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1902B1 - 유저장치 - Google Patents

유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1902B1
KR102301902B1 KR1020197035748A KR20197035748A KR102301902B1 KR 102301902 B1 KR102301902 B1 KR 102301902B1 KR 1020197035748 A KR1020197035748 A KR 1020197035748A KR 20197035748 A KR20197035748 A KR 20197035748A KR 102301902 B1 KR102301902 B1 KR 1023019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interference
carrier
notif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5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3169A (ko
Inventor
히데아키 타카하시
히로마사 우메다
케이 안도우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ublication of KR20200003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31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19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19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04W76/16Involving differ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e.g. a packet-switched [PS] bearer in combination with a circuit-switched [CS] bear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11/0023Interference mitigation or co-ordin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4Spectrum sharing arrangements between differen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the level of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다른 RAT를 이용한 복수의 무선통신시스템 사이의 듀얼 커넥티비티에 있어서의 상호 변조 왜곡에 따른 간섭을 억제하기 위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제1 무선통신시스템과 제2 무선통신시스템과의 사이의 듀얼 커넥티비티에 있어서, 디바이스 내 간섭을 받는 서빙 캐리어를 나타내는 피간섭 캐리어 정보를 포함하는 간섭 통지를 생성하는 간섭 통지 생성부와, 상기 간섭 통지를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송수신부를 갖는 유저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저장치
본 발명은, 무선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3GPP(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 있어서,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 및 LTE-Advanced 시스템의 후계로서, NR(New Radio Access Technology) 시스템이라 불리는 새로운 무선통신시스템의 사양 책정이 진행되고 있다.
NR 시스템에서는, LTE 시스템에 있어서의 듀얼 커넥티비티와 마찬가지로, LTE 시스템의 기지국(eNB)과 NR 시스템의 기지국(gNB)과의 사이에서 데이터를 분할하고, 이들의 기지국에 의해 데이터를 동시 송수신하는 LTE-NR 듀얼 커넥티비티의 도입이 검토되고 있다.
비특허문헌 1: 3GPP TR 38.804 V14.0.0(2017-03) 비특허문헌 2: 3GPP TS 37.340 V0.1.1(2017-06)
LTE-NR 듀얼 커넥티비티에서는, 2개 이상의 업링크 송신에 있어서 상호 변조 왜곡(Inter-Modulation Distortion: IMD) 및 고조파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발생한 IMD 및 고조파는, 유저장치(User Equipment: UE)에 있어서의 LTE 컴포넌트 캐리어 또는 NR 컴포넌트 캐리어의 다운링크 수신 대역에 하락하고, 유저장치 내에 있어서 간섭(디바이스 내 간섭)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특히, NR 시스템은, 28GHz대 등의 광대역인 대역폭을 이용하기 때문에, IMD의 영향을 받기 쉽다.
또, LTE 시스템과 NR 시스템과의 사이의 듀얼 커넥티비티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RAT가 적용된 복수의 무선통신시스템 사이의 듀얼 커넥티비티에 있어서도, 2개 이상의 업링크 송신에 의한 IMD, 고조파 등이 수신 대역에 하락하고, 디바이스 내 간섭을 발생시킬 가능성을 생각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과제는, 다른 RAT를 이용한 복수의 무선통신시스템 사이의 듀얼 커넥티비티에 있어서의 디바이스 내 간섭을 억제하기 위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제1 무선통신시스템과 제2 무선통신시스템과의 사이의 듀얼 커넥티비티에 있어서, 디바이스 내 간섭을 받는 서빙 캐리어를 나타내는 피간섭 캐리어 정보를 포함하는 간섭 통지를 생성하는 간섭 통지 생성부와, 상기 간섭 통지를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송수신부를 갖는 유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른 RAT를 이용한 복수의 무선통신시스템 사이의 듀얼 커넥티비티에 있어서의 디바이스 내 간섭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LTE-NR 듀얼 커넥티비티에 있어서의 상호 변조 왜곡(IMD)의 조합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저장치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LTE-NR 듀얼 커넥티비티에 있어서의 IDC 통지 설정 수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LTE-NR 듀얼 커넥티비티에 있어서의 IDC 통지 설정 수순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LTE-NR 듀얼 커넥티비티에 있어서의 IDC 통지 설정 수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LTE-NR 듀얼 커넥티비티에 있어서의 IDC 통지 설정 수순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LTE-NR 듀얼 커넥티비티에 있어서의 IDC 통지 설정 수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LTE-NR 듀얼 커넥티비티에 있어서의 IDC 통지 설정 수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LTE측의 시그널링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LTE측의 시그널링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NR측의 시그널링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NR측의 시그널링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LTE측의 시그널링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NR측의 시그널링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저장치 및 기지국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에서는, 다른 RAT를 이용한 복수의 무선통신시스템 사이의 듀얼 커넥티비티, 즉, 멀티 RAT 듀얼 커넥티비티를 서포트하는 유저장치가 개시된다.
후술되는 실시 예에서는, LTE 시스템과 NR 시스템과의 사이의 듀얼 커넥티비티(LTE-NR 듀얼 커넥티비티)에 있어서의 상호 변조 왜곡(IMD), 고조파 등에 의해 생기는 디바이스 내 간섭이 설명된다. LTE-NR 듀얼 커넥티비티에서는,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디바이스 내 간섭이 발생하는 4개의 전형적인 케이스를 생각할 수 있다.
케이스 1에서는, LTE 시스템의 업링크 캐리어(LTE UL1)와 NR 시스템의 업링크 캐리어(NR UL2)에 따른 업링크 듀얼 커넥티비티(LTE UL1+NR UL2)에 있어서, LTE UL1과 NR UL2와의 조합에 따른 상호 변조 왜곡 및/또는 LTE UL1, 혹은 NR UL2의 송신에 의한 고조파가, NR 시스템의 다운링크 캐리어(NR DL)에 하락하고, NR DL에 디바이스 내 간섭을 일으킨다.
케이스 2에서는, LTE 시스템의 업링크 캐리어(LTE UL1)와 NR 시스템의 업링크 캐리어(NR UL2)에 따른 업링크 듀얼 커넥티비티(LTE UL1+NR UL2)에 있어서, LTE UL1과 NR UL2와의 조합에 따른 상호 변조 왜곡 및/또는 LTE UL1, 혹은 NR UL2의 송신에 의한 고조파가, LTE 시스템의 다운링크 캐리어(LTE DL)에 하락하고, LTE DL에 디바이스 내 간섭을 일으킨다.
케이스 3에서는, LTE 시스템의 업링크 캐리어(LTE UL)와 NR 시스템의 2개의 업링크 캐리어(NR UL1, NR UL2)에 따른 업링크 듀얼 커넥티비티(LTE UL+NR UL1+NR UL2)에 있어서, NR UL1과 NR UL2와의 조합에 따른 상호 변조 왜곡 및/또는 NR UL1, 혹은 NR UL2의 송신에 의한 고조파가, LTE 시스템의 다운링크 캐리어(LTE DL)에 하락하고, LTE DL에 디바이스 내 간섭을 일으킨다.
케이스 4에서는, LTE 시스템의 2개의 업링크 캐리어(LTE UL1, LTE UL2)와 NR 시스템의 업링크 캐리어(NR UL)에 따른 업링크 듀얼 커넥티비티(LTE UL1+LTE UL2+NR UL)에 있어서, LTE UL1과 LTE UL2와의 조합에 따른 상호 변조 왜곡 및/또는 LTE UL1, 혹은 LTE UL2의 송신에 의한 고조파가, NR 시스템의 다운링크 캐리어(NR DL)에 하락하고, NR DL에 디바이스 내 간섭을 일으킨다.
상술한 바와 같은 LTE-NR 듀얼 커넥티비티에 있어서의 상호 변조 왜곡, 고조파 등에 의해 생기는 디바이스 내 간섭을 억제하기 위해, 본 개시에 따른 유저장치는, 상호 변조 왜곡, 고조파 등에 의해 간섭을 받는 다운링크 서빙 캐리어를 나타내는 피간섭 캐리어 정보를 포함하는 간섭 통지를 기지국에 송신한다. 해당 간섭 통지를 수신하면, 기지국은, 피간섭 캐리어 정보에 나타내어지는 캐리어에 디바이스 내 간섭을 발생시키는 업링크 서빙 캐리어의 조합을 특정하고, 피간섭 캐리어에 간섭을 발생시키지 않는 캐리어의 조합에 의해 업링크 듀얼 커넥티비티를 계속하는 등, 유저장치에 대해 간섭 억제 제어를 실행할 수 있다.
우선,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다른 무선통신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유저장치(100)는, LTE 시스템 및 NR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기지국(201, 202)(이후, 기지국(200)으로서 참조되어도 좋다)과 통지 접속함과 동시에, 기지국(201)을 마스터 기지국으로 하고, 기지국(202)을 세컨더리 기지국으로 하는 LTE-NR 듀얼 커넥티비티를 서포트한다. 즉, 유저장치(100)는, 마스터 기지국(201) 및 세컨더리 기지국(202)에 의해 제공되는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를 동시에 이용하여, 마스터 기지국(201) 및 세컨더리 기지국(202)과 동시 송신 또는 수신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LTE 시스템 및 NR 시스템은 각각 하나의 기지국밖에 갖고 있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LTE 시스템 및 NR 시스템의 서비스 에어리어를 커버하도록 다수의 기지국이 배치된다.
또한, 이하의 실시 예는, LTE-NR 듀얼 커넥티비티에 관해 설명되지만, 본 개시에 따른 유저장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RAT를 이용한 복수의 무선통신시스템의 사이의 듀얼 커넥티비티, 즉, 멀티 RAT 듀얼 커넥티비티에 적용 가능한 것은 당업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저장치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저장치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유저장치(100)는, 간섭 통지 생성부(110) 및 송수신부(120)를 갖는다.
간섭 통지 생성부(110)는, 제1 무선통신시스템과 제2 무선통신시스템과의 사이의 듀얼 커넥티비티에 있어서, 디바이스 내 간섭을 받는 서빙 캐리어를 나타내는 피간섭 캐리어 정보를 포함하는 간섭 통지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는, LTE 시스템과 NR 시스템과의 사이의 LTE-NR 듀얼 커넥티비티에 있어서, 업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의 조합(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되는 실시 예에 있어서의 LTE UL+NR UL, LTE UL1+LTE UL2, NR UL1+NR UL2 등)에 의해 발생한 상호 변조 왜곡, 고조파 등이 유저장치(100) 내에 있어서 다운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에 간섭(즉, 디바이스 내 간섭)을 발생시키는 것을 검출하면, 간섭 통지 생성부(110)는, 간섭을 받고 있는 다운링크 컴포넌트 캐리어를 나타내는 피간섭 캐리어 정보를 포함하는 간섭 통지("InDeviceCoexIndication")를 생성한다.
송수신부(120)는, 생성된 간섭 통지를 기지국(201 또는 202)으로 송신한다. 구체적으로는, 송수신부(120)가 디바이스 내 간섭에 따른 피간섭 캐리어 및/또는 여(與)간섭 캐리어를 나타내는 간섭 통지를 유저장치(100)에 보고시키기 위한 간섭 보고 설정("OtherConfig"에 있어서의 "idc-Indication-MR-DC")을 수신하면, 간섭 통지 생성부(110)는, 업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의 조합에 따른 상호 변조 왜곡, 고조파 등으로부터 생기는 디바이스 내 간섭의 검출을 개시하고, 업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의 조합에 따른 디바이스 내 간섭의 검출하면, 피간섭 캐리어 정보를 포함하는 간섭 통지를 생성한다. 그리고, 송수신부(120)가 생성된 간섭 통지를 기지국(201 또는 202)으로 송신하면, 기지국(201 또는 202)은, 수신한 간섭 통지에 있어서의 피간섭 캐리어 정보에 기초하여, 피간섭 캐리어와 해당 피간섭 캐리어에 디바이스 내 간섭을 일으키는 업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의 조합을 특정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기지국(201 또는 202)은, 업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의 조합과, 해당 조합에 의해 디바이스 내 간섭이 생기는 다운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와의 페어를 나타내는 관련성 정보를 미리 보유해도 좋다. 기지국(201 또는 202)은, 해당 관련성 정보를 참조하여, 유저장치(100)로부터 보고된 피간섭 캐리어에 대응되는 업링크 컴포넌트 캐리어를 여간섭 캐리어로서 특정하고, 유저장치(100)에 대해 간섭 억제 제어를 실행해도 좋다. 예를 들면, 기지국(201 또는 202)은, 디바이스 내 간섭이 보고된 피간섭 캐리어에 하락하지 않는 주파수 영역 또는 컴포넌트 캐리어를 재할당함으로써, 업링크 듀얼 커넥티비티를 계속해도 좋으며, 혹은, 업링크 듀얼 커넥티비티에 있어서의 세컨더리 셀을 비액티브화(deactivation) 또는 비설정(deconfiguration)해도 좋다. 혹은, 기지국(201 또는 202)은, 다른 주파수의 프라이머리 셀 및/또는 세컨더리 셀을 재설정해도 좋다.
그후, 유저장치(100)에 있어서의 디바이스 내 간섭이 해소되면, 간섭 통지 생성부(110)는, 예를 들면, 엠프티의 간섭 통지를 생성하고, 송수신부(120)는, 해당 간섭 통지를 기지국(201 또는 202)으로 송신한다. 해당 엠프티의 간섭 통지를 수신하면, 기지국(201 또는 202)은, 유저장치(100)에 있어서의 디바이스 내 간섭이 해소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는, 피간섭 캐리어 정보는, 간섭을 받는 서빙 캐리어의 셀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셀 식별 정보는, 해당 피간섭 서빙 캐리어의 서빙 셀 인덱스여도 좋다. 혹은, 셀 식별 정보는, 유저장치(100)가 해당 캐리어를 측정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나타내는 메저먼트 오브젝트, 해당 캐리어의 중심 주파수, 해당 중심 주파수를 특정하는 어느 하나의 정보(예를 들면, LTE 시스템에 있어서의 EARFCN(E-UTRA Absolute Radio Frequency Channel Number) 등) 등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기지국(201 또는 202)은, 각 서빙 셀 또는 각 메저먼트 오브젝트의 중심 주파수 및 대역폭을 미리 파악하고, 수신한 셀 식별 정보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서빙 셀 또는 메저먼트 오브젝트의 중심 주파수 및 대역폭을 특정한다. 기지국(201 또는 202)은, 특정한 중심 주파수 및 대역폭에 기초하여 해당 피간섭 컴포넌트 캐리어에 디바이스 내 간섭을 일으키는 업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의 조합을 특정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유저장치(100)가 여간섭 캐리어 정보를 송신하지 않고, 기지국(201 또는 202)은, 피간섭 캐리어 정보로부터 여간섭 캐리어를 특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일 실시 예에서는, 피간섭 캐리어 정보는, 피간섭 캐리어 내의 특정한 물리 리소스 블록(PRB), 물리 리소스 엘리먼트(PRE) 등을 포함하는 것이어도 좋다. 즉, 간섭 통지 생성부(110)는, 파긴섭 캐리어보다 작은 입도로 피간섭 주파수 영역을 나타내는 것이 가능해지고, 해당 피간섭 캐리어 정보를 수신한 기지국(201 또는 202)은, 보다 적절한 간섭 억제 제어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일 실시 예에서는, 간섭 통지는 더욱, 간섭을 주는 서빙 캐리어를 나타내는 여간섭 캐리어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어도 좋다. 즉, 간섭 통지 생성부(110)는, 간섭을 주는 서빙 캐리어의 조합을 나타내는 여간섭 캐리어 정보를 간섭 통지에 더 포함시켜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여간섭 캐리어 정보는, 디바이스 내 간섭을 발생시키는 업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의 조합을 나타내는 것이며, 예를 들면, 각 업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의 메저먼트 오브젝트, 중심 주파수, 해당 중심 주파수를 특정하는 어느 하나의 정보(예를 들면, LTE 시스템에 있어서의 EARFCN 등) 등이어도 좋다.
다음으로, 도 4~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LTE-NR 듀얼 커넥티비티에 있어서의 간섭 통지 설정 수순을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마스터 기지국(201)이, LTE-NR 듀얼 커넥티비티에 있어서 LTE 컴포넌트 캐리어 및 NR 컴포넌트 캐리어의 쌍방의 디바이스 내 간섭을 보고하도록 유저장치(100)에 설정한다. 유저장치(100)는, LTE 컴포넌트 캐리어 및 NR 컴포넌트 캐리어의 쌍방에 대해 간섭을 검출하고, 송수신부(120)는, 피간섭 캐리어 정보 및/또는 여간섭 캐리어 정보를 포함하는 간섭 통지(도시되는 구체 예에서는, InDeviceCoexIndication(IDC))를 마스터 기지국(201)으로 송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LTE-NR 듀얼 커넥티비티에 있어서의 IDC 통지 설정 수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해당 IDC 통지 설정 수순은, 예를 들면, LTE-NR 듀얼 커넥티비티가 설정된 것에 응답하여 개시되어도 좋다. 또한, 마스터 기지국(201) 및 세컨더리 기지국(202)은 각각 LTE 시스템 및 NR 시스템에 속해도 좋으며, 혹은, 마스터 기지국(201) 및 세컨더리 기지국(202)은 각각 NR 시스템 및 LTE 시스템에 속해도 좋다.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단계 S101에 있어서, 마스터 기지국(201)은, LTE 컴포넌트 캐리어와 NR 컴포넌트 캐리어와의 쌍방에 대해 디바이스 내 간섭을 검출하고, 검출한 피간섭 캐리어 및/또는 여간섭 캐리어를 나타내는 간섭 통지를 보고하도록 유저장치(100)에 설정한디.
단계 S102에 있어서, 디바이스 내 간섭을 검출하면, 유저장치(100)는, 검출한 피간섭 캐리어 및/또는 여간섭 캐리어를 나타내는 간섭 통지를 마스터 기지국(201)으로 송신한다. 예를 들면, 유저장치(100)는, 피간섭 캐리어의 서빙 셀 인덱스와 여간섭 캐리어의 메저먼트 오브젝트를 각각 피간섭 캐리어 정보 및 여간섭 캐리어 정보로서 마스터 기지국(201)에 보고해도 좋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마스터 기지국(201)이 업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의 조합과 해당 조합에 의해 디바이스 내 간섭이 생기는 다운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와의 페어를 나타내는 관련성 정보를 미리 보유하고 있는 경우, 유저장치(100)는, 피간섭 캐리어 정보만을 마스터 기지국(201)으로 송신해도 좋다.
단계 S103에 있어서, 마스터 기지국(201)은, 수신한 간섭 통지에 기초하여 적절한 간섭 억제 제어를 실행함과 동시에, 유저장치(100)로부터 수신한 간섭 정보를 세컨더리 기지국(202)으로 전송하고, 적절한 간섭 억제 제어를 실행하도록 세컨더리 기지국(202)에 지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LTE-NR 듀얼 커넥티비티에 있어서의 IDC 통지 설정 수순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해당 IDC 통지 설정 수순은, 예를 들면, LTE-NR 듀얼 커넥티비티가 설정된 것에 응답하여 개시되어도 좋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마스터 기지국(MN)(201)이 LTE 시스템에 속하고, 세컨더리 기지국(SN)(202)이 NR 시스템에 속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그러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마스터 기지국(201)이 NR 시스템에 속하고, 세컨더리 기지국(202)이 LTE 시스템에 속해도 좋다.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단계 S201에 있어서, 마스터 기지국(MN)(201)은,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을 유저장치(100)에 송신하고, 디바이스 내 간섭에 따른 피간섭 캐리어 및/또는 여간섭 캐리어를 나타내는 간섭 통지를 보고하도록 유저장치(100)에 설정한다(OtherConfig(idc-Indication-MR-DC).
단계 S202에 있어서, 유저장치(100)는, 해당 설정의 완료를 나타내는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Complete를 마스터 기지국(201)으로 송신한다.
단계 S203에 있어서, 유저장치(100)는, 업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의 조합에 따른 디바이스 내 간섭의 검출을 개시한다.
단계 S204에 있어서, 유저장치(100)는, 업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의 조합에 따른 디바이스 내 간섭의 검출한다.
단계 S205에 있어서, 유저장치(100)는, 피간섭 캐리어를 나타내는 피간섭 캐리어 정보(예를 들면, 서빙 셀 인덱스, 메저먼트 오브젝트 또는 EARFCN 등)를 포함하는 간섭 통지를 마스터 기지국(201)으로 송신한다. 마스터 기지국(201)이 LTE 시스템에 속하는 본 실시 예에서는, 유저장치(100)는, 간섭을 받은 LTE 컴포넌트 캐리어뿐 아니라 NR 컴포넌트 캐리어도 마스터 기지국(201)에 보고한다. 또, 유저장치(100)는 더욱, 여간섭 캐리어를 나타내는 여간섭 캐리어 정보(예를 들면, 여간섭 업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의 조합을 나타내는 서빙 셀 인덱스, 메저먼트 오브젝트 또는 EARFCN 등)를 간섭 통지에 포함시켜도 좋다. 피간섭 캐리어 정보와 동일하게, 유저장치(100)는, 간섭을 준 LTE 컴포넌트 캐리어뿐 아니라 NR 컴포넌트 캐리어도 마스터 기지국(201)에 보고한다.
단계 S206에 있어서, 마스터 기지국(201)은, 수신한 간섭 통지에 기초하여 적절한 간섭 억제 제어를 실행함과 동시에, 유저장치(100)로부터 수신한 간섭 정보를 세컨더리 기지국(202)으로 전송하고, 적절한 간섭 억제 제어를 실행하도록 세컨더리 기지국(202)에 지시한다.
단계 S207에 있어서, 마스터 기지국(201) 및 세컨더리 기지국(202)은, 유저장치(100)에 대해 적절한 간섭 억제 제어를 실행한다.
단계 S208에 있어서, 디바이스 내 간섭의 해소를 감지하면, 유저장치(100)는, 엠프티의 IDC 통지를 송신함으로써, 디바이스 내 간섭이 해소된 것을 마스터 기지국(201)에 보고한다.
다음으로, 도 6~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LTE-NR 듀얼 커넥티비티에 있어서의 간섭 통지 설정 수순을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마스터 기지국(201) 및 세컨더리 기지국(202)이 각각, LTE-NR 듀얼 커넥티비티에 있어서, 마스터 기지국(201)이 속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의 컴포넌트 캐리어 및 세컨더리 기지국(202)이 속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의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해 디바이스 내 간섭을 보고하도록 유저장치(100)에 설정한다. 이 경우, 송수신부(120)는, 마스터 기지국(201)의 무선통신시스템에 관한 피간섭 캐리어 정보 및/또는 여간섭 캐리어 정보를 나타내는 간섭 통지를 마스터 기지국(201)으로 송신하고, 세컨더리 기지국(202)의 무선통신시스템에 관한 피간섭 캐리어 정보 및/또는 여간섭 캐리어 정보를 나타내는 간섭 통지를 세컨더리 기지국(202)으로 송신한다. 예를 들면, 마스터 기지국(201)이 LTE 시스템에 속하고, 세컨더리 기지국(202)이 NR 시스템에 속하는 경우, 유저장치(100)는, LTE 컴포넌트 캐리어에 관한 피간섭 캐리어 정보 및/또는 여간섭 캐리어 정보를 포함하는 간섭 통지를 마스터 기지국(201)으로 송신하고, NR 컴포넌트 캐리어에 관한 피간섭 캐리어 정보 및/또는 여간섭 캐리어 정보를 포함하는 간섭 통지를 세컨더리 기지국(202)으로 송신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LTE-NR 듀얼 커넥티비티에 있어서의 IDC 통지 설정 수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해당 IDC 통지 설정 수순은, 예를 들면, LTE-NR 듀얼 커넥티비티가 설정된 것에 응답하여 개시되어도 좋다. 또한, 마스터 기지국(201) 및 세컨더리 기지국(202)이 각각 LTE 시스템 및 NR 시스템에 속해도 좋으며, 혹은, 마스터 기지국(201) 및 세컨더리 기지국(202)이 각각 NR 시스템 및 LTE 시스템에 속해도 좋다.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단계 S301a에 있어서, 마스터 기지국(201)은, 마스터 기지국(201)이 속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의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해 디바이스 내 간섭을 검출하고, 검출한 피간섭 캐리어 및/또는 여간섭 캐리어를 나타내는 간섭 통지를 보고하도록 유저장치(100)에 설정한다.
단계 S301b에 있어서, 세컨더리 기지국(202)은, 세컨더리 기지국(202)이 속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의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해 디바이스 내 간섭을 검출하고, 검출한 피간섭 캐리어 및/또는 여간섭 캐리어를 나타내는 간섭 통지를 보고하도록 유저장치(100)에 설정한다.
단계 S302a에 있어서, 마스터 기지국(201)이 속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의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해 디바이스 내 간섭을 검출하면, 유저장치(100)는, 검출한 피간섭 캐리어 및/또는 여간섭 캐리어를 나타내는 간섭 통지를 마스터 기지국(201)으로 송신한다. 예를 들면, 유저장치(100)는, 피간섭 캐리어의 서빙 셀 인덱스와 여간섭 캐리어의 메저먼트 오브젝트를 각각 피간섭 캐리어 정보 및 여간섭 캐리어 정보로서 마스터 기지국(201)에 보고해도 좋다. 예를 들면, 마스터 기지국(201)이 LTE 시스템에 속하는 경우, 유저장치(100)는, 피간섭 LTE 컴포넌트 캐리어 및/또는 여간섭 LTE 컴포넌트 캐리어를 나타내는 간섭 통지를 마스터 기지국(201)으로 송신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마스터 기지국(201)이 업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의 조합과 해당 조합에 의해 디바이스 내 간섭이 생기는 다운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와의 페어를 나타내는 관련성 정보를 미리 보유하고 있는 경우, 유저장치(100)는, 피간섭 캐리어 정보만을 마스터 기지국(201)으로 송신해도 좋다.
단계 S302b에 있어서, 세컨더리 기지국(202)이 속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의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해 디바이스 내 간섭을 검출하면, 유저장치(100)는, 검출한 피간섭 캐리어 및/또는 여간섭 캐리어를 나타내는 간섭 통지를 세컨더리 기지국(202)으로 송신한다. 예를 들면, 유저장치(100)는, 피간섭 캐리어의 서빙 셀 인덱스와 여간섭 캐리어의 메저먼트 오브젝트를 각각 피간섭 캐리어 정보 및 여간섭 캐리어 정보로서 세컨더리 기지국(202)에 보고해도 좋다. 예를 들면, 세컨더리 기지국(202)이 NR 시스템에 속하는 경우, 유저장치(100)는, 여간섭 NR 컴포넌트 캐리어 및/또는 여간섭 NR 컴포넌트 캐리어를 나타내는 간섭 통지를 세컨더리 기지국(202)으로 송신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세컨더리 기지국(202)이 업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의 조합과 해당 조합에 의해 디바이스 내 간섭이 생기는 다운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와의 페어를 나타내는 관련성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있는 경우, 유저장치(100)는, 피간섭 캐리어 정보만을 세컨더리 기지국(202)으로 송신해도 좋다.
단계 S303a에 있어서, 마스터 기지국(201)은, 수신한 간섭 통지에 기초하여 적절한 간섭 억제 제어를 실행한다.
단계 S303b에 있어서, 세컨더리 기지국(202)은, 수신한 간섭 정보에 기초하여 적절한 간섭 억제 제어를 실행하도록 세컨더리 기지국(202)에 지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LTE-NR 듀얼 커넥티비티에 있어서의 IDC 통지 설정 수순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해당 IDC 통지 설정 수순은, 예를 들면, LTE-NR 듀얼 커넥티비티가 설정된 것에 응답하여 개시되어도 좋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마스터 기지국(MN)(201)이 LTE 시스템에 속하고, 세컨더리 기지국(SN)(202)이 NR 시스템에 속해 있는 것으로 한다. 그러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마스터 기지국(201)이 NR 시스템에 속하고, 세컨더리 기지국(202)이 LTE 시스템에 속해도 좋다.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단계 S401에 있어서, 마스터 기지국(MN)(201)은,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을 유저장치(100)로 송신하고, LTE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해 디바이스 내 간섭에 따른 피간섭 캐리어 및/또는 여간섭 캐리어를 나타내는 간섭 통지를 보고하도록 유저장치(100)에 설정한다(OtherConfig(idc-Indication-MR-DC)).
단계 S402에 있어서, 유저장치(100)는, 해당 설정의 완료를 나타내는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Complete를 마스터 기지국(201)으로 송신한다.
단계 S403에 있어서, 유저장치(100)는, LTE 시스템에 관해 업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의 조합에 따른 디바이스 내 간섭의 검출을 개시한다.
단계 S404에 있어서, 세컨더리 기지국(SN)(202)은,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을 유저장치(100)로 송신하고, NR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해 디바이스 내 간섭에 따른 피간섭 캐리어 및/또는 여간섭 캐리어를 나타내는 간섭 통지를 보고하도록 유저장치(100)에 설정한다(OtherConfig(idc-Indication-MR-DC)).
단계 S405에 있어서, 유저장치(100)는, 해당 설정의 완료를 나타내는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Complete를 세컨더리 기지국(202)으로 송신한다.
단계 S406에 있어서, 유저장치(100)는, NR 시스템에 관해 업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의 조합에 따른 디바이스 내 간섭의 검출을 개시한다.
단계 S407에 있어서, 유저장치(100)는, LTE 시스템에 관해 업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의 조합에 따른 디바이스 내 간섭의 검출한다.
단계 S408에 있어서, 유저장치(100)는, 피간섭 LTE 컴포넌트 캐리어를 나타내는 피간섭 캐리어 정보(예를 들면, 서빙 셀 인덱스, 메저먼트 오브젝트 또는 EARFCN 등)를 포함하는 간섭 통지를 마스터 기지국(201)으로 송신한다. 또, 유저장치(100)는 더욱, 피간섭 LTE 컴포넌트 캐리어를 나타내는 여간섭 캐리어 정보(예를 들면, 여간섭 업링크 LTE 컴포넌트 캐리어의 조합을 나타내는 서빙 셀 인덱스, 메저먼트 오브젝트 또는 EARFCN 등)를 간섭 통지에 포함시켜도 좋다.
단계 S409에 있어서, 유저장치(100)는, NR 시스템에 관해 업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의 조합에 의한 디바이스 내 간섭을 검출한다.
단계 S410에 있어서, 유저장치(100)는, 피간섭 NR 컴포넌트 캐리어를 나타내는 피간섭 캐리어 정보(예를 들면, 서빙 셀 인덱스, 메저먼트 오브젝트 또는 메저먼트 오브젝트를 특정하는 정보 등)를 포함하는 간섭 통지를 세컨더리 기지국(202)으로 송신한다. 또, 유저장치(100)는 더욱, 여간섭 NR 컴포넌트 캐리어를 나타내는 여간섭 캐리어 정보(예를 들면, 여간섭 업링크 NR 컴포넌트 캐리어의 조합을 나타내는 서빙 셀 인덱스, 메저먼트 오브젝트 또는 메저먼트 오브젝트를 특정하는 정보 등)를 간섭 통지에 포함시켜도 좋다.
단계 S411에 있어서, 마스터 기지국(201) 및 세컨더리 기지국(202)은, 수신한 간섭 통지에 기초하여 적절한 간섭 억제 제어를 실행한다.
단계 S412에 있어서, LTE 시스템에 있어서의 디바이스 내 간섭의 해소를 감지하면, 유저장치(100)는, 엠프티의 IDC 통지를 송신함으로써, LTE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해 디바이스 내 간섭이 해소된 것을 마스터 기지국(201)에 보고한다.
단계 S413에 있어서, NR 시스템에 있어서의 디바이스 내 간섭의 해소를 감지하면, 유저장치(100)는, 엠프티의 IDC 통지를 송신함으로써, NR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해 디바이스 내 간섭이 해소된 것을 세컨더리 기지국(202)에 보고한다.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LTE-NR 듀얼 커넥티비티에 있어서의 간섭 통지 설정 수순을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세컨더리 기지국(202)이, 세컨더리 기지국(202)이 속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의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해 디바이스 내 간섭을 유저장치(100)에 보고시키기 위한 간섭 보고 설정(예를 들면, RRC 또는 X2/Xn 인터페이스에 따른 inter-node message)을 마스터 기지국(201)으로 송신한다. 마스터 기지국(201)은, 수신한 간섭 보고 설정을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을 포함시킴과 동시에, 해당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에 있어서 마스터 기지국(201)이 속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의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해 디바이스 내 간섭을 보고하도록 유저장치(100)에 설정한다. 이 경우, 송수신부(120)는, 마스터 기지국(201)의 무선통신시스템에 관한 피간섭 캐리어 정보 및/또는 여간섭 캐리어 정보를 나타내는 간섭 통지에, 세컨더리 기지국(202)의 무선통신시스템에 관한 피간섭 캐리어 정보 및/또는 여간섭 캐리어 정보를 나타내는 간섭 통지를 포함시킴으로써, 마스터 기지국(201)용 간섭 통지(IDC)와 세컨더리 기지국(202)용 간섭 통지(IDC)를 마스터 기지국(201)으로 송신한다. 즉, 본 실시 예에서는, 마스터 기지국(201)용 간섭 통지와 세컨더리 기지국(202)용 간섭 통지가 개별로 생성되고, 세컨더리 기지국(202)용 간섭 통지는, 마스터 기지국(201)용 간섭 통지에 캡슐화되고, 마스터 기지국(201)을 경유하여 세컨더리 기지국(202)으로 송신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LTE-NR 듀얼 커넥티비티에 있어서의 IDC 통지 설정 수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해당 IDC 통지 설정 수순은, 예를 들면, LTE-NR 듀얼 커넥티비티가 설정된 것에 응답하여 개시되어도 좋다. 또한, 마스터 기지국(201) 및 세컨더리 기지국(202)이 각각 LTE 시스템 및 NR 시스템에 속해도 좋으며, 혹은, 마스터 기지국(201) 및 세컨더리 기지국(202)이 각각 NR 시스템 및 LTE 시스템에 속해도 좋다.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단계 S501에 있어서, 세컨더리 기지국(202)은, 세컨더리 기지국(202)이 속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의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해 디바이스 내 간섭을 유저장치(100)에 보고시키기 위한 간섭 보고 설정(예를 들면, RRC 또는 X2/Xn 인터페이스에 따른 Inter-node-message)을 마스터 기지국(201)으로 송신한다.
단계 S502에 있어서, 마스터 기지국(201)은, 마스터 기지국(201)이 속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의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해 디바이스 내 간섭을 검출하고, 검출한 피간섭 캐리어 및/또는 여간섭 캐리어를 나타내는 간섭 통지를 보고하도록 유저장치(100)에 설정함과 동시에, 세컨더리 기지국(202)으로부터 수신한 간섭 보고 설정을 유저장치(100)로 송신한다.
단계 S503에 있어서, 마스터 기지국(201)이 속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의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해 디바이스 내 간섭을 검출하면, 유저장치(100)는, 검출한 피간섭 캐리어 및/또는 여간섭 캐리어를 나타내는 마스터 기지국(201)용 간섭 통지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마스터 기지국(201)이 LTE 시스템에 속하는 경우, 유저장치(100)는, 피간섭 LTE 컴포넌트 캐리어 및/또는 여간섭 LTE 컴포넌트 캐리어를 나타내는 마스터 기지국(201)용 간섭 통지를 생성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마스터 기지국(201)이 업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의 조합과 해당 조합에 의해 디바이스 내 간섭이 생기는 다운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와의 페어를 나타내는 관련성 정보를 미리 보유하고 있는 경우, 유저장치(100)는, 피간섭 캐리어 정보만을 포함하는 마스터 기지국(201)용 간섭 통지를 생성해도 좋다.
또, 세컨더리 기지국(202)이 속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의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해 디바이스 내 간섭을 검출하면, 유저장치(100)는, 검출한 피간섭 캐리어 및/또는 여간섭 캐리어를 나타내는 세컨더리 기지국(202)용 간섭 통지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세컨더리 기지국(202)이 NR 시스템에 속하는 경우, 유저장치(100)는, 피간섭 NR 컴포넌트 캐리어 및/또는 여간섭 NR 컴포넌트 캐리어를 나타내는 세컨더리 기지국(202)용 간섭 통지를 생성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세컨더리 기지국(202)이 업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의 조합과 해당 조합에 의해 디바이스 내 간섭이 생기는 다운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와의 페어를 나타내는 관련성 정보를 미리 보유하고 있는 경우, 유저장치(100)는, 피간섭 캐리어 정보만을 포함하는 세컨더리 기지국(202)용 간섭 통지를 생성해도 좋다.
마스터 기지국(201)용 간섭 통지와 세컨더리 기지국(202)용 간섭 통지를 생성한 후, 유저장치(100)는, 세컨더리 기지국(202)용 간섭 통지를 마스터 기지국(201)용 간섭 통지 내에 캡슐화 또는 포함시킴으로써, 개별로 생성된 마스터 기지국(201)용 간섭 통지와 세컨더리 기지국(202)용 간섭 통지를 마스터 기지국(201)으로 송신한다.
단계 S504a에 있어서, 마스터 기지국(201)은, 수신한 마스터 기지국(201)용 간섭 통지로부터 세컨더리 기지국(202)용 간섭 통지를 추출하고, 추출한 세컨더리 기지국(202)용 간섭 통지를 세컨더리 기지국(202)에 전송함과 동시에, 마스터 기지국(201)용 간섭 통지에 기초하여 적절한 간섭 억제 제어를 실행한다.
단계 S504b에 있어서, 세컨더리 기지국(202)은, 수신한 세컨더리 기지국(202)용 간섭 정보에 기초하여 적절한 간섭 억제 제어를 실행한다.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LTE-NR 듀얼 커넥티비티에 있어서의 간섭 통지 설정 수순을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마스터 기지국(201)이, 마스터 기지국(201)이 속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의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해 디바이스 내 간섭을 유저장치(100)에 보고시키기 위한 간섭 보고 설정(예를 들면, RRC 또는 X2/Xn 인터페이스에 따른 inter-node message)을 세컨더리 기지국(202)으로 송신한다. 세컨더리 기지국(202)은, 수신한 간섭 보고 설정을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을 포함시킴과 동시에, 해당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에 있어서 세컨더리 기지국(202)이 속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의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해 디바이스 내 간섭을 보고하도록 유저장치(100)에 설정한다. 이 경우, 송수신부(120)는, 세컨더리 기지국(202)의 무선통신시스템에 관한 피간섭 캐리어 정보 및/또는 여간섭 캐리어 정보를 나타내는 간섭 통지에, 마스터 기지국(201)의 무선통신시스템에 관한 피간섭 캐리어 정보 및/또는 여간섭 캐리어 정보를 나타내는 간섭 통지를 포함시킴으로써, 마스터 기지국(201)용 간섭 통지(IDC)와 세컨더리 기지국(202)용 간섭 통지(IDC)를 세컨더리 기지국(202)으로 송신한다. 즉, 본 실시 예에서는, 마스터 기지국(201)용 간섭 통지와 세컨더리 기지국(202)용 간섭 통지가 개별로 생성되고, 마스터 기지국(201)용 간섭 통지는, 세컨더리 기지국(202)용 간섭 통지에 캡슐화되고, 세컨더리 기지국(202)을 경유하여 마스터 기지국(201)으로 송신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LTE-NR 듀얼 커넥티비티에 있어서의 IDC 통지 설정 수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해당 IDC 통지 설정 수순은, 예를 들면, LTE-NR 듀얼 커넥티비티가 설정된 것에 응답하여 개시되어도 좋다. 또한, 마스터 기지국(201) 및 세컨더리 기지국(202)이 각각 LTE 시스템 및 NR 시스템에 속해도 좋으며, 혹은, 마스터 기지국(201) 및 세컨더리 기지국(202)이 각각 NR 시스템 및 LTE 시스템에 속해도 좋다.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단계 S601에 있어서, 마스터 기지국(201)은, 마스터 기지국(201)이 속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의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해 디바이스 내 간섭을 유저장치(100)에 보고시키기 위한 간섭 보고 설정(예를 들면, RRC 또는 X2/Xn 인터페이스에 따른 Inter-node-message)을 세컨더리 기지국(202)으로 송신한다.
단계 S602에 있어서, 세컨더리 기지국(202)은, 세컨더리 기지국(202)이 속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의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해 디바이스 내 간섭을 검출하고, 검출한 피간섭 캐리어 및/또는 여간섭 캐리어를 나타내는 간섭 통지를 보고하도록 유저장치(100)에 설정함과 동시에, 마스터 기지국(201)으로부터 수신한 간섭 보고 설정을 유저장치(100)로 송신한다.
단계 S603에 있어서, 마스터 기지국(201)이 속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의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해 디바이스 내 간섭을 검출하면, 유저장치(100)는, 검출한 피간섭 캐리어 및/또는 여간섭 캐리어를 나타내는 마스터 기지국(201)용 간섭 통지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마스터 기지국(201)이 LTE 시스템에 속하는 경우, 유저장치(100)는, 피간섭 LTE 컴포넌트 캐리어 및/또는 여간섭 LTE 컴포넌트 캐리어를 나타내는 마스터 기지국(201)용 간섭 통지를 생성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마스터 기지국(201)이 업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의 조합과 해당 조합에 의해 디바이스 내 간섭이 생기는 다운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와의 페어를 나타내는 관련성 정보를 미리 보유하고 있는 경우, 유저장치(100)는, 피간섭 캐리어 정보만을 포함하는 마스터 기지국(201)용 간섭 통지를 생성해도 좋다.
또, 세컨더리 기지국(202)이 속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의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해 디바이스 내 간섭을 검출하면, 유저장치(100)는, 검출한 피간섭 캐리어 및/또는 여간섭 캐리어를 나타내는 세컨더리 기지국(202)용 간섭 통지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세컨더리 기지국(202)이 NR 시스템에 속하는 경우, 유저장치(100)는, 피간섭 NR 컴포넌트 캐리어 및/또는 여간섭 NR 컴포넌트 캐리어를 나타내는 세컨더리 기지국(202)용 간섭 통지를 생성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세컨더리 기지국(202)이 업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의 조합과 해당 조합에 의해 디바이스 내 간섭이 생기는 다운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와의 페어를 나타내는 관련성 정보를 미리 보유하고 있는 경우, 유저장치(100)는, 피간섭 캐리어 정보만을 포함하는 세컨더리 기지국(202)용 간섭 통지를 생성해도 좋다.
마스터 기지국(201)용 간섭 통지와 세컨더리 기지국(202)용 간섭 통지를 생성한 후, 유저장치(100)는, 마스터 기지국(201)용 간섭 통지를 세컨더리 기지국(202)용 간섭 통지 내에 캡슐화 또는 포함시킴으로써, 개별로 생성된 마스터 기지국(201)용 간섭 통지와 세컨더리 기지국(202)용 간섭 통지를 세컨더리 기지국(202)으로 송신한다.
단계 S604a에 있어서, 세컨더리 기지국(202)은, 수신한 세컨더리 기지국(202)용 간섭 통지로부터 마스터 기지국(201)용 간섭 통지를 추출하고, 추출한 마스터 기지국(201)용 간섭 통지를 마스터 기지국(201)에 전송함과 동시에, 세컨더리 기지국(202)용 간섭 통지에 기초하여 적절한 간섭 억제 제어를 실행한다.
단계 S604b에 있어서, 마스터 기지국(201)은, 수신한 마스터 기지국(201)용 간섭 정보에 기초하여 적절한 간섭 억제 제어를 실행한다.
또, 일 실시 예에서는, 송수신부(120)는, 피간섭 서빙 캐리어 또는 여간섭 서빙 캐리어를 제공하는 기지국(201 또는 202)으로 간섭 통지를 송신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간섭 통지가 피간섭 서빙 캐리어를 제공하는 기지국(201 또는 202)으로 송신되는 것으로 한다. 이때, 피간섭 서빙 캐리어가 LTE 컴포넌트 캐리어이며, 기지국(201)이 LTE 시스템에 속하는 경우, 송수신부(120)는, 간섭 통지를 기지국(201)으로 송신한다. 한편, 간섭 통지가 여간섭 서빙 캐리어를 제공하는 기지국(201 또는 202)으로 송신되는 것으로 한다. 이때, 여간섭 서빙 캐리어가 NR 컴포넌트 캐리어이며, 기지국(202)이 NR 시스템에 속하는 경우, 송수신부(120)는, 간섭 통지를 기지국(202)으로 송신한다.
또한, 여간섭 업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의 조합이 LTE 컴포넌트 캐리어와 NR 컴포넌트 캐리어와의 쌍방을 포함하는 경우(도 1의 케이스 1 및 케이스 2등), 유저장치(100)는, 마스터 기지국(201)과 세컨더리 기지국(202)의 쌍방에 간섭 통지를 송신해도 좋으며, 마스터 기지국(201)과 세컨더리 기지국(202)의 어느 하나에만 간섭 통지를 송신해도 좋다.
또, 일 실시 예에서는, 송수신부(120)는, 지정된 기지국(201) 및/또는 기지국(202)에 간섭 통지를 송신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간섭 통지의 송신처는,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내의 OtherConfig에 있어서 간섭 보고 설정을 설정할 때에, 기지국(201 또는 202)에 의해 지정되어도 좋다.
또, 일 실시 예에서는, 간섭 통지는 더욱, 송신 전력 여력 또는 송신 전력 값을 포함해도 좋다. 즉, 디바이스 내 간섭을 검출했을 때 유저장치(100)는, 검출 시의 파워 헤드룸 또는 실제의 송신 전력 값을 기지국(201) 및/또는 기지국(202)으로 송신해도 좋다. 이로 인해, 기지국(201) 및/또는 기지국(202)은, 디바이스 내 간섭을 발생시킨 송신 전력 값을 확인할 수 있고, 송신 전력을 낮추도록 유저장치(100)를 제어함으로써, 간섭 억제를 실현할 수 있다.
또, 일 실시 예에서는, 간섭 통지는 더욱, 업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에서 사용된 무선 리소스를 포함해도 좋다. 즉, 디바이스 내 간섭을 검출했을 때, 유저장치(100)는, 검출 시의 업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에서 사용된 무선 리소스를 기지국(201) 및/또는 기지국(202)으로 송신해도 좋다. 예를 들면, 해당 무선 리소스는, 간섭을 준 각 업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에 있어서 사용된 물리 리소스 블록(PRB), 물리 리소스 엘리먼트(PRE) 등이어도 좋다. 이로 인해, 기지국(201) 및/또는 기지국(202)은, 디바이스 내 간섭을 발생시킨 각 여간섭 캐리어의 주파수 영역을 확인할 수 있고, 다른 주파수 영역을 할당함으로써, 간섭 억제를 실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그널링 예를 설명한다.
유저장치(100)는, 도 10에 도시되는 "InDeviceCoexIndication message"에 의해, LTE 시스템에 속하는 기지국(201 또는 202)에 간섭 통지를 송신해도 좋다. 여기서 정보 요소 "affectedCarrierFreqComList"는 여간섭 캐리어 정보를 나타내고, 정보 요소 "victimCarrierList"는 피간섭 캐리어 정보를 나타낸다. 또, 정보 요소 "powerHeadroom"은 송신 전력 여력 또는 송신 전력값을 나타낸다.
LTE 시스템에 속하는 기지국(201 또는 202)은, 도 1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OtherConfig"에 있어서의 정보 요소 "idc-Indication-MR-DC"를 설정함으로써, 유저장치(100)에 디바이스 내 간섭을 검출시키고, 간섭 통지를 보고시키도록 설정해도 좋다.
한편, 유저장치(100)는, 도 1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InDeviceCoexIndication message"에 의해, NR 시스템에 속하는 기지국(201 또는 202)에 간섭 통지를 송신해도 좋다. 여기서 정보 요소 "affectedCarrierFreqComListNR"은 여간섭 캐리어 정보를 나타내고, 정보 요소 "victimCarrierListNR"은 피간섭 캐리어 정보를 나타낸다. 또, 정보 요소 "powerHeadroom"은 송신 전력 여력 또는 송신 전력값을 나타낸다.
NR 시스템에 속하는 기지국(201 또는 202)은, 도 1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OtherConfig"에 있어서의 정보 요소 "idc-Indication-MR-DC"를 설정함으로써, 유저장치(100)에 디바이스 내 간섭을 검출시키고, 간섭 통지를 보고시키도록 설정해도 좋다.
또, 도 8~9에 도시된 실시 예에 대해, 유저장치(100)는, 도 1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InDeviceCoexIndication message"에 의해, LTE 시스템에 속하는 기지국(201 또는 202)에 간섭 통지를 송신해도 좋다. 여기서 정보 요소 "affectedCarrierFreqComList"는 여간섭 캐리어 정보를 나타내고, 정보 요소 "victimCarrierList"는 피간섭 캐리어 정보를 나타낸다. 또, 정보 요소 "powerHeadroom"은 송신 전력 여력 또는 송신 전력 값을 나타낸다. 또, 정보 요소 "nr-IndeviceCoexInd-Container"는 NR 시스템에 속하는 기지국(202 또는 201)으로 전송되어 하는 NR 컴포넌트 캐리어의 피간섭 캐리어 정보 및/또는 여간섭 캐리어 정보를 나타낸다.
한편, 유저장치(100)는, 도 1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InDeviceCoexIndication message"에 의해, NR 시스템에 속하는 기지국(201 또는 202)에 간섭 통지를 송신해도 좋다. 여기서 정보 요소 "affectedCarrierFreqComListNR"은 여간섭 캐리어 정보를 나타내고, 정보 요소 "victimCarrierListNR"은 피간섭 캐리어 정보를 나타낸다. 또, 정보 요소 "powerHeadroom"은 송신 전력 여력 또는 송신 전력 값을 나타낸다. 또, 정보 요소 "eutra-IndeviceCoexInd-Container"는 LTE 시스템에 속하는 기지국(202 또는 201)으로 전송되어 하는 NR 컴포넌트 캐리어의 피간섭 캐리어 정보 및/또는 여간섭 캐리어 정보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의 설명에 이용한 블록도는, 기능 단위의 블록을 나타내고 있다. 이들의 기능 블록(구성부)은,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실현된다. 또, 각 기능 블록의 실현 수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즉, 각 기능 블록은, 물리적 및/또는 논리적으로 결합한 하나의 장치에 의해 실현되어도 좋으며, 물리적 및/또는 논리적으로 분리한 2개 이상의 장치를 직접적 및/또는 간접적(예를 들면,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접속하고, 이들 복수의 장치에 의해 실현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무선기지국(100) 및 무선기지국(200)은, 본 발명의 무선 통신 방법의 처리를 수행하는 컴퓨터로서 기능해도 좋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유저장치(100) 및 기지국(200)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상술한 유저장치(100) 및 기지국(200)은, 물리적으로는, 프로세서(1001), 메모리(1002), 스토리지(1003), 통신장치(1004), 입력장치(1005), 출력장치(1006), 버스(1007) 등을 포함하는 컴퓨터 장치로서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장치'라는 문언은, 회로, 디바이스, 유닛 등으로 대체할 수 있다. 유저장치(100) 및 기지국(200)의 하드웨어 구성은, 도면에 도시한 각 장치를 하나 또는 복수 포함하도록 구성되어도 좋으며, 일부의 장치를 포함하지 않고 구성되어도 좋다.
유저장치(100) 및 기지국(200)에 있어서의 각 기능은, 프로세서(1001), 메모리(1002) 등의 하드웨어 상에 소정의 소프트웨어(프로그램)를 읽어들임으로써, 프로세서(1001)가 연산을 수행하고, 통신장치(1004)에 의한 통신이나, 메모리(1002) 및 스토리지(1003)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독출 및/또는 쓰기를 제어하거나 함으로써 실현된다.
프로세서(1001)는, 예를 들면, 오퍼레이팅 시스템을 동작시켜 컴퓨터 전체를 제어한다. 프로세서(100)는, 주변 장치와의 인터페이스, 제어장치, 연산장치, 레지스터 등을 포함하는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로 구성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상술한 각 구성 요소는, 프로세서(1001)에서 실현되어도 좋다.
또, 프로세서(1001)는, 프로그램(프로그램 코드), 소프트웨어 모듈이나 데이터를, 스토리지(1003) 및/또는 통신장치(1004)로부터 메모리(1002)에 독출하고, 이들에 따라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프로그램으로서는, 상술한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동작의 적어도 일부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이용된다. 예를 들면, 유저장치(100) 및 기지국(200)의 각 구성 요소에 따른 처리는, 메모리(1002)에 저장되고, 프로세서(1001)에서 동작하는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되어도 좋고, 다른 기능 블록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실현되어도 좋다. 상술한 각종 처리는, 하나의 프로세서(1001)에서 실행되는 취지를 설명했으나, 2개 이상의 프로세서(1001)에 의해 동시 또는 축차적으로 실행되어도 좋다. 프로세서(1001)는, 하나 이상의 칩으로 실장되어도 좋다. 또한, 프로세서는, 전기 통신 회선을 통해 네트워크로부터 송신되어도 좋다.
메모리(1002)는, 컴퓨터 읽기 가능한 기록매체이며, 예를 들면,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RAM(Random Access Memory) 등의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어도 좋다. 메모리(1002)는, 레지스터, 캐시, 메인 메모리(주기억장치) 등이라 불려도 좋다. 메모리(100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을 실시하기 위해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프로그램 코드), 소프트웨어 모듈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스토리지(1003)는, 컴퓨터 읽기 가능한 기록매체이며, 예를 들면, CD-ROM(Compact Disc ROM) 등의 광 디스크, 하드디스크 드라이버, 플렉서블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예를 들면, 콤팩트디스크, 디지털 다용도 디스크, Blu-ray(등록 상표) 디스크), 스마트카드, 플래시 메모리(예를 들면, 카드, 스틱, 키 드라이브), 플로피(등록 상표) 디스크, 자기테이프 등의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어도 좋다. 스토리지(1003)는, 보조기억장치라 불려도 좋다. 상술한 기억매체는, 예를 들면, 메모리(1002) 및/또는 스토리지(1003)를 포함하는 데이터 베이스, 서버 그 외의 적절한 매체여도 좋다.
통신장치(1004)는,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컴퓨터 간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송수신 디바이스)이며, 예를 들면 네트워크 디바이스, 네트워크 컨트롤러, 네트워크 카드, 통신 모듈 등이라고도 한다. 예를 들면, 상술한 각 구성 요소는, 통신장치(1004)에서 실현되어도 좋다.
입력장치(1005)는, 외부로부터의 입력을 받는 입력 디바이스(예를 들면, 키보드, 마우스, 마이크로폰, 스위치, 버튼, 센서 등)이다. 출력장치(1006)는, 외부로의 출력을 실시하는 출력 디바이스(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스피커, LED 램프 등)이다. 또한, 입력장치(1005) 및 출력장치(1006)는, 일체로 된 구성(예를 들면, 터치패널)이어도 좋다.
또, 프로세서(1001)나 메모리(1002) 등의 각 장치는, 정보를 통신하기 위한 버스(1007)로 접속된다. 버스(1007)는, 단일의 버스로 구성되어도 좋으며, 장치 간에 다른 버스로 구성되어도 좋다.
또, 유저장치(100) 및 기지국(200)은,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Digital Signal Processor),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PLD(Programmable Logic Device),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하드웨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도 좋고, 해당 하드웨어에 의해, 각 기능 블록의 일부 또는 전체가 실현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001)는, 이들의 하드웨어의 적어도 하나로 실장되어도 좋다.
정보의 통지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형태/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방법으로 수행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정보의 통지는, 물리 레이어 시그널링(예를 들면,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 UCI(Uplink Control Information)),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예를 들면,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 MAC(Medium Access Control) 시그널링, 브로드캐스트 정보(MIB(Master Information Block)), SIB(System Information Block)), 그 외의 신호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실시되어도 좋다. 또, RRC 시그널링은, RRC 메시지라 불려도 좋고, 예를 들면, RRC 접속 셋업(RRC Connection Setup) 메시지, RRC 접속 재구성(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 등이어도 좋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각 형태/실시형태는, LTE(Long Term Evolution), LTE-A(LTE-Advanced), SUPER 3G, IMT-Advanced, 4G, 5G, FRA(Future Radio Access), W-CDMA(등록 상표), GSM(등록 상표), CDMA2000, UMB(Ultra Mobile Broadband), IEEE 802.11(Wi-Fi), IEEE 802.16(WiMAX), IEEE 802.20, UWB(Ultra-WideBand), Bluetooth(등록 상표), 그 외의 적절한 시스템을 이용하는 시스템 및/또는 이들에 기초하여 확장된 차세대 시스템에 적용되어도 좋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각 형태/실시형태의 처리 수순, 시퀀스, 흐름도 등은, 모순이 없는 한, 순서를 바꿔도 좋다. 예를 들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방법에 대해서는, 예시적인 순서로 다양한 단계의 요소를 제시하고 있으며, 제시된 특정한 순서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기지국(200)에 의해 수행되는 특정 동작은, 경우에 따라서는 그 상위 노드(upper node)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도 있다. 기지국을 갖는 하나 또는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network nodes)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에 있어서,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은, 기지국 및/또는 기지국 이외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예를 들면, MME 또는 S-GW 등을 생각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것은 명백하다. 상기에 있어서 기지국 이외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가 하나인 경우를 예시했으나, 복수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의 조합(예를 들면, MME 및 S-GW)이어도 좋다.
정보 등은, 상위 레이어(또는 하위 레이어)로부터 하위 레이어(또는 상위 레이어)로 출력될 수 있다.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를 통해 입출력되어도 좋다.
입출력된 정보 등은 특정한 장소(예를 들면, 메모리)에 저장되어도 좋으며, 관리 테이블에서 관리해도 좋다. 입출력되는 정보 등은, 덮어쓰기, 갱신 또는 추기가 될 수 있다. 출력된 정보 등은 삭제되어도 좋다. 입력된 정보 등은 다른 장치로 송신되어도 좋다.
판정은, 1 비트로 표현되는 값(0인지 1인지)에 의해 수행되어도 좋으며, 진위 값(Boolean: true 또는 false)에 의해 수행되어도 좋으며, 수치의 비교(예를 들면, 소정의 값과의 비교)에 의해 수행되어도 좋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각 형태/실시 예는 단독으로 이용해도 좋으며, 조합하여 이용해도 좋으며, 실행에 따라 전환하여 이용해도 좋다. 또, 소정의 정보의 통지(예를 들면, 'X인 것'의 통지)는, 명시적으로 수행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암묵적(예를 들면, 해당 소정의 정보의 통지를 수행하지 않는 것)으로 수행되어도 좋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했으나, 당업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이 본 명세서 안에 설명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의 기재로 인해 규정되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수정 및 변경 형태로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기재는, 예시 설명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 대해 어떠한 제한적인 의미를 갖는 것이 아니다.
소프트웨어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 코드, 하드웨어 기술 언어라 불리든, 다른 명칭으로 불리든 상관없이, 명령, 명령 세트, 코드, 코드 세그먼트, 프로그램 코드, 프로그램, 서브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모듈,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패키지, 루틴, 서브 루틴, 오브젝트, 실행 가능 파일, 실행 스레드, 수순, 기능 등을 의미하도록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또, 소프트웨어, 명령, 정보 등은, 전송 매체를 통해 송수신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가, 동축 케이블, 광파이버 케이블, 트위스트 페어 및 디지털 가입자 회선(DSL) 등의 유선 기술 및/또는 적외선, 무선 및 마이크로파 등의 무선 기술을 사용하여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리모트 소스로부터 송신되는 경우, 이들의 유선 기술 및/또는 무선 기술은, 전송 매체의 정의 내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정보, 신호 등은, 다양한 다른 기술의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표현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상기 설명 전체에 걸쳐 언급될 수 있는 데이터, 명령, 커맨드, 정보, 신호, 비트, 심볼, 칩 등은, 전압, 전류, 전자파, 자계 혹은 자성 입자, 빛의 장 혹은 광자,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표현되어도 좋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용어 및/또는 본 명세서의 이해에 필요한 용어에 대해서는, 동일한 또는 유사한 의미를 갖는 용어와 치환해도 좋다. 예를 들면, 채널 및/또는 심볼은 신호(시그널)이어도 좋다. 또, 신호는 메시지여도 좋다. 또, 컴포넌트 캐리어(CC)는, 캐리어 주파수, 셀 등이라 불려도 좋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시스템' 및 '네트워크'라는 용어는, 호환적으로 사용된다.
또,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정보, 파라미터 등은, 절대값으로 나타내어져도 좋으며, 소정의 값으로부터의 상대값으로 나타내어져도 좋으며, 대응되는 다른 정보로 나타내어져도 좋다. 예를 들면, 무선 리소스는 인덱스로 지시되는 것이어도 좋다.
상술한 파라미터에 사용하는 명칭은 어떠한 점에 있어서도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또한, 이들의 파라미터를 사용하는 수식 등은, 본 명세서에서 명시적으로 개시한 것과 다른 경우도 있다. 다양한 채널(예를 들면, PUCCH, PDCCH 등) 및 정보 요소(예를 들면, TPC 등)는, 모든 바람직한 명칭에 의해 식별할 수 있기 때문에, 이들의 다양한 채널 및 정보 요소에 할당하고 있는 다양한 명칭은, 어떠한 점에 있어서도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기지국은, 하나 또는 복수(예를 들면, 3개)의 셀(섹터라고도 불린다)을 수용할 수 있다. 기지국이 복수의 셀을 수용하는 경우, 기지국의 커버리지 에어리어 전체는 복수의 보다 작은 에어리어로 구분할 수 있고, 각각의 보다 작은 에어리어는, 기지국 서브 시스템(예를 들면, 실내용 소형 기지국(RRH: Remote Radio Head)에 의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셀' 또는 '섹터'라는 용어는, 이 커버리지에 있어서 통신 서비스를 수행하는 기지국 및/또는 기지국 서브 시스템의 커버리지 에어리어의 일부 또는 전체를 가리킨다. 또한, '기지국', 'eNB', '셀' 및 '섹터'하는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는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기지국은, 고정국(fixed station), NodeB, eNodeB(eNB),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펨토 셀, 스몰 셀 등의 용어로 불리는 경우도 있다.
이동국은, 당업자에 따라, 가입자국, 모바일 유닛, 가입자 유닛, 와이어리스 유닛, 리모트 유닛, 모바일 디바이스, 와이어리스 디바이스, 와이어리스 통신 디바이스, 리모트 디바이스, 모바일 가입자국, 액세스 단말, 모바일 단말, 와이어리스 단말, 리모트 단말, 핸드셋, 유저 에이전트, 모바일 클라이언트, 클라이언트 또는 몇 가지의 다른 적절한 용어로 불리는 경우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판단(determining)','결정(determining)'이라는 용어는, 다종다양한 동작을 포함하는 경우가 있다. '판단', '결정'은, 계산(calculating), 산출(computing), 처리(processing), 도출(deriving), 조사(investigation), 탐색(looking up)(예를 들면, 테이블, 데이터베이스 또는 다른 데이터 구조에서의 탐색), 확인(ascertaining) 등을 '판단(결정)'하는 것이라고 간주되어도 좋다. 또, '판단', '결정'은, 수신(receiving)(예를 들면, 정보를 수신하는 것), 송신(transmitting)(예를 들면, 정보를 송신하는 것), 입력(input), 출력(output), 액세스(accessing)(예를 들면, 메모리 안의 데이터에 액세스하는 것) 등을 '판단', '결정'했다고 간주되어도 좋다. 또, '판단(결정)'은, 해결(resolving), 선택(selecting), 선정(choosing), 확립(establishing), 비교(comparing) 등을 '판단', '결정'하는 것이라고 간주되어도 좋다. 즉, '판단', '결정'은, 어떠한 동작을 '판단', '결정'했다고 간주되어도 좋다.
'접속된(connected)', '결합된(coupled)'이라는 용어, 또는 이들의 모든 변형은, 2개 또는 그 이상의 요소 간의 직접적 또는 간접적인 모든 접속 또는 결합을 의미하고, 서로 '접속' 또는 '결합'된 2개의 요소 간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중간 요소가 존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요소 간의 결합 또는 접속은, 물리적인 것이라도, 논리적인 것이라도, 혹은 이들의 조합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접속'은 '액세스'로 대체되어도 좋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경우, 2개의 요소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선, 케이블 및/또는 프린트 전기 접속을 사용함으로써, 및 몇 가지의 비한정적 그리고 비포괄적인 예로서, 무선 주파수 영역, 마이크로파 영역 및 빛(가시 및 불가시 양방) 영역의 파장을 갖는 전자 에너지 등의 전자 에너지를 사용함으로써, 서로 '접속' 또는 '결합'된다고 생각할 수 있다.
참조 신호는, RS(Reference Signal)이라 약칭할 수도 있고, 적용되는 표준에 의해 파일럿(Pilot)이라 불려도 좋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에 기초하여'라는 기재는, 각별히 명기되어 있지 않은 한, '에만 기초하여'를 의미하지 않는다. 바꿔 말하면, '에 기초하여'라는 기재는, '에만 기초하여'와 '에 적어도 기초하여'의 양방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제1', '제2' 등의 호칭을 사용한 요소에 대한 어떠한 참조도, 그들의 요소의 양 또는 순서를 전반적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들의 호칭은, 2개 이상의 요소 간을 구별하는 편리한 방법으로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요소의 참조는, 2개의 요소만이 채용될 수 있는 것, 또는 어떠한 형태로 제1 요소가 제2 요소에 선행해야 하는지를 의미하지 않는다.
상기 각 장치의 구성에 있어서의 '수단'을, '부', '회로', '디바이스' 등으로 치환해도 좋다.
'포함하는(including)', 포함하고 있는(comprising)' 및 이들의 변형이, 본 명세서 혹은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되고 있는 한, 이들 용어는, 용어 '구비하는(Comprising)'과 마찬가지로, 포괄적인 것이 의도된다. 또한, 본 명세서 혹은 특허청구범위에 있어서 사용되고 있는 용어 '또는(or)'는, 배타적 논리합이 아닌 것이 의도된다.
무선 프레임은 시간 영역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시간 영역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각 프레임은 서브 프레임이라 불려도 좋다. 서브 프레임은 또한 시간 영역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슬롯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슬롯은 더욱 시간 영역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심볼(OFDM 심볼, SC-FDMA 심볼 등)로 구성되어도 좋다. 무선 프레임, 서브 프레임, 슬롯, 및 심볼은, 모두 신호를 전송할 때의 시간 단위를 나타낸다. 무선 프레임, 서브 프레임, 슬롯 및 심볼은, 각각에 대응되는 다른 호칭이 이용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LTE 시스템에서는, 기지국이 각 이동국에 무선 리소스(각 이동국에 있어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주파수 대역폭 및 송신 전력 등)를 할당하는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스케줄링의 최소 시간 단위를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이라 불려도 좋다. 예를 들면, 1 서브 프레임을 TTI라 불려도 좋으며, 복수의 연속한 서브 프레임을 TTI라 불려도 좋으며, 1 슬롯을 TTI라 불러도 좋다. 리소스 블록(RB)은, 시간 영역 및 주파수 영역의 리소스 할당 단위이며, 주파수 영역에서는 하나 또는 복수의 연속한 부판송파(subcarrier)를 포함해도 좋다. 또, 리소스 블록의 시간 영역에서는, 하나 또는 복수의 심볼을 포함해도 좋으며, 1 슬롯, 1 서브 프레임 또는 1TTI의 길이어도 좋다. 1TTI, 1 서브 프레임은, 각각 하나 또는 복수의 리소스 블록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상술한 무선 프레임의 구조는 예시에 불과하며, 무선 프레임에 포함되는 서브 프레임의 수, 서브 프레임에 포함되는 슬롯의 수, 슬롯에 포함되는 심볼 및 리소스 블록의 수, 및, 리소스 블록에 포함되는 서브 캐리어의 수는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술했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 있어서, 다양한 변형·변경이 가능하다.
본 출원은, 2017년 6월 16일에 출원한 일본국 특허출원 2017-119134호의 우선권의 이익에 기초하여, 이를 주장하는 것이며, 2017-119134호의 모든 내용을 본 출원에 원용한다.
100 유저장치
110 간섭 통지 생성부
120 송수신부
201, 202 기지국

Claims (7)

  1. 제1 무선통신시스템과 제2 무선통신시스템과의 사이의 듀얼 커넥티비티에 있어서, 디바이스 내 간섭을 받는 서빙 캐리어를 나타내는 피간섭 캐리어 정보를 포함하는 간섭 통지를 생성하는 간섭 통지 생성부;
    상기 간섭 통지를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송수신부;를 가지며,
    상기 제1 무선통신시스템은 NR(New Radio Access Technology) 시스템이고, 상기 제2 무선통신시스템은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인 유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간섭 통지를 상기 듀얼 커넥티비티에 있어서의 마스터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유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듀얼 커넥티비티에 있어서의 마스터 기지국의 무선통신시스템에 관한 피간섭 캐리어 정보 및 세컨더리 기지국의 무선통신시스템에 관한 피간섭 캐리어 정보를 나타내는 간섭 통지를 상기 마스터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유저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제1 무선통신시스템 또는 상기 제2 무선통신시스템 중 하나의 무선통신시스템에 속하는 제1 기지국의 무선통신시스템에 관한 피간섭 캐리어 정보를 나타내는 간섭 통지에, 상기 제1 기지국과 다른 무선통신시스템에 속하는 제2 기지국의 무선통신시스템에 관한 피간섭 캐리어 정보를 나타내는 간섭 통지를 포함시킴으로써, 상기 제1 기지국의 간섭 통지와 상기 제2 기지국의 간섭 통지를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유저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는, 간섭을 받는 서빙 캐리어 또는 간섭을 주는 서빙 캐리어를 제공하는 기지국으로 상기 간섭 통지를 송신하는, 유저장치.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간섭 캐리어 정보는, 상기 간섭을 받는 서빙 캐리어의 셀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유저장치.
  7.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통지는 더욱, 상기 간섭을 주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유저장치.
KR1020197035748A 2017-06-16 2018-06-01 유저장치 KR1023019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19134 2017-06-16
JP2017119134 2017-06-16
PCT/JP2018/021124 WO2018230361A1 (ja) 2017-06-16 2018-06-01 ユーザ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3169A KR20200003169A (ko) 2020-01-08
KR102301902B1 true KR102301902B1 (ko) 2021-09-14

Family

ID=64660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5748A KR102301902B1 (ko) 2017-06-16 2018-06-01 유저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999827B2 (ko)
EP (1) EP3641378A4 (ko)
JP (1) JP6959335B2 (ko)
KR (1) KR102301902B1 (ko)
CN (1) CN110741666B (ko)
WO (1) WO20182303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47077B2 (en) 2017-08-18 2021-10-12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for scheduling resources
CN109756976B (zh) * 2017-11-03 2022-06-1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规避信号干扰的方法及网络设备
US10904935B2 (en) 2019-01-28 2021-01-26 T-Mobile Usa, Inc. Smart scheduling for intermodulation distortion avoidance on multiple uplink transmissions
CN111436058B (zh) * 2019-02-14 2022-11-1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设备及系统
US11228413B2 (en) * 2019-03-11 2022-01-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controlling frequency band for communica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JPWO2020202545A1 (ko) * 2019-04-05 2020-10-08
KR20200132777A (ko) * 2019-05-16 2020-11-25 삼성전자주식회사 주파수 간섭 조합 대역에서의 5g 마이그레이션 방법 및 장치
WO2022205392A1 (zh) * 2021-04-01 2022-10-0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频段配置方法、终端设备、网络设备、芯片和存储介质
US11864218B1 (en) * 2021-06-10 2024-01-02 T-Mobile Usa, Inc. 5G new radio uplink intermodulation distortion mitigation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9589B1 (ko) * 2010-08-16 2018-06-28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 내에 복수 개의 이종 통신 모듈이 있을 경우 간섭을 회피하는 방법 및 장치
JP6117722B2 (ja) * 2014-01-17 2017-04-19 株式会社Nttドコモ 基地局、ユーザ装置、干渉低減制御情報通知方法、及び干渉低減方法
US10721720B2 (en) * 2014-01-30 2020-07-21 Qualcomm Incorporated Cell On-Off procedure for dual connectivity
GB2522673B (en) * 2014-01-31 2016-08-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dual connectivity
US9509485B2 (en) * 2014-05-08 2016-11-29 Intel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in-device co-existence interference avoidance for dual connectivity
US9843992B2 (en) * 2015-02-02 2017-12-1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ell search for D2D enabled UEs in out of network coverage
CN106031237A (zh) * 2015-02-13 2016-10-12 瑞典爱立信有限公司 双连接的建立
JP6680202B2 (ja) 2015-12-28 2020-04-15 株式会社三洋物産 遊技機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TSG-RAN WG1 Meeting #89, R1-1708655, 2017.05.07.
3GPP TSG-RAN WG2 Meeting #87, R2-143534, 2014.08.08.
3GPP TSG-RAN WG2 Meeting #97, R2-1701297, 2017.02.03.
3GPP TSG-RAN WG2 Meeting #98, R2-1704692, 2017.05.0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999827B2 (en) 2021-05-04
EP3641378A4 (en) 2021-01-06
US20200205146A1 (en) 2020-06-25
WO2018230361A1 (ja) 2018-12-20
CN110741666B (zh) 2022-10-21
EP3641378A1 (en) 2020-04-22
KR20200003169A (ko) 2020-01-08
CN110741666A (zh) 2020-01-31
JP6959335B2 (ja) 2021-11-02
JPWO2018230361A1 (ja) 2020-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1902B1 (ko) 유저장치
JP6916288B2 (ja) 端末、基地局、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US10966270B2 (en)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EP3879869A1 (en) Wireless node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20190280837A1 (en)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US11902987B2 (en) Radio node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EP3522618A1 (en) User device and base station
US11490455B2 (en)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US20220322075A1 (en) Terminal, transmission method, and radio communication system
EP3863189A1 (en) User terminal, wireless base st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20220159561A1 (en) User equipment
US20190166642A1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JPWO2019064604A1 (ja) 基地局及びユーザ装置
US20220312274A1 (en) Terminal, base station, and communication method
EP4027721A1 (en) Terminal and communication method
WO2020246024A1 (ja) 端末及び基地局
KR20220016829A (ko) 단말 및 기지국
EP3691329A1 (en) Base station and measurement capability determination method
KR20210118819A (ko) 유저장치 및 기지국장치
US20230028348A1 (en) Terminal and measuring method
WO2020170457A1 (ja) 端末及び無線通信制御方法
JPWO2020174552A1 (ja) 端末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JP2021077979A (ja) 無線基地局
JPWO2020161906A1 (ja) ユー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