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4683B1 - Learning management system - Google Patents
Learning management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04683B1 KR102304683B1 KR1020190118825A KR20190118825A KR102304683B1 KR 102304683 B1 KR102304683 B1 KR 102304683B1 KR 1020190118825 A KR1020190118825 A KR 1020190118825A KR 20190118825 A KR20190118825 A KR 20190118825A KR 102304683 B1 KR102304683 B1 KR 10230468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udent
- academic
- learning
- unit
- data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12549 trai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13528 artificial neural network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10000001747 pupil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10801 machine lear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3135 deep lear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4397 blin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527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72 labe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306 recurr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3—Eye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4—Architecture, e.g. interconnection topology
- G06N3/0475—Generative network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06N3/088—Non-supervised learning, e.g. competitive learn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Biophys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관리 시스템은 학생의 학업성취도 테스트 내역에 기초하여 학업성취도를 산출하는 학업성취도 산출모듈; 상기 학생의 실제 학습시간을 측정하는 학습시간 측정모듈; 및 상기 학생의 학업성취도 및 학습시간을 포함하는 제1 특징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학생의 학업등급을 산출하는 학업등급 산출모듈;을 포함한다.A learn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cademic achievement calculation module for calculating an academic achievement based on a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test details; a learning time measuring module for measuring the actual learning time of the student; and an academic grade calculation module for calculating the student's academic grade based on the first characteristic data including th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ing time.
Description
본 발명은 학습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학생의 학업성취도 및 학습시간에 기초하여 학생의 학업등급을 산출하고, 산출된 학업등급에 기초하여 학생을 관리할 수 있는 학습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arning management system, and to a learning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calculating a student's academic grade based on th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ing time, and managing the student based on the calculated academic grade.
시험을 준비하는 수험생들의 경우, 한정된 시간 내에 효과적인 성적의 획득을 위하여 효율적인 수험전략을 수립하여야 한다.For candidates preparing for the exam, an effective exam strategy should be established in order to obtain effective grades within a limited time.
그러나 대다수의 수험생들은 이성보다는 감성적으로 수험전략을 수립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당사자인 수험생이 현 상황으로 객관적으로 파악하기 보다는 주관이 개입되어 수험전략을 수립하는 경향이 높기 때문에 이성적으로 공부계획을 수립하는데 한계가 있다.However, most of the test takers tend to establish the test strategy emotionally rather than rationally. There is a limit to
따라서 수험생들의 효율적인 수험전략 수립을 위한 정교하고 구체적인 학습관리 시스템이 필요한 상황이다.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sophisticated and specific learning management system to establish effective test strategies for students.
한편, 하기선행기술문헌은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학원 관리 및 교재 주문 시스템에 대한 내용만 개시하고 있을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는 개시하고 있지 않다.On the other hand, the following prior art document discloses only the contents of the school management and textbook ordering system using a wireless terminal, but does not disclose the technical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관리 시스템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해결과제를 목적으로 한다.The learn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the following problems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각각의 학생에 대한 학업성취도 및 학습시간을 고려하여 학생에 대한 학업등급을 산출하고, 해당 학업등급에 따른 맞춤형 수험전략을 수립할 수 있는 학습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to provide a learning management system that can calculate the academic grade for each student in consideration of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study time for each student, and establish a customized examination strategy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academic grade.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관리 시스템은 학생의 학업성취도 테스트 내역에 기초하여 학업성취도를 산출하는 학업성취도 산출모듈; 상기 학생의 실제 학습시간을 측정하는 학습시간 측정모듈; 및 상기 학생의 학업성취도 및 학습시간을 포함하는 제1 특징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학생의 학업등급을 산출하는 학업등급 산출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학업성취도 산출모듈은 상기 학생의 학업성취도 테스트 응시횟수 및 상기 학업성취도 테스트 성적에 기초하여 상기 학업성취도를 산출하고, 상기 학업등급 산출모듈은 상기 학업성취도 및 학습시간과, 상기 학업등급과의 상관관계에 기초하여 설정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학생의 학업등급을 결정한다.A learn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cademic achievement calculation module for calculating an academic achievement based on a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test details; a learning time measuring module for measuring the actual learning time of the student; and an academic grade calculation module for calculating the student's academic grade based on first characteristic data including th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ing time; and calculates the academic achievement based on the academic achievement test score, and the academic grade calculation module uses an algorithm set based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ing time and the academic grade to the student's academic grade to decide
복수의 학생의 오답노트가 저장되되, 상기 학업등급 및 상기 오답노트에 기재된 문제에 기초하여 상기 테스트의 문제를 생성하는 테스트 생성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테스트 생성모듈은, 복수의 학생들이 작성한 오답노트들이 저장된 오답노트 저장부; 상기 학업등급을 고려하여 상기 오답노트 저장부에 기재된 문제들 중 해당 학생에 대한 맞춤형 문제들을 추출하는 문제 추출부; 상기 문제 추출부에서 추출한 문제들을 랜덤하게 배열하여 테스트를 생성하는 문제 배열부; 및 상기 테스트를 구성하는 문제를 제공한 학생에게 미리 결정된 포인트를 부여하는 보상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plurality of students' incorrect answer notes are stored, and a test generation module for generating the test question based on the academic grade and the problem described in the incorrect answer note; further comprising, the test generation module, written by a plurality of students Incorrect note storage unit in which the incorrect notes are stored; a problem extracting unit for extracting customized problems for the student from among the problems listed in the incorrect note storage unit in consideration of the academic grade; a problem arranging unit for randomly arranging the problems extracted by the problem extracting unit to generate a test; and a reward unit for giving a predetermined point to a student who provides a problem constituting the test.
상기 알고리즘은 신경망 네트워크로 구성된 딥러닝 알고리즘으로 구현되되, 상기 신경망 네트워크는, 상기 제1 특징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층; 상기 입력층으로부터 상기 제1 특징데이터를 전달받되, 복수 개의 노드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개의 은닉층; 및 상기 은닉층의 연산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학생의 학업등급을 결정하는 출력층;을 포함하고, 상기 노드에는 상기 노드로 전달되는 입력인자 및 상기 노드에서 출력되는 출력인자 간의 상관관계인 함수가 정의되고, 상기 함수는 가중치 및 바이어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lgorithm is implemented as a deep learning algorithm composed of a neural network, wherein the neural network includes: an input layer for receiving the first characteristic data; at least one hidden layer configured to receive the first feature data from the input layer and include a plurality of nodes; and an output layer that determines the student's academic grade based on the operation result of the hidden layer, wherein a function that is a correlation between an input factor transmitted to the node and an output factor output from the node is defined in the node, The function preferably includes a weight and a bias.
복수의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테스트 응시횟수, 학업성취도 테스트 성적, 학습시간 및 실제 입시성적을 포함하는 빅데이터가 저장된 빅데이터 저장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중치 및 바이어스는 상기 빅데이터 저장모듈에 저장된 빅데이터를 트레이닝 데이터로 활용하여 신경망 네트워크 상에서 수행되는 머신러닝을 통하여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big data storage module storing big data including the number of times of taking the academic achievement test of a plurality of students, the academic achievement test scores, learning time, and actual entrance exam scores; further comprising, wherein the weights and biases are stored in the big data storage module It is preferable to use big data as training data to determine it through machine learning performed on a neural network.
상기 가중치 및 바이어스를 결정하기 위한 트레이닝 데이터를 생성하는 트레이닝 데이터 생성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닝 데이터 생성모듈은, 상기 제1 특징데이터를 전달받아 미리 학습된 판별기준에 기초하여 상기 학생의 상기 학생의 학업등급을 결정하는 판별부; 및 상기 제1 특징데이터와 대응되는 제2 특징데이터를 생성하는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판별부는 생성적 대립 네트워크(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GAN)를 이용한 학습을 통하여 상기 판별기준을 생성하고, 상기 판별부는 상기 제1 특징데이터 및 제2 특징데이터를 구분할 수 있도록 학습되고, 상기 생성장치는 상기 판별장치가 상기 제1 특징데이터 및 제2 특징데이터를 구분할 수 없도록 학습되어 상기 제2 특징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comprising; a training data generation module for generating training data for determining the weight and bias, wherein the training data generation module receives the first characteristic data and receives the first characteristic data and based on a previously learned discrimination criterion, the student's a judging unit that determines the student's academic grade; and a generator for generating second feature data corresponding to the first feature data, wherein the discriminator generates the discrimination criterion through learning using a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GAN), and The discrimination unit is trained to distinguish the first characteristic data and the second characteristic data, and the generating device is trained so that the discrimination device cannot distinguish the first characteristic data and the second characteristic data to generate the second characteristic data. It is preferable to do
상기 학습시간 측정모듈은 공부시간 측정장치에 의하여 상기 학생의 실제 공부시간을 측정하되, 상기 공부시간 측정장치는, 상기 학생이 사용하는 책상의 일측에 형성되는 이송레일; 상기 이송레일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이송레일 기준으로 상하로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안착부재; 및 상기 안착부재에 안착되도록 형성되고, 안착센서 및 카메라를 구비하는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재는 상기 상기 단말기를 안착시키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재를 상기 이송레일을 따라 이동시키는 제1 구동유닛과, 상기 안착부재를 상하로 회동시키는 제2 구동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를 상기 안착부에 안착시키는 경우 상기 단말기는 상기 학생의 학습시간의 카운팅을 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earning time measuring module measures the actual study time of the student by the study time measuring device, wherein the study time measuring device includes: a transfer rail formed on one side of the desk used by the student; a seating member formed to move in a left and right direction along the transfer rail, the seating member being rotatable up and down based on the transfer rail; and a terminal formed to be seated on the seating member and having a seating sensor and a camera, wherein the seating member includes a seating part for seating the terminal, and a first for moving the seating member along the transfer rail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driving unit and a second driving unit for rotating the seating member up and down, and when the terminal is mounted on the seating part, the terminal starts counting the learning time of the student.
상기 안착부는 상기 카메라가 상기 학생의 눈을 검출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구동유닛 및 제2 구동유닛을 구동시키고, 상기 제1 구동유닛 및 제2 구동유닛의 구동에도 불구하고 상기 카메라가 상기 학생의 눈을 검출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는 상기 학습시간의 카운팅을 정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ating part drives the first driving unit and the second driving unit so that the camera can detect the pupil's eyes, and the camera is driven by the pupil despite the driving of the first driving unit and the second driving unit. If the eye is not detected, the terminal preferably stops counting the learning time.
상기 카메라는 상기 학생의 눈의 깜빡임 및 시선 상태를 추적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학생의 눈의 깜빡임이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지속되지 못하거나 또는 상기 학생의 시선이 미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여 미리 설정된 스터디 에어리어(Study Area)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할 경우 상기 학습시간의 카운팅을 정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amera tracks the blinking and gaze state of the student's eyes, and the terminal indicates that the blinking of the student's eyes does not last for more than a preset time or the student's gaze exceeds a preset time in a preset study area (Study Area) It is preferable to stop counting the learning time when it is determined that it is out of rang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관리 시스템은, 학생의 학업성취도 및 학습시간에 기초하여 학생의 학업등급을 산출하고, 산출된 학업등급을 고려하여 해당 학생에게 맞춤형 학습전략을 수립해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learn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alculate a student's academic grade based on th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ing time, and establish a customized learning strategy for the student in consideration of the calculated academic grade. It works.
나아가 학업등급 산출시 학업성취도 및 학습시간에 대한 정교한 가중치를 산출함으로써 좀 더 정교하고 효과적인 맞춤형 학습전략을 수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establish a more sophisticated and effective customized learning strategy by calculating sophisticated weights for 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ing time when calculating academic grades.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관리 시스템을 간략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관리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신경망 네트워크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관리 시스템에서 트레이닝 데이터 생성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관리 시스템의 구성 중 테스트 생성모듈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관리 시스템의 구성 중 학습시간 측정모듈에 적용되는 공부시간 측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learn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neural network used in a learn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training data generation module in the learn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pecific configuration of a test generation module among configurations of a learn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udy time measuring device applied to a learning time measuring module among the configuration of a learn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관리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업성취도 산출모듈(100), 학습시간 측정모듈(200), 학업등급 산출모듈(300), 테스트 생성모듈(400), 빅데이터 저장모듈(500) 및 트레이닝 데이터 생성모듈(600)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1, the learn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cademic
학업성취도 산출모듈(100)은 학생의 학업성취도 테스트 내역에 기초하여 학업성취도를 산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특히 학업성취도 산출모듈(100)은 학생의 학업성취도 테스트 성적, 예를 들어 소속학원 및 주변학원을 고려한 상대평가점수를 고려하여 학업성취도를 산출한다.The academic
또한, 학업성취도 산출모듈(100)은 상술한 학생의 학업성취도 테스트 성적 뿐만 아니라 학업성취도 테스트의 응시횟수도 함께 고려하여 학생의 학업성취도를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academic
한편, 상술한 테스트는 학생들이 작성한 복수의 오답노트에 기재된 문제에 기초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역할을 상술한 테스트 생성모듈(400)이 수행한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described test may be configured based on the problems described in a plurality of incorrect answer notes written by students, and the above-described
구체적으로 테스트 생성모듈(400)은 복수의 학생의 오답노트가 저장되되, 산출된 학생의 학업등급 및 오답노트에 기재된 문제에 기초하여 테스트의 문제를 생성한다. Specifically, the
예를 들어, A학생의 학업등급이 B학생의 학업등급보다 높은 등급인 경우, B학생은 A학생의 오답노트에 포함된 문제들을 접하여 자신의 취약점을 파악할 수 있으며, 나아가 B학생의 실력이 향상되어 A학생의 학업등급으로 상향조정되더라도 A학생의 오답노트에 포함된 문제를 또 틀릴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B학생은 A학생의 오답노트를 꾸준히 참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or example, if student A's academic grade is higher than that of student B, student B can identify their weaknesses by encountering the problems included in student A's incorrect note, and furthermore, student B's ability improves Even if it is upgraded to Student A's academic grade,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questions included in Student A's incorrect note will be wrong again, so it is desirable for Student B to refer to Student A's incorrect note.
이러한 테스트 생성모듈(400)은 상술한 기능의 수행을 위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답노트 저장부(410), 문제 추출부(420), 문제 배열부(430) 및 보상부(44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The
오답노트 저장부(410)는 복수의 학생들이 작성한 오답노트들을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문제 추출부(420)는 해당 학생의 학업등급을 고려하여 오답노트 저장부(410)에 기재된 문제들 중 해당 학생에 대한 맞춤형 문제들을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incorrect
문제 배열부(430)는 문제 추출부(420)에서 추출한 문제들을 랜덤하게 배열하여 테스트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보상부(440)는 테스트를 구성하는 문제를 제공한 학생에게 미리 결정된 포인트 등을 부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학습시간 측정모듈(200)은 학생의 근태를 파악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는데, 정확한 학업등급의 산출을 위해서는 학생의 실제 학습시간을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earning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관리 시스템의 학습시간 측정모듈(200)은 공부시간 측정장치(700)에 의하여 학생의 실제 공부시간을 측정하도록 구성되며,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To this end, the learning
학업등급 산출모듈(300)은 학생의 학업성취도 및 실제 학습시간을 포함하는 제1 특징데이터에 기초하여 해당 학생의 학업등급을 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academic
이러한 학업등급 산출모듈(300)은 입력인자인 학업성취도 및 학습시간과, 출력인자인 학업등급과의 상관관계에 기초하여 설정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학생의 학업등급을 결정하며, 이때 학업성취도와 학습시간의 반영을 위한 각각의 가중치를 정교하게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The academic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업등급 산출모듈(300)에서 사용되는 알고리즘은 신경망 네트워크(10)로 구성된 딥러닝 알고리즘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this purpose, the algorithm used in the academic
이러한 신경망 네트워크(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층(11), 은닉층(12) 및 출력층(13)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The
입력층(11)은 상술한 제1 특징데이터, 즉 입력변수를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하며, 은닉층(12)은 입력층(11)으로부터 제1 특징데이터를 전달받아 연산을 수행한다.The
은닉층(12)은 복수 개의 층(Layer)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 은닉층(1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노드(Node)를 포함한다. The
각 노드에는 해당 노드로 전달되는 입력인자 및 해당 노드에서 출력되는 출력인자 간의 상관관계인 선형 또는 비선형 함수가 정의되고, 상기 함수는 가중치(Weight) 및 바이어스(Bias)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A linear or nonlinear function that is a correlation between an input factor transmitted to a corresponding node and an output factor output from the node is defined at each node, and the func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weight and a bias.
예를 들어, 해당 노드에서의 입력인자를 x라 정의하고, 해당 노드에서의 출력인자를 y라 정의할 때, 해당 노드에서 정의된 함수는 "y=w*x+b"로 정의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w는 가중치(weight)를 의미하고, b는 바이어스(bias)를 의미한다.For example, when the input factor at the node is defined as x and the output factor at the node is defined as y, the function defined at the node can be defined as “y=w*x+b” and , where w denotes a weight, and b denotes a bias.
이러한 딥러닝 알고리즘의 경우 머신러닝(Machine Learning)을 통하여 최적의 가중치 및 바이어스를 생성하고, 이를 활용하여 정확한 학업등급을 산출할 수 있게 된다.In the case of such a deep learning algorithm, it is possible to generate an optimal weight and bias through machine learning, and use this to calculate an accurate academic grade.
출력층(13)은 은닉층의 연산 결과에 기초하여 학생의 학업등급을 최종적으로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관리 시스템에서의 빅데이터 저장모듈(500)은 복수의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테스트 응시횟수, 학업성취도 테스트 성적, 학습시간 및 실제 입시성적을 포함하는 빅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On the other hand, the big
즉, 상술한 신경망 네트워크(10)에 포함된 각 노드의 가중치 및 바이어스는 빅데이터 저장모듈(500)에 저장된 빅데이터를 트레이닝 데이터(Traing Data)로 활용하여 신경망 네트워크(10) 상에서 수행되는 머신러닝을 통하여 결정된다. That is, the weight and bias of each node included in the above-described
한편, 머신러닝에서 필요한 것은 무엇보다도 많은 데이터를 이용하여 학습을 수행하는 것이이며, 데이터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수많은 데이터들 중에서 학습에 적합한 데이터를 선정하고 이를 학습의 결과값과 연결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On the other hand, what is required in machine learning is to perform learning using a lot of data above all else.
딥러닝은 이러한 학습에 기반한 기술이며, 수많은 데이터에 기반한 지도 학습 방식으로 컨볼루셔널 신경망(CN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이나 재귀신경망(RNN, Reccurrent Neural Network) 등이 있다.Deep learning is a technology based on such learning, and there are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CNNs) and recurrent neural networks (RNNs) as supervised learning methods based on numerous data.
그러나 상술한 지도학습 방식의 경우 수많은 정답에 대한 정보 데이터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적용이 쉽지 않으므로, 빅데이터 저장모듈(500) 내에 신경망 네트워크(10)의 학습을 위한 데이터가 충분히 트레이닝 데이터가 구비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 머신러닝이 제대로 수행되지 않아 정교한 가중치 및 바이어스의 산출이 어려울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supervised learning method described above, it is not easy to apply because it requires information data for numerous correct answers. Otherwis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alculation of sophisticated weights and biases may be difficult because machine learning is not performed properly.
따라서 레이블링 데이터 없이 진행하는 비지도 학습 기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상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관리 시스템에서는 정답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으면서 진짜 같은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술인 생성적 대립 네트워크(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GAN)를 이용한 학습을 통하여 학업성취도 산출 및 클래스를 결정할 수 있다. Therefore, interest in unsupervised learning technology that proceeds without labeling data is increasing, and in order to overcom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learn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real data without providing information on correct answers. Through learning using a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GAN), which is a generating technology, it is possible to calculate academic achievement and determine classes.
이러한 생성적 대립 네트워크의 경우 데이터를 생성하여 진짜 데이터와 구별할 수 없게 만들기 위해서는 데이터를 모조품으로 만들어야 하는 역할(생성기)과 이 데이터가 모조품인지 아닌지를 구별하는 역할(판별기)가 주어져야 한다.In the case of such a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in order to generate data and make it indistinguishable from the real data, a role of making the data a imitation (generator) and a role of distinguishing whether the data is a counterfeit or not (discriminator) must be given.
이러한 생성적 대립 네트워크에 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성기(Generator)(1), 데이터베이스(DB)(2) 및 판별기(Discriminator)(3)로 구성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 생성기(1) 및 판별기(2)는 신경망으로 구성된 네트워크이다. Looking at this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in more detail, as shown in Fig. 3, it is composed of a generator (1), a database (DB) (2), and a discriminator (3). The generator (1) and the discriminator (2) are networks composed of neural networks.
판별기(3)는 데이터베이스(2) 또는 생성기(1)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으며, 이들 데이터 중에서 데이터베이스(2)에서 제공하는 데이터(data_real)와 생성기(10)로부터 제공된 데이터(data_fake)를 판별하도록 학습한다.The
반면, 생성기(1)는 판별기(3)에게 제공하는 데이터(data_fake)가 data_real로 판별되도록 학습하며, 즉 판별기(3)가 data_fake를 data_real로 판단하도록 생성기(1)가 학습한다. On the other hand, the
두 개의 신경망 학습기(판별기와 생성기)의 학습 방향을 정리해보면, 판별기(3)는 실제 데이터와 생성기(1)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를 구분하도록 학습하고, 생성기(1)는 판별기(3)가 구분할 수 없는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학습한다. Summarizing the learning directions of the two neural network learners (discriminator and generator), the
상기와 같이 반복된 학습에 의하여 생성기(1)는 데이터베이스(2)에 저장된 실제 데이터에 유사한 데이터들을 생성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판별기는 생성기(1)가 생성한 다량의 학습 데이터(Training Data)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정교한 결과물의 산출이 가능하게 된다. By repeated learning as described above,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관리 시스템에서는 상술한 가중치 및 바이어스를 결정하기 위한 트레이닝 데이터를 생성하는 트레이닝 데이터 생성모듈(60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트레이닝 데이터 생성모듈(600)은 생성적 대립 네트워크가 적용되는데 이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The learn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training
트레이닝 데이터 생성모듈(6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성부(620)에는 랜덤한 노이즈 데이터(Input_Z)가 입력되는데, 좀 더 신속하고 빠른 강화학습의 수행을 위하여 초기에는 노이즈 데이터(Input_Z)와 빅데이터 저장모듈(500)에 저장된 종래의 제1 특징데이터(Real_Data)를 조합하여 생성부(620)에 입력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생성부(620)는 다변화된 다수의 특징데이터인 제2 특징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training
판별부(610)는 상술한 신경망 네트워크(10)일 수 있으며, 입력된 제1 특징데이터(Real_Data) 및 제2 특징데이터(Fake_Data)를 전달받고 이들에 대한 진위를 판단하여 Fake/Real의 결과를 산출하게 되며, 이 결과는 생성부(620)에 제공되어 생성부(620)가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The determining
즉, 생성부(620)는 판별부(610)의 진위 판단에 기초하여 판별부(610)가 진짜 데이터로 판별하도록 신경망을 개선하며, 결국 생성부(620)의 학습이 지속될수록 생성부(620)는 판별부(610)가 진짜 데이터라고 판별하도록 신경망을 개선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generating
상기 내용을 정리해보면 판별부(610)는 제1 특징데이터 및 제2 특징데이터를 구분할 수 있도록 학습되고, 생성부(620)은 판별부(610)이 제1 특징데이터 및 제2 특징데이터를 구분할 수 없도록 학습되어 제2 특징데이터를 생성하게 된다.To summarize the above, the determining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판별부(610)는 학업성취도 산출 및 클래스 결정을 좀 더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며, 판별부(610)와 생성부(620)의 생성적 대립 네트워크를 이용한 강화학습을 통하여 판별부(610)의 충분한 학습이 완료된 이후에는 생성부(620)를 제거할 수 있다.Through the process as described above, the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학생의 학업등급을 산출함에 있어서 학생의 실제 학습시간을 측정하여야 하는데, 학생의 실질적인 공부시간의 측정을 위한 공부시간 측정장치(700)를 구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in calculating the student's academic grade, the student's actual learning time should be measured, and a study time measuring device 700 for measuring the student's actual study time may be provided.
이러한 공부시간 측정장치(7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레일(720), 안착부재(730) 및 단말기(74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This study time measuring device 700 is configured to include a
이송레일(720)은 학생이 사용하는 책상(710) 일측에 형성되는 구성이며, 안착부재(730)는 이송레일(720) 상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나아가 상하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단말기(740)는 학생 개인별 아이디가 저장된 개인관리용 단말기로 디스플레이, 카메라 및 안착센서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The terminal 740 is a personal management terminal in which an individual student ID is stored, and is configured to include a display, a camera, and a seating sensor.
특히 안착부재(730)는 단말기(740)를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부가 마련되며, 나아가 안착부재(730)를 이송레일(720)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구동유닛과, 안착부재(730)를 상하로 회동시키는 제2 구동유닛을 포함한다.In particular, the seating
상술한 공부시간 측정장치의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해보면, 먼저 학생이 자신의 단말기(740)를 안착부재(730)의 안착부에 안착시키면, 단말기(740) 하부의 안착센서에 의하여 상기 단말기(740)의 안착여부가 확인되며, 이로 인하여 단말기(740)는 해당 학생의 학습시간을 카운팅하기 시작한다. When explaining the specific operation of the above-described study time measuring device, first, when the student seats his/her
이후, 단말기(740)의 카메라는 해당 학생 방향의 영상을 지속적으로 검출하며, 해당 학생의 눈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상기 안착부재(730)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안착부재(730)의 이동 및 회전을 제어한다. Thereafter, the camera of the terminal 740 continuously detects the image in the direction of the student, and communicates with the seating
결국 단말기(740)가 카메라의 획득 영상에 기초하여 안착부재(730)의 제1 구동유닛 및 제2 구동유닛을 제어하는데, 단말기(740)의 카메라가 해당 학생의 눈 영상을 최초 검출하게 되면, 이후 단말기(740)의 카메라가 해당 학생의 눈을 지속적으로 추적하고, 추적에 기초하여 제1 구동유닛 및 제2 구동유닛을 지속적으로 제어하게 된다. Eventually, the terminal 740 controls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units of the
한편, 단말기(740)에 의한 제1 구동유닛 및 제2 구동유닛의 구동에도 불구하고 단말기(740)의 카메라가 해당 학생의 눈을 검출하지 못하는 경우, 해당 학생이 책상을 벗어났거나 책상 근처에 있지만 공부를 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단말기(740)는 학습시간의 카운팅을 정지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amera of the terminal 740 does not detect the pupil's eyes despite the driving of the first driving unit and the second driving unit by the terminal 740, the pupil has left the desk or is near the desk. However, it is determined that the study is not in progress, and the terminal 740 stops counting the learning time.
아울러, 단말기(740)의 카메라는 대상 학생의 눈의 깜빡임 및 시선 상태를 추적하고, 학생의 눈의 깜빡임이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지속되지 못할 경우 졸음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여 학습시간의 카운팅을 정지한다. In addition, the camera of the terminal 740 tracks the blinking and gaze state of the target student's eyes, and when the blinking of the student's eyes does not last for more than a preset time, it is determined that the student is in a drowsy state, and counting of the learning time is stopped.
또한, 학생의 시선이 미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여 미리 설정된 스터디 에어리어(Study Area)를 벗어난 경우에도 단말기(740)는 학습시간의 카운팅을 정지한다.In addition, the terminal 740 stops counting the learning time even when the student's gaze exceeds the preset time and deviates from the preset study area.
예를 들면 학생이 시선이 칠판을 향하거나 또는 책상 위를 향할 경우에는 학습시간의 카운팅을 계속 진행하지만, 학생의 시선이 칠판 및 책상 위가 아닌 다른 영역을 향하는 경우에는 학생이 공부를 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여 학습시간의 카운팅을 정지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student's gaze is directed toward the blackboard or on the desk, the counting of the learning time continues, but if the student's gaze is directed toward an area other than the blackboard and the desk, it means that the student is not studying. It is possible to stop counting the learning time by judging.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merely illustrative of some of the technical ideas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sinc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for explanation rather than limitation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Modifications and specific embodiments that can be easily inferre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included in the specification and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have to be interpreted.
100: 학업성취도 산출모듈 200: 학습시간 측정모듈
300: 학업등급 산출모듈 400: 테스트 생성모듈
500: 빅데이터 저장모듈 600: 트레이닝 데이터 생성모듈
700: 공부시간 측정장치100: academic achievement calculation module 200: learning time measurement module
300: academic grade calculation module 400: test generation module
500: big data storage module 600: training data generation module
700: study time measuring device
Claims (6)
상기 학생의 실제 학습시간을 측정하는 학습시간 측정모듈; 및
상기 학생의 학업성취도 및 학습시간을 포함하는 제1 특징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학생의 학업등급을 산출하는 학업등급 산출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학업성취도 산출모듈은 상기 학생의 학업성취도 테스트 응시횟수 및 상기 학업성취도 테스트 성적에 기초하여 상기 학업성취도를 산출하고,
상기 학업등급 산출모듈은 상기 학업성취도 및 학습시간과, 상기 학업등급과의 상관관계에 기초하여 설정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학생의 학업등급을 결정하고,
복수의 학생의 오답노트가 저장되되, 상기 학업등급 및 상기 오답노트에 기재된 문제에 기초하여 상기 테스트의 문제를 생성하는 테스트 생성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테스트 생성모듈은,
복수의 학생들이 작성한 오답노트들이 저장된 오답노트 저장부;
상기 학업등급을 고려하여 상기 오답노트 저장부에 기재된 문제들 중 해당 학생에 대한 맞춤형 문제들을 추출하는 문제 추출부;
상기 문제 추출부에서 추출한 문제들을 랜덤하게 배열하여 테스트를 생성하는 문제 배열부; 및
상기 테스트를 구성하는 문제를 제공한 학생에게 미리 결정된 포인트를 부여하는 보상부; 를 포함하고,
상기 알고리즘은 신경망 네트워크로 구성된 딥러닝 알고리즘으로 구현되되, 상기 신경망 네트워크는,
상기 제1 특징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층;
상기 입력층으로부터 상기 제1 특징데이터를 전달받되, 복수 개의 노드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개의 은닉층; 및
상기 은닉층의 연산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학생의 학업등급을 결정하는 출력층; 을 포함하고,
상기 노드에는 상기 노드로 전달되는 입력인자 및 상기 노드에서 출력되는 출력인자 간의 상관관계인 함수가 정의되고, 상기 함수는 가중치 및 바이어스를 포함하고,
복수의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테스트 응시횟수, 학업성취도 테스트 성적, 학습시간 및 실제 입시성적을 포함하는 빅데이터가 저장된 빅데이터 저장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중치 및 바이어스는 상기 빅데이터 저장모듈에 저장된 빅데이터를 트레이닝 데이터로 활용하여 신경망 네트워크 상에서 수행되는 머신러닝을 통하여 결정되며,
상기 가중치 및 바이어스를 결정하기 위한 트레이닝 데이터를 생성하는 트레이닝 데이터 생성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닝 데이터 생성모듈은,
상기 제1 특징데이터를 전달받아 미리 학습된 판별기준에 기초하여 상기 학생의 상기 학생의 학업등급을 결정하는 판별부; 및
상기 제1 특징데이터와 대응되는 제2 특징데이터를 생성하는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판별부는 생성적 대립 네트워크(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GAN)를 이용한 학습을 통하여 상기 판별기준을 생성하고, 상기 판별부는 상기 제1 특징데이터 및 제2 특징데이터를 구분할 수 있도록 학습되고, 상기 생성부는 상기 판별부가 상기 제1 특징데이터 및 제2 특징데이터를 구분할 수 없도록 학습되어 상기 제2 특징데이터를 생성하는 학습관리 시스템.
an academic achievement calculation module that calculates academic achievement based on th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test details;
a learning time measuring module for measuring the actual learning time of the student; and
an academic grade calculation module for calculating the student's academic grade based on first characteristic data including th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ing time;
including,
The academic achievement calculation module calculates the academic achievement based on the number of times the student takes the academic achievement test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test score,
The academic grade calculation module determines the academic grade of the student using an algorithm set based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ing time and the academic grade,
A plurality of students' incorrect answer notes are stored, and a test generation module for generating a problem of the test based on the academic grade and the problem described in the incorrect note note; further comprising, the test generating module,
an incorrect note storage unit in which the incorrect answer notes written by a plurality of students are stored;
a problem extracting unit for extracting customized problems for the student from among the problems listed in the incorrect note storage unit in consideration of the academic grade;
a problem arranging unit for randomly arranging the problems extracted by the problem extracting unit to generate a test; and
a reward unit for giving a predetermined point to a student who provided a problem constituting the test; including,
The algorithm is implemented as a deep learning algorithm composed of a neural network, wherein the neural network is
an input layer receiving the first characteristic data;
at least one hidden layer configured to receive the first feature data from the input layer and include a plurality of nodes; and
an output layer for determining the student's academic grade based on the operation result of the hidden layer; including,
A function that is a correlation between an input factor transmitted to the node and an output factor output from the node is defined in the node, and the function includes a weight and a bias;
A big data storage module that stores big data including the number of times a plurality of students take the academic achievement test, the academic achievement test scores, learning time, and actual entrance exam scores; further comprising,
The weight and bias are determined through machine learning performed on a neural network using the big data stored in the big data storage module as training data,
Further comprising; a training data generation module for generating training data for determining the weight and bias;
The training data generation module,
a determination unit for receiving the first characteristic data and determining the student's academic grade of the student based on a previously learned determination criterion; and
and a generator configured to generate second feature data corresponding to the first feature data;
The discrimination unit generates the discrimination criterion through learning using a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GAN), the discrimination unit is trained to distinguish the first characteristic data and the second characteristic data, and the generation unit is the A learning management system for generating the second characteristic data by learning so that the determining unit cannot distinguish the first characteristic data and the second characteristic data.
상기 학습시간 측정모듈은 공부시간 측정장치에 의하여 상기 학생의 실제 공부시간을 측정하되, 상기 공부시간 측정장치는,
상기 학생이 사용하는 책상의 일측에 형성되는 이송레일;
상기 이송레일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이송레일 기준으로 상하로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안착부재; 및
상기 안착부재에 안착되도록 형성되고, 안착센서 및 카메라를 구비하는 단말기;
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재는 상기 상기 단말기를 안착시키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재를 상기 이송레일을 따라 이동시키는 제1 구동유닛과, 상기 안착부재를 상하로 회동시키는 제2 구동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를 상기 안착부에 안착시키는 경우 상기 단말기는 상기 학생의 학습시간의 카운팅을 시작하는 학습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earning time measuring module measures the actual study time of the student by the study time measuring device, the study time measuring device,
a transfer rail formed on one side of the desk used by the student;
a seating member formed to move in a left and right direction along the transfer rail, the seating member being rotatable up and down based on the transfer rail; and
a terminal formed to be seated on the seating member and having a seating sensor and a camera;
including,
The seating member includes a seating part for seating the terminal, a first driving unit for moving the seating member along the transfer rail, and a second driving unit for rotating the seating member up and down,
When the terminal is seated in the seating unit, the terminal starts the counting of the student's learning time, the learning management system.
상기 안착부는 상기 카메라가 상기 학생의 눈을 검출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구동유닛 및 제2 구동유닛을 구동시키고,
상기 제1 구동유닛 및 제2 구동유닛의 구동에도 불구하고 상기 카메라가 상기 학생의 눈을 검출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는 상기 학습시간의 카운팅을 정지하는 학습관리 시스템.6. The method of claim 5,
The seating unit drives the first driving unit and the second driving unit so that the camera can detect the pupil's eyes,
In spite of the driving of the first driving unit and the second driving unit, if the camera does not detect the eyes of the student, the terminal stops counting the learning tim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18825A KR102304683B1 (en) | 2019-09-26 | 2019-09-26 | Learning management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18825A KR102304683B1 (en) | 2019-09-26 | 2019-09-26 | Learning management system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36627A KR20210036627A (en) | 2021-04-05 |
KR102304683B1 true KR102304683B1 (en) | 2021-09-24 |
Family
ID=75461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18825A KR102304683B1 (en) | 2019-09-26 | 2019-09-26 | Learning management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04683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61319B1 (en) * | 2021-04-16 | 2024-04-30 | 국립한국해양대학교산학협력단 | Ai-based university student db analysis integrated management and performance diffusion system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89163B1 (en) * | 2009-12-03 | 2011-12-05 |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Apparatus for providing learning contents and method thereof |
KR101129601B1 (en) * | 2009-05-15 | 2012-04-12 | 이정훈 | A system providing a setting question by an incorrect answer and method thereof |
KR101590817B1 (en) * | 2014-10-07 | 2016-02-02 |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Drowsiness using face image data |
KR101672144B1 (en) * | 2015-10-30 | 2016-11-03 | 박형용 | Individual order type learning and analyzing service method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75065A (en) | 2002-03-15 | 2003-09-22 | 주식회사 대양이앤씨 | Textbook manufacturing system on demand |
KR20190066849A (en) * | 2017-12-06 | 2019-06-14 | (주)자이네스 | Custom STEM e-learning platform based on big data and machine learning |
-
2019
- 2019-09-26 KR KR1020190118825A patent/KR102304683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29601B1 (en) * | 2009-05-15 | 2012-04-12 | 이정훈 | A system providing a setting question by an incorrect answer and method thereof |
KR101089163B1 (en) * | 2009-12-03 | 2011-12-05 |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Apparatus for providing learning contents and method thereof |
KR101590817B1 (en) * | 2014-10-07 | 2016-02-02 |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Drowsiness using face image data |
KR101672144B1 (en) * | 2015-10-30 | 2016-11-03 | 박형용 | Individual order type learning and analyzing service metho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36627A (en) | 2021-04-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eeley et al. | Mathematics formative assessment, volume 1: 75 practical strategies for linking assessment, instruction, and learning | |
Heuer | Psychology of intelligence analysis | |
Holmes | 12. Assessing Project Work by External Examiners | |
US20170278417A1 (en) | Evaluating test taking | |
Rapanta | Argumentation strategies in the classroom | |
Heuer | Cognitive factors in deception and counterdeception | |
O'meara | RTI With Differentiated Instruction, Grades K 5: A Classroom Teacher’s Guide | |
Sabourin et al. | Utilizing dynamic bayes nets to improve early prediction models of self-regulated learning | |
WO2020068895A1 (en) | Adaptable on-deployment learning platform for driver analysis output generation | |
KR102304683B1 (en) | Learning management system | |
Mayer | The role of metacognition in STEM games and simulations | |
Bock | Baxter Magolda's Epistemological Reflection Model. | |
Khan et al. | Integrated approach for the detection of learning styles and affective states | |
Ghazali et al. | Review of personalized learning approaches and methods in e-learning environment | |
Ruipérez-Valiente et al. | The affordances of multivariate elo-based learner modeling in game-based assessment | |
US20210110737A1 (en) | Data processing systems for processing and analyzing data regarding self-awareness and executive function | |
Simsek et al. | The Use of Expert Systems in Individualized Online Exams. | |
KR102304681B1 (en) | System for calculating study achievement and determining course class | |
Barrón-Estrada et al. | An intelligent and affective tutoring system within a social network for learning mathematics | |
Fernandez | Cognitive scaffolding for a web-based adaptive learning environment | |
Galvez et al. | Student knowledge diagnosis using item response theory and constraint-based modeling | |
Faraco et al. | Adaptivity in a learning companion system | |
Pesovski et al. | Perspective matters: A preliminary look into the differences between professor and student perception of test difficulty and their relationship with test performance | |
Goldman et al. | Human Learning and Development: Theoretical Perspectives to Inform Assessment Systems | |
Ritter et al. | Large-scale commercialization of AI in school-based environment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