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1717B1 - 발달장애아동용 압박조끼 - Google Patents

발달장애아동용 압박조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1717B1
KR102301717B1 KR1020210022273A KR20210022273A KR102301717B1 KR 102301717 B1 KR102301717 B1 KR 102301717B1 KR 1020210022273 A KR1020210022273 A KR 1020210022273A KR 20210022273 A KR20210022273 A KR 20210022273A KR 102301717 B1 KR102301717 B1 KR 102301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 tube
vest
tube pad
inj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2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훈
한동엽
박철준
김민태
Original Assignee
(주)돌봄드림
김지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돌봄드림, 김지훈 filed Critical (주)돌봄드림
Priority to KR1020210022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17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1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1717B1/ko
Priority to US18/043,399 priority patent/US20240008566A1/en
Priority to PCT/KR2021/017580 priority patent/WO202217710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1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shock-absorbing means
    • A41D13/018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shock-absorbing means inflatable automatically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4Vests, jerseys, sweat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1/00Garments for childr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30Pressure-pads
    • A61F5/34Pressure pads filled with air or liquid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7/00Control of flow
    • G05D7/06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Closures using hook and loop-typ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8Shaping the contour of the body or adjusting the fig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rs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달장애아동을 안정시켜 치료 교육을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게 보조적인 역할 가지는 압박조끼에 관한 것으로, 착용되는 조끼의 등쪽 부분인 후면부와 가슴쪽 부분인 전면부에 전·후면부 공기튜브패드가 내장되고, 내장된 전·후면부 공기튜브패드는 발달장애아동을 안정시키기에 적합하도록 설정된 압력으로 공기가 주입되는데, 주입되는 공기는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을 통해 제어하면서도 수동의 펌프로도 주입할 수 있으며, 조끼외피의 전면부와 후면부에 내장된 전·후면부 공기튜브패드는 원형접합부와 선형접합부를 두어 주입되는 공기가 잘 빠져 나가지 못하게 하면서도 균등히 부풀러 오르면서 전체적으로 균등하게 압박을 주면서 공기튜브패드의 공기압이 내측으로 향함으로써 주입 공기량에 의한 가압 효율성을 높이도록 구성된 것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발달장애아동용 압박조끼{Vest for Developmental Disablity Child}
본 발명은 발달장애아동을 안정시켜 치료 교육을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게 보조적인 역할을 가지는 발달장애아동용 압박조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착용되는 발달장애아동용 압박조끼의 가슴쪽 부분인 전면부와 등쪽 부분인 후면부에 공기튜브패드가 내장되고, 상기 내장된 전·후면부 공기튜브패드는 발달장애아동을 안정시키기에 적합하도록 정해진 설정압력으로 공기가 주입되어 팽창되고, 상기 공기튜브패드에 주입되는 공기의 설정압력은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을 통해 제어하면서도 수동의 펌프로도 주입할 수 있으며, 발달장애아동용 압박조끼를 구성하는 조끼외피의 전면부와 후면부에 내장된 전·후면부 공기튜브패드는 원형접합부와 선형접합부를 두어 주입되는 공기가 균등히 부풀러 오르면서 전체적으로 균등하게 압박을 주면서 공기튜브패드의 공기압이 내측으로 향함으로써 주입 공기량에 의한 가압 효율성을 높이도록 구성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끼는 길이가 짧고 몸에 맞으며 소매가 없는 윗옷으로서 소매가 없으므로 인하여 활동성이 높은 것으로 상의 위에 덧입는 보조적인 윗옷으로 착용되는데, 조끼에 공기를 주입하여 착용자가 물에 뜨게 하거나 보온 기능과 더불어 외부 충격을 완화하기 위하여 착용되는 경우가 있으며, 체형의 결점을 보완하거나 흉부 등 수술부위에 압박을 주어 치료의 목적으로 착용되는 치료용 조끼 등이 있다.
조끼에 공기를 주입하여 다용도 사용되는 종래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번호 제20-0446466호인 '다기능 조끼'가 있는데, 조끼의 내부에 공기층을 형성하여 보온 기능의 향상과 더불어 물에서 착용자가 뜨게 하면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착용자를 보호할 수 있는 다기능 조끼를 고안한 바가 있으나, 상기 다기능 조끼는 공기층이 마련된 공기시트를 단지 조끼에 추가한 것으로 조끼에 공기을 주입하여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았다.
또한, 조끼에 일정의 압력을 가하여 치료 목적을 가지는 종래 기술로서 대한민국 특허등록 번호 제10-1246924호인 '장애아동의 주의력을 향상시키는 의류'는 조끼의 외측부와 내측부 사이에 체적가변부를 구비하여 압박 자극을 조절하여 주의력 결핍아동이나 감각 조절이 잘되지 않는 아동의 감각통합 치료에 활용하기 위한 것이 있는데, 상기 특허는 공기의 유입과 유출로 부피가 가변되는 체적가변부와 상기 체적가변부의 부피와 내부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으나, 상기 체적가변부의 구성이 조끼의 일부분에 위치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공기가 주입됨에 따라 부풀러지는 체적가변부의 압력이 착용자의 조끼에 균등하게 가해지지 않아 주의력을 향상시키는데 한계를 가지고 있다.
또한, 공기의 주입으로 치료를 하는 압박복인 종래 기술로서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1943793호인 '공기 주입식 의료용 압박용'은 신축성 재질의 원단과 상기 원단의 일측에 중공을 구비한 복수 개의 포켓과, 상기 포켓 사이에서 상기 중공을 구획하는 격벽 및 에어백, 압력센서, 통신부 등으로 구성되어 착용자의 특정 신체 부위를 압박하는 것인데, 상기 압박복은 특정 부위를 압박하기 위하여 구성된 것으로 등부분과 가슴부분인 몸의 상체에 균등한 압박을 가하여 몸을 안정화시키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지 않았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번호 제20-0446466호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1246924호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1943793호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은 발달장애아동용 압박조끼를 구성하는 조끼외피의 가슴쪽 부분인 전면부와 등쪽 부분인 후면부에 공기튜브패드를 내장하고, 사전에 정해진 설정압력과 압력유지시간으로 전·후면부 공기튜브패드에 공기를 주입하여 착용함에 있어서 공기 주입에 따른 공기압의 급격한 증가를 방지하고 안전하게 착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제어부, 구동부 및 센서부를 구비하여 발달장애아동의 취향과 치료에 필요한 수치로 공기튜브패드의 주입 공기량과 공기압을 조절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선형접착부와 원형접착부로 주입 공기의 통로를 형성한 단위 모듈이 상하 좌우로 연속하여 이어져 형성되어 있으므로 인하여 주입되는 공기가 공기튜브패드 전체에 걸쳐 일정한 높이로 균등하게 골고루 부풀어지면서 가슴쪽 부분과 등쪽 부분을 균등하게 가압하게 되어 상부 몸체인 상반신을 포근히 감싸는 느낌으로 발달장애아동에게 안정감을 주어 치유 효과를 높이는 것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튜브패드에 주입되는 공기에 의하여 부풀어 오르는 공기튜브패드가 내부 몸쪽으로 부풀어 오르게 유도하기 위하여 1차적으로 공기튜브패드의 외피 두께를 공기튜브패드의 내피 두께보다 더 두껍게 형성하며, 2차적으로 조끼외피의 내측부를 신축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하고 조끼외피의 외측부를 신축성이 없는 재질로 형성하여 공기튜브패드의 공기압이 내측으로 향함으로써 주입 공기량에 의한 가압 효율성을 높이는 것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벨크로 등으로 구성된 연결부로 조끼외피를 구성하는 전면부와 후면부를 서로 결합하면서 상체 사이즈의 변화에 맞게 조끼외피의 크기를 조절하여 주입되는 공기압력과 더불어 착용자 몸으로의 밀착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인 발달장애아동용 압박조끼는, 가슴쪽 부분인 전면부와 등쪽 부분인 후면부로 구성된 조끼외피, 상기 조끼외피의 전면부와 후면부에 내장되는 공기튜브패드, 상기 공기튜브패드의 주입되는 공기를 제어하는 제어부에 의하여 공기튜브패드에 공기를 주입시키는 구동부, 상기 주입되는 공기의 설정압력과 압력유지시간을 체크하는 센서부, 상기 공기튜브패드에 주입되는 공기가 공기튜브패드 전체에 걸쳐 일정한 높이로 균등하게 부풀어지면서 가슴쪽 부분과 등쪽 부분을 균등하게 가압할 수 있도록 공기튜브패드에 형성된 원형접착부와 선형형접착부, 상기 전면부와 후면부를 서로 결합하면서 상체 사이즈의 변화에 맞게 조끼외피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연결부로 구성된 것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튜브패드에 형성된 원형접착부는 점 접착으로 형성되고 선형접착부는 일정 길이로 선 접착으로 형성되며, 선형접착부의 단부 끝과 선형접착부의 단부 끝 사이에 원형접착부가 위치하여 주입 공기의 통로를 형성한 단위 모듈이 전·후면부 공기튜브패드의 상하 좌우로 연속하여 이어져 형성된 것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튜브패드에 주입되는 공기에 의하여 부풀어 오르는 공기튜브패드가 내부 몸쪽으로 부풀어 오르게 유도하기 위하여 1차적으로 공기튜브패드의 외피 두께를 공기튜브패드의 내피 두께보다 더 두껍게 형성하며, 2차적으로 조끼외피의 내측부를 신축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하고 조끼외피의 외측부를 신축성이 없는 재질로 형성된 것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조끼외피의 전면부에 내장되는 전면부 공기튜브패드는 일체로 형성되거나 두 부분으로 분리되어 형성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구동부는 공기튜브패드에 공기를 주입하는 에어펌프와 공기를 밖으로 빼내는 기능을 가지는 솔레노이드밸브를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발달장애아동용 압박조끼를 착용함에 있어서 공기 주입에 따른 공기압의 급격한 증가를 방지하고 안전하게 착용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튜브패드의 주입 공기량과 공기압을 조절하여 발달장애아동의 취향에 따라 치료 효과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튜브패드에 선형접착부와 원형접착부를 형성하여 공기 주입시 공기튜브패드 전체에 걸쳐 일정한 높이로 균등하게 부풀어지면서 가슴쪽 부분과 등쪽 부분을 균등하게 가압하게 되어 상부 몸체인 상반신을 포근히 감싸는 느낌으로 발달장애아동에게 안정감을 주어 치유 효과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튜브패드에 주입되는 공기에 의하여 부풀어 오르는 공기튜브패드가 내부 몸쪽으로 부풀어 오르게 유도하며, 조끼외피의 내측부를 신축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하여 주입 공기량에 의한 가압 효율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부로 조끼외피를 구성하는 전면부와 후면부를 서로 결합하면서 상체 사이즈의 변화에 맞게 조끼외피의 크기를 조절하며 주입되는 공기압력과 함께 몸으로의 밀착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작동 상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동부 알고리즘의 흐름도
도 3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조끼외피, 조끼외피가 분리된 전면부와 후면부를 나타낸 상태도
도 4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조끼외피, 조끼외피가 분리된 전면부와 후면부를 나타낸 상태도
도 5의 (a),(b)는 본 발명에서 조끼외피의 전면부와 후면부에 내장되는 전·후면부 공기튜브패드의 내부상태 단면도
도 6의 (a),(b)는 본 발명에서 조끼외피의 전면부와 후면부에 내장되는 다른실시예의 전·후면부 공기튜브패드의 내부상태 단면도
도 7는 본 발명의 구동부와 후면부 공기튜브패드가 결합되는 상태도
도 8의 (a),(b)는 본 발명에서 후면부 공기튜브패드가 손펌프와 분리 및 결합되는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서 공기가 주입된 공기튜브패드의 사시도
본 발명은 발달장애아동의 장애를 극복하기 위한 치료 교육시 발달장애아동을 안정시켜 치료 교육을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게 보조해주는 발달장애아동용 압박조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설정된 공기압을 가지는 발달장애아동용 압박조끼를 착용하여 상체인 가슴쪽 부분과 등쪽 부분을 동시에 압박을 가하면 부교감 신경을 자극하여 안정감을 주어 발달장애아동의 장애를 치유할 수 있다는 행동심리학의 Deep Touch Pressure(DTP) 이론에 기반을 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작동 상태 구성도로서, 공기가 주입되는 발달장애용 압박조끼, 발달장애용 압박조끼에 공기를 주입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에어펌프인 모터펌프와 주입된 공기를 빼내는 솔레노이드밸드 및 상기 모터펌프와 솔레이노드밸드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로 이루어진 전원부로 이루어진 구동부(30)와, 설정된 공기압력과 압력유지시간을 측정하는 센서부(40), 이동통신인 모발일폰인 스마트폰으로 구동부(30)를 제어하는 제어부(50)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도 1에 나타난 구동부(30), 센서부(40) 및 제어부(50)의 하드웨어적 구성은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기술을 채용하고 있어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인 스마트폰에 설치된 어플을 통해 아래에서 설명하는 공기튜브패드(20)에 주입되는 공기압을 제어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원하는 일정의 공기압력치를 저장할 수 있으며, 모바일폰인 스마트폰 마이크를 통하여 사용자의 음성명령을 인식하게 하여 공기압력을 제어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제어부(50)에 의하여 구동되는 구동부(30)를 통하여 공기튜브패드(20)에 공기를 주입시키며, 센서부(40)는 주입되는 공기의 설정압력과 압력유지시간을 체크하면서 구동부(30)와 연동하여 착용자인 발달장애아동의 취향과 치료에 필요한 수치로 주입 공기량과 공기압을 조절함으로써 발달장애아동의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구동부(30)의 알고리즘 흐름도로서, 구동부(30)는 공기튜브패드(20)에 공기를 주입하는 에어펌프인 모터펌프와 공기를 밖으로 빼내는 기능을 가지는 솔레노이드밸브를 구비하고 있는데, 사용자가 전원버튼을 눌러 전원을 켜고 작동스위치의 푸시(PUSH) 버튼을 누르면 구동부(30)의 모터펌프가 작동되어 공기튜브패드(20)에 공기를 주입하게 된다. 주입 공기량의 급격한 증가를 방지하기 위하여 미리 일정의 공기 설정압력을 설정하여 주입되는 공기가 설정압력 이상인지 여부를 체크하게 된다. 주입되는 공기가 설정압력 이상일 경우 모터펌프의 작동이 중지되고 설정된 압력유지시간인 매 10초 경과시 마다 주입공기가 설정압력치에 비하여 2kPa(Pascal;파스칼) 이상 빠졌을 경우 모터펌프가 재가동하게 된다. 만약, 상기 주입공기가 설정압력 값인 2kPa 이상 빠지지 않을 경우 압력유지시간을 체크하여 상기 압력유지시간이 초과한 경우 솔레노이드밸드가 작동되어 공기튜브패드(20)에 공기를 빼내게 되면서 다시 구동부(30)를 작동시킬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상기 도 2에 나타난 구동부(30)의 알고리즘 흐름도는 본 발명인 발달장애아동용 압박조끼를 착용함에 있어서 공기 주입에 따른 공기압의 급격한 증가를 방지하고 안전하게 착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의 (a) 내지 (c)는 본 발명에서 조끼외피, 조끼외피가 분리된 전면부와 후면부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4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의 조끼외피, 조끼외피가 분리된 전면부와 후면부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3의 (a)는 전면부(11)와 후면부(12)가 연결부(60)에 의하여 결합되어 일체로 형성된 조끼외피(10)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의 (b)는 조끼외피(10)의 가슴쪽 부분에 위치하는 전면부(11)이며, 도 3의 (c)는 조끼외피(10)의 등쪽 부분에 위치하는 후면부(12)를 보여 주고 있다. 가슴쪽 부분인 전면부(11)와 등쪽 부분인 후면부(12)에서 어깨부분에 걸쳐지는 부분과 허리부분을 감싸는 부분에는 각각 연결부(60)가 형성되고, 상기 전면부(11)와 후면부(12)는 연결부(60)로 결합함으로써 한벌의 조끼외피(10)가 되는데, 상기 연결부(60)는 전면부(11)와 후면부(12)를 서로 결합하면서 상체 사이즈의 변화에 맞게 조끼외피(10)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역할과 함께 주입되는 공기압력과 함께 착용자 상체로의 밀착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게 되며, 상기 연결부(60)는 연결 및 분리가 용이한 벨크로 등을 사용하면 된다.
도 3의 (a)의 조끼외피(10)는 내측부(10a)와 외측부(10b) 두겹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내측부(10a)와 외측부(10b) 사이에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전면부(11)에 내장되는 전면부 공기튜뷰패드(21)와 후면부(12)에 내장되는 후면부 공기튜브패드(22)인 공기튜브패드(20)를 내장하게 된다. 상기 조끼외피(10)의 내측부(10a)는 신축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되고 조끼외피의 외측부(10b)는 신축성이 없는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조기외피(10)에 내장되는 공기튜브패드(20)가 공기의 주입으로 부풀어 오르면서 신축성이 있는 내측부(10a)와 신축성이 없는 외측부(10b)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내측으로 향함으로써 주입 공기량에 의한 가압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조끼외피(10)는 손펌프(70) 등을 휴대할 수 있는 주머니를 형성할 수 있다.
도 4의 (a) 내지 (c)는 상기 도 3의 (a)의 조끼외피(10)와 대부분 동일하고 차이가 있는 부분은 전면부(11')가 지퍼(70)에 의하여 두개로 분리된 것만 차이가 있다. 이러한 차이에 의하여 도 6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두개로 분리된 전면부 공기튜브패드(21')를 내장하게 된다.
도 5의 (a),(b)는 본 발명에서 조끼외피의 전면부와 후면부에 내장되는 공기튜브패드의 내부상태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6의 (a),(b)는 본 발명에서 조끼외피의 전면부와 후면부에 내장되는 다른 실시예의 공기튜브패드의 내부상태 단면도에 관한 것이다. 도 5의 (a)는 본 발명의 공기튜브패드(20) 중 후면부(12)에 내장되는 후면부 공기튜브패드(22)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후면부 공기튜브패드(22)는 도 3의 (c)인 외부조끼(10)를 형성하는 후면부(12)에 내장되며, 도 5의 (b)인 전면부 공기튜브패드(21)는 도 3의 (b)인 전면부(11)에 내장되게 된다. 상기 전면도 공기튜브패드(21) 및 후면도 공기튜브패드(22)는 주입되는 공기가 상기 공기튜브패드(20) 전체에 걸쳐 일정한 높이로 가슴쪽 부분과 등쪽 부분 전체에 걸쳐서 균등하게 부풀어지면서 가슴쪽 부분과 등쪽 부분을 균등하게 골고루 가압할 수 있도록 원형접착부(212,222)와 선형접착부(213,223)를 형성하게 된다.
즉, 상기 공기튜브패드(20)의 원형접착부(212,222)는 점 접착으로 형성되고 선형접착부(213,223)는 일정 길이로 형성된 선 접착으로 형성되는데, 선형접착부(213,223)의 단부 끝과 선형접착부(213,223)의 단부 끝 사이에는 원형접착부(212,222)가 위치하여 주입공기의 통로를 형성하며, 원형접착부(212,222)와 선형접착부(213,223)로 형성된 단위 모듈이 공기튜브패드(20)의 상하 좌우로 연속하여 이어져서 형성되며, 이렇게 공기튜브패드(20)에 일정 길이로 형성된 선형접착부(213,223)의 단부 끝과 선형접착부(213,223)의 단부 끝 사이에 원형접착부(212,222)가 위치한 단위 모듈이 상하좌우로 연속하여 이어져 형성하여 오랫동안 주입된 공기가 밖으로 빠져나지 못하게 하는 효과가 있는데, 특히 선형접착부(213,223)의 형상은 곧게 형성되지 않고 중앙부가 볼록하거나 오목한 일정 곡률선으로 형성되며, 이러한 선형접착부(213,223)는 중앙부가 볼록하거나 오목한 일정 곡률선으로 공기튜브패드에 대칭으로 연속 형성됨으로써 공기가 주입된 공기튜브패드(20)는 전체적으로 균등히 부풀어 올라 착용자가 균등한 가압력을 갖게하여 포근히 감싸는 느낌을 가져오게 한다.
따라서, 원형접착부(212,222)와 선형접착부(213,223)를 형성한 공기튜브패드(20)에 주입되는 공기가 공기튜브패드(20) 전체에 걸쳐 일정한 높이로 균등하게 부풀어지면서 가슴쪽 부분과 등쪽 부분을 균등하게 가압하게 되어 상부 몸체인 상반신에 등쪽 부분과 가슴쪽 부분을 포근히 감싸는 느낌으로 발달장애아동에게 부교감 신경을 자극하여 안정감을 주어 치유 효과를 높이는데, 상기 균등하게 부풀어 올랐을 때의 공기튜브패드(20)의 전체 두께가 약 15~20mm인 경우가 착용자에게 가장 부드러운 압박감을 준다.
또한, 상기 공기튜브패드(20)는 일정 두께의 무독성, 친환경 소재인 열가소성 우레탄 등 원단으로 제작되며, 공기튜브패드(20) 역시 주입공기를 수용하기 위하여 당연히 내피(20a)와 외피(20b)로 형성되는데, 공기튜브패드에 주입되는 공기에 의하여 부풀어 오르는 공기튜브패드가 내부 몸쪽으로 부풀어 오르게 유도하기 위하여 1차적으로 공기튜브패드(20)의 외피(20b) 두께를 공기튜브패드(20)의 내피(20a) 두께보다 더 두껍게 형성한다. 이는 주입되는 공기튜브패드(20)의 공기압이 주로 내측으로 향하게 함으로써 주입 공기량에 의한 가압 효율성을 높인다. 또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조끼외피(10)의 내측부(10a)를 신축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하고 조끼외피(10)의 외측부(10b)를 신축성이 없는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조끼외피(10)에 내장된 공기튜브패드(20)가 내측으로 부풀어 오르는 것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더욱 더 가압 효율성을 높여주는 2차적인 효과가 있다.
즉, 공기튜브패드(20)에 주입되는 공기에 의하여 부풀어 오르는 공기튜브패드(20)가 내부 몸쪽으로 부풀어 오르게 유도하기 위하여 1차적으로 공기튜브패드(20)의 외피(20b) 두께를 공기튜브패드(20)의 내피(20a) 두께보다 더 두껍게 형성하며, 2차적으로 조끼외피(10)의 내측부(10a)를 신축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하고 조끼외피(10)의 외측부(10b)를 신축성이 없는 재질로 형성하여 공기튜브패드(20)에 의한 가압 효율성을 높인 것이다.
그리고 공기튜브패드(20)에 점 접합으로 작은 원을 형성하는 원형접착부(212,222)와 선 접합으로 일정한 길이를 형성된 선형접착부(213,223)는 공기튜브패드(20)의 내피(20a)와 외피(20b)를 서로 마주대고 원형접착부(212,222)와 선형접합부(213,223)를 형성하기 하기 위하여 미리 제작된 일정 온도를 가지는 고주파 융착기로 가압·압착하여 형성되는데 상기 고주파 융착기나 압착 방법은 일반적으로 널리 적용되는 압착장치를 사용한다.
상기 원형접착부(212,222)와 선형접착부(213,223)의 단위 모듈이 연속하여 이어지고 이에 주입되는 공기에 의하여 공기튜브패드(20)가 균등한 높이로 골고루 부풀어져 있음으로 인하여 본 발명을 착용할 시 상부 몸체의 움직임의 자유도를 높여줄 뿐만 아니라, 원형접착부(212,222)와 선형접착부(213,223)의 단위 모듈이 연속하여 이어져 형성된 공기튜브패드(20)를 보관하기 위하여 공기를 빼내고 접을 경우에도 원형접착부(212,222)와 인접하여 연속되는 원형접착부(212,222)를 접히는 접힘선으로 하여 접음으로써 접기가 용이하고 장기간 보관해도 접힘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6의 (a),(b)는 상기 도 5의 (a),(b)의 공기튜브패드(20)와 대부분 동일하고 차이가 있는 부분은 조끼외피(10')를 형성하는 전면부(11')가 중앙에 위치한 지퍼(70)에 의하여 분리된 경우로, 분리된 전면부(11')에 내장되는 전면부 공기튜브패드(21')만 차이가 있으며, 상기 공기튜브패드(20')에 형성된 원형접착부(212',222')와 선형접착부(213',223')의 형성은 위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구동부와 후면부 공기튜브패드가 결합되는 상태도로서, 구동부(30)에 연결된 주입관(80)의 접속구(81)를 공기튜브패드(20)의 공기주입구(211)에 연결한 후 공기를 주입하게 되는데, 공기주입구(211)는 공기튜브패드(20, 20')의 일측에 형성되고 필요시에는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도 8의 (a),(b)는 본 발명에서 공기튜브패드가 손펌프와 분리 및 결합되는 상태도로서, 공기튜브패드(20, 20')에 형성된 공기주입구(211)에 손펌프(90)의 주입관(80)의 접속구(81)를 분리 및 결합할 수 있다.
도면 9는 본 발명에서 공기가 주입된 공기튜브패드의 사시도로서, 원형접착부(222)와 선형접착부(213)가 형성된 공기튜브패드(20)에 공기가 주입되어 공기튜브패드(20)가 전체적으로 균등히 부풀러 올라온 것을 보여 주고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10': 조끼외피 11, 11': 전면부
12, 12': 후면부 20, 20': 공기튜브패드
21, 21': 전면부 공기튜브패드 211, 211', 221, 221': 공기주입구
212, 212', 222, 222': 원형접착부 213, 213', 223, 223': 선형접착부
22, 22': 후면부 공기튜브패드
30: 구동부 40: 센서부
50: 제어부 60: 연결부
70: 지퍼 80: 주입관
81: 접속구 90: 손펌프

Claims (8)

  1. 발달장애아동용 압박조끼로서,가슴쪽 부분인 전면부와 등쪽 부분인 후면부로 구성된 조끼외피;상기 조끼외피의 전면부와 후면부에 내장되는 공기튜브패드;상기 공기튜브패드의 주입되는 공기를 제어하는 제어부에 의하여 공기튜브패드에 공기를 주입시키는 구동부;상기 주입되는 공기의 설정압력과 압력유지시간을 체크하는 센서부;상기 공기튜브패드에 주입되는 공기가 공기튜브패드 전체에 걸쳐 일정한 높이로 균등하게 부풀어지면서 가슴쪽 부분과 등쪽 부분을 균등하게 가압할 수 있도록 공기튜브패드에 형성된 원형접착부와 선형형접착부;상기 전면부와 후면부를 서로 결합하면서 상체 사이즈의 변화에 맞게 조끼외피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연결부;로 구성되며,
    상기 공기튜브패드에 주입되는 공기에 의하여 부풀어 오르는 공기튜브패드가 내부 몸쪽으로 부풀어 오르게 유도하기 위하여 1차적으로 공기튜브패드의 외피 두께를 공기튜브패드의 내피 두께보다 더 두껍게 형성하며, 2차적으로 조끼외피의 내측부를 신축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하고 조끼외피의 외측부를 신축성이 없는 재질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발달장애아동용 압박조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기튜브패드에 형성된 원형접착부는 점 접착으로 형성되고 선형접착부는 일정 길이로 선 접착으로 형성되며, 선형접착부의 단부 끝과 선형접착부의 단부 끝 사이에 원형접착부가 위치하여 주입 공기의 통로를 형성한 단위 모듈이 공기튜브패드의 상하좌우로 연속하여 이어져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발달장애아동용 압박조끼.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끼외피의 전면부에 내장되는 전면부 공기튜브패드는 일체로 형성되거나 두 부분으로 분리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발달장애아동용 압박조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공기튜브패드에 공기를 주입하는 에어펌프와 공기를 밖으로 빼내는 기능을 가지는 솔레노이드밸브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발달장애아동용 압박조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기튜브패드에 손펌프로도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발달장애아동용 압박조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벨크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발달장애아동용 압박조끼.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선형접착부는 중앙부가 볼록하거나 오목한 일정 곡률선으로 공기튜브패드에 대칭으로 연속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발달장애아동용 압박조끼.

KR1020210022273A 2021-02-19 2021-02-19 발달장애아동용 압박조끼 KR1023017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2273A KR102301717B1 (ko) 2021-02-19 2021-02-19 발달장애아동용 압박조끼
US18/043,399 US20240008566A1 (en) 2021-02-19 2021-11-26 Compression vest for child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PCT/KR2021/017580 WO2022177108A1 (ko) 2021-02-19 2021-11-26 발달장애아동용 압박조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2273A KR102301717B1 (ko) 2021-02-19 2021-02-19 발달장애아동용 압박조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1717B1 true KR102301717B1 (ko) 2021-09-13

Family

ID=77796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2273A KR102301717B1 (ko) 2021-02-19 2021-02-19 발달장애아동용 압박조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40008566A1 (ko)
KR (1) KR102301717B1 (ko)
WO (1) WO2022177108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77108A1 (ko) * 2021-02-19 2022-08-25 주식회사 돌봄드림 발달장애아동용 압박조끼
KR20230046345A (ko) * 2021-09-29 2023-04-06 (주)리앤팍스 재활 치료용 바지 및 그를 포함하는 재활 치료 시스템
KR102631518B1 (ko) * 2023-05-31 2024-01-31 (주)돌봄드림 심탄도를 측정하도록 설계된 압전소자를 구비한 공기 주입식 의류
WO2024034864A1 (ko) * 2022-08-10 2024-02-15 서울대학교병원 부교감 신경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공기압을 이용한 촉각 자극 장치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4514A (ko) * 2004-10-19 2006-04-24 류실근 에어 튜브가 부착된 허리보호대
KR200446466Y1 (ko) 2008-10-27 2009-10-30 이복수 다기능 조끼
KR101246924B1 (ko) 2011-07-07 2013-03-25 박미희 장애아동의 주의력을 향상시키는 의류
KR101943793B1 (ko) 2018-05-31 2019-01-29 조신현 공기 주입식 의료용 압박복
KR20200112017A (ko) * 2019-03-20 2020-10-05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완강기용 공압식 조끼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비상탈출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6256B1 (ko) * 2002-06-14 2007-02-22 정은수 원적외선 지압용 조끼
KR20060013300A (ko) * 2004-08-06 2006-02-09 윤장호 요추보호 및 치료용 복대 신축구조
WO2013114370A1 (en) * 2012-02-01 2013-08-08 Biohug Technologies, Ltd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anxiety in an individual
KR102301717B1 (ko) * 2021-02-19 2021-09-13 (주)돌봄드림 발달장애아동용 압박조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4514A (ko) * 2004-10-19 2006-04-24 류실근 에어 튜브가 부착된 허리보호대
KR200446466Y1 (ko) 2008-10-27 2009-10-30 이복수 다기능 조끼
KR101246924B1 (ko) 2011-07-07 2013-03-25 박미희 장애아동의 주의력을 향상시키는 의류
KR101943793B1 (ko) 2018-05-31 2019-01-29 조신현 공기 주입식 의료용 압박복
KR20200112017A (ko) * 2019-03-20 2020-10-05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완강기용 공압식 조끼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비상탈출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77108A1 (ko) * 2021-02-19 2022-08-25 주식회사 돌봄드림 발달장애아동용 압박조끼
KR20230046345A (ko) * 2021-09-29 2023-04-06 (주)리앤팍스 재활 치료용 바지 및 그를 포함하는 재활 치료 시스템
KR102623701B1 (ko) * 2021-09-29 2024-01-12 (주)리앤팍스 재활 치료용 바지 및 그를 포함하는 재활 치료 시스템
WO2024034864A1 (ko) * 2022-08-10 2024-02-15 서울대학교병원 부교감 신경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공기압을 이용한 촉각 자극 장치 및 방법
KR102631518B1 (ko) * 2023-05-31 2024-01-31 (주)돌봄드림 심탄도를 측정하도록 설계된 압전소자를 구비한 공기 주입식 의류
KR102641510B1 (ko) * 2023-05-31 2024-02-27 (주)돌봄드림 심탄도를 측정하도록 설계된 압전소자를 구비한 공기 주입식 의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008566A1 (en) 2024-01-11
WO2022177108A1 (ko) 2022-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1717B1 (ko) 발달장애아동용 압박조끼
KR102581829B1 (ko) 치료용 압박 기구 및 사용 방법
JP3865633B2 (ja) 衣服型健康器具
CA2462229C (en) Fitness device
KR101317344B1 (ko) 스트레칭 에어 매트리스
CN102657457A (zh) 自充型缓冲垫
US20010036791A1 (en) Foundation garment for the relief of menstrual discomfort
EP3416606B1 (en) Compression therapy device
KR102159304B1 (ko) 에어 팽창 및 온열수단을 갖는 내부글러브와 팽창억제용 외부글러브로 조합되어진 손 마사지 기기
US20220339058A1 (en) Wearable dynamic massage device and assembly
CN202515111U (zh) 自充型缓冲垫
KR200241170Y1 (ko) 다기능 공압밴드
CN212261848U (zh) 一种便于移动的腰部气囊按摩装置
CN209004374U (zh) 一种3d打印气囊护具
CN201029660Y (zh) 双气垫空气床
RU191277U1 (ru) Валик массажный надувной цилиндрообразный
CN201905264U (zh) 一种带护膝的按摩护腰带
CN219782912U (zh) 眼周术后加压冷热敷装置
CN206403269U (zh) 一种腋臭术后护理服
CN218607228U (zh) 一种按摩床垫
CN103431934A (zh) 一种气柱式气压可调的胸部固定护具
CN217525540U (zh) 一种防手部水肿便携式充气辅助器具
CN211433681U (zh) 一种充气式护手腕
CN215779740U (zh) 一种个性化可穿戴腕部释压支具
CN211243999U (zh) 多功能加压避孕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