있다.The holding part 1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ay be embedded in the embedding groove H formed in the ground by striking the striking member 101 through the post striking device 3 .

여기서, 지주타격장치(3)는 지주부(1)를 타격하여 매립시키는 장치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격몸체(30) 및 손잡이부(31)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post striking device 3 is a device for embedding by hitting the holding part 1 , and as shown in FIG. 4 , may include a striking body 30 and a handle part 31 .

타격몸체(30)는 내부가 빈 관 형상으로 형성되되 하면이 개구되어, 지주부(1)가 하측에서 내부로 수용될 수 있다. 타격몸체(30)는 지주(1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측에서 타격부재(101) 전체를 균일하게 타격함으로써 지주부(1)가 지면의 매립홈(H)에 용이하게 매립되도록 할 수 있다.The striking body 30 is formed in a hollow tube shape inside the lower surface is opened, the holding portion 1 can be accommodated in the interior from the lower side. The striking body 30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holding post 10 so that the holding member 1 is easily embedded in the embedding groove (H) of the ground by uniformly striking the entire striking member 101 from the upper side. can do.

손잡이부(31)는 타격몸체(30) 양측에 대칭되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양측을 균일하게 잡고 반복적으로 타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handle portion 31 is forme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of the striking body 30, so that the user can hold both sides uniformly and hit repeatedly,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와 같이 형성된 지주타격장치(3)로 지주부(1)의 타격부재(101)를 타격시켜 도 5와 같이 매립홈(H)에 지주부(1)의 하부가 매립되도록 할 수 있다.By striking the striking member 101 of the holding part 1 with the post striking device 3 formed in this way, the lower part of the holding part 1 may be buried in the embedding groove H as shown in FIG. 5 .

이때, 매립홈(H)은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시공방법에서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At this time, the buried groove (H)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construction method.

가로부(2)는 하나 이상이 구비되어 지주부(1)간 사이에 설치될 수 있는데, 2개의 지주부(1) 사이에 지주(10)의 결합부(102)에 따라 하나 이상이 설치될 수 있다.One or more horizontal parts 2 may be provided and installed between the holding parts 1, and one or more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two holding parts 1 according to the coupling part 102 of the post 10. can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가로부(2)는 한 쌍의 연결부(20) 및 가로바(21)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가로바(21)의 양측을 각각 연결부(20)를 통해 지주부(1)에 연결시켜야 하기 때문이다.6 to 8 , the horizontal portion 2 may include a pair of connecting portions 20 and the horizontal bar 21 , which is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horizontal bar 21 through the connection portion 20 , respectively. This is because it must be connected to the holding part (1).

연결부(20)는 결합부(102)에 결합되고 가로바(21)가 삽입되어, 지주부(1)와 가로바(21)를 연결시킬 수 있다.The connecting portion 20 is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102 and the transverse bar 21 is inserted to connect the holding portion 1 and the transverse bar 21 .

이를 위해, 연결부(20)는 연결부재(200), 연결나사산(201), 삽입홈(202) 및 체결돌기(203)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connection part 20 may include a connection member 200 , a connection screw thread 201 , an insertion groove 202 , and a fastening protrusion 203 .

연결부재(200)는 일측이 결합부(102)에 삽입될 수 있으며, 일측에는 연결나사산(201), 타측에는 삽입홈(202)이 형성될 수 있다.One side of the connecting member 200 may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portion 102 , and a connecting screw thread 201 may be formed on one side, and an insertion groove 202 may be formed on the other side.

또한, 연결부재(200)의 일측은 좌우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연결부재(20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며, 지주부(1)간의 간격에 따라 결합부(102)에 삽입되는 삽입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one side of the connecting member 20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length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which is to enable rota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200 , and is coupled according to the interval between the holding parts 1 . It is to be able to adjust the insertion length to be inserted into the portion (102).

연결나사산(201)은 연결부재(200)의 일측 외주면에 좌우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결합나사산(1021)과 결합될 수 있다.The connection screw thread 201 is formed to have a length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n on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member 200 , and may be coupled to the coupling screw thread 1021 .

이를 통해 연결부(20)를 삽입홈(202)에 삽입시키고 회전시킴에 따라 삽입되는 삽입길이를 조절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Through this, the connecting portion 2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202 and rotated to adjust the insertion length to be inserted so that it can be coupled.

삽입홈(202)은 연결부재(200)의 타측에 형성되어 가로바(21)가 삽입될 수 있다.The insertion groove 202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ng member 200, the horizontal bar 21 can be inserted.

체결돌기(203)는 삽입홈(202) 내부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삽입되는 가로바(21)의 체결홈(210)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연결부(20)에 가로바(21)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The fastening protrusion 203 is formed to protrude inside the insertion groove 202 and may be inserted into the fastening groove 210 of the horizontal bar 21 to be inserted. Accordingly, the horizontal bar 21 may be fixed to the connecting portion 20 .

가로바(21)는 길이를 가지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과 타단이 연결부(20)에 각각 체결되어, 지주부(1)와 연결될 수 있다.The transverse bar 21 may be formed in a bar shape having a length, and one end and the other end may be respectively fastened to the connecting part 20 to be connected to the holding part 1 .

또한 가로바(21)는 연결부(20)와의 연결이 고정되도록, 체결홈(210)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rizontal bar 21 may include a fastening groove 210 so that the connection with the connection part 20 is fixed.

체결홈(210)은 가로바(21)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형성되어 연결부(20)의 체결돌기(203)가 체결될 수 있다.The fastening grooves 210 are form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horizontal bar 21 , respectively, so that the fastening protrusions 203 of the connecting part 20 may be fastened.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볼트 차선분리대의 지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타격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1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볼트 차선분리대의 지주부가 타격부재의 이동에 따라 지면에 시공된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다.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pporting part of a boltless lane separa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iking member of FIG. 9, and FIGS. 11 (a) and (b) are views It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lding part of the boltless lane separat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on the groun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triking member.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볼트 차선분리대의 지주(10)는 암나사산(105)을 더 포함하고, 타격부재(101)는 수나사산(1010)을 포함할 수 있다.9 and 10 , the post 10 of the bolt-free lane divid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female thread 105, and the striking member 101 includes a male thread 1010. may include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볼트 차선분리대는 타격부재(101)가 지주몸체(100)에서 일체형이 아닌 독립적으로 형성된 것으로, 분리형으로 형성되어 지주몸체(100)에서 이동하여 위치가 변경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The bolt-free lane separat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ne in which the striking member 101 is formed independently, not integrally, from the holding body 100, and is formed as a separate type and moves in the holding body 100 to change the position. it is designed to be able to

여기서, 타격부재(101)가 지주몸체(100)에서 분리형으로 형성된 것, 암나사산(105) 및 수나사산(1010)의 구성을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볼트 차선분리대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볼트 차선분리대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Here, except for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striking member 101 is separated from the holding body 100 and the female thread 105 and the male thread 1010, the boltless lane separat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t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boltless lane divid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암나사산(105) 및 수나사산(1010)에 대해서만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refore, only the female thread 105 and the male thread 101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암나사산(105)은 지주몸체(100) 하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타격부재(101)의 수나사산과 결합될 수 있다.The female thread 105 is formed to have a lengt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lower portion of the holding body 100 , and may be coupled to the male thread of the striking member 101 .

수나사산(1010)은 타격부재(101)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지주몸체(100)의 암나사산(105)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타격부재(101)는 회전에 의해 암나사산(105)을 따라 이동하는 것으로 지주몸체(100)에서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The male thread 1010 may b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riking member 101 to be coupled to the female thread 105 of the holding body 100 . Accordingly, the striking member 101 may be moved along the female thread 105 by rotation to adjust its position in the holding body 100 .

설치하고자 하는 지주부(1)의 길이 또는 고정력이 저하되는 등 지면의 상황에 따라 타격부재(101)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부(1)가 지면에 매립되는 길이를 조절하여 지면에 시공할 수 있다.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striking member 101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the ground, such as a decrease in the length or fixing force of the holding part 1 to be installed, as shown in FIG. 11, the holding part 1 is embedded in the ground It can be installed on the ground by adjusting the length.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무볼트 차선분리대의 지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해체돌출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4의 (a) 및 (b)는 도 12의 해체돌출부가 인입 및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15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무볼트 차선분리대 시공 시 사용되는 지주타격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pporting part of a boltless lane divid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dismantling protrusion of FIG. 12, and FIGS. 14 (a) and (b)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smantling protrusion of FIG. 12 is retracted and withdrawn, and FIG.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st striking device used in the construction of a boltless lane divid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무볼트 차선분리대의 지주(10)는 해체돌출부(106)를 더 포함할 수 있다.12 and 13 , the pole 10 of the bolt-free lane divid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dismantling protrusion 106 .

여기서, 해체돌출부(106)를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무볼트 차선분리대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볼트 차선분리대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Here, except for the dismantling protrusion 106 , the boltless lane divid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boltless lane divid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해체돌출부(106)에 대해서만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refore, only the dismantling protrusion 106 will be described in detail.

해체돌출부(106)는 지주몸체(100)에서 타격부재(101) 상측으로 양측에 대칭되게 형성되어, 상시에는 인입되어 있고, 필요에 따라 지주몸체(100) 외부로 인출되어 지주타격장치(3)로 지주부(1)를 지면에서 보다 용이하게 해체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인출된 해체돌출부(106)가 지주타격장치(3)에 고정되어 지주타격장치(3)를 잡아 당김으로써, 지주부(1)가 지면에서 해체되도록 하는 것이다.The dismantling protrusion 106 is forme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striking member 101 in the holding body 100, and is drawn in at all times, and is drawn out to the outside of the holding body 100 as needed, and the holding striking device (3)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dismantle the holding part 1 from the ground. That is, the drawn dismantling protrusion 106 is fixed to the post striking device 3 and pulls the post striking device 3, so that the holding part 1 is dismantled from the ground.

보다 구체적으로, 해체돌출부(106)는 돌출설치부재(1060), 탄성부재(1061) 및 돌출부재(1062)를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disassembly protrusion 106 may include a protruding installation member 1060 , an elastic member 1061 and a protruding member 1062 .

돌출설치부재(1060)는 지주몸체(100)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고, 돌출부재(1062)가 인출될 수 있도록 외면이 개구되게 형성될 수 있다.The protruding installation member 1060 may be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inside the holding body 100 , and an outer surface thereof may be opened so that the protruding member 1062 can be drawn out.

돌출설치부재(1060)는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ㄱ'자 형상의 고정이동홀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otruding installation member 1060 may include a 'L'-shaped fixed moving hole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고정이동홀은 이동돌기가 삽입되어 이동될 수 있다.The fixed moving hole may be moved by inserting a moving protrusion.

탄성부재(1061)은 돌출설치부재(1060) 내부에 설치되고, 돌출부재(1062)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돌출부재(1062)에 탄성력을 부가할 수 있다.The elastic member 1061 may be installed inside the protruding installation member 1060 and connected to the protruding member 1062 . Accordingly, an elastic force may be applied to the protruding member 1062 .

돌출부재(1062)는 돌출설치부재(1060) 내부에 설치되고 탄성부재(1061)에 연결되어, 지주(10)에서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할 수 있다.The protruding member 1062 is installed inside the protruding installation member 1060 and connected to the elastic member 1061 , so that it can be drawn in and out of the post 10 .

인입 상태가 고정되고, 돌출설치부재(106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이동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tracted state is fixed, and it may include a moving protrusion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protruding installation member 1060 .

이동돌기는 고정이동홀에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다.The moving protrusion can be mov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fixed moving hole.

상기와 같이 해체돌출부(106)가 형성되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시에는 돌출부재(1062)가 인입 상태로 있다가, 지주부(1)를 지면에서 해체하고자 할 경우 돌출부재(1062)를 회전시킴으로써 인출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돌출부재(1062)는 지주타격장치(3)에 걸려 당겨질 수 있다.The dismantling protrusion 106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and as shown in FIG. 14 , the protruding member 1062 is always in the retracted state, and when the holding part 1 is to be disassembled from the ground, the protruding member 1062 ) can be rotated to make the drawing state. Accordingly, the protruding member 1062 may be caught and pulled by the post striking device 3 .

이를 위해, 지주타격장치(3)는 해체홀(32)을 더 포함할 수 있다(도 15 참조).To this end, the post striking device 3 may further include a dismantling hole 32 (see FIG. 15 ).

해체홀(32)은 타격몸체(30) 하단에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인출된 해체돌출부(106)의 돌출부재(1062)가 삽입 및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주타격장치(3)를 잡아 당기면 돌출부재(1062)가 당겨지고, 이에 지주부(1)가 지면에서 해체될 수 있다.The dismantling hole 32 is formed in a 'L' shape at the lower end of the striking body 30 so that the protruding member 1062 of the dismantling protrusion 106 drawn out can be inserted and fixed. Accordingly, when the pole striking device 3 is pulled, the protruding member 1062 is pulled, and thus the pole 1 can be dismantled from the ground.

한편, 돌출부재(1062)는 외측단이 볼트형상으로 형성되어 인입 상태에서 렌치 등을 이용해 용이하게 회전시켜 인출 상태되도록 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otrusion member 1062 may have an outer end formed in a bolt shape, so that it can be easily rotated using a wrench or the like in the retracted state to be in a drawn out stat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무볼트 차선분리대를 시공하는 방법에 대하여 하기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constructing a boltless lane divider according to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볼트 차선분리대의 시공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1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structing a boltless lane divi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볼트 차선분리대의 시공방법은 천공단계(S1), 매립단계(S2) 및 연결단계(S3)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6 ,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boltless lane divid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rilling step (S1), a filling step (S2), and a connecting step (S3).

천공단계(S1)는 지주부(1)를 설치하고자 하는 설치간격에 맞춰 지면에 하나 이상의 매립홈(H)을 천공할 수 있다.In the drilling step (S1), one or more buried grooves (H) may be drilled in the ground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interval at which the holding part (1) is to be installed.

이때 형성되는 매립홈(H)은 지주부(1)의 하단 형상에 맞춰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지주부(1)의 하부 내부에도 지면이 위치하도록 하여 지주부(1)와 지면간의 고정력이 보다 향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 buried groove (H) formed at this time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to match the shape of the lower end of the holding part (1), which allows the ground to be located inside the lower part of the holding part (1) so that the space between the holding part (1) and the ground is located. This is to enable the fixing force to be further improved.

매립단계(S2)는 지주부(1)를 매립홈(H)에 위치시키고 지주타격장치(3)를 이용해 타격시켜 매립시킬 수 있다. 각 구성에 대해서는 무볼트 차선분리대의 설명에서 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In the embedding step (S2), the post part 1 is placed in the embedding groove H, and it can be buried by hitting it using the post striking device 3 . Since each configuration has been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of the boltless lane divider,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연결단계(S3)는 매립된 지주부(1)에 가로부(2)를 설치할 수 있다. 먼저, 지주부(1)에 연결부(20)를 결합시킨 다음, 연결부(20)에 가로바(21)를 체결하여 연결시킬 수 있다. 이때, 지주부(1)간의 설치간격에 따라 연결부(20)의 삽입길이를 조절하여 가로바(21)를 설치할 수 있다.In the connection step (S3), the horizontal part 2 may be installed in the buried support part 1 . First, the connecting part 20 may be coupled to the holding part 1 , and then the horizontal bar 21 may be fastened to the connecting part 20 to connect them. At this time, the horizontal bar 21 can be installed by adjusting the insertion length of the connecting part 20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interval between the holding parts 1 .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볼트 차선분리대 및 이의 시공방법은 볼트 없이 차선분리대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고에 의한 파손 발생 시 차선분리대에서 이탈된 볼트에 의해 2차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bolt-free lane divider and its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 the lane divider to be installed without a bolt, so that, in case of damage due to an accident, a secondary accident is caused by a bolt detached from the lane divider. can be prevented from occurring.

또한, 볼트가 아닌 연결부에 의해 지주부와 가로바가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파손 발생 시 연결부 또는 가로바만 교체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by connecting the holding part and the transverse bar by a connecting part rather than a bolt, when damage occurs, only the connecting part or the transverse bar can be replaced and reused.

이 뿐만 아니라, 지주부간의 설치간격에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연결부를 통해 조절하여 가로바를 지주부에 용이하게 연결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o this, even if an error occurs in the installation interval between the poles, it is possible to easily connect the horizontal bar to the poles by adjusting it through the connecting part.

또한 볼드에 의해 지면에 고정되는 것이 아닌 매립식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시공이 간편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it is made of a buried type rather than being fixed to the ground by a bolt, construction can be simple.

상기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볼트 차선분리대를 제1 내지 제3 실시예로 나누어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성 및 이해가 쉽도록 하기 위해 실시예를 나눠 설명한 것으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실시예의 구성은 설계 변경하여 서로 적용될 수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boltless lane divid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dividing it into first to third embodiments. This is not the case,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may be applied to each other by changing the design.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1: 지주부
10: 지주
100: 지주몸체
101: 타격부재
1010: 수나사산
102: 결합부
1020: 결합부재
1021: 결합나사산
103: 반사부
104: 이탈방지돌기
105: 암나사산
106: 해체돌출부
1060: 돌출설치부재
1061: 탄성부재
1062: 돌출부재
11: 고정부싱
110: 부싱몸체
111: 고정돌기
112: 밀착돌기
2: 가로부
20: 연결부
200: 연결부재
201: 연결나사산
202: 삽입홈
203: 체결돌기
21: 가로바
210: 체결홈
3: 지주타격장치
30: 타격몸체
31: 손잡이부
32: 해체홀
H: 매립홈
1: Landlord
10: holding
100: holding body
101: striking member
1010: male thread
102: coupling part
1020: coupling member
1021: mating thread
103: reflector
104: escape prevention projection
105: female thread
106: dismantling protrusion
1060: protruding installation member
1061: elastic member
1062: protrusion member
11: Fixed bushing
110: bushing body
111: fixing projection
112: close contact
2: horizontal
20: connection
200: connecting member
201: connecting thread
202: insertion groove
203: fastening protrusion
21: Garoba
210: fastening groove
3: Post strike device
30: striking body
31: handle part
32: dismantling hall
H: buried groove

Claims (13)

서로 이격되어 지면에 매립식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지주부 및
상기 지주부간 사이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가로부를 포함하되,
상기 지주부는,
길이를 가지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이격되게 지면에 매립식으로 설치되는 지주 및
상기 지주 하부 외면에 설치되어 지면에 매립되는 고정부싱을 포함하고,
상기 지주는,
내부가 빈 관 형상으로 형성되되, 하면이 개구된 지주몸체;
상기 지주몸체 하부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타격부재 및
상기 지주몸체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가로부가 설치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는,
관 형상으로 상기 지주몸체에 내측으로 형성되되, 외면이 관통되게 형성되는 결합부재 및
상기 결합부재 내주면에 형성된 결합나사산을 포함하는 무볼트 차선분리대.
A plurality of holding part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installed in the ground
Comprising one or more horizontal parts installed between the holding parts,
The holding unit,
Formed in a tubular shape having a length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installed in a buried type in the ground, and
and a fixing bushing installed on the lower outer surface of the post and buried in the ground,
The holding is
The inside is formed in a hollow tubular shape, the lower surface of the open holding body;
a striking member formed to protrude outwardly from the lower part of the holding body; and
It is form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holding body, and includes a coupling part in which the horizontal part is installed,
The coupling part,
A coupling member that is formed inside the holding body in a tubular shape, the outer surface is formed to penetrate, and
A bolt-free lane divider including a coupling thread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memb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싱은,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주 하부 외면에 설치되는 부싱몸체 및
상기 부싱몸체 외면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무볼트 차선분리대.
According to claim 1,
The fixing bushing is
a bushing body formed in a tubular shape and installed on the lower outer surface of the post; and
A bolt-free lane divider including one or more fixing protrusions form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bushing body.
서로 이격되어 지면에 매립식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지주부 및
상기 지주부간 사이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가로부를 포함하되,
상기 지주부는,
길이를 가지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이격되게 지면에 매립식으로 설치되는 지주 및
상기 지주 하부 외면에 설치되어 지면에 매립되는 고정부싱을 포함하고,
상기 지주는,
내부가 빈 관 형상으로 형성되되, 하면이 개구된 지주몸체;
상기 지주몸체 하부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타격부재 및
상기 지주몸체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가로부가 설치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주부는,
지주타격장치를 통해 상기 타격부재가 타격되어 지면에 형성된 매립홈에 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볼트 차선분리대.
A plurality of holding part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installed in the ground
Comprising one or more horizontal parts installed between the holding parts,
The holding unit,
Formed in a tubular shape having a length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installed in a buried type in the ground, and
and a fixing bushing installed on the lower outer surface of the post and buried in the ground,
The holding is
The inside is formed in a hollow tubular shape, the lower surface of the open holding body;
a striking member formed to protrude outwardly from the lower part of the holding body; and
It is form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holding body, and includes a coupling part in which the horizontal part is installed,
The holding unit,
A bolt-free lane divi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triking member is hit through a post striking device and embedded in a buried groove formed in the groun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타격장치는,
내부가 빈 관 형상으로 형성되되 하면이 개구되어, 상기 지주부가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타격부재를 타격할 수 있는 타격몸체 및
상기 타격몸체에 형성된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무볼트 차선분리대.
6. The method of claim 5,
The holding strike device,
A striking body that is formed in a hollow tube shape and has an open lower surface, the holding portion being accommodated therein, and capable of striking the striking member;
A bolt-free lane divider including a handle formed on the striking body.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매립홈은,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볼트 차선분리대.
6. The method of claim 5,
The embedding groove is
A bolt-free lane divid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a ring sha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부는,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는 연결부 및
일단과 타단이 상기 연결부에 각각 체결되는 가로바를 포함하는 무볼트 차선분리대.
According to claim 1,
The horizontal part,
a connection part coupled to the coupling part; and
A bolt-free lane divider including a transverse bar having one end and the other end respectively fastened to the connecting portion.
서로 이격되어 지면에 매립식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지주부 및
상기 지주부간 사이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가로부를 포함하되,
상기 지주부는,
길이를 가지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이격되게 지면에 매립식으로 설치되는 지주 및
상기 지주 하부 외면에 설치되어 지면에 매립되는 고정부싱을 포함하고,
상기 지주는,
내부가 빈 관 형상으로 형성되되, 하면이 개구된 지주몸체;
상기 지주몸체 하부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타격부재 및
상기 지주몸체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가로부가 설치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로부는,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는 연결부 및
일단과 타단이 상기 연결부에 각각 체결되는 가로바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 일측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와 결합되는 연결나사산 및
상기 연결부재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가로바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포함하는 무볼트 차선분리대.
A plurality of holding part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installed in the ground
Comprising one or more horizontal parts installed between the holding parts,
The holding unit,
Formed in a tubular shape having a length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installed in a buried type in the ground, and
and a fixing bushing installed on the lower outer surface of the post and buried in the ground,
The holding is
The inside is formed in a hollow tubular shape, the lower surface of the open holding body;
a striking member formed to protrude outwardly from the lower part of the holding body; and
It is form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holding body, and includes a coupling part in which the horizontal part is installed,
The horizontal part,
a connection part coupled to the coupling part; and
One end and the other end include a transverse bar each fastened to the connecting portion,
The connection part,
connecting member;
a connecting screw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one side of the connecting member and coupled to the coupling part; and
A bolt-free lane divider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ng member and including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horizontal bar is inserted.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삽입홈 내부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체결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로바는,
일단과 타단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체결돌기가 체결될 수 있는 체결홈을 포함하는 무볼트 차선분리대.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connection part,
Further comprising a fastening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inside the insertion groove,
The horizontal bar is
A bolt-free lane divider including a fastening groove form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respectively, to which the fastening protrusion can be fastened.
서로 이격되어 지면에 매립식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지주부 및
상기 지주부간 사이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가로부를 포함하되,
상기 지주부는,
길이를 가지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이격되게 지면에 매립식으로 설치되는 지주 및
상기 지주 하부 외면에 설치되어 지면에 매립되는 고정부싱을 포함하고,
상기 지주는,
내부가 빈 관 형상으로 형성되되, 하면이 개구된 지주몸체;
상기 지주몸체 하부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타격부재 및
상기 지주몸체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가로부가 설치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주는,
상기 지주몸체에 길이방향을 따라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 암나사산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타격부재는,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암나사산과 결합하는 수나사산을 포함하며,
상기 타격부재가 상기 암나사산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볼트 차선분리대.
A plurality of holding part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installed in the ground
Comprising one or more horizontal parts installed between the holding parts,
The holding unit,
Formed in a tubular shape having a length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installed in a buried type in the ground, and
and a fixing bushing installed on the lower outer surface of the post and buried in the ground,
The holding is
The inside is formed in a hollow tubular shape, the lower surface of the open holding body;
a striking member formed to protrude outwardly from the lower part of the holding body; and
It is form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holding body, and includes a coupling part in which the horizontal part is installed,
The holding is
Further comprising a female thread formed to have a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holding body,
The striking member,
It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includes a male thread coupled to the female thread,
The bolt-free lane divi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triking member is movable along the female threa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는,
상기 지주몸체에 상기 타격부재 상측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주몸체 외부로 인출이 가능한 해체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주타격장치는,
상기 타격몸체 하단에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인출된 상기 해체돌출부가 삽입 및 고정될 수 있는 해체홀을 더 포함하는 무볼트 차선분리대.
7. The method of claim 6,
The holding is
It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striking member on the holding body, further comprising a dismantling protrusion that can be withdrawn to the outside of the holding body,
The holding strike device,
The bolt-free lane separator further comprising a dismantling hole that is formed in a 'L' shape at the lower end of the striking body and can be inserted and fixed with the dismantling protrusion drawn out.
지면에 하나 이상의 매립홈을 천공하는 천공단계;
지주부를 상기 매립홈에 위치시키고 지주타격장치를 이용해 타격시켜 매립시키는 매립단계 및
매립된 지주부에 가로부를 설치하는 연결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지주부는,
길이를 가지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이격되게 지면에 매립식으로 설치되는 지주 및
상기 지주 하부 외면에 설치되어 지면에 매립되는 고정부싱을 포함하되,
상기 지주는,
내부가 빈 관 형상으로 형성되되, 하면이 개구된 지주몸체;
상기 지주몸체 하부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타격부재 및
상기 지주몸체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가로부가 설치되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상기 지주타격장치를 통해 상기 타격부재가 타격되어 지면에 형성된 매립홈에 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볼트 차선분리대의 시공방법.
A drilling step of drilling one or more buried grooves in the ground;
An embedding step of placing a holding part in the embedding groove and hitting it using a post striking device to embed it; and
Including a connection step of installing a horizontal part to the buried holding,
The holding unit,
Formed in a tubular shape having a length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installed in a buried type in the ground, and
It is installed on the lower outer surface of the post and includes a fixing bushing buried in the ground,
The holding is
The inside is formed in a hollow tubular shape, the lower surface of the open holding body;
a striking member formed to protrude outwardly from the lower part of the holding body; and
It is form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holding body, including a coupling part in which the horizontal part is installed,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bolt-free lane divi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triking member is hit through the post striking device and buried in a buried groove formed in the ground.
KR1020200075834A 2020-06-22 2020-06-22 Boltless Lane separation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230615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5834A KR102306150B1 (en) 2020-06-22 2020-06-22 Boltless Lane separation and Its construction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5834A KR102306150B1 (en) 2020-06-22 2020-06-22 Boltless Lane separation and Its construction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6150B1 true KR102306150B1 (en) 2021-09-28

Family

ID=77923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5834A KR102306150B1 (en) 2020-06-22 2020-06-22 Boltless Lane separation and Its construction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615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7280B1 (en) 2022-07-13 2022-10-20 세이프라인 주식회사 Anchorless lane separator and its construction metho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0041A (en) * 2012-11-09 2014-05-19 주식회사 세이프로드 Traffic lane separator
KR20200000053U (en) * 2018-06-28 2020-01-07 차병국 Pillar-type sight guide r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0041A (en) * 2012-11-09 2014-05-19 주식회사 세이프로드 Traffic lane separator
KR20200000053U (en) * 2018-06-28 2020-01-07 차병국 Pillar-type sight guide r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7280B1 (en) 2022-07-13 2022-10-20 세이프라인 주식회사 Anchorless lane separator and its construction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6706B1 (en) Traffic lane seperator
KR102306150B1 (en) Boltless Lane separation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2102118B1 (en) Separate type lane separator
US9580877B2 (en) Delineator post having restoration function
KR100938613B1 (en) Pedestal structure of the electric pole
KR20220050411A (en) A road line safety pillar for regulating traffic lane
KR20190122110A (en) Shock Absorber Of Road
KR101546524B1 (en) Pole for a street lamp with good impact resistance and maintenance efficiency
KR20080079361A (en) Connection structure of a street lamp pillar column
KR102433887B1 (en) Road marker
KR200418381Y1 (en) assembly type safety fence
KR102457280B1 (en) Anchorless lane separator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2302851B1 (en) Tubular marker and construction method
KR101658531B1 (en) A divisional strip
KR101784114B1 (en) Holding the founding stone structure
KR100859660B1 (en) Base for fixing support of road facilities
KR100688323B1 (en) post for road
KR102481076B1 (en) Ottogi type bollard that absorbs shock
KR101692863B1 (en) Delineation Rod Easy to Attach and Detach
KR101586298B1 (en) Road line delineator
KR100758547B1 (en) Road facilities and it's establishment method
KR102214487B1 (en) Delineator post and construction method therof
JP5334807B2 (en) Road marking object
KR102285053B1 (en) Traffic lane restriction pole using spring
JP2011074668A (en) Tiltable car sto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