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1008B1 - 발달검사기반 놀이방법 추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발달검사기반 놀이방법 추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1008B1
KR102301008B1 KR1020200025315A KR20200025315A KR102301008B1 KR 102301008 B1 KR102301008 B1 KR 102301008B1 KR 1020200025315 A KR1020200025315 A KR 1020200025315A KR 20200025315 A KR20200025315 A KR 20200025315A KR 102301008 B1 KR102301008 B1 KR 1023010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mental
area
play method
test
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5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9977A (ko
Inventor
김민준
Original Assignee
올이즈널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올이즈널 유한회사 filed Critical 올이즈널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200025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1008B1/ko
Publication of KR20210109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99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1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1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Path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sychiatry (AREA)
  • Psyc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달검사기반 놀이방법 추천 서버는 통신 모듈; 발달검사기반 놀이방법 추천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프로세서는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대상자의 발달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발달검사 질문 리스트 별 복수의 응답정보를 입력하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고, 특정 기간 동안 응답정보가 수신되는 횟수를 기초로 기저장된 매핑테이블을 참조하여 대상자의 발달 영역별 점수와 점수에 기초한 각 발달 영역별 나이를 산출하고, 사용자 단말로 발달 영역 및 나이에 해당하는 놀이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발달검사기반 놀이방법 추천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RECOMMENDING PLAY METHOD BASED ON DEVELOPMENT TEST}
본 발명은 발달검사기반 놀이방법 추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발적으로, 발달평가를 위한 전문 평가도구는 브래즐턴 신생아 행동평가 척도, 베일리 영유아 발달검사, 한국웩슬러 유아지능 검사가 있다. 베일리 영유아 발달검사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발달검사로서, 생후 16일 ~ 42개월 영유아를 개별적으로 평가하여 현재 발달 기능을 파악하고 발달 문제를 조기에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베일리 영유아 발달검사는 인지, 언어(표현, 수용언어), 운동(대근육, 소근육), 사회-정서, 적응행동의 발달검사로 구성되어 있어서 다양한 발달 영역에 대한 통합적인 발달 정보를 제공한다.
한편, 영유아 발달은 유전과 환경의 상호 작용 결과로 아동의 유전적 잠재력이 최대한 발휘될 수 있는 최적의 환경적 조건과 상황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발달은 자연스러운 성숙과 더불어 학습적 경험이나 훈련, 연습 등에 의해 질적 변화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부모가 아동의 호기심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다양한 자극을 통해 경험을 확대해 줄 경우 아동의 발달을 이끄는 데 도움이된다.
그러나, 기존의 발달평가를 위한 전문 평가도구는 각 영역의 발달 수준을 파악하는데만 중점을 두고 있어, 아동의 발달 영역별 발달 수준에 적합한 다양한 놀이방법을 제시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공보 제 10-2017-0010602호는 영유아의 발성 발달 검사 장치, 및 영유아의 청능 재활 시스템과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을 통해 대상자의 발달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발달검사 질문 리스트에 대하여 특정 기간 동안 응답정보를 수신하여 대상자의 각 발달 영역별 점수(발달 수준) 및 나이에 해당하는 놀이 방법을 제공하는 발달검사기반 놀이방법 추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달검사기반 놀이방법 추천 서버는 통신 모듈; 발달검사기반 놀이방법 추천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프로세서는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대상자의 발달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발달검사 질문 리스트 별 복수의 응답정보를 입력하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고, 특정 기간 동안 응답정보가 수신되는 횟수를 기초로 기저장된 매핑테이블을 참조하여 대상자의 발달 영역별 점수와 점수에 기초한 각 발달 영역별 나이를 산출하고, 사용자 단말로 발달 영역 및 나이에 해당하는 놀이방법을 제공한다.
프로세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검사결과를 제공하되, 각 발달 영역별 대상자의 현재 나이와 동일 나이대 대비 상위 영역과 하위 영역을 제공한다.
프로세서는 발달 영역별 나이를 산출하는 경우, 발달 영역별 점수를 기초로 각 발달 영역별 가산점을 산출하고, 영역별 가산점을 참고하여 대상자의 각 발달 영역별 나이대를 산출하는 것이되, 영역별 가산점은 발달 영역이 동일 나이대 대비 취약한 정도에 반비례하는 값인 것이다.
프로세서는 놀이방법을 제공하는 경우, 각 발달 영역별 나이대에 대응하는 복수의 놀이방법을 추출하고, 놀이방법별 추천 점수를 산출하는 것이다.
프로세서는 놀이방법이 갖는 발달 영역의 개수에 따라 제1가산점을 산정하고, 놀이방법에 대하여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평가정보를 참조하여 제2가산점을 산정하고, 제1 및 제2 가산점에 기초하여 놀이방법별 최종 추천 점수를 산출하는 것이되, 놀이방법은 하나 이상의 발달 영역 정보가 매칭되어 저장된다.
발달검사기반 놀이방법 추천 방법은 (a) 대상자의 발달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발달검사 질문 리스트 별 복수의 응답정보를 입력하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b) 특정 기간 동안 응답정보가 수신되는 횟수를 기초로 기저장된 매핑테이블을 참조하여 대상자의 발달 영역별 점수와 점수에 기초한 각 발달 영역별 나이를 산출하는 단계; 및 (c) 사용자 단말로 발달 영역 및 나이에 해당하는 놀이방법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 단계 이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검사결과를 제공하되, 각 발달 영역별 대상자의 현재 나이와 동일 나이대 대비 상위 영역과 하위 영역을 제공하는 것이다.
(b) 단계는 발달 영역별 점수를 기초로 각 발달 영역별 가산점을 산출하고, 영역별 가산점을 참고하여 대상자의 각 발달 영역별 나이대를 산출하는 것이되, 영역별 가산점은 발달 영역이 동일 나이대 대비 취약한 정도에 반비례하는 값인 것이다.
(c) 단계는 각 발달 영역별 나이대에 대응하는 복수의 놀이방법을 추출하고, 놀이방법별 추천 점수를 산출하는 것이다.
(c) 단계는 놀이방법이 갖는 발달 영역의 개수에 따라 1가산점을 산정하고, 놀이방법에 대하여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평가정보를 참조하여 제2가산점을 산정하고, 제1 및 제2 가산점에 기초하여 놀이방법별 최종 추천 점수를 산출하는 것이되, 놀이방법은 하나 이상의 발달 영역 정보가 매칭되어 저장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동일한 발달 수준의 발달검사 질문 리스트에 대한 응답정보를 사용자 단말로부터 특정 기간 동안 복수회 수신하여 대상자의 발달검사 결과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동일 나이대와 비교하여 대상자의 발달 영역별 발달 수준을 수치화한 점수와 영역별 가산점을 고려하여 대상자의 각 발달 영역별 나이대에 해당하는 놀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달검사기반 놀이방법 추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로부터 응답정보를 수신시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례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발달검사기반 놀이방법 추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하며, 하나의 유닛이 둘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둘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서 '단말'은 휴대성 및 이동성이 보장된 무선 통신 장치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태블릿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단말'은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단말 또는 서버 등에 접속할 수 있는 PC 등의 유선 통신 장치인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달검사기반 놀이방법 추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발달검사기반 놀이방법 추천 시스템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10), 발달검사기반 놀이방법 추천 서버(20)를 포함한다.
발달검사기반 놀이방법 추천 서버(20)는 사용자 단말(10) 상에서 구동되는 발달검사기반 놀이방법 추천 프로그램과 연동하여 발달검사기반 놀이방법 추천 서비스를 위한 동작들을 처리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달검사기반 놀이방법 추천 서버(20)는 통신모듈(210), 메모리(220), 프로세서(230) 및 데이터베이스(미도시)를 포함한다.
통신모듈(210)은 사용자 단말들(10)과 각각 데이터 통신을 처리한다.
메모리(220)에는 사용자 단말(10)에 대해 놀이방법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발달검사기반 놀이방법 추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프로세서(230)는 메모리(22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되, 이하에서 설명할 사용자 단말들(10)의 프로세서를 통해 처리되는 발달검사기반 놀이방법 추천 프로그램의 각 동작에 대응하는 처리를 수행한다.
예시적으로, 사용자 단말(10)은 통신모듈,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각 단말의 통신모듈은 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 발달검사기반 놀이방법 추천 서버(20)와 각각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에는 발달검사기반 놀이방법 추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메모리에 저장된 발달검사기반 놀이방법 추천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다. 이때, 메모리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도 저장된 정보를 계속 유지하는 비휘발성 저장장치 및 저장된 정보를 유지하기 위하여 전력이 필요한 휘발성 저장장치를 통칭하는 것이다.
또한, 메모리는 각 단말의 프로세서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는 저장된 정보를 유지하기 위하여 전력이 필요한 휘발성 저장장치 외에 자기 저장 매체(magnetic storage media) 또는 플래시 저장 매체(flash storage media)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발달검사기반 놀이방법 추천 프로그램을 실행하되, 발달검사기반 놀이방법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CPU, micro-processor, DSP 등),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Only Memory) 등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RAM으로 독출하여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을 통해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프로세서’ 라는 용어는 ‘컨트롤러’, ‘연산 장치’, ‘제어부’ 등의 용어와 동일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달검사기반 놀이방법 추천 프로그램을 통해 제공되는 발달검사기반 놀이방법 추천 서비스 제공의 개략적인 절차는 다음과 같다.
이어서, 프로세서(230)는 대상자의 발달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발달검사 질문 리스트 별 복수의 응답정보를 입력하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10)로 제공하고, 특정 기간 동안 응답정보가 수신되는 횟수를 기초로 기저장된 매핑테이블을 참조하여 대상자의 발달 영역별 점수와 점수에 기초한 각 발달 영역별 나이를 산출하고, 사용자 단말(10)로 발달 영역 및 나이에 해당하는 놀이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대상자는 검사 대상이되는 유·아동을 의미한다.
따라서, 동일한 발달 수준의 발달검사 질문 리스트에 대한 응답정보를 사용자 단말(10)로부터 특정 기간 동안 복수회 수신하여 대상자의 발달검사 결과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발달검사기반 놀이방법 추천 서비스 제공 방식에 대해서는 아래의 도 2에서 좀 더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로부터 응답정보를 수신시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례이다.
예시적으로 도2의 (a)를 참조하면, 프로세서(230)는 사용자 단말(10)로 대상자의 발달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발달검사 질문 별 응답정보를 입력하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10)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엎드린 자세에서 뒤집을 수 있나요?"라는 발달검사 질문에 대해 5단계 척도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230)는 기저장된 매핑테이블을 참조하여 대상자의 발달 영역 중 대근육, 소근육의 발달 상태가 생후 몇 주 또는 몇 개월의 나이대에 해당하는 판단할 수 있다.
도 2의 (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대상자에 대한 발달검사 질문에 대한 응답을 매일, 격일, 매주 등 정해진 특정 기간 동안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110)는 사용자가 수행했던 지난 발달검사 결과를 도식화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들어, 1회에 제시되는 발달검사 질문 리스트는 각 발달 영역별 질문을 모두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대상자의 각 발달 영역을 발달 상태를 균등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때, 발달 영역은 대근육, 소근육, 사회/정서, 인지, 언어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발달 영역을 포함하는 발달검사 질문 리스트는 기존에 알려진 발달평가를 위한 전문 평가도구를 사용하는 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프로세서(23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검사결과를 제공하되, 각 발달 영역별 대상자의 현재 나이와 동일 나이대 대비 상위 영역과 하위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의 (c)를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110)는 상위 영역 또는 하위 영역에 해당하는 각 발달 영역의 목록, 각 발달 영역별 원점수 및 척도점수를 테이블로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대상자의 각 발달 영역별 발달 수준 점수(원점수)와 더불어 동일 나이대의 유·아동들 집단 내에서의 성장발달 순위(척도점수)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3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특정 기간 동안 응답정보가 수신되는 횟수를 기초로 기저장된 매핑테이블을 참조하여 대상자의 발달 영역별 점수와 점수에 기초한 각 발달 영역별 나이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30)는 특정 기간 동안 발달 영역별 동일한 발달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반복된 발달검사 질문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 단말(10)은 반복된 발달검사 질문 리스트에 대한 복수회의 응답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발달 영역별 점수는 반복된 발달검사 질문에 대하여 사용자가 중복하여 답변한 응답정보의 횟수에 따른 평균 값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동일 발달상태 측정 위한 반복질문을 통한 발달검사 결과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발달 영역별 나이를 산출하는 경우, 발달 영역별 점수를 기초로 각 발달 영역별 가산점을 산출하고, 영역별 가산점을 참고하여 대상자의 각 발달 영역별 나이대를 산출하는 것이되, 영역별 가산점은 발달 영역이 동일 나이대 대비 취약한 정도에 반비례하는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30)는 각 발달 영역별 가산점을 산출하기 위해서, 대상자의 발달검사 결과에 따라 산출된 원점수를 다른 척도점수로 환산할 수 있다. 일 예로, 척도 점수는 동일 나이대와 비교한 대상자의 상대적 위치(점수)를 나타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백분위 점수로 환산될 수 있다. 즉, 척도 점수는 동일 나이대 대비 발달 영역의 취약한 정도를 나타낼 수 있으며, 영역별 가산점은 척도 점수에 반비례 하는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발달 영역의 점수가 하위 20%에 속하는 경우, 제1 발달 영역의 가산점은 80점으로 산출하고, 제2 발달 영역의 점수가 상위 10%에 속하는 경우, 제2 발달 영역의 가산점은 10점으로 산출할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230)는 발달 영역별 점수와 영역별 가산점을 참고하여 대상자의 각 발달 영역별 나이대를 산출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각 발달 영역별 점수와 관계되는 나이대는 매핑테이블을 통해 정의될 수 있다. 일 예로, "대근육 발달 영역의 점수가 X점인 경우, 4개월 내지 6개월(성취 월령)의 나이대의 발달을 갖는다"라고 정의될 수 있다.
다음으로, 프로세서(230)는 산출된 대상자의 각 발달 영역별 나이대에 대응하는 복수의 놀이방법을 추출하고, 놀이방법별 추천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30)는 각 발달 영역별 나이대(예를 들어, 생후 X개월 내지 X+n 개월)에 대응하는 복수의 놀이방법을 추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놀이방법이 갖는 발달 영역의 개수에 따라 제1가산점을 산정하고, 놀이방법에 대하여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수신된 평가정보를 참조하여 제2가산점을 산정하고, 제1 및 제2 가산점에 기초하여 놀이방법별 최종 추천 점수를 산출하는 것이되, 놀이방법은 하나 이상의 발달 영역 정보가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프로세서(230)는 하나의 놀이방법이 갖는 발달 영역의 개수에 따라 제1가산점을 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핑테이블에는 각 놀이방법이 성취 목표로 하는 하나 이상의 발달 영역 정보를 포함한다. 이때 각 발달 영역 정보는 성취목표가 달성되어야 하는 나이대 정보와 연결될 수 있다. 즉, 하나의 놀이방법이 다수의 발달영역을 포함할수록 제1가산점은 높아질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230)는 놀이방법에 대하여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수신된 평가정보를 참조하여 제2가산점을 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30)는 사용자 단말(10)로 각 놀이방법별 평가정보를 입력하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10)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제공받은 놀이방법을 수행한 이후에 댓글, 별점 등의 방식으로 피드백을 입력할 수 있다. 일 예로, 각 놀이방법은 사용자의 평가정보(예를 들어, 추천 점수 또는 댓글)를 기초로 평균값의 제2가산점을 산정할 수 있다. 사용자의 평가정보가 없는 경우, 제2가산점은 산정되지 않을 수 있다.
다음으로, 프로세서(230)는 산출된 제1 및 제2 가산점에 기초하여 놀이방법별 최종 추천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110)는 최종 추천 점수에 기초하여, 발달 영역별 가장 효과적인 놀이방법의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최종 추천 점수에 기초하여 복수의 놀이방법의 우선순위를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동일 나이대와 비교하여 대상자의 발달 영역별 발달 수준을 수치화한 점수와 영역별 가산점을 고려하여 대상자의 각 발달 영역별 나이대에 해당하는 놀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각 놀이방법별 산출된 최종 추천 점수를 참고하여 대상자의 발달 영역별 나이대에 가장 큰 효과를 갖는 놀이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이하에 상술한 도1 및 도2에 도시된 구성 중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의 경우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발달검사기반 놀이방법 추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발달검사기반 놀이방법 추천 방법은 대상자의 발달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발달검사 질문 리스트 별 복수의 응답정보를 입력하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10)를 사용자 단말(10)로 제공하는 단계(S110), 특정 기간 동안 응답정보가 수신되는 횟수를 기초로 기저장된 매핑테이블을 참조하여 대상자의 발달 영역별 점수와 점수에 기초한 각 발달 영역별 나이를 산출하는 단계(S120) 및 사용자 단말(10)로 발달 영역 및 나이에 해당하는 놀이방법을 제공하는 단계(S130)를 포함한다.
S110단계 이후 사용자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검사결과를 제공하되, 각 발달 영역별 대상자의 현재 나이와 동일 나이대 대비 상위 영역과 하위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S120단계는 발달 영역별 점수를 기초로 각 발달 영역별 가산점을 산출하고, 영역별 가산점을 참고하여 대상자의 각 발달 영역별 나이대를 산출하는 것이되, 영역별 가산점은 발달 영역이 동일 나이대 대비 취약한 정도에 반비례하는 값일 수 있다.
S130단계는 각 발달 영역별 나이대에 대응하는 복수의 놀이방법을 추출하고, 놀이방법별 추천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S130단계는 놀이방법이 갖는 발달 영역의 개수에 따라 1가산점을 산정하고, 놀이방법에 대하여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수신된 평가정보를 참조하여 제2가산점을 산정하고, 제1 및 제2 가산점에 기초하여 놀이방법별 최종 추천 점수를 산출하는 것이되, 놀이방법은 하나 이상의 발달 영역 정보가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달검사기반 놀이방법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그것들의 구성 요소 또는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범용 하드웨어 아키텍쳐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사용자 단말
110: 사용자 인터페이스
20: 발달검사기반 놀이방법 추천 서버
210: 통신모듈
220: 메모리
230: 프로세서

Claims (10)

  1. 발달검사기반 놀이방법 추천 서버에 있어서,
    통신 모듈;
    발달검사기반 놀이방법 추천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대상자의 발달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발달검사 질문 리스트 별 복수의 응답정보를 입력하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고,
    특정 기간 동안 상기 응답정보가 수신되는 횟수를 기초로 기저장된 매핑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대상자의 발달 영역별 점수와 상기 점수에 기초한 각 발달 영역별 나이를 산출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발달 영역 및 나이에 해당하는 놀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발달 영역별 나이를 산출하는 경우,
    상기 발달 영역별 점수를 기초로 각 발달 영역별 가산점을 산출하고,
    상기 영역별 가산점을 참고하여 상기 대상자의 각 발달 영역별 나이대를 산출하는 것이되,
    상기 영역별 가산점은 상기 발달 영역이 동일 나이대 대비 취약한 정도에 반비례하는 값인 것인,
    발달검사기반 놀이방법 추천 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검사결과를 제공하되,
    상기 각 발달 영역별 상기 대상자의 현재 나이와 동일 나이대 대비 상위 영역과 하위 영역을 제공하는 것인,
    발달검사기반 놀이방법 추천 서버.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놀이방법을 제공하는 경우,
    상기 각 발달 영역별 나이대에 대응하는 복수의 놀이방법을 추출하고,
    상기 놀이방법별 추천 점수를 산출하는 것인,
    발달검사기반 놀이방법 추천 서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놀이방법이 갖는 발달 영역의 개수에 따라 제1가산점을 산정하고,
    상기 놀이방법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평가정보를 참조하여 제2가산점을 산정하고,
    상기 제1 및 제2 가산점에 기초하여 상기 놀이방법별 최종 추천 점수를 산출하는 것이되,
    상기 놀이방법은 하나 이상의 발달 영역 정보가 매칭되어 저장된 것인,
    발달검사기반 놀이방법 추천 서버.
  6. 발달검사기반 놀이방법 추천 방법에 있어서,
    (a) 대상자의 발달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발달검사 질문 리스트 별 복수의 응답정보를 입력하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b) 특정 기간 동안 상기 응답정보가 수신되는 횟수를 기초로 기저장된 매핑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대상자의 발달 영역별 점수와 상기 점수에 기초한 각 발달 영역별 나이를 산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발달 영역 및 나이에 해당하는 놀이방법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b) 단계는
    상기 발달 영역별 점수를 기초로 각 발달 영역별 가산점을 산출하고,
    상기 영역별 가산점을 참고하여 상기 대상자의 각 발달 영역별 나이대를 산출하는 것이되,
    상기 영역별 가산점은 상기 발달 영역이 동일 나이대 대비 취약한 정도에 반비례하는 값인 것인,
    발달검사기반 놀이방법 추천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검사결과를 제공하되,
    상기 각 발달 영역별 상기 대상자의 현재 나이와 동일 나이대 대비 상위 영역과 하위 영역을 제공하는 것인,
    발달검사기반 놀이방법 추천 방법.
  8. 삭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각 발달 영역별 나이대에 대응하는 복수의 놀이방법을 추출하고,
    상기 놀이방법별 추천 점수를 산출하는 것인,
    발달검사기반 놀이방법 추천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놀이방법이 갖는 발달 영역의 개수에 따라 제1가산점을 산정하고,
    상기 놀이방법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평가정보를 참조하여 제2가산점을 산정하고,
    상기 제1 및 제2 가산점에 기초하여 상기 놀이방법별 최종 추천 점수를 산출하는 것이되,
    상기 놀이방법은 하나 이상의 발달 영역 정보가 매칭되어 저장된 것인,
    발달검사기반 놀이방법 추천 방법.
KR1020200025315A 2020-02-28 2020-02-28 발달검사기반 놀이방법 추천 시스템 및 방법 KR1023010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5315A KR102301008B1 (ko) 2020-02-28 2020-02-28 발달검사기반 놀이방법 추천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5315A KR102301008B1 (ko) 2020-02-28 2020-02-28 발달검사기반 놀이방법 추천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9977A KR20210109977A (ko) 2021-09-07
KR102301008B1 true KR102301008B1 (ko) 2021-09-14

Family

ID=77774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5315A KR102301008B1 (ko) 2020-02-28 2020-02-28 발달검사기반 놀이방법 추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10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7137B1 (ko) * 2022-01-05 2022-07-29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발달장애아동을 위한 융합지표 기반의 운동프로그램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2285B1 (ko) * 2002-10-22 2004-01-07 학교법인 영진교육재단 유아 창의성 프로그램을 이용한 학습방법과 그 유아 창의성 학습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KR100659695B1 (ko) * 2004-06-25 2006-12-20 전미숙 유아의 성장발달단계를 체크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9977A (ko) 2021-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009171B (zh) 注意力测评方法、系统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9791642B (zh) 工作流的自动生成
JP6010719B1 (ja) 健康管理サーバおよび健康管理サーバ制御方法並びに健康管理プログラム
Winheller et al. Factors influencing early adolescents’ mathematics achievement: High-quality teaching rather than relationships
Ellington et al. Using multiple imputation to estimate missing data in meta‐regression
CN105893476A (zh) 智能问答方法、知识库优化方法及装置、智能知识库
CN111223566A (zh) 注意力测评和训练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US20170161366A1 (en) Scoring documents
KR102301008B1 (ko) 발달검사기반 놀이방법 추천 시스템 및 방법
US20190156231A1 (en) User segmentation using predictive model interpretation
US20120308983A1 (en) Democratic Process of Testing for Cognitively Demanding Skills and Experiences
KR20210055174A (ko) 인공지능 챗봇을 이용한 대화형 임신, 출산, 육아 통합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CN111008148B (zh) 代码的测试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Ocampo et al. Utilizing DEMATEL for value-embedded e-learning during the COVID-19 pandemic
Mackey et al. Bayesian informative hypothesis testing
CN111950852A (zh) 一种用户行为分析与指导方法、装置、电子设备和可读存储装置
KR102230052B1 (ko) 문제 난이도 조정 방법 및 문제 난이도 조정 서버
JP6429840B2 (ja) 健康管理サーバおよび健康管理サーバ制御方法並びに健康管理プログラム
Araya et al. Predicting student performance in computing courses based on programming behavior
KR20220000150A (ko) 단말기를 통한 영어 학습 프로그램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unst et al. Characteristics and consequences of family-centered helpgiving practices
JP2017207691A (ja) 択一問題の正答率予測方法
KR20120019884A (ko) 시험에 대한 분석 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서버, 이를 위한 단말 및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N108960614A (zh) 一种婴幼儿成长测评系统
KR102335133B1 (ko) 산수 학습 능력 진단에 기반한 산수 학습 스마트러닝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비스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