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5276B1 - automatic manufacturing apparatus for pipe having branch - Google Patents

automatic manufacturing apparatus for pipe having branc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5276B1
KR102305276B1 KR1020190125151A KR20190125151A KR102305276B1 KR 102305276 B1 KR102305276 B1 KR 102305276B1 KR 1020190125151 A KR1020190125151 A KR 1020190125151A KR 20190125151 A KR20190125151 A KR 20190125151A KR 102305276 B1 KR102305276 B1 KR 1023052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nch
fire extinguishing
pipe
welding
extinguishing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51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42510A (en
Inventor
최미현
Original Assignee
최미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미현 filed Critical 최미현
Priority to KR1020190125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5276B1/en
Publication of KR20210042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251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5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527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3/00Making metal objects by operations essentially involving machining but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23P13/02Making metal objects by operations essentially involving machining but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in which only the machining operations are import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6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 B21D5/1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for making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7/00Constructional features of components specially designed for boring or drilling machines; Accessories therefor
    • B23B47/28Drill jigs for workpieces
    • B23B47/281Jigs for drilling cylindrical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3/00Specially-profiled edge portions of workpieces for making soldering or welding connections; Filling the seams formed thereby
    • B23K33/004Filling of continuous seams
    • B23K33/006Filling of continuous seams for cylindrical workpie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53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aligning cylindrical work; Clamping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23/00Machines or arrangements of machines for performing specified combinations of different metal-working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23P23/02Machine tools for performing different machining ope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지관이 구비된 소화배관 자동제조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상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에 고정 구비되고, 소화배관을 지지하는 지지다이; 상기 상부 프레임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구비되는 가이드 레일; 상기 소화배관을 파지하고, 상기 상부 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다이; 상기 이동다이를 전후 방향으로 기설정된 위치에 이동시키는 이동제어모듈;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소화배관에 분기홀을 형성하는 드릴장치; 상기 드릴장치의 전방에 구비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분기홀을 분기부로 성형하는 인발장치; 상기 인발장치의 전방에 구비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분기부의 표면을 면취하는 면취장치; 및 상기 면취장치의 전방에 구비되고, 상기 분기부로 공급된 가지관을 상기 분기부에 용접시키는 용접장치; 를 포함한다.An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pipe manufacturing apparatus provided with a branch pi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frame forming an exterior; a support die fixed to the upper frame and supporting the fire extinguishing pipe; guide rails provid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long the upper frame; a moving die holding the fire extinguishing pipe and provided on the upper frame to be movab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along the guide rail; a movement control module for moving the movable die to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front-rear direction; a drill devic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frame to form a branch hole in the fire extinguishing pipe; a drawing device provided in front of the drill device and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frame to form the branch hole into a branch; a chamfering device provided in front of the drawing device and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frame to chamfer the surface of the branch; and a welding device provided in front of the chamfering device and welding the branch pipe supplied to the branch to the branch; includes

Figure R1020190125151
Figure R1020190125151

Description

가지관이 구비된 소화배관 자동제조장치{automatic manufacturing apparatus for pipe having branch}Automatic manufacturing apparatus for pipe having branch

본 발명은 가지관이 구비된 소화배관 자동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분기부를 자동으로 성형하고 분기부에 가지관을 자동 용접하여, 가지관이 구비된 소화배관의 생산속도를 향상시킨 가지관이 구비된 소화배관 자동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pipe manufacturing apparatus equipped with a branch pipe, wherein the branch pipe is automatically formed and the branch pipe is automatically welded to the branch part, thereby improving the production speed of the branch pipe. It relates to an automatic manufacturing device for fire extinguishing pipes.

소화배관은 건물의 옥내에 설치되는 배관으로, 화재발생 시 소화배관으로 소화수를 공급하여 스프링클러를 통해 소화수를 분사시켜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배관 설비이다.A fire extinguishing pipe is a pipe installed indoors of a building, and in the event of a fire, it is a piping facility for suppressing a fire by supplying fire extinguishing water to the fire extinguishing pipe and spraying the fire extinguishing water through a sprinkler.

도 1은 일반적인 소화배관(1)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소화배관(1)은 내부에 소화수가 유동되는 몸체부(1a), 몸체부(1a)의 일단에 형성된 축관부(1b), 몸체부(1a)에 형성되어 주배관 또는 니플 또는 분기관 등의 가지관이 연결되는 분기부(T1, T2, T3)를 포함한다.1 is a view showing a general fire extinguishing pipe (1).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shown in FIG. 1 includes a body part 1a through which fire extinguishing water flows, a shaft pipe part 1b formed at one end of the body part 1a, and a main pipe or nipple or It includes branch parts T1, T2, T3 to which branch pipes such as branch pipes are connected.

몸체부(1a)의 내부에는 소화수가 유동된다. 몸체부(1a)의 일측에 형성된 축관부(1b)는 축관된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다른 소화배관이 연결되며, 최종적으로는 엔드캡으로 밀봉된다. 분기부(T1, T2, T3)에는 가지관이 연결되고 가지관에는 소화수를 분사하는 스프링클러가 연결될 수 있다. Fire extinguishing water flows inside the body portion 1a. The shaft pipe part 1b formed on one side of the body part 1a is connected to another fire extinguishing pipe having the same diameter as the shaft pipe diameter, and is finally sealed with an end cap. A branch pipe may be connected to the branch portions T1, T2, and T3, and a sprinkler for spraying fire extinguishing water may be connected to the branch pipe.

분기부(T1, T2, T3)는 일반적으로 드릴로 몸체부(1a)에 홀(hole)을 천공한 후 인발금형을 몸체부(1a) 내측에 삽입하여 홀에 위치시키고, 홀의 외부에서 인발기를 인발금형에 결합시킨 후 인발금형을 홀을 통해 인발(drawing)하여 소성가공으로 형성시킨다.The branch portions T1, T2, and T3 are generally formed by drilling a hole in the body portion 1a with a drill, then inserting a drawing mold into the body portion 1a to position the hole in the hole, and remove the drawing machine from the outside of the hole. After bonding to the drawing mold, the drawing mold is drawn through a hole and formed by plastic working.

이후 면취공정을 통해 분기부(T1, T2, T3) 표면을 다듬어서 최종적으로 분기부(T1, T2, T3)를 형성시킨다. 이렇게 형성된 분기부(T1, T2, T3)는 산업현장에서 일반적으로 T분기부 또는 T뽑기부 또는 분기티(tee) 등으로 지칭된다.Thereafter, the surfaces of the branch portions T1, T2, and T3 are polished through a chamfering process to finally form the branch portions T1, T2, and T3. The branch portions T1 , T2 , and T3 formed in this way are generally referred to as a T branch or a T draw or branch tee in the industrial field.

그러나, 분기부(T1, T2, T3) 형성을 위해 인발금형을 몸체부(1a) 내측으로 삽입하는 공정은 인발금형을 몸체부(1a) 내측으로 삽입하는 가이드가 필요하고, 작업자가 홀까지 가이드를 이용해 인발금형을 위치시켜야 하므로, 홀의 형성 위치에 따라 가이드가 과도하게 길게 형성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drawing mold into the body portion 1a to form the branch portions T1, T2, and T3 requires a guide for inserting the drawing mold into the body portion 1a, and the operator guides the hole to the inside of the body portion 1a. Since it is necessary to position the drawing mold using

또한, 홀을 통해 인발금형을 인발시키기 위해, 작업자가 인발기를 인발금형에 수작업으로 결합시키고 인발기를 다시 작동시켜야 하므로, 생산속도가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draw out the drawing mold through the hole, an operator must manually couple the drawing machine to the drawing die and operate the drawing machine again, so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roduction speed is greatly reduced.

특히, 도 1에 도시된 소화배관(1)과 같이, 특정 분기부(T3)의 위치가 다른 분기부(T1, T2)와 일직선 상에 위치되지 않고 소정각도(θ)를 이루는 위치에 형성될 경우에는 생산속도가 크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In particular, like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shown in Fig. 1, the position of the specific branch portion T3 is not located on a straight line with the other branch portions T1 and T2, but is formed at a position forming a predetermined angle θ.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roduction speed is greatly reduced.

즉, 다른 분기부(T1, T2)와 소정각도(θ)를 형성하는 특정 분기부(T3)의 경우, 일직선 상에 위치된 다른 분기부(T1, T2)를 기준으로 소정각도(θ)만큼 좌측 또는 우측에 분기부를 형성하여야 하므로, 분기부가 형성될 위치를 먼저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표시해야 하고 다른 분기부(T1, T2)의 가공이 완료된 후 소화배관(1)을 수동으로 회전시켜 특정 분기부(T3)를 다시 가공해야 하여, 생산속도가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That is, in the case of a specific branching portion T3 forming a predetermined angle θ with the other branching portions T1 and T2, a predetermined angle θ with respect to the other branching portions T1 and T2 positioned on a straight line Since the branch has to be formed on the left or right side, the operator must first manually mark the location where the branch is to be formed, and after processing of the other branch parts T1 and T2 is completed, manually rotate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to create a specific branch (T3) has to be processed again, so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roduction speed is significantly reduced.

특히, 특정 분기부(T3)의 위치를 표시하는 경우,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표시함에 따라, 좌측과 우측에 대한 혼동이 발생하여 위치 표시가 틀리는 휴면에러가 발생되어, 생산제품을 폐기해야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In particular, when the location of the specific branch T3 is displayed, as the operator manually marks the location, confusion about the left and right sides occurs, resulting in a dormant error in which the location indication is incorrect, resulting in a problem that the product must be discarded. also do

따라서, 이러한 일련의 작업을 자동화하여, 생산속도를 개선하고, 휴먼에러를 제거하여 정위치에 특정 분기부(T3)가 신속하게 형성되도록 하는 가지관이 구비된 소화배관 자동제조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pipe manufacturing device equipped with a branch pipe that automates this series of tasks, improves the production speed, and removes human errors to quickly form a specific branch (T3) in the correct position. the current situation.

이렇게 형성된 분기부(T1, T2, T3)에는, 상술한 것과 같이 니플이나 분기관 등의 가지관(branch)이 결합되어야 한다. 이때, 가지관을 분기부에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용접하므로, 소화배관의 생산속도가 현저하게 저하된다. 따라서, 분기부에 가지관을 자동으로 용접하여 생산속도를 개선할 수 있는 소화배관 자동제조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A branch pipe such as a nipple or a branch pipe should be coupled to the branch portions T1 , T2 , and T3 formed in this way, as described above. At this time, since the operator manually welds the branch pipe to the branch, the production speed of the fire extinguishing pipe is significantly reduced.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an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pipe manufacturing apparatus capable of improving the production speed by automatically welding the branch pipe to the branch.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분기부를 자동으로 성형하고 분기부에 가지관을 자동 용접하여, 가지관이 구비된 소화배관의 생산속도를 향상시킨 가지관이 구비된 소화배관 자동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pipe manufacturing apparatus equipped with a branch pipe, which automatically forms a branch part and automatically welds a branch pipe to the branch part, thereby improving the production speed of the branch pipe-equipped fire extinguishing pipe. have.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지관이 구비된 소화배관 자동제조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상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에 고정 구비되고, 소화배관을 지지하는 지지다이; 상기 상부 프레임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구비되는 가이드 레일; 상기 소화배관을 파지하고, 상기 상부 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다이; 상기 이동다이를 전후 방향으로 기설정된 위치에 이동시키는 이동제어모듈;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소화배관에 분기홀을 형성하는 드릴장치; 상기 드릴장치의 전방에 구비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분기홀을 분기부로 성형하는 인발장치; 상기 인발장치의 전방에 구비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분기부의 표면을 면취하는 면취장치; 및 상기 면취장치의 전방에 구비되고, 상기 분기부로 공급된 가지관을 상기 분기부에 용접시키는 용접장치; 를 포함한다.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re is provided an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pipe manufacturing apparatus provided with a branch pipe, comprising: an upper frame forming an exterior; a support die fixed to the upper frame and supporting the fire extinguishing pipe; guide rails provid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long the upper frame; a moving die holding the fire extinguishing pipe and provided on the upper frame to be movab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along the guide rail; a movement control module for moving the movable die to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front-rear direction; a drill devic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frame to form a branch hole in the fire extinguishing pipe; a drawing device provided in front of the drill device and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frame to form the branch hole into a branch; a chamfering device provided in front of the drawing device and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frame to chamfer the surface of the branch; and a welding device provided in front of the chamfering device and welding the branch pipe supplied to the branch to the branch; includes

또한, 상기 용접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구비되고, 상기 가지관을 가압하여 상기 분기부에 정위치시키는 포지션 모듈; 및 상기 프레임부에 구비되고, 상기 분기부와 상기 가지관이 형성하는 접합부를 용접하여 상기 가지관을 상기 분기부에 용접시키는 용접 모듈; 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elding device, the frame portion for forming an outer appearance; a position module provided in the frame portion and positioned in the branch portion by pressing the branch tube; and a welding module provided in the frame part and welding the branch pipe to the branch part by welding a junction formed between the branch part and the branch pipe; may include.

또한, 상기 프레임부는, 외관을 형성하는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의 상부에 수평하게 구비되는 어퍼 플레이트; 및 상기 어퍼 플레이트에 구비되고, 중공이 형성되는 중공 로드; 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rame portion, the main body forming an exterior; an upper plate provided horizontally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and a hollow rod provided on the upper plate and having a hollow formed therein; may include.

또한, 상기 포지션 모듈은, 상기 중공 로드에 삽입되어 상기 중공을 따라 슬라이딩되고, 상기 가지관에 접촉되는 포지션 샤프트; 및 상기 어퍼 플레이트에 구비되고, 상기 포지션 사프트에 결합되어, 상기 포지션 샤프트를 승하강시키는 포지션 피스톤; 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osition module may include a position shaft inserted into the hollow rod and slid along the hollow, and in contact with the branch pipe; and a position piston provided on the upper plate and coupled to the position shaft to elevate the position shaft; may include.

또한, 상기 포지션 샤프트는 단부에 상기 가지관의 개구부에 삽입되는 테이퍼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sition shaft may have a tapered portion inserted into the opening of the branch tube at an end thereof.

또한, 상기 용접 모듈은, 상기 중공 로드에 관통되고, 상기 중공 로드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용접 플레이트; 상기 중공 로드에 관통되고 상기 용접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중공 모터; 상기 중공 로드에 관통되고 상기 중공 모터에 결합되어, 상기 중공 모터에 의해 상기 중공 로드에 상대 회전되는 용접 바디; 상기 용접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용접 바디와 함께 회전되는 용접 토치; 및 상기 어퍼 플레이트에 구비되어, 상기 용접 플레이트를 승하강시키는 용접 피스톤; 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elding module, a welding plate penetrated through the hollow rod, slidably coupled to the hollow rod; a hollow motor penetrated through the hollow rod and coupled to the welding plate; a welding body penetrating through the hollow rod and coupled to the hollow motor, the welding body being rotated relative to the hollow rod by the hollow motor; a welding torch provided on the welding body and rotated together with the welding body; and a welding piston provided on the upper plate to elevate the welding plate. may include.

또한, 상기 용접 바디가 회전되면 상기 용접 토치가 상기 접합부를 따라 상기 가지관을 상기 분기부에 용접시킬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welding body is rotated, the welding torch may weld the branch pipe to the branch portion along the joint portion.

또한, 상기 용접 바디에는 상기 접합부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welding body may be provided with a position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junction.

또한, 상기 이동다이는, 상기 소화배관을 파지하는 유압척 모듈; 상면에 상기 유압척 모듈이 구비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저면에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엘엠가이드; 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oving die, a hydraulic chuck module for holding the fire extinguishing pipe; a base plate provided with the hydraulic chuck module on its upper surface; and an LM guide provided on a lower surface of the base plate and slidably provided on the guide rail; may include.

또한, 상기 유압척 모듈은, 상기 소화배관이 관통되며 상기 소화배관을 파지하는 중공 유압척; 상기 중공 유압척에 연결되고 상기 소화배관이 관통되며 상기 중공 유압척에 유압을 제공하는 유압 실린더; 상기 소화배관이 관통되고 상기 중공 유압척에 연결되어 상기 중공 유압척을 회전시키는 기어부; 및 상기 기어부를 회전시켜 상기 소화배관이 파지된 중공 유압척을 기설정된 각도만큼 회전시키는 회전제어모터; 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ydraulic chuck module may include: a hollow hydraulic chuck through which the fire extinguishing pipe passes and grips the fire extinguishing pipe; a hydraulic cylinder connected to the hollow hydraulic chuck, the fire extinguishing pipe passing through, and providing hydraulic pressure to the hollow hydraulic chuck; a gear part through which the fire extinguishing pipe passes and is connected to the hollow hydraulic chuck to rotate the hollow hydraulic chuck; and a rotation control motor that rotates the gear unit to rotate the hollow hydraulic chuck holding the fire extinguishing pipe by a preset angle; may include.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The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지관이 구비된 소화배관 자동제조장치에 따르면, 사용자가 입력부(80)를 통해 한번에 소화배관(1)의 설계치수를 입력하면 제어부(70)가 가공치수를 설정한 후 소화배관(1)을 자동으로 드릴공정 내지 면취공정까지 수행시켜 제1분기부(T1) 내지 제3분기부(T3) 및 축관부(1b)를 성형하므로, 기존의 수작업 대비 생산속도가 현저하게 향상되고 휴먼에러가 제거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pipe manufacturing apparatus provided with branch pip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user inputs the design dimensions of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at once through the input unit 80, the control unit 70 sets the processing dimensions. After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is automatically performed up to the drilling process or the chamfering process to form the first branching part (T1) to the third branching part (T3) and the shaft pipe part (1b), the production speed compared to the existing manual work is increased It is significantly improved and human errors can be eliminated.

또한, 포지션 모듈이 가지관을 분기부(T1, T2, T3)에 정확하게 정위치시킨 상태에서 용접 모듈이 자동으로 접합부(W)를 용접하므로, 생산속도가 크게 향상되고, 가지관(BR)과 분기부(T1, T2, T3)의 중심선이 일치하여 가지관이 구비된 소화배관의 제조품질이 개선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welding module automatically welds the joint (W) in the state where the position module accurately positions the branch pipe on the branch part (T1, T2, T3), the production speed is greatly improved, and the branch pipe (BR) and Since the center lines of the branch portions T1, T2, and T3 coincide, the manufacturing quality of the fire extinguishing pipe provided with the branch pipe can be improved.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일반적인 소화배관(1)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지관이 구비된 소화배관 자동제조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다이(10)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이동다이(10)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발장치(40)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인발장치(40)의 동작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인발장치(40)의 또 다른 동작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지관이 구비된 소화배관 자동제조장치의 동작도로서, 드릴장치(30)가 작동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지관이 구비된 소화배관 자동제조장치의 동작도로서, 이동다이(10)가 작동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a) 내지 도 10(c)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지관이 구비된 소화배관 자동제조장치의 동작도로서, 인발장치(40)가 작동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지관이 구비된 소화배관 자동제조장치의 동작도로서, 면취장치(50)가 작동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지관이 구비된 소화배관 자동제조장치의 동작도로서, 유압척 모듈(110)이 회전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지관이 구비된 소화배관 자동제조장치의 동작도로서, 축관장치(60)가 작동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장치(400)를 포함하는 가지관이 구비된 소화배관 자동제조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장치(400)의 개략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지션 모듈(420)의 동작도이다.
도 17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모듈(430)의 동작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가지관(BR)이 구비된 소화배관의 사시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 general fire extinguishing pipe (1).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pipe manufacturing apparatus provided with a branch pi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ving di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lan view of the movable die 10 shown in FIG. 3 .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drawing device 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operation diagram of the drawing device 40 shown in FIG. 5 .
FIG. 7 is another operation diagram of the drawing device 40 shown in FIG. 5 .
8 is an operation diagram of an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pipe manufacturing apparatus provided with a branch pi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drill device 30 .
9 is an operation diagram of an automatic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fire extinguishing pipe having a branch pi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moving die 10. Referring to FIG.
10(a) to 10(c) are operation diagrams of an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pipe manufacturing apparatus equipped with a branch pi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drawing device 40. As shown in FIG.
11 is an operation diagram of an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pipe manufacturing apparatus provided with a branch pi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chamfering device 50 .
12 is an operation diagram of an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pipe manufacturing apparatus provided with a branch pi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view showing the rotation of the hydraulic chuck module 110. As shown in FIG.
13 is an operation diagram of an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pipe manufacturing apparatus provided with a branch pi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axial pipe device 60 .
14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pipe manufacturing apparatus equipped with a branch pipe including a welding device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schematic diagram of a welding apparatus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n operation diagram of the position module 4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to 18 are operation diagrams of the welding module 4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e extinguishing pipe provided with a branch pipe (BR) manufactu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용어가 동일하더라도 표시하는 부분이 상이하면 도면 부호가 일치하지 않음을 미리 말해두는 바이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Even if the terms are the same, if the indicated parts are different, it is to be said in advance that the reference numerals do not match.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실험자 및 측정자와 같은 조작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And the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set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operators such as experimenters and measurers, and thus definition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and/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terms used herei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ike reference numerals in each figure indicate like element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지관이 구비된 소화배관 자동제조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다이(10)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이동다이(10)의 평면도이다.2 is a schematic view of an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pipe manufacturing apparatus provided with a branch pi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vable di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FIG. 3 It is a plan view of the moving die 10 shown in .

이하에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지관이 구비된 소화배관 자동제조장치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지관이 구비된 소화배관 자동제조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상부 프레임(91), 상부 프레임(91)에 고정 구비되고, 소화배관(1)을 지지하는 지지다이(97), 상부 프레임(91)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구비되는 가이드 레일(92), 소화배관(1)을 파지하고, 상부 프레임(91)에 구비되어 가이드 레일(92)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다이(10), 이동다이(10)를 전후 방향으로 기설정된 위치에 이동시키는 이동제어모듈(20), 상부 프레임(91)의 상측에 구비되어 소화배관(1)에 분기홀을 형성하는 드릴장치(30), 및 드릴장치(30)의 전방에 구비되고 상부 프레임(91)의 상측에 구비되어, 분기홀을 분기부(T1, T2, T3)로 성형하는 인발장치(40)를 포함한다.Hereinafter, a structure of an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pipe manufacturing apparatus having a branch pi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 The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pipe manufacturing apparatus with branch pip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frame 91 forming an exterior, a support die fixed to the upper frame 91, and supporting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 97), the guide rail 92 provid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along the upper frame 91 and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are gripped, and provided in the upper frame 91 to move in the front-rear direction along the guide rail 92 A moving die 10 provided to make the moving die 10, a movement control module 20 for moving the moving die 10 to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a branch hol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frame 91 to provide a branch hole in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A drill device 30 to form, and a drawing device 40 provided in front of the drill device 30 and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frame 91 to form a branch hole into branch parts T1, T2, and T3. includes

상부 프레임(91)은 외관을 형성한다. 상부 프레임(91)은 소화배관(1)이 이동하는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전후 방향은 소화배관(1)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지지다이(97)로부터 후술하는 축관장비까지의 방향을 가리킨다. 이하에서, 도 2에 도시된 축관장비의 위치를 전방으로 정의하고, 지지다이(97)의 위치를 후방으로 정의한다. 상부 프레임(91)의 하측에는 상부 프레임(91)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95)이 구비될 수 있다.The upper frame 91 forms the exterior. The upper frame 91 is formed to extend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in which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moves. Here, the front-back direction refers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moves, and refers to the direction from the support die 97 to the shaft pipe equipment to be described later. Hereinafter, the position of the shaft pipe equipment shown in FIG. 2 is defined as the front, and the position of the support die 97 is defined as the rear. A support frame 95 supporting the upper frame 91 may be provided under the upper frame 91 .

지지다이(97)는 상부 프레임(91)에 고정 구비된다. 지지다이(97)는 상부 프레임(91)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지지다이(97)는 정의된 것과 같이 상부 프레임(91)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The support die 97 is fixed to the upper frame 91 . The support die 97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upper frame 91 . The support die 97 may be positioned at the rear of the upper frame 91 as defined.

지지다이(97)는 상부 프레임(91)에 투입되는 소화배관(1)을 지지한다. 지지다이(97)는 후술하는 이동다이(10)가 소화배관(1)을 파지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소화배관(1)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한다.The support die 97 supports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that is put into the upper frame 91 . The support die 97 supports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so that it is not separated to the outside when the moving die 10 to be described later grips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and moves it in the front-rear direction.

지지다이(97)는 소화배관(1)이 이동다이(10)에 파지되어 상부 프레임(91)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소화배관(1)이 슬라이딩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다이(97)는 제어부(70)의 제어신호에 따라 소화배관(1)을 파지(clamping)하거나 파지를 해제(unclamping)하도록 작동될 수도 있다.The support die 97 may support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to slide so that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is gripped by the moving die 10 and mov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along the upper frame 91 . In addition, the support die 97 may be operated to clamp or unclamp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ler 70 .

가이드 레일(92)은 상부 프레임(91)에 구비된다. 가이드 레일(92)은 상부 프레임(91)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구비된다. 가이드 레일(92)은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guide rail 92 is provided on the upper frame 91 . The guide rail 92 is provid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along the upper frame 91 . The guide rails 92 may be provided as a pair.

이동다이(10)는 상부 프레임(91)에 구비된다. 이동다이(10)는 가이드 레일(92)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동다이(10)는 가이드 레일(92)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The movable die 10 is provided on the upper frame 91 . The movable die 10 is movably provided on the guide rail 92 . The moving die 10 may be mov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along the guide rail 92 .

이동다이(10)는 소화배관(1)을 파지한다. 이동다이(10)는 소화배관(1)을 파지한 상태로 가이드 레일(92)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다이(10)는 지지다이(97)로부터 축관장치(60)까지 이동될 수 있다. The moving die 10 holds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 The movable die 10 may be mov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along the guide rail 92 while holding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 In this case, the moving die 10 may be moved from the support die 97 to the shaft tube device 60 .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이동다이(10)의 상세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다이(10)는, 소화배관(1)을 파지하는 유압척 모듈(110), 상면에 유압척 모듈(110)이 구비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20), 및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저면에 구비되고, 가이드 레일(9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엘엠가이드(130)를 포함한다.A detailed structure of the moving die 1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4 . The movable di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ydraulic chuck module 110 for holding a fire extinguishing pipe 1 , a base plate 120 having a hydraulic chuck module 110 on its upper surface, and a base plate. It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120 and includes an LM guide 130 that is slidably provided on the guide rail 92 .

유압척 모듈(110)은 소화배관(1)을 파지한다. 유압척 모듈(110)은 소화배관(1)의 일측을 파지할 수 있다. 유압척 모듈(110)은 유압을 공급받아 소화배관(1)을 파지할 수 있다. 유압척 모듈(110)은 제어부(70)의 제어신호에 따라 소화배관(1)을 파지하거나 파지를 해제할 수 있다. 소화배관(1)은 유압척 모듈(110)에 관통되게 배치된다.The hydraulic chuck module 110 holds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 The hydraulic chuck module 110 may hold one side of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 The hydraulic chuck module 110 may grip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by receiving hydraulic pressure. The hydraulic chuck module 110 may hold or release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70 .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is disposed to pass through the hydraulic chuck module 110 .

사용자는 소화배관(1)의 기준위치(A)가 유압척 모듈(110)에 파지되도록 배치시킨다. 여기서 기준위치(A)는, 가지관이 구비된 소화배관 자동제조장치에서 소화배관(1)을 가공할 때, 소화배관(1) 가공치수를 기산하는 기산점이 된다. 이 경우, 이동다이(10)의 유압척 모듈(110)에는 소화배관(1)의 기준위치(A)가 결합되는 안내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The user arranges the reference position (A) of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to be gripped by the hydraulic chuck module (110). Here, the reference position (A) is a starting point for calculating the processing dimensions of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when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is processed in the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pipe manufactur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branch pipe. In this case, the hydraulic chuck module 110 of the moving die 10 may be provided with a guide (not shown) to which the reference position A of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is coupled.

베이스 플레이트(120)는 가이드 레일(9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상면에는 유압척 모듈(110)이 구비된다.The base plate 120 may be disposed on the guide rail 92 . A hydraulic chuck module 110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20 .

엘엠가이드(130)(LM가이드)는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저면에 구비된다. 엘엠가이드(130)는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엘엠가이드(130)는 가이드 레일(9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된다. 후술하는 이동제어모듈(20)이 작동되면, 엘엠가이드(130)는 가이드 레일(92)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이동다이(10)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킨다.The LM guide 130 (LM guide)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plate 120 . The LM guide 130 may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base plate 120 . The LM guide 130 is slidably provided on the guide rail 92 . When the movement control module 20 to be described later is operated, the LM guide 130 slides in the front-rear direction along the guide rail 92 to move the movable die 10 in the front-rear direction.

유압척 모듈(110)의 상세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척 모듈(110)은 소화배관(1)이 관통되며 소화배관(1)을 파지하는 중공 유압척(111), 중공 유압척(111)에 연결되고 소화배관(1)이 관통되며 중공 유압척(111)에 유압을 제공하는 유압 실린더(115), 소화배관(1)이 관통되고 중공 유압척(111)에 연결되어 중공 유압척(111)을 회전시키는 기어부(117), 및 기어부(117)를 회전시켜 소화배관(1)이 파지된 중공 유압척(111)을 기설정된 각도(θ)만큼 회전시키는 회전제어모터(119)를 포함한다.A detailed structure of the hydraulic chuck module 110 will be described. The hydraulic chuck module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ollow hydraulic chuck 111 through which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penetrates and grips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and is connected to the hollow hydraulic chuck 111 and the fire extinguishing pipe ( 1) is penetrated and the hydraulic cylinder 115 providing hydraulic pressure to the hollow hydraulic chuck 111,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penetrates and is connected to the hollow hydraulic chuck 111 to rotate the hollow hydraulic chuck 111 117, and a rotation control motor 119 for rotating the gear unit 117 to rotate the hollow hydraulic chuck 111 holding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by a preset angle θ.

중공 유압척(111)은 중공(hollow)이 형성된다. 중공 유압척(111)의 중공에 소화배관(1)이 관통된다. 중공 유압척(111)은 관통된 소화배관(1)의 일측을 파지한다. 중공 유압척(111)은 소화배관(1)을 파지하는 죠(jaw)(113)가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중공 유압척(111)에는 소화배관(1)의 기준위치(A)가 결합되는 안내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The hollow hydraulic chuck 111 is formed in a hollow (hollow).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is penetrated in the hollow of the hollow hydraulic chuck (111). The hollow hydraulic chuck 111 grips one side of the penetrated fire extinguishing pipe (1). The hollow hydraulic chuck 111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jaws 113 for holding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 The hollow hydraulic chuck 111 may be provided with a guide (not shown) to which the reference position A of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is coupled.

유압 실린더(115)는 중공 유압척(111)에 연결된다. 이 경우, 실시예에 따라 유압 실린더와 유압척은 아답터(미도시)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The hydraulic cylinder 115 is connected to the hollow hydraulic chuck 111 . In this cas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hydraulic cylinder and the hydraulic chuck may be connected by an adapter (not shown).

유압 실린더(115)는 중공(hollow)이 형성된다. 유압 실린더(115)의 중공에 소화배관(1)이 관통된다. 이 경우, 유압 실린더(115)의 중공은 중공 유압척(111)의 중공과 일직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Hydraulic cylinder 115 is hollow (hollow) is formed.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passes through the hollow of the hydraulic cylinder (115). In this case, the hollow of the hydraulic cylinder 115 may be disposed on a straight line with the hollow of the hollow hydraulic chuck 111 .

유압 실린더(115)는 중공 유압척(111)의 일측에 구비되어, 중공 유압척(111)에 유압을 제공한다. 유압은 유압 실린더(115)에 연결된 유압펌프(112)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유압펌프(112)로부터 유압을 전달받은 유압 실린더(115)가 중공 유압척(111)을 작동시키면, 죠(113)가 작동하여 소화배관(1)을 파지할 수 있다. 또한, 유압이 해제되면 죠(113)가 작동하여 소화배관(1)의 파지를 해제할 수 있다. The hydraulic cylinder 115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ollow hydraulic chuck 111 to provide hydraulic pressure to the hollow hydraulic chuck 111 . Hydraulic pressure may be provided from a hydraulic pump 112 connected to the hydraulic cylinder 115 . When the hydraulic cylinder 115 that receives the hydraulic pressure from the hydraulic pump 112 operates the hollow hydraulic chuck 111 , the jaws 113 operate to grip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 In addition, when the hydraulic pressure is released, the jaw 113 may operate to release the grip of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

기어부(117)는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기어부(117)는 중공 유압척(111)에 연결된다. 이 경우, 실시예에 따라, 기어부(117)는 아답터(미도시)로 중공 유압척(111)에 연결될 수 있다.The gear unit 117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ase plate 120 . The gear unit 117 is connected to the hollow hydraulic chuck 111 . In this cas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gear unit 117 may be connected to the hollow hydraulic chuck 111 with an adapter (not shown).

기어부(117)는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기어부(117)의 중공에 소화배관(1)이 관통된다. 이 경우, 기어부(117)의 중공은 유압 실린더(115)의 중공 및 중공 유압척(111)의 중공과 일직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기어부(117)는 중공 유압척(111)과 연결되어, 후술하는 회전제어모터(119)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중공 유압척(111)을 회전시킨다.The gear unit 117 may be hollow.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is passed through the hollow of the gear part (117). In this case, the hollow of the gear unit 117 may be disposed on a straight line with the hollow of the hydraulic cylinder 115 and the hollow of the hollow hydraulic chuck 111 . The gear unit 117 is connected to the hollow hydraulic chuck 111 and receives a driving force of a rotation control motor 119 to be described later to rotate the hollow hydraulic chuck 111 .

기어부(117)는 복수개의 기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어부(117)는 중공이 형성되어 소화배관(1)이 중공에 관통되고 중공 유압척(111)에 연결되는 일측 기어(116), 일측 기어(116)에 연결되어 일측 기어(116)를 회전시키는 타측 기어(118)를 포함하나, 이에 실시예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gear unit 117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gears. The gear unit 117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hollow, so that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passes through the hollow and is connected to one gear 116 and one gear 116 connected to the hollow hydraulic chuck 111 . and includes the other gear 118 for rotating the one side gear 116, but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회전제어모터(119)는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회전제어모터(119)는 기어부(117)와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회전제어모터(119)는 타측 기어(118)에 결합될 수 있다.The rotation control motor 119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ase plate 120 . The rotation control motor 119 is connected to the gear unit 117 .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on control motor 119 may be coupled to the other gear 118 .

회전제어모터(119)는 기어부(117)를 회전시킨다. 회전제어모터(119)가 기어부(117)를 회전시키면, 소화배관(1)이 파지된 중공 유압척(111)이 회전된다. 소화배관(1)은 중공 유압척(111)이 회전됨에 따라 소화배관(1)의 원심을 회전축으로 회전될 수 있다.The rotation control motor 119 rotates the gear unit 117 . When the rotation control motor 119 rotates the gear unit 117, the hollow hydraulic chuck 111 holding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is rotated.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may rotate the centrifugal axis of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as the hollow hydraulic chuck 111 rotates.

사용자가 입력부(80)에 최초 분기부(T1)의 위치, 분기부의 개수, 각 분기부(T1, T2, T3) 사이 간격(L), 각 분기부(T1, T2, T3)가 형성하는 각도(θ) 등 소화배관(1)의 설계치수를 입력하면, 제어부(70)는 소화배관(1)의 가공치수를 설정한다.The user inputs the input unit 80 to the position of the first branching portion T1, the number of branching portions, the interval L between each branching portion T1, T2, and T3, and the angle formed by each branching portion T1, T2, T3. When the design dimensions of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such as (θ) are input, the control unit 70 sets the processing dimensions of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도 1에 도시된 소화배관(1)을 예를 들면, 사용자가 입력부(80)를 통해 최초 분기부(T1)인 제1분기부(T1)의 위치, 각 분기부 사이의 간격(L), 제2분기부(T2)와 제3분기부(T3)가 형성하는 각도(θ) 등 소화배관(1)의 설계치수를 입력하면, 제어부(70)는 입력값에 따라 소화배관(1)의 가공치수를 설정한다.For example,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shown in Figure 1, the user through the input unit 80, the first branch (T1), the position of the first branch (T1), the distance between each branch (L), When the design dimensions of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such as the angle θ formed by the second branch T2 and the third branch T3 are input, the control unit 70 controls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according to the input value. Set the machining dimension.

회전제어모터(119)는 제어부(70)의 제어신호에 따라 기어부(117)를 회전시켜, 후술하는 것과 같이 제3분기부(T3)의 성형을 위해, 소화배관(1)의 가공치수에 따라 기설정된 각도(θ)만큼 중공 유압척(111)을 회전시킨다. 이 경우, 회전제어모터(119)는 서보모터로 실시될 수 있으나, 이에 실시예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센서부(미도시)가 유압척 모듈(110)에 구비되어 중공 유압척(111)의 회전을 검출하여 제어부(70)로 피드백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The rotation control motor 119 rotates the gear unit 117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70, and as will be described later, for the molding of the third branching part T3, the processing size of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Accordingly, the hollow hydraulic chuck 111 is rotated by a preset angle θ. In this case, the rotation control motor 119 may be implemented as a servo motor, but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a sensor unit (not shown) may be provided in the hydraulic chuck module 110 to detect the rotation of the hollow hydraulic chuck 111 and transmit a feedback signal to the control unit 70 .

중공 유압척(111)이 회전되면, 중공 유압척(111)에 파지된 소화배관(1)이 기설정된 각도(θ)만큼 회전된다. 이 경우, 회전제어모터(119)는 소화배관(1)을 기설정된 각도(θ)만큼 회전시켜 가공치수에 따라 분기부(T1, T2, T3)가 형성될 위치에 드릴장치(30), 인발장치(40), 면취장치(50) 중 적어도 하나가 위치되도록 한다.When the hollow hydraulic chuck 111 is rotated,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held by the hollow hydraulic chuck 111 is rotated by a preset angle θ. In this case, the rotation control motor 119 rotates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by a preset angle θ, so that the branch parts T1, T2, T3 are formed according to the processing dimensions. At least one of the device 40, the chamfering device 50 is positioned.

이동제어모듈(20)은 상부 프레임(91)에 구비될 수 있다. 이동제어모듈(20)은 이동다이(10)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동다이(10)는 지지다이(97)로부터 축관장치(60)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다.The movement control module 20 may be provided in the upper frame 91 . The movement control module 20 may move the moving die 10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movable die 10 may be moved between the shaft tube device 60 from the support die 97 .

이동제어모듈(20)은 이동다이(10)를 기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70)는 상술한 소화배관(1)의 가공치수에 따라 이동제어모듈(20)을 제어한다. 제어부(70)는 이동제어모듈(20)을 제어하여, 이동다이(10)를 기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The movement control module 20 may move the moving die 10 to a preset position. The control unit 70 controls the movement control module 20 according to the processing dimensions of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70 may control the movement control module 20 to move the movement die 10 to a preset position.

이에 따라, 이동제어모듈(20)은 소화배관(1)이 파지된 이동다이(10)를 전방의 기설정된 위치로 이동시켜, 가공치수에 따라 분기부(T1, T2, T3)가 형성될 위치에 드릴장치(30), 인발장치(40), 면취장치(50) 중 적어도 하나가 위치되도록 한다.Accordingly, the movement control module 20 moves the moving die 10 in which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is gripp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front, and the branch portions T1, T2, T3 are formed according to the processing dimensions. At least one of the drill device 30, the drawing device 40, and the chamfering device 50 is positioned there.

이동제어모듈(20)의 상세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제어모듈(20)은 상부 프레임(91)에 가이드 레일(92)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구비되는 나사축(220),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저면에 구비되고, 나사축(220)에 관통되어 나사축(220)의 회전 시 베이스 플레이트(120)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너트캡(230), 및 상부 프레임(91)에 구비되고, 나사축(220)을 기설정된 회전수만큼 회전시켜 너트캡(230)을 기설정된 길이만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제어모터(210)을 포함한다.A detailed structure of the movement control module 20 will be described. The movement control module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crew shaft 220 provid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long the guide rail 92 on the upper frame 91, the base plate 120, It is provided in the nut cap 230 penetrating through the screw shaft 220 to move the base plate 120 in the front-rear direction when the screw shaft 220 is rotated, and the upper frame 91, and the screw shaft 220 is mounted on the screw shaft 220 . and a movement control motor 210 for rotating the nut cap 230 by a predetermined number of rotations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by a predetermined length.

나사축(220)은 상부 프레임(91)에 구비된다. 나사축(220)은 가이드 레일(92)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나사축(220)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The screw shaft 220 is provided on the upper frame 91 . The screw shaft 220 may be dispos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along the guide rail 92 . The screw shaft 220 may have a screw thread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너트캡(230)은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저면에 구비된다. 너트캡(230)은 베이스 플레이트(12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너트캡(230)은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중앙에 구비될 수 있다. 너트캡(230)에는 나사축(220)이 관통된다. 너트캡(230)의 내면은 나사축(220)의 외면에 형성된 나사산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The nut cap 230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plate 120 . The nut cap 230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base plate 120 . The nut cap 230 may be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base plate 120 . A screw shaft 220 is passed through the nut cap 230 . The inner surface of the nut cap 230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a screw thread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crew shaft 220 .

나사축(220)과 너트캡(230)은 볼스크류 시스템(ball screw system)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나사축(220)의 회전 시 나사축(220)의 회전 방향에 따라 너트캡(230)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저면에 고정 결합된 너트캡(230)은 나사축(220)이 회전되면 베이스 플레이트(120)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The screw shaft 220 and the nut cap 230 may be configured as a ball screw system. That is, when the screw shaft 220 is rotated, the nut cap 230 may be mov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screw shaft 220 . The nut cap 230 fixedly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plate 120 moves the base plate 120 in the front-rear direction when the screw shaft 220 is rotated.

이동제어모터(210)는 상부 프레임(91)에 구비될 수 있다. 이동제어모터(210)는 나사축(220)에 연결된다. 이동제어모터(210)는 나사축(220)을 기설정된 회전수만큼 회전시킬 수 있다. 나사축(220)이 기설정된 회전수만큼 회전되면 너트캡(230)은 기설정된 길이만큼 전후 방향으로 이동된다.The movement control motor 210 may be provided in the upper frame 91 . The movement control motor 210 is connected to the screw shaft 220 . The movement control motor 210 may rotate the screw shaft 220 by a preset number of rotations. When the screw shaft 220 is rotated by a preset number of revolutions, the nut cap 230 is mov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by a preset length.

이동제어모터(210)는 제어부(70)의 제어신호에 따라 나사축(220)을 기설정된 회전수만큼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회전제어모터(119)는 서보모터로 실시될 수 있으나, 이에 실시예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센서부(미도시)가 이동제어모듈(20)에 구비되어 나사축(220)의 회전을 검출하여 제어부(70)로 피드백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The movement control motor 210 may rotate the screw shaft 220 by a preset number of revolutions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ler 70 . In this case, the rotation control motor 119 may be implemented as a servo motor, but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a sensor unit (not shown) may be provided in the movement control module 20 to detect the rotation of the screw shaft 220 and transmit a feedback signal to the control unit 70 .

이동제어모터(210)는 너트캡(230) 및 너트캡(230)에 고정 결합된 베이스 플레이트(120)를 기설정된 위치로 이동시켜 가공치수에 따라 분기부(T1, T2, T3)가 형성될 위치에 드릴장치(30), 인발장치(40), 면취장치(50) 중 적어도 하나가 위치되도록 한다.The movement control motor 210 moves the nut cap 230 and the base plate 120 fixedly coupled to the nut cap 230 to a preset position so that the branch portions T1, T2, T3 are formed according to the machining dimensions. At least one of the drill device 30, the drawing device 40, and the chamfering device 50 is positioned in the position.

드릴장치(30)는 상부 프레임(91)의 상측에 구비된다. 드릴장치(30)는 소화배관(1)을 향해 하강할 수 있다. 드릴장치(30)는 소화배관(1)에 분기홀을 형성한다. 드릴장치(30)는 제어부(70)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될 수 있다. 이하에서, 소화배관(1)에 분기홀을 형성하는 공정을 드릴공정이라 정의한다. 드릴공정에서는 소화배관(1)의 분기홀을 인발장치(40)가 삽입될 수 있는 직경으로 홀가공한다.The drill device 30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frame 91 . The drill device 30 may descend toward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The drill device 30 forms a branch hole in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The drill device 30 may be operated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70 . Hereinafter, the process of forming a branch hole in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is defined as a drilling process. In the drilling process, the branch hole of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is processed to a diameter into which the drawing device 40 can be inserted.

인발장치(40)는 상부 프레임(91)의 상측에 구비된다. 인발장치(40)는 소화배관(1)을 향해 하강할 수 있다. 인발장치(40)는 도 2를 기준으로 드릴장치(30)의 전방에 구비될 수 있다.The drawing device 40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frame 91 . The drawing device 40 may descend toward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 The drawing device 40 may be provided in front of the drill device 30 with reference to FIG. 2 .

인발장치(40)는 드릴공정 후 드릴장치(30)에 의해 형성된 소화배관(1)의 분기홀을 분기부(T1, T2, T3)로 성형한다. 인발장치(40)는 제어부(70)의 제어신호신호에 따라 작동될 수 있다. 이하에서, 인발장치(40)가 분기홀을 분기부(T1, T2, T3)로 성형하는 공정을 인발공정이라 정의한다. 인발공정의 상세 동작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The drawing device 40 forms the branch holes of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formed by the drilling device 30 into branch parts T1, T2, and T3 after the drilling process. The drawing device 40 may be operated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signal of the control unit 70 . Hereinafter, a process in which the drawing device 40 forms the branch hole into branch portions T1 , T2 , and T3 is defined as a drawing process. The detailed operation of the drawing process will be described later.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발장치(40)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인발장치(40)의 동작도이며,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인발장치(40)의 또 다른 동작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rawing device 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operation diagram of the drawing device 40 shown in FIG. 5, and FIG. 7 is the drawing device 40 shown in FIG. ) is another operation diagram.

인발장치(40)의 상세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발장치(40)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310), 하우징(310) 내부에 구비되는 승하강 실린더(320), 하우징(310)의 저면에 배치되고, 다수개의 금형조각(331)으로 형성되어 직경이 확장 가능하게 구비되는 인발금형(330), 및 일측이 승하강 실린더(320)에 결합되고, 타측이 인발금형(330)의 저면에 배치되는 확장추(340)를 포함한다.A detailed structure of the drawing device 40 will be described. 5 to 7 , the drawing device 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310 forming an external appearance, an elevating cylinder 320 provided inside the housing 310 , and a housing 310 . )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drawing mold 330, which is formed of a plurality of mold pieces 331 and is provided with an expandable diameter, and one side is coupled to the elevating cylinder 320, and the other side is the drawing mold 330. It includes an extension weight 340 disposed on the bottom of the.

하우징(310)은 외관을 형성한다. 하우징(310) 내부에는 각종 제어 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The housing 310 forms an exterior. Various control devices may be provided inside the housing 310 .

승하강 실린더(320)는 하우징(310) 내부에 구비된다. 승하강 실린더(320)는 제어부(70)의 제어신호에 따라 승강되거나 하강될 수 있다. 이 경우, 승하강 실린더(320)는 복동형 유압 실린더로 실시될 수 있다.The elevating cylinder 320 is provided inside the housing 310 . The elevating cylinder 320 may be elevated or lowered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70 . In this case, the elevating cylinder 320 may be implemented as a double-acting hydraulic cylinder.

인발금형(330)은 하우징(310)의 저면에 배치된다. 인발금형(330)은 실시예에 따라 다수개의 금형조각(331)으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인발금형(330)은 4개의 금형조각(331)으로 실시되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인발금형(330)의 개수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drawing mold 330 is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310 . The drawing mold 330 may be implemented with a plurality of mold pieces 331 according to embodiments. In the cas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awing mold 330 is described as being implemented with four mold pieces 331 , but the number of the drawing molds 330 is not limited thereto.

인발금형(330)은 하우징(310)의 저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금형조각(331)이 4개로 형성되는 경우, 각 금형조각(331)은 하우징(310)의 저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각 금형조각(331)이 인발금형(330)의 외주면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각 금형조각(331)이 형성하는 인발금형(330)의 저면의 직경이 확장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The drawing mold 330 is slidably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310 .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four mold pieces 331 are formed, each mold piece 331 may be slidably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310 . In this case, each mold piece 331 is slid in the direc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awing mold 330 , so that the diame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drawing mold 330 formed by each mold piece 331 may be expanded.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인발금형(330)의 하우징(310) 방향 단부에는 슬라이딩돌기(335)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인발금형(330)의 각 금형조각(331)은 하우징(310)의 저면에서 슬라이딩되도록, 하우징(310)의 저면에 삽입된 슬라이딩돌기(335)가 형성될 수 있다. A sliding protrusion 335 may be formed at an end of the drawing mold 330 toward the housing 310 . That is, each mold piece 331 of the drawing mold 330 may be formed with a sliding protrusion 335 inserted into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310 so as to slide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310 .

이 경우, 하우징(310)의 저면에는 슬라이딩돌기(335)가 삽입되는 슬라이딩홈(31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홈(311)의 일측에는 슬라이딩돌기(335)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350)가 구비될 수 있다. 탄성부재(350)는 인발금형(330)의 저면의 직경이 축소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돌기(335)에 탄성력을 제공한다.In this case, a sliding groove 311 into which the sliding protrusion 335 is inserted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310 . In addition, an elastic member 350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the sliding protrusion 335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liding groove 311 . The elastic member 350 provides an elastic force to the sliding protrusion 335 in a direction in which the diame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drawing mold 330 is reduced.

확장추(340)는 일측이 승하강 실린더(320)에 결합된다. 확장추(340)는 인발금형(330)의 중심을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확장추(340)는 타측이 인발금형(330)의 저면에 배치된다. 승하강 실린더(320)가 승강하면, 승하강 실린더(320)가 확장추(340)를 하우징(310) 방향으로 끌어당기고, 승하강 실린더(320)가 하강하면 승하강 실린더(320)가 확장추(340)를 밀어낸다. One side of the expansion weight 340 is coupled to the elevating cylinder 320 . The extension weight 340 may be disposed through the center of the drawing mold 330 . The extension weight 340 has the other side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drawing mold 330 . When the elevating cylinder 320 elevates, the elevating cylinder 320 pulls the extension weight 340 toward the housing 310, and when the elevating cylinder 320 descends, the elevating cylinder 320 moves the extension weight (340) is pushed out.

승하강 실린더(320)가 확장추(340)를 최대한 밀어낸 위치에서는 인발금형(330)의 저면의 직경(D1)이 최소화된다. 즉, 도 6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승하강 실린더(320)가 확장추(340)를 최대한 밀어낸 위치에서는, 도 6의 (b)와 같이 인발금형(330)의 금형조각(331)들이 상호 접촉되게 배치되어 있어, 인발금형(330)의 저면의 직경(D1)이 최소화된다.At the position where the elevating cylinder 320 pushes the expansion weight 340 to the maximum, the diameter D1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drawing mold 330 is minimized. That is, in the position where the elevating cylinder 320 pushes the extension weight 340 to the maximum as shown in FIG. 6(a), the mold piece 331 of the drawing mold 330 as shown in FIG. ) are arranged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diameter D1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drawing mold 330 is minimized.

인발금형(330)의 저면의 직경(D1)이 최소화되면, 이 직경(D1)은 하우징(310) 저면의 직경(D1)과 동일하거나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후술하는 것과 같이, 소화배관(1)에 형성된 분기홀에 인발금형(330)이 삽입되므로, 인발금형(330)의 저면의 직경(D1)은 분기홀의 직경과 동일 또는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When the diameter D1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drawing mold 330 is minimized, the diameter D1 may be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diameter D1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310 . In this case, as will be described later, since the drawing mold 330 is inserted into the branch hole formed in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the diameter D1 of the bottom of the drawing mold 330 is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branch hole. can

승하강 실린더(320)가 확장추(340)를 하우징(310) 방향으로 끌어당기면, 인발금형(330)의 저면의 직경(D2)이 확장된다. 즉, 도 7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승하강 실린더(320)가 확장추(340)를 최대한 끌어당긴 위치에서는, 도 7의 (b)와 같이 인발금형(330)의 금형조각(331)들이 상호 최대한 이격 배치되어, 인발금형(330)의 저면의 직경(D2)이 최대크기로 확장된다.When the elevating cylinder 320 pulls the extension weight 340 toward the housing 310 , the diameter D2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drawing mold 330 is expanded. That is, in the position where the elevating cylinder 320 pulled the extension weight 340 to the maximum as shown in (a) of FIG. 7, the mold piece 331 of the drawing mold 330 as shown in FIG. )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s much as possible, so that the diameter (D2)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drawing mold 330 is extended to the maximum size.

이 경우, 인발금형(330)의 슬라이딩돌기(335)가 슬라이딩홈(311)을 따라 외주면 방향으로 이동되어, 탄성부재(350)를 가압할 수 있다. 가압된 탄성부재(350)는 인발금형(330)의 저면의 직경이 축소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돌기(335)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liding protrusion 335 of the drawing mold 330 may be moved along the sliding groove 311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press the elastic member 350 . The pressed elastic member 350 may provide an elastic force to the sliding protrusion 335 in a direction in which the diame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drawing mold 330 is reduced.

인발금형(330)의 저면의 직경(D2)이 최대크기로 확장되면, 이 직경(D2)은 하우징(310) 저면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후술하는 것과 같이, 분기홀에 삽입된 인발금형(330)이 분기홀의 직경은 확장시키면서 인발해야 하므로, 인발금형(330)의 저면의 직경(D2)은 분기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When the diameter D2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drawing mold 330 is expanded to the maximum size, the diameter D2 may be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310 . In this case, as will be described later, since the drawing mold 330 inserted into the branch hole must be drawn while expanding the diameter of the branch hole, the diameter D2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drawing mold 330 can be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branch hole. have.

확장추(340)의 상세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추(340)는 승하강 실린더(320)에 결합되는 연결부(341) 및 연결부(341)에서 연장 형성되어 단부 방향으로 직경이 확장되게 형성되며, 인발금형(330)의 저면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게 배치되는 확장헤드(343)를 포함한다.A detailed structure of the expansion weight 340 will be described. The extension weight 3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connecting portion 341 and the connecting portion 341 coupled to the elevating cylinder 320 so that the diameter is extended in the end direction, and the drawing mold 330 ) includes an expansion head 343 disposed to be inserted at least in part on the bottom surface.

연결부(341)는 승하강 실린더(320)에 결합된다. 연결부(341)는 인발금형(330)을 중심을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The connection part 341 is coupled to the elevating cylinder 320 . The connection part 341 may be disposed through the center of the drawing mold 330 .

확장헤드(343)는 인발금형(330)의 저면에 배치된다. 확장헤드(343)는 연결부(341)에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확장헤드(343)는 단부 방향으로 직경이 확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확장헤드(343)의 적어도 일부는 인발금형(330)의 저면에 삽입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확장헤드(343)의 단부는 외부로 노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The expansion head 343 is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drawing mold 330 . The extension head 343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the connection part 341 . The expansion head 343 may be formed to have a diameter extending in the end direc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expansion head 343 may be disposed to be inserted into the bottom surface of the drawing mold 330 . In this case, the end of the expansion head 343 may be dispos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인발금형(330)은 외주면에 만곡부(333)가 형성된다. 만곡부(333)는 인발금형(330)의 외주면 중 하우징(310) 측에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하는 것과 같이 만곡부(333)는 인발공정 시 분기홀의 테두리에 접촉되어, 분기홀의 테두리를 인발하면서 분기부(T1, T2, T3)를 형성시킨다.The drawing mold 330 is formed with a curved portion 333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The curved part 333 may be formed on the housing 310 sid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awing mold 330 .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curved portion 333 is in contact with the edge of the branch hole during the drawing process to form the branch portions T1 , T2 , and T3 while drawing the edge of the branch hole.

인발금형(330)의 저면에는 함몰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함몰부에는 확장헤드(343)의 적어도 일부가 안착될 수 있다. 함몰부는 확장헤드(343)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함몰부는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인발금형(330)의 일정 깊이까지만 형성될 수 있다. A depression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drawing mold 330 . At least a portion of the expansion head 343 may be seated in the depression. The depression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expansion head 343 .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6 , the depression may be formed only up to a certain depth of the drawing mold 330 .

확장헤드(343)가 인발금형(330)의 내측으로 인입되면, 인발금형(330)은 외주면 방향으로 직경이 확장된다. 상술한 것과 같이, 승하강 실린더(320)가 연결부(341)를 끌어당기면, 확장헤드(343)가 인발금형(330)의 내측으로 인입된다.When the expansion head 343 is drawn into the drawing mold 330 , the diameter of the drawing mold 330 is expanded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elevating cylinder 320 pulls the connecting portion 341 , the expansion head 343 is drawn into the drawing mold 330 .

확장헤드(343)가 인발금형(330)의 내측으로 인입되면, 확장헤드(343)의 직경(D1)은 단부 방향으로 확장되게 형성되어 있어, 인발금형(330)을 인발금형(330)의 외주면 방향으로 밀어낸다. 이에 따라, 상술한 것과 같이, 인발금형(330)은 외주면 방향으로 직경이 확장된다.When the expansion head 343 is drawn into the drawing mold 330 , the diameter D1 of the expansion head 343 is formed to extend in the end direction, so that the drawing mold 330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awing mold 330 . push in the direction Accordingly, as described above, the diameter of the drawing mold 330 is expanded in the direc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면취장치(50)는 상부 프레임(91)의 상측에 구비된다. 면취장치(50)는 소화배관(1)을 향해 하강할 수 있다. 면취장치(50)는 도 2를 기준으로 인발장치(40)의 전방에 구비될 수 있다.The chamfering device 50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frame (91). The chamfering device 50 may descend toward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The chamfering device 50 may be provided in front of the drawing device 40 with reference to FIG. 2 .

면취장치(50)는 인발공정 후 성형된 소화배관(1)의 분기부(T1, T2, T3)의 표면을 면취한다. 면취장치(50)는 제어부(70)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될 수 있다. 이하에서, 면취장치(50)가 분기부(T1, T2, T3)의 표면을 다듬는 공정을 면취공정이라 정의한다. 면취공정에서는 면취장치(50)가 분기부(T1, T2, T3)의 표면에 형성된 버(burr) 등을 제거하여 평탄면으로 가공한다. 면취공정이 완료되면 분기부(T1, T2, T3)의 성형이 완료된다.The chamfering device 50 chamfers the surfaces of the branch portions (T1, T2, T3) of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formed after the drawing process. The chamfering device 50 may be operated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70 . Hereinafter, a process in which the chamfering device 50 trims the surfaces of the branch portions T1, T2, and T3 is defined as a chamfering process. In the chamfering process, the chamfering device 50 removes burrs etc. formed on the surfaces of the branch portions T1, T2, and T3 to process them into a flat surface. When the chamfering process is completed, the forming of the branch parts T1, T2, and T3 is completed.

축관장치(60)는 상부 프레임(91)의 상측에 구비된다. 축관장치(60)는 도 2를 기준으로 면취장치(50)의 전방에 구비될 수 있다.The shaft pipe device 60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frame 91 . The shaft pipe device 60 may be provided in front of the chamfering device 50 with reference to FIG. 2 .

축관장치(60)는 소화배관(1)의 전단부를 축관한다. 축관장치(60)는 제어부(70)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될 수 있다. 이하에서, 축관장치(60)가 소화배관(1)의 전단부를 축관하는 공정을 축관공정이라 정의한다.The shaft pipe device (60) chunks the front end of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The shaft tube device 60 may be operated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70 . Hereinafter, the process of the shaft pipe device 60 accumulating the front end of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is defined as a shaft pipe proces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관장치(60)는, 소화배관(1)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스(61), 소화배관(1)의 전단부의 직경을 축소시키는 축관기(6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드릴공정에서 면취공정이 종료되면 이동다이(10)가 소화배관(1)을 파지하여 전방으로 이동시켜 축관장치(60)에 위치된다. 이 경우, 지지 프레스(61)는 소화배관(1)을 지지하고, 축관기(63)는 소화배관(1)의 전단부를 축관시킨다. 축관공정이 완료되면,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분기부(T1, T2, T3) 및 축관부(1b)가 형성된 소화배관(1)의 성형이 완료된다.The shaft pipe device 6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upport press 61 for supporting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and a shaft pipe 63 for reducing the diameter of the front end of the fire fighting pipe 1 . ha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hamfering process is completed in the drilling process, the moving die 10 grips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and moves it forward to be located in the shaft pipe device 60 . In this case, the support press 61 supports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 and the accumulator 63 shrouds the front end of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 When the axial pipe process is completed, the molding of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in which the branch parts T1 , T2 , T3 and the axial pipe part 1b are formed as shown in FIG. 1 is completed.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지관이 구비된 소화배관 자동제조장치의 동작도로서, 드릴장치(30)가 작동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지관이 구비된 소화배관 자동제조장치의 동작도로서, 이동다이(10)가 작동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0(a) 내지 도 10(c)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지관이 구비된 소화배관 자동제조장치의 동작도로서, 인발장치(40)가 작동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지관이 구비된 소화배관 자동제조장치의 동작도로서, 면취장치(50)가 작동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지관이 구비된 소화배관 자동제조장치의 동작도로서, 유압척 모듈(110)이 회전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지관이 구비된 소화배관 자동제조장치의 동작도로서, 축관장치(60)가 작동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8 is an operation diagram of an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pipe manufacturing apparatus equipped with a branch pi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operation diagram of an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pipe manufacturing apparatus equipped with a branch pipe, it is a view showing that the moving die 10 operates, and FIGS. 10 (a) to 10 (c) are a branch pi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n operation diagram of the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pipe manufacturing apparatus provided, which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drawing device 40, and FIG. 11 is an operation diagram of the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pipe manufacturing apparatus equipped with a branch pi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diagram showing that the chamfering device 50 operates, FIG. 12 is an operation diagram of an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pipe manufacturing apparatus equipped with a branch pi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hydraulic chuck module 110 rotates. 13 is an operation diagram of an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pipe manufacturing apparatus equipped with a branch pi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axial pipe device 60 .

이하에서, 도 8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지관이 구비된 소화배관 자동제조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n operation of the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pipe manufacturing apparatus provided with a branch pi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to 13 .

먼저, 사용자는 소화배관(1)의 전단부를 이동다이(10)에 배치시키고, 소화배관(1)의 나머지가 지지다이(97)에 지지되도록 배치시킨다. 이때, 사용자는 소화배관(1)의 기준위치(A)가 이동다이(10)에 파지되도록 배치시킨다.First, the user arranges the front end of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on the moving die 10 , and arranges the rest of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to be supported by the support die 97 . At this time, the user arranges the reference position (A) of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to be gripped by the movable die (10).

여기서 기준위치(A)는, 가지관이 구비된 소화배관 자동제조장치에서 소화배관(1)을 가공할 때, 소화배관(1) 가공치수를 기산하는 기산점이 된다. 이 경우, 이동다이(10)의 유압척 모듈(110)에는 소화배관(1)의 기준위치(A)가 결합되는 안내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Here, the reference position (A) is a starting point for calculating the processing dimensions of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when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is processed in the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pipe manufactur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branch pipe. In this case, the hydraulic chuck module 110 of the moving die 10 may be provided with a guide (not shown) to which the reference position A of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is coupled.

사용자가 입력부(80)에 최초 분기부(T1)의 위치, 분기부의 개수, 각 분기부(T1, T2, T3) 사이 간격(L), 각 분기부(T1, T2, T3)가 형성하는 각도(θ) 등 소화배관(1)의 설계치수를 입력하면, 제어부(70)는 소화배관(1)의 가공치수를 설정한다.The user inputs the input unit 80 to the position of the first branching portion T1, the number of branching portions, the interval L between each branching portion T1, T2, and T3, and the angle formed by each branching portion T1, T2, T3. When the design dimensions of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such as (θ) are input, the control unit 70 sets the processing dimensions of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도 1에 도시된 소화배관(1)을 예를 들면, 사용자가 입력부(80)를 통해 최초 분기부(T1)인 제1분기부(T1)의 위치, 각 분기부 사이의 간격(L), 제2분기부(T2)와 제3분기부(T3)가 형성하는 각도(θ) 등 소화배관(1)의 설계치수를 입력하면, 제어부(70)는 입력값에 따라 소화배관(1)의 가공치수를 설정한다. 여기서, 상술한 기준위치(A)를 기준으로 소화배관(1)의 가공치수가 설정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shown in Figure 1, the user through the input unit 80, the first branch (T1), the position of the first branch (T1), the distance between each branch (L), When the design dimensions of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such as the angle θ formed by the second branch T2 and the third branch T3 are input, the control unit 70 controls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according to the input value. Set the machining dimension. Here, the processing dimensions of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may be set based on the above-described reference position (A).

제어부(70)는 유압척 모듈(110)을 제어한다. 제어부(70)는 유압척 모듈(110)에 제어신호를 보내 소화배관(1)을 파지시킨다. 이 경우, 제어부(70)는 유압펌프(112)를 작동시켜, 중공 유압척(111)의 죠(113)가 파지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The control unit 70 controls the hydraulic chuck module 110 . The control unit 70 sends a control signal to the hydraulic chuck module 110 to hold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 In this case, the controller 70 operates the hydraulic pump 112 so that the jaws 113 of the hollow hydraulic chuck 111 perform a gripping operation.

이후, 제어부(70)는 제어신호에 따라 소화배관(1)을 파지한 이동다이(10)를 이동시킨다. 이 경우, 제어부(70)는 이동다이(10)가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이동제어모듈(20)을 제어한다. 제어부(70)는 이동제어모듈(20)을 제어하여, 소화배관(1)을 최초 분기부가 형성되는 기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Thereafter, the control unit 70 moves the moving die 10 holding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70 controls the movement control module 20 so that the movement die 10 is moved forward. The control unit 70 may control the movement control module 20 to move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to a preset position where the first branch is formed.

제어부(70)는 이동제어모듈(20)의 이동제어모터(210)를 제어한다. 이동제어모터(210)는 제어부(70)의 제어신호에 따라 나사축(220)을 기설정된 회전수만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동제어모터(210)는 나사축(220)을 회전시켜 베이스 플레이트(120)를 기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킨다.The control unit 70 controls the movement control motor 210 of the movement control module 20 . The movement control motor 210 may rotate the screw shaft 220 by a preset number of revolutions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ler 70 . The movement control motor 210 rotates the screw shaft 220 to move the base plate 120 to a preset position.

제어부(70)는 소화배관(1)의 가공치수에 따라 분기부(T1, T2, T3)가 형성될 위치에 드릴장치(30)가 위치되도록 이동제어모터(210)를 제어하여 최종적으로 이동다이(10)를 이동시킨다.The control unit 70 controls the movement control motor 210 so that the drill device 30 is positioned at the position where the branch portions T1, T2, and T3 are to be formed according to the processing dimensions of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to finally move the die. (10) is moved.

제어부(70)는 이동다이(10)가 소화배관(1)을 파지하여 이동시킬 때, 지지다이(97)를 제어할 수 있다. 지지다이(97)는 실시예에 따라, 소화배관(1)이 이동다이(10)에 파지되어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제어부(70)의 제어신호에 따라 소화배관(1)을 파지(clamping)하거나 파지를 해제(unclamping)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The controller 70 may control the support die 97 when the moving die 10 grips and moves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 The support die 97 clamps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70 so that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is gripped by the moving die 10 and mov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 or to unclamping.

소화배관(1)이 이동다이(10)에 의해 최초 분기부(T1)가 형성될 기설정된 위치에 이동되면 드릴공정이 실시된다. 도 8을 참조하면, 드릴공정에서 드릴장치(30)가 소화배관(1)으로 하강한다. 드릴장치(30)는 제어부(70)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된다. 드릴장치(30)는 소화배관(1)의 가공치수에 따른 가공위치에서 분기홀을 형성시킨다. 드릴장치(30)는 인발장치(40)가 삽입될 수 있는 직경으로 분기홀을 가공한다. 분기홀의 가공이 완료되면 드릴장치(30)는 초기위치로 상승할 수 있다.When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is moved to a preset position where the first branch portion T1 is to be formed by the moving die 10, the drilling process is performed. Referring to FIG. 8 , the drill device 30 descends into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in the drilling process. The drill device 30 is operated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70 . The drilling device 30 forms a branch hole at a machining position according to the machining size of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The drill device 30 processes the branch hole to a diameter into which the drawing device 40 can be inserted. When the processing of the branch hole is completed, the drill device 30 may rise to the initial position.

드릴공정이 완료되면, 제어부(70)는 다시 이동제어모듈(20)의 이동제어모터(210)를 제어한다. 이동다이(10)는 도 9와 같이 전방으로 이동하여, 분기홀을 인발장치(40)에 위치시킨다. 인발장치(40)는 드릴공정 후 드릴장치(30)에 의해 형성된 소화배관(1)의 분기홀을 분기부로 성형한다.When the drilling process is completed, the control unit 70 controls the movement control motor 210 of the movement control module 20 again. The moving die 10 moves forward as shown in FIG. 9 to position the branch hole in the drawing device 40 . The drawing device 40 forms the branch hole of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formed by the drill device 30 into a branch after the drilling process.

인발장치(40)는 제어부(70)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될 수 있다. 인발공정에서, 제어부(70)의 제어신호에 의해 지지 가이드(93)가 작동한다. 지지 가이드(93)는 소화배관(1)을 지지한다. 이 경우, 지지 가이드(93)는 분기홀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지지 가이드(93)는 인발공정에서 소화배관(1)을 지지하여, 인발가공 시 소화배관(1)이 이탈되거나 위치가 틀어지지 않게 한다.The drawing device 40 may be operated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70 . In the drawing process, the support guide 93 operates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ler 70 . The support guide 93 supports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 In this case, the support guide 93 may be locat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branch hole, respectively. The support guide 93 supports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in the drawing process, and prevents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from being separated or displaced during the drawing process.

인발공정에서, 도 10(a)와 같이, 인발장치(40)가 제어신호에 따라 소화배관(1)으로 하강하여 분기홀에 삽입된다. 상술한 것과 같이, 승하강 실린더(320)가 확장추(340)를 최대한 밀어낸 위치로 배치된다. 즉, 도 6의 (a)와 같이 인발금형(330)의 저면의 직경(D1)이 최소화된 상태로 분기홀에 삽입된다.In the drawing process, as shown in Fig. 10 (a), the drawing device 40 descends into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and is inserted into the branch hole. As described above, the elevating cylinder 320 is disposed in a position in which the expansion weight 340 is pushed to the maximum. That is, as shown in (a) of FIG. 6 , the diameter D1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drawing mold 330 is minimized and inserted into the branch hole.

이후, 도 10(b)와 같이, 인발금형(330)이 확장된다. 상술한 것과 같이, 제어신호에 따라 승하강 실린더(320)가 확장추(340)를 끌어당긴다. 승하강 실린더(320)가 확장추(340)를 끌어당기면, 확장헤드(343)가 인발금형(330)의 내측으로 인입된다.Then, as shown in Figure 10 (b), the drawing mold 330 is expanded. As described above, the elevating cylinder 320 pulls the expansion weight 340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When the elevating cylinder 320 pulls the expansion weight 340 , the expansion head 343 is drawn into the drawing mold 330 .

이 경우, 인발금형(330)은 상술한 것과 같이 외주면 방향으로 직경(D2)이 확장된다. 즉, 도 7의 (a)와 같이 인발금형(330)의 금형조각(331)들이 상호 최대한 이격 배치되어, 분기홀 내에서 인발금형(330)의 저면의 직경(D2)이 최대크기로 확장된다.In this case, the diameter (D2) of the drawing mold 330 is expanded in the direc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s described above. That is, the mold pieces 331 of the drawing mold 330 are spaced apart as much as possible from each other as shown in FIG. .

이후, 도 10(c)와 같이, 저면의 직경(D2)이 확장된 인발금형(330)이 분기홀에서 인발된다. 분기홀에서 인발금형(330)이 인발될 때, 인발금형(330)의 외주면에 형성된 만곡부(333)에 분기홀의 테두리가 접촉된다. 이 경우, 확장헤드(343)는 함몰부에 배치되어, 금형조각(331)들이 내측으로 다시 슬라이딩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Then, as shown in FIG. 10( c ), the drawing mold 330 having the diameter D2 of the bottom surface is drawn out from the branch hole. When the drawing mold 330 is drawn from the branch hole, the edge of the branch hole is in contact with the curved portion 333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awing mold 330 . In this case, the expansion head 343 may be disposed in the recessed portion to support the mold pieces 331 from sliding inward again.

만곡부(333)는 인발장치(40)가 상승함에 따라 분기홀의 테두리를 인발하여 상측으로 돌출된 분기부로 성형시킨다. 인발장치(40)가 소화배관(1)으로부터 완전히 이탈되어 분기부의 성형이 완료되면, 인발장치(40)는 초기위치로 상승할 수 있다.The curved part 333 draws out the edge of the branch hole as the drawing device 40 rises, and is formed into a branch part protruding upward. When the drawing device 40 is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and the forming of the branch is completed, the drawing device 40 may rise to the initial position.

이 경우, 종래기술에 따른 인발공정은 작업자가 분기홀에 인발금형을 수작업으로 위치시키고 결합시킨 후 인발하므로 생산속도가 크게 저하되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인발공정에서는 인발금형을 수작업으로 결합할 필요가 없이 인발장치(40)가 상술한 것과 같이 자동으로 작동하여 분기홀을 형성시키므로 생산속도가 크게 향상된다.In this case, in the draw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production speed is greatly reduced because the worker manually places the drawing mold in the branch hole and draws it after coupling. Without the drawing device 40, as described above, it automatically operates to form a branch hole, so the production speed is greatly improved.

다시, 제어부(70)는 이동제어모듈(20)의 이동제어모터(210)를 제어한다. 이동다이(10)는 도 11과 같이 전방으로 이동되어, 분기부를 면취장치(50)에 위치시킨다.Again, the control unit 70 controls the movement control motor 210 of the movement control module 20 . The moving die 10 is moved forward as shown in FIG. 11 , to position the branch in the chamfering device 50 .

면취장치(50)는 제어부(70)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된다. 면취공정에서 면취장치(50)가 소화배관(1)으로 하강하여 소화배관(1)의 분기부의 표면을 면취한다. 면취장치(50)는 분기부의 표면에 형성된 버(burr) 등을 제거하여 평탄면으로 가공한다. 면취공정이 완료되면 하나의 분기부의 성형이 완료된다.The chamfering device 50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70 . In the chamfering process, the chamfering device 50 descends to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to chamfer the surface of the branch of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 The chamfering device 50 removes the burr etc.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branch and processes it into a flat surface. When the chamfering process is completed, molding of one branch is completed.

제어부(70)는 설정된 소화배관(1)의 가공치수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소화배관(1)에 도시된 제1분기부(T1) 및 제2분기부(T2)를 순차적으로 가공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설정된 소화배관(1)의 가공치수에 따라 유압펌프(112), 이동제어모터(210), 승하강 실린더(320), 드릴장치(30), 인발장치(40) 등을 제어하여, 제1분기부(T1) 및 제2분기부(T2)를 자동으로 성형한다.The control unit 70 may sequentially process the first branching part T1 and the second branching part T2 shown in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shown in FIG. 1 according to the set processing dimensions of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 have. The control unit 70 controls the hydraulic pump 112, the movement control motor 210, the elevating cylinder 320, the drill device 30, the drawing device 40, etc. according to the set processing dimensions of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Thus, the first branching portion T1 and the second branching portion T2 are automatically formed.

이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부(80)를 통해 한번에 소화배관(1)의 설계치수를 입력하면 제어부(70)가 가공치수를 설정한 후 소화배관(1)을 자동으로 드릴공정 내지 면취공정까지 수행시켜 분기부를 성형하므로, 기존의 수작업 대비 생산속도가 현저하게 향상된다.Accordingly, when the user inputs the design dimensions of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at once through the input unit 80, the control unit 70 sets the processing dimensions and then automatically performs the drilling process or the chamfering process for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Since the branch is formed, the production speed is remarkably improved compared to the existing manual operation.

또한, 본 발명의 가지관이 구비된 소화배관 자동제조장치는 제3분기부(T3)를 자동으로 성형할 수 있다. 입력부(80)에 제2분기부(T2)와 제3분기부(T3)가 형성하는 각도(θ)가 입력되면, 제3분기부(T3)가 형성되도록 제어부(70)는 소화배관(1)을 회전시킨다.In addition, the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pipe manufactur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branch pip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utomatically mold the third branch portion (T3). When the angle θ formed by the second branching part T2 and the third branching part T3 is input to the input part 80 , the controller 70 controls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so that the third branching part T3 is formed. ) is rotated.

이 경우, 상술한 것과 같이, 제어부(70)는 회전제어모터(119)를 회전시킨다. 제어신호를 받은 회전제어모터(119)는 기어부(117)를 회전시켜, 소화배관(1)의 가공치수에 따라 기설정된 각도(θ)만큼 중공 유압척(111)을 회전시킨다.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70 rotates the rotation control motor 119 . The rotation control motor 119 receiving the control signal rotates the gear unit 117 to rotate the hollow hydraulic chuck 111 by a preset angle θ according to the processing dimensions of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

중공 유압척(111)이 회전되면, 중공 유압척(111)에 파지된 소화배관(1)이 기설정된 각도(θ)만큼 회전된다. 이 경우, 회전제어모터(119)는 소화배관(1)을 기설정된 각도(θ)만큼 회전시켜 분기홀이 형성될 위치(B)에 드릴장치(30)가 홀가공 할 수 있도록 한다.When the hollow hydraulic chuck 111 is rotated,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held by the hollow hydraulic chuck 111 is rotated by a preset angle θ. In this case, the rotation control motor 119 rotates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by a preset angle θ so that the drill device 30 can process a hole at the position B where the branch hole is to be formed.

즉, 제2분기부(T2)와 제3분기부(T3)가 형성하는 각도(θ)가 예를 들어 90°인 경우, 사용자가 이를 소화배관(1)의 설계치수로 입력한다. 도 11 내지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분기홀이 형성될 위치(B)가 소화배관의 상면을 기준으로 90° 위치에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70)는 설정된 가공치수에 따라 회전제어모터(119)를 회전시켜 기어부(117)를 회전시키고, 기어부(117)에 연결된 중공 유압척(111)이 기설정된 각도(θ)인 90°만큼 회전되도록 한다. 소화배관(1)은 기설정된 각도(θ)인 90°만큼 중공 유압척(111)에 의해 회전되어, 분기홀이 형성될 위치(B)에 드릴장치(30)가 접촉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when the angle θ formed by the second branching portion T2 and the third branching portion T3 is, for example, 90°, the user inputs this as the design dimension of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 11 to 12, when the position (B) where the branch hole is to be formed is at a position of 90°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e extinguishing pipe, the control unit 70 controls the rotation control motor ( 119) is rotated to rotate the gear unit 117, and the hollow hydraulic chuck 111 connected to the gear unit 117 is rotated by 90°, which is a preset angle (θ).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is rotated by the hollow hydraulic chuck 111 by 90°, which is a preset angle θ, so that the drill device 30 can contact the position B where the branch hole is to be formed.

이후, 드릴장치(30), 인발장치(40), 면취장치(50)는 제어부(7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술한 드릴공정 내지 면취공정을 수행하여 제2분기부(T2)와 소정 각도(θ)를 형성하는 위치에 제3분기부(T3)를 자동으로 성형하게 된다.Thereafter, the drill device 30, the drawing device 40, and the chamfering device 50 perform the above-described drilling process or chamfering process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70 to form the second branching part T2 and a predetermined angle ( The third branch portion T3 is automatically formed at a position where θ) is formed.

이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부(80)를 통해 한번에 소화배관(1)의 설계치수를 입력하면 제1분기부(T1) 또는 제2분기부(T2)와 소정각도(θ)를 형성하는 제3분기부(T3)를 자동으로 성형하므로, 휴면에러가 제거되고 생산속도가 현저하게 향상된다.Accordingly, when the user inputs the design dimensions of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at once through the input unit 80, the third minute forming a predetermined angle θ with the first branching part T1 or the second branching part T2 Since the base T3 is automatically molded, the dormancy error is eliminated and the production speed is remarkably improved.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제1분기부(T1), 제2분기부(T2), 제3분기부(T3)의 순서는 임의적인 것으로, 기준위치(A)를 기준으로 소정각도(θ)가 형성된 분기부가 최초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중간에 형성될 수도 있다.Here, the order of the first branching part T1, the second branching part T2, and the third branching part T3 shown in FIG. 1 is arbitrary, and a predetermined angle θ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position A The branch in which is formed may be formed first, or may be formed in the middle.

제어부(70)는 제1분기부(T1) 내지 제3분기부(T3)의 가공이 완료된 후, 축관공정을 위해 이동제모듈의 이동제어모터(210)를 제어한다. 제어부(70)는 이동다이(10)를 이동시켜 축관부(1b)가 형성될 소화배관(1)의 전단부를 축관장치(60)로 배치시킨다.The control unit 70 controls the movement control motor 210 of the moving agent module for the shaft pipe process after the processing of the first branching part T1 to the third branching part T3 is completed. The control unit 70 moves the moving die 10 to arrange the front end of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on which the shaft pipe part 1b is to be formed as the shaft pipe device 60 .

제어부(70)는 지지 프레스(61)를 제어하여, 소화배관(1)의 전단부를 파지한다. 이 경우, 제어부(70)는 유압척 모듈(110)을 제어하여 죠(113)가 소화배관(1)을 파지하여, 소화배관(1)이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한다.The control unit 70 controls the support press 61 to grip the front end of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70 controls the hydraulic chuck module 110 so that the jaw 113 grips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so that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is firmly supported.

지지 프레스(61)가 소화배관(1)을 파지하면, 제어부(70)는 축관기(63)를 작동시킨다. 축관기(63)는 소화배관(1)의 전단부를 내부로 인입시키면서, 소화배관(1)의 전단부 직경(D1)을 축소시킨다. 축관공정이 완료되면,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분기부(T1, T2, T3) 및 축관부(1b)가 형성된 소화배관(1)의 성형이 완료된다.When the support press 61 grips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 the control unit 70 operates the accumulator 63 . The accumulator 63 reduces the diameter D1 of the front end of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while drawing the front end of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to the inside. When the axial pipe process is completed, the molding of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in which the branch parts T1 , T2 , T3 and the axial pipe part 1b are formed as shown in FIG. 1 is completed.

이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부(80)를 통해 한번에 소화배관(1)의 설계치수를 입력하면 제어부(70)가 가공치수를 설정한 후 소화배관(1)을 자동으로 드릴공정 내지 면취공정까지 수행시켜 제1분기부(T1) 내지 제3분기부(T3) 및 축관부(1b)를 성형하므로, 기존의 수작업 대비 생산속도가 현저하게 향상된다.Accordingly, when the user inputs the design dimensions of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at once through the input unit 80, the control unit 70 sets the processing dimensions and then automatically performs the drilling process or the chamfering process for the fire extinguishing pipe 1 Since the first branching portion (T1) to the third branching portion (T3) and the shaft tube portion (1b) are molded, the production speed is remarkably improv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anual operation.

이하, 도 14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가지관이 구비된 소화배관 자동제조장치가 분기부(T1, T2, T3)에 자동으로 가지관(BR)을 용접시키는 것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utomatic welding of the branch pipe BR to the branch portions T1, T2, and T3 by the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pipe manufactur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branch pip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4 to 19 .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장치(400)를 포함하는 가지관이 구비된 소화배관 자동제조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장치(400)의 개략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지션 모듈(420)의 동작도이고, 도 17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모듈(430)의 동작도이며,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가지관(BR)이 구비된 소화배관의 사시도이다.14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pipe manufacturing apparatus equipped with a branch pipe including a welding device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5 is a welding device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n operation diagram of the position module 4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17 to 18 are operation diagrams of the welding module 4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9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e extinguishing pipe equipped with a branch pipe (BR) manufactu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지관이 구비된 소화배관 자동제조장치는, 면취장치(50)의 전방에 구비되고, 분기부(T1, T2, T3)로 공급된 가지관(BR)을 분기부(T1, T2, T3)에 용접시키는 용접장치(400)를 포함한다.14 to 19, the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pipe manufacturing apparatus provided with a branch pi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front of the chamfering device 50, and is divided into branch parts T1, T2, T3. It includes a welding device 400 for welding the supplied branch pipe (BR) to the branch (T1, T2, T3).

용접장치(400)는 면취장치(50)의 전방에 구비된다. 여기서, 면취공정이 완료된 분기부(T1, T2, T3)는 표면이 평탄하게 가공된 상태이다. 이때, 분기부(T1, T2, T3)로 가지관(BR)이 공급된다. 가지관(BR)은 실시예에 따라 로딩장치(미도시)에 의해 자동으로 공급되거나, 사용자가 수동으로 공급할 수 있다. 로딩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공급되는 경우, 사용자가 기입력한 소화배관의 설계치수에 따라 로딩장치가 해당 분기부(T1, T2, T3)의 직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가지관(BR)을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다.The welding device 400 is provided in front of the chamfering device 50 . Here, the branch portions T1 , T2 , and T3 on which the chamfering process is completed are in a state in which the surface is processed flat. At this time, the branch pipe BR is supplied to the branch parts T1 , T2 , and T3 . The branch pipe BR may be automatically supplied by a loading device (not shown) or manually supplied by a user, depending on the embodiment. When automatically supplied by the loading device, the loading device automatically cuts the branch pipe (BR) having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corresponding branch (T1, T2, T3) according to the design dimensions of the fire extinguishing pipe entered by the user. can be supplied with

이때, 가지관(BR)은 분기부(T1, T2, T3)에 접촉되게 배치된다. 용접장치(400)는 분기부(T1, T2, T3)로 공급된 가지관(BR)을 분기부(T1, T2, T3)에 자동으로 용접시킨다. 이에 따라, 가지관(BR)이 분기부(T1, T2, T3)에 자동으로 용접되어, 가지관(BR)이 구비된 소화배관의 생산속도가 현저하게 증가된다.At this time, the branch pipe BR is disposed to be in contact with the branch portions T1 , T2 , and T3 . The welding apparatus 400 automatically welds the branch pipe BR supplied to the branch portions T1, T2, and T3 to the branch portions T1, T2, and T3. Accordingly, the branch pipe (BR) is automatically welded to the branch parts (T1, T2, T3), the production speed of the fire extinguishing pipe provided with the branch pipe (BR) is remarkably increased.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장치(400)는, 외관을 형성하는 프레임부(410), 프레임부(410)에 구비되고 가지관(BR)을 가압하여 분기부(T1, T2, T3)에 정위치시키는 포지션 모듈(420), 및 프레임부(410)에 구비되고 분기부(T1, T2, T3)와 가지관(BR)이 형성하는 접합부(W)를 용접하여 가지관(BR)을 분기부(T1, T2, T3)에 용접시키는 용접 모듈(430)을 포함한다.Here, the welding apparatus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the frame part 410 and the frame part 410 forming the exterior and presses the branch pipe BR to form the branch parts T1, T2, The branch pipe BR is provided in the position module 420 positioned at T3, and the frame part 410 and welded to the junction W formed by the branch parts T1, T2, T3 and the branch pipe BR. ) includes a welding module 430 for welding the branch portions (T1, T2, T3).

프레임부(410)는 외관을 형성한다. 프레임부(410)는 상부 프레임(91)에 구비되거나 지면에 지지될 수 있으나, 이에 실시예가 한정되지 않는다.The frame portion 410 forms an exterior. The frame part 410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frame 91 or supported on the ground, but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부(410)는, 외관을 형성하는 메인바디(411), 메인바디(411)의 상부에 수평하게 구비되는 어퍼 플레이트(413), 및 어퍼 플레이트(413)에 구비되고, 중공이 형성되는 중공 로드(415)를 포함한다.Here, the frame part 4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411 forming an exterior, an upper plate 413 horizontally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411 , and an upper plate 413 . ), and includes a hollow rod 415 in which a hollow is formed.

메인바디(411)는 외관을 형성한다. 메인바디(411)는 상부 프레임(91)에 지지되거나 지면에 지지될 수 있으나, 이에 실시예가 한정되지 않는다. The main body 411 forms an exterior. The main body 411 may be supported on the upper frame 91 or may be supported on the ground, but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어퍼 플레이트(413)는 메인바디(411)에 구비된다. 어퍼 플레이트(413)는 메인바디(411)의 상부에 수평하게 구비될 수 있다. 어퍼 플레이트(413)는 상부 프레임(91)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The upper plate 413 is provided on the main body 411 . The upper plate 413 may be provided horizontally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411 . The upper plate 413 may be located on the upper frame 91 .

중공 로드(415)는 어퍼 플레이트(413)에 구비된다. 중공 로드(415)는 어퍼 플레이트(413)에 고정된다. 중공 로드(415)는 어퍼 플레이트(413)의 하부에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중공 로드(415)는 상부 프레임(91)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후술하는 것과 같이, 이동다이(10)가 중공 로드(415)의 하부로 이동될 수 있다. 중공 로드(415)에는 중공(hollow)이 형성된다. 중공에는 후술하는 포지션 샤프트(421)가 삽입될 수 있다.The hollow rod 415 is provided on the upper plate 413 . The hollow rod 415 is fixed to the upper plate 413 . The hollow rod 415 may be provided to protrude under the upper plate 413 . The hollow rod 415 may be disposed toward the upper frame 91 . In this case,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moving die 10 may be mov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ollow rod 415 . The hollow rod 415 is formed with a hollow (hollow). A position shaft 421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inserted into the hollow.

포지션 모듈(420)은 프레임부(410)에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포지션 모듈(420)은 어퍼 플레이트(413)에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실시예가 한정되지 않는다. The position module 420 is provided in the frame part 410 . In the cas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module 420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plate 413, but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포지션 모듈(420)은 분기부(T1, T2, T3)에 공급된 가지관(BR)을 가압할 수 있다. 이때, 포지션 모듈(420)은 후술하는 것과 같이, 가지관(BR)의 단부에 삽입되어, 가지관(BR)에 접촉될 수 있다. 포지션 모듈(420)이 가지관(BR)에 접촉되면, 포지션 모듈(420)은 가지관(BR)을 가압한다.The position module 420 may press the branch pipe BR supplied to the branch parts T1 , T2 , and T3 . In this case, the position module 420 may be inserted into the end of the branch tube BR to be in contact with the branch tube BR, as will be described later. When the position module 420 contacts the branch pipe BR, the position module 420 presses the branch pipe BR.

이 경우, 포지션 모듈(420)은 가지관(BR)을 분기부(T1, T2, T3)에 정위치시킨다. 여기서, 정위치는 표면이 면취된 분기부(T1, T2, T3)에 가지관(BR)이 단면이 접촉되고, 가지관(BR)과 분기부(T1, T2, T3)의 중심선이 일치되는 것을 가리킨다. 이때, 분기부(T1, T2, T3)와 가지관(BR)이 접합된 면은 접합부(W)를 형성한다.In this case, the position module 420 places the branch pipe BR at the branch portions T1, T2, and T3. Here, the correct position is that the branch pipe BR is in contact with the cross section of the branch parts T1, T2, and T3 whose surfaces are chamfered, and the center line of the branch pipe BR and the branch parts T1, T2, T3 coincides with each other. refers to In this case, the surface where the branch portions T1 , T2 , and T3 are joined to the branch tube BR forms the joint portion W.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지션 모듈(420)은 중공 로드(415)에 삽입되어 중공을 따라 슬라이딩되고, 가지관(BR)에 접촉되는 포지션 샤프트(421), 및 어퍼 플레이트(413)에 구비되고, 포지션 샤프트(421)에 결합되어, 포지션 샤프트(421)를 승하강시키는 포지션 피스톤(423)을 포함한다.Here, the position module 4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the hollow rod 415 and slid along the hollow, the position shaft 421 in contact with the branch pipe BR, and the upper plate 413 ) It is provided in, coupled to the position shaft 421, and includes a position piston 423 for elevating the position shaft 421.

포지션 샤프트(421)는 중공 로드(415)에 삽입된다. 포지션 샤프트(421)는 중공을 관통한다. 포지션 샤프트(421)는 중공을 따라 슬라이딩된다. 포지션 샤프트(421)는 가지관(BR)에 접촉된다. 포지션 샤프트(421)가 중공을 따라 하강하여, 가지관(BR)에 접촉될 수 있다.The position shaft 421 is inserted into the hollow rod 415 . The position shaft 421 passes through the hollow. The position shaft 421 slides along the hollow. The position shaft 421 is in contact with the branch pipe BR. The position shaft 421 may descend along the hollow to contact the branch pipe BR.

포지션 피스톤(423)은 어퍼 플레이트(413)에 구비된다. 포지션 피스톤(423)은 어퍼 플레이트(413)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포지션 피스톤(423)은 포지션 샤프트(421)에 결합될 수 있다.The position piston 423 is provided on the upper plate 413 . The position piston 423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upper plate 413 . Also, the position piston 423 may be coupled to the position shaft 421 .

포지션 피스톤(423)은 포지션 샤프트(421)를 승하강시킨다. 포지션 피스톤(423)은 중공을 따라 포지션 샤프트(421)를 승하강시킨다. 포지션 피스톤(423)은 제어부(70)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될 수 있다. The position piston 423 elevates the position shaft 421 . The position piston 423 elevates the position shaft 421 along the hollow. The position piston 423 may be operated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7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지션 피스톤(423)은 어퍼 플레이트(413)의 상부에 구비되는 포지션 실린더(4231), 및 포지션 실린더(4231)에 결합되어 중공을 따라 승하강되는 포지션 로드(42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포지션 로드(4232)에 포지션 샤프트(421)가 결합된다. 또한, 포지션 실린더(4231)의 하부에는 포지션 로드(4232)와 어퍼 플레이트(413)의 이격 공간을 채우며, 포지션 로드(4232)의 승하강 시 중심축을 유지시키는 포지션 피스톤 부시(425)가 구비될 수 있다. The position piston 42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position cylinder 4231 provided on the upper plate 413, and the position cylinder 4231 to elevate and descend along the hollow position rod 4232) may include. In this case, the position shaft 421 is coupled to the position rod 4232 . In addition, a position piston bush 425 that fills the space between the position rod 4232 and the upper plate 413 at the lower portion of the position cylinder 4231 and maintains the central axis when the position rod 4232 is raised and lowered may be provided. have.

포지션 샤프트(421)는 단부에 테이퍼부(421a)가 형성될 수 있다. 테이퍼부(421a)는 가지관(BR)의 개구부에 삽입된다. 테이퍼부(421a)가 가지관(BR)의 개구부에 삽입되면, 테이퍼부(421a)가 가지관(BR)의 내면에 접촉될 수 있다. The position shaft 421 may have a tapered portion 421a formed at an end thereof. The tapered portion 421a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of the branch tube BR. When the tapered portion 421a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of the branch tube BR, the tapered portion 421a may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branch tube BR.

이때, 테이퍼부(421a)는 서로 다른 가지관(BR)의 개구부의 직경에 대응될 수 있다. 즉, 분기부(T1, T2, T3)의 직경이 상이하여, 각 분기부(T1, T2, T3)의 직경에 대응되는 가지관(BR)이 분기부(T1, T2, T3)로 공급될 경우, 포지션 샤프트(421)에 위치하는 가지관(BR)의 직경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tapered portion 421a may correspond to different diameters of the openings of the branch tubes BR. That is, since the diameters of the branch portions T1, T2, and T3 are different, the branch pipe BR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each branch portion T1, T2, T3 is supplied to the branch portions T1, T2, and T3. In this case, the diameters of the branch pipes BR positioned on the position shaft 421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여기서, 테이퍼부(421a)의 직경이 선형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하므로, 테이퍼부(421a)가 가지관(BR)의 개구부에 삽입될 때,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가지관(BR)의 개구부에 대응되어 접촉될 수 있으므로, 테이퍼부(421a)가 가지관(BR)을 분기부(T1, T2, T3)에 정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Here, since the diameter of the tapered portion 421a increases or decreases linearly, when the tapered portion 421a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of the branch tube BR, it corresponds to the opening of the branch tube BR having different diameters. Since it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he tapered portion 421a can position the branch tube BR to the branch portions T1, T2, and T3.

용접 모듈(430)은 프레임부(410)에 구비된다. 용접 모듈(430)은 분기부(T1, T2, T3)와 가지관(BR)이 형성하는 접합부(W)를 용접하여, 가지관(BR)을 분기부(T1, T2, T3)에 용접시킨다. 이 경우, 제어부(70)는 용접 모듈(430)을 제어하여, 분기부(T1, T2, T3)에 가지관(BR)이 정위치된 후 용접 모듈(430)을 작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분기부(T1, T2, T3)에 정확하게 가지관(BR)이 정위치된 상태에서 자동으로 접합부(W)가 용접되므로, 생산속도가 향상되고, 가지관(BR)과 분기부(T1, T2, T3)의 중심선이 일치하여 제조품질이 개선될 수 있다.The welding module 430 is provided in the frame part 410 . The welding module 430 welds the junction W formed by the branch portions T1 , T2 , and T3 and the branch pipe BR to weld the branch pipe BR to the branch portions T1 , T2 , and T3 . . In this case, the controller 70 may control the welding module 430 to operate the welding module 430 after the branch pipe BR is positioned at the branch portions T1 , T2 , and T3 . Accordingly, since the joint portion W is automatically welded in the state where the branch tube BR is accurately positioned at the branch portions T1, T2, and T3, the production speed is improved, and the branch tube BR and the branch portion ( The center lines of T1, T2, and T3) coincide, so that the manufacturing quality can be improved.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모듈(430)은, 중공 로드(415)에 관통되고, 중공 로드(415)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용접 플레이트(431), 중공 로드(415)에 관통되고 용접 플레이트(431)에 결합되는 중공 모터(432), 중공 로드(415)에 관통되고 중공 모터(432)에 결합되어, 중공 모터(432)에 의해 중공 로드(415)에 상대 회전되는 용접 바디(434), 용접 바디(434)에 구비되어 용접 바디(434)와 함께 회전되는 용접 토치(436), 어퍼 플레이트(413)에 구비되어 용접 플레이트(431)를 승하강시키는 용접 피스톤(437)을 포함한다.Here, the welding module 4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netrates through the hollow rod 415 , the welding plate 431 slidably coupled to the hollow rod 415 , penetrates through the hollow rod 415 . and a hollow motor 432 coupled to the welding plate 431 , penetrated through the hollow rod 415 and coupled to the hollow motor 432 , the welding body rotated relative to the hollow rod 415 by the hollow motor 432 . (434), a welding torch 436 provided in the welding body 434 to rotate together with the welding body 434, a welding piston 437 provided in the upper plate 413 to raise and lower the welding plate 431 include

용접 플레이트(431)는 상부 프레임(91)에 수평하게 위치될 수 있다. 용접 플레이트(431)는 어퍼 플레이트(413)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용접 플레이트(431)는 중공 로드(415)에 관통될 수 있다. 이 경우, 용접 플레이트(431)는 중공 로드(415)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The welding plate 431 may be positioned horizontally on the upper frame 91 . The welding plate 431 may be disposed parallel to the upper plate 413 . The welding plate 431 may pass through the hollow rod 415 . In this case, the welding plate 431 may be slidably provided on the hollow rod 415 .

중공 모터(432)는 용접 플레이트(431)에 결합된다. 중공 모터(432)는 중공 로드(415)에 관통된다. 이 경우, 중공 모터(432)에는 중공 로드(415)가 관통되는 중공이 형성된다.The hollow motor 432 is coupled to the welding plate 431 . The hollow motor 432 is passed through the hollow rod 415 . In this case, a hollow through which the hollow rod 415 passes is formed in the hollow motor 432 .

중공 모터(432)는 다이렉트 드라이브 모터(DD 모터)로 실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중공 모터(432)는 용접 플레이트(431)에 고정되는 스테이터(4321), 스테이터(4321)에 상대 회전되고 중공이 형성되어 중공 로드(415)가 관통하는 중공 로터(4322)로 실시될 수 있다. 이때, 중공 로드(415)와 중공 로터(4322) 사이에는 중공 로터(4322)가 중공 로드(415)에 대해 용이하게 상대 회전될 수 있도록 윤활기능을 제공하는 중공 모터 부시(433)가 구비될 수 있다. The hollow motor 432 may be implemented as a direct drive motor (DD motor). In this case, the hollow motor 432 is a stator 4321 fixed to the welding plate 431, is rotated relative to the stator 4321 and a hollow is formed to be implemented as a hollow rotor 4322 through which the hollow rod 415 passes. can At this time, between the hollow rod 415 and the hollow rotor 4322, a hollow motor bush 433 providing a lubrication function so that the hollow rotor 4322 can be easily rotated relative to the hollow rod 415 may be provided. have.

용접 바디(434)는 중공 모터(432)에 결합된다. 용접 바디(434)는 중공 로드(415)에 관통된다. 이 경우, 용접 바디(434)에는 중공 로드(415)가 관통되는 중공이 형성된다. 이때, 용접 바디(434)와 중공 로드(415) 사이에는 용접 바디(434)가 중공 로드(415)에 용이하게 상대 회전될 수 있도록 윤활기능을 제공하는 용접 바디 부시(435)가 구비될 수 있다. The weld body 434 is coupled to the hollow motor 432 . The weld body 434 is pierced through the hollow rod 415 . In this case, a hollow through which the hollow rod 415 passes is formed in the welding body 434 . At this time, a welding body bush 435 providing a lubrication function so that the welding body 434 can be easily rotated relative to the hollow rod 415 may be provided between the welding body 434 and the hollow rod 415 . .

중공 모터(432)가 회전되면 용접 바디(434)가 회전된다. 이 경우, 용접 바디(434)는 중공 로드(415)에 상대 회전 될 수 있다. 즉, 중공 로드(415)는 정지되고, 용접 바디(434)는 중공 로드(415)의 중심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중공 로드(415)의 외주면에서 상대 회전될 수 있다. 이 경우, 중공 모터(432)의 중공 로터(4322)에 용접 바디(434)가 결합될 수 있다. When the hollow motor 432 is rotated, the welding body 434 is rotated. In this case, the welding body 434 may be rotated relative to the hollow rod 415 . That is, the hollow rod 415 is stopped, and the welding body 434 may be relatively rota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low rod 415 by using the central axis of the hollow rod 415 as a rotation axis. In this case, the welding body 434 may be coupled to the hollow rotor 4322 of the hollow motor 432 .

용접 토치(436)는 용접 바디(434)에 구비된다. 용접 토치(436)는 용접 바디(434)에 고정 결합된다. 용접 토치(436)는 용접 바디(434)의 회전 시 용접 바디(434)와 함께 회전된다. 용접 토치(436)의 회전 시 용접 토치(436)은 접합부(W)를 따라 가지관(BR)을 분기부(T1, T2, T3)에 용접시킬 수 있다. 용접 토치(436)는 공지의 용접 수단으로 실시될 수 있다.A welding torch 436 is provided on the welding body 434 . The welding torch 436 is fixedly coupled to the welding body 434 . The welding torch 436 rotates with the welding body 434 upon rotation of the welding body 434 . When the welding torch 436 rotates, the welding torch 436 may weld the branch pipe BR to the branch portions T1 , T2 , and T3 along the joint portion W . The welding torch 436 may be implemented by any known welding means.

용접 피스톤(437)은 어퍼 플레이트(413)에 구비된다. 용접 피스톤(437)은 용접 플레이트(431)를 승하강시킨다. 이 경우, 용접 플레이트(431)가 승하강되면, 중공 모터(432), 용접 바디(434) 및 용접 토치(436)가 함께 승하강될 수 있다.The welding piston 437 is provided on the upper plate 413 . The welding piston 437 elevates the welding plate 431 . In this case, when the welding plate 431 is raised and lowered, the hollow motor 432 , the welding body 434 and the welding torch 436 may be raised and lowered togeth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피스톤(437)은 어퍼 플레이트(413)의 상부에 구비되는 용접 실린더(4371), 용접 실린더(4371)에 구비되어 승하강되는 용접 로드(437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용접 플레이트(431)는 용접 로드(4372)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용접 로드(4372)가 승하강되면 용접 플레이트(431)가 중공 로드(415)에 대해 슬라이딩되어, 중공 로드(415)를 따라 승하강된다. 또한, 용접 실린더(4371)의 하부에는 용접 로드(4372)와 어퍼 플레이트(413)의 이격 공간을 채우는 용접 피스톤 부시(438)가 구비될 수 있다. The welding piston 437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welding cylinder 4371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413, a welding rod 4372 provided on the welding cylinder 4371 and elevating. have. In this case, the welding plate 431 is coupled to the welding rod 4372 . Accordingly, when the welding rod 4372 is raised and lowered, the welding plate 431 is slid with respect to the hollow rod 415 , and is raised and lowered along the hollow rod 415 . In addition, a welding piston bush 438 filling a space between the welding rod 4372 and the upper plate 413 may be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welding cylinder 4371 .

실시예에 따라, 용접 바디(434)에는 위치감지센서(439)가 구비될 수 있다. 위치감지센서(439)는 접합부(W)의 위치를 감지하여, 용접 토치(436)가 접합부(W)를 용접할 수 있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도록, 위치감지신호를 제어부(7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위치감지센서(439)의 위치신호를 기반으로 용접 피스톤(437)을 제어하여, 용접 토치(436)가 접합부(W)에 위치되도록 용접 플레이트(431)를 승하강시킨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welding body 434 may be provided with a position detection sensor 439 . The position sensor 439 detects the position of the junction (W), so that the welding torch 436 can be positioned at a position where the junction (W) can be welded, the position detection signal can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70 have. The control unit 70 controls the welding piston 437 based on the position signal of the position sensor 439 to raise and lower the welding plate 431 so that the welding torch 436 is positioned at the junction W.

이하,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용접 모듈(43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n operation of the welding module 43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6 to 18 .

먼저, 이동다이(10)가 이동되어 소화배관이 용접장치(400)에 위치된다. 이 경우, 제어부(70)는 가공치수에 따라 이동다이(10)를 제어하여 분기부(T1, T2, T3)를 상방향으로 노출되게 소화배관을 위치시킨다. 이때, 중공 유압척(111)은 해당 분기부(T1, T2, T3)가 상방으로 노출되도록 제어부(70)의 제어신호에 따라 회전될 수 있다. First, the moving die 10 is moved so that the fire extinguishing pipe is located in the welding device 400 .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70 controls the moving die 10 according to the processing dimensions to position the fire extinguishing pipe so that the branch portions T1 , T2 , and T3 are exposed upwardly. At this time, the hollow hydraulic chuck 111 may be rotated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70 so that the corresponding branch portions T1 , T2 , and T3 are exposed upward.

분기부(T1, T2, T3)는 상술한 것과 같이 면취공정이 수행되어, 표면이 평탄하게 가공된 상태이다. 이때, 분기부(T1, T2, T3)로 가지관(BR)이 공급된다. 가지관(BR)은 상술한 것과 같이 실시예에 따라 로딩장치(미도시)에 의해 자동으로 공급되거나, 사용자가 수동으로 공급할 수 있다.The branch portions T1 , T2 , and T3 are chamfered as described above, and have a flat surface. At this time, the branch pipe BR is supplied to the branch parts T1 , T2 , and T3 . The branch tube BR may be automatically supplied by a loading device (not show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or may be supplied manually by a user.

이때, 분기부(T1, T2, T3)의 직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가지관(BR)을 분기부(T1, T2, T3)에 공급한다. 즉, 인발장치(40)에서 형성된 분기부(T1, T2, T3)의 직경에 맞는 가지관(BR)을 공급한다. 이 경우, 제어부(70)는 인발장치(40)에서 형성된 분기부(T1, T2, T3)의 직경의 크기를 저장한 후, 로딩장치가 해당 분기부(T1, T2, T3)의 직경에 대응되는 가지관(BR)을 공급하도록 로딩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가지관(BR)은 분기부(T1, T2, T3)에 접촉되게 배치된다.At this time, the branch pipe BR having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branching parts T1, T2, and T3 is supplied to the branching parts T1, T2, and T3. That is, the branch pipe (BR) suitable for the diameter of the branch (T1, T2, T3) formed in the drawing device (40) is supplied.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70 stores the diameters of the branch portions T1, T2, and T3 formed in the drawing device 40, and then the loading device corresponds to the diameter of the corresponding branch portions T1, T2, T3.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loading device to supply the branch pipe (BR). At this time, the branch pipe BR is disposed to be in contact with the branch portions T1 , T2 , and T3 .

분기부(T1, T2, T3)로 가지관(BR)이 공급되면, 도 16과 같이 포지션 모듈(420)이 작동한다. 이 경우, 사용자의 입력신호 또는 제어부(70)의 제어신호에 따라, 포지션 피스톤(423)이 포지션 샤프트(421)를 하강시킨다. 이때, 분기부(T1, T2, T3)의 직경에 대응되게 가지관(BR)을 공급되므로, 가지관(BR)의 개구부의 직경은 다양한 크기를 갖을 수 있다.When the branch pipe BR is supplied to the branch portions T1 , T2 , and T3 , the position module 420 operates as shown in FIG. 16 . In this case, the position piston 423 lowers the position shaft 421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signal or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70 . At this time, since the branch pipe BR is supplied to correspond to the diameter of the branch parts T1 , T2 , and T3 , the diameter of the opening of the branch pipe BR may have various sizes.

여기서, 포지션 샤프트(421)의 테이퍼부(421a)가 가지관(BR)의 개구부에 삽입되어, 가지관(BR)을 분기부(T1, T2, T3)에 정위치시키는데, 테이퍼부(421a)가 형성하는 직경에 따라, 가지관(BR)의 개구부의 직경 크기에 대응될 수 있으므로, 하나의 포지션 샤프트(421)로 다양한 직경을 갖는 가지관(BR)을 분기부(T1, T2, T3)에 정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Here, the tapered portion 421a of the position shaft 421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of the branch tube BR to position the branch tube BR at the branch portions T1, T2, and T3, and the tapered portion 421a According to the diameter formed by , it may correspond to the size of the diameter of the opening of the branch pipe BR, so that the branch pipe BR having various diameters with one position shaft 421 is divided into the branch parts T1, T2, and T3. can be positioned in

포지션 샤프트(421)가 가지관(BR)의 개구부에 삽입되면, 포지션 샤프트(421)가 가지관(BR)을 가압한다. 이 경우, 가지관(BR)이 분기부(T1, T2, T3)에 정위치되고, 분기부(T1, T2, T3)와 가지관(BR)이 접합부(W)를 형성하게 된다.When the position shaft 421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of the branch pipe BR, the position shaft 421 presses the branch pipe BR. In this case, the branch tube BR is positioned at the branch portions T1 , T2 , and T3 , and the branch portion T1 , T2 , T3 and the branch tube BR form a junction portion W .

가지관(BR)이 분기부(T1, T2, T3)에 정위치되고 접합부(W)를 형성하면, 도 17과 같이, 용접 모듈(430)이 작동한다. 이 경우, 용접 피스톤(437)이 작동하여, 용접 플레이트(431)를 하강시킨다. 이때, 용접 플레이트(431), 중공 모터(432), 용접 바디(434) 및 용접 토치(436)는 용접 플레이트(431)와 함께 하강된다.When the branch pipe BR is positioned at the branch portions T1 , T2 , and T3 and forms the joint portion W, as shown in FIG. 17 , the welding module 430 operates. In this case, the welding piston 437 operates to lower the welding plate 431 . At this time, the welding plate 431 , the hollow motor 432 , the welding body 434 , and the welding torch 436 are lowered together with the welding plate 431 .

용접 플레이트(431)가 하강되면, 용접 토치(436)는 접합부(W)의 인접 주위에 위치된다. 여기서, 용접 바디(434)에는 위치감지센서(439)가 구비될 수 있다. 위치감지센서(439)는 접합부(W)의 위치를 감지하여, 용접 토치(436)가 접합부(W)를 용접할 수 있는 위치(이하, '용접 위치')에 위치될 수 있도록, 위치감지신호를 제어부(7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위치감지센서(439)의 위치신호를 기반으로 용접 피스톤(437)을 제어하여, 용접 토치(436)가 용접 위치에 위치되도록 용접 플레이트(431)를 승하강시킨다.When the welding plate 431 is lowered, a welding torch 436 is positioned around the abutment of the joint W. As shown in FIG. Here, the welding body 434 may be provided with a position detection sensor 439 . The position sensor 439 detects the position of the junction W, so that the welding torch 436 can be positioned at a position (hereinafter, 'welding position') that can weld the junction W, a position detection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70 . The controller 70 controls the welding piston 437 based on the position signal of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439 to raise and lower the welding plate 431 so that the welding torch 436 is positioned at the welding position.

용접 토치(436)가 용접 위치에 위치되면, 도 18과 같이, 중공 모터(432)가 작동한다. 중공 모터(432)는 용접 바디(434)를 회전시킨다. 이때, 중공 로터(4322)가 중공 로드(415)에 상대 회전되고, 중공 로터(4322)에 결합된 용접 바디(434)가 중공 로터(4322)와 함께 회전된다.When the welding torch 436 is positioned in the welding position, as shown in FIG. 18 , the hollow motor 432 is actuated. The hollow motor 432 rotates the weld body 434 . At this time, the hollow rotor 4322 is rotated relative to the hollow rod 415 , and the welding body 434 coupled to the hollow rotor 4322 is rotated together with the hollow rotor 4322 .

용접 바디(434)가 회전되면, 용접 토치(436)가 접합부(W)를 용접한다. 용접 토치(436)는 접합부(W)의 둘레를 따라 회전될 수 있다. 이 경우, 용접 토치(436)는 가지관(BR)을 중심축 기준으로 360°회전될 수 있다. 용접 토치(436)가 회전되면, 접합부(W)가 완전히 용접되어, 가지관(BR)을 분기부(T1, T2, T3)에 자동으로 용접될 수 있게 된다. When the welding body 434 is rotated, the welding torch 436 welds the joint (W). The welding torch 436 may be rotated along the perimeter of the junction W. In this case, the welding torch 436 may be rotated 360°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branch pipe BR. When the welding torch 436 is rotated, the joint portion W is completely welded, so that the branch pipe BR can be automatically welded to the branch portions T1 , T2 , and T3 .

이 경우, 도 19와 같이 분기부(T1, T2, T3)에 가지관(BR)이 용접된다. 이때, 특정 분기부(T3)의 경우, 유압척 모듈(111)이 회전되어 특정 분기부(T3)를 용접장치(400)에 위치시키고, 상술한 동작에 따라 가지관(BR)을 특정 분기부(T3)에 공급하여 용접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특정 분기부(T3)를 포함하는 모든 분기부(T1, T2, T3)에 가지관(BR)이 자동으로 용접될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the branch pipe BR is welded to the branch portions T1 , T2 , and T3 as shown in FIG. 19 . At this time, in the case of the specific branching part T3, the hydraulic chuck module 111 is rotated to position the specific branching part T3 in the welding apparatus 400, and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the branch pipe BR is connected to the specific branching part. It can be supplied to (T3) and welded. Accordingly, the branch pipe BR can be automatically welded to all branch portions T1 , T2 , and T3 including the specific branch portion T3 .

이상,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bove,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10 : 이동다이 20 : 이동제어모듈
30 : 드릴장치 40 : 인발장치
10: moving die 20: moving control module
30: drill device 40: draw device

Claims (10)

외관을 형성하는 상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에 고정 구비되고, 소화배관을 지지하는 지지다이; 상기 상부 프레임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구비되는 가이드 레일; 상기 소화배관을 파지하고, 상기 상부 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다이; 상기 이동다이를 전후 방향으로 기설정된 위치에 이동시키는 이동제어모듈;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소화배관에 분기홀을 형성하는 드릴장치; 상기 드릴장치의 전방에 구비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분기홀을 분기부로 성형하는 인발장치; 상기 인발장치의 전방에 구비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분기부의 표면을 면취하는 면취장치; 및 상기 면취장치의 전방에 구비되고, 상기 분기부로 공급된 가지관을 상기 분기부에 용접시키는 용접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용접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구비되고, 상기 가지관을 가압하여 상기 분기부에 정위치시키는 포지션 모듈; 및 상기 프레임부에 구비되고, 상기 분기부와 상기 가지관이 형성하는 접합부를 용접하여 상기 가지관을 상기 분기부에 용접시키는 용접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는, 외관을 형성하는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의 상부에 수평하게 구비되는 어퍼 플레이트; 및 상기 어퍼 플레이트에 구비되고, 중공이 형성되는 중공 로드; 를 포함하고,
상기 포지션 모듈은, 상기 중공 로드에 삽입되어 상기 중공을 따라 슬라이딩되고, 상기 가지관에 접촉되는 포지션 샤프트; 및 상기 어퍼 플레이트에 구비되고, 상기 포지션 샤프트에 결합되어, 상기 포지션 샤프트를 승하강시키는 포지션 피스톤; 를 포함하는 가지관이 구비된 소화배관 자동제조장치.
an upper frame forming an exterior; a support die fixed to the upper frame and supporting the fire extinguishing pipe; guide rails provid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long the upper frame; a moving die holding the fire extinguishing pipe and provided on the upper frame to be movab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along the guide rail; a movement control module for moving the movable die to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front-rear direction; a drill devic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frame to form a branch hole in the fire extinguishing pipe; a drawing device provided in front of the drill device and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frame to form the branch hole into a branch; a chamfering device provided in front of the drawing device and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frame to chamfer the surface of the branch; and a welding device provided in front of the chamfering device and welding the branch pipe supplied to the branch to the branch; including,
The welding apparatus includes: a frame portion forming an exterior; a position module provided in the frame portion and positioned in the branch portion by pressing the branch tube; and a welding module provided in the frame part and welding the branch pipe to the branch part by welding a junction formed between the branch part and the branch pipe; including,
The frame portion, the main body forming an exterior; an upper plate provided horizontally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and a hollow rod provided on the upper plate and having a hollow formed therein; including,
The position module may include a position shaft inserted into the hollow rod and slid along the hollow, and in contact with the branch pipe; and a position piston provided on the upper plate and coupled to the position shaft to elevate the position shaft. A fire extinguishing pipe automatic manufacturing device equipped with a branch pipe comprising a.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션 샤프트는 단부에 상기 가지관의 개구부에 삽입되는 테이퍼부가 형성되는 가지관이 구비된 소화배관 자동제조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osition shaft is an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pipe manufacturing apparatus provided with a branch pipe having a tapered portion inserted into the opening of the branch pipe at an end thereof.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90125151A 2019-10-10 2019-10-10 automatic manufacturing apparatus for pipe having branch KR10230527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5151A KR102305276B1 (en) 2019-10-10 2019-10-10 automatic manufacturing apparatus for pipe having branc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5151A KR102305276B1 (en) 2019-10-10 2019-10-10 automatic manufacturing apparatus for pipe having branc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2510A KR20210042510A (en) 2021-04-20
KR102305276B1 true KR102305276B1 (en) 2021-09-27

Family

ID=75743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5151A KR102305276B1 (en) 2019-10-10 2019-10-10 automatic manufacturing apparatus for pipe having branc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527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6097B1 (en) * 2022-01-12 2024-03-08 김태완 Branch pipe automatic welding equipment
KR102463410B1 (en) * 2022-06-07 2022-11-04 (주)건우테크 automatic Saddle welding device
KR102585367B1 (en) * 2022-08-27 2023-10-05 박수웅 Forming device for branch pipe with multi head
KR102585371B1 (en) * 2022-08-27 2023-10-05 박수웅 Hydraulic forming device for branch pipe
KR102585364B1 (en) * 2022-08-27 2023-10-05 박수웅 Forming device for branch pipe
KR102585369B1 (en) * 2022-08-27 2023-10-05 박수웅 Hydraulic forming device for branch pip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47657A (en) * 2005-03-08 2006-09-21 Tanaka Kikinzoku Kogyo Kk Method for manufacturing branch pipe
KR101611150B1 (en) * 2016-01-15 2016-05-12 지에이씨피 주식회사 Producing apparatus for branch joint of pipe dispensing fluid
KR101807510B1 (en) * 2017-05-26 2017-12-11 엄용섭 Spline axis structure of tailstock modification engine and driving method spline axi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1576B1 (en) * 2010-03-19 2013-01-14 곽경숙 metal pipe of tubulate on connection pipe automatic welding machin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47657A (en) * 2005-03-08 2006-09-21 Tanaka Kikinzoku Kogyo Kk Method for manufacturing branch pipe
KR101611150B1 (en) * 2016-01-15 2016-05-12 지에이씨피 주식회사 Producing apparatus for branch joint of pipe dispensing fluid
KR101807510B1 (en) * 2017-05-26 2017-12-11 엄용섭 Spline axis structure of tailstock modification engine and driving method spline axi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2510A (en) 2021-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5276B1 (en) automatic manufacturing apparatus for pipe having branch
KR102037171B1 (en) Automatic forming machine for branch pipe of extinguishing fire
CN103894853B (en) A kind of it is useful in the universal fixturing of clamping plastic mould in various processing equipment
CN110052643B (en) Automatic drilling equipment
CN106312294B (en) Frock clamp for water cooling motor housing straight seam welding and straight seam welding technique
CN202922057U (en) Electric spark wire cutting, discharging and punching device
US7549312B2 (en) Concentric machining device for a roller
KR102037174B1 (en) Automatic forming machine for branch pipe of extinguishing fire
CN204996925U (en) Piercing press with pipe spare presss from both sides tight pay -off dolly
CN205798482U (en) A kind of numerically controlled lathe spring chuck
KR102037173B1 (en) Automatic forming machine for branch pipe of extinguishing fire
KR102033713B1 (en) Automatic forming machine for branch pipe of extinguishing fire
KR102037172B1 (en) Automatic forming machine for branch pipe of extinguishing fire
CN115922245A (en) Pipe body processing equipment
CN110508699B (en) Hole expanding method based on pipe hole expanding equipment
CN108838640B (en) Automatic installation device and installation method for vertical pipe joint
CN110434364B (en) Clamping device for precise numerical control row truck and application method thereof
CN210435373U (en) PE tee bend pipe fitting terminal surface processing equipment
CN210819249U (en) Clamping device is used in diamond instrument manufacturing process
KR20180080488A (en) Hanger cutter for manufacturing planges
KR20160011550A (en) Molding process using the mold clamping device and method
KR101478484B1 (en) The method of processing the inside of inner tube for steering wheel
CN206250916U (en) A kind of clamp tool of electric motor end cap
CN106735415B (en) Automatic drilling machine
CN216151597U (en) Multi-angle synchronous welding 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