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0775B1 - 모듈형 산업기기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모듈형 산업기기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0775B1
KR102300775B1 KR1020200123445A KR20200123445A KR102300775B1 KR 102300775 B1 KR102300775 B1 KR 102300775B1 KR 1020200123445 A KR1020200123445 A KR 1020200123445A KR 20200123445 A KR20200123445 A KR 20200123445A KR 102300775 B1 KR102300775 B1 KR 1023007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entification information
devices
query message
unique identification
respon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3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0775B9 (ko
Inventor
박부영
이종훈
Original Assignee
(주)시그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시그너스 filed Critical (주)시그너스
Priority to KR1020200123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07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0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0775B1/ko
Publication of KR102300775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0775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42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using digital processors
    • G05B19/0423Input/outpu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5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e.g. simulating logic interconnections of signals according to ladder diagrams or function charts
    • G05B19/054Input/outpu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10Plc systems
    • G05B2219/15Plc structure of the system
    • G05B2219/15004Identity kind of module, control unit connected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5Pc structure of the system
    • G05B2219/25296Identification module, type connected I-O, devi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rogrammable Controllers (AREA)

Abstract

본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산업기기 제어 시스템은, 미리 설정된 고유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I/O 장치; 및 하나 이상의 I/O 장치와 연결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되, 하나 이상의 I/O 장치의 탈부착에 따른 갱신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제어 장치는 미리 정해진 구간을 위한 쿼리(Query) 메시지를 송신한다.

Description

모듈형 산업기기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동작 방법{MODULAR INDUSTRIAL EQUIPMENT CONTROL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본 명세서는 모듈형 산업기기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I/O 모듈 장치의 탈부착에 따른 갱신정보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모듈형 산업기기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화 설비와 같은 산업기기의 진보와 컴퓨터제어방식에 의한 자동화 등으로 인해 서버와 벤더, 피엘시, 피시, 센서, 엑츄에이터 등의 제어 기기간에 상호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산업기기의 제어기용 모듈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산업 현장의 설비에서 요구되는 입출력 단자의 개수 및 유형은 다양하기 때문에 자유롭게 착탈이 가능한 입출력(I/O) 모듈 장치가 개발되었으나, I/O 모듈 장치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사용자가 I/O 모듈 장치의 정확한 구성을 알기 어렵기 때문에 현장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제안으로 한국 등록특허 10-1821754 호를 참조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목적은, 프로비저닝(provisioning) 방식으로 I/O 모듈 장치의 탈부착에 따른 갱신정보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모듈형 산업기기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목적은, I/O 모듈 장치 간 충돌을 최소화함으로써 신속하고 정확하게 I/O 모듈 장치의 탈부착에 따른 갱신정보를 생성하는 모듈형 산업기기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산업기기 제어 시스템은, 미리 설정된 고유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I/O 장치; 및 하나 이상의 I/O 장치와 연결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되, 하나 이상의 I/O 장치의 탈부착에 따른 갱신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제어 장치는 미리 정해진 구간을 위한 쿼리(Query) 메시지를 송신한다.
본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장치 및 하나 이상의 I/O 장치를 포함하는 모듈형 산업기기 제어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제1 I/O 장치가, 제1 구간과 연관된 제1 쿼리 메시지를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제1 I/O 장치가, 미리 설정된 범위에서 랜덤 액세스 값을 생성하는 단계; 및 제1 I/O 장치가, 제1 쿼리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랜덤 액세스 값에 따른 타이밍에 제1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되, 제1 응답 메시지는 제1 I/O 장치를 위한 고유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장치 및 하나 이상의 I/O 장치를 포함하는 모듈형 산업기기 제어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제1 I/O 장치가, 제1 구간과 연관된 제1 부분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쿼리 메시지를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제1 I/O 장치가, 제1 부분식별 정보가 자신의 고유식별정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제1 부분식별 정보가 고유식별 정보에 포함된다고 판단될 때, 제1 I/O 장치가, 미리 설정된 범위에서 랜덤 액세스 값을 생성하는 단계; 및 제1 I/O 장치가, 제1 쿼리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랜덤 액세스 값에 따른 타이밍에 상기 고유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제1 응답 메시지를 제어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비저닝(provisioning) 방식으로 I/O 모듈 장치의 탈부착에 따른 갱신정보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모듈형 산업기기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동작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I/O 모듈 장치 간 충돌을 최소화함으로써 신속하고 정확하게 I/O 모듈 장치의 탈부착에 따른 갱신정보를 생성하는 모듈형 산업기기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동작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산업기기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를 보여준다.
도 2는 본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산업기기 제어 시스템을 위한 버스 통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산업기기 제어 시스템의 내부 블록도를 보여준다.
도 4는 본 일 실시 예에 따른 I/O 모듈 장치를 위해 정의되는 고유식별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산업기기 제어 시스템의 프로비저닝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는 본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산업기기 제어 시스템의 프로비저닝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는 본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산업기기 제어 시스템의 프로비저닝 방식을 구체화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산업기기 제어 시스템의 프로비저닝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산업기기 제어 시스템의 프로비저닝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전술한 특성 및 이하 상세한 설명은 모두 본 명세서의 설명 및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적인 사항이다. 즉, 본 명세서는 이와 같은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다음 실시 형태들은 단지 본 명세서를 완전히 개시하기 위한 예시이며,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본 명세서를 전달하기 위한 설명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구성 요소들을 구현하기 위한 방법이 여럿 있는 경우에는, 이들 방법 중 특정한 것 또는 이와 동일성 있는 것 가운데 어떠한 것으로든 본 명세서의 구현이 가능함을 분명히 할 필요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이 특정 요소들을 포함한다는 언급이 있는 경우, 또는 어떤 과정이 특정 단계들을 포함한다는 언급이 있는 경우는, 그 외 다른 요소 또는 다른 단계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특정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본 명세서의 개념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나아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설명한 예시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이 일반으로 이해하는 의미를 갖는다.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명세서의 맥락에 따라 일관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그 의미가 명확히 정의된 경우가 아니라면, 지나치게 이상적이거나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본 명세서의 실시 예가 설명된다.
도 1은 본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산업기기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를 보여준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산업기기 제어 시스템(100)은 제어 장치(110)와 하나 이상의 I/O 장치(120_1, 120_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제어 장치(110)와 하나 이상의 I/O 장치(120_1, 120_2)는 커넥트 모듈(111, 121_1, 121_2)에 기반한 버스 통신(예로, RS422)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의 제어 장치(110)는 전원공급모듈(미도시)를 통해 하나 이상의 I/O 장치(120_1, 120_2)의 동작을 위한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110)의 좌측면과 우측면에는 슬라이딩 체결을 위한 한 쌍의 날개 구조(115)가 구비될 수 있다.
즉, 도 1의 제1 I/O 장치(120_1)의 홈 구조(125_1)와 제어 장치(110)의 좌측면에 구비된 날개 구조(115)를 기반으로 제1 방향(A)의 슬라이딩 체결방식이 구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1의 제2 I/O 장치(120_2)의 홈 구조(125_2)와 제어 장치(110)의 우측면에 구비된 날개 구조(115)를 기반으로 제1 방향(A)의 슬라이딩 체결방식이 구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되진 않았으나, 제1 I/O 장치(120_1)의 날개 구조(125_1')와 추가 I/O 장치(미도시)의 홈 구조(미도시)를 기반으로 제1 방향(A)의 슬라이딩 체결방식이 수행될 수 있음은 이해될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2 방향(B-B')으로 I/O 장치의 확장이 가능함은 이해될 것이다.
도 1의 제1 I/O 장치(120_1)는 다수의 포트로 구성된 입출력 모듈(123_1)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입출력 모듈(123_1)의 포트는 미리 정해진 개수(예로, 8개 내지 16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의 제1 I/O 장치(120_1)는 제1 입출력 모듈(123_1)을 통해 산업 설비(예로, 센서 또는 액츄에이터)로부터 수집된 입력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도 1의 제1 I/O 장치(120_1)는 제어 장치(110)로부터 수신된 제어명령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1의 제2 I/O 장치(120_2)는 다수의 포트로 구성된 제2 입출력 모듈(123_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입출력 모듈(123_2)의 포트는 미리 정해진 개수(예로, 도 1의 경우 16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의 제2 I/O 장치(120_2)는 제2 입출력 모듈(123_2)을 통해 산업 설비(예로, 센서 또는 액츄에이터)로부터 수집된 입력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도 1의 제2 I/O 장치(120_2)는 제어 장치(110)로부터 수신된 제어명령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모듈형 산업기기 제어 시스템은 산업 현장에 따라 I/O 장치의 개수 조정을 통해 유연한 운용이 가능할 수 있음은 이해될 것이다.
일 예로, 산업 설비의 입출력 포트 수가 30개인 경우라면, 제어 장치(110)에 도 1과 같이 2개의 I/O 장치(120_1, 120_2)로 해당 산업 설비의 모니터링이 수행될 수 있음은 이해될 것이다.
도 2는 본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산업기기 제어 시스템을 위한 버스 통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의 명확하고 간결한 이해를 위하여, 도 2의 마스터 장치(210)는 도 1의 제어 장치(110)와 상응하고, 도 2의 제1 슬레이브 장치(210_1)는 도 1의 제1 I/O 장치(120_1)와 상응하고, 도 2의 제2 슬레이브 장치(210_2)는 도 1의 제2 I/O 장치(120_2)와 상응한다고 가정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도 2의 마스터 장치(210)는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장치(220_1~220_N, N은 자연수)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의 마스터 장치(210)는 제1 전송라인(TxD+) 및 제2 전송라인(TxD-)을 기반으로 제1 내지 제N 슬레이브 장치(220_1,…, 220_N)로 다운링크 전송을 수행제어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마스터 장치(210)의 제1 전송라인(TxD+)은 각 슬레이브 장치의 제1 수신라인(RxD+)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마스터 장치(210)의 제2 전송라인(TxD-)은 각 슬레이브 장치의 제2 수신라인(RxD-)과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2의 마스터 장치(210)는 제1 수신라인(RxD+) 및 제2 수신라인(RxD-)을 기반으로 제1 내지 제N 슬레이브 장치(220_1,…, 220_N)로부터 처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특히, 처리 정보는 산업 설비로부터 수집된 입력 데이터가 슬레이브 장치에 의해 1차로 처리된 정보로 이해될 수 있다.
여기서, 마스터 장치(210)의 제1 수신라인(RxD+)은 각 슬레이브 장치(220_1,…, 220_N)의 제1 송신라인(TxD+)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마스터 장치(210)의 제2 수신라인(RxD-)은 각 슬레이브 장치(220_1,…, 220_N)의 제2 송신라인(TxD+)과 연결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다수의 슬레이브 장치(220_1,…, 220_N)는 마스터 장치(210)로 공통 Tx 라인을 구성하기 때문에, 마스터 장치(210)에 의한 폴링(Polling)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슬레이브 장치는 소비 전류 문제로 인하여 10개 이하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본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산업기기 제어 시스템의 내부 블록도를 보여준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의 제어 장치(310)는 도 1의 제어 장치(110) 와 상응하고, 도 3의 I/O 장치(320)는 도 1의 제1 I/O 장치(120_1) 및 제2 I/O 장치(120_2) 중 어느 하나와 상응할 수 있다.
도 3의 제어 장치(310)는 버스통신모듈(311), 중앙처리모듈(312), 전원공급모듈(313) 및 외부통신모듈(317)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스통신모듈(311)은 시스템 버스(315)를 통해 하나 이상의 I/O 장치(320)와 특정한 프로토콜(예로, RS422)에 기반한 버스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앙처리모듈(312)은 모듈형 산업기기 제어 시스템(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중앙처리모듈(312)은 제어 장치(310)가 버스 통신 모듈(311)을 통해 하나 이상의 I/O 장치(320)로 제어명령을 전달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중앙처리모듈(312)은 버스 통신 모듈(311)을 통해 하나 이상의 I/O 장치(320)로부터 수집된 처리 정보를 별도의 메모리(미도시) 상에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한편, 중앙처리모듈(312)은 확장모듈 인식부를 기반으로 I/O 장치의 탈부착에 따른 갱신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앙처리모듈(312)의 확장모듈 인식부는 제어 장치(310)가 턴-오프 상태에서 턴-온 상태로 최초 진입하면 활성화될 수 있다. 도 3의 활성화된 확장모듈 인식부는 각 I/O 장치로부터 수신된 고유식별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즉, 중앙처리모듈(312)은 확장모듈 인식부의 고유식별정보의 저장 및 관리 기능을 통해 어떠한 유형의 I/O 장치와 결합된 상태인지를 자동으로 인식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I/O 장치의 고유식별정보에 대하여는 후술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또한, 중앙처리모듈(312)은 동작 환경에 따라 차등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주로 아날로그 신호 처리와 같은 고속 데이터 입출력이 요구될 때, 중앙처리모듈(312)은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이하 'FPGA')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다소 복잡한 신호 처리가 요구될 뿐만 아니라 서버 혹은 PC와 통신 처리에 있어 복잡한 프로토콜이 사용되나 단가를 낮춰야 할 때, 중앙처리모듈(312)은 리눅스(LINUX)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저속의 데이터 처리와 간단한 LAN 통신이 요구될 때, 중앙처리모듈(312)은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icro controller unit, 이하 'MCU')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공급모듈(313)은 제어 장치(310)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I/O 장치(320)에 미리 정해진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통신모듈(317)은 서버(미도시)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통신모듈(317)은 로라(LoRa) 통신블록, 와이파이(Wi-fi) 통신블록 및 유선(LAN) 통신블록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의 I/O 장치(320)는 버스통신모듈(321), I/O 처리모듈(322) 및 입출력 모듈(32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스통신모듈(321)은 시스템 버스(315)를 통해 제어 장치(310)와 특정한 프로토콜(예로, RS422)에 기반한 버스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O 처리모듈(332)은 I/O 장치(32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I/O 처리모듈(332)은 외부 센서장비(3)로부터 수신된 입력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처리를 통해 처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I/O 처리모듈(332)은 버스 통신 모듈(321)을 통해 처리 정보를 제어 장치(310)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O 처리모듈(332)의 식별정보 관리부는 I/O 장치(320)의 기능을 구분하기 위하여 할당된 고유식별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식별정보 관리부는 제어 장치(310)로부터 쿼리 메시지가 수신되면, I/O 처리모듈(332)의 고유식별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를 송신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모듈(323)은 외부 센서 또는 장비(3)와 미리 정해진 개수의 포트를 이용하여 I/O 장치(320)의 미리 정해진 기능(혹은 역할)에 따른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I/O 장치(320)에 아날로그 입력 혹은 아날로그 출력을 위한 고유식별정보가 할당될 때, 입출력 모듈(323)은 외부 센서 또는 장비(3)와 아날로그 입출력을 담당하는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I/O 장치(320)에 디지털 입력 혹은 디지털 출력을 위한 고유식별정보가 할당될 때, 입출력 모듈(323)은 외부 센서 또는 장비(3)와 디지털 입출력을 담당하는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I/O 장치(320)에 센서 통신(예로, I2C, RS485, RS232)을 위한 고유식별정보가 할당될 때, 입출력 모듈(323)은 통해 외부 센서 또는 장비(3)와 센서통신을 담당하는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4는 본 일 실시 예에 따른 I/O 모듈 장치를 위해 정의되는 고유식별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하나 이상의 I/O 장치를 위해 할당 가능한 고유식별정보는 도 4의 테이블 정보(T_I)로 정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마스터 장치에 상응하는 제어 장치(310)에는 도 4의 테이블 정보(T_I)가 미리 저장될 수 있다.
다시 말해, I/O 장치(320)로부터 고유식별정보가 수신될 때, 제어 장치(310)는 도 4의 테이블 정보(T_I)를 기반으로 I/O 장치(320)의 기능(혹은 역할)을 판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고유식별정보는 도 4의 제1 내지 제3 부분식별 정보(ID#1~ID#3)를 포함하는 총 4바이트(byte)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부분식별 정보(ID#1)는 '0' 내지 '255'의 정수 값을 표현하기 위해 1바이트(byte)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부분식별 정보(ID#2)는 '0' 내지 '65535'의 정수 값을 표현하기 위해 2바이트(byte)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부분식별 정보(ID#3)는 '0' 내지 '255'의 정수 값을 표현하기 위해 1바이트(byte)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부분식별 정보(ID#1)가 '0'에 상응할 때, I/O 장치(320)는 8개 채널의 직류(DC) 유형의 디지털 입력(Digital Input)을 위한 장치로 이해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부분식별 정보(ID#1)가 '0'에 상응하고 제2 부분식별 정보(ID#2)가 '0'에 상응할 때, I/O 장치(320)는 8개 채널의 직류(DC) 유형의 디지털 입력(Digital Input)을 위한 장치일 뿐만 아니라 12V 내지 24V의 동작 범위의 NPN 트랜지스터와 연관된 장치로 이해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부분식별 정보(ID#1)가 '0'에 상응하고 제2 부분식별 정보(ID#2)가 '1'에 상응할 때, I/O 장치(320)는 8개 채널의 직류(DC) 유형의 디지털 입력(Digital Input)을 위한 장치일 뿐만 아니라 12V 내지 24V의 동작 범위의 PNP 트랜지스터와 연관된 장치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제1 부분식별 정보(ID#1)가 '1'에 상응할 때, I/O 장치(320)는 8개 채널의 교류(AC) 유형의 디지털 입력(Digital Input)을 위한 장치일 뿐만 아니라 200V 내지 240V의 동작 범위와 연관된 장치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제1 부분식별 정보(ID#1)가 '2'에 상응할 때, I/O 장치(320)는 8개 채널의 직류(DC) 유형의 디지털 출력(Digital Output)을 위한 장치 또는 8개 채널의 교류(AC) 유형의 디지털 출력(Digital Output)을 위한 장치로 이해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부분식별 정보(ID#1)가 '2'에 상응하고 제2 부분식별 정보(ID#2)가 '0'에 상응할 때, I/O 장치(320)는 8개 채널의 직류(DC) 유형의 디지털 출력(Digital Output)을 위한 장치일 뿐만 아니라 12V 내지 24V의 동작 범위의 NPN 트랜지스터와 연관된 장치로 이해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부분식별 정보(ID#1)가 '2'에 상응하고 제2 부분식별 정보(ID#2)가 '1'에 상응할 때, I/O 장치(320)는 8개 채널의 직류(DC) 유형의 디지털 출력(Digital Output)을 위한 장치일 뿐만 아니라 12V 내지 24V의 동작 범위의 PNP 트랜지스터와 연관된 장치로 이해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부분식별 정보(ID#1)가 '2'에 상응하고 제2 부분식별 정보(ID#2)가 '2'에 상응할 때, I/O 장치(320)는 8개 채널의 직류(DC) 유형의 디지털 출력(Digital Output)을 위한 릴레이(Relay) 장치로 이해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부분식별 정보(ID#1)가 '2'에 상응하고 제2 부분식별 정보(ID#2)가 '3'에 상응할 때, I/O 장치(320)는 8개 채널의 교류(AC) 유형의 디지털 출력(Digital Output)을 위한 릴레이(Relay) 장치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제1 부분식별 정보(ID#1)가 '3'에 상응할 때, I/O 장치(320)는 아날로그 입력(Analog Input)을 위한 장치로 이해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부분식별 정보(ID#1)가 '3'에 상응하고 제2 부분식별 정보(ID#2)가 '0'에 상응할 때, I/O 장치(320)는 0 내지 1V 사이의 아날로그 입력(Analog Input)을 위한 장치로 이해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부분식별 정보(ID#1)가 '3'에 상응하고 제2 부분식별 정보(ID#2)가 '1'에 상응할 때, I/O 장치(320)는 0 내지 20mA 사이의 아날로그 입력(Analog Input)을 위한 장치로 이해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부분식별 정보(ID#1)가 '3'에 상응하고 제2 부분식별 정보(ID#2)가 '2'에 상응할 때, I/O 장치(320)는 4 내지 20mA 사이의 아날로그 입력(Analog Input)을 위한 장치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제1 부분식별 정보(ID#1)가 '4'에 상응할 때, I/O 장치(320)는 4 내지 20mA 사이의 아날로그 출력(Analog Output)을 위한 장치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제1 부분식별 정보(ID#1)가 '5'에 상응할 때, I/O 장치(320)는 통신을 위한 장치로 이해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부분식별 정보(ID#1)가 '5'에 상응하고 제2 부분식별 정보(ID#2)가 '0'에 상응할 때, I/O 장치(320)는 I2C 통신을 위한 장치로 이해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부분식별 정보(ID#1)가 '5'에 상응하고 제2 부분식별 정보(ID#2)가 '1'에 상응할 때, I/O 장치(320)는 RS485 통신을 위한 장치로 이해될 수 있다.
도 4의 테이블 정보(T_I)는 고유식별정보 중 일부만이 할당된 것으로, 나머지 값들의 조합을 통해 I/O 장치(320)의 기능(혹은 역할)에 대한 추가적인 정의가 가능함은 이해될 것이다.
도 5는 본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산업기기 제어 시스템의 프로비저닝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도 5의 제어장치(510)는 도 1의 제어장치(110)와 상응하고, 도 2의 제1 I/O 장치(520_1)은 도 1의 제1 I/O 장치(120_1)와 상응하고, 도 2의 제2 I/O 장치(520_2)은 도 1의 제2 I/O 장치(120_2)와 상응한다.
본 명세서의 명확하고 간결한 이해를 위해, 본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산업기기 제어 시스템의 I/O 장치의 탈착을 진행한 후 최초로 전원을 턴-온한 상황으로 가정할 수 있다.
본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산업기기 제어 시스템은 I/O 장치마다 미리 설정된 고유식별정보를 수집함으로써 I/O 장치의 탈착에 따른 갱신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S510 단계에서, 도 5의 제어장치(510)는 제1 구간과 연관된 쿼리 메시지를 하나 이상의 I/O 장치(520_1, 520_2)로 송신할 수 있다.
즉, 마스터 장치(510)는 도 3의 시스템 버스(315)를 통해 쿼리 메시지를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장치(520_1, 520_2)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쿼리 메시지는 각 I/O 장치(520_1, 520_2)의 기능(혹은 역할)과 연관된 고유식별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본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구간은 쿼리 메시지의 송신부터 및 시작 메시지가 송신되기 전까지 구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구간은 미리 정해진 개수(N, 예로, 도 5의 N=12개)의 타이밍 구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한편, 쿼리 메시지가 수신되면, 하나 이상의 I/O 장치(520_1, 520_2)는 미리 설정된 범위에서 타이밍 구간을 위한 랜덤 액세스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각 I/O 장치(520_1, 520_2)는 랜덤 액세스 값을 위한 의사-임의 정수(pseudo-random integer) 값을 개별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S510 단계의 쿼리 메시지의 수신 이후, 제1 I/O 장치(520_1)는 '4'의 랜덤 액세스 값을 생성하고, 제2 I/O 장치(520_2)는 '7'의 랜덤 액세스 값을 생성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S520 단계에서, 제1 I/O 장치(520_1)는 쿼리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랜덤 액세스 값('4')에 따른 타이밍에 자신의 고유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제1 응답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S530 단계에서, 제2 I/O 장치(520_2)는 쿼리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랜덤 액세스 값('7')에 따른 타이밍에 자신의 고유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제2 응답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 이상의 I/O 장치(520_1, 520_2)는 도 3의 시스템 버스(315)를 통해 하나 이상의 응답 메시지를 제1 구간의 다른 타이밍을 이용하여 제어 장치(510)로 전달할 수 있다.
제 1 구간이 경과하면, S540 단계에서, 제어장치(510)는 하나 이상의 I/O 장치(520_1, 520_2)의 자신의 기능(혹은 역할)을 개시하도록 지시하는 시작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도 6는 본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산업기기 제어 시스템의 프로비저닝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S610 단계에서, 본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장치(예로, 510)는 미리 설정된 제1 구간과 연관된 제1 쿼리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쿼리 메시지는 하나 이상의 I/O 장치(520_1, 520_2)의 기능(혹은 역할)과 연관된 고유식별정보를 개별적으로 요청하는 메시지로 이해될 수 있다.
S620 단계에서, 본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장치(예로, 510)는 제1 구간에서 제1 쿼리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하나 이상의 I/O 장치(520_1, 520_2)로부터 하나 이상의 제1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하나 이상의 제1 응답 메시지는 랜덤 액세스 값에 따라 결정된 타이밍에 특정 I/O 장치의 기능(혹은 역할)을 지시하는 고유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로 이해될 수 있다.
S630 단계에서, 제1 구간이 경과되면, 본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장치(예로, 510)는 하나 이상의 I/O 장치(520_1, 520_2)로 시작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 이상의 I/O 장치(520_1, 520_2)는 자신의 기능(혹은 역할)을 시작할 수 있다.
도 7는 본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산업기기 제어 시스템의 프로비저닝 방식을 구체화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도 7의 S710 단계 및 S720 단계는 전술한 도 6의 610 단계 및 S620 단계를 위한 설명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S730 단계에서, 본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장치(예로, 510)는 제2 구간과 연관된 제2 쿼리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쿼리 메시지는 하나 이상의 I/O 장치(520_1, 520_2)의 기능(혹은 역할)과 연관된 고유식별정보를 한번 더 확인하기 위해 요청하는 메시지로 이해될 수 있다.
S740 단계에서, 본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장치(예로, 510)는 제2 쿼리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하나 이상의 I/O 장치(520_1, 520_2)로부터 하나 이상의 제2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S750 단계에서, 본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장치(예로, 510)는 하나 이상의 제1 응답 메시지와 하나 이상의 제2 응답 메시지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일 하나 이상의 제1 메시지와 하나 이상의 제2 메시지가 동일하다고 판단되면, S760 단계에서, 본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장치(예로, 510)는 시작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만일 하나 이상의 제1 메시지와 하나 이상의 제2 메시지가 동일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S770 단계에서, 제어장치(예로, 510)는 제3 구간과 연관된 제3 쿼리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즉, 도 7과 같이 쿼리 메시지를 추가 전송하고 각 구간 동안 수신된 응답 메시지를 비교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I/O 장치(520_1, 520_2)에 의한 동일 타이밍의 전송으로 고유식별정보의 누락이 방지될 수 있다.
도 8은 본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산업기기 제어 시스템의 프로비저닝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도 8의 제어장치(510)는 도 1의 제어장치(110)와 상응하고, 도 8의 제1 I/O 장치(820_1)은 도 1의 제1 I/O 장치(120_1)와 상응하고, 도 8의 제2 I/O 장치(820_2)은 도 1의 제2 I/O 장치(120_2)와 상응한다.
본 명세서의 명확하고 간결한 이해를 위해, 본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산업기기 제어 시스템의 I/O 장치의 탈착을 진행한 후 최초로 전원을 턴-온한 상황으로 가정할 수 있다.
본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산업기기 제어 시스템은 I/O 장치마다 미리 설정된 고유식별정보를 수집함으로써 I/O 장치의 탈착에 따른 갱신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 8의 제1 구간은 제1 쿼리 메시지의 송신부터 제2 쿼리 메시지의 송신 전까지 구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구간은 미리 정해진 개수(N, 예로, 도 8의 N=3개)의 타이밍 구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도 8의 제2 구간은 제2 쿼리 메시지의 송신부터 제3 쿼리 메시지의 송신 전까지 구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구간은 미리 정해진 개수(N, 예로, 도 8의 N=3개)의 타이밍 구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도 8의 제3 구간은 제3 쿼리 메시지의 송신부터 시작 메시지의 송신 전까지 구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구간은 미리 정해진 개수(N, 예로, 도 8의 N=3개)의 타이밍 구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한편, 본 다른 실시 예에서, 제1 부분식별정보(예로, 도 5의 ID#1)는 제1 값('0'), 제2 값('1') 및 제3 값('2')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된다고 가정할 수 있다.
또한, 도 8의 제1 I/O 장치(820_1)는 8개 채널의 교류(AC) 유형의 디지털 입력(Digital Input)을 위한 장치로 가정할 수 있다. 도 8의 제2 I/O 장치(820_2)는 8개 채널의 직류(DC) 유형의 디지털 입력(Digital Input)을 위한 장치로 가정할 수 있다.
S810 단계에서, 도 8의 제어장치(810)는 제1 구간과 연관된 제1 부분식별정보(예로, 도 5의 ID#1)를 포함하는 제1 쿼리 메시지를 하나 이상의 I/O 장치(820_1, 820_2)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스터 장치(810)는 도 3의 시스템 버스(315)를 통해 '0'으로 설정된 제1 부분식별정보(예로, 도 5의 ID#1)를 포함하는 제1 쿼리 메시지를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장치(820_1, 820_2)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쿼리 메시지는 '0'의 제1 부분식별정보(예로, 도 5의 ID#1)에 상응하는 기능(혹은 역할)과 연관된 I/O 장치에게 고유식별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로 이해될 수 있다.
S820 단계에서, 도 8의 제어장치(810)는 제1 구간과 연관된 제1 부분식별정보(예로, 도 5의 ID#1)를 포함하는 제1 응답 메시지를 제2 I/O 장치(820_2)로부터 제1구간의 제1 타이밍(t1)에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응답 메시지에는 제2 I/O 장치(820_2)를 위한 고유식별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I/O 장치(820_2)의 고유식별정보는 제1 부분식별정보(예로, 도 5의 ID#1) 뿐만 아니라 제2 부분식별정보(예로, 도 5의 ID#2) 및 제3 부분식별정보(예로, 도 5의 ID#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S830 단계에서, 도 8의 제어장치(810)는 제2 구간과 연관된 제1 부분식별정보(예로, 도 5의 ID#1)를 포함하는 제2 쿼리 메시지를 하나 이상의 I/O 장치(820_1, 820_2)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스터 장치(810)는 도 3의 시스템 버스(315)를 통해 '1'로 설정된 제1 부분식별정보(예로, 도 5의 ID#1)를 포함하는 제2 쿼리 메시지를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장치(820_1, 820_2)로 전달할 수 있다.
S840 단계에서, 도 8의 제어장치(810)는 제2 구간과 연관된 제1 부분식별정보(예로, 도 5의 ID#1)를 포함하는 제2 응답 메시지를 제1 I/O 장치(820_1)로부터 제2구간의 제2 타이밍(t2)에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응답 메시지에는 제1 I/O 장치(820_1)를 위한 고유식별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I/O 장치(820_1)의 고유식별정보는 제1 부분식별정보(예로, 도 5의 ID#1) 뿐만 아니라 제2 부분식별정보(예로, 도 5의 ID#2) 및 제3 부분식별정보(예로, 도 5의 ID#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S850 단계에서, 도 8의 제어장치(810)는 제3 구간과 연관된 제1 부분식별정보(예로, 도 5의 ID#1)를 포함하는 제3 쿼리 메시지를 하나 이상의 I/O 장치(820_1, 820_2)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스터 장치(810)는 도 3의 시스템 버스(315)를 통해 '2'로 설정된 제1 부분식별정보(예로, 도 5의 ID#1)를 포함하는 제3 쿼리 메시지를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장치(820_1, 820_2)로 전달할 수 있다.
S860 단계에서, 도 8의 제어장치(810)는 하나 이상의 I/O 장치의 동작의 개시를 지시하는 시작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본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미리 설정된 제1 내지 제3 값의 제1 부분식별정보(예로, 도 5의 ID#1)가 송신된 이후, 시작 메시지가 송신될 수 있다.
도 9는 본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산업기기 제어 시스템의 프로비저닝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S910 단계에서, 본 다른 실시 예에 따른 I/O 장치는 특정 구간(예로, 도 8의 제1 구간 또는 제2 구간)과 연관된 제1 부분식별 정보(예로, 도 5의 ID#1)를 포함하는 쿼리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S920 단계에서, 본 다른 실시 예에 따른 I/O 장치는 제1 부분식별 정보(예로, 도 5의 ID#1)가 자신의 고유식별정보(예로, 도 5의 ID#1~ ID#3)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일 제1 부분식별 정보(예로, 도 5의 ID#1)가 자신의 고유식별정보(예로, 도 5의 ID#1~ ID#3)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수순은 종료된다.
만일 만일 제1 부분식별 정보(예로, 도 5의 ID#1)가 자신의 고유식별정보(예로, 도 5의 ID#1~ ID#3)에 포함된다고 판단되면, 수순은 S930 단계로 진행된다.
예를 들어, 도 8의 제1 I/O 장치(820_1)는 제1 구간에서 수신된 제1 쿼리 메시지의 제1 부분식별 정보(예로, 도 5의 ID#1)가 자신의 고유식별정보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8의 제1 I/O 장치(820_1)는 다음 구간의 쿼리 메시지의 수신까지 대기할 수 있다.
또한, 도 8의 제2 I/O 장치(820_2)는 도 8의 제1 I/O 장치(820_1)는 제1 구간에서 수신된 제1 쿼리 메시지의 제1 부분식별 정보(예로, 도 5의 ID#1)가 자신의 고유식별정보에 포함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8의 제1 I/O 장치(820_1)는 도 8의 제2 구간에서 수신된 제1 쿼리 메시지의 제1 부분식별 정보(예로, 도 5의 ID#1)가 자신의 고유식별정보에 포함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도 8의 제2 I/O 장치(820_2)는 도 8의 제2 구간에서 수신된 제2 쿼리 메시지의 제1 부분식별 정보(예로, 도 5의 ID#1)가 자신의 고유식별정보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8의 제2 I/O 장치(820_2)는 다음 구간의 쿼리 메시지의 수신까지 대기할 수 있다.
S930 단계에서, 본 다른 실시 예에 따른 I/O 장치는 미리 설정된 범위에서 랜덤 액세스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의 제2 I/O 장치(820_2)는 도 8의 제1 쿼리 메시지 수신 이후 미리 설정된 범위에서 타이밍 구간을 위한 랜덤 액세스 값(예로, '1')을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8의 제1 I/O 장치(820_1)는 도 8의 제2 쿼리 메시지 수신 이후 미리 설정된 범위에서 타이밍 구간을 위한 랜덤 액세스 값(예로, '2')을 생성할 수 있다.
S940 단계에서, 본 명세서에 따른 I/O 장치는 랜덤 액세스 값에 상응하는 타이밍 구간에 고유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의 제2 I/O 장치(820_2)는 제1 구간의 제1 타이밍 구간에서 자신의 고유식별정보를 제어장치(810)로 전달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8의 제1 I/O 장치(820_1)는 제2 구간의 제2 타이밍 구간에서 자신의 고유식별정보를 제어장치(810)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르면, 프로비저닝(provisioning) 방식으로 I/O 모듈 장치의 탈부착에 따른 갱신정보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모듈형 산업기기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동작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르면, I/O 모듈 장치 간 충돌을 최소화함으로써 신속하고 정확하게 I/O 모듈 장치의 탈부착에 따른 갱신정보를 생성하는 모듈형 산업기기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동작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모듈형 산업기기 제어 시스템 110: 제어 장치
120_1: 제1 I/O 모듈 장치 120_2: 제2 I/O 모듈 장치

Claims (8)

  1. 하나 이상의 I/O 장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I/O 장치와 연결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하나 이상의 I/O 장치의 탈부착에 따른 갱신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미리 정해진 구간을 위한 쿼리(Query) 메시지를 상기 하나 이상의 I/O 장치로 송신하도록 구현되고,
    상기 미리 정해진 구간 동안 상기 하나 이상의 I/O 장치로부터 상기 쿼리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하나 이상의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현되고,
    상기 쿼리 메시지에는 상기 미리 정해진 구간을 위한 값으로 설정된 부분식별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I/O 장치와 연관된 제1 I/O 장치는,
    상기 쿼리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부분식별정보가 상기 제1 I/O 장치의 역할을 정의하기 위해 미리 할당된 제1 고유식별정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현되고,
    상기 부분식별정보가 상기 제1 고유식별정보에 포함된다고 판단될 때, 미리 설정된 범위에서 제1 랜덤 액세스 값을 생성하도록 구현되고, 그리고
    상기 쿼리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1 랜덤 액세스 값에 따른 제1 타이밍에 상기 제1 고유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제1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현되고,
    상기 미리 설정된 구간은 제1 내지 제N 세부구간으로 정의되고,
    상기 미리 설정된 범위는 제1 내지 제N 값으로 정의되고, 그리고
    상기 제1 내지 제N 세부구간은 상기 제1 내지 제N 값에 연관되는,
    모듈형 산업기기 제어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I/O 장치와 연관된 제2 I/O 장치는,
    상기 쿼리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부분식별정보가 상기 제2 I/O 장치의 역할을 정의하기 위해 미리 할당된 제2 고유식별정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현되고,
    상기 부분식별정보가 상기 제2 고유식별정보에 포함된다고 판단될 때, 상기 미리 설정된 범위에서 제2 랜덤 액세스 값을 생성하도록 구현되고, 그리고
    상기 쿼리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2 랜덤 액세스 값에 따른 타이밍에 상기 제2 고유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제2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현되는,
    모듈형 산업기기 제어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미리 정해진 구간이 경과 후, 상기 제1 및 제2 고유식별정보에 의해 정의되는 역할의 시작을 지시하는 시작 메시지를 상기 상기 하나 이상의 I/O 장치로 송신하도록 구현되는 모듈형 산업기기 제어 시스템.
  6. 제어 장치 및 하나 이상의 I/O 장치를 포함하는 모듈형 산업기기 제어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제1 I/O 장치가, 제1 구간과 연관된 제1 부분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쿼리 메시지를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I/O 장치가, 상기 제1 부분식별 정보가 자신의 고유식별정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부분식별 정보가 상기 고유식별 정보에 포함된다고 판단될 때, 상기 제1 I/O 장치가, 미리 설정된 범위에서 랜덤 액세스 값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I/O 장치가, 상기 제1 쿼리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랜덤 액세스 값에 따른 타이밍에 상기 고유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제1 응답 메시지를 상기 제어 장치로 송신하되,
    상기 제1 구간은 미리 결정된 제1 내지 제N 세부구간으로 정의되고,
    상기 미리 설정된 범위는 제1 내지 제N 값으로 정의되고, 그리고
    상기 제1 내지 제N 세부구간은 상기 제1 내지 제N 값에 연관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식별 정보가 상기 고유식별 정보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판단될 때, 상기 제1 I/O 장치가, 상기 제1 구간이 종료될 때까지 대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구간이 종료되면, 상기 제1 I/O 장치가, 제2 구간과 연관된 제2 부분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쿼리 메시지를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8. 삭제
KR1020200123445A 2020-09-24 2020-09-24 모듈형 산업기기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동작 방법 KR1023007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3445A KR102300775B1 (ko) 2020-09-24 2020-09-24 모듈형 산업기기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3445A KR102300775B1 (ko) 2020-09-24 2020-09-24 모듈형 산업기기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0775B1 true KR102300775B1 (ko) 2021-09-13
KR102300775B9 KR102300775B9 (ko) 2022-04-11

Family

ID=77796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3445A KR102300775B1 (ko) 2020-09-24 2020-09-24 모듈형 산업기기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077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27902A (ja) * 2010-04-21 2011-11-10 General Electric Co <Ge> 外部制御システムとフィールドバス装置を同期させ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27902A (ja) * 2010-04-21 2011-11-10 General Electric Co <Ge> 外部制御システムとフィールドバス装置を同期させ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0775B9 (ko) 2022-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707447B (zh) 一种基于EtherCAT的从站系统及控制方法
EP2822228B1 (en) Industrial network apparatus and data communication method
EP3547049B1 (en) Safety control system and safety control unit
US11036402B2 (en) Control device,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101179431B1 (ko) 이더캣 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US11379391B2 (en) Real-time automation device having a real-time data bus
KR102300775B1 (ko) 모듈형 산업기기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동작 방법
CN109327365B (zh) 在转角传感器与发动机控制装置或分析单元之间的数据传递方法
JP2014030168A (ja) 中継通信システム、及び中継通信装置
EP3157155A1 (en) Method of controlling inverters
JPH1041964A (ja)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の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101504903B1 (ko) 산업용 분산 네트워크 가상 슬레이브
EP2677693B1 (en) Communication system
KR101673943B1 (ko) 유무선 통신방식을 이용한 통합 스마트기기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N210377133U (zh) 基于can总线的主从可配置plc控制器
JPH0393494A (ja) インバータの群運転方法
KR101917616B1 (ko) 로라 네트워크를 활용한 사물 제어시스템
CN112711217A (zh) 基于can总线的主从可配置plc控制器
WO2024003971A1 (ja) 制御・監視信号伝送システム
WO2023242938A1 (ja) 制御・監視信号伝送システム
WO2018204584A1 (en) Synchronized wireless networks system including time-based identity of devices
CN110663230B (zh) 本地总线主机以及运行本地总线的方法
KR20130009452A (ko) 설비 관제 시스템 및 이의 운전 방법
JPH0973310A (ja) 数値制御装置及び数値制御システム
KR101275640B1 (ko) 다수의 버스를 이용하는 논리연산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