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1904B1 - 의복형 좌석 상체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의복형 좌석 상체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1904B1
KR102301904B1 KR1020190099406A KR20190099406A KR102301904B1 KR 102301904 B1 KR102301904 B1 KR 102301904B1 KR 1020190099406 A KR1020190099406 A KR 1020190099406A KR 20190099406 A KR20190099406 A KR 20190099406A KR 102301904 B1 KR102301904 B1 KR 102301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wrapping
upper body
use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9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0310A (ko
Inventor
손봉우
Original Assignee
손봉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봉우 filed Critical 손봉우
Priority to KR1020190099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1904B1/ko
Publication of KR20210020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03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1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19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2Construction of belts or harnesses
    • B60R22/14Construction of belts or harnesses incorporating enlarged restraint areas, e.g. vests, nets, crash pads, optionally for childr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2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or animals
    • B60R22/105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or animals for childr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6Anchoring devices secured to th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1/00Passenger or crew accommodation; Flight-deck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11/0015Arrangements for entertainment or communications, e.g. radio, television
    • B64D11/00151Permanently mounted seat back mon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1/00Passenger or crew accommodation; Flight-deck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11/06Arrangements of seats, or adaptation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seats
    • B64D11/062Belts or other passenger restraint means for passenger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65Type of vehicles
    • B60R2021/0067B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65Type of vehicles
    • B60R2021/0093Aircr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50Aeroplanes, Helicopters
    • B60Y2200/51Aeropl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방측에 상하 수직방향을 따라서 전방측을 개방 및 폐쇄시키는 개폐부가 구비되며 좌석에 앉아 있는 사용자의 상체와 좌석을 함께 덮어 씌워 사용자를 좌석에 고정시킴과 동시에 소정 탄성을 지닌 직물로 이루어지는 감쌈부를 포함하는 의복형 좌석 상체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의복형 좌석 상체 고정장치{Textile type upper body supporting apparatus in seat}
본 발명은 좌석에 앉는 착석자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의복 형태로 이루어지며 어린이나 거동이 불편한 환자의 상체를 비행기 등의 좌석에 고정이 가능하도록 하되 상황에 따라서 좌석에 착석한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의복형 좌석 상체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여행 인구가 크게 늘어나면서 자동차나 기차 또는 비행기 여행 중에 좌석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대표적인 것으로서, 어린이를 착석시키고 좌석에 고정시키는 유아용 시트가 있는데, 이러한 유아용 시트는 가격이 고가일 뿐 아니라 들고 다니기에는 부피 및 무게가 상당하며 특히 아주 어린 저연령대의 어린이들만 사용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장시간 비행기나 차량 등을 이용 시 좌석에 착석한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목베개 등도 많이 개발되고 있으나, 이러한 목베개는 어린이들이나 몸을 가누기 힘든 환자들은 사용하기가 어려우며 상체가 고정되지 않는 한 좌석에 장시간 착용한 상태에서 이용하는데 큰 도움이 되지 못하였다.
이에 따라 장시간 착석 시 어린이나 환자 등의 상체를 편안한 상태로 지지하여 줄 수 있는 고정장치의 개발이 필요하였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74037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어린이나 거동이 불편한 사람들이 좌석에 착석 시 좌석의 등받이부에 편안하면서도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이루도록 하되, 상황에 따라서 사용자의 머리가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의복형 좌석 상체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방측에 상하 수직방향을 따라서 전방측을 개방 및 폐쇄시키는 개폐부가 구비되며 좌석에 앉아 있는 사용자의 상체와 좌석을 함께 덮어 씌워 사용자를 좌석에 고정시킴과 동시에 소정 탄성을 지닌 직물로 이루어지는 감쌈부를 포함하는 의복형 좌석 상체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감쌈부의 전방에 하측에서부터 상측까지 구비되되, 하측에서부터 상측 선택된 높이까지 폐쇄시키는 쟈크모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부 양측으로 상기 감쌈부는 사용자의 머리 양측을 지지하는 튜브 형태의 지지튜브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쌈부는 후방측에 좌석 후방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창이 노출되도록 하는 개방부가 형성되되, 상기 개방부를 선택적으로 덮어 감싸는 커버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복형 좌석 상체 고정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어린이나 거동이 불편한 환자 등이 장시간 비행기나 차량을 이용 시 좌석에 상체를 편안하면서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둘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튜브부를 팽창시키어 좌석에 고정시킨 어린이나 환자 등의 머리가 처지는 것을 방지하고 보다 편안한 승차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셋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좌석에 고정시킨 어린이나 환자 등의 상체를 감싸도록 하되 팔은 선택에 따라 외부로 빼낼 수 있게 되어 보다 편리하면서도 안락한 고정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복형 좌석 상체 고정장치가 개방된 상태에서 전방측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복형 좌석 상체 고정장치가 개방된 상태에서 후방측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복형 좌석 상체 고정장치가 잠겨진 상태에서 전방측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지지튜브부 내 공기가 빠진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지지튜브부 내 공기가 충진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복형 좌석 상체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좌석에 사용자를 고정시킨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전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복형 좌석 상체 고정장치를 좌석에 고정시킨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후면도;
도 8은 쟈크모듈에 덮개천부가 덮어 감싸지는 모습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9는 쟈크모듈에 덮개천부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복형 좌석 상체 고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복형 좌석 상체 고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및
도 12는 상기 도 11에 도시된 의복형 좌석 상체 고정장치를 좌석에 설치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복형 좌석 상체 고정장치가 개방된 상태에서 전방측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복형 좌석 상체 고정장치가 개방된 상태에서 후방측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복형 좌석 상체 고정장치가 잠겨진 상태에서 전방측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복형 좌석 상체 고정장치(101)는 감쌈부(110), 개폐부(121, 125), 지지튜브부(130), 벨트부(172)를 포함한다.
상기 감쌈부(110)는 좌석에 앉아 있는 사용자의 상체와 좌석(10)을 함께 덮어 씌워 사용자의 상체를 좌석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서, 좌석(10)은 등받이부(11)와 착석부(12)로 구성되되 상기 감쌈부(110)는 등받이부(11)와 사용자를 동시에 감싸도록 구성된다(도 6 참조).
그리고, 상기 감쌈부(110)는 소정 탄성을 가지는 직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반적인 의류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감쌈부(110)는 좌석이 등받이부(11)를 둘러 감싼 상태에서 감쌈부(110)의 일단부와 타단부가 맞닿게 되는 전방측에 상하 수직방향을 따라서 상기 감쌈부(110)의 전방측을 개방 및 폐쇄시키는 개폐부(121, 125)가 구비된다.
도시된 것처럼, 상기 개폐부(121, 125)는 상기 감쌈부(110)의 전방에 하측에서부터 상측까지 구비되되, 하측에서부터 상측 선택된 높이까지 폐쇄시킬 수 있도록 하는 맞물림부(121)와 쟈크모듈(125)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맞물림부(121)와 쟈크모듈(125)은 기 공지된 쟈크 형태가 적용될 수 있으며,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본 실시예에 따른 감쌈부(110)는 좌석의 등받이부에 어린이나 환자의 상체를 등받이부와 함께 덮어 감싸도록 한 후에 사용자의 머리가 외부에 노출될 정도까지 감쌈부(110)의 전방측을 폐쇄시킬 수 있게 된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상기 개폐부는 상하 방향을 따라서 소정 이격된 간격마다 상기 감쌈부의 일단부와 타단부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로 구비되는 단추공(미도시)과 단추(미도시)로 이루어지고, 선택된 높이까지 단추를 단추공에 채움으로써 감쌈부(110)의 전방측을 폐쇄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의복형 좌석 상체 고정장치(101)는 상기 감쌈부(110)의 전방측을 폐쇄시킨 경우 감쌈부(110) 내측 상부에 양측 대칭으로 상기 지지튜브부(130)가 구비되며, 상기 감쌈부(110)의 외측으로는 상기 지지튜브부(130)로 공기를 주입하거나 빼내어 지지튜브부(130)를 팽창 또는 수축시키는 공기주입부(138)가 구비된다(도 4, 도 5 참조).
도 1 및 도 3 에서는 상기 지지튜브부(130)가 팽창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지지튜브부(130)와 공기주입부(138)는 공지된 기술이 적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머리 양측 위치로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상황에 따라서 상기 지지튜브부(130)를 팽창시킴으로써 사용자의 머리가 좌우 어느 일측으로 쳐지지 않고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이룬다.
이때, 상기 지지튜브부(130)는 표면에 별도로 부드러운 천재질이나 부직포가 적용되어 사용자의 머리 양측 피부와 접촉 시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심미감도 가져올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튜브부(130)는 도시된 형태에 국한되지 않고 "c"자형이나 "ㄷ"자형 등 다양한 형태로도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감쌈부(110)는 후방측 대략 중앙부에 상기 감쌈부(110)를 좌석의 등받이부(11)에 덮어 씌우는 경우 등받이부(11) 후방측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좌석 후방측 좌석에 착석한 사용자에게 영화나 정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창이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개방부(115)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감쌈부(110)의 개방부(115)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커버부(140)가 추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개방부(115) 주변 및 커버부(140) 둘레부에는 벨크로부(112)가 구비되어 상기 감쌈부(110)에 상기 커버부(140)가 벨트로 방식으로 부착 또는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벨트부(172)는 상기 감쌈부(110)의 후방측에 양측으로 구비되어 좌석의 등받이부(11)를 감싸는 형태로 일측 벨트부(172)의 단부에 구비된 벨트체결모듈(175)에 의하여 양측 벨트부(172)가 결합된 상태를 이루도록 구비된다.
상기 벨트부(172)는 본 실시예에 따른 감쌈부(110)를 좌석 등받이부(11)에 보다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이루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개방부(115) 주변이 늘어지는 것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복형 좌석 상체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좌석에 사용자를 고정시킨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전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복형 좌석 상체 고정장치를 좌석에 고정시킨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후면도이다.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사용자를 좌석(10)의 착석부(12)와 등받이부(11)에 앉힌 후, 사용자의 상체를 좌석의 등받이부(11)와 함께 감쌈부(110)로 덮어 감싸도록 한다.
상기 감쌈부(110)에 의하여 등받이부와 함께 감싸진 사용자의 상체는 등받이부와 감쌈부에 의하여 밀착된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상기 감쌈부(110)의 크기가 정하여짐은 물론이다.
다음으로는, 사용자의 머리가 노출될 정도까지 상기 개폐부(121, 125)를 이용하여 상기 감쌈부(110)의 하측으로부터 폐쇄시킨다.
그리고, 상기 벨트부(172)와 벨트체결모듈(175)을 이용하여 감쌈부(110)가 좌석 등받이부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한 후, 상황에 따라서는 상기 지지튜브부(130)에 공기를 주입하여 팽창시키어 사용자의 머리 양측이 지지되도록 한다.
또한, 비행기 등과 같은 좌석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상체 고정장치(101)를 사용 시에는 좌석 후방측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창이 노출되도록 상기 커버부(140)를 개방부(115)로부터 분리시키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의복형 좌석 상체 고정장치(101)에 의하면 어린이나 몸을 가두기 힘든 환자들과 같은 사용자가 이동하는 버스나 비행기의 좌석에 용이하게 앉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며, 사용자가 수면 등을 쉽게 취할 수도 있게 된다.
특히, 의복형 좌석 상체 고정장치를 좌석에 설치 및 분리 작업이 용이함은 물론 무엇보다도 의복형태로 접어서 사용이 가능하므로 보관 및 휴대성이 편리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의복형 좌석 상체 고정장치는 쟈크모듈(125)에 설치되는 덮개천부(3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도 8 및 도 9에서와 같이, 쟈크모듈(125)에 자석부(128)가 설치되되, 상기 자석부(128)에 자력에 의하여 결합되는 철질 또는 자석 재질의 부착부(330)가 구비되며 천 재질로 이루어진 덮개천부(3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덮개천부(300)의 부착부(330)를 상기 쟈크모듈(125)의 자석부(128)에 부착하는 방식으로 결합한 후, 상기 덮개천부(300)를, 도 9에서와 같이, 쟈크모듈(125)의 내외측을 감싸도록 설치하게 되면 사용자가 감쌈부(110)에 감싸여진 상태에서 수면 등을 취할 시 쟈크모듈(125)에 턱이나 목부분이 접촉하여도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복형 좌석 상체 고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의복형 좌석 상체 고정장치(102)는 상기 감쌈부(110)의 개폐부(121, 125)를 폐쇄시킨 상태에서 상기 감쌈부(110) 내측에 수용된 사용자의 팔이 외부로 빠져나올 수 있도록 하는 팔개방부(223)와, 상기 팔개방부(223)를 상황에 따라서 개방 및 폐쇄시키는 맞물림부(221)와 쟈크모듈(225)이 더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의복형 좌석 상체 고정장치(102)의 경우는 상황에 따라서 사용자의 팔을 상기 감쌈부(110) 외부로 인출시킬 수 있게 되어 사용자가 보다 편안하게 좌석에 고정된 상태를 이룰 수 있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복형 좌석 상체 고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2는 상기 도 11에 도시된 의복형 좌석 상체 고정장치를 좌석에 설치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의복형 좌석 상체 고정장치(103)는 상기 감쌈부(110)를 전개한 상태에서 상기 감쌈부(110)의 대략 중앙부 위치로 내부에 수용부가 구비되면서 하부가 개방된 상태를 이룸과 동시에 양측과 상부가 감쌈부(110)에 결합되는 보조덧댐부(180)가 구비된다.
상기 보조덧댐부(180)는 대략 사각형태로 이루어지되, 상기 보조덧댐부(180) 또한 탄성 천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오 같은 보조덧댐부(180)를 결합한 의복형 좌석 상체 고정장치(103)는 상기 감쌈부(110)와 보조덧댐부(180) 하부 개방된 부위를 통하여 좌석(10)의 등받이부(11)가 삽입되어 상기 보조덧댐부(180)와 감쌈부(110) 사이로 등받이부(11)가 압착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의복형 좌석 상체 고정장치(103)는 좌석에 미리 고정시킨 상태에서 보조덧댐부(180) 외측으로 사용자를 착석시키고 전술한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감쌈부(110)와 개폐부(121, 125)를 이용 좌석에 사용자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되어 사용이 보다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팔이 외부로 빠질 수 있도록 하는 전술한 팔개방부(223)과 맞물림부(221) 및 쟈크모듈(225)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1, 102, 103: 의복형 좌석 상체 고정장치 110: 감쌈부
115: 개방부 121: 맞물림부
125: 쟈크모듈 130: 지지튜브부
138: 공기주입부 140: 커버부
172: 벨트부 175: 벨트체결모듈

Claims (4)

  1. 전방측에 상하 수직방향을 따라서 전방측을 개방 및 폐쇄시키는 개폐부; 좌석에 앉아 있는 사용자의 상체와 좌석을 함께 덮어 씌워 사용자를 좌석에 고정시킴과 동시에 소정 탄성을 지닌 직물로 이루어지는 감쌈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감쌈부의 전방에 하측에서부터 상측까지 구비되되, 하측에서부터 상측 선택된 높이까지 폐쇄시키는 쟈크모듈로 구성되고,
    상기 감쌈부는 상기 감쌈부 내측에 양측 대칭으로 구비되며, 상기 사용자의 머리 양측면 및 후면을 감싸 지지하는 C자 튜브 형태의 지지튜브부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튜브부는 상기 사용자의 피부 접촉시 마찰 접촉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할 수 있는 천 재질이 적용됨과 동시에 팽창 또는 수축하도록 구성되는 공기가 주입하거나 빼내는 공기주입부가 구비되고,
    상기 감쌈부를 전개한 상태에서 상기 감쌈부의 중앙부 위치로 내부에 수용부가 구비되면서 하부가 개방된 상태를 이룸과 동시에 양측과 상부가 상기 감쌈부에 결합되는 보조덧댐부가 구비되고,
    상기 쟈크모듈은 표면에 구비되는 자석부; 상기 자석부의 자력에 의하여 결합되는 철질 또는 자석 재질의 부착부가 구비되며, 상기 자석부 및 상기 부착부가 상호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쟈크모듈의 내외측을 감싸 상기 사용자의 턱이나 목부분의 접촉시 상기 쟈크모듈에 의해 피부에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천 재질의 덮개천부를 포함하며,
    상기 감쌈부는 개방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개방부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커버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커버부 둘레부에는 벨크로부가 구비되는,
    의복형 좌석 상체 고정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90099406A 2019-08-14 2019-08-14 의복형 좌석 상체 고정장치 KR1023019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9406A KR102301904B1 (ko) 2019-08-14 2019-08-14 의복형 좌석 상체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9406A KR102301904B1 (ko) 2019-08-14 2019-08-14 의복형 좌석 상체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0310A KR20210020310A (ko) 2021-02-24
KR102301904B1 true KR102301904B1 (ko) 2021-09-13

Family

ID=74688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9406A KR102301904B1 (ko) 2019-08-14 2019-08-14 의복형 좌석 상체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190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4716B1 (ko) * 2015-12-02 2017-01-10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아용으로 변형 가능한 자동차용 시트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8307B1 (ko) * 1996-08-29 1999-10-01 대우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시트의 유아용 보호조끼
KR200274037Y1 (ko) 2002-01-28 2002-05-01 박광영 유아용 안전벨트와 머리받침대가 부착된 자동차용시트커버.
JP6139955B2 (ja) * 2013-04-17 2017-05-31 株式会社 日本育児 幼児拘束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4716B1 (ko) * 2015-12-02 2017-01-10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아용으로 변형 가능한 자동차용 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0310A (ko) 2021-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34513A (en) Infant head protector
KR920000588Y1 (ko) 두부안식키트(頭部安息 Kit)
US3840916A (en) Infant support
US6926686B2 (en) Cervical collar
US6129418A (en) Shopping cart cushion
US20170246970A1 (en) Headrest for head and neck
US8485601B2 (en) Multi-use seat liner
CN109527878A (zh) 带有3d空间的婴儿背带
US10716410B2 (en)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for temporary placement of a living object on a seat
US20210030076A1 (en) Inner wrapper for infant
US5988752A (en) Child's head support
KR101922307B1 (ko) 영아용 속싸개
KR20200000890U (ko) 작고 가벼운 폴더블 메모리폼 여행 목베개
US20120222219A1 (en) Rest-supporting device
CN207220454U (zh) 用于婴幼儿坐躺的一体化多功能出行包
KR101404242B1 (ko) 튜브형 목 받침부를 갖는 모자
KR102301904B1 (ko) 의복형 좌석 상체 고정장치
JP3128833U (ja) ネックレスト付きヘッドレストカバー
US20210261182A1 (en) Cover for a seat cushion
JP4145982B2 (ja) 子守帯
JP2019051308A (ja) ベビーキャリア
US20120272455A1 (en) Seating pad accessory
US5996153A (en) Infant torso support device
KR101459043B1 (ko) 실내외에 사용하는 다용도 해먹
US10905251B2 (en) Baby seat and carrie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