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5485B1 - 탈부착 가능한 방호형 제전모듈을 갖는 광 이오나이저 - Google Patents

탈부착 가능한 방호형 제전모듈을 갖는 광 이오나이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5485B1
KR102305485B1 KR1020190135437A KR20190135437A KR102305485B1 KR 102305485 B1 KR102305485 B1 KR 102305485B1 KR 1020190135437 A KR1020190135437 A KR 1020190135437A KR 20190135437 A KR20190135437 A KR 20190135437A KR 102305485 B1 KR102305485 B1 KR 1023054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air
shielding
space
detach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5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0883A (ko
Inventor
이동훈
허시환
Original Assignee
(주)선재하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선재하이테크 filed Critical (주)선재하이테크
Priority to KR1020190135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5485B1/ko
Publication of KR20210050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08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54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54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FSTATIC ELECTRICITY; NATURALLY-OCCURRING ELECTRICITY
    • H05F3/00Carrying-off electrostatic charges
    • H05F3/06Carrying-off electrostatic charges by means of ionising radi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23/00Apparatus for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e.g. into the atmospher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GX-RAY TECHNIQUE
    • H05G1/00X-ray apparatus involving X-ray tubes; Circuits therefor
    • H05G1/02Constructional details
    • H05G1/04Mounting the X-ray tube within a closed hous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limination Of Static Electric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부착 가능한 방호형 제전모듈을 갖는 광 이오나이저에 관한 것으로, 특정 위치에 고정 설치되며, 일측에 제전모듈의 접속 또는 접속 해제를 통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접속부가 구비되는 모듈 탈부착용 몸체; 및 상기 접속부에 대응되어 접속 또는 접속 해제를 통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연결부가 일측에 구비되며, 에어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를 내부로 유입시킨 뒤 X선 방출을 통해 이온화시켜 외부로 공급하는 방호형 제전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탈부착 가능한 방호형 제전모듈을 갖는 광 이오나이저 {PROTECTION TYPE PHOTO IONIZER WITH DETACHABLE}
본 발명은 차폐를 통해 X선이 외부로 방출되지 않는 상태에서 제전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방호형 제전모듈이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는 광 이오나이저에 관한 것이다.
광 이오나이저(Photo Ionizer)는 방사선에 의한 공기 분자 전리 작용을 이용해 제전에 필요한 이온을 만드는 정전기 제거 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며, 자외선 조사를 이용하거나 연 X선(Soft X-ray) 조사를 이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연 X선(Soft X-ray) 조사식 광 이오나이저는 대기압 불활성기체 중이나 산소를 함유한 분위지 중에 있어서 유효한 기술로, 연 X선을 조사하면 양과 음의 가스 이온이 발생되어 대전된 물체를 중화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연 X선(Soft X-ray) 조사식 광 이오나이저는 X선을 외부 제전 대상 측에 조사하여 해당 제전 범위 내의 에어를 이온화시켜 제전을 수행하기 때문에 X선 자체가 외부로 방출되어 정전기 제거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에게 영향을 반드시 끼칠 수밖에 없었다.
이에 따라, 정전기 제거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의 X선 노출에 의한 안전문제에 대한 이슈가 중요해지고, 정전기 제거를 위한 에어 이온화 과정에서 방출되는 X선을 차폐시킬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지속 요구되고 있다.
또한, 정전기 제거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광 이오나이저와 같은 제전장치를 이용함에 있어, 대전체의 종류 및 특성, 제전 작업 환경 등에 의해 복수 타입의 제전장치를 이용해 작업을 진행해야 하는 경우 들이 있는데, 이 경우 특정 타입의 제전장치가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다른 타입의 제전장치가 요구될 경우 전체 제전 작업을 수행함에 상당한 작업적 복합성이 존재하였다.
아울러, 전정기 제거 작업의 수행을 위해 설치된 광 이오나이저와 같은 제전장치가 특정 타입을 갖추고 있을 텐데, 고정된 특정 타입의 광 이오나이저를 이용하는 작업이 완료된 후 작업 대상이 되는 대전체의 종류가 변경될 경우 제전장치 전체를 교체하는 작업이 요구되거나 별도의 작업 공간을 마련해야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였다.
우선, 연 X선(Soft X-ray) 조사식 광 이오나이저를 이용해 정전기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X선의 차폐 기능 부여를 위해 마련된 종래기술에 대한 선행문헌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103101호의 "연X선 차폐 구조, 연X선 제전 장치 및 이온화 에어 방출방법"(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함)가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을 비롯한 기존의 X선의 차폐 기능 부여를 위해 마련된 연 X선(Soft X-ray) 조사식 광 이오나이저들의 경우, 차폐 물질을 이용하거나 차폐 구조체를 이용하여 외부로 방출되는 X선의 양을 감소시키는데 그쳐 궁극적으로 정전기 제거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로부터 X선의 완전한 차폐가 이루어질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을 비롯한 기존의 X선의 차폐 기능 부여를 위해 마련된 연 X선(Soft X-ray) 조사식 광 이오나이저들의 경우, 차폐 기능의 부여로 인해 다소 빈약해진 다른 기능성을 보완하거나, 다른 타입의 광 이오나이저의 적용이 더욱 적합한 작업대상인 대전체에 대해 제전 작업을 수행하고자 할 때 이른 위한 광 이오나이저의 교체 혹은 작업환경의 교체에 있어 상당한 작업 복잡성 및 불편함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에어의 이온화를 통한 제전 기능은 온전히 그대로 제공하되, 이와 동시에 제전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에게 에어의 이온화에 이용되는 X선이 외부로 방출된 후 영향을 주는 문제를 완전히 차단 가능한 수준의 X선 차폐 기능을 갖춘 광 이오나이저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필요에 따라 용이한 작업만으로 위 X선 차폐 기능을 갖춘 광 이오나이저를 갖춘 제전 장치의 적용을 해제하고, 다른 타입의 제전 장치를 교환 적용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탈부착 가능한 방호형 제전모듈을 갖는 광 이오나이저는, 특정 위치에 고정 설치되며, 일측에 제전모듈의 접속 또는 접속 해제를 통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접속부가 구비되는 모듈 탈부착용 몸체; 및
상기 접속부에 대응되어 접속 또는 접속 해제를 통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연결부가 일측에 구비되며, 에어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를 내부로 유입시킨 뒤 X선 방출을 통해 이온화시켜 외부로 공급하는 방호형 제전모듈;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방호형 제전모듈은, X선 발생모듈; 상기 X선 발생모듈 및 상기 연결부가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X선 발생모듈을 통해 발생된 X선이 방출되어 내부 공간에 위치한 에어의 이온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에어 이온화 공간이 내측에 마련되는 모듈 몸체; 및 내부에 상기 에어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에어가 유입되어 이동할 수 있는 에어 이동홀이 구비되며, 상기 에어 이온화 공간과 상기 에어 이동홀이 연통되도록 상기 모듈 몸체 측면에 연결되는 에어 유입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호형 제전모듈은, 내부에 차폐공간이 마련되어 상기 에어 이온화 공간과 연통되도록 상기 모듈 몸체의 하방에 연결되고, 하면에 에어 공급홀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차폐용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차폐용 부재의 하면 중 상기 에어 공급홀에 의해 개방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은 상기 X선 발생모듈을 통해 발생되어 상기 에어 이온화 공간 및 상기 차폐공간을 거쳐 방출된 X선의 외부로의 공급을 차폐시키는 차폐면으로 기능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방호형 제전모듈은, 내부에 포집공간이 마련되어 상기 에어 공급홀을 통해 상기 차폐공간과 연통되도록 상기 차폐용 부재의 하방에 연결되고, 하면에 노즐홀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노즐;를 더 포함하며, 상기 차폐용 부재는 상기 모듈 몸체 내 상기 에어 이온화 공간에서 이온화된 에어가 상기 차폐공간으로 이동된 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에어 공급홀을 통해 상기 노즐로 이동되어 상기 포집공간에서 포집된 후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즐홀을 통해 외부로 배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폐용 부재는 하면 상 중앙부에 상기 차폐면이 구비되며, 하면 상 상기 차폐면을 기준으로 한 테두리부에 상기 에어 공급홀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형태로 마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에어의 이온화를 통한 제전 기능은 온전히 그대로 제공하는 동시에, 에어의 이온화에 이용되는 X선이 외부로 방출되어 제전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에게 일체 영향을 주지 않도록 완전한 차폐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둘째, 방호형 제전모듈 내에서 미리 X선에 의해 이온화된 상태의 에어가 외부로 방출 공급되는 형태로 제전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셋째, 방호형 제전모듈은 필요에 따라 탈부착을 통한 용이한 작업만으로 방호형 제전모듈의 적용을 해제하고, 다른 타입의 제전 장치를 교환 적용할 수 있다.
넷째, 방호형 제전모듈 적용 시 에어 공급원의 연결와 같은 설치 환경 상의 제약이 존재하고, 제전 범위가 다소 축소되는 점을 고려해 방호형 제전모듈을 통한 제전이 필요한 일부 공정상의 시점에 한해 탈부착을 통한 용이한 작업만으로 방호형 제전모듈을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 가능한 방호형 제전모듈을 갖는 광 이오나이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 가능한 방호형 제전모듈을 갖는 광 이오나이저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 가능한 방호형 제전모듈을 갖는 광 이오나이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탈부착 가능한 방호형 제전모듈을 갖는 광 이오나이저에 관한 설명>
도1 내지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탈부착 가능한 방호형 제 전모듈을 갖는 광 이오나이저(10)는 모듈 탈부착용 몸체(100); 및 방호형 제전모듈(200);를 포함하며, 해당 구성은 상호 접속 또는 접속 해제되어 연결상태가 변화됨에 따라 탈부착 가능한 구조를 이룬다.
모듈 탈부착용 몸체(100)는 특정 위치에 고정 설치되며, 일측에 제전모듈의 접속 또는 접속 해제를 통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접속부(111)가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모듈 탈부착용 몸체(10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타입의 제전모듈이 접속 또는 접속 해제를 통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소정의 접속 안착 공간(100T)을 형성하고, 해당 접속 안착 공간(100T) 내에는 수 혹은 암 타입의 접속부(111)가 구비된다.
따라서 모듈 탈부착용 몸체(100)에 접속 또는 접속 해제를 통한 탈부착이 가능한 다양한 타입의 제전모듈들은 수 혹은 암 타입의 접속부(111)와 대응되어 상호 결합 가능한 암 혹은 수 타입의 연결부가 존재하며, 실시에 따라 이 외에도 별도의 볼트 혹은 나사와 같은 연결수단을 이용해 추가적인 상호 결합력의 증대 및 안정성 확보를 구현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모듈 탈부착용 몸체(100) 내에는 모듈 탈부착용 몸체(100)에 접속 또는 접속 해제를 통한 탈부착이 가능한 다양한 타입의 제전모듈이 제공 가능한 다양한 기능의 수행을 위해 내부에 갖춰진 구성부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모듈이 내장 설치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모듈 탈부착용 몸체(100) 내에는 모듈 탈부착용 몸체(100)에 접속 또는 접속 해제를 통한 탈부착이 가능한 다양한 타입의 제전모듈이 제공 가능한 다양한 기능의 수행을 위해 내부에 갖춰진 구성부들의 동작전원을 자체적으로 혹은 외부로부터 전달받아 제공하기 위한 전원 공급수단이 별도로 내장 설치되도록 실시될 수도 있다.
따라서 모듈 탈부착용 몸체(100)에 구비된 수 혹은 암 타입의 접속부(111)는 단순히 구조적 연결을 위한 구성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제어신호 혹은 동작전원 등의 전기적 신호의 이동을 위한 전기적 연결을 모듈 탈부착용 몸체(100)에 접속 또는 접속 해제를 통한 탈부착이 가능한 다양한 타입의 제전모듈들에 구비된 암 혹은 수 타입의 연결부와 이룰 수 있는 형태로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방호형 제전모듈(200)은 전체 구조 기준 상하방향으로 구분했을 시 도1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 탈부착용 몸체(100)에 비해 하측에 위치하며 탈부착을 통해 교체 가능한 몸체부분으로, X선 발생을 위한 각종 모듈과 같은 구성들이 내장 설치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방호형 제전모듈(200)은 모듈 탈부착용 몸체(100)에 접속 또는 접속 해제를 통한 탈부착이 가능한 다양한 타입의 제전모듈들 중 하나로, 이온화된 에어를 공급하여 제전 기능을 수행하며, X선의 차폐를 통해 제전 작업자의 X선 접촉 혹은 피폭에 의한 안전 문제를 해소하고, 작업대상이 되는 대전체의 종류에 따라 X 선 방출 시 대전체 상 소자의 변형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경우에 한해 선택적으로 적용 가능하다.
이를 위해, 방호형 제전모듈(200)은 접속부(110)에 대응되어 접속 또는 접속 해제를 통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연결부(210)가 일측에 구비되며, 에어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를 내부로 유입시킨 뒤 X선 방출을 통해 이온화시켜 외부로 공급하기 위해, X선 발생모듈(220), 모듈 몸체(230), 에어 유입관(240), 차폐용 부재(250) 및 노즐(260)을 포함한다.
우선, X선 발생모듈(220)은 고전압 발생기(미도시)를 통해 발생되는 고전압을 인가받아 연 X선과 같은 X선을 발생시켜 에어의 이온화를 통한 정전기 제거가 가능하도록 하며, 양극(Anode), 음극(Cathode), 유리관(Glass Enclosure)을 포함하여 열전자 2극 진공관의 일종으로 가열된 음극으로부터 나온 열전자를 가속시켜 타켓에 충돌하면서 X선이 방사되도록 하는 X선관(X-ray Tube)을 포함한다.
여기서, 고전압 발생기(H/V, High-Voltage Generator)는 X선 발생모듈(112)을 통해 연 X선과 같은 X선을 발생시키기 위한 직류 고전압(예를 들어, DC 9.5kV)을 발생시키는 장치로서, 모듈 몸체(230)에 내장 설치되어 X선 발생모듈(220)와 직접적을 연결되도록 실시될 수도 있으나, 경우에 따라 앞 서 설명한 모듈 탈부착용 몸체(100) 내에 설치되어 전기적으로도 연결된 접속부(110)와 연결부(210)를 통해 X선 발생모듈(220)에 직류 고전압을 전달하도록 실시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모듈 몸체(230)는 X선 발생모듈(220)이 내장 설치되고, 연결부(210)가 상면 일측에 연결된 방호형 제전모듈(200)의 전체 하우징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모듈 몸체(230)는 X선 발생모듈(220)을 통해 발생된 X선이 방출되어 내부 공간에 위치한 에어의 이온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에어 이온화 공간(230T)이 내측에 마련된다.
따라서 모듈 몸체(230)에 내장 설치된 X선 발생모듈(220)은 발생된 X선이 에어 이온화 공간(230T)에 방출되도록 하며, 아래 설명될 에어 유입관(240)을 통헤 에어 공급원으로부터 에어 이온화 공간(230T) 내에 유입되어 있던 에어는 이온화 처리를 이룰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모듈 몸체(230)의 하면에는 X선 발생모듈(220)은 발생된 X선 및 에어 이온화 공간(230T)에서 X선 발생모듈(220)을 통해 발생된 X선이 방출되어 이온화 처리를 거치게 된 에어가 하방으로 이동되어 궁극적으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개방홀(230H)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에어 유입관(240)은 내부에 에어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에어가 유입되어 이동할 수 있는 에어 이동홀(미도시)이 구비되며, 에어 이온화 공간(230T)과 에어 이동홀이 연통되도록 모듈 몸체(230) 측면에 연결된다.
또한, 에어 유입관(240)은 실시에 따라 설치 위치가 한정되지 않고, 모듈 탈부착용 몸체(100)의 측면에 연결되어 모듈 탈부착용 몸체(100) 내에 별도로 마련된 에어 이동공간을 통해 에어 이온화 공간(230T)으로 에어가 공급될 수 있는 구조를 갖출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 형태의 경우, 모듈 탈부착용 몸체(100) 자체가 에어 유입관(240)을 갖추게 되어 에어 공급원으로부터 제공되는 압축 공기 형태의 에어를 방호형 제전모듈(200)의 접속이 해제된 상태에서도 자체적으로 방출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차폐용 부재(250)는 내부에 차폐공간(250T)이 마련되어 개방홀(230H)을 통해 에어 이온화 공간(230T)과 연통되도록 모듈 몸체(230)의 하방에 연결되고, 하면에 에어 공급홀(250H)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다.
여기서, 모듈 몸체(230)의 하면에 차폐용 부재(250)가 연결되는 형태에 있어, 더욱 견고하게 상호 결합되며 내부에서 이동하는 X선 및 이온화된 에어 등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별도의 O-링과 같은 패킹부재(270)가 모듈 몸체(230)의 하면과 차폐용 부재(2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차폐용 부재(250)의 하면 중 에어 공급홀(250H)에 의해 개방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251)은 X선 발생모듈(220)을 통해 발생되어 에어 이온화 공간(230T), 개방홀(230H) 및 차폐공간(250T)을 거쳐 방출된 X선의 외부로의 공급을 차폐시키는 차폐면(251)으로 기능하게 된다.
다시 말해, 차폐용 부재(250)의 하면은 X선 발생모듈(220)을 통해 발생된 X선이 차폐 될수 있도록 막는 차폐면(251)에 중앙에 위치하며, 해당 위치는 에어 이온화 공간(230T), 개방홀(230H) 및 차폐공간(250T)과 상하기준 중심축이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도록 하여 차폐 기능이 효과적으로 제공될 수 있게 함이 바람직히다.
또한, 차폐용 부재(25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면 상 중앙부에 차폐면(251)이 구비되며, 하면 상 차폐면(251)을 기준으로 한 테두리부에 에어 공급홀(250H)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형태로 마련된다.
결과적으로 차폐용 부재(250)의 하면은 차폐면(251)과 에어 공급홀(250H)로 마련되어 X선 발생모듈(220)을 통해 발생된 X선을 하방으로 이동하여 차폐면(251)에 의해 막히게 되고, 에어 이온화 공간(230T) 내에서 선 발생모듈(220)을 통해 발생된 X선의 이온화 처리를 거친 에어는 개방홀(230H)을 통해 차폐공간(250T)으로 이동한 뒤, 에어 공급홀(250H)로 배출된다.
마지막으로, 노즐(260)은 내부에 포집공간(260T)이 마련되어 에어 공급홀(250H)을 통해 차폐공간(250T)과 연통되도록 차폐용 부재(250)의 하방에 연결되고, 하면에 노즐홀(260H)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다.
따라서 차폐용 부재(260)는 모듈 몸체(230) 내 에어 이온화 공간(230T)에서 이온화된 에어가 차폐공간(250T)으로 이동된 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에어 공급홀(250H)을 통해 노즐(260)로 이동되어 내부 포집공간(260H)에서 포집된 후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즐홀(260H)을 통해 외부로 배출 공급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호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탈부착 가능한 방호형 제전모듈을 갖는 광 이오나이저
100 : 모듈 탈부착용 몸체
110 : 접속부 100T : 접속공간
200 : 방호형 제전모듈
210 : 연결부 220 : X선 발생모듈
230 : 모듈 몸체
230H : 에어 이온화 공간
240 : 에어 유입관
250 : 차폐용 부재
250T : 차폐공간 250H: 에어 공급홀
251 : 차폐면
260 : 노즐
260T : 포집공간 260H: 노즐홀

Claims (5)

  1. 특정 위치에 고정 설치되며, 일측에 제전모듈의 접속 또는 접속 해제를 통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접속부가 구비되는 모듈 탈부착용 몸체; 및
    상기 접속부에 대응되어 접속 또는 접속 해제를 통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연결부가 일측에 구비되며, 에어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를 내부로 유입시킨 뒤 X선 방출을 통해 이온화시켜 외부로 공급하여 X선 차폐기능을 구비한 방호형 제전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방호형 제전모듈은,
    X선 발생모듈;
    상기 X선 발생모듈 및 상기 연결부가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X선 발생모듈을 통해 발생된 X선이 방출되어 내부 공간에 위치한 에어의 이온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에어 이온화 공간이 내측에 마련되는 모듈 몸체;
    내부에 상기 에어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에어가 유입되어 이동할 수 있는 에어 이동홀이 구비되며, 상기 에어 이온화 공간과 상기 에어 이동홀이 연통되도록 상기 모듈 몸체 측면에 연결되는 에어 유입관;을 포함하며,
    내부에 차폐공간이 마련되어 상기 에어 이온화 공간과 연통되도록 상기 모듈 몸체의 하방에 연결되고, 하면에 에어 공급홀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차폐용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모듈 몸체의 하면에 탈부착이 가능한 차폐용 부재가 연결되는 형태에 있어, 상호 결합시 이동하는 X선 및 이온화된 에어등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게 별도의 패킹부재;가 모듈몸체 하면과 차폐용 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차폐용 부재의 하면 중 상기 에어 공급홀에 의해 개방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은 상기 X선 발생모듈을 통해 발생되어 상기 에어 이온화 공간 및 상기 차폐공간을 거쳐 방출된 X선의 외부로의 공급을 차폐시키는 차폐면으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가능한 방호형 제전모듈을 갖는 광 이오나이저.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호형 제전모듈은,
    내부에 포집공간이 마련되어 상기 에어 공급홀을 통해 상기 차폐공간과 연통되도록 상기 차폐용 부재의 하방에 연결되고, 하면에 노즐홀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노즐;를 더 포함하며,
    상기 차폐용 부재는 상기 모듈 몸체 내 상기 에어 이온화 공간에서 이온화된 에어가 상기 차폐공간으로 이동된 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에어 공급홀을 통해 상기 노즐로 이동되어 상기 포집공간에서 포집된 후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즐홀을 통해 외부로 배출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가능한 방호형 제전모듈을 갖는 광 이오나이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용 부재는 하면 상 중앙부에 상기 차폐면이 구비되며, 하면 상 상기 차폐면을 기준으로 한 테두리부에 상기 에어 공급홀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가능한 방호형 제전모듈을 갖는 광 이오나이저.
KR1020190135437A 2019-10-29 2019-10-29 탈부착 가능한 방호형 제전모듈을 갖는 광 이오나이저 KR1023054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5437A KR102305485B1 (ko) 2019-10-29 2019-10-29 탈부착 가능한 방호형 제전모듈을 갖는 광 이오나이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5437A KR102305485B1 (ko) 2019-10-29 2019-10-29 탈부착 가능한 방호형 제전모듈을 갖는 광 이오나이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0883A KR20210050883A (ko) 2021-05-10
KR102305485B1 true KR102305485B1 (ko) 2021-09-27

Family

ID=75917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5437A KR102305485B1 (ko) 2019-10-29 2019-10-29 탈부착 가능한 방호형 제전모듈을 갖는 광 이오나이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548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6781B1 (ko) * 2016-02-05 2016-09-12 (주)선재하이테크 엑스선관의 교체가 용이한 엑스선 이오나이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9797B1 (ko) * 2016-08-31 2018-03-19 (주)선재하이테크 방사선 차폐형 엑스선 이오나이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6781B1 (ko) * 2016-02-05 2016-09-12 (주)선재하이테크 엑스선관의 교체가 용이한 엑스선 이오나이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0883A (ko) 2021-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29170A1 (en) Laser plasma x-ray source, semiconductor lithography apparatus using the same and a method thereof
KR100466702B1 (ko) 진공펌프용이중벽배기어셈블리,이온주입시스템및이중벽배기어셈블리를재구성하는방법
KR102305485B1 (ko) 탈부착 가능한 방호형 제전모듈을 갖는 광 이오나이저
KR101687363B1 (ko) X선관에서 방사되는 x선 차폐를 위한 방호 장치
WO2014171689A1 (ko) X선 발생 장치 및 이를 구성하는 x선 발생부와 고전압 발생부
TWI476785B (zh) X-ray irradiation system and X-ray irradiation device
US5883393A (en) Source inner shield for eaton NV-10 high current implanter
CN211094195U (zh) 一种便携式宠物用x光机
CN113727505A (zh) 具有能拆卸的完全保护型除电模块的光电离器
JP4839475B2 (ja) X線照射型イオナイザ
KR20210050876A (ko) 완전방호형 광 이오나이저
JP2006216453A (ja) 帯電物の除電装置及びその方法
KR20120137920A (ko) 고효율 광조사식 제전 시스템
KR101538945B1 (ko) 차폐막 및 저전압 x선관을 구비한 이온 블로워
KR101439209B1 (ko) 에어 분사 방식을 갖는 연엑스선 이오나이저
US1067814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aining the surface of a reticle free of particles
KR101839797B1 (ko) 방사선 차폐형 엑스선 이오나이저
JPH08162284A (ja) 静電気除去装置
JP2668512B2 (ja) 軟x線による物体表面の静電気除去装置
KR101178783B1 (ko) 연 엑스선을 이용한 광조사식 제전기
CN221081610U (zh) 一种静电消除装置
CN215389997U (zh) 一种电收尘plc控制系统
KR101744961B1 (ko) 정전기 제거장치의 케이블 커넥팅 어셈블리
CN108932982B (zh) 一种用于直线强磁场装置的高束流等离子体阵列源
KR101633829B1 (ko) 반도체 이온주입설비의 소스부싱 보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