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6023B1 -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급속혼화 부상장치 - Google Patents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급속혼화 부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6023B1
KR102306023B1 KR1020210051753A KR20210051753A KR102306023B1 KR 102306023 B1 KR102306023 B1 KR 102306023B1 KR 1020210051753 A KR1020210051753 A KR 1020210051753A KR 20210051753 A KR20210051753 A KR 20210051753A KR 102306023 B1 KR102306023 B1 KR 1023060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bubble
rapid mixing
wastewater
microbubbles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1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경
박승범
Original Assignee
(사)대한용사장애인협회
이용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대한용사장애인협회, 이용경 filed Critical (사)대한용사장애인협회
Priority to KR1020210051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60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6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60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33Discharge mechanisms for floating particles
    • B01D21/2438Discharge mechanisms for floating particles provided with scrapers on the liquid surface for removing floating particles
    • B01F3/04248
    • B01F5/0057
    • B01F7/1625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B01F2215/0052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폐수 유입부에 급속혼화수단을 구비하여 폐수에 포함된 유분 및 부유물질을 급속한 혼화에 의해 응집속도의 극대화로 오,폐수에 포함된 고형부유물을 신속하게 부상하여 제거할 수 있는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급속혼화 부상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부상조탱크의 유입구에 급속혼화조박스 및 급속혼화 교반기를 구비하여 유입되는 오,폐수와 마이크로버블이 임펠라구조의 분사노즐이 회전방향으로 마이크로버블을 분사하면서 와류되는 오,폐수에 타격(충돌)시키면서 혼화하여 오,폐수에 포함되어 있는 고형 부유물을 신속하게 부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급속혼화 부상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급속혼화 부상장치{Rapid mixing floation apparatus using micro bubble}
본 발명은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부유물 부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오,폐수 유입부에 급속혼화수단을 구비하여 폐수에 포함된 유분 및 부유물질을 급속한 혼화에 의해 응집속도를 극대화로 오,폐수에 포함된 고형부유물을 신속하게 부상하여 제거할 수 있는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급속혼화 부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물학적 부상법은 오,폐수 내의 오염물질를 처리함에 있어서 수중의 고형물 입자를 수면에 부상시켜 제거하는 방법으로 중력식 부상과 기포식 부상법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전자의 중력식 부상은 물보다 밀도가 아주 작은 기름 등의 유분에 한하여 적용 가능하며, 부상이라 함은 주로 후자의 기포식 부상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다.
후자의 기포식 부상법은 분리하고자 하는 입자에 기포를 부착시켜 부상속도를 현저하게 높이는 방법으로 물보다 밀도가 높아서 침강하는 입자라도 기포를 부착시키게 되면 부상분리가 가능해진다.
이렇게 제거하고자 하는 현탁입자(懸濁粒子, suspension particle)에 충분한 기포를 부착시키면, 부상분리속도가 증가되어 신속한 현탁입자를 부상시키어 제거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고, 현탁입자의 농축율을 크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주는 기포식 부상법으로 주지된 마이크로버블 발생장치에서 제조되는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하여 오,폐수에 포함된 현탁입자의 부상분리하는 것에 속한다.
이러한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오, 폐수처리 시스템은 주지되어 있는 것과 같이, 약품처리조에서 처리가 이루어진 오,폐수를 부상조 탱크로 유입하고, 부상조 탱크의 하단 및 측면과 연결된 마이크로버블 발생장치에 의해 마이크로버블을 공급하여 오,폐수에 포함되어 있는 현탁입자와 기포를 혼화하여 수면으로 부유물(스컴)을 부상하고, 이렇게 부상된 부유물은 부상조 탱크에 설비된 스컴제거기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어 제거가 이루어진다.
현탁입자가 제거된 처리수는 처리수조로 배출이 이루어지고, 처리수조에 유입된 처리수 중 일부는 처리수로서 배출되고, 일부는 순환수로서 이용하는 처리사이클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오,폐수처리 시스ㅌ템과 관련한 선원기술로 특허문헌 1 내지 4가 개시된 바 있다.
특허문헌 1에서는, 내부의 적정 수면보다 낮은 격벽이 하나 이상 구비되며, 미세입자의 버블을 이용하여 폐수의 오염물질을 필터링 및 부상시키는 부상조; 공기가 용해된 용해수로부터 상기 미세입자의 버블을 상기 부상조 내로 발생시키는 노즐; 및 상기 용해수를 상기 노즐로 공급하는 용해수 발생기를 포함하며, 상기 노즐은 내부가 비어있는 통형상의 외부 챔버, 상기 외부 챔버의 내부에 위치되어 있고, 내부가 비어 있는 통형상의 내부 챔버, 및 충돌판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 챔버는 상기 용해수 발생기로부터 용해수를 유입받으며, 상기 내부 챔버는 상기 외부 챔버에서 존재하는 용해수를 유입받아서, 상기 충돌판을 향하여 유출시키며, 상기 부상조 내로 유입되는 상기 미세입자의 버블은 상기 부상조의 상부로 부상하여 상기 오염물질의 침전을 방지하는 버블 필터층을 형성한 마이크로/나노 버블을 이용한 수처리장치가 개시되었다.
특허문헌 2에서는, 오염된 수중에 공급하게 되면 마이크로버블의 미세기포가 표면장력의 작용에 의해 수중에 급속이 용해되어 용존산소(DO, Dissolved oxygen)를 높여 수 처리 효율을 높이는 원리를 이용하고, 오염수가 부상분리조로 유입될 때 마이크로버블을 공급하면서 부상분리조 내부에 다수개의 경사판을 내장시켜 수(水) 면적을 높여주는 구조를 이루어서 신속한 분리공정이 수행되도록 하고 부상분리조 상부로 부상되는 부유스컴층을 좁은 공간 범위로 몰아서 신속히 배출/제거시키기 위해 하부로 개구된 구조를 갖는 격벽을 마련하고 격벽 안쪽으로 스컴제거기를 마련하여 신속하게 부유스컴층을 제거하는 구조를 갖는 가압 부상식 오염수 처리방법 및 오염수 처리시스템가 개시되었다.
특허문헌 3에서는, 용존공기부상법에 의한 폐수처리 시 반응조 내부에 마이크로 버블을 골고루 분산시키고 마이크로버블을 세분시킴에 따라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폐수처리장치가 개시되었다.
특허문헌 4에서는, 마이크로버블을 발생시켜 여과조 접선방향으로 분사하여 미세 오염물질이 마이크로버블과 쉽게 반응하여 기포형태로 응집되도록 하고, 기포형태의 응집물은 여과조 하부에서 급부상하는 조대 버블에 흡착되어 빠른 속도로 부상처리되는 급속 부상 여과장치가 개시되었다.
1. 한국 등록특허 제10-1177304호(2012.08.21. 등록) 2. 한국 등록특허 제10-1281514호(2013.06.27. 등록) 3. 한국 등록특허 제10-2088777호(2020.03.09. 등록) 4. 한국 등록특허 제10-2145037호(2020.08.10. 등록)
상기한 특허문헌 1의 '마이크로/나노 버블 발생시키는 노즐을 이용한 부상조 및 수처리장치'는 마이크로버블 발생장치에 대한 구조적인 기능개선으로서, 에어인젝터, 용해수 발생기 및 노즐을 포함하고, 용해수 발생기에 의해 미세입자 버블을 노즐의 하측에서 상부로 유입, 즉, 주입구로 유입된 용해수가 내부 챔버의 안내부를 통해서 본체의 내부로 유입되어 회전하게 되고, 경사부에 의해 가속회전과 유출부를 통해서 유출됨과 동시에 충돌판과 충돌 부딧침으로서 마이크로 및/또는 나노 버블을 발생하여 부상조에 유입되는 유입수(폐수)와 혼화하여 부유물질을 발생하여 부상시키는 단순 마이크로버블을 발생을 개선한 것으로서, 부유물의 신속한 부상을 위한 급속혼화에 대한 기술은 제안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의 '마이크로버블 유닛과 경사판 구조를 갖는 가압 부상식 오염수 처리방법'은 부상분리조의 오,폐수유입구에 유입되는 오, 폐수를 마이크로버블을 형성한 초미세 기포수를 버블러에 의해 공급하는 구성과 부상분리조 내부에서 경사판에 의해 수(水) 면적을 확보하여 침전과 부상이 반복되어 짧은 시간 안에 부유물과 침강물을 신속히 분리를 제공하고 있지만 오,폐수와 마이크로버블을 급속혼화하여 부유물을 신속하게 부상하는 기술은 제안하지 못하였다.
특허문헌 3의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폐수처리장치'는 생물화학적 처리공정 또는 물리화학적 처리공정을 통해 1차적으로 여과처리된 대상처리수(폐수)를 반응조의 유입부를 통해 내부로 유입시키고 마이크로버블 공급부에 공급되는 마이크로버블에 의해 여과 처리되고 유출부를 통해 배출시키는 기술로서, 유입부의 공급관에 구비된 프로펠러에 의해 대상처리수를 와류로 공급하면서 하측에서 공급되는 마이크로버블과 접촉하여 혼화시키는 기술은 개시되고 있으나, 마이크로버블의 공급이 단순히 상향으로 분사하면서 와류되는 대상처리수와 혼화시킴으로서 마이크로버블을 대상처리수와 급속혼화작용을 제안하지 못하고 있다.
특허문헌 4의 '급속 부상 여과장치'는 여과조에 대향으로 배치된 버블분사부에 의해 마이크로버블을 분사하도록 하여 여과조에 유입된 폐수 전체에 원심력에 의한 소용돌이(와류)를 발생하여 신속한 부유물의 응집을 제공하고 있으나, 단순히 폐수를 마이크로버블의 배출흐름에 의해 혼화시킴으로 폐수에 포함된 부유물질의 부상이 신속하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 문제된 단점을 해소하고자 개발된 것으로서, 부상조탱크의 유입구에 급속혼화조박스 및 급속혼화 교반기를 구비하여 유입되는 오,폐수와 마이크로버블이 임펠라구조 분사노즐에 의한 급속한 혼화로 오,폐수에 포함되어 있는 고형 부유물을 신속하게 부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급속혼화 부상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오,폐수의 교반과 동시에 오,폐수의 교반 흐름에 대응해서 분사되는 마이크로버블이 휘저음과정에서 오,폐수에 타격 분사로 오,폐수에 마이크로버블이 효과적인 급속혼화로 고형부유물의 응집속도를 극대화한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급속혼화 부상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단순 구조로서, 기존 설비된 수처리설비에 장비가 가능하여 범용성이 보장되고, 구성부품의 단순화에 의한 장기간 사용에도 고장률이 최소화되어 장치 신뢰성이 보장되는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급속혼화 부상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급속혼화 부상장치는,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오,폐수를 유입하는 부상조 탱크와, 부상조 탱크의 하단 또는 측면과 연결된 마이크로버블 발생장치에 의해 마이크로버블을 공급하여 오,폐수에 포함되어 있는 현탁입자와 기포를 혼화하여 수면으로 고형 부유물을 부상하고, 스컴제거기에 의해 제거하여 오폐수를 처리하는 부상분리 시스템에 적용하기 위해,
상기 유입구와 연통하는 혼화공간을 형성하여 부상조 탱크의 내측에 설비되는 급속혼화조박스를 구비하고,
상기 급속혼화조박스의 상부에 커플링하우징으로 조립 지지된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모터축에 커플러로 연결되어 상기 혼화공간에 직립 연장되는 다수의 타공홀이 관통된 마이크로버블 타공관, 상기 마이크로버블 타공관의 하단에 다수의 분사관을 임펠라구조의 유선형으로 연장한 노즐몸체로 조립된 마이크로버블 분사노즐로 구성된 급속혼화교반기와,
상기 마이크로버블 발생장치과 연결되는 마이크로버블 유입관을 상부에 구비하고 상기 마이크로버블 타공관의 상, 하부 외주면을 감싸서 축지지 및 기밀상태로 상기 커플링하우징에 상부면으로 조립된 마이크로버블 챔버로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마이크로버블 타공관은 상기 마이크로버블 챔버의 상, 하부판에 조립된 베어링시일로 축지지되고 기밀상태로 조립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버블 분사노즐의 분사관은 상기 노즐몸체에서 등간격의 4개의 중공파이프관으로서 상기 마이크로버블 타공관의 회전방향으로 토출구를 향하여 굴곡의 유선형으로 연장되어 구성 된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분사관은 상기 노즐몸체에서 연장된 유선형 날개판으로 지지되어 회전방향의 저항에 대응해서 보강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 급속혼화조박스는 격벽에 의해 4각면체로 형성되어 상기 마이크로버블 분사노즐의 다수개 분사관의 회전에 의해 와류되는 오,폐수가 상기 격벽들의 내측면에 충돌하여 정체하면서 상기 다수개 분사관의 토출구에서 분사되는 마이크로버블과 충돌함으로 급속혼화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독특한 급속한 혼화구조로 제공되어 오,폐수의 응집효과를 극대화하여 고형부유물의 부상 효율을 향상시키어 부상조 탱크에 유입되는 유분 및 부유물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수처리 시스템에서 설치하여 운용이 가능하여 장치의 신뢰성 및 범용성이 보장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간소한 구조로서 제작이 용이하여 공업적으로도 양산(量産)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기존 수처리 장비보다 구조가 단순하여 원가 절약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급속혼화 부상장치가 적용된 오,폐수 부상분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도 1의 평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 1의 발췌 단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모터를 생략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며에 따른 구동모터를 생략한 상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평단면도로서 임폐라형 마이크로버블 분사노즐의 회전작동에 의한 오,폐수의 와류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급속혼화 부상장치가 적용된 오,폐수 부상분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도 1의 평면 구성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유입구를 오,폐수처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부상조 탱크(10)의 오,폐수유입부에 설치하고, 마이크로버블 발생장치(20)와 연결하여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되는 오,폐수에 포함되어 있는 현탁입자와 기포를 급속혼화하여 수면으로 고형 부유물을 부상하고, 스컴제거기(30)에 의해 제거하고 처리수조(40)으로 배출하여 처리하는 수처리 과정은 동일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오,폐수처리에 있어, 마이크로버블 발생장치(20)에서 공급되는 마이크로버블을 혼화를 급속하게 함으로서, 오,폐수의 고형 부유물(현탁입자)의 응집효과을 높여서 신속하게 부유물을 부상시키는 것에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 1의 발췌 단면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모터를 생략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며에 따른 구동모터를 생략한 상태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급속혼화 부상장치(100)는, 부상조 탱크(10)의 유입부 측에 구축되는 급속혼화조박스(110), 급속혼화조박스에 설비되는 급속혼화교반기(120) 및 마이크로버블 챔버(160)를 포함한다.
급속혼화조박스(110)은 부상조 탱크(10)의 유입구(11)과 연통하고 상부가 개방된 3개의 격벽(111) 및 바닥판(113)에 의해 구축된 4각박스의 형태로 소정의 혼화공간(112)을 형성하여 부상조 탱크(10)의 내측벽(12)에 설비된다.
급속혼화교반기(120)는 구동모터(130), 마이크로버블 타공관(140), 마이크로버블 분사노즐(150)을 포함한다.
구동모터(130)는 급속혼화조박스(110)의 상부에 커플링하우징(135)으로 조립 지지되고, 모터축(131)과 마이크로버블 타공관(140)이 커플러(132)로 조립되어 급속혼화조박스(110)의 혼화공간(112)에 하향으로 직립 연장상태로 조립되어 모터축(131)의 회전과 동기회전 된다.
마이크버블 타공관(140)은 원통형 중공관으로 다수의 타공홀(141)이 관통되어 내,외부는 마이크버블 챔버(160)의 마이크로버블 충전공간(161)과 연통된다.
이때, 다수의 타공홀은 마이크로버블 타공관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의 장방형 타공홀(141)로서, 적어도 원주상의 2열 내지 4열 범위로 관통됨이 바람직하나, 그 형상은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다수의 타공홀(141)은 일정간격으로 마이크로버블 타공관(140)의 길이 방향으로 타공되되, 마이크버블 챔버(160)의 마이크로버블 충전공간(161)의 범위 내에 관통된 상태로 하측이 마이크로버블 챔버(160)의 하부 측을 관통하여 연장되고 급속혼화조박스(110)의 혼화공간(112)에 돌출된다.
이렇게 돌출된 마이크로버블 타공관(140)의 하단에는 마이크로버블 분사노즐(150)이 조립된다.
마이크로버블 분사노즐은 노즐몸체(151)에 가공된 나사에 의해 마이크버블 타공관(140)의 하단 외주면에 가공된 나사와 상호 결합되어 조립되고, 노즐몸체(151)는 내부에 관로를 형성한 상태에서 외측에 유선형으로 다수의 분사관(152)이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임펠라구조로 구성된다.
이때, 분사관(152)은 노즐몸체(151)에서 등간격의 4개의 중공파이프관의 조립 구성된 임펠라 구조로서, 마이크로버블 타공관(140)의 회전방향으로 토출구(153)를 향하여 굴곡의 유선형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분사관(152)은 노즐몸체(151)에서 연장된 유선형 날개판(154)으로 지지되어 회전방향의 저항에 의한 변형이 없도록 보강할 수 있다.
마이크로버블 챔버(160)은 소정의 마이크로버블 충전공간(161)을 갖고 이 충전공간에 연통하여 상부에 마이크로버블 발생장치(20)와 연결되는 마이크로버블 유입관(165)이 구비된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마이크로버블 타공관(140)에 타공된 다수의 타공홀(141)의 최상측의 타공홀과 최하측의 타공홀을 수용하는 길이로 형성되고, 마이크로버블 타공관(140)의 상, 하부 외주면을 감싸서 축지지 및 기밀상태로 커플링하우징(135)에 상부면으로 조립된다.
마이크로버블 챔버(160)는 상, 하부판(162,163)에 조립된 각각의 베어링시일(164,166)에 의해 마이크로버블 타공관(140)의 회전에 따른 축지지와 내부의 마이크로버블 충전공간(161)이 기밀상태 조립된다.
여기서 베어링시일(164,165)은 마이크로버블 타공관(140)의 회전을 원활하게 축회전을 제공하고, 동시에 마이크로버블 충전공간(161)과 급속혼화조박스(110)의 혼화공간(112)과 기밀상태로 분리된다.
따라서, 마이크로버블 발생장치(20)에 의해 마이크로버블 유입관(165)을 통해 마이크로버블 충전공간(161)에 충전되는 마이크로버블은, 마이크로버블 타공관(140)의 내부에 관통된 다수의 타공홀(141)을 통해 배출됨과 동시에 마이크로버블 타공관(140)의 하부에 노즐몸체(151)로 조립된 마이크로버블 분사노즐(150)이 임펠라구조의 다수의 분사관(152)을 통해 분사되어 급속혼화조박스(110)의 혼화공간(112)에 유입구(11)을 통해 유입된 오,폐수에 분사된다.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오,폐수가 유입구(11)을 통해 유입되어 급속혼화조박스(110)의 혼화공간(112)에 채워지면서 급속혼화교반기(120)의 구동모터(130)의 구동으로 마이크로버블 타공관(140)이 회전하여 마이크로버블 분사노즐(150)의 분사관(152)을 통해 휘저음 회전과 동시에 마이크로버블을 토출구(153)로 분사하게 된다.
이때, 마이크로버블 분사노즐(152)는 노즐몸체(151)에서 유선형으로 뻗어 ㄷ돌출된 임펠라구조의 다수의 분사관(152)이 회전하면서 오,폐수를 휘저음으로 와류시킴과 동시에 다수의 분사관(152)의 각 토출구(153)에서 분사되는 마이크로버블이 오,폐수이 타격하면서 휘저음하게 된다.
다시 말하여, 급속혼화조박스(110)의 혼화공간(112)에 유입된 오,폐수를 와류시키면서 마이크로버블 분사노즐(150)의 다수개 분사관(152)이 각각의 토출구(153)에 분사되는 마이크로버블의 타격충돌로 부유물을 급속응집하여 부상 처리할 수 있다.
이때, 급속혼화조박스(110)는 4개의 격벽(12)(111)으로 형성된 4각면체로 형성되어 마이크로버블 분사노즐(150)의 다수개 분사관(152)의 회전에 의해 휘저음으로 와류되는 오,폐수는 각 격벽의 내측면에 충돌하여 정체하면서 토출구(153)에서 분사되는 마이크로버블과 충돌함으로 급속혼화가 제공되어 효과적인 고형 부유물의 응집를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오,폐수의 휘저음과 동시에 휘저음에 저항하는 오,폐수에 마이크로버블을 분사하여 상호간의 급속 충돌에 의한 혼화로 부유물의 응집효과를 극대화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한 것에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급속혼화 부상장치는 오,폐수에 의한 환경오염의 방지하기 위해 설비되는 수처리 시스템에 설비되어 수질오염의 차단과 환경개선에 유용한 설비로 이용할 수 있다.
100 :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급속혼화 부상장치
110 : 급속혼화조박스 111 : 격벽
112 : 혼화공간 113 : 바닥판
120 : 급속혼화교반기 130 : 구동모터
131 : 모터축 132 : 커플러
135 : 커플링하우징 140 : 마이크로버블 타공관
141 : 타공홀 150 : 마이크로버블 분사노즐
151 : 노즐몸체 152 : 분사관
153 : 토출구 154 : 유선형 날개판
160 : 마이크로버블 챔버 161 : 마이크로버블 충전공간
162 : 상부판 163 : 하부판
164, 166 : 베어링시일 165 : 유입관
10 : 부상조 탱크 11 : 유입구
20 : 마이크로버블 발생장치 30 : 스컴제거기
40 : 처리수조

Claims (5)

  1.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오,폐수를 유입하는 부상조 탱크와, 부상조 탱크의 하단 또는 측면과 연결된 마이크로버블 발생장치에 의해 마이크로버블을 공급하여 오,폐수에 포함되어 있는 현탁입자와 기포를 혼화하여 수면으로 고형 부유물을 부상하고, 스컴제거기에 의해 제거하고 처리수조로 배출이 이루어지는 마이크로버블 부상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와 연통하는 혼화공간을 형성하여 부상조 탱크의 내측에 설비되는 급속혼화조박스;
    상기 급속혼화조박스의 상부에 커플링하우징으로 조립 지지된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모터축에 커플러로 연결되어 상기 혼화공간에 직립 연장되고 길이방향의 소정거리에 다수의 타공홀이 관통된 마이크로버블 타공관, 상기 마이크로버블 타공관의 하단에 다수의 분사관을 임펠라구조의 유선형으로 연장한 노즐몸체로 조립된 마이크로버블 분사노즐로 구성된 급속혼화교반기;
    상기 마이크로버블 발생장치과 연결되는 마이크로버블 유입관을 상부에 구비하고 상기 마이크로버블 타공관의 상, 하부 외주면을 감싸서 축지지 및 기밀상태로 상기 커플링하우징에 상부면으로 조립된 마이크로버블 챔버; 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으로 마이크로버블 타공관이 회전하여 상기 마이크로버블 분사노즐의 분사관을 통해 휘저음 회전과 동시에 마이크로버블을 분사하면서 상기 급속혼화조박스에 유입된 오,폐수를 와류시키면서 마이크로버블의 타격충돌로 부유물을 급속응집하여 부상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급속혼화 부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버블 타공관은 상기 마이크로버블 챔버의 상, 하부판에 조립된 베어링시일에 의해 축지지와 상기 다수의 타공홀이 마이크로버블 충전공간에 수용된 상태로 기밀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급속혼화 부상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버블 분사노즐의 분사관은 상기 노즐몸체에서 등간격의 4개의 중공파이프관으로서 상기 마이크로버블 타공관의 회전방향으로 토출구를 향하여 굴곡의 유선형으로 연장된 임펠라구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급속혼화 부상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관은 상기 노즐몸체에서 연장된 유선형 날개판으로 지지되어 회전방향의 저항에 대응해서 보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급속혼화 부상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속혼화조박스는 격벽에 의해 4각면체로 형성되어 상기 마이크로버블 분사노즐의 다수개 분사관의 회전에 의해 와류되는 오,폐수가 상기 격벽들의 내측면에 충돌하여 정체하면서 상기 다수개 분사관의 토출구에서 분사되는 마이크로버블과 충돌함으로 급속혼화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급속혼화 부상장치.
KR1020210051753A 2021-04-21 2021-04-21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급속혼화 부상장치 KR1023060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1753A KR102306023B1 (ko) 2021-04-21 2021-04-21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급속혼화 부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1753A KR102306023B1 (ko) 2021-04-21 2021-04-21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급속혼화 부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6023B1 true KR102306023B1 (ko) 2021-09-27

Family

ID=77925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1753A KR102306023B1 (ko) 2021-04-21 2021-04-21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급속혼화 부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602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6768B1 (ko) * 2010-07-29 2011-04-11 주식회사 이엠테크 케비테이션 고액분리 부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폐수처리 장치
KR101177304B1 (ko) 2011-03-14 2012-08-30 (주)에스엠워터테크 마이크로/나노 버블 발생시키는 노즐을 이용한 부상조 및 수처리장치
KR101281514B1 (ko) 2011-02-11 2013-07-03 김양수 마이크로버블 유닛과 경사판 구조를 갖는 가압 부상식 오염수 처리방법
KR101723161B1 (ko) * 2017-01-17 2017-04-05 주식회사 이엠테크 처리수의 자체순환구조를 갖는 고액분리 부상장치
KR102088777B1 (ko) 2019-05-14 2020-03-13 덕인환경주식회사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한 폐수처리장치
KR102145037B1 (ko) 2018-10-16 2020-08-18 주식회사 우성테크 급속 부상 여과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6768B1 (ko) * 2010-07-29 2011-04-11 주식회사 이엠테크 케비테이션 고액분리 부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폐수처리 장치
KR101281514B1 (ko) 2011-02-11 2013-07-03 김양수 마이크로버블 유닛과 경사판 구조를 갖는 가압 부상식 오염수 처리방법
KR101177304B1 (ko) 2011-03-14 2012-08-30 (주)에스엠워터테크 마이크로/나노 버블 발생시키는 노즐을 이용한 부상조 및 수처리장치
KR101723161B1 (ko) * 2017-01-17 2017-04-05 주식회사 이엠테크 처리수의 자체순환구조를 갖는 고액분리 부상장치
KR102145037B1 (ko) 2018-10-16 2020-08-18 주식회사 우성테크 급속 부상 여과장치
KR102088777B1 (ko) 2019-05-14 2020-03-13 덕인환경주식회사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한 폐수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3970B1 (ko)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
KR100931987B1 (ko) 미세기포를 이용한 상수, 중수, 하수 및 오폐수를 정화하는 수처리 장치
KR101281514B1 (ko) 마이크로버블 유닛과 경사판 구조를 갖는 가압 부상식 오염수 처리방법
JPS5920373B2 (ja) 水の酸素含有量を増加させる方法およびその装置
EP2057097A2 (en) Bio tank / oxygen replenishment system
KR102145037B1 (ko) 급속 부상 여과장치
KR20090022617A (ko) 초미세기포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침전장치
JP5687189B2 (ja) 流体処理装置および流体処理方法
KR100975366B1 (ko) 마이크로 기포 발생장치를 이용한 폐수전처리장치
KR101964828B1 (ko) 부상분리 수처리장치
KR101807776B1 (ko)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가압부상분리장치
KR102306023B1 (ko)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급속혼화 부상장치
KR100530772B1 (ko) 2차 하수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US4226706A (en) Dispersed air flotation machine
KR100671047B1 (ko) 오폐수 처리장치
JP3548105B2 (ja) 加圧浮上装置
KR100967831B1 (ko) 마이크로 기포 발생장치
KR101941078B1 (ko) 입자 크기가 제어되는 버블 반응에 의한 용존공기 부상시스템
KR200390937Y1 (ko) 오폐수 처리장치
JP3582036B2 (ja) 気液接触装置
KR20200022960A (ko) 플라즈마 이온 가스를 이용한 가압 부상조가 구비된 고도처리 시스템
KR101270236B1 (ko) 기포를 이용한 유분 분리장치
US6656251B1 (en) Process and a plant for purifying of a liquid
JP3166826U (ja) 排水処理装置
KR102088777B1 (ko)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한 폐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