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3053B1 - Method for Configuring of Adaptive Frame in Human Machine Interface System - Google Patents

Method for Configuring of Adaptive Frame in Human Machine Interface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3053B1
KR102303053B1 KR1020200027032A KR20200027032A KR102303053B1 KR 102303053 B1 KR102303053 B1 KR 102303053B1 KR 1020200027032 A KR1020200027032 A KR 1020200027032A KR 20200027032 A KR20200027032 A KR 20200027032A KR 102303053 B1 KR102303053 B1 KR 1023030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ze
scan time
response frame
frame
or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70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112010A (en
Inventor
김경래
Original Assignee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일렉트릭(주) filed Critical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to KR1020200027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3053B1/en
Publication of KR20210112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201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3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305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08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monitoring system
    • G05B23/0216Human interface functionality, e.g. monitoring system providing help to the user in the selection of tests or in its configura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5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e.g. simulating logic interconnections of signals according to ladder diagrams or function char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08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monitoring system
    • G05B23/0213Modular or universal configuration of the monitoring system, e.g. monitoring system having modules that may be combined to build monitoring program; monitoring system that can be applied to legacy systems; adaptable monitoring system; using different communication protocol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3Pc programming
    • G05B2219/23067Control, human or man machine interface, interactive, HMI, MMI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rogrammable Control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 시스템에서의 적응형 프레임 구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HMI(human machine interface)장치가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할 응답프레임의 크기를 설정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요청 프레임의 처리와 관련된 n(n>0, n++)차의 스캔 시간을 확인하는 단계, n-1차의 스캔 시간의 존재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n-1차의 스캔 시간의 존재여부를 기반으로 응답프레임의 크기를 재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다른 실시 예로도 적용이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figuring an adaptive frame in a human machine interface system, comprising the steps of: setting, by a human machine interface (HMI) device, the size of a response frame to be received from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system; at least one request frame; Checking the scan time of order n (n>0, n++) related to the processing of It includes the step of resetting the size of the frame, and may be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Description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 시스템에서의 적응형 프레임 구성방법{Method for Configuring of Adaptive Frame in Human Machine Interface System}Method for Configuring of Adaptive Frame in Human Machine Interface System

본 발명은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 시스템에서의 적응형 프레임 구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daptive frame construction method in a human machine interface system.

최근 자동화 장비의 사용분야가 다양해지고 요구되는 기능이 복잡해짐에 따라 자동화 장비를 운영자가 효과적으로 제어 및 감시하기 위한 사용자용 인터페이스 장치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자동화 장비의 제어 및 감시를 위한 사용자용 인터페이스 장치를 HMI(human machine interface)라 한다. Recently, as the fields of use of automation equipment become diversified and required functions become more complex, the need for a user interface device for an operator to effectively control and monitor the automation equipment is increasing. A user interface device for controlling and monitoring such automated equipment is referred to as a human machine interface (HMI).

일반적인 HMI시스템은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인버터, 로봇 등의 산업용 제어기의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직관적으로 표시하는 기능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제어 명령에 따라 산업용 제어기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HMI시스템은 산업용 제어기에 대한 상태 등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데이터를 그래프, 도형, 표 등의 시각 정보로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A general HMI system performs a function to intuitively display data of industrial controllers such as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inverter, and robot to the user, and to control the industrial controller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input from the user. More specifically, the HMI system receives data indicating the status of the industrial controller, converts the received data into visual information such as graphs, figures, and tables, and provides them to the user.

이러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HMI시스템은 주기적으로 산업용 제어기와의 통신을 수행한다. HMI시스템은 통신을 통해 산업용 제어기로 요청 프레임을 전송하고, 산업용 제어기로부터 요청 프레임에 대한 응답 프레임을 수신하여 산업용 제어기의 데이터를 확인한다. 일반적으로, 실제 제어 환경에서는 노이즈 유입, 네트워크 부하 등의 다양한 원인으로 스캔 시간(산업용 제어기로부터 데이터를 읽어오는 시간)이 증가할 수 있다. 그러나, 산업용 제어기로부터 수신되는 응답 프레임의 최대 크기는 30bytes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한 번에 많은 양의 데이터를 포함시킬 수 없어, 스캔 시간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To perform these operations, the HMI system periodically communicates with the industrial controller. The HMI system transmits a request frame to the industrial controller through communication and receives a response frame to the request frame from the industrial controller to check the industrial controller data. In general, in an actual control environment, the scan time (time to read data from the industrial controller) may increase due to various causes such as noise inflow and network load. However, since the maximum size of the response frame received from the industrial controller is fixed to 30 bytes, a large amount of data cannot be included at a time, so there is no way to prevent an increase in scan time.

이와 같이, 스캔 시간이 증가하는 경우, 사용자가 산업용 제어기의 데이터를 확인하고자 하는 시점에 제대로 확인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실제 제어 환경에 맞는 적응형 프레임을 구성하여 스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As such, when the scan time is increas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 cannot check the data of the industrial controller properly at the time when the user wants to check the data.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technology capable of minimizing the scan time by configuring an adaptive frame suitable for an actual control environment.

KR 2014-0114085 10KR 2014-0114085 10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HMI장치가 프레임의 최대 크기를 동적으로 조절함으로써 PLC시스템과 통신 시 스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 시스템에서의 적응형 프레임 구성방법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se conventional problems are directed to an adaptive frame configuration method in a human machine interface system in which the HMI device can minimize the scan time when communicating with the PLC system by dynamically adjusting the maximum frame size. it's abou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적응형 프레임 구성방법은, HMI(human machine interface)장치가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할 응답프레임의 크기를 설정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요청 프레임의 처리와 관련된 n(n>0, n++)차의 스캔 시간을 확인하는 단계, n-1차의 스캔 시간의 존재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n-1차의 스캔 시간의 존재여부를 기반으로 상기 응답프레임의 크기를 재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method for configuring an adaptive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setting, by a human machine interface (HMI) device, the size of a response frame to be received from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system, and processing of at least one request frame. Checking the scan time of the n (n>0, n++) order, checking the existence of the n-1st scan time, and the response frame based on the existence of the n-1st scan time and resetting the size.

또한, n-1차의 스캔 시간이 존재하면 상기 n-1차의 스캔 시간 및 상기 n차의 스캔 시간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응답프레임의 크기를 재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when the n-1st scan time exists, comparing the n-1st scan time with the nth scan time, and resetting the size of the response frame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characterized in that

또한, n차의 스캔 시간을 확인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PLC시스템과의 프레임 모니터링의 종료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fter the step of checking the n-th scan tim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checking whether the frame monitoring with the PLC system is finished.

또한, n차의 스캔 시간을 비교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n-1차의 스캔 시간과 상기 n차의 스캔 시간이 동일하면 상기 n차에 설정한 응답프레임의 크기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응답프레임의 크기를 최적의 크기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after the step of comparing the nth scan time, if the n-1st scan time and the nth scan time are the same, confirming the size of the response frame set in the nth order and the confirmed and setting the size of the response frame to an optimal size.

또한, 비교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응답프레임의 크기를 재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n차의 스캔 시간이 상기 n-1차의 스캔 시간보다 길면, 상기 n-1차에 설정한 응답프레임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n+1차에 대한 응답프레임의 크기를 재설정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step of resetting the size of the response frame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may include, if the nth scan time is longer than the n−1st scan time, it is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response frame set in the n−1st ord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step of resetting the size of the response frame for the n+1st order to the size.

또한, 비교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응답프레임의 크기를 재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n차의 스캔 시간이 상기 n-1차의 스캔시간보다 짧으면, 상기 n차에 설정한 응답프레임의 크기보다 크거나 작은 크기로 n+1차에 대한 응답프레임의 크기를 재설정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step of resetting the size of the response frame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if the n-th scan time is shorter than the n-1st scan time, is larger or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response frame set in the n-th ord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step of resetting the size of the response frame for the n+1st order to the siz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 시스템에서의 적응형 프레임 구성방법은, HMI장치가 프레임의 최대 크기를 동적으로 조절함으로써 PLC시스템과 통신 시 스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method for configuring an adaptive frame in the human machine interfa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the HMI device can minimize the scan time when communicating with the PLC system by dynamically adjusting the maximum frame size.

도 1은 종래에 HMI장치와 PLC시스템 사이의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적응형 프레임을 구성하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HMI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HMI장치와 PLC시스템 사이의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적응형 프레임을 구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 순서도이다.
1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an HMI device and a PLC system.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for configuring an adaptive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n HMI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an HMI device and a PLC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etailed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structing an adaptive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할 수 있고,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set forth below in conjunction with the appended drawings is intended to describ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intended to represent the only embodiments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may b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may be used for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또는”,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 중 하나를 나타내거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는 A 또는 B 중 하나만을 포함할 수 있고, A와 B를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pressions such as “or” and “at least one” may indicate one of the words listed together,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For example, “A or B” or “at least one of A and B” may include only one of A or B, or both A and B.

도 1은 종래에 HMI장치와 PLC시스템 사이의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1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an HMI device and a PLC system.

도 1을 참조하면, 101단계에서 HMI장치는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시스템과의 통신을 통해 PLC시스템에 포함된 복수의 모듈(이하, 디바이스라 함)에 대한 디바이스 정보를 수집한다. 이때, 디바이스는 CPU모듈, 통신모듈, 디지털 입/출력모듈, 서보 드라이브, 인버터 등일 수 있다. 디바이스 정보는 HMI장치에서 그래프, 도형, 표, 램프, 스위치 등의 시각 정보로 표시하고자 하는 데이터와 관련된 디바이스의 디바이스명, 디바이스의 시리얼 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103단계에서 HMI장치는 그래픽 요소를 생성한다. 이때, 그래픽 요소는 그래프, 도형, 표, 램프, 스위치 등과 같이 시각 정보로 표시하고자 하는 시각 정보의 종류를 의미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 in step 101, the HMI device collects device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modul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devices) included in the PLC system through communication with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system. In this case, the device may be a CPU module, a communication module, a digital input/output module, a servo drive, an inverter, and the like. The device information may include a device name and serial number of a device related to data to be displayed as visual information such as graphs, figures, tables, lamps, and switches in the HMI device. In step 103, the HMI device creates a graphic element. In this case, the graphic element may mean a type of visual information to be displayed as visual information, such as a graph, a figure, a table, a lamp, a switch, and the like.

105단계에서 HMI장치는 통신쓰레드와 그래픽쓰레드를 호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105단계에서 HMI장치는 호출된 통신쓰레드에 101단계에서 수집된 디바이스 정보를 적용하여 107단계 내지 115단계를 수행하고, 호출된 그래픽쓰레드에 103단계에서 생성된 그래픽 요소를 적용하여 117단계 내지 123단계를 수행한다. 이때, 쓰레드(thread)는 하나의 프로그램 또는 하나의 프로세스를 보다 작은 단위로 나눈 경량화된 프로세스를 의미할 수 있다. In step 105, the HMI device calls the communication thread and the graphics thread. More specifically, in step 105, the HMI device applies the device information collected in step 101 to the called communication thread to perform steps 107 to 115, and applies the graphic element generated in step 103 to the called graphic thread to 117 Steps to 123 are performed. In this case, a thread may refer to a lightweight process obtained by dividing one program or one process into smaller units.

107단계에서 HMI장치는 제1 요청프레임, 제2 요청프레임 및 제3 요청프레임을 포함하는 요청프레임을 구성한다. 이때, HMI장치는 101단계에서 수집된 디바이스 정보 중에서 시각 정보로 표시하고자 하는 항목과 관련된 데이터를 요청하기 위한 요청프레임을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HMI장치는 109단계 내지 113단계에서 제1 요청프레임, 제2 요청프레임 및 제3 요청프레임을 순차적으로 처리하고 115단계를 수행한다. 115단계에서 HMI장치는 요청프레임의 모니터링이 종료됨이 확인되면 상기 프로세스를 종료하고, 모니터링이 종료됨이 확인되지 않으면 109단계로 회귀하여 109단계 내지 113단계를 재수행할 수 있다. In step 107, the HMI device constructs a request frame including the first request frame, the second request frame, and the third request frame. In this case, the HMI device may configure a request frame for requesting data related to an item to be displayed as visual information among the device information collected in step 101 . Then, the HMI device sequentially processes the first request frame, the second request frame, and the third request frame in steps 109 to 113 and performs step 115 . In step 115,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monitoring of the request frame is finished, the HMI device ends the process.

보다 구체적으로, 통신쓰레드에서 PLC시스템과 통신을 시작할 때, 통신쓰레드는 그래픽 요소로 표시하고자 하는 디바이스로 전송하고자 하는 요청프레임을 구성한다. 예컨대, 그래픽 요소로 표시하고자 하는 디바이스들이 제1 디바이스, 제2 디바이스 및 제3 디바이스라고 할 때, HMI장치는 제1 디바이스 내지 제3 디바이스로 요청프레임을 전송하고, 요청프레임에 대응되는 응답프레임의 크기를 설정한다. 이때, HMI장치는 모니터링 종료가 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요청프레임의 전송 및 응답프레임의 수신을 통해 요청프레임을 처리하고, 제1 요청프레임 내지 제3 요청프레임이 처리되는 1사이클의 전체 시간을 스캔 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when the communication thread starts communication with the PLC system, the communication thread composes a request frame to be transmitted to the device to be displayed as a graphic element. For example, when devices to be displayed as graphic elements are a first device, a second device, and a third device, the HMI device transmits a request frame to the first device to the third device, and displays the response frame corresponding to the request frame. Set the size. At this time, the HMI device repeatedly processes the request frame through transmission of the request frame and reception of the response frame until the monitoring ends, and the scan time is the total time of one cycle during which the first to third request frames are processed. can be checked with

실제 제어 환경에서는 노이즈의 유입으로 인한 재시도 횟수 증가, 네트워크의 부하로 인한 망 자체의 성능 저하 등의 다양한 외부 원인으로 인해 스캔 시간이 증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네트워크의 부하로 인해 스캔 시간이 증가할 경우에는 응답프레임의 크기가 커지더라도 요청프레임 전송 및 응답프레임 수신의 횟수를 최소화하는 방식 즉, 응답프레임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요청프레임을 구성하고, 노이즈 유입으로 인해 스캔 시간이 증가할 경우에는 노이즈 유입을 최소화하기 위해 응답프레임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요청프레임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현재는 응답프레임의 크기가 30bytes이하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외부 원인에 실시간으로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In the actual control environment, the scan time increases due to various external causes, such as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retries due to the influx of noise and a decrease in the performance of the network itself due to a load on the network. As such, when the scan time increases due to network load, the request frame is configured in a way that minimizes the number of request frame transmission and response frame reception, that is, increasing the size of the response frame, even if the size of the response frame increases. , when the scan time is increased due to noise inflow, it is desirable to configure the request frame in a direction to decrease the size of the response frame in order to minimize the noise inflow. However, since the size of the response frame is currently set to 30 bytes or less,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cannot respond to such external causes in real time.

117단계에서 HMI장치는 제1 그래픽 랜더링을 수행하여 제1 윈도우를 표시한다. 이어서, 119단계에서 HMI장치는 제2 그래픽 랜더링을 수행하여 제2 윈도우를 표시하고, 121단계에서 HMI장치는 제3 그래픽 랜더링을 수행하여 제3 윈도우를 표시한다. 123단계에서 HMI장치는 그래픽쓰레드를 이용한 윈도우의 모니터링이 종료됨이 확인되면 상기 프로세스를 종료하고, 모니터링이 종료됨이 확인되지 않으면 117단계로 회귀하여 117단계 내지 123단계를 재수행할 수 있다.In step 117, the HMI device displays the first window by performing the first graphic rendering. Subsequently, in step 119, the HMI device performs a second graphic rendering to display a second window, and in step 121, the HMI device performs a third graphic rendering to display a third window. In step 123,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monitoring of the window using the graphic thread is finished, the HMI device terminates the process. If it is not confirmed that the monitoring is finished, the HMI device returns to step 117 and performs steps 117 to 123 again.

이때, 그래픽 랜더링은 그래픽 요소의 랜더링을 의미하며, 표시하고자 하는 그래픽 요소를 형성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그래픽 요소가 그래프일 경우, 제1 그래픽 랜더링은 표시하고자 하는 그래프의 포맷을 형성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아울러, 윈도우는 그래픽 랜더링을 통해 랜더링된 그래픽 요소가 표시될 화면을 의미하며 윈도우는 기본 화면에 팝업 또는 오버레이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In this case, graphic rendering means rendering of a graphic element, and may mean forming a graphic element to be displayed. For example, when the first graphic element is a graph, the first graphic rendering may mean forming a format of a graph to be displayed. In addition, the window means a screen on which a graphic element rendered through graphic rendering is displayed, and the window may be displayed in a pop-up or overlay form on the basic scree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적응형 프레임을 구성하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for configuring an adaptive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적응형 프레임 구성 시스템(200)은 HMI장치(300), PLC시스템(400)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 the adaptive frame configuration system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HMI device 300 and a PLC system 400 .

HMI장치(300)는 PLC시스템(400)에 포함된 디바이스들의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직관적으로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제어 명령에 따라 해당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HMI장치(300)는 디바이스들에 대한 상태 등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데이터를 그래프, 도형, 표 등의 시각 정보로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때, HMI장치(300)는 PLC시스템(400)과의 통신 시 스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응답프레임의 최적의 크기를 동적으로 설정한다. 하기의 도 3을 이용하여 HMI장치(300)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HMI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The HMI device 300 intuitively displays data of devices included in the PLC system 400 to the user, and performs 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device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input from the user. The HMI device 300 receives data indicating states of devices, converts the received data into visual information such as graphs, figures, tables, and the like, and provides them to the user. At this time, the HMI device 300 dynamically sets the optimal size of the response frame that can minimize the scan time during communication with the PLC system 400 . The HMI device 3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below. 3 is a view showing an HMI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HMI장치(300)는 통신부(310), 입력부(320), 표시부(330), 메모리(340) 및 제어부(35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3 , the HMI device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310 , an input unit 320 , a display unit 330 , a memory 340 , and a control unit 350 .

통신부(310)는 PLC시스템(400)에 포함된 CPU모듈(410)과의 통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통신부(310)는 RS-232, RS-485 등의 시리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통신부(310)는 시리얼 통신뿐 아니라, 다양한 이더넷 방식의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310 performs communication with the CPU module 410 included in the PLC system 400 . To this end, the communication unit 310 may perform serial communication such as RS-232 or RS-485.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310 may perform communication using various Ethernet methods as well as serial communication.

입력부(320)는 HMI장치(300)의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입력부(320)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수단을 포함한다. 이를 위해, 입력부(320)는 키보드, 마우스, 키패드, 돔 스위치, 터치패널, 터치 키 및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input unit 320 generates input data in response to a user input of the HMI device 300 . The input unit 320 includes at least one input means. To this end, the input unit 320 may include a keyboard, a mouse, a keypad, a dome switch, a touch panel, a touch key, and a button.

표시부(330)는 HMI장치(300)의 동작에 따른 출력 데이터를 출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표시부(330)는 PLC시스템(400)에 포함된 디바이스들에 대한 데이터를 기본 화면에 표시하고, 그래프, 도형, 표 등의 시각 정보가 표시된 윈도우를 기본 화면에 팝업 또는 오버레이 형태로 출력한다. 이를 위해, 표시부(330)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ED) 디스플레이,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MEMS;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디스플레이 및 전자 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330)는 입력부(320)와 결합되어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으로 구현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330 outputs output data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HMI device 300 . More specifically, the display unit 330 displays data on the devices included in the PLC system 400 on the basic screen, and displays a window displaying visual information such as graphs, figures, and tables in the form of a pop-up or overlay on the basic screen. print out To this end, the display unit 330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light emitting diode (LED) display,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lay, and a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 (MEMS). systems) displays and electronic paper displays. The display unit 330 may be combined with the input unit 320 to be implemented as a touch screen.

메모리(340)는 HMI장치(300)의 동작 프로그램들을 저장한다. 특히, 메모리(340)는 응답프레임 크기의 초기값을 저장할 수 있다. The memory 340 stores operation programs of the HMI device 300 . In particular, the memory 340 may store an initial value of the response frame size.

제어부(350)는 PLC시스템(400)과의 통신 시 PLC시스템(400)으로부터 수신되는 응답프레임의 최대 크기를 동적으로 조절하여 PLC시스템(400)과 통신 시 스캔 시간을 최소화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50)는 PLC시스템(400)과의 통신을 통해 PLC시스템(400)에 포함된 복수의 모듈(이하, 디바이스라 함)에 대한 디바이스 정보를 수집한다. 이때, 디바이스는 CPU모듈, 통신모듈, 디지털 입/출력모듈, 서보 드라이브, 인버터 등일 수 있다. 디바이스 정보는 제어부(350)에서 그래프, 도형, 표, 램프, 스위치 등의 시각 정보로 표시하고자 하는 데이터와 관련된 디바이스의 디바이스명, 디바이스의 시리얼 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50)는 그래픽 요소를 생성한다. 이때, 그래픽 요소는 그래프, 도형, 표, 램프, 스위치 등과 같이 시각 정보로 표시하고자 하는 시각 정보의 종류를 의미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50 dynamically adjusts the maximum size of a response frame received from the PLC system 400 during communication with the PLC system 400 to minimize the scan time during communication with the PLC system 400 . 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350 collects device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modul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devices) included in the PLC system 400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PLC system 400 . In this case, the device may be a CPU module, a communication module, a digital input/output module, a servo drive, an inverter, and the like. The device information may include a device name of a device related to data to be displayed as visual information such as a graph, a figure, a table, a lamp, a switch, and the like, and a serial number of the device by the controller 350 . The controller 350 generates a graphic element. In this case, the graphic element may mean a type of visual information to be displayed as visual information, such as a graph, a figure, a table, a lamp, a switch, and the like.

제어부(350)는 통신쓰레드와 그래픽쓰레드를 호출하여 통신쓰레드에 디바이스 정보를 적용하여 프레임의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350)는 응답프레임의 크기를 초기값으로 설정하고, 그래픽 요소에 대한 시각 정보로 데이터를 표시하고자 하는 디바이스로 전송할 요청프레임을 구성한다. 예컨대, 그래픽 요소로 표시하고자 하는 디바이스들이 제1 디바이스(420), 제2 디바이스(430) 및 제3 디바이스(440)라고 할 때, 제어부(350)는 제1 디바이스(420) 내지 제3 디바이스(440)로 요청프레임을 전송하고, 요청프레임에 대응되는 응답프레임의 크기를 초기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350 calls the communication thread and the graphic thread to apply device information to the communication thread to monitor the frame. To this end, the controller 350 sets the size of the response frame as an initial value, and configures a request frame to be transmitted to a device to display data as visual information on graphic elements. For example, when devices to be displayed as graphic elements are the first device 420 , the second device 430 , and the third device 440 , the controller 350 controls the first device 420 to the third device ( 440), and the size of a response frame corresponding to the request frame may be set as an initial value.

제어부(350)는 제1 요청프레임, 제2 요청프레임 및 제3 요청프레임을 처리하고 제1 요청프레임 내지 제3 요청프레임이 처리되는 n차의 스캔 시간을 확인한다. 이때, n은 0보다 큰 자연수이며, 1씩 증가할 수 있다. 제어부(350)는 모니터링의 종료가 확인될 때까지 응답프레임의 크기를 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350 processes the first request frame, the second request frame, and the third request frame, and checks the nth scan time during which the first to third request frames are processed. In this case, n is a natural number greater than 0, and may increase by 1. The controller 350 may dynamically control the size of the response frame until the end of monitoring is confirmed.

제어부(350)는 n차의 스캔 시간을 확인한 이후에 n-1차의 스캔 시간에 대한 존재여부를 확인하고, n-1차의 스캔 시간이 존재하지 않으면 제어부(350)는 n+1차에 대응되는 응답프레임의 크기를 재설정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50)는 n차에 설정된 응답프레임의 크기보다 작거나 크게 재설정할 수 있다. After checking the nth scan time, the control unit 350 checks whether the n-1st scan time exists, and if the n−1st scan time does not exist, the control unit 350 determines the n+1th scan time. The size of the corresponding response frame may be reset. In this case, the controller 350 may reset the size of the response frame set in the nth order to be smaller or larger than the size of the response frame.

반대로, 제어부(350)는 n-1차의 스캔 시간이 존재하면 n-1차와 n차의 스캔 시간을 비교한다. 비교결과, n-1차의 스캔 시간이 n차의 스캔 시간과 동일하면 제어부(350)는 n차에 설정된 응답프레임의 크기를 응답프레임의 최적의 크기로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350)는 n-1차의 스캔 시간이 n차의 스캔 시간보다 짧으면, n-1차에 설정한 응답프레임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n+1차에 대한 응답프레임의 크기를 재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50)는 n-1차의 스캔 시간이 n차의 스캔 시간보다 길면 n차에 설정한 응답프레임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n+1차에 대한 응답프레임의 크기를 재설정하거나, n차에 설정한 응답프레임의 크기보다 큰 크기로 n+1차에 대한 응답프레임의 크기를 재설정한다. Conversely, if the n-1st scan time exists, the control unit 350 compares the n-1st order and the nth order scan time.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if the n-th scan time is the same as the n-th scan time, the controller 350 may set the size of the response frame set in the n-th order as the optimal size of the response frame. If the n-1st scan time is shorter than the nth scan time, the control unit 350 may reset the size of the response frame for the n+1st order to a size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response frame set for the n-1st order. have. In addition, if the n-1st scan time is longer than the nth scan time, the control unit 350 resets the size of the response frame for the n+1st order to a size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response frame set for the nth order, or n The size of the response frame for the n+1st order is reset to a size larger than the size of the response frame set for the difference.

예컨대, 1차 스캔 시에 응답프레임의 크기를 1000bytes로 설정하여 스캔을 수행하였을 때의 스캔 시간이 100ms이고, 2차 스캔 시에 응답프레임의 크기를 1100bytes로 설정하여 스캔을 수행하였을 때의 스캔 시간이 120ms이면, 응답프레임의 크기가 증가하였을 때 스캔 시간이 증가하였으므로 제어부(350)는 응답프레임의 크기를 감소시키면서 최적값을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1차에 설정한 응답프레임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3차에 대한 응답프레임의 크기를 재설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can time is 100 ms when the size of the response frame is set to 1000 bytes in the first scan, and the scan time is when the scan is performed by setting the size of the response frame to 1100 bytes in the second scan. If this is 120 ms, since the scan time increases when the size of the response frame increases, the controller 350 can set the optimal value while decreasing the size of the response frame. In this case, the size of the response frame for the third order may be reset to a size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response frame set for the first time.

반대로, 1차 스캔 시에 응답프레임의 크기를 1000bytes로 설정하여 스캔을 수행하였을 때의 스캔 시간이 100ms이고, 2차 스캔 시에 응답프레임의 크기를 1100bytes로 설정하여 스캔을 수행하였을 때의 스캔 시간이 90ms이면, 응답프레임의 크기가 증가하였을 때 스캔 시간이 감소하였으므로 제어부(350)는 응답프레임의 크기를 증가시키면서 최적값을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2차에 설정한 응답프레임의 크기보다 큰 크기로 3차에 대한 응답프레임의 크기를 재설정할 수 있다.Conversely, the scan time is 100 ms when the size of the response frame is set to 1000 bytes in the first scan, and the scan time is when the scan is performed by setting the size of the response frame to 1100 bytes in the second scan. If this is 90 ms, since the scan time is decreased when the size of the response frame is increased, the controller 350 can set the optimal value while increasing the size of the response frame. In this case, the size of the response frame for the 3rd order may be reset to a size larger than the size of the response frame set in the 2nd time.

아울러, 제어부(350)는 통신쓰레드와 병렬적으로 동작하는 그래픽쓰레드에 그래픽 요소를 적용하여 통신쓰레드에서 처리된 요청프레임과 관련된 각 디바이스에 대한 데이터를 시각 정보로 표시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50 applies a graphic element to a graphic thread operating in parallel with the communication thread to display data for each device related to the request frame processed in the communication thread as visual information.

PLC시스템(400)은 기본 유닛의 역할을 수행하는 CPU모듈(410)과 CPU모듈(410)에 연결된 제1 디바이스(420), 제2 디바이스(430) 및 제3 디바이스(440)를 포함할 수 있고, CPU모듈(410)에 연결된 디바이스는 통신모듈, 디지털 입/출력모듈, 서보 드라이브, 인버터 등일 수 있다. CPU모듈(410)은 CPU모듈(410), 제1 디바이스(420) 내지 제3 디바이스(440) 각각에 대한 디바이스 정보를 HMI장치(300)로 전송하고, HMI장치(300)에서 시각 정보로 표시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확인하여 HMI장치(300)로 전송한다.The PLC system 400 may include a CPU module 410 serving as a basic unit, and a first device 420 , a second device 430 and a third device 440 connected to the CPU module 410 . The device connected to the CPU module 410 may be a communication module, a digital input/output module, a servo drive, an inverter, and the like. The CPU module 410 transmits device information for each of the CPU module 410 and the first device 420 to the third device 440 to the HMI device 300 and displays it as visual information on the HMI device 300 . The desired data is checked and transmitted to the HMI device 300 .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HMI장치와 PLC시스템 사이의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an HMI device and a PLC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401단계에서 제어부(350)는 PLC시스템(400)과의 통신을 통해 PLC시스템(400)에 포함된 복수의 모듈(이하, 디바이스라 함)에 대한 디바이스 정보를 수집한다. 이때, 디바이스는 CPU모듈, 통신모듈, 디지털 입/출력모듈, 서보 드라이브, 인버터 등일 수 있다. 디바이스 정보는 제어부(350)에서 그래프, 도형, 표, 램프, 스위치 등의 시각 정보로 표시하고자 하는 데이터와 관련된 디바이스의 디바이스명, 디바이스의 시리얼 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403단계에서 제어부(350)는 그래픽 요소를 생성한다. 이때, 그래픽 요소는 그래프, 도형, 표, 램프, 스위치 등과 같이 시각 정보로 표시하고자 하는 시각 정보의 종류를 의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in step 401 , the control unit 350 collects device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modul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devices) included in the PLC system 400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PLC system 400 . In this case, the device may be a CPU module, a communication module, a digital input/output module, a servo drive, an inverter, and the like. The device information may include a device name of a device related to data to be displayed as visual information such as a graph, a figure, a table, a lamp, a switch, and the like, and a serial number of the device by the controller 350 . In step 403, the control unit 350 generates a graphic element. In this case, the graphic element may mean a type of visual information to be displayed as visual information, such as a graph, a figure, a table, a lamp, a switch, and the like.

405단계에서 제어부(350)는 통신쓰레드와 그래픽쓰레드를 호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405단계에서 제어부(350)는 호출된 통신쓰레드에 401단계에서 수집된 디바이스 정보를 적용하여 407단계를 수행하고, 호출된 그래픽쓰레드에 403단계에서 생성된 그래픽 요소를 적용하여 409단계 내지 415단계를 수행한다. 이때, 409단계 내지 415단계는 도 1의 117단계 내지 123단계와 각각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In step 405, the controller 350 calls the communication thread and the graphics thread. More specifically, in step 405, the control unit 350 applies the device information collected in step 401 to the called communication thread to perform step 407, and applies the graphic element generated in step 403 to the called graphics thread in step 409. Steps to 415 are performed. In this case, since steps 409 to 415 are the same as steps 117 to 123 of FIG. 1 ,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407단계에서 제어부(350)는 통신쓰레드를 이용하여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이때, 407단계는 하기의 도 5를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적응형 프레임을 구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 순서도이다. In step 407, the control unit 350 performs monitoring using a communication thread. In this case, step 407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below. 5 is a detailed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structing an adaptive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501단계에서 제어부(350)는 응답프레임의 크기를 초기값으로 설정한다. 예컨대, 제어부(350)는 응답프레임 크기의 초기값은 1000bytes로 설정될 수 있으며, 변경적용이 가능하다. 503단계에서 제어부(350)는 요청프레임을 구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50)는 통신쓰레드에서 PLC시스템(400)과 통신을 시작할 때, 통신쓰레드는 그래픽 요소로 표시하고자 하는 디바이스로 전송하고자 하는 요청프레임을 구성한다. 예컨대, 그래픽 요소로 표시하고자 하는 디바이스들이 제1 디바이스(420), 제2 디바이스(430) 및 제3 디바이스(440)라고 할 때, 제어부(350)는 제1 디바이스(420) 내지 제3 디바이스(440)로 요청프레임을 전송하고, 요청프레임에 대응되는 응답프레임의 크기를 초기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 in step 501, the controller 350 sets the size of a response frame to an initial value. For example, the controller 350 may set the initial value of the response frame size to 1000 bytes, and a change may be applied. In step 503, the controller 350 configures a request frame. More specifically, when the control unit 350 starts communication with the PLC system 400 in the communication thread, the communication thread configures a request frame to be transmitted to a device to be displayed as a graphic element. For example, when devices to be displayed as graphic elements are the first device 420 , the second device 430 , and the third device 440 , the controller 350 controls the first device 420 to the third device ( 440), and the size of a response frame corresponding to the request frame may be set as an initial value.

505단계 내지 509단계에서 제어부(350)는 제1 요청프레임, 제2 요청프레임 및 제3 요청프레임을 처리하고 511단계를 수행한다. 511단계에서 제어부(350)는 n차의 스캔 시간을 확인한다. 이때, n은 0보다 큰 자연수이며, 1씩 증가할 수 있다. 513단계에서 제어부(350)는 모니터링의 종료가 확인되면 해당 프로세스를 종료하고, 모니터링의 종료가 확인되지 않으면 515단계를 수행한다. In steps 505 to 509, the controller 350 processes the first request frame, the second request frame, and the third request frame, and performs step 511. In step 511, the control unit 350 checks the nth scan time. In this case, n is a natural number greater than 0, and may increase by 1. In step 513 , when the end of monitoring is confirmed, the control unit 350 terminates the process, and when the end of monitoring is not confirmed, step 515 is performed.

515단계에서 제어부(350)는 n-1차의 스캔 시간에 대한 존재여부를 확인한다. 515단계의 확인결과 n-1차의 스캔 시간이 존재하면 517단계를 수행하고, n-1차의 스캔 시간이 존재하지 않으면 제어부(350)는 501단계로 회귀하여 501단계 내지 513단계를 재수행한다. 반대로, 515단계에서 n-1차의 스캔 시간이 존재하면 제어부(350)는 517단계를 수행한다. 517단계에서 제어부(350)는 n-1차와 n차의 스캔 시간을 비교한다. 519단계에서 제어부(350)는 응답프레임 크기의 재설정이 필요하면 501단계로 회귀하여 501단계 내지 517단계를 재수행하고, 응답프레임 크기의 재설정이 필요하지 않으면 505단계로 회귀하여 505단계 내지 517단계를 재수행한다. In step 515, the control unit 350 checks whether there is an n-1st scan time. As a result of the check in step 515, if the n-1st scan time exists, step 517 is performed. If the n-1st scan time does not exist, the controller 350 returns to step 501 and performs steps 501 to 513 again. . Conversely, if the n-1st scan time exists in step 515 , the controller 350 performs step 517 . In step 517, the control unit 350 compares the scan times of the n-1st order and the nth order. In step 519, if it is necessary to reset the response frame size, the controller 350 returns to step 501 and re-performs steps 501 to 517, and if it is not necessary to reset the response frame size, returns to step 505 and performs steps 505 to 517 redo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50)는 n-1차와 n차의 스캔 시간을 비교하여 n-1차의 스캔 시간이 n차의 스캔 시간과 동일하면 n차에 설정된 응답프레임의 크기를 응답프레임의 최적의 크기로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350)는 n-1차의 스캔 시간이 n차의 스캔 시간보다 짧으면, n-1차에 설정한 응답프레임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n+1차에 대한 응답프레임의 크기를 재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50)는 n-1차의 스캔 시간이 n차의 스캔 시간보다 길면 n차에 설정한 응답프레임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n+1차에 대한 응답프레임의 크기를 재설정하거나, n차에서 설정한 응답프레임의 크기보다 큰 크기로 n+1차에 대한 응답프레임의 크기를 재설정한다. 이는 하기의 표 1 및 표 2를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350 compares the n-1st scan time with the nth scan time, and when the n−1st scan time is the same as the nth scan time, the size of the response frame set in the nth order is the size of the response frame. You can set it to the optimal size. If the n-1st scan time is shorter than the nth scan time, the control unit 350 may reset the size of the response frame for the n+1st order to a size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response frame set for the n-1st order. have. In addition, if the n-1st scan time is longer than the nth scan time, the control unit 350 resets the size of the response frame for the n+1st order to a size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response frame set for the nth order, or n The size of the response frame for the n+1st order is reset to a size larger than the size of the response frame set in the difference. This will be described with examples of Tables 1 and 2 below.

스캔 회차scan rounds 응답프레임의 최대 크기(bytes)Maximum size of response frame (bytes) 스캔 시간(ms)Scan time (ms) 1One 10001000 100100 22 11001100 120120 33 900900 9090 44 800800 8080 55 700700 7070 66 600600 7070

상기 표 1은 1000bytes로 설정된 응답프레임의 최대 크기가 HMI장치(300)와 PLC시스템(400)의 통신 상황에 적용하기 큰 값으로, 응답프레임의 최대 크기를 줄여가면서 최적의 크기를 설정하는 예를 나타낸 표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50)는 1차 스캔 시에 응답프레임의 최대 크기를 1000bytes로 설정하여 제1 요청프레임 내지 제3 요청프레임을 처리한 1차의 스캔 시간이 100ms임을 확인할 수 있다. 연속적으로 제어부(350)는 응답프레임의 최대 크기를 1100bytes로 증가시켜 요청프레임을 처리한 2차의 스캔 시간이 120ms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350)는 2차의 스캔 시간이 1차의 스캔 시간보다 긴 것으로 확인되었으므로, 3차 스캔 시의 응답프레임의 최대 크기를 1차 스캔 시의 최대 크기인 1000bytes보다 작은 900bytes로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350)는 3차의 스캔 시간이 90ms인 것으로 확인되면, 응답프레임의 최대 크기를 점차 줄여가면서 4차 내지 6차의 스캔 시간을 확인한다. 확인결과, 5차의 스캔 시간과 6차의 스캔 시간이 70ms로 동일하게 확인되었으므로, 제어부(350)는 6차에 설정된 600bytes를 응답프레임의 최적 크기로 설정할 수 있다. Table 1 above shows an example of setting the optimal size while reducing the maximum size of the response frame, where the maximum size of the response frame set to 1000 bytes is a large value to be applied to the communication situation between the HMI device 300 and the PLC system 400. table shown. 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350 sets the maximum size of the response frame to 1000 bytes during the first scan to confirm that the first scan time for processing the first to third request frames is 100 ms. Successively, the controller 350 increases the maximum size of the response frame to 1100 bytes, thereby confirming that the second scan time for processing the request frame is 120 ms. In this way, since the second scan time is confirmed to be longer than the first scan time, the control unit 350 sets the maximum size of the response frame at the time of the third scan to 900 bytes, which is smaller than the maximum size of 1000 bytes at the time of the first scan. can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third scan time is 90 ms, the control unit 350 checks the fourth to sixth scan times while gradually decreasing the maximum size of the response frame. As a result of the confirmation, since the 5th scan time and the 6th scan time are the same as 70 ms, the controller 350 may set 600 bytes set in the 6th order as the optimal size of the response frame.

스캔 회차scan rounds 응답프레임의 최대 크기(bytes)Maximum size of response frame (bytes) 스캔 시간(ms)Scan time (ms) 1One 10001000 100100 22 11001100 9090 33 12001200 8080 44 13001300 8080

상기 표 2는 1000bytes로 설정된 응답프레임의 최대 크기가 HMI장치(300)와 PLC시스템(400)의 통신 상황에 적용하기 작은 값으로, 응답프레임의 최대 크기를 증가시키면서 최적의 크기를 설정하는 예를 나타낸 표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50)는 1차 스캔 시에 응답프레임의 최대 크기를 1000bytes로 설정하여 제1 요청프레임 내지 제3 요청프레임을 처리한 1차의 스캔 시간이 100ms임을 확인할 수 있다. 연속적으로 제어부(350)는 응답프레임의 최대 크기를 1100bytes로 증가시켜 요청프레임을 처리한 2차의 스캔 시간이 90ms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350)는 2차의 스캔 시간이 1차의 스캔 시간보다 짧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므로, 3차 스캔 시의 응답프레임의 최대 크기를 2차 스캔 시의 최대 크기인 1100보다 큰 1200bytes로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350)는 3차의 스캔 시간이 80ms인 것으로 확인되면, 응답프레임의 최대 크기를 1300bytes로 증가시켜 4차의 스캔 시간을 확인한다. 확인결과, 3차의 스캔 시간과 4차의 스캔 시간이 80ms로 동일하게 확인되었으므로, 제어부(350)는 4차에 설정된 1300bytes를 응답프레임의 최적 크기로 설정할 수 있다.이와 같이, 제어부(350)는 PLC시스템(400)과 통신 시 다양한 외부 원인으로 인해 증가되는 스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응답프레임의 최적의 크기를 동적으로 설정함으로써 HMI장치(300)와 PLC시스템(400)간의 통신을 최적화할 수 있다. Table 2 shows an example of setting the optimal size while increasing the maximum size of the response frame, where the maximum size of the response frame set to 1000 bytes is a small value to be applied to the communication situation between the HMI device 300 and the PLC system 400. table shown. 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350 sets the maximum size of the response frame to 1000 bytes during the first scan to confirm that the first scan time for processing the first to third request frames is 100 ms. Successively, the controller 350 increases the maximum size of the response frame to 1100 bytes, thereby confirming that the second scan time for processing the request frame is 90 ms.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ontrol unit 350 confirmed that the second scan time is shorter than the first scan time, set the maximum size of the response frame at the time of the third scan to 1200 bytes, which is larger than the maximum size of 1100 at the time of the second scan. can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third scan time is 80 ms, the control unit 350 increases the maximum size of the response frame to 1300 bytes to check the fourth scan time. As a result of the confirmation, since the third scan time and the fourth scan time were confirmed to be the same as 80 ms, the control unit 350 may set 1300 bytes set in the fourth order as the optimal size of the response frame. In this way, the control unit 350 can optimize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HMI device 300 and the PLC system 400 by dynamically setting the optimal size of the response frame that can minimize the scan time increased due to various external causes when communicating with the PLC system 400. can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merely provided for specific examples in order to easily explain the technical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ing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based o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6)

HMI(human machine interface)장치가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할 응답프레임의 크기를 설정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요청 프레임의 처리와 관련된 n(n>0, n++)차의 스캔 시간을 확인하는 단계;
n-1차의 스캔 시간의 존재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n-1차의 스캔 시간의 존재여부를 기반으로 상기 응답프레임의 크기를 재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프레임 구성방법.
setting a size of a response frame to be received by a human machine interface (HMI) device from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system;
checking a scan time of order n (n>0, n++) related to processing of at least one request frame;
checking whether there is an n-1st scan time; and
resetting the size of the response frame based on the existence of the n-1st scan time;
Adaptive frame construction method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1차의 스캔 시간이 존재하면 상기 n-1차의 스캔 시간 및 상기 n차의 스캔 시간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응답프레임의 크기를 재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프레임 구성방법.
According to claim 1,
comparing the n-1st scan time with the nth scan time if the n-1st scan time exists; and
resetting the size of the response frame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Adaptive frame construction method comprising a.
제2항에 있어서,
상기 n차의 스캔 시간을 확인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PLC시스템과의 프레임 모니터링의 종료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프레임 구성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After confirming the scan time of the nth order,
checking whether frame monitoring with the PLC system is finished;
Adaptive frame construction method further comprising a.
제3항에 있어서,
상기 n차의 스캔 시간을 비교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n-1차의 스캔 시간과 상기 n차의 스캔 시간이 동일하면 상기 n차에 설정한 응답프레임의 크기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응답프레임의 크기를 최적의 크기로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프레임 구성방법.
4. The method of claim 3,
After comparing the scan times of the nth order,
checking the size of the response frame set in the nth order if the n-1st scan time and the nth scan time are the same; and
setting the size of the checked response frame to an optimal size;
Adaptive frame construction method comprising a.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응답프레임의 크기를 재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n차의 스캔 시간이 상기 n-1차의 스캔 시간보다 길면, 상기 n-1차에 설정한 응답프레임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n+1차에 대한 응답프레임의 크기를 재설정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프레임 구성방법.
4. The method of claim 3,
The step of resetting the size of the response frame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comprises:
If the nth scan time is longer than the n−1st scan time, resetting the size of the response frame for the n+1st order to a size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response frame set for the n−1st order An adaptive frame construction method characterized by th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응답프레임의 크기를 재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n차의 스캔 시간이 상기 n-1차의 스캔시간보다 짧으면, 상기 n차에 설정한 응답프레임의 크기보다 크거나 작은 크기로 n+1차에 대한 응답프레임의 크기를 재설정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프레임 구성방법.
4. The method of claim 3,
The step of resetting the size of the response frame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comprises:
If the nth scan time is shorter than the n-1st scan time, resetting the size of the response frame for the n+1st order to a size larger or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response frame set for the nth order An adaptive frame construction method characterized by the.
KR1020200027032A 2020-03-04 2020-03-04 Method for Configuring of Adaptive Frame in Human Machine Interface System KR1023030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7032A KR102303053B1 (en) 2020-03-04 2020-03-04 Method for Configuring of Adaptive Frame in Human Machine Interface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7032A KR102303053B1 (en) 2020-03-04 2020-03-04 Method for Configuring of Adaptive Frame in Human Machine Interface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2010A KR20210112010A (en) 2021-09-14
KR102303053B1 true KR102303053B1 (en) 2021-09-15

Family

ID=77774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7032A KR102303053B1 (en) 2020-03-04 2020-03-04 Method for Configuring of Adaptive Frame in Human Machine Interface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3053B1 (e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4085A (en) 2013-03-18 2014-09-2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Method for Device Control with Human Machine Interface System
KR101830392B1 (en) * 2016-06-24 2018-02-21 주식회사 알엘케이 Real-time industrial storaging system and storaging method utilizing hmi and big data technolog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2010A (en) 2021-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99080B1 (en) Configurable PLC and SCADA-based control system
EP2148259B1 (en) Field device management apparatus and field device management system
US11809697B2 (en) Procedure for configuring a modular safety switching device
US7500597B2 (en) Configurable interface configuration method and system using a remote interface
US20070260982A1 (en) Runtime human-machine interface for process control having enhanced graphical views of detailed control information
US20070239291A1 (en) Runtime human-machine interface for process control having enhanced view hierarchy navigation controls
US8683365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emiconductor manufacturing equipment using user interface
US20120182285A1 (en) System for the visualization of status information of field devices
CN101566909A (en) Multiwindow operation interface display method
US10558184B2 (en) Weakly-typed dataflow infrastructure with standalone, configurable connections
US9632496B2 (en) Engineering apparatus which associates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data with human machine interface data
CN110874447A (en) System and method for embedding web framework in process graphics
US20100083110A1 (en) Human-machine interface having multiple touch display navigation capabilities
KR102303053B1 (en) Method for Configuring of Adaptive Frame in Human Machine Interface System
US20050192684A1 (en) Device for automating machine tools or production machines
KR102305901B1 (en) Method for Display Displaying of Human Machine Interface System
US20130238104A1 (en) System design device
EP3410238B1 (en) Grouping of actors in a building automation system
JP2016151812A (en) Facility monitoring system, facility monitoring method, and engineering system
KR100785476B1 (en) System and Method for setting the dynamic link of MMI
KR100292880B1 (en) Method for confirming processing state of control command
JP5489781B2 (en) Supervisory control system
JPH05177511A (en) Numerical control device
KR20220105799A (en) Method for Providing of User Interface for Designing of Data Model
KR20090092119A (en) Control system for semiconductor device and establishing method of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